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0446A - 전달 블럭을 둘러싸는 열 조절 조성물이 포함된 직물 지지체 - Google Patents

전달 블럭을 둘러싸는 열 조절 조성물이 포함된 직물 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0446A
KR20090100446A KR1020097016690A KR20097016690A KR20090100446A KR 20090100446 A KR20090100446 A KR 20090100446A KR 1020097016690 A KR1020097016690 A KR 1020097016690A KR 20097016690 A KR20097016690 A KR 20097016690A KR 20090100446 A KR20090100446 A KR 20090100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upport
block
support
microcapsule
microcaps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6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끌로딘느 꼴렝
Original Assignee
레니에르 드 피까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니에르 드 피까르디 filed Critical 레니에르 드 피까르디
Publication of KR20090100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0446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3/00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D06M23/12Processes in which the treating agent is incorporated in microcapsu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0/00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4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8Organic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56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ing ingredients of the macro-molecular co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041Two or more non-extruded coatings or impregnations
    • Y10T442/2123At least one coating or impregnation contains particulat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를 포함하는 직물 지지체에 관한 것이며, 상기 지지체는 열 조절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열 조절 조성물로 둘러싸이기 위하여 상기 섬유와 결합하는 물질 블럭을 더 포함하며, 상기 블럭을 형성하는 물질은 열 조절 조성물 내에서 열 및/또는 수분 전달을 증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직물 지지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직물 지지체, 열 전달, 수분 전달, 열 조절 조성물

Description

전달 블럭을 둘러싸는 열 조절 조성물이 포함된 직물 지지체{TEXTILE SUBSTRATE INCLUDING A THERMAL REGULATION COMPOSITION SURROUNDING TRANSFER ISLANDS}
본 발명은 열 조절 조성물을 통합하는 직물 지지체와 상기 직물 지지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직물 지지체에 열 조절 속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 변화 물질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통합된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열 조절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실제, 직물 지지체는 열적으로 안락함을 제공하기 위하여 물질의 상 변화시에 열 에너지를 흡수하고 방출하는 것에 의하여 온도 변화를 지연시킨다.
상기 마이크로캡슐을 직물 지지체에 통합하기 위해서는, 특히 상기 마이크로캡슐을 섬유에 통합하거나(유럽특허 제0 306 202호 참조), 마이크로캡슐을 직물 지지체에 코팅되어 있는 중합체 결합체 층에 배치하거나(유럽특허 제0 611 330호 참조), 또는 마이크로캡슐을 개별적으로 섬유에 고정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유럽특허 제1 275 769호 참조).
그러나, 상기 실시예에서는 열 조절 조성물에 의한 열적 안락함을 최적화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상기 열적 안락함은 열 조절 조성물 내에서의 열 전달율과 열 분배에 따른다. 게다가, 열 조절 조성물을 통한 수분의 전달율도 감지할 수 있는 열적 안락함의 관점에서 관련 요소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 조절 조성물을 통합하는 직물 지지체를 제안하여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열 및/또는 수분 전달이 감지할 수 있는 열적 안락함을 증진하기 위하여 최적화된다.
