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7022A - 상변이 물질을 포함하는 축열 방열 직물 또는 의류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상변이 물질을 포함하는 축열 방열 직물 또는 의류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7022A
KR20010097022A KR1020000020748A KR20000020748A KR20010097022A KR 20010097022 A KR20010097022 A KR 20010097022A KR 1020000020748 A KR1020000020748 A KR 1020000020748A KR 20000020748 A KR20000020748 A KR 20000020748A KR 20010097022 A KR20010097022 A KR 20010097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weight
heat
clothing
phase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0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흥운
Original Assignee
엄주명
카이클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주명, 카이클럽(주) filed Critical 엄주명
Priority to KR1020000020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7022A/ko
Publication of KR20010097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702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combined with cutt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41Shear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600∼20000의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틸렌글리콜 30∼70 중량%, 디 메틸 디하이드록시 에틸렌 요소 또는 벨크렌디피 60인 가교제 7∼13 중량%, 마그네슘 클로라이드와 구연산 또는 p-톨루엔술폰산을 4∼6:1의 중량비로 혼합시킨 촉매 1∼10 중량%, 및 물 20∼62 중량%로 이루어지는 가공액을 직물 또는 의류에 균일하게 함침시키기 위하여 적시고, 탈수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70∼80%의 웨트 픽업(wet pick up)이 되도록 패딩(padding)시키는 단계; 상기 패딩 단계를 거친 직물 또는 의류를 60∼80℃의 온도 조건에서 저온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저온건조된 직물 또는 의류를 120∼160℃의 온도 조건에서 경화시키기 위한 열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축열 방열 직물 또는 의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과량의 수지를 바인더로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섬유 특유의 우수한 촉감을 유지할 수 있으며, 축열 방열기능을 갖지 않는 의류에도 용이하게 축열 방열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상변이 물질을 포함하는 축열 방열 직물 또는 의류의 제조방법{The Method for Fablicating Heat Accumulative and Heat Radiative Fabric Or Clothing Containing Phase Change Materials}
본 발명은 가교제와 공유결합한 상변이 물질을 포함하는 축열 방열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축열 및 방열 효과를 갖는 상변이 물질을 직물에 침투시킨 후에 가교제로 공유결합시켜 고착시킴으로써 축열 방열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육체적 활동 또는 체온 상승에 따라 인체로 부터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거나, 추운 외부 환경에 노출시 인체에 열을 공급하기 위하여 섬유에 축열 방열물질을 부착시킨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그 중 하나의 방법으로, 마이크로 켑슐을 섬유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수지를 바인더로 사용하여 직물의 이면에 코팅하는 방법이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마이크로 켑슐을 섬유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다량의 수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섬유의 촉감이 양호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미국특허 제5,290,901호는 에너지를 흡수하는 상변이 물질로 채워진 마이크로 켑슐을 함유하는 바인더로 코팅된 기질이 향상된 열보유 또는 열저장 능력을 갖는 점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경우, 직물의 내구성, 수증기 투과성, 탄성 등이 저하되며, 특히 아크릴 화합물이 바인더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미국 특허 제5,851,338호는 마이크로 스페어 형태의 상변이 물질이 분산되어 있는 고분자 바인더를 예비적으로 경화,가교되고 스키빙 처리된(skived)폼(foam) 기질에 도입시킴으로써 스키빙 처리된 폼이 바인더/마이크로 스페어 분산을 위한 지지 매트리스로 기능함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 역시 다량의 수지 바인더를 사용하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없었다.
또한, 상기 언급된 종래의 기술은 상변이 물질을 직물에 직접 침투시키지 않기 때문에 이미 완성된 의류에 축열 방열성을 부여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변이 물질을 직접 섬유와 섬유 사이의 공간에 침투시키고, 열처리에 의한 가교결합을 통하여 상변이 물질을 직물 또는 의류에 고착시킴으로써 축열 방열 성분이 함유되지 않은 의류에도 간편하게 축열 방열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직물 또는 의류의 제조방법을 개발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과량의 수지를 바인더로 사용하지 않고도 상변이 물질을 직물에 직접 침투시켜 우수한 촉감을 부여하는 축열 방열 직물 또는 의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의류에도 간편하게 축열 방열 기능을 부여하는 직물 또는 의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직물의 기계적 성질을 손상시킴 없이 우수한 축열 방열 효과를 갖는 직물 또는 의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 및 기타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600∼20000의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틸렌글리콜 30∼70 중량%, 디 메틸 디하이드록시 에틸렌 요소 또는 벨크렌디피 60인 가교제 7∼13 중량%, 마그네슘 클로라이드와 구연산 또는 p-톨루엔술폰산을 4∼6:1의 중량비로 혼합시킨 촉매 1∼10 중량%, 및 물 20∼62 중량%로 이루어지는 가공액을 직물 또는 의류에 균일하게 함침시키기 위하여 적시고, 탈수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70∼80%의 웨트 픽업(wet pick up)이 되도록 패딩(padding)시키는 단계; 상기 패딩 단계를 거친 직물 또는 의류를 60∼80℃의 온도 조건에서 저온 건조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저온건조된 직물 또는 의류를 120∼160℃의 온도 조건에서 경화시키기 위한 열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외부 환경의 온도 변화 또는 인체 활동에 관계없이 의류 착용자의 신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의류에 부착되는 열적 물질로는 2,2-디메틸-1,3-프로판디올, 2-하이드로 메틸-2-1,3-프로판디올 등의 플라스틱 크리스탈, 칼슘 클로라이드 헥사 하이드라이드, 리튬 니트라이드 트리 하이드라이드, 아연 니트라이드 헥사 하이드라이드 등의 무기수산화염, 및 상변이 물질 등이 있다.
