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8043A -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8043A
KR20090098043A KR1020080023198A KR20080023198A KR20090098043A KR 20090098043 A KR20090098043 A KR 20090098043A KR 1020080023198 A KR1020080023198 A KR 1020080023198A KR 20080023198 A KR20080023198 A KR 20080023198A KR 20090098043 A KR20090098043 A KR 20090098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tracking
camera
photographing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덕
Original Assignee
이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덕 filed Critical 이상덕
Priority to KR1020080023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8043A/ko
Publication of KR20090098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0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삼각대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촬영장치에 의하여 피사체의 형상을 분석하고 위치를 자동으로 맞춘 후 촬영하기 때문에 사용자 혼자서도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삼각대(101)의 상부로 구비되어 피사체(100)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장치(10)가 구비되고, 촬영장치(10)의 카메라렌즈(12)를 통하여 카메라제어부(20)의 메인컨트롤러(21)의 제어에 의하여 피사체(100)가 촬영되도록 구비되며, 촬영장치(10)에는 상하 또는 좌우로 회동되도록 하는 카메라회동장치(40)가 구비되고, 카메라제어부(20)는 촬영장치(10)가 회동되도록 하기 위한 추적작동모터(42)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메인컨트롤러(21)에서 발신되는 추적작동신호를 처리하는 추적신호처리블럭(23)이 구비되고, 상기 추적신호처리블럭(23)으로부터 추적작동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추적작동모터(42)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추적모터구동모듈(43)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카메라, 촬영장치, 삼각대, 렌즈

Description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TRACING CAMERA FOR SUBJECT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삼각대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촬영장치에 의하여 피사체의 형상을 분석하고 위치를 자동으로 맞춘 후 촬영하기 때문에 사용자 혼자서도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카메라는 카메라의 렌즈를 통하여 입사되는 피사체의 광을 필름에 의하여 촬영되도록 하는 카메라가 이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근래에는 카메라용 필름보다는 광센서를 이용하여 가시광선의 입사신호를 분별하여 디지털신호로 입력받게 되면 이러한 영상신호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이용하도록 하는 디지털카메라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카메라에는 사용자가 촬영되는 영상을 미리 볼 수 있도록 카메라바디의 후면에 엘씨디를 함께 구성하여, 촬영되기 전에 피사체의 영상을 미리 살 펴본 후 촬영하기 때문에 원하는 상태로 촬영이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디지털카메라의 경우, 반드시 촬영셔터를 조작하여 촬영되도록 하는 촬영자가 있어야 하고, 이러한 촬영자는 촬영셔터를 눌러야 하기 때문에 피사체인 촬영대상이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혼자서 여행하는 경우에는 촬영시간이 대략 10초 정도 지연시켜 촬영되도록 하나, 본인이 촬영되기 전에 미리 촬영위치 및 초점을 수동으로 정한 후에 촬영하기 때문에, 사용자 자신이 촬영되는 모습 및 초점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삼각대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촬영장치에 의하여 피사체의 형상을 분석하고 위치를 자동으로 맞춘 후 촬영하기 때문에 사용자 혼자서도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촬영되는 모습을 미리 엘씨디를 통하여 살펴본 후 촬영하기 때문에 원하는 포즈를 하여 사진촬영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하게 찍히는 촬영을 줄이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나아가 삼각대에 결합된 촬영장치가 회동되도록 하는 회동부재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에 불편하지 않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는, 삼각대(101)의 상부로 구비되어 피사체(100)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장치(1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촬영장치(10)는 카메라렌즈(12)를 통하여 카메라제어부(20)의 메인컨트롤러(21)의 제어에 의하여 피사체(100)가 촬영되도록 구비되는 카메라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10)가 상하 또는 좌우로 회동되도록 하는 카메라회동장치(40)가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제어부(20)는 상기 촬영장치(10)가 회동되도록 하기 위한 추적작동모터(42)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메인컨트롤러(21)에서 발신되는 추적작동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추적신호처리블럭(23)이 구비되고, 상기 추적신호처리블럭(23)으로부터 추적작동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추적작동모터(42)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추적모터구동모듈(43)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상기 카메라회동장치(40)는 상기 삼각대(101) 상부의 베이스플랫폼(44)에 결합되는 상하회동부재(50)가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수평구동모터(421)가 구비되고, 상기 상하회동부재(50)는 상기 수평구동모터(421)의 수평웜(442)와 결합되는 수평구동휠(511)이 하부에 형성된 회동연결부재(51)가 회동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회동연결부재(51)의 상부와 상기 촬영장치(10) 내부에 지지되는 고정틀(53)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며, 상기 고정틀(53)의 일측의 