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4655A -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4655A
KR20090094655A KR1020080019732A KR20080019732A KR20090094655A KR 20090094655 A KR20090094655 A KR 20090094655A KR 1020080019732 A KR1020080019732 A KR 1020080019732A KR 20080019732 A KR20080019732 A KR 20080019732A KR 20090094655 A KR20090094655 A KR 20090094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injection molding
molding
indoor unit
drain p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4014B1 (ko
Inventor
이채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9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014B1/ko
Publication of KR20090094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4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1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to avoid the formation of condensate, e.g. d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성형물을 발포금형에 인서트하여 발포성형물과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100)은, 집수공간(106)이 구비되고, 사출 성형된 사출성형물(120)과; 상기 사출성형물(120)이 인서트되고, 단열부재로 발포 성형된 발포성형물(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출성형물(120) 일측에는, 상기 발포성형물(140) 내측으로 삽입되어 발포성형물(140)과 사출성형물(120)의 결합력을 보강하는 보강리브(130)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드레인팬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실내기, 사출성형물, 발포성형물, 일체, 드레인팬

Description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A drain-pan of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외관을 보인 하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외관을 보인 하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외관을 보인 상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사출성형물의 외관을 보인 하면 사시도.
도 5 는 도 2의 Ⅰ-Ⅰ'부 종단면도.
도 6 은 도 2의 Ⅱ-Ⅱ'부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플로터스위치 30. 펌프
100. 드레인팬 102. 흡입구
104. 토출구 106. 집수공간
120. 사출성형물 122. 플로터설치부
124. 펌프설치부 126. 이물방지부
128. 체결부 129. 오리피스결합부
130. 보강리브 132. 흡입구보강리브
134. 토출구보강리브 140. 발포성형물
본 발명은 사출성형물을 발포금형에 인서트하여 발포성형물과 일체로 성형되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에 관한 것이다.
이하 일반적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구성을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외관을 보인 하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종래의 드레인팬(1)은 중앙부가 천공된 사각 블럭 형상을 가지며, 실내기 내부에 설치되어 응축수를 집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팬의 하면에는 응축수를 집수하기 위한 집수공간이 상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팬은 실외공기가 실내기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유입구멍(3)과, 상기 유입구멍(3)을 통해 실내기 내부로 유입되어 열교환된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토출구멍(5)이 구비된다.
즉, 상기 드레인팬(1)의 중앙부에는 동그랗게 유입구멍(3)이 천공 형성되며, 상기 드레인팬(1)의 외측에는 토출구멍(5)이 각각 천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팬(1)은 실내의 공기와 차가운 응축수의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단열부재로 형성된다. 즉, 상기 드레인팬은 단열 성능을 가지는 재질로 발포 성형된다.
상기 드레인팬(1)의 다수곳에는 드레인팬(1)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지지구(7)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구(7)는 드레인팬을 발포 성형시에 인서트된 것으로,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드레인팬(1)의 네 모서리에는 드레인팬(1)이 실내기 내부에서 상대물과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구(9)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구(9)는 금속재질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지지구(7)와 같이 드레인팬(1)을 발포 성형시에 일부가 인서트되도록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드레인팬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드레인팬(1)에는 발포 성형시에 다수 지지구(7)와 체결구(9)가 인서트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팬(1)의 발포를 위해 많은 수의 부품을 인서트해야 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며, 안착 위치가 불량하게 되면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서트된 지지구(7)와 체결구(9)는 드레인팬(1)에 충격이 가해질 때 드레인팬(1)의 파손을 야기하게 되므로 드레인팬(1)의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사출성형물을 발포금형에 인서트하여 발포성형물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생산성 향상 및 불량율 감소가 달성되도록 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을 사출성형물에 일체로 형성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은, 집수공간이 구비되고, 사출 성형된 사출성형물과; 상기 사출성형물이 인서트되고, 단열부재로 발포 성형된 발포성형물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출성형물 일측에는, 상기 발포성형물 내측으로 삽입되어 발포성형물과 사출성형물의 결합력을 보강하는 보강리브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리브는, 실내 공기가 통과하는 흡입구를 보강하는 흡입구보강리브와, 열교환된 공기가 통과하는 토출구를 보강하는 토출구보강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사출성형물의 일면에서 동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출성형물 일측에는, 상기 사출성형물이 상대물에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부와, 수위를 감지하는 플로터스위치가 설치되는 플로터설치부와, 응축수를 펌핑하는 펌프가 설치되는 펌프설치부와, 실내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오리피스가 체결되는 오리피스결합부가 사출성형물에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로터설치부와 