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1309A - 각 프로세서들의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모두 활용 가능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 Google Patents
각 프로세서들의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모두 활용 가능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41309A KR20100041309A KR1020080100433A KR20080100433A KR20100041309A KR 20100041309 A KR20100041309 A KR 20100041309A KR 1020080100433 A KR1020080100433 A KR 1020080100433A KR 20080100433 A KR20080100433 A KR 20080100433A KR 20100041309 A KR20100041309 A KR 201000413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cessor
- processors
- memory
- application
- multiprocessor syste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67—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 common memory, e.g. mailbox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8—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in hierarchically structured memory systems, e.g. virtual memory system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4—Buffers; Shared memory;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 Processors (AREA)
Abstract
각 프로세서들의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모두 활용 가능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싱 기능을 각기 갖는 복수의 프로세서들과; 상기 프로세서들에 의해 각기 다른 포트를 통해 공유적으로 억세스 되며 메모리 셀 어레이 내에 할당된 공유 메모리 영역과,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외부에 위치되며 공유버스에 대한 억세스 권한을 상기 프로세서들로 제공하는 내부 레지스터를 가지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상기 프로세서들에 대응적으로 연결된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작업 수행시 오픈 운영체제로써 상기 복수의 프로세서들을 운영하고 상기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활용함에 의해,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작업이 상기 프로세서들로 각기 분산되어 처리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인터페이스로서 이용하여 각 프로세서들의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모두 활용함에 의해 시스템 퍼포먼스가 보다 개선된다.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싱 기능, 내부 레지스터, 듀얼 코어
Description
본 발명은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프로세서들의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모두 활용 가능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인간생활의 유비쿼터스 지향추세와 편리성의 요구에 따라, 인간들이 취급하게 되는 전자적 시스템도 그에 부응하여 눈부시게 발전되고 있다.
최근에 모바일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핸드 헬드 폰(HHP), 또는 PDA 등의 멀티미디어 전자기기에서는 기능이나 동작 수행의 고속화 및 원활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하나의 시스템 내에 복수의 프로세서들을 채용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이 선호된다. 예를 들어, 모바일 폰에는 사용자들의 컨버젼스 요구에 따라, 기본적인 전화 기능 이외에 음악, 게임, 카메라, 결제기능, 또는 동영상 기능 등이 추가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경우에 통신 변복조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프로세서와, 상기 통신 기능을 제외한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응용 프로세서가 상기 핸드 헬드 폰 내의 인쇄회로 기판에 함께 채용될 필요성이 있다.
그러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프로세싱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채용되는 반도체 메모리는 동작이나 기능 면에서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억세스 포트를 가지고서 그 억세스 포트들 각각을 통해 동시에 데이터를 입출력할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2개의 억세스 포트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는 듀얼포트 메모리로 칭해지고 있다. 전형적인 듀얼포트 메모리는 널리 공지된 것으로서, 랜덤 시퀀스로 억세스 가능한 RAM포트와 시리얼 시퀀스만으로 억세스 가능한 SAM 포트를 가지는 이미지 프로세싱용 비디오 메모리이다. 한편, 후술될 본 발명의 설명에서 보다 명확하게 구별될 것이지만, 그러한 비디오 메모리의 구성과는 달리, SAM 포트를 가지지 않으며, DRAM 셀로 구성된 메모리 셀 어레이 중 공유 메모리 영역을 복수의 억세스 포트를 통하여 각각의 프로세서들이 억세스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이나믹 랜덤 억세스 메모리를 우리는 상기 듀얼포트 메모리와 보다 철저히 구별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 내에서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또는 멀티패쓰 억세스블 반도체 메모리 장치라고 칭하기로 한다.
그러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 적합한 메모리를 기본적으로 구현하려는 본 발명자의 의도와 유사하게,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공유 메모리 영역이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억세스될 수 있도록 되어있는 선행기술이 에우지니 피.매터(Matter)외 다수에 의해 발명되어 2003년 5월 15일자로 미합중국에서 특허공개된 공개번호 US2003/0093628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 1을 참조하면, 메모리 어레이(35)는 제1,2,3 포션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메모리 어레이(35)의 제1 포션(33)은 포트(37)를 통해 제1 프로세서(70)에 의해서만 억세스되고 상기 제2 포션(31)은 포트(38)를 통해 제2 프로세서(80)에 의해서만 억세스되며, 제3 포션(32)은 상기 제1,2 프로세서(70,80)모두에 의해 억세스 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50)이 보여진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 어레이(35)의 제1,2 포션(33,31)의 사이즈는 상기 제1,2 프로세서(70,80)의 동작 부하에 의존하여 유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메모리 어레이(35)의 타입은 메모리 타입 또는 디스크 저장타입으로 구현되어지는 것이 나타나 있다.
DRAM 구조에서 제1,2 프로세서(70,80)에 의해 공유(shared)되는 제3 포션(32)을 메모리 어레이(35)내에 구현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의 과제들이 해결되어져야 한다. 그러한 해결 과제들 중의 하나는 메모리 어레이(35)내의 메모리 영역들의 배치와 각 포트에 대한 적절한 리드/라이트 패쓰(경로)제어 테크닉이다.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채용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각 프로세서들에는 어플리케이션 기능이 모두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모뎀 기능을 전용으로 수행하는 모뎀 프로세서의 경우에는 모뎀 기능을 수행할 뿐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한편,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어플리케이션 타스크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보다 많아지는 추세이나, 무턱대고 하이 엔드(high -end)급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채용하기란 제조 코스트상 어려운 일이다.
바람직하기로,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미사용하고 있는 프로세서의 어플리케이 션 기능을 보다 적절히 활용하여 시스템의 퍼포먼스를 높일 수 있는 테크닉이 본 분야에서 필요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 프로세서들의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모두 활용 가능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높은 등급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채용함이 없이도 멀티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인터페이스로서 이용함에 의해 어떤 프로세서에서 미활용되는 어플리케이션 기능이 활용되게 할 수 있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픈 타입의 운영체제를 통해 각 프로세서들의 어플리케이션 기능이 한꺼번에 수행되도록 하여 요구되는 타스크들이 병렬로 프로세싱될 수 있도록 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상(an aspect)에 따른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싱 기능을 각기 갖는 복수의 프로세서들과;
상기 프로세서들에 의해 각기 다른 포트를 통해 공유적으로 억세스 되며 메모리 셀 어레이 내에 할당된 공유 메모리 영역과,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외부에 위치되며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에 대한 억세스 권한을 상기 프로세서들로 제공하는 내부 레지스터를 가지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상기 프로세서들에 대응적으로 연결된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작업 수행시 오픈 운영체제로써 상기 복수의 프로세서들을 운영하고 상기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활용함에 의해,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작업이 상기 프로세서들로 각기 분산되어 처리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들 중 하나는 모뎀 프로세싱 기능을 갖는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작업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 영상 디스플레이 또는 엠피쓰리(MP3) 파일 재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모뎀 프로세싱 기능을 갖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된 어플리케이션 작업의 처리 결과는 상기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을 통해 다른 프로세서로 전송된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양상에 따른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은:
