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9674A - 감시카메라 - Google Patents

감시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9674A
KR20090099674A KR1020080024806A KR20080024806A KR20090099674A KR 20090099674 A KR20090099674 A KR 20090099674A KR 1020080024806 A KR1020080024806 A KR 1020080024806A KR 20080024806 A KR20080024806 A KR 20080024806A KR 20090099674 A KR20090099674 A KR 20090099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mission
unit
housing
backlash
worm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4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현택
Original Assignee
공현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현택 filed Critical 공현택
Priority to KR1020080024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9674A/ko
Publication of KR20090099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96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22Toothed members; Worms for transmissions with crossing shafts, especially worms, worm-gears
    • F16H55/24Special devices for taking up backlas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Abstract

본 발명은 감시카메라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감시카메라는, 제 1 회전형 웜휠이 결합된 고정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에 수평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하우징와; 상기 하우징에 수직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으로, 제 2 회전형 웜휠이 고정 결합된 카메라부와; 상기 제 1 회전형 웜휠을 회전시키는 제 1 동력 전달용 웜기어를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 1 회전구동부와, 상기 제 2 회전형 웜휠을 회전시키는 제 2 동력 전달용 웜기어를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카메라부를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 2 회전구동부와, 상기 제 1 회전형 웜휠과 제 1 동력 전달용 웜기어 사이 또는 상기 제 1 회전형 웜휠과 제 1 동력 전달용 웜기어 사이에서 발생되는 백래쉬(Back-Lash) 현상을 방지하는 백래쉬 방지 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감시카메라{A monitoring camera}
본 발명은 감시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수평 및 수직으로 회전되어 감시하고자하는 영역을 감시하는 감시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보안 및 감시 시스템은 복잡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 사회에서 인적 혹은 기술적 자원을 보호 또는 감시할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그 중요성이 나날이 높아져 가고 있다. 이를 위해 감시하고자하는 지역에 감시카메라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감시카메라는 아파트를 비롯한 각종 건물이나 백화점 등과 같이 유동인구가 많은 장소에 설치될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공장이나 공원 등과 같은 곳에 설치되어 방범 및 화재를 감시하는 등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특히, 기업이나 관공서 또는 은행 등의 출입자 감시 및 증거물 확보를 위해 비약적으로 그 활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향후 각종 사회 안전망 구축 등에 널리 보급될 것이다.
여기서, 감시카메라의 종류에는 일방향으로 고정되어 일정한 영역만을 감시할 수 있는 고정식 감시카메라와, 카메라를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광범위한 영역을 감시할 수 있는 회동식 감시카메라가 있다. 고정식 감시카메라의 경우에는 고정된 위치에서 일정한 영역만을 감시할 수 있으므로, 감시영역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감시카메라를 설치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대안으로, 감시카메라를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회동식 감시카메라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감시카메라는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 감시카메라에 구비된 복수의 기어들이 마모되어 기어와 기어 사이에 유격이 발생함으로써, 상기 기어들이 역회전하는 백래쉬(back-lash)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감시카메라의 수평 수직 회전 시, 백래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감시카메라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감시카메라는: 제 1 회전형 웜휠이 결합된 고정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에 수평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직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으로, 제 2 회전형 웜휠이 고정 결합된 카메라부와; 상기 제 1 회전형 웜휠을 회전시키는 제 1 동력 전달용 웜기어를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 1 회전구동부와; 상기 제 2 회전형 웜휠을 회전시키는 제 2 동력 전달용 웜기어를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카메라부를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 2 회전구동부와; 상기 제 1 회전형 웜휠과 제 1 동력 전달용 웜기어 사이 또는 상기 제 1 회전형 웜휠과 제 1 동력 전달용 웜기어 사이에서 발생되는 백래쉬(Back-Lash) 현상을 방지하는 백래쉬 방지 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감시카메라는, 카메라가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발생하는 백래쉬를 방지하여, 카메라가 정확한 방향으로 수평 및 수직 회전 될 수 있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감시카메라(100)는 고정 부재(130)와, 하우징(120)과, 카메라부(110)와, 제 1 및 제 2 회전구동부(140, 150)와, 백래쉬 방지 유닛(160)을 포함한다.
