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0123A - 용기의 선택 포장이 가능한 장류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용기의 선택 포장이 가능한 장류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0123A
KR20090100123A KR1020080025544A KR20080025544A KR20090100123A KR 20090100123 A KR20090100123 A KR 20090100123A KR 1020080025544 A KR1020080025544 A KR 1020080025544A KR 20080025544 A KR20080025544 A KR 20080025544A KR 20090100123 A KR20090100123 A KR 20090100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ackaging
lid
supply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5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옥
Original Assignee
이경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옥 filed Critical 이경옥
Priority to KR1020080025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0123A/ko
Publication of KR20090100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01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48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pu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ller-ways or endles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4Means for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28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applying separate preformed closures, e.g. lids, covers
    • B65B7/2807Feed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1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machine
    • B65B2210/04Customised on demand packaging by determining a specific characteristic, e.g. shape or height,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and selecting, creating or adapting a packaging accordingly, e.g. making a carton starting from web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losing Of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의 선택 포장이 가능한 장류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류 포장 중량의 크기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포장할 수 있도록 하며 연속되는 과정에서 용기의 공급과 장류의 공급 그리고 실링과 커팅 및 뚜껑의 포장이 연속해서 이루어지는 용기의 선택 포장이 가능한 장류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용기(23)가 중량에 따라서 3가지 정도의 크기로 가로 방향에서 공급되도록 분류되어 적층된 후 하나씩 공급하는 용기 공급장치(10)와; 상기 용기 공급장치(10)로부터 공급된 용기(23)를 공급받아 설정된 위치에 이송될 때 용기 세팅 틀(34)에서 고정시켜 미리 준비한 장류를 공급하여 소정의 용량을 공급하는 장류 공급장치(30)와; 상기 장류 공급장치(30)로부터 공급받은 장류를 저장하여 이송하는 용기(23)가 실링 몰드(46)에 고정된 상태에서 실링부(48)가 하강하여 포장지(43)를 실링처리로 밀봉함과 동시에 절단날(47)이 하강하여 포장지(43)를 절단하는 실링 커팅장치(40)와; 상기 실링 커팅장치(40)에서 밀봉된 용기(23)가 이송될 때 용량에 맞는 위치에서 뚜껑 포장 몰드(51)에 고정된 상태에서 뚜껑(54)을 공급하여 용기(23)를 포장하는 뚜껑 포장장치(50)로 이루어진 것이다.
Figure P1020080025544
용기, 장류 포장, 크기 선택

Description

용기의 선택 포장이 가능한 장류 포장장치{Apparatus for packing of paste}
본 발명은 용기의 선택 포장이 가능한 장류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류 포장 중량의 크기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포장할 수 있도록 하며 연속되는 과정에서 용기의 공급과 장류의 공급 그리고 실링과 커팅 및 뚜껑의 포장이 연속해서 이루어지는 용기의 선택 포장이 가능한 장류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대량생산된 식품의 생산과 수요의 증가로 인하여 소정 규격의 용기에 내용물을 공급한 후 장기간 보존하기 위하여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도록 밀봉 포장하는 것이 필수적인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대량생산된 식품은 수요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고추장과 된장 및 쌈장과 같은 장류의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러한 장류를 포장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는 소정의 라인으로 설정되며 용기를 공급받아 소정의 속도로 이송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궤도를 설치한 후 용기를 하나씩 공급하는 용기 공급장치 - 공급된 용기에 장류를 소정의 정량 을 공급하는 장류 공급장치 - 장류가 공급된 용기의 상측을 밀봉하기 위한 실링 커팅장치 - 실링 및 커팅한 용기의 상측에 뚜껑을 공급하여 덮어주는 뚜껑 포장장치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설치한 궤도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금형의 내부에 한 줄 또는 3줄로 용기가 공급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다른 중량(크기)의 용기에 장류를 포장하기 위해서는 궤도를 바꾸어 사용하거나 전용기로 사용할 수 밖에 없는 결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궤도를 바꾸어 사용하는 경우는 궤도의 중량이 너무 무겁고 교체하는 작업이 너무 어려우며 시간의 소모가 많아 대부분 전용기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전용기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기의 중량(크기)을 선택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연속해서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가동시간이 한정적인 결점이 있었다.
