KR20090110944A - 5-[3-(3-하이드록시페녹시)아제티딘-1-일]-5-메틸-2,2-다이페닐-헥산아마이드의 염산염 - Google Patents

5-[3-(3-하이드록시페녹시)아제티딘-1-일]-5-메틸-2,2-다이페닐-헥산아마이드의 염산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0944A
KR20090110944A KR1020097019239A KR20097019239A KR20090110944A KR 20090110944 A KR20090110944 A KR 20090110944A KR 1020097019239 A KR1020097019239 A KR 1020097019239A KR 20097019239 A KR20097019239 A KR 20097019239A KR 20090110944 A KR20090110944 A KR 20090110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thma
bronchitis
inhibitors
bronchiectasis
hydrochlo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9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0227B1 (ko
Inventor
폴 알랜 글로솝
김 제임스
Original Assignee
화이자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59148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9011094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화이자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화이자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90110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our-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our-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05/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our-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39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our-membered rings, e.g. azeti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8Bronchodi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14Antitussiv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5-[3-(3-하이드록시페녹시)아제티딘-1-일]-5-메틸-2,2-다이페닐-헥산아마이드의 염산염 또는 이의 유도된 형태 및 약제로서의 이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5-[3-(3-하이드록시페녹시)아제티딘-1-일]-5-메틸-2,2-다이페닐-헥산아마이드의 염산염{HYDROCHLORIDE SALT OF 5-[3-(3-HYDROXYPHENOXY)AZETIDIN-1-YL]-5-METHYL-2,2-DIPHENYL-HEXANAMIDE}
본 발명은 5-[3-(3-하이드록시페녹시)아제티딘-1-일]-5-메틸-2,2-다이페닐헥산아마이드의 염산염, 이의 제조 방법,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중간체,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5-[3-(3-하이드록시페녹시)아제티딘-1-일]-5-메틸-2,2-다이페닐헥산아마이드의 염산염의 수화물, 용매화물 및 다형체를 비롯한 이의 유도된 형태에 관한 것이다.
콜린성 무스카린 수용체는 G-단백질 결합 수용체 상과의 일원이며, 5개의 아형, 즉 M1 내지 M5로 더 분류된다. 무스카린 수용체 아형은 채내에서 광범위하고 특이적으로 발현된다. 모든 5개의 아형에 대해 유전자가 클로닝되었고 이들 중 M1, M2 및 M3 수용체는 동물 및 인간 조직에서 대규모로 약리학적으로 특성화되었다. M1 수용체는 뇌(피질 및 해마), 샘, 및 교감 및 부교감 신경의 신경절에서 발현된 다. M2 수용체는 심장, 후뇌, 평활근, 및 자율신경계의 시냅스에서 발현된다. M3 수용체는 뇌, 샘 및 평활근에서 발현된다. 기도에서 M3 수용체의 자극은 기도 평활근의 수축을 일으켜 기관지수축을 유발시키지만, 침샘에서 M3 수용체의 자극은 체액 및 점액 분비를 증가시켜 침분비를 증가시킨다. 평활근에 발현된 M2 수용체는 전-수축(pro-contractile)되면서 시냅스전 M2 수용체가 부교감 신경으로부터 아세틸콜린 방출을 조절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심장에 발현된 M2 수용체의 자극은 서맥을 초래한다.
속효성 및 지속성 무스카린 길항제는 천식 및 만성 폐색성 폐 질환(COPD)의 관리에 사용된다. 이들은 속효성 약품인 아트로벤트(Atrovent, 등록상표명)(이프라트로퓸 브로마이드) 및 옥시벤트(Oxivent, 등록상표명)(옥시트로퓸 브로마이드), 및 지속성 약품인 스피리바(Spiriva, 등록상표명)(티오트로퓸 브로마이드)를 포함한다. 이들 화합물은 흡입 투여 후 기관지이완을 초래한다. 폐활량 값의 향상 외에도, COPD에서 항무스카린제의 용도는 건강 상태 및 삶의 품질 점수의 향상과 관련된다. 채내에서 무스카린 수용체의 광범위한 분포의 결과로서, 무스카린 길항제에의 현저한 전신 노출은 입안 건조, 변비, 동공확대, 요폐(모두 M3 수용체의 차단에 의해 주로 매개됨) 및 빈맥(M2 수용체의 차단에 의해 매개됨)과 같은 효과와 관련된다. 현재 임상적으로 사용되는 비선택적 무스카린 길항제의 치료적 투여량의 흡입 투여 후 통상적으로 기록되는 부작용은 입안 건조이고, 이는 강도면에서 단지 경증인 것으로 기록되지만 주어진 흡입제의 투여량을 제한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효능, 약물동태학 또는 작용의 지속시간 면에서 적절한 약리학적 프로파일을 갖는 개선된 M3 수용체 길항제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은 신규한 M3 수용체 길항제에 관한 것이다. 흡입 경로에 의한 투여에 적합한 약리학적 프로파일을 갖는 M3 수용체 길항제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도 1은 2 내지 55°의 2 쎄타 범위에 대해 0.018° 단계 마다 0.2 초 카운트 동안 연속 방식 세트로 실행하는 고니오미터를 사용하여 분석한 측정된 패턴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실시예 1의 PXRD 패턴을 도시하고 있다(상부: 측정된 패턴, 하부: 단일 결정 구조로부터의 계산된 패턴).
도 3은 퍼킨 엘머 다이아몬드 시차 주사 열량계(Perkin Elmer Diamon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를 사용하여 시차 주사 열량법(DSC)에 의해 측정한 DSC 선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5-[3-(3-하이드록시페녹시)아제티딘-1-일]-5-메틸-2,2-다이페닐헥산아마이드의 염산염 및 이의 유도된 형태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5-[3-(3-하이드록시페녹시)아제티딘-1-일]-5-메틸-2,2-다이페닐헥산아마이드의 염산염의 결정질 형태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5-[3-(3-하이드록시페녹시)아제티딘-1-일]-5-메틸-2,2-다이페닐헥산아마이드의 염산염의 비 용매화된 결정질 형태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염산염은 Cu Kα1 방사선을 사용하여 측정할 경우(파장 = 1.5406 Å) 2-쎄타(θ) 각도로 표현되는 다음과 같은 주요 X-선 회절 패턴 피크를 특징으로 하는 X-선 회절 패턴을 갖는다:
2-쎄타 각도(°)
9.1
11.2
13.7
18.3
19.7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염산염은 Cu Kα1 방사선을 사용하여 측정할 경우(파장 = 1.5406 Å) 2-쎄타 각도로 표현되는 다음과 같은 주요 X-선 회절 패턴 피크를 특징으로 하는 X-선 회절 패턴을 갖는다:
2-쎄타 각도(°)
7.5
9.1
11.2
13.7
14.8
18.3
19.7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염산염은 Cu Kα1 방사선을 사용하여 측정할 경우(파장 = 1.5406 Å) 2-쎄타 각도로 표현되는 다음과 같은 주요 X-선 회절 패턴 피크를 특징으로 하는 X-선 회절 패턴을 갖는다:
2-쎄타 각도(°)
7.5
9.1
11.2
13.7
14.8
18.3
19.7
23.4
28.3
이제, 본 발명의 염산염이 M3 수용체의 길항제이며, 특히 M3-매개된 질병 및/또는 증상의 치료에 유용하고, 특히 흡입 경로에 의한 투여시에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염산염은 흡입 경로에 의한 투여에 특히 적합하다. 특히, 본 발명의 염산염은 건조 분말 흡입기를 사용하여 투여하기 위해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염산염은 고체 상태 안정성 및 그의 상응하는 유리 염기보다 본 발명의 염산염을 뛰어나게 만드는 특정 약물 제품 부형제와의 융화성을 비롯한 특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염산염은 문헌[Handbook of Pharmaceutical Salts, Properties, Selection and Use. published by Wiley-VCH, 2002, edited by P. Heinrich Stahl, Camille G Wermuth. ISBN 3-906390-26-8]에 기재된 것과 같은 염의 제조를 위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5-[3-(3-하이드록시페녹시)아제티딘-1-일]-5-메틸-2,2-다이페닐헥산아마이드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5-[3-(3-하이드록시페녹시)아제티딘-1-일]-5-메틸-2,2-다이페닐헥산아마이드의 염산염은 비용매화된 형태 및 용매화된 형태 둘 다로 존재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용매화물"은 본 발명의 염산염 및 화학량론적 양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 분자, 예컨대 에탄올을 포함하는 분자 착체를 지칭한다. 용어 "수화물"은 상기 용매가 물인 경우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범위에, 예컨대 포접 화합물, 약물-호스트 포함 착체와 같은 착체가 포함되며, 이때 상기 용매화물과 반대로 약물 및 호스트는 화학량론 또는 비화학량론적 양으로 존재한다. 