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8463A - 폐토사의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폐토사의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8463A
KR20090098463A KR1020080023876A KR20080023876A KR20090098463A KR 20090098463 A KR20090098463 A KR 20090098463A KR 1020080023876 A KR1020080023876 A KR 1020080023876A KR 20080023876 A KR20080023876 A KR 20080023876A KR 20090098463 A KR20090098463 A KR 20090098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waste
double
double drum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1949B1 (ko
Inventor
최종열
Original Assignee
수성산업(주)
대웅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성산업(주), 대웅산업(주) filed Critical 수성산업(주)
Priority to KR1020080023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1949B1/ko
Publication of KR20090098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7B9/02Combinations of similar or different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물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주택이나 빌딩 등의 철거, 해체시 발생되는 건축폐기물을 처리하는 건축폐기물 처리시스템을 구성하는 부속장치로서 건축폐기물의 처리과정에서 미세한 토사와 혼합되어 있는 비교적 가벼운 물질인 스티로폼과 같은 폐기물이 혼합되어 있는 건축폐기물을 처리함에 있어서 폐수의 발생을 억제하는 건식방법으로 분리하도록 하되 비교적 간단한 장치로서 분진의 발생을 최소화하면서도 신속하게 혼합 폐기물을 분리하여 양질의 혼합골재를 재생하도록 하는 폐토사의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중드럼, 건축폐기물, 외부드럼, 내부드럼, 철망부, 철판부, 송풍기, 분사노즐

Description

폐토사의 재생장치 {APPARATUS FOR RECLAIMING OF WASTE EARTH AND SAND}
본 발명은 폐기물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주택이나 빌딩 등의 철거, 해체시 발생되는 건축폐기물을 처리하는 건축폐기물 처리시스템을 구성하는 부속장치로서 건축폐기물의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미세한 규격의 폐토와 함께 혼합되어 있는 합성수지 및 쓰레기를 용이하게 분리하도록 하여 건축폐기물에 포함된 폐토사를 재생하도록 하는 폐토사의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노후된 주택이나 건물 등과 같은 건축물을 철거, 해체할 경우 골재나 철재, 유리, 합성수지, 흙, 목재 등 다양한 물질이 섞여서 배출되는데 이러한 폐건축물의 처리에는 많은 비용과 노력이 요구되며, 환경오염 등의 문제로 마땅한 처리장소를 찾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이와 같이 다량으로 발생되는 건축폐기물의 효율적인 처리가 미미한 상태이므로 종래에는 대부분 분리되지 않은 혼합상태 그대로 매립하여 처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나 이로 인하여 자원의 낭비는 몰론 각종 환경오염을 유발하여 새로운 문제를 야기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즉, 합성수지제품의 폐기물과 같은 자연적으로 분해되지 않는 물질이나 기타 분해되는 유기물이 혼합된 상태의 폐토를 그대로 매립할 경우 매립지의 토질을 오염시키고, 지반의 침하현상이 발생됨으로 매립토지 위에 건설된 도로 및 건축물이 붕괴 등의 위험성이 있으며, 특히 지하수의 오염을 가져오게 됨으로써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근래에 들어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의 차원에서 건축폐기물의 중간처리장치나 그 방법들에 대하여 많은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도 6는 건축폐기물을 중간 처리하여 골재와 금속 등 재활용 가능하도록 연속적으로 분리처리하도록 하는 건축폐기물 처리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다양한 재질과 규격의 폐기물이 혼합되어 공급 투입되는 호퍼(1)와; 상기 호퍼(1)로 부터 폐기물을 소정량씩 이송하는 피더(2)와; 폐기물을 규격별로 선별하도록 하는 스크린(3)과; 비교적 큰 규격의 폐기물을 적정의 크기로 파쇄하도록 하는 조크라샤(4); 철성분의 폐기물을 수집하는 마그네틱세파레이터(5)등을 포함하는 다단계의 다양한 장치들이 조합된 것이다.
이와 같은 건축폐기물의 처리시스템에 의한 건축폐기물의 처리과정에서 최초 스크린(3)을 통과하여 발생되는 미세한 규격의 폐토는 대부분 매립에 의하여 처리하였다.
