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6512A - 평판 부재 말단 장착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평판 부재 말단 장착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6512A
KR20090096512A KR1020097014148A KR20097014148A KR20090096512A KR 20090096512 A KR20090096512 A KR 20090096512A KR 1020097014148 A KR1020097014148 A KR 1020097014148A KR 20097014148 A KR20097014148 A KR 20097014148A KR 20090096512 A KR20090096512 A KR 20090096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nector assembly
contacts
connector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4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널드 마틴 위버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96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65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2Printed circuits being in the same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84Hermaphroditic coupling devic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커넥터 어셈블리(10)는 제 2 패널 부재에 고정된 제 2 커넥터 어셈블리(10')와의 전기적 결합을 위해서 패널 부재(12)에 고정된다. 각각의 커넥터 어셈블리들은 서로 제 1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제 1 부분(20) 및 제 2 부분(22)을 갖는 제 1 접점(14)을 갖는다. 제 2 접점(15)은 제 2 부분(22)으로부터 제 2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제 1 접점(14)의 제 1 소정 간격은 제 2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제 2 접점(15')을 수용하도록 구성 및 배치된다. 상술한 커넥터 어셈블리(10) 및 제 2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제 2 접점들(15, 15') 및 대응하는 제 1 접점들(14, 14')은 피벗 가능한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Figure P1020097014148
커넥터 어셈블리, 패널 부재, 피벗 가능한 연결

Description

평판 부재 말단 장착 커넥터 어셈블리{CONNECTOR ASSEMBLY FOR END MOUNTING PANEL MEMBER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에 대한 것으로, 특히, 전기 패널 부재들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들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어셈블리는 전력 또는 전기적 또는 전자적 제어 신호들을 컴퓨터, 프린터, 보조 하드웨어 등과 같은 구성요소들 간에 제공하도록 요구된다. 종종, 이 구성요소들은 인쇄회로기판들과 같은 패널 부재들을 포함하며, 이들은 필요한 전기적 제어를 제공하기 위한 소형화된 구성요소들과 함께 실장 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커넥터 어셈블리는 상술한 패널 부재의 한쪽 말단과 인접하게 고정된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전기적 접점(contact)들을 포함한다. 결합 커넥터 어셈블리는 상술한 커넥터 어셈블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요소의 작동 신뢰도는 연결의 완전성에 의해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즉, 상술한 접점들 간에 불충분한 전기적 연결이 있으면, 상술한 구성요소들은 의도한 대로 동작할 수 없게 된다.
게다가, 인접한 패널 부재들 간의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들은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들이 오직 한 방향으로 서로를 향하도록 함으로써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다.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패널 부재에 고정되며, 제 2 패널 부재에 고정된 제 2 커넥터 어셈블리와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다수의 다른 방향들로부터 서로 간의 전기적 접촉이 가능한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 2 패널 부재에 고정된 제 2 커넥터 어셈블리와의 전기적 결합을 위한 패널 부재에 고정된 커넥터 어셈블리에 의해 상술한 과제가 해결된다. 각각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서로 제 1 소정간격으로 배치된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갖는 제 1 접점을 포함한다. 제 2 접점은 제 2 부분으로부터 제 2 소정간격으로 배치되며, 제 1 접점의 제 1 소정간격은 제 2 커넥터 어셈블리의 제 2 접점을 수용하도록 구성 및 배치된다. 커넥터 어셈블리 및 제 2 커넥터 어셈블리의 제 2 접점들 및 대응하는 제 1 접점들은 피벗 가능한 연결들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점은 결합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들이 피벗 가능한 연결들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결합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들이 각기 다른 방향들로부터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결합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들의 패널 부재들이 서로에 대해서 고정된 방향에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상술한 패널 부재들 간의 방향이 서로에 대한 방향의 변화를 허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커넥터 어셈블리들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요소의 수를 줄이는 것이다.
