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7804A -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승강장치 - Google Patents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7804A
KR20090107804A KR1020080033277A KR20080033277A KR20090107804A KR 20090107804 A KR20090107804 A KR 20090107804A KR 1020080033277 A KR1020080033277 A KR 1020080033277A KR 20080033277 A KR20080033277 A KR 20080033277A KR 20090107804 A KR20090107804 A KR 20090107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lower mold
lifter
base materia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3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8787B1 (ko
Inventor
곽미리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3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8787B1/ko
Publication of KR20090107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7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8Dies with different parts for several steps in a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3Positi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형홀더(10)에 설치된 백킹플레이트(12)에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하형리테이너(30)와, 상기 하형리테이너(30)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리프터(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리프터(40)에는 가이드구(44)가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구(44)는 상기 하형리테이너(30)에 설치된 고정스트리퍼(36)의 가이드공(36')에 삽입된 상태로 리프터(40)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리프터(40)는 하형리테이너(30)가 리프터(40)의 승강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고정스트리퍼(36)의 가이드공(36')에 안내되어 직선 경로를 따라 일정하게 승강될 수 있어 모재(P)를 다이 상에 보다 정확하게 안착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모재(P)가 정확하게 가공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Figure P1020080033277
프로그레시브 금형, 리프터, 가이드구

Description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승강장치{Apparatus for moving up and down of material for progressive mold}
본 발명은 프로그레시브 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을 통해 가공되는 모재를 다이로부터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장치가 구비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에 관한 것이다.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는 폭에 비해 길이가 긴 띠 모양의 작업물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순차적으로 가공을 수행하여 원하는 제품을 만들게 된다. 즉,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각각의 위치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된 다이와 펀치의 쌍에서 각각의 가공이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제품이 만들어진다.
여기서, 상기 다이에는 작업물이 얹어지고, 상기 펀치는 다이에 얹어진 작업물을 타격하여 작업물의 일부를 제거하거나 절곡하여 원하는 형상의 제품을 만들어나간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고정측에는 하형홀더(1)가 설치되고, 상기 하형홀더(1)에는 하형리테이너(2)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형홀더(1)와 상기 하형리테이너(2)에는 백킹플레이트(1')가 설치된다.
상기 하형리테이너(2)에는 다이(2')가 설치된다. 상기 다이(2')는 아래에서 설명될 절곡펀치(6)과 협력하여 모재(P)를 절곡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하형리테이너(2)와 이에 설치된 다이(2')는 상기 백킹플레이트(1') 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는 상기 모재(P)를 절곡하는 과정에서 절곡공정에 의해 줄어드는 모재(P)의 길이를 보상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하형리테이너(2)에는 리프터가 설치된다. 상기 리프터는 상기 모재(P)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일측이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모재(P)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게 된다. 상기 리프터는 후술할 상형리테이너(4)에 설치된 가동펀치(미도시)에 의해 눌려지면서 하강하여 상기 모재(P)를 상기 다이(2')에 안착시키게 된다.
