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6117B1 - 트러스구조물과 이의 제작방법 및 트러스구조물을 이용한 트러스교와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트러스구조물과 이의 제작방법 및 트러스구조물을 이용한 트러스교와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6117B1
KR101026117B1 KR1020100088270A KR20100088270A KR101026117B1 KR 101026117 B1 KR101026117 B1 KR 101026117B1 KR 1020100088270 A KR1020100088270 A KR 1020100088270A KR 20100088270 A KR20100088270 A KR 20100088270A KR 101026117 B1 KR101026117 B1 KR 101026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ss structure
point
truss
chord
joi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8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하정
Original Assignee
최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하정 filed Critical 최하정
Priority to KR1020100088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1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6/00Truss-type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러스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러스교에서 인장이 발생하는 부분의 트러스구조물에 강재를 긴장시켜 인장단면력에 대응하도록 하고, 압축이 발생하는 부분의 트러스구조물에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압축단면력에 대응하도록 하여 안전하고 경제적인 트러스교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트러스구조물을 이용한 트러스교와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러스구조물과 이의 제작방법 및 트러스구조물을 이용한 트러스교와 이의 시공방법{Fabrication of truss structures and construction method of truss bridges}
본 발명은 트러스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러스교에서 인장이 발생하는 부분의 트러스구조물에 강재를 긴장시켜 인장단면력에 대응하도록 하고, 압축이 발생하는 부분의 트러스구조물에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압축단면력에 대응하도록 하여 안전하고 경제적인 트러스교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트러스구조물을 이용한 트러스교와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러스교는 50 ~ 200M 까지 중.장지간에 폭넓게 적용시킬 수 있는 교량형식으로 모든 부재가 주로 축방향력에 저항하는 구조 특성상 단면효율이 높은 구조형식이다.
그러나 강판을 이용하여 사각단면을 구성하는 종래의 트러스교는 강판의 제단, 내부 보강재의 설치, 각 변의 용접, 부재의 연결, 절점부 거셋 플레이트의 제작 그리고 사재 단부의 복잡한 가공 등으로 인해 구조물의 제작공정이 매우 복잡하므로 공기가 늘어나면서 제작단가가 상승하기 때문에 트러스 구조 본연의 장점을 살리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양측의 단부지점과 단부지점 사이의 내부지점에 안착되는 트러스구조물의 인장단면력이 발생하는 내부지점 상부의 상현재와 이에 고정된 상부 조인트 유닛 및 상기 단부지점과 내부지점 사이 또는 각 내부지점 사이의 지간중앙부 트러스구조물 하현재와 이에 고정된 하부 조인트 유닛에 강재를 결합하고 긴장시켜 인장단면력에 대응되도록 내하력을 확보함과 아울러 상기 내부지점 상부의 트러스구조물 하현재와 이에 고정된 하부 조인트 유닛 및 상기 단부지점과 내부지점 사이 또는 각 내부지점 사이의 지간중앙부 트러스구조물 상현재와 이에 고정된 상부 조인트 유닛에 콘크리트를 충전시켜 압축단면력에 대응되도록 내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트러스구조물과 이의 제작방법 및 트러스구조물을 이용한 트러스교와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장단면력이 발생하는 내부지점 상부의 트러스구조물 상면에 제1바닥판을 형성한 후, 횡방향 균열에 대한 바닥판의 내구성 및 강성이 향상되도록 제1바닥판의 강재를 이용하여 긴장력을 도입시키고, 단부지점과 내부지점 사이 또는 각 내부지점 사이의 지간중앙부 트러스구조물 상면에 제1바닥판과 동일 선상으로 제2바닥판을 형성하여 제1,2바닥판의 합성으로 완벽한 트러스교가 형성되도록 하는 트러스구조물과 이의 제작방법 및 트러스구조물을 이용한 트러스교와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트러스구조물은, 양측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단부지점과 상기 단부지점 사이의 내부지점에 안착되는 트러스구조물로서,