또 다른 장점은 커넥터 어셈블리가 사실상 암수 결합 방식이라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능들 및 장점들은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자세한 설명들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며, 본 발명의 원리들은 예시를 통해서 묘사한 첨부한 도면과 함께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를 통해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 접점 구조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기 접점 구조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기 접점 구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패널 부재에 고정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패널 부재에 고정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패널 부재에 고정된 결합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의 결합하기 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결합 전기 커넥터의 대략적인 정면도로서, 복수의 방향들에서 커넥터들이 결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결합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결합 커넥터의 접점 구조들의 실시예들에 대한 단면도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패널 부재들의 한 쌍의 결합된 커넥터들을 나타내는 적용사례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커넥터 어셈블리와 관련하여 회전된, 즉, 피벗 가능하게 연결된 각각의 결합된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외하고 도 8과 유사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5와 유사하게 구성된 커넥터 어셈블리들과, 각각의 패널 부재들에 고정된 본 발명의 결합 전의 결합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암수 결합형 커넥터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에 대한 대략적인 도면이다.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도면 전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들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도 4의 10)는 다른 배열의 접점(도 6의 14', 15')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일정 배열의 접점(14, 15)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1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접점(14)은 제 1 부분(20)의 한쪽 말단과 제 2 부분(22)의 다른 쪽 말단에서부터 연장되는 베이스(16)를 포함한다. 제 1 부분(20)은 베이스(16)와 마주보는 말단(40) 쪽으로 연장되고 제 2 부분(22)은 베이스(16)와 마주보는 말단(42) 쪽으로 연장된다. 일 실 시예에서, 베이스(16), 제 1 및 제 2 부분(20, 22)은 각각 상부 말단(26)과 하부 말단(28)을 가지며, 제 1 및 제 2 부분(20, 22)은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상부와 하부는 제한적이지 않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하며, 단지 본 발명의 기능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접점(15)은 베이스(17)를 포함하며, 상기 접점(15)은 베이스(17)로부터 말단부(43)까지 연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17)를 포함하는 접점(15)은 상부 말단(27) 및 하부 말단(29)을 포함한다.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풋(18, foot)은 접점(14)의 베이스(16)에 바깥쪽으로 그리고 실질적으로 횡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부 말단(28)과 실질적으로 일치하거나 약간 낮은 높이의 표면(74)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풋(19)은 접점(15)의 베이스(17)에 바깥쪽으로 그리고 실질적으로 횡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부 말단(29)과 실질적으로 일치하거나 약간 낮은 높이의 표면(75)을 갖는다. 접점(도 2의 14)의 다른 실시예에서, 풋(18)의 표면(74)은 하부 말단(28)을 지나치거나 그 아래로 연장되고, 표면(76)을 가지는 풋(44)은 제 1 부분(20)의 하부 말단(28)으로부터 횡 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실상, 접점(14)이 실질적으로 평평한 표면 위에 위치할 때, 풋들(18, 44)의 각각의 표면들(74, 76)이 상술한 평평한 표면과 접촉되도록 접점(14)을 상승시킨다. 도 2에서 접점(15)에 대하여 더 나타낸 바와 같이, 풋(19)의 표면(75)은 하부 말단(29)을 지나치거나 그 아래로 연장되고, 표면(77)을 갖는 풋(45)은 하부 말단(29)으로부터 횡 방향으로 연장되며, 사실상, 접점(14)이 실질적으로 평평한 표면 위에 위치할 때, 풋들(19, 45)의 각 표면들(75, 77)이 상술한 평평한 표면과 접촉되도록 접점(15)을 상승시킨다.
