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8606A - 코팅된 금속 재질의 안경테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코팅된 금속 재질의 안경테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8606A
KR20090098606A KR1020080024098A KR20080024098A KR20090098606A KR 20090098606 A KR20090098606 A KR 20090098606A KR 1020080024098 A KR1020080024098 A KR 1020080024098A KR 20080024098 A KR20080024098 A KR 20080024098A KR 20090098606 A KR20090098606 A KR 20090098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layer
layer
spectacle frame
paint
fram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4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열
Original Assignee
김태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열 filed Critical 김태열
Priority to KR1020080024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8606A/ko
Publication of KR20090098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6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8Spectacles frames characterized by their material, material structure and material proper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코팅된 금속 재질의 안경테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안경테는 금속재질의 안경테 본체, 상기 안경테 본체의 제1면 상에 형성된 제1 코팅층, 상기 제1 코팅층 상에 형성되는 인쇄층, 상기 안경테 본체의 제2면 상에 형성된 전착도장층인 제2 코팅층, 및 상기 인쇄층과 상기 제2 코팅층 상에 형성된 제3 코팅층을 포함한다. 상기 안경테 본체와 상기 제1 코팅층 사이에 위치하는 버퍼층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과 상기 제3 코팅층 사이에 보호층이 위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코팅된 금속 재질의 안경테 및 이의 제조 방법 {Coated metal spectacles fram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안경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금속재질의 안경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안경테의 외관상의 심미감을 높이기 위해, 안경테에는 여러가지 문양 및 색상이 형성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문양을 구비하는 인쇄층은 안경테의 바깥면 상에 형성된다. 그러나, 안경테의 안쪽면 상에도 적절한 표면 처리를 하여 심미감 또는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안경테의 안쪽면 상에 표면 처리를 할 경우에, 바깥면 상에 형성된 인쇄층의 하부 또는 상부에도 표면 처리가 되어 상기 인쇄층의 색상에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인쇄층에서 높은 품위를 갖는 디자인과 색상을 구현하기 어렵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안경테의 일측면 상에 형성된 인쇄층의 디자인과 색상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안경테의 타측면 상에 코팅층을 형성한 안경테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안경테를 제공한다. 상기 안경테는 금속재질의 안경테 본체, 상기 안경테 본체의 제1면 상에 형성된 제1 코팅층, 상기 제1 코팅층 상에 형성되는 인쇄층, 상기 안경테 본체의 제2면 상에 형성된 전착도장층인 제2 코팅층, 및 상기 인쇄층과 상기 제2 코팅층 상에 형성된 제3 코팅층을 포함한다. 상기 안경테 본체와 상기 제1 코팅층 사이에 위치하는 버퍼층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과 상기 제3 코팅층 사이에 보호층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안경테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먼저, 금속재질의 안경테 본체의 제1면 상에 제1 코팅층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코팅층 상에 인쇄층을 형성한다. 상기 안경테 본체의 제2면 상에 전착도장법을 사용하여 제2 코팅층을 형성한다. 상기 인쇄층과 상기 제2 코팅층 상에 제3 코팅층을 형성한다. 