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5955A - 불휘발성 메모리의 공유 구조에서 다이렉트 억세스 기능을제공하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를 채용한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 Google Patents

불휘발성 메모리의 공유 구조에서 다이렉트 억세스 기능을제공하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를 채용한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5955A
KR20090095955A KR1020080021221A KR20080021221A KR20090095955A KR 20090095955 A KR20090095955 A KR 20090095955A KR 1020080021221 A KR1020080021221 A KR 1020080021221A KR 20080021221 A KR20080021221 A KR 20080021221A KR 20090095955 A KR20090095955 A KR 20090095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processors
processor
area
sh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1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진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1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5955A/ko
Priority to US12/368,739 priority patent/US8171233B2/en
Publication of KR20090095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59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6Multiple access memory array, e.g. addressing one storage element via at least two independent addressing line grou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1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memory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mory System (AREA)
  • Dram (AREA)

Abstract

불휘발성 메모리의 공유 구조에서 다이렉트 억세스 기능을 제공하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를 채용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이 개시된다. 그러한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프로세서들에 대응적으로 각기 접속된 복수의 포트 유닛들과; 상기 포트 유닛들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들에 의해 공유적으로 억세스 되는 공유 메모리 영역과; 상기 프로세서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과 상기 포트 유닛들 간의 데이터 패쓰를 제어하는 데이터 패쓰 제어부와;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외부에 위치되며 불휘발성 메모리의 억세스 권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들로 제공하는 억세스 권한정보 저장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따르면, 불휘발성 메모리의 공유 구조에서도 불휘발성 메모리와 간접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가 다이렉트 억세스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P1020080021221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멀티포트, 공유 영역, 세맵퍼, 다이렉트 억세스

Description

불휘발성 메모리의 공유 구조에서 다이렉트 억세스 기능을 제공하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를 채용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Multi port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providing direct access function in shared structure of non-volatile memory and multi processor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불휘발성 메모리의 공유 구조에서 다이렉트 억세스 기능을 제공하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를 채용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인간생활의 유비쿼터스 지향추세에 따라, 인간들이 취급하게 되는 전자 시스템도 그에 부응하여 눈부시게 발전되고 있다. 최근에 모바일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핸드 헬드 폰(HHP), 또는 PDA 등의 멀티미디어 전자기기에서는 기능이나 동작 수행의 고속화 및 원활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하나의 시스템 내에 복수의 프로세서를 채용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이 선호된다. 예를 들어, 핸드 헬드 폰에는 사용자들의 컨버젼스 요구에 따라, 기본적인 전화 기능 이외에 음악, 게임, 카메라, 결제기능, 또는 동영상 기능 등이 추가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경우에 통신 변복조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프로세서와, 상기 통신 기능을 제외한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응용 프로세서가 상기 핸드 헬드 폰 내의 인쇄회로 기판에 함께 채용될 필요성이 있다.
그러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프로세싱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채용되는 반도체 메모리는 동작이나 기능 면에서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억세스 포트를 가지고서 그 억세스 포트들 각각을 통해 동시에 데이터를 입출력할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2개의 억세스 포트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는 듀얼포트 메모리로 칭해지고 있다. 전형적인 듀얼포트 메모리는 널리 공지된 것으로서, 랜덤 시퀀스로 억세스 가능한 RAM포트와 시리얼 시퀀스만으로 억세스 가능한 SAM 포트를 가지는 이미지 프로세싱용 비디오 메모리이다. 한편, 후술될 본 발명의 설명에서 보다 명확하게 구별될 것이지만, 그러한 비디오 메모리의 구성과는 달리, SAM 포트를 가지지 않으며, DRAM 셀로 구성된 메모리 셀 어레이 중 공유 메모리 영역을 복수의 억세스 포트를 통하여 각각의 프로세서들이 억세스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이나믹 랜덤 억세스 메모리를 우리는 상기 듀얼포트 메모리와 보다 철저히 구별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 내에서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또는 멀티패쓰 억세스블 반도체 메모리 장치라고 칭하기로 한다.
그러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 적합한 메모리를 기본적으로 구현하려는 본 발명자의 의도와 유사하게,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공유 메모리 영역이 복 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억세스될 수 있도록 되어있는 선행기술이 에우지니 피.매터(Matter)외 다수에 의해 발명되어 2003년 5월 15일자로 미합중국에서 특허공개된 공개번호 US2003/0093628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 1을 참조하면, 메모리 어레이(35)는 제1,2,3 포션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메모리 어레이(35)의 제1 포션(33)은 포트(37)를 통해 제1 프로세서(70)에 의해서만 억세스되고 상기 제2 포션(31)은 포트(38)를 통해 제2 프로세서(80)에 의해서만 억세스되며, 제3 포션(32)은 상기 제1,2 프로세서(70,80)모두에 의해 억세스 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50)이 보여진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 어레이(35)의 제1,2 포션(33,31)의 사이즈는 상기 제1,2 프로세서(70,80)의 동작 부하에 의존하여 유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메모리 어레이(35)의 타입은 메모리 타입 또는 디스크 저장타입으로 구현되어지는 것이 나타나 있다.
DRAM 구조에서 제1,2 프로세서(70,80)에 의해 공유(shared)되는 제3 포션(32)을 메모리 어레이(35)내에 구현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의 과제들이 해결되어져야 한다. 그러한 해결 과제들 중의 하나로서, 메모리 어레이(35)내의 메모리 영역들의 배치와 각 포트에 대한 적절한 리드/라이트 패쓰(경로)제어 테크닉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상기한 선행기술과는 대조적으로, 멀티미디어 기기를 구성하는 컨벤셔날 기술의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는 도 2와 같은 구조가 취해질 수 있다.
도 2는 컨벤셔날 기술에 따라 개량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의 메모리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2의 시스템 구조는 2개의 프로세서(100,200)와, 1개의 DRAM(400)과, 1개의 플래시 메모리(300)를 갖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분야에서의 컨벤셔날 기술로서, 핸드 헬드 폰과 같은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에 채용될 수 있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은,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400:원디램)를 기본적으로 갖는다. 상기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 채용된 제1,2 프로세서들(100,200)은 멀티포트를 갖는 DRAM(400)을 공유적으로 사용한다. 또한, 플래시 메모리(300)가 버스라인(B3)을 통해 상기 제2 프로세서(20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프로세서(100)는 상기 원디램(400)과 상기 제2 프로세서(200)를 통해 간접적으로 상기 플래시 메모리(300)를 억세스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프로세서(200)는 상기 플래시 메모리(300)를 직접적으로 억세스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프로세서(100)는 미리 설정된 타스크(Task) 예컨대 통신신호의 변조 및 복조를 수행하는 모뎀(MODEM) 프로세서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프로세서(200)는 통신 데이터의 처리나 게임, 오락 등의 사용자 편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그러나, 사안이 다른 경우에 상기 프로세서들의 기능은 서로 반대로 되거나 추가될 수 있다.
상기 플래시 메모리(300)는 셀 어레이의 구성이 NOR 구조를 갖게 되는 NOR 플래시 메모리나, 셀 어레이의 구성이 NAND 구조를 갖게 되는 NAND 플래시 메모리가 될 수 있다. 상기 NOR 플래시 메모리나 NAND 플래시 메모리 모두는 플로팅 게이트를 갖는 모오스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메모리 셀을 어레이 형태로서 갖는 불휘 발성 메모리로서, 전원이 오프되더라도 지워져서는 아니되는 데이터 예컨대 휴대용 기기의 부트 코드, 프로그램, 통신 데이터, 또는 보존용 데이터의 저장을 위해 탑재된다.
원디램(oneDRAM)으로도 불려지는 상기 멀티포트 DRAM(400)은 프로세서들(100,200)의 데이터 처리를 위한 메인 메모리로서 기능한다.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나의 멀티포트 DRAM(400)이 서로 다른 2개의 억세스 패쓰를 통하여 제1,2 프로세서들(100,200)에 의해 각기 억세스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멀티포트 DRAM(400)의 내부에는 시스템 버스들(B1,B2)에 각기 대응적으로 연결되는 포트들과 메모리 뱅크들이 마련된다. 그러한 복수의 포트 구성은 단일 포트를 갖는 통상의 DRAM과는 상이하다.
