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6051A - 박막 트랜지스터, 그의 제조 방법 및 박막 트랜지스터를구비하는 평판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박막 트랜지스터, 그의 제조 방법 및 박막 트랜지스터를구비하는 평판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6051A
KR20090106051A KR1020080031541A KR20080031541A KR20090106051A KR 20090106051 A KR20090106051 A KR 20090106051A KR 1020080031541 A KR1020080031541 A KR 1020080031541A KR 20080031541 A KR20080031541 A KR 20080031541A KR 20090106051 A KR20090106051 A KR 20090106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hin film
film transistor
gizo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1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1855B1 (ko
Inventor
이헌정
정종한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1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1855B1/ko
Publication of KR20090106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6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1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1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9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having a semiconductor body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material, e.g. zinc oxide, copper aluminium oxide, cadmium stann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2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crystalline structure of the active layer
    • H01L27/122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crystalline structure of the active layer with semiconductor materials not belonging to the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e.g. InGaZnO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9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channel, e.g. multichannel, transverse or longitudinal shape, length or width, doping structure, or the overlap or alignment between the channel and the gate, the source or the drain, or the contacting structure of the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화물 반도체를 활성층으로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그의 제조 방법 및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평판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박막 트랜지스터는 기판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 게이트 절연막에 의해 게이트 전극과 절연되며 채널 영역,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포함하는 산화물 반도체층, 그리고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과 접촉되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한다. 산화물 반도체층은 갈륨(Ga)의 농도가 서로 다른 이층 구조의 GaInZnO(GIZO)층으로 형성된다. 하부 GIZO층은 1e+13 내지 1e+18#/㎤ 정도의 케리어 농도를 가지며, 상부 GIZO층은 높은 Ga의 농도에 따른 강건한 구조를 갖는다.
산화물 반도체, GaInZnO(GIZO), 이층 구조, 갈륨(Ga) 농도

Description

박막 트랜지스터, 그의 제조 방법 및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평판 표시 장치 {Thin film transisto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having the thin film transistor}
본 발명은 박막 트랜지스터, 그의 제조 방법 및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평판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화물 반도체를 활성층으로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그의 제조 방법 및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평판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는 채널 영역,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제공하는 활성층과, 채널 영역 상부에 형성되며 게이트 절연막에 의해 활성층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게이트 전극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박막 트랜지스터의 활성층은 대개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이나 폴리 실리콘(poly-silicon)과 같은 반도체 물질로 형성되는데, 활성층이 비정실 실리콘으로 형성되면 이동도(mobility)가 낮아 고속으로 동작되는 구동 회로의 구현이 어려우며, 폴리 실리콘으로 형성되면 이동도는 높지만 문턱전압이 불균일하여 별도의 보상 회로가 부가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저온 폴리 실리콘(low temperature poly-silicon; LTPS)을 이용한 종래의 박막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은 레이저 열처리 등과 같은 고가의 공정이 포함되고 특성 제어가 어렵기 때문에 대면적의 기판에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산화물 반도체를 활성층으로 이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2004-273614호에는 산화아연(Zinc Oxide; ZnO) 또는 산화아연(ZnO)을 주성분으로 하는 산화물 반도체를 활성층으로 이용한 박막 트랜지스터가 개시되어 있다.