상기 인쇄층은 평판프린터를 사용하여 노즐을 통해 잉크를 분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을 형성할 때, 상기 제1 코팅층은 건조전후, 경화전 또는 반경화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제1 코팅층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안경 테 본체의 제1면 상에 버퍼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3 코팅층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인쇄층 상에 보호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발명에 따르면, 안경테의 일측면 상에 형성된 인쇄층의 디자인과 색상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안경테의 타측면 상에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이 원하는 그림과 사진 및 디자인을 컴퓨터를 사용하여 편집하므로 디자인과 색상에 대한 제약이 없으며, 인쇄층 외의 부분은 전착도장에 의해 인쇄부분과 동일한 또는 그와 어울리는 칼라를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최소한 작업 공정에 의해 이루어져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고, 페인트 층의 감소에 따라 내구성과 내충격성, 부착력이 우수한 제품을 만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어지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금속 재질의 안경테 본체(10)의 제1면 상에 버퍼층(12), 제1 코팅층(13), 인쇄층(14), 및 보호층(15)이 차례로 위치한다. 상기 안경테 본체(10)의 제2면 상에제2 코팅층(16)이 위치한다. 상기 제2 코팅층(16)은 전착도장층일 수 있다. 상기 보호층(15)과 상기 제2 코팅층(16) 상에 제3 코팅층(17)이 위치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버퍼층(12) 및/또는 상기 보호층(15)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1 코팅층(13)과 상기 제3 코팅층은 도료 및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금속재를 재단하고, 프레스 가공하여 금속 재질의 안경테 본체(10)를 성형한다(S100). 상기 금속 재질은 전기가 통할 수 있는 재질을 모두 포함한다. 일 예로서, 상기 금속 재질은 Ni, Cu, Al, Ti, Fe, 귀금속, Ni 합금, Cu 합금, Al 합금, Ti합금 또는 Fe합금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Ni 합금은 Ni-Cr 계 합금인 하이니켈(Hi-Nikel) 또는 Ni-Cu 계 합금인 모넬(monel)이며, Cu 합금은 황동, 청동, 인청동, Cu-Ni-Zn계 합금인 양백, Cu-Ni-Zn-Sn 합금인 블랑카Z(blank Z), 또는 Cu-Be 합금인 베릴륨동일 수 있으며, Al 합금은 듀랄루민(duralumin)일 수 있으며, Fe합금은 스테인레스스틸(stainless steel)일 수 있다.
상기 성형된 안경테 본체(10)를 연마한다(S110). 그 결과, 안경테 본체(10)의 표면 균일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안경테 본체(10)을 연마한 후, 세정할 수 있다.
상기 연마된 안경테 본체(10)를 도금한다(S120). 상기 도금 단계는 금속 재 질의 종류 및 상태에 따라 니켈 도금, 금 도금, 로듐 도금, 크롬 도금, 주석-니켈 도금 단독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 후의 코팅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도금된 안경테 본체(10)를 지그에 장착한다.
이러한 안경테 본체(10)의 제1 면 상에 버퍼층(12)을 형성할 수 있다(S125). 그 후, 상기 버퍼층(12) 상에 제1 코팅층(13)을 형성할 수 있다(S130). 상기 버퍼층(12)은 상기 안경테 본체(10)와 상기 제1 코팅층(13)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경테 본체(10)와 상기 제1 코팅층(13) 사이의 열팽창 계수 및 신율의 차이에 의해 상기 제1 코팅층(13)이 상기 안경테 본체(10)로부터 박리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버퍼층(12)은 건조형도료인 락카도료, 에폭시도료, 우레탄, 아크릴우레탄, 아크릴도료, 및 UV 경화도료 중에서 상기 제1 코팅층(13)의 재질에 따라 적절한 도료를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층(12)의 형성은 상기 선택된 도료를 신너 또는 유기용매 등의 휘발성 용제에 혼합하고, 용액상태에서 스프레이 코팅법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코팅층(13)은 건조형 도료인 락카 도료, 에폭시 도료, 우레탄, 아크릴우레탄, 아크릴 도료, 및 UV 경화 도료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도료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코팅층(13)은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료들은 1액형 도료, 2액형 도료, 또는 건조형 도료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1액형 도료는 도료만을 가지고 층을 형성한 후 건조에 의해 층이 완성되는 도료이고, 상기 2액형 도료는 도료 및 경화제를 혼합하여 경화제의 작용에 의해 3차원 분자 구조를 형성하는 도료이며, 상기 건조형 도료는 1액형 도료와 유사하지만 용 제에 의해 녹은 상태에서 용제가 휘발되면 건조가 되는 상태의 도료이다.