도 6 및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풋들(18, 18', 19, 19') 및 풋들(44, 45, 미도시)은 각각의 접점들(14, 14', 15, 15')을 대응되는 패널 부재(12)에 단단히 장착시키는데 사용된다. 하나의 장착 기술(미도시)에서, 페이스트 위에 풋들(18, 44) 및/또는 풋들(19, 45)이 위치하도록 페이스트를 포함하는 솔더가 패널 부재(12)의 표면 위에 덮어 질 수 있다. 이때 패널 부재(12)는 상술한 페이스트가 유동하도록 충분한 열에 쬐어지며, 패널 부재(12)와 각 풋들(도 2에서의 18, 19, 44, 45) 사이 또는 패널 부재(12)와 풋들(도 1에서의 18, 19) 사이에 접합된 이음매(bonded joint)를 형성한다. 그러나, 기계적 고정장치들, 접착제들 또는 다른 열적 공정들을 포함하는 다른 적합한 전도성의 고정 기술들이 패널 부재(12)에 풋들(18, 19) 또는 풋들(18, 19, 44, 45)을 고정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억지 끼움 고정자(interfering retainer, 도 1의 36)는 접점(14)을 하우징(도 4의 50)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제 1 부분(20) 및 제 2 부분(22) 각각에 형성된다. 또한, 고정자(도 1의 37)는 접점(15)을 하우징(도 4의 50)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접점(15) 안에 형성된다. 그리고, 도 1은 상부 말단(26) 및 제 1 부분(20)의 말단(40)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각진 영역(24)과, 하부 말단(28) 및 제 1 부분(20)의 말단(40)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각진 영역(46)을 나타낸다. 또한,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각진 영역(25)은 제 2 부분(22)의 상부 말단(26) 및 말단(42)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각진 영역(47)은 제 2 부분(22)의 하부 말단(28) 및 말단(42)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도 1에서 더 나타낸 것과 같이, 테이퍼(30)는 상부 말단(27) 및 말단(43)에 인접한 접점(15)에 형성되며, 테이퍼(32)는 하부 말 단(29) 및 말단(43)에 인접한 접점(15)에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적 돌출부(38)가 결합 커넥터에 향상된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서 제 2 부분(22)으로부터 제 1 부분(20)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돌출부(38)도 제 1 부분(20)으로부터 제 2 부분(22)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되거나, 제 1 및 제 2 부분 각각에 형성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게다가, 선택적 돌출부(39)는 접점(도 1의 15)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이하에서 더 자세하게 논의되는 원인으로 인해서, 접점들(14, 15)의 장치는 접점들(도 6의 14', 15')의 대응하는 장치들과 피벗 가능한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각진 부분(48)이 제 1 부분(20)의 말단(40)에 인접하게 형성된 것 외에는 도 2에서의 접점(14)과 유사한 접점(14)의 또 다른 실시예가 나타난다. 게다가, 각진 부분(49)은 제 2 부분(22)의 말단(42)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각진 부분들(48, 49)은 도 7에서 보인 방향(50)에 의한 것과 같은 말단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리드-인 천이부(lead-in transition)를 제공한다. 각진 부분들(24, 46, 25, 47, 48, 49)은 제1 및 제 2 부분들(20, 22)의 각 말단들(40, 42)에 인접한 테두리의 부분을 따라 연장될 수 있거나, 또는 제 1 및 제 2 부분들(20, 22)의 각 말단들(40, 42)을 따라 실질적으로 인접하게 연장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접점들(14, 15)은 황동 또는 인-청동과 같은 금속 또는 다른 충분히 전기적으로 전도성이 있는 물질로 구성되어, 전기적 에너지가 풋들(18, 44, 45, 단 44, 45는 도 6에서는 미도시)로부터 접점(14)의 제 1 및 제 2 부분 들(20, 22) 및 접점(15)을 통해서 일정 배열의 결합 접점들(mating contacts, 14', 15')에 전달되도록 하되, 이는 각 패널 부재(12)에 장착된 구성품들의 동작에 실질적으로 불리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50)은 접점(14)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개구부(54)와 접점(15)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개구부(56)를 포함한다. 하우징(50)을 패널 부재(12)에 기계적으로 고정하기 위해서, 풋(52), 또는 복수의 풋들(52)이, 패널 부재(12)에 접촉된 하우징(50)에 고정되고, 풋(52)은 패널 부재(12)에 고정된다. 풋(52)은 다른 의미에서 전술한 풋들(18, 44)을 패널 부재(12)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한 기술과 유사한 방법으로 패널 부재(12)에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50)의 일 실시예에서, 접점(14)은 개구부(54)의 반대쪽 면들에 맞닿은 고정자(도 1의 36)의 힘으로 하우징(50)에 고정되고, 접점(15)은 개구부(56)의 한 면에 맞닿은 고정자(도 1의 37)의 힘으로 하우징(50)에 고정된다. 도 4에서와 같이, 하우징(50)은 제 1 및 제 2 부분들(20, 22)과 접점(15)이 패널 부재(12)에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각진 영역들(24, 46, 25, 47) 및 테이퍼들(30, 32)은 하우징(50)으로부터 개구부들(54, 56)을 통해서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우징(50)의 앞면 부분들(70, 72, 74)은 제 1 및 제 2 부분들(20, 22)과 접점(15)을 수직으로 분리하고 감싸도록 제 1 및 제 2 부분들(20, 22)의 말단들(40, 42) 과 접점(15)의 말단(43)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하우징(50)은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 열 가소성 물질과 같이 커넥터 어셈블리(10)에 사용되기에 적당한 충분한 전기적 절연 특성과 강도 및 강성을 갖는 어떠한 물 질로든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에서의 하우징(50)이 접점(14)을 고정함으로써 접점(14)의 제 1 및 제 2 부분들(20, 22) 및 접점(15)이 패널 부재(12)의 표면을 따라서 수평으로 배열되는, 즉, 실질적으로 패널 부재(12)와 평행을 이루며, 접점들(14, 15)이 패널 부재(12)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열되는, 즉, 수직으로 쌓이도록 구성되는 것을 제외하면, 하우징(50)은 도 4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하우징(50)은 접점(14)의 제 1 및 제 2 부분들(20, 22)과 접점(15)이 패널 부재(12)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패널 부재(12)의 부분을 따라 수직으로 배열되도록 접점들(14, 15)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4 및 도 5 각각의 커넥터 어셈블리들(10)의 접점들(14, 15)을 연결하면, 패널 부재들(12)은 서로 수직이 될 것이다. 대신에, 도 14에서 보인 것과 같은 두 개의 패널 부재들(12)의 도 5에서 보인 것과 전체적으로 유사한 결합 커넥터 어셈블리들과의 연결은, 패널 부재들(12)이 패널 부재들(12)의 평면상에서 실질적으로 회전하도록 허용하며, 회전의 범위는 결합 패널 부재(12)에 의해 제한된다.