펌프설치부는 서로 이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출성형물 일측에는, 상기 플로터설치부 및 펌프설치부로 이물 유입을 차단하는 이물방지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와, 플로터설치부와, 펌프설치부와, 오리피스결합부는 상기 사출성형물의 일면에서 동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드레인팬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구성을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외관을 보인 하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팬(100)은, 실내기(미도시) 내부에 설치되어 응축수를 집수하며 실내 공기가 실내기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과, 실내기 내부를 경유한 실내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드레인팬(100)의 중앙부에는 실내 공기의 유입을 안내하는 흡입구(102)가 천공 형성되며, 상기 드레인팬(100)의 외측에는 실내기 내부를 경유한 공기가 실내로 다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다수 토출구(104)가 천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팬(100)의 하면에는 집수공간(도 3의 도면부호 106 참조)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팬(100)은 차가운 응축수가 투과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차가운 응축수와 상대적으로 따뜻한 공기의 접촉으로 인한 이슬 맺힘이 발생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드레인팬(100)은 집수공간(106)이 구비되고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되어 방수 기능을 갖는 사출성형물(120)과, 상기 사출성형물(120)이 인서트되고, 단열부재로 발포 성형된 발포성형물(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사출성형물(120)은 별도로 제작된 사출금형에서 먼저 사출 성형되고, 상기 발포성형물(140)은 발포성형을 위한 발포금형 내부에 사출성형물(120)을 인서트한 상태에서 발포 성형되어 상기 사출성형물(120)과 일체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사출성형물(120)은 도 2와 같이 발포성형물(140) 내측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드레인팬(100)의 하면은 발포성형물(140)에 의해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사출성형물(120)의 구성을 첨부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외관을 보인 상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사출성형물(120)의 외관을 보인 하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과 같이, 상기 사출성형물(120)은 플라스틱수지로 사출 성형된 것으로, 도 3과 같이 드레인팬(100)의 상면 외관의 대부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사출성형물(120)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집수공간(106)에는 집수공간(106)에 집수된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플로터스위치(20)가 설치되는 플로터설치부(122)와, 상기 플로터스위치(20)와 연동하여 응축수를 펌핑하는 펌프(30)가 설치되는 펌프설치부(124)가 구비된다.
상기 플로터설치부(122)와 펌프설치부(124)는 사출성형물(120)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사출성형물(120)의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플로터설치부(122)와 펌프설치부(124)는 서로 이격 형성된다.
상기 플로터설치부(122)와 펌프설치부(124)의 전방(흡입구(102)가 형성된 방향)에는 원기둥 형상이 방사상을 그리며 돌출 형성된 이물방지부(126)가 구비된다.
상기 이물방지부(126)는 드레인팬(100)의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다수 돌출되며, 상기 다수 이물방지부(126)는 등간격으로 이격 형성된다.
따라서, 응축수의 유동에 따라 이동하는 이물은 상기 이물방지부(126)에 의해 간섭되어 상기 펌프설치부(124) 및 플로터설치부(122)로 유입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펌프 및 플로터는 고장 발생이 미연에 방지된다.
또한, 상기 사출성형물(120)의 하면에는 도 4와 같이 체결부(128)가 다수 구비된다. 상기 체결부(128)는 사출성형물(120)이 상대물인 프론트판넬과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사출성형물(120)의 네 모서리에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102)에서 인접한 곳에는 오리피스결합부(129)가 구비된다. 상기 오리피스결합부(129)는 사출성형물(120)의 내측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 상기 흡입구(102)에 위치하여 공기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는 오리피스(미도시)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사출성형물(120)에는 사출성형물(120)과 발포성형물(140)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보강리브(130)가 구비된다.
상기 보강리브(130)는 사출성형물(120)이 발포금형 내부에 안착된 후 발포성형물(140)이 발포 성형될 때 상기 발포성형물(140)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사출성형물(120)과 발포성형물(140)의 결합력을 높이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보강리브(130)는 흡입구(102)를 보강하기 위한 흡입구보강리브(132)와, 토출구(104)를 보강하기 위한 토출구보강리브(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흡입구보강리브(132)는 흡입구(102) 주위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사출성형물(120)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발포성형물(140)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상기 흡입구(102)의 강도를 보강함과 동시에 상기 흡입구(102) 주위의 발포성형물(140)과 사출성형물(120)의 결합력을 높이게 된다.
또한, 상기 토출구보강리브(134)는 토출구(104) 주위에서 대략 "T"형상을 가 지고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사출성형물(120)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발포성형물(140)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상기 토출구(104)의 강도를 보강함과 동시에 상기 토출구(104) 주위의 발포성형물(140)과 사출성형물(120)의 결합력을 높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보강리브(132)와 토출구보강리브(134)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발포성형물(140)에 삽입되어 넓은 면적을 갖도록 접촉함으로써 결합력을 높이게 되며, 상기 사출성형물(120)과 발포성형물(140)이 서로 유동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도 5는 도 2의 Ⅰ-Ⅰ'부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Ⅱ-Ⅱ'부 횡단면도이다.
이하 상기 드레인팬(100)을 제조하는 과정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드레인팬(100)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사출성형물(120)을 사출 성형하여 준비하게 된다.
