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7354A - 다목적 어스 앵커 브라켓 - Google Patents

다목적 어스 앵커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7354A
KR20090107354A KR1020080032825A KR20080032825A KR20090107354A KR 20090107354 A KR20090107354 A KR 20090107354A KR 1020080032825 A KR1020080032825 A KR 1020080032825A KR 20080032825 A KR20080032825 A KR 20080032825A KR 20090107354 A KR20090107354 A KR 20090107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s
earth anchor
bracket
earth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2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2942B1 (ko
Inventor
손일준
이만기
남석우
Original Assignee
(주) 신기술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신기술산업 filed Critical (주) 신기술산업
Priority to KR1020080032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2942B1/ko
Priority to CN2009801190477A priority patent/CN102046886A/zh
Priority to EP09729651A priority patent/EP2278076A1/en
Priority to MYPI2010004700A priority patent/MY159716A/en
Priority to AU2009234636A priority patent/AU2009234636A1/en
Priority to PCT/KR2009/001605 priority patent/WO2009125935A1/ko
Publication of KR20090107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7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2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2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76Anchorings for bulkheads or sections thereof in as much a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8Ground anchors anchored by using exclusively a bonding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어스 앵커(earth anchor) 공법에 따라 지반에 삽입된 앵커체(anchor body)를 고정하는 어스 앵커 브라켓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어스 앵커브라켓은, 각각 축홀을 구비하며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판; 상기 양 측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양 측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양 측판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축홀에 삽입되는 회전축과 앵커체의 자유장이 인출되는 관통부를 가지는 지압(支壓)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앵커체가 삽입되는 실린더부재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앵커체의 인장각도에 따라 실린더부재의 위치가 자동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종래처럼 작업자가 지압수단의 위치를 일일이 정해야 하는 불편이 해소된다. 또한 제1브라켓유닛과 제2브라켓유닛을 연결하여 하나의 어스 앵커 브라켓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제1브라켓유닛만을 별도로 사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다양한 흙막이 공법에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어스 앵커 브라켓을 사용하면 흙막이 공법에 따라 다른 구조의 어스 앵커 브라켓을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공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어스 앵커 브라켓, 회전축

Description

다목적 어스 앵커 브라켓{Multipurpose earth anchor bracket}
본 발명은 어스 앵커(earth anchor) 공법에 따라 연약지반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반 내에 삽입된 앵커체(anchor body)를 고정하는 어스앵커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지압(支壓)수단의 위치가 앵커체의 인장방향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되는 한편 다양한 흙막이 공법에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어스앵커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건축 현장의 터파기 공사나 기초공사에서 급경사의 굴착공을 형성할 때는 흙막이벽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어스 앵커 공법이 많이 이용된다. 어스 앵커 공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에 엄지말뚝(H-pile)을 박고 지정된 지반을 굴착한 후에 각각의 엄지말뚝 사이에 토류판을 삽입하여 흙막이벽(1)을 형성한다.
이어서 흙막이벽(1)에 소정의 경사각으로 천공을 실시하고, 천공부(2)에 앵 커체(3)를 박은 후에 정착장(fixed anchor length)(Lb)에 대해 1차 그라우팅(grouting)을 실시하여 앵커체(3)를 고정시킨다. 일반적으로 앵커체(3)는 굴착공의 바닥면(6) 모서리와 지반사이에 토질에 따른 설계기준에 의해 가상붕괴선(도면상 점선)을 설정한 후 천공부(2)와 만나는 부분을 기준으로 자유장(free anchor length)(La)과 정착장(Lb)으로 구분되며 통상 1차 그라우팅은 정착장(Lb)에 대해 실시된다.
1차 그라우팅의 양생이 완료되면 앵커체(3)의 자유장(La)에 인장력을 가하여 흙막이벽(1)의 수평보(4)에 설치된 어스 앵커 브라켓(10)에 앵커체(3)를 고정하며, 이를 위해 앵커체(3)의 자유장(La)을 어스 앵커 브라켓(10)에 형성된 관통부를 통과시킨 후에 상기 관통부보다 큰 직경의 콘(5)을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앵커체(3)를 어스 앵커 브라켓(10)에 고정시킨 후에는 천공부(2)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2차 그라우팅을 실시하며, 이를 통해 앵커체(3)의 인장력이 토압에 대항하여 흙막이벽(1)을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어스 앵커 공법에 사용되는 어스 앵커 브라켓은 여러 종류가 있다.