통상, 상변이 물질은 일반적으로 일정 온도를 기준으로 액체에서 고체, 또는 액체에서 고체로의 결정화 및 용융의 열적변이가 일어나 열에너지를 흡수하거나 방출할 수 있는 물질로서, 예를 들면, 일정온도에서는 액체와 고체가 혼재되어 있는 상태로 존재하며 한계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는 경우에는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액체 상태로 존재하는 반면, 한계온도 이하로 냉각되는 경우에는 액체상태에서 고체상태로 상변이를 일으키면서 열에너지를 주위로 방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적절한 상변이 물질을 선택함으로써 온도 안정성이 요구되는 응용분야에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상변이 물질은 체온 주위에서 적절한 상변이를 일으킬 수 있도록 600∼20000의 분자량을 갖는 폴리 에틸렌 글리콜이 사용된다. 이 때, 상기 상변이 물질은 가공액 중 30∼70 중량%으로 함유되며, 3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축열, 방열기능이 저하되며, 7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섬유가 딱딱해져 섬유본래의 부드러운 촉감을 기대할 수 없다. 폴리 에틸렌 글리콜은 수용성이므로 물을 용매로 하여 가공액을 제조하고, 이 때 물의 함량은 가공액 중 20∼62 중량%이다.
가교제는 상변이 물질이 직물 또는 의류로 고착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하기 위한 것으로, 수십 회의 세탁 후에도 섬유 내에 함유된 상변이 물질을 고착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교제의 예로는 디메틸 디하이드록시 에틸렌 요소와 벨크렌디피 60 등이 있으며, 디메틸 디하이드록시 에틸렌 요소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공액 중 가교제의 함량은 7∼13 중량%이며, 7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가교력이 저하되어 상변이 물질이 섬유로부터 이탈되고, 13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섬유의 강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촉매는 가교제의 가교결합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마그네슘 클로라이드와 구연산 또는 p-톨루엔술폰산을 4∼6:1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5:1의 중량비로 혼합시켜 제조되고, 가공액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가공액 중 1∼1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된다. 이때, 마그네슘 클로라이드와 구연산 또는 p-톨루엔술폰산의 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가교결합 효율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변이 물질이 적용될 수 있는 직물의 종류는 모직물, 면직물, PET 유사모직물 등이 있으며, 반드시 특정한 직물에 한정되지 않는다.
폴리에틸렌글리콜, 가교제, 촉매, 및 물로 이루어지는 가공액을 직물 또는 의류에 적셔주고, 롤러 등에 의하여 짜주는 과정을 수회, 바람직하게는 1∼2회 반복하여 가공액을 섬유 내부에 침투시키며,이때 웨트 픽업(wet pick up)은 70∼80%의 범위가 되도록 한다. 상기 패딩공정은 가공액을 섬유내부로 균일하고 효과적으로 침투시키기 위한 것으로 가공액의 선택흡수현상의 방지 및 섬유내로의 완전침투실현 등을 고려하여 가공조건을 정해야 한다.