제1 타스크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싱 기능을 가지는 제1 프로세서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싱 기능을 제2 타스크로서 가지는 제2 프로세서와;
상기 제1,2 프로세서들에 의해 각기 다른 포트를 통해 공유적으로 억세스 되며 메모리 셀 어레이 내에 할당된 공유 메모리 영역과,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외부에 위치되며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에 대한 억세스 권한을 상기 제1,2 프로세서들로 제공하는 내부 레지스터를 가지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프로세서에서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작업 수행 시 오픈 운영체제로써 상기 제1,2 프로세서들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싱 기능을 운영하고 상기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활용함에 의해,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작업 중의 일부가 상기 제1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된 후 상기 제2 프로세서로 전송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타스크는 데이터 변복조 프로세싱 기능일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작업은 영화파일 재생, 메시지 편집, 디지털 스틸 카메라 영상 디스플레이, 또는 엠피쓰리(MP3) 파일 재생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레지스터는 상기 억세스 권한 정보를 저장하는 세맵퍼 영역과, 상기 억세스 권한을 요청하는 요청 정보 및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일 박스 영역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 내에 할당되며 상기 프로세서들에 의해 각기 전용으로 억세스되는 전용 메모리 영역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은 모바일 폰, PMP, PSP, PDA, 또는 차량 휴대용 전화기 중의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는 EEPROM 계열의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또는 PRAM(Phase-change RAM)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적 구성에 따르면,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인터페이스로서 이용하여 각 프로세서들의 어플리케이션 기능이 모두 활용됨에 의해 시스템 퍼포먼스가 현저히 개선된다. 따라서, 미드 엔드(mid-end)급의 프로세서들을 채용하여도 하이 엔드(high-end)급의 프로세서들로 구성된 것과 같은 데이터 프로세싱 성능이 얻어지므로, 시스템 구현 비용이 보다 저렴해지고, 시스템 사이즈도 보다 콤팩트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 프로세서들의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모두 활용 가능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될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많은 특정 상세들이 도면을 따라 예를 들어 설명되고 있지만, 이는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보다 철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 이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설명되었음을 주목(note)하여야 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이 이들 특정한 상세들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을 것임은 본 분야의 숙련된 자들에 의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증, 공지 방법들, 프로시져들, 통상적인 다이나믹 랜덤 억세스 메모리나 플래시 메모리 및 그와 관련된 기능적 회로들은 본 발명을 모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우선,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더욱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만으로, 컨베셔날 기술에 따른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이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컨벤셔날 기술에 따라 개선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의 메모리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2에서와 같이 컨벤셔날 기술의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기기 등을 구성하기 위해 상기한 도 1의 선행기술과는 대조적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도 2에서는, 2개의 프로세서(100,200)와, 하나의 멀티포트 DRAM(400)과, 2개의 플래시 메모리들(150,300)를 갖는 시스템 구조를 보여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분야에서의 컨벤셔날 기술로서, 핸드 헬드 폰과 같은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에 채용될 수 있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은,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400:원디램)를 기본적으로 갖는다. 상기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 채용된 제1,2 프로세서들(100,200)은 멀티포트를 갖는 DRAM(400)을 공유적으로 사용한다. 또한, 플래시 메모리(300)가 버스라인(B3)을 통해 상기 제2 프로세서(20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프로세서(100)는 상기 원디램(400)과 상기 제2 프로세서(200)를 통해 간접적으로 상기 플래시 메모리(300)를 억세스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프로세서(200)는 상기 플래시 메모리(300)를 직접적으로 억세스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프로세서(100)는 미리 설정된 타스크(Task) 예컨대 통신신호의 변조 및 복조를 수행하는 모뎀(MODEM) 프로세서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프로세서(200)는 데이터의 처리나 게임, 오락 등의 사용자 편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그러나, 사안이 다른 경우에 상기 프로세서들의 기능은 서로 반대로 되거나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제1,2 플래시 메모리들(150,300)는 셀 어레이의 구성이 NOR 구조를 갖게 되는 NOR 플래시 메모리나, 셀 어레이의 구성이 NAND 구조를 갖게 되는 NAND 플래시 메모리가 각기 될 수 있다. 상기 NOR 플래시 메모리나 NAND 플래시 메모리 모두는 플로팅 게이트를 갖는 모오스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메모리 셀을 어레이 형태로서 갖는 불휘발성 메모리로서, 전원이 오프되더라도 지워져서는 아니되는 데이터 예컨대 휴대용 기기의 부트 코드, 프로그램, 통신 데이터, 또는 보존용 데이터의 저장을 위해 탑재된다.
원디램(oneDRAM)으로도 불려지는 상기 멀티포트 DRAM(400)은 프로세서들(100,200)의 데이터 처리를 위한 메인 메모리로서 기능한다.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나의 멀티포트 DRAM(400)이 서로 다른 2개의 억세스 패쓰를 통하여 제1,2 프로세서들(100,200)에 의해 각기 억세스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멀티포트 DRAM(400)의 내부에는 시스템 버스들(B1,B2)에 각기 대응적으로 연결되는 포트들과 메모리 뱅크들이 마련된다. 그러한 복수의 포트 구성은 단일 포트를 갖는 통상의 DRAM과는 상이하다.
여기서, 도 2에서 보여지는 상기 멀티포트 DRAM(400)은 메모리 반도체 메이 커로서 세계적으로 유명한 대한민국의 삼성전자에 의해 상표 등록된 제품명 "원디램" 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그러한 원디램은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서 통신 프로세서와 미디어 프로세서 간의 데이터 처리 속도를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는 퓨전 (fusion)메모리 칩이다. 일반적으로 두 프로세서들이 있는 경우에 두 개의 메모리들이 통상적으로 요구된다. 그렇지만, 원디램 솔루션은, 프로세서들간의 데이터를 단일 칩을 통하여 라우팅할 수 있기 때문에, 두 개의 메모리들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듀얼 포트 어프로치를 취함에 의해, 원 디램은 프로세서들 간의 데이터 전송에 걸리는 시간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단일 원디램 모듈은 고성능 스마트 폰 및 다른 멀티미디어 리치 핸드 셋(rich-handset)내에서 적어도 2개의 모바일 메모리 칩들을 대치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 간의 데이터 처리 속도가 보다 빨라짐에 따라 원디램은 전력 소모를 약 30퍼센트 정도 감소시키며, 필요해지는 칩 수를 줄이고, 토탈 다이 에리어 커버리지를 약 50퍼센트 축소시킬 수 있다. 이 결과는 셀룰러 폰의 속도를 약 5배 증가시키고 배터리 수명을 길게 하고 핸드셋 디자인을 슬림하게 하는 결과를 야기한다.
상기 도 2에서 보여지는 멀티포트 DRAM(400)이 4개의 메모리 영역들로 이루어진 메모리 셀 어레이를 가지는 경우라고 하면, 하나의 메모리 영역을 가리키는 제1 뱅크는 제1 프로세서(100)에 의해 전용으로 억세스 되고, 제3 뱅크 및 제4 뱅크는 제2 프로세서(200)에 의해 전용으로 억세스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2 뱅크는 서로 다른 포트를 통하여 상기 제1,2프로세서들(100,200)모두에 의해 억세스 되어질 수 있다. 결국, 메모리 셀 어레이 내에서 제2 뱅크는 공유 메모리 영역으로 서 할당되고, 제1,3, 및 4 뱅크들은 각기 대응되는 프로세서에 의해서만 억세스되는 전용 메모리 영역으로서 할당되는 것이다.
상기 제1 프로세서(100)가 상기 제2 뱅크를 억세스하는 경우에 상기 멀티포트 DRAM(400)내의 패쓰 제어부(50)는 상기 제2 뱅크가 상기 시스템 버스(B1)에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제1 프로세서(100)가 상기 제2 뱅크를 억세스하는 동안에, 상기 제2 프로세서(200)는 전용 메모리인 상기 제3 뱅크 또는 제4 뱅크를 억세스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로세서(100)가 상기 제2 뱅크를 억세스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2 프로세서(200)는 비로소 공유 메모리 영역인 상기 제2 뱅크를 억세스할 수 있게 된다.
도 2의 메모리 연결 구조에서는, 제1 프로세서(100)에도 어플리케이션(90)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프로세서(100)는 모뎀 기능을 전용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어플리케이션 데이터의 프로세싱에는 활용되지 않는다. 만약,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전적으로 수행하는 제2 프로세서(200)가 디지털 스틸 카메라 기능의 구현과 MP3 기능의 구현을 동시에 원활히 행하기 위해서는 하이 엔드(high-end)급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시스템내에 채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여전히 그러한 경우에도 제1 프로세서(100)의 어플리케이션 기능은 전혀 활용되지 않기 때문에, 자원의 낭비가 초래되고 시스템 구현 코스트가 상승된다.
