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7783A - 전자기기의 수용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의 수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7783A
KR20090097783A KR1020090011860A KR20090011860A KR20090097783A KR 20090097783 A KR20090097783 A KR 20090097783A KR 1020090011860 A KR1020090011860 A KR 1020090011860A KR 20090011860 A KR20090011860 A KR 20090011860A KR 20090097783 A KR20090097783 A KR 20090097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slide member
holder member
holder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8549B1 (ko
Inventor
도모하루 이즈메
히로유키 마츠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90097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7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8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8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integrated articles, i.e. not substantially protruding from the surround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과제) 차실 내에서 전자기기를 조작하기 쉬운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전자기기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나 혹은 이용하고 있으나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자기기를 유지시킨 그대로의 상태로 예를 들면 인스트러먼트 패널 등의 내측에 이것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수단) 자동차의 내장품이 되는 수용장치이다. 본체(1)에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는 슬라이드부재(2)에 전자기기(C)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홀더부재(3)를 구비하고 있으며, 홀더부재(3)에 전자기기(C)를 유지시킨 상태에서의 슬라이드부재(2)의 본체(1) 내로의 수용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Description

전자기기의 수용장치{ACCOMMODATION DEVICE OF ELECTRONIC EQUIPMEN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내장품이 되며, 차실 내에서 전자기기를 이용하기 쉬운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차실 내에서 MP3플레이어를 유지하는 스탠드 형상을 이루는 장치로서 특허문헌 1에 나타낸 것이 있다. 상기 장치는 인스트러먼트 패널 상에 기립상태로 고정되는 등으로 하여 이용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장치는 MP3플레이어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나 혹은 이용하고 있으나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도 간단하게 정리할 수 없고, MP3플레이어를 떼어낸 경우에는 그 떼어낸 장소에 부착용 나사 등의 흔적이 남는 것이고, 또 그 구조면에서 볼 때 상기한 바와 같이 인스트러먼트 패널 상에 설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운전자의 시야 등을 방해하기 쉬운 것이었다. 또, 상기 장치에 의해서 유지하도록 한 경우, 유지되어 있는 MP3플레이어의 존재는 차량 밖에서 인식되기 쉽기 때문에, 주차시에 도난당할 우려도 있는 것이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표 2005-539469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주된 문제점은, 이러한 종류의 전자기기의 수용장치에 있어서, 차실 내에서 전자기기를 조작하기 쉬운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전자기기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나 혹은 이용하고 있으나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자기기를 유지시킨 그대로의 상태로 예를 들면 인스트러먼트 패널 등의 내측에 이것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수용장치는, 자동차의 내장품이 되는 수용장치로서, 본체에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는 슬라이드부재에 전자기기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홀더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홀더부재에 전자기기를 유지시킨 상태에서의 슬라이드부재의 본체 내로의 수용을 가능한 것으로 하였다.
상기 수용장치에 의하면, 슬라이드부재를 인출한 상태에서는 차실 내에서 전자기기를 이용하기 쉬운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것을 이용하지 않거나 혹은 조작하지 않을 때에는 인스트러먼트 패널 등의 내측에 이 전자기기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또, 상기 홀더부재에는 이 홀더부재에 유지되어 있는 전자기기에 접속되어 이 전자기기와 자동차에 내장된 다른 전자기기를 접속시키는 커넥터부를 구비하여 두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수용장치에 유지시킨 전자기기로서의 예를 들면 휴대형 디지털 음악 플레이어와 자동차 오디오장치를 접속시켜서 상기 플레이어에 기록된 음악 등을 자동차 오디오장치의 스피커를 이용하여 차실 내에서 들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홀더부재의 일단부를 슬라이드부재에 축지지함과 아울러 홀더부재의 타단부를 링크부재의 일단부에 축지지하고, 이 링크부재의 타단부를 서포트부재의 일단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이 서포트부재의 타단부를 슬라이드부재에 축지지함으로써, 슬라이드부재를 인출하면 홀더부재는 그 타단부를 상방으로 세워서 경사지게 기립됨과 아울러, 인출된 슬라이드부재를 압입하는 과정에서는 서포트부재가 쓰러져서 홀더부재가 눕혀지도록 하여 두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본체에서 슬라이드부재를 인출할 때에는 전자기기를 유지하고 있는 홀더부재를 경사지게 기립시킴으로써 이것에 유지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조작하기 쉬운 상태로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슬라이드부재를 본체 내로 압입할 때에는 홀더부재를 쓰러뜨려 눕힘으로써 전자기기와 함께 본체 내로 수용할 수 있다.
