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8297A - 블리스터 라인업장치를 위한 개별 리젝트장치 - Google Patents

블리스터 라인업장치를 위한 개별 리젝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8297A
KR20110048297A KR1020090105040A KR20090105040A KR20110048297A KR 20110048297 A KR20110048297 A KR 20110048297A KR 1020090105040 A KR1020090105040 A KR 1020090105040A KR 20090105040 A KR20090105040 A KR 20090105040A KR 20110048297 A KR20110048297 A KR 20110048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lm
drive
main bod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5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0266B1 (ko
Inventor
강은식
전승택
임홍식
이강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흥아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흥아기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흥아기연
Priority to KR1020090105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0266B1/ko
Publication of KR20110048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8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0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0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8Registering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02Feeding sheets or wrapper blanks
    • B65B41/04Feeding sheets or wrapper blanks by grippers
    • B65B41/06Feeding sheets or wrapper blanks by grippers by suction-operated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50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disposing contents between two sheets, e.g. pocketed sheets, and securing their opposed free margins
    • B65B11/52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disposing contents between two sheets, e.g. pocketed sheets, and securing their opposed free margins one sheet being rendered plastic, e.g. by heating, and forced by fluid pressure, e.g. vacuum, into engagement with the other sheet and contents, e.g. skin-, blister-, or bubble-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리스터 라인업장치를 위한 개별 리젝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펀칭유니트와 이송컨베이어의 사이의 본체에 설치되고 펀칭유니트로 펀칭된 단위필름들을 일렬로 파지한 후 이송컨베이어 상에 일렬로 안착시키는 정렬유니트가 더 구비된다. 이 정렬유니트는, 펀칭유니트 및 이송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되고 전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펀칭유니트에 의해 절단된 단위필름들을 파지하여 이송컨베이어 상으로 운반하며 이송된 단위필름들을 시간차를 두고 이송컨베이어 상부면에 하나씩 안착시키는 파지부와, 본체에 설치되고 파지부에 연결되어서 파지부가 일정한 각도 내에서 회동되도록 하고 파지부의 하단면이 펀칭유니트의 상부면 및 이송컨베이어의 상부면에 대향될 시 평행을 유지하도록 하는 회동부와, 본체에 설치되고 회동부에 연결되어서 회동부가 일정한 각도 내에서 왕복회전되도록 하는 구동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펀칭유니트에 의해 펀칭된 다수의 단위필름들이 정렬유니트에 의해 이송컨베이어 상에 하나씩 정렬된 상태로 이송되므로 다수의 단위필름들을 수작업 없이 스태커에 순차적으로 자동적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태커에 자동적재된 단위포장 물량을 카토너로 자동공급할 수 있다.
펀칭유니트, 정렬유니트, 파지부, 흡착패드, 회동부, 회동링크, 구동부

Description

블리스터 라인업장치를 위한 개별 리젝트장치{Individual reject device for blister line up device}
본 발명은 블리스터 라인업장치를 위한 개별 리젝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펀칭된 단위필름들을 순차적으로 정렬된 상태로 이송시킬 수 있는 블리스터 라인업장치를 위한 개별 리젝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리스터(blister) 포장이란, 평평한 합성수지 필름으로부터 일정한 모양의 용기를 성형하여 그 안에 피(被) 포장물을 충진하고 덮개를 씌워 접착, 봉합한 후 일정 칫수로 타발, 절단하여 하나의 포장단위체를 만들어 내는 포장기법을 말한다.
이러한 블리스터 포장은 처음에는 제약회사의 정제나 캡슐을 1개의 팩으로 포장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는데, 오늘날에는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었다. 대표적으로 쵸코렛, 캔디, 껌 등을 포장하는 제과업계, 립스틱, 빗, 비누 등의 화장품 회사, 밧데리나 칫솔, 면도기 등의 각종 생활용품, 전구나 휴즈 등의 전자 및 자동차 부품, 그리고 선전형 소형 샘플 제작 등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블리스터 포장은 다른 포장방식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기 때문에 선호된다.
투명필름을 사용하기 때문에 다른 포장방식에 비하여 제품의 식별이 용이하고, 필름을 성형하여 제품으로 포장함으로써 제품의 형상과 같은 모양으로 포장할 수 있고 성형 툴(tool)에 의하여 자유자재로 포장 모양을 바꿀 수 있으며, 경질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연질 또는 종이를 사용한 방식에 비하여 제품 보호성이 뛰어나고, 사용 시에는, 간단하게 덮개 제거만으로 제품이 개봉되어 누구나 손쉽게 사용, 휴대할 수 있으며, 공장자동화 실현으로 인건비 절감효과, 원자재 사용 최소화를 달성한다.
이러한 블리스터 포장기는 성형부, 제품 주입부, 접착부, 펀칭부로 구성되며 다음과 같은 일반 공정에 의하여 제품을 포장하고 있다.
먼저, 성형부에서 필름 성형이 있게 된다. 필름 성형은 가열하여 압공(壓空) 또는 진공에 의하여 성형 툴의 요철부에 밀착시켜 성형한 후 냉각하여 다음 공정으로 진행시키며, 성형 모듈의 재질은 가공성, 열전도성이 좋은 알루미늄이 주로 사용된다.
필름이 성형되면 제품 주입유니트로부터 제품이 공급되어서 필름의 성형공간에 제품이 투입된다.