여기서, 도 2에서 보여지는 멀티포트 DRAM(400)은 메모리 반도체 메이커로서 세계적으로 유명한 대한민국의 삼성전자에 의해 등록제품명 "원디램" 으로서 제조되는 디램 타입 메모리의 기능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그러한 원디램은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서 통신 프로세서와 미디어 프로세서 간의 데이터 처리 속도를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는 퓨전 메모리 칩이다. 일반적으로 두 프로세서들이 있는 경우에 두 개의 메모리 버퍼들이 통상적으로 요구된다. 그렇지만, 원디램 솔루션은, 프로세서들간의 데이터를 단일 칩을 통하여 라우팅할 수 있기 때문에, 두 개의 메모리 버퍼들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듀얼 포트 어프로치를 취함에 의해, 원 디램은 프로세서들 간의 데이터 전송에 걸리는 시간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단일 원디램 모듈은 고성능 스마트 폰 및 다른 멀티미디어 리치 핸드 셋(rich-handset) 내에서 적어도 2개의 모바일 메모리 칩들을 대치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 간의 데이터 처리 속도가 보다 빨라짐에 따라 원디램은 전력 소모를 약 30퍼센트 정도 감소시키며, 필요해지는 칩 수를 줄이고, 토탈 다이 에리어 커버리지를 약 50퍼센트 축소시킬 수 있다. 이 결과는 셀룰러 폰의 속도를 약 5배 증가시키고 배터리 수명을 길게 하고 핸드셋 디자인을 슬림하게 하는 결과를 야기한다.
상기 도 2에서 보여지는 멀티포트 DRAM(400)이 4개의 메모리 영역들로 이루어진 메모리 셀 어레이를 가지는 경우라고 하면, 하나의 메모리 영역을 가리키는 제1 뱅크는 제1 프로세서(100)에 의해 전용으로 억세스 되고, 제3 뱅크 및 제4 뱅크는 제2 프로세서(200)에 의해 전용으로 억세스 될 수 있다. 한편, 제2 뱅크는 서로 다른 포트를 통하여 상기 제1,2프로세서들(100,200)모두에 의해 억세스 되어질 수 있다. 결국, 메모리 셀 어레이 내에서 제2 뱅크는 공유 메모리 영역으로서 할당되고, 제1,3, 및 4 뱅크들은 각기 대응되는 프로세서에 의해서만 억세스되는 전용 메모리 영역으로서 할당된 것이다.
상기 제1 프로세서(100)가 상기 제2 뱅크를 억세스하는 경우에 상기 멀티포트 DRAM(400)내의 패쓰 제어부(50)는 상기 제2 뱅크가 상기 시스템 버스(B1)에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제1 프로세서(100)가 상기 제2 뱅크를 억세스하는 동안에, 상기 제2 프로세서(200)는 전용 메모리인 상기 제3 뱅크 또는 제4 뱅크를 억세스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로세서(100)가 상기 제2 뱅크를 억세스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2 프로세서(200)는 비로소 공유 메모리 영역인 상기 제2 뱅크를 억세스할 수 있게 된다.
도 2의 메모리 연결 구조에서는, 상기 제1 프로세서(100)가 플래시 메모리(300)를 직접적으로 억세스하기가 어렵다. 상기 제1 프로세서(100)에 또 다른 플래시 메모리가 연결되어 있다면 직접적인 억세스가 가능하지만, 이는 전체 시스템의 간소화 및 코스트 다운에 바람직하지 않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제1 프로세서(100)는 UART/SPI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호스트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프로세서(200)와 통신하며 원디램(400)을 통해 플래시 메모리(300)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드하거나 플래시 메모리(300)에 데이터를 라이트한다.
상기 제1 프로세서(100)가 시스템의 동작 초기에 상기 플래시 메모리(300)를 간접적으로 억세스하여 부팅을 행하는 과정과, 업데이트된 통신 코드를 상기 플래시 메모리(300)에 저장되도록 하는 과정은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컨벤셔날 기술에서는 모뎀 프로세서(100)의 플래시 레스(less) 부팅의 경우에,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0)는 디램 콘트롤러 셋팅을 위한 코드를 플래시 메모리(300)로부터 리드한 후 호스트간 시리얼 인터페이스인 UART를 통해 모뎀 프로세서(100)로 보내는 한편, 모뎀 프로세서용 OS를 플래시 메모리(300)로부터 리드한 후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인 원디램(400)에 라이트한다. 따라서, 모뎀 프로세서(100)는 상기 UART를 통해 인가되는 코드와 상기 원디램에 라이트된 모뎀 프로세서용 OS를 리드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모뎀 프로세서(100)는 부팅 이후 동작 중에 업데이트되는 통신 코드가 플래시 메모리(300)에 저장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원디램(400)에 통신 코드를 일단 라이트를 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0)에 라이트 되었다는 메시 지를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0)는 상기 라이트된 통신 코드를 상기 원디램(400)으로부터 리드하여 플래시 메모리(300)내의 코드 저장영역에 라이트한다.
따라서, 상기 모뎀 프로세서(10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0)의 도움을 받아 간접적으로 플래시 저장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호스트 인터페이스가 필요하고, 다이렉트 부팅이 힘들며, 데이터 전송 속도가 느리고,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0)에서의 전류 소모가 증대되는 문제점들이 있다.
바람직하기로, 어느 한 프로세서의 플래시 레스 구조에서도, 호스트 인터페이스가 필요 없으며, 다이렉트 부팅이 가능하고, 불휘발성 메모리에 직접적으로 라이팅이 가능한 개선된 기술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컨벤셔날 기술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개선된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를 채용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불휘발성 메모리의 공유 구조에서 다이렉트 억세스 기능을 제공하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를 채용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불휘발성 메모리의 공유구조에서 다이렉트 부팅이 가능케 할 수 있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로세서들 간의 시리얼 인터페이스를 없애고 디램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이렉트 부팅 및 다이렉트 라이팅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그리고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공유적 억세스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스템의 동작 중에 수시로 업데이트되는 통신 코드를 상대 프로세서의 도움 없이 플래시 메모리에 직접적으로 라이트 할 수 있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불휘발성 메모리의 공유 구조에서 호스트 인터페이스 없이도, 불휘발성 메모리와 간접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가 다이렉트 억세스를 수행하여 다이렉트 부팅 및 코드 데이터의 다이렉트 저장동작이 달성되도록 할 수 있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스템의 보안성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고 불휘발성 메모리의 억세스 시 프로세서들 간의 억세스 충돌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도록 할 수 있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an aspect)에 따른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프로세서들에 대응적으로 각기 접속된 복 수의 포트 유닛들과; 상기 포트 유닛들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들에 의해 공유적으로 억세스 되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일부에 설정된 메모리 용량단위로 할당된 공유 메모리 영역과; 상기 프로세서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과 상기 포트 유닛들 간의 데이터 패쓰를 제어하는 데이터 패쓰 제어부와;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외부에 위치되며 불휘발성 메모리의 억세스 권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들로 제공하는 억세스 권한정보 저장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 내에는 상기 프로세서들 각각에 의해 전용으로 억세스 되는 전용 메모리 영역들이 더 구비되며, 상기 데이터 패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외부에 위치되며 상기 프로세서들 모두에 의해 억세스 되는 내부 레지스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억세스 권한정보 저장부는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외부에 위치되며 상기 프로세서들 모두에 의해 억세스 되는 내부 레지스터로 구성되며,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에 대한 제어 권한을 저장하는 세맵퍼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내부 레지스터는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의 특정 영역을 억세스 하는 특정 어드레스가 인가될 경우에,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의 상기 특정 영역 대신에 억세스 되며 상기 데이터 패쓰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래치타입 레지스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레지스터는,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에 대한 제어 권한을 저장하는 세맵퍼 영역과, 데이터 전송 방향에 대응되는 프로세서들로 각기 인가되어질 메시지를 저장하며 상기 프로세서들의 수만큼 각 기 할당된 메일박스 영역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설정된 메모리 용량단위는 메모리 뱅크 단위이며,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는 낸드 또는 노아 타입의 플래시 메모리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양상(another aspect)에 따른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은:
제1 타스크를 수행하는 제1 프로세서;
제2 타스크를 수행하는 제2 프로세서;