또한, 궤도로 이루어진 금형이 금속 재질로 성형한 것이어서 매우 무거워 구동을 위한 동력의 소모가 많아지게 되므로 포장기가 커지고, 중량이 무거워지는 결점과 함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므로 사용하기에 많은 어려움과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용기의 이송을 콘베어 벨트로 하면서 각 단계의 장치에서 용기의 중량에 맞는 크기의 금형을 이용하여 포장 용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포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포장 용기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장치를 쉬지않고 연속적으로 사용하여 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행해지는 각 장치의 구동이 안정되게 이루어지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용기의 이송은 콘베어 벨트로 이루어지며 각 단계의 장치에서 각 중량에 맞는 크기의 몰드를 이용하여 3가지의 중량을 선택적으로 사용 포장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포장 용기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장치를 쉬지 않고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어서 사용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행해지는 각 장치의 구동시 몰드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세팅한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구동이 안정되게 이루어지며, 정확하게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 이다.
본 발명은 용기의 이송은 콘베어 벨트로 이루어지며 각 단계의 장치에서 각 중량에 맞는 크기의 몰드를 이용하여 3가지의 중량을 선택적으로 사용 포장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포장 용기의 크기를 3가지 중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장치를 쉬지 않고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어서 사용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행해지는 각 장치의 구동시 몰드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세팅한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구동이 안정되게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고장의 염려가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몰드를 이용하여 공급된 용기를 고정하는 각 단계에서의 장치를 통하여 정확하게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과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와 평면도로써, 후레임(27)의 양쪽 선단을 회전하는 컨베어 벨트(25)의 양쪽으로 가이드(26)를 설치하여 용기(23)가 설정된 위치에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것이다.
용기(23)가 중량에 따라서 3가지 정도의 크기로 가로 방향에서 공급되도록 분류되어 적층된 후 하나씩 공급하는 용기 공급장치(10)와;
상기 용기 공급장치(10)로부터 공급된 용기(23)를 공급받아 설정된 위치에 이송될 때 용기 세팅 틀(34)에서 고정시켜 미리 준비한 장류를 공급하여 소정의 용량을 공급하는 장류 공급장치(30)와;
상기 장류 공급장치(30)로부터 공급받은 장류를 저장하여 이송하는 용기(23)가 실링 몰드(46)에 고정된 상태에서 실링부(48)가 하강하여 포장지(43)를 실링처리로 밀봉함과 동시에 절단날(47)이 하강하여 포장지(43)를 절단하는 실링 커팅장치(40)와;
상기 실링 커팅장치(40)에서 밀봉된 용기(23)가 이송될 때 용량에 맞는 위치에서 뚜껑 포장 몰드(51)에 고정된 상태에서 뚜껑(54)을 공급하여 용기(23)를 포장하는 뚜껑 포장장치(50)로 이루어진 것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용기 공급장치(10)를 나타낸 것으로, 컨베어 벨트(25)의 상측으로 하나의 용기(23)를 공급하는 제1 용기 공급기(11)를 설치하고, 연속해서 두 개의 용기(23)를 공급하는 제2 용기 공급기(12)를 설치한다.
상기 제1 용기 공급기(11)와 제2 용기 공급기(12)는 구성요소가 동일한 것이므로 같은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각각의 다른 용량을 갖는 용기(23)를 적층한 상태로 적층 가이드(17)의 내부에 보관하는 것이며, 가장 하측의 용기(23)에 형성한 고정턱(24)을 감싸는 공급 걸림턱(14)이 설치되고, 그 사측으로 대기턱(15)이 형성되어 용기(23)의 상측에 대기중인 고정턱(24)이 위치하는 것이다.
