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8991A -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98991A KR20090098991A KR1020097015628A KR20097015628A KR20090098991A KR 20090098991 A KR20090098991 A KR 20090098991A KR 1020097015628 A KR1020097015628 A KR 1020097015628A KR 20097015628 A KR20097015628 A KR 20097015628A KR 20090098991 A KR20090098991 A KR 2009009899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eet
- crotch
- exterior
- exterior sheet
- elastic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5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 A61F13/51458—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being air-pervious or breathab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58—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 A61F13/49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the diaper having an outer chassis forming the diaper and an independent absorbent structure attached to the chassis
- A61F13/49061—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the diaper having an outer chassis forming the diaper and an independent absorbent structure attached to the chassis the diaper having one or two waist members forming the diaper waist region and an independent absorbent structure attached to the one or two waist members forming the crotch reg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7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 A61F13/51478—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being a laminate, e.g. multi-layered or with several layers
- A61F13/5148—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being a laminate, e.g. multi-layered or with several layers having an impervious inner layer and a cloth-like outer lay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the topsheet and the backshee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2013/451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lded in special shape during use
- A61F2013/451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lded in special shape during use formed from two separated panels
- A61F2013/452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lded in special shape during use formed from two separated panels by front and rear joined laterally at the crotc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 A61F2013/49025—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having multiple elastic strands
- A61F2013/49026—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having multiple elastic strands with variable spac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58—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 A61F2013/4906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the diaper having decoupled compon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 A61F2013/53048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being randomly mixed in with other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61F2013/8408—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2013/8497—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having decorations or indicia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통둘레부에서의 통기성을 향상시킨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한다.
배측 외장시트(12F)와 등측 외장시트(12B)가 가랑이측에서 연속하고 있지 않고 이간되어 있으며, 흡수성 본체(20)에 있어서의 액불투과성 시트의 이면측에, 제품 외면에 노출되는 가랑이부 외장시트(12M)가 적층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액불투과성 시트의 이면측에 형성된 시트의 매수가, 중간부(23)에 있어서의 매수를 B1이라고 하고, 앞쪽 외장 겹침부분(X) 및 뒤쪽 외장 겹침부분(Z)에 있어서의 매수를 A1이라고 하고, 앞쪽 외장 비겹침부분(20F) 및 뒤쪽 외장 비겹침부분(20B)에 있어서의 매수를 C1이라고 했을 때, B1<C1<A1의 관계를 가지는 구조를 채용한다.
배측 외장시트, 등측 외장시트, 가랑이부 외장시트, 흡수성 본체
Description
본 발명은 외장시트가 배측 및 등측의 2개로 분할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는, 몸 앞부분의 양 측부와 몸 뒷부분의 양 측부가 각각 접합됨으로써 양측에 접합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몸통 개구부 및 좌우 한쌍의 다리 개구부가 형성된 외장시트와, 그 내면의 폭방향 중앙을 따라 배측에서 가랑이를 지나 등측까지의 범위에 고정된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서, 장착자의 양 발을 몸통 개구부에 통과시켜 다리 개구부에 삽입함으로써 장착하는 것이다.
이러한 일체적인 외장시트를 이용하는 종류에 반해, 최근에는 외장시트를 배측 및 등측의 2개로 분할하여, 배측 외장시트 및 등측 외장시트를 가랑이측에서 연속시키지 않고 이간시켜 이루어지는 2분할 타입의 일회용 기저귀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2분할 타입에서는 제조시에 다리 개구부를 펀칭할 때의 트림(여분의 폐기부분)이 적은 점이나, 배측 외장시트 및 등측 외장시트의 각 소재를 개별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2분할 타입의 일회용 기저귀에서의 흡수성 본체는, 표면에 배치된 액 투과성 탑시트와, 이면측에 배치된 액불투과성 시트와, 이들 사이에 형성된 액을 흡수하여 유지하는 흡수 요소를 구비하고 있으며, 흡수성 본체의 이면은, 전단부(前端部)가 배측 외장시트의 폭방향 중앙부 내면에 연결되는 동시에, 후단부가 등측 외장시트의 폭방향 중앙부 내면에 연결되고, 이들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의 중간부가 가랑이측에 있어서의 배측 외장시트와 등측 외장시트의 이간부분으로부터 외면에 노출된다. 액불투과성 시트의 이면을 피복하지 않을 경우에는, 액불투과성 시트가 배측 외장시트와 등측 외장시트 사이에 노출되게 된다. 액불투과성 시트는 배측 외장시트나 등측 외장시트와는 외관이나 감촉이 다르기 때문에,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직포로 피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5-027839호
그러나 종래의 것은 일체적인 외장시트를 이용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비해, 몸통둘레부에서의 통기성이 낮다고 하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몸통둘레부에서의 통기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
장착자의 몸통둘레 중 배측을 덮는 배측 외장시트와 등측을 덮는 등측 외장시트로 이루어지고, 배측 외장시트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의 접합부와 등측 외장시트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의 접합부가 접합되는 동시에, 배측 외장시트와 등측 외장시트가 가랑이측에서 연속하지 않고 이간되어 형성된 통형상의 몸통둘레부와,
전단부가 상기 배측 외장시트의 폭방향 중앙부 내면에 연결되는 동시에, 후단부가 상기 등측 외장시트의 폭방향 중앙부 내면에 연결되고, 이들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의 중간부가 상기 가랑이측에 있어서의 배측 외장시트와 등측 외장시트의 이간부분으로부터 외면에 노출되고, 또한 등측에서 가랑이부를 지나 배측까지를 덮는 흡수성 본체를 구비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는 표면에 배치된 액투과성 탑시트와, 이면측에 배치된 액불투과성 시트와, 이들 사이에 형성된 액을 흡수하여 유지하는 흡수 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흡수성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액불투과성 시트의 이면측에, 제품 외면에 노출되는 가랑이부 외장시트가 적층되어 있고, 이 가랑이부 외장시트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전단과 상기 배측 외장시트의 가랑이측 끝가장자리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후단과 상기 등측 외장시트의 가랑이측 끝가장자리 사이의 위치까지의 전후방향 범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수성 본체의 전단에서 상기 가랑이부 외장시트의 전단까지의 전후방향 범위로서 정해지는 앞쪽 외장 비겹침부분과, 상기 가랑이부 외장시트의 전단부와 상기 배측 외장시트의 가랑이측 단부가 겹쳐지는 앞쪽 외장 겹침부분과, 상기 흡수성 본체의 후단에서 상기 가랑이부 외장시트의 후단까지의 전후방향 범위로서 정해지는 뒤쪽 외장 비겹침부분과, 상기 가랑이부 외장시트의 후단부와 상기 등측 외장시트의 가랑이측 단부가 겹쳐지는 뒤쪽 외장 겹침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액불투과성 시트의 이면측에 형성된 시트의 매수가, 상기 중간부에서의 매수를 B1이라고 하고, 상기 앞쪽 외장 겹침부분 및 뒤쪽 외장 겹침부분에서의 매수를 A1이라고 하고, 상기 앞쪽 외장 비겹침부분 및 뒤쪽 외장 비겹침부분에서의 매수를 C1이라고 했을 때, B1<C1<A1의 관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작용 효과)
당초, 통기성 저하의 원인에 대해서는 불분명하였다. 그러나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흡수성 본체의 이면 전체가 부직포로 피복되어 있었기 때문에, 몸통둘레부와 흡수성 본체의 겹침부분 전체에 여분의 부직포가 존재하게 되고, 그 결과 몸통둘레부에서의 통기성이 저하하고 있음이 판명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흡수성 본체의 이면에 있어서의 전후방향 범위 중, 전단에서 소정거리 후단측까지의 앞쪽부분, 및 후단에서 소정거리 전단측까지의 뒤쪽부분에는 가랑이부 외장시트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앞쪽부분과 뒤쪽부분 사이의 중간부분에 가랑이부 외장시트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몸통둘레부와 흡수성 본체의 겹침부분에 차지하는 가랑이부 외장시트의 비율이 저감하여, 그만큼 몸통둘레부에서의 통기성이 향상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몸통둘레부와 흡수성 본체의 겹침부분에 차지하는 가랑이부 외장시트의 비율이 저감하기 때문에, 몸통둘레부의 통기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가랑이부 외장시트에 소취제를 함유시켜 소취 기능을 발휘시키거나, 혹은 가랑이부 외장시트에 있어서의 소재를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강도 향상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앞쪽 외장 겹침부분 및 뒤쪽 외장 겹침부분에서의 외장부의 두께가 가장 커지기 때문에, 이 부분의 외장부의 탄력이 강해져, 양 측부의 신축부재의 힘이 전해지기 쉬우며, 흡수체가 몸에 확실히 밀착되어 피트성이 높아져, 장착 중인 흡수성 본체의 좌우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앞쪽 외장 비겹침부분 및 뒤쪽 외장 비겹침부분에서의 외장부의 두께가 앞쪽 외장 겹침부분 및 뒤쪽 외장 겹침부분보다 얇고, 중간부보다 두꺼워지기 때문에, 앞쪽 외장 비겹침부분 및 뒤쪽 외장 비겹침부분의 탄력이 앞쪽 외장 겹침부분 및 뒤쪽 외장 겹침부분만큼 강해지지 않아, 앞쪽 외장 비겹침부분 및 뒤쪽 외장 비겹침부분이 복부 상부·둔부 상부의 체형의 굴곡을 따르게 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
상기 액불투과성 시트의 이면측에 형성된 시트의 평량(坪量)이, 상기 중간부에서의 평량을 B2라고 하고, 상기 앞쪽 외장 겹침부분 및 뒤쪽 외장 겹침부분에서의 평량을 A2라고 하고, 상기 앞쪽 외장 비겹침부분 및 뒤쪽 외장 비겹침부분에서의 평량을 C2라고 했을 때, B2<C2<A2의 관계에 있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작용 효과)
액불투과성 시트의 이면측에 형성된 시트의 평량이 본 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본 발명의 효과가 한층 더 향상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
상기 앞쪽 외장 겹침부분에서의 전후방향의 겹침길이, 및 상기 뒤쪽 외장 겹침부분에서의 전후방향의 겹침길이가 각각 10∼90㎜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작용 효과)
가랑이부 외장시트와, 등측 외장시트 및 배측 외장시트의 겹침길이가 본 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 있으면 특히 바람직하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
상기 배측 외장시트 및/또는 등측 외장시트는, 상기 접합부와 동일한 상하방향 범위를 차지하는 본체부와, 이 본체부의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연장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앞쪽 외장 겹침부분에서의 전후방향의 겹침길이, 및/또는 상기 뒤쪽 외장 겹침부분에서의 전후방향의 겹침길이가, 앞쪽 뒤쪽 각각의 쪽에 있어서의 연장부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고, 또한 연장부의 전후방향 길이의 1/2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작용 효과)
배측 외장시트 및/또는 등측 외장시트가 연장부를 가질 경우, 연장부의 흡수성 본체의 양 측부분은 둔부나 서혜부(鼠蹊部)를 커버하는 부분이 되기 때문에, 겹침길이가 본 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 있으면, 연장부의 흡수성 본체와 겹쳐지는 부분의 탄력이 강해져 피트성이 향상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
상기 가랑이부 외장시트를 구성하는 시트는, 상기 배측 외장시트 및 등측 외장시트를 구성하는 시트보다도 강도(剛度)가 높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작용 효과)
본 항 기재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등측 외장시트 및 배측 외장시트가 적층된 부분과, 흡수성 본체가 노출되는 부분의 경계주변의 외장부의 탄력을 강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피트성이 향상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
상기 흡수성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 요소보다도 이면측에, 적어도 상기 후단부 내의 부위에서 상기 중간부 내의 부위까지의 전후방향 범위에 걸쳐, 탄성신축부재가 전후방향을 따라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작용 효과)
한편, 종래의 2분할 타입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측부분이 화살표로 나타내는 부분을 정점으로 하여 'く'자형상으로 굴곡하여 외측으로 부풀어 나간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자는, 이 굴곡 현상의 원인에 대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다음과 같은 지견을 얻었다. 즉, 2분할 타입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등측 외장시트가 적층된 부분과, 흡수성 본체가 노출되는 부분의 경계에서, 강성(剛性)이 변화하기 때문에(전자보다 후자쪽이 저강성), 이 외장경계를 정점으로 하여 'く'자형상으로 굴곡하는 현상이 발생했던 것이다. 이러한 굴곡 현상은 장착자가 앉은 자세를 취함으로써 발생하기 쉽다는 것도 판명되었다.