상기 제1 및 제2 프로세서에 관련된 펌웨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들에 공유적으로 연결된 불휘발성 메모리; 및
상기 프로세서들에 대응적으로 각기 접속된 복수의 포트 유닛들과, 상기 포트 유닛들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들에 의해 공유적으로 억세스 되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일부에 설정된 메모리 용량단위로 할당된 공유 메모리 영역과, 상기 프로세서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과 상기 포트 유닛들 간의 데이터 패쓰를 제어하는 데이터 패쓰 제어부와, 및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외부에 위치되며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의 억세스 권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들로 제공하는 억세스 권한정보 저장부를 구비하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타스크는 통신 변복조 기능을 수행하는 작업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타스크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작업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은 차량 모바일 폰, PMP, PSP, PDA, 또는 휴대용 전화기 중의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는 EEPROM 계열의 메모리 또는 PRAM(Phase-change RA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 제1,2 타스크를 수행하는 제1,2 프로세서들에 공유적으로 연결되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불휘발성 메모리를 구비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상기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공유적으로 억세스하는 방법은:
상기 프로세서들에 대응적으로 각기 접속된 복수의 포트 유닛들과, 상기 포트 유닛들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들에 의해 공유적으로 억세스 되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일부에 설정된 메모리 용량단위로 할당된 공유 메모리 영역과,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외부에 위치되며 상기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의 억세스 권한에 대한 정보를 각기 저장하고 있는 래치타입 제1,2 저장부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상기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억세스하여 부팅을 일단 먼저 수행하고, 상기 제1 프로세서의 부팅을 위해 상기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내의 상기 제2 저장부에 억세스 권한을 이양하는 정보를 셋팅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프로세서가 부팅을 완료한 후, 상기 제2 프로세서에 의존함이 없이 , 상기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직접적으로 억세스하여 상기 제1 프로세서의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하는 단계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프로세서의 데이터는 모뎀 코드 데이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적 방법적 구성에 따르면, 불휘발성 메모리의 공유 구조에서도 불휘발성 메모리와 간접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가 다이렉트 억세스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호스트 인터페이스의 제거, 다이렉트 부팅, 및 코드 데이터의 다이렉트 저장이 효율적으로 실행되어, 부팅 성능이 우수하고 시스템의 전력소모가 최소화된다. 또한, 시스템의 보안성에 대한 신뢰성이 높아지며, 불휘발성 메모리의 억세스 시 프로세서들 간의 억세스 충돌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불휘발성 메모리의 공유 구조에서 다이렉트 억세스 기능을 제공하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를 채용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될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많은 특정 상세들이 도면을 따라 예를 들어 설명되고 있지만, 이는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보다 철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 이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설명되었음을 주목(note)하여야 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이 이들 특정한 상세들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을 것임은 본 분야의 숙련된 자들에 의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증, 공지 방법들, 프로시져들, 통상적인 다이나믹 랜덤 억세스 메모리나 플래시 메모리 및 그와 관련된 기능적 회로들은 본 발명을 모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불휘발성 메모리의 공유 구조에서도 불휘발성 메모리와 간접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가 다이렉트 억세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내에 메모리 셀 어레이의 외부에 위치되고 불휘발성 메모리의 억세스 권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들로 제공하는 억세스 권한정보 저장부가 구비된다. 따라서, 불휘발성 메모리와 간접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는, 직접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가 슬립프(sleep) 모드에 있더라도, 상기 억세스 권한정보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를 직접적으로 억세스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의 메모리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의 연결구성과는 달리, UART/SPI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호스트 인터페이스가 제거되고, 제1 프로세서(100)와 플래시 메모리(300)간의 버스라인(B3)이 설치된 것이 보여진다.
시스템 버스들(B1,B2)을 통해 각기 대응되는 프로세서들(100,200)과 연결되어 있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410)의 내부에서 메모리 셀 어레이를 구성하는 메모리 뱅크들을 4개로 설계할 경우에, 제1 전용 메모리 영역으로서 기능하는 A 뱅크(10)는 제1 프로세서(100)에 의해 전용으로 억세스 되고, 제2 전용 메모리 영 역들로서 기능하는 C,D 뱅크들(12,13)은 제2 프로세서에 의해 전용으로 억세스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공유 메모리 영역으로서 나타낸 B 뱅크(11)는 상기 제1,2프로세서들 (100,200)모두에 의해 억세스 되는 연결 구조로 되어 있다. 결국, 메모리 셀 어레이 내에서 상기 B 뱅크(11)는 공유 메모리 영역으로서 할당된다.
상기 전용 메모리 영역들(10,12,13)과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11)은 모두 하나의 억세스 트랜지스터와 하나의 스토리지 커패시터로 구성된 디램 셀들로 구현된다. 상기 디램 셀들은 셀 내의 저장 전하를 보존하기 위해 리프레쉬 동작을 필요로한다.
여기서, 상기 4개의 메모리 영역들(10,11,12,13)은 각기 DRAM의 뱅크 단위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뱅크는 예컨대 16Mb(메가비트), 32Mb, 64Mb, 128Mb, 256Mb, 512Mb, 또는 1024Mb 의 메모리 스토리지를 가질 수 있다.
불휘발성 메모리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300)는 상기 제1 프로세서(100)에 대응하여 마련된 제1 억세스 영역(310)과, 상기 제2 프로세서(200)에 대응하여 마련된 제2 억세스 영역(320)으로 나누어지며, 상기 제1,2 억세스 영역들(310,320)에는 각기 대응되는 프로세서에 적합한 펌 웨어(F/W)가 저장되어 있다.
제1 세맵퍼 영역(51a)에는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11)에 대한 억세스 권한정보가 저장되고, 제2 세맵퍼 영역(51b)에는 상기 플래시 메모리(300)에 대한 억세스 권한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제1 프로세서(100)는 상기 제2 프로세서(200)가 슬립프(sleep) 모드에 있더라도, 억세스 권한정보 저장부(51b)를 참조하여 플래시 메모리(3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버스라인(B3)을 통해 리드하거나 상기 플래시 메모리(300)에 데이터를 상기 버스라인(B3)을 통해 라이트할 수 있다.
도 3과 같은 공유적 메모리 연결 구조에 의해, UART/SPI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호스트 인터페이스 없이도, 상기 제1 프로세서(100)는 다이렉트 부팅 및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 대한 다이렉트 억세스를 수행한다.
도 4는 도 3의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에 대한 다이렉트 억세스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의 제1 세맵퍼 영역(51a)과 제2 세맵퍼 영역(51b)이 나타나 있고, 상기 제2 세맵퍼 영역(51b)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억세스가 결정되는 상기 플래시 메모리(300)의 영역들(310,320)이 보여진다. 예를 들어, 상기 플래시 메모리(300)에 대한 억세스 권한정보가 저장되는 상기 제2 세맵퍼 영역(51b)의 정보저장 영역들(51b-1,51b-2)에 데이터 "01"이 저장된 경우 상기 제1 프로세서(100)가 상기 플래시 메모리(300)의 상기 영역(310)을 억세스 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2 세맵퍼 영역(51b)의 정보저장 영역들(51b-1,51b-2)에 데이터 "10"이 저장된 경우 상기 제2 프로세서(200)가 상기 플래시 메모리(300)의 상기 영역(320)을 억세스 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다. 도 4에서 보여지는 문자부호들 /CE0,/CE1은 각기 칩 인에이블 핀을 가리킨다. 결국, 플래시 메모리(300)의 칩 인에이블 핀 /CE0,/CE1에 인가되는 논리 데이터가 "01"로서 주어지는 경우에 제1 프로세서 억세스 영역(310)이 상기 제1 프로세서(100)에 의해 억세스된다.
