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7645A - 잠금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열쇠 - Google Patents

잠금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열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7645A
KR20090097645A KR1020080022922A KR20080022922A KR20090097645A KR 20090097645 A KR20090097645 A KR 20090097645A KR 1020080022922 A KR1020080022922 A KR 1020080022922A KR 20080022922 A KR20080022922 A KR 20080022922A KR 20090097645 A KR20090097645 A KR 20090097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lock
locking
status display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수
박태연
Original Assignee
강병수
박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수, 박태연 filed Critical 강병수
Priority to KR1020080022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7645A/ko
Publication of KR20090097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76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22Keys with devices for indicating whether the last operation was locking or unlocking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잠금장치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 하는 열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잠금장치의 잠금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열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열쇠는, 잠금장치 전면에 고정된 걸림편과, 상기 잠금장치에 결합되어 상기 잠금장치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 하기 위한 열쇠부와, 상기 열쇠부에 장착 가능하며 잠금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잠금상태 표시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잠금상태 표시장치를 열쇠부에 장착함으로써 열쇠부 및 잠금장치의 종류에 제한받지 않고 잠금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잠금상태 표시 장치, 열쇠, 자물쇠, 잠금장치, 호환성, 장착가능

Description

잠금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열쇠{KEY HAVING FUNCTION OF LOCKING STATUS DISPLAY}
본 발명은 도어의 잠금장치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 하는 열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잠금장치의 잠금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열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재시 도난 방지 및 무단 출입을 제한하기 위해서 가정 또는 사무실 등의 도어에는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잠금장치의 잠금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도어를 밀어보거나 도어의 손잡이를 돌려서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가정 또는 사무실을 나선 이후에 잠금장치의 잠금상태가 의심스러운 경우에는 가던 길을 되돌아가서 잠금상태를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서 한국 특허출원 제 10-2004-0074042 호에 개시된 자물쇠 잠금 표시장치가 개발 되었다. 하지만, 잠금장치의 종류 및 제작사에 따라 잠금 또는 잠금해제시 회전방향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상기 자물쇠 잠금 표시장치는 특정의 잠금장치에만 사용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자물쇠 잠금 표시장치는 다소 복잡한 구성을 가지며, 별도의 전원 및 제어부가 필요하므로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열쇠 및 잠금장치의 종류에 관계없이 잠금장치의 잠금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열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열쇠는, 잠금장치 전면에 고정된 걸림편과, 상기 잠금장치에 결합되어 상기 잠금장치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 하기 위한 열쇠부와, 상기 열쇠부에 장착 가능하며 잠금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잠금상태 표시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잠금상태 표시장치는, 중공부를 가지며 상기 열쇠부에 고정되는 제1 부재와, 상기 중공부 내에 상기 제1 부재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잠금장치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 하기 위해 상기 열쇠부가 회전할 때 상기 걸림편에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갖는 제2 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부재에는 상기 잠금장치의 잠금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부재의 대응하는 원주면에는 표식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편은 최소한 2개의 면이 소정의 각도(θ1)를 이루는 다각형 형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쇠에 의하면, 잠금상태 표시장치를 열쇠부에 장착함으로써 열쇠부 및 잠금장치의 종류에 제한받지 않고 잠금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잠금장치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 할 때 별도의 부가적인 동작 없이도 잠금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그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열쇠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편이 장착된 잠금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쇠부 및 잠금상태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열쇠(100)는, 잠금장치(110)에 고정되는 걸림편(120)과, 잠금장치(110)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 하기 위한 열쇠부(130)와, 열쇠부(130)에 장착 가능한 잠금상태 표시장치(14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장치(110)는 열쇠부(130)의 삽입구멍(111)을 갖는 회전부(112)와 도어 등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부(113)로 구성된다. 걸림편(120)은 볼트 또는 나사 등과 같은 체결구(121)에 의해서 고정부(113)에 고정된다. 걸림편(120)은 최소한 2개의 면이 소정의 각도(θ1)를 이루는 다각형 형상이다. 도 1에서 걸림편(120)은 오각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소정의 각도(θ1)를 이루는 2개의 면을 제외한 다른 면의 개수 및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쇠부(130)는 다양한 형상의 홈을 가지며 삽입구 멍(111; 도 1 참조)에 삽입되는 삽입부(131)와 손잡이(132)로 구성되는 통상의 열쇠이다.