도 2는 종래의 시공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었던 어스 앵커 브라켓(10)을 나타낸 것으로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대략 삼각형상의 2개의 측판(11), 상기 양 측판(11)의 동일 경사변의 상부에 횡설(橫設)되며 앵커체(3)가 인출되는 관통부(12a)를 가지는 지압플레이트(12)를 포함한다.
그런데 앵커체(3)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매우 크기 때문에 이런 형태의 어스 앵커 브라켓(10)을 사용하면 실제 시공과정에서 지압플레이트(12)가 휘어지거나 측판(11)이 변형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또한 종래에는 앵커체(3)의 인장방향과 어스 앵커 브라켓(10)의 기준 인장각도가 일치하지 않아서 어스 앵커 브라켓(10)을 설치할 때 앵커체(3)를 절곡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앵커체를 절곡시키면 정상적인 경우에 비해 더 큰 인장력이 필요하고 이러한 압력을 지탱하기 위해서 어스 앵커 브라켓의 크기나 무게를 증가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760213호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인장각도에 대처하기 위하여 양 측판의 경사변에 톱니를 가진 곡선부를 형성하는 한편 양 측판에 의해 지지되는 실린더에 상기 톱니와 치합하는 걸림턱을 형성한 구조의 어스 앵커 브라켓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수평보에 어스 앵커 브라켓을 거치한 후에 작업자가 인장각도에 맞는 톱니를 선택하여 실린더를 거치시켜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전술한 구조의 어스 앵커 브라켓은 서로 이격된 2개의 수평보에 고정 또는 거치하여 사용하는 것이므로, 수평보를 사용하지 않는 주열식 흙막이벽(continuous pile wall) 공법이나 지하연속벽 공법 등이 적용된 콘크리트 벽체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자가 일일이 설치각도를 조절하지 않아도 앵커체의 인장방향에 따라 자동으로 지압(支壓)수단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는 어스 앵커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흙막이 공법이 다른 다양한 현장에서 앵커체 고정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어스 앵커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어스 앵커(earth anchor) 공법에 따라 지반에 삽입된 앵커체(anchor body)를 고정하는 어스 앵커 브라켓에 있어서, 각각 축홀을 구비하며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판; 상기 양 측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양 측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양 측판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축홀에 결합하는 회전축과 상기 앵커체의 자유장이 인출되는 관통부를 가지는 지압(支壓)수단을 포함하는 어스 앵커 브라켓을 제공한다.
상기 어스 앵커 브라켓에서 상기 지압수단은 양단이 관통된 관통부를 가지는 실린더부재이고, 상기 실린더부재의 외측면에 상기 회전축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 측판은 각각 상단부에 곡선부를 구비하며, 상기 실린더부재의 외측에는 상기 양 측판의 상기 곡선부에 거치되는 곡면을 가지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 측판은 각각, 상기 축홀이 형성된 제1측판;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제1측판에 결합된 제2측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측판과 상기 제2측판은 서로 지그재그 형태로 치합되는 결합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 측판에는 상기 축홀의 주변을 둘러싸는 환형의 보강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 측판의 밑변에는 서로 이격된 제1 베이스 플레이트 및 제2 베이스 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양 측판과 상기 제1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베이스 플레이트의 사이에는 보강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 측판의 밑변에는 고정용앵커를 결합하기 위한 앵커체결홀을 구비하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 축홀을 구비하며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제1측판과, 상기 양 제1측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양 제1측판을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와, 상기 양 제1측판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축홀에 삽입되는 회전축과 앵커체의 자유장이 인출되는 관통부를 가지는 지압(支壓)수단을 포함하는 제1브라켓유닛;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제2측판과, 상기 양 제2측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양 제2측판을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제2브라켓유닛; 상기 제1브라켓유닛과 상기 제2브라켓유닛을 연결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어스 앵커 브라켓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내측에 회전축이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판; 상기 양 측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양 측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양 측판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이 결합하는 축홀과 앵커체의 자유장이 인출되는 관통부를 가지는 지압(支壓)수단을 포함하는 어스 앵커 브라켓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앵커체가 삽입되는 실린더부재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앵커체의 인장각도에 따라 실린더부재의 위치가 자동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종래처럼 작업자가 지압수단의 위치를 일일이 정해야 하는 불편이 해소된다.