이를 위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섬유를 포함하는 직물 지지체를 제안하며, 상기 지지체는 열 조절 조성물을 통합하고, 상기 직물 지지체는 또한 열 조절 조성물로 둘러싸이기 위하여 섬유와 결합된 물질 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물질은 열 조절 조성물 내에서 열 및/또는 수분의 전달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럭을 형성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열 조절 조성물은 상 변화 물질이 배치되어 있는 외피를 가지는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며, 상기 물질의 녹는점은 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정해지며, 마이크로캡슐은 교차결합에 의하여 섬유와 결합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직물 지지체 제조 방법을 제안하며, 상기 제조 방법은:
-외피내에 상기 상 변화 물질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 제형을 준비하는 단계로서, 상기 외피는 전리 방사선에 대한 한 종류의 반응기를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형은 또한 전리 방사선에 대한 두 종류의 반응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교차결합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 제형을 준비하는 단계;
-열 및/또는 수분 전달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물질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물질을 상기 직물 지지체 표면의 하나 이상의 존에 부착하여 상기 섬유와 결합하는 블럭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직물 지지체에 상기 마이크로캡슐 제형을 함침하는 단계;
-전리 방사선을 함침된 직물 지지체에 가하여 상기 반응기를 활성화시켜 상기 마이크로캡슐을 상기 지지체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성과 이점은 이하의 다양하고 구체적인 실시예 설명에 의하여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섬유를 포함하는 직물 지지체에 관련된 것이며, 상기 지지체는 가능한 어떤 유형으로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편물 또는 직물 또는 부직포 랩을 포함하는 유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직물 지지체는 무게가 50g/m2 이하의 부직 랩, 특히 무게가 30g/m2 내지 80g/m2이고 두께가 0.5mm이하인 부직 랩을 포함한다. 랩 섬유의 길이는 30mm 내지 60mm이다. 랩은 방염성 및 흡수성의 랩을 얻기 위하여 물을 주입하거나 다른 수단에 의하여 결합된다(적절한 결합제 및 열 접착기로 연결 하고 화학적 결합함).
바람직하게는, 직물 지지체는 섬도가 4dtex이하인 친수성 섬유로 이루어져서 이하의 설명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수성의 마이크로캡슐 제형의 가요성과 흡수 용량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섬유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또는 폴리아미드(polyamid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변형 실시예에서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폴리아미드 섬유에 셀룰로오스(cellulose) 섬유를 혼합하는 혼합물을 고려해 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면직물 또는 비스코스(viscose)가 예를 들어 80 중량% : 20 중량%인 혼합물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직물 지지체는 열 조절 조성물을 포함한다. 열 조절 조성물은 상 변화 물질을 포함하며, 체온 근처에서 열 조절을 하기 위하여 녹는점은 15℃ 이상 38℃ 이하 바람직하게는 22℃ 이상 35℃ 이하이다.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면, 상기 조성물은 요구되는 녹는점을 가지기 위하여 파라핀(paraffin), 바람직하게는 16개 이상 22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파라핀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하여, 대기 온도가 상승하면 조성물의 액화는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며 열 에너지를 흡수하고, 대기 온도가 하강하면, 상기 조성물의 응고가 상기 열 에너지를 방출한다. 변형 실시예에서 파라핀을 포함하지 않는 방화성 상 변화 물질, 바람직하게는 불연용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열 조절 조성물은 크기가 20㎛이하, 바람직하게는 평균 1 내지 10㎛인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한다. 마이크로캡슐은 상 변화 물질이 배치되어 있는 외피를 가진다.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면, 마이크로캡슐은 섬유에 통합되거나 직물 지지체에 코팅된 중합체 결합제 층에 배치되거나 또는 섬유에 개별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열 조절 제형은 두 종류의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두 종류의 마이크로캡슐의 상 변화 물질의 녹는점은 다르다. 바람직하게는, 양 종류의 마이크로캡슐은 각각 28℃와 35℃의 녹는점을 가지는 BASF사의 Lurapret TX PMC 28 모델과 Lurapret TX PMC 35 모델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 변화 물질은 각각 n-옥타데칸(n-Octadecane)과 n-아이코산(n-Eicosane)이며, 열량 저장 능력 또는 열량 방출 능력은 170J/g 정도이다. 게다가,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외피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PMMA)로 이루어진다.
지지체는 또한 열 조절 조성물에 의하여 부분 또는 전체가 둘러싸이기 위하여 섬유와 결합하는 물질 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물질은 열 조절 조성물 내에서 열 및/또는 수분의 전달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럭을 형성한다. 이로써, 블럭은 감지할 수 있는 열적 안락함을 증진하기 위하여 열 조절 조성물 내에서 열 및/또는 수분의 교환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는 교환은 본질적으로 전도로 이루어지고 블럭이 조절 조성물과 접촉하거나 적어도 인접한 부근에 있음으로써 이루어진다.