산화아연(ZnO)을 주성분으로 하는 산화물 반도체는 비정질 형태이면서 안정적인 재로로서 평가되고 있으며, 이러한 산화물 반도체를 활성층으로 이용하면 기존의 저온 폴리 실리콘(LTPS) 공정으로 박막 트랜지스터를 제조할 수 있고, 300℃ 이하의 저온에서도 공정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산화물 반도체를 소자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전기적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공정 개발 및 특성 개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산화물 반도체층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그의 제조 방법 및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평판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 게이트 절연막에 의해 상기 게이트 전극과 절연되며 채널 영역,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포함하는 산화물 반도체층; 및 상기 소스 영역 및 상기 드레인 영역과 접촉되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산화물 반도체층이 Ga의 농도가 서로 다른 이층 구조의 GIZO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기판 상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상부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채널 영역,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제공하는 산화물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과 접촉되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산화물 반도체층 형성 단계는 타켓으로부터 In, Ga 및 Zn을 포함하는 이온이 증착되어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하부 GIZO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하부 GIZO층 상에 Ga의 농도가 상기 하부 GIZO층보다 높은 상부 GIZO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박막 트랜지스터는 갈륨(Ga)의 농도가 서로 다른 이층 구조의 GaInZnO(GIZO)층으로 이루어진 활성층을 구비한다. 하부 GIZO층은 1e+13 내지 1e+18#/㎤ 정도의 케리어 농도를 갖는 반도체 특성을 가지며, 상부 GIZO층은 높은 Ga의 농도에 따른 강건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유지하며, 플라즈마 피해로 인한 전기적 특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보호막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 및 장비의 호환성을 높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절연물로 이루어진 기판(10) 상에 게이트 전극(11)이 형성된다. 기판(10)과 게이트 전극(11) 사이에는 버퍼층(도시안됨)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1)을 포함하는 상부에는 게이트 절연막(12)에 의해 게이트 전극(11)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며, 채널 영역,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제공하는 산화물 반도체층(13)이 형성된다. 산화물 반도체층(13)은 갈륨(Ga)의 농도가 서로 다른 이층 구조의 GaInZnO(GIZO)층으로 형성되며, 이층 구조의 GIZO층에서 상부층의 Ga의 농도가 하부층보다 높게 조절된다.
산화물 반도체층(13) 상에는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과 접촉되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14a 및 14b)이 형성되고,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14a 및 14b)을 포함하는 상부에는 보호막(15)이 형성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제조 공정을 통해 본 발명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절연물로 이루어진 기판(10) 상에 게이트 전극(11)을 형성한 후 게이트 전극(11)을 포함하는 상부에 게이트 절연막(12)을 형성한다. 이 때 기판(10) 상에 버퍼층(도시안됨)을 형성한 후 버퍼층 상에 게이트 전극(11)을 형성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1)은 Mo, MoW, Al 등의 금속으로 형성하고, 게이트 절연막(12)은 실리콘 산화막(SiO2)이나 실리콘 질화막(SiNx)으로 형성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게이트 전극(11)과 중첩되도록 게이트 절연막(12) 상에 채널 영역,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제공하는 산화물 반도체층(13)을 형성한다. 산화물 반도체층(13)은 Ga의 농도가 서로 다른 이층 구조의 GIZO층으로 형성하며, 이층 구조의 GIZO층에서 상부층의 Ga의 농도를 하부층보다 높게 조절한다.
Ga의 농도가 서로 다른 이층 구조의 GIZO층을 형성하기 위한 실시예로서, 타겟(target)으로부터 In, Ga 및 Zn을 포함하는 이온이 증착되어 게이트 절연막(12) 상에 하부 GIZO층(13a)이 형성되도록 하고, 하부 GIZO층(13a) 상에 Ga의 농도가 하부 GIZO층(13a)보다 높은 상부 GIZO층(13b)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타겟으로는 예를 들어, GaInZnO(GIZO) 타겟 및 Ga2O3 타겟을 사용할 수 있으며, 타겟에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력이나, 펄스 레이저, 또는 타겟의 몰비 등을 조절하여 Ga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하부 GIZO층(13a)과 상부 GIZO층(13b)을 한 번의 공정으로 동시에 형성하되, 상부 GIZO층(13b)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Ga의 농도를 하부 GIZO층(13a)의 Ga의 농도보다 높게 조절한다.
