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3925A - 디지털 콘텐트를 보관하는 장치와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콘텐트를 보관하는 장치와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3925A
KR20090103925A KR1020097015670A KR20097015670A KR20090103925A KR 20090103925 A KR20090103925 A KR 20090103925A KR 1020097015670 A KR1020097015670 A KR 1020097015670A KR 20097015670 A KR20097015670 A KR 20097015670A KR 20090103925 A KR20090103925 A KR 20090103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content
card
primary
memory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5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르데차이 테이처
에얄 비츠코브
Original Assignee
샌디스크 아이엘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샌디스크 아이엘 엘티디 filed Critical 샌디스크 아이엘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90103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392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46Horizontal data movement in storage systems, i.e. moving data in between storage devices or systems
    • G06F3/065Replication mechanis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20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 G06F11/2053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where persistent mass storage functionality or persistent mass storage control functionality is redundant
    • G06F11/205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where persistent mass storage functionality or persistent mass storage control functionality is redundant by mirroring
    • G06F11/2087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where persistent mass storage functionality or persistent mass storage control functionality is redundant by mirroring with a common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14Improving the reliability of storage systems
    • G06F3/0616Improving the reliability of storage systems in relation to life time, e.g. increasing Mean Time Between Failures [MTB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14Improving the reliability of storage systems
    • G06F3/0619Improving the reliability of storage systems in relation to data integrity, e.g. data losses, bit err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83Plurality of storage devices
    • G06F3/0688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array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34Determination of programming status, e.g. threshold voltage, overprogramming or underprogramming, retention
    • G11C16/3418Disturbance prevention or evaluation; Refreshing of disturbed memory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166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where the redundant component is memory or memory are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20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 G06F11/2002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where interconnections or communication control functionality are redundant
    • G06F11/2005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where interconnections or communication control functionality are redundant using redundant communication controll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20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 G06F11/2002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where interconnections or communication control functionality are redundant
    • G06F11/2007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where interconnections or communication control functionality are redundant using redundant communication medi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20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 G06F11/2053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where persistent mass storage functionality or persistent mass storage control functionality is redundant
    • G06F11/2089Redundant storage control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개선된 메모리 카드는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콘텐트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1차 메모리, 2차 메모리 및 1차 제어기를 포함한다. 1차 제어기는 1차 메모리 카드상에만, 2차 메모리 카드 상에만, 또는 두 메모리들 상에 콘텐트를 선택적으로 기록하도록 구성된다. 개선된 메모리 카드는 또한, 1차 메모리, 2차 메모리, 1차 호스트 인터페이스 및 1차 제어기를 동봉하는 인클로저를 포함한다. 개선된 메모리 카드는 또한, 사용자 조작 가능한 모드 스위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사용자 조작 가능한 모드 스위치는 "완전 용량" 모드와 "완전 리던던시"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 가능하다. "완전 용량" 모드에서 2차 메모리는 진짜 콘텐트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되는 반면, "완전 리던던시" 모드에서 2차 메모리는 1차 메모리 상에 기록된 콘텐트를 백업하기 위해 사용된다. 콘텐트 보관을 위한 것과 같이 개선된 메모리 카드들 및 종래의 메모리 카드들을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슈박스가 또한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지털 콘텐트를 보관하는 장치와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RCHIVING DIGITAL CONTENT}
본 발명은, 데이터를 보관하는 것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거 가능한 메모리 카드에 사용자 생성 데이터를 보관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은 개인용 디지털 콘텐트를 생성하기 위해 휴대용 디지털 스틸 및 비디오 카메라들과 디지털 음성 레코더들을 작동시킨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어플라이언스들(appliances)은 제거 가능한 메모리 카드들 상에 콘텐트를 기록한다. 콘텐트 기록의 세션을 완료한 후에, 또는 메모리 카드가 가득 채워질 때, 사용자들은 일반적으로, 시청하거나, 청취하거나, 편집하거나, 인쇄하거나, 보관하거나, 또는 인터넷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광 디스크 상으로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기 위해 메모리 카드의 콘텐트를 개인용 컴퓨터에 복사한다. 일반적으로, 메모리 카드 또는 메모리 카드 상의 공간은 그 후에 부가의 콘텐트를 기록하기 위해 비어 있고 재사용된다.
흔히, 기록된 콘텐트는 개인용 메모리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콘텐트는 재생될 수 없고, 따라서, 할아버지와 할머니의 사진첩처럼, 수십 년, 심지어는 수백 년 동안 조심스럽게 보관되고 보호되어야 한다. 빛바랜 흑백 사진들은 수십 년 및 수백 년의 저장을 지속하는 것으로 판명되었지만, 디지털로 저장된 콘텐트는, 이들이 저장된 하드 디스크가 깨지거나, 저장 미디어가 질이 떨어지거나, 구식이 된 저장 미디어로 인해, 즉 하드웨어 또는 프로토콜 표준들의 발전으로 인해 액세스할 수 없게 되는 경우에 소실되거나 손상될 수 있다.
"디지털 보존(Digital preservation)"은 디지털 데이터의 장기간 보존을 위한 알려진 분야이다. 디지털 보존은, 저장 품질 저하를 극복하기 위해 데이터의 새로운 복사(fresh copy)가 수행되는 리프레시(refreshing); 더 새로운 프로토콜 또는 하드웨어와 매칭하기 위해 데이터가 변환되는 이전(migration); 오리지널 사본으로부터 별도로 리던던트 사본들이 생성되고 저장되는 복제(replication); 및 도난, 담금질, 화재, 자연 재해들 등으로부터의 물리적 보호(physical protection)와 같은 방식을 사용한다.
플래시 메모리 카드들 상에 처음 기록된 개인용 디지털 콘텐트의 보존은 통상적으로, 메모리 카드와 별도로 자기 또는 광 디스크들 상에서 행해진다. 이것은, 플래시 메모리 저장어플라이언스의 메가바이트당 가격은 자기 또는 광 저장어플라이언스의 가격보다 실질적으로 높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기 디스크들은 통상적으로 수년 이상을 지속하지 못할 것이다. 자기 디스크 콘텐트의 정기적인 복사는 저장된 콘텐트의 수명을 영원히 연장할 수 있지만, 많은 사용자들은 필요한 과정들을 엄격히 따르지 못할 것이다. 광 디스크들은 일반적으로 깨지는 경향이 없지만, 이들은 콘텐트를 분류하고 액세스하기 위해 비교적 복잡한 절차들을 요구한다. 광 디스크들은 수명이 다양하다. 또한, 광 디스크들의 콘텐트는 편리한 방식으로 액세스할 수 없고, 광 디스크들의 품질은 모니터링될 수 없다.
메모리 카드들의 떨어진 가격들로 인해, 사용자들은, 새로운 콘텐트를 기록하기 위해 메모리 카드들을 계속 재사용하는 대신에, 기록된 콘텐트를 위한 전용의 장기간 저장어플라이언스로서 메모리 카드들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NAND 플래시 메모리 카드들에 저장된 콘텐트는, 수년 후에는, 카드 설계, 플래시 형태, 카드가 사용되는 범위 및 주위 온도에 따라 품질 저하될 수 있고 되돌릴 수 없이 손상될 수 도 있다.
1회 프로그램 가능한(OTP: one-time programmable) 고상 메모리들에 의해 양호한 수명이 제공된다. OTP 기술을 사용하는 메모리 카드들은 "1회 기록/다수 판독(write once/read many)"(WORM) 기능을 제공한다. OTP 카드들의 더 높은 수명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용자들은, 부가의/새로운 콘텐트를 위한 공간을 비우기 위해 원하지 않는 콘텐트를 선택적으로 삭제하거나, 또는 전체 콘텐트들을 하드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에 복사하고 새로운 콘텐트 기록을 위해 카드를 재사용하기 위하여 종래의 재기록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 카드들에 의해 제공되는 유연성을 여전히 더 좋아한다.
기록된 콘텐트의 장기간 보관을 위한 요구 및 소망이 콘텐트의 성질에 따라 크게 변하는 것을 알 것이다. 예를 들면, 불충분한 조명 상태들 하에서 중요하지 않은 사건 또는 실험들을 위해 찍은 사진들 및 비디오들은 처분할 수 있지만, 결혼식, 가족 행사, 여행 또는 친목회에서 찍은 사진들과, 진기한 자연 현상 속의 아이의 사진 또는 탁월한 품질의 사진들은 처분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된다. 그리고, 처분할 수 있는 것에서 처분할 수 없는 것까지의 연속물을 따라, 사용자들이 스스로 결정하기를 원할 수 있는 많은 중요도들이 있을 수 있다. 특정 사건에서 찍은 일련의 사진들 또는 비디오들 내에서도, 사용자들이 유지하기를 바라는 어떤 사진들 또는 비디오들과 삭제하기를 바라는 다른 것들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콘텐트를 기록하고 보관하기 위해 OTP 카드들을 사용함으로써, 많은 사용자들에게 또는 많은 환경들 하에서 부적당한 것으로 판명날 수 있다.
따라서, 상술된 제한들이 없는 디지털 콘텐트의 디지털 보존을 위한 해결책이 필요하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일반적 레이아웃 및 기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일반적 레이아웃 및 기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슈박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의 디지털 슈박스를 작동시키는 예시적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3의 디지털 슈박스를 작동시키는 다른 예시적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3의 디지털 슈박스를 작동시키는 또 다른 예시적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메모리 카드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디지털 콘텐트가 기록되는 메모리 카드들을 사용하여 디지털 콘텐트를 보관하기 위한 시스템들,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을 제공한다.
"디지털 콘텐트" 또는 생략해서 "콘텐트"는 사용자에 의해 얻어지는 디지털 데이터를 의미한다. "얻어지는"은 생성되거나, 캡처되거나, 수신되거나, 구매되거나 또는 획득되는 것을 의미한다. 디지털 콘텐트의 예들은, 사진들, 비디오들, 음향 기록들, 메시지 기록들, 워드 프로세스 파일들, 전자 메일들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디지털 어플라이언스" 또는 생략해서 "어플라이언스"는 콘텐트를 얻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휴대용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디지털 스틸 및 비디오 카메라들, 음성 레코더들, 콘텐트 기록 능력들을 가진 셀룰러 전화들, 팜-탑 컴퓨터들(palm-top computers) 등이 예시적인 디지털 어플라이언스들이다.
"컴퓨터"는 이전에 얻어진 디지털 콘텐트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작동 가능한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디지털 콘텐트를 사용하는 것"은 디지털 콘텐트를 시청, 처리, 조작, 인쇄, 복사 및 전송과 같은 동작들을 의미한다. 디지털 어플라이언스 및 컴퓨터는, 필요 없을지라도, 공동 디바이스에 임베딩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는 사진을 찍고(어플라이언스 역할을 함), 사진을 보는 것(컴퓨터 역할을 함) 둘다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메모리 카드 상으로 콘텐트를 기록하기 위한 키보드, 마이크로폰 또는 카메라와 같은 입력 디바이스들과, 메모리 카드들 상에 기록된 콘텐트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주변기기들을 포함하는 노트북 컴퓨터이다.
