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8491A - 교체식 충격 흡수형 장치 - Google Patents

교체식 충격 흡수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8491A
KR20090108491A KR1020080033937A KR20080033937A KR20090108491A KR 20090108491 A KR20090108491 A KR 20090108491A KR 1020080033937 A KR1020080033937 A KR 1020080033937A KR 20080033937 A KR20080033937 A KR 20080033937A KR 20090108491 A KR20090108491 A KR 20090108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rubber
fastening
shock absorbing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3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8863B1 (ko
Inventor
정종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화
Priority to KR1020080033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8863B1/ko
Publication of KR20090108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8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6Fen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체식 충격 흡수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선박이 선착장의 저반시설인 콘크리트 옹벽에 접촉시 선박의 파손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나사집(210)과 나사집(210)의 타측에 체결되는 앵커(220)로 구성되어, 옹벽(100)에 형성된 끼움홈(110) 내측에 설치되는 나사체결부(200)와; 제1 체결홀(311)이 형성된 끼움프레임(310)과, 끼움프레임(310)의 레그 끝단이 일측면에 고정되고 제2 체결홀(321)이 형성된 체결패널(320)로 구성되는 나사고정부(300)와; 하부가 나사고정부(300)의 체결패널(320)을 둘러싸고 제3 체결홀(401)이 형성된 고무방현재(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선박이 옹벽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끼움프레임, 체결패널, 나사고정부, 나사체결부, 고무방현재, 옹벽

