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7152A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7152A
KR20090097152A KR1020097010859A KR20097010859A KR20090097152A KR 20090097152 A KR20090097152 A KR 20090097152A KR 1020097010859 A KR1020097010859 A KR 1020097010859A KR 20097010859 A KR20097010859 A KR 20097010859A KR 20090097152 A KR20090097152 A KR 20090097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hwasher
barrel
drawer
bin
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0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7235B1 (ko
Inventor
아르네 하겔린
안데르스 톨프
Original Assignee
일렉트로룩스 홈 프로덕츠 코오포레이션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렉트로룩스 홈 프로덕츠 코오포레이션 엔.브이. filed Critical 일렉트로룩스 홈 프로덕츠 코오포레이션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90097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7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6Details of the tub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8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drawer-type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될 적어도 하나의 물품을 수납하는 통(tub)(2)을 포함하고, 이 통(2)의 통 바닥(7)이 통의 제1 측부(6)에 근접한 통(2)의 제1 부분에서부터, 통의 제1 측부에 대향하는 통의 제2 측부(5)에 근접한 통(2)의 제2 부분을 향해 아래쪽으로 경사져, 통의 상부 에지를 포함한 평면(11)과 통 바닥(7) 간의 간격(D)이 통의 제2 부분을 향해 가면서 증가하도록 되어 있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해, 지름이 큰 접시와 같은 대형 물품을 식기 세척기의 전체 높이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통 바닥(7)이 통의 전방부로부터 통의 후방부를 향해 경사지는 경우 서랍형 식기 세척기에 특히 유리하다.
식기 세척기, 서랍, 대형 접시, 경사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의 통(tub)의 바닥 구조에 관한 것이다.
식기 세척기를 설계하는 경우, 주방 기기, 주방 가구 등에 대한 표준 규격에 의해 부여되는 공간적 제약이 있다. 예를 들면, 식기 세척기 캐비넷은 높이 817.5 내지 877.5㎜, 폭 595㎜ 및 깊이 570㎜의 공간 내에 끼워져야 할 수 있다. 식기 세척기는 세척될 물품을 넣을 수 있는 통을 갖고 있다. 통 내에는 식기 선반이 배치되고 이 선반에 세척될 물품이 배치된다.
서랍형 식기 세척기가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6,460,555B1호 및 제6,447,081B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서랍형 식기 세척기는 적어도 하나의 서랍을 구비하며, 각각의 서랍이 통을 갖고 있다. 미국 특허 제6,447,081 B1호에서는 캐비넷 내에 상하로 배치된 2개의 서랍을 갖는 서랍형 식기 세척기를 개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에서,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2서랍형 식기 세척기에서, 각각의 통의 높이에 관한 공간적 제약이 있다. 예를 들면, 그러한 식기 세척기의 통 내에 피자를 담도록 된 접시 등의 대형 접시와 같은 대형 물품을 넣는 데에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기 세척기 내의 공간 활용을 최대화하여 식기 세척기의 통 내에 대형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통 바닥이 통의 제1 측부에 근접한 통의 제1 부분에서부터 통의 제1 측부에 대향하게 위치한 통의 제2 측부에 근접한 통의 제2 부분을 향해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하여, 통의 상부 에지를 포함한 평면과 통의 바닥 사이의 거리가 통의 제2 부분을 향해 가면서 증가하도록 식기 세척기를 구성하는 청구항 1의 특징부에 의해 해결된다.
식기 세척기의 통에 그러한 경사진 통 바닥을 마련함으로써, 식기 세척기는 지름이 큰 접시와 같은 세척할 대형 물품을 통의 제2 부분에 수납할 수 있게 하면서도, 통 아래에 식기 세척기의 기능적 요소를 위한 공간을 제공함은 물론 식기 세척기의 전체 높이를 제한된 높이로 여전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의 바닥은 통의 전방부로부터 통의 후방부를 향해 아래쪽으로 경사진다. 이러한 통의 바닥에서의 경사로 인해, 다소 큰 굽도리(plinth) 영역이 식기 세척기의 전방측 저부 아래에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주방에는 몇몇 주방 제작업자들의 요구 사항인 균일한 굽도리가 식기 세척기를 비롯한 모든 주방 기기에 대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식기 세척기에 그러한 균일한 굽도리가 설치되지 않더라도,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굽도리 영역은 사용자의 발이 식기 세척기에 부딪히는 일 없이 사용자가 주방 조리대에 가까이 설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 바닥의 최저 위치에 필터 수납부가 배치된다. 통에 경사진 바닥을 마련하고 필터 수납부를 바닥의 최저 부분에 배치함으로써, 그러한 경사는 식기 세척기의 작동시에 통 내의 물을 필터 수납부로 안내할 것이다. 이에 의해, 식기 세척기의 펌프 순환 시스템을 통해 물이 신속하게 순환하여 물 소모를 줄일 것이다.