"호스트"는 메모리 카드에 기능적으로 접속 가능한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어플라이언스들 및 컴퓨터들은 예시적인 호스트들이다.
"제거 가능한 메모리 카드" 또는 교환 가능하게 "메모리 카드" 또는 "카드"는 디지털 콘텐트를 얻고 사용하기 위한 호스트들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제거 가능한 랜덤 액세스 비휘발성 저장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현재, 가장 흔한 메모리 카드들은 저장을 위해 NAND 플래시 기술을 사용하고, CompactFlash, MultiMediaCard, SecureDigital, MemoryStick 등과 같은 표준들에 따라 구성된다. 다른 메모리 카드들은, 일반적으로 더욱 양호한 데이터 보존력을 제공하는 OTP(one-time programmable)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과 관련되는 한, 메모리 카드들은 특정 기술 또는 표준에 제한되지 않음을 알 것이다. 특히, UFD(USB 플래시 디스크)와 같은 휴대용 메모리 디바이스들은 현재의 맥락에서는 "카드들(cards)"로 간주된다.
"디지털 슈박스(digital shoebox)" 또는 생략해서 "슈박스"는 복수의 제거 가능한 메모리 카드들을 보관하기 위한 컨테이너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RAID"는 독립 디바이스들의 리던던트 어레이(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rives)에 관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기술에 관련되며, 특히 예를 들면 RAID-1 표준하에서 데이터 백업을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두 디스크들을 투명하게 미러링하는 것에 관련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로서, 새로운 메모리 카드가 제공된다(본 명세서에서 "개선된 메모리 카드"라고 칭해짐). 본 개시내용의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개선된 메모리 카드는 1차 메모리; 2차 메모리;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콘텐트를 수신하기 위한 1차 호스트 인터페이스; 및 1차 메모리 카드 상에만 또는 2차 메모리 카드 상에만, 또는 두 메모리 카드들 상에 콘텐트를 선택적으로 기록하도록 구성된 1차 제어기를 포함한다. 1차 메모리, 2차 메모리, 1차 호스트 인터페이스 및 1차 제어기는 공동 인클로저(enclosure)에 물리적으로 동봉되거나 패키징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개선된 메모리 카드는 또한, 1차 호스트 인터페이스를 백업하기 위한 2차 호스트 인터페이스와; 1차 제어기를 백업하기 위한 2차 제어기를 포함한다. 2차 호스트 인터페이스 및 2차 제어기는 1차 호스트 인터페이스 또는 1차 제어기 또는 둘다가 고장난 경우에도 호스트 디바이스로부터 2차 메모리로의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 카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완전 용량 모드와 완전 리던던시(즉, 백업)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 가능한 모드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1차 메모리, 또는 2차 메모리, 또는 메모리들 둘다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카드 상태 표시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태는 (ⅰ) 메모리가 비워지거나 가득 차는 상태, (ⅱ) 콘텐트가 1차 메모리가 가득 채워지는 것에 후속하여 2차 메모리 상에 기록되거나 될 수 있거나 기록된 상태 중 하나를 포함한다. "1차 메모리가 가득 채워지는 것에 후속하여 2차 메모리 상에 기록"은 1차 메모리가 가득 채워진 후에 1차 메모리의 연속적인 또는 계속적인 저장으로서 2차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태 표시기는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들(LED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1차 메모리, 또는 2차 메모리, 또는 메모리들 둘다는 1회 프로그램 가능한(OTP) 메모리이다. 다른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1차 메모리, 또는 2차 메모리, 또는 메모리들 둘다는 NAND 플래시 메모리이다. 다른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2차 메모리는 1회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이고, 2차 메모리가 상기 1차 메모리의 저장 용량보다 작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로서, 새로운 메모리 카드에 콘텐트를 기록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콘텐트를 수신하는 단계; 1차 메모리에만, 또는 2차 메모리에만, 또는 1차 및 2차 메모리들 둘다에 콘텐트를 기록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에 따라 상기 콘텐트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트가 저장되어야 할 메모리 또는 메모리들의 선택은 모드 스위치의 상태를 판독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환경들에 따라, 콘텐트는 1차 메모리가 가득 채워지는 것에 후속하여 상기 2차 메모리에 기록될 수 있거나, 메모리들 둘다에 실질적으로 동시에 기록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콘텐트기록 단계는: 메모리 카드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컴퓨터에 접속하는 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백업을 위해 1차 메모리의 콘텐트의 일부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1차 메모리의 콘텐트의 일부를 2차 메모리에 복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로서, 복수의 메모리 카드들을 수용하는 카드 구획부(card compartment) 및 복수의 메모리 카드들에 유지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슈박스 제어기를 포함하는 디지털 슈박스가 제공된다. 메모리 카드들을 유지하는 것은 미디어 품질 모니터링 단계(즉, 복수의 메모리 카드들의 품질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복수의 메모리 카드들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규정된 임계값 아래로 떨어지는 미디어 품질을 가지는 경우 사용자 조정을 위해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유지하는 것은 또한, 복수의 메모리 카드들 중 하나 이상의 콘텐트를 내부적으로(즉, 카드의 2차 메모리에) 또는 외부적으로(즉, 다른 메모리 카드에 또는 디지털 슈박스에 접속되어 있는 외부 백업 저장 디바이스에)백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유지하는 것은 또한, 복수의 메모리 카드들 중 하나 이상의 콘텐트를 리프레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슈박스 제어기는 특별한 메모리 카드의 콘텐트에 대한 백업 저장 공간을 제공하고 콘텐트 무결성 또는 미디어 품질이 미리 규정된 임계값 아래로 감소한 메모리 카드를 대체하기 위해 부가의 메모리 카드를 추가하도록 디지털 슈박스의 사용자에게 촉구할 수 있다. 유지하는 것은 콘텐트 무결성에 대해 메모리 카드들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하기의 청구항은 예시적 실시예들의 본원의 상세한 기술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이 기술은 청구항들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어서는 안 되며, 대신에 예들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의도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시적 실시예들은 다음의 기능들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한다: 복수의 메모리 카드들을 수용하거나 받아들이고 이들을 호스트(예를 들면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단일 가상 디스크에 논리적으로 통합하는 디지털 슈박스; 복수의 메모리 카드의 품질을 모니터링하고, 수용된 메모리 카드들 내에 저장된 콘텐트를 기계적으로 리프레시하고, 카드들 내 또는 이들 사이에서 백업을 관리하고, 데이터 무결성, 저장 품질, 또는 불충분한 백업 저장 공간의 문제점들을 검출시 사용자 조정을 위해 호출하는 유지 루틴; 및 내장된 리던던시 능력을 가진 메모리 카드.
시스템
지금부터 도 1을 참조한다. 시스템(100)은 제거 가능한 메모리 카드(120)와 같은 복수의 제거 가능한 메모리 카드들, 어플라이언스(160)와 같은 하나 이상의 어플라이언스들, 디지털 슈박스(180)와 같은 하나 이상의 디지털 슈박스들, 및 컴퓨터(200)와 같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들을 포함한다. 디지털 슈박스(180)는 컴퓨터(200)를 선택하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거 가능한 메모리 카드(120)는 콘텐트를 기록하기 위해 어플라이언스(160)에 제거 가능하게 삽입되거나, 이와 연계될 수 있고, 그 후에 (바람직하다면), 디지털 콘텐트의 장기간 보관을 위해 디지털 슈박스(180)에 수용될 수 있다. 디지털 슈박스(180)는 하나 이상의 제거 가능한 메모리 카드(120)로부터 수신된 콘텐트를 사용하거나, 또는 이들 메모리 카드들이 디지털 슈박스(180) 내에 수용되는 동안 이들 메모리 카드들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또는 저장 미디어 품질을 모니터링하거나 메모리 카드들의 유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컴퓨터(200)에 제거 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다. 메모리 카드들의 상태는 예를 들면 메모리가 비어 있거나 가득 채워지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거 가능한 메모리 카드(120)는 호스트(어플라이언스(160)와 같이)가 종래의 방식으로 콘텐트를 기록, 판독 및 삭제할 수 있게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124)를 포함한다. 메모리(124)는 예를 들면 재기록 가능한 NAND 플래시 메모리 또는 OTP(1회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가 될 수 있다. 호스트 인터페이스(132)는 예를 들면, 범용 직렬 버스(USB), CompactFlash, SecureDigital or MemoryStick 인터페이스가 될 수 있으며, 제거 가능한 메모리 카드(120)를 (i) 콘텐트를 기록하고 관리하기 위해 어플라이언스(160)에, 그리고 (ii) 하기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카드의 콘텐트를 보관하고 카드의 품질 및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리프레시 및 백업 루틴들을 유지하기 위해 디지털 슈박스(180)에 접속하는데 사용된다. 메모리(124), 제어기(128) 및 호스트 인터페이스(132)가 공동 인클로저(122)에 패키징되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시적 실시예들에서, 제거 가능한 메모리 카드(120)는 종래의 메모리 카드이다. 일부 예시적 실시예들에서, 제어기(128)는 하기에 기술되는 모니터링 및/또는 리프레시 처리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취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들에서, 메모리 카드는 하기에 도 2와 함께 기술되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백업 메모리를 포함하는 개선된 구성을 가진다.
예를 들면, 디지털 스틸 또는 비디오 카메라, 음성 레코더, 셀룰러 전화 또는 휴대용 컴퓨터가 될 수 있는 어플라이언스(160)는 디지털 콘텐트를 기록하기 위해 제거 가능한 메모리 카드(120)를 일시적으로 수용한다. 어플라이언스(160)는 통상적으로, 접속 링크(154)를 통해 제거 가능한 메모리 카드(120)와의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카드 인터페이스(162); 그러한 통신을 유지하기 위한 처리기(164); 카메라, 음성 레코더 메커니즘, 또는 콘텐트를 생성하기 위한 키보드와 같은 콘텐트 생성기(168); 상술된 유닛들에게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170)을 포함한다.
디지털 슈박스(180)는 다수의 제거 가능한 메모리 카드들(120)을 수용하고, 제거 가능한 메모리 카드(120)의 호스트 인터페이스(132)와 호환 가능한 각각의 통신 링크(150)를 통해 다수의 수용된 제거 가능한 메모리 카드들 중 각 하나와 인터페이싱하도록 설계된다. 통신 링크(150)는 예를 들면, 범용 직렬 버스(USB), CompactFlash, SecureDigital or MemoryStick 표준에 따를 수 있다.