도 6은 결합을 위해 배열된 결합 커넥터 어셈블리들(10, 10')을 나타내며, 각 커넥터 어셈블리들(10, 10')은 각각의 패널 부재(12)에 고정되어 있다. 각 커넥터 어셈블리(10')를 그의 각 커넥터 어셈블리(10)에 결합하면, 접점(15')은 대응하는 접점(14)의 제 1 및 제 2 부분들(20, 22) 사이에 수용된다. 마찬가지로,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접점(15)은 커넥터 어셈블리(10')의 대응하는 접점(14')의 제 1 및 제 2 부분들(20', 22') 사이에 수용된다.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접점들(14, 15)과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접점들(14', 15')의 구조 때문에, 도 7에서와 같이, 커넥터 어셈블리들(10, 10')은 복수의 방향들로부터 결합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접점들(14', 15')은 예를 들어 방향(58)을 따라서 결합 접점과 연결되거나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접점들(14, 15)과 결합 될 수 있다. 즉, 접점(14')의 하부 말단(28')과 접점(15')의 하부 말단(29')이 접점(14)의 상부 말단(26)과 접점(15)의 상부 말단(27)에 완전히 밀착하여 결합 될 때까지 결합하도록 접점들(14, 15) 위로 수직인 위치로부터, 접점들(14', 15')이 방향(58)을 따라서 낮아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넥터 어셈블리들(10, 10')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그 암수 결합의 성질로 인해서 결합됨이 이해될 것이다.
대신에,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접점(14, 15) 및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접점(14', 15')은 예를 들어 방향(60)을 따라 결합 접점(도 7의 68)에 도달하도록 결합 또는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접점들(14, 14', 15, 15')이 배열되는 곳에서 접점들(14', 15')은 말단들(40, 42, 43)이 완전히 밀착될 때까지 말단들(40', 42', 43')에 결합 되기 시작하도록 방향(60)을 따라서 움직일 수 있다. 접점(14 또는 14') 한 세트가 각진 부분(48 또는 48') 및 각진 부분(도 3의 49 또는 49')을 포함할 경우, 방향(60)으로의 결합이 더 용이 해질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접점들(14, 15) 및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접점들(14', 15')은 예를 들어 방향(62)을 따라 접점에 결합 되거나 커넥터 어셈블리(10)와 결합 될 수 있다. 이는,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접점들(14, 15) 아래로 수직인 위치로부터,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접점들(14', 15')이 접점(14')의 상부 말단(26')과 접 점(15')의 상부 말단(27')이 접점(14)의 하부 말단(28)과 접점(15)의 하부 말단(29)에 완전히 밀착 또는 결합 될 때까지 결합되도록 방향(62)을 따라 상승 될 수 있다.