그런데 건축폐기물의 폐토에는 단열재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합성수지(스티로폼 등)나 기타 다양한 종류의 물질이 혼합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유기물질 이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매립 등을 할 경우 새로운 환경오염 및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즉, 합성수지제품의 폐기물과 같은 자연적으로 분해되지 않는 물질이나 기타 분해되는 유기물이 혼합된 상태의 폐토를 그대로 매립할 경우 매립지의 토질을 나쁘게 오염시키고, 지반의 침하현상이 발생됨으로 매립토지 위에 세워진 건축물이 붕괴 등의 위험성이 있으며, 특히 땅 속 지하수의 오염을 가져오게 됨으로써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장치에서 스크린을 통과한 소규격의 혼합건축폐기물을 분리하여 처리하는 장치를 제안하여 특허등록 제10-0751838호(제목: 건축폐기물 분리장치)를 등록하였다.
상기 선등록 제10-0751838호(제목: 건축폐기물 분리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물이 담겨져 있고 물의 부력을 이용하여 비중에 따라 건축폐기물을 분리하도록 하는 드럼(10)과 상기 드럼(10) 내부에 설치되어 폐기물을 분리하도록 하는 분리수단과; 혼합건축 폐기물(75)을 연속 공급 투입하는 투입수단과; 각각 분리된 폐기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배출수단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드럼(10)은 눕힘상태로 설치되어 구동모터(150)에 의해 회동하며, 각각 내부로 통하도록 개방된 전방홀(52)과 후방홀(54)을 통하여 건축폐기물이 투입 및 배출되도록 하고, 내부에는 일정수위의 물(14)이 담겨진 상태로 회동하며,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드럼(10)의 내부에 담겨져 일정수위를 갖는 물(14)과; 상기 드럼(10)의 후방측에서 수면 위로 분출하여 비중이 작은 부유폐기물(70)을 전방측으로 이동되도록 유체를 공급 분출하는 유체분출관(11)과; 상기 드럼(10)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드럼(10)의 회전에 따라서 침전폐기물(80)을 후방측으로 이동되도록 일정한 각도로 형성된 나선형피더(12)를 포함한다.
상기 투입수단은 연속 회동하면서 적정량씩의 혼합건축폐기물(75)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투입벨트(21)와; 상기 투입벨트(21)의 하부에 위치하며, 일정 기울기를 가지고 상기 드럼(10) 내측 중앙부에 이어지는 슈트(22)와; 상기 슈트(22)의 상단부에서 연속적으로 물을 공급하여 상기 슈트(22)상부에 있는 혼합건축폐기물(75)을 드럼(10)의 내부로 이송하도록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노즐(23)을 포함하며, 상기 침전폐기물(80)을 배출하는 배출수단은 침전폐기물(80)을 드럼(10)의 회전에 따라 각각 수면위로 상승시켜 분리하도록 드럼(10)의 후방측 내주연에 다단으로 형성된 엘리베이터버킷(31)과; 상기 엘리베이터버킷(31)으로 부터 낙하하는 침전폐기물(80)을 모아주는 침전물호퍼(32)와; 상기 침전물호퍼(32)로 부터 공급된 침전폐기물(80)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고 배출이송벨트(37)로 전달하도록 하는 탈수스크린(33)을 포함한다.