상기 하형홀더(1)의 타측에는 상형홀더(3)가 설치된다. 상기 상형홀더(3)는 상기 하형홀더(1)와 상대이동하면서 모재(P)를 가공하게 된다. 상기 상형홀더(3)에는 상형리테이너(4)가 설치되고, 상기 상형리테이너(4)에는 한 쌍의 절곡펀치(6)가 설치된다. 상기 절곡펀치(6)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모재(P)를 절곡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절곡펀치(6)는 펀치케이스(5)에 의해 감싸지고, 상기 절곡펀치(6) 사이에는 탄성부재(8)가 설치되어 두 절곡펀치(6)에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프로그레시브 금형에 의해 모재(P)가 가공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모재(P)는 도면을 중심으로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가공된다. 즉 상기 모재(P)는 상기 하형리테이너(2)을 이동하면서 가공되는데, 상기 모재(P)가 상기 하형리테이너(2) 상의 적절한 위치까지 이동되면, 상기 상형홀더(3)가 하형홀더(1)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가동펀치가 리프터를 눌러 모재(P)를 다이(2') 상에 안착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상형홀더(3)가 하형홀더(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형리테이너(4)에 설치된 파일럿핀(도시되지 않음)이 모재(P)의 파일럿공에 삽입되어 모재(P)를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절곡펀치(6)가가 모재(P)를 타격하여 절곡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모재(P)의 절곡과 함께 상기 하형리테이너(2)와 다이(2')는 상기 하형리테이너(1') 상에서 이동된다. 즉, 상기 모재(P)가 절곡공정에 의해 그 전체길이가 줄어들게 되므로, 하형리테이너(2)가 이동하면서 줄어드는 모재(P)의 양을 미리 보상하여 절곡펀치(6)에 의해 모재(P)에 가해지는 장력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리프터는 상기 모재(P)를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모재(P)를 다이(2') 상에 안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리프터가 상기 모재(P)를 상기 다이(2')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시키도록 일정한 직선경로를 따라 승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이는 상기 모재(P)가 상기 다이(2')상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어야 절곡펀치(6)에 의해 정확하게 성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하형리테이너(2)는 상기 모재(P)의 가공과정에서 상기 백킹플레이트(1') 상을 이동하게 되므로, 그 과정에서 상기 하형리테이너(2)에 설치된 리프터가 정확하게 승강하지 못하고 어느 일측으로 어긋날 염려가 있다. 이는 상기 리프터가 상기 하형리테이너(2)의 이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승강되기 때문에 더욱 쉽게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리프터가 승강과정에서 어느 일측으로 틀어질 경우에는 모재(P)가 상기 다이(2') 상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지 못하고, 결과적으로 모재(P)의 정확한 성형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하형리테이너(2)는 상기 백킹플레이트(1') 상을 반복적으로 이동하므로, 하형리테이너(2)와 백킹플레이트(1') 사이에서는 마찰이 발생하게 하게 되고, 이러한 마찰은 하형리테이너(2) 또는 백킹플레이트(1')의 마모를 유발하므로, 하형리테이너(2) 백킹플레이트(1') 사이의 마찰을 줄일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재를 승강시키는 리프터의 일측에 가이드블록을 구비하여 고정스트리퍼에 의해 리프터의 승강이 안내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대이동하는 하형리테이너와 백킹플레이트 사이의 마찰을 줄이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형리테이너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하형홀더와, 상기 하형홀더의 상방에 구비되어 상기 하형홀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모재를 절곡하기 위한 절곡펀치가 설치되는 상형리테이너가 구비되는 상형홀더와, 상기 하형리테이너에 상기 하형홀더와 상형홀더의 상대이동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모재를 승강시키는 리프터와, 상기 하형리테이너에 설치되어 상기 리프터에 상기 상형홀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하형리테이너에 설치되어 모재를 안내하고 상기 리프터의 승강방향으로 가이드공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고정스트리퍼와, 일단은 상기 리프터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스트리퍼의 가이드공에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리프터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구와, 상기 상형리테이너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구를 선택적으로 눌러 상기 리프터를 하형홀더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푸시펀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구는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리프터에 나사체결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고정스트리퍼의 가이드공에 삽입되는 안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구의 안내부의 길이는 상기 리프터의 이동거리보다 같거나 길게 형성된다.
상기 푸시펀치 및 상기 가이드구의 안내부의 외경은 상기 고정스트리퍼의 가이드공의 내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형홀더에는 상기 하형리테이너 사이에는 백킹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백킹플레이트에는 상기 하형리테이너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이 구비된다.
상기 상형리테이너가 안착되는 상기 백킹플레이트의 표면에는 요입채널이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의 요입채널에는 윤활유가 도포된다.