만약 열 조절 조성물이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한다면, 블럭은 상 변화 물질에 의한 열 에너지 흡수 및 방출 운동을 증진하기 위하여 마이크로캡슐 간의 열 전달을 향상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럭은 흡습성의 중합체 물질을 주성분으로 하며, 바람 직하게는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PVA), 셀롤로오스(cellulose) 유도체, 셀롤로오스 카르복시 메틸(Carboxy Methyl), 키토산(Chitosan), 키틴(Chitin) 유도체를 포함하는 기(group)에서 선택된다.
게다가 블럭은 또한 물질에 코팅된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캡슐은 활성물을 통합한다. 활성물은 또한 열 조절을 증진하는 상 변화 물질일 수 있고 또는 다른 기능, 예를 들어 위생적으로 또는 안락함과 관련된 다른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활성물은 특히 모기, 전도성, 정전기를 없애고 통기성, 향기, 방수력을 개선하기 위하여 은착염, 방향제와 같은 세균 발육 저지제와 방향유를 포함한다. 게다가 키토산은 습기와 세균 발육 저지 기능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럭은 직물 지지체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기하학적인 존으로 이루어진 분리된 조직 형태, 예를 들어 사각 또는 다른 형상을 가지는 조각의 이차원 조직 형태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블럭은 블럭이 배치되는 직물 지지체 표면의 5%와 40%를 덮는다.
게다가, 블럭은 직물 지지체의 일 표면에 시각적인 표시 또는 로고(logo)를 형성하거나 포함하며, 예를 들어 표시 또는 로고를 형성하는 안료를 물질에 통합하여 형성하거나 포함한다.
직물 지지체는 직물품, 특히 침구 리넨(bed linen), 예를 들어 배게, 침대 덮개 또는 스포츠 또는 작업용 옷을 생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직물품은 직물 지지체의 한쪽에는 내부 직물층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의 다른 한쪽에는 외부 직물층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직물층은 공기를 포집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내부 직물층 및 외부 직물층은 면직 충전층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신체를 접하는 내부층을 형성함으로써, 열 조절 기능은 최적화된다. 게다가, 직물품은 또한 방수/통기층, 예를 들어 친수성 또는 다공성의 소수성의 층을 포함하고, 이는 신체에 물은 닿지 않고 통기가 되도록 하기 위하여 외부 직물층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직물 지지체의 제조 방법은 하기에 기재되어 있고, 마이크로캡슐은 마이크로캡슐의 외피와 상기 지지체의 섬유 사이의 교차결합에 의하여 섬유와 결합한다. 게다가 직물 지지체는 10g/m2이상, 특히 40g/m2이상의 마이크로캡슐을 통합하여, 5J/g에서 150J/g이상의 열 에너지를 흡수하거나 방출할 수 있다.
본 방법으로 외피 내에 상 변화 물질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 제형을 준비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으며, 상기 외피는 전리 방사선에 대한 한 종류의 반응기를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특히, 이러한 반응기는 전리 방사선의 영향하에서 반응하는 유리 라디칼(reactive free radical)을 형성하는 불포화 결합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전리 방사선에 대한 반응기는 수산기, 카르복시기(carboxyl), 카르보닐기(carbonyl), 아크릴레이트(acrylate), 메탈아크릴레이트(methacrylate), 아민(amine), 아미드(amide), 이미드(imide), 우레탄(urethane), 스티렌기(styrene groups)를 포함하는 기(group)에서 선택되어 진다. 변형 실시예에서, 상기 외피는 수종의 전리 방사선에 대한 반응기를 포함한다.