상기 배출수단의 탈수스크린(33)의 상부에는 침전폐기물(80)에 함유된 수분을 탈수시킴과 동시에 일측으로 서서히 이송시켜 배출되도록 경사각도로 비스듬하게 진동을 주기 위해 비스듬히 경사각도로 바이브레이터(34)가 설치되고 프레임(60)상에는 상기 탈수스크린(33)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탈수스크린(33)이 원활히 진동하도록 하는 완충스프링(35)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탈수스크린(33)의 하부에는 상기 탈수스크린(33)에 의해 탈수된 물을 모아 드럼(10)의 내부로 흘러들 도록 비스듬히 경사지게 설치된 집수판(3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부유폐기물(70)을 배출하는 배출수단은 부유폐기물(70)을 드럼(10)의 회전에 따라 각각 수면위로 상승시켜 분리하도록 드럼(10)의 전방측 내주연에 다단으로 형성된 철망패널(41)과; 상기 철망패널(41)로 부터 낙하하는 부유폐기물(70)을 모아주는 부유물회수호퍼(42)와; 상기 부유물회수호퍼(42)로 부터 공급된 부유폐기물(70)을 드럼(10)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벨트(43)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선등록기술은 도시된 바와 같이 눕힘상태로 설치되어 회동하는 드럼(10)의 전방홀(52)을 통하여 투입수단에 의하여 상기 드럼(10)의 내부에 적정량의 혼합건축폐기물(75)을 연속적으로 투입하는 것으로 상기 투입수단의 투입벨트(21)는 연속 회동하면서 적정량 씩의 혼합건축폐기물(75)을 연속적으로 슈트(22)에 공급하며, 상기 슈트(22)는 상기 투입벨트(21)의 하부에 일정 기울기를 가지고 상기 드럼(10) 내측 중앙부에 이어지는 것으로 상기 슈트(22)의 상단부에 설치된 물공급노즐(23)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물을 공급하여 줌으로서 상기 슈트(22) 상부에 있는 혼합건축폐기물(75)이 드럼(10)의 내부로 물과 함께 흘러 투입되도록 한다.
상기 드럼(10)의 내부에는 항상 일정량의 물(14)이 담겨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드럼(10) 내부에 담겨진 물(14)을 이용하여 비중에 따라 혼합건축폐기물(75)을 분리되도록 하는 것으로, 비중이 물보다 큰 침전폐기물(80)은 물 속에 가라앉게 되며, 비중이 물보다 작은 부유폐기물(70)은 수면에 부유된 상태에서 유체분출관(11)으로 부터 분출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하여 드럼(10)의 전방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아울러 침전폐기물(80)은 일정속도로 회전하는 드럼(10)의 바닥에 가라앉은 상태에서 바닥부에 형성된 나선형피더(12)에 의하여 서서히 드럼의 후방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드럼(10)의 내부에서 각각 분리된 부유폐기물(70)과 침전폐기물(80)은 각각 분류된 상태로 배출수단에 의해 드럼(10)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드럼(1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드럼(10)의 내부에 다단으로 설치된 엘리베이터버킷(31)은 드럼(10)의 바닥부에 형성된 나선형피더(12)에 의하여 서서히 드럼의 후방측으로 이동된 침전폐기물(80)을 드럼(10)의 회전에 따라 각각 수면위로 상승시켜 분리하도록 하며, 상기 엘리베이터버킷(31)에 의해 상승된 침전폐기물(80)은 상기 엘리베이터버킷(31)으로 부터 낙하하여 침전물호퍼(32)에 모아지게 되고, 상기 침전물호퍼(32)로 부터 공급된 침전폐기물(80)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고 배출이송벨트(37)로 전달하도록 하는 탈수스크린(33)으로 공급된다.
상기 탈수스크린(33)의 상부에 비스듬히 설치된 바이브레이터(34)의 진동에 따라 침전폐기물(80)에 함유되어 있던 수분은 탈수스크린(33)의 하측으로 낙하하여 탈수되도록 하며, 아울러 상기 탈수스크린(33)이 비스듬하게 경사각도로 진동하고 있으므로 그 위에 놓인 침전폐기물(80)은 일 측 방향으로 서서히 이송시켜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부유폐기물(70)은 철망패널(41)에 의해 드럼(10)의 회전에 따라 각각 수면위로 상승시켜 분리하도록 하며, 상기 철망패널(41)로 부터 낙하하는 부유폐기물(70)은 하측의 부유물회수호퍼(42)에 모아져 배출벨트(43)로 전달되어 드럼(10)의 외부로 배출되어 배출이송벨트(37)를 통하여 이송되며, 연속으로 공급되는 물은 드럼(10)의 앞막이판(51)을 넘쳐 흘러 퇴수구(45)로 흘러들게 되며, 아울러 미세하게 작은 부유폐기물(70)은 배출망(44)에 의해 물과 분리된 상태에서 드럼(10)의 회전에 따라 서서히 앞으로 이동하여 수거함(46)에 담기게 된다.
