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7947A - 공중케이블 설비의 운반 로프용 지지 장치 및 지지 장치를 가압하는 운반 로프를 점검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공중케이블 설비의 운반 로프용 지지 장치 및 지지 장치를 가압하는 운반 로프를 점검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7947A
KR20090107947A KR1020090030327A KR20090030327A KR20090107947A KR 20090107947 A KR20090107947 A KR 20090107947A KR 1020090030327 A KR1020090030327 A KR 1020090030327A KR 20090030327 A KR20090030327 A KR 20090030327A KR 20090107947 A KR20090107947 A KR 20090107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compartment
basic
shoe
sh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0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띠앙 마띠유
쟝 수샬
폴 브룅
Original Assignee
포마갈스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마갈스키 filed Critical 포마갈스키
Priority to KR1020090030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7947A/ko
Publication of KR20090107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79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2Suspension of the load; Guiding means, e.g. wheels; Attaching traction cables
    • B61B12/026Guiding means for deflecting the direction of the cables between the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6Safety devices or measures against cable fra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16Tracks for aerial rope railways with a stationary rope
    • E01B25/18Ropes; Supports, fastening or straining means for ro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공중케이블 설비의 운반 로프 (10) 용 지지 장치는, 운반 로프 (10) 의 일부를 수용하고 공중케이블 설비의 슈 (shoe, 12) 에 놓이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는 운반 로프 (10) 의 방향에서 복수의 기본 구획부 (13i) 로 세분되어 있으며, 각 기본 구획부 (13i) 는, 심 (shim, 14) 을 제거한 후 각 기본 구획부 (13i) 를 운반 로프 (10) 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킬 수 있도록, 슈 (12) 에 접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거가능한 중간 심 (14) 에 놓인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 장치를 가압하는 운반 로프 (10) 를 점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중케이블 설비, 운반 로프용 지지 장치.

Description

공중케이블 설비의 운반 로프용 지지 장치 및 지지 장치를 가압하는 운반 로프를 점검하는 방법{SUPPORT DEVICE FOR A CARRYING ROPE OF A TELEFERIC INSTALLATION AND METHOD FOR CHECKING A CARRYING ROPE PRESSING ON A SUPPORT DEVICE}
본 발명의 제 1 태양은, 운반 로프의 일부를 수용하고 공중케이블 설비의 슈에 놓이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공중케이블 설비의 운반 로프용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은, 제 1 태양에 따른 지지 장치에서 운반 로프를 점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중케이블 설비에 있어서, 카 (car) 는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데, 각각의 라인은 한편으로 카의 중력을 처리 (take up) 하기 위해 터미널들 사이에 고정식으로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운반 로프와, 다른 한편으로 카의 이동에 필요한 힘을 전달하기 위해 고정 커플링 수단에 의해 카가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홀링 로프를 포함한다. 각각의 운반 로프는 힘이 적절히 처리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공중케이블 설비의 슈에 놓인다. 각 슈의 높이에서, 운반 로프의 일부가 일 반적으로 운반 로프의 측방향 유지를 위한 래깅 (lagging) 을 구비하는 지지부 내에 위치되며, 이 지지부는 슈에 적절히 놓인다. 특히 전단에 의한 운반 로프의 손상 위험을 제한하기 위해, 각 지지부는 운반 로프의 방향에서 곡률을 갖는다. 지지부를 따른 곡률반경의 값은 적용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조립이 고정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리 규정에 의하면 모든 운반 로프, 특히 지지부에 의해 수용되는 부분에 대한 정기적인 점검이 요구된다. 상기한 부분 이외의 점검은 접근성의 문제 없이 육안으로 행해질 수 있다. 반면, 슈와 일체를 이루는 지지부에 놓인 부분의 점검은 접촉 구역에의 접근이 불가능하므로 문제가 있다.