예를 들어, 코스퍼터링(co-sputtering) 방법의 경우 GIZO 타겟 및 Ga2O3 타겟에 각각 바이어스 전력을 인가하고, Ga2O3 타겟에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펄스 레이저 증착(pulse laser deposition) 방법의 경우 GIZO 타겟 및 Ga2O3 타겟에 각각 펄스 레이저를 조사하고, Ga2O3 타겟에 조사되는 펄스 레이저의 세기를 조절하여 Ga의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GIZO 타겟 및 Ga2O3 타겟의 몰비를 조절하여 Ga의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하부 GIZO층(13a)의 Ga의 농도는 20 내지 40at%가 되도록 하고, 상부 GIZO층(13b)의 Ga의 농도는 30 내지 60at%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 GIZO층(13a)의 Ga의 농도가 20at% 이하 또는 40at% 이상이 되면 박막 트랜지스터로서의 반도체 특성을 얻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원하는 전기적 특성을 얻을 수 있도록 적절한 범위 내에서 조절하면 된다.
도 2c를 참조하면, 산화물 반도체층(13)을 포함하는 상부에 도전층을 형성한 후 패터닝하여 산화물 반도체층(13)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과 연결되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14a 및 14b)을 형성하고,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14a 및 14b)을 포함하는 상부에 보호막(15)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박막 트랜지스터는 산화물 반도체층(13)이 Ga의 농도가 서로 다른 이층 구조의 GIZO층으로 형성된다.
GIZO와 같은 산화물 반도체에서 Ga의 농도가 증가하면 비저항이 증가하여 절연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논문 Hideo Hosono, 'Ionic amorphous oxide semiconductors : Material design, Carrier transport, and device application', J. of Non-crystalline Solid, 352, 2006, 851p 참조).
도 3은 In2O3 - ZnO - Ga2O3의 3 성분계에서 홀(hall) 효과에 의한 이동도를 맵핑(mapping)한 그래프로서, Ga2O3의 농도 비율이 증가하면 GIZO층의 비저항이 증가하고, GIZO층의 비저항이 증가하면 절연특성을 가지며 구조적으로 강건해진다. 즉, Ga은 In이나 Zn에 비해 산소와의 결합력이 강하기 때문에 Ga이 증가하면 산소 유실에 의한 케리어 생성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비저항이 높게 유지되기 때문에 공정 과정에서 외부 영향에 의해 케리어가 생성되더라도 반도체 특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하부 GIZO층(13a)과 상부 GIZO층(13b)의 두께 비를 1 내지 2 : 1 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원리에 기초하여, 산화물 반도체층(13)을 형성하는 과정에 서 하부 GIZO층(13a)의 Ga의 농도는 기존의 GIZO층과 같거나 유사하게 조절하고, 상부 GIZO층(13b)의 Ga의 농도는 하부 GIZO층(13a)보다 높게 조절한다. 상부 GIZO층(13b)의 Ga의 농도를 기존의 GIZO층 보다 증가시킴으로써 구조적으로 강건해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는 제조 과정에서 도전층을 패터닝하여 소스 및 드레인 전극(14a 및 14b)을 형성하거나, 보호막(15)을 증착할 때 산화물 반도체층(13)의 표면부가 노출되기 때문에 플라즈마에 의해 피해를 입게 된다. 만일 산화물 반도체층(13)이 단일층 구조의 GIZO층으로 형성될 경우 플라즈마에 의한 피해로 인해 표면 격자가 파괴되어 산소 결함(deficiency)이 발생되고, 이와 같은 산소 결함에 따른 비저항 감소에 의해 반도체 특성이 저하되거나 상실될 수 있다.
