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4863B1 - 여과재 세척 및 선별장치와 이를 이용한 여과재 재생 공법 - Google Patents

여과재 세척 및 선별장치와 이를 이용한 여과재 재생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4863B1
KR100984863B1 KR1020100060171A KR20100060171A KR100984863B1 KR 100984863 B1 KR100984863 B1 KR 100984863B1 KR 1020100060171 A KR1020100060171 A KR 1020100060171A KR 20100060171 A KR20100060171 A KR 20100060171A KR 100984863 B1 KR100984863 B1 KR 100984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 medium
washing
water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회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무진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무진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무진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00060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48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4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4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1/0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outside the filter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41/02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outside the filter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of loose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50Cleaning
    • B07B1/55Cleaning with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과재 세척 및 선별장치와 이를 이용한 여과재 재생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여과지에 설치된 여과재를 재생하기 위해서 흡입된 여과재를 물로 세척하여 크기별로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는 여과재 세척 및 선별장치 와 이를 이용한 여과재 재생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흡입관을 통해 여과지 내의 여과재를 흡입하여 토출하는 펌프와,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여과재를 물로 세척하는 세척유니트와, 세척유니트로부터 배출되는 여과재를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유니트를 구비하고,선별유니트는 베이스프레임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세척유니트를 거쳐 유입되는 여과재를 크기별로 걸러낼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크기의 여과눈이 형성된 다수의 스크린조가 순차적으로 마련된 회전드럼과, 회전드럼의 일측에 형성된 드럼축과, 상기 드럼축과 연결되어 상기 드럼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회전드럼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연속되도록 내측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회전드럼으로 유입되는 여과재가 스크린조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여과재가 유입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가이드날개를 더 구비한다.

Description

여과재 세척 및 선별장치와 이를 이용한 여과재 재생 공법{Washing and sorting device for filter, recycl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여과재 세척 및 선별장치와 이를 이용한 여과재 재생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여과지에 설치된 여과재를 재생하기 위해서 흡입된 여과재를 물로 세척하여 크기별로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는 여과재 세척 및 선별장치 와 이를 이용한 여과재 재생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장 또는 하수처리장의 여과지(濾過池) 내에는 4-5단계의 유효경을 갖는 여과재층이 구성되어 있으며, 이 여과재층이 분리되거나 또는 여과재 중 여과재가 깨끗하지 않으면 점성의 잔여 플럭(FLOC)이 엉키게 되어 머드볼(MUDBALL)이 발생하게 된다.
머드볼은 자체중량으로 역 세척시에 점차 밑으로 가라앉게 되고 이 머드볼에 의해 막힌 부분은 여과되지 않는다. 그리고 머드볼이 발생하게 되면 수질이 나빠지고 여과수명이 단축되어 여과재가 심하게 오염되며, 그 결과 여과재에 균열이 생기거나 여과재가 여과지 벽으로부터 분리되어 여과가 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여과지의 각 여과재(자갈, 모래)를 세척하고 유효경의 입자크기를 가지는 여재를 선별하여 유효경 별로 재 포설하여야 한다.
또한 여과재의 미분을 제거하여 입도 개선 여재 유효경이 설치기준에 미달 할 경우 규조류 발생시 여과 지속시간이 급격히 단축된다. 여기서, 여과지의 여과효율과 여과재생수명을 늘리기 위해서 보다 우수한 여재입도의 배열이 요구된다.
이러한 여과재 세척 및 유효경 별로 재포설하기 위한 종래의 여과재 선별장치는 별도로 이격된 여과지로부터 공급되는 물과 혼합된 여과재를 입자별로 분리시키기위한 드럼스크린과, 이 입자별로 분리되어 드럼스크린에서 낙하되는 여과재를 선별보관하기 위한 받침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드럼스크린은 물과 혼합된 여과재가 이 드럼스크린 내로 공급되는 동시에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흘러 내려갈 수 있도록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고 외부 동력부에 의해 축회전되는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다.
종래 기술로서 등록 특허 제 10-0500567호에 드럼스크린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드럼스크린은 원통형의 체망으로 형성되고, 체망은 상방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모눈 크기가 순차적으로 커지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기술은 여과지 내의 물과 혼합된 여과재를 펌핑시켜 회전하고 있는 드럼스크린 내로 공급하게 되면, 이 여과재는 중력 및 경사도에 따른 중력에 의해 드럼스크린의 하방으로 흘러 내려가는 동시에 상기 체망의 모눈을 통해 해당 크기의 여과재가 하방의 받침대로 낙하하게 된다.