고정 부재(130)는 감시를 원하는 지역의 지면이나, 구조물 등에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 부재(130)는 제 1 회전형 웜휠(145)을 구비한다.
하우징(120)은 상기 고정 부재(130)에 수평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카메라부(110)는 상기 하우징(120)에 수직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카메라부(110)의 하측에는 브라켓(111)이 배치된다. 상기 브라켓(111)은 상기 하우징(120)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카메라부(110)은 제 2 회전형 웜휠(155)를 구비한다. 상기 제 2 회전형 웜휠(155)은 상기 브라켓(111)에 고정되어 후술할 제 2 회전구동부가 상기 제 2 회전형 웜휠(155)을 회전시키면, 상 기 카메라부(110)가 상기 하우징(12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상기 카메라부(110)의 상측은 상기 카메라 렌즈(112)의 둘레를 감싸도록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카메라부(110)의 영상이 통과되는 상기 카메라 렌즈(112)에는 태양광에 의해 플레어 현상(flare effect : 태양광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대조가 낮아지고, 촬영된 영상에 광원이 맺히는 현상)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 1 회전구동부(140)는 상기 하우징(120)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회전구동부(140)는 제 1 동력 전달용 웜기어(144)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동력 전달용 웜기어(144)는 상기 제 1 회전형 웜휠(145)을 회전시킨다.
제 2 회전구동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10)를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제 2 회전구동부(150)는 제 2 동력 전달용 웜기어(154)를 구비한다. 상기 제 2 동력 전달용 웜기어(154)는 상기 제 2 회전형 웜휠(155)을 회전시킨다.
백래쉬 방지 유닛(160)은 상기 제 1 회전형 웜휠(145)과 제 1 동력 전달용 웜기어(144) 사이 또는 상기 제 2 회전형 웜휠(155)과 제 2 동력 전달용 웜기어(154) 사이에서 발생되는 백래쉬(Back-Lash)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감시카메라(100)는, 상기 백래쉬 방지 유닛(160)에 의해 감시카메라(100)에 구비된 기어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유격을 최소화하여 상기 기어들 사이에서 백래쉬(back-lash)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카메라가 정확한 방향으로 수평 및 수직 회전 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제 1 회전구동부(140)와, 제 2 회전구동부(150)와, 백래쉬 방지 유닛(160)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제 1 회전구동부(140)의 상세한 구조를 설명한다.
제 1 회전구동부(140)는 제 1 모터(141)와, 제 1 동력 전달부(146)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모터(141)는 상기 하우징(120) 내에 고정된다. 제 1 모터(141)에는 미도시된 제어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 1 모터(141)의 회전속도와 회전방향을 제어한다.
제 1 동력 전달부(146)는 상기 제 1 모터(141)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한다. 이러한 제 1 동력 전달부(146)의 제 1 회전축(143b)은 상기 하우징(120)에 자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 1 동력 전달용 웜기어(144)는 상기 제 1 동력 전달부(146)의 제 1 회전축(143b)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동력 전달용 웜기어(144)가 회전하면, 상기 제 1 회전형 웜휠(145)도 회전한다. 이에 따라, 제 1 회전형 웜휠(145)은 제 1 동력 전달부(146)의 제 1 동력 전달용 웜기어(144)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여, 고정 부재(130)를 회전시킨다. 하지만 고정 부재(130)는 구조물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하우징(120)이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백래쉬 방지 유닛은 제 1 백래쉬 방지 모듈(170)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백래쉬 방지 모듈(170)은 상기 제 1 동력 전달용 웜기어(144)와 상기 제 1 회전형 웜휠(145)에서 유격이 발생하여 백래쉬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 1 백래쉬 방지 모듈(170)은 상기 제 1 동력 전달부(146)가 상기 제 1 회전 형 웜휠(145)을 향해 힘을 가하도록 하여, 상기 제 1 동력 전달용 웜기어(144)와 상기 제 1 회전형 웜휠(145)이 유격 없이 밀착하게 한다. 이러한 제 1 백래쉬 방지 모듈(170)의 상세한 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 1 회전구동부(140)는 제 1 구동기어(142)와, 제 1 연결기어(143a)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기어(142)는 상기 제 1 모터(141)의 구동축상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연결기어(143a)는 상기 제 1 회전축(143b)에 결합되어 제 1 구동기어(142)와 맞물려서 회전한다.