도 5는 도 3의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체적 기능 회로블록도이다. 도 5에서 보여지는 제1,2 포트들(60,61)은 포트 유닛들을 구성한다. 상기 포트 유닛들은 각기 대응되는 프로세서들(100,200)과 접속된다.
B 뱅크로서 명명된 공유 메모리 영역(11)는 상기 포트 유닛들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들에 의해 공유적으로 억세스 되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일부에 설정된 메모리 용량단위로 할당된다.
데이터 패쓰 제어부(50)로서 기능하는 레지스터부는 상기 프로세서들(100,2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11)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11)과 상기 포트 유닛들(60,61) 간의 데이터 패쓰를 제어한다. 도 5의 상기 레지스터부(50)에는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외부에 위치되며 플래시 메모리(300)의 억세스 권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상기 억세스 권한정보 저장부(51b)가 도 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포함되어 있다.
결국, 상기 레지스터부(50)는,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11)의 특정 영역(121)을 억세스 하는 특정 어드레스가 인가될 경우에,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11)의 상기 특정 영역 대신에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외부에서 대치적으로 억세스 되며 상기 데이터 패쓰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스위칭부(30)는 상기 데이터 패쓰 제어부(50)와 연결되어 제어 라인(C1)을 통해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신호(LCON)에 따라,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11)이 상기 제1 패쓰부(20) 또는 상기 제2 패쓰부(21)에 동작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결국, 제1 포트(60)에 연결된 제1 프로세서(100)가 상기 공유 메모리 영 역(11)을 억세스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패쓰부(20), 스위칭부(30), 및 공유 메모리 영역(11)간에 존재하는 라인들(L1,L10,L21)이 서로 동작적으로 연결된다.
도 5에서, 상기 제1 패쓰부(20)는 라인(L1)을 입출력 라인들(L10,L20)중의 하나에 스위칭하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가지며, 도 8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입출력 센스앰프 및 드라이버(22)와, 멀티플렉서 및 드라이버(26)로 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제2 패쓰부(21)는 라인(L2)을 입출력 라인들(L30,L11,L31)중의 하나에 스위칭하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가지며, 도 8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입출력 센스앰프 및 드라이버(22)와, 멀티플렉서 및 드라이버(26)로 구성될 수 있다.
인터럽트 드라이버(70)는 상기 레지스터부(50)와 연결되어 각 프로세서로 인가될 프로세서 인터럽트 신호(INTi)를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프로세서(100)는 미리 설정된 타스크(Task) 예컨대 통신신호의 변조 및 복조를 수행하는 모뎀(MODEM) 프로세서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프로세서(200)는 통신 데이터의 처리나 게임, 오락 등의 사용자 편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메모리 뱅크들과 내부 레지스터의 어드레스 할당 및 대치적 억세스 관계를 보여준다. 도 6에서, 각 뱅크들(10-13)이 16메가 비트의 용량으로 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공유 메모리 영역인 B 뱅크(11)내의 특정 영역은 디세이블 영역(121)으로 설정된다. 즉, DRAM으로 구성된 공유 메모리 영역(11)의 임의의 1행을 인에이블 시키는 특정 로우 어드레스(0x7FFFFFFFh ~ 0x8FFFFFFFh, 2KB 사이즈 = 1 로우 사이즈)가 인터페이스 부로서 기능하는 레지스터부(50)에 변경적으로 할당된다. 이에 따라, 상기 특정 로우 어드레스(0x7FFFFFFFh ~ 0x8FFFFFFFh)가 인가될 때, 공유 메모리 영역(11)의 대응되는 특정 워드라인 영역(121)은 디세이블되며, 대신에 상기 레지스터부(50)가 인에이블된다. 결국, 시스템적으로는 다이렉트 어드레스 매핑 방법을 사용하여 세맵퍼 영역들(51a,51b)과 메일박스 영역들(52,53)이 억세스되도록 하는 것이고, 내부적으로는 디세이블된 해당 어드레스로 접근하는 명령어를 해석하여 메모리 셀 어레이의 외부에 마련된 레지스터로 매핑을 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칩셋의 메모리 콘트롤러는 이 영역에 대하여 다른 메모리의 셀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멘드를 발생한다.
도 6에서, 세맵퍼 영역들(51a,51b)에는 공유 메모리 영역(11)과 상기 플래시 메모리(300)에 대한 억세스 권한정보가 각기 저장된다. 제1,2 메일박스 영역들(52,53)에는 상기 제1,2 프로세서들이 서로 상대 프로세서로 전송하는 메시지(권한 요청, 어드레스, 데이터 사이즈, 데이터가 저장된 공유 메모리의 어드레스를 가리키는 전송 데이터, 또는 명령어 등)가 쓰여진다. 즉, 상기 제1 메일박스 영역(52)에는 상기 제1 프로세서가 상기 제2 프로세서로 전송하는 메시지가 라이트되어 있고, 제2 메일박스 영역(53)에는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상기 제1 프로세서로 전송하는 메시지가 라이트되어 있다.
상기 세맵퍼(semaphore)영역들(51a,51b), 제1 메일 박스 영역(52:mail box A to B), 및 제2 메일 박스 영역(53:mail box B to A)은 각기 16비트로 할당될 수 있으며, 체크 비트 영역(54)은 4비트로 할당될 수 있다. 영역(55)은 예비 영역으로서 2비트로서 할당될 수 있다.
상기 영역들(51a,51b,52,53,54,55)은 상기 특정 로우 어드레스에 의해 공통적으로 인에이블 될 수 있으며, 인가되는 컬럼 어드레스에 따라 각기 개별적으로 억세스된다.
상기 레지스터부(50)는 프로세서들 간의 인터페이싱을 위해,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 영역과는 별도로 마련된 데이터 저장영역이며, 이는 상기 제1,2 프로세서들 모두에 의해 억세스 되며, 플립플롭, 데이터 래치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상기 레지스터부(50)는 DRAM의 메모리 셀과는 다른 래치타입 저장셀로 구성되므로 리프레쉬 동작을 요하지 않는다.
상기 제1,2 프로세서들(100,200)간의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멀티포트 DRAM(410)을 통해 구현되는 경우라면 상기 제1,2 프로세서들은 상기 메일 박스들(52,53)을 활용하여 상대 프로세서에게 메시지를 라이트할 수 있다. 라이트된 메시지를 리드한 수신 측 프로세서는 전송 측 프로세서의 메시지를 인식하고 그에 응답한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상기 메일 박스들(52,53)을 활용하여 프로세서들이 데이터 통신을 행하면, 호스트 인터페이스가 제거 또는 최소화되고 시스템 구조가 콤팩트 해지며, 시스템 동작상의 이점이 기대된다.
도 7은 도 5중 공유 메모리 영역에 대한 멀티패쓰 억세싱의 일예를 보여주는 상세 도면이다. 또한, 도 8은 도 5중 제1 포트 유닛과 제1 패쓰부 간의 세부적 연결 예를 보여주는 상세 블록도로서, 입출력 센스앰프 및 드라이버(22)와, 멀티플렉 서 및 드라이버(26)를 포함하는 구성이 보여진다.