또, 상기 링크부재에는 경사지게 세워진 홀더부재에 유지되어 있는 전자기기의 조작에 의해서 홀더부재가 하측으로 눌려졌을 때에 서포트부재의 일단부에 상측에서 맞닿는 맞닿음부를 구비하여 두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홀더부재에 유지되어 있는 전자기기의 조작에 의해서 홀 더부재에 이것을 쓰러뜨리는 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하였을 때에 상기 맞닿음부에 의해서 링크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을 저지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이러한 때에 홀더부재가 쓰러져 눕혀지는 일이 없다.
본 발명에 관한 수용장치는 차실 내에 구비되어 인출적으로 기능하는 것이므로, 슬라이드부재를 인출한 상태에서 유지시킨 전자기기를 이용하기 쉽고, 또 이것을 이용하지 않거나 혹은 조작하지 않을 때에는 인스트러먼트 패널 등의 내측에 전자기기와 함께 용이하게 수납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수용장치의 본체(1)에서 인출된 슬라이드부재(2)에 구비된 홀더부재(3)에 전자기기(C)를 유지시킨 상태를, 도 2는 전자기기(C)를 떼어낸 상태를, 도 3은 슬라이드부재(2)를 그 앞판(2a)의 반대측에서 본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도 4는 도 1의 상태에 있어서의 요부를 수용장치를 일부 단면으로 한 상태를, 도 5는 슬라이드부재(2)의 후단부측을 본체(1) 내로 도 4의 상태보다도 많이 끼워넣은 때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도 6은 수용장치의 슬라이드부재(2)의 일부 구성을 변경시킨 예를 나타내고 있 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자기기(C)의 수용장치는 자동차의 내장품이 되며, 차실 내에서 전자기기(C)를 이용하기 쉬운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유지함과 아울러 이것을 이용하지 않거나 혹은 조작하지 않을 때에는 인스트러먼트 패널(P) 등의 내측에 이 전자기기(C)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수용장치는, 전형적으로는 차실 내에서 휴대형 디지털 음악 플레이어, 액정 디스플레이, 휴대전화, 내비게이션 등의 전자기기(C)를 떼어내기 가능하게 유지시키기 위해서 이용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수용장치는 인스트러먼트 패널(P)에 내장하여 이용하는데 적합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용장치는 본체(1)와 이 본체(1)에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는 슬라이드부재(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슬라이드부재(2)에 전자기기(C)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홀더부재(3)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홀더부재(3)에 전자기기(C)를 유지시킨 상태에서의 슬라이드부재(2)의 본체(1) 내로의 수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본체(1)는 그 전단부(1a)를 개방시킴과 아울러 가로방향으로 폭이 넓은 편평한 상자형상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인스트러먼트 패널(P)에 형성된 부착용 개구부(Pa)에 그 후단부부터 끼워넣되 이 인스트러먼트 패널(P)의 표면측에 상기 전단부(1a)가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도 4).