도 4는 플라즈마에 의해 피해를 입은 산화물 반도체층의 전기적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로서, 게이트 전압에 따른 드레인 전류의 변화로 볼 때 스위칭(transfer on/off) 특성을 상실하고 누설전류 특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산화물 반도체층(13)을 Ga의 농도가 서로 다른 이층 구조의 GIZO층으로 형성하면, 상부 GIZO층(13b)의 강건한 구조에 의해 플라즈마에 노출되더라도 피해가 발생되지 않으며, 높은 비저항에 의해 전류의 흐름 경로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누설전류가 발생되지 않는다. 즉, 게이트 절연막(12)과의 계면에 위치되는 하부 GIZO층(13a)은 1e+13 내지 1e+17#/㎤ 정도의 케리어 농도를 갖는 반도체 특성을 가지며, 상부 GIZO층(13b)은 높은 Ga의 농도에 따른 강건한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유지할 수 있고, 플라즈마 피해로 인한 전기 적 특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평판 표시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100)을 중심으로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표시 패널(100)은 대향하도록 배치된 두 개의 기판(110 및 120)과, 두 개의 기판(110 및 120)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130)으로 이루어지며, 기판(110)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게이트 선(111)과 데이터 선(112)에 의해 화소 영역(113)이 정의된다. 그리고 게이트 선(111)과 데이터 선(112)이 교차되는 부분의 기판(110)에는 각 화소로 공급되는 신호를 제어하는 박막 트랜지스터(114) 및 박막 트랜지스터(114)와 연결된 화소 전극(115)이 형성된다.
박막 트랜지스터(114)는 도 1과 같은 구조를 가지며,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기판(120)에는 컬러필터(121) 및 공통전극(122)이 형성된다. 그리고 기판(110 및 120)의 배면에는 편광판(116 및 123)이 각각 형성되며, 편광판(116)의 하부에는 광원으로서 백 라이트(도시안됨)가 배치된다.
한편, 표시 패널(100)의 화소 영역(113) 주변에는 표시 패널(10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LCD Drive IC; 도시안됨)가 실장된다. 구동부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를 주사 신호 및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게이트 선과 데이터 선으로 공급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평판 표시 장 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단면도로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200)을 중심으로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기판(210)은 화소 영역(220)과, 화소 영역(220)을 둘러싸는 비화소 영역(230)으로 정의된다. 화소 영역(220)의 기판(210)에는 주사 라인(224) 및 데이터 라인(226) 사이에 매트릭스 방식으로 연결된 다수의 유기전계발광 소자(300)가 형성되고, 비화소 영역(230)의 기판(210)에는 화소 영역(220)의 주사 라인(224) 및 데이터 라인(226)으로부터 연장된 주사 라인(224) 및 데이터 라인(226), 유기전계발광 소자(300)의 동작을 위한 전원공급 라인(도시안됨) 그리고 패드(228)를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된 신호를 처리하여 주사 라인(224) 및 데이터 라인(226)으로 공급하는 주사 구동부(234) 및 데이터 구동부(236)가 형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유기전계발광 소자(300)는 애노드 전극(317) 및 캐소드 전극(320)과, 애노드 전극(317) 및 캐소드 전극(320) 사이에 형성된 유기 박막층(319)으로 이루어진다. 유기 박막층(319)은 정공 수송층, 유기발광층 및 전자 수송층이 적층된 구조로 형성되며, 정공 주입층과 전자 주입층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기전계발광 소자(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와 신호를 유지시키기 위한 캐패시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도 1과 같은 구조를 가지며,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소자(300)를 도 6a 및 도 7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판(210) 상에 게이트 전극(11)이 형성된다. 이 때 화소 영역(220)에는 게이트 전극(11)과 연결되는 주사 라인(224)이 형성되고, 비화소 영역(230)에는 화소 영역(220)의 주사 라인(224)으로부터 연장되는 주사 라인(224) 및 외부로부터 신호를 제공받기 위한 패드(228)가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1)을 포함하는 상부에는 게이트 절연막(12)에 의해 게이트 전극(11)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며, 채널 영역,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제공하는 산화물 반도체층(13)이 형성된다. 산화물 반도체층(13)은 Ga의 농도가 서로 다른 이층 구조의 GIZO층으로 형성되며, 이층 구조의 GIZO층에서 상부층의 Ga의 농도가 하부층보다 높게 조절된다.