상하구동모터(422)의 상하웜(464)의 작동으로 상기 회동연결부재(51) 상부의 상하구동휠(512)에 대하여 상기 촬영장치(10)가 상하로 회동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회동연결부재(51)는 상부의 상하구동휠(512)과 하부의 수평구동휠(511)이 연결되는 중앙의 수직부(513)가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제어부(20)는 상기 촬영센서(13)로부터 촬영된 영상데이터에 대하여 피사체(100)의 형상을 분석하고 판별하여 상기 메모리부(22)에 저장되도록 하기 위한 형상분석연산부(24); 상기 형상분석연산부(24)에서 분석된 피사체(100)의 현재위치를 판별하고 피사체(100)의 움직임을 추적하도록 연산하기 위한 위치분석연산부(25)가 포함되어 구비되고, 상기 메모리부(22)는 상기 촬영센서(13)로부터 촬영된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촬상데이터메모리부(221); 상기 카메라제어 부(20)의 형상분석연산부(24)에서 분석되는 피사체(100)에 대한 형상데이터가 저장되는 형상데이터메모리부(222); 상기 위치분석연산부(25)에서 분석되는 피사체(100)에 대한 위치데이터가 저장되는 위치데이터메모리부(223); 그리고 상기 카메라(A)의 기기작동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기기데이터메모리부(224)가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의 제어방법은,
촬영센서(13)로부터 전송되는 피사체(100)의 영상데이터가 메모리부(22)에 저장되도록 하는 피사체촬상단계(S01);
촬영된 피사체(100)에 대한 영상데이터에 대하여 카메라제어부(20)의 형상분석연산부(24)에서 피사체(100)에 대한 형상을 분석하여 메모리부(22)의 형상데이터메모리부(222)에 저장되도록 하는 형상판별단계(S02);
형상이 판별된 피사체(100)의 최초 위치를 분석하여 위치데이터메모리부(223)에 저장한 후, 다시 촬영센서(13)로부터 촬영된 영상데이터에 따라 피사체(100)의 위치를 추적하는 피사체위치추적단계(S03);
상기 피사체위치추적단계(S03)에 의하여 분석되는 피사체(100)의 위치를 따라 추적모터구동모듈(43)로 추적작동모터(42)가 작동하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추적신호전송단계(S04);
상기 카메라제어부(20)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추적모터구동모듈(43)에 의하여 추적작동모터(42)의 수평구동모터(421) 또는 상하구동모터(422)가 작동되도록 하여 촬영장치(10)의 촬영초점이 피사체(100)의 위치에 따라 좌우 또는 상하로 회동되도록 하는 카메라초점추적단계(S05);
상기 카메라초점추적단계(S05)에 의하여 상기 촬영장치(10)의 촬영초점이 피사체(100)를 따라 움직이면서, 거리감지센서(16)에 의하여 피사체(100)의 거리를 판별하여 피사체(100)에 대한 영상선명도를 조절하는 선명도조절단계(S06)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은 삼각대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촬영장치에 의하여 피사체의 형상을 분석하고 위치를 자동으로 맞춘 후 촬영하기 때문에 사용자 혼자서도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촬영되는 모습을 미리 엘씨디를 통하여 살펴본 후 촬영하기 때문에 원하는 포즈를 하여 사진촬영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하게 찍히는 촬영을 줄이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삼각대에 결합된 촬영장치가 회동되도록 하는 회동부재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의 제1실시예에 대한 개략 적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의 제2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의 제2실시예에서의 카메라회동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의 제3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의 제3실시예에서의 카메라회동장치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의 촬영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에 대한 제어블럭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에 대한 제어흐름도가 각각 도시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A)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대(101)의 상부로 구비되어 피사체(100)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장치(10)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러한 상기 촬영장치(10)는 카메라렌즈(12)를 통하여 카메라제어부(20)의 메인컨트롤러(21)의 제어에 의하여 피사체(100)가 촬영되도록 구비되는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상기 촬영장치(10)가 상하 또는 좌우로 회동되도록 하는 카메라회동장치(40)가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제어부(20)는 상기 촬영장치(10)가 회동되도록 하기 위한 추적작동모터(42)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메인컨트롤러(21)에서 발신되는 추적작동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추적신호처리블럭(23)이 구비되며, 상기 추적신호처리블럭(23)으로부터 추적작동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추적작동모터(42)가 작 동되도록 제어하는 추적모터구동모듈(43)이 더 구비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A)는 촬영장치(10)의 메인컨트롤러(21)의 제어에 의하여 피사체(100)를 형상분석한 후, 이러한 피사체(100)가 이동하는 것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촬영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여도 촬영이 가능하여 편리하게 카메라를 이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혼자서 촬영하거나 또는 여러명이 촬영하더라도 종전에서와 같이 촬영하는 사람은 빠지고 못찍지 않는 불편함을 없앤 것이다. 