공지된 기술은 운반 로프의 단부에 운반 로프의 여분의 길이를 배치하는 것이다. 운반 로프가 슈와 일체를 이루는 지지부를 가압하는 구역을 점검하기 위해서, 여분의 운반 로프는 단지 운반 로프를 지지부로부터 오프셋된 베어링 구역 (bearing zone) 의 위치로 옮기기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그 실행은 운반 로프의 적어도 하나의 여분의 부분이 존재할 것을 요구하며, 이는 번거롭고 귀찮으며 심지어 종종 실행 불가능할 수 있다.
다른 기술은 지지부를 가압하는 운반 로프의 일부를 적절한 호이스팅 (hoisting) 시스템으로 들어올리는 것이다. 그러나, 그 실행은 지지부의 곡률반경, 따라서 운반 로프의 곡률반경이 최소값 (이 최소값 미만에서는, 운반 로프의 호이스팅이 너무 큰 힘을 요구하여 국부적인 손상을 발생시킬 수 있음) 보다 큰 경우에만 행해질 수 있다.
문헌 GB571948 에는, 운반 로프의 일부를 수용하고 운반 로프의 방향에서 복수의 기본 구획부로 세분되어 있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운반 로프의 지지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중심의 기본 구획부는 슈와 일체를 이루는 회전 시브에 놓인다. 로프와 기본 구획부 사이의 마찰 계수가 기본 구획부와 회전 시브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 더 크다. 운반 로프를 따라 움직이는 중량이 슈의 각도 변화를 야기하고, 그 결과 시브의 회전 운동이 이루어져, 운반 로프는 슈와의 관계로 인한 어떠한 마모도 겪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운반 로프의 여분의 길이를 배치해야 함이 없이 운반 로프의 곡률반경이 실질적으로 작은 위치에서 육안 점검을 가능하게 하는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지지부가 운반 로프의 방향에서 복수의 기본 구획부로 세분되어 있으며, 심을 제거한 후 각 기본 구획부를 운반 로프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각 기본 구획부가 슈에 접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거가능한 중간 심에 놓이는 점에서 두드러진다.
슈와 관련 기본 구획부 사이에 끼워 맞춰진 상기한 적어도 하나의 중간 심은 제거가능한 방식으로 끼워 맞춰지는 것이 유리하다. 심을 제거하면, 제 1 단계에서, 기본 구획부를 슈의 방향으로 하강시켜, 운반 로프로부터 멀어지도록 기본 구획부를 이동시킬 수 있고, 그리고 나서 제 2 단계에서, 기본 구획부를 제거할 수 있으며, 이로써 기본 구획부를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운반 로프는 기본 구획부의 높이에서 지지 장치를 가압한 채로 제위치에 그대로 유지되며, 심을 제거하기 전의 기본 구획부와 접촉하는 길이에 걸쳐 운반 로프의 육안 점검이 가능해진다. 지지 장치의 전체 길이에 걸친 운반 로프의 완전한 점검을 위해서는, 단지 이 작업을 모든 기본 구획부에 대해 반복해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각 기본 구획부는 상기 기본 구획부의 호이스 팅 시스템의 보완부에의 커플링 수단을 포함한다. 그러한 커플링 수단에 의하여, 심을 해제하기 위해 호이스팅 시스템에 의해 기본 구획부가 들어올려진 후 심의 제거가 가능하다.
다른 기술적 특징들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 각 기본 구획부가 대응하는 심을 압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나사에 의해 슈에 고정된다,
- 커플링 수단은 기본 구획부의 길이방향 에지에서 개구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노치에 의해 형성된다,
- 각 기본 구획부는 운반 로프의 방향에서 그 구획부의 길이에 걸쳐, 상기 방향에 수직하게 운반 로프의 측방향 유지를 위한 래깅을 구비하고, 상기 래깅은 보완 그루브에 수납되어 있다.