그러나 드럼스크린을 통해 여과재가 선별되는 과정에서 입자가 가는 모래 등은 드럼스크린 내에서 이물질과 엉켜 드럼스크린 내측면에 부착되므로 여과재를 걸러 내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여과재는 물과 혼합되어 드럼스크린 내로 투입되고 나서 별도의 세척과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여과재의 세척이 거의 되지 않는 동시에 드럼스크린의 체망으로 빠져나오는 속도 역시 느려 전반적으로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여과재를 크기별로분리하는 회전드럼 내부에 물을 분사하는 가이드날개를 설치하여 여과재가 회전드럼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여과재를 크기별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여과재 세척 및 선별장치와 이를 이용한 여과재 재생 공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과재를 회전드럼에 투입하기 전에 별도의 세척과정을 거치게 하여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여과재 세척 및 선별장치와 이를 이용한 여과재 재생 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여과재 세척 및 선별장치는 흡입관을 통해 여과지 내의 여과재를 흡입하여 토출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여과재를 물로 세척하는 세척유니트와; 상기 세척유니트로부터 배출되는 여과재를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선별유니트는 베이스프레임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세척유니트를 거쳐 유입되는 여과재를 크기별로 걸러낼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크기의 여과눈이 형성된 다수의 스크린조가 순차적으로 마련된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의 일측에 형성된 드럼축과, 상기 드럼축과 연결되어 상기 드럼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회전드럼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연속되도록 내측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드럼으로 유입되는 여과재가 상기 스크린조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여과재가 유입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가이드날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럼축은 유체공급수단과 연결되며 내부에는 상기 유체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흐를 수 있는 제 1수로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날개는 상기 드럼축과 연결되어 내부에는 상기 제 1수로와 연통되는 제 2수로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상기 제 2수로로 유입된 물이 상기 회전드럼 내부로 분사되는 다수의 분사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유체공급수단은 상기 드럼축에 설치되어 내부에서 회전하는 상기 드럼축의 제 1수로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로터리조인트와, 상기 로터리조인트와 연결되어 물탱크로 연장되는 물공급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척유니트는 원통형의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 내부로 유입되는 여과재를 선회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조의 측면에 접선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펌프의 토출관과 연결된 유입관과, 상기 세척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재가 배출되는 배출관과, 상기 세척조로 유입된 여과재와 충돌하여 상기 여과재에 부착된 이물질을 털어내기 위해 상기 세척조의 내측면에서 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 다수의 마찰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여과재 재생방법은 펌프의 흡입관을 여과지 내에 설치하는 준비단계와; 상기 펌프를 가동시켜 상기 여과지 내의 여과재를 흡입하여 세척유니트로 배출하여 세척하는 세척단계와; 상기 세척유니트로부터 배출된 여과재를 서로 다른 크기의 여과눈이 형성된 다수의 스크린조가 순차적으로 마련된 회전드럼 내부로 유입시킨 후 상기 회전드럼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연속되도록 내측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가이드날개를 통해 상기 여과재가 유입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여과재가 상기 스크린조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여과재를 크기별로 걸러내는 선별단계와; 상기 회전드럼에서 크기별로 분리된 여과재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상기 여과재를 크기별로 구획하여 상기 여과지에 적재하는 적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별단계는 상기 회전드럼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날개와 연결된 드럼축의 내부에 형성된 제 1수로를 통해 물을 공급하여 상기 가이드날개의 내부에 형성된 제 2수로로 물을 유입시켜 상기 가이드날개에 마련된 분사홀들을 통해 상기 회전드럼 내부로 물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여과재를 크기별로분리하는 회전드럼 내부에 물을 분사하는 가이드날개를 설치하여 여과재가 회전드럼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여과재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여과재를 회전드럼에 투입하기 전에 별도의 세척과정을 거치게 하여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여과재 세척 및 선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림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세척조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적용된 선별유니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여과재 재생 공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여과재 세척 및 선별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흡입관(11)을 통해 여과지(1) 내의 여과재를 흡입하여 토출하는 펌프(10)와, 펌프(10)와 연결되어 펌프(10)로부터 토출되는 여과재를 물로 세척하는 세척유니트(20)와, 세척유니트(20)로부터 배출되는 여과재를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유니트(6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펌프(10)는 여과지(1) 주변에 설치된다. 이와 달리 수중펌프를 이용하는 경우 여과지(1)의 수중에 설치될 수 있다. 여과지(1)에는 3~5개의 여과재층으로 구성된다. 일 예로 여과지(1)에는 잔모래로 이루어진 제 1여과재층(3)과, 굵은 모래로 이루어진 제 2여과재층(5)과, 자갈로 이루어진 제 3여과재층(7)으로 형성된다.
