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5727A - 트러스거더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 - Google Patents

트러스거더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5727A
KR20090095727A KR1020080020838A KR20080020838A KR20090095727A KR 20090095727 A KR20090095727 A KR 20090095727A KR 1020080020838 A KR1020080020838 A KR 1020080020838A KR 20080020838 A KR20080020838 A KR 20080020838A KR 20090095727 A KR20090095727 A KR 20090095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ss
truss girder
prestress
composite material
gi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0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하란
Original Assignee
이하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하란 filed Critical 이하란
Priority to KR1020080020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5727A/ko
Publication of KR20090095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57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6/00Truss-type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 E01D2101/32Metal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러스부재 또는 합성재에 긴장재 또는 강봉 등을 이용하여 인장 발생부위에 인접한 트러스부재에 미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후, 트러스거더 시공과정에서 이를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하면서 인장 발생부위에 압축력을, 압축 발생부위에 인장력을 도입함으로써, 정모멘트 또는 부모멘트 구간에 완성계의 구조에 추가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보다 저형고이며, 경제적인 장지간의 교량 설계가 가능하며, 트러스부재의 사용량을 최소화시켜 재료 사용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기존의 트러스거더에 비해 공사비의 지출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트러스거더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거더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은 트러스부재 또는 합성재에 긴장재 및 정착장치를 설치하고,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단계(Ⅰ); 상기 트러스부재 또는 합성재를 연결하여 트러스거더를 형성하는 단계(Ⅱ); 상기 트러스거더를 교각 또는 교대 상에 거치하는 단계(Ⅲ); 상기 트러스거더에서 미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트러스부재 또는 합성재로부터 프리스트레스력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Ⅳ); 상기 트러스거더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슬래브를 형성하는 단계(Ⅴ); 상기 트러스거더에서 미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트러스부재 또는 합성재로부터 잔여 프리스트레스력을 전부 제거하는 단계(Ⅵ)를 순차적으로 시행하여 인장 발생부위에 압축력을, 압축 발생부위에 인장력을 도입함을 특징으로 한다.
트러스거더,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