상기 요입채널의 횡단면은 반원형상으로 형성되고, 동시에 상기 상형리테이너를 향한 상기 백킹플레이트의 표면에 격자무늬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승강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모재를 승강시키는 리프터에 가이드구가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구는 하형리테이너에 설치되는 고정스트리퍼의 가이드공에 삽입된 상태로 리프터 와 함께 승강된다. 이에 따라, 상기 리프터는 하형리테이너가 리프터의 승강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고정스트리퍼의 가이드공에 안내되어 직선 경로를 따라 일정하게 승강될 수 있어 모재를 다이 상에 보다 정확하게 안착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모재가 정확하게 가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하형리테이너가 안착되는 백킹플레이트의 표면에 요입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요입채널에는 윤활유가 도포되어 하형리테이너와 백킹플레이트 사이의 마찰이 줄어들어 부품의 마모가 방지되는 효과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승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승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형측의 일부 구성이 평면도 및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이드구 및 백킹플레이트의 구성이 각각 사시도 및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때, 도 2는 하형리테이너에서 고정스트리퍼가 제거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이미 한번 절곡된 모재를 다시 한번 절곡시켜주는 어드저스트(adjust)공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고정측에는 하형홀더(10)가 설치된다. 그리고,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하형홀더(10)에는 백킹플레이트(12)가 설치되고, 상기 백킹플레이트(12)에는 하형리테이너(30)가 설치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백킹플레이트(12)와 하형리테이너(30) 사이에는 별도 의 리테이너백킹(18)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리테이너백킹(18)은 상기 하형리테이너(30)에 고정된다. 물론, 상기 백킹플레이트(12)는 상기 하형리테이너(30)와 일체로 되거나 또는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하형리테이너(30)는 상기 백킹플레이트(12) 상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하형리테이너(30)는 도 2를 중심으로 보았을 때 좌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백킹플레이트(12)에는 가이드레일(15)이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양측에 구비되어, 그 사이에 상기 하형리테이너(30)와 리테이너백킹(18)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백킹플레이트(12)에는 설치홈(12b)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홈(12b)은 상기 가이드레일(15)을 고정하기 위한 일종의 홈으로, 상기 하형리테이너(30)를 향하는 상기 백킹플레이트(12)의 표면(12a)에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12)의 표면(12a)에는 요입채널(12c)이 형성된다. 상기 요입채널(12c)은 상기 백킹플레이트(12)의 표면(12a)이 요입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리테이너백킹(18)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일종의 빈 공간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요입채널(12c)은 상기 백킹플레이트(12)의 표면(12a)에 반원형상의 횡단면을 갖도록 요입되어 길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요입채널(12c)은 상기 백킹플레이트(12)와 리테이너백킹(18)사이의 접촉면적을 줄여, 둘 사이의 마찰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요입채널(12c)에는 윤활유가 도포된다. 상기 윤활유는 상기 백킹플레이트(12)와 리테이너백킹(18) 사이의 마찰을 보다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요입채널(12c)은 도 6에서 보듯이 격자무늬로 형성되어 상기 윤활유가 백킹플레이트(12)의 표면(12a)에 보다 골고루 도포될 수 있도록 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형리테이너(30)에는 리프터포켓(31)이 형성된다. 상기 리프터포켓(31)은 아래에서 설명될 리프터(40)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도 3에서 보듯이, 상형리테이너(65)를 향하는 하형리테이너(30)의 외면이 리프터(4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일부 요입되어 형성된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하형리테이너(30)의 일측에는 경사면(35)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35)은 상기 하형리테이너(30)의 가장자리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면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가동펀치의 가이드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형리테이너(30)의 일측에는 가동스프링(S1)이 설치된다. 상기 가동스프링(S1)은 상기 하형리테이너(30)가 도 2의 화살표①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하여 가동펀치가 하형리테이너(30)를 이동시킨 후에, 하형리테이너(30)가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형리테이너(30)에는 고정스트리퍼(36)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스트리퍼(36)는 상형리테이너(65)를 향하는 상기 하형리테이너(30)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모재(P)의 이동을 안내하고, 절곡펀치가 모재(P)를 타격한 후에 모재(P)가 절곡펀치에 딸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스트리퍼(36)에는 가이드공(36')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공(36') 은 상기 하형홀더 및 상형홀더의 상대이동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가이드구(44)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하형리테이너(30)에는 모재(P)가 안착되는 다이(37)가 구비된다. 상기 다이(37)는 그 상면에 모재(P)가 안착된 상태에서 절곡펀치(도시되지 않음)와 협력하여 모재(P)를 가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형리테이너(30)에는 리프터(40)가 설치된다. 상기 리프터(40)는 상기 모재(P)를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상형홀더와 하형홀더의 상대이동방향으로 이동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리프터(40)의 외관 및 골격은 리프터몸체(41)가 형성한다. 상기 리프터몸체(41)는 도 3에서 보듯이 대략 'L'자 형상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그 표면(41')에 상기 모재(P)가 안착된다.