이러한 구조는, 제 1 모터(141)가 제 1 동력 전달부(146)를 직접적으로 회전시키지 않고, 제 1 구동기어(142)와 제 1 연결기어(143a)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하여 기어비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제 1 모터(141)가 적은 힘으로도 상기 제 1 회전형 웜휠(145)을 회전시킬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제 2 회전구동부(150)의 상세한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제 2 회전구동부(150)는 제 2 모터(151)와, 제 2 동력 전달부(156)을 구비할 수 있다.
제 2 회전구동부(150)는 제 2 모터(151)와, 제 2 동력 전달부(156)를 구비할 수 있다.
제 2 모터(151)는 상기 하우징(120) 내에 고정된다. 제 2 모터(151)에는 미도시된 제어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 2 모터(151)의 회전속도와 회전방향을 제어한다.
제 2 동력 전달부(156)는 상기 제 2 모터(151)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한다. 이러한 제 2 동력 전달부(156)의 제 2 회전축(153b)은 상기 하우징(120)에 자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 2 동력 전달용 웜기어(154)는 상기 제 2 동력 전달부(156)의 제 2 회전축(153b)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 2 동력 전달용 웜기어(154)가 회전하면, 상기 제 2 회전형 웜휠(155)도 회전한다. 이에 따라, 제 2 회전형 웜휠(155)은 제 2 동력 전달부(156)의 제 2 동력 전달용 웜기어(154)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카메라부(110)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백래쉬 방지 유닛(160)은 제 2 백래쉬 방지 모듈(180)을 구비한다. 상기 제 2 백래쉬 방지 모듈(180)은 상기 제 2 동력 전달용 웜기어(154)와 상기 제 2 회전형 웜휠(155)에서 유격이 발생하여 백래쉬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제 2 백래쉬 방지 모듈(180)은 상기 제 2 동력 전달부가 상기 제 2 회전형 웜휠(155)을 향해 힘을 가하게 하여, 상기 제 2 동력 전달용 웜기어(154)와 상기 제 2 회전형 웜휠(155)이 유격 없이 밀착하게 한다. 이러한 제 1 백래쉬 방지 모듈(170)의 상세한 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 2 회전구동부(150)는 제 2 구동기어(152)와, 제 2 연결기어(153a)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2 구동기어(152)는 상기 제 2 모터(151)의 구동축상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연결기어(153a)는 상기 제 2 회전축(153b)에 결합되어 제 2 구동기어(152)와 맞물려서 회전한다.
이러한 구조는, 제 2 모터(151)가 제 2 동력 전달부(156)를 직접적으로 회전 시키지 않고, 제 2 구동기어(152)와 제 2 연결기어(153a)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하여 기어비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제 2 모터(151)가 적은 힘으로도 상기 제 2 회전형 웜휠(155)을 회전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감시카메라(100)에서 카메라부(110)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고정 부재(130)에 대해 카메라부(110)를 좌,우 방향으로 수평회전하는 경우, 제 1 모터(141)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제 1 모터(141)의 구동축 상에 마련된 제 1 구동기어(142)가 회전한다. 이에 따라, 제 1 구동기어(142)와 맞물린 제 1 연결기어(143a)가 회전하게 되고, 제 1 회전축(143b)에 배치된 제 1 동력 전달용 웜기어(144)도 함께 회전한다. 제 1 동력 전달용 웜기어(144)의 회전력은 고정 부재(130) 측에 결합된 제 1 회전형 웜휠(145)에 전달되고, 고정 부재(130)를 회전시킨다. 이때, 고정 부재(130)는 지면이나 구조물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하우징(120)을 회전시켜 하우징(120)에 결합된 카메라부(110)를 좌측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반대로, 제 1 모터(141)가 전술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하면, 제 1 회전형 웜휠(145)도 전술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카메라부(110)를 우측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제 1 회전구동부(140)는 고정 부재(130)를 적어도 좌측 또는 우측으로 각각 160°회전시키며, 회전 속도는 적어도 0.5deg/sec 내지 17deg/sec의 범위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감시카메라(100)에서 카메라부(110)가 수직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다음으로, 하우징(120)에 대해 카메라부(110)를 상,하 방향으로 수직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제 2 모터(151)가 회전된다. 그러면, 제 2 모터(151)의 구동축 상에 마련된 제 2 구동기어(152)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 2 구동기어(152)와 맞물린 제 2 연결기어(153a)가 회전하게 되고, 제 2 회전축(153b)에 배치된 제 2 동력 전달용 웜기어(154)도 함께 회전한다. 제 2 동력 전달용 웜기어(154)의 회전력은 고정 부재(130) 측에 결합된 제 2 회전형 웜휠(155)에 전달된다. 