멀티미디어 요구의 증가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어플리케이션 타스크는 많아지는 추세이지만, 그렇다고 무턱대고 하이 엔드(high -end)급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시스템 내에 변경적으로 채용하는 것은 쉽지 않다.
만약, 미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모두 활용할 수 있다면,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의 퍼포먼스는 높아질 것임에 틀림없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3과 같은 시스템 구조를 마련하고 오픈 운영체제(OS)의 채용에 의해, 각 프로세서들의 어플리케이션 기능이 모두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 프로세서들의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모두 활용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의 구성에서는 멀티포트 메모리인 원디램(401)을 통해 제1 프로세서(100)와 제2 프로세서(200)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제2 프로세서(200)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싱 시에 제1 프로세서(100)의 어플리케이션(99) 기능도 함께 활용되므로, 마치 듀얼 코어 CPU처럼 프로세싱 동작이 가능해진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2 프로세서들(100,200)과, 공유 뱅크(11)를 갖는 멀티포트 메모리(410)와, 제1,2 플래시 메모리들(150,300)의 연결구성이 나타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제2 프로세서(200)에는 각각의 라인들(L10,L12)을 통해 디스플레이부(500)와 이어폰(510)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프로세서(100)는 모뎀 기능과 같은 제1 타스크(task)와 어플리케이션(99) 프로세싱 기능을 가지며, 상기 제2 프로세서(200)는 제2 타스크로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싱 기능을 전용으로 갖는다.
인터럽트 라인(L20)은 상기 제1,2 프로세서들(100,200)간에 연결되고, 제1 프로세서(100)에는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를 들어 제1 플래시 메모 리(150)가 버스라인(B4)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제2 프로세서(200)에는 제2 플래시 메모리(300)가 버스라인(B3)를 통해 연결된다.
원디램으로 구현가능하며 버스라인들(B1,B2)를 통해 제1,2 프로세서들(100,200)에 각기 연결된 멀티포트 메모리(410)는, 상기 제1,2 프로세서들(100,200)에 의해 각기 다른 포트를 통해 공유적으로 억세스 되며 메모리 셀 어레이 내에 할당된 공유 메모리 영역(11)과,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외부에 위치되며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에 대한 억세스 권한을 상기 제1,2 프로세서들(100,200)로 제공하는 내부 레지스터(도 5의 참조부호 50)를 가진다.
상기 제1 프로세서(100)에 대한 제1,2차 부트로더와 소프트웨어는 상기 제1 플래시 메모리(150)에 저장되고, 상기 제2 프로세서(200)에 대한 제1,2차 부트로더와 소프트웨어는 상기 제2 플래시 메모리(300)에 저장된다.
상기 1차 부트로더는 MBR(Master Boot Recorder) 등과 같은 프로그램이고, 상기 2차 부트로더는 프로세서의 운영체제를 동작시키기 위한 NTLDR(NT Loader)이나 GRUB(Grand Unified Bootloader) 등과 같은 프로그램일 수 있다.
상기 1차 부트로더는 어셈블리어로 작성되며, 프로세서는 상기 1차 부트로더를 리드하여 프로세서의 동작에 필수적인 저수준의 초기화를 수행한다. 상기 초기화 수행에 의해, 메모리 컨트롤러의 레지스터가 설정되고, 시스템 클럭의 속도가 설정되고, UART도 초기화된다. 또한, 상기 2차 부트로더는 C 언어로 작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저수준의 초기화 환경을 바탕으로 고수준의 초기화를 수행하는데 필요해진다. 즉, 상기 2차 부트로더는 운영체제를 동작시켜주는 프로그램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2차 부트로더가 운영체제로 제어권을 넘긴 후에는 부트로더의 역할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도 3에서, 상기 제2 프로세서(200)에서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작업 수행 시 오픈(open) 운영체제(OS)로써 상기 제1,2 프로세서들(200)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싱 기능을 운영하고 상기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410)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활용함에 의해,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작업 중의 일부가 상기 제1 프로세서(100)에 의해 처리된 후 상기 제2 프로세서(200)로 전송된다.
도 3에서 일점 쇄선으로 표시된 기능 블록(250)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작업을 수행시 마치 듀얼 코어의 동작처럼 작업을 수행하는 부분을 가리킨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운영 소프트웨어 계층 구조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장 상위 계층에는 오픈타입 운영 체제(7a)가 있고, 상기 운영 체제(7A)는 제2 어플리케이션(5c)을 직접적으로 수행하고, 원디램의 공유영역(6a)을 통해 제1 어플리케이션(4c)를 간접적으로 수행한다.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4c)의 하위 계층에는 제1 프로세서(100)의 파일 시스템(4b)과 제1 플래시 메모리(150)에 대한 플래시 드라이버(4a)가 차례로 하부로 위치된다. 또한, 제2 어플리케이션(5c)의 하위 계층에는 제2 프로세서(200)의 파일 시스템(5b)과 제2 플래시 메모리(300)에 대한 플래시 드라이버(5a)가 차례로 하부로 위치된다.
도 5는 도 3중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세부적 회로블록도이다.
도 5에서 보여지는 제1,2 포트들(60,61)은 포트 유닛들을 구성한다. 상기 포트 유닛들은 각기 대응되는 프로세서들(100,200)과 접속된다.
도 5에서, 시스템 버스들(B1,B2)을 통해 각기 대응되는 프로세서들(100,200)과 연결되어 있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410)의 내부에서 메모리 셀 어레이를 구성하는 메모리 뱅크들을 4개로 설계할 경우에, 제1 전용 메모리 영역으로서 기능하는 A 뱅크(10)는 제1 프로세서(100)에 의해 전용으로 억세스 되고, 제2 전용 메모리 영역들로서 기능하는 C,D 뱅크들(12,13)은 제2 프로세서에 의해 전용으로 억세스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공유 메모리 영역으로서 예로써 나타낸 B 뱅크(11)는 상기 제1,2프로세서들 (100,200)모두에 의해 억세스 되는 연결 구조로 되어 있다. 결국, 메모리 셀 어레이 내에서 상기 B 뱅크(11)는 공유 메모리 영역으로서 할당된다.
상기 전용 메모리 영역들(10,12,13)과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11)은 모두 하나의 억세스 트랜지스터와 하나의 스토리지 커패시터로 구성된 디램 셀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디램 셀들은 셀 내의 저장 전하를 보존하기 위해 리프레쉬 동작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4개의 메모리 영역들(10,11,12,13)은 각기 DRAM의 뱅크 단위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뱅크는 예컨대 16Mb(메가비트), 32Mb, 64Mb, 128Mb, 256Mb, 512Mb, 또는 1024Mb 의 메모리 스토리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멀티포트 DRAM(410)내의 내부 인터페이스(50)는 내부 레지스터로 구현되며 패쓰 제어부로서도 기능한다. 상기 내부 레지스터(50)는 상기 제1 프로세서(100)가 상기 제2 뱅크(11)를 억세스하는 경우에 상기 제2 뱅크(11)가 상기 시스템 버스(B1)에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제2 프로세서(200)가 상기 제2 뱅크(11)를 억세스하는 경우에 상기 제2 뱅크(11)가 상기 시스템 버스(B2)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스위칭부(30)를 제어한다.
B 뱅크로서 명명된 공유 메모리 영역(11)은 상기 포트 유닛들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들에 의해 공유적으로 억세스 되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일부에 설정된 메모리 용량단위로 할당된다.
패쓰 제어부로서 기능하는 내부 레지스터(50)는 상기 프로세서들(100,2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11)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11)과 상기 포트 유닛들(60,61) 간의 데이터 패쓰를 스위칭부(30)를 통해 제어한다. 상기 내부 레지스터(50)는,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11)의 특정 영역(121)을 억세스 하는 특정 어드레스가 인가될 경우에,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외부에서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11)의 상기 특정 영역 대신에 억세스 된다.