상기 리프터몸체(41)에는 체결공(42)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42)은 아래에서 설명될 가이드구(44)의 체결부(45)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체결공(42)의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가이드구(44)의 체결부(45)와 나사체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프터몸체(41)의 체결공(42)에는 가이드구(44)가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구(44)는 상기 리프터(40)의 이동이 정확한 직선경로를 따라 이루어지도록 리프터(40)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4에서 보듯이, 대략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구(44)는 상기 리프터몸체(41)의 체결공(42)에 체결되는 체결 부(45)와 상기 고정스트리퍼(36)의 가이드공(36')에 삽입되는 안내부(46)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부(45)는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리프터몸체(41)의 체결공(42)에 나사체결된다.
상기 안내부(46)는 상기 고정스트리퍼(36)의 가이드공(36')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된다. 즉, 상기 안내부(46)는 상기 가이드공(36')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그 길이(h)가 상기 리프터몸체(41)의 이동거리(H)보다 길게 형성되어 리프터몸체(41)가 도 3에서 보듯이 완전히 하강한 상태에서도 가이드공(36')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형홀더(60) 측을 설명하면, 상기 상형홀더(60)는 상기 하형홀더(10)의 타측에 설치되어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상기 하형홀더(10)와 상대이동한다. 이때, 상기 상형홀더(60)에는 백킹플레이트(61)와 상형리테이너(65)가 설치된다. 상기 상형리테이너(65)와 백킹플레이트(61) 사이에는 리테이너백킹(62)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백킹플레이트(61)에는 가이드레일(66)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66)은 상기 상형리테이너(65)이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상형리테이너(65)에는 가동펀치와 절곡펀치가 설치된다. 상기 가동펀치는 상기 하형리테이너(30)의 경사면(35)을 눌러 상기 하형리테이너(30)가 하형홀더(10) 및 상형홀더(60)의 상대이동방향과 직교한 방향, 보다 정확하게는 모재(P)의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도 2의 화살표①' 방향). 그리고, 상기 절곡펀치는 서로 상대이동하면서 상기 모재(P)를 절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형리테이너(65)에는 푸시펀치(70)가 설치된다. 상기 푸시펀치(70)는 상기 리프터(40), 보다 정확하게는 리프터몸체(41)에 결합된 상기 가이드구(44)를 눌러 상기 탄성부재(S2)에 의해 상승된 리프터(40)를 하형홀더 방향으로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푸시펀치(70)는 상기 고정스트리퍼(36)의 가이드공(36')을 통해 노출된 상기 가이드구(44)의 안내부(46) 상면을 누르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푸시펀치(70)의 외경은 상기 고정스트리퍼(36)의 가이드공(36')의 내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레시브금형의 모재 승강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a 및 도 7b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리프터가 승강되는 모습이 동작상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모재(P)는 하형리테이너(30) 상을 이동하면서 순차적으로 가공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2를 참조하여 보았을 때,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가공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모재(P)는 탄성부재(S2)에 의해 상형홀더(60) 방향으로 상승된 리프터(40)에 의해 다이(37)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리프터(40)는 상기 하형리테이너(30)에 설치된 고정스트리퍼(36)에 걸어져 그 상승되는 높이가 제한되므로, 상기 모재(P)는 다이(37)로부터 일정한 높이만큼 상승된 상태 로 이동된다.