그런데 상기 선행 기술은 분리수단으로서 물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부대 설비를 장치에 부가함으로써 설비가 매우 복잡하여 시설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소규모의 처리시설에는 적용하기가 매우 어려우므로 설치를 기피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분리처리 후에 발생하는 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시설이 요구되어 장치가 매우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습식 처리방식의 문제점이 장치의 복잡성과 처리 후 폐수를 재처리하여야 하는 시설 및 공정을 줄이기 위하여 건식으로 압축공기를 송풍하여 비교적 가벼운 스티로폼과 같은 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는 장치를 활용하고자 하였으나 매우 심한 분진의 발생으로 분진발생을 처리하기 위한 집진기에 과다한 부하가 작용하게 되므로 적용하는데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미세한 토사와 혼합되어 있는 비교적 가벼운 물질인 스티로폼과 같은 폐기물이 혼합되어 있는 건축폐기물을 처리함에 있어서 폐수의 발생을 억제하는 건식방법으로 분리하도록 하되 비교적 간단한 장치로서 분진의 발생을 최소화하면서도 신속하게 혼합 폐기물을 분리하여 양질의 혼합골재를 재생하도록 하는 폐토사의 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수평방향으로 눕혀져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일정한 속도로 회동하면서 내부에 투입되는 토사석과 혼합된 폐기물을 크기별 종류별로 구분하여 선별하도록 내부드럼과 외부드럼으로 이루어진 이중드럼과; 상기 이중드럼의 내측에 설치되어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비교적 가벼운 물체를 분리하도록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송풍수단과; 상기 이중드럼의 일 측에 설치되어 폐기물을 연속적으로 투입하도록 하는 투입벨트컨베이어와 투입슈트를 포함하는 투입부와; 상기 이중드럼의 타 측에 설치되어 분리된 쓰레기와 재생골재를 각각 구분하여 배출하도록 재생골재배출슈트와 쓰레기배출슈트로 구분된 배출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중드럼은 상측 일정구간에 동일규격 메쉬의 철망부를 구비하고 하측에는 밀폐된 철판부로 이루어진 내부드럼과; 상기 내부드럼의 외 측부를 둘러싸며 동시에 회동하는 외부드럼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중드럼은 내부드럼의 길이가 외부드럼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은 상기 내부드럼의 하측부분인 밀폐된 철판부에서 하측방향으로 분출되도록 설치된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도록 길게 연장된 덕트배관과; 상기 덕트배관으로 송풍하기 위한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를 구동시키는 송풍기모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중드럼의 내부드럼 철망부는 12각 내지 16각으로 구성되며, 상기 이중드럼은 투입부의 높이가 배출부의 높이보다 높게 설치되어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중드럼은 프레임 상에 고정설치된 다수의 좌우지지롤러에 의해 지지되고 스프로켓기어에 결합된 체인을 구동하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동하며, 상기 이중드럼의 상단부 외주연에는 미끄럼방지플랜지가 설치되며, 상기 미끄럼방지플랜지를 지지하여 하측으로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한 미끄럼방지롤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중드럼의 하측부에 설치된 재생골재배출슈트는 외부드럼의 끝단부로 부터 배출되는 미세규격 폐토와 내부드럼의 끝단부로 부터 배출되며 쓰레기가 제거된 사석을 동시에 받혀져 혼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장치로서 설치가 용이하고 미세한 토사를 미리 걸러낸 다음 송풍장치에 의해 비교적 가벼운 쓰레기류를 분리하도록 함으로써 분진의 확산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분류된 미세토사와 쓰레기가 제거된 사석을 다시 혼합하여 양질의 재생혼합골재를 얻을 수 있다.
