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3935A - 스위칭 증폭기의 샘플링 주파수 감소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위칭 증폭기의 샘플링 주파수 감소 시스템 및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3935A
KR20090103935A KR1020097016837A KR20097016837A KR20090103935A KR 20090103935 A KR20090103935 A KR 20090103935A KR 1020097016837 A KR1020097016837 A KR 1020097016837A KR 20097016837 A KR20097016837 A KR 20097016837A KR 20090103935 A KR20090103935 A KR 20090103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switching elements
switching
output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6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2847B1 (ko
Inventor
래리 키른
Original Assignee
제이엠 일렉트로닉스 엘티디.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엠 일렉트로닉스 엘티디. 엘엘씨 filed Critical 제이엠 일렉트로닉스 엘티디.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90103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3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8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7Class D power amplifiers; Switching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능을 열화시키지 않고도 스위칭 증폭기의 RF 간섭을 감소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실시예에서, 코어스 고전압 변조된 펄스폭의 샘플링 레이트는 파인 저전압 변조된 펄스폭의 샘플링 레이트에 비해 감소되어 있다. 코어스 고전압 변조된 펄스폭의 샘플링 레이트를 감소시킴으로써, EMI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파인 저전압 변조된 펄스폭의 상대적으로 더 높은 샘플링 레이트에 의해, 코어스 펄스폭의 감소된 샘플링 레이트에 의해 생기는 왜곡을 경감시킨다.

Description

스위칭 증폭기의 샘플링 주파수 감소 시스템 및 방법{SAMPLING FREQUENCY REDUCTION FOR SWITCHING AMPLIFIERS}
본 발명은 스위칭 증폭기 및 스위칭 증폭기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스위칭 증폭기에서의 전자기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관련 출원의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07년 2월 1일에 제출된 미국 가출원 60/887,662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선행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 출원의 개시 내용의 일부가 되며, 본 명세서에 참조에 의해 원용한다.
스위칭 증폭기는 비-스위칭 선행장치(non-switching predecessor)보다 매우 양호한 효율을 갖는다. 그 주된 이유는, 전압을 부하에 대해 전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트랜지스터가, 이 트랜지스터의 양단 전압이 상대적으로 낮은 값에서 턴온되고, 트랜지스터를 통하는 전류가 상대적으로 낮은 값에서 턴오프되기 때문이다. 트랜지스터 양단의 낮은 전압 또는 트랜지스터를 통하는 낮은 전류에 의해, 트랜지스터에 의해 낭비되는 파워가 상대적으로 적어지게 된다.
단일의 PWM 스트림을 사용하는 스위칭 증폭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위칭 증폭기는 과도한 전자기(electromagnetic) 무선 주파수("RF")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데, 이러한 과도한 전자기 무선 주파수 간섭은, 증폭기의 동작뿐만 아니라 해당 증폭기 주변의 다른 전자 장치와도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RF 간섭은, 증폭기에 의해 구동되는 부하를, 인덕터 및/또는 커패시터로 형성된 필터에 결합함으로써 어느 정도까지는 감소시킬 수 있지만, 일부 장치에서는 RF 간섭이 여전히 큰 문제로 될 수 있다. 저비용의 해결 방안을 사용하여 RF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른 방법은, 왜곡(distortion)을 생기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의 PWM 스트림의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를 감소시킴으로써 RF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 상당한 왜곡도 발생하게 되므로, 실행가능한 옵션이 되지 못한다. 또한, 이러한 스위칭 증폭기는 높은 대역폭이며 높은 정확도를 갖는 신호를 합리적인 비용으로 정확하게 증폭하지 못한다.