상기 공급 걸림턱(14)을 형성한 용기 공급판(13)은 세팅 실린더(22)를 통하여 좌우로 이동하면서 용기(23)의 공급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용기 공급판(13)에는 베어링(21)이 설치되어 공급대(20)가 관통되고, 공급대(20)는 공급축(19)을 직립되게 설치하여 공급 실린더(18)로 구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적층 가이드(17)의 하측에 대기중인 용기(23)는 양쪽에서 공급 가이드(16)를 통하여 지지가 되어 컨베어 벨트(25)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5 내지 도 8 은 본 발명의 장류 공급장치에 대한 도면을 나타낸 것으로, 컨베어 벨트(25)로 공급되는 용기(23)가 설정된 위치에 이르게 될 때 용기(23)를 고정시키는 용기 함(33)을 형성한 용기 세팅 틀(34)로 이루어지고, 용기 세팅 틀(34)은 양쪽으로 설치되어 히팅 실린더(35)를 통하여 용기(23)를 고정 및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용기 함(33)이 위치하는 장소의 상측에는 공급함(32)이 설치되어 있고, 공급함(32)에는 도시하지 않는 위치에서 제조한 장류를 공급하여 저장하며, 저장된 장류는 상측의 공급 실린더(31)를 통하여 설정된 용량을 3개의 배출구(36)에서 공 급 용기(23)에 공급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링 커팅장치에 대한 도면을 나타낸 것으로, 포장지(43)가 감겨서 공급하는 포장 롤(41)의 일측으로 포장지 공급부(42)를 설치하여 포장지(43)를 소정의 속도로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포장지 공급부(42)를 통과한 포장지(43)가 일자 형태로 공급된 후 배출롤(44)에 감기도록 공급한다.
상기 포장지(43)가 일자 형태로 공급되는 부분의 하측으로 용기(23)를 하나 또는 두 개를 공급하여 고정하는 실링 몰드(46)를 이등분하고 실링 실린더(46a)를 통하여 분리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실링 몰드(46)에 고정하는 용기(23)의 숫자와 동일한 위치에 실링부(48)를 설치하여 포장지(43)를 용기(23)의 고정턱(24)에 실링 처리하는 것이다.
상기 실링부(48)의 외측에는 절단날(47)을 설치하여 실링 처리한 포장지(43)의 외부를 절단하고, 절단날(47)의 상측에는 축(49a)이 안내판(49)을 관통하며, 스프링(48a)으로 지지가 되어 있다.
상기 안내판(49)에는 연결판(45a)을 설치하여 커팅 실린더(45)와 연결되어 상, 하 이동을 안내하는 것이다.
도 13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뚜껑 포장장치의 도면을 나타낸 것으로, 용기(23)를 공급하는 컨베어 벨트(25)의 상측으로 내부에 용기(23)를 가로 방향에서 3개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용기 고정홈(52)을 형성하여 내부에 걸림턱(52a)을 형성하고, 용기(23)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뚜껑 포장 몰드(51)를 이등분하여 양쪽에서 포장 실린더(51a)로 결합 및 분리하는 것이다.
용기 고정홈(52)의 상측에는 뚜껑 회전축(55)을 설치하여 회전 모터(56)의 동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뚜껑 회전축(55)은 스톱퍼(55a)가 연결되어 제거대(58)에 의해 회전이 제어되고, 제어핀(58a)을 통하여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뚜껑 회전축(55)은 연결축(65)을 통하여 연결되고 뚜껑 실린더(57)를 통하여 돌출 높이가 제어되도록 하며, 연결축(65)의 선단에는 스프링(61a)을 설치한 누름축(62)이 누름판(61)과 연결되고 선단에 흡착구(60)를 설치하여 뚜껑(54)을 공급하여 용기(23)에 덮어 포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흡착구(60)에는 뚜껑 공급대(53)의 내부에 설치한 뚜껑(54)을 하나씩 공급하는 것이며, 양쪽으로 제어판(64a)을 제어하는 제어 실린더(64)와 실린더 핀(63a)을 제어하는 고정 실린더(63)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른 생산시설을 통하여 장류를 제조한 후 장류 고급장치(30)에 공급하여 포장되도록 하는 것이다.