Description

교체식 충격 흡수형 장치{Apparatus for absorbing impacts and being possible change}
본 발명은 교체식 충격 흡수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착장 옹벽에 선박이 직접적으로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러한 옹벽에 설치되어 교체가 가능한 교체식 충격 흡수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구에 정박하는 선박은 하구의 저반시설인 선착장에 인접하여 머무르게 되는데, 이러한 선박이 콘크리트 옹벽과 같은 시설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고무방현재가 그 옹벽에 설치되지만, 기존의 옹벽에 설치되는 고무방현재는 선박과의 잦은 접촉으로 인해 마모됨에 따라 이의 설치시 사용된 앵커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파손되기 때문에 방현재의 고정이 불안정해지고 선박의 상측이 옹벽에 접촉하게 되는 등 방현재로써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되며, 심지어 앵커와 옹벽간에 유격이 발생되어 옹벽 자체를 파손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고무방현재가 선박과 충돌할 시에도 앵커가 파손될 확률이 적고 마모로 인해 고무방현재를 때에도 편리한 구조를 갖는 교체식 충격 흡수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항구에 정박하는 선박을 보호하기 위해 선착장의 콘크리트 옹벽에 설치되는 충격 흡수장치로서, 나사가 일측에 체결되는 나사집과 상기 나사집의 타측에 체결되는 ㄱ자형 앵커로 구성되어, 옹벽에 형성된 ㄷ자형 끼움홈 내측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나사체결부와; 상기 끼움홈과 동일한 외주면을 갖고 상기 나사집이 설치된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나사집의 내주면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제1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는 ㄷ자형 끼움프레임과, 상기 끼움프레임의 레그 끝단이 일측면에 고정되고 제1 체결홀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여 제1 체결홀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큰 직경을 갖는 제2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패널로 구성되는 나사고정부와; 하부가 상부보다 더 넓고 모서리가 라운딩처리된 형상으로, 하부가 상기 나사고정부의 체결패널을 둘러싸고 제2 체결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체결홀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큰 직경을 갖는 제3 체결홀이 형성되고 양측으로 충격흡수홀이 형성된 고무방현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또한, 상기 고무방현재의 충격흡수홀에는 양측으로 복수개의 완충홀이 형성된 고무보강재가 끼움삽입되고, 상기 나사고정부의 체결패널에는 고무가 틈새사이로 충전되도록 복수개의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무보강재에는 상기 고무방현재의 제3 체결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메꿈홀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고정부의 끼움프레임 내측부터 고무방현재의 제3 체결홀까지 고무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체식 충격 흡수형 장치는 고무방현재를 옹벽에 형성된 끼움홈의 나사체결부를 통해 고정시킴으로써 선박과 방현재가 충돌할 시에도 앵커가 파손되지 않고, 방현재 자체의 마모로 인한 이의 교체시에도 나사결합 또는 해제하는 방식으로 손쉽게 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체식 충격 흡수형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체식 충격 흡수형 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체식 충격 흡수형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 명에 따른 교체식 충격 흡수형 장치 중 고무보강재와 고무방현재의 결합원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체식 충격 흡수형 장치를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체식 충격 흡수형 장치의 설치원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체식 충격 흡수형 장치를 도시한 절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체식 충격 흡수형 장치 중 체결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체식 충격 흡수형 장치는 기본적으로 나사집(210) 및 앵커(220)로 구성되는 나사체결부(200)와, 끼움프레임(310) 및 체결패널(320)로 구성되어 나사체결부(200)에 고정되는 나사고정부(300)와, 하부가 나사고정부(300)의 체결패널(320)을 둘러싸는 고무방현재(400)로 구성된다.
상기 나사체결부(200)는 항구의 선착장과 같은 콘크리트 옹벽(100) 내측에 설치되는 부분으로, 나사가 일측에 체결되는 나사집(210)과, 그 나사집(210)의 타측에 체결되는 앵커(220)로 구성되어 옹벽(100)에 형성된 ㄷ자형 끼움홈(110) 내측에 설치되는데, 나사집(210)의 일면이 끼움홈(110)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하여 나사고정부(300)를 나사로 고정시킬 수 있고 앵커(220)는 나사집(210)으로부터 연장되는 끝단이 ㄱ자형이나 홈이 형성된 원판형 등으로 형성되어 옹벽(100) 타설시 그 내측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나사고정부(300)는 나사체결부(200)에 나사로 고정되는 부분으로, 끼움 홈(110)과 동일한 외주면을 갖고 나사집(210)이 설치된 위치에 대응하여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집(210)의 내주면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제1 체결홀(311)이 형성된 끼움프레임(310)과, 끼움프레임(310)의 레그 끝단이 일측면에 고정되고 제1 체결홀(311)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여 나사가 관통되도록 제1 체결홀(311)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큰 직경을 갖는 제2 체결홀(321)이 형성된 체결패널(320)로 구성되는데, 끼움홈(110)이 ㄱ자형으로 형성된 경우 끼움프레임(310) 또한 ㄱ자형으로 형성되고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그에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체결홀(321)은 나사가 고정되는 부분이 아니라 관통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나사고정부(30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제1 체결홀(311)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으로, 나사고정부(300)의 체결패널(320)에 복수개의 고정홀(322)을 형성하여, 이러한 고정홀(322)에 고무방현재(400)의 고무가 충전되도록 하여 나사고정부(300)와 고무방현재(400) 간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고무방현재(400)는 그 하부가 나사고정부(300)의 체결패널(320)을 둘러싸도록 나사고정부(300)의 체결패널(320)과 함께 압출성형되는 부분으로, 하부가 상부보다 더 넓고 모서리가 라운딩처리된 형상이고 제2 체결홀(410)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체결홀(410)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큰 직경을 갖는 제3 체결홀(401)이 형성되고 양측으로는 길이방향에 따라 충격흡수홀(402)이 형성되어 있어 선박과의 충돌시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무방현재(400)의 충격흡수홀(402)에는 양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완충홀(501)이 형성된 고무보강재(500)가 끼움삽입될 수 있고, 이러한 고무보강재(500)에 형성된 완충홀(501)이 많을수록 충격흡수홀(402)에 고무보강재(500)를 외력으로 끼움삽입하는 것이 편리하게 된다. 완충홀(501)의 형상은 고무보강재(500)의 형상과 동일할 수도 있고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원통형상일 수 있다. 또한, 고무방현재(400)의 제3 체결홀(401)과 대응하는 위치에 고무보강재(500)상에 메꿈홀(502)을 형성하여 고무방현재(400)로 삽입하는 경우, 나사고정부(300)를 나사체결부(200)에 고정시킨 다음 나사고정부(300)의 끼움프레임(310) 내측부터 고무방현재(400)의 상측 제3 체결홀(401)까지의 빈공간에 고무나 우레탄과 같은 재료를 충전시킴으로써, 추가적인 충격흡수 효과를 도모함과 동시에 나사고정부(300)의 끼움프레임(310)이 선박의 충돌과 같은 외력에 의해 옹벽(100)의 끼움홈(110) 사이에서 이격되는 현상을 방지하는데 일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체식 충격 흡수형 장치의 설치순서를 살펴보면, 콘크리트 옹벽(100)을 타설할 시에 끼움홈(110)을 형성하고 이에 나사체결부(200)를 배치한 다음, 고무방현재(400)의 하측 내부에 체결패널(320)이 배치된 나사고정부(300)를 끼움홈(110)의 나사체결부(200)에 소켓 렌치를 사용하여 나사로 고정시킨다. 고무보강재(500)에 메꿈홀(502)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상기된 순서에 따르나, 메꿈홀(502)이 형성된 고무보강재(500)를 사용하는 경우, 고무보강재(500)를 고무방현재(400)에 삽입한 후에 나사고정부(300)를 끼움홈(110)의 나사체결부(200)에 고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나사고정부(300)의 끼움프레임(310)부터 고무방현재(400)의 상측 제3 체결홀(401)까지 고무나 우레탄으로 충전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체식 충격 흡수형 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체식 충격 흡수형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체식 충격 흡수형 장치 중 고무보강재와 고무방현재의 결합원리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체식 충격 흡수형 장치를 도시한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체식 충격 흡수형 장치의 설치원리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체식 충격 흡수형 장치를 도시한 절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체식 충격 흡수형 장치 중 체결패널을 도시한 도면.