컴퓨터(200)는 디지털 슈박스(180)를 제어하고, 메모리 카드들에 저장된 콘텐트를 사용하기 위해 편리한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Graphical User Interface - GUI)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슈박스(180)에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 실시예들에서, 컴퓨터(200)는 단일 메모리 디스크로서 디지털 슈박스(180)에 수용되는 카드들을 논리적으로 처리하며("보거나", 다루거나 또는 이와 상호작용함), 사진, 비디오 세그먼트 또는 클립, 오디오 세그먼트, 또는 워드 프로세스 문서와 같은 콘텐트 항목들은 예를 들면, 종래의 방식으로 브라우징, 디스플레이/청취, 인쇄, 복사, 이메일 등이 됨으로써 개별적으로 액세스되고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컴퓨터(200)는 디지털 슈박스(180)와의 인터페이싱에 전용인 컴퓨터 또는 적당한 소프트웨어를 가진 범용 개인용 컴퓨터(PC)가 될 수 있다. 컴퓨터(200)는 어플라이언스(160)에 임베딩될 수 있으며, 이 어플라이언스는 예를 들면, 디지털 슈박스(180) 내에 수용된 카드들 중 하나에 이미 저장된 콘텐트를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전화에 전송하는 것과 같이, 콘텐트를 얻고(즉, 디지털 카메라를 통해), 얻은 콘텐트를 사용하는데 모두 사용될 수 있는 셀룰러 전화가 될 수 있다.
개선된 메모리 카드
도 2는, 슈박스에 수용되거나 받아들여질 메모리 카드들(120R로 도시됨) 중 적어도 하나가 개선된 메모리 카드이고, 디지털 슈박스(180A)가 또한 개선된 메모리 카드들을 수용하고 관리하도록 프로그래밍되거나, 구성되거나, 적응되거나 또는 설계되는 것을 제외하고, 도 1의 시스템(100)과 유사한 시스템(일반적으로 100A라 도시됨)을 도시한다.
개선된 메모리 카드(120R)는 1차 메모리(124A), 1차 제어기(128A), 1차 호스트 인터페이스(132A), 2차 메모리(124B), 2차 제어기(128B), 2차 호스트 인터페이스(132B)를 포함하고, 이들은 공동 인클로저(122R)에 물리적으로 패키징되어 있다. 1차 메모리 및 2차 메모리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메모리들이다. 이들은 분리된 반도체 웨이퍼들 상에 또는 분리된 다이들 상에 또는 분리된 전자 칩들에 배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마이크로 전자분야에서, "웨이퍼(wafer)"는 마이크로 회로들이 예를 들면 도핑에 의해 구성되는 실리콘 결정과 같은 반도체 재료의 박막 조각이다. 다이는 주어진 기능 회로가 제조되는 반도체 재료의 작은 블록이다. 통상적으로, 집적 회로들은 단일 웨이퍼 상에서 대량으로 제작된다. 2차 제어기(128B) 및 2차 호스트 인터페이스(132B)는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시스템의 선택적인 요소들이다. 제 1 옵션 동작 모드하에서, 개선된 메모리 카드(120R)가 디지털 슈박스(180A)에서 폐기(retire)될 때, 1차 메모리(124A)의 콘텐트의 복제는 2차 메모리(124B)에 저장된다. 이러한 방식은, 데이터가 메모리들 중 하나, 예를 들면 1차 메모리(124A)에서 손상되거나 오류가 나는 경우에, 콘텐트는 다른 메모리, 예를 들면, 2차 메모리(124B)로부터 여전히 획득 가능하거나 복구 가능할 것이다. 또한, 디지털 슈박스(180A)는 1차 메모리(124A)의 디지털 콘텐트들과 2차 메모리(124B)의 디지털 콘텐트들 사이의 불일치들을 식별하기 위해 확인 루틴들을 실행할 수 있다. 이들 사이의 완전한 매칭이 없다면, 컴퓨터(200)는 빈 메모리를 슈박스(180A)에 삽입하도록 사용자에게 촉구할 수 있고, 그러한 카드가 삽입되었다고 가정하면, 컴퓨터(200)는 디지털 슈박스(180A)로 하여금 오류가 없는 콘텐트의 복제를 빈 메모리 카드에 저장하게 할 수 있다. 개선된 메모리 카드(120R)의 다른 유리한 특징은, 콘텐트가 어플라이언스(160)로부터 개선된 메모리 카드(120R)로 기록될 때 완전 실시간 콘텐트 리던던시를 유지하는 능력이다. 때때로, 중요한 행사들에 있어서, 디지털 사진사들은 2개의 카메라들을 사용하여, 하나의 카메라가 고장나면 여전히 다른 것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그 행사가 매우 중요하면, 사진사들은 어떤 종류의 리던던시를 가지기 위해 2개의 카메라들을 사용하여 유사한 장면들을 찍는다. 그러나, 개선된 메모리 카드(120R)와 같은 개선된 메모리 카드를 사용하면 동일한 메모리 카드 내에서 리던던시를 제공한다.
실시간 리던던시를 위해, 1차 호스트 인터페이스(132A)는 1차 메모리(124A) 및 2차 메모리(124B)의 RAID-1 제어기로서 동작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에게 투명한 완전 데이터 리던던시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된 다른 특징에 관하여, 개선된 메모리 카드(120R)가 디지털 슈박스(180A)에서 폐기될 때, 데이터 리던던시가 이미 존재하여 디지털 슈박스(180A)는 상술된 데이터 복제 메커니즘을 개시하지 않는다. "메모리 카드(120R)가 디지털 슈박스(180A)에서 폐기되는 것"은 메모리 카드(120R)가 디지털 슈박스(180A)에 영구적으로 결합되거나, 메모리 카드(120R)가 영구적으로 남아 있게 하려고 디지털 슈박스(180A)에 결합되어, 다른 메모리 카드들과 단일 가상 디스크 드라이브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컴퓨터 저장 디바이스들에 대해, 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rives" (또는 디스크들))는 또한, "값싼 드라이브들의 리던던트 어레이(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rives(또는 디스크들))"로도 알려져 있으며, 다수의 하드 드라이브들 사이에서 데이터를 나누고 및/또는 복제하는 데이터 저장 방식들을 포함하는 산업 표준이다. 다수의 표준 방식들이 개발되었고 레벨들이라 칭해진다. 제 1 레벨("RAID-1"로 표시됨)은 호스트에게 투명한 방식으로 둘 이상의 디스크 상에 데이터 세트의 실제 사본(또는 미러 또는 복제)을 생성한다.
어플라이언스(160)와 같은 어플라이언스와 인터페이싱하는 개선된 메모리 카드(120R)와 같은 개선된 메모리 카드에 콘텐트를 기록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이 방법은 어플라이언스(160)로부터 콘텐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1차 메모리(124A)에만, 또는 2차 메모리(124B)에만, 또는 1차 메모리(124A)와 2차 메모리(124B) 둘다에 콘텐트를 기록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메모리에 또는 두 메모리들에 콘텐트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1차 메모리(124A)는 예를 들면 모드 스위치(138)와 같은 사용자 작동 가능한 모드 스위치의 상태를 판독함으로써,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또는 메모리들을 선택할 수 있다.
개선된 메모리 카드(120R)와 같은 메모리 카드는 여러 저장 옵션들 또는 모드들을 제공한다. 제 1 저장 옵션은 완전 리던던시(그리고, 결과적으로 절반 용량)이다. 이 옵션은 1차 메모리(124A)에서 진짜 콘텐트를 기록하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2차 메모리(124B)에 기록하는 것을 수반한다. "실질적으로 동시에"는 콘텐트를 기록하는데 사용되는 어플라이언스의 형태에 따라 병렬로, 공동으로, 또는 짧은 지연 후를 의미한다. 이러한 저장 옵션에 따라, 1차 메모리(124A)는 진짜 콘텐트를 유지하지만, 2차 메모리(124B)는 진짜 콘텐트의 사본 또는 복제를 유지한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사용자는 총 2GB(기가바이트) 저장 용량을 가진 개선된 메모리 카드(120R)와 같은 메모리 카드를 구매할 수 있고, 메모리 카드를 완전 콘텐트 리던던시를 가진 1GB 카드로 사용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2GB 메모리 카드의 첫 번째 1GB에 진짜 콘텐트를 저장하고 2GB 메모리 카드의 다른 1GB에 그 사본 또는 복제를 저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 2 저장 옵션은 완전 용량(그리고, 결과적으로 리던던시가 없음)이다. 이 옵션은 정규적인 방식으로 메모리 카드를 사용하는 것을 수반한다(제 1 옵션과 함께 설명된 바와 같이, 리던던시 또는 백업 능력을 가진 카드를 사용하는 것과는 반대임). 특히, 이 옵션은 1차 메모리(124A)에 진짜 콘텐트를 기록하기 시작하고, 1차 메모리(124A)가 가득 채워지는 것에 후속하여, 2차 메모리(124B)에 진짜 콘텐트를 계속 기록하는 것을 수반한다. 상기 예시적 2GB 카드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 2 옵션에 따라, 진짜 콘텐트를 기록하기 위해 메모리 카드의 총 용량(즉, 2GB)을 사용한다.
어떤 콘텐트가 이미 기록된 후에 제 1 옵션으로부터(즉, "완전 리던던시(full redundancy)") 제 2 옵션으로(즉, "완전 용량(full capacity)")의 스위칭은 제 3 저장 옵션을 유발한다. 제 3 옵션은 개선된 메모리 카드를 "완전 리던던시"로 초기에 설정하고(즉, 상술된 제 1 옵션에 따라), 1차 메모리(124A)에 진짜 콘텐트를 기록하기 시작하고 2차 메모리(124B)에 그 사본 또는 복제가 기록되고, 그 후에 "완전 용량"으로 스위칭하는 것을 수반한다. 제 3 옵션은, 예를 들면, 사용자가 개선된 메모리 카드(120R)에 콘텐트를 중복으로 기록하고, 어떤 지점에서, 사용자가 추가의 기록 용량을 필요로 하지만 가까이에 다른 메모리 카드를 가지지 못한 경우에 유용하다. 이 경우, 사용자는 "완전 리던던시" 옵션으로부터 "완전 용량" 옵션으로 스위칭할 수 있고, 결과 기록 거동은 1차 메모리(124A)의 상태에 의존할 것이다. 즉, 1차 메모리(124A)가 채워지면, 제 2 옵션이 제 1 옵션 대신 선택될 때(제 2 메모리(124B)도 또한 채워짐을 의미함), "완전 용량" 옵션을 현재 선택하는 것은 2차 메모리(124B)에 리던던트 콘텐트를 겹쳐쓰는 결과를 유발할 것이다. 그러나, 1차 메모리(124A)가 채워지지 않으면(제 2 메모리(124B)도 또한 채워지지 않음을 의미함), "완전 용량" 옵션을 현재 선택하는 것은 1차 메모리(124A)에 새로운 진짜 콘텐트를 기록한 후에, (즉, 1차 메모리(124A)를 채운 후), 스위칭 모드들 전에 1차 메모리(124A)에 이미 기록된 콘텐트의 리던던시를 유지하면서, 2차 메모리(124B)에서 사용 가능한 저장이(그러므로 메모리 카드(120R)에서 사용 가능한 모든 저장) 다 사용될 때까지 2차 메모리(124B)에 기록하는 것을 유발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 2차 메모리(124B)는 (ⅰ) 1차 메모리(124A)의 콘텐트의 일부를 가진 콘텐트 리던던시와 (ⅱ) 진짜 새로운 콘텐트 둘다를 포함할 것이다.1차 메모리(124A)는 2차 메모리(124B)에 백업 콘텐트가 저장되지 않은 임의의 콘텐트를 포함할 것이다.
