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5273B1 - 초임계 공정을 이용한 상전이물질이 함유된 기능성 직물지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초임계 공정을 이용한 상전이물질이 함유된 기능성 직물지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5273B1
KR100725273B1 KR1020060039122A KR20060039122A KR100725273B1 KR 100725273 B1 KR100725273 B1 KR 100725273B1 KR 1020060039122 A KR1020060039122 A KR 1020060039122A KR 20060039122 A KR20060039122 A KR 20060039122A KR 100725273 B1 KR100725273 B1 KR 100725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change
supercritical
acid
materials
chang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창식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39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52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5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5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3/00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D06M23/10Processes in which the treating agent is dissolved or dispersed in organic solvents; Processes for the recovery of organic solvents thereof
    • D06M23/105Processes in which the solvent is in a supercritical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0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hydrocarb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84Carboxylic 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 D06M13/188Monocarboxylic 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전이물질을 초임계 유체에 용해시켜 섬유나 시트(heet)(이하 '직물지'라 총칭함)에 직접 함침시키는 방법으로 직물지가 축열 기능을 갖도록 함으로써 축열성 기능성 의류 및 축열성 건축자재 등을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 가능하도록 하는 초임계 공정을 이용한 상전이물질이 함유된 기능성 직물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파라핀계 상전이물질인 아이코산(eicosane:C20H42), 도코산 (docosane:C22H46), 테트라코산 (tetracosane:C24H50), 옥타코산(octacosane) 중에서 택일 된 어느 하나, 또는 유기산계 상전이물질인 카프린산(capric acid: CH3(CH2)8COOH), 라우린산(lauric acid: CH3(CH2)10COOH), 팔미틴산(palmitic acid: CH3(CH2)14COOH), 스테아린산(stearic acid: CH3(CH2)16COOH) 중에서 택일 된 어느 하나를 초임계 유체인 이산화탄소, 에탄, 에틸렌 중에서 택일 된 어느 하나에 용해시켜 초임계 상태에서 섬유나 시트지 등에 함침한 것에 특징이 있다.
초임계, 상전이물질, 섬유, 직물지

Description

초임계 공정을 이용한 상전이물질이 함유된 기능성 직물지 제조방법{Preparation of functional materials with phase chang materials using supercritical process}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초임계 함침장치의 구성도
본 발명은 상전이물질을 초임계 유체에 용해시켜 섬유나 시트(heet)(이하 '직물지'라 총칭함)에 직접 함침시키는 방법으로 직물지가 축열 기능을 갖도록 함으로써 축열성 기능성 의류 및 축열성 건축자재 등을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 가능하도록 하는 초임계 공정을 이용한 상전이물질이 함유된 기능성 직물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위 온도의 변화에 따라 융해-응축의 상변화를 일으켜 열을 축적하거나 방출하는 기능을 가진 물질을 상전이물질(또는 축열물질)이라 하고, 섬유나 시트지와 같은 직물지를 상전이물질로 처리하면, 기온이 올라갈 경우 상전이물질이 융해되면서(녹으면서) 열을 흡수하여 시원하게 하고, 기온이 내려가면 응고하면서(굳으면서) 열을 방출하여 따뜻하게 하는 기능성 소재가 된다.