Claims (4)

  1. 항구에 정박하는 선박을 보호하기 위해 선착장의 콘크리트 옹벽(100)에 설치되는 충격 흡수장치에 있어서,
    나사가 일측에 체결되는 나사집(210)과 상기 나사집(210)의 타측에 체결되는 ㄱ자형 앵커(220)로 구성되어, 옹벽(100)에 형성된 ㄷ자형 끼움홈(110) 내측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나사체결부(200)와;
    상기 끼움홈(110)과 동일한 외주면을 갖고 상기 나사집(210)이 설치된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나사집(210)의 내주면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제1 체결홀(311)이 형성되어 있는 ㄷ자형 끼움프레임(310)과, 상기 끼움프레임(310)의 레그 끝단이 일측면에 고정되고 제1 체결홀(311)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여 제1 체결홀(311)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큰 직경을 갖는 제2 체결홀(321)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패널(320)로 구성되는 나사고정부(300)와;
    하부가 상부보다 더 넓고 모서리가 라운딩처리된 형상으로, 하부가 상기 나사고정부(300)의 체결패널(320)을 둘러싸고 제2 체결홀(410)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체결홀(410)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큰 직경을 갖는 제3 체결홀(401)이 형성되고 양측으로 충격흡수홀(402)이 형성된 고무방현재(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식 충격 흡수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무방현재(400)의 충격흡수홀(402)에는 양측으로 복수개의 완충홀(501)이 형성된 고무보강재(500)가 끼움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식 충격 흡수형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나사고정부(300)의 체결패널(320)에는 고무가 틈새사이로 충전되도록 복수개의 고정홀(3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식 충격 흡수형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무보강재(500)에는 상기 고무방현재(400)의 제3 체결홀(401)에 대응하는 위치에 메꿈홀(502)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고정부(300)의 끼움프레임(310) 내측부터 고무방현재(400)의 제3 체결홀(401)까지 고무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식 충격 흡수형 장치.
KR1020080033937A 2008-04-11 2008-04-11 교체식 충격 흡수형 장치 KR100968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937A KR100968863B1 (ko) 2008-04-11 2008-04-11 교체식 충격 흡수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937A KR100968863B1 (ko) 2008-04-11 2008-04-11 교체식 충격 흡수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8491A true KR20090108491A (ko) 2009-10-15
KR100968863B1 KR100968863B1 (ko) 2010-07-09