즉, 건축폐기물 처리공정에서 본 발명의 적용시 폐토사가 질적으로 개선됨으로써 종래에 매립 등의 사용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었던 혼합체 토사에서 합성수지와 유기물을 제거하여 보다 우수한 양질의 골재로서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기술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구성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200)상에 고정설치된 다수의 좌우지지롤러(161)에 의해 지지되면서 회동하는 이중드럼(100)과 상기 이중드럼(100)의 내부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송풍수단과 폐기물을 연속으로 상기 이중드럼(100)내에 공급하는 투입부 및 상기 이중드럼(100)내에서 분리된 미세토와 사석 및 쓰레기를 배출하는 배출부로 구성된다.
상기 이중드럼(100)은 프레임(200) 상에 고정설치된 다수의 좌우지지롤 러(161)에 의해 지지되고, 스프로켓기어(162)에 결합된 체인(163)을 구동하는 구동모터(164)에 의해 회동하며, 상기 이중드럼(100)의 상단부 외주연에는 미끄럼방지플랜지(111)가 설치되며, 상기 미끄럼방지플랜지(111)를 지지하여 하측으로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한 미끄럼방지롤러(170)가 프레임(200)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중드럼(100)은 수평방향으로 눕혀져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일정한 속도로 회동하면서 내부에 투입되는 폐기물을 크기별 종류별로 구분하여 선별하도록 내부드럼(120)과 외부드럼(11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이중드럼(100)의 내부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측의 일정구간에는 동일규격 메쉬의 철망부(121)로 이루어지며, 하측에는 밀폐된 철판부(122)로 이루어진 내부드럼(12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내부드럼(120)의 외측부에는 상기 내부드럼(120)을 둘러싸며 동시에 회동하는 외부드럼(11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이중드럼(100)의 특징은 내부드럼(120)의 길이가 외부드럼(110)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중드럼(100)의 내부드럼(120) 철망부(121)는 12 ~ 16각으로 구성된 것으로 전체구간의 3분의 2정도 설치되며, 상기 이중드럼(100)은 투입부의 높이가 배출부의 높이보다 높게 설치됨으로써 일정한 기울기로 비스듬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송풍수단은 상기 이중드럼(100)의 내측에 설치되어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비교적 가벼운 물체를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송풍수단은 압축공기를 분사하도록 상기 내부드럼(120)의 하측부분인 밀폐된 철판부(122)에서 하측방향으로 분출되도록 설치된 분사노즐(134)과; 상기 분사노즐(134)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도록 길게 연장된 덕트배관(133)과; 상기 덕트배관(133)으로 송풍하기 위한 송풍기(132)와; 상기 송풍기(132)를 구동시키는 송풍기모터(131)를 포함한다.
상기 투입부는 상기 이중드럼(100)의 일 측에 설치되어 폐기물을 연속적으로 투입하도록 하는 투입벨트컨베이어(141)와 투입슈트(142)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이중드럼(100)의 타 측에 설치되어 분리된 쓰레기와 재생골재를 각각 구분하여 배출하도록 재생골재배출슈트(151)와 재생골재배출벨트컨베이어(152)와 쓰레기배출슈트(153)로 구분된다.
상기 이중드럼(100)의 하측부에 설치된 재생골재배출슈트(151)는 외부드럼(110)의 끝단부로 부터 배출되는 미세규격 폐토와 내부드럼(120)의 끝단부로 부터 배출되며, 쓰레기가 제거된 사석을 동시에 받혀져 혼합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재생골재배출컨베이어(152)에 분리된 쓰레기가 섞이지 않도록 후측면에는 쓰레기칸막기(154)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살펴본다.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동모터(164)에 의한 동력이 체인(163)을 통하여 이중드럼(100)의 외주면에 고정설치된 스프로켓기어(162)에 전달되어 서서히 회동한다.
상기 이중드럼(100)은 일측으로 약간 비스듬히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며, 좌우지지롤러(161)에 의해 지지되어 회동하고 있으나 상측 선단부에 설치된 미끄럼 방지플랜지(111)와 이를 지지하는 미끄럼방지롤러(170)에 의해 미끄러지지 않고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상기 회동하는 이중드럼(100)에는 투입벨트컨베이어(141)를 통하여 건축폐기물의 처리시스템에 의한 건축폐기물의 처리과정에서 최초 스크린을 통과하여 발생되는 비교적 작은 규격의 폐기물이 연속적으로 내부드럼(120)으로 투입된다.