더욱 연구를 진행한 결과, 특히 본 발명과 같은 가랑이부 외장시트를 가지는 구조에서 이러한 굴곡 현상이 발생하기 쉬운 것도 판명되었다. 즉, 본 발명과 같은 가랑이부 외장시트를 가지는 구조에서는, 외장시트의 겹침 매수가 변화하는 부분에서 외장의 탄력이 변화하기 때문에, 특히 등측부분에서 굴곡 현상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본 항에 기재된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특히 흡수성 본체에 있어서의 흡수 요소보다도 이면측에, 적어도 후단부 내의 부위에서 중간부 내의 부위까지의 전후방향 범위에 걸쳐, 탄성신축부재가 전후방향을 따라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탄성신축부재를 형성함으로써, 탄성신축부재의 수축력이 외장경계를 넘는 범위에 걸쳐 작용하고, 그 부분이 신체 표면을 따라 피트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은 굴곡 현상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그리고 특히 본 발명에서는 중간부에서의 외장부의 두께가 가장 얇아지기 때문에, 탄성신축부재의 수축력이 전해지기 쉽고, 흡수체가 몸에 확실히 밀착되어 피트성이 높아진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
상기 탄성신축부재가 상기 액불투과성 시트와 상기 가랑이부 외장시트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청구항 6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작용 효과)
본 항 기재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상술한 굴곡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탄성신축부재가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좋아지는 동시에 제조도 용이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
상기 탄성신축부재로서,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가, 상기 흡수성 본체에 있어서의 폭방향 중앙 및 폭방향 양 사이드부(side portion)의 각각에 전후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청구항 6 또는 7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작용 효과)
탄성신축부재가 본 항 기재와 같이 배치되어 있으면, 폭방향 전체에 걸쳐 효과적으로 굴곡 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
상기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로서, 굵기 470∼1000dtex의 실고무가 150∼220%의 신장율로, 폭방향으로 10∼100㎜의 간격으로 고정되어 있는, 청구항 8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작용 효과)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를, 흡수성 본체에 있어서의 폭방향 중앙 및 폭방향 양 사이드부의 각각에 전후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할 경우, 본 항에 기재된 굵기, 신장율, 간격으로 형성하면, 특히 굴곡 방지 성능이 뛰어나게 된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
상기 폭방향 중앙부에 형성된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의 신장율이, 상기 폭방향 양 사이드부에 형성된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의 신장율보다도 높게 되어 있는, 청구항 8 또는 9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작용 효과)
본 항 기재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굴곡 방지 성능이 뛰어날 뿐 아니라, 특히 둔부에 대한 피트성도 향상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
상기 탄성신축부재가, 상기 흡수성 본체에 있어서의 중간부와 후단부의 경계를 기준으로 하여 후단부측에 5∼180㎜ 및 중간부측에 5∼180㎜ 연장되어 존재하고 있는, 청구항 6~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작용 효과)
본 항에 기재된 범위로 형성함으로써, 특히 굴곡 방지 성능이 뛰어나게 된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
상기 가랑이부 외장시트가 상기 흡수성 본체와 동일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청구항 1~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작용 효과)
본 항 기재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가랑이부에 있어서의 외관이 깔끔해진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
상기 가랑이부 외장시트가 상기 흡수성 본체보다도 폭 넓게 형성되어 있는, 청구항 1~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작용 효과)
본 항 기재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흡수성 본체의 폭방향 양측에 가랑이부 외장시트가 삐져나오기 때문에, 이 양 측부분에 탄성신축부재를 배치하여 다리둘레에의 피트성을 높이거나, 가랑이부 외장시트 전체에 소취제를 함유시킴으로써 다리둘레에서의 소취 성능을 향상시키거나 할 수 있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
상기 가랑이부 외장시트가 상기 흡수성 본체보다도 폭 좁게 형성되어 있는, 청구항 1~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작용 효과)
본 항 기재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소재 비용을 낮게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가랑이부에서의 통기성도 향상한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
상기 중간부분에 복수의 가랑이부 외장시트가 소정의 간격을 비우고 형성되어 있는, 청구항 1~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작용 효과)
이와 같이 가랑이부 외장시트를 복수로 분할하고, 동시에 이간하여 배치함으로써, 소재 사용량을 억제하고 또한 통기성을 향상시키면서, 보다 광범위하게 흡수성 본체의 이면을 덮을 수 있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발명>
적어도 상기 흡수성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가랑이부 외장시트를 가지지 않는 부분에, 액의 흡수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indicator)가 형성되어 있는, 청구항 15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작용 효과)
본 항 기재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인디케이터의 표시를 가랑이부 외장시트를 통해서가 아니라, 가랑이부 외장시트를 가지지 않는 부분을 통해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시인성(視認性)이 양호해진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몸통둘레부에서의 통기성이 향상하는 등의 이점이 생긴다.
도 1은 실시형태의 내면을 나타내는 전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의 외면을 나타내는 전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3-3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4-4선 단면도이다.
도 5는 제품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제품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7은 기타 실시형태의 외면을 나타내는 전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8은 기타 실시형태의 외면을 나타내는 전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9-9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기타 실시형태의 외면을 나타내는 전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의 내면을 나타내는 전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의 외면을 나타내는 전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2의 3-3선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의 4-4선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품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제품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17은 기타 실시형태의 제품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8은 용착에 의한 탄성신축부재의 고정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9는 용착에 의한 탄성신축부재의 고정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0은 종래의 기저귀의 장착 상태를 측면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부호의 설명>
20 흡수성 본체
12 외장시트
12F 배측 외장시트
12B 등측 외장시트
12M 가랑이부 외장시트
13 본체부
14 연장부
15 제1의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
16 제2의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
25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의 실시형태>
도 1∼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의 부호에서 '전후방향'이란 배측과 등측을 잇는 방향을 의미하고, '폭방향'이란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상하방향'이란 몸통둘레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바꿔 말하면 웨이스트 개구부(WO)측과 가랑이부측을 잇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0)는, 장착자의 몸통둘레 중 배측을 덮는 배측 외장시트(12F)와 등측을 덮는 등측 외장시트(12B)를 가지고 있으며, 배측 외장시트(12F)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의 접합부(12A)와 등측 외장시트(12B)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의 접합부(12A)가 히트실이나 초음파 용착 등에 의해 접합되어 통형상의 몸통둘레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배측 외장시트(12F)와 등측 외장시트(12B)가 가랑이측에서 연속해 있지 않고 이간되어 있다. 이 이간거리(Y)는 150∼250㎜ 정도로 할 수 있다.
도시한 형태와 같이, 등측 외장시트(12B)가 접합부(12A)보다도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을 경우에는, 이 부분까지를 포함하는 상하방향 범위에 일체적으 로 히트실 등의 가공을 실시한 연장 용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연장 용착부를 형성함으로써, 후술하는 연장부(14)의 제2의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16)의 끌어들임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이드부의 찢어지기 쉬움을 고려하여 접합부(12A)는 작은 용착부의 집합으로 이루어지고, 접합부(12A)에 있어서의 용착 면적의 비율이 낮은 접합 패턴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연장 용착부에서는 찢어지기 쉬움을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용착 패턴은 접합부(12A)보다도 용착 면적의 비율을 높게 함으로써 제2의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16)가 확실하게 용착 고정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연장 용착부는 둔부 커버부(14C)의 가장자리부를 커브한 라인으로 용착하여, 둔부 커버부(14C)의 제2의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16)의 끌어들임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몸통둘레부에 있어서의 배측 외장시트(12F)의 폭방향 중앙부 내면에, 흡수성 본체(20)의 전단부(21)의 이면이 연결되는 동시에, 등측 외장시트(12B)의 폭방향 중앙부 내면에 흡수성 본체(20)의 후단부(22)의 이면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 전단부(21)와 후단부(22) 사이의 중간부(23)가 가랑이측에 있어서의 배측 외장시트(12F)와 등측 외장시트(12B)의 이간부분(Y)을 사이에 두고 외면에 노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으로부터도 알 수 있듯이, 몸통둘레부의 상부 개구는 장착자의 몸통을 통과시키는 웨이스트 개구부(WO)가 되고, 흡수성 본체(20)의 폭방향 양측에 있어서 몸통둘레부의 밑가장자리 및 흡수성 본체(20)의 옆가장자리에 의해 각각 둘러싸이는 부분이 다리를 통과시키는 다리 개구부(LO)가 된다. 각 접합부(12A)를 떼 어서 전개한 상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래시계형상을 이룬다. 흡수성 본체(20)는 등측에서 가랑이부를 지나 배측까지를 덮도록 연장되어 존재하는 것으로서, 배설물을 수용하여 액체분을 흡수하여 유지하는 부분이고, 몸통둘레부는 흡수성 본체(20)를 장착자에 대하여 지지하는 부분이다.
(몸통둘레부)
배측 외장시트(12F) 및 등측 외장시트(12B)는 도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직포 등의 시트(S1, S2)를 2장 접합하여 이루어지며, 몸통둘레에 대한 피트성을 높이기 위해, 양 시트(S1, S2) 사이에 실고무 등의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15, 16)가 소정의 신장율로 형성되어 있다. 부직포로서는 PP, PP/PE, PP/PET 등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스펀 본드(spunbond) 부직포, 멜트블로운(meltblown) 부직포, 포인트 본드 부직포, 에어스루(air-through) 부직포, 에어 포인트 부직포, 스펀 레이스 부직포, SMS 부직포 등의 각종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등측 외장시트(12B)는, 접합부(12A)와 동일한 상하방향 범위를 차지하는 본체부(13)와, 이 본체부(13)의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연장부(14)를 가지고 있다. 연장부(14)는 흡수성 본체(20)와 겹쳐지는 폭방향 중앙부(14M)와, 그 양측으로 연장되어 나온 둔부 커버부(14C)를 가지고 있다.
연장부(14)의 형상은 적절히 정할 수 있는데, 도시한 예에서는 연장부(14)의 상단부는 본체부(13)와 동일 폭으로 본체부(13)의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고, 그 아래쪽은 가랑이측에 근접함에 따라 폭이 좁혀져 있다. 본체부(13)와 동일 폭 부분은 생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둔부 커버부(14C)의 폭방향 외측의 가장자리(14e)가, 가랑이측에 근접함에 따라 흡수성 본체(20)측에 근접하는 것과 같은 직선형상 또는 곡선형상을 이루게 되어 둔부를 덮기 쉬운 형상이 된다. 연장부(14)의 치수는 적절히 정할 수 있는데, 둔부 커버부(14C)의 폭방향 길이(14x)(둔부 커버부(14C)의 폭방향 외측의 가장자리(14e)와 흡수성 본체(20)의 옆가장자리와의 폭방향의 최대 이간거리)가 80∼160㎜이고, 둔부 커버부(14C)의 상하방향의 길이(14y)(연장길이)가 30∼80㎜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연장부(14)의 폭방향으로 가장 넓은 부위와 상하방향으로 가장 넓은 부위에 의해 정해지는 사각형의 면적을 S라고 하면, 연장부(14)의 면적은 S에 대하여 20∼80%, 특히 40∼60% 정도이면, 둔부의 외관 및 장착감이 뛰어나므로 바람직하다.
본체부(13)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개념적으로 상측부분(웨이스트부)(W)과 하측부분(U)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그 범위는 제품의 사이즈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상측부분(W)의 상하방향 길이는 15∼80㎜, 하측부분(U)의 상하방향 길이는 35∼220㎜로 할 수 있다.