제 2 옵션(즉 "완전 용량")으로부터 제 1 옵션(즉, "완전 리던던시")으로의 스위칭은 제 4 저장 옵셥을 유발한다. 제 4 저장 옵션은 개선된 메모리 카드를 "완전 용량"으로 초기에 설정하고(즉, 상술된 제 2 옵션에 따라), 1차 메모리(124A)에 진짜 콘텐트를 기록하기 시작하고 그 후에 "완전 리던던시"로 스위칭하는 것을 수반한다. 제 4 옵션은, 예를 들면, 사용자가 1차 메모리(124A)에 비교적 덜 중요한 콘텐트를 기록하기 시작하고, 어떤 지점에서, 1차 메모리(124A)가 완전히 소비되기 전에, 사용자가 기록하기 원하는 다음 콘텐트가 더 가치있다고 사용자가 결정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이 경우, 더욱 가치있는 콘텐트는 2차 메모리(124B)에 저장된 그 사본 또는 복제로 1차 메모리(124A)에 남겨진 저장 공간에 저장될 수 있다. "완전 용량" 옵션으로부터 "완전 리던던시" 옵션으로의 스위칭은 1차 메모리(124A)가 채워지지 않는 경우에만 행해질 수 있음을 유념한다. 그렇지 않으면(즉, 1차 메모리(124A)가 채워지는 경우), 새로운 콘텐트가 2차 메모리(124B)에만 기록될 수 있으며, 이것은 새로운 콘텐트가 리던던시 사본을 가지지 않을 것임을 의미한다.
도 2에 도시된 시스템의 선택적인 요소들인 모드 스위치(138) 및 카드 상태 표시기(136)는 상술된 다양한 옵션들에 보완적이고 보조적인 기능들을 추가한다. 모드 스위치(138), 사용자 동작 가능한 스위치는 두 위치들 사이에서 사용자에 의해 이동되거나 플리핑(flip) 될 수 있도록 설계되며, 각 위치는 각각의 모드를 표현한다: (1) 1차 메모리(124A)의 용량만을 가지는 카드로서 제공되고, 1차 메모리(124A)의 콘텐트를 백업하기 위해 2차 메모리(124B)를 유지하거나 사용하는 "절반 용량, 완전 리던던시(half capacity, full redundancy)" 모드, (2) 1차 메모리(124A)와 2차 메모리(124B) 둘다의 저장 공간을 진짜 콘텐트를 위해 허용하고 개선된 메모리 카드(120R) 완전 용량으로서 이들 용량들의 합을 제공하는 "완전 용량, 리던던시 없음(full capacity, no redundancy)" 모드. 사용자 인터페이스(134)의 일부가 될 수 있는 모드 스위치(138)는 임의의 적당한 사용자 조작 가능한 선택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134)는 카드 상태 표시기(136)와 같은 카드 상태 표시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은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LED)로서 구현될 수 있다. 카드 상태 표시기는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들(LED들),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스크린과 같은 다른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할 수 있지만, 다른 디스플레이 수단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모드 스위치(138)는 예를 들면, 카드의 전자 접속기의 측면에 대향하는 카드의 측면으로 통합될 수 있어서, 메모리 카드가 어플라이언스(160)에 삽입될 때에도 사용자에게 보이게 할 수 있다. 1차 메모리(124A)의 저장 영역이 90% 이하로 채워질 때 녹색광을 깜박이게 하고, 그것이 90% 내지 100%의 범위에 있을 때는 황색광을 깜박이게 하고, 어플라이언스(16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2차 메모리(124B)에 직접 기록되기 시작할 때 적색광을 깜박이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메모리 카드(들)의 상태에 대한 표시로서 제공된다. "완전 리던던시" 및 "완전 용량" 모드들은 예를 들면, 특유의 광 또는 예를 들면 녹색광 및 적색광의 2개의 광들의 조합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시그널링될 수 있다. 상술된 방식으로 LED 표시기를 사용하는 것은, 예를 들면, 방식들 및/또는 색상들을 표시하는 다른 표시 수단이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때의 예일 뿐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34)가 선택적임을 유념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34)는 모드 스위치(138) 또는 카드 상태 표시기(136), 또는 모드 스위치(138) 또는 카드 상태 표시기(136) 모두를 포함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1차 메모리(124A), 2차 메모리(124B) 또는 두 메모리들은 NAND 플래시 메모리들 또는 OTP(1회 프로그램 가능한) 고상 메모리들과 같은 재기록 가능한 메모리들로서 구현될 수 있음을 유념한다. 그러나, OTP 메모리들이 1회만 기록될 수 있기 때문에, 2차 메모리(124B)는, OTP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되는 경우에, 상술된 제 3 옵션을 충분하고 적절하게 지원할 수 없다. 따라서, 그러한 환경들 하에서, 제 3 옵션은 제한된 용량으로 사용 가능할 수 있건, 사용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1차 메모리(124A)는 플래시 메모리이고, 2차 메모리(124B)는 OTP 메모리이다. OTP 메모리의 콘텐트 기록이 행해질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메모리를 백업으로서만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경제적인 이유들로, OTP 2차 메모리(124B)는 1차 메모리(124A)보다 (즉, 그 저장 용량이)더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1차 메모리(124A)가 1GB이면, OTP2차 메모리(124B)는 250MB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환경들 하에서, 개선된 메모리 카드(120R)는 카드의 사용자가 실수에 의해 또는 랜덤하게 2차 메모리(124B)에 콘텐트를 기록하는 옵션이 제공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에 모드 스위치(138)를 포함해서는 안된다. 따라서, 모드 스위치(138)를 가지지 않는 것은, 사용자가 기록하기 원할 때마다 1차 메모리(124A) 상에 기록하고, 그 후에 나중 단계에서 호스트의 다른 형태(예를 들면 카드 판독기를 구비한 컴퓨터)를 사용하고, 사용자가 OTP 2차 메모리(124B) 상에 백업하기 원하는 가장 가치있는 콘텐트만을 1차 메모리(124A)로부터 선택하는 것과 같이 하나의 동작 모드만이 사용자에게 사용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임의의 종래의 방법을 사용하여, 예를 들면, 선택된 콘텐트와 연관된 박스를 확인하거나, 전용 "백업" 디렉토리에 선택된 콘텐트를 복사함으로써, OTP 2차 메모리 상에서 백업될 콘텐트가 백업 처리를 위해 선택될 수 있다.
1차 메모리(124A)의 데이터를 2차 메모리(1124B)로 복제하는 것이 메모리 고장에 대한 양호한 보호를 제공하지만, 데이터는 1차 제어기(128A) 또는 1차 호스트 인터페이스(132A) 또는 둘다가 고장나는 경우에도 여전히 손상될 수 있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2차 제어기(128B)와 같은 2차 또는 리던던시 제어기와 2차 호스트 인터페이스(132B)와 같은 2차 또는 리던던시 호스트 인터페이스가 사용된다. 2차 제어기(128B) 및 2차 호스트 인터페이스(132B)는 1차 제어기(128A) 또는 1차 호스트 인터페이스(132A) 또는 둘다가 고장나는 경우에도 호스트 디바이스로부터 2차 메모리(124B)로의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1차 메모리(124A) 및 2차 메모리(124B)는 사용자 메모리들이다. 통상적으로, 1차 제어기(128A) 및 2차 제어기(128B) 각각에 대해, 각각의 제어기를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펌웨어(FW)를 저장하는 "펌웨어 메모리(firmware memory)"에 연관된다. 본 개시내용의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두 펌웨어 메모리들(도 2에 도시되지 않음)은 플래시 메모리들이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1차 제어기(128A)와 연관된 펌웨어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이고 2차 제어기(128B)와 연관된 펌웨어 메모리는 OTP 메모리이다. 각각의 펌웨어 메모리들은 다른 종류의 메모리들이 될 수도 있다.
디지털 슈박스
디지털 슈박스(180B)가 도 1의 디지털 슈박스(180) 또는 도 2의 디지털 슈박스(180A)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는 도 3을 더욱 상세히 참조한다. 도 1의 디지털 슈박스(180) 또는 도 2의 디지털 슈박스(180A) 사이의 차이에 관해, 도 3의 슈박스 제어기(184)는 도 1의 메모리 카드들(120)과 도 2의 개선된 메모리 카드들(120R) 둘다를 관리하도록 프로그래밍되거나, 구성되거나, 적응되거나, 설계된다. 도 3의 디지털 슈박스(180B)는 하기에 기술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물리적으로 동봉하고, 도난, 습기, 먼지, 온도, 압력, 충격 등으로부터 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와 같은 인클로저(196)를 포함한다. 카드 구획부(198)는 복수의 카드 슬롯들(198S)에 복수의 카드들(120) 또는 복수의 개선된 카드들(120R) 또는 그러한 메모리 카드들의 조합을 받아들이거나 수용할 수 있다. 슈박스 제어기(184)는 카드 구획부(198)에 카드들의 모니터링 및 유지를 관리하고, 또한 슈박스 사용자 인터페이스(188), 컴퓨터 인터페이스(190) 및 보조 인터페이스(들)(190X)를 통한 이들 카드들과 외부 디바이스/컴퓨터들 사이의 통신을 관리하며, 이들 인터페이스들은 선택적이다. 전력 공급(192)은 슈박스 제어기(184)와 그 인터페이스들에 에너지를 공급하며, 배터리 백업 회로를 포함할 수 있는 종래의 구성이다.
