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8858A - 목 올림 처치 및 목 올림 처치를 수행하기 위한 기구 - Google Patents

목 올림 처치 및 목 올림 처치를 수행하기 위한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8858A
KR20090098858A KR1020097013992A KR20097013992A KR20090098858A KR 20090098858 A KR20090098858 A KR 20090098858A KR 1020097013992 A KR1020097013992 A KR 1020097013992A KR 20097013992 A KR20097013992 A KR 20097013992A KR 20090098858 A KR20090098858 A KR 20090098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opening
tube
suture
threa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3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그레고리 폴 뮬러
코르벳 스톤
Original Assignee
임플리시트캐어,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1/566,432 external-priority patent/US8826914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1/566,613 external-priority patent/US20080132946A1/en
Priority claimed from US11/566,499 external-priority patent/US20080132931A1/en
Application filed by 임플리시트캐어, 엘엘씨. filed Critical 임플리시트캐어,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90098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8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2Needle or suture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3Hand-held instruments for holding 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66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5Devices or means, e.g. loops, for capturing the suture thread and threading it through an opening of a suturing instrument or needle eyel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61B17/32093Incision instruments for skin inci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03Dow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06Pledg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09Instruments for applying suture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14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having a suture-receiving opening, e.g. lateral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2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plastically deformed during insertion
    • A61B2017/0422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plastically deformed during insertion by insertion of a separate member into the body of the anchor
    • A61B2017/0425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plastically deformed during insertion by insertion of a separate member into the body of the anchor the anchor or the separate member comprising threads, e.g. a set screw in the anch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4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with a threaded shaft, e.g.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2017/049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for tensioning 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04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specifi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37Visible markers
    • A61B2090/395Visible markers with marking agent for marking skin or other tissu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4Surgical or dental spot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10T428/24322Composite web or sh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원에는 환자 신체에 봉합선을 스레딩하기 위한 방법에 사용되는 기구가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봉합선을 제공하는 단계와, 봉합선 묶음 위치와 제1 및 제2 단부를 갖는 긴 로드를 포함하는 스레딩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와, 봉합선을 봉합선 묶음 위치에 묶는 단계와, 긴 로드의 제1 단부를 환자 피부의 제1 개방부를 통해 삽입하는 단계와, 긴 로드의 제1 단부를 환자 피부의 제2 개방부로 피하 통과시키는 단계와, 긴 로드의 제1 단부와 봉합선의 일부를 제2 개방부를 통해 당기는 단계와, 긴 로드를 회전시키지 않고 긴 로드의 제2 단부를 환자 피부의 개방부로 피하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도중 적어도 일 지점에서, 긴 로드의 제1 단부는 제1 개방부 외측으로 연장하고 긴 로드의 제2 단부는 제2 개방부를 통해 연장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스레딩 장치의 제1 및 제2 단부는 상기 방법 도중 소정의 지점에서 각각 발광한다.
테이프 템플렛, 지방 흡입술, 천공부, 봉합선, 란셋, 스레딩 장치

Description

목 올림 처치 및 목 올림 처치를 수행하기 위한 기구 {NECKLIFT PROCEDURE AND INSTRUMENTS FOR PERFORMING SAME}
본 발명은 대체로 성형 수술에 대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감염을 최소화하는 목 올림 처치 및 이러한 목 올림 처치를 수행하기 위한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목 복원 외과의들은 더욱 젊은 목 외형을 복원하기 위한 목의 해부학적 구조를 변경하는 처치를 지지한다. 이는 근육 전진(muscle advancement) 및/또는 분할과 같은 광경근 조작(platysmal manipulation)과 빈번한 부광경근 지방 절제술(frequently sub-platysmal fat excision)을 포함한다. 턱밑샘 조직의 부분 절제술도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복잡하게 변화하며, 근육 분할 또는 지방 과다 절제로 인한 수술 후 출혈, 신경 손상, 영구적 가시 피부 변형을 포함하는 상당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성형 및 정형 수술은 원래의 인장 및 지지가 손상된 물리적 구조의 지지를 돕는 방법 및 장치를 개발하기 위해 오랫동안 노력해 왔다. 가장 빈번한 취급 영역은 얼굴, 가슴 구역, 엉덩이 및 인장이 손실되어 처지는 다른 구역을 포함한다. 기존의 장치는 이들 구조에서의 이러한 인장의 손실을 방지하는 자연스러운 구조를 제공하는데 항상 적합하지는 않다.
노화 과정은 하부 안면 및 목의 부드러운 조직층에서 점진적이고 예측 가능한 변화를 유발하며, 이는 공지된 해부학적 기초이다. 콜라겐의 탄성 상실 및 붕괴로 인해 주름의 형성과 피부 과잉이 유발된다. 피하 지방이 두꺼워지고 쳐지거나 또는 탈수되고 더욱 두드러진다. 근막과 근육 조직의 신장은 종종 턱밑샘 처짐(submandibular gland ptosis)을 초래하는 턱밑 지방(submentum)의 지지 '걸이(sling)'의 손실을 초래한다. 또한, 긴장 및 근육 위축의 손실은 내측 광경근 경계의 만곡, 목턱 끝각(cervicomental angle)의 둔감 및 측방향 하악골 형성의 손실을 초래한다.
목의 노화의 예후를 적절히 어드레싱할 때의 전형적인 목 올림의 실패는 수많은 변형과 부수적인 처치의 개발을 촉진시켜 왔다. 이는 피부 절개, 다양한 지방 흡입 기술, 전후계 성형 가로 절단(anterior or posteriorly based platysmal transection), 절제(resection) 또는 주름 처치, SMAS-성형 플랩 및 봉합선 현수 기술도 포함한다. 하지만, 이러한 변형들은 각자의 제한을 갖는다.
흉터 구축(scar contracture) 및 비대 흉터(hypertrophic scarring)의 문제는 연속적 Z, W 또는 T 성형술에 의한 중앙선 피부 절개의 근접 유기(near abandonment)를 초래한다. 지방 흡입 또는 직접적인 지방 윤곽 형성(Liposuction or direct lipocontouring)은 노화하는 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환자 신체에 봉합선을 스레딩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봉합선을 제공하는 단계와, 봉합선 묶음 위치와 제1 및 제2 단부를 갖는 긴 로드를 포함하는 스레딩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와, 봉합선을 봉합선 묶음 위치에 묶는 단계와, 긴 로드의 제1 단부를 환자 신체의 제1 개방부를 통행 삽입하는 단계와, 긴 로드의 제1 단부를 환자 피부의 제2 개방부로 피하 통과시키는 단계와, 긴 로드를 회전시키지 않고 긴 로드의 제1 단부와 봉합선의 일부를 제2 개방부를 통해 당기는 단계와, 긴 로드의 제2 단부를 환자 피부의 개방부로 피하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도중에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서 긴 로드의 제1 단부는 제1 개방부로부터 연장하고, 긴 로드의 제2 단부는 제2 개방부를 통해 연장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스레딩 장치의 제1 및 제2 단부는 상기 방법 도중 소정의 지점에서 각각 조명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수술을 수행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법은 환자의 피부의 일부에 테이프 템플렛(tape template)을 배치하는 단계와, 복수의 접근 부위를 만드는 단계와, 중앙선 접근 부위를 형성하기 위해 개방부를 만드는 단계와, 지방 흡입을 수행하는 단계와, 접근 부위에서 피부 내에 복수의 개방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봉합선이 고정되는 스레딩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와, 피부 아래 봉합선 매트릭스를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접근 부위를 통해 스레딩 장치와 봉합선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테이프 부재, 란셋, 핸드셋, 세척 장치, 노즈콘, 스레딩 장치 및 봉합선 중 적어도 2개를 포함하는 수술용 키트가 제공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핸드셋은 제1 및 제2 대향부를 갖는 관형 부재와, 로드를 수용하기 위한 개방부 및 광원을 포함하는 관형 부재의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된 기구 도크를 포함하며, 이때 광원으로부터의 광은 기구 도크 내의 개방부 외측으로 안내된다. 스레딩 장치는 적어도 대체로 로드 주연을 연장하도록 내측으로 형성된 홈과 무딘 단부들을 갖는 긴 로드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및 제2 개방 단부 및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대체로 중간에 배치된 봉합선 묶음 위치를 갖는 긴 관과, 긴 관을 통해 연장하는 광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 안내부는 관의 제1 및 제2 단부와 대체로 일치하는 제1 및 제2 단부를 갖는다. 테이프 부재는 관통하여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천공부를 갖는 제1 층과, 관통하여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천공부를 갖는 제1 층을 덮는 제2 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층의 천공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층의 천공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한다. 세척 장치는 목부와 목부의 종방향 축에 대체로 수직인 평면을 형성하는 만곡된 경로에 목부로부터 연장하는 세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더욱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템플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환자 피부에 천공 위치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도 1의 테이프 템플렛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란셋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란셋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천공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도 3의 란셋의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셋의 측면도이다.
도 7은 광섬유 코어를 도시한, 도 5의 핸드셋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피부 포트와 도킹하기 전, 도 5의 핸드셋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전개 전 환자 피부를 통해 삽입된 피부 포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전개 후 환자 피부를 통해 삽입된 피부 포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피부 포트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피부 포트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스레딩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스레딩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15는 환자에게 사용되는, 도 13의 스레딩 장치의 도면이다.
도 16은 환자에게 사용되는, 도 13의 스레딩 장치의 다른 도면이다.
도 17은 피하 앞면 인대 및 신경 혈관 구조를 통과하는, 도 13의 스레딩 장치를 도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매듭 위치 설정 도구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중앙선 턱끝밑 접근 부위와 관통하여 연장하는 봉합선 매듭에 배치된 나사식 피부 포트를 갖는 환자의 도면이다.
도 20은 환자의 피부 아래와 나사식 피부 포트를 통해 매듭을 가압하는, 도 15의 매듭 위치 설정 도구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나사식 피부 포트의 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나사식 피부 포트의 측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나사식 피부 포트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봉합선의 측면도이다.
도 25는 지지 매트릭스가 은선으로 도시된 환자의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다른 적층식 테이프 템플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7은 환자의 턱에 천공 위치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도 26의 적층식 테이프 템플렛의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셋의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핸드셋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0의 핸드셋의 기구 도크의 상세한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28의 핸드셋의 단면도이다.
도 32는 도 28의 핸드셋의 기구 도크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28의 핸드셋의 단부에 고정된 세척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4는 도 33의 선(34-34)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35A는 도 28의 핸드셋의 단부에 고정된 다른 세척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5B는 도 28의 핸드셋의 단부에 고정된 다른 세척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스레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7은 경사진 것으로 도시된, 도 36의 스레딩 장치의 일부의 상세도이다.
도 38은 도 36의 스레딩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9는 아일릿을 포함하는 스레딩 장치의 일부의 상세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자기 제어 전원 및 광원을 구비한 스레딩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스레딩 로드의 사시도이다.
도 42는 홈을 도시한, 도 41의 스레딩 로드의 상세한 사시도이다.
도 43은 도 41의 선 43-43을 따라 취해진, 도 41의 스레딩 로드의 일단부의 단면도이다.
도 44는 핸드셋으로 삽입된, 도 36의 스레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5는 도 44의 선(45-45)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셋 및 세척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 조립체를 구비한 핸드셋의 단면도이다.
도 48은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서 노즈콘을 구비한 핸드셋의 단면도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스레딩 로드의 사시도이다.
도 50은 내부에 고정된, 도 49의 스레딩 로드를 구비한 핸드셋의 부분 단면 도이다.
도 51은 접근 부위를 깨끗하게 하기 위해 세척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도시한 환자의 도면이다.
도 52는 핸드셋을 사용하여 접근 부위(14a)로 스레딩 로드 및 제1 봉합선을 삽입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3은 스레딩 로드를 피벗한 후 스레딩 로드 및 제1 봉합선을 접근 부위(14b)로 삽입하는 것을 도시한 환자의 도면이다.
도 54는 전체 제1 봉합선이 배치된 후 핸드셋을 사용하여 접근 부위(14a)에 스레딩 로드 및 제2 봉합선을 삽입하는 것을 도시한 환자의 도면이다.
도 55는 스레딩 로드를 피벗한 후 접근 부위(14g)로 스레딩 로드와 제2 봉합선을 삽입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6은 매듭이 접근 부위를 통해 가압되기 전에 2개의 봉합선을 갖는 지지 매트릭스의 최종 배치를 도시한 환자의 도면이다.
도 57은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스레딩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8은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스레딩 장치의 측면도이다.
유사한 도면 부호는 몇몇 도면을 통해 유사한 부품을 나타낸다.
인체를 봉합하는 기술의 양호한 실시예가 개시된다. 이러한 기술은 성형 외과 분야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하며 각각 특정한 기구를 필요로 하는 몇 단계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경피 트램펄린 광경근 성형술(percutaneous trampoline platysmaplasty)로 지칭된 목 올림(neck lift)을 수행하는데 본 발명의 기술 및 기구가 사용되는 양호한 실시예가 단지 예로서 후술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러한 기술 및 기구는 당업자에 의도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처치(procedure)의 지방 흡입술 부분은 턱(chin) 아래를 크게 절개하지 않고 수행된다. 봉합선 지지 매트릭스를 배치하는 것은 아래 턱(jaw) 아래 목 영역의 몇몇 작은 접근 부위를 통해 수행된다. 외과의가 수술 부위(operative field)를 주시하기 위해 필요한 턱 아래쪽의 대형 절개 없이도 전체 지지 시스템이 배치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수술은 덜 침습적이며 턱 아래 영역의 피부를 광범위하게 절개할 필요가 없다.
지지 구조물[본원에서 지지 구조물 또는 지지 매트릭스(200)로도 지칭되며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됨]을 정확하게 배치하는 것이 상기한 처치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는 개별적인 기구 또는 장치 각각의 설명과 함께 본원에서 설명될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태는 지지 매트릭스(200)의 배치를 포함하며, 실제 지방흡입술은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원의 지방흡입술에 대한 모든 레퍼런스는 단지 예시적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전방", "후방", "상부", "하부", "측면", "우측", "좌측", "상향" 및 "하향" 등과 같이 본원에 쓰인 용어들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의 방향을 의미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원에 개시된 기구 및 제품의 임의의 방향 및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모형 테이프(또는 테이프 부재)(10)가 설명될 것이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테이프(10)는 소정의 위치에 이격된 천공부(12)를 갖는 일 편의 투명한 테이프이다. 테이프(10)는 환자의 피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에 접착제를 포함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테이프(10)는 테이프 중심을 따라 약 5㎜씩 이격되게 형성된 약 2㎜ 직경의 천공부(12)를 갖는 2.54㎝(1인치) 폭의 투명한 테이프이다. 천공부(12)는 테이프(10)의 종방향 중심을 따라 배치되는 것이 양호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테이프(10)는 투명하지 않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테이프(10)는 롤 형태로 제공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테이프(10)는 지지 매트릭스(200)의 배치를 결정하게 될 접근 부위(14)의 배치를 결정하기 위한 직접적인 수술 전 계획(immediate preoperative planning)에 사용된다. 테이프(10)는 각 구조의 적절한 배치와 그에 상응하는 피벗 지점(후술됨)을 제공하는 것을 보조하는 안내부로 사용된다. 천공부(12)는 수술을 위한 접근 부위(14)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테이프 부재(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악골의 하부 표면을 덮는 피부의 각 측면에 배치된다. 테이프(10)는 원래의 턱 외관이 가시적이 될 수 있도록 환자를 똑바로 착석시킨 상태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외과의는 요구되는 보정에 따라 각 환자에 대해 개별적으로 맞춤된 외과적 접근법을 전개하기 위해 테이프(10) 및 복수의 천공부(12)를 사용한다. 당업자라면 이해하는 바와 같이, 지지 매트릭스(200)를 배치하는 것은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에 따라 환자마다 달라질 것이다.
천공부(12) 사이의 예시적인 5㎜ 공간으로 인해 매우 근접하게 피벗 지점을 배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근육 및 샘 조직(muscle and glandular tissue)의 융기를 가능하게 하는 조밀한 지지 매트릭스가 가능하다. 예컨대, 최소의 지지가 요구되는 경우 피벗 지점은 1 내지 2㎝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접근 부위(14)가 환자의 필요에 따라 위치되어야 하는 것과 관련하여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과의는 각 측면에 4개의 접근 부위(14)만을 선택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10)가 배치되고 외과의가 지지 매트릭스(200)의 구조를 결정한 후, 외과의는 소정의 천공부(12)를 통해 노출된 피부에 수술 표시 펜 등으로 표시를 한다. 이러한 표시(14)들은 목의 부드러운 조직을 융기시키기 위한 봉합선 배치를 필요로 하는 영역을 나타낸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호한 실시예에서 제1 테이프(10)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표시(14)는 제2 테이프(10)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표시(14)와 대칭이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마크(14)는 피하 접근이 가능하도록 천공될 소정의 위치 또는 접근 부위를 규정한다. 각 접근 부위가 표시된 후 천공되기 때문에, 간소화를 위해 접근 부위, 표시 및 천공은 본원에서 도면 부호 14로 표시된다.