필름에 제품이 투입되면 접착부를 통해 필름의 상부면에 덮개재를 부착시킨다. 덮개재(lidding material)는 롤 상태로 권취된 것과 카드 보드와 같이 카드 매거진에 적재된 재료를 1장씩 공급하는 것이 있고, 접착 및 봉합은 온도, 압력, 접착 상하판의 평행도가 중요하며 온도는 150-300℃, 압력은 7-10㎏/㎠가 일반적이 다.
필름에 덮개재가 부착되면 펀칭부로 필름을 펀칭하여서 필름을 포장단위로 커팅한다. 이 펀칭단계는 제품이 충진된 필름을 1개의 포장단위로 커팅하는 단계로써, 일반적으로는 프레스, 펀칭 방식을 이용하며 1개 또는 2개의 금형 형식을 취한다.
커팅된 단위 필름들은 하측의 컨베이어로 낙하된 후 이송되며, 포장용기 내에 일정한 갯수씩 수납되어서 포장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블리스터 포장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펀칭부에 의해 커팅된 제품은 자유낙하되면서 컨베이어의 상부면에 안착되므로 컨베이어에 정렬된 상태로 안착되지 못한다. 따라서 정렬되지 못한 상태로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된 제품을 포장용기에 수납시키려면 수작업으로 정렬시키는 별도의 정렬작업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컨베이어로 이송된 제품을 수작업으로 정렬시키는 별도의 공정이 추가되므로 작업시간이 그만큼 지연되고 포장작업까지 완전 자동화를 실현하지 못하였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펀칭된 다수의 단위필름들이 스태커에 순차적으로 적재되도록 이송컨베이어의 상부면에 시간차를 두고 단계적으로 안착되어서 이송되도록 한 블리스터 라인업장치를 위한 개별 리젝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블리스터 라인업장치를 위한 개별 리젝트장치는,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품을 포장하는 필름이 감겨지는 PVC 언코일러; 언코일러의 일측의 본체에 설치되어서 언코일러로부터 필름이 공급되며 공급되는 필름을 가열 및 압착하여서 제품이 투입될 성형공간을 만드는 성형유니트; 성형유니트의 일측의 본체에 설치되고 성형유니트에 의해 성형된 필름의 성형공간에 제품을 투입시키는 제품투입유니트; 제품투입유니트의 일측의 본체에 설치되고 제품이 투입된 필름의 개방면에 알루미늄 덮개가 씌워지면 이를 가열하여서 밀봉하는 실링유니트; 실링유니트의 일측의 본체에 설치되고 덮개에 문자를 인쇄하는 엠보싱유니트; 엠보싱유니트의 일측의 본체에 설치되고 필름에 절단선을 형성시키는 슬릿유니트; 슬릿유니트의 일측의 본체에 설치되어서 슬릿유니트를 통과한 필름을 냉각시키는 풀림유니트; 풀림유니트의 일측의 본체에 설치되어서 풀림유니트를 통과한 필름을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니트; 이송유니트의 일측의 본체에 설치되어서 이로부터 이송되는 필름이 공급되며 필름이 포장용기에 포장되도록 일 정한 크기의 포장단위로 절단하는 펀칭유니트; 펀칭유니트와 이송컨베이어의 사이의 본체에 설치되고 펀칭유니트로 펀칭된 단위필름들을 일렬로 파지한 후 이송컨베이어 상에 일렬로 안착시키는 정렬유니트; 성형유니트, 제품투입유니트, 실링유니트, 엠보싱유니트, 슬릿유니트, 풀림유니트, 이송유니트, 펀칭유니트, 정렬유니트에 연결되어서 이들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블리스터 라인업장치를 위한 개별 리젝트장치의 다른 특징은, 정렬유니트는, 펀칭유니트 및 이송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되고 전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펀칭유니트에 의해 절단된 단위필름들을 파지하여 이송컨베이어 상으로 운반하며 이송된 단위필름들을 시간차를 두고 이송컨베이어 상부면에 하나씩 안착시키는 파지부와, 본체에 설치되고 파지부에 연결되어서 파지부가 일정한 각도 내에서 회동되도록 하고 파지부의 하단면이 펀칭유니트의 상부면 및 이송컨베이어의 상부면에 대향될 시 평행을 유지하도록 하는 회동부와, 본체에 설치되고 회동부에 연결되어서 회동부가 일정한 각도 내에서 왕복회전되도록 하는 구동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블리스터 라인업장치를 위한 개별 리젝트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파지부는, 회동부에 연결되어서 이에 의해 자전되고 전동축을 중심으로 펀칭유니트의 상부면 및 이송컨베이어의 상부면 측으로 왕복 회동되는 메인바와, 메인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 설치되고 그 하단이 펀칭유니트의 상부면 및 이송컨베이어의 상부면을 향하는 진공관들과, 진공관들의 하단에 결합되고 펀칭유니트 상의 단위필름들이 부착되는 흡착패드와, 진공관들 및 진공펌프에 연결되어서 진공관들 및 흡착패드 내부를 진공처리하는 에어호스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블리스터 라인업장치를 위한 개별 리젝트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회동부는, 일단이 메인바의 단부가 공회전되도록 설치되고 타단이 본체의 설치판에 회동되도록 설치되어서 메인바를 왕복회동시키는 회동링크와, 회동링크의 일단에 공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일단에 메인바가 결합편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축과, 회동링크와 고정축 사이에 설치되어서 