따라서 언제라도 모든 사람들이 원하는 위치에서 자동으로 촬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야외에서 그 활용도가 높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A)의 세부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카메라제어부(20)는 상기 촬영센서(13)로부터 촬영된 영상데이터에 대하여 피사체(100)의 형상을 분석하고 판별하여 상기 메모리부(22)에 저장되도록 하기 위한 형상분석연산부(24), 그리고 상기 형상분석연산부(24)에서 분석된 피사체(100)의 현재위치를 판별하고 피사체(100)의 움직임을 추적하도록 연산하기 위한 위치분석연산부(25)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카메라제어부(20)에서는 피사체(100)에 대하여 형상분석연산부(24)에 의하여 형상을 분석한 후, 분석된 피사체(100)의 형상을 따라 위치분석연산부(25)에 의하여 피사체(100)를 추적하도록 프로그래밍 처리되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데이터는 메모리부(22)에 저장되면서, 메인 컨트롤러(21)의 제어에 의하여 카메라회동장치(40)가 작동되도록 하여, 촬영장치(10)의 촬영위치가 피사체(100)의 움직임을 따라갈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상기 메모리부(22)는 상기 촬영센서(13)로부터 촬영된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촬상데이터메모리부(221); 상기 카메라제어부(20)의 형상분석연산부(24)에서 분석되는 피사체(100)에 대한 형상데이터가 저장되는 형상데이터메모리부(222); 상기 위치분석연산부(25)에서 분석되는 피사체(100)에 대한 위치데이터가 저장되는 위치데이터메모리부(223); 그리고 상기 카메라(A)의 기기작동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기기데이터메모리부(224) 등이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촬영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 피사체 형상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 파시체의 위치를 추적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 그리고 카메라장치의 기기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 등으로 구분되어 메모리부가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작동을 하기 위한 촬영장치(10)의 세부구성으로는, 카메라렌즈(12)를 통하여 입사되는 피사체(100)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센서(13); 상기 피사체(100)의 상태에 따라 피사체 영상 초점을 조절하는 포커스조절부(14); 상기 포커스조절부(14)에 의하여 상기 촬영센서(13)에 의하여 촬영되는 피사체(100)의 영상을 조절한 후 촬영된 피사체 영상 데이터가 메모리부(22)에 저장되도록 하며, 엘씨디(15)에 표시되도록 하는 메인컨트롤러(21); 상기 촬영센서(13)로부터 입력되는 피사체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22)가 포함되는 카메라제어부(20) 등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촬영장치(10)의 카메라렌즈(12)를 통하여 입사되는 피사체(100)의 영상은 촬영센서(13)에 의하여 촬영되어 메모리부(22)의 촬상데이터메모리부(221)에 영상데이터로 저장되는 것이다. 이러한 피사체(100)의 영상데이터에 대하여 카메라제어부(20)의 메인컨트롤러(21)에서는 형상분석연산부(24)를 통하여 피사체의 형상을 분석하여 형상데이터메모리부(222)에 저장하게 된다. 이후 카메라렌즈(12)를 통하여 입사되어 촬영되는 영상데이터를 분별하여 피사체의 형상데이터에 대하여 위치분석연산부(25)를 통하여 피사체의 위치를 추적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와 같은 피사체의 형상분석 및 피사체의 위치추적 등에 대한 기술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기술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형상분석방법은 피사체가 사람일 경우에는 사람의 전체 형태, 사람의 눈·코·입·귀·머리 등의 형태 등을 분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사람이나 동물의 경우에는 별도의 적외선감지센서를 탑제한 적외선 영상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사람이나 동물의 위치를 함께 분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나아가 가시광선 촬영센서로부터 사람의 구분되는 요소(눈·코·입·귀·머리 등의 형상)와 함께 적외선 촬영센서로부터 사람의 체온을 감지하는 구성을 함께 적용하여 구성하게 되면 보다 더욱 정확한 피사체의 형상을 분별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와 같은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형상분석방법에 의하여 분석되는 피사체에 대하여, 일정한 시간 프레임별로 재 촬영되는 영상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각 프레임당 분석되는 피사체의 위치를 판별하도록 하여 피사체의 위치를 분석하고, 이러한 이동되는 피사체를 메인컨트롤러(21)의 제어에 의하여 카메라회동장치(40)의 작동으로 촬영장치(10)가 피사체를 따라 회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 다.
그리하여 피사체인 사용자는 형상분석 및 위치분석 프로그램을 작동시킨 상태에서는 어느 위치에 위치하더라도 자유로운 포즈를 취하면서 자유로이 촬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A)를 이용한 촬영을 위한 제어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A)를 이용하여 촬영하기 위해서는 촬영장치(10)의 메뉴 중 사용자에 의한 촬영이 아닌 피사체 자동 형상분석을 통한 위치추적 촬영 모드로 전환되도록 메뉴를 먼저 선택해야 할 것이다.
즉 먼저 삼각대(101)를 펼치고 카메라회동장치(40) 등을 비롯한 촬영장치(10)를 상부에 결합하여 촬영준비를 하게 된다.
그리고 엘씨디(15)의 영상을 보면서 사용자가 셔터를 눌러 이용하는 직접촬영방법을 선택할 것인지, 아니면 카메라제어부(20)에 의하여 피사체의 형상을 분석하고 추적하여 촬영하는 자동 추적 촬영방법을 선택할 것인지 결정해야 할 것이다.
이에 자동 추적 촬영방법으로 선택한 경우에도 촬영 시기를 살피기 위하여 사용자는 별도의 리모컨을 조작하여 리모컨 촬영을 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엘씨디(15)의 화면이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회전형 엘씨디로 구비하여, 사용자가 촬영되는 화면을 미리 보고 자세를 안정되게 취한 후 촬영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A)를 이용한 촬영에 앞서, 삼각대(101) 및 촬영장치(10) 등의 설치를 완료하고, 자동 추적 촬영방법으로 메뉴를 선택하여 촬영준비를 완료하게 된다.
이후 촬영을 위한 피사체 추적을 해야 하기 때문에, 우선 촬영센서(13)로부터 전송되는 피사체(100)의 영상데이터가 메모리부(22)에 저장되도록 하는 피사체촬상단계(S01)를 수행하게 된다. 그리하여 촬영된 피사체(100)의 영상데이터는 메모리부(22)의 촬영데이터메모리부(221)에 저장되는 것이다.
이처럼 촬영된 피사체(100)에 대한 영상데이터에 대하여 카메라제어부(20)의 형상분석연산부(24)에서 피사체(100)에 대한 형상을 분석하여 메모리부(22)의 형상데이터메모리부(222)에 저장되도록 하는 형상판별단계(S02)가 수행된다.
물론 앞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일반적인 가시광선에 의한 영상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사람의 경우에는 눈, 코, 잎, 머리, 팔, 다리, 몸통 등을 분별하여 피사체의 형상을 분석하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와 함께 적외선 영상촬영센서를 함께 구비하여, 피사체의 적외선 영상데이터도 함께 입력되도록 하여, 형상분석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상이 판별된 피사체(100)의 최초 위치를 분석하여 위치데이터메모리부(223)에 저장한 후, 다시 촬영센서(13)로부터 촬영된 영상데이터에 따라 피사체(100)의 위치를 추적하는 피사체위치추적단계(S03)를 수행하게 된다.