또한 제1브라켓유닛과 제2브라켓유닛을 연결하여 하나의 어스 앵커 브라켓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제1브라켓유닛만을 별도로 사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다양한 흙막이 공법에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어스 앵커 브라켓을 사용하면 흙막이 공법의 특성에 맞게 각기 다른 구조의 어스 앵커 브라켓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공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100)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100)은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판(110), 상기 양 측판(110)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양 측판(11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120), 상기 양 측판(110)의 밑변 양단에 서로 이격되어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 베이스 플레이트(130a, 130b), 앵커체의 자유장을 인장하기 위해 상기 양 측판(110)의 사이에 설치되는 실린더부재(140)를 포함한다.
실린더부재(140)는 양단을 관통하는 관통부(141)를 구비하는 한편, 외측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2개의 회전축(150)을 구비한다. 각 회전축(150)은 양 측판(110)에 형성된 축홀(114)에 삽입되며, 따라서 실린더부재(140)는 양 측판(110)에 대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회전축(150)과 실린더부재(140)는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회전축(150)은 원기둥 형태일 수도 있고, 하중을 줄이기 위해서는 원통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도면에는 실린더부재(140)의 평면형상이 사각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어서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실린더부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실린더부재(140)는 앵커체를 인출한 상태에서 인장력을 가하는 지압수단의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그 형상이 반드시 실린더 형상일 필요는 없다. 따라서 앵커체를 인출할 수 있는 관통부(141)와, 측판(110)의 축홀(114)에 결합할 회전축(150)을 가지는 것이라면 다른 형태의 지압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실린더부재(140)에 가해지는 압력을 적절히 분산하고 회전운동을 적절히 가이드 하기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부재(140)의 외측 상단부에는 각 측판(110)의 상단부에 거치하기 위한 걸림턱(142)을 돌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실린더부재(140)가회전축(15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점을 감안하여, 각 측판(110)에서 걸림턱(142)이 접하는 면을 곡선부(113)로 형성하는 한편, 걸림턱(142)의 저면을 상기 곡선부(113)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형성하여야 한다.
실린더부재(140)를 통해 인출된 앵커체에는 수십 톤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므로 이로 인해 측판(110)이 변형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양 측판(110)의 외측 또는 내측에 축홀(114)의 외주를 둘러싸는 환형의 제1보강부재(160)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양 측판(110)의 외측(또는 내측)에는 양 측판(110)과 제1 또는 제2베이스플레이트(130a, 130b)의 사이에 제2보강부재(170)를 설치한다. 도면에는 제1베이스플레이트(130a)와 양 측판(110)의 사이에만 제2보강부재(170)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2플레이트(130b)와 양 측판(110)의 사이에도 동일한 형태의 제2보강부재(170)를 설치할 수 있다.
제2보강부재(170)는 측판(110)에 대해 수직으로 결합되고, 하단부로 갈수록 넓은 폭을 가지는 판재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 및 제2베이스플레이트(130a, 130b)는 양 측판(110)에 가해지는 압력을 수평보 또는 바닥면으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며, 앵커 체결을 위한 앵커체결홀(134)을 구비한다. 상기 앵커체결홀(134)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어스앵커 브라켓(100)을 분리하여 제1브라켓유닛(100a)만을 별도로 사용하는 경우에 제1베이스플레이트(130a)를 흙막이 벽에 고정하는 고정용앵커를 삽입하기 위한 것이다.