용기 공급장치(10)의 적층 가이드(17)는 제1 용기 공급기(11)에 한 줄 제 2 용기 공급기(12)에 두 줄의 용기(23)가 적층되어 있고, 적층된 용기(23)의 중량은 서로 다르지만, 본 발명에서는 제1 용기 공급기(11)에 500g의 중량, 제 2 용기 공급기(12)에 1kg과 3kg의 중량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였다.
먼저, 500g의 중량을 포장하는 경우, 제1 용기 공급기(11)에서 적층 가이드(17)의 내부에 적층된 용기(23)를 세팅 실린더(22)에서 하나만 선택하면 공급 실린더(18)가 구동되어 공급축(19)을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공급축(19)의 하측 이동과 함께 공급대(20)가 베어링(21)의 내부에서 그대로 하강하면서 용기(23)를 하측으로 분리시켜 공급하게 되며, 분리된 용기(23)는 공급 가이드(16)에 안내되어 하측의 컨베어 벨트(25)에 공급된 후 가이드(26)의 내부로 안내되며 이동하는 것이다.
1kg의 중량이나 3kg의 중량을 포장하는 경우에는 1kg이나 3kg의 중량에 해당하는 용기(23)를 배출하는 것이며, 1kg과 3kg의 중량을 한번에 포장하는 경우에는 1kg과 3kg의 중량에 해당하는 용기(23)를 한번에 배출하여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선택된 중량의 용기(23)가 공급된 후 세팅 실린더(22)가 후진하면서 다음 용기(23)가 공급을 대기하고 있다가 세팅 실린더(22)가 전진하여 하나의 용기만 선택하면 공급 실린더(18)의 구동으로 공급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용기(23)가 공급되어 컨베어 벨트(25)에 공급되어 이송하면서 장류 공급장치(30)에 설치한 3개의 공급함(12) 중 500g의 경우에는 첫 번째, 1kg의 경우에는 두 번째, 3kg의 경우에는 세 번째에 이르게 될 때 이를 감지하여 세팅 실린더(35)가 구동 용기 세팅 틀(34)을 이동시켜 용기 함(33)에 해당 용기(23)를 고 정하게 된다.
용기(23)가 용기 함(33)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 공급 실린더(31)가 구동하면서 도시하지 않은 공급함(32)의 내부에서 저장된 장류가 정량 공급되어 3개의 배출구(36) 중 해당하는 용기(23)에 공급 저장하게 된다.
용기(23)에 장류를 정량공급하여 저장하게 되면 세팅 실린더(35)가 용기 세팅 틀(34)을 구동하여 용기 함(33)을 벌려 컨베어 벨트(25)에서 계속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공급되던 용기(23)가 실링 커팅장치(40)에 이동할 때 정 위치에 이동하면 실링 실린더(46a)가 구동되어 실링 몰드(46)를 구동시켜 용기(23)를 내부에 고정하게 된다.
실링 몰드(46)의 내부에 용기(23)가 고정되면 포장롤(41)에 감겨있는 포장지(43)가 포장지 공급구(42)를 통하여 공급되면서 배출롤(44)에 나머지가 감기도록 연결되어 있으므로 커팅 실린더(45)가 구동되어 연결판(45a)을 하강시키게 되면서 안내판(49)이 하강하면서 실링부(48)가 소정의 온도를 유지하게 되면서 용기(23)의 상측에는 포장지(43)가 공급된 상태를 유지한다.