이후 상기 피사체위치추적단계(S03)에 의하여 분석되는 피사체(100)의 위치를 따라 카메라회동장치(40)의 추적모터구동모듈(43)로 추적작동모터(42)가 작동하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추적신호전송단계(S04)를 수행하게 된다.
이에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촬영장치(10)의 상하회동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작동하도록 하고, 좌우 수평회동은 촬영장치(10) 내부의 구동모터에 의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모터구동모듈은 카메라제어부(20) 내에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구동모터 측으로 카메라제어부(20)와 분리되어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의 제2실시예에서, 촬영장치(10)의 좌우 수평회동은 삼각대 상부의 수평구동모터에 의하여, 상하회동은 촬영장치(10)의 하측의 상하구동모터에 의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수평구동모터 및 상하구동모터의 작동을 위한 수평구동모듈 및 상하구동모듈은 촬영장치(10)의 카메라제어부(20) 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카메라제어부(20)와 이격되어 수평구동모터 및 상하구동모터 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카메라제어부(20)와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는 수평구동모듈 및 상하구동모듈 사이에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유선에 의하여 신호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블루투스 또는 RF신호 등을 이용한 무선신호전송방식에 의하여 신호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나아가 도 4 및 도 5의 제3실시예에서, 촬영장치(10)의 좌우 수평회동은 삼각대 상부의 수평구동모터에 의하고, 상하회동은 촬영장치(10) 몸체 내부에 구비되는 상하구동모터에 의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카메라제어부(20)와 수평구동모터의 구동을 위한 수평구동모듈 및 상하구동모터의 구동을 위한 상하구동모듈은 카메라제어부(20)와 근접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각각의 구동모터와 근접되고 카메라제어부(20)와 이격되어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 카메라제어부(20)는 촬영장치(10) 몸체 내부에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카메라제어부(20)와 상하구동모듈은 근접되어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무선전송도 가능할 수 있으나 유선으로 신호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좌우 수평회동을 위한 수평구동모듈과 카메라제어부(20) 사이의 신호전송은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유선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서로 무선통신부재에 의하여 신호전송되도록 구비하여, 촬영장치(10)가 회동되는 수평 회동각도가 제한되지 않고 촬영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물론 도 1의 제1실시예에서도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도 1 내지 도 5 등에서와 같이 카메라제어부(20)와 수평구동모듈, 상하구동모듈 또는 수평구동모듈과 수평구동모터, 상하구동모듈과 상하구동모터 등의 구성에 있어서, 유선연결 또는 무선통신방식으로 신호전송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무선통신되도록 구성되는 양측간의 신호전송방식은 일반적인 무선통신방식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즉 개별 부재들의 발신부측 및 수신부측의 개별고유ID와 함께 제어신호가 함께 합성되어 신호전송되는 것으로, 이러한 전송신호를 수신받는 수평구동모듈, 상하구동모듈, 수평구동모터, 상하구동모터 등에서는 수신되는 신호를 판별함에, 수신되는 부재와 발신되는 부재의 고유 ID인지를 판별하여 이에 합당한 신호인 경우에는 함께 합성되어 전송되는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카메라제어부(20)로부터 수평구동모듈 및 상하구동모듈이 모두 무선통신을 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경우처럼, 많은 수의 부재가 서로 무선통신에 의하여 구동 제어되더라도 서로 신호혼선없이 촬영장치(10)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카메라제어부(20)의 메모리부(22)에는 카메라제어부(20)의 고유아이디메모리부, 수평구동모듈 또는 수평구동모터의 고유 ID가 저장되는 수평구동부재고유아이디메모리부, 그리고 상하구동모듈 또는 상하구동모터의 고유 ID가 저장되는 상하부재고유아이디메모리부 등이 구비될 수 있고, 상하부재 또는 수평부재 등에도 카메라제어부(20)의 고유 ID와 함께 해당 부재의 고유 ID가 저장되는 고유아이디메모리부가 함께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제어부(20)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를 수신받은 상기 추적모터구동모듈(43)에 의하여 추적작동모터(42)의 수평구동모터(421) 또는 상하구동모터(422)가 작동되도록 하여 촬영장치(10)의 촬영초점이 피사체(100)의 위치에 따라 좌우 또는 상하로 회동되도록 하는 카메라초점추적단계(S05)가 수행된다.
이와 같이 상기 카메라초점추적단계(S05)에 의하여 상기 촬영장치(10)의 촬영초점이 피사체(100)를 따라 움직이도록 구비되고, 또한 거리감지센서(16)에 의하여 피사체(100)의 거리를 판별하여 피사체(100)에 대한 영상선명도를 조절하는 선명도조절단계(S06)가 수행되어, 촬영장치(10)에서는 움직인 피사체(100)에 대한 촬영준비를 완료하게 된다.