한편, 도시한 예에서는, 슬라이드부재(2)는 본체(1)의 좌우 측벽(1b,1b) 사이에 거의 틈새 없이 끼워지는 가로 폭을 가지는 트레이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부재(2)의 전단부에는 앞판(2a)이 구비되고, 또 슬라이드부재(2)의 전후방향에 걸치는 양측 가장자리부에는 이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내벽부(2c)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내벽부(2c)의 외면측에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가이드홈(2d)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홈(2d)에 본체(1)의 측벽(1b)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 돌기부가 끼워맞춰짐으로써, 슬라이드부재(2)는 본체(1)의 내측에서 전후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즉 인출과 압입이 가능하게 본체(1)에 조립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슬라이드부재(2)는 본체(1) 내로 그 앞판(2a)의 표면이 인스트러먼트 패널(P)의 표면과 거의 같은 면이 되는 위치까지 압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재(2)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재(2)를 완전히 인출하였을 때에 본체(1) 측에 걸어맞춰져서 본체(1)에서의 슬라이드부재(2)의 빠짐을 방지하는 빠짐방지돌조(1d)를 그 후단부측에 구비하여 둠과 아울러, 조작에 의해서 이 빠짐방지돌조(1d)의 걸어맞춤을 해제함에 의해서 본체(1)에서 슬라이드부재(2)를 빼낼 수 있도록 하여 두는 것도 있다. 도 6에 나타낸 예에서는 슬라이드부재(2)의 좌우 양측에 각각 빠짐방지돌조(1d)가 구비되어 있다. 이 빠짐방지돌조(1d)는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슬라이드부재(2)에 지지된 블록형상체(1e)의 상면(1f)에 구비되어 있다. 이 블록형상체(1e)의 전방에는 탄지에 저항하여 후방으로 압입 가능한 조작체(1g)가 구비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조작 체(1g)와 블록형상체(1e)는 조작체(1g)를 압입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블록형상체(1e)의 하강을 조작체(1g)에 의해서 저지하고, 조작체(1g)를 압입한 상태에서는 블록형상체(1e)의 하강을 허용하는 도시하지 않은 연계구조에 의해서 연계되어 있다. 슬라이드부재(2)를 본체(1)에서 완전히 인출한 상태에서 조작체(1g)를 탄지에 저항하여 압입하면 블록형상체(1e)의 하강이 허용되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슬라이드부재(2)를 인출하는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상기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본체(1)에서 슬라이드부재(2)를 빼낼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슬라이드부재(2)측 혹은 본체(1)측의 메인티넌스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홀더부재(3)는 슬라이드부재(2)의 상면부(2e)에 있어서의 앞판(2a)과 좌우 내벽부(2c,2c)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서 이 슬라이드부재(2)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홀더부재(3)는, 도시한 예에서는 그 상면을 전자기기(C)의 안착면(3a)으로 한 판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홀더부재(3)는 슬라이드부재(2)의 좌우 내벽부(2c,2c) 사이에 거의 틈새 없이 끼워지는 가로 폭을 가짐과 아울러 전후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홀더부재(3)는 슬라이드부재(2)의 앞판(2a)의 이면측에 그 전변(前邊)(3b)측, 즉 일단부(3b)측이 근접하도록 한 상태로 슬라이드부재(2) 상에 배치되어 있다. 홀더부재(3)의 전변(3b)에는 이 전변(3b)을 따라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앞측 지지부(3c)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홀더부재(3)의 좌우 양변에는 이 앞측 지지부(3c)에 연속해서 이 양변의 전후방향 대략 중간 정도의 위치까지 연속하는 좌우측 지지부(3d,3d)가 형성되어 있다.
홀더부재(3)의 좌우측 지지부(3d,3d)에 있어서의 전단측에는 그 외면에서 이것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축돌기부(3e)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홀더부재(3)는 우측 축돌기부(3e)가 슬라이드부재(2)의 우측 내벽부(2c)의 내측에 형성된 축구멍(2f)에 끼워지고, 또한 좌측 축돌기부(3e)가 슬라이드부재(2)의 좌측 내벽부(2c)의 내측에 형성된 축구멍(2f)에 끼워짐으로써, 그 전변(3b)측이 슬라이드부재(2)에 대해서 이 슬라이드부재(2)의 이동방향(x)에 직교하는 좌우방향(y)을 따르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조립되어 있다.
홀더부재(3)의 좌우측 지지부(3d,3d)의 내측에는, 하단이 안착면(3a)에 일체로 연접되고 상단이 상방으로 돌출되되 그 만곡된 외면이 좌우측 지지부(3d,3d)의 내면을 향하도록 한 만곡형상의 탄성편(3f)이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도시한 예에서는 1쌍의 탄성편(3f,3f) 사이에 이 탄성편(3f)을 외측방향으로 탄성변형시키면서 끼워지는 가로 폭을 가진 전자기기(C)를 이 1쌍의 탄성편(3f,3f)에 의해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1).