펌프(10)의 흡입관(11)은 여과지(1) 내에 설치된다. 흡입관(11)은 플렉시블한 튜브로 형성된다. 펌프(10)가 가동되면 펌프의 흡입력에 의해 여과지(1) 내의 제 1 및 제 2, 제 3여과재층을 이루는 여과재가 물과 함께 흡입관(11)을 통해 흡입된다. 흡입된 여과재 및 물은 펌프(10)의 토출구에 연결된 토출관(13)을 통해 세척유니트(20)로 배출된다.
세척유니트(20)는 원통형의 세척조(21)와, 세척조(21)의 측면에 설치된 유입관(24)과, 세척조(21)의 하부에 설치되어 세척된 여과재가 배출되는 배출관(27)을 구비한다.
세척조(21)의 형상은 내부가 중공인 통형으로 형성된다. 세척조(21)는 직경이 동일하게 형성된 몸체부(23)와, 몸체부(23)의 하부에 형성되며 내려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콘부(25)로 형성된다. 콘부(25)의 하부에는 배출관(27)이 연결된다. 세척조(21)의 상부에는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관(28)이 설치된다.
몸체부(23)의 상부에는 측면의 접선방향으로 관통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유입구에는 유입관(24)이 설치된다. 유입관(24)은 플랜지(15)에 의해 펌프의 토출관(13)과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입구가 몸체부(23)의 측면 접선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므로 유입관(24)을 통해 세척조(21) 내부로 유입되는 여과재는 물과 함께 세척조(21)의 내측면을 따라 선회하는 선회류를 형성한다.
세척조(21)의 내측면에는 세척조(21)의 중심을 향하도록 돌출된 다수의 마찰돌기들(30)이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마찰돌기(30)는 몸체부(23)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이와 달리 각 마찰돌기(30)는 몸체부(23)에서 콘부(25)까지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마찰돌기(30)는 세척조(21)의 내측면을 따라 선회하는 흐름을 난류화시켜 여과재에 부착된 이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마찰돌기(30)에 의해 난류 분산 및 충돌 등의 다양한 메카니즘으로 여과재로부터 이물질이 분리된다.
세척조(21)에서 세척된 여과재는 물과 함께 선별유니트(60)로 배출된다. 선별유니트(60)는 베이스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세척유니트(20)를 거친 여과재가 유입되는 회전드럼(40)과, 회전드럼(40)의 일측에 형성된 드럼축(70)과, 상기 드럼축(70)과 연결되어 드럼축(7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한다.
회전드럼(40)은 여과재를 크기별로 걸러낼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크기의 여과눈이 형성된 다수의 스크린조가 순차적으로 마련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제 1 및 제 2, 제 3스크린조(41)(51)(61)가 순차적으로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회전드럼(40)은 전단이 후단보다 높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여기서 회전드럼(40)의 전단은 여과재가 유입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제 1스크린조(41)는 설정된 크기의 여과재를 걸러낼 수 있도록 여과눈(43)이 형성된 원통형의 망체로 이루어진다. 제 1스크린조(41)의 여과눈(43)은 굵은 모래 및 자갈은 걸러내고 가는 모래는 통과시킬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그리고 배출관(27)이 제 1스크린조(41)의 입구에 배치되어 세척유니트(20)로부터 세척된 여과재가 물과 함께 제 1스크린조(41)로 유입된다. 따라서 여과눈(43)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 여과재는 제 1스크린조(41)의 여과눈(43)을 통과하지 못하고 제 1스크린조(41)의 후단에 형성된 제 2스크린조(51)로 유입된다.