한편, 제 2 회전형 웜휠(155)의 회전축은 카메라부(110) 하측에 마련된 브라켓(111)의 회전축이므로, 제 2 회전형 웜휠(155)의 회전에 의해 카메라부(110)를 상측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반대로, 제 2 모터(151)가 전술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 최종적으로 회전력이 발생하는 제 2 회전형 웜휠(155)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카메라부(110)를 하측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제 2 회전구동부(150)는 카메라부(110)를 적어도 하향으로 80°, 상향으로 30°회전시키며, 회전속도는 적어도 0.7deg/sec 내지 17deg/sec의 범위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 2 회전구동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10)만을 상,하 방향으로 수직 회전시키므로, 상기 제 2 회전구동부(150)의 제 2 모터(151)에 무리한 하중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내구성이 증가되어 잔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백래쉬 방지 모듈(170)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제 1 백래쉬 방지 모듈(170)은 수평 이동부재(171)와, 제 1 이탈방지부재(172)와, 제 1 탄성부재(173)를 구비할 수 있다.
수평 이동부재(171)는 상기 제 1 동력 전달부(146)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12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러한 상기 수평 이동부재(171)는 결합부(171a)와 지지부(171b)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부(171a)는 상기 제 1 동력 전달부(146)의 제 1 회전축(143b)의 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171b)는 상기 결합부(171a)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20)의 외면을 지지하여 상기 결합부(171a)가 상기 하우징(120) 내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경우, 하우징(120)에는 관통홀(1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123)은 상기 결합부(171a)가 수용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123)과 상기 결합부(171a) 사이에는 베어링(174)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 1 동력 전달부(146)에는 와셔(175)와 너트(17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174)은 상기 제 1 동력 전달부(146)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상기 와셔(175)와 너트(176)는 상기 베어링(174)이 상기 제 1 동력 전달부(146)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123)의 내경은 상기 결합부(171a)의 외경보다 크게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 1 동력 전달부(146)가 상기 제 1 회전형 웜휠(145)을 향해 힘을 가하여야 제 1 동력 전달부(146)와 제 1 회전형 웜휠(145)에서 발생하는 백래쉬를 방지할 수 있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상기 수평 이동부재(171)가 수평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하우징(120)에 대한 수평 이동부재(171)의 이동 변위(H, 도 9참조)는 1.0mm 내지 2.0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20)에 대한 수평 이동부재(171)의 이동 변위가 1.0mm 이하이면, 수평 이동부재(171)의 이동 변위가 너무 적어서 백래쉬를 방지하기위한 목적을 달성하기가 어렵고, 하우징(120)에 대한 수평 이동부재(171)의 이동 변위가 2.0mm 이상이면, 수평 이동부재(171)의 이동 변위가 너무 커서 제 1 동력 전달부(146)에 응력이 발생될 수 있다.
제 1 이탈 방지부재(172)는 상기 수평 이동부재(171)가 상기 하우징(1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제 1 이탈 방지부(172)는 상기 수평 이동부재(171)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20)에 결합된다. 상기 제 1 이탈 방지부재(172)의 앞측 둘레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20)에 고정결합되고, 중간부분의 둘레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매끄럽게 형성된다. 이러한 중간 부분의 외경은 상기 수평 이동부재(171)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 이동부재(171)에 형성된 복수의 홀(171c)의 내경보다 작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탄성부재(173)는 상기 수평 이동부재(171)에 수평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120)과 수평 이동부재(171) 각각에는 고정핀(171d)들이 결합되고, 상기 제 1 탄성부재(173)의 양단은 상기 고정핀(171d)들에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제 1 백래쉬 방지 모듈(170)은, 제 1 회전형 웜휠(145)이 제 1 동력 전달용 웜기어(144)와 맞물려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 1 동력 전달용 웜기어(144)가 상기 제 1 회전형 웜휠(145)을 향하여 이동되도록 힘을 가하여 상기 제 1 회전형 웜휠(145)과 제 1 동력 전달용 웜기어(144) 사이에 유격 없이 맞물리게 한다.
