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9627A - 건축폐기물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건축폐기물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9627A
KR20090099627A KR1020080024723A KR20080024723A KR20090099627A KR 20090099627 A KR20090099627 A KR 20090099627A KR 1020080024723 A KR1020080024723 A KR 1020080024723A KR 20080024723 A KR20080024723 A KR 20080024723A KR 20090099627 A KR20090099627 A KR 20090099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waste
base
main body
separ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4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9230B1 (ko
Inventor
박호익
Original Assignee
리싸이클링일성(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싸이클링일성(주) filed Critical 리싸이클링일성(주)
Priority to KR1020080024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9230B1/ko
Publication of KR20090099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9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07B1/34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jigging or moving to-and-fro perpendicularly or approximately perpendiculary to the plane of the scre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폐기물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에 자유단 형태로 설치되는 몸체(123)를 형성한 본체(120)와; 상기 본체(120)를 유동시키도록 신축되는 유동수단(130)과; 상기 본체(120)의 몸체(123) 상부에 회전되는 회전몸체(141)를 형성한 회전체(140)와; 상기 회전체(140)의 상부에 분리공간부(152)를 형성하는 덮개(151)를 구비한 차단부(150)로 구성한다.
Figure P1020080024723
건축폐기물, 회전체, 다공판

Description

건축폐기물 분리장치{Apparatus for Separating of Construction Wastes}
본 발명은 건축폐기물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후된 주택이나 빌딩 등과 같은 건축물의 해체 또는 철거작업을 하거나 재건축 공사를 할 경우, 콘크리트나 골재 또는 철근 등을 포함하여 목재나 스티로폼과 같은 각종 건축폐기물이 대량으로 발생하게 되는 데, 이러한 건축폐기물은 특수폐기물로 분류되어 그 매립장소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건축폐기물의 처리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며, 이로 인하여 건축폐기물의 빈번한 불법무단투기에 따른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시키고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건축폐기물에는 각종 철근류를 포함하여 건축재료로 재활용이 가능한 자갈이나 모래 등과 같은 골재가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는바, 이러한 건축폐기물을 그대로 매립하는 것은 건축폐기물의 처리에 따른 비용상승과 함께 매립지 수명의 단축 및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최근에 들어서는 건축폐기물로부터 철근류나 골재 등을 분리하여 재활용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건축폐기물로부터 재활용 가능한 철근류나 골재 등을 분리시키 기 위하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물이 저장된 수조의 내부로 건축폐기물을 투입하여 콘크리트나 철근 또는 골재 등과 같이 무거운 물체는 수조의 바닥으로 침강시킴과 동시에, 종이나 비닐 또는 스티로폼이나 목재와 같이 가벼운 물체는 수면으로 부유되도록 하는 습식분리 작업을 일차적으로 거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습식분리작업을 일차적으로 거친 다음에는, 전자석이나 영구자석을 구비하는 선별기를 사용하여 건축폐기물로부터 각종 철근류를 이차적으로 분리시킨 후, 콘크리트와 골재 등이 혼합된 건축폐기물을 컨베이어를 통하여 스크린장치의 내부로 공급시킴으로서 건축폐기물로부터 골재를 최종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습식분리장치는 건축폐기물에 포함된 가벼운 물체의 쓰레기와 무거운 물체의 쓰레기의 비중을 이용하여 분리하였는데, 이는 건축폐기물 전체가 물속에 담기는 것이므로 다량의 물을 필요로 하였다.