최근의 해결 방안으로는, 다중-레퍼런스(multi-reference) 스위칭 증폭기와 같은 둘 이상의 PWM 스트림을 포함하는 변조(modulation)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스위칭 증폭기를 이용하는 것이 있다. 다중 레퍼런스 스위칭 증폭기는 "Multi-reference, High Accuracy Switching Amplifier"란 명칭을 갖는 미국 특허 제6,535,058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전체 내용을 본 명세서에서 참조에 의해 원용한다. 다중-레퍼런스 스위칭 증폭기의 일례는, 2개의 개별 PWM 스트림을 포함하는 것인데, 하나의 스트림은 코어스(coarse) 고전압 PWM 스트림이고, 다른 하나의 스트림은 파인(fine) 저전압 PWM 스트림이다. 다중-레퍼런스형의 스위칭 증폭기가 높은 대역폭과 높은 정확도를 가진 신호를 합리적인 비용으로 증폭시키는 요구를 만족시키기는 하지만, RF 간섭을 감소시켜야 하는 것과 같은, 다중-레퍼런스형의 스위칭 증폭기의 성능을 향상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방법에 의해 다중-레퍼런스 증폭기의 샘플링 레이트를 감소시키는 것은, 출력 신호에 대한 왜곡도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또한, 샘플링 레이트 주파수를 감소시키는 것은, 증폭되는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 또는 주파수를 제한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왜곡을 생기게 하지 않고 또한 출력 신호의 대역폭 또는 주파수를 제한하지도 않으면서, 합리적인 비용으로 전자기 RF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스위칭 증폭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필요하다.
도 1은 일반적인 다중-레퍼런스 스위칭 증폭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라, 도 1의 회로에서 볼 수 있는 전압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라, 도 1의 전압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출력 신호에 대해 왜곡을 생기게 하지 않으면서 스위칭 증폭기의 RF 간섭을 감소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스위칭 장치는, 제1 전압에 접속되어 동작할 수 있도록 된 제1 세트의 스위칭 소자와, 제2 전압에 접속되어 동작할 수 있도록 된 제2 세트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한다. 스위칭 증폭기는, 제1 세트의 스위칭 소자를 제1 샘플링 레이트로 제어하고, 제2 세트의 스위칭 소자를 제2 샘플링 레이트로 제어함으로써, 입력 신호에 따라, 제1 전압 및 제2 전압을 부하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변조기를 더 포함한다. 제1 샘플링 레이트는 제2 샘플링 레이트보다 낮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성능을 열화시키지 않으면서 스위칭 증폭기의 RF 간섭을 감소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위해 구체적인 설명을 한다.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이러한 구체적인 설명이 없어도 본 발명을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듀얼-레퍼런스(dual reference) 스위칭 증폭기의 블록도이다. 도 1은 듀얼-레퍼런스 스위칭 증폭기를 나타내고 있지만, 분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은 임의의 다중-레퍼런스 스위칭 증폭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의 듀얼 레퍼런스 스위칭 증폭기는 2개의 기준을 갖는데, 하나는 양의 전원 전압 V+이고, 다른 하나는 조정기(regulator)(114)에 의해 V+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이다. 양의 전원 전압 V+는 제어 스위치(108, 111)를 통해 부하(119)에 에너지를 공급한다. 조정기(114)는 스위치(109, 112)를 통해 부하(119)에 에너지를 공급한다. 부하(119)는 스위칭 소자(110, 113)를 통해 접지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V+ 레퍼런스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은 조정기(114)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보다 훨씬 크다. 예를 들어, 일실시예에서, 양의 전압 V+ 레퍼런스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은 대략 12V이고, 조정기(114)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은 47mV이다.
펄스폭 변조기(PWM)(107)에 대한 입력으로서 입력 데이터스트림(100)이 인가된다. 펄스폭 변조기(107)는 PWM 제어 신호(101, 102, 103, 104, 105)를 출력하여 스위칭 소자(108, 109, 110, 111, 112, 113)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부하(119)는 2개의 독립적인 출력 노드 양단의 브리지 구성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출력 노드(A)는 스위칭 소자(108, 109, 110)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출력 노드(B)는 스위칭 소자(111, 112, 113)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스위칭 소자(108, 111)는 양의 전원 전압 V+를 부하(119)에 접속하고, 스위칭 소자(109, 112)는 조정기(114)에 의해 V+로부터 공급된 레퍼런스 전압을 부하(119)에 접속하며, 스위칭 소자(110, 113)는 부하(119)를 접지에 접속한다. 도 1의 회로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미국 특허 6,535,058호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도 1의 회로에 의하면, 부하(119)의 양측에 2개의 개별 PWM 데이터스트림이 생긴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스위칭 소자(108, 111)를 통해 부하(119)에 인가되는 PWM 데이터스트림은, 코어스(coarse) 고전압 변조 스트림이다. 스위칭 소자(109, 112)를 통해 부하(119)에 인가되는 펄스폭 변조 데이터스트림은, 파인(fine) 저전압 변조 스트림이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코어스 전압 스트림과 파인 전압 스트림의 구성은, 고전압원과 저전압원에 결합되는 스위칭 소자에 따라 달라진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 1의 증폭기에서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출력 전압 및 전류 파형을 나타낸다. 궤적(200)은, 증폭시킬 도 1의 데이터스트림(100) 파형을 나타낸다. 전압 궤적(201, 202, 203, 204, 205, 206)은, 도 1의 부하(119)에 대한 출력 극성이 변화함에 따른, 도 1의 제어 신호(101, 102, 103, 104, 105, 106)의 각각의 상태를 반영하고 있다. 전압 궤적(207)은, 제1 입력 노드(A)에서의 인덕터(115)에 대한 입력으로서, 스위칭 소자(108, 109, 110)의 공동의 출력을 나타낸다. 전압 궤적(208)은, 제2 입력 노드(B)에서의 인덕터(117)에 대한 입력으로서, 스위칭 소자(111, 112, 113)의 공동의 출력을 나타낸다.