Description

트러스거더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truss girder prestress introduction method}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러스부재 또는 합성재에 긴장재 또는 강봉 등을 이용하여 인장 발생부위에 인접한 트러스부재에 미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후, 트러스거더 시공 과정에서 이를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하면서 인장 발생부위에 압축력을, 압축 발생부위에 인장력을 도입하는 트러스거더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러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가는 직선재인 상현재(10a), 하현재(10b), 사재(10c)를 이용하여 삼각형 단위형태로 평면조립체로 차례로 구성한 것이며, 이를 이용한 트러스거더(16)라 한다.
여기서, 상기한 트러스거더는 높이가 비교적 높고 충복(Solid web)구조가 아니며, 또 부재는 주로 축방향으로 저항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비교적 가벼운 강중이라도 큰 내하력을 갖는다.
격간 부재마다 작용응력이 허용응력에 도달하도록 단면 치수를 변화시킴으로써 최소 단면적으로 설계할 수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트러스거더(16)는 설계시 전체의 좌굴에 유의하고 진동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상판의 강성에 유의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트러스거더(16)는 지간이 커지면 평판 거더교보다 사용 강재가 적어도 되지만 공작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불리한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트러스부재 또는 합성재에 긴장재 또는 강봉 등을 이용하여 인장 발생부위에 인접한 부재에 미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후, 트러스거더 부재로 사용하는 방법과, 트러스거더 시공 과정에서 이를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하면서 인장 발생부위에 압축력을, 압축 발생부위에 인장력을 도입함으로써, 정모멘트 또는 부모멘트 구간에 완성계의 구조에 추가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보다 저형고이며, 경제적인 장지간의 교량 설계가 가능하며, 트러스부재의 사용량을 최소화시켜 재료 사용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기존의 트러스거더에 비해 공사비의 지출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트러스거더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거더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은 트러스부재 또는 합성재에 긴장재 및 정착장치를 설치하고,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단계(Ⅰ); 상기 트러스부재 또는 합성재를 연결하여 트러스거더를 형성하 는 단계(Ⅱ); 상기 트러스거더를 교각 또는 교대 상에 거치하는 단계(Ⅲ); 상기 트러스거더에서 미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트러스부재 또는 합성재로부터 프리스트레스력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Ⅳ); 상기 트러스거더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슬래브를 형성하는 단계(Ⅴ); 상기 트러스거더에서 미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트러스부재 또는 합성재로부터 잔여 프리스트레스력을 전부 제거하는 단계(Ⅵ)를 순차적으로 시행하여 인장 발생부위에 압축력을, 압축 발생부위에 인장력을 도입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거더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 시공중에만 일시적으로 프리스트레스의 도입 및 제거를 위해 강봉 또는 긴장재를 사용하여 영구적인 프리스트레스의 도입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교량의 유지관리시 강봉 또는 긴장재의 정착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단지 교량의 시공중 설치된 정착구를 활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추가 도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장지간의 교량은 물론 중소지간의 교량과 저형고의 교량에도 적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부모멘트 또는 정모멘트 구간에 완성계의 구조에 추가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보다 저형고이며, 경제적인 장지간의 교량 설계가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트러스거더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트러스거더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거더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은 트러스부재(10) 또는 합성재에 긴장재(12) 및 정착장치(14)를 설치하고,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단계(Ⅰ); 상기 트러스부재(10) 또는 합성재를 연결하여 트러스거더(16)를 형성하는 단계(Ⅱ); 상기 트러스거더(16)를 교각(18) 또는 교대(20) 상에 거치하는 단계(Ⅲ); 상기 트러스거더(16)에서 미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트러스부재(10) 또는 합성재로부터 프리스트레스력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Ⅳ); 상기 트러스거더(16)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슬래브(22)를 형성하는 단계(Ⅴ); 상기 트러스거더(16)에서 미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트러스부재(10) 또는 합성재로부터 잔여 프리스트레스력을 전부 제거하는 단계(Ⅵ)를 순차적으로 시행하여 인장 발생부위에 압축력을, 압축 발생부위에 인장력을 도입한다.
여기서, 상기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단계(Ⅰ)는 트러스부재(10) 또는 합성재에 긴장재(12) 및 정착장치(14)를 배치하고, 상기 긴장재(12)에 압축력을 도입한다.
또한, 상기 프리스트레스력 일부 제거단계(Ⅳ)는 트러스부재(10) 또는 합성 재 제작시 도입된 프리스트레스력의 10∼50%를 제거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거더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을 단계별로 나누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 내지 4(g)는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공정도이다.
프리스트레스 도입단계(Ⅰ)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에서 상현재, 하현재, 수직재, 수평재 및 사재로 쓰이는 각각의 트러스부재(10) 또는 합성재를 연결하기 전 사하중 또는 활하중으로 인하여 인장이 발생하는 트러스부재(10) 또는 합성재의 인접 트러스부재(10) 또는 합성재에 미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되, 트러스부재(10) 또는 합성재에 긴장재(12) 및 정착장치(14)를 배치하고, 상기 긴장재(12)에 압축력을 도입한다.
트러스 형성단계(Ⅱ)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부재(10) 또는 합성재에 해당하는 상현재, 하현재, 사재 및 수직재의 길이를 운반 등을 고려하여 제작하고,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에서 이들을 연결하여 트러스거더(16)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트러스거더 거치단계(Ⅲ)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에서 조립된 트러스거더(16)를 교각(18) 및 교대(20) 위에 거치한다.
트러스거더 프리스트레스 일부 제거단계(Ⅳ)는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22) 콘크리트 타설 전 사하중 또는 활하중으로 인하여 인장이 발생하는 트러스부재(10) 또는 합성재에 압축력을 도입하기 위하여 미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 한 트러스부재(10) 또는 합성재의 프리스트레스력에서 일부인 10∼50%의 프리스트레스력을 제거한다.
슬래브(22) 형성단계(Ⅴ)는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거더(16)상에 일정한 강도를 갖는 콘크리트를 일정한 두께로 타설 및 양생시켜 슬래브(22)를 형성한다.
트러스거더 프리스트레스 전부 제거단계(Ⅵ)는 도 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거더(16) 조립시 미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트러스부재(10) 또는 합성재에서 나머지 프리스트레스력을 모두 제거하여 인장발생 부재에 압축력을, 압축 발생부위에 인장력을 도입한다.
도 5는 도 4a에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6은 도 4e에서 프리스트레스를 일부 제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7은 도 4g에서 프리스트레스를 전부 제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거더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부재(10) 또는 합성재에 텐던 또는 강봉 등의 긴장재(12)를 이용하여 인장발생 부재에 인접한 트러스부재(10) 또는 합성재에 미리 압축력(프리스트레스)을 도입한 후, 트러스거더(16) 시공과정에서 단계별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력(프리스트레스)을 일부를 제거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력(프리스트레스)을 전부 제거하면서 궁극적으로 인장발생 부위에 압축력을, 압축 발생부위에 인장력을 도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 거더에서 인장발생부위에 압축 프리스트레스 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거더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은 트러스거더(16)에 인장 발생부위에 미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압축 프리스트레스부재(10)를 설치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거더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은 트러스거더(16) 설치 후 최종 인장발생부위에 해당되는 트러스거더(16)의 부분에 미리 압축력이 도입된 프리스트레스 트러스부재(10) 또는 합성재를 설치하여, 하중 재하시 인장력과 압축력이 서로 상쇄되어 공용중 트러스부재(10) 또는 합성재에 발생하는 응력을 감소시킨다.
도 1은 일반적인 트러스거더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트러스거더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트러스거더를 도시한 단면도,
도 4(a) 내지 4(g)는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공정도,
도 5는 도 4a에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도 4e에서 프리스트레스를 일부 제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도 4g에서 프리스트레스를 전부 제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 거더에서 인장발생부위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트러스부재 10a: 상현재
10b: 하현재 10c: 사재
10d: 수직재 10e: 연결판
12: 긴장재 14: 정착장치
16: 트러스거더 18: 교각
20: 교대 22: 슬래브

