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6321A -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보 - Google Patents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6321A
KR20090106321A KR1020080077957A KR20080077957A KR20090106321A KR 20090106321 A KR20090106321 A KR 20090106321A KR 1020080077957 A KR1020080077957 A KR 1020080077957A KR 20080077957 A KR20080077957 A KR 20080077957A KR 20090106321 A KR20090106321 A KR 20090106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screw
wood board
direct
board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7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병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코넷코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코넷코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코넷코코
Priority to KR1020080077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6321A/ko
Publication of KR20090106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63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5/00Screws that cut thread in the body into which they are screwed, e.g. wood screws
    • F16B25/001Screws that cut thread in the body into which they are screwed, e.g. wood screw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body into which the screw is screwed
    • F16B25/0015Screws that cut thread in the body into which they are screwed, e.g. wood screw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body into which the screw is screwed the material being a soft organic material, e.g. wood or plas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5/00Screws that cut thread in the body into which they are screwed, e.g. wood screws
    • F16B25/0036Screws that cut thread in the body into which they are screwed, e.g. wood screws characterised by geometric details of the screw
    • F16B25/0042Screws that cut thread in the body into which they are screwed, e.g. wood screws characterised by geometric details of the screw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f the thread, the thread being a ridge wrapped around the shaft of the screw
    • F16B25/0057Screws that cut thread in the body into which they are screwed, e.g. wood screws characterised by geometric details of the screw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f the thread, the thread being a ridge wrapped around the shaft of the screw the screw having distinct axial zones, e.g. multiple axial thread sections with different pitch or thread cross-sections
    • F16B25/0063Screws that cut thread in the body into which they are screwed, e.g. wood screws characterised by geometric details of the screw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f the thread, the thread being a ridge wrapped around the shaft of the screw the screw having distinct axial zones, e.g. multiple axial thread sections with different pitch or thread cross-sections with a non-threaded portion on the shaft of the scr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5/00Screws that cut thread in the body into which they are screwed, e.g. wood screws
    • F16B25/10Screws performing an additional function to thread-forming, e.g. drill screws or self-piercing screws
    • F16B25/103Screws performing an additional function to thread-forming, e.g. drill screws or self-piercing screws by means of a drilling screw-point, i.e. with a cutting and material removing action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에 별도의 머리부 수용부나 체결구멍을 형성하지 않고서도 다수개의 목재를 연속적으로 적층하거나 체결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에 일정 깊이로 칩 배출홈을 형성하여 절삭칩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고, 드릴부의 외측에도 나사산을 형성하여 쉽게 체결구멍을 형성하면서 목재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는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는, 몸체부(30)와 머리부(10) 사이에 상기 몸체부(30)로부터 외경이 확대되어 상기 머리부(10)와 연속되는 삽입유도부(20)가 형성되고, 상기 드릴부(50)는, 상기 나사부(40)의 외경이 점점 축소되도록 경사지면서 상기 나사부(40)에 형성된 나사산(42)에 연속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40) 및 드릴부(50)에는, 일정 깊이로 칩 배출홈(70)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를 이용한 보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넓은 면이 각각 대응되고 폭방향이 서로 불일치되게 적층되는 제1 목판재(91) 및 제2 목판재(92)와, 상기 제1 목판재(91)와 제2 목판재(92)의 상부로 폭방향이 서로 불일치되게 적층되는 제3 목판재(93)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목판재(91) 및 제2 목판재(92)와 나사결합되는 상기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목재, 스크류, 렌치, 나사산, 골, 드릴, 절삭칩, 보

Description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보{SELF DRILLING SCREW AND CROSSBEAM FOR TIMBER}
본 발명은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재에 별도의 머리부 수용부나 체결구멍을 형성하지 않고서도 다수개의 목재를 연속적으로 적층하거나 체결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에 일정 깊이로 칩 배출홈을 형성하여 절삭칩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고, 드릴부의 외측에도 나사산을 형성하여 쉽게 체결구멍을 형성하면서 목재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는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재나 철판 등에 어떤 고정체를 고정하기 위해 나사못을 많이 사용한다. 이러한 나사못은 일반 못에 비해 견고하게 용이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나사못은, 목재용이나 철판용 등과 같이 그 용도에 따라 구조가 상이하며, 상기 목재용 나사못에서 머리 모양이 육각 또는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것을 육 각머리 목재용 스크류(Hexagon head wood screw) 또는 래그 스크류(lag screw)라 한다.