상기 언급한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궤적(207, 208)에서의 코어스 데이터(coarse data)에 의해 변조된 고전압 V+ 펄스는, 궤적(200)에 나타낸 상대적인 부호(relative sign)를 따르며, 궤적(207, 208)에서의 파인 데이터(fine data)에 의해 변조된 레퍼런스 전압 펄스는 궤적(200)에 나타낸 V+ 펄스에 반대되는 상대적인 부호를 따르는 것에 주의하라. 전압 궤적(207, 208)은, 코어스 데이터에 의해 변조된 V+ 펄스가 부하(119)의 어느 한쪽에 인가될 때에, 파인 데이터에 의해 변조된 레퍼런스 전압 펄스는 부하(119)의 다른 한쪽에 인가되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스위칭 소자(108)가 제1 입력 노드(A)에 V+ 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스위칭 소자(112)는 레퍼런스 전압 펄스를 제2 입력 노드(B)에 제공한다. 부하(110)의 양측에 동일한 전압을 유지하기 위해 종래 기술에서 통상적으로 행해지는 것과 같이, 궤적(207, 208)에 도시된, 코어스 변조된(coarse modulated: 넓은 간격으로 변조된) V+ 펄스와 파인 변조된(fine modulated: 좁은 간격으로 변조된) 레퍼런스 전압 펄스는, 공통의 일정한 출력 샘플링 레이트에서 생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도 1의 스위칭 증폭기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동작한다. 궤적(300)은 증폭할, 도 1의 데이터스트림(100) 파형을 나타낸다. 궤적(301, 302, 303, 304, 305, 306)은, 스위칭 소자(108, 109, 110, 111, 112, 113)를 제어하는 신호(101, 102, 103, 104, 105, 106)를 각각 나타낸다. 궤적(307)은 인덕터(115)에 대한 입력으로서, 스위칭 소자(108, 109, 110)의 공동의 출력을 나타낸다. 궤적(308)은 인덕터(117)에 대한 입력으로서 스위칭 소자(111, 112, 113)의 공동의 출력을 나타낸다. 도 2와 마찬가지로, 궤적(307, 308) 내의, 코어스 변조된 V+ 펄스와 파인 변조된 레퍼런스 전압 펄스는 입력되는 파형(300)의 반대되는 부호를 따른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샘플링 레이트 주파수를 감소시키면, RF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코어스 변조된 V+ 펄스와 파인 변조된 레퍼런스 전압 펄스 모두의 주파수를 감소시키면, RF 간섭이 줄어들지만, 코어스 변조된 펄스의 주파수를 감소시키는 것은, 파인 변조된 펄스의 주파수를 감소시키는 것에 비해, RF 간섭의 감소 효과가 크다. 코어스 변조된 펄스를 감소시킴으로써 RF 간섭을 낮출 수 있지만, 출력 신호에 왜곡이 생기게 된다. 그러나, 파인 변조된 펄스를, 종래 기술에서 사용된 주파수와 같은 허용가능한 주파수로 유지함으로써, 코어스 변조된 펄스의 감소된 주파수에 의해 생기는 왜곡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파인 변조된 펄스는 예측성의 왜곡 완화(predictive distortion mitigation)가 적용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이것은 도 3의 궤적(307, 308)으로 볼 수 있는데, 코어스 변조된 V+ 펄스의 주파수는 RF 간섭을 낮추도록 감소되며, 파인 변조된 펄스는 도 2에서의 동일 주파수의 펄스로 유지된다. 요약하면, RF 간섭을 감소시키는 것은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RF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코어스 신호의 샘플링 레이트를 감소시키는 것은 저비용의 스위칭 증폭기이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스위칭 증폭기와 함께 사용되는, 비싼 출력 필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1의 변조기(107)는 레퍼런스 전압 펄스의 샘플링 레이트에 대한 V+ 펄스의 샘플링 레이트를 조절하기 위해 어느 정도 복잡도가 증가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코어스 펄스 듀티 사이클은 주파수를 감소시켜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도 3에서, 코어스 변조된 펄스의 샘플링 레이트가 감소되었지만, 듀티 사이클(duty cycle)은 도 2의 코어스 변조된 펄스에 비례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궤적(307, 308)의 코어스 변조된 V+ 펄스는 도 2의 궤적(207, 208)에서의 코어스 변조된 V+ 펄스에 비해, 길이는 두 배이고 주파수는 절반이다. 도 3의 궤적(307, 308)의 결과적인 완전성(integral)은 도 2의 궤적(207, 208)의 완전성과 등가이지만, 방출 주파수는 절반으로 감소된다. 