도시한 예에서는, 홀더부재(3)의 안착면(3a)에 수용되는 광폭의 표면(Ca)과 이면(Cb)을 구비함과 아울러 이 표면(Ca)과 이면(Cb) 간의 두께를 안착면(3a)과 앞측 지지부(3c) 및 좌우측 지지부(3d,3d)의 상단과의 간격 이하로 하는 전자기기(C)를 그 이면(Cb)을 안착면(3a)에 접하게 한 상태로 홀더부재(3) 상에 유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홀더부재(3)의 후변(後邊)(3h), 즉 후단부(3h)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홀더부재(3) 상에 유지되는 전자기기(C)의 상부측을 지지하는 후측 지지부(3m)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 후측 지지부(3m)의 내측면과 안착면(3a)은 유지되는 전자기기(C)의 외형을 따르는 R곡면(3k)에 의해서 연속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홀더부재(3)에는 이 홀더부재(3)에 유지되어 있는 전자기기(C)에 접속되어 이 전자기기(C)와 자동차에 내장된 다른 전자기기(C)를 접속시키는 커넥터부(3g)가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홀더부재(3)의 앞측 지지부(3c)의 내측에는, 도시하지 않은 다른 전자기기(C)의 커넥터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유지되는 전자기기(C)의 커넥터부에 접속되는 커넥터부(3g)가 구비되어 있다(도 2). 이것에 의해서, 도시한 예에서는, 수용장치에 유지시킨 전자기기(C)로서의 예를 들면 휴대형 디지털 음악 플레이어와 자동차 오디오장치를 접속시켜서 상기 플레이어에 기록된 음악 등을 자동차 오디오장치의 스피커를 이용하여 차실 내에서 들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홀더부재(3)의 후변(3h)측, 즉 타단부(3h)측은 링크부재(4)의 일단부(4')에 축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링크부재(4)의 타단부(4")는 서포트부재(5)의 일단부(5')에 회동 가능하게 또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서포트부재(5)의 타단부(5")는 슬라이드부재(2)에 축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부재(2)를 인출하면, 홀더부재(3)는 그 타단부를 상방으로 세워서 경사지게 기립됨과 아울러, 인출된 슬라이드부재(2)를 압입하는 과정에서는 서포트부재(5)가 쓰러져서 홀더부재(3)가 눕혀지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홀더부재(3)의 후변(3h)측에는 이 후변(3h)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1쌍의 브래킷부(3i,3i)가 형성되어 있다. 링크부재(4)는 이 1쌍의 브래킷부(3i,3i) 사이에 끼워지는 가로 폭을 가진 판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리고, 링크부재(4)는 이 1쌍의 브래킷부(3i,3i)에 형성된 축구멍(3j)에 끼워진 축(4a)을 통해서 그 일단부(4')가 홀더부재(3)의 타단부{후변(3h)}측에 대해서, 슬라이드부재(2)의 이동방향(x)에 직교하는 좌우방향(y)을 따르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한편, 도시한 예에서는, 서포트부재(5)는 슬라이드부재(2)의 후단부측에 있어서, 슬라이드부재(2)의 상면부(2e)에 좌우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형성된 1쌍의 브래킷부(2g,2g) 사이에 끼워지는 가로 폭을 가진 타단부를 구비한 판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서포트부재(5)는 이 1쌍의 브래킷부(2g,2g)에 형성된 축구멍(2h)에 끼워진 축(5d)을 통해서 그 타단부(5")가 슬라이드부재(2)의 후단부측에 대해서, 이 슬라이드부재(2)의 이동방향(x)에 직교하는 좌우방향(y)을 따르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상기 서포트부재(5)의 일단부(5')측에는 링크부재(4)가 거의 틈새 없이 끼워지는 간격을 두고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1쌍의 가이드부(5a,5a)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가이드부(5a)에는 서포트부재(5)의 일단부(5')측에서 타단부(5")측을 향해서 연속하는 긴 구멍형상을 이루는 가이드 구멍(5b)이 형성되어 있다. 링크부재(4)의 타단부(4")에 있어서 그 좌우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 구멍(5b)에 끼워지는 슬라이드 이동축(4b)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링크부재(4)는 그 타단측(4")을 서포트부재(5)의 1쌍의 가이드부(5a,5a) 사이로 끼워넣으면서 좌우의 슬라이드 이동축(4b)을 각각 대응하는 가이드 구멍(5b)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움으로써 서포트부재(5)의 상면 상에 배치되게 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홀더부재(3)는 이 홀더부재(3)의 이면에 스프링의 일단이 접함과 아울러 슬라이드부재(2)의 상면부(2e)에 스프링의 타단이 접하도록 이들 홀더부재(3)와 슬라이드부재(3) 사이에 배치된 제 1 비틀림 코일 스프링(2i)에 의해서 그 타단부{후변(3h)}측이 슬라이드부재(2)에서 떨어뜨리는(세우는) 방향으로 항시 탄지되어 있다(도 4).