또한, 화학량론 또는 비화학량론적 양일 수 있는 둘 이상의 유기 및/또는 무기 성분을 함유하는 약물의 착체가 포함된다. 생성된 착체는 이온화되거나, 부분적으로 이온화되거나 또는 비이온화될 수 있다. 상기 착체에 대한 개관은 문헌[J Pharm Sci, 64(8), 1269-1288, Haleblian(August 1975)]을 참고한다. 본 발명의 염산염의 다형체 및 결정 형태/성질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용어 "본 발명의 염산염"은 5-[3-(3-하이드록시페녹시)아제티딘-1-일]-5-메틸-2,2-다이페닐헥산아마이드의 염산염 및 이의 유도된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염산염은 유용한 약학적으로 활성인 화합물이며, 이는 무스카린 수용체와 관련되거나 이 수용체의 길항작용으로 이점이 유도될 수 있는 다수의 장애, 특히 알러지성 및 비알러지성 기도 질환(예컨대, 천식, COPD 등)의 치료 및 예방뿐만 아니라 염증성 창자 질환, 과민성 대장 질환, 게실 질환, 멀미, 위궤양, 창자의 방사선 검사, BPH(양성 전립선 비대)의 대증 치료, NSAID 유도된 위 궤양형성, 요실금(절박증, 빈뇨, 절박 요실금, 과민성 방광, 야뇨증 및 하부 요로 증상을 포함), 모양근마비, 동공확대 및 파킨슨병과 같은 다른 질병의 치료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염산염은 본 발명에 따라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약제로서 동물,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특히 인간에게 투여될 수 있다. 이는 그 자체로, 다른 것과의 혼합물로, 또는 통상적으로 약학적으로 무해한 부형제 및/또는 첨가제와 더불어 활성 성분으로서 효과량의 본 발명의 염산염을 함유하는 약학 제제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염산염은 동결-건조, 스프레이-건조 또는 증발-건조되어 결정질 또는 비정질 물질의 고체 플러그, 분말 또는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마이크로파 또는 무선 주파수 건조가 이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염산염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약물과 조합하여 투여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와 결합된 제형으로서 투여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부형제"는 본 발명의 염산염 이외의 임의의 성분을 지칭한다. 부형제의 선택은 특정한 투여 방식에 매우 의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염산염은 혈류, 근육 또는 내부 장기로 직접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수단은 정맥내, 동맥내, 복막내, 수막강내, 뇌실내, 요도내, 흉골내, 두개내, 근육내 및 피하를 포함한다.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장치는 바늘(미세바늘 포함) 주사기, 무침 주사기 및 주입 기법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비경구 제형은 염, 탄수화물 및 완충제(바람직하게는 3 내지 9의 pH)와 같은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는 수용액이지만, 몇몇 용도에서 이들은 무균 발열원 제거수와 같이 적합한 비히클과 조합하여 사용될 무균 비수성 용액으로서 또는 건조 형태로서 보다 적합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예컨대, 동결건조에 의한 무균 조건하의 비경구 제형의 제제는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 익히 공지된 표준 약학 기법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은 즉각적인 및/또는 변형된 방출이 되도록 제형화될 수 있다. 변형된 방출 제형은 지연-, 지속-, 펄스-, 제어-, 표적화- 및 프로그램화된 방출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염산염은 활성 화합물의 변형된 방출을 제공하는 삽입형 데포(depot)로서 투여하기 위한 고체, 반고체 또는 요변성 액체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제형의 예는 약물-코팅된 스텐트 및 PGLA 폴리(dl-락트-코글리콜)산(PGLA) 미소구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염산염은 피부 또는 점막에 국소적으로, 즉 피부 또는 경피로 투여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한 전형적인 제형은 겔, 하이드로겔, 로션, 용액, 크림, 연고, 살포제, 드레싱(dressing), 포말, 필름, 피부 패치, 웨이퍼, 임플란트, 스폰지, 섬유, 붕대 및 미세유화액을 포함한다. 리포좀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전형적인 담체는 알콜, 물, 광유, 액체 바셀린, 백색 바셀린, 글리세린,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한다. 침투 강화제가 혼입될 수 있다 - 예컨대, 문헌[J Pharm Sci, 88(10), 955-958, Finnin and Morgan, 1999, 10월]을 참고한다.
국소 투여의 다른 수단은 전기천공법, 전리요법, 음파영동법, 초음파영동법 및 미세침 또는 무침(예컨대, 파우더젝트(Powderject, 상표명), 바이오젝트(Bioject, 상표명) 등) 주사에 의한 전달을 포함한다.
국소 투여용 제형은 즉각적인 및/또는 변형된 방출이 되도록 제형화될 수 있다. 변형된 방출 제형은 지연-, 지속-, 펄스-, 제어-, 표적화- 및 프로그램화된 방출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염산염은 전형적으로 건조 분말 흡입기로부터 건조 분말 형태로(단독으로, 예를 들면 락토스와의 건조 블렌드의 혼합물로서, 또는 예컨대 포스파티딜콜린과 같은 인지질과 혼합된 혼합 성분 입자로서), 또는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 또는 1,1,1,2,3,3,3-헵타플루오로프로판과 같은 적합한 추진제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가압 용기, 펌프, 스프레이, 분무기(바람직하게는, 미세 연무를 발생시키기 위해 전기유체역학을 이용하는 분무기) 또는 네불라이저로부터의 에어로졸 스프레이로서 비강내 또는 흡입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비강내 사용을 위해, 상기 분말은 예컨대 키토산 또는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바이오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 용기, 펌프, 스프레이, 분무기 또는 네불라이저는, 예컨대 에탄올, 수성 에탄올, 또는 활성물질을 분산시키거나 용해시키거나 서서히 방출시키기에 적합한 다른 제제, 용매로서의 추진제, 및 솔비탄 트리올레에이트, 올레산 또는 올리고락트산과 같은 선택적인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용액 또는 현탁액을 함유한다.
건조 분말 또는 현탁액 제형으로 사용하기 이전에, 약물 생성물은 흡입에 의한 전달에 적합한 크기(전형적으로는 5 ㎛ 미만)로 미분(micronise)된다. 이는 나선형 제트 밀링법(spiral jet milling), 유동층 제트 밀링법, 나노입자를 형성하기 위한 초임계 유체 가공법, 고압 균질화법 또는 스프레이 건조법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분쇄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흡입기 또는 취입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캡슐(예컨대, 젤라틴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로부터 제조됨), 블리스터(blister) 및 카트리지는 본 발명의 염산염, 락토스 또는 전분과 같은 적합한 분말 베이스, 및 l-류신, 만니톨 또는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성능 개질제의 분말 믹스(mix)를 함유하도록 제형화될 수 있다. 락토스는 무수 또는 일수화물 형태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일수화물 형태이다. 다른 적합한 부형제는 덱스트란, 글루코스, 말토스, 솔비톨, 자일리톨, 프럭토스, 수크로스 및 트레할로스를 포함한다.
미세 연무를 생성하기 위해 전기유체역학을 사용하는 분무기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용액 제형은 발동작용 당 본 발명의 염산염 1 ㎍ 내지 20 mg을 함유할 수 있고, 발동작용 부피는 1 내지 100 ㎕로 다양할 수 있다. 전형적인 제형은 본 발명의 염산염, 프로필렌 글리콜, 멸균수, 에탄올 및 염화나트륨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필렌 글리콜 대신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용매는 글리세롤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한다.
적합한 향미제, 예컨대 만니톨 및 레보멘톨, 또는 감미제, 예컨대 사카린 또는 사카린 나트륨이 흡입/비강내 투여를 위해 의도된 본 발명의 제형에 첨가될 수 있다.
흡입/비강내 투여를 위한 제형은, 예컨대 PGLA를 사용하여 즉각적인 및/또는 변형된 방출이 되도록 제형화될 수 있다. 변형된 방출 제형은 지연-, 지속-, 펄스-, 제어-, 표적화- 및 프로그램화된 방출을 포함한다.
건조 분말 흡입기 및 에어로졸의 경우, 투약 단위는 계량된 양을 전달하는 밸브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위는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염산염 0.001 mg 내지 10 mg을 함유하는 계량된 투여량 또는 "1회 취입량(puff)"을 투여하도록 조정된다. 전형적으로, 총 일일 투여량은 단일 투여량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하루에 걸쳐 분할 투여량으로 투여될 수 있는 0.001 mg 내지 40 mg 범위이다. 본 발명의 염산염은 특히 흡입에 의한 투여에 적합하다. 특히, 본 발명의 염산염은 건조 분말로서 락토스와 함께 제형화되기에 적합하고 따라서 건조 분말 흡입기를 사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염산염은, 예를 들면 좌약, 페서리 또는 관장의 형태로 직장으로 또는 질로 투여될 수 있다. 코코아 버터가 전통적인 좌약 베이스이지만, 다양한 대안물들이 적절한 경우 사용될 수 있다.