투입된 폐기물은 내부드럼(120)의 상측부에 설치되어 있는 철망부(121)에 의해 미세한 폐토가 철망을 통과하여 외부드럼(110)의 내주면으로 모아지게 된다.
상기 이중드럼(100)의 내부드럼(120) 철망부(121)는 12각 내지 16각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중드럼(100)이 회동함에 따라 내부에 있는 폐기물이 함께 회동하면서 부분적으로 충격을 주게 되므로 철망부(121)를 통하여 미세토사가 보다 잘 투과되어 분류되는 기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철망부(121)는 12각 내지 16각으로 틀을 형성하고 이에 철망을 씌워 각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내부드럼(120)과 외부드럼(110)은 일측으로 경사를 이루면서 설치되어 있으므로 동시에 회동함에 따라 내주면에 있는 폐기물과 폐토가 서서히 배출구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미세한 폐토는 외부드럼(110)의 내주면에 모아져 서서히 배출구측으로 이동하며, 내부드럼(120)의 철망부(121)에 의해 걸러진 나머지 규격이 큰 폐기물은 점점 철판부(122)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철판부(122)로 이동된 폐기물에는 송풍수단에 의한 고압의 압축공기에 의하여 비교적 가벼운 물체가 바람에 날려 쓰레기배출슈트(153)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송풍수단의 송풍기(132)에 의한 공기의 세기는 배출방향으로 토출량 약 2000㎥/min 정도로 불어줌으로써 비중에 따라 암석과 합성수지 쓰레기는 각각 낙하점이 다르므로 서로 분리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분리된 쓰레기는 쓰레기칸막이(154)에 의해 다시 섞이지 않고 각각 배출되도록 하였다.
상기 송풍수단에 의해 날리지 않는 비교적 무거운 물체는 내부드럼(120)의 회전에 의해 철판부(122)의 내주면을 따라 서서히 이동하여 내부드럼(120)의 끝단으로 이동하여 재생골재배출슈트(151)에 담겨지며, 상기 외부드럼(110)의 내주면에 모아져 서서히 이동된 미세폐토와 섞이게 된다.
따라서 건축폐기물 가운데 비교적 가벼운 쓰레기만이 별도로 선별되어 쓰레기배출슈트(153)을 통하여 배출되게 되며, 분류된 미세토사와 쓰레기가 제거된 사석은 다시 혼합하여 양질의 재생혼합골재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재생혼합골재는 재생골재배출벨트컨베이어(152)를 통하여 배출되어 복토지나 기타 필요한 곳에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폐기물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재건축이 많이 추진됨에 따 라 급증하고 있는 건축폐기물을 처리함에 있어서 비중이 작은 유기물질의 쓰레기를 암석으로 부터 분리하여 선별하도록 함으로써 건축폐기물 처리공정에서 발생되는 폐토사를 재생하여 양질의 재생혼합골재로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큰 기술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구성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폐기물 처리시스템의 실시예 전체 구성도.