고정축이 회동링크에 대해 공회전되도록 하는 베어링과, 본체의 설치판에 자전되도록 설치되고 일단이 구동부에 연결되어서 이에 의해 회전되며 타단에 회동링크가 고정되어서 이를 왕복회동시키는 전동축과, 전동축이 공회전되도록 그 둘레에 설치되고 설치판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1전동풀리와, 고정축의 타단에 고정되어서 고정축 및 메인바와 함께 회전되는 제2전동풀리와, 제1전동풀리 및 제2전동풀리에 연결되어서 회동링크가 전동축과 함께 회전될 시 제2전동풀리를 그 반대방향으로 자전시켜서 고정축 및 메인바를 자전시키므로 회동링크의 회동위치에 관계없이 진공관들 및 흡착패드들이 항상 하측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전동벨트와, 본체의 설치판에 회동되도록 설치되고 구동부에 연결되어서 이에 의해 왕복회동되는 구동축과, 구동축 및 전동축에 각각 고정되는 제1구동풀리 및 제2구동풀리와, 제1구동풀리 및 제2구동풀리에 연결되어서 구동축의 회동시 전동축을 연동시키는 구동벨트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블리스터 라인업장치를 위한 개별 리젝트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구동부는, 본체의 설치판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는 구동블록과, 일단이 구동축에 연결되어서 구동축을 왕복회동시키는 연결링크와, 일단이 구동블록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연결링크의 타단에 연결되어서 구동모터 및 구동블록의 회전시 연동되면서 연결링크를 구동축을 중심으로 왕복회동시키는 구동링크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펀칭유니트가 구동되어서 필름이 다수의 단위필름들로 절단되면 구동부의 구동모터가 일정시간 동안 구동된 후 정지되어서 파지부의 흡착패드를 단위필름들의 상부면에 위치되도록 하고, 흡착패드가 단위필름들의 상부면에 위치되면 진공펌프가 작동되어서 다수의 단위필름들이 흡착패드에 흡착되도록 하며, 단위필름들이 흡착패드에 흡착되면 다시 구동모터가 일정시간 동안 구동된 후 정지되어서 흡착된 단위필름들을 이송컨베이어의 상부면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구동되는 이송컨베이어 상에 흡착된 다수의 단위필름들을 시간차를 두고 하나씩 안착시켜서 다수의 단위필름들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도록 한다. 따라서 펀칭유니트에 의해 펀칭된 다수의 단위필름들이 정렬유니트에 의해 이송컨베이어 상에 하나씩 정렬된 상태로 이송되므로 다수의 단위필름들을 수작업 없이 스태커에 순차적으로 자동적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태커에 자동적재된 단위포장 물량을 카토너로 자동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블리스터 포장기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는 정렬유니트를 보인 개략적 발췌 사시도이다. 도 3은 정렬유니트의 회동부의 결합관계를 보인 개략적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7은 펀칭된 단위필름들이 정렬유니트에 의해 파지된 후 이송컨베이어 상에 시차를 두고 하나씩 안착되어 이송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인 개략적 사시도들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PVC 언코일러(4), 성형유니트(5), 제품투입유니트(6), 실링유니트(7), 엠보싱유니트(8), 슬릿유니트(9), 풀림유니트(10), 펀칭유니트(12), 이송컨베이어(13), 정렬유니트(20), 컨트롤러(14)로 이루어지는 바, 이 발명은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 제10-384421호(블리스터 포장기)에 대한 개선된 발명이며, 정렬유니트(20)에 그 특징이 있다. 따라서 정렬유니트(20)를 제외한 나머지 유니트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정렬유니트(20)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PVC 언코일러(4)는, 본체(1)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품을 포장하는 필름이 감겨진다.
성형유니트(5)는, 언코일러(4)의 일측의 본체(1)에 설치되어서 언코일러(4)로부터 필름이 공급되며 공급되는 필름을 가열 및 압착하여서 제품이 투입될 성형공간을 만든다. 이 성형유니트(5)는, 언코일러(4)로부터 필름을 강제로 풀어낸 후 상하몰드로 가압 및 가열하여서 제품이 투입될 성형공간을 성형하는 장치이다.
제품투입유니트(6)는, 성형유니트(5)의 일측의 본체에 설치되고 성형유니트(5)에 의해 성형된 필름의 성형공간에 제품을 투입시킨다.
실링유니트(7)는, 제품투입유니트(6)의 일측의 본체(1)에 설치되고 제품이 투입된 필름의 개방면에 알루미늄 덮개가 씌워지면 이를 가열하여서 밀봉한다.
엠보싱유니트(8)는, 실링유니트(7)의 일측의 본체(1)에 설치되고 덮개에 문자를 인쇄한다.
슬릿유니트(9)는, 엠보싱유니트(8)의 일측의 본체(1)에 설치되고 필름에 절단선을 형성시킨다.
풀림유니트(10)는, 슬릿유니트(9)의 일측의 본체(1)에 설치되어서 슬릿유니트(9)를 통과한 필름을 냉각시킨다.
이송유니트(11)는, 풀림유니트(10)의 일측의 본체(1)에 설치되어서 풀림유니트(10)를 통과한 필름을 타측으로 이송시킨다.