그 다량의 물이 건축폐기물에 의해 오염되어 주변환경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와, 물속에 가라앉게 되는 토사의 처리작업과 그 물속에 적층되는 토사로 인한 분리장치의 청소 및 관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동절기에는 물이 얼기 때문에 안전사고에 대한 문제는 물론이고 동파에 대한 염려가 있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건축물을 복수 단계로 분리하게 되면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분리공정이 여러단계로 이루어지면서 장비의 설치면적이 증대되어 시 설설치 비용의 상승 및 관리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목적은, 공기를 이용하여 좌우 유동되고, 회전하는 회전체의 상부로 폐기물 투입시 회전체의 유동으로 투입되는 중량폐기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면서, 경량폐기물은 공기의 흡입력으로 회전체에 흡착시킨 뒤 배출영역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압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폐기물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분리장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 상면에 자유단 형태로 힌지 결합한 링크부재 타측단에 결합되어 베이스로 부터 이격된 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외측에 방사상 형태의 지지부재를 복수 형성한 본체와; 상기 본체를 힌지를 중심으로 유동시키도록, 상기 몸체의 타측단에 선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후단부가 베이스의 타측 상면에 힌지 결합되어 신축되는 유동수단와; 상기 본체의 몸체 상부측에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몸체 상부에 다공판을 형성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다공판 상부에 분리공간부를 형성하도록 폐기물투입구을 상단부 일측에 구비한 덮개를 형성하며, 상기 덮개의 하단부에 상기 회전체에서 낙하된 폐기물이 배출되도록 폐기물배출구를 복수 형성한 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몸체 내부를 공간부로 형성하되, 그 공간부를 격벽으로 구획하여 분리공간부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공기흡입구와 연통된 흡입배출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분리공간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공기유입구와 연통된 유입배출영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분리장치는; 상기 구동수단을 본체의 몸체 내부에 고정하고, 상기 구동수단에 동력전달 구동풀리를 형성하면서, 상기 구동풀리에 맞물려 구동하는 링기어를 상기 회전체의 회전몸체 내부 중앙에 형성하여 링기어 구동으로 회전체의 회전몸체가 회전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분리장치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몸체 저면 내측과 외측에 마찰띠를 형성하고, 상기 마찰띠와 대향되는 지지부재의 상면에 상기 회전몸체를 지지하면서 마찰띠와 구름접촉되는 지지롤러를 복수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분리장치는; 상기 링크부재의 상단부에 선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후단부가 베이스의 상면에 힌지결합되어 신축되는 링크유동수단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분리장치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몸체 내부 공간부에 상기 다공판을 지지하도록 보강부재를 복수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분리장치는; 회전체가 회전되면서, 투입된 폐기물의 중량에 따라 회전체의 다공판에서 외측으로 떨어지면서 중량물에 서 경량물로 순차적으로 분리 배출하게 되어 건축물 폐기물을 중량물에서 경량물 순으로 간편하게 분리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건축폐기물 분리장치는; 폐기물투입구를 통하여 흡입배출영역에 위치한 타공판에 떨어진 폐기물 중 중량물은 흡착되지 않고 외측으로 떨어지고, 경량물은 공기 흡입력에 의하여 다공판에 흡착되며, 이때 회전체의 회전으로 다공판이 유입배출영역에 위치하게 되면 공기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다공판을 통하여 분리공간부로 배출되면서 흡착된 폐기물이 다공판에서 떨치어지면서, 중량물과 경량물을 간편하게 분리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분리장치는; 물을 사용하지 않고, 유동과 회전으로 폐기물을 분리하게 되면서, 물 사용으로 인한 수질오염 및 물 낭비를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분리장치는; 회전체의 회전몸체 저면 내측과 외측에 마찰띠를 형성하고, 상기 마찰띠와 대향되는 지지부재의 상면에 상기 회전몸체를 지지하면서 마찰띠와 구름접촉되는 지지롤러가 복수 형성되면서, 구동수단에서 동력전달시 링기어가 구동되면서, 회전체의 마찰저항이 감소하여 원활히 회전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분리장치는; 본체를 지지하는 유동수단와, 상기 링크부재의 상단부에 선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후단부가 베이스의 상면에 힌지결합되어 신축되는 링크유동수단에 의하여 지지력 향상과, 본체의 유동성이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분리장치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몸체 내부 공간부에 상기 다공판을 지지하도록 보강부재를 복수로 구성하게 되어, 상기 다공판이 보강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 분리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제 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 분리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 분리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 분리장치의 회전체 내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제 5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 분리장치의 유동수단 신장으로 일측으로 유동된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고, 제 6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 분리장치의 유동수단가 신축되어 타측으로 유동된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이다.
제 1도 내지 제 6도에서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분리장치(100)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에 자유단 형태로 설치되는 몸체(123)를 형성 한 본체(120)와; 상기 본체(120)를 유동시키도록 신축되는 유동수단(130)과; 상기 본체(120)의 몸체(123) 상부에 회전되는 회전몸체(141)를 형성한 회전체(140)와; 상기 회전체(140)의 상부에 분리공간부(152)를 형성하는 덮개(151)를 구비한 차단부(150)로 구성한다.
상기 베이스(110)는; 면적을 가지고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상면이 평면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20)는; 상기 베이스(110)의 일측 상면에 자유단 형태로 힌지(121) 결합한 링크부재(122) 타측단에 결합되어 베이스(110)로 부터 이격된 몸체(123)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123)의 외측에 방사상 형태의 지지부재(124)를 복수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지지부재(124)의 상면 양측으로 지지롤러(125)를 복수 구성하도록 한다.