도 7은 종래의 수처리방식에 의한 폐기물분리장치의 작동상태 단면도.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이중드럼 110: 외부드럼
111: 미끄럼방지플랜지 120: 내부드럼
121: 철망부 122: 철판부
131: 송풍기모터 132: 송풍기
133: 덕트배관 134: 분사노즐
141: 투입벨트컨베이어 142: 투입슈트
151: 재생골재배출슈트 152: 재생골재배출벨트컨베이어
153: 쓰레기배출슈트 154: 쓰레기칸막이
161: 좌우지지롤러 162: 스프로켓기어
163: 체인 164: 구동모터
170: 미끄럼방지롤러 200: 프레임

Claims (7)

  1. 수평방향으로 눕혀져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일정한 속도로 회동하면서 내부에 투입되는 토사석과 혼합된 폐기물을 크기별 종류별로 구분하여 선별하도록 내부드럼(120)과 외부드럼(120)으로 이루어진 이중드럼(100)과;
    상기 이중드럼(100)의 내측에 설치되어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비교적 가벼운 물체를 분리하도록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134)을 포함하는 송풍수단과;
    상기 이중드럼(100)의 일 측에 설치되어 폐기물을 연속적으로 투입하도록 하는 투입벨트컨베이어(141)와 투입슈트(142)를 포함하는 투입부와;
    상기 이중드럼(100)의 타 측에 설치되어 분리된 쓰레기와 재생골재를 각각 구분하여 배출하도록 재생골재배출슈트(151)와 쓰레기배출슈트(153)로 구분된 배출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폐토사의 재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드럼(100)은
    상측 일정구간에 동일규격 메쉬의 철망부(121)를 구비하고 하측에는 밀폐된 철판부(122)로 이루어진 내부드럼(120)과;
    상기 내부드럼(120)의 외측부를 둘러싸며 동시에 회동하는 외부드럼(110)으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토사의 재생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드럼(100)은
    내부드럼(120)의 길이가 외부드럼(110)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토사의 재생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은
    상기 내부드럼(120)의 하측부분인 밀폐된 철판부(122)에서 하측방향으로 분출되도록 설치된 분사노즐(134)과;
    상기 분사노즐(134)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도록 길게 연장된 덕트배관(133)과;
    상기 덕트배관(133)으로 송풍하기 위한 송풍기(132)와;
    상기 송풍기(132)를 구동시키는 송풍기모터(131)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토사의 재생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드럼(100)의 내부드럼(120) 철망부(121)는 12각 내지 16각으로 구성되며, 상기 이중드럼(100)은 투입부의 높이가 배출부의 높이보다 높게 설치되어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토사의 재생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드럼(100)은
    프레임(200) 상에 고정설치된 다수의 좌우지지롤러(161)에 의해 지지되고 스프로켓기어(162)에 결합된 체인(163)을 구동하는 구동모터(164)에 의해 회동하며, 상기 이중드럼(100)의 상단부 외주연에는 미끄럼방지플랜지(111)가 설치되며, 상기 미끄럼방지플랜지(111)를 지지하여 하측으로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한 미끄럼방지롤러(17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토사의 재생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드럼(100)의 하측부에 설치된 재생골재배출슈트(151)는
    외부드럼(110)의 끝단부로 부터 배출되는 미세규격 폐토와 내부드럼(120)의 끝단부로 부터 배출되며 쓰레기가 제거된 사석을 동시에 받혀지도록 혼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토사의 재생장치.
KR1020080023876A 2008-03-14 2008-03-14 폐토사의 재생장치 KR100981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876A KR100981949B1 (ko) 2008-03-14 2008-03-14 폐토사의 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876A KR100981949B1 (ko) 2008-03-14 2008-03-14 폐토사의 재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463A true KR20090098463A (ko) 2009-09-17
KR100981949B1 KR100981949B1 (ko) 2010-09-13

Family

ID=41357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876A KR100981949B1 (ko) 2008-03-14 2008-03-14 폐토사의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1949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863B1 (ko) * 2010-06-24 2010-10-01 주식회사 무진하이테크 여과재 세척 및 선별장치와 이를 이용한 여과재 재생 공법
CN103639118A (zh) * 2013-11-18 2014-03-19 无锡莱吉特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简易谷物去杂装置
CN104084370A (zh) * 2014-06-05 2014-10-08 浙江中科兴环能设备有限公司 生活垃圾滚筒筛分机
CN104941938A (zh) * 2015-05-14 2015-09-30 浙江羿阳太阳能科技有限公司 一种废旧硅片清洗分选回收装置
CN105728314A (zh) * 2016-02-28 2016-07-06 吕文良 一种去除菠菜中虫子杂物的装置及方法