마이크로캡슐 제형은 또한 전리 방사선에 대한 두 종류의 반응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교차결합제를 포함하며, 상기 종류는 동일하거나 다르게 선택될 수 있다. 게다가, 복수의 반응기는 열에 반응하는 것으로 선택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캡슐 제형은 특히 글리시딜(glycidyl)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탈아크릴레이트(AGLY, MAGLY),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200, 400, 600 다이아크릴레이트(diacrylates) (PEG200 DA, PEG400 DA, PEG600 DA),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dipropylene glycol diacrylate) (DPGDA), 포타슘 설포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potassium sulphopropyl methacrylate) (SPMK), 및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lauryl methacrylate) 또는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기에서 선택되는 혼합 교차결합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AGLY 또는 MAGLY는 에폭시기 및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탈아크릴레이트기를 가지는 두 가지 기능을 가지는 교차결합제이며, PEG DA는 두 가지 기능을 가지는 내부 소성제이며, 상기 내부 소성제는 마이크로캡슐과 섬유 사이에서 연결 고리를 연장하여 교차결합하게 한다. 그러므로 양쪽의 교차결합제를 함께 사용하는 것은 마이크로캡슐 배치의 가요성을 증진한다.
교차결합제와 마이크로캡슐의 질량비는 바람직하게 0.5 이하, 특히 0.10 내지 0.30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마이크로캡슐 제형은 마이크로캡슐을 30 중량%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내지 5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캡슐은 용매 특히 물에 퍼져 있다. 마이크로캡슐 제형은 또한 분산의 안정도를 증가시키는 하나 이상의 작용제, 예를 들어 전리 방사선에 반응하는 음이온 단량체인 설포프로필 메 탈아크릴레이트(SPM) 또는 설포프로필 아크릴레이트(SPA) 또는 마이크로캡슐과 지지체 사이를 결합하는 동안 교차결합제에 의한 마이크로캡슐의 습윤을 증가시키는 상표명 HYCAR 26319로 판매되는 아크릴 라텍스(acrylic latex)를 포함한다. 변형 실시예에서, 상기 작용제는 젤 형태의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또는 폴리우레탄 분산액(polyurethane dispersion)이 될 수 있다.
기능화 방법은 또한 열 및/또는 수분의 전달을 향상시키는 물질을 준비하는 단계와 그 후에 섬유와 결합하는 블럭을 형성하기 위하여 직물 지지체 표면의 하나 이상의 존에 상기 물질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블럭을 형성하는 물질은 이하에서 개시된 것처럼 마이크로캡슐 제형으로 블럭이 함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이크로캡슐 제형에 대하여 기밀성을 보인다. 이에 의하여 직물 지지체의 가요성을 증진할 수 있고, 마이크로캡슐이 없는 존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체의 접음 존을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블럭을 형성하는 물질은 부분 또는 전체가 가수분해된 폴리비닐 알코올(PVA)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수분해된 폴리비닐 알코올(PVA)은 물에 용해되고, 상기 용해제는 또한 마이크로캡슐 제형을 위한 항점착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항점착제는 글리세롤일 수 있고, 물질의 점도는 항점착제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항점착제를 잡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물질는 요변성일수 있고 50 내지 300dPA.s의 점도를 나타내어 섬유를 덮을 수 있게 직물 지지체를 통하여 이동하는 반죽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블럭을 형성하는 물질은 실크스크린날염법(serigraphy)에 의하여 부착되고 이어서 직물 지지체를 마이크로캡슐 제형으로 함침하기 전에 상기 물질의 부분 또는 전부를 건조한다. 침전되는 물질의 양은 5g/m2 내지 40g/m2이다.
그리고 나서 본 방법은 마이크로캡슐 제형을 직물 지지체에 함침시킨다. 함침은 패딩(padding)에 의하여 실시될 수 있으며, 상기 패딩의 조건과 직물 지지체의 특성은 상기 직물 지지체 내에 마이크로캡슐 제형을 중량을 기준으로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150%를 이입할 수 있도록 조절된다. 이에 의하여, 높은 이입율과 높은 마이크로캡슐 함량을 가진 제형을 결합함으로써, 다른 반응기에 의하여 다량의 마이크로캡슐을 직물 지지체에 고정할 수 있다.