펀칭유니트(12)는, 이송유니트(11)의 일측의 본체(1)에 설치되어서 이로부터 이송되는 필름이 공급되며 필름이 포장용기에 포장되도록 일정한 크기의 포장단위로 절단한다.
정렬유니트(20)는, 펀칭유니트(12)와 이송컨베이어(13)의 사이의 본체(1)에 설치되고 펀칭유니트(12)로 펀칭된 단위필름(3)들을 일렬로 파지한 후 이송컨베이어(13) 상에 일렬로 안착시킨다.
컨트롤러(14)는, 성형유니트(5), 제품투입유니트(6), 실링유니트(7), 엠보싱유니트(8), 슬릿유니트(9), 풀림유니트(10), 이송유니트(11), 펀칭유니트(12), 정렬유니트(20)에 연결되어서 이들을 제어한다.
여기서, 정렬유니트(20)는, 파지부(21), 회동부(26), 구동부(39)로 이루어진다.
파지부(21)는, 펀칭유니트(12) 및 이송컨베이어(13) 사이에 설치되고 전동축(31)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펀칭유니트(12)에 의해 절단된 단위필름(3)들을 파지하여 이송컨베이어(13) 상으로 운반하며 이송된 단위필름(3)들을 시간차를 두고 이송컨베이어(13) 상부면에 하나씩 안착시킨다.
이러한 파지부(21)는, 메인바(22), 진공관(23)들, 흡착패드(24), 에어호스(25)로 이루어진다.
메인바(22)는, 일단이 회동부(26)의 회동링크(27) 단부에 연결되고 제1전동풀리(32), 제2전동풀리(33) 및 전동벨트(34)에 의해 자전되며 회동링크(27)의 회동시 이와 함께 회동된다. 이러한 메인바(22)는 전동축(31)을 중심으로 펀칭유니트(12)의 상부면 및 이송컨베이어(13)의 상부면 측으로 왕복 회동된다.
진공관(23)들은 메인바(22)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 설치되고 그 하단이 펀칭유니트(12)의 상부면 및 이송컨베이어(13)의 상부면을 향한다.
흡착패드(24)는, 진공관(23)들의 하단에 결합되고 펀칭유니트(12) 상의 단위필름(3)들이 부착된다.
에어호스(25)는, 진공관(23)들 및 진공펌프(미도시)에 연결되어서 진공관(23)들 및 흡착패드(24) 내부를 진공처리한다. 따라서 진공펌프가 작동되어서 에어호스(25)로 공기를 흡입하면 진공관(23)들 및 흡착패드(24)의 내부가 진공처리되면서 흡착패드(24)에 단위필름(3)이 흡착된다.
이러한 에어호스(25)들은 진공관(23)들에 각각 연결되고 각각의 에어호스(25)들은 진공펌프에 각각 제어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다수의 진공관(23) 들을 동시에 제어하여서 다수의 흡착패드(24)들에 다수의 단위필름(3)들이 부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다수의 진공관(23)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서 다수의 흡착패드(24)들에 흡착된 단위필름(3)들이 이송컨베이어(13) 상에 하나씩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회동부(26)는, 본체(1)에 설치되고 파지부(21)에 연결되어서 파지부(21)가 일정한 각도 내에서 회동되도록 하고 파지부(21)의 하단면이 펀칭유니트(12)의 상부면 및 이송컨베이어(13)의 상부면에 대향될 시 평행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회동부(26)는, 회동링크(27), 고정축(28), 베어링(30), 전동축(31), 제1전동풀리 및 제2전동풀리(33), 전동벨트(34), 구동축(35), 제1구동풀리(36) 및 제2구동풀리(37), 구동벨트(38)로 이루어진다.
회동링크(27)는, 그 일단에 메인바(22)의 단부가 공회전되도록 설치되고 타단이 본체(1)의 설치판(2)에 회동되도록 설치되어서 메인바(22)를 일정한 각도만큼 왕복회동시킨다.
고정축(28)은, 회동링크(27)의 일단에 공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일단에 결합편(29)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결합편(29)에 메인바(22)가 결합되어 있다.
베어링(30)은, 회동링크(27)와 고정축(28) 사이에 설치되어서 고정축(28)이 회동링크(27)에 대해 공회전되도록 한다.
전동축(31)은, 본체(1)의 설치판(2)에 자전되도록 설치되고 일단이 구동부(39)의 제2구동풀리(37)에 연결되어서 이에 의해 회전되며 타단에 회동링크(27) 가 고정되어서 이를 왕복회동시킨다.
제1전동풀리(32)는, 전동축(31)이 공회전되도록 그 둘레에 설치되고 설치판(2)의 일측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1전동풀리(32)는 전동축(31)의 회전에 관계없이 설치판(2)에 고정지지된다.
제2전동풀리(33)는, 고정축(28)의 타단에 고정되어서 고정축(28) 및 메인바(22)와 함께 회전된다.