이와 같은 상전이물질로는 잠열이 크고, 열전도도가 좋으며, 사용온도 범위가 적당한 유기물과 무기물이 사용되고 있으며, 유기물로는 값이 싸고 열 비축 용량이 적당하고, 용융점이 넓으며, 과냉각이나 상 분리 현상이 없는 파라핀 왁스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무기물로는 열 비축 용량과 열전도도가 크고, 낮은 중기압으로 연소위험이 적은 수화물염(hydrated salts)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상전이물질을 섬유나 시트지의 직물지에 적용할 때는 통상적으로 주로 상전이물질을 미립자화 한 다음, 이 미립자를 고분자물질 등으로 코팅하고, 이 후 섬유나 시트지의 표면에 도포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섬유나 시트지를 성형하기 전에 상전이물질을 원료와 혼합한 후 성형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방법으로 섬유나 시트지에 상전이물질을 적용하여 축열 기능을 갖게 하려면 상전이물질을 미립자화하여 코팅하고, 미세캡슐화(microencapsulation)시킨 후, 다시 섬유나 시트지에 도포하는 복잡한 공정을 거쳐야 함은 물론, 미세캡슐화 공정 자체도 아직 연구 개발 중에 있을 뿐만 아니라, 미세캡슐화 된 상전이물질의 도포도 완전하지 못하여 사용 중 떨어져 나가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어 널리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전이물질을 초임계 유체에 용해시켜 섬유나 시트지에 직접 함침시킴으로써 섬유나 시트지가 축열 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축열성 기능성 의류 및 축열성 건축자재 등을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전이물질이 함유된 기능성 직물지 제조방법에 있어서 파라핀계 상전이물질인 아이코산, 도코산, 테트라코산, 옥타코산 중에서 택일 된 어느 하나를 초임계 유체인 이산화탄소, 에탄, 에틸렌 중에서 택일 된 어느 하나에 용해시켜 초임계 상태에서 섬유나 시트지에 함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전이물질이 함유된 기능성 직물지 제조방법에 있어서 유기산계 상전이물질인 카프린, 라우린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중에서 택일 된 어느 하나를 초임계 유체인 이산화탄소, 에탄, 에틸렌 중에서 택일 된 어느 하나에 용해시켜 초임계 상태에서 섬유나 시트지에 함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초임계 공정을 이용한 상전이 물질이 함유된 기능성 직물지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 1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상온 부근에서 작용하는 상전이물질로 사용되는 파라핀계 탄화수소들은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대한 용해도가 매우 크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전이물질은 파라핀계의 아이코산(eicosane:C20H42), 도코산(docosane:C22H46), 테트라코산(tetracosane:C24H50), 옥타코산(octacosane) 중에서 택일 된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상전이물질은 유기산계의 카프린산(capric acid:CH3(CH2)8COOH), 라우린산(lauric acid:CH3(CH2)10COOH), 팔미틴산(palmitic acid:CH3(CH2)14COOH), 스테아린산(stearic acid:CH3(CH2)16COOH) 중에서 택일 된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초임계 유체는 이산화탄소, 에탄, 에틸렌 중에서 택일 된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상기의 초임계 유체는 기체에 준하는 확산계수와 액체에 준하는 밀도를 갖기 때문에 용매력이 크고 확산이나 침투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고분자 물질에 대한 침투력도 우수하므로 파라핀 계열의 상전이물질을 용해한 초임계 유체 용액은 쉽게 섬유나 시트지를 제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초임계 함침장치의 구성도로서, 도면 부호 5는 함침조로서 용량 500ml의 스레인레스 용기로 상하 분리형이며 접합부에는 밀봉재(metal seal)가 설치되어 있고, 교반을 위해 기계적 밀봉장치(mechanical seal)와 교반봉이 설치되고, 외부에는 밴드형 가열기(band heater)와, 비례(Proportional)-적분(Integral)-미분(Derivative)(이하 'PID'라함)제어방식의 온도 조절기를 설치하였으며, 상전이물질은 함침조 하부에 넣고, 섬유나 시트지 등은 원통형의 스레인레스 망에 감아 교반축에 설치하였다.
도면 부호 1은 체크밸브이고, 부호 2는 저온수조이며, 부호 3은 고압펌프이고, 부호 4는 안전핀이며, 부호 6은 압력조절기이다.
상기 초임계 함침장치의 조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함침조에 상전이물질과 섬유나 시트지 등 대상물질을 채운 후, 이산화탄소 가스를 약 20분간 흘려 장치 내부의 공기를 완전히 제거한다.
(2) PID 온도조절기를 이용하여 함침조 내부의 온도를 40℃로 유지시킨다.
(3) 사이펀을 설치한 이산화탄소 용기로부터 나온 액체 이산화탄소를 저온수조에서 냉각시킨 후, 고압 펌프를 사용하여 함침조 내부를 계기압 2,500 psig(pound per square inch Gauge) 이상으로 가압한다.
(4) 교반기를 작동시켜 교반하면서 약 90분간 상전이물질을 함침시킨다.
(5) 함침이 완료되면 배출 밸브를 통하여 이산화탄소를 배출시켜 압력을 상압으로 낮춘다.