Family

ID=41551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3937A KR100968863B1 (ko) 2008-04-11 2008-04-11 교체식 충격 흡수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8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289B1 (ko) * 2013-02-06 2013-09-27 일진인터내셔날 (주) 방충재 설치용 앵커 및 이를 포함하는 방충재 설치구조
CN104099901A (zh) * 2013-04-11 2014-10-15 上海船舶运输科学研究所 波流力消减型桥墩防撞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248B1 (ko) 2010-07-02 2010-12-22 인천항만공사 착탈식 방충재 고정장치
CN104179153B (zh) * 2014-08-21 2016-03-09 大连理工大学 船舶停靠平台伸臂式可滑动防撞连接装置
CN111851418B (zh) * 2020-05-27 2021-11-30 江苏西尔特橡胶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快速安装的滑移式橡胶护舷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541B2 (ja) 1986-03-14 1995-04-0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防舷材
JP2000352023A (ja) 1999-06-09 2000-12-19 Meiji Rubber & Chem Co Ltd 可動性柱状構造体
KR20030056798A (ko) * 2001-12-28 2003-07-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포토레지스트 패턴 형성 방법
KR20030078441A (ko) * 2002-03-29 2003-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온주입장치
KR200356798Y1 (ko) 2004-03-29 2004-07-21 (주)엠앤알테크 선박용 충격흡수재
KR200378441Y1 (ko) 2004-12-31 2005-03-14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선박 접안용 방충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289B1 (ko) * 2013-02-06 2013-09-27 일진인터내셔날 (주) 방충재 설치용 앵커 및 이를 포함하는 방충재 설치구조
CN104099901A (zh) * 2013-04-11 2014-10-15 上海船舶运输科学研究所 波流力消减型桥墩防撞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8863B1 (ko) 2010-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8863B1 (ko) 교체식 충격 흡수형 장치
KR101312289B1 (ko) 방충재 설치용 앵커 및 이를 포함하는 방충재 설치구조
CN104314051A (zh) 一种系泊缓冲防船撞系统
KR200426203Y1 (ko) 항만용 모서리 보강패널
KR102081297B1 (ko) 교량용 교좌장치
KR100705283B1 (ko) 해저케이블 보호용 매트리스
KR100649105B1 (ko) 항만 부두의 접안시설에 설치되는 충격흡수용 방현재
CN204418069U (zh) 蜂窝式柔性防船撞套箱
KR20110006476U (ko) 브레이커의 장볼트에 결합된 너트의 풀림 방지구조
KR100959408B1 (ko) 선박 보호용 충격흡수장치
KR200469589Y1 (ko) 선박 펜더용 체인 연결장치
KR100819450B1 (ko)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KR102253637B1 (ko) 선박의 충격 방지 장치
KR200403169Y1 (ko) 부두용 모서리보호구
KR200403573Y1 (ko) 항만 구조물용 완충구조
CN202122782U (zh) 推车式灭火器
KR101223748B1 (ko) 차량진입방지대
KR200318134Y1 (ko) 도로 터널 입구 구조물 보호용 완충블록
KR100590823B1 (ko)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방호구조물
KR200485970Y1 (ko) 선저플러그 파손방지장치
CN213683476U (zh) 一种落地护栏
KR101135504B1 (ko) 항만용 차막이 경계블록
KR100701807B1 (ko) 부두용 모서리보호구
KR20170000268U (ko) 선저플러그 파손방지장치
KR102126075B1 (ko) 풀림 및 도난 방지 기능을 갖는 앙카볼트용 보호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