커넥터 어셈블리들(10, 10')이 복수의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음에도, 피벗 가능한 또는 경첩식(hinge-like) 연결들에 의해서, 패널 어셈블리들(10, 10')은 서로 평행을 유지하거나, 아니면 조립되는 동안 서로 평행이 아닌 상태로 유지되는 것처럼 서로에 대해서 계속 회전할 수 있음을 더 유의하여야 한다. 즉, 여기서 사용되는 피벗 가능한 연결이란 도 8과 도 13을 비교한 것처럼, 결합 접점들(14, 14')이 결합하는 경우에 각 접점들이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도록 정의된다. 다시 말해서, 도 8에서와 같이, 접점들(14, 14')은 대응하는 패널 부재들(12)이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결합 된다. 도 13에서와 같이, 접점들(14, 14')은 대응하는 패널 부재들(12)이 서로 각을 이루어 위치하도록 서로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그러나, 도 8 내지 도 13에서와 같은 피벗 가능한 결합이 경첩식 임에도, 상술한 피벗 가능한 연결은 특정한 축으로 회전하도록 제한되지 않는다. 달리 말하면, 경첩과 다른, 본 발명의 피벗 가능한 연결은 경첩 핀이 없고, 그리하여 접점들(14, 14') 사이에 많은 병진 슬라이드 운동을 허용한다. 즉, 도 4 및 도 5에서의 커넥터 어셈블리들(10)의 연결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50) 구조들의 변경은 어떠한 방향, 즉, 원하는 대로 방향을 바꿀 수 있는, 패널 부재들(12) 간에 어떤 각도든 제공한다.
상술한 연결들은 결합된 커넥터 어셈블리들(10, 10') 사이에 피벗 가능한 연 결들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강화된 전기적 연결 또한 그 사이에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도 8은 접점들(14, 14', 15, 15')이라고도 칭하던 결합 접점들(68)을 갖는 한 쌍의 결합된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들을 나타낸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에서 9-9선을 따라 나타낸 한 쌍의 결합 접점들(68) 또는 접점들(14, 14', 15, 15')의 단면도들이다. 편의를 위해서, 접점들(14, 14', 15, 15')은 동일한 구성요소들로 나타내었으며, 대응하는 부분들 간에 유일한 차이점은 이후 숫자 명칭에"'(아포스트로피: apostrophe)"가 첨자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9에서, 접점(15)은 접점(14')의 제 1 부분(20')과 제 2 부분(22') 사이에 고정되고, 이와 마찬가지로, 접점(15')은 접점(14)의 제 1부분(20)과 제 2 부분(22) 사이에 고정된다. 결합 접점들(68) 간의 전기적 연결을 강화하기 위해서,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돌출부들(38, 39)과 같은 돌출부들(38, 38', 39, 39')이 채택될 수 있다. 도 9에서와 같이, 돌출부(39')는 접점(15')의 실제 두께를 증가시키며, 접점(14)의 제 1 및 제 2 부분들(20, 22) 사이의 거리보다 접점(15')의 실제 두께가 더 클 수 있도록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부분들(20, 22) 사이에 돌출부(39')를 포함하는 접점(15')의 삽입 시, 제 1 및 제 2 부분들(20, 22)은 더 서로 벌어지도록 압력을 받으며, 접점(돌출부 39'를 포함하는 15')의 양 표면에 압축성의 접촉력을 발생시킨다. 이 압축성 힘은 돌출부(39')를 포함하는 접점(15')의 인접한 부분들과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부분들(20, 22) 간에 향상된 전기적 접촉을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도 9에서 더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39)는 접점(15)의 실제 두께를 증가시키며, 접점(14')의 제 1 및 제 2 부분들(20', 22') 사이의 거리보다 접점(15)의 실제 두께가 더 클 수 있도록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부분들(20', 22') 사이에 돌출부(39)를 포함하는 접점(15)의 삽입 시, 제 1 및 제 2 부분들(20', 22')은 더 서로 벌어지도록 압력을 받으며, 접점(돌출부 39를 포함하는 15)의 양 표면에 압축성의 접촉 힘을 발생시킨다. 이 압축성 힘은 돌출부(39)를 포함하는 접점(15)의 인접한 부분들과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부분들(20', 22') 간에 향상된 전기적 접촉을 제공한다. 도 9에서와 같이, 돌출부들(38, 39' 및 38', 39)은 서로 접한다. 돌출부들(38, 38', 39, 39')은 도면에서 일반적으로 구형 또는 원형 프로파일로 묘사되었으나, 이 돌출부들은 돌출부들(38, 38', 39, 39')과 접점들(14, 14', 15, 15')의 인접한 제 1 및 제 2 부분들(20, 20', 22, 22') 간의 접촉면의 크기를 늘리기 위해 평탄화된 정점(apex)형을 포함하여 적당한 어떠한 여러 가지 모양으로도 될 수 있다.