상기 유동수단(130)은; 상기 본체(120)를 힌지(121)를 중심으로 유동시키도록, 상기 몸체(123)의 타측단에 선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후단부가 베이스(110)의 타측 상면에 힌지 결합되어 신축되도록 구성한다.
더불어, 상기 링크부재(122)를 지지하면서, 유동수단 유동시 동시에 신축되는 링크유동수단(131)을 링크부재(122) 하부에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링크유동수단(131)은 선단부가 링크부재(122)의 상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후단부가 베이스(110)의 상면에 힌지결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회전체(140)는; 상기 본체(120)의 몸체(123) 상부측에 구동수단(147)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몸체(141)를 형성하며, 상기 회전몸체(141)의 상면에는 다공판(142)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다공판(142)은 상부 중앙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회전체(140) 회전몸체(141) 내부를 공간부로 형성하되, 그 공간부를 격벽(143)으로 구획하여 분리공간부(152)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공기흡입구(144a)와 연통된 흡입배출영역(144)을 형성하고, 상기 분리공간부(152)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공기유입구(145a)와 연통된 유입배출영역(145)으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흡입구(144a) 및 공기유입구(145a)는 브로워(미도시)와 연결되어 공기를 흡입과 배출을 하도록 구성한다.
더불어, 상기 회전체(140)의 회전몸체(141) 내부 공간부에 상기 다공판(142)을 지지하도록 보강부재(146)를 복수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구동수단(147)을 본체(120)의 몸체(123) 내부에 고정하고, 상기 구동수단(147)에 동력전달 구동풀리(148)를 형성하면서, 상기 구동풀리(148)에 맞물려 구동하는 링기어(149)를 상기 회전체(140)의 회전몸체(141) 내부 중앙에 형성하여 링기어(149) 구동으로 상기 다공판(142)가 회전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회전체(140)의 회전몸체(141) 저면 내측과 외측에 상기 지지롤러(125)에 접촉되는 마찰띠(149a)를 구성하여 상기 마찰띠(149a)가 지지롤러(125) 에 접촉되면서 회전몸체(141)가 회전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부(150)는; 상기 회전체(140)의 상부에 분리공간부(152)를 형성하도록 폐기물투입구(153)을 상단부 일측에 구비한 덮개(151)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폐기물투입구(153)는 상기 회전체(140)의 흡입배출영역(144) 상부측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덮개(151)의 하단부에 상기 회전체(140)에서 낙하된 폐기물이 배출되도록 폐기물배출구(154)를 복수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건축물 폐기물 분리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분리장치(100)가 유동되도록, 상기 본체(120)의 몸체(123)를 지지하고 있는 유동수단(130) 및 링크부재(122)를 지지하고 있는 유동수단(130)가 신축 되도록 구동하며, 이렇게 유동수단(130), 링크유동수단(131)의 신축 동작으로 인하여 상기 본체(120)가 힌지(121)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유동된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유동수단(130), 링크유동수단(131)가 상기 본체(120)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유동수단(130), 링크유동수단(131)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면, 상기 유동수단(130), 링크유동수단(131)가 힌지 결합에 의하여 회동되면서 본체(120)를 상부측으로 들게 되며, 이때 본체(120)가 힌지(121)를 중심으로 상부로 회동된 상태가 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유동수단(130), 링크유동수단(131)의 길이가 줄어들게 되면, 본체(120)가 힌지(121)를 중심으로 하부로 회동되면서, 본체(120)가 상하로 유 동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147)의 구동으로 구동풀리(148)를 구동시키며, 상기 구동풀리(148) 구동으로 링기어(149)가 회전되면서, 회전체(140)의 회전몸체(141)가 회전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회전체(140)의 회전몸체(141) 저면 양측에 형성된 마찰띠(149a)가 지지부재(124)의 상면에 형성된 지지롤러(125)에 마찰되면서 회전되어 상기 회전몸체(141)가 원활히 회전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브로워(미도시)의 구동으로 분리공간부(152)의 공기가 흡입배출영역(144)으로 유입되면서 공기흡입구(144a)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분리장치(100)는 유동동작과 회전동작이 동시에 진행되거나, 유동 후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브로워(미도시)의 구동으로 공기유입구(145a)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유입배출영역(145)을 통하여 분리공간부(152)로 외부공기가 공급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분리장치(100)가 유동과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차단부(150)의 폐기물투입구(153)로 폐기물을 투입시키게 되며, 상기 폐기물이 회전체(140)의 다공판(142) 상부에 떨어지게 된다.