상기 래그 스크류는, 금속판과 목재 사이에 볼트를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재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서 부재를 관통하여 볼트를 설치하기가 힘든 부위나, 볼트를 설치하고 반대쪽에서 너트를 조여주기가 힘든 부위 또는 전단하중과 함께 못뽑기하중이 작용하는 부위 등에 설치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래그 스크류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의 머리부(10)와, 원통체의 몸통부(30) 및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40)로 형성되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A1)은 ¼인치 ∼ 1¼인치의 범위로, 길이는 1인치 ∼ 16인치의 범위에서 생산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나사부(40)의 길이는 1인치 및 1¼인치 길이를 갖는 래그 스크류에서는 ¾인치 정도이며, 길이가 10인치 이상인 래그 스크류에서는 전체 길이의 절반 이상이 나사부(40)를 이루기도 한다.
이러한 래그 스크류는 망치로 설치해서는 안되며 미리 뚫어진 구멍에 렌치 등으로 회전시켜서 설치하여야 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목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누 등의 윤활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래그 스크류를 설치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체결구멍의 직경 및 깊이는 표 1과 같다.
목재의 비중(G) 몸통을 위한 구멍 나사부를 위한 구멍
직경 및 깊이 직 경(나사외경에 대하여) 깊 이
G > 0.8 몸통의 직경 및 길이와 동일한 직경 및 깊이 0.7 ~ 0.8 나사부의 길이와 동일한 깊이
0.5 < G ≤ 0.6 0.6 ~ 0.7
G ≤ 0.5 0.4 ~ 0.6
한편, 결합하고자 하는 물체에 체결구멍을 만들지 않고, 나사 끝에 있는 드릴이 구멍을 뚫고 결합되는 형태의 직결 스크류(self drilling screw)가 있다.
상기 직결 스크류는 통상 철판용으로 사용되며, 도 7a 및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부(40)의 단부에 드릴부(50)가 형성된 것으로 셀프드릴링 스크류라고도 하며, 영어 약자로 'SDS'라고도 한다. 이러한 직결 스크류는 뚫고자 하는 철판의 두께나 재질에 따라 작업성이 달라지므로 선택에 신중해야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목재용 스크류는 철판용 스크류보다 나사산의 끝이 날카로운 것이 특징이며, 동일 직경의 볼트보다 피치(P)가 크므로 쉽게 구별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래그 스크류나 직결 스크류는 체결을 위해 렌치와 결합하는 머리부(10)가 결합되는 목재의 외부로 돌출되기 때문에 다른 목재를 연속하여 조립하는 경우에는 목재와 다른 목재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목재나 다른 목재에 머리부(1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별도로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 공정수가 늘어나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크류를 회전시키면서 체결시킬 때 절삭되는 목재의 부산물인 절삭칩(chip)이 스크류의 표면에 형성된 절삭홈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야 하지만 절삭칩(chip)이 외부로 쉽게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래그 스크류의 경우에는 나사부(40)를 통한 절삭칩이 몸체부(30)에 막혀 배출되지 못하고, 직결 스크류의 경우에는 절삭칩이 넓적한 머리부에 막히기 때문에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결국 머리부가 목재에 삽입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종래의 스크류는 나사부(40)의 하단에 형성된 드릴부(50)가 나사부외경(A1, A2)보다 작거나 같은 직경으로 체결구멍을 형성한 다음 나사부가 체결되는데, 체결구멍이 너무 작은 경우에는 나사부와의 저항이 커져 결국 큰 부하로 인해 체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체결구멍이 너무 크게 되면 목재의 특성상 쉽게 스크류가 목재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모든 목재용 스크류는, 목재의 특성상 스크류의 체결로 인해 체결부위에 쉽게 크랙이 발생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통상 목재용 못은 길이가 100mm 이상은 거의 생산되지 않고 있으며, 이러한 길이의 못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대부분의 목재에 크랙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크랙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굵은 외경을 갖는 기둥(94)에 결합되는 보(92)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홈(95)을 형성한 후 상기 보(92)를 결합하여 시공하기 때문에 결합력이 저하되고, 쉽게 분해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기둥(94)에 상기 끼움홈(95)을 형성함으로써, 기둥의 외경이 감소하여 강도가 떨어지게 된다. 