실링부(48)가 하강하면서 포장지(43)의 코너부분을 가열하여 용기(23)의 고정턱(24)에 포장지(43)를 실링 처리하여 밀폐시키는 것이다.
포장지(43)를 실링 처리함과 동시에 안내판(49)이 계속해서 하강하게 되므로 절단날(47)이 실링된 부분의 외측면을 따라 절단하게 되는 것이다.
용기(23)의 상측에 포장지(43)가 실링 처리되고 절단된 이후에는 실링 실린 더(46a)가 구동하여 실링 몰드(46)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게 되므로 용기(23)는 컨베어 벨트(25)를 통하여 다름 과정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실링 몰드(46)와 실링부(48) 및 절단날(47)은 용기(23)에 공급하는 중량에 따라서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실링 커팅장치(40)를 통과한 용기(23)는 뚜껑 포장장치(50)에 공급하게 되며, 3가지 중량의 용기 중 각 중량에 해당하는 용기가 용기 고정홈(52)과 동일한 위치의 뚜껑 포장 몰드(51)에 이르게 될 때 포장 실린더(51a)가 구동되어 뚜껑 포장 몰드(51)로 용기(23)를 고정하게 된다. 그러면 용기(23)의 고정턱(24)이 걸림턱(52a)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뚜껑 포장 몰드(51)는 3가지의 중량 중 해당하는 중량의 용기가 위치하는 경우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였으며, 뚜껑 포장 몰드(51)를 3가지 중량을 고정하는 용기 고정홈(52)을 한번에 구동할 수 있지만, 뚜껑 포장 몰드(51) 3개를 독립되게 구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뚜껑 포장 몰드(51)를 이용하여 해당 중량의 용기(23)를 용기 고정홈(52)에 고정한 후에는 해당 중량의 용기(23)가 고정된 위치의 상측으로 뚜껑(54)이 적층되어 공급 대기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되므로 해당하는 뚜껑 공급대(53)에 대기중인 뚜껑(54)을 제어판(64a)가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흡착구(60)를 이용하여 뚜껑(54)을 고정한다.
그러면 제어 실린더(64)가 후진하여 제어판(64a)을 후진시키고 고정 실린 더(63)를 구동하여 실린더 핀(63a)을 전진시켜 가장 하측에서 한 칸 상측에 있는 뚜껑(54)을 잡고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흡착구(60)가 뚜껑(54)을 고정하면 뚜껑 실린더(57)를 하강시켜 분리되도록 한 후 회전 모터(56)가 구동되어 뚜껑 회전축(55)을 180°회전시킨다.
뚜껑 회전축(55)을 회전시키면 흡착구(60)는 뚜껑(54)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회전하여 하측의 용기 고정홈(52)에 공급한 용기(23)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뚜껑 회전축(55)은 호전 모터(56)를 통하여 회전 구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한 부분에 스톱퍼(55a)가 설치되어 제어대(58)와 그 안쪽의 제어핀(58a)을 통해서 설정한 각도만을 회전한 후 정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용기(23)의 상측으로 뚜껑(54)이 공급되어 정지하게 되면 뚜껑 실린더(57)가 구동하여 뚜껑(54)을 용기(23)의 상측에서 누르게 되므로 누름판(61)이 뚜껑(54)을 눌러 고정턱(24)에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포장이 종료되는 것이다.