또, 서포트부재(5)도 이 서포트부재(5)의 이면에 스프링의 일단이 접함과 아울러 슬라이드부재(2)의 상면부(2e)에 스프링의 타단이 접하도록 이들 서포트부재(5)와 슬라이드부재(3) 사이에 배치된 제 2 비틀림 코일 스프링(2j)에 의해서 그 일단부(5')측이 슬라이드부재(2)에서 떨어뜨리는(세우는) 방향으로 항시 탄지되어 있다(도 3).
본체(1) 내로 슬라이드부재(2)를 완전히 압입한 상태에서는, 서포트부재(5)는 슬라이드부재(2)의 상면부(2e)와 평행을 이루도록 쓰러져 눕혀지고, 홀더부재(3)는 이와 같이 눕혀진 서포트부재(5)의 상방에서 슬라이드부재(2)의 상면부(2e)와 평행을 이루도록 쓰러져 눕혀지고, 링크부재(4)는 그 일단부(4')가 후방을 향하고 타단부(4")가 전방을 향하도록 한 상태로 이들 서포트부재(5)와 홀더부재(3)와의 사이에 끼워지되, 그 슬라이드 이동축(4b)이 가이드 구멍(5b)의 길이방향 대략 중간 정도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도 5). 이 때 후술하는 맞닿음부(4c)는 홀더부재(3)의 좌우 브래킷부(3i,3i) 사이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슬라이드부재(2)를 인출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비틀림 코일 스프링(2i,2j)의 탄지에 의해서 홀더부재(3)는 그 타단부{후변(3h)}측이 세워져서 경사지게 기립되도록 회동하고, 서포트부재(5)는 그 일단부(5')측이 세워져서 경사지게 기립되도록 회동하고, 이것에 수반하여 링크부재(4)는 그 타단부(4")가 후방측을 향하도록 회동하면서 홀더부재(3)의 기립에 의해서 그 슬라이드 이동축(4b)이 가이드 구멍(5b)의 전단에 위치하는 위치까지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도 4).
도시한 예에서는, 슬라이드부재(2)가 인출됨에 의해서 홀더부재(3)의 타단부{후변(3h)}측이 슬라이드부재(2)의 내벽부(2c)의 돌출단부보다 높은 위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상태에서는 홀더부재(3)에 유지되어 있는 전자기기(C)를 그 상방에서 조작하기 쉬워지게 된다.