이때, 떨어지는 폐기물은 흡입배출영역(144)의 다공판(142)으로 떨어지게 되고, 상기 폐기물이 떨어지는 속도에 의하여 중량물은 다공판(142)에 닿으면서 외측으로 팅겨지면서 외측으로 낙하되어 폐기물배출구(15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 상 태가 된다.
그리고 투입된 폐기물중 목재와 같은 준 경량물과, 비닐, 종이와 같은 경량물의 폐기물은 공기흡입구(144a)에서 흡입하는 흡입력에 의하여 분리공간부(152)의 공기가 다공판(142)을 통하여 흡입배출영역(144)으로 흡입되면서 상기 준경량 및 경량물의 폐기물은 다공판(142)에 흡착된 상태에서 회전체(14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다공판(142)에 흡착된 폐기물 중 준 경량물은 상기 회전체(140)가 회전되는 원심력에 의하여 다공판(142)에서 떨어지면서 회전체(140)의 외측으로 낙하되어 폐기물배출구(15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140)가 회전되어 다공판(142)이 유입배출영역(145)에 위치하게 되면, 공기유입구(145a)로 유입된 공기는 유입배출영역(145)을 통하여 다공판(142)을 관통한 뒤 분리공간부(152)로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배출영역(145)으로 유입되어 다공판(142)을 통하여 분리공간부(152)로 유입된 공기는 배출되는 압력에 의하여 다공판(142)에 흡착된 경량 폐기물을 떨치게 되고, 떨치어진 폐기물은 외측으로 낙하되면서 폐기물배출구(15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폐기물이 무게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체(140)의 다공판(142)에서 떨어지게 되면서 각각의 폐기물배출구(15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폐기물의 크기 및 중량별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 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 분리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제 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 분리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 분리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 분리장치의 회전체 내부를 나타낸 평면도.
제 5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 분리장치의 유동수단 신장으로 일측으로 유동된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제 6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 분리장치의 유동수단가 신축되어 타측으로 유동된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베이스 120: 본체
121: 힌지 122: 링크부재
123: 몸체 124: 지지부재
125: 지지롤러 130: 유동수단
131: 링크유동수단 140: 회전체
141: 회전몸체 142: 다공판
143: 격벽 144: 흡입배출영역
144a: 공기흡입구 145: 유입배출영역
145a: 공기유입구 146: 보강부재
147: 구동수단 148: 구동풀리
149: 링기어 149a: 마찰띠
150: 차단부 151: 덮개
152: 분리공간부 153: 폐기물투입구
154: 폐기물배출구

Claims (5)

  1.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일측 상면에 자유단 형태로 힌지(121) 결합한 링크부재(122) 타측단에 결합되어 베이스(110)로 부터 이격된 몸체(123)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123)의 외측에 방사상 형태의 지지부재(124)를 복수 형성한 본체(120)와;
    상기 본체(120)를 힌지(121)를 중심으로 유동시키도록, 상기 몸체(123)의 타측단에 선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후단부가 베이스(110)의 타측 상면에 힌지 결합되어 신축되는 유동수단(130)와;
    상기 본체(120)의 몸체(123) 상부측에 구동수단(147)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몸체(141)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몸체(141) 상부에 다공판(142)을 형성한 회전체(140)와;
    상기 회전체(140)의 다공판(142) 상부에 분리공간부(152)를 형성하도록 폐기물투입구(153)을 상단부 일측에 구비한 덮개(151)를 형성하며, 상기 덮개(151)의 하단부에 상기 회전체(140)에서 낙하된 폐기물이 배출되도록 폐기물배출구(154)를 복수 형성한 차단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체(140)의 회전몸체(141) 내부를 공간부로 형성하되, 그 공간부를 격벽(143)으로 구획하여 분리공간부(152)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공기흡입구(144a)와 연통된 흡입배출영역(144)을 형성하고, 상기 분리공간부(152)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공기유입구(145a)와 연통된 유입배출영역(14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 로 하는 건축폐기물 분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147)을 본체(120)의 몸체(123) 내부에 고정하고, 상기 구동수단(147)에 동력전달 구동풀리(148)를 형성하면서, 상기 구동풀리(148)에 맞물려 구동하는 링기어(149)를 상기 회전체(140)의 회전몸체(141) 내부 중앙에 형성하여 링기어(149) 구동으로 회전체(140)의 회전몸체(141)가 회전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폐기물 분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140)의 회전몸체(141) 저면 내측과 외측에 마찰띠(149a)를 형성하고, 상기 마찰띠(149a)와 대향되는 지지부재(124)의 상면에 상기 회전몸체(141)를 지지하면서 마찰띠(149a)와 구름접촉되는 지지롤러(125)를 복수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 분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122)의 상단부에 선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후단부가 베이 스(110)의 상면에 힌지결합되어 신축되는 링크유동수단(131)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 분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140)의 회전몸체(141) 내부 공간부에 상기 다공판(142)을 지지하도록 보강부재(146)를 복수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 분리장치.