포장이 종료된 후에는 포장 실린더(51a)가 구동하여 뚜껑 포장 몰드(51)를 분리하여 용기 고정홈(52)에서 용기(23)가 분리되어 컨베어 벨트(25)에 공급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뚜껑(54)을 공급한 흡착구(60)는 회전 모터(56)의 구동에 의해 뚜껑 회전축(55)이 180°회전한 후 정지하게 되므로 다음 뚜껑(54)을 공급받아 용기(23)에 포장하는 작업을 반복해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3가지 종류의 중량에 해당하는 용기를 공급하여 선택적으로 용기를 공급하여 생산할 수 있게 되므로 필요한 중량의 제품의 생산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어서 포장장치를 쉬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이며, 가로 방향에서 공급 및 포장이 이루어지므로 적은 공간을 차지하는 특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용기 공급장치에 대한 주요 부분의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용기 공급장치에 대한 주요 부분의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장류 공급장치에 대한 주요 부분의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장류 공급장치에 대한 주요 부분이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장류 공급장치에 대한 주요 부분의 평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장류 공급장치에 대한 주요 부분의 작동상태 평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실링 커팅장치에 대한 주요 부분의 정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실링 커팅장치에 대한 주요 부분의 평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용기에 포장지를 공급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용기에 포장지를 공급한 상태의 단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의 뚜껑 공급장치에 대한 주요 부분의 정면도
도 14 는 본 발명의 뚜껑 공급장치에 대한 주요 부분의 평면도
도 15 는 본 발명의 뚜껑 공급장치에 대한 주요 부부의 측면도
도 16 은 본 발명의 뚜껑 회전축에 대한 제어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7 은 본 발명의 뚜껑 포장 몰드에 대한 결합상태 평면도
도 18 은 본 발명의 뚜껑 포장 몰드에 대한 분리상태 평면도
도 19 는 본 발명의 뚜껑을 공급받는 상태의 정면도
도 20 은 본 발명의 뚜껑을 용기에 공급한 상태의 정면도
도 21 은 본 발명의 뚜껑을 용기에 포장한 상태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 공급장치 11 : 제1 용기 공급기
12 : 제 2 용기 공급기 13 : 용기 공급판
14 : 공급 걸림턱 15 : 대기턱
16 : 공급 가이드 17 : 적층 가이드
18, 31 : 공급 실린더 19 : 공급축
20 : 공급대 21 : 베어링
22, 35 : 세팅 실린더 23 : 용기
24 : 고정턱 25 : 컨베어 벨트
30 : 장류 공급장치 32 : 공급함
33 : 용기 함 34 : 용기 세팅 틀
36 : 배출구 40 : 실링 커팅장치
41 : 포장롤 43 : 포장지
45 : 커팅 실링더 46 : 실링 몰드
46a : 실링 실린더 47 : 절단날
48 : 실링부 49 : 안내판
50 : 뚜껑 포장장치 51 : 뚜껑 포장 몰드
51a : 포장 실린더 52 : 용기 고정홈
53 : 뚜껑 공급대 54 : 뚜껑
55 : 뚜껑 회전축 56 : 회전 모터
57 : 뚜껑 실린더 58 : 제어대
60 : 흡착구 61 : 누름판
62 : 누름축 63 : 고정 실린더
63a : 실린더 핀 64 : 제어 실린더
64a : 제어판 65 : 연결축

Claims (8)

  1. 용기(23)를 공급하여 장류를 저장한 후 포장지(43)를 실링 및 커팅한 후 뚜껑(54)을 덮어 배출하는 장류 포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기(23)를 용기 공급판(13)의 내부에서 하측의 컨베어 벨트(25)로 하나씩 공급하는 제1 용기 공급기(11)와 제2 용기 공급기(12)를 설치한 용기 공급장치(10)와;
    상기 용기 공급장치(10)에서 공급된 용기(23) 중 해당 중량의 용기(23)가 이동할 때 고정하는 용기 함(33)을 갖는 용기 세팅 틀(34)을 세팅 실린더(35)로 양쪽에 설치하여 용기(23)에 소정의 중량을 공급하는 장류 공급장치(30)와;
    상기 장류 공급장치(30)에서 공급된 장류를 저장하여 공급하는 용기(23)를 고정하는 실링 몰드(46)를 실링 실린더(46a)로 구동하며 포장지(43)를 공급하여 실링부(48)로 실링한 후 절단날(47)로 절단하는 실링 커팅장치(40)와;
    상기 실링 커팅장치(40)에서 포장지(43)를 실링 및 커팅한 용기(23)가 해당 중량에 공급되면 용기 고정홈(52)에서 고정하는 뚜껑 포장 몰드(51)를 포장 실린더(51a)로 구동하고, 뚜껑(54)을 적층하여 회전 모터(56)로 회전하는 뚜껑 회전축(55)에 뚜껑 실린더(57)를 설치하며, 뚜껑 실린더(57)에는 연결축(65)과 누름축(62)이 누름판(61)에 연결된 후 흡착구(60)가 돌출되어 뚜껑(54)을 용기(23)에 공급하여 포장되도록 하는 뚜껑 포장장치(5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선택 포장이 가능한 장류 포장장치.