상기 내부지점 상부의 트러스구조물 상현재와 이에 고정된 상부 조인트 유닛 및 상기 단부지점과 내부지점 사이 또는 각 내부지점 사이의 지간중앙부 트러스구조물 하현재와 이에 고정된 하부 조인트 유닛에 강재를 결합하고 긴장시켜 인장단면력에 대응되도록 하는 긴장부와;
상기 내부지점 상부의 트러스구조물 하현재와 이에 고정된 하부 조인트 유닛 및 상기 단부지점과 내부지점 사이 또는 각 내부지점 사이의 지간중앙부 트러스구조물 상현재와 이에 고정된 상부 조인트 유닛에 콘크리트를 충전시켜 압축단면력에 대응되도록 하는 충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 트러스구조물의 제작방법은,
절점지지부에 하부 조인트 유닛을 안착시키는 단계와;
양측 단부지점과 상기 단부지점 사이의 내부지점에 안착되는 트러스구조물 중 상기 내부지점 상부의 트러스구조물 상현재와 이에 고정된 상부 조인트 유닛 및 상기 단부지점과 내부지점 사이 또는 각 내부지점 사이의 지간중앙부 트러스구조물 하현재와 이에 고정된 하부 조인트 유닛에 긴장부의 강재를 결합하고 긴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내부지점 상부의 트러스구조물 긴장부와 대응되는 부분의 트러스구조물 하현재와 이에 고정된 하부 조인트 유닛 및 상기 단부지점과 내부지점 사이 또는 각 내부지점 사이의 지간중앙부 트러스구조물 상현재와 이에 고정된 상부 조인트 유닛 내부에 충전부의 지지판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 조인트 유닛과 상부 조인트 유닛에 하현재와 사재, 상현재 및 수직재가 용접으로 연결되어 내부지점부 하현재구간 및 단부지점과 내부지점 사이 및 각 내부지점 사이 지간중앙부 상현재 구간에는 충전부가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충전부가 대응하는 위치에는 긴장부가 위치되도록 하는 트러스구조물을 형성하여 양측 단부지점과 상기 단부지점 사이의 내부지점 상면에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내부지점 상부의 트러스구조물 하현재와 이에 고정된 하부 조인트 유닛 및 상기 단부지점과 내부지점 사이 또는 각 내부지점 사이의 트러스구조물 상현재와 이에 고정된 상부 조인트 유닛에 설치된 지지판 내부로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양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 트러스구조물을 이용한 트러스교는,
인장단면력에 대응되는 긴장부와 압축단면력에 대응되는 충전부가 포함되어 제작된 트러스구조물을 지지하도록 대향되게 설치되는 단부지점 및 단부지점 사이의 내부지점과;
상기 단부지점과 내부지점에 트러스구조물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지점 상부의 트러스구조물 상면에 배근되는 강재를 긴장시켜 형성되는 제1바닥판과;
상기 단부지점과 내부지점 사이 또는 각 내부지점 사이의 지간중앙부 트러스구조물 상면에 제1바닥판과 동일 선상으로 형성되는 제2바닥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 트러스구조물을 이용한 트러스교 시공방법은,
인장단면력에 대응되는 긴장부와 압축단면력에 대응되는 충전부가 포함되어 제작된 트러스구조물이 설치되도록 양측의 단부지점과 상기 단부지점 사이에 내부지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부지점과 상기 단부지점 사이의 내부지점에 트러스구조물을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내부지점 상부의 트러스구조물 상면에 제1바닥판을 형성하는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거푸집 내부에 철근 및 쉬스관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철근 및 쉬스관이 매몰되도록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제1바닥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쉬스관에 긴장용 강재를 삽입하여 긴장장치로 긴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부지점과 내부지점 사이 또는 각 내부지점 사이의 지간중앙부 트러스구조물 상면에 제2바닥판을 형성하는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거푸집 내부에 철근을 배근하는 단계와;
상기 철근이 매몰되도록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제1바닥판과 동일 선상으로 제2바닥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측의 단부지점과 단부지점 사이의 내부지점에 안착되는 트러스구조물의 인장단면력이 발생하는 내부지점 상부의 상현재와 이에 고정된 상부 조인트 유닛 및 상기 단부지점과 내부지점 사이 또는 각 내부지점 사이의 지간중앙부 트러스구조물 하현재와 이에 고정된 하부 조인트 유닛에 강재를 결합하고 긴장시켜 인장단면력에 대응되도록 내하력을 확보함과 아울러 상기 내부지점 상부의 트러스구조물 하현재와 이에 고정된 하부 조인트 유닛 및 상기 단부지점과 내부지점 사이 또는 각 내부지점 사이의 지간중앙부 트러스구조물 상현재와 이에 고정된 상부 조인트 유닛에 콘크리트를 충전시켜 압축단면력에 대응되도록 내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긴장부는 긴장력에 의해 부재단면의 증가없이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인장단면력에 대응하고, 압축단면력이 발생하는 충전부는 강재와 콘크리트의 