산화물 반도체층(13) 상에는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과 접촉되는 소스 및 드레인 전극(14a 및 14b)이 형성된다. 이 때 화소 영역(220)에는 소스 및 드레인 전극(14a 및 14b)과 연결되는 데이터 라인(226)이 형성되고, 비화소 영역(230)에는 화소 영역(220)의 데이터 라인(226)으로부터 연장되는 데이터 라인(226) 및 외부로부터 신호를 제공받기 위한 패드(228)가 형성될 수 있다.
소스 및 드레인 전극(14a 및 14b)을 포함하는 상부에는 보호막(15)이 형성되고, 보호막(15)에는 소스 또는 드레인 전극(14a 또는 14b)이 노출되도록 비아홀이 형성된다. 보호막(15)은 절연 및 평탄화를 위해 다층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다.
비아홀을 통해 소스 또는 드레인 전극(14a 또는 14b)과 연결되는 애노드 전극(317)이 형성되고, 애노드 전극(317)의 일부 영역(발광 영역)이 노출되도록 보호막(15) 상에 화소 정의막(318)이 형성된다. 그리고 노출된 애노드 전극(317) 상에 유기 박막층(319)이 형성되고, 유기 박막층(319)을 포함하는 화소 정의막(318) 상에 캐소드 전극(320)이 형성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유기전계발광 소자(300)가 형성된 기판(210) 상부에는 화소 영역(220)을 밀봉시키기 위한 봉지 기판(400)이 배치되며, 밀봉재(410)에 의해 봉지 기판(400)이 기판(210)에 합착되어 표시 패널(200)이 완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세한 설명과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를 개시하였다. 용어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In2O3 - ZnO - Ga2O3의 3 성분계에서 홀(hall) 효과에 의한 이동도를 맵핑한 그래프.
도 4는 플라즈마에 의해 피해를 입은 산화물 반도체층의 전기적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평판 표시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평판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단면도.
도 7은 도 6a의 유기전계발광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10, 120, 210: 기판 11: 게이트 전극
12: 게이트 절연막 13: 산화물 반도체층
13a, 13b: GIZO층 14a: 소스 전극
14b: 드레인 전극 15: 보호막
100, 200: 표시 패널 111: 게이트 선
112: 데이터 선 113: 화소 영역
114: 박막 트랜지스터 115: 화소 전극
116, 123: 편광판 121: 컬러필터
122: 공통전극 130: 액정층
220: 화소 영역 224: 주사 라인
226: 데이터 라인 228: 패드
230: 비화소 영역 234: 주사 구동부
236: 데이터 구동부 300: 유기전계발광 소자
317: 애노드 전극 318: 화소 정의막
319: 유기 박막층 320: 캐소드 전극
400: 봉지 기판 410: 밀봉재

Claims (10)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
    게이트 절연막에 의해 상기 게이트 전극과 절연되며 채널 영역,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포함하는 산화물 반도체층; 및
    상기 소스 영역 및 상기 드레인 영역과 연결되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산화물 반도체층이 Ga의 농도가 서로 다른 이층 구조의 GIZO층으로 이루어진 박막 트랜지스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층 구조의 GIZO층은 상부층의 Ga의 농도가 하부층보다 높은 박막 트랜지스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층의 Ga의 농도는 20 내지 40at%이고, 상기 상부 층의 Ga의 농도는 30 내지 60at%인 박막 트랜지스터.
  4. 기판 상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상부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채널 영역,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제공하는 산화물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과 연결되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산화물 반도체층 형성 단계는 타켓으로부터 In, Ga 및 Zn을 포함하는 이온이 증착되어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하부 GIZO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하부 GIZO층 상에 Ga의 농도가 상기 하부 GIZO층보다 높은 상부 GIZO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GIZO층의 Ga의 농도는 20 내지 40at%가 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 GIZO층의 Ga의 농도는 30 내지 60at%가 되도록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으로 InGaZnO 타겟 및 Ga2O3 타겟을 사용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InGaZnO 타겟 및 상기 Ga2O3 타겟에 각각 바이어스 전력을 인가하고, 상기 Ga2O3 타겟에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력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Ga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InGaZnO 타겟 및 상기 Ga2O3 타겟에 각각 펄스 레이저를 조사하고, 상기 Ga2O3 타겟에 조사되는 펄스 레이저의 세기를 조절하여 상기 Ga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InGaZnO 타겟 및 상기 Ga2O3 타겟의 몰비를 조절하여 상기 Ga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평판 표시 장치.