결합 접점들(68)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 10은 도 9와 유사하며, 제 1 부분들(20, 20')에 각기 형성된 돌출부들(64, 64')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들(64, 64')은 각각의 제 1 부분들(20, 20')로부터 접점들(14, 14', 15, 15')이 결합 될 때 인접한 접점들(15, 15')에 형성된 각각의 돌출부들(39, 39')과 같은 방향으로 외향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돌출부들(64, 64')은 돌출부들(39, 39')보다 작다. 그러나, 돌출부들(64, 64')은 돌출부들(64, 64') 및 대응하는 돌출부들(39,39')이 결합 접점들(68)이 커넥터 어셈블리들(10, 10')의 어셈블리에 도달될 때 정렬되도록 하는 크기를 가지며 그에 맞게 배치된다. 커넥터 어셈블리들(10, 10')이 일단 조립되면, 접점(15')에 대한 접점(14)의 움직임 또는 접점(15)에 대한 접점(14')의 충분한 움직임 중에, 돌출부들(64, 64')은 접하는 접점의 방향으로 더 강한 움직임에 저항하기 위하여 돌출부(39, 39')의 반대쪽의 함몰부(indented portion, 70, 70')에 접한다. 다시 말해서, 돌출부들(64, 64')은 접하는 돌출부들(39, 39' 및 38, 38')이 서로 접하여 그 접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돕는 역할을 하며, 결합 접점들(68) 간에 강화된 물리적 및 전기적 접촉을 제공한다.
결합 접점들(68)의 다른 실시예에서, 돌출부들(38, 38', 39, 39')을 제외하면, 도 11은 도 9와 유사하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들(38, 38', 39, 39')은 실질적으로 제외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패널 부재들(12)을 구비하는 커넥터 어셈블리들(10)이 논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부재들(12)은 구조적 공간(미도시)에 조명을 제공하는 발광 다이오드(66)를 포함한다. 패널 부재(12)는 접착 스트립과 같은 것에 의해 제 위치에 고정되며, 이로써 한번 구조적 공간의 표면에 접착되면, 제거 및 상호연결이 달성이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극히 어렵다. 상술한 패널 부재들(12)은 단독 또는 전체로 연장된 길이가 될 수 있으므로, 설치 전에 모든 패널 부재들(12)을 미리 조립하는 설치자에게는 실용적이지 않다. 게다가, 제 1 패널 부재(12)가 구조적 공간 표면에 한번 부착되면, 제 2 패널 부재(12)를 제 1 패널 부재(12)에 종래의 "스트레이트-온" 직렬(end-to-end) 연결들을 이용하여 미끄럼 가능하게 연결할 수 없다. 다시 말해서, 접점들(14, 15)이 본 발명에 의해 허용되는 방향(도 7의 58)과 같은 다른 여러 방향들로부터 결합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한 세트의 접점들(14, 15)과 접점들(14', 15')이 각각 도 6에서 암수 결합 커넥터 어셈블리들(10, 10')을 위해 나타내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커넥터 어셈블리들(10, 10')의 중앙선(78) 양쪽에 같은 수의 접점들(14, 14') 및 접점들(15, 15')이 배열된다면 어떤 다수의 접점들(14, 15)과 접점들(14', 15')도 커넥터 어셈블리들(10, 10')의 다른 실시예들에 배열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더 쉬운 예시를 위해, 도 15를 참조하면, 접점들(14, 14')은 F, F'로 나타내어지며 암 접점들이며, 접점들(15, 15')은 M, M'로 나타내어지며 수 접점들이다. 다르게 말하면, 도 15에서와 같이, 하나의 F 접점이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중앙선(78)의 한쪽에서 중앙선(78)에 직접적으로 인접하며, 그러면 하나의 M 접점이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중앙선(78)의 반대쪽에서 중앙선(78)에 직접적으로 인접할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중앙선(78)의 한쪽에서의 바깥쪽 위치들을 따라 위치하는 두 개의 M 접점들은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중앙선(78)의 다른 쪽에서의 바깥쪽 위치들을 따라 위치하는 두 개의 F 접점들과 대응된다.