또한, 필터 수납부를 통 바닥의 최저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펌프 입구를 통해 필터 수납부에 연결된 세척 펌프 내로 공기가 유입될 위험성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 수납부는 통의 후방 코너에 배치된다. 이 실시예의 경우, 필터 수납부가 통의 한가운데나 통의 후방부의 중간에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통 아래에 기능적 요소들을 위한 보다 큰 공간이 존재하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보편적인 식기 세척기보다 공간적 제약이 통상적으로 더 엄격한 서랍형 식기 세척기에 특히 유익하다.
도 1은 2개의 서랍을 포함하는 서랍형 식기 세척기의 개략적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용 서랍의 개략적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단면선 I-I를 따라 취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용 서랍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20)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식기 세척기(20)는 통상의 설치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보이게 되는 전방부(23)와, 통상의 설치 상태에서 예를 들면 벽에 면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 후방부(24)를 갖고 있다. 식기 세척기(20)는 또한 상부(26)를 구비하며, 이 상부(26)는 식기 세척기가 조리대 아래에 배치된 상태에서 조리대의 하면에 면하게 된다. 식기 세척기는 플로어나 선반과 같은 수평면(25) 상에 통상 배치된다. 이러한 식기 세척기(20)는 상하로 배치된 제1 서랍(21) 및 제2 서랍(22)을 갖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보편적인 식기 세척기나, 단지 하나의 서랍을 갖거나 3개 이상의 서랍을 갖는 서랍형 식기 세척기와 같은 다른 구성의 식기 세척기에도 이용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서랍형 식기 세척기(20) 내에 배치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용 서랍(1)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서랍(1)은 세척될 접시, 날붙이류(cutlery), 컵, 보올 등을 수납하는 세척 통(2)을 갖고 있다. 통(2)의 내부 용적은 통 바닥(7), 통의 실질적으로 수직한 내측부(5, 6) 및 통의 상부 에지를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수평면(11)에 의해 획정된다. 통(2)의 상부 에지를 포함하는 수평면(11)은 위에서부터 통에 접근할 수 있도록 개방될 수 있는 뚜껑에 의해 통상 닫혀 있다. 통 바닥(7)은 통의 전방부에서부터 통의 후방부를 향해 아래쪽으로 경사진다. 통의 전방부는 식기 세척기용 서랍(1)의 전방측에 면하는 통의 수직한 전방 측부(6)에 인접하고, 통의 후방부는 식기 세척기용 서랍의 후방측에 면하는 통의 수직한 후방 측부(5)에 인접한다. 경사 진 통 바닥(7)으로 인해, 통의 높이가 통의 전방부에서부터 통의 후방부를 향한 방향으로 가면서 증가한다. 이러한 치수로 인해, 통의 전체 높이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대형 물품을 통(2)의 후방부에 배치할 수 있게 된다.
통 바닥(7) 아래에는 히터, 펌프, 연수 장치(softener), 제어용 전자 장치, 밸브 등과 같은 식기 세척기의 기능적 요소(4)를 수납하도록 형성된 구획(enclosure)(3)이 있다. 이 구획(3)은 통 바닥(7) 및 이 통 바닥 아래에 위치한 서랍 바닥(8)에 의해 형성된다.