선택적으로, 3의 디지털 슈박스(180B)는, 도 1 또는 도 2의 그러한 외부 컴퓨터들(200)(예를 들면)에 업로드되고 실행되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애플리케이션(18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기술 및 적용 가능한 경우 전반에 걸쳐, 디지털 슈박스(180B)가 접속되는 외부 컴퓨터는 단지 외부 컴퓨터의 예일 뿐인 도 1 또는 도 2의 컴퓨터(200)인 것으로 가정할 것이다. 외부 컴퓨터(200)는 컴퓨터 인터페이스(190)를 통해 디지털 슈박스(180B)에 접속될 수 있으며, 컴퓨터(200)를 통해 디지털 슈박스(180B)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고 제어하도록 허용하고, 이러한 기능들은 컴퓨터(200)를 위한 다른 특수 용도 소프트웨어 소스를 필요로 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슈박스 제어기(184)는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펌웨어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카드 통합기(184C)는, 컴퓨터 인터페이스(190), 슈박스 사용자 인터페이스(188), 또는 보조 인터페이스(들)(190X)를 통해 액세스되거나 사용될 수 있는 단일 디스크로 카드 구획부(198)에 수용된 모든 메모리 카드들을 병합하거나 통합하는데 전용인 제어기 모듈이다. 카드 통합기(184C)는 예를 들면 도 1의 호스트 인터페이스(132) 또는 도 2의 호스트 인터페이스(132A)의 특성들로 구성되거나, 설계되거나, 적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의 호스트 인터페이스(132)가 USB 인터페이스이면, 카드 통합기(184C)는 USB 허브이거나 또는 USB 허브의 역할을 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들(132)의 다른 형태들에 대해, 카드 통합기(184C)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미국 특허 제7,184,264호의 개시내용들을 구현할 수 있다. 카드 상태 모니터 모듈(184M)은 미리 규정된 스케줄 하에서, 카드 구획부(198)에 수용된 모드 메모리 카드들에 있는 리던던트 또는 복제된 데이터를 포함하여 데이터 무결성을 정규적으로 스캐닝할 수 있다. 메모리 카드들은 미리 규정된 스케줄을 사용하여 스캐닝될 수 있다. 리프레시 및 백업 관리기(184R)는 카드 구획부(198)에 수용된 메모리 카드들의 콘텐트를 판독 및 기록하고, 그에 의해 메모리 카드들의 데이터 보유력을 확장하기 위해 미리 스케줄링된 리프레시 루틴을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 카드의 콘텐트를 리프레시하는 것은 미리 규정된 스케줄 하에서 또는 품질 모니터링에 따라 필요시 수행될 수 있다. 데이터 리프레시 기술들은 본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고,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5,365,486호; 제5,511,020호; 제5,625,791호; 제5,724,285호; 제5,909,449호; 제6,240,032호; 및 제6,522,586호와,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3/0147277호, 제2003/0021149호, 제2001/0002172호, 및 제2005/0243626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리프레시 및 백업 관리기(184R)는 새로운 메모리 카드(즉, "콘텐트"(카드))가 카드 구획부(198)에 삽입될 때마다 백업 루틴을 실행한다: 새롭게 추가된 콘텐트 카드가 도 1의 제거 가능한 메모리 카드(120)와 유사한 종래의 카드이면, 백업 루틴은 도 3의 슈박스 사용자 인터페이스(188)를 통해 및/또는 도 1의 컴퓨터(200)(예를 들면)를 통해 새롭게 부가된 콘텐트 카드의 콘텐트의 사본을 수용하기 위해 충분한 저장 용량을 가진 빈 "백업" 카드를 카드 구획부(198)의 프리 슬롯(free slot; 198S)에 삽입하도록 사용자에게 촉구할 수 있다. 새롭게 부가된 콘텐트 카드가 개선된 메모리 카드(120R)이면(즉, 자체 보유 메모리 카드이면), 리프레시 및 백업 관리기(184R)는 콘텐트의 복제가 개선된 메모리 카드(120R)에 적절하게 유지되어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상술된 공백("빈(blank)") 백업 메모리 카드를 삽입하도록 사용자에게 촉구하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도 2의 1차 제어기(128A)와 통신할 수 있다.
이종 슈박스 서비스들 모듈(184S)은 카드 구획부(198)에 수용된 카드들의 콘텐트를 사용하기 위해(예를 들면, 시청, 처리, 인쇄, 복사, 전송), 슈박스 인터페이스(188) 및/또는 보조 인터페이스(들)(198X)를 통해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포함될 수 있는 선택적인 요소이다. 카드 구획부(198)의 메모리 카드들의 콘텐트는 특정 설계, 구성 및 가격 고려들에 의존하여, 외부 컴퓨터(200), 또는 이종 슈박스 서비스들 모듈(184S)의 적절한 프로그래밍에 의해 지원되는 키보드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는 확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88)를 사용하여 모니터링될 수 있음을 유념한다.
컴퓨터 인터페이스(190)는 컴퓨터(200)와 같은 외부 컴퓨터와 디지털 슈박스(180B)에 접속한다. 컴퓨터 인터페이스(190)는 유선(예를 들면 USB) 또는 무선(예를 들면 Wi-Fi) 기술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것은 컴퓨터(200)의 사용자가 카드 구획부(198)에 수용된 카드들의 콘텐트를 액세스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컴퓨터 인터페이스(190)는 디지털 슈박스(180B)로부터 컴퓨터(200)로 컴퓨터 애플리케이션(186)을 업로드하고, 컴퓨터(200)의 사용자에게 카드 상태 모니터 모듈(184M)에 의해 생성된 리포트들을 나타내는데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디지털 슈박스 사용자 인터페이스(188)는 카드 상태 모니터 모듈(184M)에 의해 규명되는 바와 같이, 카드 구획부(198)의 메모리 카드들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표시기는 하나 이상의 LED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녹색 LED는 모든 카드들 상의 콘텐트들의 무결성을 검증하고, 선택적으로 그 콘텐트들은 모두 적절하게 백업되었음을 검증한 후에 "ON"으로 스위칭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깜박이는 황색 LED는 사용자 작동 또는 조정이 요청되거나 요구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표시기는 심지어 디지털 슈박스(180B)가 컴퓨터(200)로부터 접속해제될 때, 또는 컴퓨터(200)가 디지털 슈박스(180B)에 접속되어 있지만 컴퓨터(200)가 스위칭 "off"되어 있을 때에도 활성상태가 될 수 있다. 슈박스 사용자 인터페이스(188)는 또한, 요구되거나 예상되는 작동 또는 작동들에 대해 사용자에게 촉구하거나 안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빈 512MB 카드를 추가하시오" 또는 "상세한 또는 부가의 명령들을 위해 컴퓨터에 접속하시오"와 같은 문자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지털 슈박스(180B)로부터 직접 콘텐트를 사용하는 것을 지원하는 구성들에서, 슈박스 사용자 인터페이스(188)는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LCD) 스크린, 키보드, 마우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은 디지털 슈박스(180B)를 컴퓨터(200)에 접속할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다.
보조 인터페이스(들)(190X)는 이종 슈박스 서비스들 모듈(184S)에 포함되고 슈박스 사용자 인터페이스(188)에 의해 지원되는 독립형 콘텐트-사용 기능들에 따라, 카드 판독기, USB 디스크 인터페이스, 인터넷 접속, 인쇄 인터페이스 등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컴퓨터(200)는 디지털 슈박스(180B)에 수용된 카드들의 콘텐트를 사용하기 위한 선택적인 디바이스와 디지털 슈박스(180B)의 모니터링 및 유지 기능들을 위한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도 1에 이미 도입되었다. 컴퓨터(200)는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가진 범용 개인용 컴퓨터(PC)가 될 수 있거나, 디지털 슈박스(180B)와 상호 동작하도록 전적으로 설계된 전용 디바이스가 될 수 있거나, 또는 어플라이언스(160)와 컴퓨터(200) 둘다의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모듈들에 의해 구현된 컴퓨터(200)의 주기능 구성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4를 참조한다. 콘텐트 사용 모듈(186U)은 디지털 슈박스(180B) 내에 수용된 카드들의 콘텐트와 연관되는, 시청, 처리, 인쇄, 복사 또는 전송과 같은 동작들을 가능하게 한다. 이종 서비스 컨트롤 모듈(186S)은 도 3의 보조 인터페이스(들)(190X)와 연관되는, 카드 판독기에 삽입되거나 인터넷 접속을 다이얼링하는 메모리 카드를 판독하는 것과 같은 동작들을 가능하게 한다. 슈박스 모니터(186M)는 슈박스 활동들을 모니터링하고 종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슈박스 모니터(186M)에 의해 슈박스 활동들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예를 들면, 모든 카드들이 양호한 상태(즉, 콘텐트 무결성, 콘텐트 백업 등의 관점에서)에 있음을 사용자에게 확인하고 보증하거나, 콘텐트 무결성 및/또는 메모리 카드의 미디어 품질이 미리 규정된 임계값 아래로 감소하는 경우 사용자 조정을 위해 호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저하된 콘텐트 무결성 또는 미디어 품질의 경우, 사용자는 예를 들면, 고장난 메모리 카드의 백업 기능을 인수하기 위해 특정 저장 용량을 가진 메모리 카드들 추가하도록 촉구될 수 있다. 선택적인 비-슈박스 기능들 모듈(210)은 컴퓨터(200)의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워드 프로세스, 이메일 및 인터넷 브라우징과 같은 다른 유용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카드 사용
도 1의 제거 가능한 메모리 카드(120)의 사용을 기술하는 도 5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진다. 도 5는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과 함께 상술된 바와 같이, 디지털 슈박스는 마찬가지로 도 1의 종래의 메모리 카드들(120)과 도 2의 개선된 메모리 카드들(120R)을 수용할 수 있다.
단계(401)에서, 제거 가능한 메모리 카드는 콘텐트를 기록하기 위하여 도 1의 어플라이언스(160)와 함께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제거 가능한 메모리 카드는 사진 파일 또는 비디오 파일을 기록하기 위해 디지털 카메라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지점에서, 메모리 카드가 가득 채워지거나(즉, 완전히 차지되거나) 사용자가 중요한 콘텐트, 예를 들면 결혼식에서 찍은 사진들을 보관하기 원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단계(405)에서, 도 3의 디지털 슈박스(180B)에서의 폐기를 위해 메모리 카드를 삽입할 수 있다. 디지털 슈박스(180B)가 완전 콘텐트 리던던시 모드로 프로그램되거나, 구성되거나 또는 설정되면, 단계(405)에서 행해진 새로운 카드의 추가가 검출되는 슈박스 제어기(184)는 선택 단계(409)에서 카드에 대한 백업 저장을 할당하고, 카드의 콘텐트가 할당된 리던던시 저장어플라이언스에 복사되는(즉, 백업되는) 것을 보장한다. 디지털 슈박스(180B)에 추가된 메모리 카드가 종래의 카드이면(즉, 도 1의 메모리 카드(120)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면), 선택적인 단계(409)에서, 슈박스 제어기(184)는 디지털 슈박스에 이미 배치된 다른 메모리 카드(들)에서 방금 추가된 메모리 카드의 충분한 리던던시 저장 공간을 할당할 수 있다. 그 후에, 슈박스 제어기(184)는 할당된 백업 저장 공간에 메모리 카드의 콘텐트의 사본을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디지털 슈박스(180B)에 추가되는 제거 가능한 메모리 카드가 개선된 메모리 카드이면, 즉, 도 2의 개선된 메모리 카드(120R)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면, 리던던시 저장 공간은 2차 메모리(124B)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2차 메모리를 사용함으로써 동일한 메모리 카드 내에 내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2차 메모리(124B)가 저장 콘텐트로 이미 가득 채워지거나, 2차 메모리(124B)에서 사용 가능한 부가의 콘텐트를 위한 충분한 리던던시 저장 공간이 없다면, 슈박스 제어기(184)는 다른 메모리 카드에 리던던시 저장 공간을 할당할 수 있거나, 도 3의 컴퓨터 애플리케이션(186)과 같은 컴퓨터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함으로써, 2차 메모리(124B)에서 비어 있는 리던던시 저장 공간에 저장-리던던시 요건을 재규정하면서 덜 중요한 콘텐트를 백업하지 않도록 사용자에게 촉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슈박스 제어기(184)는 디지털 슈박스(180B)에 백업 저장의 역할을 하기 위한 충분한 저장 용량을 가진 메모리 카드(예를 들면, 빈 메모리 카드)를 추가하도록 사용자에게 촉구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 있어서, 백업 메모리 카드는 보조 인터페이스(190X)를 통해 또는 외부 저장 디바이스에, 또는 인터넷 서버들(둘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상에서 관리될 수 있다. 따라서, 콘텐트 백업을 지원하는 실시예들에서, 단계(409)는, 새롭게 부가된 메모리 카드의 콘텐트가 디지털 슈박스(180B) 내에 배치되는 저장 매체에 의해 또는 디지털 슈박스(180B)의 외부에 배치되는 저장 매체에 의해 백업되는 것으로 종결될 수 있고, 보조 인터페이스(190X)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액세스될 수 있다. 특별히 수용된 메모리 카드를 위한 백업 저장 공간을 찾기 위해, 슈박스 제어기는 수용된 메모리 카드들(즉, 디지털 슈박스(180B)의 카드 구획부(198)에 배치되어 있는 메모리 카드들)에서 특별히 수용된 메모리 카드의 콘텐트가 복사될 수 있는 충분한 백업 저장 공간을 검색할 수 있다.