상기한 것처럼,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따른 점검 방법은, 각 기본 구획부에 대해, 하기 일련의 단계를 행하는 것이다:
- 기본 구획부를 호이스팅 시스템의 보완부에 연결하는 단계,
- 기본 구획부 아래에서 심을 미리 해제하기 위해, 호이스팅 시스템을 기본 구획부의 상승 위치로 작동시키는 단계,
- 심을 제거하는 단계,
- 기본 구획부를 운반 로프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키기 위해, 호이스팅 시스템을 기본 구획부의 하강 위치로 작동시키는 단계,
- 기본 구획부와 호이스팅 시스템을 분리하는 단계,
- 기본 구획부를 제거하는 단계,
- 해제된 길이에 걸쳐 운반 로프를 점검하는 단계.
다른 이점 및 특징은, 첨부도면에 도시되고 비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지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에 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3 에서, 공중케이블 설비의 운반 로프 (10) 용 지지 장치는 운반 로프 (10) 의 단부 근방의 일부를 수용하는 지지부 (11) 를 포함하고 있다. 지지부 (11) 는 지지부 (11) 를 가압하는 운반 로프 (10) 의 일부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처리하기 위해 그리고 그 힘을 지면으로 전달하기 위해 공중케이블 설비의 슈 (12) 에 놓여 있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르면, 지지부 (11) 는 운반 로프 (10) 의 방향에서 복수의 기본 구획부 (13a, 13b,… 13i,… 13n) 로 세분된다. 각 기본 구획부 (13i) 는 슈 (12) 에 접촉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심 (14) 에 놓여 있다. 그러므로, 각각의 심 (14) 은 기본 구획부 (13i) 와 슈 (12) 사이에 개재된다. 도시한 특별한 예에서, 3 개의 중간 심 (14) 이 각 기본 구획부 (13i) 와 관련되어 있으며, 운반 로프 (10) 의 방향에서 기본 구획부 (13i) 를 따라 서로 엇갈려 있다. 각각의 중간 심 (14) 은 슈 (12) 에 직접 끼워 맞춰져 있으며, 이들 사이에 어떠한 고정 수단도 제공되지 않는다.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각각의 기본 구획 부 (13i) 가 기본 심 (14) 에 직접 끼워 맞춰져 있으며, 중간 심 (14) 에 대해 어떠한 고정 수단도 사용하지 않는다.
한편, 각각의 기본 구획부 (13i) 는 대응하는 중간 심 (14) 을 압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나사 (15) 에 의해 슈 (12) 에 직접 고정된다. 각각의 고정 나사 (15) 는 베어링 헤드 (16) 및 기다란 보디 (17) 로 구성되고, 이 기다란 보디는 일측에는 베어링 헤드 (16) 가 위치되는 매끄러운 제 1 구획과 베어링 헤드 (16) 의 반대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 2 구획으로 세분된다. 베어링 헤드 (16) 가 기본 구획부 (13i) 의 윗면에 접하게 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제 2 구획이 기본 구획부 (13) 의 두께에 제공된 통로를 통과하여, 슈 (12) 의 윗면에 제공된 나사구멍에 나사결합된다. 수용된 운반 로프 (10) 의 부분에 대해 측방향으로 각 측에 4 개의 고정 나사 (15) 가 2 × 2 로 배치된다. 각 측에서, 2 개의 고정 나사 (15) 는 운반 로프 (10) 의 방향에서 오프셋되어 있다.
지지부 (11) (기본 구획부 (13i) 의 세트를 조립하여 구성됨), 슈 (12) 와 중간 심 (14) 사이의 상기한 상대적인 구성으로 인해, 기본 구획부 (13i) 와 관련된 고정 나사 (15) 를 제거하고 상기 기본 구획부 (13i) 를 올린 후, 기본 구획부 (13i) 아래에 이미 배치된 중간 심 (14) 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한 가능성으로 인해, 각각의 중간 심 (14) 은 어떠한 분해 없이 제거될 수 있는 특성을 갖는다. 주어진 기본 구획부 (13i) 와 관련된 중간 심 (14) 의 세트를 제거하면, 그에 따 라 슈 (12) 의 방향으로 상기 기본 구획부 (13i) 를 내려 운반 로프 (10) 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켜 제거할 수 있다. 그 결과, 기본 구획부 (13i) 를 서로 독립적으로, 특히 인접한 두 구획부 (13i-1, 13i+1) 와는 독립적으로 선택 제거할 수 있다. 각각의 기본 구획부 (13i) 의 제거가능성으로 인해, 상기 구획부 (13i) 를 제거함으로써 그 구획부의 위치에서 운반 로프 (10) 아래에 자유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거된 기본 구획부 (13i) 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에 걸쳐 운반 로프 (10) 아래에 형성된 자유 공간으로 인해, 이 길이에서 운반 로프 (10) 의 육안 점검이 가능하다.