상기 모재(P)가 상기 하형리테이너(30)의 다이(37) 상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상형홀더(60)가 상기 하형홀더(10)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상형홀더(60)에 설치된 푸시펀치(70)가 하강하면서 리프터(40)를 눌러주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리프터(40)에 안착되어 있던 상기 모재(P)는 리프터(40)를 따라 하강하여 상기 다이(37) 상에 안착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푸시펀치(70)가 상기 고정스트리퍼(36)의 가이드공(36')을 통해 상승된 가이드구(44)의 안내부(46)를 눌러 상기 가이드구(44)에 결합된 리프터(40)를 눌러주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상형홀더(60)에 설치된 파일럿펀치(도시되지 않음)가 하강하면서 상기 모재(P)의 파일럿공을 통과하여 모재(P)가 상기 다이(37) 상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상형홀더(60)가 계속 하강하게 되면, 상기 상형리테이너(65)에 설치된 가동펀치가 상기 하형리테이너(30)의 일측을 밀어 하형리테이너(30)를 이동시키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가동펀치가 상기 하형리테이너(30)를 모재(P)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는 절곡펀치에 의해 모재(P)가 절곡되면서 그 길이가 짧아지는 것을 고려하여 이를 미리 보상해주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형홀더(60)가 계속하여 하강하면, 절곡펀치가 모재(P)의 양측을 눌러 모제(P)가 절곡된 상태를 다시 한번 확실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리프터(40)는 상기 가이드구(44)가 상기 고정스트리퍼(36)의 가 이드공(36')에 삽입된 상태로 승강하게 되므로, 상기 하형리테이너(30)가 상기 리프터(40)의 승강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어느 일측으로 어긋나지 않고 일정한 직선경로로 승강될 수 있어 모재(P)가 다이(37) 상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상형홀더(60)는 상승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이에 함께 상기 리프터(40)의 가이드구(44)를 누르고 있던 푸시펀치(70)가 상승하게 되어, 상기 리프터(40)는 상기 상형홀더 방향으로 상승된다. 이는 상기 리프터(40)의 일측에 상기 탄성부재(S2)가 계속하여 탄성력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리프터(40)가 상승되면 상기 모재(P)가 함께 상승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모재(P)는 한 피치만큼 이동되어 다음 공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공정이 반복되더라도, 상기 하형리테이너(30)에 결합된 리테이너백킹(18)과 상기 백킹플레이트(12) 사이의 마찰은 백킹플레이트(12)의 요입채널(12c)(12c)에 의해 어느 정도 감소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요입채널(12c)에 의해 리테이너백킹(18)과 상기 백킹플레이트(12) 사이의 접촉면적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특히, 상기 요입채널(12c)(12c)에는 윤활유가 도포되므로, 리테이너백킹(18)과 상기 백킹플레이트(12)가 더욱 부드럽게 상대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상기 리테이너백킹(18)은 반드시 구비될 필요는 없으며, 상기 하형리테이너(30)가 직접 상기 백킹플레이트(12)와 접한 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구(44)는 상기 리프터(40)에 나사체결되지 않고, 압입을 통해 고정되거나 또는 별도의 체결구나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은 모재를 절곡하기 위한 일반적인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승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형측의 일부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Ⅱ-Ⅱ' 선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이드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백킹플레이트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도 5의 Ⅴ-Ⅴ' 선에 대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리프터가 상승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형홀더 12: 백킹플레이트
18: 리테이너백킹 30: 하형리테이너
36: 고정스트리퍼 36': 가이드공
37: 다이 40: 리프터
41: 리프터몸체 42: 체결공
44: 가이드구 45: 체결부
46: 안내부 60: 상형홀더
61: 백킹플레이트 62: 리테이너백킹
65: 상형리테이너 70: 푸시펀치

Claims (8)

  1. 하형리테이너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하형홀더와,
    상기 하형홀더의 상방에 구비되어 상기 하형홀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모재를 절곡하기 위한 절곡펀치가 설치되는 상형리테이너가 구비되는 상형홀더와,
    상기 하형리테이너에 상기 하형홀더와 상형홀더의 상대이동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모재를 승강시키는 리프터와,
    상기 하형리테이너에 설치되어 상기 리프터에 상기 상형홀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하형리테이너에 설치되어 모재를 안내하고 상기 리프터의 승강방향으로 가이드공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고정스트리퍼와,
    일단은 상기 리프터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스트리퍼의 가이드공에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리프터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구와,
    상기 상형리테이너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구를 선택적으로 눌러 상기 리프터를 하형홀더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푸시펀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승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구는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리프터에 나사체결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고정스트리퍼의 가이드공에 삽입되는 안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승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구의 안내부의 길이는 상기 리프터의 이동거리보다 같거나 길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승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펀치 및 상기 가이드구의 안내부의 외경은 상기 고정스트리퍼의 가이드공의 내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승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형홀더와 상기 하형리테이너 사이에는 백킹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백킹플레이트에는 상기 하형리테이너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승강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리테이너가 안착되 는 상기 백킹플레이트의 표면에는 요입채널이 요입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승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백킹플레이트의 요입채널에는 윤활유가 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승강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채널의 횡단면은 반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형리테이너를 향한 상기 백킹플레이트의 표면에 격자무늬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승강장치.