상기 제1 코팅층(13)은 상기 선택된 도료를 신너 또는 유기용매 등의 휘발성 용제에 혼합하여 용액형 잉크를 만든 후, 상기 용액형 잉크를 스프레이 코팅, 스크린 인쇄, 또는 패드 인쇄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코팅층(13)을 전체적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스프레이 코팅법을 사용하며, 부분적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스크린 인쇄법 또는 패드 인쇄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코팅층(13)을 부분적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건조형 도료의 경우 용액형 잉크의 분사가 이루어진 부분에만 색이 고착되고, 2액형 도료 및 1액형 도료의 경우 경화 전, 반경화 상태의 용액형 잉크의 분사가 이루어진 부분에만 색이 고착되고, 완전 경화의 상태에서는 용제의 휘발도의 조정에 의해 색상을 고착시킨다.
상기 제1 코팅층(13) 상에 인쇄층(14)을 형성한다(S140). 이 때, 상기 제1 코팅층(13)은 건조전후, 경화전, 반경화 또는 완전경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14)은 문양을 형성하기 위한 층이다. 상기 인쇄층(14)은 평판프린터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코팅층(13)의 표면 상에 직접 프린트될 수 있다. 이 때, 잉크는 프린터의 노즐에 의해 분사될 수 있는 것으로, 유성잉크, 수성잉크, 전사잉크, 안료잉크, 또는 염료잉크일 수 있다. 상기 인쇄층(14)을 형성할 때, 잉크의 퍼짐과 뭉침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코팅층(13)은 건조전후, 경화전 또는 반경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쇄층(14)을 평판 프린터를 사용하여 프린트하기 전에, 상기 인쇄층(14)을 통해 구현하는 문양 즉, 그림, 디자인, 또는 사진은 고객이 요구하는 것 으로 선택될 수 있으며 또한 컴퓨터에 의해 편집될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의 기호를 충분히 반영한 안경테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14) 상에 보호층(15)을 형성한다(S145). 상기 보호층(15)은 상기 인쇄층(14)이 후속하는 공정에서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층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보호층(15)은 상기 보호층(15) 상에 형성되는 층과 상기 인쇄층(14)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보호층(15)은 건조형 도료인 락카 도료, 에폭시 도료, 우레탄, 아크릴우레탄, 아크릴 도료, 및 UV 경화 도료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도료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료들은 1액형 도료, 2액형 도료, 또는 건조형 도료일 수 있다.
상기 안경테 본체(10)의 제2면 상에 제2 코팅층(16)을 형성한다(S150). 상기 제2 코팅층(16)은 전착도장층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코팅층(16)은 칼라를 포함하는 층일 수 있다. 상기 전착도장층은 전착도장법에 의해 형성된 층을 의미하는데, 전착도장법은 비교적 저농도로 희석된 염료 또는 안료와 전착도료를 탱크에 채우고, 금속재에 전류를 흘려 상기 금속재 표면에 균일하고 물에 불용성인 도막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전착도료는 아크릴도료 또는 에폭시도료일 수 있다. 상기 전착도장층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안경테 본체(10)의 제2면을 깨끗이 닦아 내어 상기 제2면 상에 고르게 전기가 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착도장층은 전기가 흐르는 곳에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2면을 포함하여, 상기 인쇄층(14)이 형성된 제1면을 제외한 모든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 후, 상기 보호층(15) 및 상기 제2 코팅층(16) 상에 제3 코팅층(17)을 형 성한다(S160). 상기 제3 코팅층(17)은 잉크의 변색을 방지할 뿐 아니라 외부 충격에 대한 보호층으로 작용하며, 안료를 첨가하지 않은 투명층 또는 안료를 소량 첨가한 반투명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코팅층(13)은 건조형 도료인 락카 도료, 에폭시 도료, 우레탄, 아크릴우레탄, 아크릴 도료, 및 UV 경화 도료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도료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3 코팅층(17)은 스프레이 코팅법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료를 유기용매에 혼합하여 용액형 잉크를 형성하고, 상기 잉크를 상기 보호층(15) 및 상기 제2 코팅층(16) 상에 분사하여 제3 코팅층(17)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반투명층인 제3 코팅층(17)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도료, 안료 및 유기 용매를 혼합한 용액형 잉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3 코팅층(17)을 상기 용액형 잉크를 사용하여 형성할 경우에도, 상기 보호층(15)은 유기용매에 의해 상기 인쇄층(14) 내의 잉크가 퍼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1 코팅층(13)과 제3 코팅층(17)에 사용하는 도료는 건조방법에 따라 자연건조도료, 소부건조도료, 냉각고화도료, 촉매경화도료, 자외선경화도료 또는 전자선경화도료로 나누어질 수 있다. 자연건조도료는 자연상태에서 아무런 외력없이 건조되는 도료이며, 소부건조도료는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것이다. 또한 냉각고화도료는 도료의 냉각에 의해 건조되는 것이며, 촉매경화도료는 촉매를 사용한 건조를 이용한다. 또한 자외선 경화도료는 자외선을 조사하여 도료를 건조시키며, 전자선경화도료는 전자빔을 이용하여 도료를 건조시키는 것이다.