전동벨트(34)는, 제1전동풀리(32) 및 제2전동풀리(33)에 연결되어서 회동링크(27)가 전동축(31)과 함께 회전될 시 제2전동풀리(33)를 그 반대방향으로 자전시켜서 고정축(28) 및 메인바(22)를 자전시키므로 회동링크(27)의 회동위치에 관계없이 진공관(23)들 및 흡착패드(24)들이 항상 하측방향을 향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의 회동부(26)는, 전동축(31)이 회전되면 회동링크(27)가 전동축(31)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메인바(22)를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시킨다. 이때 제1전동풀리(32)는 설치판(2)에 고정된 상태이고 제2전동풀리(33)는 회동링크(27)와 함께 전동축(31)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제1전동풀리(32) 및 제2전동풀리(33)는 전동벨트(34)로 연결된 상태이다.
따라서 회동링크(27)가 전동축(31)을 중심으로 회전되면 이와 함께 회전되는 제2전동풀리(33)는 회동링크(27)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자전된다. 회동링크(27)의 회동각도와 제2전동풀리(33)의 자전각도는 서로 비례한다.
그러므로 회동링크(27)가 전동축(31)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만큼 제2전동풀리(33)는 그 회전방향과 반대로 자전되므로 제2전동풀리(33)에 결합된 메인바(22), 진공관(23)들, 흡착패드(24)들은 회동링크(27)의 회동위치와 관계없이 항상 하측 방향을 향한다.
구동축(35)은, 본체(1)의 설치판(2)에 회동되도록 설치되고 구동부(39)에 연결되어서 이에 의해 왕복회동된다.
제1구동풀리(36) 및 제2구동풀리(37)는, 구동축(35) 및 전동축(31)에 각각 고정된다.
구동벨트(38)는, 제1구동풀리(36) 및 제2구동풀리(37)에 연결되어서 구동축(35)의 회동시 전동축(31)을 연동시킨다.
구동부(39)는, 본체(1)에 설치되고 회동부(26)에 연결되어서 회동부(26)가 일정한 각도 내에서 왕복회전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동부(39)는, 구동모터(40), 구동블록(41), 연결링크(43), 구동링크(44)로 이루어진다.
구동모터(40)는, 본체(1)의 설치판(2)에 설치되며 서보모터로 이루어진다.
구동블록(41)은, 구동모터(40)의 모터축에 연결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며, 구동블록(41)의 일측에는 결합부(42)가 돌출되어 있다.
연결링크(43)는 일단이 구동축(35)에 결합되어서 구동축(35)을 일정한 각도만큼 왕복회동시킨다.
구동링크(44)는, 일단이 구동블록(41)의 결합부(42)에 제1핀(45)으로 결합되어 있고, 타단이 연결링크(43)의 타단에 제2핀(46)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구동모 터(40) 및 구동블록(41)의 회전시 연동되면서 연결링크(43)를 구동축(35)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만큼 왕복회동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의 블리스터 라인업장치를 위한 개별 리젝트장치 중 본 발명의 특징인 정렬유니트(20)는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펀칭유니트(12)가 작동되어서 포장된 필름들이 다수의 단위필름(3)들로 절단되면 구동부(39)의 구동모터(40)가 구동되어서 다수의 흡착패드(24)들을 단위필름(3)들의 상부면에 위치시키는 바, 그 동력전달과정은 다음과 같다.
구동모터(40)가 회전되면 모터축에 연결된 구동블록(41)이 회전되며 구동블록(41)의 일측에 연결된 구동링크(44)의 단부가 이와 함께 회전된다. 이때 구동링크(44)의 타단은 회전되는 구동블록(41)에 의해 당겨지거나 밀리면서 연결링크(43)를 일정한 각도 내에서 왕복회동시키게 된다.
구동링크(44)가 당겨지면 이에 연결된 구동축(35)이 일측 방향으로 소정각도만큼 회전되고, 구동축(35)에 연결된 제1구동풀리(36)가 회전되며 이에 따라 구동벨트(38)가 구동되어서 제2구동풀리(37)를 회전시킨다.
제2구동풀리(37)가 회전되면 이에 결합된 전동축(31)을 회전시키며 전동축(31)이 회전되면 회동링크(27)가 전동축(31)과 함께 회전되면서 메인바(22)를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시킨다. 이때 제1전동풀리(32)는 설치판(2)에 고정된 상태이고 제2전동풀리(33)는 회동링크(27)와 함께 전동축(31)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제1전동풀리(32) 및 제2전동풀리(33)는 전동벨트(34)로 연결된 상태이다.
따라서 회동링크(27)가 전동축(31)을 중심으로 회전되면 이와 함께 회전되는 제2전동풀리(33)는 회동링크(27)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자전된다. 회동링크(27)의 회동각도와 제2전동풀리(33)의 자전각도는 서로 비례한다.
그러므로 회동링크(27)가 전동축(31)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만큼 제2전동풀리(33)는 그 회전방향과 반대로 자전되므로 제2전동풀리(33)에 결합된 메인바(22), 진공관(23)들, 흡착패드(24)들은 회동링크(27)의 회동위치와 관계없이 항상 하측 방향을 향한다.
회동링크(27)가 펀칭유니트(12) 측으로 회동되어서 흡착패드(24)들이 단위필름(3)들의 상부면에 위치되면 진공펌프가 작동되어서 에어호스(25)를 통해 에어를 흡입하므로 진공관(23)들 및 흡착패드(24)의 내부를 진공처리하므로 다수의 단위필름(3)들을 흡착패드(24)에 흡착시킨다.