KR1020080031541A 2008-04-04 2008-04-04 박막 트랜지스터, 그의 제조 방법 및 박막 트랜지스터를구비하는 평판 표시 장치 KR100941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541A KR100941855B1 (ko) 2008-04-04 2008-04-04 박막 트랜지스터, 그의 제조 방법 및 박막 트랜지스터를구비하는 평판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541A KR100941855B1 (ko) 2008-04-04 2008-04-04 박막 트랜지스터, 그의 제조 방법 및 박막 트랜지스터를구비하는 평판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051A true KR20090106051A (ko) 2009-10-08
KR100941855B1 KR100941855B1 (ko) 2010-02-12

Family

ID=41535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1541A KR100941855B1 (ko) 2008-04-04 2008-04-04 박막 트랜지스터, 그의 제조 방법 및 박막 트랜지스터를구비하는 평판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18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95155B2 (en) 2010-01-26 2013-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in film transistors having an additional floating channel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841663B2 (en) 2010-05-20 2014-09-23 Samsung Display Co., Ltd. Oxide semiconductor thin-film transistor
KR20210021126A (ko) * 2010-02-26 2021-02-24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498B1 (ko) * 2005-09-27 2007-12-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투명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785038B1 (ko) * 2006-04-17 2007-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정질 ZnO계 TF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95155B2 (en) 2010-01-26 2013-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in film transistors having an additional floating channel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10021126A (ko) * 2010-02-26 2021-02-24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US11682562B2 (en) 2010-02-26 2023-06-2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8841663B2 (en) 2010-05-20 2014-09-23 Samsung Display Co., Ltd. Oxide semiconductor thin-film transis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1855B1 (ko) 2010-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1850B1 (ko) 박막 트랜지스터, 그의 제조 방법 및 박막 트랜지스터를구비하는 평판 표시 장치
KR100975204B1 (ko) 박막 트랜지스터, 그의 제조 방법 및 박막 트랜지스터를구비하는 평판 표시 장치
KR100963003B1 (ko) 박막 트랜지스터, 그의 제조 방법 및 박막 트랜지스터를구비하는 평판 표시 장치
KR100963104B1 (ko) 박막 트랜지스터, 그의 제조 방법 및 박막 트랜지스터를구비하는 평판 표시 장치
KR101064402B1 (ko) 박막 트랜지스터, 그의 제조 방법 및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평판 표시 장치
KR20090124527A (ko) 박막 트랜지스터, 그의 제조 방법 및 박막 트랜지스터를구비하는 평판 표시 장치
KR100963026B1 (ko) 박막 트랜지스터, 그의 제조 방법 및 박막 트랜지스터를구비하는 평판 표시 장치
KR100963027B1 (ko) 박막 트랜지스터, 그의 제조 방법 및 박막 트랜지스터를구비하는 평판 표시 장치
KR100873081B1 (ko) 박막 트랜지스터, 그의 제조 방법 및 박막 트랜지스터를구비하는 평판 표시 장치
KR101048965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1048996B1 (ko)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를 구비하는 평판 표시 장치
KR20110037220A (ko) 박막 트랜지스터, 그의 제조 방법 및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KR101056229B1 (ko) 박막 트랜지스터, 그의 제조 방법 및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KR20110006812A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05561A (ko) 반도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평판 표시 장치
KR100962989B1 (ko) 박막 트랜지스터, 그의 제조 방법 및 박막 트랜지스터를구비하는 평판 표시 장치
KR100941855B1 (ko) 박막 트랜지스터, 그의 제조 방법 및 박막 트랜지스터를구비하는 평판 표시 장치
KR101022141B1 (ko) 박막 트랜지스터, 그의 제조 방법 및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