지지부 (11) 의 상기한 사용을 위해, 각각의 기본 구획부 (13i) 는 상기 기본 구획부 (13i) 를 호이스팅하기 위한 호이스팅 시스템 (완전히 나타내지는 않음) 의 보완부에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수단을 포함한다. 예컨대, 커플링 수단은 기본 구획부 (13i) 의 길이방향 에지에서 개구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노치 (18) 에 의해 형성된다. 길이방향 에지는 운반 로프 (10) 의 방향으로 놓인 에지에 대응한다. 설명하는 변형예에서, 중간 구획부 (13i) 는 기본 구획부 (13i) 의 2 개의 길이방향 에지에 2 × 2 로 배치된 4 개의 노치 (18) 를 포함한다.
도 2 를 참조하여 보면, 기본 구획부 (13i) 의 연속 승강을 위해 사용되는 호이스팅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잭 (예컨대, 유압식 잭) 을 포함할 수 있고, 각 각의 잭은 보디 (19), 및 그 보디 (19) 내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 피스톤에 연결된 슬라이딩 로드 (20) 를 포함한다. 예컨대, 호이스팅 시스템은 4 개의 독립된 잭을 포함한다. 그리고, 비제한적인 가능한 변형예에서, 노치 (18) 에 의해 형성된 커플링 수단에의 보완부는, 보디 (19) 가 노치 (18) 에 측방향으로 끼워 맞춰진 후 기본 구획부 (13i) 의 하부를 경유하여 접촉하도록 각각의 보디 (19) 로부터 돌출 배치된 반경방향 림 (21) 에 의해 형성된다. 이 경우, 슬라이딩 로드 (20) 는 그의 자유단을 통해 슈 (12) 를 가압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 2 참조). 대안적인 실시형태 (도시 안 됨) 에서, 보디 (19) 에 대한 로드 (20) 의 상대 이동 동안 보디 (19) 가 슈 (12) 를 가압하도록 설계되는 한편, 반경방향 림 (21) 이 슬라이딩 로드 (20) 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기본 구획부 (13i) 는 운반 로프 (10) 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 그 구획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 운반 로프 (10) 의 측방향 유지를 위한 래깅 (22) 을 구비하고 있다. "측방향"이라는 개념은 운반 로프 (10) 의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대응한다. 래깅 (22) 은 보완 그루브 (23) 에 수납되어 있다. 보완 그루브 (23) 내에서의 측방향 유지용 래깅 (22) 은 운반 로프 (10) 의 방향에서 기본 구획부 (13i) 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보조 고정 나사 (24) 에 의해 고정되며, 각 보조 고정 나사는 그루브 (23) 의 저부에서 개구되어 있는 나사구멍 (25) 에 결합된다.
래깅 (22) 의 외부 형상은 곧은 원기둥 (straight cylinder) 이다. 수학적 정의에 의하면, 원기둥은, 편평한 폐곡선 (closed flat curve) (디렉티브 커브 (directive curve) 라고 함) 을 묘사하며 또한 일정한 방향을 유지하는 가변점 (variable point) 을 지나는 모선 (generating line) 에 의해 규정되는 공간의 표면이다. 곧은 원기둥의 경우, 모선의 방향은 디렉티브 커브의 면에 수직하다. 그러므로, 래깅 (22) 에 적용해보면, 디렉티브 커브는 래깅의 측방향 구획에 대응하고, 모선의 방향은 운반 로프 (10) 의 방향에 평행하다.