Claims (4)

  1. 트러스부재(10) 또는 합성재에 긴장재(12) 및 정착장치(14)를 설치하고,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단계(Ⅰ);
    상기 트러스부재(10) 또는 합성재를 연결하여 트러스거더(16)를 형성하는 단계(Ⅱ);
    상기 트러스거더(16)를 교각(18) 또는 교대(20) 상에 거치하는 단계(Ⅲ);
    상기 트러스거더(16)에서 미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트러스부재(10) 또는 합성재로부터 프리스트레스력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Ⅳ);
    상기 트러스거더(16)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슬래브(26)를 형성하는 단계(Ⅴ);
    상기 트러스거더(16)에서 미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트러스부재(10) 또는 합성재로부터 잔여 프리스트레스력을 전부 제거하는 단계(Ⅵ)를 순차적으로 시행하여 인장 발생부위에 압축력을, 압축 발생부위에 인장력을 도입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거더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단계(Ⅰ)는 트러스부재(10) 또는 합성재에 긴장재(12) 및 정착장치(14)를 배치하고, 상기 긴장재(12)에 압축력을 도입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거더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스트레스력 일부 제거단계(Ⅳ)는 트러스부재(10) 또는 합성재 제작시 도입된 프리스트레스력의 10∼50%를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거더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거더(16)에 인장 발생부위에 미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압축 프리스트레스부재(10)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거더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
KR1020080020838A 2008-03-06 2008-03-06 트러스거더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 KR200900957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838A KR20090095727A (ko) 2008-03-06 2008-03-06 트러스거더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838A KR20090095727A (ko) 2008-03-06 2008-03-06 트러스거더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727A true KR20090095727A (ko) 2009-09-10