상기 사출성형물(120)이 사출 성형되어 숙성되면, 상기 사출성형물(120)은 도 4와 같은 형상을 갖게 되며, 상기 사출성형물(120)의 상면에는 도 3과 같이, 플로터설치부(122)와 펌프설치부(124) 및 이물방지부(126)가 동일한 방향(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사출성형물(120)의 하면에는 도 4와 같이 체결부(128)와 오리피스결합부(129) 및 보강리브(130)가 동일한 방향(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사출성형물(120)이 준비되면, 상기 발포성형물(140)을 발포 성 형하기 위한 발포금형 내부에 사출성형물(120)을 장입하여 안착한 다음 상기 발포금형을 형폐하고 단열부재를 발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사출성형물(120)의 하측(도 3에서 볼 때)에는 발포성형물(140)이 발포 성형되며, 상기 사출성형물(120)과 발포성형물(140)은 일체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토출구보강리브(134)와 흡입구보강리브(132) 주위에는 단열부재가 발포 충진되어 발포성형물(140)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토출구보강리브(134)와 흡입구보강리브(132)는 사출성형물(120)과 발포성형물(140)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팬(100)은 사출 성형된 사출성형물(120)이 인서트된 발포성형물(140)을 형성함으로써 제조가 완료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여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강리브(130)가 흡입구(102) 및 토출구(104) 주변에만 형성되도록 구성하였으나, 드레인팬의 강도 보강 및 사출성형물(120)과 발포성형물(140) 간의 결합력 향상을 위해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형성의 보강리브(130)를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에서는, 사출성형물을 발포금형에 인서트하여 발포성형물을 발포 성형함으로써 사출성형물과 발포성형물이 일체 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부품수의 감소로 사출성형물만 인서트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며, 불량율이 감소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보강리브, 체결부, 이물방지부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위를 사출성형물에 일체로 형성하였다.
따라서, 사출성형물과 발포성형물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분리되지 않으며, 내구성이 향상되어 외부 충격으로 인한 파손이 미연에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집수공간이 구비되고, 사출 성형된 사출성형물과;
    상기 사출성형물이 인서트되고, 단열부재로 발포 성형된 발포성형물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성형물 일측에는,
    상기 발포성형물 내측으로 삽입되어 발포성형물과 사출성형물의 결합력을 보강하는 보강리브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는,
    실내 공기가 통과하는 흡입구를 보강하는 흡입구보강리브와,
    열교환된 공기가 통과하는 토출구를 보강하는 토출구보강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사출성형물의 일면에서 동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성형물 일측에는,
    상기 사출성형물이 상대물에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부와,
    수위를 감지하는 플로터스위치가 설치되는 플로터설치부와,
    응축수를 펌핑하는 펌프가 설치되는 펌프설치부와,
    실내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오리피스가 체결되는 오리피스결합부가 사출성형물에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터설치부와 펌프설치부는 서로 이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성형물 일측에는,
    상기 플로터설치부 및 펌프설치부로 이물 유입을 차단하는 이물방지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와, 플로터설치부와, 펌프설치부와, 오리피스결합부는 상기 사출성형물의 일면에서 동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KR1020080019732A 2008-03-03 2008-03-03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KR101474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732A KR101474014B1 (ko) 2008-03-03 2008-03-03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732A KR101474014B1 (ko) 2008-03-03 2008-03-03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655A true KR20090094655A (ko) 2009-09-08
KR101474014B1 KR101474014B1 (ko) 2014-12-18

Family

ID=41295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732A KR101474014B1 (ko) 2008-03-03 2008-03-03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40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71306B2 (en) 2019-01-02 2020-12-22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Modular drain pans for HVAC systems
KR20220126700A (ko) * 2015-05-07 2022-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4877B2 (ja) 2003-04-22 2008-12-10 旭化成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4934307B2 (ja) 2005-09-30 2012-05-16 三洋電機株式会社 ドレンパンおよびドレンパンを使用した空気調和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6700A (ko) * 2015-05-07 2022-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871306B2 (en) 2019-01-02 2020-12-22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Modular drain pans for HVAC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4014B1 (ko) 2014-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7600B2 (en) No-frost refrigeration device
RU2467265C2 (ru) Бытовой прибор
RU2383830C2 (ru) Конструктив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монтажа на стенке, задняя сторона которой покрыта пеноматериалом, и холо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с таким элементом
CN103477167B (zh) 具有成形上的空气通道的制冷器具
EP2876379B1 (en) Front panel of indoor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90094655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KR20160148096A (ko) 건축 구조물의 벽체 방수패널의 이중구조 시공방법과 방수패널 및 그 방수패널의 제조방법.
US20090266385A1 (en) Dishwasher
JP2009042947A (ja) 自動販売機
CN102980363A (zh) 冰箱及其箱体
CN110360651B (zh) 空气调节器的室内机
KR102551118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520956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ES2732083T3 (es) Aparato refrigerante
KR100352477B1 (ko) 공기조화기
CN220624506U (zh) 制冷设备
KR20190112605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CN216347007U (zh) 用于空调器的顶盖组件和空调器
JP5687050B2 (ja) 冷却貯蔵庫
CN218001912U (zh) 制冷器具
KR102170316B1 (ko) 공기조화기
CN213910103U (zh) 一种洗碗机的底座及应用该底座的洗碗机
CN209819839U (zh) 一种接水盘和包括该接水盘的空调器
KR100593624B1 (ko) 냉장고용 도어
CN111051790A (zh) 空气调节机的室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