당업자라면 이해하는 바와 같이, 심각한 광경근 만곡(platysmal banding) 또는 샘 처짐(glandular ptosis)이 명백한 영역에는 상당한 지지가 요구될 것이다. 이를 위해, 다중 봉합선 스트랜드가 요구될 것이다. 융기될 각 영역이 인식될 때, 대응하는 테이프 천공부(12)는 봉합선을 정확하게 배치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표시(14)된다.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310)는 적층될 수 있다. 적층된 테이프(310)는 2개의 층(310, 313)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층(313)은 한 세트의 구멍 또는 천공부(313a)를 가지며, 바닥층(311)은 두 세트의 천공부(311a, 311b)를 갖는다. 상이한 층의 천공부(311a)와 천공부(313a)는 동심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천공부(311a)와 천공부(313a) 사이에 중첩이 존재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천공부의 이러한 구조는 환자에 표시를 할 때 외과의에게 도움이 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지지 매트릭스(200)는 구두끈이 신발에 파형으로 묶인 것과 유사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접근 부위(14)를 위해 피부에 표시를 할 때, 피부를 적색 및 청색과 같은 2개의 상이한 색으로 표시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매트릭스(200)가 생성되거나 또는 "신발이 끊으로 묶이면", 외과의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내부에 접근 사이트(14)가 각각 형성된] 청색 표시로부터 청색 표시로 그리고 적색 표시로부터 적색 표시로 진행한다.
사용시, 외과의는 필요에 따라 적층된 테이프(310)를 위치시키고 제1 색으로 천공부[동심 또는 이중 천공부(311a, 313a)]를 표시한다. 그 후, 외과의는 제1 또 는 상부층(313)을 박리하여, 천공부(311b)의 제2 세트를 노출시킨다. 그 후, 외과의는 다른 색 표지로 제2 세트의 천공부(311b)를 표시한다. 또한, 테이프(310)는 롤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서, 단일 편의 테이프(310)가 아래턱 라인 또는 신체의 다른 위치 주변 도처에 연장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는 각 측면에 표시를 할당하는 하는 것을 돕는다.
테이프(10) 또는 테이프(310)는 지방 흡입 또는 다른 소정의 처치를 수행하기 전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테이프는 지방 흡입이 수행된 후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테이프는 생략될 수 있으며, 외과의는 필요에 따라 피부에 표시하거나 또는 피부를 천공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테이프(10) 또는 테이프(310)는 척 이외의 다른 신체의 영역에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컨대, 테이프(및 후술되는 처치의 잔여물)는 얼굴 올림(face lift) 또는 MACS 올림(MACS-lift)에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목 형성 봉합선을 배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두 경우 모두는 후술된다).
소정의 표시(14)가 표시된 후, 환자는 지방 흡입을 할 준비가 된다. 외과적 처치가 지방 흡입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어떠한 처치가 수행되기 전에 표시가 만들어진다. 환자 머리 및 목은 무균 방식으로 준비 및 접착되고 국부 마취제가 턱 아래 영역에 주입된다. 작은 개방부[본원에서 중앙선 턱끝밑 접근 부위(midline sub-mental access site)로 지칭됨]가 상기 영역에 만들어진다. 종창성 유체(tumescent fluid)가 목 구역을 포함하는 턱 아래 전체 영역에 주입된다. 지방 흡입이 이 전체 영역에서 수행된다. 완료시, 이 영역에는 종창성 유체가 다시 한번 침투된다. 이러한 피하 주입은 광경근으로부터 피부의 융기를 초래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지방 흡입 완료 후 환자는 지지 매트릭스(200)를 배치할 준비가 된다. 테이프(10) 또는 테이프(310)를 사용하여 표시된 지점에서 진피를 천공함으로써 접근 부위(14)를 생성하기 위해 란셋(40)이 사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란셋(40)은 하부에 2개의 무딘 에지(46, blunt edge)를 구비한 지점(44)에서 종단되는 2개의 날카로운 에지(43)를 갖는 블레이드(42)를 포함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블레이드(42)는 길이가 약 8㎜이다. 블레이드(42)의 무딘 에지(46)는 블레이드(42)가 피부에 원하는 것보다 깊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플랜지 또는 정지 부재(48)로부터 연장된다. 플랜지(48)는 블레이드 관통의 깊이를 일정하게 보장한다. 또한, 블레이드(42)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피부 포트(80)의 배치를 가능하게 하는 크기를 갖는다.
정지 부재(48)는 상부 표면(48a) 및 하부 표면(48b)을 갖는다. 블레이드(42)는 정지 부재(48)의 상부 표면(48a)으로부터 상향 연장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날카로운 에지(43) 각각은 제1 단부(43a) 및 제2 단부(43b)를 각각 가지며, 2개의 무딘 에지(46) 각각은 제1 단부(46a) 및 제2 단부(46b)를 각각 갖는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날카로운 에지(43)의 제1 단부(43a)들은 지점(44)에서 만나서 90°이하의 각도로 지점(44)으로부터 하향 연장한다. 2개의 무딘 에지(46)의 제1 단부(46a)는 2개의 날카로운 에지(43)의 제2 단부(43b)로부터 하향 연장한 다. 날카로운 에지(43)와 무딘 에지(46)는 둔각으로 만난다. 2개의 무딘 에지(46)의 제2 단부(46b)는 양호한 실시예에서 디스크 형상인 정지 부재(48)와 연결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블레이드(42)는 비직각(예컨대, 예각)으로 정지 부재(48)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란셋(40)은 정지 부재(48)의 하부 표면(48b)으로부터 하향 연장하여 표준 스캐펄(scalpel) 손잡이(52)에 란셋(40)을 고정시키는 부착 부재(50)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란셋(40)은 단일의 손잡이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된 피하 주입으로 인해, 광경근으로부터 피부가 융기된다. 침습될 때, 접근 부위(1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10)를 사용하여 전개된 표시에서 경피 란셋(40)으로 피부를 천공하여 전개된다. 란셋(40)은 목 구역에 접근하기 위해 피부의 천공을 가능하게 하고 각 접근 부위가 가능한 작아서 지지 시스템(200)의 배치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보장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란셋(40)은 절개 대신 천공부를 생성하여, 외상 및 흉터의 위험을 최소화한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절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처치에 사용되는 다른 기구는 핸드셋 또는 손잡이(60)이다. 핸드셋(60)은 단부에 기구 도크(64, instrument dock)를 구비한 재사용 가능한 삽입 장치로 구현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핸드셋(60)은 광섬유 광 포트(62, fiber-optic light port)도 포함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핸드셋은 파지되었을 때 외과의의 손에 꼭 맞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핸드셋(60)은 스테인리스 강 또는 티타늄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핸드셋은 플라스틱 등과 같은 다른 재료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기구 포트(64)는 본 발명의 외과 처치에 사용되는 기구의 수와 조화를 이룬다. 설계 구조와 형태는 쉽고 명확하게 오른손과 왼손의 상호 교대를 가능하게 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기구 도크(64)는 내부 나사식 표면 또는 나사식 암형 커넥터(66)와 전개 및 조명(deployment and illumination)을 가능하게 하는 피부 포트(80)(후술됨)로 상호 잠금되는 더 큰 수형 커넥터(58)를 포함한다. 기구 도크(64)는 상세하게 후술되는 바와 같이 특정 기구와 도킹하도록 구성된다. 핸드셋(60)은 사용될 기구와 함께 상세하게 후술될 것이다.
광섬유 광 포트(62)는 광섬유 광 코드(도시 생략)와의 도킹을 가능하게 한다. 핸드셋(60)을 통한 광섬유 광의 전달은 기구 도크(64)의 작동 단부에 부착될 때 각 장치를 조명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핸드셋(60)은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스트랜드,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광섬유 스트랜드로 구성된 광섬유 코어(70)를 포함한다. 광섬유 광 코어가 광 포트(62)에 연결될 때, 광은 광섬유를 통해 전달되고 암형 커넥터(66)와 동축인 개방부(72)를 통해 빠져나온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른 유형의 광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LED, 백열등, 형광등 및 다른 광원이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광 전달은 본 발명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핸드셋(60)(및 관련 기구)은 광섬유 코어 없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28 내지 도 34를 참조하면, 핸드셋 또는 발광 장치(36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핸드셋(360)은 배터리 작동식이며 일회용이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셋은 본체부(359), 하우징(361), 전원(363), 광원(365), 기구 도크(364) 및 밀폐 또는 세척 장치(321)(상세하게 후술됨)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광원(365)은 LED 광원(365a)이고 전원(363)은 하우징(361) 내에서 직렬로 배열된 복수의 배터리(363)를 포함한다. 광원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회로는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핸드셋[특히, 하우징(361)]은 대체로 관형이다. 즉, 핸드셋은 원형 단면을 가져야할 필요가 없으며, 사각형, 난형 또는 다른 형상을 수도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핸드셋(360)은 내부에 배터리(363)를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서, 배터리가 사용 전에 방전되지 않도록 소정의 구성 요소가 회로를 단락하는데 사용된다. 예컨대, 얇은 편의 종이 등[본원에서 립 코드(rip cord) 또는 회로 단락기(369)로 지칭됨]은 2개의 배터리(363) 사이에 삽입되어 회로를 개방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그 후 적절한 시기에 제거되어 배터리 사이의 전기 교류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회로를 폐쇄하고 광원(365)을 발광시킨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은 립 코드(369)가 연장하도록 내부에 형성된 슬롯(371)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시, 외과의는 핸드셋(360)을 사용할 준비가 되면, 립 코드를 당겨서 LED(365a)에 전력을 공급하여, 핸드셋은 소정의 시간 동안(예컨대, 배터리가 방전될 때까지) 작동하게 된다. 또한, 핸드셋(360)은 재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당업자라면, 배터리는 통상의 벽 콘센트에 플러깅되고 AC 전력으로 작동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전원 및 광원은 핸드셋(360)의 외측으로부터 밀봉된다. 이는 멸균을 돕고 작업 영역의 오염을 방지한다.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서, 립 코드를 사용하는 대신에 래칭 스위치 기구가 배터리를 활성화하고 광원을 켜는데 사용될 수 있다. 래칭 스위치 기구를 켜기 위한 임의의 방법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예컨대, 도 46 및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셋(360)은 장치를 켜기 위해 비틀리거나 가압될 수 있는 테일콘(tail cone) 또는 버튼(337)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암형 리시버(366) 내측에 스위치가 위치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세척 장치(321), 세척 장치 조립체(341) 또는 나사식 로드(30)(후술됨)가 리시버(366)에 삽입되면, 스위치가 켜져서 배터리와 LED가 활성화된다. 예컨대, 도 46의 O-링(335) 다음에 위치된 링은 자기적으로 활성화되는 스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기구 도크(364) 및 세척 장치(321)는 상세하게 후술된다.
도 8 내지 도 11은 피부 포트(80)를 도시한다. 통상적인 처치에서는, 복수의 피부 포트(80)가 사용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피부 포트(80)는 란셋(40)에 의해 생성된 접근 부위(14) 중 하나에 각각 삽입되는 일회용의 투명한 플라스틱 슬리브이다.
일반적으로, 피부 포트(80)는 연장된 튜브(84)를 갖는 플랜지 또는 커프(82)를 포함한다. 튜브 또는 슬리브(84)의 일 단부는 플랜지(82)가 피부의 외부 표면 에 놓일 때까지 피부의 천공부(14)에 삽입된다. 플랜지(82)와 튜브(84)는 피부 아래 영역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게 되는 터널(86)을 형성하도록 협동한다. 바람직하게는, 포트(80)는 착색된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포트(80)는 다른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투명할 필요도 없고, 착색될 필요도 없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핸드셋(60 또는 360)은 각각의 접근 부위(14)를 통해 각 포트(80)를 전개하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피부 포트(80)는 키트에 내장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핸드셋(60)은 키트에서 피부 포트(80)를 제거하기 위해, 피부 포트(80)와 빠르게 상호 잠금되도록 설계된다. 핸드셋(60)이 피부 포트(80)와 상호 잠금 또는 결합되어 접근 부위(14) 내로 전개될 수 있도록 하는 임의의 설계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포트(80)는 수형 커넥터(68)에 스냅 끼워 맞춤된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 커넥터(68)는 플랜지(82) 내의 만입된 링(82a)과 협동하는 주연부에 걸쳐 연장하는 리지(68a)를 포함할 수 있다. 리지(68a) 및 만입된 링(82a)은 포트(80)가 핸드셋(60)의 수형 커넥터(68)와 결합하도록 스냅 끼워 맞춤을 제공하다. 다른 스냅 끼워 맞춤 장치도 고려된다.
그 후, 관(84)이 접근 부위(14)에 삽입된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호한 실시예에서 피부 포트(80)는 절첩 기구(90)와 관(84)의 외부 표면에 나사(88)를 포함하는 앵커 시스템을 포함한다. 절첩 기구(90)는 나사(88) 상에서 관(84)을 상하로 이동하는 내부 나사식 링(90b)에 부착된 한 쌍의 절첩 부재(90a)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 커넥터(68)는 포트(80) 상의 치부(82b, teeth)와 상호 잠금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치부(68b)를 단부에 포함한다. 포트(80)가 기구 도크(64)와 결합되면, 치부(68b)는 치부(82b)와 결합되거나 또는 맞물린다. 관(84)이 접근 부위(14)에 삽입되어 절첩 기구(90)를 전개한 후, 핸드셋(6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포트(80)는 반시계 방향으로도 전개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치부(68b, 82b)가 결합되기 때문에, 관(84)은 핸드셋(60)과 함께 플랜지(82) 내에서 회전하여, 내부 나사식 링(90b)을 나사(88)를 따라 상향 이동시킨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 부재(90a)는 절첩 주름(90c)을 포함한다. 나사식 링(90b)이 상향으로 이동하면, 절첩 부재(90a)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되어, 앵커를 제공하고 포트(80)가 접근 부위(14)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절첩 부재(90a)는 절첩되지 않은 위치(도 9)와 절첩 위치(도 10)에 배치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플랜지(82)는 피부에 구멍을 파고 적소에 포트(80)를 고정하는 것을 돕도록 하향 연장하는 복수의 스파이크(94)를 포함한다.
포트(80)의 배치 도중, 핸드셋(60)은 광섬유 코어(70)를 포함하고, 피부 포트(80)는 투명하기 때문에, 삽입시 조사된 탐침 팁의 경피 가시화는 피부 포트(80)의 안전한 전개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앵커 시스템으로 인해, 핸드셋이 당겨질 때 리지(68a)는 만입된 링(82a)을 인출하고 피부 포트(80)는 적소에 고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외과의는 기구 도크(64)로부터 포트(80)를 분리하는 것을 돕기 위해 자신의 엄지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포트(80)는 일회용이며 한 번의 수술에만 사용된다. 포트들은 수술 부위에 접근하기 위해 간단하게 사용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사용되는 이러한 포트는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피부를 통한 접근을 제공하는 임의 유형의 포트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광의 투과 조명법(transillumination)은 3차원 피드백을 외과의에게 제공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안적 실시예에서, 포트(96)는 플랜지(82)에 대해 비직각으로 배향된 관(84)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관(84)은 플랜지에 대해 약 45°각도로 배향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7은 스레딩 장치(100, threading device)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스레딩 장치(100)는 내부에 형성된 아일릿(102, eyelet)과 둥글고 무딘 팁(104)을 포함하는 스테인리스 강 가단성 로드(stainless steel malleable rod) 또는 관(stainless steel malleable rod or tube)이다. 바람직하게는, 스레딩 장치(100)는 팁(104)의 조명을 가능하게 하는 광 안내부(광섬유 코어일 수 있다)(106)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팁(104)은 스레딩 장치(100)의 본체에 부착되는 플라스틱과 같은 반투명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레딩 장치(100)는 핸드셋(60 또는 360)의 기구 도크(64 또는 364)와 도킹하도록 설계된 일단부(108)를 포함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단부(108)는 암형 커넥터(66)와 결합하기 위해 나사가 형성되어 있지만, 단부(108)는 다양한 방법으로 기구 도크(64)와 도킹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컨대, 기구 도크(64)는 적소에 스레딩 장치(100)를 고정하는 세트 스크류를 포함하거나 또는 소 정 유형의 스냅 또는 억지 끼워 맞춤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드릴 상에서와 유사한 클램프 또는 척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단부(108)는 내부에 나사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외부에 나사가 형성된 기구 도크와 도킹할 수 있다. 기구 도크(64)는 스레딩 장치(100)와 빠르게 연결 및 연결 해제될 수 있다.