Family

ID=41296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0838A KR20090095727A (ko) 2008-03-06 2008-03-06 트러스거더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5727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117B1 (ko) * 2010-09-09 2011-06-14 최하정 트러스구조물과 이의 제작방법 및 트러스구조물을 이용한 트러스교와 이의 시공방법
CN108032425A (zh) * 2017-11-21 2018-05-15 重庆大业新型建材集团有限公司 一种流态混凝土叠合板叠层生产制备方法
CN108032428A (zh) * 2017-11-21 2018-05-15 重庆大业新型建材集团有限公司 一种预埋桁架式叠合板的制备方法
CN108032427A (zh) * 2017-11-21 2018-05-15 重庆大业新型建材集团有限公司 矩形槽式叠合板的制备方法
CN108044788A (zh) * 2017-11-21 2018-05-18 重庆大业新型建材集团有限公司 外墙板的层叠式制备方法
CN108044783A (zh) * 2017-11-21 2018-05-18 重庆大业新型建材集团有限公司 一种流态混凝土叠合板的制备方法
CN108068211A (zh) * 2017-11-21 2018-05-25 重庆大业新型建材集团有限公司 塑性混凝土槽形板生产制备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117B1 (ko) * 2010-09-09 2011-06-14 최하정 트러스구조물과 이의 제작방법 및 트러스구조물을 이용한 트러스교와 이의 시공방법
CN108032425A (zh) * 2017-11-21 2018-05-15 重庆大业新型建材集团有限公司 一种流态混凝土叠合板叠层生产制备方法
CN108032428A (zh) * 2017-11-21 2018-05-15 重庆大业新型建材集团有限公司 一种预埋桁架式叠合板的制备方法
CN108032427A (zh) * 2017-11-21 2018-05-15 重庆大业新型建材集团有限公司 矩形槽式叠合板的制备方法
CN108044788A (zh) * 2017-11-21 2018-05-18 重庆大业新型建材集团有限公司 外墙板的层叠式制备方法
CN108044783A (zh) * 2017-11-21 2018-05-18 重庆大业新型建材集团有限公司 一种流态混凝土叠合板的制备方法
CN108068211A (zh) * 2017-11-21 2018-05-25 重庆大业新型建材集团有限公司 塑性混凝土槽形板生产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95727A (ko) 트러스거더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
KR101012759B1 (ko) 초고강도 콘크리트 날개형 캔틸레버부를 구비한 교량용 콘크리트 박스 거더 및 이를 이용한 박스 거더 교량
KR101283535B1 (ko) 완전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1202416B1 (ko) 프리플렉스 합성빔과 피에스씨빔을 이용한 구조용 빔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CN108914778B (zh) 一种对组合梁上翼缘的混凝土板施加预压力的方法
KR100349864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 아이빔 교량의 구조적 연속화 공법
KR100982974B1 (ko) 다경간 연속 리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합성형교 시공방법
KR100923409B1 (ko) 시공단계에 따른 단면력을 고려한 보강구조를 가진 스플라이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교량의 시공방법
KR101131969B1 (ko) 피에스씨(psc) i형 거더를 이용한 합성형 교량의다경간 연속화 공법
KR20100025161A (ko) 교대 벽체와 일체화 시공되는 피에스씨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
KR100720996B1 (ko) 프리캐스트 교량바닥판을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KR100767145B1 (ko) 횡방향 강선을 이용해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한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가설교량의 시공법
KR100785634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교량의 연속화 구조 및 그공법
KR20050018195A (ko) 다수개의 지지장치가 설치된 브라켓을 이용하여 교량을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다중지점 지지브라켓 및 이의설치방법
KR20130090709A (ko) 교각 또는 교대 위에서 상부 플랜지 콘크리트와 바닥판 콘크리트를 일체로 타설하는 복부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교량의 시공방법
CN1147589A (zh) 一种新的预应力钢筋混凝土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402147B1 (ko) 피에스씨 강봉을 이용한 단순형 합성보의 2차 프리스트레싱 공
KR20150083446A (ko)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거더 및 강박스 거더를 이용한 라멘교 타입 교량의 시공법
KR100960091B1 (ko) 프리스트레스 강 거더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0341342B1 (ko) 가 지점의 상승.하강을 이용한 피에스씨 빔교의 시공 및 보수, 보강공법
KR101103557B1 (ko) 인장력도입용 긴장장치를 이용한 피에스씨 빔 제작방법 및 교량시공방법
KR100720997B1 (ko) 현장타설 콘크리트 교량바닥판을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KR100944005B1 (ko) 강 거더에 프리스트레싱을 도입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의해 제작된 강 거더
KR100500382B1 (ko) 프리캐스트 거더의 연속화 시공방법 및 연결구조
KR100465350B1 (ko) 편심거리가 연장된 피에스씨 합성빔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