직장/질 투여용 제형은 즉각적인 및/또는 변형된 방출이 되도록 제형화될 수 있다. 변형된 방출 제형은 지연-, 지속-, 펄스-, 제어-, 표적화- 및 프로그램화된 방출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염산염은 전형적으로 등장성, pH-조정된 무균 염수에서 미분화된 현탁액 또는 용액의 점적 형태로 눈 또는 귀로 직접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눈 및 귀 투여에 적합한 다른 제형은 연고, 생물분해성(예컨대, 흡수성 겔 스폰지, 콜라겐) 및 비생물분해성(예컨대, 실리콘) 임플란트, 웨이퍼, 렌즈 및 미립 또는 소포성 시스템, 예컨대 니오좀 또는 리포좀을 포함한다. 중합체, 예컨대 가교결합된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알콜, 히알루론산, 셀룰로오스 중합체, 예컨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또는 메틸 셀룰로오스, 또는 헤테로폴리사카라이드 중합체, 예컨대 겔란 고무가 보존제, 예컨대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와 함께 혼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형은 전리요법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눈/귀 투여용 제형은 즉각적인 및/또는 변형된 방출이 되도록 제형화될 수 있다. 변형된 방출 제형은 지연-, 지속-, 펄스-, 제어-, 표적화- 또는 프로그램화된 방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염산염은 가용성 거대분자 실체, 예컨대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이의 적합한 유도체,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함유 중합체와 조합되어 전술한 투여 방식 중 임의의 것에 사용하기 위해 그의 용해성, 용해 속도, 맛-차폐성, 생체이용률 및/또는 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약물-사이클로덱스트린 착체는 대부분의 투약 형태 및 투여 형태에 일반적으로 유용한 것으로 확인된다. 포함 및 비-포함 착체가 사용될 수 있다. 약물과의 직접적인 착화의 대안으로서, 사이클로덱스트린은 보조 첨가제, 즉 담체, 희석제 또는 가용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 목적에 가장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알파-, 베타- 및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이며, 이의 예는 국제 특허 출원 공개 제 WO 91/11172 호, 제 WO 94/02518 호 및 제 WO 98/55148 호에서 찾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질병 또는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성 화합물의 조합물을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 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두 개 이상의 약학적 조성물(이 중 하나 이상은 본 발명의 염산염을 함유함)이 조성물의 공투여에 적합한 키트의 형태로 편리하게 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키트는 두 개 이상의 별도의 약학적 조성물(이 중 하나 이상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의 염산염을 함유함), 및 상기 조성물을 별도로 보유하기 위한 수단, 예컨대 용기, 분할된 병 또는 분할된 호일 패킷을 포함한다. 상기 키트의 예는 정제, 캡슐 등의 포장에 사용되는 친숙한 블리스터 팩이다. 본 발명의 키트는, 예컨대 비경구 투여를 위한 상이한 투약 형태로 투여하거나, 상이한 투약 간격으로 별도의 조성물을 투여하거나, 별도의 조성물을 서로에 대해 적정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순응성을 조장하기 위해, 키트는 전형적으로 투여에 대한 사용법을 포함하며, 이른바 메모리 보조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인간 환자에게 투여하기 위해,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염산염의 총 일일 투여량은, 물론 투여 방식에 따라 0.001 mg 내지 5000 mg의 범위이다. 예를 들면, 정맥내 일일 투여량은 0.001 mg 내지 40 mg만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총 일일 투여량은 단일 또는 분할된 투여량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의사의 재량으로 본원에 주어진 전형적인 범위 밖에 있을 수 있다.
이들 투여량은 약 65 내지 70 kg의 평균 인간 대상을 기준으로 한다. 의사는 체중이 이 범위 밖에 있는, 예컨대 유아 및 중장년층 대상에 대한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할 것이다.
의구심을 방지하기 위해, 본원에서 "치료"에 대한 언급은 치유, 경감 및 예방 치료에 대한 언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따라, 본 발명의 염산염 또는 이의 조성물은 또한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치료제와 조합물로서 사용되어 환자에게 공투여됨으로써 비제한적으로 (i) 기관지수축, (ii) 염증, (iii) 알러지, (iv) 조직 파괴, (v) 호흡곤란, 기침과 같은 징후 및 증상을 포함한 병리생리학적-관련 질병 과정의 치료와 같은 일부 특정한 목적하는 치료적 최종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염산염 및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와 관련하여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공투여", "공투여됨" 및 "조합하여"는 하기를 의미하고 지칭하며 이를 포함한다:
· 본 발명의 염산염 및 치료제의 조합물이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실질적으로 동시에 방출되는 단일 투약 형태로 함께 제형화되는 경우, 상기 환자에게 상기 성분을 동시에 투여하는 것;
· 본 발명의 염산염 및 치료제의 조합물이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 의해 실질적으로 동시에 복용되어 상기 성분이 상기 환자에게 실질적으로 동시에 방출되는 분리된 투약 형태로 별도로 제형화되는 경우, 상기 환자에게 상기 성분을 실질적으로 동시에 투여하는 것;
· 본 발명의 염산염 및 치료제의 조합물이 매 투여시 마다 충분한 시간 간격으로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 의해 연속적인 횟수로 복용되어 상기 성분이 상기 환자에게 실질적으로 상이한 시간에 방출되는 분리된 투약 형태로 별도로 제형화되는 경우, 상기 환자에게 상기 성분을 순차적으로 투여하는 것; 및
· 본 발명의 염산염 및 치료제의 조합물이 조절된 방식으로 방출되어 이들이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동시에 및/또는 상이한 시간에 동시에, 연속하여 및/또는 중복하여 투여되는 단일 투약 형태로 함께 제형화되는 경우, 상기 환자에게 상기 성분을 순차적으로 투여하는 것으로서,
이때 각 부분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유도된 형태 또는 조성물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치료제의 적합한 예는 다음을 포함하지만,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
(a) 5-리폭시게나제(5-LO) 억제제 또는 5-리폭시게나제 활성화 단백질(FLAP) 길항제,
(b) LTB4, LTC4, LTD4 및 LTE4의 길항제를 비롯한 류코트라이엔 길항제(LTRA),
(c) H1 및 H3 길항제를 비롯한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
(d) 충혈제거제 용도를 위한 α1- 및 α2-아드레날린 수용체 작용제 혈관수축신경 교감신경유사작용제,
(e) 속효성 또는 지속성 β2 작용제,
(f) PDE 억제제, 예컨대 PDE3, PDE4 및 PDE5 억제제,
(g) 테오필린,
(h) 나트륨 크로모글리케이트,
(i) 비선택적 및 선택적 COX-1 또는 COX-2 억제제(NSAID)를 비롯한 COX 억제제,
(j) 경구 및 흡입 글루코코르티코스테로이드,
(k) 내인성 염증 실체에 대해 활성인 단클론 항체,
(l) 항종양 괴사 인자(항-TNF-α) 제제,
(m) VLA-4 길항제를 비롯한 부착 분자 억제제,
(n) 키닌-B1- 및 B2-수용체 길항제,
(o) 면역억제제,
(p)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MMP)의 억제제,
(q) 타키키닌 NK1, NK2 및 NK3 수용체 길항제,
(r) 엘라스타제 억제제,
(s) 아데노신 A2a 수용체 작용제,
(t) 유로키나제의 억제제,
(u) 도파민 수용체에 작용하는 화합물, 예컨대 D2 작용제,
(v) NFκB 경로의 조절제, 예컨대 IKK 억제제,
(w) 사이토카인 신호 경로의 조절제, 예컨대 p38 MAP 키나제 또는 syk 키나제,
(x) 점액용해제 또는 진해제로서 분류될 수 있는 제제,
(y) 항생제,
(z) HDAC 억제제,
(aa) PI3 키나제 억제제, 및
(bb) CXCR2 길항제.