핸드셋(60)이 광섬유 광 포트(62)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기구 도크(64)와 단부(108)[내부에 개방부(108a)를 포함]와의 도킹으로 인해 스레딩 장치(100)의 팁(104)에 광을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유형의 광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LED, 백열등, 형광등 및 다른 광원이 사용될 수 있다.
아일릿(102)은 봉합선(150)을 고정하는데 사용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아일릿(102)은 스레딩 장치(100)를 따라 임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사용시, 스레딩 장치(100)[및 봉합선(150)]는 다양한 피부 포트(80)를 통해 삽입되고 지지 매트릭스(200)는 짜여져 생성된다.
도 36 내지 도 45는 단부들 사이의 대략적인 중간 위치에서 아일릿(302) 또는 홈(303)[본원에서 봉합선 묶음 위치(tie-off lacation)로 지칭됨]을 포함하는 스레딩 장치 또는 로드(3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봉합선(150)이 스레딩 장치(300) 주위에 묶이고 홈(303) 내에 수용된다. 홈(303)은 장치(300)의 외측 주연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홈은 장치(300) 주변에 부분적으로만 연장된다. 장치(300)는 매듭(150c)이 수용되는, 내부에 형성된 리세스(305)도 구비한다. 이로 인해, 스레딩 장치(300)가 사용될 때, 매듭(150c)의 프로파일이 감소되고 매 듭(105c)이 임의 요소(인대, 피부, 봉합선 등)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호한 실시예에서, 스레딩 장치(300)는 대향하는 단부 또는 팁(304), 관(307), 단부 캡(304a) 및 광 안내부(306)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레딩 장치(300)는 중실형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팁 및 광 안내부는 일체형일 수 있거나, 또는 팁이 생략될 수도 있다. 스레딩 장치(300)는 발광 성능(lighting capability)이 없는 단단한 금속일 수 있거나, 또는 전체 장치가 발광하고 그리고/또는 장치가 더욱 유연하고 부드러우며 제조하기에 더 저렴하도록 반투명 또는 광 전도성 또는 투과성 재료(예컨대, 플라스틱)로 이루어진 고형물(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로 완전히 형성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스레딩 로드(300)의 단부 또는 팁은 무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무디다는 것은 단부가 피부 또는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의 임의의 다른 부분을 충분한 힘(후술되는 처치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힘) 없이는 천공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당업자라면, 통상적인 봉합선 바늘이 매우 작은 압력 또는 힘이 가해져도 피부를 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스레딩 장치(300)의 무딘 단부(편평하거나 또는 볼록함)는 후술된 바와 같이 사용되었을 때 피부를 천공하지 않는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단부는 날카로울 수 있다.
아일릿을 구비한 실시예에서, 아일릿(302)은 매듭(150c)이 관통하여 묶일 때 리세스부[도시 생략되었지만, 리세스(305)와 유사함]에 수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봉합선(150) 및 스레딩 장치(300)는 단일 유닛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봉합선(150)은 스레딩 장치(300)에 영구적으로 부착되고 봉합선과 스레딩 장치는 단일 유닛으로 외과의에게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레딩 장치(300)는 가단성이 있다. 예컨대, 관(307)은 스테인리스 강, 티타늄 또는 다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광 안내부(306)는 플라스틱(예컨대, 아크릴, 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등) 또는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서, 스레딩 장치(300)를 더욱 가단적이도록[그리고 접근 부위(14)에 더 쉽게 삽입되게] 하기 위해, 관(307)은 홈(303)의 단부, 아일릿(302) 또는 봉합선 묶음 위치로부터 테이퍼질 수 있다[또는 전체 장치(300)가 중실 로드의 경우 테이퍼질 수 있다)(도 37 및 도 39 참조). 다른 실시예에서, 도 41 및 도 49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는 제1 위치(333a)로부터 홈(303)의 좌측으로 제1 단부를 향해 테이퍼지고, 로드는 제2 위치로부터 홈(303)의 우측(333b)으로 제2 단부를 향해 테이퍼진다. 그 결과, 로드는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서의 직경보다 제1 단부 및 제2 단부에서 작은 직경을 갖는다. 도 41 및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303)을 제외하면, 제1 위치(333a)와 제2 위치(333b) 사이의 영역은 직경이 일정하다. 이로 인해, 로드(300)의 중심에 응력 집중이 방지되고 사용중 로드의 파손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제1 위치(333a)와 제2 위치(333b)는 로드(300)의 길이를 따르는 임의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호한 실시예에서, 스레딩 장치(300)는 둥글지 않다. 예컨대, 스레딩 장치는 6각형이다. 본 실시예에서, 핸드셋(360 또는 60)의 기구 도크(364)의 암형 리시버(366)는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이로 인해, 스레딩 장치(300)는 도킹되었을 때 회전이 방지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레딩 장치(300)의 단부만이 다각형이다. 스레딩 로드를 맞추고 스레딩 로드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어떠한 방법도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스레딩 장치(300)가 암형 리시버(366)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구 도크는 내부에 삽입되는 임의 구성 요소와 마찰 끼워 맞춤을 제공하도록 내부에 탄성 O-링(335)을 가질 수 있다.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307)은 중공이고 광 안내부(306)는 관을 관통하여 연장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관(307)의 단부는 단부 캡(304a)에 의해 씌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부 캡(304a)은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중공인 것이 바람직하며, 억지 끼워 맞춤 배열로 관(307) 내에 수용되는 플랜지(304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캡(304a)은 관(307)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거나 접착될 수도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단부 캡(304a)은 총알 형상이며 전체 내부 반사(total internal reflection)를 제공한다.
도 41 내지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관(307)은 둥글며, 광 안내부(306)는 관(307)의 단부(304)로 일치하며, 상술된 리세스는 생략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는 상술한 테이퍼 위치(333a, 333b)를 포함한다. 하지만, 위치(333a, 333b)는 생략될 수 있어서, 일정한 직경을 갖는 홈(303)이 제외된 관(307)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캡(304a)은 생략된다. 광 안내부(306)를 관(307)에 고정하기 위해, 광 안내부(306)는 관(307)의 내부 직경과의 사이를 접착제로 충전하여 포팅될 수 있다. 전체 광 안내부(306)가 포팅되거나 또는 단부만이 포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로드(300)의 단부(304)는 광 전달을 증진하고 관(307)의 단부와 광 안내부(306)를 일치시키기 위해,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글고 연마되고 부드럽게 처리될 수 있다. 단부(304)는 편평하거나 볼록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양호한 실시예에서 광 안내부(306) 내에서 전체 내부 반사를 증진시키기 위해, 광 안내부(306)는 클래드 가공(cladded)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플라스틱 광 안내부가 사용되면, 관 안내부(306)의 외측이 클래드 가공될 수 있다. 유리 광 안내부가 사용되면, 공지된 바와 같이 유리 광 안내부가 당겨지기 전에 유리 빌릿이 클래드 가공될 수 있다. 클래드 가공을 사용하는 것은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지만, 클래드 가공이 사용되지 않으면 포팅 혼합물(potting compound)이 광 전달을 빗나가게 하여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스레딩 장치(300)가 핸드셋(360)과 도킹될 때, 광은 로드(300)의 일단부(304)를 통과하여 광 안내부(306)를 통해 타단부(304)로 빠져나간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암형 리시버(366)의 바닥부는 단부(304)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져서, 효과적인 광 전달을 제공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고효율의 백색 LED가 사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발광 장치(360)는 고효율의 백색 LED를 위한 소정의 레벨로 전압을 증폭하는 DC 대 DC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LED에 의해 발광된 광이 초점의 좁은 각도에서 집광 및 발광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광 안내부(306)의 개방부수는 LED로부터 발광된 광과 가능한 일치한다. 이는 광 전달의 효율을 최대화하는 것에 도움이 된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서, 스레딩 장치(300)는 자체 전원(391)과 광원(393)을 포함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전원(391)과 광원(393)(예컨대, LED)은 배선(39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핸드셋은 생략될 수 있다. 예컨대, 스레딩 장치(300)는 각 단부에 LE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핸드셋은 스레딩 장치를 피하로 관통시키는 것을 돕도록 스레딩 장치를 왕복 운동시킬 수 있다. 왕복 운동은 스레딩 장치가 지방 조직을 쉽게 관통할 수 있게 하여, 혈관, 신경 구조 및 다른 피하 인대에 대한 부수적 피해를 덜 발생시킨다. 이 실시예는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되었으며 모짜르트(Mozsary)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6,139,518호에 개시된, 삽입관을 왕복시키기 위한 장치와 유사하다. 이 실시예에서, 핸드셋은 수술 중 스레딩 장치를 전후로 왕복 운동시키도록 전력이 공급된다. 스레딩 장치는 부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왕복 운동 부재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커넥터에 의해 손잡이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핸드셋은 스레딩 장치를 왕복 운동시키거나 초음파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도 33 내지 도 35B는 천공 또는 접근 부위를 조사하고 인대 및 다른 막힘(obstruction)을 세척하기 위한 무딘 기구인 세척 장치(32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세척 장치(321)는 목부(도킹부로도 지칭됨)(323)와 세척 부(325)를 포함한다. 세척부(323)는 스레딩 로드(300)와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가져서 세척부와 스레딩 로드 모두가 접근 부위에 끼워 맞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3 및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호한 실시예에서, 세척부(325)는 구형상이다. 이로 인해, 외과의가 세척부(325)를 접근 부위(14)에 삽입하고 장치를 회전시켜 접근 부위 아래 영역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세척 장치(321)의 사용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51 참조].
양호한 실시예에서, 세척 장치(321)는 핸드셋(360)과 스냅 끼워 맞춤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목부(323)와 기구 도크(364)는 도 3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돌출부(327a) 및 만입부(327b)를 포함한다. 세척 장치(321)는 스냅 끼워 맞춤 배치를 위해 유연성을 가지며 세척 장치(321)가 투광될 수 있도록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시, 광은 기구 도크(364)로부터 발광되어 세척 장치(321)를 투광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세척 장치(321)의 팁만이 조명되고 장치의 나머지 부분은 불투명하다. 이는 광을 팁으로 안내하는 것을 돕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세척 장치(321)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세척 장치(321)는 다른 방식으로 핸드셋(360)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컨대, 목부(323)의 일부가 핸드셋(360) 상의 슬롯에 수용된 후(또는 그 반대의 경우) 세척 장치가 회전되고 적소에 잠겨지는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나사식 구조(329)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또한, 세척 장치(321)는 핸드셋(60)에 끼워 맞춤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46 및 도 47을 참조하면, 세척 장치(321)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이 실시예에서, 세척 장치(321)는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리시버(366)에 끼워 맞춤되는 로드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세척 장치(321)는 목부(또는 도킹부)(323)와 세척부(323)를 포함한다. 목부(323)는 암형 리시버(366)에 삽입될 때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키로 고정(keyed)될 수 있다(후술되는 스레딩 장치와 유사함).
도 35A 및 도 35B는 만곡된 세척부(325a)와 직선 세척부(325b)를 구비한 세척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또한, 이러한 세척부는 암형 리시버(366)에도 수용되는 세척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도 46 내지 도 49를 참조하면, 핸드셋(36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핸드셋(360)은 대체로 상술된 바와 동일하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구 도크는 나사(329) 및 원형인 암형 리시버(366)를 포함한다. 또한, 핸드셋(360)은 상술된 바와 같이 테일콘(337)을 포함할 수도 있다. 테일콘(337)은 세척 장치를 회전할 때 외과의가 임의 요소를 파지할 수 있도록 간소화될 수 있거나, 또는 상술된 바와 같이 광원을 작동시키는 래칭 스위치를 작동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장치는 기구 도크(364)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노즈콘(339, nose cone)을 포함할 수도 있다. 노즈콘(339)은 파지용 만입부(339a)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노즈콘(339)이 기구 도크(364)에 나사 결합될 때 암형 리시버(366)와 축방향으로 정렬하도록 관통하여 형성된 축방향 개방부(339c)를 갖는다. 노즈콘(339)은 핸드셋(360)을 사용할 때 외과의를 위한 그립을 제공한다. 이로 인 해, 외과의는 펜을 잡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핸드셋을 잡을 수 있다.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그리고 후술되는 바와 같이), 세척 장치(321)는 암형 리시버(366)에 끼워 맞춤되고 관통하여 연장하는 세척부(325)를 포함하는 목부(323)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서 노즈콘 및 세척 장치는 단일 유닛으로 형성될 수 있어서, 세척 장치 조립체(341)를 형성한다. 이 실시예에서, 목부(323)는 동시에 노즈콘(339)이 기구 도크(364)에 나사 결합되는 상태에서 암형 리시버(366) 내에 삽입된다. O-링(335)은 암형 리시버(366) 내에서 목부(323)를 고정하는 것을 돕는다. 이 실시예에서, 세척부(325)는 목부의 종방향 축에 대체로 수직인 평면을 형성하는 만곡된 경로로 연장된다.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 장치 조립체(341)는 팁을 조명하기 위해 관통 연장하는 광 안내부(306)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세척 장치 조립체(341)가 사용되는 외과 처치에서,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레딩 로드(300)를 고정하기 위한 개별적인 노즈콘(339b)이 사용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사용시, 세척 장치 조립체(341)가 접근 부위 주변 영역을 세척하도록 사용된 후에, 세척 장치 조립체(341)는 기구 도크(364)로부터 나사 결합 해제된 후, 노즈콘(339b)이 나사 결합된다. 노즈콘(339b)은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부(339c) 및 암형 리시버(366)에 삽입될 때, 스레딩 로드(300)를 고정하는 것을 돕기 위해 내부에 O-링(335)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노즈콘(339b)은 생략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노즈콘(339b)은 스레딩 로드를 인출하기 어렵 도록 내부에서 스레딩 로드를 조이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노즈콘(339b)은 세트 스크류, 척, 내부 나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8 및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서, 스레딩 로드(300)는 주연부에 형성된 고정 채널(343)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즈콘(339b) 또는 암형 리시버(366)에 삽입되었을 때, 채널(343) 중 하나는 O-링(335)을 수용하여 스레딩 로드(300)를 내부에 고정하는 것을 돕는다. 채널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스레딩 로드가 가역적이기 때문에 양단부 부근에 위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O-링 대신에 노즈콘(339b) 또는 기구 도크(364)(도 50 참조)는 채널(343) 내에 수용되는 금속 링을 포함할 수 있어, O-링보다 강한 스냅 끼워 맞춤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스레딩 로드(300)의 길이는 수행되는 처치의 유형(및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것이다. 다른 단부가 전체 접근 부위(14) 외측으로 연장하는 출구 접근 부위(14)로부터 일단부가 출현하는 것과 같이 스레딩 로드(300)가 피하로 통과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예컨대, 경피 트램펄린 광경근 성형술(percutaneous trampoline platysmaplasty)에서, 스레딩 로드(300)의 길이는 약 22.86㎝(9인치)일 수 있다. 도 53을 참조하면, 이로 인해 스레딩 로드(300)의 일단부가 접근 부위(14b)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동시에 대향 단부는 접근 부위(14c)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MACS 올림에서, 스레딩 로드(300)는 길 필요가 없다. 도면에 도시된 스레딩 장치(100, 300)는 비례적이지 않다.
도 57 및 도 5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레딩 로드는 만곡되거나 또는 휘어질 수 있다. 예컨대,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304)는 다양한 방 향으로 만곡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스레딩 로드(300a)는 중실일 수 있거나 또는 내부에 광 안내부를 가질 수도 있다. 단부들은 날카롭거나 또는 무딜 수 있다. 날카로운 단부의 실시예에서, 단부(304)를 통해 광을 전달하는 것이 곤란할 수도 있기 때문에, 개방부(347)가 관(307) 내에 형성될 수 있어 광이 단부(304)로부터 이격된 지점에서 발광될 수 있게 한다. 스레딩 로드(300a)는 개복 수술에 유용할 수 있으며 상술된 실시예보다 덜 가단적이어서 장치를 강화하다. 도 5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서, 스레딩 로드(300b)는 동일한 방향으로 만곡된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이제, 스레딩 장치(100)를 사용하는 지지 매트릭스(200)의 예시적 구조가 설명될 것이다. 예컨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선(150)의 제1 단부(150a)가 아일릿(102)에 연결된 후, 핸드셋(60)은 외과의에 의해 파지되고 스레딩 장치는 제1 피부 포트(80a)를 통해 삽입된다. 스레딩 장치(100)의 발광 팁(104)은 작업 영역을 조명하고 피부를 통해 투광하여 외과의가 팁(104)의 위치와 지지 매트릭스(200)의 적절한 배치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양호한 실시예에서 포트(80)는 스레딩 장치(100)의 통과를 촉진하기 위해 투명하다. 즉, 스레딩 장치(100)의 팁(104)은 포트(80)에 접근할수록, 투광적일 것이다.