제1베이스플레이트(130a)가 실린더부재(140)를 통해 앵커체를 인출하는 것을 방해하여서는 안되므로 제1베이스플레이트(130a)의 길이가 너무 긴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부분에 앵커체 인출을 위한 절개부(131)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제2베이스플레이트(130b)는 설치시에 하부에 위치하는 수평보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으로서, 하부 수평보에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상단부를 절곡하여 형성된 걸림단(132)을 구비한다.
그리고 인장력으로 인해 걸림단(132)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 측판(110)의 밑변에는 상기 걸림단(132)의 외주를 감싸면서 지지하는 보강부(119)를 형성한다.
한편 양 측판(110)은 각각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측판(110)을 제1측판유닛(111)과 제2측판유닛(112)으로 분리 제작한 후 이를 결합하여 구성하였다. 이것은 본 발명의 어스 앵커 브라켓(100)을 다양한 흙막이 공법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사용예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1측판유닛(111)과 제2측판유닛(112)은 외측(또는 내측)에 결합플레이트(180)를 덧붙인 후에 볼트(186) 및 너트(185)를 이용하여 결합한다.
제1측판유닛(111)과 제2측판유닛(112)의 결합력과 내압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제1측판유닛(111)과 제2측판유닛(112)의 결합변을 지그재그 형태로 치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1측판유닛(111)에서 제2측판유닛(112)과 결합하는 변에는 돌출부(116)를 형성하고, 제2측판유닛(112)에서 상기 제1측판유닛(111)과 결합하는 변에는 상기 돌출부(116)와 치합하는 결합홈(117)을 형성한다. 즉, 상기 돌출부(116)와 상기 결합홈(117)을 맞물린 상태에서 결합플레이트(180)를 이용하여 제1측판유닛(111)에서 제2측판유닛(112)을 결합시킨다. 상기 돌출부(116)와 결합홈(117)은 서로 반대쪽에 형성될 수도 있고, 그 개수가 더 많을 수도 있다.
결합플레이트(180)는 제1측판유닛(111)과 제2측판유닛(112)에 각각 볼트로 체결될 수도 있고, 결합플레이트(180)의 일부분은 미리 제2측판유닛(112)에 용접해 두고 타부분만을 제1측판유닛(112)에 볼트로 체결할 수도 있다.
결합플레이트(180)와 제1측판유닛(111)은 각각 볼트체결을 위한 볼트홀(183,118)을 구비한다. 결합플레이트(180)를 제2측판유닛(112)에 용접하는 경우에는 용접편의를 위해 결합플레이트(180)에 용접용 홀(184)을 형성할 수도 있다.
결합플레이트(180)를 제1측판유닛(111)과 제2측판유닛(112)에만 결합할 수도 있으나, 내압 성능을 보다 높이기 위하여 제1측판유닛(111)의 하단부에 결합하는 제1베이스플레이트(130a)에도 결합플레이트(180)를 결합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플레이트(180)를 제1측판유닛(111)과 제2측판유닛(112)에 결합하는 수직플레이트(181)와 상기 수직플레이트(181)의 하단부에서 절곡된 수평플레이트(182)로 구성하고, 상기 수평플레이트(182)를 제1베이스플레이트(130a)에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베이스플레이트(130a)는 수평플레이 트(182)와 결합하기 위한 볼트체결홈(136)을 구비한다.
실린더부재(140)의 회전축(150)이 삽입되는 축홀(114)은 제1측판유닛(111)에 형성한다. 따라서 실린더부재(140)를 개재한 상태에서 연결부재(120)을 이용하여 2개의 제1측판유닛(111)을 결합하고, 각 제1측판유닛(111)의 하단부를 제1베이스플레이트(130a)에 결합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자적으로 사용 가능한 제1브라켓유닛(100a)이 구성된다.
또한 2개의 제2측판유닛(112)를 내측에 연결부재(120)를 개재하여 결합하고, 2개의 제2측판유닛(112)의 하단부를 제2베이스플레이트(130b)에 결합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브라켓유닛(100b)이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플레이트(180)를 제2측판유닛(112)에 용접 등으로 미리 결합해 둘 수도 있다.