제3 코팅층(17)을 형성한 후, 건조공정을 수행한다(S170).
제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금속 재질의 안경테 본체(20)의 제1면 상에 버퍼층(22), 제1 코팅층(23), 및 인쇄층(24)이 차례로 위치한다. 상기 안경테 본체(20)의 제2면 상에 제2 코팅층(26)이 위치한다. 상기 제2 코팅층(26)은 전착도장층일 수 있다. 상기 인쇄층(24)과 상기 제2 코팅층(26) 상에 제3 코팅층(27)이 위치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 제조방법은 후술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유사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을 참조하면, 금속재를 재단하고, 프레스 가공하여 금속 재질의 안경테 본체(20)를 성형한다(S200).
상기 성형된 안경테 본체(20)를 연마하고(S210), 상기 연마된 안경테 본체(20)를 도금한다(S220). 이 후의 코팅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도금된 안경테 본체(20)를 지그에 장착한다.
이러한 안경테 본체(20)의 제1 면 상에 버퍼층(22)을 형성할 수 있다(S225). 그 후, 상기 버퍼층(22) 상에 제1 코팅층(23)을 형성할 수 있다(S230). 상기 버퍼층(22)은 상기 안경테 본체(20)와 상기 제1 코팅층(23)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코팅층(23) 상에 인쇄층(24)을 형성한다(S240). 상기 인쇄층(24) 은 문양을 형성하기 위한 층이다. 상기 인쇄층(24)은 평판프린터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코팅층(23)의 표면 상에 직접 프린트될 수 있다. 상기 인쇄층(24)을 형성할 때, 잉크의 퍼짐과 뭉침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코팅층(23)은 건조전, 경화전 또는 반경화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안경테 본체(20)의 제2면 상에 제2 코팅층(26)을 형성한다(S250). 상기 제2 코팅층(26)은 전착도장층일 수 있다. 상기 전착도장층은 전기가 흐르는 곳에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인쇄층(24)이 형성되 제1면을 제외한 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 후, 상기 인쇄층(24) 및 상기 제2 코팅층(26) 상에 제3 코팅층(27)을 형성한다(S260). 상기 제3 코팅층(27)은 잉크의 변색을 방지할 뿐 아니라 외부 충격에 대한 보호층으로 작용하며, 안료를 첨가하지 않은 투명층 또는 안료를 소량 첨가한 반투명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코팅층(27)을 형성한 후, 건조공정을 수행한다(S270).
제3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금속 재질의 안경테 본체(30)의 제1면 상에 제1 코팅층(33), 인쇄층(34) 및 보호층(35)이 차례로 위치한다. 상기 안경테 본체(30)의 제2면 상에 제2 코팅층(36)이 위치한다. 상기 제2 코팅층(36)은 전착도장층일 수 있다. 상기 보호층(35)과 상기 제2 코팅층(36) 상에 제3 코팅층(37)이 위치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 제조방법은 후술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유사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금속재를 재단하고, 프레스 가공하여 금속 재질의 안경테 본체(30)를 성형한다(S300).