스레딩 장치(100)는 팁(104)이 삽입된 아래턱의 대향측 상의 제2 피부 포트(80b)를 통과하도록 아래턱 라인의 일측으로부터 다른 측으로 스레딩될 수 있을 만큼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 지점에서, 팁(104)은 외과의에 의해 파지되고 봉합선(150)은 목 아래 영역을 통해 인출된다. 그 후, 스레딩 장치(100)는 핸드셋(60) 으로부터 분리되어 스레딩 장치(100) 및 봉합선(150)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피부 포트(80b)를 통해 인출될 수 있다.
그 후, 스레딩 장치(100)는 회전되어 핸드셋(60)에 재연결된 후 제2 피부 포트(80b)를 통해 재삽입되고 반대측까지 피하를 통과하여 제3 피부 포트(80c)를 통해 빠져나간다. 스레딩 장치(100)는 다시 한번 핸드셋(60)으로부터 연결 해제되고 스레딩 장치 및 봉합선(150)이 제3 피부 포트(80c)를 통해 인출된 후 재연결된다.
다음으로, 스레딩 장치(100)는 회전되어 핸드셋(60)에 재연결된 후, 제3 피부 포트(80c)를 통해 재삽입되고 반대측으로 피하를 관통하여 제4 피부 포트(80d)를 통해 빠져나간다. 이 지점에서, 스레딩 장치(100)는 다시 한번 핸드셋(60)에 연결 해제되고 스레딩 장치 및 봉합선(150)이 제4 피부 포트(80d)를 통해 인출된 후 재연결된다.
그 후, 스레딩 장치(100)는 회전되어 핸드셋(60)에 재연결된 후, 제4 피부 포트(80d)를 통해 재삽입되고 반대측으로 피하를 관통하여 제5 피부 포트(80e)를 통해 빠져나간다. 이 지점에서, 스레딩 장치(100)는 다시 한번 핸드셋(60)에 연결 해제되고 스레딩 장치 및 봉합선(150)이 제5 피부 포트(80e)를 통해 인출된 후 재연결된다.
다음으로, 스레딩 장치(100)는 회전되어 핸드셋(60)에 재연결된 후, 제5 피부 포트(80e)를 통해 재삽입되고 바람직하게는 나사식 피부 포트(120)(상세하게 후술됨)를 포함하는 중앙선 턱끝밑 접근 부위로 피하 관통한다. 스레딩 장치(100) 및 봉합선(150)의 제1 단부(150a)는 나사식 피부 포트(122)를 통해 당겨지고 스레 딩 장치는 핸드셋(60)으로부터 연결 해제된다. 그 후, 봉합선(150)의 제1 단부(150a)는 스레딩 장치(100)로부터 절단되고 그리고/또는 풀린다.
이제, 제1 피부 포트(80a)로부터 연장하는 봉합선(150)의 제2 단부(또는 말단부)(150b)가 스레딩 장치(100)의 아일릿(102)에 고정되고 스레딩 장치(100)는 핸드셋(60)에 연결된다. 핸드셋(60)은 외과의에 의해 파지되고 스레딩 장치는 제1 피부 포트(80a)를 통해 삽입되고 반대측으로 피하 통과하여 제6 피부 포트(80f)를 통해 빠져나간다. 이 지점에서, 스레딩 장치(100)는 다시 한번 핸드셋(60)으로부터 연결 해제되고 스레딩 장치 및 봉합선(150)이 제6 피부 포트(80f)를 통해 당겨진 후 재연결된다.
다음으로, 스레딩 장치(100)는 회전되어 핸드셋(60)에 재연결된 후, 제6 피부 포트(80f)를 통해 재삽입되고 반대측으로 피하 관통하여 제7 피부 포트(80g)를 통해 빠져나간다. 이 지점에서, 스레딩 장치(100)는 다시 한번 핸드셋(60)으로부터 연결 해제되고 스레딩 장치 및 봉합선(150)이 제7 피부 포트(80g)를 통해 당겨진 후 재연결된다.
그 후, 스레딩 장치(100)는 회전되어 핸드셋(60)에 재연결된 후, 제7 피부 포트(80f)를 통해 재삽입되고 반대측으로 피하 관통하여 제8 피부 포트(80h)를 통해 빠져나간다. 이 지점에서, 스레딩 장치(100)는 다시 한번 핸드셋(60)으로부터 연결 해제되고 스레딩 장치 및 봉합선(150)이 제8 피부 포트(80h)를 통해 당겨진 후 재연결된다.
다음으로, 스레딩 장치(100)는 회전되어 핸드셋(60)에 재연결된 후, 제5 피 부 포트(80e)를 통해 재삽입되고 중앙선 턱끝밑 접근 부위에서 나사식 피부 포트(120)를 피하 관통한다. 스레딩 장치(100) 및 봉합선(150)의 제1 단부(150b)는 나사식 피부 포트(120)를 통해 당겨지고 스레딩 장치는 핸드셋(60)으로부터 연결 해제된다.
당업자라면, 피부 포트(80)의 관(84)은 스레딩 장치(100)가 삽입될 때 봉합선(150)이 상술된 처치 중 앞면 유지 인대(facial rataining ligament)를 둘러쌈으로써 자신을 고정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스레딩 장치(100)와 봉합선(150)이 포트(80)를 관통할 때마다 봉합선은 앞면 유지 인대에 고정되어 고정 또는 피벗 지점을 생성한다.
상술된 접근 부위(14), 포트(80) 및/또는 통로 등의 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특정 수술에 요구될 때 임의 수가 본원에 개시된 처치에 사용될 수 있다.
스레딩 장치(100)의 단부(104)로부터의 경피 광 전달은 지지 매트릭스(200)가 짜여져 생성될 때 외과의가 팁(104)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피드백을 제공한다. 이러한 피드백은 각각의 개별 스트랜드를 요구되는 지지부의 영역에 대해 배치할 수 있게 한다. 이로 인해, 봉합선 스트랜드(150)가 피부와 지방층 아래 근육 부근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포트(80)에서 플랜지(82)와 결합되는 관(84)의 단부는 경사 또는 테이퍼진 에지(84a)를 가져서, 스레딩 장치(100)의 팁이 삽입 중 터널(86) 내측에 포획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봉합선(150)의 대향 단부에 각각 연결된 2개의 스레딩 장 치(100)가 사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스레딩 장치(100)는 봉합선(150)의 제2 단부가 피부를 통해 스레딩되기 전에 봉합선(150)의 단부로부터 연결 해제될 필요가 없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봉합선(150)은 대향 단부(150a, 150b)에 부착된 2개의 일회용 스레딩 장치(100)를 구비한 키트를 형성한다. 매트릭스(200)를 형성한 후에, 스레딩 장치(100)는 봉합선(150)으로부터 절단될 수 있으며, 그 후 봉합선은 묶일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3은 중앙선 턱끝밑 접근 부위에 사용되는 나사식 피부 포트(120)를 도시한다. 나사식 피부 포트(120)는 상술된 피부 포트(80)와 동일한 시기에 삽입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포트(120)는 연장하는 관(124)을 구비한 플랜지(122)를 포함한다. 관(124)은 스레딩되는 것(126)이 바람직하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124) 및 플랜지(122)는 관통하는 터널(128)을 형성하도록 협동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랜지(122) 내의 터널(128)의 부분은 경사 또는 테어퍼진 에지(128a)를 포함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포트(120)는 외과의가 포트(120)를 중앙선 턱끝밑 접근 부위로 스레딩하는 것을 돕는 플랜지(122)로부터 상향 연장하는 한 쌍의 손잡이부(130)를 포함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손잡이부(130)에 제한되지 않으며 손잡이부가 생략될 수도 있다. 피부를 통한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모든 피부 포트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컨대, 피부 포트(80) 또는 이와 유사한 구성 요소가 중앙선 턱끝밑 접근 부위에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포트(120)는 접근 부위(14)에서 사용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포트(120)는 스레딩 장치(100)의 통과를 돕기 위해 투명하다. 즉, 스레딩 장치(100)의 팁(104)은 포트(120)에 근접하게 되면, 투광적이 될 것이다.
사용시, 관(124)은 중앙선 턱끝밑 접근 부위에 삽입된다. 손잡이부(130)는 파지되고 포트(120)는 플랜지(122)의 바닥 표면이 피부의 외부 표면에 안착할 때까지 피부 내로 스레딩되도록 회전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술된 피부 포트(80)와 유사하지만 약간 변형된 포트가 중앙선 접근(mid-line access)에 사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플랜지는 관 외부의 나삿니와 결합하는 나사식 내부를 포함한다. 절첩 부재의 말단부는 일체식으로 스레딩되지 않은 링에 연결된다. 이러한 링으로 인해, 관은 내부에서 회전하지만, (일체식으로 스레딩되지 않아서) 링이 관의 나삿니를 타고 올라가게 하지는 않는다. 절첩 부재의 대향 단부는 플랜지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관이 (바람직하게는 핸드셋 또는 외과의의 손가락과 결합함으로써) 회전하면, 관의 외부와 플랜지 내부의 나사식 결합은 관을 (환자 신체의 내부에 대해) 외측으로 이동시킬 것이다. 이러한 작동으로 인해, 절첩 부재는 주름에서 절첩되게 된다. 환자에 사용할 때, 절첩 위치에서 관의 기단부는 환자 신체의 외측에 위치되고 말단부는 절첩되지 않은 위치에 있을 때보다 플랜지에 더 근접하도록 이동된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매듭 위치 설정 도구(140)가 도시 및 설명된다. 봉합선(150)의 양 단부(150a, 150b)가 스레딩되고 지지 매트릭스(200)가 생성된 후, 2개의 봉합선 단부(150a, 150b)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선 턱끝밑 접근 부위로 [포트(120)를 통해] 빠져나온다. 하나의 쓰로우 매듭(150c, throw knot)이 배치되고(본 발명은 매듭의 유형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매듭 위치 설정 도구(140)는 매듭(150c)을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매듭 위치 설정 도구(140)의 일단부(142)(바람직하게는 나사식)는 핸드셋(60)과 도킹하고 다른 단부(144)는 분기된다. 분기된 단부(144)는 나사식 피부 포트(120)의 터널(128)을 통해 피부 밑으로 매듭(105c)을 가압하는데 사용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매듭 위치 설정 도구(140)는 광섬유 코어(152)와, 매듭(150c)을 배치할 때 작업 영역을 조명하도록 광이 전달되는 개방부(152a)를 포함한다.
매듭(150c)이 나사식 포트(120)를 통해 가압된 후, 나사식 포트(120)는 접근 부위로부터 비틀리고 다른 피부 포트(80)는 핸드셋(60)을 사용하여 제거된다. 이렇게 하기 위해, 수형 커넥터(68)는 포트(80)에 삽입되어, 리지(68a)가 만입된 링(82a)에 스냅 결합되고 나삿니(68b, 82b)가 서로 결합된다. 그 후, 핸드셋(60)이 비틀려져서, 관(84)을 회전시키고 내부에 나사가 형성된 링(90b)을 나사(88)를 따라 다시 하강 이동시키고 절첩된 절첩 부재(90a)의 절첩을 편다. 다른 실시예에서, 포트(80)는 손으로 제거될 수도 있다.
*포트(80, 120)를 외상없이 제거한 후, 스테리스트립(steristrip)을 필요에 따라 부착하고 목 압박 옷(neck compression garment)을 환자에게 입힌다. 예시적인 지지 매트릭스(200)의 최종 구성은 도 25를 참조한다.
지지 매트릭스(200) 구성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가 이제 개시될 것이다. 도 46 내지 도 51을 참조하라. 이 실시예에서는, 핸드셋(360) 및 스레딩 장치(300)가 사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도 51 내지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근 부위(14)의 대부분은 턱밑 경계 위에 있다. 스레딩 장치(300)가 대체로 직선이고 아래턱의 곡률 주위로 이동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레딩 로드를 목의 곡률 주위로 재배향할 수 있도록 아래턱 아래의 단속적인 접근 부위를 요구한다[이를 도시한 예시적 접근 부위가 표시된다(14a)]. 외과의는 스레딩 로드를 재배향할 필요가 있을 때 환자의 아래턱 아래에서 또는 다른 위치에서 다른 접근 부위를 사용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레딩 장치를 사용하기 전에, 외과의는 접근 부위(14)에 인접한 영역 아래의 진피 부착물을 세척하기 위해 세척 장치(321)[또는 세척 장치 조립체(341)]를 사용하기를 원할 수도 있다. 도 51 내지 도 56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외과의는 수술 중 스레딩 로드(300)의 고정을 돕고 핸드셋(360)의 조작을 돕기 위해 노즈콘(339 또는 339b)을 사용할 수도 있다.
스레딩 장치(300) 및 제1 봉합선(150)의 최초 진입을 위해, 외과의는 턱 아래에 접근 부위(14a)를 생성한다. 핸드셋(360)은 (예컨대, 립 코드를 당기거나, 테일콘을 비틀거나 가압하거나 또는 광원을 켜서) 조명되고 스레딩 장치(300)는 핸드셋(360)에 삽입된다. 스레딩 장치(300)는 도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근 부위(14a)를 통해 삽입된다. 스레딩 장치(300)의 발광 팁(304)은 작업 영역을 조명하고 피부를 통해 광을 투광하여 외과의가 지지 매트릭스(200)의 적절한 배치와 팁(304)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그 후, 스레딩 로드는 제2 접근 부위(14b)를 통해 빠져나오고 봉합선의 일부는 제2 접근 부위(14b)를 통해 당겨진다. 봉합선이 제2 접근 부위(14b)를 통해 충분히 당겨져서, 최소의 봉합선만이 부위(14a) 외측에 돌출되고, 봉합선은 처치 종료(후술됨)시 묶일 수 있다 봉합선의 단부가 제1 접근 부위(14a) 내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봉합선은 지혈 겸자(hemostat)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봉합선이 스레딩 로드(300)의 중간에서 묶이기 때문에, 외과의는 접근 부위 외측으로 전체 스레딩 로드를 당길 필요가 없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대신에, 절반 이상의 스레딩 로드가 상기 부위를 통해 당겨져서 봉합선이 당겨진 후, 외과의는 로드를 소정의 방향으로 피벗한 후 접근 부위를 통해 로드를 다시 가압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동작으로 인해 봉합선은 접근 부위 부근의 피부 아래 인대에 고정될 수 있다. 스레딩 로드(300)는 봉합선이 중간 부근에 부착되고 이중 종단되기 때문에, 환자의 피부 아래로부터 빠져나올 때마다 회전될 필요가 없다. 하지만, 외과의는 필요한 경우 스레딩 로드를 회전시킬 수 있다.
스레딩 로드를 제2 접근 부위(14b)로 다시 가압하기 전에, 외과의는 도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셋을 스레딩 로드의 단부에 배치하여 팁(304)을 조명한다.
그 후, 스레딩 로드는 부위(14b)로부터 부위(14a)로 스레딩되고, 피벗되고 제3 접근 부위(14c)로 피하 관통된다. 환자에 따라, 외과의는 부위(14b)로부터 부위(14c)까지 로드를 부위(14a)에서 피벗하지 않고 직선으로 스레딩할 수 있다. 이것은 제4 접근 부위(14d), 제5 접근 부위(14e) 및 제6 접근 부위(14f)에 대해 반복되며, 최후에는 스레딩 로드가 턱끝밑 접근 부위를 통해 빠져나온다(매번, 외과의 는 부위(14a)를 통해 되돌아 올 필요가 없으며 "구두끈"식으로 다음 부위로 직접 이동할 수 있다). 처치중 필요에 따라 핸드셋은 스레딩 로드를 취할 수 있어서, 팁(304) 중 하나가 필요에 따라 발광될 수 있다. 그 후, 봉합선(150)은 스레딩 로드로부터 절단된다. 바람직하게는, 스레딩 장치 및 봉합선(150)이 접근 부위(14)를 통과할 때마다, 제1 봉합선(150)은 인접한 앞면 유지 인대 주변을 통과하여 고정 또는 피벗 지점을 생성한다.