본 발명에 따라,
- H3 길항제,
- β2 작용제,
- PDE4 억제제,
- 스테로이드, 특히 글루코코르티코스테로이드,
- 아데노신 A2a 수용체 작용제,
- 사이토카인 신호 경로의 조절제, 예컨대 p38 MAP 키나제 또는 syk 키나제, 또는
- LTB4, LTC4, LTD4 및 LTE4의 길항제를 비롯한 류코트라이엔 길항제(LTRA)
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조합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 글루코코르티코스테로이드, 특히 프레드니손, 프레드니솔론, 플루니솔라이드, 트라이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 베클로메타손 다이프로피오네이트, 부데소나이드,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시클레소나이드, 및 모메타손 퓨로에이트를 비롯한 감소된 전신 부작용을 갖는 흡입 글루코코르티코스테로이드, 또는
- 특히 살부타몰, 테르부탈린, 밤부테롤, 페노테롤, 살메테롤, 포르모테롤, 튤로부테롤 및 이들의 염을 비롯한 β2 작용제
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조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원에서 치료에 대한 모든 언급은 치유, 경감 및 예방 치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염산염이 적용될 수 있는 치료적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염산염은 M3 수용체와 상호작용하는 능력을 가짐으로써 하기에서 추가로 기재되는 바와 같은 광범위한 치료적 용도를 가지는데, 이는 염산염이 모든 포유동물의 생리 기능에서 필수적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는 M3 수용체와 관련된 질병, 장애 및 증상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염산염 또는 이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또한 하기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질병, 장애 및 증상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염산염에 관한 것이다:
· 만성 또는 급성 기관지수축, 만성 기관지염, 소 기도 폐색, 및 폐기종;
· 모든 유형, 병인 또는 발병기전의 폐색성 또는 염증성 기도 질환, 특히 만성 호산구성 폐렴, 만성 폐색성 폐 질환(COPD), 만성 기관지염, 폐기종 또는 COPD와 관련되거나 관련되지 않은 호흡곤란증을 포함한 COPD, 비가역 진행성 기도 폐색을 특징으로 하는 COPD, 성인 호흡 곤란 증후군(ARDS), 다른 약물 치료에 따른 결과인 기도 과반응의 악화 및 폐동맥 고혈압과 관련된 기도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폐색성 또는 염증성 기도 질환;
· 모든 유형, 병인 또는 발병기전의 기관지염, 특히 급성 기관지염, 급성 후두기관 기관지염, 아라키드성 기관지염, 카타르 기관지염, 크룹 기관지염, 건성 기관지염, 감염성 천식 기관지염, 습성 기관지염, 포도상구균 또는 연쇄구균 기관지염, 및 폐포 기관지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기관지염;
· 모든 유형, 병인 또는 발병기전의 천식, 특히 아토피성 천식, 비-아토피성 천식, 알러지성 천식, 아토피성 기관지 IgE-매개 천식, 기관지 천식, 본태성 천식, 진성 천식, 병리생리학적 장애를 원인으로 하는 내인성 천식, 외부 인자를 원인으로 하는 외인성 천식, 원인 불명 또는 불분명의 본태성 천식, 기관지염 천식, 기종성 천식, 운동 유발성 천식, 알러지 항원 유발성 천식, 찬공기 유발성 천식, 직업성 천식, 박테리아, 진균, 원충 또는 바이러스 감염을 원인으로 하는 감염성 천식, 비-알러지성 천식, 초기 천식, 유아 천명 증후군(wheezy infant syndrome) 및 세기관지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천식;
· 급성 폐 손상; 및
· 모든 유형, 병인 또는 발병기전의 기관지확장증, 특히 원통형 기관지확장증, 낭상(sacculated) 기관지확장증, 방추형(fusiform) 기관지확장증, 모세혈관 기관지확장증, 낭종(cystic) 기관지확장증, 건성 기관지확장증 및 난포(follicular) 기관지확장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관지확장증.
또한,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는 M3 길항제 활성을 갖는 약물의 제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염산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M3 수용체-매개된 질병 및/또는 증상, 특히 상기 기재된 질병 및/또는 증상의 치료를 위한 약물의 제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염산염 또는 이의 유도된 형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효과량의 본 발명의 염산염 또는 이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을 치료하는 특히 흥미로운 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정확하게, 본 발명은 효과량의 본 발명의 염산염을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게 투여함을 포함하는, 상기 동물의 M3 수용체-매개된 질병 및/또는 증상, 특히 상기 기재된 질병 및/또는 증상의 치료를 위한 특히 흥미로운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 1: 5-[3-(3-하이드록시-페녹시)-아제티딘-1-일]-5-메틸-2,2-다이페닐-헥산 산 아마이드 염산염
Figure 112009056614409-PCT00001
메탄올(30 ml) 중 5-[3-(3-하이드록시-페녹시)-아제티딘-1-일]-5-메틸-2,2-다이페닐-헥산산 아마이드(3.5 g, 7.8 mmol)의 용액에 메탄올(6.3 ml, 7.8 mmol) 중 1.25 M HCl 용액을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3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6시간 동안 얼음 욕에 두었다. 어떠한 침전도 인지되지 않을 때, 용액을 감압하에 농축시켜 일부 용매(17 ml)를 제거하고, 생성된 용액을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여 침전물을 제공하였다. 현탁액을 여과하고 메탄올(10 ml)로 세척하고 40℃에서 진공 오븐 중에 건조시켜 백색 고체로서 5-[3-(3-하이드록시-페녹시)-아제티딘-1-일]-5-메틸-2,2-다이페닐-헥산산 아마이드 염산염 2.55 g(67%)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의 융점은 퍼킨 엘머 다이아몬드 시차 주사 열량계(Perkin Elmer Diamon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를 사용하여 시차 주사 열량법(DSC)에 의해 측정하였다. 샘플을 50 ㎕ 배기된 알루미늄 팬에서 20℃/분으로 주변 온도로부터 300℃까지 가열하였다. DSC 선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융점은 218.7℃(215.3℃에서 개시)에서 강한 흡열에 의해 증명되었다.
분말 X-선 회절 방법
브루커-AXS 리미티드(Bruker-AXS Ltd.)를 사용하여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측정하였다. D4 분말 X-선 회절계는 자동 샘플 교환기, 쎄타-쎄타 고니오미터, 자동 광선 발산 슬릿 및 PSD 반텍(Vantec)-1 검출기를 장착하였다. 분석을 위한 샘 플을 저 배경 규소 웨이퍼 표본 검경판 상에 고정시킴으로써 준비하였다. 표본을 회전시키면서 40kV/35mA에서 작동하는 X-선 관에 의해 Cu Kα1 X-선(파장 = 1.5406 Å)을 조사하였다. 2 내지 55°의 2 쎄타 범위에 대해 0.018° 단계 마다 0.2 초 카운트 동안 연속 방식 세트로 실행하는 고니오미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측정된 패턴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강도 및 피크 위치와 함께 생성된 분말 X-선 회절 패턴(2θ 각도 오차는 ± 0.1°이다)이 하기 표 1에 나타나 있다:
Figure 112009056614409-PCT00002
단일 결정 X-선 회절에 의한 결정 구조 결정
브루커 SMART APEX 단일 결정 X-선 회절계 및 MO Kα 방사선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단일 결정 X-선 회절에 의해 실시예 1의 결정 구조를 결정하였다. 각각의 노출이 ω에서 0.3°에 포함되는 30초의 노출 시간을 갖는 일련의 몇몇 노출로부터 강도를 적분하고1, 총 데이터 세트는 영역을 초과하였다. 멀티스캔 방법2을 사용하여 흡광도에 대한 데이터를 모았다. 결정 구조를 스페이스 그룹(Space Group P212121에서 SHELXS-973을 사용하는 직접 방법에 의해 성공적으로 해석하였고, SHELXL-974을 사용하는 최소 자승 방법에 의해 세밀히 구별하였다.
1. SMART v5.622(대조군) 및 SAINT v6.02(적분) 소프트 웨어, 미국 위스콘신주 매디손 소재의 브루커 AXS 인코포레이티드, 1994.
2. SADABS, 면적 검출기 데이터의 스케일링 및 수집을 위한 프로그램, 1997년 고틴젠 대학(University of Gottingen), 쉘드릭(G. M. Sheldrick)(문헌[R. H. Blessing, Acta Cryst. 1995, A51, 33-38]의 방법을 기준으로 함).
3. SHELXS-97, 결정 구조 해석을 위한 프로그램. 1997년 독일 소재의 고틴젠 대학, 쉘드릭, 97-2 발매.
4. SHELXL-97, 결정 구조 세밀 분석을 위한 프로그램. 1997년 독일 소재의 고틴젠 대학, 쉘드릭, 97-2 발매.
실시예 1의 결정 구조로부터 분말 X-선 회절 패턴의 계산
액설리스(Accelrys) MS 모델링(상표명)[버전 3.0]의 "반사 분말 회절" 모듈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단일 결정 구조로부터 2θ 각도 및 상대 강도를 계산하였다.