통은 또한 통 바닥(7)에 배치된 필터 수납부(10)를 갖고 있다. 이 필터 수납부(10)는 또한 펌프 입구(도시 생략)를 통해 세척 펌프(도시 생략)에 연결된다. 필터 수납부(10)는 바람직하게는 통 바닥(7)의 최저 부분에, 바람직하게는 통(2)의 후방 측부(5) 근처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통 바닥(7)의 경사는 식기 세척기의 작동시에 통 내의 물을 필터 수납부(10)로 안내한다. 따라서, 식기 세척기의 펌프 순환 시스템을 통해 물을 신속하게 순환시키고 물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기능적 요소(4)는 서랍의 전체 높이를 낮출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를 위해, 통 아래의 구획(3) 내에 배치되는 기능적 요소들은 본질적으로 통의 최저 분분 외측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통의 최저 부분 아래의 구획(3)의 높이를 매우 낮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의 바닥(7)은 수평면에 대해 약 3.5°내지 10°의 경사,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평면에 대해 약 4°내지 7°의 경사, 가장 바람직하게는 수평면에 대해 약 5°의 경사를 갖는다. 경사를 위한 최적의 값은 5°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사가 5°보다 작은 경우, 얼마간의 물방울이 통의 바닥에 남아 있을 수 있다. 그러면, 다수의 물방울이 모인 후에나 물방울이 필터 수납부로 흐르게 될 것이다. 또한, 경사가 5°보다 크다면, 통 바닥이 최고 높이를 갖게 되는 곳에서의 통 내의 공간이 너무 작아질 것이다.
식기 세척기용 서랍(1)은 바람직하게는 통 내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회전형 스프링클러 아암(13)을 갖고 있으며, 그러한 물은 세척 펌프에 의해 통에서부터 필터 수납부(10) 및 펌프를 거쳐 다시 통에 이르는 물 순환 시스템을 통해 순환된다. 스프링클러 아암(13)은 통 바닥(7)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 내에서 회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프링클러 아암(13)은 통의 바닥(7)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통 내에는 세척될 물품을 수납하는 식기 선반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식기 선반은 바람직하게는 통의 바닥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통의 바닥의 경사와 유사한 경사로 경사진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2)은 서랍(1)의 후방부로부터 구획(3)보다 외측으로 더 연장하여, 굽도리 영역(12)을 식기 세척기용 서랍의 전방의 저부에서 그 서랍의 외측에 생성한다. 이러한 식기 세척기의 사용자는 그의 발을 굽도리 영역(12)에 놓음으로써, 예를 들면 식기 세척기 내에 식기를 넣는 경우에 인간공학적으로 유리한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된다.
통의 바닥(7)이 전방부에서부터 후방부로 아래쪽으로 경사지는 경우, 최고 통 높이(D)와 서랍의 전체 높이 간의 관련성이 높을 수 있고, 어떠한 식으로든 굽 도리 영역(12)을 인간공학적으로 유리한 방식으로 설계하게 할 수 있다. 이는 통 바닥을 통의 전방부에서부터 후방부를 향해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그러면, 서랍(1)을 플로어 상에 놓은 경우에 통의 전방부에서의 통의 바닥과 플로어 사이의 간격을 사용자의 발이 식기 세척기의 전방부의 아래에 편리하게 넣어질 수 있게 하기에 충분히 높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의 바닥(7)의 전방부와 서랍의 바닥(8)의 전방부는 굽도리 영역(12)을 획정하는 하향 경사부(9)에 의해 연결된다. 이러한 하향 경사부는 인간공학적으로 보다 유리한 실시예를 달성하도록 만곡될 수 있다. 굽도리 영역(12)의 치수는 통상 다음과 같다. 서랍의 바닥(8)은 통상 서랍형 식기 세척기의 캐비넷 전방부로부터 통상 약 140㎜만큼 후퇴하며, 서랍의 전방부에서 플로어에서부터 식기 세척기의 저부까지의 높이는 통의 전방부에서 서랍의 바닥(8)에서부터 통의 바닥(7)까지의 간격을 포함하여 통상 약 100㎜이다. 이에 의해, 모든 주방 기기에 대해 주방의 작업대에서 균일한 형상을 달성하기 위한 주방 제작업자들의 요구 사항인 균일한 굽도리가 서랍에 마련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식기 세척기용 서랍의 후방 구역의 단면선 I-I를 따라 취한 개략적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는 통의 측부(14, 15), 통의 상부 평면(11), 통의 바닥(7) 및 서랍의 바닥(8)이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필터 수납부(10)는 통의 후방부에서 통의 바닥(7)의 최저 부분에 배치되고, 그 주변의 통의 바닥은 필터 수납부가 배치되는 부분보다 높은 높이로 될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 수납부(10) 및 최저 부분은 통의 바닥(7)의 후방 코너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필터 수납부(10)가 통(2)의 한가운데에나 통의 후방부의 중간에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기능적 요소(4)를 위한 공간이 더 크게 할 것이다.