합성에 의해 단면의 압축력을 강재와 콘크리트가 분담하게 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장단면력이 발생하는 내부지점 상부의 트러스구조물 상면에 제1바닥판을 형성한 후, 제1바닥판의 강재를 긴장시킨 상태에서 단부지점과 내부지점 사이 또는 각 내부지점 사이의 트러스구조물 상면에 제1바닥판과 동일 선상으로 제2바닥판을 형성함으로써, 교량 전 구간에 걸쳐 트러스구조물과 제1,2바닥판의 완전한 합성으로 효율적인 구조계획이 가능해지며 지점부 바닥판에서 바닥판의 성능 및 내구성을 떨어뜨리는 유해한 횡방향 균열이 발생하지 않아 트러스구조물 및 트러스교의 수명을 연장함과 아울러 강재 및 트러스구조물에 충진된 콘크리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 미관이 미려한 트러스교의 시공이 가능해지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긴장부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단면도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충전부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정단면도
도 6은 도 4의 측단면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 트러스구조물을 이용하여 트러스교를 제작하는 과정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긴장부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충전부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정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 트러스구조물은, 양측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단부지점(210)(210')과 상기 단부지점(210)(210') 사이의 내부지점(220)에 안착되는 트러스구조물(100)로서, 상기 내부지점(220) 상부의 트러스구조물(100) 상현재(150)와 이에 고정된 상부 조인트 유닛(140) 및 상기 단부지점(210)(210')과 내부지점(220) 사이 또는 각 내부지점(220) 사이의 지간중앙부 트러스구조물(100) 하현재(120)와 이에 고정된 하부 조인트 유닛(110)에 강재를 결합하고 긴장시켜 인장단면력에 대응되도록 하는 긴장부(170)가 구성되고, 상기 내부지점(220) 상부의 트러스구조물(100) 하현재(120)와 이에 고정된 하부 조인트 유닛(110) 및 상기 단부지점(210)(210')과 내부지점(220) 사이 또는 각 내부지점(220) 사이의 지간중앙부 트러스구조물(100) 상현재(150)와 이에 고정된 상부 조인트 유닛(140)에 콘크리트를 충전시켜 압축단면력에 대응되도록 하는 충전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긴장부(170)는, 상기 내부지점(220) 상부의 트러스구조물(100) 상현재(150)와 상기 단부지점(210)(210')과 내부지점(220) 사이 또는 각 내부지점(220) 사이의 트러스구조물(100) 하현재(120) 내부에 설치되는 정착판(171)이 구비되고, 상기 정착판(171)의 정착공(171')에 결합되어 긴장되는 강재(17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정착판(171)은, 상기 내부지점(220) 상부의 트러스구조물(100) 상현재(150)에 고정된 상부 조인트 유닛(140) 및 상기 단부지점(210)(210')과 내부지점(220) 사이 또는 각 내부지점(220) 사이의 지간중앙부 트러스구조물(100) 하현재(120)에 고정된 하부 조인트 유닛(110)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정착판(171)을 보강하는 보강리브(173)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재(172)는 강선이나 강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부(180)는, 상기 내부지점(220) 상부의 트러스구조물(100) 하현재(120) 및 상기 단부지점(210)(210')과 내부지점(220) 사이 또는 각 내부지점(220) 사이의 지간중앙부 트러스구조물(100) 상현재(150)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판(181)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181)이 설치된 상.하부조인트 유닛(140)(110)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도록 관통되는 충전공(182)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지지판(181)은, 상기 내부지점(220) 상부의 트러스구조물(100) 하현재(120)에 고정된 하부 조인트 유닛(110) 및 상기 단부지점(210)(210')과 내부지점(220) 사이 또는 각 내부지점(220) 사이의 지간중앙부 트러스구조물(100) 상현재(150)에 고정된 상부 조인트 유닛(140)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트러스구조물(100)의 상.하부조인트 유닛(140)(110)과 상.