단위필름(3)들이 흡착패드(24)에 흡착되면 구동모터(40)가 다시 구동된 후 정지되고 이에 따라 구동링크(44)가 연결링크(43)를 밀면서 구동축(35)을 중심으로 일정각도만큼 역회전시킨다. 따라서 구동축(35)에 연결된 부품들에는 상술한 동력전달경로를 통해 동력이 전달되면서 구동되며, 다만 회전방향만 바뀐 상태로 구동된다.
그러므로 구동축(35)의 역회전에 의해 회동링크(27)가 이송컨베이어(13)의 상부측으로 회동되며 이때 다수의 단위필름(3)들은 이송컨베이어(13)의 상부면에 대향된다. 다수의 단위필름(3)들이 이송컨베이어(13)의 상부면에 대향되면 진공관(23)들의 진공이 하나씩 해제되므로 단위필름(3)들은 시간차를 두고 하나씩 낙하 되도록 한다.
즉, 첫번째 진공관(23)의 진공이 해제되면 이에 흡착된 단위필름(3)이 이송컨베이어(13)의 상부면에 안착된 후 이를 따라 이송된다. 이송컨베이어(13)에 안착된 첫번째 단위필름(3)이 이송컨베이어(13)를 따라 일정거리만큼 이송되면 두번째 진공관(23)의 진공이 해제되면서 이에 흡착된 단위필름(3)이 이송컨베이어(13)의 상부면에 안착된 후 이송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다수의 단위필름(3)들이 이송컨베이어(13)의 상부면에 시간차를 두고 하나씩 안착되므로 다수의 단위필름(3)들이 정렬된 상태로 순차적으로 이송된다.
이송컨베이어(13)를 따라 하나씩 이송되는 단위필름(3)들은 이송컨베이어(13) 타측의 가이드(미도시)에 안내되면서 스태커(stacker)(미도시)에 하나씩 순차적으로 안착되며, 스태커에 정량의 단위필름(3)들이 안착되면 스태커가 적재된 단위필름들을 커토너(cartoner)(미도시)로 공급하며 카토너로 공급된 단위필름들은 주지된 바와 같이 카톤에 자동으로 투입된 후 포장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펀칭유니트(12)가 구동되어서 필름이 다수의 단위필름(3)들로 절단되면 구동부(39)의 구동모터(40)가 일정시간 동안 구동된 후 정지되어서 파지부(21)의 흡착패드(24)를 단위필름(3)들의 상부면에 위치되도록 한다.
흡착패드(24)가 단위필름(3)들의 상부면에 위치되면 진공펌프(미도시)가 작 동되어서 다수의 단위필름(3)들이 흡착패드(24)에 흡착되도록 한다.
단위필름(3)들이 흡착패드(24)에 흡착되면 다시 구동모터(40)가 일정시간 동안 구동된 후 정지되어서 흡착된 단위필름(3)들을 이송컨베이어(13)의 상부면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구동되는 이송컨베이어(13) 상에 흡착된 다수의 단위필름(3)들을 시간차를 두고 하나씩 안착시켜서 다수의 단위필름(3)들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송컨베이어(13)를 따라 이송되도록 한다.
따라서 펀칭유니트(12)에 의해 펀칭된 다수의 단위필름(3)들이 정렬유니트(20)에 의해 이송컨베이어(13) 상에 하나씩 정렬된 상태로 이송되므로 다수의 단위필름(3)들을 수작업 없이 스태커에 순차적으로 자동적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태커에 자동적재된 단위포장 물량을 카토너로 자동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블리스터 라인업장치를 위한 개별 리젝트장치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정렬유니트를 보인 개략적 발췌 사시도
도 3은 정렬유니트의 회동부의 결합관계를 보인 개략적 부분 절개 사시도
도 4 내지 도 7은 펀칭된 단위필름들이 정렬유니트에 의해 파지된 후 이송컨베이어 상에 시차를 두고 하나씩 안착되어 이송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인 개략적 사시도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설치판
3 : 단위필름 4 : 언코일러
5 : 성형유니트 6 : 제품투입유니트
7 : 실링유니트 8 : 엠보싱유니트
9 : 슬릿유니트 10 : 풀림유니트
11 : 이송유니트 12 : 펀칭유니트
13 : 이송컨베이어 14 : 컨트롤러
20 : 정렬유니트 21 : 파지부
22 : 메인바 23 : 진공관
24 : 흡착패드 25 : 에어호스
26 : 회동부 27 : 회동링크
28 : 고정축 29 : 결합편
30 : 베어링 31 : 전동축
32 : 제1전동풀리 33 : 제2전동풀리
34 : 전동벨트 35 : 구동축
36 : 제1구동풀리 37 : 제2구동풀리
38 : 구동벨트 39 : 구동부
40 : 구동모터 41 : 구동블록
42 : 결합부 43 : 연결링크
44 : 구동링크 45 : 제1핀
46 : 제2핀

Claims (5)

  1. 본체(1)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품을 포장하는 필름이 감겨지는 PVC 언코일러(4);
    언코일러(4)의 일측의 본체(1)에 설치되어서 언코일러(4)로부터 필름이 공급되며 공급되는 필름을 가열 및 압착하여서 제품이 투입될 성형공간을 만드는 성형유니트(5);
    성형유니트(5)의 일측의 본체에 설치되고 성형유니트(5)에 의해 성형된 필름의 성형공간에 제품을 투입시키는 제품투입유니트(6);
    제품투입유니트(6)의 일측의 본체(1)에 설치되고 제품이 투입된 필름의 개방면에 알루미늄 덮개가 씌워지면 이를 가열하여서 밀봉하는 실링유니트(7);
    실링유니트(7)의 일측의 본체(1)에 설치되고 덮개에 문자를 인쇄하는 엠보싱유니트(8);
    엠보싱유니트(8)의 일측의 본체(1)에 설치되고 필름에 절단선을 형성시키는 슬릿유니트(9);
    슬릿유니트(9)의 일측의 본체(1)에 설치되어서 슬릿유니트(9)를 통과한 필름을 냉각시키는 풀림유니트(10);
    풀림유니트(10)의 일측의 본체(1)에 설치되어서 풀림유니트(10)를 통과한 필름을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니트(11);