이에 따라, 제 1 동력 전달용 웜기어(144)와 제 1 동력 전달용 웜기어(144)가 마모되어 유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유격을 보정하여 제 1 동력 전달용 웜기어(144)의 회전력이 제 1 동력 전달용 웜기어(144)에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게 함으로써, 제 1 동력 전달용 웜기어(144)와 제 1 동력 전달용 웜기어(144) 사이에 백래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백래쉬 방지 모듈(180)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제 2 백래쉬 방지 모듈은 수직 이동부재(181)와, 제 2 이탈방지부재(182)와, 제 2 탄성부재(183)를 구비할 수 있다.
수직 이동부재(181)는 상기 제 2 동력 전달부(156)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12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러한 수직 이동부재(181)는 결합부(181a)와 지지부(181b)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부(181a)는 상기 제 2 동력 전달부(156)의 제 2 회전축(153b)의 단부가 결합된다. 상기 지지부(181b)는 상기 결합부(181)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181b)의 외경은 상기 결합부(181a)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20)의 외면을 지지하여 상기 결합부(181a)가 상기 하우징(120) 내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결합부(181a)는 전술한 관통홀(123)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백래쉬 방지 모듈(180)도 상기 제 1 백래쉬 방지 모 듈(170)과 마찬가지로, 베어링(174)과, 와셔(175)와, 너트(17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174)과, 와셔(175)와, 너트(176)는 제 1 백래쉬 방지 모듈(170)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로 하였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123)의 내경은 상기 결합부(181a)의 외경보다 크게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 2 동력 전달부(156)가 상기 제 2 회전형 웜휠(155)을 향해 힘을 가하여야 제 2 동력 전달부(156)와 제 2 회전형 웜휠(155)에서 발생하는 백래쉬를 방지할 수 있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상기 수직 이동부재(181)가 수직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하우징(120)에 대한 수직 이동부재(181)의 이동 변위는 1.0mm 내지 2.0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20)에 대한 수직 이동부재(181)의 이동 변위가 1.0mm이하이면, 수직 이동부재(181)의 이동 변위가 너무 적어서 백래쉬를 방지하기위한 목적을 달성하기가 어렵고, 하우징(120)에 대한 수직 이동부재(181)의 이동 변위가 2.0mm이상이면, 수직 이동부재(181)의 이동 변위가 너무 커서 제 2 동력 전달부(156)에 응력이 발생될 수 있다.
제 2 이탈 방지부재(172)는 상기 수직 이동부재(181)가 상기 하우징(1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제 2 이탈 방지부(172)는 상기 수직 이동부재(181)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20)에 결합된다. 상기 제 2 이탈 방지부재(172)의 앞측 둘레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20)에 고정결합되고, 중 간부분의 둘레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평평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중간 부분의 외경은 상기 수직 이동부재(181)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이동부재(181)에 형성된 복수의 홀(181c)의 내경보다 작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탄성부재(183)는 상기 수직 이동부재(181)에 수직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120)과 수직 이동부재(181) 각각에는 고정핀(181d)들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 2 탄성부재(183)의 양단은 상기 고정핀(181d)들에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제 2 백래쉬 방지 모듈(180)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제 2 동력 전달용 웜기어(154)와 상기 제 2 회전형 웜휠(155) 사이에 유격이 없다가 상기 제 2 동력 전달용 웜기어(154)와 상기 제 2 회전형 웜휠(155)가 마모되어 유격이 발생하게 되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탄성부재(183)가 상기 수직 이동부재(181)를 상방으로 일정거리(H) 이동시킨다. 상기 제 2 회전축(153b)도 상기 수직 이동부재(181)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게되고, 상기 제 2 동력 전달용 웜기어(154)와 상기 제 2 회전형 웜휠(155) 사이에 발생된 유격은 제거된다. 즉, 제 2 회전형 웜휠(155)이 제 2 동력 전달용 웜기어(154)와 맞물려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 2 동력 전달용 웜기어(154)가 상기 제 2 회전형 웜휠(155)을 향하여 이동되도록 힘을 가하여 상기 제 2 회전형 웜휠(155)과 제 2 동력 전달용 웜기어(154) 사이에 유격 없이 맞물리게 한다.