서포트부재(5)와 슬라이드부재(2)의 회동조립위치의 후방에는, 하단이 슬라이드부재(2)에 대해서 이 슬라이드부재(2)의 이동방향(x)에 직교하는 좌우방향(y)을 따르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조립됨과 아울러 전방측으로 돌출형성된 상단(6a)이 경사지게 세워진 서포트부재(5)의 상면에 후방측에서 맞닿도록 한 레버체(6)가 구비되어 있고, 한편 본체(1)의 전단부(1a)의 후방 상부에는 인출된 슬라이드부재(2)를 압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레버체(6)의 상측 후부에 후방측에서 맞닿아서 이 레버체(6)를 쓰러뜨리는 캠부(1c)가 구비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인출된 슬라이드부재(2)를 본체(1) 내로 압입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캠부(1c)에 의해서 쓰러지는 레버체(6)에 의해서 서포트부재(5)가 제 2 비틀림 코일 스프링(2j)의 탄지에 저항하여 쓰러져 눕혀지고, 이것에 의해서 서포트부재(5)를 통해서 홀더부재(3)도 제 1 비틀림 코일 스프링(2i)의 탄지에 저항하 여 쓰러져 눕혀지고, 링크부재(4)는 슬라이드 이동축(4b)이 가이드 구멍(5b)의 후단측을 향해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그 타단측(4")이 전방을 향하도록 회동한다(도 5).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하였기 때문에, 본체(1)에서 슬라이드부재(2)를 인출할 때에는 전자기기(C)를 유지하고 있는 홀더부재(3)를 경사지게 기립시킴으로써 이것에 유지되어 있는 전자기기(C)를 조작하기 쉬운 상태로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슬라이드부재(2)를 본체(1) 내로 압입할 때에는 홀더부재(3)를 쓰러뜨려 눕힘으로써 전자기기(C)와 함께 본체(1) 내로 수용할 수 있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링크부재(4)에는 경사지게 세워진 홀더부재(3)에 유지되어 있는 전자기기(C)의 조작에 의해서 홀더부재(3)가 하측으로 눌려졌을 때에 서포트부재(5)의 일단부(5')에 상측에서 맞닿는 맞닿음부(4c)가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링크부재(4)의 일단부(4')와 타단부(4")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홀더부재(3)가 경사지게 세워졌을 때에 하측을 향하는 일면(하면)측에 돌출형성되되, 서포트부재(5)의 일단부(5')의 단면(5c)의 직상에 위치하며 걸림돌기형상을 이루는 맞닿음부(4c)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홀더부재(3)에 유지되어 있는 전자기기(C)의 조작에 의해서 홀더부재(3)에 이것을 쓰러뜨리는 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하였을 때에 상기 맞닿음부(4c)에 의해서 링크부재(4)의 슬라이드 이동을 저지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이러한 때에 홀더부재(3)가 쓰러져 눕혀지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
상기 맞닿음부(4c)는 좌우방향(y)을 따르는 리브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맞닿음부(4c)의 돌출선단에는, 상기 홀더부재(3)가 경사지게 세워졌을 때에 이 링크부재(4)의 하측을 향하는 일면(하면)과의 사이에 서포트부재(5)의 일단부(5')를 수용하는 간격을 두고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걸림돌조부(4d)가 형성되어 있으며, 세워진 홀더부재(3)에 유지되어 있는 전자기기(C)의 조작에 의해서 홀더부재(3)가 하측으로 눌려졌을 때에 서포트부재(5)의 일단부(5')가 맞닿음부(4c)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수용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수용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슬라이드부재(2)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수용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요부 파단 측면도
도 5는 수용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요부 파단 측면도
도 6은 슬라이드부재(2)의 일부 구성을 변경시킨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C - 전자기기 1 - 본체
2 - 슬라이드부재 3 - 홀더부재

Claims (4)

  1. 자동차의 내장품이 되는 수용장치로서, 본체(1)에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는 슬라이드부재(2)에 전자기기(C)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홀더부재(3)를 구비하고 있으며,
    홀더부재(3)에 전자기기(C)를 유지시킨 상태에서의 슬라이드부재(2)의 본체(1) 내로의 수용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수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홀더부재(3)에는 이 홀더부재(3)에 유지되어 있는 전자기기(C)에 접속되어 이 전자기기(C)와 자동차에 내장된 다른 전자기기(C)를 접속시키는 커넥터부(3g)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수용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홀더부재(3)의 일단부(3b)는 슬라이드부재(2)에 축지지되어 있음과 아울러 홀더부재(2)의 타단부(3h)는 링크부재(4)의 일단부(4')에 축지지되어 있고, 상기 링크부재(4)의 타단부(4")는 서포트부재(5)의 일단부(5')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 게 지지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서포트부재(5)의 타단부(5")는 슬라이드부재에 축지지되어 있고,
    슬라이드부재(2)를 인출하면, 홀더부재(3)는 그 타단부(3h)를 상방으로 세워서 경사지게 기립됨과 아울러, 인출된 슬라이드부재(2)를 압입하는 과정에서는 서포트부재(5)가 쓰러져서 홀더부재(3)가 눕혀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수용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링크부재(4)에는 경사지게 세워진 홀더부재(3)에 유지되어 있는 전자기기(C)의 조작에 의해서 홀더부재(3)가 하측으로 눌려졌을 때에 서포트부재(5)의 일단부(5')에 상측에서 맞닿는 맞닿음부(4c)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수용장치.