도 7을 참조하면, 메모리 셀(4)은 도 5의 공유 메모리 영역(11)에 속해 있는 메모리 셀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11)은 스위칭부(30)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도 5의 제1,2 패쓰부(20,21)중의 하나와 동작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나타나 있다.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11)내에서, 하나의 억세스 트랜지스터(AT)와 스토리지 커패시터(C)로 구성된 상기 디램 셀(4)은 단위 메모리 소자를 형성한다. 상기 디램 셀(4)은 복수의 워드라인과 복수의 비트라인의 교차점에 연결되어 매트릭스 형태의 뱅크 어레이가 형성되도록 한다. 도 7에서 보여지는 워드라인(WL)은 상기 디램 셀(4)의 억세스 트랜지스터(AT)의 게이트와 로우 디코더(75)간에 배치된다. 상기 로우 디코더(75)는 로우 어드레스 멀티 플렉서(71)의 선택 로우 어드레스(SADD)에 응답하여 로우 디코딩 신호를 상기 워드라인 및 상기 레지스터부(50)로 인가한다. 비트라인 페어를 구성하는 비트라인(BLi)은 상기 억세스 트랜지스터(AT)의 드레인과 컬럼 선택 트랜지스터(T1)에 연결된다. 상보(컴플리멘터리)비트라인(BLBi)은 컬럼 선택 트랜지스터(T2)에 연결된다. 상기 비트라인 페어(BLi,BLBi)에 연결된 피형 모오스 트랜지스터들(P1,P2)과 엔형 모오스 트랜지스터들(N1,N2)은 비트라인 센스앰프(5)를 구성한다. 센스앰프 구동용 트랜지스터들(PM1,NM1)은 구동 신호(LAPG,LANG)를 각기 수신하여 상기 비트라인 센스앰프(5)를 구동한다. 상기 컬럼 선택 트랜지스터들(T1,T2)로 구성된 컬럼 선택 게이트(6)는 컬럼 디코더(74)의 컬럼 디코딩 신호를 전달하는 컬럼 선택 라인(CSL)에 연결된다. 상기 컬럼 디코 더(74)는 컬럼 어드레스 멀티 플렉서(70)의 선택 컬럼 어드레스(SCADD)에 응답하여 컬럼 디코딩 신호를 상기 컬럼 선택라인 및 상기 레지스터부(50)로 인가한다.
도 7에서 로컬 입출력 라인 페어(LIO,LIOB)는 제1 멀티 플렉서(7)와 연결된다. 상기 제1 멀티플렉서(7)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들(T10,T11)이 로컬 입출력 라인 제어신호(LIOC)에 의해 턴온될 때, 로컬 입출력 라인 페어(LIO,LIOB)는 글로벌 입출력 라인 페어(GIO,GIOB)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데이터의 리드 동작 모드에서는 로컬 입출력 라인 페어(LIO,LIOB)에 나타나는 데이터가 상기 글로벌 입출력 라인 페어(GIO,GIOB)로 전달된다. 한편, 반대로 데이터의 라이트 동작 모드에서는 상기 글로벌 입출력 라인 페어(GIO,GIOB)에 인가된 라이트 데이터가 상기 로컬 입출력 라인 페어(LIO,LIOB)로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로컬 입출력 라인 제어신호(LIOC)는 상기 로우 디코더(75)에서 출력되는 디코딩 신호에 응답하여 생성되는 신호일 수 있다.
상기 글로벌 입출력 라인 페어(GIO,GIOB)으로 전달된 리드 데이터는 라인들(L10,L11)중 하나를 통해 도 8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대응되는 입출력 센스앰프 및 드라이버(22)와 연결된다. 입출력 센스앰프(22)는 지금까지의 데이터 경로를 통해 전달됨에 따라 레벨이 미약해진 데이터를 재차로 증폭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입출력 센스앰프(22)로부터 출력된 리드 데이터는 도 8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입출력 센스앰프(22)와 함께 제1 패쓰부(20)를 구성하는 멀티플렉서 및 드라이버(26)를 통해 제1 포트(60)로 전달된다.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11)이 상기 제1 프로세서(100)에 의해 억세스된 상태이면, 상기 제2 프로세서(200)는 상기 라 인(L11)과는 접속되어 있는 상태가 아니므로, 공유 메모리 영역(11)에 대한 제2 프로세서(200)의 억세스 동작은 차단된다. 그렇지만, 이 경우에 제2 프로세서(200)는 제2 포트(61)를 통해 상기 전용 메모리 영역들(12,13)을 억세스 할 수 있다.
라이트 동작의 경우에, 상기 제1 포트(60)를 통해 인가되는 라이트 데이터는 도 8의 입력 버퍼(60-2), 멀티플렉서 및 드라이버(26), 입출력 센스앰프 및 드라이버(22), 및 상기 스위칭부(30)를 차례로 거쳐서 도 7의 상기 글로벌 입출력 라인 페어(GIO,GIOB)로 전달된다. 상기 제1 멀티플렉서(7)가 활성화되면 상기 라이트 데이터는 로컬 입출력 라인 페어(LIO,LIOB)로 전달되어, 선택된 메모리 셀(4)에 저장된다.
도 8에서 보여지는 출력 버퍼 및 드라이버(60-1)와 입력 버퍼(60-2)는 도 5의 제1 포트(60)에 대응되거나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센스앰프 및 드라이버(22)와 멀티플렉서 및 드라이버(26)는 도 5의 제1 패쓰부(20)에 대응되거나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멀티 플렉서 및 드라이버(26)는 하나의 프로세서가 동시에 공유 메모리 영역(11) 또는 전용 메모리 영역(10)을 억세스하는 경우를 방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7에서 보여진 바와 같은 세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의해, 공유 메모리 영역(11)을 2개의 프로세서들이 공통으로 억세스할 수 있으므로 프로세서들(100,200)간의 디램 인터페이싱 기능이 달성된다. 또한, 인터페이스 부로서 기능하는 레지스터부(50)를 활용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들(100,200)은 공통으로 억세스 가능한 공유 메모리 영역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도 3중 불휘발성 메모리의 세부적 회로블록이고, 도 10은 도 9중 메모리 셀 어레이를 구성하는 단위 메모리 셀의 구조를 보여준다. 또한, 도 11은 도 10의 단위 메모리 셀을 스트링 형태로 배치함에 의해 낸드 타입 메모리 셀 어레이를 구성한 예를 보여준다.
먼저, 도 9에서 보여지는 장치 블록들은 2004년 4월 22일자로 일본에서 공개된 일본특허공개번호 2004-127346호에 개시된 바 있다.
도 9에서, 메모리 셀 어레이(1),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의 입출력 데이터를 감지하고 저장하는 센스앰프 및 래치(2), 비트라인들을 선택하기 위한 컬럼 디코더(3), 입출력 버퍼(4), 워드라인들을 선택하기 위한 로우 디코더(5), 어드레스를 저장하고 있는 어드레스 레지스터(6), 프로그램이나 소거 동작을 위해 동작전원 전압보다 높은 고전압을 생성하는 고전압 발생회로(8), 및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회로(7)를 구비한 NAND 타입 플래시(flash)EEPROM의 블록 연결구성이 보여진다.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1)의 구성은 낸드 타입인 경우에 도 11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11은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1)내의 메모리 셀들에 대한 연결 구조를 보인 등가회로도이다.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1)는 셀 스트링(또는 낸드 셀 유닛이라고도 함)을 복수로 가지지만, 도면에서는 편의상 이븐 비트라인(BLe)에 연결된 제1 셀 스트링(1a)과 오드 비트라인(BLo)에 연결된 제2 셀 스트링(1b)만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 셀 스트링(1a)은, 드레인이 비트라인(BLe)에 접속된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SST1)와, 소오스가 공통 소오스 라인(CSL)에 접속된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GST1)와, 상기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SST1)의 소오스와 상기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GST1)의 드레인 사이에 드레인-소오스 채널들이 직렬로 접속된 복수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C31a,MC30a,...,MC0a)로 이루어져 있다. 유사하게, 상기 제2 셀 스트링(1b)은, 드레인이 비트라인(BLo)에 접속된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SST2)와, 소오스가 공통 소오스 라인(CSL)에 접속된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GST2)와, 상기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SST2)의 소오스와 상기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GST2)의 드레인 사이에 드레인-소오스 채널들이 직렬로 접속된 복수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C31b,MC30b,...,MC0b)로 이루어져 있다.