또한, 이러한 끼움홈(95)의 깊이는 기둥(94)의 외측면으로부터 못(도시되지 않음)을 박을 수 있는 정도까지 형성하기 때문에 더욱 기둥 및 결합의 강도가 떨어지고, 쉽게 분해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목재전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직결 스크류로 목재에 별도의 머리부 수용부나 체결구멍을 형성하지 않고서도 다수개의 목재를 연속적으로 적층하거나 체결할 수 있는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목재의 물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쉽게 체결구멍을 형성하면서 견고하게 목재와 결합될 수 있는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즉,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에 일정 깊이로 칩 배출홈을 형성하여 절삭칩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고, 드릴부의 외측에도 나사산을 형성하여 쉽게 체결구멍을 형성하면서 목재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는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는, 일정 직경을 갖는 원기둥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일측에 렌치 등의 공구와 결합되기 위한 다각형의 머리부와, 상기 몸통부의 타측에 일정 높이의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목재에 구멍을 뚫기 위한 드릴부가 형성된 직결 스크류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0)와 머리부(10) 사이에 상기 몸체부(30)로부터 외경이 확대되어 상기 머리부(10)와 연속되는 삽입유도부(20)가 형성되고, 상기 드릴부(50)는, 상기 나사 부(40)의 외경이 점점 축소되도록 경사지면서 상기 나사부(40)에 형성된 나사산(42)에 연속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40) 및 드릴부(50)에는, 일정 깊이로 칩 배출홈(70)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칩 배출홈(70)은, 상기 칩 배출홈(70)이 형성되지 않은 나사부(40)와 1 대 1의 길이비율로 형성되고, 나사부 외경(R)의 1/2 내지 2/3로 홈 깊이(D)를 형성하며, 홈 너비(W)는 나사부 외경(R)의 1/2 내지 2/3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30)와 나사부(40)는 2 대 1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를 이용한 보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넓은 면이 각각 대응되고 폭방향이 서로 불일치되게 적층되는 제1 목판재(91) 및 제2 목판재(92)와, 상기 제1 목판재(91)와 제2 목판재(92)의 상부로 폭방향이 서로 불일치되게 적층되는 제3 목판재(93)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목판재(91) 및 제2 목판재(92)와 나사결합되는 상기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3 목판재(93)의 상부로 폭방향이 서로 불일치되게 적층되는 제4 목판재(94)와, 상기 제3 목판재(94)와 제3 목판재(93)를 적어도 관통하여 상기 제2 목판재(92)와 나사결합되는 상기 다수의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목판재(91)와 제2 목판재(92) 사이에는 다른 목판재가 더 삽입되고, 이를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는, 다수개의 목재로 적층되어 연결되는 목재벽면을 빈틈없이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드릴부에 비하여 크게 형성된 나사부에 의해 목재와 매우 견고하게 결합되며, 드릴작업으로 생선된 절삭칩을 나사부에 일정 깊이로 형성된 칩 배출홈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시켜 체결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는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두께가 비교적 얇은 목판재를 여러장 겹쳐놓은 상태에서 본 발명에 의한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를 이용하여 두꺼운 보를 제작하는 경우 시간이 경과하여도 뒤틀림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두꺼운 보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보는 원목으로 제작된 보 보다 강도가 뛰어난 장점도 있다.