하현재(150)(120) 내부에 다수의 스터드볼트(183)가 방사상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판(181)을 지지하는 지지리브(184)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 트러스구조물(100)을 이용한 트러스교(200)는, 인장단면력에 대응되는 긴장부(170)와 압축단면력에 대응되는 충전부(180)가 포함되어 제작된 트러스구조물(100)을 지지하도록 대향되게 설치되는 단부지점(210)(210') 및 단부지점(210)(210') 사이의 내부지점(220)이 구성되고, 상기 단부지점(210)(210')과 내부지점(220)에 트러스구조물(100)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지점(220) 상부의 트러스구조물(100) 상면에 배근되는 강재(232)를 긴장시켜 형성되는 제1바닥판(230)이 구성되며, 상기 단부지점(210)(210')과 내부지점(220) 사이 또는 각 내부지점(220) 사이의 지간중앙부 트러스구조물(100) 상면에 제1바닥판(230)과 동일 선상으로 형성되는 제2바닥판(2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바닥판(230)은, 상기 내부지점(220) 상부의 트러스구조물(100) 상면에 설치된 거푸집에 배근되는 철근(231)이 구비되고, 상기 거푸집에 강재(232)와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쉬스관(233)이 구비되며, 상기 쉬스관(233)과 철근(231)이 배근된 거푸집에 타설되어 양생되는 콘크리트바닥판(234)이 구비되고, 상기 쉬스관(233)에 결합되어 긴장되는 강재(23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2바닥판(240)은, 상기 단부지점(210)(210')과 내부지점(220) 사이 또는 각 내부지점(220) 사이의 지간중앙부 트러스구조물(100) 상면에 설치된 거푸집에 배근되는 철근(241)이 구비되고, 상기 철근(241)이 배근된 거푸집에 타설되어 양생되는 콘크리트바닥판(242)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작과정 및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교(200)가 설치되는 길이에 맞게 대향하게 단부지점(210)(210')과 상기 단부지점(210)(210') 사이에 다수의 내부지점(220)을 설치하고, 상기 내부지점(220) 상부에 위치하는 트러스구조물(100) 상현재(150) 및 상기 단부지점(210)(210')과 내부지점(220) 사이 또는 각 내부지점(220) 사이에 위치하는 트러스구조물(100) 하현재(120) 내부에 긴장부(170)의 정착판(171)을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정착판(171)은, 상기 내부지점(220) 상부에 위치하는 트러스구조물(100) 상현재(150)에 고정되는 상부 조인트 유닛(140) 및 상기 단부지점(210)(210')과 내부지점(220) 사이 또는 각 내부지점(220) 사이에 위치하는 트러스구조물(100) 하현재(120)에 고정되는 하부 조인트 유닛(110)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정착판(171)은 강재(172)가 결합되는 정착공(171')이 적어도 1개 이상 관통되어야 한다.
상기 하.상부 조인트 유닛(110)(140) 또는 하.상현재(120)(150) 내부에 설치된 정착판(171)의 보강을 위해 상기 정착판(171)과 하.상부 조인트 유닛(110)(140) 또는 하.상현재(120)(150) 내부에 보강리브(173)를 고정하여 보강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보강리브(173)가 보강한 정착판(171)의 정착공(171')에 강재(172)를 결합한 후, 긴장장치로 긴장시키는데, 상기 긴장부(170)는 인장단면력에 따라 하나의 현재 양측에 유닛이 장착되거나 두 개의 현재에 3개의 유닛이 장착될 수도 있고, 그 이상이 장착될 수도 있으며, 상기 강재(172)의 긴장시, 정착판(171)의 긴장력을 보강리브(173)가 분담하고 있으므로 강재(172)의 긴장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긴장부(170)와 대응하는 위치에 충전부(180)가 설치되도록 하는데, 상기 충전부(180)는 상기 내부지점(220) 상부에 위치하는 트러스구조물(100) 하현재(120) 및 상기 단부지점(210)(210')과 내부지점(220) 사이 또는 각 내부지점(220) 사이에 위치하는 트러스구조물(100) 상현재(150) 내부에 지지판(181)을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181)은, 상기 내부지점(220) 상부에 위치하는 트러스구조물(100) 하현재(120)에 고정되는 하부 조인트 유닛(110) 및 상기 단부지점(210)(210')과 내부지점(220) 사이 또는 각 내부지점(220) 사이에 위치하는 트러스구조물(100) 상현재(150)에 고정된 상부 조인트 유닛(140)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지지판(181)은 하.상부 조인트 유닛(110)(140) 및 하.상현재(120)(150)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지지판(181)이 설치된 상기 하.상부 조인트 유닛(110)(140) 및 하.상현재(120)(150) 내면에 콘크리트와의 일체 합성을 위한 다수의 스터드볼트(183)를 방사상으로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하.상부 조인트 유닛(110)(140) 및 하.상현재(120)(150)에 설치된 지지판(181)의 보강을 위해 상기 지지판(181)과 하.상부 조인트 유닛(110)(140) 및 하.상현재(120)(150) 내부에 지지리브(184)를 고정하여 보강할 수도 있는 것이다.