도 2는 길이가 두 배이고 주파수가 절반인 코어스 변조된 V+ 펄스를 나타내고 있지만,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펄스를 다른 값만큼 길게 하거나 줄일 수 있다는 것이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실시예에서, 코어스 변조된 신호의 길이와 주파수는 부하(119)에 대한 동일 출력 신호를 나타낼 것이다. 궤적(307, 30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파인 변조된 레퍼런스 전압의 출력 샘플링 주파수는 도 2에 나타낸 것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는다. 따라서, 파인 변조된 레퍼런스 전압 펄스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샘플링 레이트를 감소시킴으로써 생기는 왜곡을 보완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도 1의 전압 구성은 다른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일실시예에서, V+ 전원은 접지로 해도 되고, 도 1에 나타낸 접지를 음의 전압으로 해도 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1의 V+를 음의 전압으로서 포함해도 된다.
개시한 방법에 의하면, 다중-레퍼런스 스위칭 증폭기의 RF 간섭을, 대역폭에서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하여 개시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경 및 변경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잘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한받지 않는다.

Claims (23)

  1. 제1 전압에 접속되어 동작할 수 있으며, 부하(load)에 접속되어 동작할 수 있도록 된 제1 세트의 스위칭 소자(switching device);
    제2 전압에 접속되어 동작할 수 있으며, 상기 부하에 접속되어 동작할 수 있도록 된 제2 세트의 스위칭 소자;
    제3 전압에 접속되어 동작할 수 있도록 된 제3 세트의 스위칭 소자; 및
    입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 단자 및 상기 스위칭 소자의 각각에 접속된 출력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제1 전압 및 제2 전압을 상기 부하에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1 세트의 스위칭 소자를 제1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로 제어하고, 상기 제2 세트의 스위칭 소자를 제2 샘플링 레이트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변조기(modulator)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샘플링 레이트는 상기 제2 샘플링 레이트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증폭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의 스위칭 소자는 상기 부하에 대한 파워의 공급을 코어스 제어(coarse control)하며, 상기 제2 세트의 스위칭 소자는 상기 부하에 대한 파워의 공급을 파인 제어(fine control)하는, 스위칭 증폭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의 스위칭 소자 중의 제1 스위칭 소자는 상기 부하의 제1 단자에 직접 접속되어 동작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세트의 스위칭 소자 중의 제1 스위칭 소자는 상기 부하의 제2 단자에 직접 접속되어 동작할 수 있도록 된, 스위칭 증폭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은 상기 제2 전압보다 큰 전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스위칭 증폭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기는 상기 제1 세트의 스위칭 소자를, 상기 제2 세트의 스위칭 소자의 제2 샘플링 레이트의 절반에 해당하는 제1 샘플링 레이트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스위칭 증폭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의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2 세트의 스위칭 소자의 듀티 사이클(duty cycle)은, 상기 입력 신호의 코어스(coarse) 특징과 파인(fine) 특징에 의해 정해지는, 스위칭 증폭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세트의 스위칭 소자는 상기 부하에 디폴트(default) 전압 상태를 제공하는, 스위칭 증폭기.