또한, 서까래와 같이 경사지게 구조되는 부분에도 쉽게 체결하고,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목조건축을 더욱 견고하면서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보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의 부분상세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의 단면구성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를 이용한 보이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는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의 몸통부(30)와, 상기 몸통부(30)의 일측에 렌치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다각형으로 형성된 머리부(10)와, 상기 몸통부(30)의 타측에 일정 높이의 나사산(42)이 형성된 나사부(40)와, 상기 나사부(40)의 단부에 형성되어 목재에 삽입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30)와 머리부(10) 사이에는 상기 몸체부(30)로부터 외경이 확대되어 상기 머리부(10)와 연속되는 삽입유도부(20)가 형성된다. 즉, 목재에 형성되는 체결구멍의 입구부를 확대하여 상기 머리부(10)가 목재에 완전히 수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나사부(40)에는, 일정 깊이로 칩 배출홈(70)이 형성된다. 즉, 상 기 드릴부(50)에 의해 체결구멍을 형성하는 경우 발생하는 절삭칩이 상기 칩 배출홈(70)을 타고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본 발명에 의한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가 용이하게 삽입되면서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머리부(10)는, 통상 육각형으로 구성되지만 사각 또는 팔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몸통부(30)의 반대되는 측면에 드라이버를 삽입할 수 있는 일(一)자 또는 십(十)자형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머리부(10)는 몸통(30)의 외경에 2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사부(40)는, 일정 높이의 나사산(42)과 골(44)로 형성되는 것으로 통상의 직결 스크류에 형성되는 것과 동일하며, 피치(P)의 간격이 철제용 스크류에 비하여 넓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칩 배출홈(70)이 형성된 칩 배출부(G)와, 칩 배출홈(70)이 형성되지 않은 체결나사부(S)는, 1 대 1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칩 배출홈(70)은, 나사부 외경(R)의 1/2 내지 2/3로 홈 깊이(D)를 형성하고, 홈 너비(W)도 나사부 외경(R)의 1/2 내지 2/3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홈 길이(D)와 홈 너비(W)를 너무 깊거나 넓게 하면 절삭칩의 배출은 원활하게 수행되지만 스크류의 강도가 떨어지고, 홈 길이(D)와 홈 너비(W)를 너무 얇거나 좁게 하면 절삭칩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게 된다.
상기 드릴부(50)는, 원뿔형상으로 측면에 상기 나사부(40)에 형성된 나사산과 연속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따라서, 별도의 체결구멍을 형성하지 않은 목재에도 쉽게 자리를 잡으면서 체결구멍이 형성되도록 삽입된다. 이때 체결구멍이 형 성되면서 발생하는 절삭칩은 상기 칩 배출홈(70)을 따라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30)와 나사부(40)의 길이는 2 대 1의 비율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상기 나사부(40)는 목재와의 결합력을 발생하는 부분이고, 상기 몸체부(30)는 서로 다른 목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2 대 1의 비율이 가장 효과적인 것을 수차례의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도 5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80)를 이용한 보를 도시한 것이다.
즉, 직육면체 형상으로 넓은 면이 각각 대응되고 폭방향이 서로 불일치되게 적층되는 제1 목판재(91) 및 제2 목판재(92)와, 상기 제1 목판재(91)와 제2 목판재(92)의 상부로 폭방향이 서로 불일치되게 적층되는 제3 목판재(93)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목판재(91) 및 제2 목판재(92)와 나사결합되는 다수의 직결 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목판재(91)와 제2 목판재(92) 사이에는 다른 목판재가 더 삽입되고, 이를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4층 내지 6층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보의 강도와 무게 등을 고려할 때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목조건축물은 나무 자체에서 발산되는 향이 좋고, 또 습기에 강하며 사람에게 해로움을 끼치는 벌레 등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조건을 없앨 수 있을 뿐 아니라, 내구성 또한 뛰어나 건축물의 긴 수명을 보장하게 되어서 근래에 들어 각 광받고 있다.