메모리 카드들은 디지털 슈박스(180B)에 추가되고, 카드 통합기(184C)는 가상 저장 디스크 파일 시스템을 재생하여, 각각의 새롭게 추가된 카드로 갱신한다. 저장 디스크는 단일 물리적 저장 매체가 아니라 단일 저장 디바이스와 같이 액세스되고, 보여지고, 관리될 수 있는 분산된 저장 미디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상(virtual)"이다. 따라서, 단계(413)에서, 단계(405)에서 디지털 슈박스(180B)에 물리적으로 추가된 메모리 카드는, 예를 들면, 컴퓨터 인터페이스(190), 보조 인터페이스(들)(190X)로부터 또는 슈박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88)로부터 액세스될 때와 같이 디지털 슈박스(180B)에 의해 제공되는 가상 저장 디스크에 도 3의 카드 통합기(184C)에 의해 논리적으로 추가된다. 단계(417)에서, 메모리 카드는 모니터링 및 유지를 위해 디지털 슈박스(180)에 등록된다. "모니터링(monitoring)"은 콘텐트 무결성( 및 적정한 경우에 리던던시)에 대해 카드 상태 모니터(184M)에 의해 메모리 카드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을 의미하고, "유지(maintaining)"는 "리프레시 및 백업 관리기(184R)"에 의해 메모리 카드를 리프레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디지털 슈박스(180B)에서 메모리 카드의 등록은 예를 들면, 이종 서비스들 모듈(184S)에 의해 제공된 서비스들 중 하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단계 (421)에서, 단계(405)에서 추가된 메모리 카드가 디지털 슈박스(180B)에서 등록된 후에, 그 콘텐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88), 보조 인터페이스(들)(190X) 또는 컴퓨터 인터페이스(190)를 통해 디지털 슈박스(180B)에 의해 제공되는 가상 디스크의 일부로서 사용자에게 사용 가능하게 될 때 사용될 수 있다.
디지털 슈박스 유지 루틴
디지털 슈박스(180B)의 통상적인 유지 루틴을 기술하는 도 6을 참조하며, 그 동안 도 3의 카드 구획부(198) 내에 배치되어 있는 모든 메모리 카드들은 미리 규정된 스케줄에 따라, 예를 들면 한달에 한번 또는 필요할 때, 슈박스 제어기(184)에 의해 스캐닝된다. 스캐닝 사이클 동안, 메모리 카드들의 각각은 하기에 기술된 대로 확인된다. 단계(455)에서, 최종 메모리 카드가 디지털 슈박스의 다양한 기능들에 대해 작동되었는지의 여부가 확인된다. 작동되지 않은 메모리 카드다 있다면(단계(455)에서 "N"으로 도시됨), 그 콘텐트 무결성 및 저장 미디어 품질은 단계(459)에서 확인된다. 메모리 카드의 콘텐트 무결성을 확인하는 것은, 예를 들면 패리티 검사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저장 미디어 품질을 확인하는 것은 예를 들면, 저장된 데이터와 연관된 에러들을 양자화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으며, 이 에러들은 메모리 카드들에서 공동으로 사용되는 내부 에러 정정 메커니즘들(예를 들면, 에러 정정 코드 - ECC)을 사용함으로써 정정되었다. 저장 미디어 품질 또는 간단히 미디어 품질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다른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완전 리던던시/백업의 경우에, 선택적인 단계(463)에서, 백업 카드는 데이터 무결성, 저장 미디어 품질 및 메모리 카드의 콘텐트와의 일치에 대해 확인된다. 단계(467)에서, 카드의 콘텐트는 미리 규정된 기준 하에서, 예를 들면 이전 리프레시 후의 6개월, 또는 과도한 레벨의 에러 정정이 단계(459)에서 식별될 때 리프레시된다. 일반적으로, 카드의 콘텐트를 유지하기 위해 더 많은 에러 정정이 요구될수록 메모리 카드가 더욱 빈번히 리프레시되어야 할 것이다. 단계들(459, 463 또는 467) 중 어느 하나 중에서, 문제에 부닥치면, 예를 들면, 카드의 제어기(128A) 또는 슈박스 제어기(184)에 의해 자동으로 정정될 수 있는 메모리 카드의 저장 미디어에서 불량한 품질 또는 불만족스러운 백업이 발견되면, 단계(471)에서, 디지털 슈박스 제어기(184)는 디지털 슈박스 사용자 인터페이스(188)를 통해 사용자에게(그리고 또한 컴퓨터(200)가 컴퓨터 인터페이스(190)에 접속되면 컴퓨터(200)에) 사용자 조정을 위해 호출되기 위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조정은, 고장난 카드를 대체하거나 부가의 백업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부가의 메모리 카드를 추가하는 단계와 외부의 백업 저장 디바이스에 콘텐트를 복사하는 단계를 통상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단계(471)의 작동 요건들에 응답한 후에, 단계(475)에서, 도 3의 디지털 슈박스 제어기(184)는 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의 콘텐트를 사용자에 의해 디지털 슈박스에 추가된 다른 메모리 카드에 (재)복사함으로써, 이전에 언급된 문제들을 해결한다. 단계(459) 내지 단계(475)는 작동하지 않는 각 메모리 카드에 대해 반복된다(단계(480)에 도시됨). 디지털 슈박스가 최종 메모리 카드 상에서 작동한 후에(단계(455)에서 "Y"로 도시됨), 스캐닝 사이클은 종료된다(단계(485)에 도시됨). 자동화된 스캐닝 사이클은 디지털 슈박스에 수용되는 모든 메모리 카드를 포함할 수 있지만, 디지털 슈박스의 사용자는 유지를 위해 메모리 카드들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메모리 카드들만을 포함하는 짧아진 스캐닝 사이클을 사용할 수 있음을 유념한다.
개선된 카드 사용
도 2의 개선된 메모리 카드(120R)의 동작을 다양한 수명 단계들로 기술하는 도 7을 참조한다: 단계들(501 내지 533)은 어플라이언스(160)와 메모리 카드의 사용에 관한 것이며, 이것은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가 될 수 있다. 단계들(533 내지 549)은 도 2의 디지털 슈박스(180A)에서의 폐기를 위해 넣어질 때 개선된 메모리 카드(120R)에 관한 것이다.
단계(501)에서 개선된 메모리 카드(120R)(이후 간단히 "카드(120R)"로 칭해짐)는 어플라이언스(160)로 삽입된다. 단계(505)에서, 디지털 콘텐트(예를 들면, 사진 파일과 같은)가 생성되어 저장을 위해 어플라이언스(160)에 의해 카드(120R)에 전송된다. 단계(509)에서, 1차 제어기(128A)는 수신된 콘텐트를 저장하기 위해 1차 메모리(124A)가 이미 채워져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1차 메모리(124A)가 채워지지 않다면(509에서 "N"으로 도시됨), 그것은 1차 메모리(124A)에 충분한 저장 공간이 여전히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단계(521)에서, 카드(120R)가 실시간 백업 모드를 위해 설정되는지, 즉, 모든 조각들의 콘텐트가 어플라이언스(160)로부터 수신되는 즉시 카드(120R)에서 백업될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카드(120R)가 실시간 백업 모드를 위해 설정되면(단계 521에서 "Y"로 도시됨), 단계(525)에서, 어플라이언스(160)로부터 수신된 콘텐트는 1차 메모리(124A) 및 2차 메모리(124B) 둘다에 기록된다. 카드(120R)가 실시간 백업 모드를 위해 설정되지 않으면(단계 521에서 "N"으로 도시됨), 단계(529)에서, 콘텐트는 1차 메모리(124A)에만 기록된다. 단계(509)에서 1차 메모리(124A)의 저장 공간이 채워진 것으로 발견되면(509에서 "Y"로 도시됨), 단계(511)에서, 2차 메모리(124B)에 충분한 저장 공간이 있는지의 여부가 확인된다. 2차 메모리(124B)는 다음의 시나리오들 중 하나에서 콘텐트를 위한 공간을 가지지 않을 것이다: (a) 2차 메모리(124B)가 이미 채워지는 시나리오; (b) 개선된 메모리 카드(120R)가 1차 메모리(124A)의 백업을 위해서만 - 단계(525)와 함께 기술된 바와 같이, 실시간 백업시 또는 카드(120R)가 디지털 슈박스(180A)에서의 폐기를 위해 넣어질 때, 2차 메모리(124B)를 사용하도록 프로그래밍되는 시나리오; (c) 2차 메모리(124B)가 백업을 위해서만 전용이 되기 위하여, 예를 들면 도 2의 모드 스위치(138)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완전 리던던시" 모드를 선택하는 시나리오. 이들 시나리오들 어느 하나가 발생되면(511에서 일반적으로 "N"으로 도시됨), 단계(511)에서 확인된 기록 동작은, 이러한 환경들 하에서 2차 메모리(124B)에 콘텐트를 저장하기 위한 시도가 완전한 종래 메모리 카드에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시도하는 것과 같기 때문에 거절될 것이다(단계(515)에서). 그러나, 단계(511)에서 콘텐트가 2차 메모리 카드(124B) 상에 저장될 수 있음이 발견된다면(단계(511)에서 "Y"로 도시됨), 단계(513)에서 콘텐트는 2차 메모리 카드(124B)에 추가된다(즉, 저장된다). 단계(533)에서, 카드(120R)가 어플라이언스에 남겨질지의 여부가 확인되거나 또는 디지털 슈박스(180A)에서의 폐기를 위해 넣어진다. 카드(120R)가 어플라이언스에 남겨진다면(단계(533)에서 "N"으로 도시됨), 카드가 어플라이언스(160)로부터 부가의 콘텐트를 수신할 수 있는 단계(505)로 제어가 복귀된다.