상기 가공액을 섬유 내부로 함침시키는 패딩(padding) 과정을 거친 직물 또는 의류는 저온 조건에서 건조된다. 상기 저온건조 단계는 비교적 저온에서 섬유 내에 함침된 가공액에 포함된 물을 증발시키는 것으로, 직물 내부에 함침된 가공액이 수분증발에 따라 섬유표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시되며, 약 60∼80℃의 온도에서 실시된다. 상기 온도범위를 초과하여 건조시키는 경우에는 섬유 내부에 함유된 가교제에 의하여 가교결합이 형성되어 세팅되므로 직물의 봉제와같은 후처리 가공을 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패딩공정 및 저온 건조공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저온 건조 단계를 거친 직물 또는 의류는 섬유 내부에 함침된 가교제의 가교결합에 의하여 상변이 물질과 섬유가 안정적으로 고착되도록 열처리된다. 이러한 가교결합은 최종 제품의 강인성, 내습성, 내화학성 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며, 특히 세탁 시에 상변이 물질이 섬유로부터 이탈되는 내구성의 저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 공정은 120∼160℃의 온도 조건 하에서 2∼7분 동안 이루어진다. 다만, 직물로부터 의류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열처리 공정에 앞서서 저온건조된 직물을 봉제하는 단계가 더욱 포함될 수 있다. 열처리 단계 전에 직물을 봉제하는 이유는 열처리 후에 직물을 봉제할 경우 의류의 형태 안정성을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열처리 단계 후에는 잔존하는 미반응 가공액의 성분, 즉 직물에 고착되지 않은 상변이 물질, 촉매 성분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수세과정을 거친 뒤에 최종적으로 건조된다.
본 발명과 같이 상변이 물질을 직물에 도포하는 경우, 직물의 인열강도와 내마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유연제(softener)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유연제는 직물을 구성하고 있는 섬유 표면에 윤활성을 부여하고 국부적으로 집중되는 외력을 분산시킴으로써 강도 저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실리콘계 유연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가공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1∼5 중량%로 첨가된다. 또한, 의류의 촉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와싱(washing) 등의 방법에 의하여 추가적으로 가공될 수 있다.
상기 공정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상변이 물질의 도포율은 약 20∼50% 정도이며, 축열 방열성의 평가는 시차주사 열량기(DSC)에 의하여 얻어진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히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목적에 불과하며 발명의 영역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물 370g에 분자량 8000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500g, 디메틸 하이드록시 에틸렌 요소 100g, 및 마그네슘 클로라이드와 구연산을 5:1의 중량비로 제조한 촉매 30g을 용해시켜 가공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가공액에 면직 의류를 담그고, 짜주는 과정을 1∼2회 반복하였으며(1∼2 dip-1∼2 nip), 이때 웨트 픽업은 약 80%이었다. 패딩 공정을 거친 의류를 80℃에서 건조시킨 후에 본래 옷의 형태대로 다림질하였으며, 140℃에서 5분동안 열처리하였다. 상기 과정에 의하여 제조된 의류는 시차주사 열량기(DSC)에 의한 측정 결과 축열 방열성이 우수하였으며, 또한 30회의 세탁시험 후에도 상변이물질이 세탁전과 유사한 정도로 섬유 내부에 포함되어 있었다.
실시예 2
의류 대신에 직물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80℃로 저온건조시키는 단계 전까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저온건조된 직물을 봉제하여 의류를 제작하였으며, 다림질한 후에 140℃에서 5분 동안 열처리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의류는 열처리 전후의 형태가 일정하였으며, 테스트 결과 실시예 1과 유사한 축열 방열성 및 세탁 내구성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직물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축열 방열 직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과정에 의하여 제조된 직물은 테스트 결과 실시예 1과 유사한 축열 방열성 및 세탁 내구성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축열 및 방열 직물 또는 가공처리된 의류는 과량의 수지를 바인더로 사용하지 않고도 상변이 물질을 섬유에 직접 침투시켜 우수한 촉감을 부여할 수 있으며, 비교적 간편한 방법에 의하여 이미 제작된 의류에 축열 방열성을 부여할 수 있고, 직물의 기계적 성질을 손상시키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4)

  1. 600∼20000의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틸렌글리콜 30∼70 중량%, 디 메틸 디하이드록시 에틸렌 요소 또는 벨크렌디피 60인 가교제 7∼13 중량%, 마그네슘 클로라이드와 구연산 또는 p-톨루엔술폰산을 4∼6:1의 중량비로 혼합시킨 촉매 1∼10 중량%, 및 물 20∼62 중량%로 이루어지는 가공액을 직물 또는 의류에 균일하게 함침시키기 위하여 적시고, 탈수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70∼80%의 웨트 픽업(wet pick up)이 되도록 패딩(padding)시키는 단계;
    상기 패딩 단계를 거친 직물 또는 의류를 60∼80℃의 온도 조건에서 저온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저온건조된 직물 또는 의류를 120∼160℃의 온도 조건에서 경화시키기 위한 열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 방열 직물 또는 의류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열처리 단계 전에 직물의 봉제 단계가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 방열 직물 또는 의류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액은 1∼5 중량%의 실리콘계 유연제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 방열 직물 또는 의류의 제조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도포율이 2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 방열 직물 또는 의류의 제조방법.