도 5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후 제2 봉합선(151)은 스레딩 로드(300)에 묶이고 스레딩 로드는 제1 접근 부위(14a)에 삽입된다. 그 후, 제2 봉합선은 제7 접근 부위(14g)로 피하 관통된다. 제1 봉합선(150)에 대한 상술된 처치와 유사하게, 이후 제2 봉합선(151)은 제8 접근 부위(14h), 제9 접근 부위(14i), 제10 접근 부위(14j) 및 제11 접근 부위(14k)로 스레딩되고(도 55 참조) 최종적으로 중앙선 턱끝밑 접근 부위를 빠져나온다. 그 후, 부위(14a)로부터 연장하는 봉합선(150, 151)의 단부는 함께 묶여서 매트릭스(200)를 완성한다(도 56 참조). 그 후, 매듭(150c)은 (예컨대, 세척 장치 또는 스레딩 로드를 사용하여) 부위(14a)를 통해 피부 밑으로 가압된다. 이 지점에서, 외과의는 턱끝밑 접근 부위로부터 연장하는 봉합선(150, 151)의 단부를 당길 수 있어, 매트릭스(200)에 소정의 인장을 가한다. 이러한 작업이 수행될 때, 봉합선(150, 151)의 단부는 함께 묶이고 매듭(150c)은 상기 부위를 통해 피부 아래로 가압된다.
수술은 핸드셋 없이도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일부 외과의는 팁을 조명하기 위한 핸드셋을 사용하지 않고 스레딩 장치만을 사용하기를 원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단단한 스레딩 당치 또는 자가 제어성 전원 및 광원을 갖는 스레딩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스레딩 장치(300)는 다른 유형의 수술에도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스레딩 장치는 얼굴, 목 및/또는 신체의 다른 영역의 개방 또는 융기를 사전에 필요로 하는 성형 수술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봉합선 시스템을 배치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예는 목 규정 봉합선의 배치를 위한 이러한 장치 또는 시스템의 사용을 포함하거나, 또는 본원에 전체가 참조로서 포함된, 2007년 3월/4월 미용 성형 저널, 볼륨 27, 제2권 제188면 내지 제198면의 패트릭 토나드(Patrick Tonnard, M. D.)와 알렉시스 멀패일(Alexis Merpaile, M. D.)의 MACS 올림 작은 흉터 주름 제거 수술(MACS-lift Short Scar Rhytidectomy)에 개시된 MACS 올림(최소 접근 두부 현수)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처치에서, 펄스 스트링 봉합선(purse-string suture)이 사용된다. 봉합선을 배치하기 위해, 외과의는 통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절개 대신에 스레딩 로드(300)를 사용할 수 있다.
공지된 목 규정 봉합선은 본원에 전체가 참조로서 포함된, 2005년 미용 성형 저널, 볼륨 29, 제341면 내지 제350면의 빈센트 지암파파(Vincent Giampapa, M. D), 이오아니스 비츠오스(Ioannis Bitzos, M. D.), 오스카 라미레즈(Oscar Ramirez, M. D.) 및 마크 그라닉(Mark Granick, M. D.)의 목 주름 제거 수술을 위한 봉합선 현수 광경근 성형술 제고: 성과를 개선하기 위한 기술적 미세점(Suture Suspension Platysmaplasty for Neck Rejuvenation Revisited: Technical Fine Points for Improving Outcomes)에 개시된다. 하지만, 절개를 크게 해야 하고 목 구역 아래 피부를 융기시켜야 하는 대신에, 이러한 처치는 귀 후방을 작게 절개한 후 필요한 경우 스레딩 로드(300)와 필수 피벗 지점(접근 부위)을 사용하여 하악골 아래에서 피하로 봉합선을 스레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처치에 사용된 봉합선은 4.0 편조 폴리에스테르 봉합선(4.0 braided polyester suture)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더욱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봉합선 설계가 비광섬유 스트랜드와 상호 권취된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스트랜드(150d)를 포함한다. 봉합선(150)은 필요에 따라 공지된 바와 같이 한 개, 두 개 또는 세 개의 광섬유 스트랜드로 편조된다. 이는 봉합선(150)의 투광에 도움이 되어 봉합선(150)이 배치된 후 피하 배치를 확인한다. 광섬유 스트랜드(150d)는 매듭 배치 도구(140)와 결합된 핸드셋(60) 광섬유 광이 시도 중 봉합선에 근접할 때 조명된다. 봉합선에 전달된 광은 봉합선이 고정되었을 때 외과의가 지지 매트릭스(200)의 배치를 시각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비광섬유 스트랜드가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또는 다른 비흡수성 재료 등의 공지된 임의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지지 매트릭스(200)의 생성 중 임의의 지점에서, 봉합선 배치는 봉합선(150)의 단부(150a, 150b) 중 하나에서 핸드셋(60 또는 360)을 배치하여, 봉합선(150)의 배치를 확인하기 위해 광섬유 스트랜드(150d)를 따라 광을 하향 전달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다.
봉합선 경로를 조명함으로써, 외과의는 봉합선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봉합선 조명으로 인해, 외과의는 각 피벗 지점의 해부학적 이동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당업자라면, 광섬유 봉합선이 본원에 개시된 기술뿐만 아니라 릿 바인딩 재료(lit binding material)가 필요한 수술 또는 다른 재료의 모든 영역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레딩 장치는 직선이거나 또는 만곡된 바늘일 수 있다. 외과적 처치 중 광 에너지를 가함으로써 봉합선의 배치 및 정확도를 확인하게 된다. 수술후 광을 조사하여 외과의는 시간 및 노화에 대한 봉합선 배치의 전개를 이해할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외과의가 작업 부위를 가시화할 수 있도록 상술된 표준 처치에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절개를 통해 광경근으로부터 융기될 수 있으며, 그 후 봉합선 매트릭스는 포트(80) 및/또는 접근 부위(14)를 통해 배치될 수 있다.
상술된 기구는 키트로 판매될 수 있다. 예컨대, 테이프(10 또는 310), 표시 펜, 란셋(40), 핸드셋(60 또는 360), 피부 포트(80), 스레딩 장치(100, 300), 나사식 피부 포트(120), 매듭 위치 설정 도구(140), 봉합선(150 또는 151), 노즈콘(339 또는 339)의 모든 또는 임의의 조합, 세척 장치(321), 세척 장치 조립체(341) 또는 상술된 다른 기구를 포함하는 기구들의 모든 또는 임의의 조합을 갖는 키트가 판매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이다. 당업자라면, 본원에 개시된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상술된 실시예를 다양하게 사용하고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후속하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서만 규정된다.

Claims (164)

  1. 수술 방법이며,
    a) 피부에 복수의 개방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b) 개방부 각각에 피부 포트를 삽입하는 단계와,
    c) 피부 아래 봉합선 매트릭스를 형성하도록 피부 포트를 통해 봉합선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은 목 올림 수술인, 수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개방부는 제1 그룹 및 제2 그룹을 포함하고, 봉합선 매트릭스는 제1 그룹의 개방부와 제2 그룹의 개방부 사이에 봉합선을 직조하여 형성되는, 수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피부에 중앙선 접근 부위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중앙선 접근 부위는 제1 그룹과 제2 그룹 사이에 대략적으로 위치되는, 수술 방법.
  5. 수술 방법이며,
    a) 환자 피부의 일부에 테이프 템플렛을 배치하는 단계와,
    b) 복수의 접근 부위를 표시하는 단계와,
    c) 중앙선 접근 부위를 형성하도록 개방부를 만드는 단계와,
    d) 지방 흡입을 수행하는 단계와,
    e) 접근 부위의 피부에 복수의 개방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f) 개방부 각각에 피부 포트를 삽입하는 단계와,
    g) 중앙선 접근 부위에 피부 포트를 삽입하는 단계와,
    h) 봉합선이 묶여진 스레딩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와,
    i) 피부 아래 봉합선 매트릭스를 형성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피부 포트를 통해 스레딩 장치와 봉합선을 삽입하는 단계와,
    j) 중앙선 접근 부위의 피부 포트를 통해 봉합선의 단부를 당기는 단계와,
    k) 봉합선의 단부들을 매듭으로 묶는 단계와,
    l) 중앙선 접근 부위와 피부 아래에서 피부 포트를 통해 매듭을 가압하는 단계와,
    m) 접근 부위에서 개방부로부터 피부 포트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술 방법.
  6. 수술용 키트이며,
    a. 적어도 하나의 테이프 부재와,
    b. 란셋과,
    c. 핸드셋과,
    d. 복수의 피부 포트와,
    e. 스레딩 장치와,
    f. 나사식 피부 포트와,
    g. 매듭 위치 설정 도구와,
    h. 봉합선 중
    적어도 2개를 포함하는, 수술용 키트.
  7. 제6항에 있어서, 핸드셋은
    a. 제1 및 제2 대향 단부를 가지며 종방향 축을 형성하는 대체로 관형인 본체부와,
    b. 본체부의 제1 단부로부터 연장하고, 대체로 관형이고, 나사식 내부 암형 커넥터를 포함하는 기구 도크와,
    c. 본체부의 제2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광 포트를 포함하는, 수술용 키트.
  8. 제7항에 있어서, 스레딩 장치는
    a. 제1 및 제2 대향 단부와 내부와 내측에 형성된 아일릿을 갖는 긴 관으로서, 긴 관의 제1 단부에는 무딘 팁이 부착되고 제2 단부는 나사식 커넥터를 포함하고, 무딘 팁은 투명한, 긴 관과,
    b. 긴 관의 내부를 통해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광섬유 코어로서, 투명한 팁은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스트랜드에 에너지가 공급되면 조명되는 광섬유 코어를 포함하는, 수술용 키트.
  9. 제8항에 있어서, 매듭 위치 설정 도구는
    a. 내부와, 각각이 내측에 개방부를 갖는 제1 및 제2 대향 단부를 갖는 긴 관으로서, 긴 관의 제1 단부는 분기되고, 제2 단부는 나사식 커넥터를 포함하는 긴 관과,
    b. 긴 관의 내부를 통해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스트랜드를 포함하고, 광은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스트랜드에 에너지가 공급되면 긴 관의 제1 단부의 개방부를 통해 전달되는 광 섬유 코어를 포함하는, 수술용 키트.
  10. 제9항에 있어서, 봉합선은 적어도 3개의 스트랜드를 갖는 편조된 봉합선을 포함하고, 스트랜드 중 적어도 하나는 광섬유 재료로 구성된, 수술용 키트.
  11. 제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피부 포트는
    a. 종방향 축을 형성하는 플랜지와,
    b. 플랜지로부터 하향 연장하는 관을 포함하고,
    관은 관과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플랜지와 관은 관통하는 터널을 형성하도록 협동하고, 관은 플랜지 내에서 회전 가능하고, 관은 외부 표면에 형성된 절첩 기구 및 나삿니를 포함하는, 수술용 키트.
  12. 수술 전 피부에 표시를 하는 방법이며,
    a)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의 천공부를 각각 갖는 제1 및 제2 테이프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와,
    b) 피부의 일부에 제1 테이프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와,
    c) 피부의 일부에 제2 테이프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와,
    d) 제1 테이프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천공부를 통해 피부에 표시를 하는 단계와,
    e) 제2 테이프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천공부를 통해 피부에 표시를 하는 단계와,
    f) 피부로부터 제1 및 제2 테이프 부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테이프 부재의 천공부들은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는, 표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테이프 부재의 천공부들은 테이프의 종방향 중심을 따라 위치되는, 표시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테이프 부재는 투명한 재료(clear material)로 이루어진, 표시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제1 테이프 부재로 형성된 표시는 제2 테이프 부재로 형성된 표시와 대칭인, 표시 방법.
  17. a.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을 갖는 정지 부재와,
    b. 정지 부재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상향 연장하고, 각각이 제1 및 제2 단부를 갖는 2개의 날카로운 에지와 각각이 제1 및 제2 단부를 갖는 2개의 무딘 에지를 포함하는 블레이드로서, 날카로운 에지의 제1 단부들은 일 지점에서 만나서 90°이하의 각도로 상기 지점으로부터 멀리 연장하고, 2개의 무딘 에지의 제1 단부들은 2개의 날카로운 에지의 제2 단부로부터 하향 연장하고, 대응하는 날카로운 에지와 무딘 애지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둔각이고, 2개의 무딘 에지의 제2 단부들은 정지 부재에 연결되는 블레이드와,
    c. 정지 부재의 하부 표면으로부터 하향 연장하는 손잡이 부착 부재를 포함하는, 제조품.
  18. 제17항에 있어서, 2개의 무딘 에지 각각은 정지 부재의 상부 표면과 대체로 직각을 형성하는, 제조품.
  19. 제17항에 있어서, 손잡이 부착 부재는 표준 스캐펄 손잡이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제조품.
  20. 제17항에 있어서, 상부 부재는 디스크 형상인, 제조품.
  21. 제17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란셋과 표준 스캐펄 손잡이를 포함하는, 키트.
  22. a.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을 갖는 정지 부재와,
    b. 정지 부재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상향 연장하고, 각각이 제1 및 제2 단부를 갖는 2개의 날카로운 에지와 각각이 제1 및 제2 단부를 갖는 2개의 무딘 에지를 포함하는 블레이드로서, 날카로운 에지의 제1 단부들은 일 지점에서 만나서 90°이하의 각도로 상기 지점으로부터 멀리 연장하고, 2개의 무딘 에지의 제1 단부들은 2개의 날카로운 에지의 제2 단부로부터 하향 연장하고, 대응하는 날카로운 에지와 무딘 애지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둔각이고, 2개의 무딘 에지의 제2 단부들은 정지 부재에 연결되는 블레이드와,
    c. 정지 부재의 하부 표면으로부터 하향 연장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제조품.
  23. 제22항에 있어서, 2개의 무딘 에지 각각은 정지 부재의 상부 표면과 대체로 직각을 형성하는, 제조품.
  24. 제22항에 있어서, 정지 부재는 디스크 형인, 제조품.
  25. 피부 포트이며,
    a. 종방향 축을 형성하는 플랜지와,
    b. 플랜지로부터 하향 연장하는 관을 포함하고,
    플랜지는 관과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플랜지와 관은 관통하는 터널을 형성하도록 협동하고, 관은 플랜지 내에서 회전 가능하고, 관은 외부 표면에 형성된 절첩 기구 및 나삿니를 포함하는, 피부 포트.
  26. 제25항에 있어서, 절첩 기구는 내부에 형성된 절첩 주름을 각각 갖는 한 쌍의 절첩 부재를 포함하고, 절첩 부재는 절첩되지 않은 위치와 절첩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 피부 포트.
  27. 제26항에 있어서, 절첩 부재는 관의 대향측에 배치되는, 피부 포트.
  28. 제27항에 있어서, 절첩 부재는 관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내부에 나사가 형성된 링에 연결되는, 피부 포트.
  29. 제28항에 있어서, 관은 기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삿니를 포함하는, 피부 포트.
  30. 제25항에 있어서, 플랜지는 하향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파이크를 포함하 는, 피부 포트.
  31. 제25항에 있어서, 터널은 플랜지부와 관부를 포함하고, 플랜지는 터널의 플랜지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내부에 형성된 만입된 링을 갖는, 피부 포트.
  32. 회전 가능한 관이 연장되어 있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피부 포트를 고정하는 방법이며,
    a. 사람의 피부에 개방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b. 플랜지가 피부의 외부 표면에 닿을 때까지 개방부를 통해 관을 삽입하는 단계와,
    c. 관을 회전시켜 절첩 기구를 절첩되지 않은 위치로부터 절첩된 위치로 진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포트 고정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단계 b. 전에 핸드셋에 피부 포트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피부 포트 고정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핸드셋은 핸드셋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나삿니를 포함하고, 피부 포트는 나삿니의 대응 세트를 포함하고, 나삿니는 피부 포트가 핸드셋에 연결될 때 서로 결합하는, 피부 포트 고정 방법.
  35. 제33항에 있어서, 플랜지는 내부에 형성된 만입된 링을 포함하고, 핸드셋은 대응하는 기구 도크를 포함하는, 피부 포트 고정 방법.
  36. 제34항에 있어서, 관은 핸드셋을 회전시키고 핸드셋의 나삿니를 피부 포트의 나삿니에 대해 가압하게 함으로써 관이 회전되는, 피부 포트 고정 방법.
  37. 피부 포트이며,
    a. 종방향 축을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부가 연장되어 있는 플랜지와,
    b. 플랜지로부터 하향 연장하는 관을 포함하고,
    관은 관과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플랜지와 관은 관통하는 터널을 형성하도록 협동하고, 관은 외부 나삿니를 포함하는, 피부 포트.