그리고 난 후 이와 같은 피사체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메모리부(22)에 피사체의 영상을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촬영되어 기억되기 전에, 피사체에 대한 촬영될 수 있는 영상 상태를 미리 엘씨디(15)에 표시하여 촬영되는 피사체의 상 태를 보이도록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엘씨디(15)는 카메라렌즈(12)가 피사체를 향하고 있는 전방 방향으로 엘씨디(15)가 회동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는 것으로, 촬영장치(10)에 의하여 찍히는 사용자가 자신의 촬영되기 전의 모습을 엘씨디(15)를 통하여 미리 볼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모습으로 찍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도 별도로 구비될 수 있는 무선 또는 유선의 리모컨을 이용하여 촬영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에서와 같이 메인컨트롤러(21)의 제어에 의하여 촬영장치(10)가 회동되도록 하는 부재인 카메라회동장치(4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이러한 카메라회동장치(40)에 대한 제1실시예로는 도 1에서와 같이, 지면에 고정되는 삼각대(101)에 대하여, 상부의 촬영장치(10)가 수평방향으로만 회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촬영장치(10)의 몸체의 내부 저부측에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부재가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사용자는 먼저 자신이 찍힐 수 있는 부분의 장소로 어느 정도 수동회전바(102)를 이용하여 맞춘 다음에, 엘씨디(15)의 표시면 방향을 전방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이후 리모컨을 이용하여 촬영장치(10)를 수평 회전시키면서 자신의 촬영모습을 보면서 촬영하게 된다.
이러한 제1실시예의 카메라회동장치(40)의 구성은, 지면에 고정되는 삼각 대(101) 상부로, 수동회전바(102)가 연결된 수동상하회동부재(103)가 결합된 것으로, 사용자는 미리 수동회전바(102)를 이용하여 촬영장치(10)의 촬영되는 높이를 알맞게 설정하게 된다.
이러한 수동상회회동부재(103)의 상부로는 촬영장치(10)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볼트(104)가 형성된 것으로, 촬영장치(10)의 몸체 저부에는 고정볼트(104)가 나사결합되는 카메라회동장치(40)의 너트결합부(31)가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너트결합부(31)의 외주면에는 기어홈 및 돌기가 형성되는 회동휠로 구성되는 것으로, 촬영장치(10)의 몸체 저부에 고정된 수평회동모터(32)의 회동웜에 의하여 회동휠이 형성된 너트결합부(31)가 수평회동는 것이다.
따라서 촬영장치(10)의 몸체 일측에 구비되는 카메라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하여 수평회동모터(32)가 회동하게 되면, 수평회동모터(32)의 회동웜에 의하여 회동휠인 너트결합부(31)가 촬영장치(10)의 몸체에 대하여 수평회동하게 되고, 결국 삼각대(101)에 대하여 촬영장치(10)가 상대적으로 수평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수평회동되는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A)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촬영준비를 한 후, 엘씨디(15) 화면 또는 촬영뷰어를 보면서 촬영장치(10)가 촬영되는 부근으로 촬영장치(10)의 촬영방향이 향하도록 한 후, 수동회전바(102)를 이용하여 촬영방향의 상하 위치를 맞추게 된다. 이후 엘씨디(15)를 전방으로 회동시키고 촬영장소로 사용자가 이동한 후, 자신의 촬영모습을 보면서 원하는 포즈를 취하면서 엘씨디(15)에 보여지는 자신의 모습을 살피게 된다. 이때 좌우 방향으로 촬영장치(10)의 회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별 도로 구비될 수 있는 리모컨을 이용하여 촬영방향을 설정한 후, 촬영셔터를 눌러 촬영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리모컨이 없고 자동 형상분석연산부 및 위치분석연산부가 구비되는 카메라제어부(20)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피사체의 위치를 파악하게 되고, 자동으로 촬영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정지화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장치에 알맞을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A)의 제2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저부가 상기 삼각대(101)의 상부에 고정결합되는 베이스플랫폼(44)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플랫폼(44)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측의 촬영장치(10)가 상하로 회동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상하회동부재(45)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회회동부재(45)는 삼각대(101)와 촬영장치(10) 사이에 구비되어 외부가 반구형상의 캡(41)으로 덮혀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반구형상의 캡(41)에는 전방으로 장홈(411)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장홈(411)에는 상부의 촬영장치(10)가 고정되도록 하는 카메라지지부재(47)가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캡(41)에 덮혀지는 상기 상하회동부재(45)는 상기 베이스플랫폼(44) 일측에 구비되는 수평구동모터(421)의 수평웜(442)에 의하여 수평구동휠(461)이 수평방향으로 회동되어, 수평구동휠(461) 상부로 결합되는 촬영장치(10)가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즉 삼각대(101) 상부의 베이스플랫폼(44)에 수평회동되도록 결합되는 수평구동휠(461)이 베이스플랫폼(44)에 고정되는 수평구동모터(421)의 수평웜(442)에 의하여 수평회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수평구동휠(461)의 상면에는 수평회동베이스(46)가 구성되고, 이러한 수평회동베이스(46)의 상부로는 촬영장치(10)가 상하로 회동되도록 하는 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다.