운반 로프 (10) 의 측방향 유지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래깅 (22) 의 구획의 윗면 (보완 그루브 (23) 에 반대되는 표면으로 규정됨) 은 측방향에서 중심에 운반 로프 (10) 의 위치결정 그루브 (26) 를 포함한다. 예컨대, 측방향 유지용 래깅 (22) 을 위해 사용되는 재료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이다.
래깅 (22) 을 고정하기 위해 중간 구획부 (13i) 에 제공된 보완 그루브 (23) 는 슈 (12) 가 위치되는 측면이 구부러져 있다. 예컨대, 그루브 (23) 는 분지부 (branch) 가 저부에 수직한 U자형 모선을 갖는 레볼루션 (revolution) 의 표면의 일부이다. 레볼루션의 표면의 수학적 축선과 U자형 모선을 분리하는 반경이 지지부 (11) 의 곡률반경의 로컬 값을 결정하고, 따라서 운반 로프 (10) 의 곡률반경의 로컬 값을 결정한다. 지지부 (11) 를 따른 곡률반경의 값은 적용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따른 점검 방법은 하기 방식으로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지지 장치의 적절한 사용에 해당한다. 지지부 (11) 에 의해 수용된 운반 로프 (10) 의 일부의 점검은 각각의 기본 구획부 (13i) 에 의해 수용된 길이에 서의 운반 로프 (10) 의 연속 점검에 의해 이루어진다.
각각의 기본 구획부 (13i) 의 경우, 정상 작동 구성 (도 4) 으로부터, 제 1 단계에서, 상기 구획부 (13i) 와 관련된 모든 고정 나사 (15) 가 제거되어야 하고, 기본 구획부 (13i) 가 호이스팅 시스템의 보완부에 연결되어야 한다 (도 5). 도시된 예에서 이 연결 작업을 행하기 위해, 잭의 보디 (19) 는, 반경방향 림 (21) 이 기본 구획부 (13i) 아래에, 기본 구획부 (13i) 의 길이방향 에지를 형성하는 2 개의 측방향 윙 (wing) 아래에 위치되어 가압하도록, 노치 (18) 내에 횡방향으로 결합된다. 다음 단계 (도 6) 에서, 이전에, 즉 기본 구획부 (13i) 를 올리기 전에 그 기본 구획부 (13i) 아래에 배치된 중간 심 (14) 을 해제하기 위해, 호이스팅 시스템이 기본 구획부 (13i) 의 상승 위치로 작동된다. 도시된 예에서 이 작업을 행하기 위하여, 슬라이딩 로드 (20) 는, 제 1 단계에서 자유단을 통해 슈 (12) 에 대해 가압하도록, 그리고 나서 제 2 단계에서 슬라이딩 로드 (20) 가 슈 (12) 를 가압할 때 슬라이딩 로드 (20) 에 대한 보디 (19) 의 상대 이동으로 인해 적절한 상승을 야기하도록, 연장된 위치로 작동된다. 다시 도 6 을 참조해 보면, 심 (14) 이 예컨대 측방향으로 제거된다. 다음 단계에서, 기본 구획부 (13i) 를 슈 (12) 를 향해 그리고 운반 로프 (10) 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키기 위해, 호이스팅 시스템이 기본 구획부 (13i) 의 하강 위치로 작동된다. 상기 예에서, 반경 방향 림 (21) 이 더 이상 기본 구획부 (13i) 의 중량을 지지하지 않는 상태가 될 때까지, 슬라이딩 로드 (20) 는 단지 후퇴된 위치로 작동되어야 한다. 그리고, 운반 로프 (10) 는, 적어도, 슈 (12) 상에서 제위치에 그대로 있는 바로 인접한 2 개의 기본 구획부에 지지된다. 그리고 나서, 기본 구획부 (13i) 및 호이스팅 시스템이 분리된다 (도 7). 도시된 예에서 분리 작업을 행하기 위해, 잭의 보디 (19) 가 노치 (18) 로부터 측방향으로 결합 해제된다. 도 8 을 참조하여 보면, 그리고 나서 기본 구획부 (13i) 가 제거된 후 그 구획부 (13i) 의 위치에서 운반 로프 (10) 아래에 자유 공간이 형성되도록, 기본 구획부 (13i) 가 제거된다. 제거된 기본 구획부 (13i) 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에 걸쳐 운반 로프 (10) 아래에 형성된 자유 공간으로 인해, 이 해제된 길이에 걸쳐 운반 로프 (10) 의 육안 점검이 가능하다. 다른 기본 구획부 (13i) 에 접해 있는 길이에 걸쳐 운반 로프 (10) 의 점검을 진행하기 전에, 이전에 제거된 기본 구획부는 상기한 단계들을 역순으로 행함으로써 제위치에 다시 끼워 맞춰져야 한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따른 점검 방법을 행하기 위해, 특정 기본 구획부 (13i) 에 적용하여 앞서 설명한 단계들은 지지부 (11) 를 형성하는 모든 기본 구획부 (13i) 에 대해 반복되어야 한다.