스위칭부(30)는 상기 패쓰 제어부인 내부 레지스터(50)와 연결되어 제어 라인(C1)을 통해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신호(LCON)에 따라,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11)이 상기 제1 패쓰부(20) 또는 상기 제2 패쓰부(21)에 동작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결국, 제1 포트(60)에 연결된 제1 프로세서(100)가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11)을 억세스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패쓰부(20), 스위칭부(30), 및 공유 메모리 영역(11)간에 존재하는 라인들(L1,L10,L21)이 서로 동작적으로 연결된다.
도 5에서, 상기 제1 패쓰부(20)는 라인(L1)을 입출력 라인들(L10,L20)중의 하나에 스위칭하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가지며, 도 8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입출력 센스앰프 및 드라이버(22)와, 멀티플렉서 및 드라이버(26)로 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제2 패쓰부(21)는 라인(L2)을 입출력 라인들(L30,L11,L31)중의 하나에 스위칭하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가지며, 도 8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입출력 센스앰프 및 드라이버(22)와, 멀티플렉서 및 드라이버(26)로 구성될 수 있다.
인터럽트 드라이버(70)는 상기 내부 레지스터(50)와 연결되어 각 프로세서로 프로세서 인터럽트 신호(INTi)를 인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프로세서(100)는 미리 설정된 타스크(Task) 예컨대 통신신호의 변조 및 복조를 수행하는 모뎀(MODEM) 프로세서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프로세서(200)는 통신 데이터의 처리나 게임, 오락 등의 사용자 편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메모리 뱅크들과 내부 레지스터의 어드레스 할당 및 대치적 억세스 관계를 보여준다.
도 6에서, 각 뱅크들(10-13)이 16메가 비트의 용량으로 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공유 메모리 영역인 B 뱅크(11)내의 특정 영역은 디세이블 영역(121)으로 설정된다. 즉, DRAM으로 구성된 공유 메모리 영역(11)의 임의의 1행을 인에이블 시키는 특정 로우 어드레스(0x7FFFFFFFh ~ 0x8FFFFFFFh, 2KB 사이즈 = 1 로우 사이즈)는 패쓰 제어 및 인터페이스 부로서 기능하는 내부 레지스터(50)를 억세스하는데 할당된다. 이에 따라, 상기 특정 로우 어드레스(0x7FFFFFFFh ~ 0x8FFFFFFFh)가 인가될 때, 공유 메모리 영역(11)의 대응되는 특정 워드라인 영역(121)은 디세이블되며, 대신에 상기 내부 레지스터(50)가 인에이블된다. 결국, 시스템적으로는 다이렉트 어드레스 매핑 방법을 사용하여 세맵퍼 영역(51a)과 메일박스 영역들(52,53)이 억세스되도록 하는 것이고, 내부적으로는 디세이블된 해당 어드레스로 접근하는 명령어를 해석하여 메모리 셀 어레이의 외부에 마련된 내부 레지스터로 매핑을 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프로세서들에 의해 구동되는 칩셋의 메모리 콘트롤러는 이 영역에 대하여 다른 메모리의 셀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멘드를 발생한다.
도 6에서, 세맵퍼 영역(51a)에는 공유 메모리 영역(11)에 대한 억세스 권한정보가 각기 저장된다. 메일박스 영역들(52,53)에는 상기 제1,2 프로세서들(100,200)이 서로 상대 프로세서로 전송하는 메시지(권한 요청, 어드레스, 데이터 사이즈, 데이터가 저장된 공유 메모리의 어드레스를 가리키는 전송 데이터, 또는 명령어 등)가 쓰여진다. 즉, 상기 메일박스 영역(52)에는 상기 제1 프로세서(100)가 상기 제2 프로세서(200)로 전송하는 메시지가 라이트되어 있고, 상기 메일박스 영역(53)에는 상기 제2 프로세서(200)가 상기 제1 프로세서(100)로 전송하는 메시지가 라이트되어 있다.
상기 세맵퍼(semaphore)영역(51a), 메일박스 영역들(52,53)은 각기 16비트로 할당될 수 있으며, 체크 비트 영역(54)은 4비트로 할당될 수 있다. 리저브 영역(55)은 예비 영역으로서 2비트로서 할당될 수 있다.
상기 영역들(51a,52,53,54,55)은 상기 특정 로우 어드레스에 의해 공통적으 로 인에이블 될 수 있으며, 인가되는 컬럼 어드레스에 따라 각기 개별적으로 억세스될 수 있다.
결국, 상기 내부 레지스터(50)는 프로세서들 간의 인터페이싱을 위해,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 영역과는 별도로 마련된 데이터 저장영역이다. 상기 내부 레지스터(50)는 상기 제1,2 프로세서들 모두에 의해 억세스 되며, 플립플롭, 데이터 래치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 레지스터(50)는 DRAM의 메모리 셀과는 다른 래치타입 저장셀로 구성되므로 리프레쉬 동작을 요하지 않는다.
상기 제1,2 프로세서들(100,200)간의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멀티포트 DRAM(410)을 통해 구현될 경우에, 상기 제1,2 프로세서들(10,200)은 상기 메일 박스들(52,53)을 활용하여 상대 프로세서에게 전송될 메시지를 라이트할 수 있다. 라이트된 메시지를 리드한 수신 측 프로세서는 전송 측 프로세서의 메시지를 인식하고 그에 응답한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3의 제2 프로세서(200)가 제1 프로세서(100)에게로 원디램(410)의 공유 메모리 영역인 B뱅크(11)에 대한 억세스 권한을 이양하는 경우에, 상기 제2 프로세서(200)는 도 6에서 보여지는 상기 세맵퍼 영역(51a)의 제1 플래그 데이터 "1"를 "0"으로 변경한 다음, 메일박스(52)에 억세스 권한을 변경한다는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라이트 한다. 그리고 소정 시간이 지난 후에는 자동적으로 상기 세맵퍼 영역(51a)의 제2 플래그 데이터는 "0"에서 "1"로 바뀌어 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11)에 대한 억세스 권한은 상기 제1 프로세서(100)로 넘어가게 된다. 상기 메일박스(52)의 메시지를 리드한 제1 프로세 서(100)는 억세스 권한 이양에 대한 메시지를 리드하고, 상기 세맵퍼 영역(51a)의 제2 플래그 데이터가 "1"로 변경되었는 지를 확인한다. 상기 제2 플래그 데이터가 "1"로 변경이 되었음을 확인 한 후, 상기 제1 프로세서(100)는 상기 메일박스(53)에 억세스 권한을 접수하였다는 것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라이트한다. 이 후, 상기 제1 프로세서(100)는 상기 제2 프로세서(200)의 권한 요청이나 자신의 타스크가 완료될 때 까지,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11)에 대한 억세스 권한을 독점적으로 갖는다.
도 7은 도 5중 공유 메모리 영역에 대한 멀티패쓰 억세싱의 일예를 보여주는 세부적 회로도이고, 또한, 도 8은 도 5중 제1 포트 유닛과 제1 패쓰부 간의 세부적 연결 예를 보여주는 상세 블록도로서, 입출력 센스앰프 및 드라이버(22)와, 멀티플렉서 및 드라이버(26)를 포함하는 구성이 보여진다.