대안적으로, 구획(3) 내에 제공되는 모든 요소는 통의 바닥(7)의 아래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서랍 바닥(8)이 불필요하거나, 실제로는 서랍 바닥이 통의 바닥(7)일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는 서랍형 식기 세척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편적인 식기 세척기에서의 공간 절약에도 이용될 수 있다.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 및 실시예를 개시하고 있으며, 특정 용어가 사용되고 있지만 그 용어들은 포괄적이고 설명적인 의미로서만 이용되는 것이지 한정적인 의미로 이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진다.

Claims (11)

  1. 세척될 적어도 하나의 물품을 수납하는 통(tub)(2)을 구비하고, 이 통(2)은 통 바닥(7) 및 실질적으로 수직한 측부(5, 6, 14, 15)를 갖고 있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통 바닥(7)은 통의 제1 측부(6)에 근접한 통(2)의 제1 부분에서부터, 통의 제1 측부에 대향하게 배치된 통의 제2 측부(5)에 근접한 통(2)의 제2 부분을 향해 아래쪽으로 경사져, 통의 상부 에지를 포함한 평면(11)과 통 바닥(7) 간의 간격(D)이 통의 제2 부분을 향해 가면서 증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 세척기는 서랍형 식기 세척기이며, 상기 통(2)은 서랍형 식기 세척기의 서랍(1)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2)의 제1 측부(6)는 식기 세척기의 전방측에 면한 통의 전방 측부이고, 상기 통(2)의 제2 측부(5)는 식기 세척기의 후방측에 면한 통의 후방 측부이고, 상기 통 바닥(7)은 통의 전방부에서부터 통의 후방부를 향해 아래쪽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 바닥(7)은 수평면에 대 해 약 3.5°내지 10°의 경사,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평면에 대해 약 4°내지 7°의 경사, 가장 바람직하게는 수평면에 대해 약 5°의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 바닥(7)은 통(2)의 제1 부분에서부터 통(2)의 제2 부분을 향해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 바닥(7)의 후방부에 배치된 필터 수납부(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터 수납부(10)가 통 바닥(7)의 최저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수납부(10)는 통 바닥(7)의 코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형 스프링클러 아암(13)이 통 바닥(7)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 내에서 회전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0. 제2항 및 제3항에 있어서, 식기 세척기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적 요소(4)를 수납하는 구획(3)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획(3)은 통 바닥(7) 및 이 통 바닥(7)의 아래에 위치한 서랍 바닥(8)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획정되고,
    상기 통의 바닥(7)과 서랍 바닥(8)은 서랍(1)의 후방부로부터 서랍(1)의 전방부를 향해 외측으로 연장하되, 상기 통 바닥(7)이 서랍 바닥(8)보다 서랍(1)의 전방부를 향해 외측으로 더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1. 제10항에 있어서, 후퇴된 굽도리 영역(plinth area)(12)이 통(2)의 일부분 아래에서 구획(3)의 외측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며, 이 굽도리 영역(12)은 통 바닥(7)과 서랍 바닥(8)을 연결하는 하향 경사부(9)에 의해 획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KR1020097010859A 2006-12-06 2007-11-13 식기 세척기 KR1015272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025205A EP1929922B1 (en) 2006-12-06 2006-12-06 Dishwasher
EP06025205.3 2006-12-06
PCT/EP2007/009802 WO2008067895A1 (en) 2006-12-06 2007-11-13 Dishwash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152A true KR20090097152A (ko) 2009-09-15
KR101527235B1 KR101527235B1 (ko) 2015-06-08

Family

ID=37983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0859A KR101527235B1 (ko) 2006-12-06 2007-11-13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00051070A1 (ko)
EP (1) EP1929922B1 (ko)
KR (1) KR101527235B1 (ko)
CN (1) CN101568289B (ko)
AT (1) ATE479379T1 (ko)
AU (1) AU2007327946B2 (ko)
CA (1) CA2677161C (ko)