이러한 목조건축물을 축조하기 위해서는 목재로 된 다수의 블록을 준비하여서 천장, 벽면, 바닥면 등을 적층상태와 교차상태를 고려하면서 축조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는, 종래와 같이 체결구멍이나 머리부가 삽입될 구멍을 미리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작업 공정이 줄어들고 작업의 편리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드릴부(50)의 첨두를 체결하려는 목재에 가볍게 누른 뒤 렌치 등의 공구를 머리부(10)에 결합하여 회전을 시키면, 상기 드릴부(50)에 형성된 나사산의 작용에 따라 쉽게 체결구멍을 형성한다. 또한, 체결구멍의 형성으로 생성되는 절삭칩은 칩 배출홈(70)을 따라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목재와의 마찰을 증대시키지 않고 원활하게 목재에 삽입된다.
그 후 칩 배출부(G)까지 목재에 삽입이 되면, 더 이상 절삭칩이 칩 배출홈(70)을 통해 배출되지 못하고, 칩 배출홈(70) 및 골(44)에 누적되어 목재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스크류와 목재는 견고하게 체결되고,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에 의해 결합되는 목재로 제작되는 벽면 등은 매우 견고하게 제작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이러한 목재를 이용한 벽면 등을 제작을 더욱 견고하고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강력한 결합력으로 수명을 더욱 연장하게 한다.
상기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의 사용상태도로, 도 4a는 기둥(94)에 보(92)를 연결한 구조를 간단히 도시한 것이 다.
즉, 상기 도 7과 같이, 기둥(94)에 끼움홈(95)을 형성하지 않고, 두꺼운 보(92)를 직접 기둥(94)에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80)를 사용하여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끼움홈(95)의 형성에 의한 기둥(94)의 외경축소를 방지하여 강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목재 간의 결합력을 크게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도 5는 비교적 얇게 형성된 목재판재(90)를 지그재그로 적층한 후에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80)로 두꺼운 보를 제작할 수 있다. 이렇게 제작된 보는 원목으로 제작된 보에 비하여 강도가 뛰어나고, 시간이 경과되더라도 뒤틀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저렴한 가격으로 보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 4b는 여러개의 기둥(94)에 경사지게 형성된 보를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80)를 사용하여 결합한 구조이고, 특히 도 4c는 경사지게 형성하는 서까래(96)를 매우 견고하고 쉽게 시공할 수 있는 구조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다시 말해, 경사지게 결합하는 서까래(96)의 맞닿는 부분을 길게 제작된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82)로 결합한다. 이때, 나사부(40)에 형성된 칩 배출홈(70)을 따라 절삭칩이 용이하게 배출되어 쉽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서까래(96)의 밑부분을 받쳐주는 받침대(98)와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어, 더욱 견고한 지붕을 건축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의 부분상세도,
도 3은 도 1의 A-A선의 단면구성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를 이용한 보,
도 6a 및 도 6b는 종래의 래그 스크류,
도 7a 및 도 7b는 종래의 직결 스크류,
도 8 종래의 목재기둥에 보를 연결한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머리부 20: 삽입유도부
30: 몸통부 40: 나사부
42: 나사산 44: 골
50: 드릴부 70: 칩 배출홈
80 ~ 82: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 90 ~ 95: 목판재
92: 보 94: 기둥
95: 끼움홈 96: 서까래
98: 받침대
S: 체결나사부 G: 칩 배출부
R: 나사부 외경 W: 홈 너비
D: 홈 깊이 P: 피치

Claims (6)

  1. 일정 직경을 갖는 원기둥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일측에 렌치 등의 공구와 결합되기 위한 다각형의 머리부와, 상기 몸통부의 타측에 일정 높이의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목재에 구멍을 뚫기 위한 드릴부가 형성된 직결 스크류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0)와 머리부(10) 사이에 상기 몸체부(30)로부터 외경이 확대되어 상기 머리부(10)와 연속되는 삽입유도부(20)가 형성되고,