KR1020090011860A 2008-03-11 2009-02-13 전자기기의 수용장치 KR1010485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61025 2008-03-11
JP2008061025A JP5017149B2 (ja) 2008-03-11 2008-03-11 電子機器の収容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783A true KR20090097783A (ko) 2009-09-16
KR101048549B1 KR101048549B1 (ko) 2011-07-11

Family

ID=41102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860A KR101048549B1 (ko) 2008-03-11 2009-02-13 전자기기의 수용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017149B2 (ko)
KR (1) KR101048549B1 (ko)
CN (1) CN1015311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43140B2 (ja) 2009-12-02 2014-03-19 株式会社ニフコ 保持装置
CN102642505B (zh) * 2011-02-22 2015-12-16 比科(天津)电子有限公司 一种车用多媒体终端安装装置
JP5657423B2 (ja) * 2011-02-23 2015-01-21 株式会社ニフコ 電子機器保持具
US8827341B2 (en) * 2013-01-23 2014-09-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portable device holding system
US9945509B2 (en) * 2016-08-02 2018-04-17 Panasonic Avionics Corporation Quick-release mounting system for removably attaching a panel instrument to a structure
JP7390243B2 (ja) * 2020-04-17 2023-12-01 株式会社ニフコ 車載機器用ブラケット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4214B1 (ko) * 1997-05-26 1999-06-15 윤종용 자동차용 lcd 장착구조
KR200194087Y1 (ko) * 1998-08-29 2000-09-01 윤종용 차량용 모니터 자동 수납장치
JP2000115315A (ja) * 1998-09-30 2000-04-21 Harness Syst Tech Res Ltd 電話機ホルダー
KR100350580B1 (ko) * 2000-08-11 2002-08-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선반용 받침대
KR20010000487A (ko) * 2000-10-02 2001-01-05 박용균 차량용 노트북 테이블 3 (서랍형)
CN2688551Y (zh) * 2004-01-05 2005-03-30 陈怀忠 显示器支架
CN1297423C (zh) * 2004-01-09 2007-01-31 怡利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中扶手式显示装置
CN2765293Y (zh) * 2004-11-17 2006-03-15 怡利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可收折式多媒体显示装置
KR200400620Y1 (ko) * 2005-08-10 2005-11-08 주식회사 키프코 하드디스크 랙의 슬라이드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31167B (zh) 2013-04-17
CN101531167A (zh) 2009-09-16
JP5017149B2 (ja) 2012-09-05
KR101048549B1 (ko) 2011-07-11
JP2009214724A (ja) 200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8549B1 (ko) 전자기기의 수용장치
US8442756B2 (en) Navigation apparatus
US20100090870A1 (en) Navigation apparatus
JP4779671B2 (ja) 車載用電子機器
JP2014091496A (ja) 支持装置
JP4370566B2 (ja) 表示パネル
JP2013189120A (ja) 車載用収容部材
JPH05211548A (ja) 携帯電話のホルダー
JP2583259Y2 (ja) 車載用映像表示装置
JPH10324197A (ja) 車載用モニタの取付け構造
JP2013010461A (ja) 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そのディスプレイチルト調整部品
JP3978550B2 (ja) 収納式表示装置
JP2023141835A (ja) 乗物用スマートフォン保持構造
JP2571365Y2 (ja) 着脱式操作部のロック機構
JP2008230461A (ja) 車載電子機器
JP2013159285A (ja) 車載ディスプレ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