DE (1) DE602006016623D1 (ko)
PL (1) PL1929922T3 (ko)
RU (1) RU2009125545A (ko)
WO (1) WO20080678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06339A (zh) * 2017-02-13 2017-05-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洗碗机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16497A1 (de) * 1974-04-04 1975-10-16 Resulta Kg Geschirrspuelmaschine
JPH02147043A (ja) * 1988-11-29 1990-06-06 Toshiba Corp 食器洗浄機
SE9001336L (sv) * 1990-04-12 1991-10-13 Electrolux Ab Anordning vid en diskmaskin
JP2539289B2 (ja) * 1990-11-30 1996-10-02 三菱電機株式会社 食器洗い機
KR940009563B1 (ko) * 1992-09-04 1994-10-15 대우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NZ314155A (en) * 1997-01-30 1999-07-29 Fisher & Paykel Dishwasher detergent dispenser located in door recess, having open top and being flushed out by overhead nozzle
JP3129313B1 (ja) 1999-08-16 2001-01-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食器洗浄機
US7032604B2 (en) * 2002-05-28 2006-04-25 Maytag Corporation Three rack dishwasher
JP2004049443A (ja) * 2002-07-18 2004-02-19 Mitsubishi Electric Corp 食器洗浄機
KR20040038309A (ko) * 2002-10-31 2004-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JP4339574B2 (ja) * 2002-11-05 2009-10-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浄機
JP3645884B2 (ja) * 2002-11-05 2005-05-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食器洗浄機
JP3974017B2 (ja) * 2002-11-05 2007-09-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食器洗浄機
JP3851333B2 (ja) * 2005-05-12 2006-11-29 三洋電機株式会社 食器洗い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1929922T3 (pl) 2011-04-29
AU2007327946A1 (en) 2008-06-12
RU2009125545A (ru) 2011-01-20
DE602006016623D1 (de) 2010-10-14
CA2677161A1 (en) 2008-06-12
CN101568289B (zh) 2012-03-28
WO2008067895A1 (en) 2008-06-12
CN101568289A (zh) 2009-10-28
CA2677161C (en) 2015-06-30
US20100051070A1 (en) 2010-03-04
EP1929922A1 (en) 2008-06-11
ATE479379T1 (de) 2010-09-15
EP1929922B1 (en) 2010-09-01
AU2007327946B2 (en) 2011-11-17
KR101527235B1 (ko) 2015-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8578B2 (en) Dishwasher rack assemblies
US8168006B2 (en) Utensil holder assembly for a dishwasher
US10136795B2 (en) Dish rack retaining clip
US20060254627A1 (en) Dishwasher with utensil basket
AU2003258633A1 (en) Dishwasher,particularly for fitted kitchens
US20050045215A1 (en) Three rack dishwasher with door mounted silverware basket
US20180249885A1 (en) Baskets for use in a dishwasher appliance
US20220386847A1 (en) Dish washer
KR101527235B1 (ko) 식기 세척기
CN111050624A (zh) 洗碗机
US9839342B2 (en) Angled dishwasher sumps
US20160007825A1 (en) Support device, and dishwasher comprising said device
JP6292498B2 (ja) 物品棚
KR101240801B1 (ko) 수저류 수납 구조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
CN111050620B (zh) 洗碗机
JP6187900B2 (ja) 厨房装置
JP7359574B2 (ja) 食器洗浄機並びに食器乾燥機
KR20230103574A (ko) 커트러리 바스켓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JP2021153760A (ja) キッチン
KR101268684B1 (ko) 식기 세척기의 하부 커버의 수납 구조
JPH11299720A (ja) 食器洗浄機
CN108968878A (zh) 一种洗碗机用果蔬清洗篮及洗碗机
JPH11151195A (ja) 食器洗浄機用小物入れ
KR20020013667A (ko) 개숫대
JPH0998924A (ja) 食器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