본체부(13)의 상측부분(웨이스트부)(W)에는, 폭방향 전체에 걸쳐 연속하도록, 복수의 웨이스트부 탄성신축부재(17)가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비우고, 소정의 신장율로 폭방향을 따라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웨이스트부 탄성신축부재(17) 중, 본체부(13)의 하측부분(U)에 인접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1개 또는 복수개에 대해서는 흡수체(20)와 겹쳐 있어도 되고, 흡수성 본체(20)와 겹쳐지는 폭방향 중앙부를 제외하고 그 폭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해도 된다. 이 웨이스트 탄성신축부재(17)로서는 굵기 300∼2000dtex, 특히 400∼1900dtex 정도(합성 고무의 경 우. 천연 고무의 경우에는 단면적 0.1∼1.5㎟, 특히 0.1∼1.0㎟ 정도)의 실고무를 4∼12㎜의 간격으로 3∼22개 정도, 각각 신장율 200∼400%, 특히 220∼320% 정도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웨이스트부 탄성신축부재(17)는 전부 동일한 굵기와 신장율로 할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면 웨이스트부의 상부와 하부에서 탄성신축부재의 굵기와 신장율이 다르도록 해도 된다. 이 웨이스트부 탄성신축부재(17)는 제1 및 제2의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15, 16)에 대하여 대소 관계 없이 자유롭게 정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3)의 하측부분(U)에 있어서는, 흡수성 본체(20)와 겹쳐지는 폭방향 중앙부를 제외하고, 그 상측 및 폭방향 양측의 각 부위에 폭방향 전체에 걸쳐 연속하도록, 복수의 제1의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15)가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비우고, 소정의 신장율로 폭방향을 따라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제1의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15)의 상하방향 배치범위는 본체부(13)의 일부로 해도 되지만, 실질적으로 전체(전체에 신축력이 작용하는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의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15)로서는 굵기 300∼1200dtex, 특히 400∼1000dtex 정도(합성 고무의 경우. 천연 고무의 경우에는 단면적 0.1∼1.0㎟, 특히 0.1∼0.8㎟ 정도)의 실고무를 3∼8㎜의 간격으로 5∼30개 정도, 각각 신장율 150∼300%, 특히 240∼300% 정도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장부(14)에 있어서는, 흡수성 본체(20)와 겹쳐지는 폭방향 중앙부를 제외하고, 그 폭방향 양측의 각 부위에 폭방향 전체에 걸쳐(적어도 둔부 커버 부(14C) 전체에 걸쳐) 연속하도록, 복수의 제2의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16)가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비우고, 소정의 신장율로 폭방향을 따라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제2의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16)의 상하방향 배치범위는 연장부(14)의 일부로 해도 되지만, 실질적으로 전체(전체에 신축력이 작용하는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의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16)로서는, 굵기 300∼1200dtex, 특히 400∼1000dtex 정도(합성 고무의 경우. 천연 고무의 경우에는 단면적 0.1∼1.0㎟, 특히 0.1∼0.8㎟ 정도)의 실고무를 3∼8㎜의 간격으로 3∼10개 정도, 신장율 240∼400%, 특히 280∼360%의 범위 내에서 제1의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보다도 높은 신장율로 각각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의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16)는 상하방향 양 단부에 배치되는 것의 신장율을 중간부의 것보다도 높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의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16)의 굵기는 제1의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15)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보다 굵게 할 수도, 또한 보다 가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웨이스트 탄성신축부재(17)나,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15, 16)에는 합성 고무를 이용해도 되고, 천연 고무를 이용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제2의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16)의 신장율이 제1의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15)의 신장율보다도 높게 되어 있으면, 도 6에 백색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둔부 커버부(14C)에 대하여 가랑이측과 양 접합부(12A)를 잇는 경사 위쪽으로의 힘이, 보다 깊은 각도(θ)로 보다 강하게 발생하기 때문 에, 둔부 커버(14C)가 말려 올라가거나 부풀기 어려워 피트성이 양호해진다. 배측 외장시트(12F) 및/또는 등측 외장시트(12B)를 구성할 때에, 폭방향에 있어서의 부직포(S1, S2)의 잡아당김을 조정함으로 인해, S2의 장력이 S1보다도 크도록 함으로써, 둔부 커버부(14C)가 안쪽으로 컬링하여 둔부의 피트성이 더욱 향상한다.
한편 배측 외장시트(12F)는 등측 외장시트(12B)의 본체부(13)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것으로서, 몸통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존재하는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등측 외장시트(12B)와 같은 연장부(14)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동일 부호를 이용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배측 외장시트(12F)에 대해서도, 등측 외장시트(12B)와 동일한 본체부와 연장부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의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15 및 16)가, 흡수성 본체(20)와 겹쳐지는 폭방향 중앙부를 제외하고 그 폭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형태에는, 폭방향 양측에만 탄성신축부재가 존재하는 형태 외에, 흡수성 본체(20)를 가로질러 그 폭방향 한쪽에서 다른쪽까지 탄성신축부재가 존재하고 있지만, 흡수성 본체(20)와 겹쳐지는 폭방향 중앙부에서는 탄성신축부재가 절단되어, 신축력이 작용하지 않도록(실질적으로는 탄성신축부재를 형성하지 않는 것과 동일함) 구성되어 있는 형태도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본체부(13) 및 연장부(14)의 폭방향 전체에 걸쳐 신축력이 작용하도록, 제1 및 제2의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15, 16)를 흡수성 본체(20)를 가로질러 그 폭방향 한쪽에서 다른쪽까지 형성할 수도 있다.
제2의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16)는, 제1의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 부재(15)와 같이 옆가장자리의 접합부(12A)에 의해 시트(S1, S2)에 용착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특히 제1의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15)보다도 신장율을 높게 하는 경우에는, 제2의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16)의 끌어들임 방지 처치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제2의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16)에 접착제를 직접 도포함으로써 접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지만, 접착제의 사용량이 많아지면 신축부의 감촉이 저하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접합부(12A)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연장 용착부를 형성하는 것은 바람직한 수단 중 하나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흡수성 본체(20)와 겹쳐지는 폭방향 중앙부에서는 제2의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16)가 절단되어 신축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형태에서는, 제2의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16)의 폭방향 중앙부에 있어서의 단부에도 동일한 끌어들임 방지 처치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단부를 용착할 경우에는, 폭방향으로 복수 배치된 제2의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16)를 종단하도록 배치되는 대략 직선형상의 용착선에 의해, 제2의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16)와 시트(S1, S2)를 용착 고정하면 된다.
또한, 후술하는 시트의 용착에 의한 고정방법을 단독으로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방법과 조합하여, 제2의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16)와 시트(S1, S2)의 접착 강도를 향상시켜도 된다.
(흡수성 본체)
흡수성 본체(20)는 임의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있지만, 도시한 형태에서는 직 사각형이다. 흡수성 본체(2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면측에서부터 순서대로, 액을 투과시키는 예를 들면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탑시트(30)와, 흡수 요소(50)를 구비하고 있다. 통상의 경우, 흡수 요소(50)의 이면측에는 플라스틱 시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액불투과성 시트(70)가 형성된다. 이 액불투과성 시트(70)의 이면측에는 가랑이부 외장시트(12M)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탑시트(30)를 투과한 액을 신속하게 흡수 요소(50)로 이행시키기 위해, 탑시트(30)와 흡수 요소(50) 사이에 중간 시트(세컨드 시트)(4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흡수부(20)의 양 사이드로 배설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흡수부(20)의 양측에 기립하는 배리어 커프스(60, 60)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지만, 흡수성 본체(20)의 각 구성 부재는 핫멜트 접착제 등의 솔리드, 비드 또는 스파이럴 도포 등으로 상호 고정할 수 있다.
흡수성 본체(20)는 기계적 조임(mechanical fastener)이나 점착재를 이용하여, 배측 외장시트(12F) 및/또는 등측 외장시트(12B)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도록 연결할 수도 있다.
(탑시트)
탑시트(30)는 액을 투과하는 성질을 가진다. 따라서 탑시트(30)의 소재는 이 액투과성을 발현하는 것이면 충분하고, 예를 들면 유공(有孔) 또는 무공의 부직포나, 다공성 플라스틱 시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이 중 부직포는 그 원료 섬유가 무엇인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 섬유, 레이온이나 큐 프라(cuprammoniun rayon) 등의 재생 섬유, 면 등의 천연 섬유 등이나, 이들 중에서 2종 이상이 사용된 혼합 섬유, 복합 섬유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는 어떠한 가공에 의해 제조된 것이어도 된다. 가공방법으로서는 공지의 방법, 예를 들면 스펀 레이스법, 스펀 본드법, 서멀 본드법, 멜트블로운법, 니들 펀치법, 에어스루법, 포인트 본드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연성, 드레이프(drape)성이 요구되는 것이라면 스펀 본드법, 스펀 레이스법이, 부피성, 소프트성이 요구되는 것이라면 에어스루법, 포인트 본드법, 서멀 본드법이 바람직한 가공방법이 된다.
또한, 탑시트(30)는 1장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2장 이상의 시트를 접합하여 얻은 적층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탑시트(30)는 평면방향에 관하여 1장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2장 이상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중간 시트)
탑시트(30)를 투과한 액을 신속하게 흡수체로 이행시키기 위해, 탑시트(30)보다 액의 투과 속도가 빠른, 통상 '세컨드 시트'라고 불리는 중간 시트(40)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중간 시트(40)는 액을 신속하게 흡수체에 이행시켜 흡수체에 의한 흡수 성능을 높일 뿐만 아니라, 흡수한 액의 흡수체로부터의 '복귀' 현상을 방지하여, 탑시트(30)상을 항상 건조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중간 시트(40)는 생략할 수도 있다.
중간 시트(40)로서는 탑시트(30)와 동일한 소재나, 스펀 레이스, 펄프 부직 포, 펄프와 레이온의 혼합 시트, 포인트 본드 또는 크레이프지(crepe paper)를 예시할 수 있다. 특히 에어스루 부직포 및 스펀 본드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도시한 형태의 중간 시트(40)는 흡수체(56)의 폭보다 짧게 중앙에 배치되어 있지만, 전체 폭에 걸쳐 형성해도 된다. 중간 시트(40)의 길이방향 길이는 흡수체(56)의 길이와 동일해도 되고, 액을 수용하는 영역을 중심으로 한 짧은 길이 범위 내이어도 된다. 중간 시트(40)의 대표적인 소재는 액의 투과성이 뛰어난 부직포이다.
(액불투과성 시트)
액불투과성 시트(70)는 단순히 흡수체(56)의 이면측에 배치되는 시트를 의미하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탑시트(30)와의 사이에 흡수체(56)를 개재시키는 시트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액불투과성 시트는 그 소재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나, 폴리에틸렌 시트 등에 부직포를 적층한 라미네이트 부직포, 방수 필름을 개재시켜 실질적으로 불투액성을 확보한 부직포(이 경우는 방수 필름과 부직포로 액불투과성 시트가 구성됨)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물론 이 외에도, 최근 뭉침 방지의 관점에서 선호되어 사용되고 있는 불투액성이면서 투습성을 가지는 소재도 예시할 수 있다. 이 불투액성이면서 투습성을 가지는 소재의 시트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중에 무기 충전제를 혼합반죽하여 시트를 성형한 후, 1축 또는 2축방향으로 연신(延伸)하여 얻어진 미다공성(微多孔性) 시트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데니어 섬유를 이용한 부직포, 열이나 압력을 가함으 로써 섬유의 공극을 작게 함에 따른 샘방지성 강화, 고흡수성 수지 또는 소수성 수지나 발수제의 도공과 같은 방법에 의해, 방수 필름을 이용하지 않고 액불투과성으로 한 시트도 액불투과성 시트(70)로서 이용할 수 있다.
액불투과성 시트(70)는, 소위 테두리를 감는 형태로 사용면에 연장하여 존재시킴으로써(도시하지 않음) 액이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실시형태에서는 옆으로 새는 것에 대하여, 배리어 커프스(60)를 형성하는 2중의 배리어 시트(64) 사이에 제2 액불투과성 시트(72)를 개재시킴으로써 방지하고 있다. 이 형태에 의하면, 배리어 커프스(60)의 기립까지 제2 액불투과성 시트(72)가 연장되어 존재하고 있으므로, 탑시트(30)를 거쳐 옆으로 확산된 액이나 배리어 커프스(60, 60) 사이의 무른 변이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액불투과성 시트의 내면 또는 외면에는 인쇄나 착색에 의한 디자인을 실시해도 된다. 또한 액불투과성 시트의 외측에, 가랑이부 외장시트와는 별도 부재인, 인쇄 또는 착색을 실시한 디자인 시트를 부착해도 된다. 또한, 액불투과성 시트의 내측에 배뇨를 시각적 변화에 의해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를 구비해도 된다.
(배리어 커프스)
제품의 양측에 형성된 배리어 커프스(60, 60)는, 탑시트(30)상을 거쳐 옆방향으로 이동하는 오줌이나 무른 변을 저지하여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지만 부가적인 요소이다.