특히, 마이크로캡슐 제형은 요변성을 가지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형에 액화기, 예를 들어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을 가하여 점도가 130mPa.s 내지 150mPa.s가 될 수 있다. 게다가, 직물 지지체는 친수성 섬유를 기반으로 할 수 있고, 함침하는 동안 좋은 습윤과 직물 지지체에 제형을 충분히 증가시킬 수 있다. 게다가 직물 지지체는 직물 지지체의 함침 전에 특별한 처리, 바람직하게는 직물 지지체의 응집력 및/또는 습윤성을 개선하기 위한 특별한 처리를 한다.
게다가, 패딩시의 일반적인 압력은 상대적으로 1 내지 2bars로 낮아서, 직물 지지체 내로 마이크로캡슐 제형의 침투와 고른 분배로 많이 이입할 수 있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위 면적당 질량 50g/m2을 가지는 직물 지지체 내에 함침된 제형의 양은 50g/m2이상, 바람직하게는 50g/m2 내지 150g/m2가 될 수 있다.
함침후에 직물 지지체는 함침된 직물 지지체에 전리 방사선을 가하기 전에 바람직하게는 적외선 램프에 의하여 건조된다. 건조는 또한 직물 지지체 내의 마이크로캡슐 제형의 열을 설정한다. 변형 실시예에서, 열 설정은 열에 반응하는 교차결합제의 반응으로 마이크로캡슐의 정돈을 마무리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100℃ 내지 140℃의 온도에서 전리 방사선을 가한 후에 실시된다.
방사선의 동력과 지속시간은 상기 지지체에 마이크로캡슐을 교차결합하기 위하여 반응기를 활성화 시킬수 있도록 조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리 방사선은 전자 가속기로 생성되는 이온 충격이고, 이는 하나 또는 두 개의 통로로 실시되며, 바람직하게는 직물 지지체의 한쪽 측면의 통로로 실시된다. 게다가, 존재하는 다양한 반응기와 결합한 전리 방사선의 동력은 직물 지지체에 다량의 마이크로캡슐을 고정한다.
게다가, 외피의 반응기와 교차결합제의 반응은 세탁 또는 건조하기 위한 고형의 3차원 마찰 저항 조직을 형성하기 위하여, 마이크로캡슐의 외피를 섬유, 마이크로캡슐과 함께 그리고 선택적으로 교차결합제와 함께 결합한다.
따라서, 직물 지지체는 세탁되고 건조되고 또는 직물 지지체의 계속적인 사용을 위하여 필요한 다른 처리를 할 수 있다.

Claims (17)

  1. 섬유를 포함하는 직물 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열 조절 조성물을 통합하고, 상기 지지체는 또한 열 조절 조성물에 둘러싸이기 위하여 상기 섬유와 결합하는 물질 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물질은 상기 열 조절 조성물 내에서 열 및/또는 수분 전달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지지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은 흡습성의 중합체 물질을 주성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지지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성의 중합체 물질은 폴리비닐 알코올(PVA), 셀롤로오스 유도체, 셀롤로오스 카르복시 메틸, 키토산, 키틴 유도체를 포함하는 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지지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은 상기 물질에 코팅되는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캡슐은 활성물을 통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지지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은 기하학적인 존으로 이루어진 분리된 조직 형태로 상기 직물 지지체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지지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은 블럭이 배치되는 상기 직물 지지체 표면의 5% 내지 40%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지지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친수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지지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물 지지체는 부직 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지지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조절 조성물은 상 변화 물질이 배치되어 있는 외피를 가지는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며, 상기 물질의 녹는점은 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지지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열 조절 조성물은 두 종류의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며, 상기 상 변화 물질의 각각의 마이크로캡슐은 녹는점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지지체.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지지체는 10g/m2이상의 마이크로캡슐을 통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지지체.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캡슐은 교차결합에 의하여 섬유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지지체.