도 7을 참조하면, 메모리 셀(4)은 도 5의 공유 메모리 영역(11)에 속해 있는 메모리 셀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11)은 스위칭부(30)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도 5의 제1,2 패쓰부(20,21)중의 하나와 동작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나타나 있다.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11)내에서, 하나의 억세스 트랜지스터(AT)와 스토리지 커패시터(C)로 구성된 상기 디램 셀(4)은 단위 메모리 소자를 형성한다. 상기 디램 셀(4)은 복수의 워드라인(WL)과 복수의 비트라인(BL)의 교차점에 연결되어 매트릭스 형태의 뱅크 어레이가 형성되도록 한다. 도 7에서 보여지는 워드라인(WL)은 상기 디램 셀(4)의 억세스 트랜지스터(AT)의 게이트와 로우 디코더(75)간에 배치된 다. 상기 로우 디코더(75)는 로우 어드레스 멀티 플렉서(71)의 선택 로우 어드레스(SADD)에 응답하여 로우 디코딩 신호를 상기 워드라인 및 상기 레지스터부(50)로 인가한다. 비트라인 페어를 구성하는 비트라인(BLi)은 상기 억세스 트랜지스터(AT)의 드레인과 컬럼 선택 트랜지스터(T1)에 연결된다. 상보(컴플리멘터리)비트라인(BLBi)은 컬럼 선택 트랜지스터(T2)에 연결된다. 상기 비트라인 페어(BLi,BLBi)에 연결된 피형 모오스 트랜지스터들(P1,P2)과 엔형 모오스 트랜지스터들(N1,N2)은 비트라인 센스앰프(5)를 구성한다. 센스앰프 구동용 트랜지스터들(PM1,NM1)은 구동 신호(LAPG,LANG)를 각기 수신하여 상기 비트라인 센스앰프(5)를 구동한다. 상기 컬럼 선택 트랜지스터들(T1,T2)로 구성된 컬럼 선택 게이트(6)는 컬럼 디코더(74)의 컬럼 디코딩 신호를 전달하는 컬럼 선택 라인(CSL)에 연결된다. 상기 컬럼 디코더(74)는 컬럼 어드레스 멀티 플렉서(70)의 선택 컬럼 어드레스(SCADD)에 응답하여 컬럼 디코딩 신호를 상기 컬럼 선택라인 및 상기 레지스터부(50)로 인가한다.
도 7에서 로컬 입출력 라인 페어(LIO,LIOB)는 제1 멀티 플렉서(7)와 연결된다. 상기 제1 멀티플렉서(7)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들(T10,T11)이 로컬 입출력 라인 제어신호(LIOC)에 의해 턴온될 때, 로컬 입출력 라인 페어(LIO,LIOB)는 글로벌 입출력 라인 페어(GIO,GIOB)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데이터의 리드 동작 모드에서는 로컬 입출력 라인 페어(LIO,LIOB)에 나타나는 데이터가 상기 글로벌 입출력 라인 페어(GIO,GIOB)로 전달된다. 한편, 반대로 데이터의 라이트 동작 모드에서는 상기 글로벌 입출력 라인 페어(GIO,GIOB)에 인가된 라이트 데이터가 상기 로컬 입출력 라인 페어(LIO,LIOB)로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로컬 입출력 라인 제어신 호(LIOC)는 상기 로우 디코더(75)에서 출력되는 디코딩 신호에 응답하여 생성되는 신호일 수 있다.
상기 글로벌 입출력 라인 페어(GIO,GIOB)으로 전달된 리드 데이터는 라인들(L10,L11)중 하나를 통해 도 8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대응되는 입출력 센스앰프 및 드라이버(22)와 연결된다. 입출력 센스앰프(22)는 지금까지의 데이터 경로를 통해 전달됨에 따라 레벨이 미약해진 데이터를 재차로 증폭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입출력 센스앰프(22)로부터 출력된 리드 데이터는 도 8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입출력 센스앰프(22)와 함께 제1 패쓰부(20)를 구성하는 멀티플렉서 및 드라이버(26)를 통해 제1 포트(60)로 전달된다.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11)이 상기 제1 프로세서(100)에 의해 억세스된 상태이면, 상기 제2 프로세서(200)는 상기 라인(L11)과는 접속되어 있는 상태가 아니므로, 공유 메모리 영역(11)에 대한 제2 프로세서(200)의 억세스 동작은 차단된다. 그렇지만, 이 경우에 제2 프로세서(200)는 제2 포트(61)를 통해 상기 전용 메모리 영역들(12,13)을 억세스 할 수 있다.
라이트 동작의 경우에, 상기 제1 포트(60)를 통해 인가되는 라이트 데이터는 도 8의 입력 버퍼(60-2), 멀티플렉서 및 드라이버(26), 입출력 센스앰프 및 드라이버(22), 및 상기 스위칭부(30)를 차례로 거쳐서 도 7의 상기 글로벌 입출력 라인 페어(GIO,GIOB)로 전달된다. 상기 제1 멀티플렉서(7)가 활성화되면 상기 라이트 데이터는 로컬 입출력 라인 페어(LIO,LIOB)로 전달되어, 선택된 메모리 셀(4)에 저장된다.
도 8에서 보여지는 출력 버퍼 및 드라이버(60-1)와 입력 버퍼(60-2)는 도 5 의 제1 포트(60)에 대응되거나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센스앰프 및 드라이버(22)와 멀티플렉서 및 드라이버(26)는 도 5의 제1 패쓰부(20)에 대응되거나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멀티 플렉서 및 드라이버(26)는 하나의 프로세서가 동시에 공유 메모리 영역(11) 또는 전용 메모리 영역(10)을 억세스하는 경우를 방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7에서 보여진 바와 같은 세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410)에 의해, 공유 메모리 영역(11)을 프로세서들이 공통으로 억세스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작업 수행시 오픈 운영체제로써 상기 복수의 프로세서들을 운영할 경우에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작업이 상기 프로세서들로 각기 분산되어 처리될 수 있다.
도 9는 도 3중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세부적 회로블록이고, 도 10은 도 9중 메모리 셀 어레이를 구성하는 단위 메모리 셀의 구조를 보여준다. 또한, 도 11은 도 10의 단위 메모리 셀을 스트링 형태로 배치함에 의해 낸드 타입 메모리 셀 어레이를 구성한 예를 보여준다.
먼저, 도 9에서 보여지는 장치 블록들은 통상적인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회로블록으로서 잘 알려져 있다.
도 9에서, 메모리 셀 어레이(1),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의 입출력 데이터를 감지하고 저장하는 센스앰프 및 래치(2), 비트라인들을 선택하기 위한 컬럼 디코더(3), 입출력 버퍼(4), 워드라인들을 선택하기 위한 로우 디코더(5), 어드레스를 저장하고 있는 어드레스 레지스터(6), 프로그램이나 소거 동작을 위해 동작전원 전압보다 높은 고전압을 생성하는 고전압 발생회로(8), 및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회로(7)를 구비한 NAND 타입 플래시(flash)EEPROM의 블록 연결구성이 보여진다.
여기서, 도 9와 같은 구성을 갖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는 도 3의 제1 플래시 메모리(150) 하나에 대응된다. 제2 플래시 메모리(300)는 또 다른 칩에 도 9와 같은 블록들을 포함하고 있다. 그렇지만, 상기 제1,2 플래시 메모리들(150,300)은 멀티칩 패키지로 구현되거나 상기 멀티포트 메모리(410)의 부팅 인터페이스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지원 하에서 하나의 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1)의 구성은 낸드 타입인 경우에 도 11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11은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1)내의 메모리 셀들에 대한 연결 구조를 보인 등가회로도이다.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1)는 셀 스트링(또는 낸드 셀 유닛이라고도 함)을 복수로 가지지만, 도면에서는 편의상 이븐 비트라인(BLe)에 연결된 제1 셀 스트링(1a)과 오드 비트라인(BLo)에 연결된 제2 셀 스트링(1b)만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 셀 스트링(1a)은, 드레인이 비트라인(BLe)에 접속된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SST1)와, 소오스가 공통 소오스 라인(CSL)에 접속된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GST1)와, 상기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SST1)의 소오스와 상기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GST1)의 드레인 사이에 드레인-소오스 채널들이 직렬로 접속된 복수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C31a,MC30a,...,MC0a)로 이루어져 있다. 유사하게, 상기 제2 셀 스트링(1b)은, 드레인이 비트라인(BLo)에 접속된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SST2)와, 소오스가 공통 소오스 라인(CSL)에 접속된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 터(GST2)와, 상기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SST2)의 소오스와 상기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GST2)의 드레인 사이에 드레인-소오스 채널들이 직렬로 접속된 복수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C31b,MC30b,...,MC0b)로 이루어져 있다.