도시한 배리어 커프스(60)는 발수성 부직포 등의 배리어 시트(64)를 2중으로 형성한 것으로서, 흡수 요소(50)의 이면측으로부터 탑시트(30)의 아래쪽으로 꺾여 들어간 부분을 덮고, 표면측에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탑시트(30)상을 거쳐 옆방향으로 이동하는 오줌을 저지하기 위해, 배리어 커프스(60)를 형성하는 2중의 배리어 시트(64) 사이에 제2 액불투과성 시트(72)를 개재시키고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2중의 배리어 시트(64) 사이에 액불투과성 시트(70)의 측부를 삽입하고, 표면측에 돌출하는 배리어 커프스(60)의 도중까지 연장하여 존재시켜도 된다.
또한, 배리어 커프스(60) 자체의 형상은 적절하게 설계 가능하지만, 도시한 예에서는, 배리어 커프스(60)의 돌출부의 선단부 및 중간부에 탄성신축부재, 예를 들면 실고무(62)가 신장하에서 고정되어, 사용 상태에 있어서 그 수축력에 의해 배리어 커프스(60)가 기립하도록 되어 있다. 중간부의 실고무(62)가 선단부의 실고무(62, 62)보다도 중앙측에 위치하여 탑시트(30)의 전후단부에 고정되는 관계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리어 커프스(60)의 기부측(基部側)은 중앙측을 향해 비스듬히 기립하고, 중간부에서 선단부는 외측으로 비스듬히 기립하는 형태가 된다.
(흡수 요소)
흡수 요소(50)는 흡수체(56)와, 이 흡수체(56)의 적어도 이면 및 측면을 감싸는 포피(包被) 시트(58)를 가진다. 포피 시트(58)는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한 형태에서는 흡수체(56)와 포피 시트(58)의 이면측 부위(아래쪽 부분) 사이에 유지 시트(80)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 유지 시트(80)는 생략할 수도 있다.
(흡수체)
흡수체(56)는 면형상 펄프 등의 단섬유를 적섬(積纖)한 것 외에, 필라멘 트(52, 52…)의 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 등도 사용할 수 있다.
필라멘트(52, 52…)의 집합체는 토우(섬유다발)를 개섬(開纖)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토우 구성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다당류 또는 그 유도체(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키틴, 키토산 등), 합성 고분자(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락타아미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등) 등을 이용할 수 있는데, 특히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및 셀룰로오스가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로서는, 면, 린터(linter), 목재 펄프 등 식물체 유래의 셀룰로오스나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이어도 되고, 재생 셀룰로오스는 방사된 섬유이어도 된다.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 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유기산 에스테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프탈레이트, 질산아세트산 셀룰로오스 등의 혼산 에스테르; 및 폴리카프로락톤 그라프트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등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유도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셀룰로오스 에스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의 점도 평균 중합도는 예를 들면 50∼900, 바람직하게는 200∼800 정도이다.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의 평균 치환도는 예를 들면 1.5∼3.0(예를 들면, 2∼3) 정도이다.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의 평균 중합도는 예를 들면 10∼1000, 바람직하게는 50∼9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800 정도로 할 수 있고,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의 평 균 치환도는 예를 들면 1∼3 정도, 바람직하게는 1∼2.15, 더욱 바람직하게는 1.1∼2.0 정도로 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의 평균 치환도는 생분해성을 높이는 등의 관점에서 선택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 에스테르로서는, 유기산 에스테르(예를 들면, 탄소수 2∼4 정도의 유기산과의 에스테르), 특히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가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의 아세트화도는 43∼62% 정도인 경우가 많은데, 특히 30∼50% 정도이면 생분해성도 뛰어나므로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는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이다.
토우 구성 섬유는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열 안정화제, 착색제, 유제(油劑), 수율 향상제, 백색도 개선제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토우 구성 섬유의 섬도(纖度;fineness)는 예를 들면 1∼16데니어, 바람직하게는 1∼10데니어, 더욱 바람직하게는 1∼6데니어가 바람직하다. 토우 구성 섬유는 비권축(非捲縮) 섬유이어도 되지만, 권축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권축 섬유의 권축도는 예를 들면 1인치당 5∼75개, 바람직하게는 10∼50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15∼50개 정도로 할 수 있다. 또한 균일하게 권축한 권축 섬유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권축 섬유를 이용하면, 부피가 크고 경량인 흡수체를 제조할 수 있는 동시에, 섬유간의 얽힘에 의해 일체성이 높은 토우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토우 구성 섬유의 단면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원형, 타원형, 이형(異形)(예를 들면, Y자형상, X자형상, I자형상, R자형상 등)이나 중공(中空)형상 등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토우 구성 섬유는 예를 들면 1,000∼1,000,000개, 바람직하게 는 2,000∼1,000,000개 정도의 단섬유를 묶음으로써 형성된 토우(섬유다발)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섬유다발은 1,000∼1,000,000개 정도의 연속 섬유를 묶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의 토우의 베일은 셀라니즈사나 다이셀카가쿠고교 등에 의해 시판되고 있다.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의 토우의 베일은 밀도는 약 0.5g/㎤이고, 총 중량은 400∼600kg이다. 이 베일로부터 토우를 떼어내, 소망하는 사이즈, 부피가 되도록 넓은 띠형상으로 개섬한다. 토우의 개섬폭은 임의이며, 예를 들면 폭 50∼2000㎜, 바람직하게는 제품의 흡수체 폭의 50∼300㎜ 정도로 할 수 있다. 또한, 토우의 개섬 정도를 조정함으로써 흡수체의 밀도를 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56) 중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 54…)를 포함시킨다. 그리고 적어도 액 수용영역에 있어서, 필라멘트(52, 52…)의 집합체에 대하여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SAP 입자)가 실질적으로 두께방향 전체에 분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질적으로 두께방향 전체에 분산되어 있는 상태를 도 3의 요부 확대도로서 개념적으로 나타내었다.
흡수체(56)의 상부, 하부, 및 중간부에 SAP 입자가 없거나, 혹은 있어도 매우 적을 경우에는 '두께방향 전체에 분산되어 있다'라고는 말할 수 없다. 따라서, '두께방향 전체에 분산되어 있다'라는 것은, 필라멘트의 집합체에 대하여, 두께방향 전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형태 이외에, 상부, 하부 및 또는 중간부에 '편재(偏在)하고' 있지만, 여전히 상부, 하부 및 중간부의 각 부분에 분산되어 있는 형태도 포함된다. 또한, 일부의 SAP 입자가 필라멘트(52, 52…)의 집합체 중에 침입하지 않고 그 표면에 잔존하고 있는 형태나, 일부의 SAP 입자가 필라멘트(52, 52…)의 집합체를 빠져나가 포피 시트(58)상에 있는 형태나 유지 시트(80)상에 있는 형태도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란, '입자' 이외에 '분체'도 포함한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의 입경은 이러한 종류의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는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1000㎛ 이하, 특히 150∼400㎛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의 재료로서는 특별한 한정 없이 이용할 수 있지만, 흡수량이 40g/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로서는 전분계, 셀룰로오스계나 합성 폴리머계 등의 것이 있으며, 전분-아크릴산(염) 그라프트 공중합체, 전분-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비누화물, 나트륨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의 가교물이나 아크릴산(염) 중합체 등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의 형상으로서는, 통상 이용되는 분립체(粉粒體)형상의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형상의 것도 이용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로서는 흡수 속도가 40초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흡수 속도가 40초를 넘으면, 흡수체(56) 내에 공급된 액이 흡수체(56) 밖으로 도로 나와버리는 소위 복귀를 발생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로서는 겔 강도가 1000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로 인해, 부피가 큰 흡수체(56)로 한 경우에도 액 흡수 후의 끈적임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의 무게는 상기 흡수체(56)의 용도에서 요구되는 흡수량에 따라 적절히 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일괄적으로 말할 수는 없지만, 50∼350g/㎡로 할 수 있다. 폴리머의 무게를 50g/㎡ 이하로 함으로써, 폴리머의 중량에 의해, 합성 연속 섬유를 채용함으로써 경량화 효과가 발휘되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350g/㎡를 넘으면 효과가 포화될 뿐만 아니라,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의 과잉으로 인해 까끌까끌한 위화감을 주게 된다.
필요하다면,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는 흡수체(56)의 평면방향에서 산포(散布)밀도 혹은 산포량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의 배설 부위를 다른 부위보다 산포량을 많게 할 수 있다. 남녀차를 고려할 경우, 남자용은 앞쪽의 산포밀도(량)를 높이고, 여자용은 중앙부의 산포밀도(량)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흡수체(56)의 평면방향에 있어서 국소적(예를 들면 스팟형상)으로 폴리머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로서, 입경분포가 다른 복수개를 준비하고 두께방향으로 순차 공급하여, 흡수체(56) 내의 아래쪽에 입경분포가 작은 것을, 위쪽에 입경분포가 큰 것을 분포시킬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와 연속섬유의 비율은 흡수 특성을 좌우한다. 흡수체(56)에 있어서의 액을 직접 수용하는 영역에서의 5㎝×5㎝의 평면면적 내에 있어서의 중량비로서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연속 섬유 중량이 1∼14, 특히 2∼9인 것이 바람직하다.
(포피 시트)
포피 시트(58)를 이용할 경우, 그 소재로서는 티슈페이퍼, 특히 크레이프지, 부직포, 폴리라미(polylami) 부직포, 작은 구멍이 뚫린 시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단,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빠져 나오지 않는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크레이프지 대신에 부직포를 사용할 경우, 친수성의 SMMS(스펀 본드/멜트블로운/멜트블로운/스펀 본드) 부직포가 특히 바람직하며, 그 재질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무게는 5∼40g/㎡, 특히 10∼30g/㎡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포피 시트(58)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속 섬유(52, 52…)의 집합체 및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 54…)의 층 전체를 감싸는 형태 이외에, 그 층의 이면 및 측면만을 포피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흡수체(56)의 상면 및 측면만을 크레이프지나 부직포로 덮고, 하면을 폴리에틸렌 등의 액불투과성 시트로 덮는 형태, 흡수체(56)의 상면을 크레이프지나 부직포로 덮고, 측면 및 하면을 폴리에틸렌 등의 액불투과성 시트로 덮는 형태 등이어도 된다(이들 각 소재가 포피 시트의 구성 요소가 됨). 필요하다면, 연속 섬유(52, 52…)의 집합체 및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 54…)의 층을 상하 2층의 시트 사이에 끼우는 형태나 하면에만 배치하는 형태이어도 되지만,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이동을 방지하기 어려우므로 바람직한 형태는 아니다.
(유지 시트)
유지 시트(80)를 형성할 경우, 유지 시트(80)와 흡수체(56)상의 사이에는 고 흡수성 폴리머 입자(54)를 그 산포 등에 의해 개재시킬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는, 연속 섬유(52)의 집합체에의 공급시 또는 그 후의 공정, 혹은 소비자가 사용하기까지의 유통 과정에서 연속 섬유(52)의 집합체를 빠져 나가는 경우가 있다. 연속 섬유의 집합체를 빠져 나간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군의 요철은 소비자가 사용시에 손으로 만졌을 때 까끌까끌한 위화감을 준다. 따라서, 흡수체(56)와 포피 시트(58) 사이에 고흡수성 폴리머(54)의 유지 성능을 가지는 유지 시트(80)를 개재시키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이 유지 시트(80)는 티슈페이퍼(크레이프지) 등의 포피 시트(58)만으로는 부족한 탄력을 보강하여, 소비자가 사용시에 손으로 만졌을 때의 위화감을 경감 또는 방지한다.
유지 시트(80)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고흡수성 폴리머(54)의 유지 성능을 가지는 것이면 충분하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부직포, 권축 펄프, 저흡수성의 코튼 섬유(예를 들면, 미(未)탈지 코튼 섬유, 탈지된 코튼 섬유, 레이온 섬유를 발수제나 소수화제(疎水化劑)로 처리한 것 등), 폴리에틸렌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아크릴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견, 면, 마, 나일론, 폴리우레탄, 아세테이트 섬유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유지 시트(80)를 부직포로 할 경우, 그 유지 시트(80)는 KES 시험에 기초한 압축 에너지가 0.01∼10.00gf㎝/㎠, 바람직하게는 0.01∼1.00gf㎝/㎠이고, 또한 압축 리질리언스(resilience)가 10∼100%, 바람직하게는 70∼100%인 부직포이면 된다.