  38. 제37항에 있어서, 플랜지 내의 터널의 일부는 경사진 에지를 포함하는, 피부 포트.
  39. 제39항에 있어서, 플랜지는 그로부터 상향 연장하는 2개의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손잡이부는 터널의 대향측에 배치되는, 피부 포트.
  40. 제39항에 있어서, 플랜지는 디스크 형인, 피부 포트.
  41. 제40항에 있어서, 포트는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피부 포트.
  42. 외부에 나사가 형성된 관이 연장되어 있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피부 포트를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플랜지와 관은 관통하는 터널을 형성하도록 협동하고, 플랜지 내의 터널의 일부는 경사진 에지를 포함하고, 플랜지는 플랜지로부터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피부 포트 고정 방법이며,
    a. 사람의 피부에 개방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b. 플랜지가 피부의 외부 표면에 닿을 때까지 피부의 개방부에 관을 스레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포트 고정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피부 포트는 플랜지로부터 상향 연장하는 2개의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손잡이부는 터널의 대향측에 배치되고, 관은 손잡이부를 회전시킴으로써 피부의 개방부에 스레딩되는, 피부 포트 고정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피부 포트는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피부 포트 고정 방법.
  45. 사람의 피부 아래 봉합선 지지 매트릭스를 생성하는 방법이며,
    a. 제1 및 제2 대향 단부를 갖는 긴 본체부를 포함하는 스레딩 장치를 봉합 선의 제1 단부에 연결하는 단계와,
    b. 피부의 제1 개방부를 통해 스레딩 장치를 삽입하는 단계와,
    c. 피부의 제2 개방부를 통해 스레딩 장치를 당기는 단계와,
    d. 피부의 제2 개방부를 통해 스레딩 장치를 재삽입하는 단계와,
    e. 피부의 제3 개방부를 통해 스레딩 장치를 당기는 단계와,
    f. 피부의 제3 개방부를 통해 스레딩 장치를 재삽입하는 단계와,
    g. 피부의 제4 개방부를 통해 스레딩 장치를 당기는 단계와,
    h. 봉합선의 제1 단부로부터 스레딩 장치를 연결 해제하는 단계와,
    i. 봉합선의 제2 단부에 스레딩 장치를 연결하는 단계와,
    j. 피부의 제1 개방부를 통해 스레딩 장치를 삽입하는 단계와,
    k. 피부의 제5 개방부를 통해 스레딩 장치를 당기는 단계와,
    l. 피부의 제5 개방부를 통해 스레딩 장치를 재삽입하는 단계와,
    m. 피부의 제4 개방부를 통해 스레딩 장치를 당기는 단계와,
    n. 봉합선의 제2 단부로부터 스레딩 장치를 연결 해제하는 단계와,
    o. 봉합선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매듭으로 묶는 단계를 포함하는, 매트릭스 형성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봉합선의 제1 및 제2 단부에 연결되는 나사가 결합된 장치는 동일한 스레딩 장치인, 매트릭스 형성 방법.
  47. 제45항에 있어서, 봉합선의 제1 단부에 연결된 스레딩 장치는 봉합선의 제2 단부에 연결된 스레딩 장치와 다른, 매트릭스 형성 방법.
  48. 제45항에 있어서, 본체부는 관통하여 형성된 아일릿을 포함하고, 봉합선은 아일릿을 통해 본체부에 연결되는, 매트릭스 형성 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본체부의 제2 단부는 나사가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는, 매트릭스 형성 방법.
  50. 제49항에 있어서, 본체부의 제1 단부는 무딘 팁을 포함하는, 매트릭스 형성 방법.
  51. 제48항에 있어서, 피부의 제4 개방부를 통해 스레드를 당긴 후 아일릿으로부터 봉합선의 제1 단부를 연결 해제하는 단계와, 봉합선의 제2 단부를 아일릿에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매트릭스 형성 방법.
  52. 제45항에 있어서, 제1 개방부, 제2 개방부, 제3 개방부, 제4 개방부, 및 제5 개방부는, 내부에 삽입되는 피부 포트를 포함하고, 피부 포트에는 스레딩 장치가 삽입되는, 매트릭스 형성 방법.
  53. 제50항에 있어서, 스레딩 장치는 발광 팁을 포함하는, 매트릭스 형성 방법.
  54. 제53항에 있어서, 스레딩 장치는 팁을 조명하는 광 안내부를 포함하는, 매트릭스 형성 방법.
  55. 제45항에 있어서, 스레딩 장치는 피부의 제1 개방부를 통해 삽입되기 전에 핸드셋에 연결되고, 스레딩 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피부의 제2 개방부를 통해 당겨진 후에 스레딩 장치는 핸드셋으로부터 연결 해제되는, 매트릭스 형성 방법.
  56. 제55항에 있어서, 스레딩 장치는 피부의 제1 개방부를 통해 삽입되기 전에 핸드셋에 연결되고, 스레딩 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피부의 제2 개방부를 통해 당겨진 후에 스레딩 장치는 핸드셋으로부터 연결 해제되고, 핸드셋은 스레딩 장치 내의 광섬유 코어를 조명하는 광섬유 코어를 포함하는, 매트릭스 형성 방법.
  57. 봉합용 스레딩 장치이며,
    a. 제1 및 제2 대향 단부, 내부 및 내부에 형성된 아일릿을 갖는 긴 관으로서, 긴 관의 제1 단부에는 무딘 팁이 부착되고 제2 단부는 나사식 커넥터를 포함하고, 무딘 팁은 투명한, 긴 관과,
    b. 긴 관의 내부를 통해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광섬유 코어로서, 투명한 팁은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스트랜드에 에너지가 공급 되면 조명되는 광섬유 코어를 포함하는, 봉합용 스레딩 장치.
  58. 제57항에 있어서, 긴 관은 가단성인, 봉합용 스레딩 장치.
  59. 제57항에 있어서, 나사식 커넥터는 긴 관에 외부 나삿니를 포함하는, 봉합용 스레딩 장치.
  60. 제57항에 있어서, 아일릿은 긴 관의 제2 단부 부근에 형성되는, 봉합용 스레딩 장치.
  61. 제58항에 있어서, 긴 관은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무딘 팁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봉합용 스레딩 장치.
  62. 제57항에 있어서, 광섬유 코어는 복수의 광섬유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봉합용 스레딩 장치.
  63. 매듭 위치 설정 도구이며,
    a. 내부와, 각각이 내측에 개방부를 갖는 제1 및 제2 대향 단부들을 갖는 긴 관으로서, 긴 관의 제1 단부는 분기되고, 제2 단부는 나사식 커넥터를 포함하는, 긴 관과,
    b. 긴 관의 내부를 통해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스트랜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스트랜드에 에너지가 공급되면 광이 긴 관의 제1 단부의 개방부를 통해 전달되는 광 섬유 코어를 포함하는, 매듭 위치 설정 도구.
  64. 제63항에 있어서, 나사식 커넥터는 긴 관에 외부 나삿니를 포함하는, 매듭 위치 설정 도구.
  65. 제64항에 있어서, 긴 관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매듭 위치 설정 도구.
  66. 제65항에 있어서, 광섬유 코어는 복수의 광섬유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매듭 위치 설정 도구.
  67. 사람의 피부 아래에서 봉합선 매듭을 위치 설정하는 방법이며,
    a. 내부와, 각각이 내측에 개방부를 갖는 제1 및 제2 대향 단부를 갖는 긴 관을 포함하는 매듭 위치 설정 도구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긴 관의 제1 단부는 분기되어, 리세스를 형성하고, 제2 단부는 나사식 커넥터인, 매듭 위치 설정 도구 제공 단계와,
    b. 피부의 개방부를 통해 봉합선의 두 단부를 당기는 단계와,
    c. 봉합선의 두 단부를 매듭으로 묶는 단계와,
    d. 매듭 위치 설정 도구의 분기된 단부의 리세스에 매듭을 배치하는 단계와,
    e. 매듭 위치 설정 도구를 사용하여 피부의 개방부를 통해 매듭을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매듭 위치 설정 방법.
  68. 제67항에 있어서, 매듭 위치 설정 도구는 긴 관의 내부를 통해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광섬유 코어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스트랜드에 에너지가 공급되면 광이 긴 관의 제1 단부의 개방부를 통해 전달되는, 매듭 위치 설정 방법.
  69. 제68항에 있어서, 피부의 개방부는 매듭 위치 설정 도구와 매듭이 삽입되는, 내부에 형성된 피부 포트를 포함하는, 매듭 위치 설정 방법.
  70. 제67항에 있어서, 매듭 위치 설정 도구는 단계 d. 전에 핸드셋에 연결되는, 매듭 위치 설정 방법.
  71. 제67항에 있어서, 매듭 위치 설정 도구는 단계 d. 전에 핸드셋에 연결되고, 핸드셋은 매듭 위치 설정 도구의 광섬유 코어를 조명하는 광섬유 코어를 포함하는, 매듭 위치 설정 방법.
  72. 적어도 3개의 스트랜드를 포함하고, 스트랜드 중 적어도 하나는 광섬유 재료로 구성된, 편조된 봉합선.
  73. 제72항에 있어서, 스트랜드 중 적어도 하나는 비광섬유 재료로 구성된, 편조된 봉합선.
  74. 제73항에 있어서, 비광섬유 재료는 나일론인, 편조된 봉합선.
  75. 제72항에 있어서, 3개의 스트랜드 전부가 광섬유 재료로 구성된, 편조된 봉합선.
  76. 제72항에 있어서, 적어도 3개의 스트랜드 중 적어도 2개는 광섬유 재료로 구성된, 편조된 봉합선.
  77. 봉합 방법이며,
    a. 적어도 3개의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편조된 봉합선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스트랜드 중 적어도 하나는 광섬유 재료로 구성된, 봉합선 제공 단계와,
    b. 스레딩 장치에 봉합선을 연결하는 단계와,
    c. 환자 신체의 소정 위치에 봉합선을 배치하는 단계와,
    d. 광섬유 스트랜드를 조명하도록 광원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봉합 방법.
  78. 환자 신체에 봉합선을 스레딩하는 방법이며,
    a) 봉합선을 제공하는 단계와,
    b) 봉합선 묶음 위치와 제1 및 제2 단부를 갖는 긴 로드를 포함하는 스레딩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와,
    c) 봉합선 묶음 위치에 봉합선을 묶는 단계와,
    d) 환자 피부의 제1 개방부를 통해 긴 로드의 제1 단부를 통과시키는 단계와,
    e) 환자 피부의 제2 개방부를 통해 긴 로드의 제1 단부를 피하 통과시키는 단계와,
    f) 제2 개방부를 통해 긴 로드의 제1 단부와 봉합선의 일부를 당기는 단계와,
    g) 긴 로드를 회전시키지 않고, 긴 로드의 제2 단부를 환자 피부의 개방부로 피하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도중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서, 긴 로드의 제1 단부는 제1 개방부 외측으로 연장하고, 긴 로드의 제2 단부는 제2 개방부를 통해 연장하는, 봉합선을 스레딩하는 방법.
  79. 제78항에 있어서, 봉합선 묶음 위치는 로드의 주연을 대체로 연장하는 로드에 형성된 홈을 포함하는, 봉합선을 스레딩하는 방법.
  80. 제78항에 있어서, 봉합선 묶음 위치는 로드를 통해 연장하는 아일릿을 포함하는, 봉합선을 스레딩하는 방법.
  81. 제78항에 있어서, 봉합선 묶음 위치는 제1 및 제2 단부로부터 멀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봉합선을 스레딩하는 방법.
  82. 제78항에 있어서, 봉합선 묶음 위치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대략 중간 위치에 배치되는, 봉합선을 스레딩하는 방법.
  83. 제78항에 있어서, 단계 e) 전에 긴 로드의 제1 단부를 조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봉합선을 스레딩하는 방법.
  84. 제78항에 있어서, 스레딩 장치는 상기 방법 도중 소정의 지점에서 각각 발광하는 제1 및 제2 단부를 갖는, 봉합선을 스레딩하는 방법.
  85. 수술 방법이며,
    a) 환자의 피부 일부에 테이프 템플렛을 배치하는 단계와,
    b) 복수의 접근 부위를 표시하는 단계와,
    c) 중앙선 접근 부위를 형성하도록 개방부를 만드는 단계와,
    d) 지방 흡입을 수행하는 단계와,
    e) 접근 부위의 피부에 복수의 개방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f) 봉합선이 고정된 스레딩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와,
    g) 피부 아래 봉합선 매트릭스를 형성하도록 복수의 접근 부위를 통해 스레딩 장치와 봉합선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술 방법.
  86. 제85항에 있어서, 스레딩 장치는 수술 중 소정의 지점에서 각각 발광하는 제1 및 제2 단부를 갖는, 수술 방법.
  87. 제85항에 있어서, 봉합선은 단부들 사이의 대략 중간 지점에서 스레딩 장치에 고정되는, 수술 방법.
  88. 수술용 키트이며,
    a. 적어도 하나의 테이프 부재와,
    b. 란셋과,
    c. 핸드셋과,
    d. 세척 장치와,
    e. 노즈콘과,
    f. 스레딩 장치와,
    g. 봉합선 중
    적어도 2개를 포함하는, 수술용 키트.
  89. 제88항에 있어서, 핸드셋은
    a. 제1 및 제2 대향 단부를 가지며 종방향 축을 형성하는 관형 부재와,
    b. 로드를 수용하기 위한 개방부를 포함하는 관형 부재의 제1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기구 도크와,
    c. 광원으로서, 광원으로부터의 광은 기구 도크의 개방부 외측으로 안내되는 광원을 포함하는, 수술용 키트.
  90. 제88항에 있어서, 스레딩 장치는 긴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긴 로드에는 적어도 로드 주연을 대체로 연장하는 홈이 형성되고, 긴 로드는 제1 및 제2 대향 단부를 갖고, 상기 단부들은 무딘, 수술용 키트.
  91. 제88항에 있어서, 스레딩 장치는
    제1 및 제2 개방 단부와, 제1 개방 단부와 제2 개방 단부 사이의 대략 중간에 배치된 봉합선 묶음 위치를 갖는 긴 관과,
    긴 관을 통해 연장하는 광 안내부를 포함하고,
    광 안내부는 제1 및 제2 단부를 가지며, 광 안내부의 제1 및 제2 단부는 관의 제1 및 제2 단부와 대체로 일치하는, 수술용 키트.
  92. 제91항에 있어서, 관의 외부 직경은 제1 위치로부터 홈의 좌측까지 제1 단부 를 향해 테이퍼지고, 관의 외부 직경은 제2 위치로부터 홈의 우측까지 제2 단부를 향해 테이퍼져서, 관은 제1 및 제2 위치에서보다 제1 및 제2 단부에서 작은 직경을 갖는, 수술용 키트.
  93. 제88항에 있어서, 테이프 부재는
    관통하여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천공부를 갖는 제1 층과,
    제1 층을 덮는 제2 층을 포함하고,
    제2 층은 관통하여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천공부를 갖고, 제2 층의 천공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층의 천공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는, 수술용 키트.
  94. 제88항에 있어서, 세척 장치는 종방향 축을 형성하는 목부와, 목부로부터 연장하는 세척부를 포함하고, 세척부는 목부의 종방향 축에 대체로 수직인 평면을 형성하는 만곡된 경로로 연장하는, 수술용 키트.
  95. 수술전 환자의 피부에 표시를 하는 방법이며,
    a) 제1 및 제2 층을 포함하는 제1 테이프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제1 층은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의 천공부를 가지며, 제2 층은 제1 층을 덮고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의 천공부를 가지며, 제2 층의 천공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층의 천공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중 천공부를 형성 하는, 제1 테이프 부재 제공 단계와,
    b) 환자 피부의 일부에 제1 테이프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와,
    c) 이중 천공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피부에 표시를 하는 단계와,
    d) 제1 층으로부터 제2 층을 제거하는 단계와,
    e) 사전에 표시된 제1 층의 천공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피부에 표시를 하는 단계와,
    f) 환자의 피부로부터 제1 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표시 방법.
  96. 제95항에 있어서, 제1 층의 천공부는 하나 걸러 하나씩 제2 층의 천공부와 이중 천공부를 형성하는, 피부 표시 방법.
  97. 제96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층의 천공부는 테이프의 종방향 중앙을 따라 위치 설정된, 피부 표시 방법.