도시된 커넥터 어셈블리들이 하우징에 고정된 한 쌍의 커넥터 접점들을 포함하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커넥터 접점들이 커넥터 어셈블리를 형성하기 위한 하우징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커넥터 어셈블리들이 인접한 패널 부재들을 상호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관련 분야의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고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요소들이 균등범위 내로 치환 가능함이 이해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핵심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특정 상황이나 물질을 적용하기 위한 많은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적의 방법으로써 공개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나,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실시예를 포함한다.

Claims (10)

  1. 제 2 패널 부재에 고정된 제 2 커넥터 어셈블리(10')와의 전기적 결합을 위해 패널 부재(12)에 고정되는 커넥터 어셈블리(10)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서로 제 1 소정간격으로 위치하는 제 1 부분(20) 및 제 2 부분(22)을 갖는 제 1 접점(14); 및
    상기 제 2 부분(22)으로부터 제 2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제 2 접점(15)으로서, 상기 제 1 접점(14)의 상기 제 1 소정간격은 상기 제 2 커넥터 어셈블리의 상기 제 2 접점을 수용하도록 구성 및 배치되는 상기 제 2 접점(15)을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0) 및 제 2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상기 제 2 접점들(15, 15') 및 대응하는 제 1 접점들(14, 14')은 피벗 가능한 연결들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22) 및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들의 대응하는 제 1 소정간격은 복수의 방향으로부터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돌출부(38)는 상기 제 1 접점(14)의 상기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20, 22) 및 상기 제 2 접점(15)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부분 안에 형성되는 상기 돌출부(38)는 상기 대응하는 제 2 부분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제 2 부분 안에 형성되는 상기 돌출부는 상기 대응하는 제 1 부분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들의 결합 시에 서로를 향하여 연장되는 적어도 두 개의 돌출부들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20, 22) 중 적어도 하나는 각진 영역(2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진 영역(24)은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20, 22)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0) 및 제 2 커넥터(10') 어셈블리의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14, 14', 15, 15')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0) 및 제 2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20, 22)은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20, 22)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 중 적어도 일부는 테이퍼(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부재(12)는 수평을 유지할 수 있거나 상기 커넥터들(10, 10')이 연결되는 동안 서로 수평이 아닌 상태가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0) 및 제 2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상기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접점들(14, 14', 15, 15')은 암수 결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097014148A 2007-01-08 2008-01-04 평판 부재 말단 장착 커넥터 어셈블리 KR200900965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620,821 US7448873B2 (en) 2007-01-08 2007-01-08 Connector assembly for end mounting panel members
US11/620,821 2007-01-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512A true KR20090096512A (ko) 2009-09-10

Family

ID=39387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4148A KR20090096512A (ko) 2007-01-08 2008-01-04 평판 부재 말단 장착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448873B2 (ko)
EP (1) EP2122769B1 (ko)
JP (1) JP5084059B2 (ko)
KR (1) KR20090096512A (ko)
CN (1) CN101578739B (ko)
CA (1) CA2674366C (ko)
MX (1) MX2009007341A (ko)
WO (1) WO200808585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4003B2 (en) * 2000-05-18 2002-10-15 Western Well Tool, Inc. Gripper assembly for downhole tractors
US7731520B1 (en) * 2008-09-12 2010-06-0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Blade and receptacle power connector
EP2166273A3 (en) * 2008-09-22 2011-11-30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oration Light-emitting module, light-emitting device having the light-emitting module, and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 light-emitting device
US7802994B1 (en) * 2009-04-06 2010-09-28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mbination of connector assembly and two printed circuit boards
US7959445B1 (en) 2009-08-28 2011-06-1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Board-to-board connector system
US20110059652A1 (en) * 2009-09-10 2011-03-10 Amphenol Corporation Multi-pathway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JP2012009234A (ja) * 2010-06-24 2012-01-12 Fujitsu Ltd コネクタ
JP5271314B2 (ja) * 2010-06-30 2013-08-21 株式会社マックエイト 表面実装用接続端子
JP4908621B1 (ja) * 2010-10-15 2012-04-04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US8961234B2 (en) * 2011-08-11 2015-02-24 Unitronics (1989) (R″G) Ltd. PCB connection unit
WO2013167931A1 (en) * 2012-05-08 2013-11-14 Fci Hingeable connector assembly
WO2013037966A1 (en) * 2011-09-16 2013-03-21 Fci Hingeable connector assembly
JP5814754B2 (ja) * 2011-11-16 2015-11-17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H706349A2 (de) * 2012-04-12 2013-10-15 Ribag Licht Ag Leuchte und Steckverbindung.