유지 시트(80)를 형성하는 이유는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흡 수체(56)로부터 아래쪽으로 떨어진(빠져 나온) 고흡수성 폴리머(54)를 유지하는 것에 있다. 따라서, 빠져 나온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에 대하여, 포피 시트(58) 및 유지 시트(80)를 사이에 두고 사용자에게 접촉시키므로, 사용자에게 까끌까끌한 위화감으로서 전해질 우려가 없다. 특히 상기의 수축 에너지 및 압축 리질리언스인 부직포라면, 그 기능이 충분히 발휘된다.
또한, 빠져 나온 고흡수성 폴리머(54)는 유지 시트(80)에 의해 유지되며, 포피 시트(58)상을 이동할 일이 없기 때문에, 흡수 능력의 편재가 발생할 우려도 없다. 특히, 유지 시트(80)상을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리 점착성을 가지는 핫멜트 접착제 등을 유지 시트(80)상에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유지 시트(80)의 상면(사용면측을 향하는 면)을 조면(粗面)으로 함으로써, 유지 시트(80)상을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해도 된다. 이를 위한 조면화 또는 보풀 기립 수단으로서는, 부직포의 제조시에 있어서의 네트면이 아닌 비(非)네트면으로 하는 방법, 마블 가공을 행하는 방법, 니들 펀치에 의해 가공하는 방법, 브러싱 가공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시트(8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56)의 아래쪽에만 형성해도 되고,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흡수체(56)의 측면을 지나 흡수체(56)의 상면에까지 감아 올려 연장하여 존재시켜도 된다. 또한, 유지 시트(80)를 복수장 겹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예는 흡수체(56)와 포피 시트(58)의 이면측 부위 사이에 유지 시트(58)를 형성한 예이지만, 유지 시트는 포피 시트보다 이면측이어도 되며(그 형태는 도 시하지 않음), 요컨대 흡수체(56)에 대하여 이면측에 유지 시트를 형성하면, 제품의 이면에서 만지는 경우의 까끌까끌한 위화감을 경감시키거나 혹은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가랑이부 외장시트)
흡수성 본체(20)의 이면측에는 제품 외면에 노출되는 가랑이부 외장시트(12M)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랑이부 외장시트(12M)의 소재로서는 배측 외장시트(12F) 및 등측 외장시트(12B)와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지만, 보다 고강도의 소재나 소취제를 함유하는 것 등, 배측 외장시트(12F) 및 등측 외장시트(12B)와는 다른 소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PP, PP/PE, PP/PET 등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스펀 본드 부직포, 멜트블로운 부직포, 포인트 본드 부직포, 에어스루 부직포, 에어 포인트 부직포, 스펀 레이스 부직포, SMS 부직포 등의 각종 부직포, 혹은 이것에 소취제 등을 첨가한 것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조합은, 배측 외장시트(12F) 및 등측 외장시트(12B)에 있어서의 외면측 시트(S1)를 SMS 부직포 등의 S층 및 M층을 가지는 적층 부직포로 하고, 내면측 시트(S2)를 PP/PE의 스펀 본드 부직포로 하고, 가랑이부 외장시트(12M)를 PP/PE의 스펀 본드 부직포로 하는 조합이다.
가랑이부 외장시트(12M)에는 앉은 자세일 때에 높은 체압이 걸린다. 따라서, 마찰 견뢰도(colorfastness to rubbing)가 높은(보풀이 일지 않음) 특성을 가지는 소재가 바람직하고, 특히 이하의 마찰 견뢰도 시험에서 '◎' 또는 '○'의 평가가 얻어지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찰 견뢰도 시험)
마찰 견뢰도는 JIS L O849에 준거하여 다음 방법으로 측정한다. 즉, 250㎜×25㎜의 마찰 견뢰도 측정용 시트편을 작성하고, 측정용 시트편의 외면측(흡수성 본체의 외면측)의 마찰 견뢰도를 측정한다. 마찰 견뢰도의 측정에는 예를 들면 컬러 패스트니스 러빙 테스터(COLOR FASTNESS RUBBING TESTER:테스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형식;AB-301)를 사용할 수 있다. 측정은 마찰 시험기 Ⅱ형을 사용하고, 50회의 진동을 가하여 행한다. 시험 결과 얻어지는 측정용 시트편을 육안으로 한도 견본과 비교하여, {◎:꼬임 및 보풀이 없음, ○:꼬임 없음, 보풀 일어남, △:꼬임 있음, 보풀 일어남, ×:부직포가 파단함)의 4단계로 평가한다.
가랑이부 외장시트(12M)는 인쇄나 착색을 행하여 디자인 요소를 구비한 시트로 해도 된다. 상술한 디자인 시트와 병용할 경우에는 각각의 디자인이 겹치지 않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랑이부 외장시트(12M)로서 신축 부직포를 이용하고, 흡수성 본체(20)의 길이방향으로 신장하여 부착하면, 가랑이부의 피트성이 향상하므로 바람직하다.
흡수체(56)가 섬유 무게 100g/㎡ 이하이고 고흡수 폴리머 무게가 100g/㎡ 이상인 초박형 흡수체일 경우, 흡수체(56)의 탄력이 없기 때문에, 장착의 용이함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가랑이부에 있어서 탄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한편, 배부분 및 등부분에 있어서는 탄력이 그다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흡수체(56)로 일반적인 것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물론이지만, 이러한 탄력이 없는 흡수체를 이용하는 형태에서는 특히, 가랑이부 외장시트(12M)에 강도(탄력도)가 높은 시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굴곡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랑이부 외장시트(12M)에는, 클락(Clark)법(JISL1O96 C법)에 의해 측정되는 강연도(剛軟度)의, 시트의 MD방향과 CD방향의 합이 1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인 시트를 이용하고, 배측 및 등측 외장시트(12F, 12B)를 구성하는 시트(S1, S2)에는, 각각에 대하여 강연도의 MD방향과 CD방향의 합이 100㎜ 이하, 특히 80㎜ 이하인 시트를 이용하면 좋다.
도시한 예에서는, 배측 및 등측 외장시트(12F, 12B)와 흡수성 본체(20)가 겹쳐지는 부분에 있어서, 가랑이부 외장시트(12M)는 흡수성 본체(20)와 배측 및 등측 외장시트(12F, 12B) 사이에 끼여 있지만, 배측 및 등측 외장시트(12F, 12B)의 외측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후자의 형태는 후술하는 도 7에 나타내는 형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고, 또한 가랑이부 외장시트(12M)의 양측에 탄성부재를 배치할 때에 특히 바람직하다.
가랑이부 외장시트(12M)는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흡수성 본체(20)의 이면, 및 배측 및 등측 외장시트(12F, 12B)의 내면 혹은 외면에 부착된다.
특징적으로는, 흡수성 본체(20)의 이면에 있어서의 전후방향 범위로서, 전단에서 배측 외장시트(12F)의 가랑이측 끝가장자리에서 전단측의 소정위치까지의 외장 비겹침부분(20F)과, 이 외장 비겹침부분(20F)의 가랑이측 끝가장자리에서 배측 외장시트(12F)의 가랑이측 끝가장자리까지의 외장 겹침부분(X)과, 중간부(23)와, 후단에서 배측 외장시트(12F)의 가랑이측 끝가장자리에서 후단측의 소정위치까지의 외장 비겹침부분(20B)과, 이 외장 비겹침부분(20B)의 가랑이측 끝가장자리에서 등 측 외장시트(12B)의 가랑이측 끝가장자리까지의 외장 겹침부분(Z)을 가지고 있고, 가랑이부 외장시트(12M)를, 앞쪽의 외장 겹침부분(X)에서 중간부(23)를 거쳐 뒤쪽의 외장 겹침부분(Z)까지의 범위(20M)에만 형성하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앞쪽의 외장 겹침부분(X)에서 중간부(23)를 거쳐 뒤쪽의 외장 겹침부분(Z)까지의 범위(20M)의 전체가 가랑이부 외장시트(12M)에 의해 피복되어 있지만, 후술하는 도 10에 나타내는 형태로부터도 알 수 있듯이, 일부는 외장시트(12M)에 의해 피복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액불투과성 시트(70)의 이면측에 형성된 시트(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장시트(12F, 12B)의 구성 시트(S1, S2), 및 가랑이부 외장시트(12M)의 구성 시트)의 매수는, 중간부(23)에서의 매수를 B1이라고 하고, 앞쪽 외장 겹침부분(X) 및 뒤쪽 외장 겹침부분(Z)에서의 매수를 A1이라고 하고, 앞쪽 외장 비겹침부분(20F) 및 뒤쪽 외장 비겹침부분(20B)에서의 매수를 C1이라고 했을 때, 특히 B1<C1<A1의 관계에 있다. 이 관계를 만족시키는 한 각 매수는 한정되지 않지만, B1은 0장 이상, 특히 1장인 것이 바람직하고, A1은 B1과의 차이가 2장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A1은 상한을 5장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조합 중 하나는 B1이 1장, C1이 2장, A1이 3장이다. 앞쪽 및 뒤쪽에서의 겹침 매수는 같게 할 수도, 또한 다르게 할 수도 있다. 한편, 각 부의 통기성이나 강성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부재, 예를 들면 면적이 작은 후처리 테이프 등에 대해서는 이들 매수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몸통둘레부와 흡수성 본체(20)의 겹침부분에 차지 하는 가랑이부 외장시트(12M)의 비율이 저감하고, 그만큼 몸통둘레부에서의 통기성이 향상하게 된다. 또한, 몸통둘레부의 통기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가랑이부 외장시트(12M)에 소취제를 함유시켜 소취 기능을 발휘시키거나, 혹은 가랑이부 외장시트(12M)에 있어서의 소재를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강도 향상 등을 도모할 수 있다.
각 부의 전후방향 길이는 적절히 정할 수 있다. 특히, 가랑이부 외장시트(12M)의 전단부와 배측 외장시트(12F)의 가랑이측 단부가 겹쳐지는 외장 겹침부분(X)의 전후방향 길이, 및 가랑이부 외장시트(12M)의 후단부와 등측 외장시트(12B)의 가랑이측 단부가 겹쳐지는 외장 겹침부분(Z)의 전후방향 길이는 예를 들면 각각 0∼100㎜로 할 수 있고, 10∼80㎜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20∼60㎜이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배측 외장시트(12F) 및/또는 등측 외장시트(12B)가, 본체부와 연장부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취할 경우에는, 외장 겹침부분(X) 및/또는 외장 겹침부분(Z)의 전후방향 길이는, 배측 등측(앞쪽 뒤쪽) 각각의 측에 있어서의 연장부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고, 또한 연장부의 전후방향 길이의 1/2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들 겹침길이가 과도하게 커지면, 몸통둘레부의 통기성의 저하를 방지하기 어려워진다. 이들 겹침길이가 과도하게 작아지면, 소망하는 탄력도가 얻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가랑이부 외장시트(12M)의 전단과 배측 외장시트(12F)의 하단 사이, 및 가랑이부 외장시트(12M)의 후단과 등측 외장시트(12B)의 하단 사이를 이간시켜도 된다.
또한, 액불투과성 시트의 이면측에 형성된 시트의 평량은, 중간부(23)에서의 평량을 B2라고 하고, 앞쪽 외장 겹침부분(X) 및 뒤쪽 외장 겹침부분(Z)에서의 평량 을 A2라고 하고, 앞쪽 외장 비겹침부분(20F) 및 뒤쪽 외장 비겹침부분(20B)에서의 평량을 C2라고 했을 때, 특히 B2<C2<A2의 관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관계를 만족시키는 한, 각 평량은 한정되지 않지만, B2는 0∼25g/㎡, C2는 10∼50g/㎡, A2는 15∼75g/㎡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가랑이부 외장시트(12M)가 흡수성 본체(20)와 동일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바꿔 말하면 가랑이부 외장시트(12M)의 양측 가장자리(폭방향 양단)가 흡수성 본체(20)의 양측 가장자리(폭방향 양단)에 맞춰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흡수성 본체(20) 이면에 있어서의 소정의 전후방향 범위(20M)가 폭방향 전체에 걸쳐 가랑이부 외장시트(12M)에 의해 덮여, 가랑이부 외장시트(12M)가 흡수성 본체(20)로부터 삐져나오지 않기 때문에 가랑이부에 있어서의 외관이 깔끔해진다.