  8. 제1 레퍼런스 전압, 제2 레퍼런스 전압, 및 제3 레퍼런스 전압;
    상기 레퍼런스 전압 중 하나와 제1 출력 노드에 접속되는 제1 세트의 제어 스위치;
    상기 레퍼런스 전압 중 하나와 제2 출력 노드에 접속되는 제2 세트의 제어 스위치; 및
    입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 단자, 상기 제1 세트의 제어 스위치에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제1 출력 단자, 및 상기 제2 세트의 제어 스위치에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제2 출력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세트의 제어 스위치와 상기 제2 세트의 제어 스위치에 대한 복수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변조기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어 신호는 상기 제어 스위치를 활성화(activate)하여, 변조된 펄스폭을 갖는 레퍼런스 전압(reference voltage)의 펄스를 상기 제1 출력 노드 및 상기 제2 출력 노드에 제공하도록 하며,
    상기 제1 레퍼런스 전압에 접속된 제어 스위치는 상기 제2 레퍼런스 전압에 접속된 제어 스위치에 비해 낮은 주파수에서 펄스폭을 변조하는, 스위칭 증폭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퍼런스 전압에 접속된 제어 스위치는 상기 제1 출력 노드 및 상기 제2 출력 노드에 대한 파워의 공급을 코어스 제어하고, 상기 제2 레퍼런스 전압에 접속된 제어 스위치는 상기 제1 출력 노드 및 상기 제2 출력 노드에 대한 파워의 공급을 파인 제어하는, 스위칭 증폭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퍼런스 전압에 접속된 제어 스위치는 상기 펄스폭을 낮은 주파수에서 변조함으로써, 출력 신호에 영향을 줄 만한 왜곡(distortion)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전자기 간섭(electromagnetic interference)을 감소시키는, 스위칭 증폭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의 제어 스위치 중의 제1 제어 스위치와 제2 제어 스위치는, 상기 제1 출력 노드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세트의 제어 스위치 중의 제1 제어 스위치와 제2 제어 스위치는 상기 제2 출력 노드에 접속된, 스위칭 증폭기.
  12. 제8항에 있어서,
    파인 변조(fine modulation)에 의해, 주파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생기는 왜곡을, 예측적인 왜곡 제거(predictive distortion removal)에 의해 제거하는, 스위칭 증폭기.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의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2 세트의 스위칭 소자의 듀티 사이클은, 상기 입력 신호의 코어스 특징과 파인 특징에 의해 정해지는, 스위칭 증폭기.
  14. 스위칭 증폭기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스위칭 증폭기의 입력 단자에 입력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제1 기간 중에, 상기 스위칭 증폭기의 제1 출력에, 펄스폭 변조된 복수의 제1 전압 펄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간 중에, 상기 스위칭 증폭기의 제2 출력에, 펄스폭 변조된 복수의 제2 전압 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펄스폭 변조된 상기 제1 전압 펄스의 전압은 펄스폭 변조된 상기 제2 전압 펄스의 전압보다 크고,
    펄스폭 변조된 상기 제1 전압 펄스는, 펄스폭 변조된 상기 제2 전압 펄스가 상기 제2 출력에 접속되는 것보다 낮은 주파수에서 상기 제1 출력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증폭기의 동작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제2 기간 중에, 상기 스위칭 증폭기의 상기 제1 출력에, 펄스폭 변조된 복수의 제3 전압 펄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간 중에, 상기 스위칭 증폭기의 상기 제2 출력에, 펄스폭 변조된 복수의 제4 전압 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펄스폭 변조된 상기 제4 전압 펄스의 전압은 펄스폭 변조된 상기 제3 전압 펄스의 전압보다 높고,
    펄스폭 변조된 상기 제4 전압 펄스는, 펄스폭 변조된 상기 제3 전압 펄스가 상기 제1 출력에 접속되는 것보다 낮은 주파수에서 상기 제2 출력에 접속되는, 스위칭 증폭기의 동작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펄스폭 변조된 상기 제1 전압 펄스는 상기 증폭기의 출력에 대한 파워의 공급을 코어스 제어하고, 펄스폭 변조된 상기 제2 전압 펄스는 상기 증폭기의 출력에 대한 파워의 공급을 파인 제어하는, 스위칭 증폭기의 동작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펄스폭 변조된 상기 제2 전압 펄스는 주파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생기는 왜곡을, 예측적인 왜곡 제거에 의해 제거하는, 스위칭 증폭기의 동작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의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2 세트의 스위칭 소자의 듀티 사이클은, 상기 입력 신호의 코어스 특징과 파인 특징에 의해 정해지는, 스위칭 증폭기의 동작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는 스피커(speaker)인, 스위칭 증폭기의 동작 방법.