    상기 드릴부(50)는, 상기 나사부(40)의 외경이 점점 축소되도록 경사지면서 상기 나사부(40)에 형성된 나사산(42)에 연속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40) 및 드릴부(50)에는, 일정 깊이로 칩 배출홈(70)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칩 배출홈(70)은, 상기 칩 배출홈(70)이 형성되지 않은 나사부(40)와 1 대 1의 길이비율로 형성되고, 나사부 외경(R)의 1/2 내지 2/3로 홈 깊이(D)를 형성하며, 홈 너비(W)는 나사부 외경(R)의 1/2 내지 2/3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0)와 나사부(40)는 2 대 1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
  4. 직육면체 형상으로 넓은 면이 각각 대응되고 폭방향이 서로 불일치되게 적층되는 제1 목판재(91) 및 제2 목판재(92)와, 상기 제1 목판재(91)와 제2 목판재(92)의 상부로 폭방향이 서로 불일치되게 적층되는 제3 목판재(93)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목판재(91) 및 제2 목판재(92)와 나사결합되는 청구항 3의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를 이용한 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목판재(93)의 상부로 폭방향이 서로 불일치되게 적층되는 제4 목판재(94)와, 상기 제3 목판재(94)와 제3 목판재(93)를 적어도 관통하여 상기 제2 목판재(92)와 나사결합되는 상기 다수의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를 이용한 보.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목판재(91)와 제2 목판재(92) 사이에는 다른 목판재가 더 삽입되고, 이를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를 이용한 보.
KR1020080077957A 2008-04-04 2008-08-08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보 KR200901063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957A KR20090106321A (ko) 2008-04-04 2008-08-08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692 2008-04-04
KR1020080077957A KR20090106321A (ko) 2008-04-04 2008-08-08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321A true KR20090106321A (ko) 2009-10-08

Family

ID=41535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7957A KR20090106321A (ko) 2008-04-04 2008-08-08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632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491B1 (ko) * 2012-05-14 2014-01-15 최광일 셀프태핑볼트
CN110410403A (zh) * 2019-07-31 2019-11-05 嘉兴承泽五金有限公司 一种新型自攻螺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491B1 (ko) * 2012-05-14 2014-01-15 최광일 셀프태핑볼트
CN110410403A (zh) * 2019-07-31 2019-11-05 嘉兴承泽五金有限公司 一种新型自攻螺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0531A (en) Panel fastener
US20110229286A1 (en) Versatile fastener
JP2004019946A (ja) 自己−穴あけ締結具及び木材基板を金属基板に取付ける方法
US11788274B2 (en) Compression and tension reinforced wall
US9845819B2 (en) Method and screw for mounting fiber cement planks
JP4779006B2 (ja) 建築用ネジ
JP5188892B2 (ja) 締結構造
KR20090106321A (ko) 목재전용 직결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보
JP2012136912A (ja) 連結構造
JP4649303B2 (ja) 柱の締結具
JP2007278027A (ja) 連結金物
US20090288356A1 (en) Anchoring framing to support structures
JP6990553B2 (ja) 木造耐力壁
JPWO2019203148A1 (ja) 木構造建築物の耐力壁構造及び耐力壁施工方法
JP5000994B2 (ja) 断熱パネル及び断熱パネルの施工方法
CN102333966A (zh) 自钻螺钉
JP2008291924A (ja) パネル取付用ナット及び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パネルの取付構造
WO2009073663A1 (en) Raised recess truss head screw
JP5554948B2 (ja) 部材の締結構造
JP2022129431A (ja) ラグスクリューボルトの取付け治具及び取付け方法
EP2064396B1 (en) Sound-damping coupling between two building elements of wood
US20230067592A1 (en) A Multipurpose Screw
JP4080419B2 (ja) 柱梁接合部における接合金具の取付構造
JP2007077629A (ja) 接合金具及びこの接合金具の埋め込み方法
CN212582966U (zh) 一种方便固定安装板材的墙面钢骨架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