즉 수평회동베이스(46)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하회동부재를 보면, 도 3과 같이 상기 촬영장치(10)의 저부와 고정결합되는 카메라지지부재(47)의 저부가 상기 수평구동휠(461)과 일체로 형성된 상하베이스(46)의 회동돌설부(462) 상부에 회동되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회동돌설부(462)와 카메라지지부재(47)는 상하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하베이스(46)의 일측에 구비되는 상하구동모터(422)의 작동으로 회전되는 상하웜(464)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지지부재(47)의 저부 끝단에 형성된 상하구동휠(471)이 회동돌설부(462)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결국 상하구동휠(471)과 일체로 형성되는 카메라지지부재(47)가 상하구동모터(422) 작동에 의하여 회동돌설부(462)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카메라지지부재(47)의 상부로 고정되는 촬영장치(10)는 상하구동모터(422)의 작동으로 상하로 회동되기 때문에, 결국 촬영되는 초점의 높이가 상하로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우선 촬영장치(10)의 촬영모드를 자동추적모드로 전환 한 후, 촬영대상인 피사체의 형상분석이 되도록 한 후에, 사용자 자신이 촬영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촬영포즈를 취하게 되면, 촬영장치는 케메라제어부(20)의 형상분석연산부(24) 및 위치분석연산부(25) 등에 의하여 피사체인 사용자의 촬영위치를 파악하여, 추적모터구동모듈(43) 및 추적작동모터(42)인 수평구동모터(421) 및 상하구동모터(422)의 작동으로 피사체의 위치에 알맞게 촬영장치(10)를 회동시키게 된다. 이후 카메라렌즈(12)를 통하여 입사되는 영상에 대하여, 거리감지센서(16)를 통하여 피사체와의 거리를 측정하게 되고, 이에 알맞은 영상으로 촬영되도록 하기 위하여 렌즈의 초점을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촬영준비를 완료한 영상은 엘씨디(1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게 되면, 사용자는 자신이 찍혀지는 모습을 엘씨디를 통하여 확인한 후, 리모컨 등에 의하여 촬영되도록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와 같은 정지영상에 대한 촬영은 사용자의 촬영셔터 조작으로 촬영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고, 또한 자동촬영의 경우에는 피사체의 위치가 파악되어 회동되고, 이후 촬영초점이 맞춰지게 되면 자동으로 촬영되도록 하는 정지영상 자동촬영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나아가 동영상 촬영모드의 경우에는, 피사체의 움직임을 연속적으로 파악하고, 촬영장치(10)도 연속적으로 회동되도록 하면서, 촬영센서(13), 거리감지센서(16) 및 포커스조절부(14) 등에 의하여 피사체의 촬영초점을 연속으로 맞추면서 동영상이 자동으로 촬영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A)의 제3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4 및 도 5에서와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A)의 카메라회동장치(40)는 상기 삼각대(101) 상부의 베이스플랫폼(44)에 결합되는 상하회동부재(50)가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수평구동모터(421)가 구비되고, 상기 상하회동부재(50)는 상기 수평구동모터(421)의 수평웜(442)와 결합되는 수평구동휠(511)이 하부에 형성된 회동연결부재(51)가 회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촬영장치(10) 내주에는 촬영장치(10) 몸체에 고정되는 고정틀(53)이 구비되어, 상기 회동연결부재(51)의 상부와 상기 촬영장치(10) 내부의 고정틀(53)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베이스플랫폼(44)에 고정된 수평구동모터(421)의 수평웜(442)에 의하여 회동연결부재(51)가 수평회동되고, 따라서 회동연결부재(51)의 상부에 결합되는 촬영장치(10)도 함께 수평회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촬영장치(10) 몸체 내부 저부에 고정되는 상기 고정틀(53)의 일측에 고정되는 상하구동모터(422)의 상하웜(464)의 작동으로 상기 회동연결부재(51) 상부의 상하구동휠(512)이 상대적으로 수직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으로, 결국 이에 의하여 상기 촬영장치(10)가 상하로 회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동연결부재(51)는 상부의 상하구동휠(512)과 하부의 수평구동휠(511)이 연결되는 중앙의 수직부(513)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중앙의 수직 부(513)를 중심으로 하여, 상측에는 상하구동휠(512)이 구비되고, 하측에는 수평구동휠(511)이 구비되는 것이다. 이에 결국 회동연결부재(51)의 수직부(513)를 중심으로 하여, 하측의 수평구동휠(511)은 수평구동모터(421)의 작동으로 삼각대(101)에 대하여 수평회동되는 것이고, 상측의 상하구동휠(512)에 대하여 촬영장치(10) 몸체 내부의 고정틀(53)의 상하구동모터(422)의 작동으로 촬영장치(10)가 상하수직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촬영장치(10)는 결국 회동연결부재(51)를 중심으로 하여 수평회동 및 수직상하회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피사체의 위치를 따라 자유로이 원하는 촬영위치로 회동이 가능한 것이다.
이에 삼각대(101) 상부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랫폼(44)의 상부에는 수평구동모터(421) 및 수평구동휠(511)이 감싸여지도록 하는 부재케이스(52)가 베이스플랫폼(44)과 고정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이러한 부재케이스(52)의 상면에는 회동연결부재(51)의 수직부(513)가 관통되도록 하는 축통공(521)이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부재케이스(52)의 축통공(521)에는 수직부(513)의 회동축부(514)가 결합되는 것으로, 축통공(521)과 회동축부(514)는 서로 베어링과 같은 부재에 의하여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결국 수직부(513)의 회동축부(514)가 부재케이스(52)에 지지되기 때문에 결국 부재케이스(52)와 고정되는 베이스플랫폼(44)에 의하여 상부의 촬영장치(10)가 안정되게 설치되는 것이다.