  20. 부하(load); 및
    (i)제1 전압에 접속되어 동작할 수 있으며, 상기 부하에 접속되어 동작할 수 있도록 된 제1 세트의 스위칭 소자;
    (ii)제2 전압에 접속되어 동작할 수 있으며, 상기 부하에 접속되어 동작할 수 있도록 된 제2 세트의 스위칭 소자;
    (iii)제3 전압에 접속되어 동작할 수 있도록 된 제3 세트의 스위칭 소자; 및
    (iv)입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 단자 및 상기 스위칭 소자의 각각에 접속된 출력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제1 전압 및 제2 전압을 상기 부하에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1 세트의 스위칭 소자를 제1 샘플링 레이트로 제어하고, 상기 제2 세트의 스위칭 소자를 제2 샘플링 레이트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변조기
    를 구비하는 스위칭 증폭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샘플링 레이트는 상기 제2 샘플링 레이트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는 스피커인, 시스템.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의 스위칭 소자는 상기 부하에 대한 파워의 공급을 코어스 제어하며, 상기 제2 세트의 스위칭 소자는 상기 부하에 대한 파워의 공급을 파인 제어하는, 시스템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기는 상기 제1 세트의 스위칭 소자를, 상기 제2 세트의 스위칭 소자의 제2 샘플링 레이트의 절반에 해당하는 제1 샘플링 레이트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시스템.
KR1020097016837A 2007-02-01 2008-02-01 스위칭 증폭기의 샘플링 주파수 감소 시스템 및 방법 KR1011228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8766207P 2007-02-01 2007-02-01
US60/887,662 2007-02-01
PCT/US2008/052827 WO2008095173A1 (en) 2007-02-01 2008-02-01 Sampling frequency reduction for switching amplifi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935A true KR20090103935A (ko) 2009-10-01
KR101122847B1 KR101122847B1 (ko) 2012-03-22

Family

ID=3941542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7468A KR101122390B1 (ko) 2007-02-01 2008-02-01 스위칭 증폭기용 샘플링 주파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0097016837A KR101122847B1 (ko) 2007-02-01 2008-02-01 스위칭 증폭기의 샘플링 주파수 감소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7468A KR101122390B1 (ko) 2007-02-01 2008-02-01 스위칭 증폭기용 샘플링 주파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076971B2 (ko)
EP (2) EP2108218A1 (ko)
JP (2) JP4875170B2 (ko)
KR (2) KR101122390B1 (ko)
CN (2) CN101652924B (ko)
WO (2) WO20080951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027B1 (ko) * 2012-05-11 2015-02-24 누보톤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오디오 시스템 및 그 안에 클래스 d 증폭기를 가지는 집적 회로 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390B1 (ko) 2007-02-01 2012-03-23 제이엠 일렉트로닉스 엘티디. 엘엘씨 스위칭 증폭기용 샘플링 주파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8306096B2 (en) * 2009-06-26 2012-11-06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reduction using variable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sampling rates
US8330541B2 (en) 2011-03-01 2012-12-11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Multilevel class-D amplifier
CN102843110B (zh) * 2011-06-22 2016-02-24 无锡闻德科技有限公司 三电平d类音频功率放大器
US8643436B2 (en) * 2011-11-22 2014-02-04 Analog Devices, Inc. Multi-level boosted Class D amplifier
EP2654205B1 (en) * 2012-04-16 2016-08-17 Nxp B.V. Class D Amplifiers
US10673397B2 (en) * 2017-03-01 2020-06-02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Operational amplifier
WO2020214856A1 (en) 2019-04-17 2020-10-22 Bard Access Systems, Inc. Catheter securement device including extended anchor pad and release liner clasping features
KR20240030015A (ko) 2022-08-29 2024-03-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위칭 노이즈 감소를 위한 다중 레퍼런스 스위칭 증폭기의 변조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9467A (en) * 1995-01-27 1996-09-2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Digital, pulse width modulation audio power amplifier with noise and ripple shaping