제 2스크린조(51)는 여과눈(53)이 형성된 원통형의 망체로 이루어진다. 제 2스크린조(51)에 형성된 여과눈은 제 1스크린조(41)에 형성된 여과눈(43)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제 2스크린조(51)에 형성된 여과눈(53)은 굵은 모래는 통과시키고 자갈은 걸러낼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제 1스크린조(41)에서 걸러진 굵은 모래와 자갈은 제 2스크린조(51)로 유입되고, 굵은 모래는 제 2스크린조(51)의 여과눈(53)을 통과하고 자갈은 제 2스크린조(51)의 후단에 형성된 제 3스크린조(61)로 유입된다.
제 3스크린조(61)는 여과눈(63)이 형성된 원통형의 망체로 이루어진다. 제 3스크린조(61)에는 제 2스크린조(51)에 형성된 여과눈(53)보다 더 큰 여과눈(63)이 형성된다. 여과눈(63)은 자갈을 통과시킬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한편, 제 1스크린조(41)의 전단 및 제 3스크린조(61)의 후단에는 각각 가이드 레일(68)(69)이 설치된다. 그리고 제 3스크린조(41)의 후단 둘레를 따라 다수의 연결바(71)가 설치되고, 연결바(71)의 단부에는 드럼축(70)이 연결된다. 드럼축(70)은 구동부(80)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드럼축(7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80)로 종동풀리(81)가 드럼축(70)에 축결합되고, 종동풀리(81)는 전동모터(87)의 구동축에 설치된 구동풀리(83)와 벨트(85)로 연결되어 구동한다. 이외에도 스프라킷과 체인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1 및 제 2, 제 3스크린조로 구성된 회전드럼(40)의 하부에는 각 스크린조의 여과눈을 통과한 여과재가 저장되는 저장함(90)이 설치된다. 저장함(90)의 내부에는 2개의 격벽(미도시)이 설치되어 3개의 저장공간을 형성한다. 각 저장공간은 각 스크린조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채 회전하는 회전드럼(40)을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100)은 제 1스크린조(41)의 전단에 형성된 가이드레일(68)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제 1지지부와, 제 3스크린조(61)의 후단에 형성된 가이드레일(69)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제 2지지부와, 제 1 및 제 2지지부를 지지하는 플레이트부(110)를 구비한다.
제 1지지부는 플레이트부(110)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형성된 제 1수직바(101)와, 제 1수직바(101)의 상단에 설치된 브라켓(103)과, 제 1롤러(104)로 이루어진다. 제 1롤러(104)는 브라켓(103)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가이드레일(68)의 외주면과 접촉한다. 제 2지지부는 플레이트부(110)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형성된 제 2수직바(105)와, 제 2수직바(105)에 의해 지지되며 가이드레일(69)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환형부재(106)와, 환형부재(106)의 내측에 설치되어 가이드레일(69)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다수의 제 2롤러(107)를 갖는다. 그리고 제 2수직바(105)와 환형부재(106)는 회동축(109)에 의해 결합되어 회전드럼(40)이 회동축(109)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가능하도록 한다. 이는 회전드럼(40)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술한 회전드럼(40)의 내부에는 가이드 날개(110)가 설치된다. 가이드날개(110)는 제 1스크린조(41)의 전단에서 제 3스크린조(61)의 후단까지 연속되어 회전드럼(40)의 내측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가이드날개(110)는 물이 분사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 가이드날개(110)는 연결파이프(120)에 의해 드럼축(70)과 연결된다. 드럼축(70)은 유체공급수단과 연결되며 내부에 유체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흐를 수 있는 제 1수로(131)가 형성된다.