스트링 선택 라인(SSL)에 인가되는 신호는 상기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SST1,SST2)의 게이트에 공통으로 인가되고, 그라운드 선택 라인(GSL)에 인가되는 신호는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들(GST1,GST2)의 게이트에 공통으로 인가된다. 워드라인들(WL0-WL31)은 동일 행에 속하는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의 콘트롤 게이트에 등가적으로 공통으로 연결된다. 도 9의 센스앰프 및 래치(2)와 동작적으로 연결되는 비트라인들(BLe,BLo)은 상기 워드라인들(WL0-WL31)과는 다른 층에서 교차되게 배치되며 비트라인들끼리는 동일층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도 11에서 보여지는 임의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는 도 10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플로팅 게이트(58)를 콘트롤 게이트(60)의 하부에 갖는 모오스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과 같이, 전하 저장용 플로팅 게이트를 갖는 모오스 트랜지 스터로 이루어진 단위 메모리 셀의 동작들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될 것이다.
상기 NAND 타입 EEPROM의 동작 중 소거, 쓰기, 및 리드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일반적으로 수행된다. 소거와 프로그램(또는 쓰기)동작은 공지의 F-N터널링 전류(tunneling current)를 이용함으로써 달성된다. 예컨대, 소거 시에는 도 10에서 보여지는 기판(50)에 매우 높은 전위를 인가하고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의 CG(콘트롤 게이트:60)에 낮은 전위를 인가한다. 이 경우에 CG와 FG(플로팅 게이트:56)사이의 커패시턴스와 FG(58)와 기판(50)사이의 커패시턴스와의 커플링 비에 의해 결정된 전위가 상기 FG(58)에 인가된다. 상기 FG(58)에 인가된 플로팅 게이트 전압 Vfg와 기판(50)에 인가된 기판전압 Vsub간의 전위차가 F-N 터널링을 일으킬 수 있는 전위차보다 크면 상기 FG(58)에 모여 있던 전자들이 FG(58)에서 기판(50)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이 일어나면 CG(60), FG(58)와 소오스(54) 및 드레인(52)으로 이루어진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 Vt가 낮아지게 된다. 상기 Vt가 충분히 낮아져서 CG(60)와 소오스(54)에 0 V를 인가하더라도 드레인(52)에 적당히 높은 양의 전압을 가했을 때 전류가 흐르게 되면 우리는 이것을 "ERASE"되었다 라고 하고, 논리적으로(logically) "1" 로서 흔히 표시한다.
한편, 쓰기(즉, 프로그램)시에는 소오스(54)와 드레인(52)에 0 V를 인가하고 CG(60)에 매우 높은 전압을 인가하게 된다. 이 때 채널 영역엔 반전층(inversion layer)이 형성되면서 소오스(54)와 드레인(52)이 모두 0 V의 전위를 갖게 된다. CG와 FG사이 그리고 FG와 채널 영역사이의 커패시턴스의 비에 의해 결정된 Vfg와 Vchannel (0 V)사이에 인가된 전위차가 F-N 터널링을 일으킬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커지면 전자가 채널영역에서 FG(58)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Vt가 증가하게 되며 미리 설정한 양의 전압을 CG(60)에 가하고 소오스(54)에는 0 V를 가하고 드레인(52)에 적당한 양의 전압을 가했을 때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면 우리는 이것을 "PROGRAM" 되었다 라고 하고 논리적으로 "0" 으로 흔히 표시한다.
상기 제1,2 셀 스트링(1a,1b)과 같은 셀 스트링을 복수로 갖는 메모리 셀 어레이의 구성에서 페이지 단위는 동일 워드라인에 콘트롤 게이트가 공통으로 연결된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을 칭한다. 복수개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페이지들은 셀 블록이라고 칭해지며, 하나의 셀 블럭의 단위는 통상적으로 비트라인 당 한개 또는 복수개의 셀 스트링들을 포함한다. 낸드 플래쉬 메모리는 고속프로그래밍을 위하여 페이지 프로그램 모우드를 가지고 있다. 페이지 프로그램 동작은 데이터 로딩동작과 프로그램 동작으로 구성된다. 데이터 로딩동작은 입출력 단자들로부터 바이트 크기의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데이터 레지스터들에 래치 및 저장하는 동작이다. 데이터 레지스터는 각 비트라인에 대응할 수 있게 제공되어 있다. 프로그램 동작은 상기 데이터 레지스터들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트라인들을 통해 선택된 워드라인상의 메모리 트랜지스터들로 일시에 기입하는 동작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NAND 타입 EEPROM은 일반적으로 리드(read, 읽기), 프로그램(program, 쓰기)동작을 페이지 단위로 수행하고, 소거(erase)동작을 블록 단위로 수행한다. 실제적으로, 상기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의 FG와 채널간에 전자가 이동되는 현상은 프로그램과 소거동작에서만 일어나며, 리드동작에서는 상기 소거 및 프 로그램 동작들이 종료된 후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에 저장된 데이터를 해침이 없이 그대로 읽기만 하는 동작이 일어난다.
리드(read )동작에서,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의 비선택된 CG에는 선택된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의 CG에 인가되는 선택 리드 전압(Vr)보다 더 높은 전압(통상적으로 리드전압)이 인가된다. 그러면 선택된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의 프로그램 상태에 따라 대응되는 비트라인 상에는 전류가 흐르거나 흐르지 않게 된다. 정해진 전압조건에서 프로그램된 메모리 셀의 문턱전압(threshold voltage)이 기준치보다 높으면 그 메모리 셀은 오프셀(off-cell)로 판독되어 대응되는 비트라인 상에는 높은 레벨의 전압이 충전된다. 반대로, 프로그램된 메모리 셀의 문턱전압이 기준치보다 낮으면 그 메모리 셀은 온셀(on-cell)로 판독되어 해당하는 비트라인은 낮은 레벨로 방전된다. 이러한 비트라인의 상태는 상기 페이지 버퍼라고 불리우는 센스앰프(2)를 통하여 "0" 이나 "1"로 최종적으로 판독되는 것이다.
상기 셀 스트링 내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은 초기에 예를 들면, 약 -3V 이하의 문턱 전압을 갖도록 소거된다. 이후에,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를 프로그램하기 위해서, 소정 시간 동안 선택된 메모리 셀의 워드 라인으로 고전압을 인가하면, 상기 선택된 메모리 셀이 더 높은 문턱 전압으로 변화되는 반면에, 프로그램시 선택되지 않은 메모리 셀들의 문턱 전압들은 변화되지 않는다.
이제부터는, 상기 설명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의 일 실시예를, 본 발명의 보다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이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으로 돌아가서, 먼저, 상기 제1 프로세서(100)가 시스템의 동작 초기에 상기 플래시 메모리(300)를 직접적으로 억세스하여 다이렉트 부팅을 행하는 과정이 설명된다.
도 3과 같이 구성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 파워 온이 수행되면, 상기 제2 프로세서(200)의 부팅동작이 일단 먼저 수행된다. 이 경우에 상기 제2 프로세서(200)는 버스라인(B4)와 버스라인(B5)을 통해 상기 플래시 메모리(300)의 제2 영역(320)을 억세스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영역(320)내에 불휘발적으로 저장된 부트 코드 데이터가 상기 제2 프로세서(200)로 로딩되므로, 상기 제2 프로세서(200)의 부팅동작은 완료된다. 상기 제2 프로세서(200)는 상기 부팅 동작의 완료 후에 도 3에서 보여지는 상기 제2 세맵퍼(51b)에 플래그 데이터 "01"를 도 4를 통해 설명된 바와 같이 라이트한다. 이에 따라, 이제부터는 상기 플래시 메모리(300)에 대한 억세스 권한은 상기 제1 프로세서(100)로 넘어가게 된다. 상기 제2 세맵퍼(51b)의 데이터 변경에 따라 상기 플래시 메모리(300)의 제1 프로세서 억세스 영역(310)은 상기 버스라인(B5)과 버스라인(B3)을 통해 상기 제1 프로세서(100)와 동작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1 프로세서 억세스 영역(310)내에 불휘발적으로 저장된 부트 코드 데이터가 상기 제1 프로세서(100)로 직접적으로 로딩되므로, 상기 제1 프로세서(200)의 부팅동작이 수행된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0)와 모뎀 프로세서(100)간에 존재하던 도 2에서와 같은 시리얼 인터페이스가 제거되고, 모뎀 프로세서용 OS를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11)에 라이트 하고 상기 모뎀 프로세서(100)가 리드하는 동작이 생략된 다. 상기한 동작이 생략되는 경우에 데이터 전송속도가 개선되어진다.