상기 성형된 안경테 본체(30)를 연마하고(S310), 상기 연마된 안경테 본체(30)를 도금한다(S320). 이 후의 코팅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도금된 안경테 본체(30)를 지그에 장착한다.
이러한 안경테 본체(30)의 제1 면 상에 제1 코팅층(33)을 형성할 수 있다(S330). 상기 제1 코팅층(33) 상에 인쇄층(34)을 형성한다(S340). 상기 인쇄층(34)은 문양을 형성하기 위한 층이다. 상기 인쇄층(34)은 평판프린터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코팅층(33)의 표면 상에 직접 프린트될 수 있다. 상기 인쇄층(34)을 형성할 때, 잉크의 퍼짐과 뭉침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코팅층(33)은 건조전, 경화전 또는 반경화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인쇄층(34) 상에 보호층(35)을 형성한다(S345). 상기 보호층(35)은 상기 인쇄층(34)이 후속하는 공정에서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층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보호층(35)은 상기 보호층(35) 상에 형성되는 층과 상기 인쇄층(34)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안경테 본체(30)의 제2면 상에 제2 코팅층(36)을 형성한다(S350). 상기 제2 코팅층(36)은 전착도장층일 수 있다. 상기 전착도장층은 전기가 흐르는 곳 에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인쇄층(34)이 형성되 제1면을 제외한 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 후, 상기 보호층(35) 및 상기 제2 코팅층(36) 상에 제3 코팅층(37)을 형성한다(S360). 상기 제3 코팅층(37)은 잉크의 변색을 방지할 뿐 아니라 외부 충격에 대한 보호층으로 작용하며, 안료를 첨가하지 않은 투명층 또는 안료를 소량 첨가한 반투명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코팅층(37)을 형성한 후, 건조공정을 수행한다(S370).
제4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금속 재질의 안경테 본체(40)의 제1면 상에 제1 코팅층(43) 및 인쇄층(44)이 차례로 위치한다. 상기 안경테 본체(40)의 제2면 상에 제2 코팅층(46)이 위치한다. 상기 제2 코팅층(46)은 전착도장층일 수 있다. 상기 인쇄층(44)과 상기 제2 코팅층(46) 상에 제3 코팅층(47)이 위치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 제조방법은 후술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유사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금속재를 재단하고, 프레스 가공하여 금속 재질의 안경테 본체(40)를 성형한다(S400).
상기 성형된 안경테 본체(40)를 연마하고(S410), 상기 연마된 안경테 본 체(40)를 도금한다(S420). 이 후의 코팅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도금된 안경테 본체(40)를 지그에 장착한다.
이러한 안경테 본체(20)의 제1 면 상에 제1 코팅층(43)을 형성할 수 있다(S430). 상기 제1 코팅층(43) 상에 인쇄층(44)을 형성한다(S440). 상기 인쇄층(44)은 문양을 형성하기 위한 층이다. 상기 인쇄층(44)은 평판프린터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코팅층(43)의 표면 상에 직접 프린트될 수 있다. 상기 인쇄층(44)을 형성할 때, 잉크의 퍼짐과 뭉침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코팅층(43)은 건조전, 경화전 또는 반경화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안경테 본체(40)의 제2면 상에 제2 코팅층(46)을 형성한다(S450). 상기 제2 코팅층(46)은 전착도장층일 수 있다. 상기 전착도장층은 전기가 흐르는 곳에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인쇄층(44)이 형성되 제1면을 제외한 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 후, 상기 인쇄층(44) 및 상기 제2 코팅층(46) 상에 제3 코팅층(47)을 형성한다(S460). 상기 제3 코팅층(47)은 잉크의 변색을 방지할 뿐 아니라 외부 충격에 대한 보호층으로 작용하며, 안료를 첨가하지 않은 투명층 또는 안료를 소량 첨가한 반투명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코팅층(47)을 형성한 후, 건조공정을 수행한다(S47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Claims (12)

  1. 금속재질의 안경테 본체;
    상기 안경테 본체의 제1면 상에 형성된 제1 코팅층;
    상기 제1 코팅층 상에 형성되는 인쇄층;
    상기 안경테 본체의 제2면 상에 형성된 전착도장층인 제2 코팅층; 및
    상기 인쇄층과 상기 제2 코팅층 상에 형성된 제3 코팅층을 포함하는 안경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팅층은 아크릴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는 안경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재질은 Ni, Cu, Al, Ti, Fe, Ni 합금, Cu 합금, Al 합금, Ti합금 또는 Fe합금인 안경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팅층 및 제3 코팅층은 락카형 도료, 아크릴 도료, 우레탄 도료, 에폭시 도료, 아크릴우레탄 도료 또는 UV 경화 도료를 함유하는 안경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 본체와 상기 제1 코팅층 사이에 위치하는 버퍼층을 더 포함하는 안경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과 상기 제3 코팅층 사이에 위치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안경테.