도 7은 이러한 제1브라켓유닛(100a)과 제2브라켓유닛(100b)을 결합플레이트(180)로 연결된 어스 앵커 브라켓(100)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흙막이벽(1)의 외부에 서로 이격된 2개의 수평보(4)가 존재하는 경우에, 제2베이스플레이트(130b)의 걸림단(132)을 하부의 수평보(4)에 거치하고, 앵커체(3)의 자유장의 단부를 실린더부재(140)를 통해 인출한 후 인장기(200)를 이용하여 인장한다.
인장력은 실린더부재(140)의 회전축(150)을 통해 양 측판(110)으로 전달되고, 이어서 제1, 2베이스플레이트(130a,130b)에 의해 상부 및 하부 수평보(4)로 분산된다.
이때 실린더부재(140)가 회전축(150)으로 인해 인장방향을 따라 자동으로 정렬되기 때문에 종래처럼 작업자가 일일이 실린더부재나 지압수단의 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도 8a 및 도 8b는 실린더부재(140)가 다양한 각도로 정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어스앵커 브라켓(100)의 제1브라켓유닛(100a)만을 사용하여 앵커체를 고정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것은 주로 수평보가 사용되지 않는 흙막이 공법, 예를 들어 주열식 흙막이벽(continuous pile wall) 공법이나 지하연속벽 공법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즉, 전술한 공법으로 형성된 흙막이벽(W)에 천공을 하여 앵커체(3)를 삽입한 후 정착장에 대하여 그라우팅을 실시하고, 앵커체(3)의 자유장을 제1브라켓유닛(100a)의 실린더부재(140)를 통해 인출하여 고정한다.
이때 고정용앵커(300)를 제1브라켓유닛(100a)의 제1베이스플레이트(130a)에 형성된 앵커체결홀(134)에 삽입하여 제1브라켓유닛(100a)을 흙막이벽(W)에 고정시킨다. 고정용앵커(300)는 흙막이벽(W)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미리 설치해둘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린더부재(140)가 회전축(150)에 의해 회전가능하기 때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체(3)의 인장방향이 달라지더라도 동일한 구조의 제1브라켓유닛(100a)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흙막이벽(W)의 측면에서 앵커체를 삽입하는 어스 앵커 공법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본 발명의 어스 앵커 브라켓(100)의 제1브라켓유닛(100a)을 사용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흙막이벽(W)의 상부에서 지반에 직접 앵커체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면 앵커체(3)를 설치하기 위해 콘크리트 재질의 흙막이벽(W)에 천공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흙막이벽(W)의 차수성(遮水性)이나 강성을 약화시키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앵커체(3)를 지지하는 브라켓을 흙막이벽(W)의 측면에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굴착공 내의 활용공간이 넓어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실린더부재(140)의 외측에 회전축(150)을 돌출 형성하고, 양 측판(110)에 상기 회전축(150)이 삽입되는 축홀(114)을 형성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실린더부재(150)의 양 측에 축홀을 형성하고, 양 측판(110)의 내측에 상기 축홀에 결합하는 회전축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결국 본 발명의 어스 앵커 브라켓(100)은 양 측판(110)에 대하여 지압수단(또는 실린더부재)이 회전축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된 점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어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내지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수정 또는 변형된 실시예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도 1은 어스 앵커 공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방식의 어스 앵커 브라켓의 일 유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의 분해사시도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의 제1브라켓유닛 및 제2브라켓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의 설치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앵커체의 인장방향에 따라 실린더부재의 각도가 달라지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 및 도 10은 각각 제1브라켓유닛의 여러 사용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어스 앵커 브라켓 110: 측판
111: 제1측판 112: 제2측판
114: 축홀 120: 연결부재
130a, 130b: 제1, 제2 베이스플레이트
140: 실린더부재 150: 회전축
160: 제1보강부재 170: 제2보강부재
180: 결합플레이트 200: 인장기

Claims (10)

  1. 어스 앵커(earth anchor) 공법에 따라 지반에 삽입된 앵커체(anchor body)를 고정하는 어스 앵커 브라켓에 있어서,
    각각 축홀을 구비하며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판;