스트링 선택 라인(SSL)에 인가되는 신호는 상기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SST1,SST2)의 게이트에 공통으로 인가되고, 그라운드 선택 라인(GSL)에 인가되는 신호는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들(GST1,GST2)의 게이트에 공통으로 인가된다. 워드라인들(WL0-WL31)은 동일 행에 속하는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의 콘트롤 게이트에 등가적으로 공통으로 연결된다. 도 9의 센스앰프 및 래치(2)와 동작적으로 연결되는 비트라인들(BLe,BLo)은 상기 워드라인들(WL0-WL31)과는 다른 층에서 교차되게 배치되며 비트라인들끼리는 동일층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도 11에서 보여지는 임의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는 도 10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플로팅 게이트(58)를 콘트롤 게이트(60)의 하부에 갖는 모오스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과 같이, 전하 저장용 플로팅 게이트를 갖는 모오스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단위 메모리 셀의 동작들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될 것이다.
상기 NAND 타입 EEPROM의 동작 중 소거, 쓰기, 및 리드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일반적으로 수행된다. 소거와 프로그램(또는 쓰기)동작은 공지의 F-N터널링 전류(tunneling current)를 이용함으로써 달성된다. 예컨대, 소거 시에는 도 10에서 보여지는 기판(50)에 매우 높은 전위를 인가하고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의 CG(콘트롤 게이트:60)에 낮은 전위를 인가한다. 이 경우에 CG와 FG(플로팅 게이트:56)사이 의 커패시턴스와 FG(58)와 기판(50)사이의 커패시턴스와의 커플링 비에 의해 결정된 전위가 상기 FG(58)에 인가된다. 상기 FG(58)에 인가된 플로팅 게이트 전압 Vfg와 기판(50)에 인가된 기판전압 Vsub간의 전위차가 F-N 터널링을 일으킬 수 있는 전위차보다 크면 상기 FG(58)에 모여 있던 전자들이 FG(58)에서 기판(50)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이 일어나면 CG(60), FG(58)와 소오스(54) 및 드레인(52)으로 이루어진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 Vt가 낮아지게 된다. 상기 Vt가 충분히 낮아져서 CG(60)와 소오스(54)에 0 V를 인가하더라도 드레인(52)에 적당히 높은 양의 전압을 가했을 때 전류가 흐르게 되면 우리는 이것을 "ERASE"된 것으로 정하고, 논리적으로(logically) "1" 로서 흔히 표시한다.
한편, 쓰기(즉, 프로그램)시에는 소오스(54)와 드레인(52)에 0 V를 인가하고 CG(60)에 매우 높은 전압을 인가하게 된다. 이 때 채널 영역엔 반전층(inversion layer)이 형성되면서 소오스(54)와 드레인(52)이 모두 0 V의 전위를 갖게 된다. CG와 FG사이 그리고 FG와 채널 영역사이의 커패시턴스의 비에 의해 결정된 Vfg와 Vchannel (0 V)사이에 인가된 전위차가 F-N 터널링을 일으킬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커지면 전자가 채널영역에서 FG(58)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Vt가 증가하게 되며 미리 설정한 양의 전압을 CG(60)에 가하고 소오스(54)에는 0 V를 가하고 드레인(52)에 적당한 양의 전압을 가했을 때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면 우리는 이것을 "PROGRAM" 된 것으로 정하고, 논리적으로 "0" 으로 흔히 표시한다.
상기 제1,2 셀 스트링(1a,1b)과 같은 셀 스트링을 복수로 갖는 메모리 셀 어레이의 구성에서 페이지 단위는 동일 워드라인에 콘트롤 게이트가 공통으로 연결된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을 칭한다. 복수개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페이지들은 셀 블록이라고 칭해지며, 하나의 셀 블럭의 단위는 통상적으로 비트라인 당 한개 또는 복수개의 셀 스트링들을 포함한다. 낸드 플래쉬 메모리는 고속프로그래밍을 위하여 페이지 프로그램 모우드를 가지고 있다. 페이지 프로그램 동작은 데이터 로딩동작과 프로그램 동작으로 구성된다. 데이터 로딩동작은 입출력 단자들로부터 바이트 크기의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데이터 레지스터들에 래치 및 저장하는 동작이다. 데이터 레지스터는 각 비트라인에 대응할 수 있게 제공되어 있다. 프로그램 동작은 상기 데이터 레지스터들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트라인들을 통해 선택된 워드라인상의 메모리 트랜지스터들로 일시에 기입하는 동작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NAND 타입 EEPROM은 일반적으로 리드(read, 읽기), 프로그램(program, 쓰기)동작을 페이지 단위로 수행하고, 소거(erase)동작을 블록 단위로 수행한다. 실제적으로, 상기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의 FG와 채널간에 전자가 이동되는 현상은 프로그램과 소거동작에서만 일어나며, 리드동작에서는 상기 소거 및 프로그램 동작들이 종료된 후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에 저장된 데이터를 해침이 없이 그대로 읽기만 하는 동작이 일어난다.
리드(read )동작에서,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의 비선택된 CG에는 선택된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의 CG에 인가되는 선택 리드 전압(Vr)보다 더 높은 전압(통상적으로 리드전압)이 인가된다. 그러면 선택된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의 프로그램 상태에 따라 대응되는 비트라인 상에는 전류가 흐르거나 흐르지 않게 된다. 정해진 전압조 건에서 프로그램된 메모리 셀의 문턱전압(threshold voltage)이 기준치보다 높으면 그 메모리 셀은 오프셀(off-cell)로 판독되어 대응되는 비트라인 상에는 높은 레벨의 전압이 충전된다. 반대로, 프로그램된 메모리 셀의 문턱전압이 기준치보다 낮으면 그 메모리 셀은 온셀(on-cell)로 판독되어 해당하는 비트라인은 낮은 레벨로 방전된다. 이러한 비트라인의 상태는 상기 페이지 버퍼라고 불리우는 센스앰프(2)를 통하여 "0" 이나 "1"로 최종적으로 판독되는 것이다.
상기 셀 스트링 내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은 초기에 예를 들면, 약 -3V 이하의 문턱 전압을 갖도록 소거된다. 이후에,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를 프로그램하기 위해서, 소정 시간 동안 선택된 메모리 셀의 워드 라인으로 고전압을 인가하면, 상기 선택된 메모리 셀이 더 높은 문턱 전압으로 변화되는 반면에, 프로그램시 선택되지 않은 메모리 셀들의 문턱 전압들은 변화되지 않는다.
도 12는 도 3에 따른 멀티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제어흐름도이다.
이제부터는, 상기 설명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의 일 실시예를, 본 발명의 보다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이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도 12를 바탕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3과 같은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 전원이 인가되면 S100 단계에서 초기화가 수행된다. 상기 S100 단계에서, 상기 제1,2 프로세서들(100,200)은 각기 대응 연결된 제1,2 플래시 메모리(150,300)로부터 1차 부트로더를 리드한다. 상기 1차 부트로더는 각 프로세서의 초기화를 위한 프로그램으로 서, MBR(Master Boot Recorder) 등과 같은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제1,2 프로세서들(100,200)은 어셈블리어로 작성될 수 있는 상기 1차 부트로더를 리드하여 프로세서 동작에 필수적인 저수준의 초기화를 수행한다. 그러한 초기화 수행에 의해, 프로세서 내부에 있는 메모리 컨트롤러의 레지스터가 설정되고, 시스템 클럭의 속도가 설정되고, UART도 초기화된다.
또한, 상기 S100단계에서 제1,2 프로세서들(100,200)은 각기 대응 연결된 제1,2 플래시 메모리(150,300)로부터 2차 부트로더를 리드한다. 여기서, 상기 2차 부트로더는 프로세서의 운영체제를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NTLDR(NT Loader)이나 GRUB(Grand Unified Bootloader) 등과 같은 프로그램일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C 언어로 작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저수준의 초기화 환경에 근거하여 보다 고수준의 초기화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S100단계에서 부트로더의 리드는, 도 10의 플로팅 게이트(58)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드하는 동작을 의미하며, 리드의 상세한 동작과정은 도 9 내지 도 11을 통하여 이미 설명되었다.