CN108554781A (zh) * 2018-03-22 2018-09-21 新乡市振英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型建筑垃圾筛分装置
CN109877039A (zh) * 2019-04-28 2019-06-14 苏州嘉诺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滚筒筛
CN110860469A (zh) * 2019-10-09 2020-03-06 中铁十二局集团安徽混凝土制品有限公司 一种机制砂制造用筛选装置
CN111185360A (zh) * 2020-01-08 2020-05-22 山东绿水新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双滚筒过滤建筑过滤机器
CN112387576A (zh) * 2020-12-04 2021-02-23 邢朝伍 一种建筑工程用筛沙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348B1 (ko) 2020-12-17 2021-08-24 동부이엔티 주식회사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 중 분진저감과 이물질 제거 및 악취를 저감하는 재생토사 처리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287B1 (ko) * 2000-11-09 2003-05-09 최홍철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30013889A (ko) * 2001-08-10 2003-02-15 금강산랜드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자동 선별기
KR200259957Y1 (ko) * 2001-10-12 2002-01-09 박신배 합성수지 원료의 선별장치
KR100643654B1 (ko) 2005-10-20 2006-11-10 태성개발(주) 건식 이중 회전드럼식 골재재생기를 이용한 순환골재의생산방법 및 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863B1 (ko) * 2010-06-24 2010-10-01 주식회사 무진하이테크 여과재 세척 및 선별장치와 이를 이용한 여과재 재생 공법
CN103639118A (zh) * 2013-11-18 2014-03-19 无锡莱吉特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简易谷物去杂装置
CN104084370A (zh) * 2014-06-05 2014-10-08 浙江中科兴环能设备有限公司 生活垃圾滚筒筛分机
CN104941938A (zh) * 2015-05-14 2015-09-30 浙江羿阳太阳能科技有限公司 一种废旧硅片清洗分选回收装置
CN105728314A (zh) * 2016-02-28 2016-07-06 吕文良 一种去除菠菜中虫子杂物的装置及方法
CN108554781A (zh) * 2018-03-22 2018-09-21 新乡市振英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型建筑垃圾筛分装置
CN109877039A (zh) * 2019-04-28 2019-06-14 苏州嘉诺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滚筒筛
CN110860469A (zh) * 2019-10-09 2020-03-06 中铁十二局集团安徽混凝土制品有限公司 一种机制砂制造用筛选装置
CN111185360A (zh) * 2020-01-08 2020-05-22 山东绿水新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双滚筒过滤建筑过滤机器
CN112387576A (zh) * 2020-12-04 2021-02-23 邢朝伍 一种建筑工程用筛沙装置
CN112387576B (zh) * 2020-12-04 2022-07-29 喀什市新隆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建筑工程用筛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1949B1 (ko) 2010-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1949B1 (ko) 폐토사의 재생장치
KR101068582B1 (ko) 건설 폐기물의 선별 분리장치
KR100850762B1 (ko) 진동스크린의 변형구조를 이용한 이물질 분리방법 및 그장치
KR100588836B1 (ko) 건설 폐기물의 선별 및 분리장치
KR100756420B1 (ko) 건설폐기물에서 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688123B1 (ko) 건설폐기물의 선별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66128A (ko) 건설폐기물 처리와 재활용을 위한 중간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1136047B1 (ko) 토사와 골재에 혼재된 이물질 분리 선별장치
KR100533738B1 (ko) 건설폐기물 습식 이물질 분류 장치
JP3052126U (ja) 建設廃棄物処理装置
KR100879809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중 파분쇄된 순환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0765852B1 (ko)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KR20140105041A (ko) 폐기물의 파쇄 및 선별장치와 그 방법
KR100510328B1 (ko) 이물질 분리제거장치가 구비된 건설폐기물 파분쇄장치
KR100453932B1 (ko) 건설폐기물의 수조식 골재선별 처리장치
KR100850489B1 (ko) 골재 생산을 위한 콘크리트 건설 폐기물의 재생처리장치
KR100436545B1 (ko) 건설폐기물에서의 재생골재 선별장치
KR100751838B1 (ko) 건축 폐기물의 분리장치
KR200409534Y1 (ko) 고효율 순환식 골재 세척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20070052104A (ko) 고효율 순환식 골재 세척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100850372B1 (ko) 재생 골재용 분리 세척 수조장치
KR100494579B1 (ko) 폐기물선별장치
KR0118267Y1 (ko) 건축폐기물 선별 분리시스템(system)의 습식 선별장치
KR20050084718A (ko) 건설폐기물 토사의 이물질 선별장치
KR200351067Y1 (ko) 건설폐기물 토사의 이물질 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