KR1020080033277A 2008-04-10 2008-04-10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승강장치 KR100988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277A KR100988787B1 (ko) 2008-04-10 2008-04-10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277A KR100988787B1 (ko) 2008-04-10 2008-04-10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7804A true KR20090107804A (ko) 2009-10-14
KR100988787B1 KR100988787B1 (ko) 2010-10-20

Family

ID=41551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3277A KR100988787B1 (ko) 2008-04-10 2008-04-10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87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599B1 (ko) * 2010-07-20 2012-04-19 삼일테크(주) 과부하 및 편심하중 방지를 위한 미캐니컬식 프레스쿠션장치
CN102886445A (zh) * 2012-09-18 2013-01-23 芜湖市续元工贸有限公司 用于冲孔加工模具的安装支架
CN106694711A (zh) * 2016-12-13 2017-05-24 苏州和林微纳科技有限公司 高稳定性的超高速冲压模具及其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1923A (ja) * 1987-10-05 1989-04-11 Fujitsu Ltd 順送りプレス金型
JP2739104B2 (ja) * 1994-10-18 1998-04-08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プレス加工装置
KR20000017098U (ko) * 1999-02-13 2000-09-25 밍 루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리프팅 구조
KR100894158B1 (ko) 2007-08-27 2009-04-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승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599B1 (ko) * 2010-07-20 2012-04-19 삼일테크(주) 과부하 및 편심하중 방지를 위한 미캐니컬식 프레스쿠션장치
CN102886445A (zh) * 2012-09-18 2013-01-23 芜湖市续元工贸有限公司 用于冲孔加工模具的安装支架
CN106694711A (zh) * 2016-12-13 2017-05-24 苏州和林微纳科技有限公司 高稳定性的超高速冲压模具及其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8787B1 (ko) 2010-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6072B1 (ko) 프로그레시브금형의 소재안내장치
KR100988787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승강장치
KR20090073833A (ko) 프로그레시브 금형
CN211386578U (zh) 一种一步完成内扣折弯模具
KR940008866A (ko) 프레스 다이
KR100872498B1 (ko) 프레스 가공 장치
JP2012143793A (ja) 搬送ガイド装置
JPH07214202A (ja) プレス加工におけるプレートの送り方法及びその機構
KR101585765B1 (ko) 용접용 지지장치
KR100517370B1 (ko) 스프링백 방지를 위한 벤딩 금형 장치
KR20140141294A (ko) 금속판 벤딩용 금형 및 이를 이용한 벤딩 방법
CN206997567U (zh) 一种多工位冲床的换料装置
KR100823342B1 (ko) 2열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가이드장치
KR100652198B1 (ko) 터미널 스트립 성형장치
KR100970273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절곡장치
KR100838778B1 (ko) 2열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터미널스트립 안내장치
KR101483765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
KR100846853B1 (ko) 모재가이드장치
KR20210089838A (ko) 원가 절감 및 제품정밀도가 향상되는 포밍금형 설계 및 제작방법
KR200445638Y1 (ko) 2열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가이드장치
KR20100002976A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이동식 모재승강장치
KR101394599B1 (ko) 금형 위치 조정이 가능한 프레스 가공장치
KR100894158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승강장치
KR100838779B1 (ko) 2열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터미널스트립 안내장치 및 그방법
KR100727666B1 (ko) 터미널 스트립의 캐리어 조정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