  98. 제95항에 있어서,
    a) 제1 및 제2 층을 포함하는 제2 테이프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제1 층은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의 천공부를 가지며, 제2 층은 제1 층을 덮고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의 천공부를 가지며, 제2 층의 천공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층의 천공부 중 적어도 하나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중 천공부를 형성하는, 제2 테이프 부재 제공 단계와,
    b) 제2 테이프 부재의 이중 천공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피부에 표시를 하는 단계와,
    c) 제2 테이프 부재의 제1 층으로부터 제2 테이프 부재의 제2 층을 제거하는 단계와,
    d) 제2 테이프 부재의 제1 층의 천공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피부에 표시를 하는 단계와,
    e) 제2 테이프 부재의 제1 층을 환자의 피부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표시 방법.
  99. 제98항에 있어서, 제1 테이프 부재는 우측 턱밑샘 경계 부근의 피부의 일부에 배치되고, 제2 테이프 부재는 좌측 턱밑샘 경계 부근의 피부의 일부에 배치되는, 피부 표시 방법.
  100. 제98항에 있어서, 제1 테이프 부재에 의한 표시는 제2 테이프 부재에 의한 표시와 대칭인, 피부 표시 방법.
  101. 제95항에 있어서, 제1 층의 천공부는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고, 제2 층의 천공부는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는, 피부 표시 방법.
  102. 제101항에 있어서, 제2 층의 천공부는 제1 층의 천공부들이 서로 이격된 것 의 2배로 서로 이격되는, 피부 표시 방법.
  103. 제95항에 있어서, 제1 층의 천공부는 하나 걸러 하나씩 제2 층의 천공부와 동심인, 피부 표시 방법.
  104. 제95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층의 중첩된 천공부들은 동심인, 피부 표시 방법.
  105. 제95항에 있어서, 제1 테이프 부재는 우측 턱밑샘 경계 부근의 피부의 일부에 배치되고, 제2 테이프 부재는 좌측 턱밑샘 경계 부근의 피부의 일부에 배치되는, 피부 표시 방법.
  106. 수술용 테이프이며,
    a) 관통하여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천공부를 갖는 제1 층과,
    b) 제1 층을 덮는 제2 층을 포함하고,
    제2 층은 관통하여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천공부를 갖고, 제2 층의 천공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층의 천공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는, 수술용 테이프.
  107. 제106항에 있어서, 제1 층의 천공부들은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고, 제2 층 의 천공부들은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된, 수술용 테이프.
  108. 제107항에 있어서, 제2 층의 천공부들은 제1 층의 천공부들이 서로 이격된 것의 2배로 서로 이격되는, 수술용 테이프.
  109. 제108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층의 천공부들은 테이프의 종방향 중앙을 따라 위치 설정되는, 수술용 테이프.
  110. 제106항에 있어서, 제1 층의 천공부는 하나 걸러 하나씩 제2 층의 천공부와 동심인, 수술용 테이프.
  111. 제106항에 있어서, 제2 층이 제1 층으로부터 박리될 수 있도록 제2 층은 제1 층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는, 수술용 테이프.
  112. 제111항에 있어서, 제1 층은 바닥부에 환자의 피부로부터 박리될 수 있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수술용 테이프.
  113. 제조품이며,
    a. 제1 및 제2 대향 단부를 가지며 종방향 축을 형성하는 관형 부재와,
    b. 로드를 수용하기 위한 개방부를 포함하는 관형 부재의 제1 단부로부터 연 장하는 기구 도크와,
    c. 광원으로서,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기구 도크의 개방부 외측으로 안내되는, 제조품.
  114. 제113항에 있어서, 본체부 내에 배치된 전원을 더 포함하고, 광원 및 전원은 전기 회로의 일부인, 제조품.
  115. 제113항에 있어서, 기구 도크 상에 나사 결합되는 노즈콘을 더 포함하고, 노즈콘은 암형 리시버와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축방향으로 관통 연장하는 개방부를 포함하는, 제조품.
  116. 제115항에 있어서, 노즈콘은 축방향 개방부의 일부 주위를 연장하는 O-링을 포함하는, 제조품.
  117. 제113항에 있어서, 관형 부재의 제2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테일콘을 더 포함하는, 제조품.
  118. 제117항에 있어서, 테일콘은 광원을 작동시키는, 제조품.
  119. 제118항에 있어서, 기구 도크는 암형 리시버의 일부를 둘러싸는, 내부에 배 치된 O-링을 포함하는, 제조품.
  120. 제113항에 있어서, 기구 도크의 개방부는 내부에 배치된 로드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키로 고정된, 제조품.
  121. 제113항에 있어서, 기구 도크의 개방부는 내부에 배치된 로드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다각형인, 제조품.
  122. 제113항에 있어서, 기구 도크에 제거 가능하게 고정된 세척 장치를 더 포함하는, 제조품.
  123. 제122항에 있어서, 세척 장치는 목부와, 목부로부터 연장하는 세척부를 포함하는, 제조품.
  124. 제123항에 있어서, 목부는 종방향 축을 형성하고, 세척부는 목부의 종방향 축에 대체로 수직인 평면을 형성하는 만곡된 경로로 연장하는, 제조품.
  125. 제113항에 있어서, 기구 도크 내의 개방부에 수용되는 세척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제조품.
  126. 제113항에 있어서, 광원은 기구 도크 내의 개방부에 인접하게 위치된 LED인, 제조품.
  127. 제113항에 있어서, 기구 도크 내의 개방부에 수용된 스레딩 로드를 더 포함하는, 제조품.
  128. 제127항에 있어서, 스레딩 로드는 관형 부재, 봉합선 묶음 지점 및 관형 부재를 통해 연장하는 광 안내부를 포함하는, 제조품.
  129. a) 기구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i. 제1 및 제2 대향 단부를 갖는 대체로 관형인 부재와,
    ii. 관형 부재의 제1 단부로부터 연장하고 로드를 수용하기 위한 개방부를 포함하는, 기구 도크와,
    iii. 광원으로서,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기구 도크의 개방부 외부로 안내되는, 광원을 포함하는 기구를 제공하는 단계와,
    b) 제1 및 제2 대향 단부를 갖는 스레딩 로드를 제공하는 단계와,
    c) 기구 도크 내의 개방부로 스레딩 로드의 제1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와,
    d)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스레딩 로드를 통해 스레딩 로드의 제2 단부 외부로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0. 제129항에 있어서, 스레딩 로드는
    i. 제1 및 제2 단부를 갖는 관형 부재와,
    ii. 관형 부재를 통해 연장하는 광 안내부를 포함하고,
    광은 제1 및 제2 단부 중 하나로 안내되어 광 안내부를 통해 제1 및 제2 단부 외부로 안내되는, 방법.
  131. 제130항에 있어서, 스레딩 로드는 봉합선 묶음 위치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2. 제131항에 있어서, 봉합선 묶음 위치는 적어도 관형 부재 외측 주연을 대체로 연장하는 홈을 포함하는, 방법.
  133. 제130항에 있어서, 광원은 좁은 각도의 초점에서 발광하는 고효율 백색 LED이고, 광 안내부의 개방부수는 상기 LED로부터 발광된 광과 대체로 부합되는, 방법.
  134. a) 핸드셋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i. 제1 및 제2 대향 단부를 갖는 대체로 관형인 부재와,
    ii. 관형 부재의 제1 단부에 위치되고 로드를 수용하기 위한 개방부를 포함하는, 기구 도크와,
    iii. 광원으로서,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기구 도크의 개방부 외부로 안 내되는 광원을 포함하는 기구를 제공하는 단계와,
    b) 도킹부와, 팁을 갖는 세척부를 포함하는 세척 장치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와,
    c) 세척 장치의 도킹부와 기구 토크를 도킹하는 단계와,
    d)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세척부의 팁으로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5. 제134항에 있어서, 세척 장치의 도킹부는 기구 도크 상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 결합 가능한 부분과 기구 도크 내의 개방부에 수용되는 목부를 포함하는, 방법.
  136. 제134항에 있어서, 목부는 종방향 축을 형성하고, 세척부는 목부의 종방향 축에 대체로 수직인 평면을 형성하는 만곡된 경로로 연장하는, 방법.
  137. 스레딩 장치이며,
    긴 로드로서, 적어도 로드 주연을 대체로 연장하는 홈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 대향 단부를 가지며, 상기 단부들은 무딘, 긴 로드와,
    홈 주위에 묶여서 수용되는 봉합선을 포함하는, 스레딩 장치.
  138. 제137항에 있어서, 홈은 제1 및 제2 단부로부터 멀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스레딩 장치.
  139. 제138항에 있어서, 홈은 제1 및 제2 단부 사이의 대략 중간 위치에 배치되는, 스레딩 장치.
  140. 제139항에 있어서, 로드는 로드 주연에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 채널을 포함하고, 제1 채널은 제1 단부와 홈 사이에 위치되고, 제2 채널은 제2 단부와 홈 사이에 위치되는, 스레딩 장치.
  141. 제137항에 있어서, 로드의 적어도 일부는 다각형인, 스레딩 장치.
  142. 제139항에 있어서,
    로드의 외부 직경은 제1 위치로부터 홈의 좌측까지 제1 단부를 향해 테이퍼지고, 로드의 외부 직경은 제2 위치로부터 홈의 우측까지 제2 단부를 향해 테이퍼져서, 로드는 제1 및 제2 위치에서보다 제1 및 제2 단부에서 작은 직경을 갖는, 스레딩 장치.
  143. 제137항에 있어서, 로드는, 제1 및 제2 단부가 개방되어 광이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전달될 수 있는 관을 포함하는, 스레딩 장치.
  144. 제143항에 있어서, 중공 로드를 통해 연장하는 광 안내부를 포함하는, 스레딩 장치.
  145. 제144항에 있어서, 광 안내부는 제1 및 제2 단부를 갖고, 광 안내부의 제1 및 제2 단부는 관의 제1 및 제2 단부와 대체로 일치하는, 스레딩 장치.
  146. 제143항에 있어서, 긴 관에 배치된 광원 및 전원을 더 포함하는, 스레딩 장치.
  147. 제144항에 있어서, 광 안내부는 클래드 가공된, 스레딩 장치.
  148. 제137항에 있어서, 로드의 단부는 만곡된, 스레딩 장치.
  149. 스레딩 장치이며,
    제1 및 제2 개방 단부와, 제1 개방 단부와 제2 개방 단부 사이의 대략 중간에 배치된 봉합선 묶음 위치를 갖는 긴 관과,
    광 안내부로서, 긴 관을 통해 연장하고, 제1 및 제2 단부를 가지며, 광 안내부의 제1 및 제2 단부는 관의 제1 및 제2 단부와 대체로 일치하는, 광 안내부와,
    봉합선 묶음 위치 주위에 묶여서 수용되는 봉합선을 포함하는, 스레딩 장치.
  150. 제149항에 있어서, 관의 외부 직경은 제1 위치로부터 홈의 좌측까지 제1 단부를 향해 테이퍼지고, 관의 외부 직경은 제2 위치로부터 홈의 우측까지 제2 단부 를 향해 테이퍼져서, 관은 제1 및 제2 위치에서보다 제1 및 제2 단부에서 작은 직경을 갖는, 스레딩 장치.
  151. 제149항에 있어서, 봉합선 묶음 위치는 적어도 관 외측 주연에 대체로 연장된 홈을 포함하는, 스레딩 장치.
  152. 제149항에 있어서, 관은 관 주연에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 채널을 포함하고, 제1 채널은 제1 단부와 홈 사이에 위치되고, 제2 채널은 제2 단부와 홈 사이에 위치되는, 스레딩 장치.
  153. 종방향 축을 형성하는 목부와, 목부로부터 연장하는 세척부를 포함하는 세척 장치이며, 세척부는 목부의 종방향 축에 대체로 수직인 평면을 형성하는 만곡된 경로로 연장하는, 세척 장치.
  154. 제153항에 있어서, 목부와 세척부는 관통하여 연장하는 광 안내부를 포함하는, 세척 장치.
  155. 제153항에 있어서, 목부는 개방부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로드를 포함하는, 세척 장치.
  156. 제153항에 있어서, 목부는 원뿔형부를 포함하고, 원뿔형부는 바닥부 및 상부를 갖고, 목부의 일부는 바닥부로부터 하향 연장하고, 목부의 일부는 상부로부터 상향 연장하는, 세척 장치.
  157. 제153항에 있어서, 원뿔형부는 나삿니를 포함하는, 세척 장치.
  158. 제154항에 있어서, 원뿔형부를 더 포함하고, 원뿔형부는 바닥부 및 상부를 갖고, 목부의 일부는 바닥부로부터 하향 연장하고, 목부의 일부는 상부로부터 상향 연장하는, 세척 장치.
  159. 제153항에 있어서, 핸드셋과 조합되며, 목부는 핸드셋 단부의 개방부에 제거 가능하게 수용되는, 세척 장치.
  160. 제154항에 있어서, 광원을 포함하는 핸드셋과 조합되며, 목부는 핸드셋 단부의 개방부에 제거 가능하게 수용되고, 광은 광원으로부터 세척부의 팁으로 전달되는, 세척 장치.
  161. a) 핸드셋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i. 제1 및 제2 대향 단부를 갖는 대체로 관형인 부재와,
    ii. 관형 부재의 제1 단부에 위치되고 로드를 수용하기 위한 개방부를 포함하는, 기구 도크와,
    iii. 광원으로서,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기구 도크의 개방부 외부로 안내되는 광원을 포함하는 기구 제공 단계와,
    b) 도킹부와, 팁을 갖는 세척부를 포함하는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와,
    c) 세척 장치의 도킹부와 기구 토크를 도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2. 제161항에 있어서, 목부는 종방향 축을 형성하고, 세척부는 목부의 종방향 축에 대체로 수직인 평면을 형성하는 만곡된 경로로 연장하는, 방법.
  163. 제161항에 있어서, 환자 피부의 천공부에 세척부를 삽입하는 단계와, 천공부 주변 영역으로부터 임의의 대상물을 세척하기 위해 세척부로 천공부 주위를 세척하는, 방법.