잠금상태 표시장치(140)는, 중공부를 가지며 열쇠부(130)에 고정되는 제1 부재(150)와, 중공부 내에 제1 부재(150)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게 수용되며 잠금장치(110)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 하기 위해 열쇠부(130)가 회전할 때 걸림편(120)에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161, 162)를 갖는 제2 부재(160)를 포함한다.
도 3a는 도 2의 A-A' 선을 따른 제1 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제1 부재의 측면도이다.
제1 부재(150)는 원통형상이다. 제1 부재(150)의 일단은 중실부로 구성되며, 열쇠부(130)의 손잡이(132)에 끼움 장착 가능하도록 홈(151)이 형성되어 있다. 홈(151)의 폭 및 깊이는 손잡이(132)의 두께 및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제2 부재의 타단은 중공부로 구성되며, 중공부에는 잠금상태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창(152)이 형성되어 있다. 표시창(152)은 중공부의 원주면의 일부를 관통하는 구멍의 형상이다. 표시창(152)의 형상 및 위치는 후술할 잠금상태 표시부(163)의 형상 및 크기와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도 4a는 도 2의 B-B' 선을 따른 제2 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4b는 제2 부재의 측면도이다.
제 2부재(160)는 중공의 원통형상이며, 제1 부재(150)의 중공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부재(160)의 타단은 그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 출부(161, 162)를 갖는다. 본원에서는 2개의 돌출부(161, 162)를 갖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1개의 돌출부만 가진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제1 및 제2 돌출부(161, 162)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또한 제2 부재(160)에는 잠금상태를 표시창(152)에 표시하기 위한 잠금상태 표시부(163)가 형성되어 있다. 잠금상태 표시부(163)는 잠금상태를 나타내는 표식으로서, 예컨대 자물쇠 형상의 그림, 영문 "close" 또는 국문 "잠김" 등이 가능하다. 잠금상태 표시부(163)의 형성 위치는 제2 부재(160)의 회전 각도에 의해 결정된다. 제2 부재(160)의 외경(d2)은 제1 부재(150)의 내경(d1)보다 작거나 같다. 제2 부재(160)의 내경(d2)은 삽입부(131)의 폭(w1)에 대응한다.
도 5는 열쇠부와 잠금상태 표시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잠금상태 표시장치(140)는 제1 부재(150)와 제2 부재(160)가 결합된 상태로 제공되며, 열쇠부(130)의 삽입부(131)를 관통하여 열쇠부(130)의 손잡이(132)에 끼움 장착된다. 잠금상태 표시장치(140)를 열쇠부(130)에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끼움 장착 방식 또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구에 의한 장착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6a 내지 도 6f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열쇠(100)의 작동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의 작동방법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그 작동에 직접적으로 관계되는 구성요소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도 6a 는 잠금해제상태를 나타내고, 도 6b 및 6c는 잠금해제상태에서 잠금상태로의 전환 과정을 나타낸다. 도 6d는 잠금상태를 나타내고, 도 6e 및 도 6f는 잠금상태에서 잠금해제상태로의 전환 과정을 나타낸다. 여기서, 표시창(152) 및 잠금상태 표시부(163)의 위치는 제1 부재(150) 또는 제2 부재(160)의 원주방향의 위치를 말하는 것이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쇠부(130)는 수직으로 배치되고, 걸림편(120)은 열쇠부(130)와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제1 돌출부(161)는 열쇠부(130)와 소정의 각도(θ2)를 이룬다. 소정의 각도(θ2)는 소정의 각도(θ1)의 1/2 이 된다. 제1 부재(150)에서 표시창(152)의 위치는 제1 돌출부(161)의 위치에 대응한다. 제2 부재(160)에서 잠금상태 표시부(163)는 열쇠부(130)와 수직을 이룬다.
잠금해제상태(도 6a의 상태)에서 열쇠부(130)를 잠금방향인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열쇠부(130)는 제1 및 제2 부재(150, 160)와 함께 회전하여 제2 돌출부(162)가 걸림편(120)에 걸린다. 이 경우에, 표시창(152) 및 잠금상태 표시부(163)는 열쇠부(130)의 회전각도만큼 회전한다(도 6b의 상태).
도 6b의 상태에서 열쇠부(130)를 계속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돌출부(162)가 걸림편(120)에 걸려 있으므로, 제2 부재(160)는 회전하지 않고 열쇠부(130) 및 제1 부재(150)가 함께 회전한다. 이 경우에, 표시창(152)은 열쇠부(130)의 회전각도만큼 회전하지만, 잠금상태 표시부(163)는 도 6b의 위치에 그대로 있다(도 6c의 상태).
도 6c의 상태에서 열쇠부(130)를 계속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열쇠부(130)는 제1 부재(150)와 함께 회전한다. 열쇠부(130)가 잠금해제상태(도 6a의 상태)로부터 360°만큼 회전하면, 잠금장치(110)는 잠금 된다. 이 경우에, 표시 창(152)은 잠금상태 표시부(163)에 위치하여 잠금장치(110)가 잠금상태임을 나타내게 된다(도 6d의 상태).
잠금상태(도 6d의 상태)에서 열쇠부(130)를 잠금해제 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열쇠부(130)는 제1 및 제2 부재와 함께 회전하여 제1 돌출부(161)가 걸림편(120)에 걸린다. 이때, 표시창(152) 및 잠금상태 표시부(163)는 열쇠부(130)의 회전각도만큼 회전한다(도 6e의 상태).
도 6e의 상태에서 열쇠부(130)를 계속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돌출부(161)가 걸림편(120)에 걸려 있으므로, 제2 부재(160)는 회전하지 않고 열쇠부(130) 및 제1 부재(150)가 함께 회전한다. 이 경우에, 표시창(152)은 열쇠부(130)의 회전각도만큼 회전하지만, 잠금상태 표시부(163)는 도 6e의 위치에 그대로 있다(도 6f의 상태).
도 6f의 상태에서 열쇠부(130)를 계속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열쇠부(130)는 제1 부재(150)와 함께 회전한다. 열쇠부(130)가 잠금상태(도 6d의 상태)로부터 360°만큼 회전하면, 잠금장치(110)는 잠금해제 된다. 이 경우에, 표시창(152)은 열쇠부(130)와 소정의 각도(θ2)를 이루고, 잠금상태 표시부(163)는 열쇠부(130)와 수직을 이루어, 잠금장치(110)가 잠금상태임을 나타내게 된다(도 6a의 상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편이 장착된 잠금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쇠부와 잠금상태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의 A-A'선을 따른 제1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2의 제1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4a는 도 2의 B-B'선을 따른 제2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2의 제2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열쇠부와 잠금상태 표시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6a ~ 도 6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쇠의 작동 방법을 보인 도면이다.
100 : 잠금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열쇠
110 : 잠금장치 120 : 걸림편
130 : 열쇠부 140 : 잠금상태 표시장치
150 : 제1 부재 151 : 홈
152 : 표시창 160 : 제2 부재
161, 162 : 돌출부 163 : 잠금상태 표시부