  2. 용기 공급장치(10)에서 용기(23)를 공급하면 장류 공급장치(20)에서 장류를 공급하여 저장한 후 실링 커팅장치(40)에서 포장지(43)를 실링 및 커팅한 후 뚜껑 포장장치(50)에서 뚜껑(54)을 덮어 배출하는 장류 포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링 커팅장치(40)에서 포장지(43)를 실링 및 커팅한 용기(23)가 해당 중량에 공급되면 용기 고정홈(52)에서 고정하는 뚜껑 포장 몰드(51)를 포장 실린더(51a)로 구동하고, 뚜껑(54)을 적층하여 회전 모터(56)로 180°회전하는 뚜껑 회전축(55)에 뚜껑 실린더(57)를 설치하며, 뚜껑 실린더(57)에는 연결축(65)과 누름축(62)이 누름판(61)에 연결된 후 흡착구(60)가 돌출되어 뚜껑(54)을 용기(23)에 공급하여 포장되도록 하는 뚜껑 포장장치(5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선택 포장이 가능한 장류 포장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제1 용기 공급기(11)는 하나의 용기(23)를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제2 용기 공급기(12)는 서로 다른 중량을 저장하는 두 개의 용기(23)를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선택 포장이 가능한 장류 포장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제1 용기 공급기(11)와 제2 용기 공급기(12)는 공급 실린더(18)와 연결한 공급축(19)이 베어링(21)에 연결된 공급대(20)로 용기(23)를 공급하며, 상기 베어링(21)을 갖는 용기 공급판(13)의 하측에는 공급 걸림턱(14)을 형성하고, 상기 공급 걸림턱(14)의 상측에는 대기턱(15)을 설치하여 상기 공급 걸림턱(14)이 세팅 실린더(22)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선택 포장이 가능한 장류 포장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장류 공급장치(30)는 공급함(32)과 연결된 3개의 배출구(36)를 갖고 그 하측으로 서로 다른 중량의 용기(23)를 고정하는 용기 함(33)을 갖는 용기 세팅 틀(34)이 양쪽으로 분리되어 세팅 실린더(35)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선택 포장이 가능한 장류 포장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실링 커팅장치(40)는 하측으로 하나 또는 두 개의 용기(23)가 고정되는 실링 몰드(46)를 설치하고, 그 상측으로 실링부(48)를 설치하여 포장지(43)를 용기(23)의 고정턱(24)에 실링하며, 상기 실링부(48)의 외측으로 절단날(47)을 설치하여 포장지(43)를 절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선택 포장이 가능한 장류 포장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뚜껑 포장장치(50)는 뚜껑(54)이 3줄로 설치되어 있고, 그 하측으로 180°회전하는 회전 모터(56)에 연결한 뚜껑 회전축(55)에 설치된 뚜껑 실린더(57)에 연결축(65)이 누름축(62)을 통하여 누름판(61)에 연결되며, 누름판(61)의 중심에는 뚜껑(54)을 선택 공급하는 흡착구(60)와;
    상기 뚜껑(54)이 공급되는 위치에 3개의 용기 고정홈(52)을 갖는 뚜껑 포장 몰드(51)가 이등분되어 포장 실린더(51a)로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선택 포장이 가능한 장류 포장장치.