단, 본 발명의 가랑이부 외장시트(12M)의 폭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랑이부 외장시트(12M)에 있어서의 전후방향의 전부(일부라도 좋음)를 흡수성 본체(20)보다도 폭 넓게 형성할 수 있다. 가랑이부 외장시트(12M)의 폭을 흡수성 본체(20)에 대하여 어느 정도 넓힐지는 적절히 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10∼60㎜(한쪽에서 5∼30㎜) 정도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흡수성 본체(20)의 폭방향 양측에 가랑이부 외장시트(12M)가 삐져나오기 때문에, 이 양측의 부분에 탄성신축부재를 배치하여 다리둘레에의 피트성을 높이거나, 가랑이부 외장시트(12M)에 소취제를 함유시킴으로써 다리둘레에 있어서의 소취 성능을 향상시키거나 할 수 있다.
반대로,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랑이부 외장시트(12M)에 있어서의 전후방향의 전부(일부라도 좋음)를 흡수성 본체(20)보다도 폭 좁게 형성할 수 있다. 가랑이부 외장시트(12M)의 폭을 흡수성 본체(20)에 대하여 어느 정도 좁게 할지는 적절히 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10∼60㎜ 정도 좁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재 비용을 낮게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가랑이부에서의 통기성도 향상한다.
한편, 가랑이부 외장시트(12M)의 폭을 흡수성 본체(20)보다도 좁게 하면, 구조에 따라서는 가랑이부 외장시트(12M)의 폭방향 양측에 흡수성 본체(20)의 이면이 노출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리어 커프스(60)를 구성하는 배리어 시트(64)가, 흡수성 본체(20)의 이면의 폭방향 양 측부까지 돌아 들어가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고, 가랑이부 외장시트(12M)의 폭방향 양 단부가, 흡수성 본체(20) 이면의 폭방향 양 측부까지 연장하여 존재하는 배리어 시트(64)의 각 단부와 소정의 폭방향의 겹침길이(W)를 가지고 겹쳐 있기 때문에, 가랑이부 외장시트(12M)의 폭방향 양측에 흡수성 본체(20)의 이면이 노출될 일은 없다.
한편, 가랑이부 외장시트(12M)는 그 피복 범위 전체를 1장으로 덮도록 구성해도 되지만,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가랑이부 외장시트(12M)를 전후방향 및 폭방향 중 적어도 한쪽에 인접하거나 또는 간격을 비우고 나란히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가랑이부 외장시트(12M)는 인접하고 있어도 되지만, 소정의 간격(d)을 비우고 형성하면, 소재 사용량을 억제하고 또한 통기성을 향상시키면서, 보다 광범위에 걸쳐 흡수성 본체(20)의 이면을 덮을 수 있다. 이 간격(d)은 적절히 정할 수 있는데, 통상의 경우 5∼30㎜ 정도로 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간격(d)을 비우고 복수의 가랑이부 외장시트(12M)를 형성할 경우, 액불투과성 시트(70)의 흡수체(56) 측면에서 흡수체(56)의 액불투과성 시트(70) 측면까지의 두께방향 범위 내에, 간격(d)을 비운 부위와 겹쳐지도록, 액의 흡수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i)가 형성되어 있으면, 인디케이터(i)의 표시를 가랑이부 외장시트(12M)를 통해서가 아니라, 가랑이부 외장시트(12M)를 가지지 않는 부분을 통해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시인성이 양호해진다. 물론, 흡수성 본체(20)에 있어서의 가랑이부 외장시트(12M)를 가지지 않는 부분이라면, 다른 부위에 인디케이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인디케이터(i)로서는, 액과의 접촉에 의해 색이 변화하는 도료를 액불투과성 시트(70)의 흡수체(56) 측면에 도포하거나, 흡수체(56)의 액불투과성 시트(70) 측면에 도포함으로써, 혹은 액과의 접촉에 의해 색이 변화하는 도료를 도포한 부재를 액불투과성 시트(70)와 흡수체(56) 사이에 개재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전후방향으로 복수의 가랑이부 외장시트(12M)를 나란히 형성하고 있지만, 폭방향으로 복수의 가랑이부 외장시트(12M)를 나란히 형성할 수도 있다. 특히, 폭방향 중앙에 소정의 간격을 비우고, 그 양측에 가랑이부 외장시트(12M)를 각각 형성하는 것은 바람직한 형태이다(도시 생략).
(둔부 피트용 탄성신축부재에 대하여)
상술한 대로, 가랑이부 외장시트(12M)를 가지는 구조에서는, 외장의 시트의 겹침 매수가 변화하는 부분에서 외장의 탄력이 변화하기 때문에, 특히 등측부분에 서 도 20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것과 같은 굴곡 현상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1∼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20)에 있어서의 흡수 요소(50)보다도 이면측에 있어서, 적어도 후단부(22) 내의 부위에서 중간부(23) 내의 부위까지의 전후방향 범위에 걸쳐, 탄성신축부재(25)가 전후방향을 따라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형태도 제안된다. 이와 같이 탄성신축부재(25)를 형성함으로써, 탄성신축부재(25)의 수축력이 외장경계(BL)를 넘는 범위에 걸쳐 작용하고, 그 부분이 신체 표면을 따라 피트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은 굴곡 현상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도시한 형태에서는 탄성신축부재(25)로서 실고무와 같은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를 채용하고 있지만, 띠형상이나 망형상 등의 폭 넓은 탄성신축부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탄성신축부재(25)의 치수나 신장율, 배치 등은 본 발명의 접힘 방지 효과가 발휘되도록 적절히 정할 수 있다.
탄성신축부재(25)를 형성하는 전후방향 범위(25L)(바꿔 말하면 탄성신축부재(25)의 신축력을 받는 전후방향 범위)는 적절히 정할 수 있는데, 흡수성 본체(20)에 있어서의 중간부(23)와 후단부(22)의 경계(BL)를 기준으로 하여 후단부(22)측에 5∼180㎜, 바람직하게는 10∼90㎜의 위치에서 중간부(23)측으로 5∼180㎜, 바람직하게는 10∼90㎜의 위치까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전후방향 범위(25L)는 지나치게 좁게 하면 접힘 방지 효과가 부족하게 되고, 과도하게 넓히면 접힘 방지 효과는 변함없이 발휘되지만 외관의 악화나 비용 증가를 초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통상의 경우, 탄성신축부재(25)는 제품 전후방향 중앙(CL)을 기준으로 하여, 등측에 5㎜의 위치에서 180㎜의 위치까지의 전후방향 범위(25L) 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배측에는 동일한 탄성신축부재를 형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한 예와 같이 탄성신축부재(25)를 가랑이부 외장시트(12M) 사이에 끼울 경우, 탄성신축부재(25)의 등측 단은 가랑이부 외장시트(12M)의 등측 단에서 가랑이측에 이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이간거리(25Y)는 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신축부재(25)는 흡수 요소(50)보다도 이면측에 배치되는 한, 두께방향의 어느 곳에 형성해도 되지만, 도시한 예에서는 액불투과성 시트(70)와 가랑이부 외장시트(12M) 사이에만 형성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가랑이부 외장시트(12M)를 배측 및 등측 외장시트(12F, 12B)의 외측에 부착하고, 탄성신축부재(25)를 중간부(23)에서는 액불투과성 시트(70)와 가랑이부 외장시트(12M) 사이에 끼우고, 후단부(22)에서는 등측 외장시트와 가랑이부 외장시트(12M) 사이에 끼우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탄성신축부재(25)로서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를 이용할 경우, 그 폭방향의 위치는 적절히 정하면 되는데, 도시한 예와 같이 흡수성 본체(20)에 있어서의 폭방향 중앙 및 폭방향 양 사이드부의 각각에만 전후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이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25)를 3열 형성할 경우, 각 탄성신축부재(25)로서, 굵기 470∼1000dtex의 실고무(합성 고무의 경우. 천연 고무의 경우에는 단면적 0.1∼1.0㎟ 정도)를 150∼220%의 신장율로, 폭 방향으로 10∼100㎜, 특히 30∼70㎜의 간격(D)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신축부재(25)의 수축력의 작용이 불충분하면 접힘이 발생하기 쉬워지고, 또한 수축력이 지나치게 강하면 반대로 접힘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폭방향 양 사이드에 위치하는 탄성신축부재(25)와 흡수성 본체(20)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의 이간거리(25D)는 0∼60㎜, 특히 10∼4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이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25)를 3열 형성할 경우, 폭방향 중앙부에 형성된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25)의 신장율을, 폭방향 양 사이드부에 형성된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25)의 신장율보다도 높게 하면 특히 바람직하다.
탄성신축부재(25)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20)에 있어서의 폭방향 양 사이드부의 각각에만 전후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각 탄성신축부재(25)로서, 굵기 470∼1000dtex의 실고무(합성 고무의 경우. 천연 고무의 경우에는 단면적 0.1∼1.0㎟ 정도)를 150∼220%의 신장율로, 폭방향으로 20∼180㎜, 특히 60∼140㎜의 간격(D)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폭방향 양 사이드에 위치하는 탄성신축부재(25)와 흡수성 본체(20)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의 이간거리(25D)는 0∼60㎜, 특히 10∼4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의 용착에 의한 탄성신축부재의 고정방법)
상술한 각종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15, 16, 25 등)는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에 의해 인접 시트에 고정하는 방법 외에,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통 기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고정할 수 있다.
도 18은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EL)에 인장력을 건 상태에서,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EL)를 사이에 끼우기 위한 시트(ST, ST)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용착됨으로써,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EL)가 시트(ST, ST)와의 마찰력에 의해 고정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 중의 부호 M은 용착부분을 나타내고 있고, 부호 N은 비용착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함으로써,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EL)를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EL)가 접착되어 있지 않음으로 인해, 통기성이나 유연함이 확보된 신축부를 형성할 수 있다. 용착은 초음파 용착 또는 열 용착으로 할 수 있다. 단,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EL)나 시트(ST, ST) 주변부에 부여하는 열 및 압력의 영향이 열 용착보다도 초음파 용착쪽이 적기 때문에, 초음파 용착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도 19는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EL)에 인장력을 건 상태에서,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EL)의 폭방향의 양 단부와, 시트(ST, ST)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용착됨으로써,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EL)가 시트(ST, ST)와의 마찰력 및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EL)의 폭방향의 단부의 접착력에 의해 시트(ST, ST)에 고정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 중의 부호 M은 용착부분을 나타내고 있고, 부호 N은 비용착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함으로써, 시트(ST, ST)와의 마찰력에 더하여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EL)의 폭방향의 단부의 접착력에 의해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EL)가 보다 강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접착은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EL)의 폭방향의 단부뿐이므로,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EL)의 열화나 절단의 우려는 없다.