그리고, 상기 제2 프로세서(200)측에서 오픈 운영체제를 갖는 경우에, 상기 제2 프로세서(200)는 상기 제2 플래시 메모리(300)의 설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상기 제1,2 프로세서(100,200) 공용의 소프트웨어 예컨대 오픈 운영체제(OS)를 리드하여, 부팅 및 초기화 동작을 완료한다.
본 실시예에의 경우에는 운영체제 레벨에서 워크로드(work load)를 각 프로세서들로 분산하여야 하기 때문에 워크로드를 관리하는 스케쥴링 기능과 워크로드 완료에 따른 인터럽트 처리에 대한 기능이 부가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3이 핸드헬드 폰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디지털 스틸 카메라(DSC)에 의해 사진 데이터는 제2 플래시 메모리(300)에 저장되어 있고, MP3 데이터는 제1 플래시 메모리(150)에 저장된 경우라고 가정하고, 각 프로세서들의 어플리케이션 기능이 모두 활용되는 것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질 것이다.
먼저, 도 12에서의 S101단계는 DSC 기능인지 아닌지를 체크하는 단계이다. S101단계는 DSC 기능이 사용자에 의해 요구된 경우에, 상기 S102단계에서 제2 프로세서(200)의 어플리케이션 기능 수행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2 프로세서(200)는 이미지 센서로부터 얻어진 DSC 데이터를 처리하여 이를 라이트 하기 위해 제2 플래시 메모리(300)를 억세스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프로세서(200)가 메모리(300)를 억세스하는 도중에, S109단계에서 MP3 기능의 요구가 시스템에 들어오면, S120단계에서 MP3 기능의 체크가 패스되어 S120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S120단계에서, 상기 오픈 운영체제의 스케쥴링 기능에 의해, MP3 기능의 수행에 관련된 프로세싱은 제1 프로세서(100)의 AP(99)가 처리하는 것으로 결정되므로, 모뎀 프로세서인 제1 프로세서(99)의 AP가 웨이크업되고 MP3 파일이 디코딩된다. 결국, 메모리(410)의 지원하에 듀얼 코어 CPU에 의한 프로세싱과 같은 기능이 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 프로세서(100)가 상기 제1 플래시 메모리(150)에 저장된 MP3 파일에 대한 디코딩이 완료되면, S121단계에서 멀티포트 메모리(410)의 공유 뱅크(11)로 디코딩 완료된 데이터가 전송된다. 또한, S122단계에서 상기 제1 프로세서(100)는 인터럽트 신호(INT)를 라인(L20)을 통해 제2 프로세서(200)로 전송한다. 이 경우에, 도 5에서 보여지는 공유 메모리 영역(11)에 대한 억세스 권한 은 상기 제1 프로세서(100)에서 상기 제2 프로세서(200)로 이양된다.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11)에 대한 억세스 권한의 부여 및 이양은 도 5 내지 도 8을 통하여 이미 설명되었다.
따라서, 상기 제2 프로세서(200)는 이에 응답하여 S123단계를 실시한다. 상기 S123단계에서 상기 제2 프로세서(200)는 상기 공유 뱅크(11)를 통해 디코딩 완료된 상기 MP3 파일을 받아 이어폰 블록(510)으로 제공함에 의해 MP3가 재생되도록 한다. 결국, 상기 MP3 파일의 디코딩 처리는 상기 제1 프로세서(100)의 AP(99)를 활용함에 의해 구현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2 프로세서(200)는 어플리케이션 기능의 처리부담이 완화된 상태에서, S104단계 이하의 동작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2의 S104단계에서 DSC의 사진 데이터가 액정 화면(500)상에 디스플레이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MP3 파일 재생에 의한 음악을 귀로 듣는 상태에서, 눈으로는 사진 데이터를 액정 화면으로 볼 수 있게 된다.
한편, S105단계에서 자동 압축저장 명령 혹은 압축요구가 들어오면 상기 제2 프로세서(200)는 S106단계를 수행하여 JPEG 동작을 행한다. 상기 S106단계에서 압축된 데이터는 제2 플래시 메모리(150)에 라이트된다. 상기한 라이트 동작은 도 10의 플로팅 게이트(58)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작을 의미하며, 라이트 동작(프로그램 동작)의 상세한 동작과정은 도 9 내지 도 11을 통하여 이미 설명되었다.
상기한 설명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인터페이스로서 이용하여 각 프로세서들의 어플리 케이션 기능이 모두 활용됨에 의해 시스템 퍼포먼스가 현저히 개선된다. 따라서, 미드 엔드(mid-end)급의 프로세서들을 채용하여도 하이 엔드(high-end)급의 프로세서들로 구성된 것과 같은 데이터 프로세싱 성능이 얻어지므로, 시스템 구현 비용이 보다 저렴해지고, 시스템 사이즈도 보다 콤팩트해진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프로세서들의 개수는 3개 이상으로 확장될 수 있다. 상기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의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 CPU,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마이크로 콘트롤러, 리듀스드 명령 세트 컴퓨터, 콤플렉스 명령 세트 컴퓨터,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시스템 내의 프로세서들의 개수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이해되어져야 한다. 부가하면, 본 발명의 범위는 프로세서들이 동일 또는 다르게 되는 경우에 프로세서들의 어느 특별한 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위주로 도면을 따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또는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사안이 다른 경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메모리 연결구성이나 프로세서들의 동작 순서,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의 공유 메모리 뱅크 구성, 내부 레지스터 내의 세맵퍼 및 메일박스의 구성, 또는 회로 구성 및 억세스 방법을 다양하게 변형 또는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에이직(ASIC)프로세서에 의해 시스템 부팅이 주도적으로 수행되었으나, 다른 프로세서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으며, 원디램 내의 공유 메모리 영역과 , 상기 포트 유닛들 간의 데이터 패쓰를 제어하는 데이터 패쓰 콘트롤의 구현을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내부 레지스터를 이용한 세맵퍼의 구성을 예를 들었으나 여기에 한정됨이 없이 PRAM 등과 같은 타의 불휘발성 메모리 등에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확장가능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의 개략적 블록도
도 2는 컨벤셔날 기술에 따라 개선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의 메모리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 프로세서들의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모두 활용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의 블록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운영 소프트웨어 계층 구조도
도 5는 도 3중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세부적 회로블록도
도 6은 도 5의 메모리 뱅크 들과 내부 레지스터의 어드레스 할당 및 대치적 억세스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5중 공유 메모리 영역에 대한 멀티패쓰 억세싱의 일예를 보여주는 세부적 회로도
도 8은 도 5중 제1 포트 유닛과 제1 패쓰부 간의 연결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도 3중 플래쉬 메모리의 세부적 회로블록도
도 10은 도 9중 메모리 셀 어레이를 구성하는 단위 메모리 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도 10의 단위 메모리 셀을 스트링 형태로 배치함에 의해 낸드 타입 메모리 셀 어레이를 구성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도 3에 따른 멀티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제어흐름도
Claims (10)
-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싱 기능을 각기 갖는 복수의 프로세서들과;상기 프로세서들에 의해 각기 다른 포트를 통해 공유적으로 억세스 되며 메모리 셀 어레이 내에 할당된 공유 메모리 영역과,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외부에 위치되며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에 대한 억세스 권한을 상기 프로세서들로 제공하는 내부 레지스터를 가지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상기 프로세서들에 대응적으로 연결된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며,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작업 수행시 오픈 운영체제로써 상기 복수의 프로세서들을 운영하고 상기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활용함에 의해,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작업이 상기 프로세서들로 각기 분산되어 처리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들 중 하나는 모뎀 프로세싱 기능을 갖는 프로세서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작업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 영상 디스플레이 또는 엠피쓰리(MP3) 파일 재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프로세싱 기능을 갖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된 어플리케이션 작업의 처리 결과는 상기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을 통해 다른 프로세서로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 제1 타스크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싱 기능을 가지는 제1 프로세서와;어플리케이션 프로세싱 기능을 제2 타스크로서 가지는 제2 프로세서와;상기 제1,2 프로세서들에 의해 각기 다른 포트를 통해 공유적으로 억세스 되며 메모리 셀 어레이 내에 할당된 공유 메모리 영역과,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외부에 위치되며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에 대한 억세스 권한을 상기 제1,2 프로세서들로 제공하는 내부 레지스터를 가지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며;상기 제2 프로세서에서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작업 수행 시 오픈 운영체제로써 상기 제1,2 프로세서들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싱 기능을 운영하고 상기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활용함에 의해,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작업 중의 일부가 상기 제1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된 후 상기 제2 프로세서로 전송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스크는 데이터 변복조 프로세싱 기능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작업은 영화파일 재생, 메시지 편집, 디지털 스틸 카메라 영상 디스플레이, 또는 엠피쓰리(MP3) 파일 재생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레지스터는 상기 억세스 권한 정보를 저장하는 세맵퍼 영역과, 상기 억세스 권한을 요청하는 요청 정보 및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일 박스 영역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 내에 할당되며 상기 프로세서들에 의해 각기 전용으로 억세스되는 전용 메모리 영역들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프로세서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플래시 메모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0433A KR20100041309A (ko) | 2008-10-14 | 2008-10-14 | 각 프로세서들의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모두 활용 가능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