관련 시뮬레이션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다:
파장 = 1.5406 Å(Cu Kα)
편광 인자 = 0.5
의사-호이트(Pseudo-Voigt) 프로파일(U = 0.01, V = -0.001, W = 0.002)
계산된 패턴은 그것이 단일 결정 구조로부터 유도된 것이기 때문에 실시예 1의 순수 상의 패턴을 나타낸다. 측정 및 계산된 패턴의 비교가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며, 대부분은 단일 결정 구조에 의해 나타난 것으로 입증되었다. 피크 강도간의 약간의 모순은 바람직한 방위 효과가 측정된 패턴이기 때문일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 1의 PXRD 패턴을 도시하고 있다(상부: 측정된 패턴, 하부: 단일 결정 구조로부터의 계산된 패턴).
제조예 1: 5-[3-(3-하이드록시페녹시)아제티딘-1-일]-5-메틸-2,2-다이페닐헥산아마이드
Figure 112009056614409-PCT00003
5-[3-(3-하이드록시페녹시)아제티딘-1-일]-5-메틸-2,2-다이페닐-헥산나이트릴(0.16 g, 0.38 mmol, 1 당량), t-아밀 알콜(1.8 ml, 12 ml/g) 및 KOH(0.41 g, 7.26 mmol, 20 당량)의 현탁액을 2일 동안 80℃로 가열하고, 그 결과 HPLC는 반응 종결을 나타내었다. 반응물을 주변 온도로 냉각시킨 후 물과 TBME 사이에 분배하고, 수성 층을 수성 HCl에 의해 pH 8로 산성화시키고, 층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농축하여 무색 오일로서 5-[3-(3-하이드록시페녹시)아제티딘-1-일]-5-메틸-2,2-다이페닐헥산아마이드 0.11 g(68%)을 제공하였다.
Figure 112009056614409-PCT00004
제조예 2: 5-[3-(3-하이드록시페녹시)아제티딘-1-일]-5-메틸-2,2-다이페닐-헥산나이트릴
Figure 112009056614409-PCT00005
질소 분위기하에 주변 온도에서 메탄설폰산(200 ml, 5 ml/g)에 5-[3-(3-메톡시페녹시)아제티딘-1-일]-5-메틸-2,2-다이페닐-헥산나이트릴(40 g, 90.8 mmol, 1 당량)을 첨가한 후 DL-메티오닌(40.6 g, 272 mmol, 3 당량)을 첨가하여 용액을 생성시켰다. 용액을 주변 온도에서 3일 동안 교반하고 30℃에서 1일 동안 교반한 후 추가의 DL-메티오닌(5.42 g, 36 mmol, 0.4 당량)을 첨가하고 추가로 2일 동안 30℃에서 유지하고, 그 결과 HPLC는 반응 종결을 가리켰다(< 5% SM).
혼합물을 i-PrOAc(400 ml) 및 케어 워터(care water)(400 ml)로 세척하였다. 층을 15분 동안 혼합한 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1M NaOH(400 ml)로 세척한 후 물(2 × 200 ml)로 세척하고 그 후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40℃에서 백색 고체로 농축시켰다. 고체를 1시간 동안 약 5℃에서 톨루엔(160 ml, 4 ml/g) 중에 재현탁한 후, 여과하고, 차가운 톨루엔(80 ml, 2 ml/g)으로 세척하고 2일 동안 50℃에서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켜 백색 고체로서 5-[3-(3-하이드록시페녹시)아제티딘-1-일]-5-메틸-2,2-다이페닐-헥산나이트릴 29.3 g(76%)을 수득하였다. HPLC에 의한 분석은 > 98% 면적을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56614409-PCT00006
제조예 3: 5-[3-(3-메톡시페녹시)아제티딘-1-일]-5-메틸-2,2-다이페닐-헥산나이트릴
Figure 112009056614409-PCT00007
얼음 욕 중 냉각된 N2 분위기하에 THF(700 ml)에 15℃ 미만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ZrCl4(80.4 g, 0.35 mol, 2.1 당량)를 소량씩 첨가하여 갈색 현탁액을 생성시켰다. 그 후, 혼합물을 얼음/MeOH 욕에서 추가로 냉각시킨 후 0℃ 미만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1시간에 걸쳐 MeMgCl(THF 중 3 M, 493 ml, 1.48 mol, 9 당량)을 첨가하였다. Zr/그리냐드 용액에 발열반응을 0℃ 미만으로 조절하면서 THF(210 ml, 3 ml/g) 중 5-[3-(3-메톡시페녹시)아제티딘-1-일]-5-옥소-2,2-다이페닐-펜탄나이트릴(70 g, 0.164 mol, 1 당량)의 예비형성된 용액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생성된 갈색 현탁액을 6.5시간 동안 0℃에서 유지시킨 후 Me-THF(700 ml)를 첨가하고 수성 NH4Cl(400 ml 포화 NH4Cl + 500 ml 물로 예비 제조됨)로 조심스럽게 켄칭시켰다. 분리될 때, 유기 층을 물로 세척하고(3 × 350 ml),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40℃에서 EtOH로 용매 교환하여 210 ml 최종 부피의 침전물(3 ml/g)을 생성시켰다. 현탁액을 18시간 동안 주변 온도에서 교반한 후 1시간 동안 얼음 욕에서 냉각시키고, 여과하고, EtOH(140 ml, 2 ml/g)로 세척하고, 5시간 동안 45℃에서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켜 백색 고체로서 5-[3-(3-메톡시페녹시)아제티딘-1-일]-5-메틸-2,2-다이페닐-헥산나이트릴 43.1 g(60%)을 수득하였다. HPLC에 의한 분석은 >99% 면적을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56614409-PCT00008
제조예 4: 5-[3-(3-메톡시페녹시)아제티딘-1-일]-5-옥소-2,2-다이페닐-펜탄나이트릴
Figure 112009056614409-PCT00009
실온에서 EtCN(3.0 L, 3 ml/g) 중 4-사이아노-4,4-다이페닐-뷰티르산(300 g, 1.13 mol, 1 당량)의 현탁액에 DMAP(13.82 g, 0.11 mol, 0.1 당량), 3-(3-메톡시페녹시)아제티딘-헤미-옥살레이트(253.5 g, 1.13 mol, 1 당량) 및 WSCDI(325.2 g, 1.68 mol, 1.5 당량)를 첨가하여 약간의 비등성인 10℃ 발열반응 및 용액으로의 용해를 일으켰다. 2시간 후, 반응은 HPLC에 의해 종결된 것으로 간주되었다(아민이 검출되지 않음). 2 M HCl(1.2 L, 4 ml/g)을 첨가하고, 2상 혼합물을 10분 동안 교반한 후 분리하고, 2 M NaOH(1.5 L, 5 ml/g) 및 물(2 × 1.5 L)로 유기 층을 세척하였다.
상기 용액을 40℃에서 감압하에 건조물로 농축시키고 MeOH로 대체시켰다. 이를 반복하여 모든 EtCN을 제거하고, 생성된 2.5 L 부피(8.33 ml/g)의 뜨거운 메탄올 용액을 냉각시켜 진한 현탁액을 생성시켰다. 상기 현탁액을 2시간 동안 얼음 욕에서 냉각시킨 후 여과하고, MeOH(600 ml, 2 ml/g)로 세척하고 고체를 45℃에서 18시간 동안 진공하에 건조시켜 백색 고체로서 5-[3-(3-메톡시페녹시)아제티딘-1-일]-5-옥소-2,2-다이페닐-펜탄나이트릴 347g(72%)을 수득하였다. HPLC에 의한 분석을 > 98% 면적을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56614409-PCT00010
제조예 5: 3-(3-메톡시페녹시)아제티딘 헤미-옥살레이트
Figure 112009056614409-PCT00011
적합한 수소화관에 1-벤즈히드릴-3-(3-메톡시페녹시)아제티딘(300 g, 0.87 mol, 1 당량), Pd(OH)2(탄소 상 20중량%)(60 g, 20중량%) 및 EtOH(6 L, 20 ml/g)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60 psi H2 하에 두고 48시간 후 반응 종결 때까지 실온에서 교반하였다(HPLC에 의해 <5% SM).
반응 혼합물을 아르보셀(Arbocel) 상에서 여과하고 풍부한 EtOH로 세척한 후, 40℃에서 감압하에 1.2 L(4 ml/g)의 부피로 농축하였다. 생성된 용액에 주변 온도에서 옥살산(39.11 g, 0.43 mmol, 0.5 당량)을 소량씩 첨가하여 진한 현탁액 및 15℃ 발열반응을 일으켰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일 동안 교반하도록 방치시켰다.