(6) 함침조를 열어 대상물질을 회수하고, 무게변화, 축열기능 등을 조사한다.
상기와 같은 순서에 의해 진행하게 되면 함침조에서 상전이물질을 용해한 초임계 용액과 섬유나 시트지 등을 접촉시켜 초임계 용액이 섬유나 시트지 내부로 충 분히 침투하게 한다.
상기 과정을 통해 침투가 완료되면 함침조의 배출밸브를 열어 초임계 유체를 기체 상태로 배출시키게 되며, 이때 상전이물질은 석출되어 섬유나 시트지 조직 내부에 남게 되고, 이러한 방법으로 조직 내부에 함침된 상전이물질은 섬유나 시트지가 축열기능을 갖게 한다.
상기 공정에서 함침되는 상전이물질의 양은 초임계 용액에 대한 상전이물질의 용해도에 따라 결정되고, 초임계 용액에 대한 용해도는 온도와 압력을 변화시키면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온도와 압력의 조절만으로 함침되는 양을 쉽게 변화시킬 수 있는 것도 본 발명의 또 다른 큰 장점이다.
(실시예 1)
도 1과 같은 초임계 함침장치를 구성하고, 함침조의 하부에 상전이물질인 아이코산(eicosane) 10g을 넣는다. 상전이물질을 함침시킬 폴리에스테르 섬유 1g을 원통형의 스테인레스 망에 감아 교반축에 설치하고 함침조를 밀봉한다.
그 다음 이산화탄소 가스를 흘려 함침장치 내부의 공기를 제거한 후, 온도 조절기를 사용하여 함침조의 온도를 40℃로 유지시킨 다음, 고압펌프를 구동시켜 이산화탄소를 공급함으로써 함침조 내부의 압력을 계기압 2,500 psig로 유지한다.
상기 과정을 통해 온도와 압력이 조절되면 교반기를 가동시켜 교반하면서 90분간 상전이물질을 함침시키며, 함침이 완료되면 배출밸브를 열어 함침조의 압력을 제거한다.
이때, 이산화탄소는 기체상태로 제거되고,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무게는 아이코산(eicosane)의 함침으로 인하여 초기 무게의 약 8%가 증가 되었으며, 아이코산(Eicosane)이 함침된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축열 효과를 열 분석기로 확인한 결과 축열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전이물질을 초임계 유체에 용해시켜 섬유나 시트지에 직접 함침시킴으로써 섬유나 시트지가 축열 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축열성 기능성 의류 및 축열성 건축자재 등을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 가능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상전이물질이 함유된 기능성 직물지 제조방법에 있어서,
    파라핀계 상전이물질인 아이코산(eicosane:C20H42), 도코산(docosane:C22H46), 테트라코산(tetracosane:C24H50), 옥타코산(octacosane) 중에서 택일 된 어느 하나를 초임계 유체인 이산화탄소, 에탄, 에틸렌 중에서 택일 된 어느 하나에 용해시켜 초임계 상태에서 섬유나 시트지에 함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임계 공정을 이용한 상전이 물질이 함유된 기능성 직물지 제조방법.
  2. 상전이물질이 함유된 기능성 직물지 제조방법에 있어서,
    유기산계 상전이물질인 카프린산(capric acid:CH3(CH2)8COOH), 라우린산(lauric acid:CH3(CH2)10COOH), 팔미틴산(palmitic acid:CH3(CH2)14COOH), 스테아린산(stearic acid:CH3(CH2)16COOH) 중에서 택일 된 어느 하나를 초임계 유체인 이산화탄소, 에탄, 에틸렌 중에서 택일 된 어느 하나에 용해시켜 초임계 상태에서 섬유나 시트지에 함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임계 공정을 이용한 상전이 물질이 함유된 기능성 직물지 제조방법.