물론 이와 같은 부재케이스(52)에 의하여 수평구동모터(421), 수평웜(442) 및 수평구동휠(511) 등으로 이물질이 침투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회동연결부재(51)의 수평구동휠(511)은 전체적으로 원판형태로 형성되어 수평방향으로 놓여지도록 구성된 것으로, 중앙에는 수직부(513)의 하측이 결합되는 사각형상의 축결합공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측면에는 수평웜(442)과 기어결합되는 기어산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회동연결부재(51) 상부의 상하구동휠(512)은 반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수직부(513)의 상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하구동휠(512)의 방향은 촬영장치(10)의 상하회동방향과 일치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하구동휠(512)과 기어결합되는 상하웜(464)도 이와 일치하게 작동되는 방향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에 도 4 및 도 5의 예시에서는 촬영장치(10)의 전후방향으로 작동되도록 형성됨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상하구동휠(512) 및 상하웜(464)의 설치방향은 촬영장치(10)의 몸체 구성상황에 따라 적절히 변형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수직부(513)의 상부에는 측방향으로 관통되는 회동축공이 형성된 것이고, 이러한 회동축공에 결합되는 상하회동축이 결합되도록 고정틀(53)의 측면을 관통하는 고정축공이 형성된 것으로, 결국 촬영장치(10) 몸체에 고정되는 고정틀(53)을 중심으로 하여 수직부(513)의 회동연결부재(51)가 상대적으로 상하 수직회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삼각대(101)에 설치되는 회동연결부재(51)에 대하여 촬영장치(10)는 상하 수직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으로, 촬영되는 피사체에 대하여 촬영초점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메인컨트롤러(21)의 제어로 수평구동모터(421) 및 상하구동모 터(422)로 되는 추적작동모터(42)에 의하여 촬영장치(10)가 수평회동 및 상하회동되기 때문에 피사체에 대한 촬영초점위치를 자유로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실시예2에서와 같이,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A)의 제3실시예에서도, 리모컨에 의한 수동셔터 촬영방식 및 자동촬영방식에 의한 정지화상의 촬영, 그리고 피사체의 형상을 분석하고, 위치를 분석하여 피사체의 촬영위치를 추적하고 촬영초점을 맞춘 후 연속동영상촬영하는 자동동영상촬영 등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의 제1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의 제2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의 제2실시예에서의 카메라회동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의 제3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의 제3실시예에서의 카메라회동장치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의 촬영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에 대한 제어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에 대한 제어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
10 : 촬영장치 12 : 카메라렌즈
13 : 촬영센서 17 : 출력단자
20 : 카메라제어부 21 : 메인컨트롤러
22 : 메모리부 26 : 영상입력신호처리블럭
27 : 센서입력신호처리블럭 28 : 출력신호처리블럭
40 : 카메라회동장치 42 : 추적작동모터
43 : 추적모터구동모듈 44 : 베이스플랫폼
45 : 상하회동부재
50 : 상하회동부재 51 : 회동연결부재
511 : 수평구동휠 512 : 상하구동휠
513 : 수직부

Claims (4)

  1. 삼각대(101)의 상부로 구비되어 피사체(100)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장치(1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촬영장치(10)는 카메라렌즈(12)를 통하여 카메라제어부(20)의 메인컨트롤러(21)의 제어에 의하여 피사체(100)가 촬영되도록 구비되는 카메라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10)가 상하 또는 좌우로 회동되도록 하는 카메라회동장치(40)가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제어부(20)는 상기 촬영장치(10)가 회동되도록 하기 위한 추적작동모터(42)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메인컨트롤러(21)에서 발신되는 추적작동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추적신호처리블럭(23)이 구비되고,
    상기 추적신호처리블럭(23)으로부터 추적작동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추적작동모터(42)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추적모터구동모듈(43)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회동장치(40)는,
    상기 삼각대(101) 상부의 베이스플랫폼(44)에 결합되는 상하회동부재(50)가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수평구동모터(421)가 구비되고,
    상기 상하회동부재(50)는 상기 수평구동모터(421)의 수평웜(442)와 결합되는 수평구동휠(511)이 하부에 형성된 회동연결부재(51)가 회동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회동연결부재(51)의 상부와 상기 촬영장치(10) 내부에 지지되는 고정틀(53)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며,
    상기 고정틀(53)의 일측의 상하구동모터(422)의 상하웜(464)의 작동으로 상기 회동연결부재(51) 상부의 상하구동휠(512)에 대하여 상기 촬영장치(10)가 상하로 회동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회동연결부재(51)는 상부의 상하구동휠(512)과 하부의 수평구동휠(511)이 연결되는 중앙의 수직부(513)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제어부(20)는 상기 촬영센서(13)로부터 촬영된 영상데이터에 대하여 피사체(100)의 형상을 분석하고 판별하여 상기 메모리부(22)에 저장되도록 하기 위한 형상분석연산부(24);
    상기 형상분석연산부(24)에서 분석된 피사체(100)의 현재위치를 판별하고 피사체(100)의 움직임을 추적하도록 연산하기 위한 위치분석연산부(25)가 포함되어 구비되고,
    상기 메모리부(22)는 상기 촬영센서(13)로부터 촬영된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촬상데이터메모리부(221);
    상기 카메라제어부(20)의 형상분석연산부(24)에서 분석되는 피사체(100)에 대한 형상데이터가 저장되는 형상데이터메모리부(222);
    상기 위치분석연산부(25)에서 분석되는 피사체(100)에 대한 위치데이터가 저장되는 위치데이터메모리부(223);
    그리고 상기 카메라(A)의 기기작동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기기데이터메모리부(224)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촬영센서(13)로부터 전송되는 피사체(100)의 영상데이터가 메모리부(22)에 저장되도록 하는 피사체촬상단계(S01);
    촬영된 피사체(100)에 대한 영상데이터에 대하여 카메라제어부(20)의 형상분석연산부(24)에서 피사체(100)에 대한 형상을 분석하여 메모리부(22)의 형상데이터메모리부(222)에 저장되도록 하는 형상판별단계(S02);
    형상이 판별된 피사체(100)의 최초 위치를 분석하여 위치데이터메모리부(223)에 저장한 후, 다시 촬영센서(13)로부터 촬영된 영상데이터에 따라 피사체(100)의 위치를 추적하는 피사체위치추적단계(S03);