상기 현탁액을 2시간 도안 얼음 욕에서 냉각시킨 후 여과하고, EtOH(600 ml, 2 ml/g)로 세척하고, 고체를 18시간 동안 50℃에서 진공하에 건조시켜, 백색 고체로서 3-(3-메톡시페녹시)아제티딘 헤미-옥살레이트, 165 g(85%)을 수득하였다. HPLC에 의한 분석은 > 96% 면적을 나타내었다.
제조예 6: 1-벤즈히드릴-3-(3-메톡시페녹시)아제티딘
Figure 112009056614409-PCT00012
실온에서 EtCN(2.33 L, 2 ml/g) 중 메탄설폰산 1-벤즈히드릴-아제티딘-3-일 에스터(1169 g, 3.68 mol, 1 당량)의 용액에 K2CO3(610.6 g, 4.42 mol, 1.2 당량)을첨가하였다. 생성된 슬러리에 EtCN(3.50 L, 3 ml/g) 중 3-메톡시페놀(548.3 g, 4.42 mol, 1.2 당량)의 예비-형성된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N2 분위기하에 80℃로 가열하고, 그 결과 반응 종결이 관찰되었다(HPLC에 의해 < 5% 메탄설폰산 1-벤즈히드릴-아제티딘-3-일 에스터).
주변 온도로 냉각시키자마자 1M NaOH(5.85 L, 5 ml/g)를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약 15분 동안 교반한 후 분리시켰다. 층을 분배하고, 유기 층을 1 M NaOH(3.51 L, 3 ml/g) 및 수성 염수(5.58 L 물 중 116 g NaCl, 5 ml/g)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대기 증류 조건하에 두고, 저 부피(2 ml/g)의 농도만큼 MeOH로 용매 교환한 후 MeOH를 연이어 첨가하여, 1H NMR에 의해 검출된 EtCN이 없이 현탁액 4 ml/g을 제공하였다.
상기 현탁액을 3시간 동안 0℃로 냉각시킨 후, 여과하고, MeOH(2.5 L)로 세척하고, 고체를 18시간 동안 50℃에서 진공하에 건조하여 백색 고체로서 PF1261660 944 g(74%)을 수득하였다. HPLC에 의한 분석은 > 99% 면적을 나타내었다.
약어
rt = 실온
Me = 메틸
Ph = 페닐
SM = 출발 물질
h = 시간
min = 분
d = 일
본 발명의 염산염의 시험관내 활성
효능 분석
NFAT-베타락타마제 유전자로 형질감염된 CHO-K1 세포에서 M3 효능을 결정하였다. 인간 무스카린 M3 수용체를 재조합으로 발현하는 CHO(중국 햄스터 난소) 세포를 NFAT_β-Lac_Zeo 플라스미드로 형질감염시켰다. 세포를 10% FCS(우 태아 혈청; 시그마 F-7524), 1 nM 나트륨 피루베이트(시그마 S-8636), NEAA(비필수 아미노산; 인비트로겐(Invitrogen) 11140-035) 및 200 ㎍/ml 제오신(Zeocin)(인비트로겐 R250-01)을 함유하는 25 mM HEPES(라이프 테크놀로지스(Life Technologies) 32430-027)이 보충된 글루타맥스-1을 갖는 DMEM에서 성장시켰다.
hM 3 _β-Lac 분석 프로토콜
5% CO2 함유 분위기에서 37℃에서 5분 동안 세포에 의해 배양된 효소 비함유 세포 해리 용액(라이프 테크놀로지스 13151-014)을 사용하여 세포가 80 내지 90% 포화도(confluency)에 도달하는 경우 분석을 위해 세포를 수확하였다. 분리된 세포를 가온 성장 배지에 모으고, 10분 동안 2000 rpm에서 원심분리하고, PBS(인산 완충 염수; 라이프 테크놀로지스 14190-094)에서 세척하고,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다시 원심분리하였다. 세포를 성장 배지(상기 기재한 바와 같은 조성)에서 2 × 105 세포/ml에서 재현탁하였다. 이 세포 현탁액 20 ㎕를 384 웰 블랙 투명한 바닥 플레이트(그레이너 바이오 온(Greiner Bio One) 781091-PFI)의 각 웰에 첨가하였다. 사용된 분석 완충제는 0.05% 플루로닉(Pluronic) F-127(시그마 9003-11-6) 및 2.5% DMSO가 보충된 PBS이다. 37℃ /5% CO2에서 4시간 동안 세포에 의해 배양된 80 nM 카바밀 콜린(알드리치(Aldrich) N240-9)을 사용하여 무스카린 M3 수용체 신호를 자극시키고, 테칸 스팩트라플루오르(Tecan SpectraFluor) + 플레이트 판독기(λ- 여기 405 nm, 방출 450 nm 및 503 nm)를 사용하여 배양기 말기에 모니터링하였다. 시험될 화합물을 4시간 배양기 초기에 분석으로 첨가하고 화합물 활성을 카바밀 콜린 유도된 신호의 농도 의존 억제로서 측정하였다. 억제 곡선을 플로팅하고 4-파라미터 S자 모양 피트를 사용하여 IC50 값을 생성시키고 쳉-프루소프(Cheng-Prusoff) 보정식을 사용하여 Ki 값 및 분석시 카바밀 콜린에 대한 KD 값으로 전환시켰다.
기니어 피그 기관 분석
350 내지 450 g의 수컷 던킨-하트레이(Dunkin-Hartley) 기니어 피그를 CO2의 상승 농도에서 추려낸 후 대정맥을 사혈시켰다. 기관을 후두로부터 흉강으로의 입구 지점까지 해부한 후 실온에서 새로운 산소처리된 변형된 크렙스(Krebs) 완충 용액(10 μM 프로프라놀올, 10 μM 구아네티딘 및 3 μM 인도메타킨을 함유한 크렙스)에 두었다. 기관근 반대의 연골을 가로질러 절단함으로써 기관을 절개하였다. 대략 3 내지 5개의 연골 고리 폭의 스트립을 절단하였다. 힘 변환기로의 부착을 위해 면사를 스트립의 한쪽 끝에서 연골에 부착하고 면 루프를 기관 욕 중 조직에 고정시키기 위해 다른 쪽 끝에서 만들었다. 가온(37℃) 통기성 변형된 크렙스가 충전된 5 ml 기관 욕에 스트립을 고정시켰다. 펌프의 유속을 1.0 ml/분으로 세팅하고 조직을 연속적으로 세척하였다. 조직을 1000 mg의 초기 장력하에 두었다. 조직을 15 및 30분 후에 다시 긴장시킨 후 추가로 30 내지 45분 동안 평형시켰다.
조직에 다음과 같은 파라미터의 전기장 자극(EFS)을 가하였다: 매 2분 당 10초 트레인, 0.1 ms 펄스 폭, 10 Hz 및 10 내지 30 V. 각각의 조직에 대해 최대 수축성 반응이 관찰될 때까지 정해진 범위내에서 매 10분마다 전압을 5V 상승시켰다. 그 후, 각각의 조직에 대한 이러한 정확한 최대 전압을 남은 실험 내내 사용하였다. 20분 동안의 EFS에 대한 평형화 후에, 펌프를 중지하고, 15분 후에 8 내지 10분 기간에 걸쳐 판독하였다(4 내지 5 반응). 그 후, 각각의 조직에 화합물을 30xKi(여과 결합 분석시에 CHO 세포에서 발현된 인간 M3 수용체에서 결정됨)에서 일시 투여량(bolus dose)으로서 첨가하고 2시간 동안 배양되도록 방치시켰다. 그 후, 1분 동안 변형된 크렙스에 의한 빠른 세척을 사용하여 조직으로부터 화합물을 세척하고, 남은 실험 동안 흐름을 1 ml/분으로 회복시켰다. 실험의 끝 무렵에, 조직을 히스타민(1 μM)으로 투여 검사하여 생존력을 측정하였다. 실험 동안 얻어진 판독치를 노토코드(Notocord, 등록상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모았다. 미가공 데이터를 EFS 반응 억제의 측정치를 고려하여 퍼센트 반응으로 전환시켰다. 세척을 시작한 후, 유도된 억제로부터 25% 만큼 회복하기 위해 조직이 취한 시간을 기록하고 화합물의 작용 기간의 측정치로서 사용하였다. 조직 생존력은 실험 지속기간을 16시간 후-화합물 세척으로 한정하였다. 전형적으로, 화합물은 n = 2 내지 5로 시험되어 작용 기간을 평가하였다.
다르게는 후속 기니어 피그 기관 분석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기관을 수컷 던킨-하트레이 기니어 피그(350 내지 450 g)로부터 제거하고, 부착 결합 조직의 제거 후, 기관근 반대의 연골을 가로질러 절개를 하고 3 내지 5개의 연골 고리 폭의 기관 스트립을 준비하였다. 기관 스트립을 1 g의 초기 장력하에 5 ml 조직 욕 중 수평판에서 근육과 함께 고정된 조직 후크와 이성질체 압력 전달계 사이에 매달았고 3 μM 인도메타킨 및 10 μM 구아네티딘을 함유하는 가온(37℃) 통기성(95%O2/5%CO2) 크렙스 용액에 담궜다.