  13. 제12항에 따른 직물 지지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외피내에 상기 상 변화 물질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 제형을 준비하는 단계로서, 상기 외피는 전리 방사선에 대한 한 종류의 반응기를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형은 또한 전리 방사선에 대한 두 종류의 반응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교차결합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 제형을 준비하는 단계;
    -열 및/또는 수분 전달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물질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물질을 상기 직물 지지체 표면의 하나 이상의 존에 부착하여 상기 섬 유와 결합하는 블럭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직물 지지체에 상기 마이크로캡슐 제형을 함침하는 단계;
    -전리 방사선을 함침된 직물 지지체에 가하여 상기 반응기를 활성화시켜 상기 마이크로캡슐을 상기 지지체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직물 지지체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을 형성하는 물질은 또한 상기 마이크로캡슐 제형에 대하여 기밀성을 나타내어 상기 블럭이 상기 마이크로캡슐 제형에 의하여 계속되어 함침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지지체 제조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은 패딩에 의하여 실시될 수 있으며, 상기 패딩의 조건과 직물 지지체의 특성은 상기 직물 지지체 내에 마이크로캡슐 제형을 중량을 기준으로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150%를 이입할 수 있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지지체 제조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을 형성하는 물질은 부분 또는 전체가 가수분해된 폴리비닐 알코올(PVA)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수분해된 폴리비닐 알코올(PVA)은 물에 용해되고, 상기 용해제는 또한 마이크로캡슐 제형을 항점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지지체 제조 방법.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기능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블럭을 이루는 물질은 실크스크린날염법에 의하여 부착되고 이어서 상기 직물 지지체가 상기 마이크로캡슐 제형으로 함침되기 전에 상기 물질의 부분 또는 전체를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화 방법.
KR1020097016690A 2007-01-10 2008-01-09 전달 블럭을 둘러싸는 열 조절 조성물이 포함된 직물 지지체 KR200901004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700166 2007-01-10
FR0700166A FR2911153B1 (fr) 2007-01-10 2007-01-10 Substrat textile incorporant une composition de regulation thermique entourant des ilots de transfe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446A true KR20090100446A (ko) 2009-09-23

Family

ID=38328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6690A KR20090100446A (ko) 2007-01-10 2008-01-09 전달 블럭을 둘러싸는 열 조절 조성물이 포함된 직물 지지체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100099315A1 (ko)
EP (1) EP2122045B1 (ko)
JP (1) JP2010515835A (ko)
KR (1) KR20090100446A (ko)
CN (1) CN101627159A (ko)
AT (1) ATE529565T1 (ko)
AU (1) AU2008214556A1 (ko)
CA (1) CA2670008A1 (ko)
FR (1) FR2911153B1 (ko)
IL (1) IL198816A0 (ko)
MA (1) MA31164B1 (ko)
TN (1) TN2009000259A1 (ko)
WO (1) WO2008099089A2 (ko)
ZA (1) ZA2009036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43878B (zh) * 2011-09-23 2014-01-15 大连工业大学 一种相变调温、吸湿排汗多功能舒适性纤维
CN103088647A (zh) * 2012-12-12 2013-05-08 吴江麦道纺织有限公司 一种蓄热调温布料的加工工艺
CN104382260B (zh) * 2014-12-12 2016-08-24 苏州大学 一种温度调节与运动舒适面料及成型服装
CN105133350B (zh) * 2015-09-29 2017-09-01 北京宇田相变储能科技有限公司 一种热湿智能调节面料及其制备方法