긴장부(170)에 긴장력이 도입된 상태에서 트러스구조물(100)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절점지지부(미도시)에 하부 조인트 유닛(110)을 안착시킨 후, 상기 하부 조인트 유닛(110) 사이에 하현재(120)를 고정하고, 상기 하부 조인트 유닛(110)에 사재(130)의 일측을 고정하며, 상기 사재(130)의 타측에 상부 조인트 유닛(140)을 고정하고, 상기 상부 조인트 유닛(140)에 상현재(150)를 고정하는 과정을 반복한 후, 양단부에 수직재(160)를 고정하면서 트러스구조물(100)을 가조립하고, 가조립이 완료된 트러스구조물(100)의 구성물인 하부 조인트 유닛(110)과 하현재(120), 사재(130) 및 상부 조인트 유닛(140)과 상현재(150), 수직재(160)를 용접으로 연결하여 트러스구조물(100)을 제작하게 된다.
여기서, 대향하는 단부지점(210)(210') 및 내부지점(220)에 상기 트러스구조물(100)이 안착되는 것을 기준으로 내부지점(220) 상부에 위치하는 트러스구조물(100) 상현재(150)와 이에 고정된 상부 조인트 유닛(140) 및 단부지점(210)(210')과 내부지점(220) 사이와 각 내부지점(220) 사이에 위치하는 지간중앙부 트러스구조물(110) 하현재(120)와 이에 고정된 하부 조인트 유닛(110) 부분에는 긴장부(170)가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긴장부(170)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충전부(180)가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긴장부(170)와 충전부(180)가 설치된 트러스구조물(100)을 인양장치로 인양하여 단부지점(210)(210')과 단부지점(210)(210') 사이의 내부지점(220)에 안착시키는데, 상기 내부지점(220) 상부의 트러스구조물(100) 상현재(150)와 이에 고정된 상부 조인트 유닛(140) 및 상기 단부지점(210)(210')과 내부지점(220) 사이와 각 내부지점(220) 사이에 위치하는 지간중앙부 트러스구조물(110) 하현재(120)와 이에 고정된 하부 조인트 유닛(110)에는 긴장부(170)가 위치하게 되고, 상기 긴장부(170)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충전부(180)가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트러스구조물(100)이 단부지점(210)(210')과 단부지점(210)(210') 사이의 내부지점(220) 안착되면, 상기 트러스구조물(100)의 충전부(180)에 콘크리트를 충전하는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는 지지판(181) 사이의 하.상부 조인트 유닛(110)(140) 및 하.상현재(120)(150)에 관통된 충전공(182)으로 충전하는데, 상기 충전공(182)으로 충전되는 콘크리트가 상기 충전공(182) 타측의 하.상부 조인트 유닛(110)(140) 및 하.상현재(120)(150)에 관통된 토출공(182')으로 토출될 때까지 충전한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 충전시, 지지판(181)의 고정력을 지지리브(184)가 보강하여 지지하고 있으므로 콘크리트의 압축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가 스터드볼트(183)를 매설함과 동시에 양생시에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트러스구조물(100)의 제작이 완성된다.
상기 충전부(180)에 충전되는 콘크리트 충전작업은 트러스구조물(100)을 단부지점(210)(210')과 단부지점(210)(210') 사이의 내부지점(220) 상면에 안착시킨 후, 수행하는 것이 트러스구조물(100)의 인양시, 인양 중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보다 보편적이라 할 수 있으나, 트러스구조물(100)의 강중이 작은 경우, 또는 인양장비의 용량에 여유가 있을 경우에는 인양 전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면 구조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으로 긴장부(170)와 충전부(180)가 포함되어 제작된 트러스구조물(100)을 이용하여 트러스교(200)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긴장부(170)를 수용하도록 트러스구조물(100) 상면에 제1바닥판(230)의 거푸집을 형성하고, 상기 거푸집 내부에 철근(231) 및 쉬스관(233)을 설치하고, 상기 철근(231) 및 쉬스관(233)이 매설되도록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콘크리트바닥판(234)을 형성한다.
상기 콘크리트바닥판(234)이 양생되면, 거푸집을 해체한 상태에서 상기 쉬스관(233)에 강재(232)를 삽입하여 긴장장치로 긴장시킨다.