한편, 모뎀 프로세서(100)의 부팅 완료 후, 동작 중에 업데이트된 통신 코드를 상기 플래시 메모리(300)에 저장되도록 하는 과정이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상기 제2 프로세서(200)는 부팅 후 응용 작업을 완료하면, 폰의 대기 상태에서 전원절약 기능을 위해 통상 슬립프 모드로 들어가게 된다. 이 경우에 상기 제2 프로세서(200)는 슬립프 모드로 들어가기 직전에, 항상 상기 제2 세맵퍼(51b)에 플래그 데이터 "01"를 라이트한다. 이에 따라, 상기 플래시 메모리(300)에 대한 억세스 권한은 상기 제1 프로세서(100)에 있게 된다. 이 경우에 상기 제2 프로세서(200)를 웨이크 업 함이 없이 상기 제1 프로세서(100)는 동작 중에 업데이트된 통신 코드를 상기 플래시 메모리(300)에 직접적으로 저장한다. 이 것이 바로 다이렉트 라이팅이다. 상기 플래시 메모리(300)로의 라이팅은 프로그램 동작을 의미한다. 상기 프로그램 동작은 도 10의 플로팅 게이트(58)에 전자를 주입하는 동작을 말하면, 이는 도 9 내지 도 11을 통하여 설명되었다.
유사하게, 상기 다이렉트 라이팅 동작에서, 상기 제2 세맵퍼(51b)의 데이터 는 "01"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플래시 메모리(300)의 제1 프로세서 억세스 영역(310)은 상기 버스라인(B5)과 버스라인(B3)을 통해 상기 제1 프로세서(100)와 동작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플래시 메모리(300)의 제1 프로세서 억세스 영역(310)에는 제1 프로세서(100)가 동작 중에 업데이트한 통신 코드가, 상기 제2 프로세서(200)의 도움 없이, 직접적으로 저장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원디램(410)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0)를 활용하여 플래시 메모리(300)내의 코드 저장영역에 간접적으로 라이트를 행하던 컨벤셔날 기술의 문제점이 말끔히 제거된다. 또한, 상기한 다이렉트 라이팅 동작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0)를 웨이크 업 시키지 않으므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서의 전류 소모가 증대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며, 플래시 메모리에서의 영역 구분에 기인하여 시스템의 보안성에 대한 신뢰성도 높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어느 한 프로세서의 플래시 레스 구조에서도, 호스트 인터페이스가 필요 없으며, 다이렉트 부팅이 가능하고, 불휘발성 메모리에 직접적으로 라이팅이 가능한 기술이 개시되었다.
상기한 동작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따르면, 불휘발성 메모리의 공유 구조에서도 불휘발성 메모리와 간접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가 다이렉트 억세스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호스트 인터페이스의 제거, 다이렉트 부팅, 및 코드 데이터의 다이렉트 저장이 효율적으로 실행되어, 부팅 성능이 우수하고 시스템의 전력소모가 최소화된다. 또한, 시스템의 보안성에 대한 신뢰성이 높아지며, 불휘발성 메모리의 억세스 시 프로세서들 간의 억세스 충돌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프로세서들의 개수는 2개 이상으로 확장될 수 있다. 상기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의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 CPU,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마이크로 콘트롤러, 리듀스드 명령 세트 컴퓨터, 콤플렉스 명령 세트 컴퓨터,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시스템 내의 프로세서들의 개수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이해되어져야 한다. 부가하면, 본 발명의 범위는 프로세서들이 동일 또는 다르게 되는 경우에 프로세서들의 어느 특별한 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위주로 도면을 따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또는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사안이 다른 경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의 공유 메모리 뱅크 구성, 세맵퍼의 구성, 또는 회로 구성 및 억세스 방법을 다양하게 변형 또는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공유 메모리 영역과 상기 포트 유닛들 간의 데이터 패쓰를 제어하는 데이터 패쓰 콘트롤의 구현을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레지스터를 이용한 세맵퍼의 구성을 예를 들었으나 여기에 한정됨이 없이 PRAM 등과 같은 타의 불휘발성 메모리 등에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확장가능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컨벤셔날 기술에 따라 개량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의 메모리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의 메모리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4는 도 3의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에 대한 다이렉트 억세스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 도면
도 5는 도 3의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체적 기능 회로블록도
도 6은 도 5의 메모리 뱅크들과 내부 레지스터의 어드레스 할당 및 대치적 억세스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5중 공유 메모리 영역에 대한 멀티패쓰 억세싱의 일예를 보여주는 상세 도면
도 8은 도 5중 제1 포트 유닛과 제1 패쓰부 간의 연결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도 3중 불휘발성 메모리의 세부적 회로블록도
도 10은 도 9중 메모리 셀 어레이를 구성하는 단위 메모리 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도 10의 단위 메모리 셀을 스트링 형태로 배치함에 의해 낸드 타입 메모리 셀 어레이를 구성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

Claims (24)

  1. 프로세서들에 대응적으로 각기 접속된 복수의 포트 유닛들과;
    상기 포트 유닛들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들에 의해 공유적으로 억세스 되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일부에 설정된 메모리 용량단위로 할당된 공유 메모리 영역과;
    상기 프로세서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과 상기 포트 유닛들 간의 데이터 패쓰를 제어하는 데이터 패쓰 제어부와;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외부에 위치되며 불휘발성 메모리의 억세스 권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들로 제공하는 억세스 권한정보 저장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 내에는 상기 프로세서들 각각에 의해 전용으로 억세스 되는 전용 메모리 영역들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외부에 위치되며 상기 프로세서들 모두에 의해 억세스 되는 내부 레지스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억세스 권한정보 저장부는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외부에 위치되며 상기 프로세서들 모두에 의해 억세스 되는 내부 레지스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레지스터는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의 특정 영역을 억세스 하는 특정 어드레스가 인가될 경우에,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의 상기 특정 영역 대신에 억세스 되며 상기 데이터 패쓰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래치타입 레지스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레지스터는,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에 대한 제어 권한을 저장하는 세맵퍼 영역과, 데이터 전송 방향에 대응되는 프로세서들로 각기 인가되어질 메시지를 저장하며 상기 프로세서들의 수만큼 각기 할당된 메일박스 영역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레지스터는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에 대한 제어 권한을 저장하는 세맵퍼 영역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메모리 용량단위는 메모리 뱅크 단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는 낸드 또는 노아 타입의 플래시 메모리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 제1 타스크를 수행하는 제1 프로세서;
    제2 타스크를 수행하는 제2 프로세서;
    상기 제1 및 제2 프로세서에 관련된 펌웨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들에 공유적으로 연결된 불휘발성 메모리; 및
    상기 프로세서들에 대응적으로 각기 접속된 복수의 포트 유닛들과, 상기 포트 유닛들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들에 의해 공유적으로 억세스 되며 메모리 셀 어레 이의 일부에 설정된 메모리 용량단위로 할당된 공유 메모리 영역과, 상기 프로세서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과 상기 포트 유닛들 간의 데이터 패쓰를 제어하는 데이터 패쓰 제어부와, 및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외부에 위치되며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의 억세스 권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들로 제공하는 억세스 권한정보 저장부를 구비하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스크는 통신 변복조 기능을 수행하는 작업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스크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작업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은 차량 모바일 폰, PMP, PSP, PDA, 또는 휴대용 전화기 중의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 내에는 상기 프로세서들 각각에 의해 전용으로 억세스 되는 전용 메모리 영역들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외부에 위치되며 상기 프로세서들 모두에 의해 억세스 되는 내부 레지스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억세스 권한정보 저장부는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외부에 위치되며 상기 프로세서들 모두에 의해 억세스 되는 내부 레지스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레지스터는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의 특정 영역을 억세스 하는 특정 어드레스가 인가될 경우에,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의 상기 특정 영역 대신에 억세스 되며 상기 데이터 패쓰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래치타입 레지스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레지스터는,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에 대한 제어 권한을 저장하는 세맵퍼 영역과, 데이터 전송 방향에 대응되는 프로세서들로 각기 인가되어질 메시지를 저장하며 상기 프로세서들의 수만큼 각기 할당된 메일박스 영역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레지스터는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에 대한 제어 권한을 저장하는 세맵퍼 영역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2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의 설정된 메모리 용량단위는 메모리 뱅크 단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는 EEPROM 계열의 메모리 또는 PRAM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어드레스에 의해 상기 내부 레지스터가 억세스될 때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의 특정 워드라인에 연결된 메모리 셀들은 모두 디세이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23. 