유체공급수단은 드럼축(70)에 설치되어 내부에서 회전하는 드럼축(70)의 제 1수로(131)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로터리조인트(140)와, 로터리조인트(140)와 연결되어 물탱크(미도시)로 연장되는 물공급관(150)을 구비한다. 물공급관(150)은 일정압력의 물이 이송되어 로터리조인트(140)로 유입되도록 한다. 로터리 조인트(140)는 회전하는 드럼축(70)의 제 1수로(131)에 연속적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연결장치이다. 로터리 조인트(140)의 내측에는 드럼축(7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베어링과 실링부재가 설치되어 수밀을 유지하면서 드럼축(7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로터리조인트(140)의 내부에 위치한 드럼축(70)의 측면에는 로터리조인트(140)로 공급되는 물이 드럼축의 제 1수로(131)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공(133)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회전하는 드럼축(70)에 결합된 로터리 조인트(140)를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장치가 설치되어 로터리 조인트(140)를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가이드 날개(110)의 내부에 제 2수로(135)가 형성된다. 제 2수로(135)는 연결파이프(120)를 통해 제 1수로(131)와 연결된다. 그리고 가이드날개(110)에는 제 2수로(135)로 유입된 물이 분사되는 다수의 분사홀들(137)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분사홀(137)은 여과재가 이동하는 방향, 즉 제 3스크린조(61)의 후단 방향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날개(110)로 유입된 물은 분사홀(137)을 통해 회전드럼(40)의 내부로 분사되고, 분사되는 물은 각 스크린조에 내측에 부착된 여과재들과 충돌하여 여과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여과효율을 향상시킨다. 가는 모래와 같이 크기가 작은 여과재는 스크린조의 내측에 엉겨 붙기가 쉬운데, 가이드 날개(110)에서 물을 분사함으로써 여과재가 스크린조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가이드 날개(110)는 스크린조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스크린조의 내측면과 인접하도록 물을 분사하므로 여과재의 부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날개(110)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므로 회전드럼(40)의 내측면 전체에 균일하게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상술한 여과재 세척 및 선별장치를 이용한 여과재 재생 공법의 일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여과재 재생공법은 크게 펌프(10)의 흡입관(11)을 여과지(1) 내에 설치하는 준비단계와, 펌프(10)를 가동시켜 여과지(1) 내의 여과재를 흡입하여 세척유니트(20)로 배출하여 세척하는 세척단계와, 세척유니트(20)로부터 배출된 여과재를 서로 다른 크기의 여과눈이 형성된 다수의 스크린조가 순차적으로 마련된 회전드럼(40) 내부로 유입시킨 후 가이드날개(110)를 통해 여과재가 유입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유체를 분사하여 여과재가 스크린조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여과재를 크기별로 걸러내는 선별단계와, 회전드럼(40)에서 크기별로 분리된 여과재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여과재를 크기별로 구획하여 여과지(1)에 적재하는 적재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펌프(10)의 흡입관(11)을 여과지(1) 내에 설치한다. 이때 여과지(1) 내에 작업자가 투입되어 흡입관(1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펌프(10)의 토출관(13)은 세척조(21)에 연결된다.
펌프(10)를 가동시키게 되면 펌프(10)는 여과지 내의 여과재들을 흡입하여 세척조(21)로 배출한다. 이때 여과재와 함께 여과지에 남아 있는 물이 세척조(21)로 동시에 유입된다. 그리고 세척조(21)의 상부에 연결된 세척수공급관(28)을 통해 세척조(21)로 세척수가 유입된다. 세척조(21)에서 선회류를 일으키면서 유입되는 여과재는 마찰돌기(30)와 충돌하는 과정에서 여과재에 부착된 이물질들이 분리된다.
세척조(21)로부터 배출된 여과재는 선별유니트(60)에서 크기별로 걸러진다. 회전하는 회전드럼(40)의 내부로 유입된 여과재는 제 1 및 제 2, 제 3스크린조(41)(51)(61)를 통해 크기별로 분리된다. 입자가 가장 작은 가는모래는 제 1스크린조(41)의 여과눈을 통과하여 저장함에 저장되고, 굵은 모래는 제 2스크린조(51)의 여과눈을 통과하여 저장하에 저장되고, 자갈은 제 3스크린조(61)의 여과눈을 통과하여 저장함에 저장된다.
상기 선별단계에서 가이드날개(110)를 통해 물을 분사하여 작업이 수행되므로 스크린조에 여과재가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여 여과효율을 향상시킨다.