상기 강재(232)가 긴장된 상태에서 충전부(180)를 수용하도록 제1바닥판(230) 사이의 지간중앙부 트러스구조물(100) 상면에 제2바닥판(240)의 거푸집을 형성하고, 상기 거푸집 내부에 철근(241)을 배근한 후, 상기 철근(241)이 매설되도록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콘크리트바닥판(242)을 형성하여 트러스교(200)가 완성된다.
상기의 과정으로 완성된 트러스교(200)의 인장단면력은 긴장부(170)의 프리스트레싱에 의해 상쇄되고 압축단면력은 충전부(180)에서 강재단면과 콘크리트가 분담하게 되므로 구조적으로 안전하고 경제적인 교량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트러스구조물 110: 하부 조인트 유닛
120: 하현재 130: 사재
140: 상부 조인트 유닛 150: 상현재
160: 수직재 170: 긴장부
180: 충전부 200: 트러스교
210,210': 단부지점 220: 내부지점
230: 제1바닥판 240: 제2바닥판

Claims (16)

  1. 양측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단부지점과 상기 단부지점 사이의 내부지점에 안착되는 트러스구조물로서,
    상기 내부지점 상부의 트러스구조물 상현재와 이에 고정된 상부 조인트 유닛 및 상기 단부지점과 내부지점 사이 또는 각 내부지점 사이의 지간중앙부 트러스구조물 하현재와 이에 고정된 하부 조인트 유닛에 강재를 결합하고 긴장시켜 인장단면력에 대응되도록 하는 긴장부와;
    상기 내부지점 상부의 트러스구조물 하현재와 이에 고정된 하부 조인트 유닛 및 상기 단부지점과 내부지점 사이 또는 각 내부지점 사이의 지간중앙부 트러스구조물 상현재와 이에 고정된 상부 조인트 유닛에 콘크리트를 충전시켜 압축단면력에 대응되도록 하는 충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긴장부는,
    상기 내부지점 상부의 트러스구조물 상현재와 상기 단부지점과 내부지점 사이 또는 각 내부지점 사이의 트러스구조물 하현재 내부에 설치되는 정착판과;
    상기 정착판의 정착공에 결합되어 긴장되는 강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구조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착판은, 상기 내부지점 상부의 트러스구조물 상현재에 고정된 상부 조인트 유닛 및 상기 단부지점과 내부지점 사이 또는 각 내부지점 사이의 지간중앙부 트러스구조물 하현재에 고정된 하부 조인트 유닛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구조물.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정착판을 보강하는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구조물.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강재는 강선이나 강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구조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충전부는,
    상기 내부지점 상부의 트러스구조물 하현재 및 상기 단부지점과 내부지점 사이 또는 각 내부지점 사이의 지간중앙부 트러스구조물 상현재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이 설치된 하.상현재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도록 관통되는 충전공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구조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내부지점 상부의 트러스구조물 하현재에 고정된 하부 조인트 유닛 및 상기 단부지점과 내부지점 사이 또는 각 내부지점 사이의 지간중앙부 트러스구조물 상현재에 고정된 상부 조인트 유닛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구조물.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트러스구조물의 상.하부 조인트 유닛과 상.하현재 내부에 다수의 스터드볼트가 방사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구조물.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을 지지하는 지지리브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구조물.
  10. 양측 단부지점과 상기 단부지점 사이의 내부지점에 안착되는 트러스구조물 중 상기 내부지점 상부의 트러스구조물 상현재와 이에 고정된 상부 조인트 유닛 및 상기 단부지점과 내부지점 사이 또는 각 내부지점 사이의 지간중앙부 트러스구조물 하현재와 이에 고정된 하부 조인트 유닛에 긴장부의 강재를 결합하고 긴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내부지점 상부의 트러스구조물 긴장부와 대응되는 부분의 트러스구조물 하현재와 이에 고정된 하부 조인트 유닛 및 상기 단부지점과 내부지점 사이 또는 각 내부지점 사이의 지간중앙부 트러스구조물 상현재와 이에 고정된 상부 조인트 유닛 내부에 충전부의 지지판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 조인트 유닛과 상부 조인트 유닛에 하현재와 사재, 상현재 및 수직재가 용접으로 연결되어 내부지점부 하현재구간 및 단부지점과 내부지점 사이 및 각 내부지점 사이 지간중앙부 상현재 구간에는 충전부가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충전부가 대응하는 위치에는 긴장부가 위치되도록 하는 트러스구조물을 형성하여 양측 단부지점과 상기 단부지점 사이의 내부지점 상면에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내부지점 상부의 트러스구조물 하현재와 이에 고정된 하부 조인트 유닛 및 상기 단부지점과 내부지점 사이 또는 각 내부지점 사이의 트러스구조물 상현재와 이에 고정된 상부 조인트 유닛에 설치된 지지판 내부로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양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구조물의 제작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충전 전,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트러스구조물의 상.하부 조인트 유닛과 상.하현재 내부에 다수의 스터드볼트를 방사상으로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구조물의 제작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단부지점과 내부지점 사이 또는 각 내부지점 사이에 안착되도록 하는 트러스구조물의 인양전, 충전부에 콘크리트를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구조물의 제작방법.