CN202772303U (zh) 2012-09-04 2013-03-06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电连接器和电连接器组件
US9065209B2 (en) 2012-09-21 2015-06-23 Thomas & Betts International, Llc Hermaphroditic electrical connector for terminating electrical conductors
JP6466266B2 (ja) * 2015-06-18 2019-02-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355383B2 (en) 2017-03-13 2019-07-16 Te Connectivity Corporation Circuit card assemblies for a communication system
JP6966889B2 (ja) * 2017-07-28 2021-11-17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ユニット
US11025004B2 (en) 2017-08-09 2021-06-01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Circuit card assemblies for a communication system
US10741950B1 (en) * 2019-03-14 2020-08-11 Te Connectivity Corporation Circuit card assemblies for a communication system
US11063391B2 (en) 2019-10-11 2021-07-13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Circuit card assemblies for a communication system
DE102020101981B4 (de) 2020-01-28 2022-05-25 Phoenix Contact Gmbh & Co. Kg Anordnung mit elektrischen Elementen und einer Verbindungs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9681A (ja) * 1983-09-28 1985-05-07 モレツクス・インコ−ポレ−テツド ヒンジ付電気コネクタ−
JPS60109187A (ja) * 1983-11-11 1985-06-14 アムプ インコ−ポレ−テッド 電気コネクタ
JPS6119979U (ja) * 1984-07-12 1986-02-05 株式会社フジクラ 電気コネクタ
JPS6312178U (ko) * 1986-07-11 1988-01-26
JPH043434Y2 (ko) * 1987-08-04 1992-02-03
JPH06101358B2 (ja) * 1988-01-22 1994-12-12 アンプ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ヒンジコネクター
JPH067594Y2 (ja) * 1988-03-31 1994-02-23 アンプ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ヒンジコネクター
JPH0355808U (ko) * 1989-10-04 1991-05-29
JPH0384648U (ko) * 1989-12-15 1991-08-28
US5727961A (en) * 1996-04-30 1998-03-17 The Whitaker Corporation Two-way transversely matable electrical connector
JP3614768B2 (ja) * 2000-10-20 2005-01-26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バッテリコネクタ
US7179108B2 (en) * 2004-09-08 2007-02-20 Advanced Interconnections Corporation Hermaphroditic socket/adap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74366A1 (en) 2008-07-17
MX2009007341A (es) 2009-07-15
US20080166901A1 (en) 2008-07-10
WO2008085858A2 (en) 2008-07-17
WO2008085858A3 (en) 2008-09-25
EP2122769B1 (en) 2015-09-30
CN101578739A (zh) 2009-11-11
JP2010516023A (ja) 2010-05-13
CA2674366C (en) 2011-08-02
JP5084059B2 (ja) 2012-11-28
US7448873B2 (en) 2008-11-11
CN101578739B (zh) 2011-12-07
EP2122769A2 (en) 200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96512A (ko) 평판 부재 말단 장착 커넥터 어셈블리
KR101050931B1 (ko) 패널 부재 단부 장착을 위한 커넥터 조립체
JP5293627B2 (ja) コネクタ
TWI482371B (zh) 可減少接觸不良發生的連接器
TW201212391A (en) Connector system having contact overlapping vias
JP6592995B2 (ja) 電気コネクタ
US20160192515A1 (en) Circuit board assembly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KR102031835B1 (ko) 기판 접속용 커넥터
US11575222B2 (en) Socket structure
JP2007200624A (ja) コネクタ
KR101465617B1 (ko) 번-인 소켓 조립체
WO2006074601A1 (fr) Dispositif de connexion electrique
TWM595908U (zh) 無方向性線對板連接器
US7011555B2 (en) Board-to-board connector and assembly of printed circuit boards
US20100132983A1 (en) Rigid printed circuit board, pcb assembly, and pcb module having same
TWI772847B (zh) 電連接器及其製造方法
US20110318969A1 (en) Connector
TW202341579A (zh) 多邊形連接器
KR101489492B1 (ko) 플랫 케이블 전원용 커넥터
KR20180040746A (ko) 다중 피씨비 커넥터
JP2017130324A (ja) コネクタ組立体
JPH05283133A (ja) 配線装置
JP2007299577A (ja) フラットケーブルの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726

Effective date: 2011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