KR1020060039122A 2006-04-30 2006-04-30 초임계 공정을 이용한 상전이물질이 함유된 기능성 직물지제조방법 KR100725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122A KR100725273B1 (ko) 2006-04-30 2006-04-30 초임계 공정을 이용한 상전이물질이 함유된 기능성 직물지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122A KR100725273B1 (ko) 2006-04-30 2006-04-30 초임계 공정을 이용한 상전이물질이 함유된 기능성 직물지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5273B1 true KR100725273B1 (ko) 2007-06-04

Family

ID=38358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122A KR100725273B1 (ko) 2006-04-30 2006-04-30 초임계 공정을 이용한 상전이물질이 함유된 기능성 직물지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52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70656A1 (en) * 2014-12-26 2017-12-28 Eidai Co., Ltd. Heat reservoir impregnated with latent heat storage material with excellent thermostabilit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1291A (en) 1986-06-19 1989-07-2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Temperature adaptable textile fibers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KR19990084075A (ko) * 1999-09-10 1999-12-06 홍영근 새로운 체온조절 셀룰로오스 섬유
US6083565A (en) 1998-11-06 2000-07-04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Method for meniscus coating with liquid carbon dioxide
KR20010097022A (ko) * 2000-04-19 2001-11-08 엄주명 상변이 물질을 포함하는 축열 방열 직물 또는 의류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1291A (en) 1986-06-19 1989-07-2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Temperature adaptable textile fibers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US6083565A (en) 1998-11-06 2000-07-04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Method for meniscus coating with liquid carbon dioxide
KR19990084075A (ko) * 1999-09-10 1999-12-06 홍영근 새로운 체온조절 셀룰로오스 섬유
KR20010097022A (ko) * 2000-04-19 2001-11-08 엄주명 상변이 물질을 포함하는 축열 방열 직물 또는 의류의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70656A1 (en) * 2014-12-26 2017-12-28 Eidai Co., Ltd. Heat reservoir impregnated with latent heat storage material with excellent thermostabil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Şahan et al. Determining influences of SiO2 encapsulation on thermal energy storage properties of different phase change materials
Yang et al. Composite phase change materials with good reversible thermochromic ability in delignified wood substrate for thermal energy storage
CN109475834B (zh) 具有表面活性剂系留的外壳的胶囊和其制备方法
Naikwadi et al. Melamine-formaldehyde microencapsulated n-Tetracosane phase change material for solar thermal energy storage in coating
Yin et al. Pickering emulsion: A novel template for microencapsulated phase change materials with polymer–silica hybrid shell
Luo et al. Phase-change smart lines based on paraffin-expanded graphite/polypropylene hollow fiber membrane composite phase change materials for heat storage
Wang et al. Novel shape stabilized phase change material based on epoxy matrix with ultrahigh cycle life for thermal energy storage
Su et al. Influence of temperature on the deformation behaviors of melamine–formaldehyde microcapsules containing phase change material
KR100725273B1 (ko) 초임계 공정을 이용한 상전이물질이 함유된 기능성 직물지제조방법
Li et al. Monodisperse Na2SO4· 10H2O@ SiO2 microparticles against supercooling and phase separation during phase change for efficient energy storage
Karthikeyan et al. Review of thermal energy storage of micro-and nanoencapsulated phase change materials
DE102009043077A1 (de) In natürlichen Mikrohohlfasern verkapselte Phasenwechselmaterialien und ihre Herstellung
Wen et al. Microfluidic fabrication and thermal characteristics of core–shell phase change microfibers with high paraffin content
WO2008058868A1 (en) Microcapsules, their use and processes for their manufacture
Liang et al. A facile and controllable method to encapsulate phase change materials with non-toxic and biocompatible chemicals
Liu et al. Preparation of microencapsulated phase change materials by the sol-gel process and its application on textiles
Fu et al. Elastic silicone encapsulation of n-hexadecyl bromide by microfluidic approach as novel microencapsulated phase change materials
CN104001458B (zh) 一种相变调温微胶囊及其制备方法
CN103710964A (zh) 一种相变纤维的制备方法
KR101401426B1 (ko) 진공함침법을 이용한 상안정된 상변화 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Lin et al. A patterned knitted fabric with reversible gating stability for dynamic moisture management of human body
CN109486472A (zh) 一种胶囊型相变储能材料及其制备方法
Chen et al. Preparation of polyvinyl chloride capsules for encapsulation of paraffin by coat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layers
CN113337917A (zh) 一种无机盐水相变复合纤维及其制备方法
Gao et al. Microfluidic method–based encapsulated phase change materials: Fundamentals, progress, and prosp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