기본 구획부 (13i) 의 개수는 적용에 따라, 특히 운반 로프 (10) 의 방향에서의 지지부 (11) 의 길이에 따라 그리고 호이스팅 시스템이 설계하기 위한 최대 중량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운반 로프 (10) 의 국부적인 손상 위험을 제한하기 위해, 충분한 개수의 기본 구획부 (13i) 를 선택하여 각각의 기본 구획부 (13i) 를 들어올릴 때 요구되는 호이스팅력을 줄이도록 하는 것은 명백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지지 장치를 구비한 공중케이블 설비의 일부를 보여준다.
도 2 는 도 1 의 상세도이다.
도 3 은 도 1 및 도 2 의 지지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 은,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따른 점검 방법을 기본 구획부에 행할 때의 연속적인 단계를 보여준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운반 로프 11 지지부
12 슈 13a, 13b,… 13i,… 13n 기본 구획부
14 심 15 고정 나사
18 노치 22 래깅

Claims (6)

  1. 운반 로프 (10) 의 일부를 수용하고 공중케이블 설비의 슈 (12) 에 놓이는 지지부 (11) 를 포함하는 공중케이블 설비의 운반 로프 (10) 용 지지 장치로서, 상기 지지부 (11) 는 운반 로프 (10) 의 방향에서 복수의 기본 구획부 (13i) 로 세분되어 있는 상기 지지 장치에 있어서, 심 (14) 을 제거한 후 각 기본 구획부 (13i) 를 운반 로프 (10) 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각 기본 구획부 (13i) 가 슈 (12) 에 접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거가능한 중간 심 (14) 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케이블 설비의 운반 로프 (10) 용 지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각 기본 구획부 (13i) 는 대응하는 심 (14) 을 압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나사 (15) 에 의해 슈 (12) 에 단단히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케이블 설비의 운반 로프 (10) 용 지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각 기본 구획부 (13i) 는, 상기 기본 구획부 (13i) 를 호이스팅하기 위한 호이스팅 시스템의 보완부에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케이블 설비의 운반 로프 (10) 용 지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수단은 기본 구획부 (13i) 의 길이방향 에지에서 개구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노치 (18) 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케이블 설비의 운반 로프 (10) 용 지지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기본 구획부 (13i) 는, 운반 로프 (10) 의 방향에서 그 구획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 상기 방향에 수직인 운반 로프 (10) 의 측방향 유지를 위한 래깅 (22) 을 구비하고, 상기 래깅 (22) 은 보완 그루브 (23) 에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케이블 설비의 운반 로프 (10) 용 지지 장치.