US12/577,281 US20100095089A1 (en) | 2008-10-14 | 2009-10-12 | Multiprocessor system with multiport memor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0433A KR20100041309A (ko) | 2008-10-14 | 2008-10-14 | 각 프로세서들의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모두 활용 가능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41309A true KR20100041309A (ko) | 2010-04-22 |
Family
ID=42099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00433A KR20100041309A (ko) | 2008-10-14 | 2008-10-14 | 각 프로세서들의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모두 활용 가능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100095089A1 (ko) |
KR (1) | KR20100041309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210729A1 (en) * | 2019-04-12 | 2020-10-15 |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 Elastic computing for in-vehicle computing system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678744B2 (en) * | 2010-05-03 | 2020-06-09 | Wind River Systems, Inc. | Method and system for lockless 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CN103180819A (zh) * | 2010-11-01 | 2013-06-26 |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 多处理器计算机系统和方法 |
GB2498359B (en) * | 2012-01-11 | 2014-05-14 | Broadcom Corp | Application engine module, modem module, wireless device and method |
US9431077B2 (en) * | 2013-03-13 | 2016-08-30 | Qualcomm Incorporated | Dual host embedded shared device controller |
TWI489268B (zh) * | 2013-04-09 | 2015-06-21 | Wistron Corp | 作業系統除錯裝置和方法 |
CN104007977A (zh) * | 2014-06-09 | 2014-08-27 | 威盛电子股份有限公司 | 电子装置及音频播放方法 |
US20150362980A1 (en) * | 2014-06-16 | 2015-12-17 | Apple Inc. | Always-On Processor as a Coprocessor |
KR102299008B1 (ko) | 2014-10-16 | 2021-09-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 |
KR102385552B1 (ko) | 2015-12-29 | 2022-04-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시스템-온-칩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WO2017142525A1 (en) * | 2016-02-17 | 2017-08-24 |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 Allocating a zone of a shared memory region |
CN105760217A (zh) * | 2016-03-23 | 2016-07-13 | 深圳森格瑞通信有限公司 | 一种访问共享内存的方法 |
CN106028382A (zh) * | 2016-05-27 | 2016-10-12 | 努比亚技术有限公司 | Nv参数读写装置和方法 |
KR101886176B1 (ko) * | 2016-10-25 | 2018-08-08 | 시큐리티플랫폼 주식회사 | 소유자만 기록 가능한 부트영역을 포함하는 저장장치 |
US20180150124A1 (en) * | 2016-11-28 | 2018-05-31 | Qualcomm Incorporated | Wifi memory power minimization |
CN106790001B (zh) * | 2016-12-12 | 2021-01-15 | 中电科华云信息技术有限公司 | 基于统一界面的多系统角色权限管理方法及系统 |
US10587575B2 (en) | 2017-05-26 | 2020-03-10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Subsystem firewalls |
US10353815B2 (en) | 2017-05-26 | 2019-07-16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Data security for multiple banks of memory |
US10346345B2 (en) | 2017-05-26 | 2019-07-09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Core mapping |
TWI703501B (zh) * | 2018-08-23 | 2020-09-01 | 慧榮科技股份有限公司 | 具有分散式信箱架構的多處理器系統及其溝通方法 |
US11030128B2 (en) * | 2019-08-05 | 2021-06-08 |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 Multi-ported nonvolatile memory device with bank allocation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173417B1 (en) * | 1998-04-30 | 2001-01-09 | Intel Corporation | Initializing and restarting operating systems |
US6987961B1 (en) * | 2004-06-28 | 2006-01-17 | Neomagic Corp. | Ethernet emulation using a shared mailbox between two processors in a feature phone |
KR100688537B1 (ko) * | 2005-03-16 | 2007-03-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다수개의 프로세서들에 억세스 가능한 메모리 장치를 갖는시스템 |
KR100745369B1 (ko) * | 2005-12-22 | 2007-08-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포트상태 시그날링 기능을 갖는 멀티패쓰 억세스블 반도체메모리 장치 |
KR100740635B1 (ko) * | 2005-12-26 | 2007-07-18 | 엠텍비젼 주식회사 | 휴대형 단말기 및 휴대형 단말기에서의 공유 메모리 제어방법 |
-
2008
- 2008-10-14 KR KR1020080100433A patent/KR2010004130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9
- 2009-10-12 US US12/577,281 patent/US20100095089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210729A1 (en) * | 2019-04-12 | 2020-10-15 |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 Elastic computing for in-vehicle computing system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00095089A1 (en) | 2010-04-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00041309A (ko) | 각 프로세서들의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모두 활용 가능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 |
US10712960B2 (en) | Configurable operating mode memory device and methods of operation | |
US8171233B2 (en) | Multi port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direct access function in shared structure of nonvolatile memory and multi processor system thereof | |
KR101165429B1 (ko) | 반도체 기억장치 및 그 액세스 방법 및 메모리 제어 시스템 | |
KR100725100B1 (ko) | 포트간 데이터 전송기능을 갖는 멀티패쓰 억세스블 반도체메모리 장치 | |
US20100077130A1 (en) | Multiprocessor system with booting function using memory link architecture | |
US20080256305A1 (en) | Multipath accessib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KR20090033539A (ko) | 프로토콜 정의영역을 갖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그를 채용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과 멀티포트 반도체메모리 장치의 억세스 방법 | |
KR20110013867A (ko) | 메모리 링크 아키텍쳐에서 플래시 레스 부팅 기능을 갖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 |
US9799402B2 (en) |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program method thereof | |
US20010018724A1 (en) |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US8359423B2 (en) | Using LPDDR1 bus as transport layer to communicate to flash | |
KR20190032815A (ko) |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 |
KR20100133649A (ko) | 메모리 링크 아키텍쳐에서 파워 오프 시 데이터 로스를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 |
US20070150669A1 (en) | Multi-path accessib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port state signaling function | |
KR20100032504A (ko) | 공유 버스를 갖는 불휘발성 메모리와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채용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 |
KR20070059462A (ko) |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부팅 방법 | |
US8886915B2 (en) | Multiprocessor system having direct transfer function for program status information in multilink architecture | |
KR20090008519A (ko) | 공유 레지스터를 갖는 멀티패쓰 억세스블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그에 따른 공유 레지스터 운영방법 | |
KR20090092371A (ko) | 래치타입 메모리 셀들로 이루어진 공유 메모리 영역을 갖는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를 채용한 멀티프로세서 시스템과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구동방법 | |
KR20190044968A (ko) |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 |
KR20110013868A (ko) | 멀티 코멘드 셋 동작 및 우선처리 동작 기능을 갖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 |
KR20160098839A (ko) | 메시지 전송 플로우 관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스토리지 디바이스 | |
KR101430687B1 (ko) | 다이렉트 억세스 부팅동작을 갖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및그에 따른 다이렉트 억세스 부팅방법 | |
CN107818804B (zh) | 存储器装置及包括其的存储器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