    상기 양 측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양 측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양 측판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축홀에 결합하는 회전축과 상기 앵커체의 자유장이 인출되는 관통부를 가지는 지압(支壓)수단;
    을 포함하는 어스 앵커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수단은 양단이 관통된 관통부를 가지는 실린더부재이고, 상기 실린더부재의 외측면에 상기 회전축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 앵커 브라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 측판은 각각 상단부에 곡선부를 구비하며,
    상기 실린더부재의 외측에는 상기 양 측판의 상기 곡선부에 거치되는 곡면을 가지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 앵커 브라켓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 측판은 각각,
    상기 축홀이 형성된 제1측판;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제1측판에 결합된 제2측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 앵커 브라켓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판과 상기 제2측판은 서로 지그재그 형태로 치합되는 결합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 앵커 브라켓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 측판에는 상기 축홀의 주변을 둘러싸는 환형의 보강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 앵커 브라켓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 측판의 밑변에는 서로 이격된 제1 베이스 플레이트 및 제2 베이스 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양 측판과 상기 제1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베이스 플레이트의 사이에는 보강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 앵커 브라켓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 측판의 밑변에는 흙막이 벽에 고정용앵커를 결합하기 위한 앵커체결홀을 구비하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 앵커 브라켓
  9. 어스 앵커(earth anchor) 공법에 따라 지반에 삽입된 앵커체(anchor body)를 고정하는 어스 앵커 브라켓에 있어서,
    각각 축홀을 구비하며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제1측판과,
    상기 양 제1측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양 제1측판을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와,
    상기 양 제1측판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축홀에 삽입되는 회전축과 상기 앵커체의 자유장이 인출되는 관통부를 가지는 지압(支壓)수단을 포함하는 제1브라켓유닛;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제2측판과,
    상기 양 제2측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양 제2측판을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제2브라켓유닛;
    상기 제1브라켓유닛과 상기 제2브라켓유닛을 연결하는 결합수단;
    을 포함하는 어스 앵커 브라켓
  10. 어스 앵커(earth anchor) 공법에 따라 지반에 삽입된 앵커체(anchor body)를 고정하는 어스 앵커 브라켓에 있어서,
    각각의 내측에 회전축이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판;
    상기 양 측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양 측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양 측판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이 결합하는 축홀과 상기 앵커체의 자유장이 인출되는 관통부를 가지는 지압(支壓)수단;
    을 포함하는 어스 앵커 브라켓
KR1020080032825A 2008-04-08 2008-04-08 다목적 어스 앵커 브라켓 KR100992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825A KR100992942B1 (ko) 2008-04-08 2008-04-08 다목적 어스 앵커 브라켓
CN2009801190477A CN102046886A (zh) 2008-04-08 2009-03-30 多用地锚支架
EP09729651A EP2278076A1 (en) 2008-04-08 2009-03-30 Multi-purpose earth anchor bracket
MYPI2010004700A MY159716A (en) 2008-04-08 2009-03-30 Multipurpose earth anchor bracket
AU2009234636A AU2009234636A1 (en) 2008-04-08 2009-03-30 Multi-purpose earth anchor bracket
PCT/KR2009/001605 WO2009125935A1 (ko) 2008-04-08 2009-03-30 다목적 어스 앵커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825A KR100992942B1 (ko) 2008-04-08 2008-04-08 다목적 어스 앵커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7354A true KR20090107354A (ko) 2009-10-13
KR100992942B1 KR100992942B1 (ko) 2010-11-08