    상기 피사체위치추적단계(S03)에 의하여 분석되는 피사체(100)의 위치를 따라 추적모터구동모듈(43)로 추적작동모터(42)가 작동하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추적신호전송단계(S04);
    상기 카메라제어부(20)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추적모터구동모듈(43)에 의하여 추적작동모터(42)의 수평구동모터(421) 또는 상하구동모터(422)가 작동되도록 하여 촬영장치(10)의 촬영초점이 피사체(100)의 위치에 따라 좌우 또는 상하로 회동되도록 하는 카메라초점추적단계(S05);
    상기 카메라초점추적단계(S05)에 의하여 상기 촬영장치(10)의 촬영초점이 피사체(100)를 따라 움직이면서, 거리감지센서(16)에 의하여 피사체(100)의 거리를 판별하여 피사체(100)에 대한 영상선명도를 조절하는 선명도조절단계(S06)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80023198A 2008-03-13 2008-03-13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900980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198A KR20090098043A (ko) 2008-03-13 2008-03-13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198A KR20090098043A (ko) 2008-03-13 2008-03-13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043A true KR20090098043A (ko) 2009-09-17

Family

ID=41357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198A KR20090098043A (ko) 2008-03-13 2008-03-13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8043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71520A (zh) * 2016-02-25 2016-05-11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智能化三维立体扫描仪云台
WO2016190674A1 (ko) * 2015-05-26 2016-12-01 (주)아이티버스 셀프 촬영용 스틱
KR20170004925A (ko) * 2016-12-23 2017-01-11 (주)아이티버스 셀프 촬영용 스틱
KR20200007239A (ko) * 2018-07-12 2020-01-2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위치제어방법을 적용한 적외선 체온 검출장치
KR20200094989A (ko) * 2019-01-31 2020-08-1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 제어 가능한 트라이포드
KR102155958B1 (ko) * 2019-04-05 2020-09-14 김성현 스마트 지지 장치
KR102411210B1 (ko) * 2022-01-21 2022-06-22 (주)하이큐브시스템 휴대용 cctv
KR20220114381A (ko) * 2021-02-08 2022-08-17 김동영 피사체 추적 장치
CN115234808A (zh) * 2022-05-20 2022-10-25 温州医科大学 一种心理咨询中用于心理测写的微表情记录装置
CN117944271A (zh) * 2024-03-22 2024-04-30 华南理工大学 一种追踪式增材制造熔池多参量五轴监测平台及监测方法
CN117944271B (zh) * 2024-03-22 2024-07-02 华南理工大学 一种追踪式增材制造熔池多参量五轴监测平台及监测方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0674A1 (ko) * 2015-05-26 2016-12-01 (주)아이티버스 셀프 촬영용 스틱
CN105571520A (zh) * 2016-02-25 2016-05-11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智能化三维立体扫描仪云台
KR20170004925A (ko) * 2016-12-23 2017-01-11 (주)아이티버스 셀프 촬영용 스틱
KR20200007239A (ko) * 2018-07-12 2020-01-2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위치제어방법을 적용한 적외선 체온 검출장치
KR20200094989A (ko) * 2019-01-31 2020-08-1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 제어 가능한 트라이포드
WO2020204433A1 (ko) * 2019-04-05 2020-10-08 김성현 스마트 지지 장치, 스마트 지지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스마트 지지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 방법
KR102155958B1 (ko) * 2019-04-05 2020-09-14 김성현 스마트 지지 장치
KR20220114381A (ko) * 2021-02-08 2022-08-17 김동영 피사체 추적 장치
KR102411210B1 (ko) * 2022-01-21 2022-06-22 (주)하이큐브시스템 휴대용 cctv
CN115234808A (zh) * 2022-05-20 2022-10-25 温州医科大学 一种心理咨询中用于心理测写的微表情记录装置
CN115234808B (zh) * 2022-05-20 2023-07-28 温州医科大学 一种心理咨询中用于心理测写的微表情记录装置
CN117944271A (zh) * 2024-03-22 2024-04-30 华南理工大学 一种追踪式增材制造熔池多参量五轴监测平台及监测方法
CN117944271B (zh) * 2024-03-22 2024-07-02 华南理工大学 一种追踪式增材制造熔池多参量五轴监测平台及监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98043A (ko) 피사체추적촬상카메라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EP2518994B1 (en) Image capturing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ing device, and program
CN106331471B (zh) 一种自动跟踪摄像方法、装置、移动终端和旋转支架
EP1793599A1 (en) Electronic device
US10063773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photograph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hotographing program of photographing apparatus
JP7210246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撮像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WO2006038577A1 (ja) プロジェクタ装置を有する電子機器
US20140267595A1 (en) Rotating surveillance camera
US9286734B2 (en) System and method of calibrating a system
US20110135290A1 (en) Camera adjusting system and method
KR20170057574A (ko) 셀프 촬영용 스틱 및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
TWI475311B (zh) 轉向攝影機及自動轉向雲台
JP2010004465A (ja) 立体画像撮影システム
JP2011109630A (ja) カメラ装置用雲台
KR101814714B1 (ko) 스마트폰 카메라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N103973948B (zh) 摄像设备
JP2006086671A (ja) 自動追尾機能を有する撮像装置
JP2005148265A (ja) カメラ装置
JPH02239779A (ja) 自動合焦、自動画角調定、自動視線調定装置およびそれを有するテレビドアホン装置
US200201317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image centering
JP2015159460A (ja) 投影システム、投影装置、撮影装置、ガイド枠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215062A (ja) 撮像装置
KR20200094004A (ko) 개인방송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자동촬영 로봇장치
JP2013135448A (ja) 撮像装置
JP2006033395A (ja) 撮像装置及び立体撮像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