    이송유니트(11)의 일측의 본체(1)에 설치되어서 이로부터 이송되는 필름이 공급되며 필름이 포장용기에 포장되도록 일정한 크기의 포장단위로 절단하는 펀칭유니트(12);
    펀칭유니트(12)와 이송컨베이어(13)의 사이의 본체(1)에 설치되고 펀칭유니트(12)로 펀칭된 단위필름(3)들을 일렬로 파지한 후 이송컨베이어(13) 상에 일렬로 안착시키는 정렬유니트(20)와,
    성형유니트(5), 제품투입유니트(6), 실링유니트(7), 엠보싱유니트(8), 슬릿유니트(9), 풀림유니트(10), 이송유니트(11), 펀칭유니트(12), 정렬유니트(20)에 연결되어서 이들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라인업장치를 위한 개별 리젝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정렬유니트(20)는,
    펀칭유니트(12) 및 이송컨베이어(13) 사이에 설치되고 전동축(31)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펀칭유니트(12)에 의해 절단된 단위필름(3)들을 파지하여 이송컨베이어(13) 상으로 운반하며 이송된 단위필름(3)들을 시간차를 두고 이송컨베이어(13) 상부면에 하나씩 안착시키는 파지부(21)와,
    본체(1)에 설치되고 파지부(21)에 연결되어서 파지부(21)가 일정한 각도 내에서 회동되도록 하고 파지부(21)의 하단면이 펀칭유니트(12)의 상부면 및 이송컨베이어(13)의 상부면에 대향될 시 평행을 유지하도록 하는 회동부(26)와,
    본체(1)에 설치되고 회동부(26)에 연결되어서 회동부(26)가 일정한 각도 내에서 왕복회전되도록 하는 구동부(3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라 인업장치를 위한 개별 리젝트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파지부(21)는,
    회동부(26)에 연결되어서 이에 의해 자전되고 전동축(31)을 중심으로 펀칭유니트(12)의 상부면 및 이송컨베이어(13)의 상부면 측으로 왕복 회동되는 메인바(22)와,
    메인바(22)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 설치되고 그 하단이 펀칭유니트(12)의 상부면 및 이송컨베이어(13)의 상부면을 향하는 진공관(23)들과,
    진공관(23)들의 하단에 결합되고 펀칭유니트(12) 상의 단위필름(3)들이 부착되는 흡착패드(24)와,
    진공관(23)들 및 진공펌프에 연결되어서 진공관(23)들 및 흡착패드(24) 내부를 진공처리하는 에어호스(2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라인업장치를 위한 개별 리젝트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회동부(26)는,
    일단이 메인바(22)의 단부가 공회전되도록 설치되고 타단이 본체(1)의 설치판(2)에 회동되도록 설치되어서 메인바(22)를 왕복회동시키는 회동링크(27)와,
    회동링크(27)의 일단에 공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일단에 메인바(22)가 결합편(29)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축(28)과,
    회동링크(27)와 고정축(28) 사이에 설치되어서 고정축(28)이 회동링크(27)에 대해 공회전되도록 하는 베어링(30)과,
    본체(1)의 설치판(2)에 자전되도록 설치되고 일단이 구동부(39)에 연결되어서 이에 의해 회전되며 타단에 회동링크(27)가 고정되어서 이를 왕복회동시키는 전동축(31)과,
    전동축(31)이 공회전되도록 그 둘레에 설치되고 설치판(2)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1전동풀리(32)와,
    고정축(28)의 타단에 고정되어서 고정축(28) 및 메인바(22)와 함께 회전되는 제2전동풀리(33)와,
    제1전동풀리(32) 및 제2전동풀리(33)에 연결되어서 회동링크(27)가 전동축(31)과 함께 회전될 시 제2전동풀리(33)를 그 반대방향으로 자전시켜서 고정축(28) 및 메인바(22)를 자전시키므로 회동링크(27)의 회동위치에 관계없이 진공관(23)들 및 흡착패드(24)들이 항상 하측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전동벨트(34)와,
    본체(1)의 설치판(2)에 회동되도록 설치되고 구동부(39)에 연결되어서 이에 의해 왕복회동되는 구동축(35)과,
    구동축(35) 및 전동축(31)에 각각 고정되는 제1구동풀리(36) 및 제2구동풀리(37)와,
    제1구동풀리(36) 및 제2구동풀리(37)에 연결되어서 구동축(35)의 회동시 전동축(31)을 연동시키는 구동벨트(3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라인업장치를 위한 개별 리젝트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구동부(39)는,
    본체(1)의 설치판(2)에 설치되는 구동모터(40)와,
    구동모터(40)의 모터축에 연결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는 구동블록(41)과,
    일단이 구동축(35)에 연결되어서 구동축(35)을 왕복회동시키는 연결링크(43)와,
    일단이 구동블록(41)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연결링크(43)의 타단에 연결되어서 구동모터(40) 및 구동블록(41)의 회전시 연동되면서 연결링크(43)를 구동축(35)을 중심으로 왕복회동시키는 구동링크(4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라인업장치를 위한 개별 리젝트장치.