US5663647A (en) * 1995-12-29 1997-09-02 General Electric Company Switching gradient amplifier with adjustable DC bus voltage
DE19837439C2 (de) * 1998-08-18 2000-07-13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zeugen von Ansteuersignalen für eine Leistungsendstufe und Leistungsendstufe
US6031746A (en) * 1998-09-04 2000-02-29 General Electric Company Switching amplifier for generating continuous arbitrary waveforms f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coils
CN1199349C (zh) * 1998-11-12 2005-04-27 拉里·科恩 多基准高精度开关放大器
JP3527133B2 (ja) * 1999-04-15 2004-05-17 シャープ株式会社 1ビット信号再生装置
KR20020056877A (ko) * 2000-05-25 2002-07-10 롤페스 요하네스 게라투스 알베르투스 로직 회로, 푸시 풀 증폭기, 로직 상태의 시퀀스 수행방법 및 핸드셰이킹 방법
US6593807B2 (en) * 2000-12-21 2003-07-15 William Harris Groves, Jr. Digital amplifier with improved performance
JP3772970B2 (ja) * 2001-10-29 2006-05-10 ソニー株式会社 D/a変換器および出力増幅回路
DE60317299T2 (de) * 2003-02-17 2008-08-28 D&M Holdings, Inc., Sagamihara Pulsbreitenmodulationsverstärker
JP4197988B2 (ja) * 2003-06-03 2008-12-17 シャープ株式会社 オーディオ再生装置
JP4791740B2 (ja) * 2005-03-14 2011-10-12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デジタルスイッチングアンプ
JP2008535433A (ja) * 2005-04-07 2008-08-28 エヌエックスピー ビー ヴィ スイッチング増幅器及び負荷を備える装置
KR101122390B1 (ko) * 2007-02-01 2012-03-23 제이엠 일렉트로닉스 엘티디. 엘엘씨 스위칭 증폭기용 샘플링 주파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027B1 (ko) * 2012-05-11 2015-02-24 누보톤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오디오 시스템 및 그 안에 클래스 d 증폭기를 가지는 집적 회로 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71398B2 (ja) 2012-02-08
CN101652924A (zh) 2010-02-17
JP2010518706A (ja) 2010-05-27
KR101122390B1 (ko) 2012-03-23
EP2108218A1 (en) 2009-10-14
US20100102881A1 (en) 2010-04-29
WO2008095173A1 (en) 2008-08-07
WO2008095181A1 (en) 2008-08-07
US8044715B2 (en) 2011-10-25
JP2010518708A (ja) 2010-05-27
US8076971B2 (en) 2011-12-13
EP2108219A1 (en) 2009-10-14
KR20090104879A (ko) 2009-10-06
CN101652924B (zh) 2013-03-06
CN101647199A (zh) 2010-02-10
JP4875170B2 (ja) 2012-02-15
KR101122847B1 (ko) 2012-03-22
US20100001794A1 (en) 2010-01-07
CN101647199B (zh) 2013-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2847B1 (ko) 스위칭 증폭기의 샘플링 주파수 감소 시스템 및 방법
KR100604967B1 (ko) 전력 증폭기 회로
US7944297B2 (en) Class D amplifier
US7855599B2 (en) Power amplifier
WO2010089971A1 (ja) 電力増幅器及び電力増幅方法
US20020097091A1 (en) Class D audio amplifier
US9444419B2 (en) Boosted differential class H amplifier
US201303005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less class d audio amplifier emi reduction
US20200228075A1 (en) Class d amplifier current feedback
US7161421B2 (en) Volume control in class D amplifier using variable supply voltage
US20070024361A1 (en) Systems for pseudo-BD modulation
US20220115997A1 (en) Audio circuit, electronic device and vehicle audio system with the audio circuit
US7388431B2 (en) Switching ampl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20070798A1 (en) Charge injection reduction technique in single and multi-reference switching amplifiers
JP2009284413A (ja) ディジタル電力増幅器
US6342809B1 (en) Closed loop circuit switch mode power amplifier
JP5419792B2 (ja) 高周波増幅装置
CN112165308A (zh) 边沿控制电路及其驱动方法和电子设备
CN106330115A (zh) 一种功率放大器
JP2001196864A (ja) 増幅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