이에 따라, 제 2 동력 전달용 웜기어(154)와 제 2 동력 전달용 웜기어(154)가 마모되어 유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유격을 보정하여 제 2 동력 전달용 웜기어(154)의 회전력이 제 2 동력 전달용 웜기어(154)에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게 함으로써, 제 2 동력 전달용 웜기어(154)와 제 2 동력 전달용 웜기어(154) 사이에 백래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재차 참조하면, 감시카메라(100)는 연결 케이블(12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케이블(121)은 상기 카메라부(110)와 상기 하우징(1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 케이블(121)은 하우징(120)의 일 측에서 접속되고, 하우징(120)의 측면을 지나 적어도 1회 접혀진 후, 카메라부(110)의 하측에 접속되게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20)으로부터 카메라부(110)가 회전하는 경우, 연결 케이블(121)과 접속되는 카메라부(110)와 하우징(120)의 접속 단자(113, 122)에 연결 케이블(121)의 탄성에 의해 응력이 작용하여 각각의 접속 단자(113, 122)가 휘거나 부러져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재차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20)은 미도시된 온도 센서와, 히터(12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미도시된 온도 센서는 외부 온도를 감지하고, 히터(124)는 온도 센서로부터 감지된 외부 온도가 소정 값 이하이면 열을 발생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감시카메라(100)가 동작 가능한 온도 이하로 외부 온도가 변하는 경우, 온도 센서가 외부 온도를 감지하여 히터(124)를 가동한다. 가동된 히터(124)는 하우징(120) 내의 온도를 올려주어 미도시된 각종 회로기판과, 후술할 제 1 및 제 2 회전구동부(140, 150)를 저온에서도 동작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전술한 제 1 및 제 2 회전구동부(140, 150)는 각각 과회전 방지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미도시된 과회전 방지센서는 제 1 및 제 2 동력 전달부(146, 156)가 과회전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감시카메라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감시카메라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의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감시카메라 내부의 백래쉬 방지 유닛을 도 2의 A-A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감시카메라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에 구비된 백래쉬 방지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제 2 백래쉬 방지 모듈의 동작과정을 도 4의 C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카메라부 111..브라켓
112..카메라 렌즈 120..하우징
121..연결 케이블 122..접속 단자
130..고정 부재 140..제 1 회전구동부
141..제 1 모터 142..제 1 구동기어
150..제 2 회전구동부 151..제 2 모터
160..백래쉬 방지 유닛 170..제 1 백래쉬 방지 모듈
171..수평 이동부재 172..제 1 이탈방지부재
173..제 1 탄성부재 180..제 2 백래쉬 방지 모듈
181..수직 이동부재 182..제 2 이탈방지부재
183..제 2 탄성부재

Claims (7)

  1. 제 1 회전형 웜휠이 결합된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에 수평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직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으로, 제 2 회전형 웜휠이 고정 결합된 카메라부;
    상기 제 1 회전형 웜휠을 회전시키는 제 1 동력 전달용 웜기어를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 1 회전구동부;
    상기 제 2 회전형 웜휠을 회전시키는 제 2 동력 전달용 웜기어를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카메라부를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 2 회전구동부; 및
    상기 제 1 회전형 웜휠과 제 1 동력 전달용 웜기어 사이 또는 상기 제 1 회전형 웜휠과 제 1 동력 전달용 웜기어 사이에서 발생되는 백래쉬(Back-Lash) 현상을 방지하는 백래쉬 방지 유닛;을 구비하는 감시카메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제 1 모터; 및
    상기 제 1 모터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제 1 회전축을 구비한 제 1 동력 전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동력 전달용 웜기어는 상기 제 1 회전축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회전축과 연동하여 회전하며,
    상기 백래쉬 방지 유닛은:
    상기 제 1 동력 전달부가 상기 제 1 회전형 웜휠을 향해 힘을 가하도록 하여, 상기 제 1 동력 전달용 웜기어와 상기 제 1 회전형 웜휠이 유격 없이 밀착하게 하는 제 1 백래쉬 방지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3. 제 2항에 있어서,
    제 1 백래쉬 방지 모듈은:
    상기 제 1 동력 전달부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수평 이동부재;
    상기 수평 이동부재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이탈방지부재; 및