제1,2 타스크를 수행하는 제1,2 프로세서들에 공유적으로 연결되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불휘발성 메모리를 구비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상기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공유적으로 억세스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들에 대응적으로 각기 접속된 복수의 포트 유닛들과, 상기 포트 유닛들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들에 의해 공유적으로 억세스 되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일부에 설정된 메모리 용량단위로 할당된 공유 메모리 영역과,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외부에 위치되며 상기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의 억세스 권한에 대한 정보를 각기 저장하고 있는 래치타입 제1,2 저장부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상기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억세스하여 부팅을 일단 먼저 수행하고, 상기 제1 프로세서의 부팅을 위해 상기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내의 상기 제2 저장부에 억세스 권한을 이양하는 정보를 셋팅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프로세서가 부팅을 완료한 후, 상기 제2 프로세서에 의존함이 없이 , 상기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직접적으로 억세스하여 상기 제1 프로세서의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하는 단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세서의 데이터는 모뎀 코드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80021221A 2008-03-07 2008-03-07 불휘발성 메모리의 공유 구조에서 다이렉트 억세스 기능을제공하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를 채용한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KR2009009595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221A KR20090095955A (ko) 2008-03-07 2008-03-07 불휘발성 메모리의 공유 구조에서 다이렉트 억세스 기능을제공하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를 채용한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US12/368,739 US8171233B2 (en) 2008-03-07 2009-02-10 Multi port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direct access function in shared structure of nonvolatile memory and multi processor syste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221A KR20090095955A (ko) 2008-03-07 2008-03-07 불휘발성 메모리의 공유 구조에서 다이렉트 억세스 기능을제공하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를 채용한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955A true KR20090095955A (ko) 2009-09-10

Family

ID=41054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1221A KR20090095955A (ko) 2008-03-07 2008-03-07 불휘발성 메모리의 공유 구조에서 다이렉트 억세스 기능을제공하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를 채용한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71233B2 (ko)
KR (1) KR200900959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017B1 (ko) * 2013-03-29 2014-12-29 주식회사 알티베이스 공유메모리 내의 인덱스 운용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099B1 (ko) * 2005-12-22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패쓰 억세스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메모리확장구조
US20100318720A1 (en) * 2009-06-16 2010-12-16 Saranyan Rajagopalan Multi-Bank Non-Volatile Memory System with Satellite File System
US8254199B1 (en) * 2009-12-29 2012-08-28 Micron Technology, Inc. Multi-channel memory and power supply-driven channel selection
US8380940B2 (en) * 2010-06-25 2013-02-19 Qualcomm Incorporated Multi-channel multi-port memory
US20120317356A1 (en) * 2011-06-09 2012-12-13 Advanced Micro Devic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haring memory between a plurality of processors
KR102011137B1 (ko) * 2012-12-07 2019-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처리 장치와 회로
US9431077B2 (en) 2013-03-13 2016-08-30 Qualcomm Incorporated Dual host embedded shared device controller
EP3662474B1 (en) 2017-07-30 2023-02-22 NeuroBlade Ltd. A memory-based distributed processor architectur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524455D0 (en) * 1985-10-03 1985-11-06 Isolation Systems Ltd Monitoring activity of peripheral devices
DE3639571A1 (de) * 1986-11-20 1988-06-01 Standard Elektrik Lorenz Ag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m urladen eines zweitrechners
JPH08161283A (ja) * 1994-12-07 1996-06-21 Sony Corp 複数プロセツサシステム
US7380085B2 (en) * 2001-11-14 2008-05-27 Intel Corporation Memory adapted to provide dedicated and or shared memory to multiple processors and method therefor
US7290080B2 (en) * 2002-06-27 2007-10-30 Nazomi Communications Inc. Application processors and memory architecture for wireless applications
JP2004078683A (ja) * 2002-08-20 2004-03-11 Toshiba Corp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共有メモリ制御方法
JP4170080B2 (ja) * 2002-11-28 2008-10-22 富士通株式会社 マルチプロセッサシステム
KR100751094B1 (ko) 2005-07-28 2007-08-21 엠텍비젼 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공유 방법 및 복수의 메모리를 포함하는원칩화된 멀티미디어 플랫폼을 구비한 장치
KR101275752B1 (ko) 2005-12-06 2013-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부팅 방법
JP2007183705A (ja) 2006-01-04 2007-07-19 Olympus Corp マルチプロセッサシステム
US7730268B2 (en) * 2006-08-18 2010-06-01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Multiprocessor system having an input/output (I/O) bridge circuit for transferring data between volatile and non-volatile memory
US20090217280A1 (en) * 2008-02-21 2009-08-2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hared-Resource Time Partitioning in a Multi-Core System
JP4920015B2 (ja) * 2008-09-03 2012-04-18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分散制御用制御ソフトウェアおよび電子制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017B1 (ko) * 2013-03-29 2014-12-29 주식회사 알티베이스 공유메모리 내의 인덱스 운용 장치 및 방법
US9411843B2 (en) 2013-03-29 2016-08-09 Altibase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n index in a shared mem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28638A1 (en) 2009-09-10
US8171233B2 (en) 2012-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1509B2 (en) Asynchronous/synchronous interface
KR20100041309A (ko) 각 프로세서들의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모두 활용 가능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KR100887417B1 (ko)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불휘발성 메모리의 공유적사용을 제공하기 위한 멀티패쓰 억세스블 반도체 메모리장치
US8171233B2 (en) Multi port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direct access function in shared structure of nonvolatile memory and multi processor system thereof
US7123521B1 (en) Random cache read
US8320200B2 (en)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and method of reading data therefrom
KR20090033539A (ko) 프로토콜 정의영역을 갖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그를 채용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과 멀티포트 반도체메모리 장치의 억세스 방법
US7773420B2 (en) Memory card system including NAND flash memory and SRAM/NOR flash memory, and data storage method thereof
US9965208B1 (en) Memory device having a controller to enable and disable mode control circuitry of the controller
KR20100034415A (ko) 메모리 링크 아키텍쳐를 활용한 부팅기능을 갖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US8359423B2 (en) Using LPDDR1 bus as transport layer to communicate to flash
KR20100032504A (ko) 공유 버스를 갖는 불휘발성 메모리와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채용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KR20090008519A (ko) 공유 레지스터를 갖는 멀티패쓰 억세스블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그에 따른 공유 레지스터 운영방법
KR20090103070A (ko) 멀티 링크 아키텍쳐에서 저장 상태정보의 다이렉트전송기능을 갖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KR20090092371A (ko) 래치타입 메모리 셀들로 이루어진 공유 메모리 영역을 갖는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를 채용한 멀티프로세서 시스템과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구동방법
KR101430687B1 (ko) 다이렉트 억세스 부팅동작을 갖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및그에 따른 다이렉트 억세스 부팅방법
KR100879463B1 (ko) 억세스 권한 이양 시 프리차아지 스킵을 방지하는 동작을갖는 멀티패쓰 억세스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090005786A (ko) 메모리 사용확장 기능을 갖는 멀티패쓰 억세스블 반도체메모리 장치 및 그에 따른 메모리 사용확장 방법
KR20080103183A (ko) 부트 램을 반도체 메모리 장치 내에 구비한 멀티 프로세서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프로세서 부팅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