이와 같이 회전드럼(40)에 의해 크기별로 분리된 여과재는 건조시킨 후 여과지(1)에 다시 적재함으로써 시공이 완료된다. 이때 여과재를 크기별로 구획하여 여과지(1)에 적재하게 되는 데, 자갈은 가장 아래층에 투입되어 제 3여과재층(7)을 형성한다. 그리고 굵은 모래는 제 3여과재층(7) 위에 적재하여 제 2여과재층(5)을 형성한다. 그리고 가는 모래는 제 2여과재층(5) 위에 적재하여 제 1여과재층(3)을 형성한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여과지 10:펌프
11: 흡입관 13: 토출관
21:세척조 24: 유입관
27: 배출관 40: 회전드럼
41: 제 1스크린조 51: 제 2스크린조
61: 제 3스크린조 70: 드럼축
110: 가이드날개 140: 로터리조인트

Claims (5)

  1. 흡입관을 통해 여과지 내의 여과재를 흡입하여 토출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여과재를 물로 세척하는 세척유니트와;
    상기 세척유니트로부터 배출되는 여과재를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선별유니트는 베이스프레임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세척유니트를 거쳐 유입되는 여과재를 크기별로 걸러낼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크기의 여과눈이 형성된 다수의 스크린조가 순차적으로 마련된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의 일측에 형성된 드럼축과, 상기 드럼축과 연결되어 상기 드럼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회전드럼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연속되도록 내측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드럼으로 유입되는 여과재가 상기 스크린조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여과재가 유입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가이드날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재 세척 및 선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축은 유체공급수단과 연결되며 내부에는 상기 유체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흐를 수 있는 제 1수로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날개는 상기 드럼축과 연결되어 내부에는 상기 제 1수로와 연통되는 제 2수로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상기 제 2수로로 유입된 물이 상기 회전드럼 내부로 분사되는 다수의 분사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유체공급수단은 상기 드럼축에 설치되어 내부에서 회전하는 상기 드럼축의 제 1수로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로터리조인트와, 상기 로터리조인트와 연결되어 물탱크로 연장되는 물공급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재 세척 및 선별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유니트는 원통형의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 내부로 유입되는 여과재를 선회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조의 측면에 접선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펌프의 토출관과 연결된 유입관과, 상기 세척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재가 배출되는 배출관과, 상기 세척조로 유입된 여과재와 충돌하여 상기 여과재에 부착된 이물질을 털어내기 위해 상기 세척조의 내측면에서 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 다수의 마찰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재 세척 및 선별장치.
  4. 펌프의 흡입관을 여과지 내에 설치하는 준비단계와;
    상기 펌프를 가동시켜 상기 여과지 내의 여과재를 흡입하여 세척유니트로 배출하여 세척하는 세척단계와;
    상기 세척유니트로부터 배출된 여과재를 서로 다른 크기의 여과눈이 형성된 다수의 스크린조가 순차적으로 마련된 회전드럼 내부로 유입시킨 후 상기 회전드럼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연속되도록 내측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가이드날개를 통해 상기 여과재가 유입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여과재가 상기 스크린조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여과재를 크기별로 걸러내는 선별단계와;
    상기 회전드럼에서 크기별로 분리된 여과재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상기 여과재를 크기별로 구획하여 상기 여과지에 적재하는 적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재 재생 공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단계는 상기 회전드럼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날개와 연결된 드럼축의 내부에 형성된 제 1수로를 통해 물을 공급하여 상기 가이드날개의 내부에 형성된 제 2수로로 물을 유입시켜 상기 가이드날개에 마련된 분사홀들을 통해 상기 회전드럼 내부로 물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재 재생 공법.