조직을 평행한 백금 전선 전극들(약 1 cm 갭) 사이에 위치시켰다. 새로운 크렙스 용액(상기 조성을 가짐)의 일정한 1 ml/분 흐름을 연동 펌프를 사용하여 조직 욕을 통해 유지시켰다. 평형 기간의 시작으로부터 15분 및 30분에 1g으로 다시 긴장시키면서 조직을 1시간 동안 평형시켰다. 평형화 끝 무렵에, 다음과 같은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조직에 전기장 자극(EFS)을 가하였다: 매 2분 당 10초 트레인과 함께 10V, 10Hz 0.1 ms 펄스 폭. 각각의 조직에서, 10 내지 30V 범위에 걸쳐(모든 다른 자극 파라미터는 일정하게 유지됨) 전압 반응 곡선을 그려 정확한 최대 자극을 결정하였다. 이러한 자극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EFS 반응은 1 μM 테트로도톡신 또는 1 μM 아트로핀에 의한 차단으로 확인되는 바와 같이 100% 신경 매개 및 100% 콜린성이다. 그 후, 반응이 재현될 때까지 2분 간격으로 조직을 반복적으로 자극시켰다. 연구 화합물의 첨가 전 20분에 연동 펌프를 중지하고 마지막 10분에 걸쳐 평균 연축 수축을 대조군 반응으로서 기록하였다. 연구 화합물을 조직 욕에 첨가하고, 각각의 조직은 단일 농도의 화합물을 수용하였고 2시간 동안 평형시켰다. 2시간 후-첨가시에, EFS 반응의 억제를 기록하고 동일한 동물로부터 기관 스트립에 대한 화합물 농도 범위를 사용하여 IC50 곡선을 생성시켰다. 그 후, 조직을 빠르게 세척하고 크렙스 용액에 의해 1 ml/분 관류를 재확립하였다. 조직을 추가로 16시간 동안 자극하고 EFS 반응 회복을 기록하였다. 16시간의 끝 무렵에, 10 μM 히스타민을 욕에 첨가하여 조직 생존력을 확인하였다. 길항제의 정확한 최대 농도(시험된 농도는 반응 > 70% 억제이지만 100% 미만으로 주어짐)를 IC50 곡선 및 이 농도를 수용한 조직에서 계산된 유도된 억제의 25% 회복까지의 시간(T25)으로부터 확인하였다. 전형적으로, 화합물은 n = 2 내지 5로 시험되어 작용 기간을 평가하였다.

Claims (11)

  1. 5-[3-(3-하이드록시페녹시)아제티딘-1-일]-5-메틸-2,2-다이페닐-헥산아마이드의 염산염.
  2. 5-[3-(3-하이드록시페녹시)아제티딘-1-일]-5-메틸-2,2-다이페닐-헥산아마이드의 염산염의 비용매화된 결정질 형태.
  3. 제 2 항에 있어서,
    Cu Kα1 방사선을 사용하여 측정시(파장 = 1.5406 Å) 2-쎄타 각도로 표현되는 하기 표의 주요 X-선 회절 패턴 피크를 특징으로 하는 X-선 회절 패턴을 갖는 화합물:
    2-쎄타 각도 (± 0.1°) 9.1 11.2 13.7 18.3 19.7
  4. 적어도 효과량의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유도된 형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이의 유도된 형태 또는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만성 또는 급성 기관지수축, 만성 기관지염, 소 기도 폐색, 및 폐기종;
    · 모든 유형, 병인 또는 발병기전의 폐색성 또는 염증성 기도 질환, 특히 만성 호산구성 폐렴, 만성 폐색성 폐 질환(COPD), 만성 기관지염, 폐기종 또는 COPD와 관련되거나 관련되지 않은 호흡곤란증을 포함한 COPD, 비가역 진행성 기도 폐색을 특징으로 하는 COPD, 성인 호흡 곤란 증후군(ARDS), 다른 약물 치료에 따른 결과인 기도 과반응의 악화 및 폐동맥 고혈압과 관련된 기도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폐색성 또는 염증성 기도 질환;
    · 모든 유형, 병인 또는 발병기전의 기관지염, 특히 급성 기관지염, 급성 후두기관 기관지염, 아라키드성 기관지염, 카타르 기관지염, 크룹 기관지염, 건성 기관지염, 감염성 천식 기관지염, 습성 기관지염, 포도상구균 또는 연쇄구균 기관지염, 및 폐포 기관지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기관지염;
    · 모든 유형, 병인 또는 발병기전의 천식, 특히 아토피성 천식, 비-아토피성 천식, 알러지성 천식, 아토피성 기관지 IgE-매개 천식, 기관지 천식, 본태성 천식, 진성 천식, 병리생리학적 장애를 원인으로 하는 내인성 천식, 외부 인자를 원인으로 하는 외인성 천식, 원인 불명 또는 불분명의 본태성 천식, 기관지염 천식, 기종성 천식, 운동 유발성 천식, 알러지 항원 유발성 천식, 찬공기 유발성 천식, 직업성 천식, 박테리아, 진균, 원충 또는 바이러스 감염을 원인으로 하는 감염성 천식, 비-알러지성 천식, 초기 천식, 유아 천명 증후군(wheezy infant syndrome) 및 세기관지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천식;
    · 급성 폐 손상; 및
    · 모든 유형, 병인 또는 발병기전의 기관지확장증, 특히 원통형 기관지확장증, 낭상(sacculated) 기관지확장증, 방추형(fusiform) 기관지확장증, 모세혈관 기관지확장증, 낭종(cystic) 기관지확장증, 건성 기관지확장증 및 난포(follicular) 기관지확장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관지확장증
    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질병, 장애 또는 증상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이의 유도된 형태 또는 조성물.
  7. M3 길항제 활성을 갖는 약물의 제조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이의 유도된 형태 또는 조성물의 용도.
  8. 제 6 항에 기재된 군 중에서 선택된 질병, 장애 또는 증상의 치료를 위한 약물의 제조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이의 유도된 형태 또는 조성물의 용도.
  9. 효과량의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이의 유도된 형태 또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을 치료함을 포함하는, M3 길 항제에 의한 상기 포유동물의 치료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질병, 장애 또는 증상이 제 7 항에 기재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유도된 형태와
    (a) 5-리폭시게나제(5-LO) 억제제 또는 5-리폭시게나제 활성화 단백질(FLAP) 길항제,
    (b) LTB4, LTC4, LTD4 및 LTE4의 길항제를 비롯한 류코트라이엔 길항제(LTRA),
    (c) H1 및 H3 길항제를 비롯한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
    (d) 충혈제거제 용도를 위한 α1- 및 α2-아드레날린 수용체 작용제 혈관수축신경 교감신경유사작용제,
    (e) 속효성 또는 지속성 β2 작용제,
    (f) PDE 억제제, 예컨대 PDE3, PDE4 및 PDE5 억제제,
    (g) 테오필린,
    (h) 나트륨 크로모글리케이트,
    (i) 비선택적 및 선택적 COX-1 또는 COX-2 억제제(NSAID)를 비롯한 COX 억제 제,
    (j) 경구 및 흡입 글루코코르티코스테로이드,
    (k) 내인성 염증 실체에 대해 활성인 단클론 항체,
    (l) 항종양 괴사 인자(항-TNF-α) 제제,
    (m) VLA-4 길항제를 비롯한 부착 분자 억제제,
    (n) 키닌-B1- 및 B2-수용체 길항제,
    (o) 면역억제제,
    (p)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MMP)의 억제제,
    (q) 타키키닌 NK1, NK2 및 NK3 수용체 길항제,
    (r) 엘라스타제 억제제,
    (s) 아데노신 A2a 수용체 작용제,
    (t) 유로키나제의 억제제,
    (u) 도파민 수용체에 작용하는 화합물, 예컨대 D2 작용제,
    (v) NFκB 경로의 조절제, 예컨대 IKK 억제제,
    (w) 사이토카인 신호 경로의 조절제, 예컨대 p38 MAP 키나제 또는 syk 키나제,
    (x) 점액용해제 또는 진해제로서 분류될 수 있는 제제,
    (y) 항생제,
    (z) HDAC 억제제,
    (aa) PI3 키나제 억제제, 및
    (bb) CXCR2 길항제
    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치료제와의 조합물.