개선된 메모리 카드(120R)와 같은 카드를 사용하는 것은 사용자가 완전 리던던시와 완전 용량 모드들 사이를 선택하도록 허용하는 것을 알 것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디지털 카메라를 위한 2x1GB의 용량을 가진 메모리 카드를 구매할 수 있다. 실시간 백업이 턴온되면(단계(521)에서), 카메라에 의해 찍힌 모든 사진들은 1차 메모리(124A) 및 2차 메모리(124B) 둘다에 기록될 것이고, 따라서, 완전 데이터 리던던시를 제공한다. 2x1GB 카드의 1GB 용량을 소비한 후에, 사용자는 이 카드를 다른 카드로 대체할 수 있고, 따라서 기록된 데이터를 위해 완전 리던던시를 유지한다; 이 특징은 결혼식 또는 동창회와 같은 긴요한 콘텐트를 기록하는 경우에 유리하다. 그러나, 사용자가 덜 중요한 사진을 찍거나(예를 들면, 주말여행 동안 찍은 사진들) 사용 가능한 대체 카드가 없다면, 사용자는 2차 메모리(124B)의 콘텐트를 겹쳐쓰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따라서 카드의 전체 2GB 용량을 사용함으로써 저장 능력에 대한 리던던시를 트레이딩한다. 도 2의 모드 스위치(138)는 완전 리던던시를 유지하기 위해 2차 메모리(124B)의 콘텐트를 고의로 겹쳐쓰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그후에 사용자는 2차 메모리(124B)의 콘텐트를 겹쳐쓰도록 허용하도록 설정하는 "완전 리던던시"에서 "완전 용량"으로의 모드 스위치(138)를 수동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다.
도 7의 단계(533)로 다시 돌아가면, 개선된 메모리 카드(120R)가 어플라이언스(160)로부터 제거되고 도 3의 디지털 슈박스(180)의 카드 구획부(198)의 카드 슬롯(198S)에 삽입되면, 단계(537)에서, 카드의 2차 메모리(124B)가 1차 메모리(124A)의 콘텐트의 어느 부분 또는 일부를 백업하기 위해 사용 가능한 지의 여부가 확인된다. 예를 들면 슈박스 제어기(184)와 카드의 1차 제어기(128B) 사이에서 메시지들을 교환함으로써 확인될 수 있는 그러한 사용 가능성이 확인된다: (a) 실시간 백업이 온이고(단계(521)에서 "Y"로 도시됨) 2차 메모리(124B)가 1차 메모리(124A)의 콘텐트의 사본을 이미 포함하는 경우; (b) 실시간 백업이 오프이고(단계(521)에서 "N"으로 도시됨) 2차 메모리(124B)가 여전히 비어 있는 경우; 또는 (c) 콘텐트(즉, 복사되지 않은 오리지널 콘텐트)가 2차 메모리(124B)에 기록되었지만, 사용자가 하나 또는 두 메모리들(즉, 콘텐트 카드 및 백업 카드)로부터 어떤 콘텐트를 제거하고 1차 메모리 카드(124A)에 모든 나머지 콘텐트를 이동시키도록 관리하고, 따라서 2차 메모리(124B)를 비우는 경우. 따라서, 단계(537)에서 2차 메모리(124B)가 백업을 위해 사용 가능한 경우(단계(537)에서 "Y"로 도시됨), 단계(541)에서 2차 메모리(124B)가 백업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 발견된다; 단계(541)에서 2차 메모리(124B)가 1차 메모리(124A)의 콘텐트의 사본을 이미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아무것도 발생하지 않고, 실시간 백업이 단계(521)에서 "온(on)"이 되는 경우에 조건이 존재한다. 그렇지 않으면 단계(541)는 1차 메모리(124A)에서 2차 메모리(124B)로 콘텐트를 복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단계(537)에서, 2차 메모리(124B)가 백업에 사용 가능하지 않으면(단계(537)에서 "N"으로 도시됨), 단계(545)에서 사용자가 예를 들면, 디지털 슈박스 제어기(184)에 의해, 도 5의 단계(409)와 함께 기술된 바와 같이, 새롭게 추가된 개선된 메모리 카드(120R)의 콘텐트를 백업하기 위한 메모리 디바이스를 추가하도록 촉구될 수 있음이 발견된다. 단계(549)에서, 메모리 카드는 도 5의 단계들(413, 417 및 421)과 함께 기술된 모든 기능들을 포함하여, 디지털 슈박스(180B)에 의해 제공된 가상 디스크로 통합된다.
도 8은 OTP 메모리를 2차 메모리로 포함하는 개선된 메모리 카드를 작동시키기 위한 예시적 방법을 도시한다. 도 8은 도 2와 연관하여 기술될 것이며, 2차 메모리(124B)는 OTP 메모리일 수 있지만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단계(801)에서, 어플라이언스(160)(예를 들면 카메라)는 1차 메모리(124A) 상에 콘텐트를 기록한다. OTP 2차 메모리(124B)는 비어 있거나, 공백 상태로 남아 있으므로, 어플라이언스(160) 및 그 인간 조작자(즉, 사용자)가 액세스 가능하지 않다. 달리 말하면, 1차 메모리(124A)만이 진짜 콘텐트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 가능하고, 반면 OTP 2차 메모리(124B)는 이전에 기술된 예시적 실시예하에서 실시간 백업으로서 사용될 수 없다. 사용자가 1차 메모리(124A)에 저장된 콘텐트를 백업하기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어플라이언스(160)로부터 개선된 메모리 카드(120R)를 제거하고, 단계(802)에서, 사용자가 1차 메모리 카드(124A)에 저장된 콘텐트를 조작(즉, 삭제, 복사, 편집 등)하도록 허용하는 카드 판독기(예를 들면)에 개선된 메모리 카드(120R)를 삽입한다. 단계(803)에서, OTP 2차 메모리(124B)가 1차 메모리(124A)에 기록된 콘텐트의 현재 크기보다 작은지의 여부가 확인된다. OTP 2차 메모리(124B)가 1차 메모리(124A)에 기록된 콘텐트의 현재 크기와 같거나 더 크다면(단계(803)에서 "더 작지 않음"으로 도시됨), 사용자는 단계(804)에서, 1차 메모리(124A)의 전체 콘텐트들 또는 선택된 콘텐트만을 OTP 2차 메모리(124B)에 복사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OTP 2차 메모리(124B)가 1차 메모리(124A)에 기록된 콘텐트의 현재 크기보다 작다면(단계(803)에서 "더 작음"으로 도시됨), 사용자는 OTP 2차 메모리(124B)로 1차 메모리(124A)에서 기록된 콘텐트의 선택된 부분만을 복사할 수 있으며, 선택된 부분의 총 크기는 OTP 2차 메모리(124B)에서 사용 가능한 제한된 저장 용량만큼 클 수 있다.
본 발명이 제한된 수의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특별히 도시되고 기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음을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특징들의 조합들 및 서브-조합들 둘다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를 판독할 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생하고 본 기술 분야가 아닌 변형들 및 수정들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거 가능한 메모리 카드에 사용자 생성 데이터를 보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Claims (31)

  1. 메모리 카드에 있어서,
    a) 1차 메모리와,
    b) 상기 1차 메모리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된 2차 메모리와,
    c) 어플라이언스(appliance)로부터 콘텐트를 수신하기 위한 1차 호스트 인터페이스와,
    d) 상기 1차 메모리상에만, 또는 상기 2차 메모리상에만, 또는 1차 및 2차 메모리 모두에 상기 콘텐트를 선택적으로 기록하도록 구성된 1차 제어기와,
    e) 상기 1차 메모리, 상기 2차 메모리, 상기 1차 호스트 인터페이스 및 상기 1차 제어기를 물리적으로 동봉하는 인클로저(enclosure)를
    포함하는, 메모리 카드.
  2. 제 1항에 있어서,
    f) 2차 호스트 인터페이스와,
    g) 2차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2차 호스트 인터페이스 및 상기 2차 제어기는, 상기 1차 호스트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1차 제어기, 또는 둘다가 고장나는 경우에도, 호스트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2차 메모리로의 액세스를 제공하는, 메모리 카드.
  3. 제 1항에 있어서, 콘텐트는 상기 1차 메모리가 가득 채워지는 것에 후속하여 상기 2차 메모리 상에 기록되는, 메모리 카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수신된 콘텐트는 상기 1차 메모리와 상기 2차 메모리 모두에 실질적으로 동시에 기록되는, 메모리 카드.
  5. 제 1항에 있어서, f) 완전 용량 모드(full capacity mode)와 완전 리던던시 모드(full redundancy mode) 사이에서 스위칭 가능한 모드 스위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메모리 카드.
  6. 제 1항에 있어서, f) 상기 1차 메모리 또는 상기 2차 메모리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카드 상태 표시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메모리 카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표시기는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하는, 메모리 카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메모리, 상기 2차 메모리, 또는 둘다는 1회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인, 메모리 카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메모리는 1회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이고, 상기 2차 메모리는 상기 1차 메모리보다 작은 저장 용량을 가지는, 메모리 카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메모리, 상기 2차 메모리, 또는 둘다는 NAND 플래시 메모리인, 메모리 카드.
  11. 메모리 카드에 콘텐트를 기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메모리 카드는 공동 인클로저에 패키징된 1차 메모리 및 2차 메모리를 포함하는, 상기 콘텐트 기록 방법에 있어서,
    a)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콘텐트를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1차 메모리에만, 또는 상기 2차 메모리에만, 또는 1차 및 2차 메모리들 둘다에 상기 콘텐트를 기록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와,
    c) 상기 선택에 따라 상기 콘텐트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트 기록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단계는 상기 선택을 결정하기 위한 모드 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수행되는, 콘텐트 기록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단계는 상기 1차 메모리가 가득 채워지는 것에 후속하여 상기 2차 메모리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트 기록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단계는 상기 1차 메모리와 상기 2차 메모리 모두에 실질적으로 동시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트 기록 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단계는,
    상기 메모리 카드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컴퓨터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백업을 위해 상기 1차 메모리의 콘텐트의 일부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들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1차 메모리의 콘텐트의 일부를 상기 2차 메모리에 복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트 기록 방법.
  16. 디지털 슈박스(digital shoebox)에 있어서,
    복수의 메모리 카드들을 수용하는 카드 구획부와,
    상기 복수의 메모리 카드들에 대한 유지(maintenance)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슈박스 제어기를
    포함하는, 디지털 슈박스.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슈박스 제어기는 또한 상기 복수의 메모리 카드들을 단일 가상 디스크에 논리적으로 통합하도록 구성되는, 디지털 슈박스.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는 상기 복수의 메모리 카드들의 미디어 품질 모니터링 단계와, 상기 복수의 메모리 카드들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규정된 임계값 아래로 떨어지는 미디어 품질을 가지는 경우 사용자 조정을 위해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슈박스.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는 상기 복수의 메모리 카드들 중 하나 이상의 콘텐트를 백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슈박스.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는 상기 복수의 메모리 카드들 중 하나 이상의 콘텐트를 리프레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슈박스.
  21. 디지털 슈박스를 사용하여 복수의 메모리 카드들을 보관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디지털 슈박스는 상기 복수의 메모리 카드들을 수용하는 카드 구획부와, 상기 복수의 메모리 카드들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슈박스 제어기와, 카드 통합기를 구비하는, 상기 복수의 메모리 카드 보관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카드 구획부에 복수의 메모리 카드들을 수용하는 단계와,
    b) 상기 복수의 메모리 카드들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메모리 카드 보관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단계는,
    상기 슈박스 제어기에 의해, 특별히 수용된 메모리 카드의 콘텐트가 복사될 수 있는 백업 저장 공간을 상기 메모리 카드들에서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메모리 카드 보관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 저장 공간은 상기 복수의 메모리 카드들 중 다른 메모리 카드 내에 있는, 복수의 메모리 카드 보관 방법.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특별히 수용된 메모리 카드는 개선된 메모리 카드이고, 상기 특별히 수용된 메모리 카드의 상기 콘텐트는 상기 특별히 수용된 메모리 카드의 1차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백업 저장 공간은 상기 특별히 수용된 메모리 카드의 2차 메모리 내에 있는, 복수의 메모리 카드 보관 방법.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 저장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부가의 메모리 카드를 상기 디지털 슈박스에 삽입하도록 상기 디지털 슈박스의 사용자에게 촉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메모리 카드 보관 방법.