KR1020090105040A 2009-11-02 2009-11-02 블리스터 라인업장치를 위한 개별 리젝트장치 KR101100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040A KR101100266B1 (ko) 2009-11-02 2009-11-02 블리스터 라인업장치를 위한 개별 리젝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040A KR101100266B1 (ko) 2009-11-02 2009-11-02 블리스터 라인업장치를 위한 개별 리젝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297A true KR20110048297A (ko) 2011-05-11
KR101100266B1 KR101100266B1 (ko) 2011-12-28

Family

ID=44239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5040A KR101100266B1 (ko) 2009-11-02 2009-11-02 블리스터 라인업장치를 위한 개별 리젝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026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63428A1 (en) * 2011-09-08 2013-03-14 Hak-Mo CHOI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and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KR101487129B1 (ko) * 2014-02-25 2015-02-04 전익희 정렬적재 로더가 구비된 타발장치
CN105539967A (zh) * 2016-03-07 2016-05-04 徐海慧 一种用于化妆粉块定位填充装置
CN107284769A (zh) * 2017-07-04 2017-10-24 芜湖纯元光电设备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数控的铝塑包装设备用出口端可调式系统
CN109436798A (zh) * 2018-12-31 2019-03-08 浙江希望机械有限公司 单板独立剔除旋转机械手
CN109484853A (zh) * 2018-12-22 2019-03-19 浙江希望机械有限公司 一种泡罩板独立补料装置
CN110861803A (zh) * 2019-10-05 2020-03-06 浙江希望机械有限公司 连续摇摆追踪式放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1443A (ja) * 1999-06-09 2000-12-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用極板の搬送供給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63428A1 (en) * 2011-09-08 2013-03-14 Hak-Mo CHOI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and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KR101487129B1 (ko) * 2014-02-25 2015-02-04 전익희 정렬적재 로더가 구비된 타발장치
CN105539967A (zh) * 2016-03-07 2016-05-04 徐海慧 一种用于化妆粉块定位填充装置
CN107284769A (zh) * 2017-07-04 2017-10-24 芜湖纯元光电设备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数控的铝塑包装设备用出口端可调式系统
CN109484853A (zh) * 2018-12-22 2019-03-19 浙江希望机械有限公司 一种泡罩板独立补料装置
CN109484853B (zh) * 2018-12-22 2023-08-22 浙江希望机械有限公司 一种泡罩板独立补料装置
CN109436798A (zh) * 2018-12-31 2019-03-08 浙江希望机械有限公司 单板独立剔除旋转机械手
CN109436798B (zh) * 2018-12-31 2023-08-22 浙江希望机械有限公司 单板独立剔除旋转机械手
CN110861803A (zh) * 2019-10-05 2020-03-06 浙江希望机械有限公司 连续摇摆追踪式放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0266B1 (ko) 201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0266B1 (ko) 블리스터 라인업장치를 위한 개별 리젝트장치
KR101256350B1 (ko) 로터리형 자동포장기
CN107719768A (zh) 一种自动化包装机
KR101245602B1 (ko)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
KR101048414B1 (ko) 시트형 내용물 자동 포장 시스템
CN114261553B (zh) 一种用于包装袋的套袋封口设备及套袋工艺
CN111498176A (zh) 一种防水包装材料自动化包装方法
IT201700014643A1 (it) Gruppo di fabbricazione di contenitori riempibili e linea di confezionamento comprendente tale gruppo di fabbricazione.
RU2741650C1 (ru) Наполняющая машина для заполнения гибкой упаковки типа пакета
CN104129525B (zh) 一种扁卷包装机的理料输送装置
JP5258276B2 (ja) トレーの成形供給方法及びトレーの成形供給装置
KR101733282B1 (ko) 로터리형 자동포장기
CN113104278B (zh) 一种硬板产品的全自动包装工艺
CN111605836B (zh) 一种布匹自动包装设备
KR20020070569A (ko) 블리스터 포장기
JPH0924901A (ja) 蓋部材装着方法及び装置
CN114313432A (zh) 一种用于三维膜包装机的送料机构
EP3663214B1 (en) A film feeding system for a conveyor of a packaging machine, a conveyor and a packaging machine equipped with such a system
KR102065380B1 (ko) 파우치 정렬 이송장치
JP4417493B2 (ja) カード封入装置
JP7023854B2 (ja) いくつかのブランクを保持するマガジンにおいてブランクを位置合わせする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ならびに、いくつかのブランクを保持するマガジンからブランクを取り出す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102563843B1 (ko) 당면 자동 포장기
CN218055775U (zh) 一种用于医用试剂板的全自动真空塑封机
KR101702875B1 (ko) 깔때기 구조를 갖는 이송블럭이 마련된 다량포장품 투입용 이송장치
CN219601723U (zh) 一种全自动三维透明膜包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