Family

ID=41162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2825A KR100992942B1 (ko) 2008-04-08 2008-04-08 다목적 어스 앵커 브라켓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278076A1 (ko)
KR (1) KR100992942B1 (ko)
CN (1) CN102046886A (ko)
AU (1) AU2009234636A1 (ko)
MY (1) MY159716A (ko)
WO (1) WO200912593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258B1 (ko) * 2010-01-27 2010-06-16 (주)서림건설 어스앵커용 오토앵글브라켓
WO2011096758A2 (ko) * 2010-02-08 2011-08-11 Lee Yun-Jung 앵커 브라켓
KR101965406B1 (ko) * 2018-08-03 2019-04-03 정순국 네일 인발각도 조절이 용이한 네일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네일 시공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966B1 (ko) * 2011-04-13 2013-05-06 김용만 각도조절용 앵커브라켓을 구비한 강연선 인장장치
KR101314275B1 (ko) 2012-08-09 2013-10-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앵커 포켓 구조물 및 그 조립 방법
CN105083743A (zh) * 2015-07-16 2015-11-25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桩腿固定装置
CN107697231B (zh) * 2017-11-03 2023-12-22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适用于无杆锚的万能锚架
CN108331014A (zh) * 2018-04-24 2018-07-27 吉林建筑大学 一种预留加固孔槽的桥区装配式挡墙
NL2022393B1 (nl) * 2019-01-14 2020-08-14 Key Staal B V Samenstel van een keerwand, tenminste twee langwerpige verankeringselementen en een gordingbalk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326B2 (ko) * 1975-01-09 1978-02-16
JP2003105760A (ja) * 2001-09-27 2003-04-09 Kozo Koji Kk 組立式自在アンカー台座
KR100652530B1 (ko) * 2006-03-31 2006-12-04 손일준 어스 앵커 브라켓
KR100760213B1 (ko) * 2006-12-28 2007-09-20 (주) 신기술산업 톱니가 형성된 곡선부를 가지는 어스 앵커 브라켓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258B1 (ko) * 2010-01-27 2010-06-16 (주)서림건설 어스앵커용 오토앵글브라켓
WO2011096758A2 (ko) * 2010-02-08 2011-08-11 Lee Yun-Jung 앵커 브라켓
WO2011096758A3 (ko) * 2010-02-08 2011-12-01 Lee Yun-Jung 앵커 브라켓
KR101965406B1 (ko) * 2018-08-03 2019-04-03 정순국 네일 인발각도 조절이 용이한 네일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네일 시공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9234636A1 (en) 2009-10-15
EP2278076A1 (en) 2011-01-26
CN102046886A (zh) 2011-05-04
KR100992942B1 (ko) 2010-11-08
WO2009125935A1 (ko) 2009-10-15
MY159716A (en) 2017-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2942B1 (ko) 다목적 어스 앵커 브라켓
KR100760213B1 (ko) 톱니가 형성된 곡선부를 가지는 어스 앵커 브라켓
EP2042659B1 (en) Anchor post
KR101242476B1 (ko) 지상구축물의 기초구축 방법 및 기초구축용 부재
CN101310078B (zh) 横撑固定装置
JP2003055984A (ja) 柱脚連結構造
KR101093185B1 (ko) 연속 벽체용 각도 조절 브라켓
JP3479516B2 (ja) 斜面安定工法および斜面安定装置
KR200387412Y1 (ko) 앵커 지지부 내장형 기둥을 가진 앵커지지 흙막이벽체구조물
KR100742221B1 (ko) 가시설용 정착장치
KR100950683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대좌
KR101167687B1 (ko) 태양광 발전 모듈 지지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설비
KR101147334B1 (ko) 어스 앵커 브래킷
KR100899528B1 (ko) 스토퍼를 가지는 어스 앵커 브라켓
KR102476068B1 (ko) 다방향 앵커 고정장치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40039523A (ko) 혁신적 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공법용 정착장치 및 받침대
JP5207882B2 (ja) 擁壁構造、及び擁壁構造の支柱設置方法
KR101004639B1 (ko) 앵커 브라켓
JP2992914B2 (ja) 鋼製地下連続壁の支保工法及び支保構造
KR102307510B1 (ko) 흙막이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공법
JP7177754B2 (ja) 半地下基礎構造物とその補強方法
JP2992915B2 (ja) 地下連続壁の支保工法
KR102560642B1 (ko) 마이크로파일을 이용한 복합파일 및 그 시공방법
KR102225899B1 (ko) 철근 배근의 간격조절과 인장·압축을 동시에 받기 위한 소구경 파일
JP3813781B2 (ja) アンカー装置の設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