또한,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EL)가 시트(ST, ST)와의 마찰력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는,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EL)에 인장력을 건 상태에서,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EL)의 폭방향의 양 단부 근방에서 내측 층과 외측 층을 간헐적으로 용착하고,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EL)를 시트(ST, ST)에 고정하는 것으로, 그 후에 부하를 없애면(노텐션),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EL)의 단면 바깥지름이 커지고, 시트(ST, ST)와의 용착부분에 의해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EL)의 폭방향을 양 측부로부터 사이에 끼우도록 압력이 걸리게 된다. 그 결과,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EL)를 접착제로 고정하지 않고, 시트(ST, ST)와의 마찰력에 의해서만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EL)가 고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미리 팬츠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6)
- 장착자의 몸통둘레 중 배측을 덮는 배측 외장시트와 등측을 덮는 등측 외장시트로 이루어지고, 배측 외장시트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의 접합부와 등측 외장시트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의 접합부가 접합되는 동시에, 배측 외장시트와 등측 외장시트가 가랑이측에서 연속하지 않고 이간되어 형성된 통형상의 몸통둘레부와,전단부(前端部)가 상기 배측 외장시트의 폭방향 중앙부 내면에 연결되는 동시에, 후단부가 상기 등측 외장시트의 폭방향 중앙부 내면에 연결되고, 이들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의 중간부가 상기 가랑이측에 있어서의 배측 외장시트와 등측 외장시트의 이간부분으로부터 외면에 노출되고, 또한 등측에서 가랑이부를 지나 배측까지를 덮는 흡수성 본체를 구비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상기 흡수성 본체는, 표면에 배치된 액투과성 탑시트와, 이면측에 배치된 액불투과성 시트와, 이들 사이에 형성된 액을 흡수하여 유지하는 흡수 요소를 가지고 있으며,상기 흡수성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액불투과성 시트의 이면측에, 제품 외면에 노출되는 가랑이부 외장시트가 적층되어 있고, 이 가랑이부 외장시트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전단과 상기 배측 외장시트의 가랑이측 끝가장자리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후단과 상기 등측 외장시트의 가랑이측 끝가장자리 사이의 위치까지의 전후방향 범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상기 흡수성 본체의 전단에서 상기 가랑이부 외장시트의 전단까지의 전후방 향 범위로서 정해지는 앞쪽 외장 비겹침부분과, 상기 가랑이부 외장시트의 전단부와 상기 배측 외장시트의 가랑이측 단부가 겹쳐지는 앞쪽 외장 겹침부분과, 상기 흡수성 본체의 후단에서 상기 가랑이부 외장시트의 후단까지의 전후방향 범위로서 정해지는 뒤쪽 외장 비겹침부분과, 상기 가랑이부 외장시트의 후단부와 상기 등측 외장시트의 가랑이측 단부가 겹쳐지는 뒤쪽 외장 겹침부분을 가지고 있으며,상기 액불투과성 시트의 이면측에 형성된 시트의 매수가, 상기 중간부에서의 매수를 B1이라고 하고, 상기 앞쪽 외장 겹침부분 및 뒤쪽 외장 겹침부분에서의 매수를 A1이라고 하고, 상기 앞쪽 외장 비겹침부분 및 뒤쪽 외장 비겹침부분에서의 매수를 C1이라고 했을 때, B1<C1<A1의 관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액불투과성 시트의 이면측에 형성된 시트의 평량(坪量)이, 상기 중간부에서의 평량을 B2라고 하고, 상기 앞쪽 외장 겹침부분 및 뒤쪽 외장 겹침부분에서의 평량을 A2라고 하고, 상기 앞쪽 외장 비겹침부분 및 뒤쪽 외장 비겹침부분에서의 평량을 C2라고 했을 때, B2<C2<A2의 관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앞쪽 외장 겹침부분에서의 전후방향의 겹침길이, 및 상기 뒤쪽 외장 겹 침부분에서의 전후방향의 겹침길이가 각각 10∼90㎜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배측 외장시트 및/또는 등측 외장시트는, 상기 접합부와 동일한 상하방향 범위를 차지하는 본체부와, 이 본체부의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연장부를 가지고 있고,상기 앞쪽 외장 겹침부분에서의 전후방향의 겹침길이, 및/또는 상기 뒤쪽 외장 겹침부분에서의 전후방향의 겹침길이가, 앞쪽 뒤쪽 각각의 쪽에 있어서의 연장부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고, 또한 연장부의 전후방향 길이의 1/2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가랑이부 외장시트를 구성하는 시트는, 상기 배측 외장시트 및 등측 외장시트를 구성하는 시트보다도 강도(剛度)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흡수성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 요소보다도 이면측에, 적어도 상기 후단부 내의 부위에서 상기 중간부 내의 부위까지의 전후방향 범위에 걸쳐, 탄성신 축부재가 전후방향을 따라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 제6항에 있어서,상기 탄성신축부재가 상기 액불투과성 시트와 상기 가랑이부 외장시트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상기 탄성신축부재로서,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가 상기 흡수성 본체에 있어서의 폭방향 중앙 및 폭방향 양 사이드부(side portion)의 각각에 전후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 제8항에 있어서,상기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로서, 굵기 470∼1000dtex의 실고무가 150∼220%의 신장율로, 폭방향으로 10∼100㎜의 간격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상기 폭방향 중앙부에 형성된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의 신장율이, 상기 폭방향 양 사이드부에 형성된 가늘고 긴 형상 탄성신축부재의 신장율보다도 높 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탄성신축부재가, 상기 흡수성 본체에 있어서의 중간부와 후단부의 경계를 기준으로 하여 후단부측에 5∼180㎜ 및 중간부측에 5∼180㎜ 연장하여 존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가랑이부 외장시트가 상기 흡수성 본체와 동일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가랑이부 외장시트가 상기 흡수성 본체보다도 폭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가랑이부 외장시트가 상기 흡수성 본체보다도 폭 좁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중간부분에 복수의 가랑이부 외장시트가 소정의 간격을 비우고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 제15항에 있어서,적어도, 상기 중간부분의 상기 흡수성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가랑이부 외장시트를 가지지 않는 부분에, 액의 흡수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indicator)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6356350A JP4477622B2 (ja) | 2006-12-28 | 2006-12-28 | パンツ型紙おむつ |
JPJP-P-2006-356350 | 2006-12-28 | ||
JPJP-P-2007-022293 | 2007-01-31 | ||
JP2007022293A JP4549354B2 (ja) | 2007-01-31 | 2007-01-31 | パンツ型紙おむつ |
PCT/JP2007/075281 WO2008081930A1 (ja) | 2006-12-28 | 2007-12-28 | 紙おむ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98991A true KR20090098991A (ko) | 2009-09-18 |
KR101436022B1 KR101436022B1 (ko) | 2014-08-29 |
Family
ID=39588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7015628A KR101436022B1 (ko) | 2006-12-28 | 2007-12-28 | 일회용 기저귀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8282617B2 (ko) |
EP (1) | EP2105115B1 (ko) |
KR (1) | KR101436022B1 (ko) |
RU (1) | RU2434618C2 (ko) |
TR (1) | TR201806848T4 (ko) |
WO (1) | WO2008081930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17779A (ko) * | 2016-06-09 | 2019-02-20 |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TE409447T1 (de) | 2003-02-12 | 2008-10-15 | Procter & Gamble | Bequem windel |
ES2452317T3 (es) | 2003-02-12 | 2014-03-31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Núcleo absorbente para un artículo absorbente |
US8241263B2 (en) | 2005-08-26 | 2012-08-14 | Medline Industries, Inc. | Absorbent article |
TWI501757B (zh) * | 2008-12-24 | 2015-10-01 | Kao Corp | Wearing article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s |
JP5674303B2 (ja) * | 2009-11-06 | 2015-02-25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使い捨て着用物品 |
JP5346276B2 (ja) * | 2009-12-28 | 2013-11-20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着用物品 |
DE102010026643A1 (de) * | 2010-07-09 | 2012-01-12 | Paul Hartmann Ag | Absorbierende Inkontinenzwegwerfwindel mit Seitenabschnitten |
JP5638305B2 (ja) * | 2010-07-29 | 2014-12-10 | 大王製紙株式会社 |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
US10117792B2 (en) | 2010-10-19 | 2018-11-06 | Medline Industries, Inc. | Absorbent articl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
CA2815196C (en) | 2010-10-19 | 2019-08-13 | Daniel B. Love | Absorbent articl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
JP5006470B2 (ja) * | 2010-12-27 | 2012-08-22 | 花王株式会社 | パンツ型吸収性物品 |
US10271998B2 (en) | 2011-06-03 | 2019-04-30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Sensor systems comprising anti-choking features |
BR112013030599A2 (pt) | 2011-06-10 | 2016-09-27 | Procter & Gamble | núcleo absorvente para artigos absorventes descartáveis |
JP2014515983A (ja) | 2011-06-10 | 2014-07-07 |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 使い捨ておむつ |
EP3287109B1 (en) | 2011-06-10 | 2023-11-29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structure for absorbent articles |
US9468566B2 (en) | 2011-06-10 | 2016-10-18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structure for absorbent articles |
USD716938S1 (en) | 2011-10-19 | 2014-11-04 | Medline Industries, Inc. | Absorbent core |
CA2857121A1 (en) | 2011-11-30 | 2013-06-06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Small-sized disposable pull-on diaper |
US9017306B2 (en) * | 2011-12-22 | 2015-04-28 | Sca Hygiene Products Ab | Disposable absorbent product with fastening components and related methods |
US9072632B2 (en) | 2012-02-13 | 2015-07-07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Disposable pull-on garment |
JP5968117B2 (ja) * | 2012-06-26 | 2016-08-10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使い捨て着用物品 |
FR2997842B1 (fr) | 2012-11-13 | 2021-06-11 | Procter & Gamble | Articles absorbants avec canaux et signaux |
EP2740450A1 (en) | 2012-12-10 | 2014-06-11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core with high superabsorbent material content |
PL2740452T3 (pl) | 2012-12-10 | 2022-01-31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Wyrób chłonny o wysokiej zawartości materiału chłonnego |
US10639215B2 (en) | 2012-12-10 | 2020-05-05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or pockets |
EP2740449B1 (en) | 2012-12-10 | 2019-01-23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 with high absorbent material content |
PL3254656T3 (pl) | 2013-06-14 | 2022-01-10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Wyrób chłonny i wkład chłonny tworzący kanały w stanie mokrym |
JP6334705B2 (ja) | 2013-08-27 | 2018-05-30 |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 チャネルを有する吸収性物品 |
US9987176B2 (en) | 2013-08-27 | 2018-06-05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
MX2016003391A (es) | 2013-09-16 | 2016-06-24 | Procter & Gamble | Articulos absorbentes con canales y señales. |
US11207220B2 (en) | 2013-09-16 | 2021-12-28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 signals |
EP3351225B1 (en) | 2013-09-19 | 2021-12-29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
JP5996511B2 (ja) * | 2013-11-09 | 2016-09-21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パンツ型の着用物品 |
US9486368B2 (en) | 2013-12-05 | 2016-11-08 | Medline Industries, Inc. | Disposable hygienic article with means for diagnostic testing |
EP2886092B1 (en) | 2013-12-19 | 2016-09-14 |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 Absorbent cores having channel-forming areas and c-wrap seals |
US9789009B2 (en) | 2013-12-19 | 2017-10-17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s having channel-forming areas and wetness indicator |
US9375367B2 (en) | 2014-02-28 | 2016-06-28 | Medline Industries, Inc. | Fastener for an absorbent article |
US9622922B2 (en) * | 2014-04-21 | 2017-04-18 | Medline Industries, Inc. | Stretch breathable protective absorbent article using bilaminate |
US10226388B2 (en) | 2014-04-21 | 2019-03-12 | Medline Industries, Inc. | Stretch breathable protective absorbent article using tri-laminate |
CN106456419B (zh) | 2014-05-08 | 2021-02-09 | 宝洁公司 | 成人一次性吸收制品和系列的长度对腰部轮廓比 |
CA2947961A1 (en) | 2014-05-08 | 2015-11-12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Hip to side silhouettes of adult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arrays |
US10478352B2 (en) | 2014-05-08 | 2019-11-19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Length-to-side silhouettes of adult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arrays |
US10973709B2 (en) | 2014-05-08 | 2021-04-13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Hip-to-waist silhouettes of adult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arrays |
US20150320613A1 (en) | 2014-05-08 | 2015-11-12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Waist-to-side silhouettes of adult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arrays |
EP2949300B1 (en) | 2014-05-27 | 2017-08-02 |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 Absorbent core with absorbent material pattern |
EP2949299B1 (en) | 2014-05-27 | 2017-08-02 |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 Absorbent core with absorbent material pattern |
EP2949302B1 (en) | 2014-05-27 | 2018-04-18 |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 Absorbent core with curved channel-forming areas |
EP2949301B1 (en) | 2014-05-27 | 2018-04-18 |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 Absorbent core with curved and straight absorbent material areas |
WO2016033226A1 (en) | 2014-08-26 | 2016-03-03 | Curt G. Joa, Inc. | Apparatus and methods for securing elastic to a carrier web |
WO2016029370A1 (en) * | 2014-08-27 | 2016-03-03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
EP4276425A3 (en) * | 2014-09-08 | 2024-03-27 |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 Enhanced platen for pharmaceutical compounding |