  164. 제161항에 있어서, 세척 장치의 도킹부는 기구 도크에 나사 결합식으로 수용되는 내부 나삿니와, 기구 도크의 개방부에 수용되는 목부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097013992A 2006-12-04 2007-12-04 목 올림 처치 및 목 올림 처치를 수행하기 위한 기구 KR200900988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566,386 2006-12-04
US11/566,432 2006-12-04
US11/566,618 US7566340B2 (en) 2006-12-04 2006-12-04 Surgical threading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ame
US11/566,432 US8826914B2 (en) 2006-12-04 2006-12-04 Surgical tape and method for using same
US11/566,386 US7740647B2 (en) 2006-12-04 2006-12-04 Necklift procedure and instruments for performing same
US11/566,613 US20080132946A1 (en) 2006-12-04 2006-12-04 Skin port
US11/566,625 2006-12-04
US11/566,499 2006-12-04
US11/566,530 US20080132917A1 (en) 2006-12-04 2006-12-04 Surgical instrument docking device
US11/566,530 2006-12-04
US11/566,618 2006-12-04
US11/566,613 2006-12-04
US11/566,622 2006-12-04
US11/566,499 US20080132931A1 (en) 2006-12-04 2006-12-04 Skin puncturing device
US11/566,625 US20080132920A1 (en) 2006-12-04 2006-12-04 Surgical instruments for positioning suture knots
US11/566,622 US20080132942A1 (en) 2006-12-04 2006-12-04 Suture and method for using same
US11/950,387 US20080131659A1 (en) 2006-12-04 2007-12-04 Laminated surgical tape and method for using same
US11/950,378 US7842052B2 (en) 2006-12-04 2007-12-04 Necklift procedure and instruments for performing same
US11/950,404 US20080132905A1 (en) 2006-12-04 2007-12-04 Surgical clearing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858A true KR20090098858A (ko) 2009-09-17

Family

ID=65728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3992A KR20090098858A (ko) 2006-12-04 2007-12-04 목 올림 처치 및 목 올림 처치를 수행하기 위한 기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8) US7566340B2 (ko)
EP (1) EP2091443B1 (ko)
JP (1) JP5191994B2 (ko)
KR (1) KR20090098858A (ko)
CN (1) CN101917910A (ko)
AT (1) ATE554818T1 (ko)
AU (1) AU2007329394A1 (ko)
CA (1) CA2672724C (ko)
MX (1) MX2009005922A (ko)
WO (1) WO200807069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51271B2 (en) 2006-12-04 2015-02-10 Implicitcare, Llc Surgical threading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ame
US9033999B2 (en) 2006-12-04 2015-05-19 Implicitcare, Llc Surgical threading device with removable suture
US8025671B2 (en) * 2006-12-04 2011-09-27 Implicitcare, Llc Surgical threading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ame
US20080262390A1 (en) * 2007-04-19 2008-10-23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Fiducials for placement of tissue closures
US20080262524A1 (en) * 2007-04-19 2008-10-23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Systems and methods for closing of fascia
GB2479307B (en) * 2007-04-19 2012-03-07 Searete Llc Fiducials for placement of tissue closures
PL2139434T3 (pl) 2007-04-20 2013-03-29 Woodwelding Ag System implantu do mocowania implantu do tkanki kostnej
US9622741B2 (en) 2007-07-26 2017-04-18 Alpha Scientific Corporation Surgical suturing device and tools used therewith
US9226748B2 (en) * 2007-07-26 2016-01-05 Alpha Scientific Corporation Surgical suturing device, method and tools used therewith
US8255192B2 (en) * 2008-06-27 2012-08-28 Microsoft Corporation Analytical map models
CN202821472U (zh) * 2009-06-21 2013-03-27 美学尖端有限公司 用于整容手术的植入式医疗设备
WO2011130536A2 (en) * 2010-04-14 2011-10-20 Northwestern University Triple balloon occlusion and infusion catheter
US8905033B2 (en) * 2011-09-28 2014-12-09 Ethicon, Inc. Modular tissue securement systems
US10470760B2 (en) 2011-12-08 2019-11-12 Ethicon, Inc. Modified tissue securement fibers
US10143531B2 (en) 2012-09-28 2018-12-04 Beekley Corporation Skin marking porous grid and related method of use
US9636110B2 (en) 2013-03-13 2017-05-02 Alpha Scientific Corporation Structural support incorporating multiple strands
US10299786B2 (en) 2013-03-15 2019-05-28 Alpha Scientific Corporation Surgical suturing device with transverse engagement
US9597105B2 (en) 2014-04-17 2017-03-21 Covidien Lp Vibrating surgical instruments for blunt dissection
US9603616B2 (en) 2014-04-17 2017-03-28 Covidien Lp Vibrating surgical instruments for blunt dissection and methods for use thereof
US10064642B2 (en) 2015-03-04 2018-09-04 Covidien Lp Surgical instrument for dissecting tissue
CN106473785A (zh) * 2015-08-27 2017-03-08 李胜文 一种生物可吸收缝合组件的钉仓
CN107897029A (zh) * 2018-01-08 2018-04-13 上海犊瑞乳品设备有限公司 犊牛饲喂装置
US11576666B2 (en) 2019-10-04 2023-02-14 Arthrex, Inc Surgical constructs for tissue fixation and methods of tissue repairs
US11297285B2 (en) 2020-03-27 2022-04-05 Sean Solon Pierce Dental and medical loupe system for lighting control, streaming, and augmented reality assisted procedures
US20210338236A1 (en) * 2020-04-29 2021-11-04 Greene Technologies, LLC Thread lift cannula and method of performing a thread lift

Family Cites Families (9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53587A (en) 1917-02-20 1920-09-21 White S Dental Mfg Co Saliva-ejector
US1358753A (en) * 1920-05-24 1920-11-16 Benjamin F Killam Elastic shoe-lace
US1901737A (en) * 1932-05-18 1933-03-14 Sonoco Products Co Spool
US1965651A (en) * 1933-03-24 1934-07-10 Patrick T Kelley Spool
US2121234A (en) * 1936-06-27 1938-06-21 Hubbard Spool Company Spool
US2399545A (en) * 1942-11-18 1946-04-30 Bernard E Davis Adhesive tape
US2837297A (en) * 1954-04-26 1958-06-03 Clarence B Moss Spool with threadably mounted end members
US3432116A (en) * 1967-07-24 1969-03-11 Marguerite M Lauen Spool construction having a snap-off end portion
CH478693A (de) * 1967-08-14 1969-09-30 Weber Alwin Ausgusshülse für aus dünnwandigem Papier, Karton oder Kunststoffen bestehenden durchstechbaren Beuteln und Behältern für Flüssigkeiten
US3544406A (en) * 1968-03-27 1970-12-01 Tektronix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light pipes
US3694291A (en) * 1968-03-27 1972-09-26 Tektronix Inc Apparatus for making light pipes
US3983878A (en) * 1973-12-10 1976-10-05 Claude Edward Kawchitch Surgical appliance
US4351333A (en) * 1975-10-28 1982-09-28 Harrison Lazarus Peritoneal fluid treatment apparatus, package and method
GB2031316B (en) 1978-10-16 1982-11-24 Arrowlite Tools Illuminated hand tools
US5435805A (en) * 1992-08-12 1995-07-25 Vidamed, Inc. Medical probe device with optical viewing capability
US4690138A (en) * 1984-11-01 1987-09-01 Heyden Eugene L Marking system for tube placement
US4736743A (en) 1986-05-12 1988-04-12 Surgical Laser Technology, Inc. Vaporization contact laser probe
US4886079A (en) * 1988-02-10 1989-12-12 Mooney Lillian A Cosmetic template
US4957124A (en) * 1988-02-10 1990-09-18 Mooney Lillian A Template
US5044755A (en) * 1989-03-03 1991-09-03 Lt Industries Prob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light from a sample
US5077901A (en) 1990-05-18 1992-01-07 Warner Joseph A Ceramic blades and production methodology therefor
US5653725A (en) * 1990-07-12 1997-08-05 University Of Miami Instrument for initiating an intralamellar channel
CA2704197C (en) 1990-12-13 2011-01-04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ipping sutures
US5217451A (en) * 1991-05-24 1993-06-08 Dexide, Inc. Gear activated trocar assembly
US5391175A (en) * 1991-11-29 1995-02-21 Sharpe Endosurgical Corporation Method of using an endoknot pusher surgical instrument
GR930100244A (el) 1992-06-30 1994-02-28 Ethicon Inc Εύκαμπτο ενδοσκοπικό χειρουργικό στόμιο εισόδου.
US6010515A (en) * 1993-09-03 2000-01-04 University College London Device for use in tying knots
US5772597A (en) * 1992-09-14 1998-06-30 Sextant Medical Corporation Surgical tool end effector
US5222508A (en) * 1992-10-09 1993-06-29 Osvaldo Contarini Method for suturing punctures of the human body
US5337735A (en) * 1992-12-28 1994-08-16 Albert Salerno Fiber-lighted stylet
US5540718A (en) * 1993-09-20 1996-07-30 Bartlett; Edwin C. Apparatus and method for anchoring sutures
DE69514262T2 (de) * 1994-03-23 2001-10-11 Yasuo Hashimoto Katheter mit Lichtleitfaser
WO1995032669A1 (en) 1994-06-01 1995-12-07 Perclos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dvancing surgical knots
JP3798838B2 (ja) * 1995-01-20 2006-07-1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結紮装置
US6185356B1 (en) 1995-06-27 2001-02-06 Lumitex, Inc. Protective cover for a lighting device
JPH09201362A (ja) * 1996-01-25 1997-08-05 Manabu Maeda 手術用縫合針
US5697950A (en) 1996-02-07 1997-12-16 Linvatec Corporation Pre-loaded suture anchor
US5971960A (en) * 1996-03-12 1999-10-26 Heartport, Inc. Trocar with expandable members for retaining the trocar
US5879306A (en) 1996-06-13 1999-03-09 Stryker Corporation Infrared system for visualizing body members
US5728103A (en) * 1996-08-23 1998-03-17 Applied Medical Technology, Inc. Implantable subcutaneous access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5836909A (en) 1996-09-13 1998-11-17 Cosmescu; Ioan Automatic fluid control system for use in open and laparoscopic laser surgery and electrosurgery and method therefor
US6050990A (en) * 1996-12-05 2000-04-18 Thermolase Corporation Methods and devices for inhibiting hair growth and related skin treatments
US5868665A (en) * 1996-12-30 1999-02-09 Biggs; Robert C. Endocoupler system
US20020019670A1 (en) * 1997-02-28 2002-02-14 Jerald M. Crawley Implantable tissue augmentation device
DE19726141A1 (de) * 1997-06-19 1999-01-28 Daum Gmbh Neurotrokar
US5951543A (en) * 1997-06-30 1999-09-14 Clinicon Corporation Delivery system and method for surgical laser
US7306559B2 (en) 1997-07-02 2007-12-11 Lumitex, Inc. Illuminated surgical retractor
US5941855A (en) 1997-10-03 1999-08-24 Applied Medical Technology, Inc. Gastrostomy device package and method of assembly
US5921673A (en) 1997-11-13 1999-07-13 Habel; David M. Illuminated threading tool
US6432970B2 (en) * 1998-04-09 2002-08-13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Inhibitors of hedgehog signaling pathways, compositions and uses related thereto
US7494488B2 (en) * 1998-05-28 2009-02-24 Pearl Technology Holdings, Llc Facial tissue strengthening and tightening device and methods
US6432101B1 (en) * 1998-05-28 2002-08-13 Pearl Technology Holdings, Llc Surgical device for performing face-lifting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6391023B1 (en) * 1998-05-28 2002-05-21 Pearl Technology Holdings, Llc Thermal radiation facelift device
US6029323A (en) * 1998-06-15 2000-02-29 Dickie; Robert G. Positive lace zone isolation lock system and method
US6062785A (en) 1998-08-17 2000-05-16 Mcdermott; Troy Anchoring fastener
SE517169C2 (sv) * 1998-10-23 2002-04-23 Prisell Ab P Mall och stans för att indikera samt borttaga en bit hud
US6245091B1 (en) 1999-02-19 2001-06-12 Frank Hoffman Vibrating suction surgical needle
US6270491B1 (en) * 1999-04-06 2001-08-07 Duke University Intensity controllable hand-held surgical light
US6273894B1 (en) 1999-07-22 2001-08-14 Staar Surgical Company, Inc. Vacuum cannula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ing an intraocular lens in the eye
US6325522B1 (en) * 1999-09-20 2001-12-04 Harald Walian Hand held device providing effective site illumination
DE60022540T2 (de) * 1999-11-15 2006-06-14 Velcro Ind Befestigungselement für die haut
KR100774534B1 (ko) * 1999-12-30 2007-11-08 펄 테크놀러지 홀딩스, 엘엘씨 안면 당김성형 장치
US20020064302A1 (en) * 2000-04-10 2002-05-30 Massengill R. Kemp Virtual cosmetic autosurgery via telemedicine
EP1568328A1 (en) * 2000-05-10 2005-08-31 Canica Design Inc. System for moving and stretching plastic tissue
US20020029011A1 (en) * 2000-09-05 2002-03-07 Dyer Wallace K. Methods and devices for surgery
US20020147382A1 (en) * 2001-01-23 2002-10-10 Neisz Johann J. Surgical articles and methods
US6500184B1 (en) * 2001-01-31 2002-12-31 Yung C. Chan Su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suturing
US6478442B2 (en) * 2001-04-04 2002-11-12 Sheng Ho Chen Screwdriver having a light emitting device
US20020198544A1 (en) * 2001-06-22 2002-12-26 Renan Uflacker Percutaneous facelift device
EP1509142B8 (en) * 2002-05-17 2012-03-07 Tyco Healthcare Group LP Endoscopic organ retrac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MXPA04012293A (es) * 2002-06-07 2005-07-25 Marlen Andreevich Sulamanidze Hilo quirurgico aptos para cirugia cosmetica.
ITGE20020056A1 (it) * 2002-06-26 2003-12-29 Sergio Capurro Ago atraumatico a due punte per chirurgia.
US6932834B2 (en) * 2002-06-27 2005-08-23 Ethicon, Inc. Suture anchor
US7021808B2 (en) * 2002-10-08 2006-04-04 Currie Robert M Illuminated rope
US20040122451A1 (en) * 2002-12-23 2004-06-24 Wood Timothy J. Method and device for closing and fusing suture loops
US7060079B2 (en) * 2003-01-03 2006-06-13 Eye Plastic Surgery, Ltd. Surgical instrument for endoscopic suturing of deep subcutaneous tissue
US7344554B2 (en) * 2003-02-26 2008-03-18 Ams Research Corporation Keith needle for furlow insertion tool
WO2004080291A2 (en) 2003-03-12 2004-09-23 Color Kinetics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medical lighting
US20040267315A1 (en) * 2003-06-25 2004-12-30 Wolf Bradley R. Braided gold suture and method of use
US7144412B2 (en) * 2003-06-25 2006-12-05 Wolf Medical Enterprises, Inc. Gold suture and method of use in wound closure
US6945777B2 (en) 2003-09-09 2005-09-20 Oralum, Llc Floss for light treatment of oral structures
US7613523B2 (en) 2003-12-11 2009-11-03 Apsara Medical Corporation Aesthetic thermal sculpting of skin
US20070219586A1 (en) * 2004-01-23 2007-09-20 Chalam Mahadevan Suture Needle and Suture Assembly
US20050203562A1 (en) * 2004-03-09 2005-09-15 Palmer Joetta R. Lighted dissector and method for use
US8236027B2 (en) * 2004-04-07 2012-08-07 Tze Liang Woffles Wu Surgical thread
WO2005096955A1 (en) * 2004-04-07 2005-10-20 Tze Liang Woffles Wu Surgical thread
US20050248933A1 (en) * 2004-05-07 2005-11-10 Chen Chang H Light emitting device capable of being combined to a tool
ES2638301T3 (es) * 2004-05-14 2017-10-19 Ethicon Llc Dispositivos de sutura
US7468068B2 (en) * 2004-06-30 2008-12-23 Alwin Kolster Suture for wound closure, tissue approximation, tissue support, suspension and/or fixation
JP2006088584A (ja) * 2004-09-24 2006-04-06 Brother Ind Ltd 印刷装置
US7082690B1 (en) * 2005-01-13 2006-08-01 Bahram Khoshnood Ambient light collecting sight pin for a bow sight
ES2305943T3 (es) * 2005-05-20 2008-11-01 F. Hoffmann-La Roche Ag Sistema de lancetas con proteccion esteril.
US7270439B2 (en) * 2005-06-13 2007-09-18 Horrell Robin S Compact lighting system attachable to a surgical tool and method of use thereof
CA2550752C (en) * 2005-06-28 2014-09-09 Sherwood Services Ag Illuminated ivs tunneling device
US8721666B2 (en) * 2007-09-26 2014-05-13 Ethicon, Inc. Method of facial reconstructive surgery using a self-anchoring tissue lif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09005922A (es) 2009-08-24
US20090248072A1 (en) 2009-10-01
US20080132921A1 (en) 2008-06-05
US7833233B2 (en) 2010-11-16
WO2008070691A3 (en) 2010-06-17
EP2091443B1 (en) 2012-04-25
EP2091443A2 (en) 2009-08-26
CA2672724C (en) 2014-02-04
JP2011502549A (ja) 2011-01-27
WO2008070691A2 (en) 2008-06-12
US7566340B2 (en) 2009-07-28
US20080132916A1 (en) 2008-06-05
AU2007329394A1 (en) 2008-06-12
US20080132947A1 (en) 2008-06-05
US20080132905A1 (en) 2008-06-05
US20080132918A1 (en) 2008-06-05
EP2091443A4 (en) 2011-05-11
US7842052B2 (en) 2010-11-30
ATE554818T1 (de) 2012-05-15
US20080132920A1 (en) 2008-06-05
JP5191994B2 (ja) 2013-05-08
US7914191B2 (en) 2011-03-29
CN101917910A (zh) 2010-12-15
US20080131659A1 (en) 2008-06-05
CA2672724A1 (en) 200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1994B2 (ja) ネックリフト手順及びこれを実施するための器具
US8025671B2 (en) Surgical threading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ame
US8826914B2 (en) Surgical tape and method for using same
US4493323A (en) Suturing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ame
US5997554A (en) Surgical template and surgical method employing same
US20080051833A1 (en) Suture passer and method of passing suture material
US9033999B2 (en) Surgical threading device with removable suture
US20080132946A1 (en) Skin port
US20080132931A1 (en) Skin puncturing device
US20130267999A1 (en) Knotless filament anchor for soft tissue repair
US8951271B2 (en) Surgical threading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ame
EP3622912B1 (en) Illuminated delivery system for anvil assemblies
BRPI0720186A2 (pt) Procedimento de lifting de pescoço e instrumentos para executar o mesmo
TW200924693A (en) Necklift procedure and instruments for performing same
WO2016080175A1 (ja) 人工腱索形成用補助具、生体測定具および補助具セット
CN117958938A (zh) 一种髌骨横形骨折微创手术固定套件及使用方法
HU216956B (hu) Készülék testen belüli műtéti hely feltárásához és láthatóvá tételéhez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