KR1020097019239A 2007-03-16 2008-03-06 5-[3-(3-하이드록시페녹시)아제티딘-1-일]-5-메틸-2,2-다이페닐-헥산아마이드의 염산염 KR1011202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9516307P 2007-03-16 2007-03-16
US60/895,163 2007-03-16
PCT/IB2008/000622 WO2008135819A1 (en) 2007-03-16 2008-03-06 Hydrochloride salt of 5-[3-(3-hydroxyphenoxy)azetidin-1-yl]-5-methyl-2,2- diphenylhexanami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944A true KR20090110944A (ko) 2009-10-23
KR101120227B1 KR101120227B1 (ko) 2012-03-20

Family

ID=39591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9239A KR101120227B1 (ko) 2007-03-16 2008-03-06 5-[3-(3-하이드록시페녹시)아제티딘-1-일]-5-메틸-2,2-다이페닐-헥산아마이드의 염산염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1) US8263583B2 (ko)
EP (1) EP2125714B1 (ko)
JP (1) JP4277051B2 (ko)
KR (1) KR101120227B1 (ko)
CN (2) CN101641327A (ko)
AR (1) AR065714A1 (ko)
AT (1) ATE512132T1 (ko)
AU (1) AU2008247095B2 (ko)
BR (1) BRPI0808413A2 (ko)
CA (1) CA2678683C (ko)
CY (1) CY1111701T1 (ko)
DK (1) DK2125714T3 (ko)
ES (1) ES2364727T3 (ko)
HK (1) HK1189591A1 (ko)
IL (1) IL200403A (ko)
MX (1) MX2009009952A (ko)
NZ (1) NZ579056A (ko)
PL (1) PL2125714T3 (ko)
PT (1) PT2125714E (ko)
RU (1) RU2422439C2 (ko)
SI (1) SI2125714T1 (ko)
TW (1) TWI348907B (ko)
WO (1) WO2008135819A1 (ko)
ZA (1) ZA2009064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12674A (zh) 2009-11-23 2012-10-03 帕拉丁科技公司 黑皮质素-1受体-特异性的线性肽
EA021897B1 (ru) 2009-11-23 2015-09-30 Палатин Текнолоджиз, Инк. Циклические пептиды, специфичные к рецептору меланокортина-1
EP2578570A1 (en) 2011-10-07 2013-04-10 Almirall, S.A. Novel process for preparing 5-(2-{[6-(2,2-difluoro-2-phenylethoxy)hexyl]amino}-1(r)-hydroxyethyl)-8-hydroxyquinolin-2(1h)-one via novel intermediates of synthesis.
EP2641900A1 (en) 2012-03-20 2013-09-25 Almirall, S.A. Novel polymorphic Crystal forms of 5-(2-{[6-(2,2-difluoro-2-phenylethoxy) hexyl]amino}-1-(R)-hydroxyethyl)-8-hydroxyquinolin-2(1h)-one, heminapadisylate as agonist of the ß2 adrenergic receptor.
EP3596046A1 (en) 2017-03-15 2020-01-22 Mylan Laboratories Ltd. Novel polymorphs of (5-[3-(3-hydroxyphenoxy)azetidin-1-yl]-5-methyl-2,2-diphenylhexanamide hydrochloride
CN114732910A (zh) 2017-10-05 2022-07-12 弗尔康医疗公司 P38激酶抑制剂降低dux4和下游基因表达以用于治疗fshd
US10342786B2 (en) 2017-10-05 2019-07-09 Fulcrum Therapeutics, Inc. P38 kinase inhibitors reduce DUX4 and downstream gene expression for the treatment of FSHD
WO2020261160A1 (en) * 2019-06-25 2020-12-30 Mylan Laboratories Limited Methods and intermediates for preparing hydrochloride salt of 5-[3-(3-hydroxyphenoxy)azetidin-1-yl]-5-methyl-2,2-diphenylhexanamide
WO2021260441A1 (en) * 2020-06-26 2021-12-30 Mylan Pharma Uk Limited Formulations including 5-[3-(3-hydroxyphenoxy)azetidin-1-yl]-5-methyl-2,2-diphenylhexanamide
CN113577059B (zh) * 2021-08-02 2022-05-20 山东大学齐鲁医院(青岛) 一种用于小儿哮喘的活性药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720518T2 (de) * 1996-12-02 2004-02-26 Kyorin Pharmaceutical Co., Ltd. Neue derivate von n-substituierten pyrrolidin derivaten und deren herstellungsverfahren
JPH11100366A (ja) 1997-09-29 1999-04-13 Kyorin Pharmaceut Co Ltd 新規n−置換環状アミン誘導体及びその製造法
CN101268046B (zh) * 2005-09-21 2012-07-25 辉瑞有限公司 作为毒蕈碱性受体拮抗剂的碳酰胺衍生物
US20100160279A1 (en) * 2006-09-22 2010-06-24 Pfizer Inc Azetidine Derivatives as Muscarinic Receptor Antagonis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8247095A1 (en) 2008-11-13
RU2422439C2 (ru) 2011-06-27
KR101120227B1 (ko) 2012-03-20
BRPI0808413A2 (pt) 2014-07-15
US8263583B2 (en) 2012-09-11
MX2009009952A (es) 2009-10-08
AR065714A1 (es) 2009-06-24
IL200403A0 (en) 2010-04-29
PL2125714T3 (pl) 2011-10-31
WO2008135819A1 (en) 2008-11-13
EP2125714B1 (en) 2011-06-08
ES2364727T3 (es) 2011-09-13
PT2125714E (pt) 2011-07-14
TWI348907B (en) 2011-09-21
JP2009001543A (ja) 2009-01-08
TW200904408A (en) 2009-02-01
RU2009134512A (ru) 2011-03-20
IL200403A (en) 2014-08-31
CN103351367B (zh) 2015-06-10
CN101641327A (zh) 2010-02-03
EP2125714A1 (en) 2009-12-02
CA2678683A1 (en) 2008-11-13
ZA200906462B (en) 2010-06-30
JP4277051B2 (ja) 2009-06-10
CY1111701T1 (el) 2015-10-07
AU2008247095B2 (en) 2012-12-13
NZ579056A (en) 2011-07-29
CA2678683C (en) 2012-05-15
WO2008135819A8 (en) 2009-08-27
CN103351367A (zh) 2013-10-16
ATE512132T1 (de) 2011-06-15
US20100113409A1 (en) 2010-05-06
HK1189591A1 (en) 2014-06-13
DK2125714T3 (da) 2011-07-25
SI2125714T1 (sl) 201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0227B1 (ko) 5-[3-(3-하이드록시페녹시)아제티딘-1-일]-5-메틸-2,2-다이페닐-헥산아마이드의 염산염
JP4490911B2 (ja) β−2アゴニストとしてのインドール誘導体
US7915303B2 (en) Glycopyrronium salts and their therapeutic use
KR100976909B1 (ko) 무스카린 수용체 길항제로서의 카르복스아미드 유도체
RU2193557C2 (ru) Бензоциклогептатиофеновые соединения, способы профилактики или лечения,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JP2010505810A (ja) アドレナリン作動薬およびムスカリン拮抗薬としてのスルホンアミド誘導体
NL1030405C2 (nl) L-tartraatzout van N-1-adamantyl-2-{3-[(2R)-2-({(2R)-2-hydroxy-2-[4-hydroxy-3-(hydroxy- methyl)fenyl)ethyl}amino)propyl)fenyl}aceetamide.
JP6030120B2 (ja) Cns障害の治療におけるジベンゾチアゼピン誘導体およびその使用
US6448282B1 (en) 1H-4(5)-substituted imidazole derivatives
KR20110017452A (ko) 무스칼린 수용체 길항제로서 활성인 신규한 화합물
EP3697788B1 (en) Bis(pentahydroxyhexyl)amino substituted 2-{[(3-amino-pyrazin-2-yl)formamido]methyl}-1h-1,3-benzodiazol-3-ium derivatives as enac inhibitors for treating respiratory diseases
US20110253133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administration of oxybutynin
TW201139375A (en) Hydrochloride salt of biphenyl-2-yl-carbamic acid 1-{9-[(3-fluoro-4-hydroxy-benzoyl)-methyl-amino]-nonyl}-piperidin-4-yl ester
KR20140122281A (ko) 숙시네이트 염의 결정질 형태
WO1997000068A1 (fr) Inhibiteur de l&#39;opacification corneenne
WO2001007023A2 (en) Azetidine compounds in cns and eye diseases
JPH0314568A (ja) ピリミジン類及びその薬学的に許容される塩類
RU2628082C2 (ru) Хинуклидиновые эфиры 1-азагетероциклилуксусной кислоты в качестве антимускариновых средств,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и их лекарственные композиц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