  13. 인장단면력에 대응되는 긴장부와 압축단면력에 대응되는 충전부가 포함되어 제작된 트러스구조물을 지지하도록 대향되게 설치되는 단부지점 및 단부지점 사이의 내부지점과;
    상기 단부지점과 내부지점에 트러스구조물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지점 상부의 트러스구조물 상면에 배근되는 강재를 긴장시켜 형성되는 제1바닥판과;
    상기 단부지점과 내부지점 사이 또는 각 내부지점 사이의 지간중앙부 트러스구조물 상면에 제1바닥판과 동일 선상으로 형성되는 제2바닥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구조물을 이용한 트러스교.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제1바닥판은,
    상기 내부지점 상부의 트러스구조물 상면에 설치된 거푸집에 배근되는 철근과;
    상기 거푸집에 강재와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쉬스관과;
    상기 쉬스관과, 철근이 배근된 거푸집에 타설되어 양생되는 콘크리트바닥판과;
    상기 쉬스관에 결합되어 긴장되는 강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구조물을 이용한 트러스교.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제2바닥판은,
    상기 단부지점과 내부지점 사이 또는 각 내부지점 사이의 지간중앙부 트러스구조물 상면에 설치된 거푸집에 배근되는 철근과;
    상기 철근이 배근된 거푸집에 타설되어 양생되는 콘크리트바닥판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구조물을 이용한 트러스교.
  16. 인장단면력에 대응되는 긴장부와 압축단면력에 대응되는 충전부가 포함되어 제작된 트러스구조물이 설치되도록 양측의 단부지점과 상기 단부지점 사이에 내부지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부지점과 상기 단부지점 사이의 내부지점에 트러스구조물을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내부지점 상부의 트러스구조물 상면에 제1바닥판을 형성하는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거푸집 내부에 철근 및 쉬스관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철근 및 쉬스관이 매몰되도록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제1바닥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쉬스관에 긴장용 강재를 삽입하여 긴장장치로 긴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부지점과 내부지점 사이 또는 각 내부지점 사이의 지간중앙부 트러스구조물 상면에 제2바닥판을 형성하는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거푸집 내부에 철근을 배근하는 단계와;
    상기 철근이 매몰되도록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제1바닥판과 동일 선상으로 제2바닥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구조물을 이용한 트러스교 시공방법.