    상기 수평 이동부재에 수평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제 1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구동부는,
    상기 제 1 모터의 구동축상에 고정된 제 1 구동기어: 및
    상기 제 1 구동기어와 맞물려서 상기 제 1 동력 전달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 1 연결기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전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제 2 모터; 및
    상기 제 2 모터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제 2 회전축을 구비한 제 2 동력 전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동력 전달용 웜기어는 상기 제 2 회전축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회전축과 연동하여 회전하며,
    상기 백래쉬 방지 유닛은:
    상기 제 2 동력 전달부가 상기 제 2 회전형 웜휠을 향해 힘을 가하도록 하여, 상기 제 2 동력 전달용 웜기어와 상기 제 2 회전형 웜휠이 유격 없이 밀착하게 하는 제 2 백래쉬 방지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6. 제 4항에 있어서,
    제 2 백래쉬 방지 모듈은:
    상기 제 2 동력 전달부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수직 이동부재;
    상기 수직 이동부재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 이탈방지부재; 및
    상기 수직 이동부재에 수직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제 2 탄성부재;를 구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전구동부는,
    상기 제 2 모터의 구동축상에 고정된 제 2 구동기어: 및
    상기 제 2 구동기어와 맞물려서 상기 제 2 동력 전달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 2 연결기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KR1020080024806A 2008-03-18 2008-03-18 감시카메라 KR200900996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806A KR20090099674A (ko) 2008-03-18 2008-03-18 감시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806A KR20090099674A (ko) 2008-03-18 2008-03-18 감시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9674A true KR20090099674A (ko) 2009-09-23

Family

ID=41358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4806A KR20090099674A (ko) 2008-03-18 2008-03-18 감시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967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3143A (ko) * 2011-05-30 2012-12-1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촬상 장치 지지용 조립체
CN108626546A (zh) * 2018-08-10 2018-10-09 韶关旭日国际有限公司 一种万向旋转云台
KR102494935B1 (ko) 2022-06-14 2023-02-06 심플라온 주식회사 촬영장치의 팬틸트 구동장치용 틸트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장치의 팬틸트 구동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3143A (ko) * 2011-05-30 2012-12-1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촬상 장치 지지용 조립체
CN108626546A (zh) * 2018-08-10 2018-10-09 韶关旭日国际有限公司 一种万向旋转云台
KR102494935B1 (ko) 2022-06-14 2023-02-06 심플라온 주식회사 촬영장치의 팬틸트 구동장치용 틸트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장치의 팬틸트 구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81858A1 (en)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of adjusting a fixed monitoring device
EP2192444B1 (en) Camera having a slip ring and pan-tilt mechanism
US10073324B2 (en) Security camera system
CN104115064B (zh) 半球型相机
CN101568944A (zh) 具有通信确认点头功能的视频监视系统
CN103075625B (zh) 一种由单台电机驱动的云台
US5159368A (en) Automatic and manual panoramic camera mount
KR20070011860A (ko) 외부에서 렌즈 초점을 조정할 수 있는 적외선 감시카메라
KR20090099674A (ko) 감시카메라
CA2014708A1 (en) Automatic panoramic camera mount
KR100799736B1 (ko) 감시카메라용 수평 수직 회전 장치
JP2008529446A (ja) 補助カメラを具備するパンチルトカメラ装置
KR100683623B1 (ko) 감시카메라의 렌즈조절장치
JP5424838B2 (ja) レンズ装置のフィルタ機構
CN100430823C (zh) 监视摄像机设备
JP2013101397A (ja) 撮像装置
CN111076047A (zh) 一种红外全景图像拍摄转台
KR200320712Y1 (ko) 팬틸트카메라
KR20150137407A (ko) 감시카메라용 5축 회전 브래킷
KR100717894B1 (ko) 팬/틸트 카메라
CN211502172U (zh) 一种红外全景图像拍摄转台
KR200266480Y1 (ko) 감시용 카메라
KR101125374B1 (ko) 개별 제어가 가능한 멀티형 감시 카메라
KR200388474Y1 (ko) 고배율 고선명 주야간 무인 관측장치의 각도 구동장치
WO2018097685A1 (ko) 회전형 카메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