US10034801B2 (en) | 2014-10-03 | 2018-07-31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dult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arrays comprising improved product lengths |
US10864117B2 (en) | 2014-10-09 | 2020-12-15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Length-to-waist and hip-to-side silhouettes of adult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arrays |
CN106999325B (zh) | 2014-10-09 | 2020-10-27 | 宝洁公司 | 成人一次性吸收制品和系列的长度对侧部轮廓和髋部对腰部轮廓 |
MX2017007795A (es) | 2014-12-19 | 2017-09-18 | Sca Hygiene Prod Ab | Articulo absorbente. |
ES2763311T3 (es) * | 2014-12-19 | 2020-05-28 | Essity Hygiene & Health Ab | Artículo absorbente |
CN117084865A (zh) | 2015-01-16 | 2023-11-21 | 宝洁公司 | 包括具有通道的吸收芯的成人一次性吸收制品的系列 |
GB2555016B (en) | 2015-03-16 | 2021-05-12 | Procter & Gamble |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cores |
CN107405223B (zh) | 2015-03-16 | 2021-03-02 | 宝洁公司 | 具有改善的强度的吸收制品 |
ITUB20150513A1 (it) * | 2015-05-12 | 2015-08-12 | Fameccanica Data Spa | Procedimento ed apparecchiatura per la produzione di prodotti sanitari assorbenti e prodotto sanitario assorbente |
MX2017014428A (es) | 2015-05-12 | 2018-04-10 | Procter & Gamble | Articulo absorbente con adhesivo mejorado del nucleo al lienzo inferior. |
CN107683126A (zh) | 2015-05-29 | 2018-02-09 | 宝洁公司 | 具有槽和润湿指示标记的吸收制品 |
EP3313344B1 (en) | 2015-06-25 | 2021-12-15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dult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arrays of said articles comprising improved capacity profiles |
WO2017048883A1 (en) * | 2015-09-18 | 2017-03-23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Taped absorbent article having a belt portion |
EP3370674B1 (en) | 2015-11-06 | 2021-03-24 |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silhouettes and silhouette arrays |
EP3167859B1 (en) | 2015-11-16 | 2020-05-06 |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
JP6449135B2 (ja) * | 2015-11-20 | 2019-01-09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使い捨て着用物品 |
DE102016102684A1 (de) * | 2016-02-16 | 2017-08-17 | Paul Hartmann Ag | Inkontinenzwegwerfwindel |
CN108883011B (zh) * | 2016-04-08 | 2021-05-07 | 宝洁公司 | 具有艺术作品的可穿着制品 |
EP3238676B1 (en) | 2016-04-29 | 2019-01-02 |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 Absorbent core with profiled distribution of absorbent material |
EP3238678B1 (en) | 2016-04-29 | 2019-02-27 |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 Absorbent core with transversal folding lines |
JP6193448B1 (ja) * | 2016-06-09 | 2017-09-06 | 大王製紙株式会社 |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
EP3585338B1 (en) * | 2017-02-27 | 2024-01-17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Wearable article having characteristic material properties |
US10702424B2 (en) | 2017-04-05 | 2020-07-07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Wearable article having graphics |
JP6416989B1 (ja) * | 2017-06-14 | 2018-10-31 | 大王製紙株式会社 |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
JP6382399B1 (ja) * | 2017-06-16 | 2018-08-29 | 大王製紙株式会社 |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
US11351068B2 (en) | 2017-06-30 | 2022-06-07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Length-to-hip and length-to-waist silhouettes of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arrays |
US11432974B2 (en) | 2017-06-30 | 2022-09-06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Length-to-side silhouettes for boxer brief/boyshort type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arrays |
CN110785154A (zh) | 2017-06-30 | 2020-02-11 | 宝洁公司 | 四角紧身内裤型一次性吸收制品和系列的髋部对侧部轮廓 |
EP3644922B1 (en) | 2017-06-30 | 2023-08-30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Hip-to-side and waist-to-side silhouettes for bikini/ low rise brief type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arrays |
US11432972B2 (en) | 2017-06-30 | 2022-09-06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Length-to-side silhouettes for bikini/low rise brief type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arrays |
RU2735227C1 (ru) | 2017-12-19 | 2020-10-29 | Кимберли-Кларк Ворлдвайд, Инк. | Впитывающие изделия с визуально разными основой и поясными лентами |
WO2019148156A1 (en) | 2018-01-29 | 2019-08-01 | Curt G. Joa, Inc. |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astic composite structure for an absorbent sanitary product |
WO2019213336A1 (en) | 2018-05-04 | 2019-11-07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Sensor devices and systems for monitoring the basic needs of an infant |
US11051996B2 (en) | 2018-08-27 | 2021-07-06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Sensor devices and systems for monitoring the basic needs of an infant |
US11925538B2 (en) | 2019-01-07 | 2024-03-12 | Curt G. Joa, Inc. |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astic composite structure for an absorbent sanitary product |
US11173072B2 (en) | 2019-09-05 | 2021-11-16 | Curt G. Joa, Inc. | Curved elastic with entrapment |
JP7345365B2 (ja) * | 2019-11-20 | 2023-09-15 | 大王製紙株式会社 | 使い捨ておむつ |
JP1675979S (ko) * | 2020-05-27 | 2021-01-04 | ||
WO2022021265A1 (en) * | 2020-07-31 | 2022-02-03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Wearable article comprising an elastic belt laminate having hydrophilic inner and outer web |
DE102022134647A1 (de) | 2022-12-22 | 2024-06-27 | Paul Hartmann Ag | Absorbierender Inkontinenzartikel in Höschenform |
Family Cites Families (4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6691B2 (ja) | 1987-01-16 | 1995-03-01 | 新日本製鐵株式会社 | 冷間圧延におけるロ−ル冷却方法 |
JPH03107920A (ja) | 1989-09-22 | 1991-05-08 | Hitachi Ltd |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
US5702377A (en) | 1994-09-01 | 1997-12-30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Wet liner for child toilet training aid |
JP3343191B2 (ja) | 1996-07-02 | 2002-11-11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使い捨てトレーニングパンツ |
JPH1096157A (ja) | 1996-09-24 | 1998-04-14 | Mitsui Petrochem Ind Ltd | 柔軟性不織布 |
JP3558828B2 (ja) | 1997-06-16 | 2004-08-25 | 花王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2000093462A (ja) | 1998-09-22 | 2000-04-04 | Shiseido Co Ltd | 吸収性物品 |
JP2001087312A (ja) | 1999-09-20 | 2001-04-03 | Oji Paper Co Ltd | 使いすておむつ |
WO2001030564A1 (en) | 1999-10-22 | 2001-05-03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Nonwoven composite laminate employing nonwoven formed by component fibers of ethylene-propylene random copolymer |
JP3583370B2 (ja) | 2001-01-23 | 2004-11-04 | 花王株式会社 | パンツ型吸収性物品 |
KR100872474B1 (ko) | 2001-03-15 | 2008-12-05 |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 일회용 기저귀 및 이것에 이용되는 신축성 시트의 제조방법 |
JP3978363B2 (ja) * | 2001-04-23 | 2007-09-19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
JP4252767B2 (ja) | 2002-05-22 | 2009-04-08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使い捨てショーツ及びその製造方法 |
JP3735586B2 (ja) | 2002-05-30 | 2006-01-18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表示要素形成方法 |
JPWO2004037145A1 (ja) | 2002-10-23 | 2006-02-23 | 株式会社瑞光 | 使い捨て着用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
US8388595B2 (en) | 2002-12-19 | 2013-03-05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Disposable undergarment with a detachable crotch member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
JP4401114B2 (ja) | 2002-12-27 | 2010-01-20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
WO2004062398A1 (ja) | 2003-01-10 | 2004-07-29 | Zuiko Corporation | 着用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
US7959618B2 (en) | 2003-03-07 | 2011-06-14 | Sca Hygiene Products Ab | Pant-shaped article with improved fit |
JP4240464B2 (ja) | 2003-05-02 | 2009-03-18 |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 パンツ型おむつ |
US20040243083A1 (en) * | 2003-05-27 | 2004-12-02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Disposable pull-on garment having graphic patch |
JP2004350809A (ja) * | 2003-05-28 | 2004-12-16 | Livedo Corporation |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
JP4202831B2 (ja) | 2003-06-09 | 2008-12-24 |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
JP2005027838A (ja) | 2003-07-11 | 2005-02-03 | Livedo Corporation | 使い捨てパンツ型おむつ |
JP2005027839A (ja) | 2003-07-11 | 2005-02-03 | Livedo Corporation | 使い捨てパンツ型おむつ |
JP4516297B2 (ja) | 2003-10-15 | 2010-08-04 |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 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4108616B2 (ja) | 2004-01-20 | 2008-06-25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
CN1933797B (zh) | 2004-03-22 | 2011-01-26 | 株式会社瑞光 | 穿着物品及其制造方法 |
AU2004320744B2 (en) | 2004-06-22 | 2010-09-30 | Sca Hygiene Products Ab |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n elastic laminate |
JP4790281B2 (ja) | 2005-02-08 | 2011-10-12 | 大王製紙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4790232B2 (ja) | 2004-06-28 | 2011-10-12 | 大王製紙株式会社 | 吸収体及びその吸収体を備えた紙おむつ |
EP1773269B1 (en) | 2004-08-05 | 2012-06-06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Disposable pull-on garment |
CN101035494A (zh) | 2004-10-04 | 2007-09-12 | Sca卫生产品股份公司 | 包括弹性织物材料的吸收制品 |
WO2006068549A1 (en) | 2004-12-23 | 2006-06-29 | Sca Hygiene Products Ab | Absorbent article |
JP5026288B2 (ja) | 2005-03-02 | 2012-09-12 | エスセーアー・ハイジーン・プロダクツ・アーベー | パンツ型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
WO2006093439A1 (en) * | 2005-03-02 | 2006-09-08 | Sca Hygiene Products Ab | A pant-type absorbent article |
WO2006118214A1 (ja) | 2005-04-28 | 2006-11-09 | Zuiko Corporation | 着用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
JP4727494B2 (ja) | 2005-05-19 | 2011-07-20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パンツ型使い捨て着用物品 |
JP4675161B2 (ja) | 2005-05-30 | 2011-04-20 | 花王株式会社 | 外装体及び吸収性物品 |
US8308706B2 (en) * | 2007-02-28 | 2012-11-13 | Daio Paper Corporation | Disposable diaper |
JP5160863B2 (ja) * | 2007-11-15 | 2013-03-13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使い捨ておむつ |
-
2007
- 2007-12-28 TR TR2018/06848T patent/TR201806848T4/tr unknown
- 2007-12-28 RU RU2009128981/12A patent/RU2434618C2/ru active
- 2007-12-28 WO PCT/JP2007/075281 patent/WO2008081930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7-12-28 EP EP07860484.0A patent/EP2105115B1/en active Active
- 2007-12-28 US US12/448,626 patent/US8282617B2/en active Active
- 2007-12-28 KR KR1020097015628A patent/KR101436022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17779A (ko) * | 2016-06-09 | 2019-02-20 |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105115A4 (en) | 2013-05-29 |
EP2105115B1 (en) | 2018-03-07 |
WO2008081930A1 (ja) | 2008-07-10 |
US8282617B2 (en) | 2012-10-09 |
US20090326504A1 (en) | 2009-12-31 |
KR101436022B1 (ko) | 2014-08-29 |
RU2434618C2 (ru) | 2011-11-27 |
RU2009128981A (ru) | 2011-02-10 |
EP2105115A1 (en) | 2009-09-30 |
TR201806848T4 (tr) | 2018-06-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90098991A (ko) | 일회용 기저귀 | |
JP4477622B2 (ja) | パンツ型紙おむつ | |
KR101454048B1 (ko) | 종이기저귀 | |
JP5053832B2 (ja) | 紙おむつ | |
JP2008161572A5 (ko) | ||
JP5290392B2 (ja) |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 |
JP4914246B2 (ja) | 紙おむつ | |
JP4388136B2 (ja) | 紙おむつ | |
RU2707449C2 (ru) | Одноразовый подгузник типа трусов | |
JP4937572B2 (ja) | 使い捨ておむつ | |
JP2008212249A5 (ko) | ||
JP4772973B2 (ja) | 使い捨てパンツ | |
JP4874136B2 (ja) |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シートの製造方法 | |
JP5669500B2 (ja) | 使い捨ておむつ | |
JP2013027600A (ja) |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 |
JP2008029761A (ja) | パンツ型紙おむつ | |
JP5941278B2 (ja) |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 |
JP4746833B2 (ja) | 女性用失禁パッド | |
JP4549354B2 (ja) | パンツ型紙おむつ | |
JP2008188050A5 (ko) | ||
JP2010131167A (ja) | 吸収性物品 | |
JP2015066197A5 (ko) | ||
JP5060735B2 (ja) | 吸収性物品 | |
JP6219449B2 (ja) |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 |
JP2007111503A5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