KR1020000020748A 2000-04-19 2000-04-19 상변이 물질을 포함하는 축열 방열 직물 또는 의류의제조방법 KR200100970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0748A KR20010097022A (ko) 2000-04-19 2000-04-19 상변이 물질을 포함하는 축열 방열 직물 또는 의류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0748A KR20010097022A (ko) 2000-04-19 2000-04-19 상변이 물질을 포함하는 축열 방열 직물 또는 의류의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7022A true KR20010097022A (ko) 2001-11-08

Family

ID=19665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0748A KR20010097022A (ko) 2000-04-19 2000-04-19 상변이 물질을 포함하는 축열 방열 직물 또는 의류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702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273B1 (ko) * 2006-04-30 2007-06-0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임계 공정을 이용한 상전이물질이 함유된 기능성 직물지제조방법
KR101266881B1 (ko) * 2011-04-08 2013-06-18 그린텍스(주) 기능성 직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3095029A1 (ko) * 2011-12-23 2013-06-27 (주)이오이즈코포레이션 탄소나노튜브 축열우모 및 이를 이용한 방한의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8584A (en) * 1990-12-14 1994-03-2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Anionically dyeable smooth-dry crosslinked cellulosic material created by treatment of cellulose with reactive swelling agents and nitrogen based compounds
JPH1072781A (ja) * 1996-06-27 1998-03-17 Asahi Chem Ind Co Ltd 人造セルロース系繊維の改質加工方法
JP2000054268A (ja) * 1998-07-31 2000-02-22 Unitika Ltd 溶剤紡糸セルロース繊維布帛の加工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8584A (en) * 1990-12-14 1994-03-2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Anionically dyeable smooth-dry crosslinked cellulosic material created by treatment of cellulose with reactive swelling agents and nitrogen based compounds
JPH1072781A (ja) * 1996-06-27 1998-03-17 Asahi Chem Ind Co Ltd 人造セルロース系繊維の改質加工方法
JP2000054268A (ja) * 1998-07-31 2000-02-22 Unitika Ltd 溶剤紡糸セルロース繊維布帛の加工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273B1 (ko) * 2006-04-30 2007-06-0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임계 공정을 이용한 상전이물질이 함유된 기능성 직물지제조방법
KR101266881B1 (ko) * 2011-04-08 2013-06-18 그린텍스(주) 기능성 직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3095029A1 (ko) * 2011-12-23 2013-06-27 (주)이오이즈코포레이션 탄소나노튜브 축열우모 및 이를 이용한 방한의류
JP2015504117A (ja) * 2011-12-23 2015-02-05 イオイズ・コーポレーション 炭素ナノチューブ蓄熱羽毛及びそれを用いた防寒衣類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61931B2 (ja) 温度適用性紡績繊維とその製法
KR101331131B1 (ko) 섬유 결합용 기능성 반응기를 갖는 마이크로캡슐 및적용방법, 및 고정
EP1368524A2 (en) Method of producing protein sheaths around fibers of textiles and textiles produced thereby
JP2010515836A (ja) 電離放射線下での架橋により布基材を機能化する方法
Vigo et al. Improvement of various properties of fiber surfaces containing crosslinked polyethylene glycols
KR20010097022A (ko) 상변이 물질을 포함하는 축열 방열 직물 또는 의류의제조방법
CN111279031A (zh) 功能性温度调节纺织品添加剂及其用途
US6242369B1 (en) Method of improving washfastness of metallized fabric
KR20130141553A (ko) 소수화 흡습 발열 섬유 및 이것을 사용한 섬유 구조물
JP2010515835A (ja) 移動ブロックを取り囲む温度調節組成を取り込んだ繊維基材
JP3900894B2 (ja) 高吸湿保温性繊維構造物
WO1998023809A1 (en) Fibrous products and their production
Bruno et al. Temperature-Adaptable Fabrics with Multifunctional Properties.
JP3912578B2 (ja) 吸湿/吸水発熱性芯地用構造体
JP2969582B2 (ja) 吸湿性の改善された合成繊維織編物
US3484186A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textile products of polyamides
JPH0268366A (ja) ドライタッチなコーティング布帛
KR101012455B1 (ko) 발수 내구성이 개선된 섬유원단, 그의 제조방법 및 그 용도
Vigo et al. Properties of Knits Containing Crosslinked Polyethylene Glycols.
JP2000328457A (ja) 高吸放湿吸湿発熱性繊維塊
JP5861231B2 (ja) 絹繊維品のプリーツ加工方法及び絹繊維品のプリーツ加工品
Bruno et al. Nonwovens flash cured with crosslinked polyols
JP4332237B2 (ja) 機能性織編物
WO2024080946A1 (en) Method for applying a temperature-moisture responsive shape memory nanocomposite material to a fabric
JPH02221468A (ja) 匂いを有する繊維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