  6. 제 1 항에 따른 공중케이블 설비의 운반 로프 (10) 용 지지 장치에 접해 있는 운반 로프 (10) 의 점검 방법에 있어서, 각 기본 구획부 (13i) 에 대해, 하기 일련의 단계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로프 (10) 의 점검 방법:
    - 기본 구획부 (13i) 를 호이스팅 시스템의 보완부에 연결하는 단계,
    - 기본 구획부 (13i) 아래에서 심 (14) 을 미리 해제하기 위해, 호이스팅 시스템을 기본 구획부 (13i) 의 상승 위치로 작동시키는 단계,
    - 심 (14) 을 제거하는 단계,
    - 기본 구획부 (13i) 를 운반 로프 (10) 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키기 위 해, 호이스팅 시스템을 기본 구획부 (13i) 의 하강 위치로 작동시키는 단계,
    - 기본 구획부 (13i) 와 호이스팅 시스템을 분리하는 단계,
    - 기본 구획부 (13i) 를 제거하는 단계, 및
    - 해제된 길이에 걸쳐 운반 로프 (10) 를 점검하는 단계.
KR1020090030327A 2008-04-10 2009-04-08 공중케이블 설비의 운반 로프용 지지 장치 및 지지 장치를 가압하는 운반 로프를 점검하는 방법 KR200901079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327A KR20090107947A (ko) 2008-04-10 2009-04-08 공중케이블 설비의 운반 로프용 지지 장치 및 지지 장치를 가압하는 운반 로프를 점검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801973 2008-04-10
KR1020090030327A KR20090107947A (ko) 2008-04-10 2009-04-08 공중케이블 설비의 운반 로프용 지지 장치 및 지지 장치를 가압하는 운반 로프를 점검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7947A true KR20090107947A (ko) 2009-10-14

Family

ID=41551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0327A KR20090107947A (ko) 2008-04-10 2009-04-08 공중케이블 설비의 운반 로프용 지지 장치 및 지지 장치를 가압하는 운반 로프를 점검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79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131A (ko) * 2016-10-17 2018-04-25 포마 케이블웨이 설비의 운반 케이블의 재위치결정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131A (ko) * 2016-10-17 2018-04-25 포마 케이블웨이 설비의 운반 케이블의 재위치결정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6596B2 (en) Elevator refurbishing method
CN107651546A (zh) 立井主提升绳更换工艺
US7419136B2 (en) Cable pulling device
US10746240B2 (en) Trolley for supporting a heavy vehicle brake assembly
KR20090107947A (ko) 공중케이블 설비의 운반 로프용 지지 장치 및 지지 장치를 가압하는 운반 로프를 점검하는 방법
CN106441961B (zh) 一种起锚绞盘负载试验系统
CN100488860C (zh) 起重机吊具平移装置
CN105173937A (zh) 一种电梯超载保护装置的检测仪及检测方法
EP3626671B1 (en) Bottom block assembly
CN109775544B (zh) 多绳摩擦提升机天轮衬块更换方法
CA2659136A1 (en) Support device for a carrying rope of a teleferic installation and method for checking a carrying rope pressing on a support device
CN211283463U (zh) 一种滑移调整提升装置
CN214359979U (zh) 一种电梯的吊索制动锁紧装置
US20090189131A1 (en) Hoisting device of a rope section having a lifting element with two shells assembled by sliding
CN102381650A (zh) 起升卷筒压绳装置
CN107621421B (zh) 侧向导轨与垂向加载油缸的压剪试验机
CN212532049U (zh) 压缩站检维修装置
CN106698231B (zh) 一种提升机断链保护装置
JP5496374B1 (ja) シーブ抜き取り装置
CN218931501U (zh) 起重机铝合金走台板结构
CN217350302U (zh) 电梯曳引绳张力自动调节及报警装置
CN211230401U (zh) 用于游梁式抽油机的轨道式调偏装置
CN215595312U (zh) 一种液压自动翻盖机构
CN111601768B (zh) 起重机的框架结构
CN107014596A (zh) 一种拖缆机试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