FR3112560B1 (fr) * 2020-07-17 2022-11-25 Faurecia Interieur Ind Textile pour une pièce de garniture intérieure de véhicule, pièce de garniture intérieure de véhicule et procédé de fabrication associé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6801A (en) * 1992-05-29 1994-11-22 Triangle Research And Development Corporation Fabric with reversible enhanced thermal properties
AU7136000A (en) * 1999-07-19 2001-02-05 Avantgarb, Llc Nanoparticle-based permanent treatments for textiles
TWI261640B (en) * 2001-01-25 2006-09-11 Outlast Technologies Inc Coated articles having enhanced reversible thermal properties and exhibiting improved flexibility, softness, air permeability, or water vapor transport properties
FR2827316B1 (fr) * 2001-07-13 2004-07-30 Inter Unec Interaction Univers Procede de traitement de surface de fibres textiles
WO2005024102A1 (de) * 2003-08-30 2005-03-17 Thüringisches Institut Für Textil - Und Kunststoff - Forschung E.V. Formkörper, insbesondere fasern und deren flächengebilde, mit thermoregulativen eigenschaften
US20060159907A1 (en) * 2004-12-10 2006-07-20 Simona Percec Filled ultramicrocellular structures
PT103265B (pt) * 2005-04-22 2007-02-28 Univ Do Minho Microcápsulas com grupos funcionais reactivos de ligação a fibras têxteis e processo de aplicação e fixaçã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8214556A1 (en) 2008-08-21
EP2122045B1 (fr) 2011-10-19
WO2008099089A3 (fr) 2008-11-06
IL198816A0 (en) 2010-02-17
US20100099315A1 (en) 2010-04-22
CA2670008A1 (fr) 2008-08-21
EP2122045A2 (fr) 2009-11-25
CN101627159A (zh) 2010-01-13
FR2911153B1 (fr) 2009-04-10
ZA200903655B (en) 2010-04-28
WO2008099089A2 (fr) 2008-08-21
JP2010515835A (ja) 2010-05-13
MA31164B1 (fr) 2010-02-01
ATE529565T1 (de) 2011-11-15
TN2009000259A1 (fr) 2010-10-18
FR2911153A1 (fr) 2008-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4946B2 (ja) 反応性の官能基を有するマイクロカプセルから形成された被覆物品
US8404341B2 (en) Microcapsules and other containment structures for articles incorporating functional polymeric phase change materials
US20100015430A1 (en) Heat Regulating Article With Moisture Enhanced Temperature Control
KR20090100445A (ko) 전리 방사선을 받는 상태에서 교차결합함으로써 직물 지지체를 기능화하는 방법
KR101331131B1 (ko) 섬유 결합용 기능성 반응기를 갖는 마이크로캡슐 및적용방법, 및 고정
CN105026638B (zh) 通气插件
KR20090100446A (ko) 전달 블럭을 둘러싸는 열 조절 조성물이 포함된 직물 지지체
KR101180787B1 (ko) 온습도 자동조절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CN102337673A (zh) 一种消防服用阻燃相变隔热层织物的制备方法
NO171024B (no) Temperaturtilpasningsdyktig ikke-hule fibre og fremgangsmaate ved fremstilling derav
CN109610182A (zh) 智能调温防水透湿面料处理方法
JP2001064876A (ja) 保温性布帛およびその用途
Bajaj Thermally sensitive materials
JP3925178B2 (ja) ウインドブレーカー
US20110183147A1 (en) Method for Functionalising a Textile Substrate in Order to Impart Humidity Transfer Properties Thereto
JP2002180308A (ja) 保温衣料
CN204994744U (zh) 超薄芳香鞋垫
Wang et al. Fabrication of air‐conditioning tussah silk with capric–stearic eutectic mixture for effective energy storage and thermal‐regulatory applications
JP2004300598A (ja) 繊維構造物
KR100457319B1 (ko) 온도조절형 인공지능섬유
KR20010097022A (ko) 상변이 물질을 포함하는 축열 방열 직물 또는 의류의제조방법
JPH0268366A (ja) ドライタッチなコーティング布帛
CN113263790A (zh) 一种功能性复合面料及其制备方法
JPS61102475A (ja) 合成繊維編織物の防水・透湿加工方法
JP2004149934A (ja) 高吸湿性繊維構造物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