KR1020080024723A 2008-03-18 2008-03-18 건축폐기물 분리장치 KR101019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723A KR101019230B1 (ko) 2008-03-18 2008-03-18 건축폐기물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723A KR101019230B1 (ko) 2008-03-18 2008-03-18 건축폐기물 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9627A true KR20090099627A (ko) 2009-09-23
KR101019230B1 KR101019230B1 (ko) 2011-03-07

Family

ID=41358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4723A KR101019230B1 (ko) 2008-03-18 2008-03-18 건축폐기물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92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82920A (zh) * 2019-12-05 2020-03-17 和县德生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伏缺叶菜选种装置及方法
CN115025968A (zh) * 2022-06-07 2022-09-09 福建省辉业食品集团有限公司 一种全自动智能豆类杂质筛选机
CN116511040A (zh) * 2023-06-30 2023-08-01 泸州聚购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钛酸钡钡盐原料细粉分离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370B1 (ko) 2020-04-29 2020-12-31 새마을환경개발주식회사 파쇄기능이 포함된 로더밀 동시 회전형 선별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1502A (ja) * 1993-12-20 1995-07-11 Kubota Corp ごみ袋回収装置
JP3682755B2 (ja) 1998-03-04 2005-08-1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廃棄物選別装置
JP3999145B2 (ja) 2003-03-04 2007-10-31 株式会社東洋精米機製作所 粒体処理装置
JP2004314018A (ja) 2003-04-21 2004-11-11 Hitachi Constr Mach Co Ltd 風力選別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82920A (zh) * 2019-12-05 2020-03-17 和县德生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伏缺叶菜选种装置及方法
CN115025968A (zh) * 2022-06-07 2022-09-09 福建省辉业食品集团有限公司 一种全自动智能豆类杂质筛选机
CN116511040A (zh) * 2023-06-30 2023-08-01 泸州聚购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钛酸钡钡盐原料细粉分离装置
CN116511040B (zh) * 2023-06-30 2023-09-08 泸州聚购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钛酸钡钡盐原料细粉分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9230B1 (ko) 2011-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98463A (ko) 폐토사의 재생장치
KR20100053953A (ko) 건설 폐기물의 선별 분리장치
KR100761554B1 (ko) 파분쇄된 순환골재 선별장치
KR101136047B1 (ko) 토사와 골재에 혼재된 이물질 분리 선별장치
KR101019230B1 (ko) 건축폐기물 분리장치
KR100374162B1 (ko) 매립쓰레기 선별장치
KR102138869B1 (ko) 골재 자동 선별장치
KR100879809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중 파분쇄된 순환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220034063A (ko) 드럼형 이물질 흡착 선별장치
KR100693109B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0655908B1 (ko) 건축폐기물 처리용 디스크 스크린
KR200409534Y1 (ko) 고효율 순환식 골재 세척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100764136B1 (ko) 소각로 폐열을 이용한 고온고압 스팀분사방식의 순환골재미립분 제거장치
KR100436545B1 (ko) 건설폐기물에서의 재생골재 선별장치
KR102094862B1 (ko) 타격-진동-송풍-흡입 연속공정에 의한 건설폐토석 내 이물질 선별 장치
KR100683496B1 (ko) 건설폐기물의 습식 이물질 제거장치
KR20100115875A (ko) 건축폐기물의 유기물 제거장치
KR100525357B1 (ko)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골재 세척장치
KR101211806B1 (ko) 건설폐기물에서의 이물질 분리 배출장치
KR100400197B1 (ko) 습식 재생골재 선별장치
KR0118267Y1 (ko) 건축폐기물 선별 분리시스템(system)의 습식 선별장치
CN212651931U (zh) 一种土木工程用废料回收装置
KR100751838B1 (ko) 건축 폐기물의 분리장치
KR200431416Y1 (ko) 드럼스크린을 갖는 수조식 골재선별장치
KR101078274B1 (ko) 순환굵은골재 미립분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