Claims (4)

  1. 잠금장치 전면에 고정된 걸림편과,
    상기 잠금장치에 결합되어 상기 잠금장치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 하기 위한 열쇠부와,
    상기 열쇠부에 장착 가능하며 잠금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잠금상태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잠금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열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상태 표시장치는,
    중공부를 가지며 상기 열쇠부에 고정되는 제1 부재와,
    상기 중공부 내에 상기 제1 부재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잠금장치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 하기 위해 상기 열쇠부가 회전할 때 상기 걸림편에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갖는 제2 부재를 포함하는
    잠금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열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에는 상기 잠금장치의 잠금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부재의 대응하는 원주면에는 표식이 형성되어 있는
    잠금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열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은 최소한 2개의 면이 소정의 각도(θ1)를 이루는 다각형 형상인
    잠금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열쇠.
KR1020080022922A 2008-03-12 2008-03-12 잠금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열쇠 KR200900976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922A KR20090097645A (ko) 2008-03-12 2008-03-12 잠금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열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922A KR20090097645A (ko) 2008-03-12 2008-03-12 잠금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열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645A true KR20090097645A (ko) 2009-09-16

Family

ID=41356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922A KR20090097645A (ko) 2008-03-12 2008-03-12 잠금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열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764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4495B2 (en) Exchangeable cylinder lock assembly
JP2010084511A (ja) 鍵穴隠れ式解錠装置
KR19980081780A (ko) 잠금장치
CA2603301A1 (en) Door lock assembly having a support structure to support a tailpiece and a retaining plate
KR20090097645A (ko) 잠금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열쇠
JP4159403B2 (ja) ドア錠
JPH07150829A (ja) フリーホイール式シリンダ錠
KR200307237Y1 (ko) 도어 손잡이
KR20100024319A (ko) 잠금 상태 표시 장치
JP2011132707A (ja) 引戸の施錠装置
JP2005002562A (ja) 防犯サムターンユニット
JP3151695U (ja) シリンダー錠
JP4292014B2 (ja) サムターン
KR100753196B1 (ko) 강화도어용 잠금장치
JP2006299679A (ja) アウトセット引戸錠
JP2001288937A (ja) 施解錠装置
JP2596862Y2 (ja) シリンダ錠
JP5372688B2 (ja) ロッカーおよびロッカー用の符号錠装置
US20130118218A1 (en) Lock assembly having outer and inner lock units
JP2006169946A (ja) サムターンユニット
JP2007291666A (ja) ケースロック装置
CN115961829A (zh) 具有限位机构的锁具
JP3137766B2 (ja) シリンダ錠装置
JPH031599Y2 (ko)
JP2557929Y2 (ja) ドア用ノ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