  8.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뚜껑 포장장치(50)의 뚜껑 포장 몰드(51)는 용기 고정홈(52)이 가로 방향으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선택 포장이 가능한 장류 포장장치.
KR1020080025544A 2008-03-19 2008-03-19 용기의 선택 포장이 가능한 장류 포장장치 KR200901001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544A KR20090100123A (ko) 2008-03-19 2008-03-19 용기의 선택 포장이 가능한 장류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544A KR20090100123A (ko) 2008-03-19 2008-03-19 용기의 선택 포장이 가능한 장류 포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123A true KR20090100123A (ko) 2009-09-23

Family

ID=41358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5544A KR20090100123A (ko) 2008-03-19 2008-03-19 용기의 선택 포장이 가능한 장류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012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878B1 (ko) 2019-09-24 2020-09-16 이경옥 수평 정렬형 식품 포장용기 공급장치
KR102156881B1 (ko) 2019-09-24 2020-09-16 이경옥 궤도에 식품 포장용기 배출장치
CN113291498A (zh) * 2021-05-25 2021-08-24 丰城市老实人食品有限公司 一种固态辣椒酱装罐机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878B1 (ko) 2019-09-24 2020-09-16 이경옥 수평 정렬형 식품 포장용기 공급장치
KR102156881B1 (ko) 2019-09-24 2020-09-16 이경옥 궤도에 식품 포장용기 배출장치
CN113291498A (zh) * 2021-05-25 2021-08-24 丰城市老实人食品有限公司 一种固态辣椒酱装罐机器
CN113291498B (zh) * 2021-05-25 2022-07-15 青岛新绿农产有限公司 一种固态辣椒酱装罐机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4323B2 (en) Flexible, stackable container and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69738B1 (ko) 특히 음식 제품의 진공 패키징을 위한 장치
EP0588908B1 (en) Packaging
KR101081508B1 (ko) 용기의 다품종 장류 포장장치
CN202966710U (zh) 管材自动包装机
CN107922061B (zh) 一种用于封盖容器的设备
EP3481730B1 (en) Attachment unit for attaching a container element, and apparatus for attaching container elements
KR101378177B1 (ko) 도넛 자동 포장장치
KR20090100123A (ko) 용기의 선택 포장이 가능한 장류 포장장치
KR20160143291A (ko) 즉석 구이김 절단 및 수납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01557675B1 (ko) 접착제 도포수단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 상자 제조장치
KR101120102B1 (ko) 장류의 박스형 포장을 위한 비닐 실링 공급장치
US5447007A (en) Device for filling and closing packs for liquids
KR20110048297A (ko) 블리스터 라인업장치를 위한 개별 리젝트장치
US3244082A (en) Packaging machinery
KR101488415B1 (ko) 폴리에틸렌 원단을 이용한 페트병 실링장치와 그 방법
KR19990068356A (ko) 티백포장방법및그장치
CN207000896U (zh) 一种自动真空包装装置
KR101449737B1 (ko) 플라스틱 용기의 성형장치
KR101505394B1 (ko) 페트병 공급을 위한 이송장치
CN208775159U (zh) L型封切热缩机
JP2023536309A (ja) 梱包装置およびプロセス
KR101787490B1 (ko) 장류의 박스형 포장을 위한 비닐 자동 공급장치
EP3221219B1 (en) A plant for packaging products inside respective containers
CN111017320A (zh) 丁苯橡胶成品块包装袋套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03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11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00406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3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20221

Appeal identifier: 2010101002610

Request date: 20100406

AMND Amendment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PJ0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00406

Decision date: 20120221

Appeal identifier: 2010101002610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040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040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406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9120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Report of Result of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0063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406

Effective date: 20120221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20222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00406

Decision date: 20120221

Appeal identifier: 2010101002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