  7. 금속재질의 안경테 본체의 제1면 상에 제1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코팅층 상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안경테 본체의 제2면 상에 전착도장법을 사용하여 제2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층과 상기 제2 코팅층 상에 제3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경테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평판프린터를 사용하여 노즐을 통해 잉크를 분사하여 형성하는 안경테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을 형성할 때, 상기 제1 코팅층은 건조전후, 경화전 또는 반경화 상태인 안경테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팅층은 아크릴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는 안경테 제조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팅층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안경테 본체의 제1면 상에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경테 제조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코팅층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인쇄층 상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경테 제조방법.
KR1020080024098A 2008-03-14 2008-03-14 코팅된 금속 재질의 안경테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900986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098A KR20090098606A (ko) 2008-03-14 2008-03-14 코팅된 금속 재질의 안경테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098A KR20090098606A (ko) 2008-03-14 2008-03-14 코팅된 금속 재질의 안경테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606A true KR20090098606A (ko) 2009-09-17

Family

ID=41357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4098A KR20090098606A (ko) 2008-03-14 2008-03-14 코팅된 금속 재질의 안경테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86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921B1 (ko) * 2011-05-25 2013-07-19 벨금속공업 주식회사 손톱깎이 도장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921B1 (ko) * 2011-05-25 2013-07-19 벨금속공업 주식회사 손톱깎이 도장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22564A1 (en) Method of printing decorations on substrates
US6016601A (en) Method of preparing the nozzle plate
JP2010109975A (ja) ハウジング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00305568A1 (en) Method for attaching metal ornament onto leather product
FR2889544A1 (fr) Procede de decoration par le biais d'un traitement de film d'oxydation anodique
EP4140757A1 (en) Method of decorating with a color or pattern applied on an automobile part
CN106274117A (zh) 一种水转印工艺
KR20090098606A (ko) 코팅된 금속 재질의 안경테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0382979C (zh) 一种带丝印图案的眼镜配件及其表面处理的工艺方法
KR100750791B1 (ko) 평판형 프린터를 이용한 코팅 안경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7130600A (ja) 金属感のある装飾模様の作成方法およびそれを施した装飾体
US8828251B2 (en) Method for finishing exterior surface of injection-molded product
KR101281334B1 (ko) 촉감과 질감을 겸비한 안경의 제조방법 및 그 안경
CN103278936B (zh) 一种高光贴膜眼镜腿及其制造工艺
JP2003170110A (ja) 表面処理方法
CN201057463Y (zh) 多色打火机外壳及其贴片
CN109552711B (zh) 一种利用液态金属进行产品包装的方法
JP2004249563A (ja) 装飾品および装飾品の製造方法
US6000783A (en) Nozzle plate for ink jet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eparing said nozzle plate
KR101422343B1 (ko) 안경테 및 이의 제조방법
TW201643277A (zh) 印刷層之電鍍方法
JPH07237400A (ja) 装飾体の製造方法
KR20120034844A (ko) 합성수지제 안경테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작된 안경테
JPH0540182A (ja) 装飾部材の製造方法
JP2522026B2 (ja) 図柄入りメガネフレ―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