  26.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는 콘텐트 무결성을 위해 상기 수용된 메모리 카드들 중 하나 이상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메모리 카드 보관 방법.
  27.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는 상기 수용된 메모리 카드들 중 하나 이상의 콘텐트를 리프레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메모리 카드 보관 방법.
  28.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는 유지 루틴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 루틴은 상기 복수의 수용된 메모리 카드들을 스캐닝하는 단계, 각 스캐닝된 메모리 카드에 대해,
    상기 스캐닝된 메모리 카드의 상기 데이터 무결성 및 상기 미디어 품질을 확인하고, 상기 데이터 무결성 또는 상기 미디어 품질이 미리 규정된 임계값 아래로 감소한 경우 사용자 조정을 위해 호출하는 단계와,
    미리 규정된 스케줄에 따라 또는 미리 규정된 기준 하의 요구에 따라 상기 스캐닝된 메모리 카드의 상기 콘텐트를 리프레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메모리 카드 보관 방법.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정을 위한 호출 단계는 콘텐트 무결성 또는 미디어 품질이 미리 규정된 임계값 아래로 감소한 메모리 카드를 대체하기 위해 부가의 메모리 카드의 상기 디지털 슈박스로의 삽입을 위해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메모리 카드 보관 방법.
  30.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정을 위한 호출 단계는 상기 스캔된 메모리 카드의 상기 콘텐트를 외부 백업 저장 디바이스에 복사하기 위해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메모리 카드 보관 방법.
  31.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은 미리 규정된 스케줄에 따라 실행되는, 복수의 메모리 카드 보관 방법.
KR1020097015670A 2007-01-02 2008-01-01 디지털 콘텐트를 보관하는 장치와 방법 KR200901039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8307007P 2007-01-02 2007-01-02
US60/883,070 2007-01-02
US11/964,067 2007-12-26
US11/964,067 US8037266B2 (en) 2007-01-02 2007-12-26 Apparatus and method for archiving digital content
PCT/IL2008/000003 WO2008081445A2 (en) 2007-01-02 2008-01-01 Apparatus and method for archiving digital cont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925A true KR20090103925A (ko) 2009-10-01

Family

ID=39585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5670A KR20090103925A (ko) 2007-01-02 2008-01-01 디지털 콘텐트를 보관하는 장치와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37266B2 (ko)
EP (2) EP2109813A2 (ko)
JP (1) JP2010515190A (ko)
KR (1) KR20090103925A (ko)
TW (1) TWI443585B (ko)
WO (1) WO200808144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08479A (zh) * 2007-05-18 2008-11-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数据存储设备及其数据存储方法
US8046380B2 (en) 2008-04-08 2011-10-25 Quantum Corporation Data storage system
JP5299425B2 (ja) * 2008-06-30 2013-09-25 株式会社ニコン 記録制御装置
US8862821B2 (en) * 2008-07-08 2014-10-14 Sandisk Il Ltd. Portable device for managing memory cards
TWI387879B (zh) * 2008-09-05 2013-03-01 Acer Inc 儲存空間管理方法及應用該方法之電腦系統
US20110078343A1 (en) * 2009-09-29 2011-03-31 Cleversafe, Inc. Distributed storage network including memory diversity
US20110276768A1 (en) * 2010-05-10 2011-11-10 Kaminario Technologies Ltd. I/0 command handling in backup
KR101321426B1 (ko) * 2011-03-24 2013-10-23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무선 광 디스크 장치와 그 구동 방법
US20130054870A1 (en) * 2011-08-22 2013-02-28 Byungcheol Cho Network-capable raid controller for a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US9417821B2 (en) * 2011-09-30 2016-08-16 Intel Corporation Presentation of direct accessed storage under a logical drive model
US9558124B2 (en) * 2013-11-08 2017-01-31 Seagate Technology Llc Data storage system with passive partitioning in a secondary memory
CN103842968B (zh) * 2013-11-22 2015-11-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内存数据的迁移方法、计算机和装置
JP6279620B2 (ja) * 2014-01-29 2018-02-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トレージ装置
WO2017038839A1 (ja) * 2015-09-03 2017-03-0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測色計、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制御方法
TWI605354B (zh) * 2016-11-11 2017-11-11 南開科技大學 一種利用關聯關係管理多媒體檔案的系統及其方法
CN111190612A (zh) * 2019-12-17 2020-05-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设置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20220066674A1 (en) * 2020-08-31 2022-03-03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Method and system of large amount of data migration with enhanced efficiency
WO2023182251A1 (ja) * 2022-03-22 2023-09-28 ヌヴォトンテクノロジージャパン株式会社 リピータ、ケーブル、および、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3740A (ja) * 1991-06-11 1992-12-16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ータバックアップ機能付加コンピュータ
US5365486A (en) 1992-12-16 1994-11-1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circuitry for refreshing a flash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FR2700040B1 (fr) 1992-12-31 1995-02-17 Gemplus Card Int Carte à puce avec données et programmes protégés contre le vieillissement.
US5511020A (en) 1993-11-23 1996-04-23 Monolithic System Technology, Inc. Pseudo-nonvolatile memory incorporating data refresh operation
JPH0863380A (ja) * 1994-08-18 1996-03-08 Hitachi Ltd データベースの運用方法
JPH0863379A (ja) * 1994-08-19 1996-03-08 Toshiba Corp バックアップ用外部記憶装置を有する情報処理装置
DE19540915A1 (de) * 1994-11-10 1996-05-15 Raymond Engineering Redundante Anordnung von Festkörper-Speicherbausteinen
JPH09244961A (ja) 1996-03-08 1997-09-19 Mitsubishi Electric Corp フラッシュata−pcカード
US6134140A (en) 1997-05-14 2000-10-17 Kabushiki Kaisha Toshib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soft-programming to adjust erased state of memory cells
US5909449A (en) 1997-09-08 1999-06-01 Invox Technology Multibit-per-cell non-volatile memory with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JP3509501B2 (ja) * 1997-10-14 2004-03-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バッテリー制御装置
JP3599541B2 (ja) 1997-11-27 2004-12-08 シャープ株式会社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JP2000076139A (ja) * 1998-08-28 2000-03-1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携帯型情報記憶媒体
JP2000194605A (ja) * 1998-12-24 2000-07-14 Nec Mobile Commun Ltd フラッシュメモリのリフレッシュ装置、そのリフレッシュ方法及びフラッシュメモリ
US6841821B2 (en) 1999-10-07 2005-01-11 Monolithic System Technology, Inc. Non-volatile memory cell fabricated with slight modification to a conventional logic process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US6732230B1 (en) * 1999-10-20 2004-05-04 Lsi Logic Corporation Method of automatically migrating information from a source to an assemblage of structured data carriers and associated system and assemblage of data carriers
US6396744B1 (en) 2000-04-25 2002-05-28 Multi Level Memory Technology Flash memory with dynamic refresh
JP2002116942A (ja) * 2000-10-12 2002-04-19 Sony Corp メモリ装置
US7170557B2 (en) 2002-03-26 2007-01-30 Eastman Kodak Company Modular digital imaging system
GB2407405B (en) 2003-10-23 2008-05-21 Andrew Lester Small-scale RAID arrays and adapters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US7325090B2 (en) * 2004-04-29 2008-01-29 Sandisk Il Ltd. Refreshing data stored in a flash memory
DE202004007990U1 (de) * 2004-05-18 2004-09-23 Dynatron Electronics Gmbh & Co. Kg Kopiervorrichtung für Speicherkarten
US20060053308A1 (en) * 2004-09-08 2006-03-09 Raidy 2 Go Ltd. Secured redundant memory subsystem
US7184264B2 (en) 2004-09-23 2007-02-27 Imation Corp. Connectable memory devices to provide expandable memory
EP1659474A1 (en) * 2004-11-15 2006-05-24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USB flash drive for protecting private content stored in the USB flash drive
US20070050569A1 (en) * 2005-09-01 2007-03-01 Nils Haustein Dat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DE202005015706U1 (de) * 2005-10-06 2005-12-15 Saynet Solutions Gmbh Vorrichtung zur Datensicherung
KR100803598B1 (ko) * 2005-12-28 2008-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형성 장치에 연결된 외부 저장매체의 이미지 파일들을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8661185B2 (en) * 2006-07-12 2014-02-25 Sandisk Technologies Inc. Electronic library for managing data on removable storage devices
TWM311100U (en) * 2006-11-14 2007-05-01 Innodisk Corp Flash disk with flash memory storage replacement capability
JP2008152415A (ja) * 2006-12-15 2008-07-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クセス装置、メモリコントローラ、不揮発性記憶装置、及び不揮発性記憶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81445A2 (en) 2008-07-10
TW200837636A (en) 2008-09-16
TWI443585B (zh) 2014-07-01
EP2109813A2 (en) 2009-10-21
EP2189894A1 (en) 2010-05-26
US8037266B2 (en) 2011-10-11
JP2010515190A (ja) 2010-05-06
EP2189894B1 (en) 2016-03-16
WO2008081445A3 (en) 2008-09-25
US20080162797A1 (en) 200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03925A (ko) 디지털 콘텐트를 보관하는 장치와 방법
US11775180B2 (en) Tape library emulation with automatic configuration and data retention
US8195445B2 (en) Data backup system including a data protection component
TW417104B (en) Realtime data recording method
US6892276B2 (en) Increased data availability in raid arrays using smart drives
US8635403B2 (en) Flash memory card-based storage devices with changeable capacity
US8127068B2 (en) Removable cartridge storage devices and methods
JP2005292865A (ja) ストレージシステム及びストレージシステムのバックアップ方法
CN105824572A (zh) 一种磁盘存储空间管理方法、装置及存储设备
US200500339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disk drive firmware in a raid storage system
US8447926B2 (en) Method of controlling optical disc drive archive system
US6606693B1 (en) Method and system for long-term digital data storage
US20040141723A1 (en) Editing apparatus
US10922270B2 (en) Adaptive data recording method in vehicle image recording device
US20030204755A1 (en) Method and system for long-term digital data storage
US20080028173A1 (en) Soft media changer
US7165081B2 (en) Storage server embedded code backup method and system
JP4266968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5063047A (ja) Fatファイルシステム書換方法および装置
WO2016067326A1 (ja) ストレージシステム
JPWO2006068190A1 (ja) 電子機器、フォーマット判別システム、フォーマット判別方法
JP2013045475A (ja) ストレージシステム
JP2016184903A (ja) データ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記録媒体、プログラム
JP2016139445A (ja) データライブラリ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