KR1020100060171A 2010-06-24 2010-06-24 여과재 세척 및 선별장치와 이를 이용한 여과재 재생 공법 KR100984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171A KR100984863B1 (ko) 2010-06-24 2010-06-24 여과재 세척 및 선별장치와 이를 이용한 여과재 재생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171A KR100984863B1 (ko) 2010-06-24 2010-06-24 여과재 세척 및 선별장치와 이를 이용한 여과재 재생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4863B1 true KR100984863B1 (ko) 2010-10-01

Family

ID=43134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171A KR100984863B1 (ko) 2010-06-24 2010-06-24 여과재 세척 및 선별장치와 이를 이용한 여과재 재생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486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471B1 (ko) 2012-05-11 2012-11-01 지엠텍(주) 여과사 분리세척수거 장치
KR101576469B1 (ko) * 2015-05-29 2015-12-10 주식회사 부양 폐충진재 건식 세척 장치
WO2016195187A1 (ko) * 2015-05-29 2016-12-08 주식회사 부양 폐충진재 건식 세척 장치
CN106824744A (zh) * 2017-04-10 2017-06-13 新乡市高服机械股份有限公司 火药专用滚筒筛
KR101934805B1 (ko) * 2017-04-25 2019-01-03 (주)대우건설 슬라임 재처리기
CN109675789A (zh) * 2019-01-25 2019-04-26 广东省水利水电科学研究院 一种河湖水道清淤分筛装置
KR102368131B1 (ko) * 2021-06-07 2022-03-02 주식회사 현진기업 광촉매산화 oh라디칼수산기를 이용한 악취제거와 수질환경개선 및 여과재 재생 시스템
KR20220102038A (ko) 2021-01-12 2022-07-19 한국수자원공사 여과지 여재 세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0682A (ko) * 2004-02-10 2005-08-1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폐기물 선별형 수세장치
KR100733860B1 (ko) 2006-09-07 2007-07-16 길조씨앤씨(주) 여과재 선별세척장치
JP2008126106A (ja) 2006-11-17 2008-06-05 Ube Techno Enji Kk 分離装置
KR20090098463A (ko) * 2008-03-14 2009-09-17 수성산업(주) 폐토사의 재생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0682A (ko) * 2004-02-10 2005-08-1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폐기물 선별형 수세장치
KR100733860B1 (ko) 2006-09-07 2007-07-16 길조씨앤씨(주) 여과재 선별세척장치
JP2008126106A (ja) 2006-11-17 2008-06-05 Ube Techno Enji Kk 分離装置
KR20090098463A (ko) * 2008-03-14 2009-09-17 수성산업(주) 폐토사의 재생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471B1 (ko) 2012-05-11 2012-11-01 지엠텍(주) 여과사 분리세척수거 장치
KR101576469B1 (ko) * 2015-05-29 2015-12-10 주식회사 부양 폐충진재 건식 세척 장치
WO2016195187A1 (ko) * 2015-05-29 2016-12-08 주식회사 부양 폐충진재 건식 세척 장치
CN106824744A (zh) * 2017-04-10 2017-06-13 新乡市高服机械股份有限公司 火药专用滚筒筛
KR101934805B1 (ko) * 2017-04-25 2019-01-03 (주)대우건설 슬라임 재처리기
CN109675789A (zh) * 2019-01-25 2019-04-26 广东省水利水电科学研究院 一种河湖水道清淤分筛装置
KR20220102038A (ko) 2021-01-12 2022-07-19 한국수자원공사 여과지 여재 세사장치
KR102368131B1 (ko) * 2021-06-07 2022-03-02 주식회사 현진기업 광촉매산화 oh라디칼수산기를 이용한 악취제거와 수질환경개선 및 여과재 재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4863B1 (ko) 여과재 세척 및 선별장치와 이를 이용한 여과재 재생 공법
KR101122047B1 (ko) 친환경 인삼 세척장치
JP5410656B2 (ja) 濾過装置用の外付け濾過材洗浄装置
KR100733860B1 (ko) 여과재 선별세척장치
JP5626969B2 (ja) 濾過材洗浄装置
KR101289333B1 (ko) 이물질 자동배출이 가능한 야채 자동세척기
JPH0910162A (ja) 食器洗浄器の洗浄水浄化装置
KR101370394B1 (ko) 협잡물 제거용 드럼 스크린
KR100500567B1 (ko) 여과재 선별장치
CA2207625A1 (en) Continuous self-cleaning filtration unit
KR101798710B1 (ko) 재생형 필터 자동 세척장치
KR20130063563A (ko) 자동 여과 장치
KR100309648B1 (ko) 콩나물 세척방법 및 그 장치
JP2004300644A (ja) ドラム形紙料精選スクリーン
KR101468655B1 (ko) 수처리용 여과장치
JP4942225B2 (ja) 濾材洗浄装置及び濾材洗浄方法
KR101334313B1 (ko) 정수장 등의 물·여재 분리 굴상 자동세척 선별 투입장치 및 시공 공법
KR200403564Y1 (ko) 여과재 선별세척장치
KR102450703B1 (ko) 약액 노즐 세척기
KR200312732Y1 (ko) 여과재 선별장치
JP6598077B2 (ja) 重金属汚染土処理システムおよび重金属汚染土処理方法
KR100705963B1 (ko) 여과재 재생선별장치 및 여과재 재생선별방법
KR200345658Y1 (ko) 토양 세척 및 복원장치
KR100471638B1 (ko) 섬유 가공기용 진공탈수장치
KR101626211B1 (ko) 물과 슬러지를 분리하는 원심분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