KR1020100088270A 2010-09-09 2010-09-09 트러스구조물과 이의 제작방법 및 트러스구조물을 이용한 트러스교와 이의 시공방법 KR101026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270A KR101026117B1 (ko) 2010-09-09 2010-09-09 트러스구조물과 이의 제작방법 및 트러스구조물을 이용한 트러스교와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270A KR101026117B1 (ko) 2010-09-09 2010-09-09 트러스구조물과 이의 제작방법 및 트러스구조물을 이용한 트러스교와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6117B1 true KR101026117B1 (ko) 2011-06-14

Family

ID=44404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270A KR101026117B1 (ko) 2010-09-09 2010-09-09 트러스구조물과 이의 제작방법 및 트러스구조물을 이용한 트러스교와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611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694B1 (ko) * 2012-08-01 2012-12-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온도변화에 따른 부재의 팽창 및 수축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트러스거더 교량구조
KR101690995B1 (ko) * 2016-06-27 2016-12-29 씨엔에스이엔지주식회사 충전강관 트러스 부재 및 충전강관 트러스 구조물
CN112095777A (zh) * 2020-09-15 2020-12-18 湖北正茂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高强度预制构件
CN112252472A (zh) * 2020-10-26 2021-01-22 上海宝冶集团有限公司 一种不规则多边形钢结构桁架地面拼装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0981A (ja) * 1993-09-24 1995-04-04 Taisei Corp トラス梁の構築方法
JP2003147864A (ja) 2001-11-08 2003-05-21 Hitachi Zosen Corp コンクリート充填鋼管の接合構造及び仕口部の補強構造
KR20090095727A (ko) * 2008-03-06 2009-09-10 이하란 트러스거더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
KR20100063532A (ko) * 2008-12-03 2010-06-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강봉으로 휨 내력이 보강된 콘크리트 충전강관 거더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0981A (ja) * 1993-09-24 1995-04-04 Taisei Corp トラス梁の構築方法
JP2003147864A (ja) 2001-11-08 2003-05-21 Hitachi Zosen Corp コンクリート充填鋼管の接合構造及び仕口部の補強構造
KR20090095727A (ko) * 2008-03-06 2009-09-10 이하란 트러스거더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
KR20100063532A (ko) * 2008-12-03 2010-06-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강봉으로 휨 내력이 보강된 콘크리트 충전강관 거더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694B1 (ko) * 2012-08-01 2012-12-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온도변화에 따른 부재의 팽창 및 수축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트러스거더 교량구조
KR101690995B1 (ko) * 2016-06-27 2016-12-29 씨엔에스이엔지주식회사 충전강관 트러스 부재 및 충전강관 트러스 구조물
CN112095777A (zh) * 2020-09-15 2020-12-18 湖北正茂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高强度预制构件
CN112095777B (zh) * 2020-09-15 2021-08-31 湖北正茂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高强度预制构件
CN112252472A (zh) * 2020-10-26 2021-01-22 上海宝冶集团有限公司 一种不规则多边形钢结构桁架地面拼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6118B1 (ko) 지점부의 이차 모멘트에 대응하는 트러스구조물과 이의 제작방법 및 지점부의 이차 모멘트에 대응하는 트러스구조물을 이용한 트러스교와 이의 시공방법
KR100667921B1 (ko) 프리캐스트콘크리트 가로보를 이용한 케이블교량의 주탑시공방법
KR101030128B1 (ko) 개단면 상현재를 갖는 트러스구조물과 이의 제작방법 및 개단면 상현재를 갖는 트러스구조물을 이용한 트러스교와 이의 시공방법
KR101652664B1 (ko) 프리캐스트 데크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방법
KR101064731B1 (ko) 포물선 형상의 웨브와 거푸집형 플랜지를 가지는 강재 빔과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강합성 거더 및 그 제작방법
KR100682794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보의 제작 방법
WO2011077822A1 (ja) ハーフプレキャスト床版及びそれを用いたスラブ構築方法
JP2006090026A (ja) 既設鋼部材アーチ橋の補修・補強構造
KR20130036890A (ko) 교량용 타이드 아치형 p.s.c 거더와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1026117B1 (ko) 트러스구조물과 이의 제작방법 및 트러스구조물을 이용한 트러스교와 이의 시공방법
KR20120093613A (ko) 강상판데크 일체식 복합구조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박스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KR101655330B1 (ko) 단부합성 강재빔을 이용하여 제작된 라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147539B1 (ko) 교량용 하이브리드 거더
KR20040006564A (ko) 바닥판 골조와 콘크리트가 합성된 복합형 바닥판
KR101705002B1 (ko) 조립식 이중합성 플레이트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396440B1 (ko) 프리스트레스트 단부 보강 복합 보
KR101034973B1 (ko) 프리캐스트 블록 연결에 의한 타이드 아치 형상의 복합거더교량 및 그 시공방법
CN110886204B (zh) 一种装配式预制节段桥墩
CN219671054U (zh) 一种整体吊装预制的钢混组合小箱梁
KR101734304B1 (ko) 효율적인 강재-콘크리트 합성거더의 제작방법, 이를 이용한 연속교량 시공방법, 및 그에 의해 시공된 연속교량
KR200383489Y1 (ko) 영구 구조체로 이용되는 frp 구조체를 사용한 복합 철근콘크리트 보 구축 시스템
KR101150369B1 (ko) 건축물의 복합보 구조
KR100555253B1 (ko) 상하로i빔을 연결하여 제작된 겹보와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1023175B1 (ko) 프리플렉스 합성보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부분 프리플렉스 연속합성보
KR100740512B1 (ko) 들보용 합성거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