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2605A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2605A
KR20190112605A KR1020180034785A KR20180034785A KR20190112605A KR 20190112605 A KR20190112605 A KR 20190112605A KR 1020180034785 A KR1020180034785 A KR 1020180034785A KR 20180034785 A KR20180034785 A KR 20180034785A KR 20190112605 A KR20190112605 A KR 20190112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an
indoor unit
fixing
air condition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4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3090B1 (ko
Inventor
정창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4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090B1/ko
Priority to CN201810917671.2A priority patent/CN110360651B/zh
Publication of KR20190112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2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천장에 설치되며, 하방으로 개구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는 팬 어셈블리;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상기 팬 어셈블리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캐비닛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열교환기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며, EPP 소재로 성형되는 드레인 팬;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브라켓; 상기 드레인 팬 및 상기 브라켓과 결합되어, 상기 드레인 팬을 상기 브라켓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 또는 고온의 냉매와 열교환 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것을 반복하는 작용에 의해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또는 난방시키는 냉/난방 시스템으로서, 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사이클을 형성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의 분리 여부에 따라, 실내기와 실외기가 각각 분리된 분리형 공기 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를 하나의 장치로 결합된 일체형 공기 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실외기에는 외기와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가 포함되며, 실내기에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 열교환기가 포함된다.
냉동사이클이 냉방 운전을 하는 경우, 상기 실외 열교환기는 응축기로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는 증발기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반면에, 냉동사이클이 난방 운전을 하는 경우, 상기 실내 열교환기는 응축기로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는 증발기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내기는 구비 형태에 따라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형과, 실내 바닥에 세워지는 스탠드형, 실내 벽면에 설치되는 벽걸이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천장형 실내기는, 실내 천장에 고정되거나 천상에 삽입 설치되는 캐비닛와, 상기 캐비닛의 하단에 설치되며 공기가 토출되는 판넬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는 캐비닛 내부의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열교환기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캐비닛의 내부에는 상기 열교환기를 지지하며 상기 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집수하는 드레인 팬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팬은 상기 캐비닛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 팬은 상기 열교환기를 기준으로 내측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열교환기의 외측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유로를 형성하여, 공기의 순환을 안내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선행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8-0052973호에는, 실내 천장에 삽입설치되는 캐비넷(130)과, 상기 캐비닛(13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전면판넬(400), 상기 캐비닛(130)의 내부에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실내열교환기(160),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드레인팬(150)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개시된다. 그리고, 드레인팬(150)이 실내열교환기(160)를 지지하고, 공기가 토출되는 유로와 흡입되는 유로를 형성하여 공기의 순환을 안내하는 구조를 가지는 특징이 개시된다.
한편, 상기 드레인 팬은, 상기 드레인 팬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이상의 강도가 요구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 팬은 캐비닛의 내부의 온도와 외부의 온도를 단열시키고 토출되는 공기와 흡입되는 공기를 단열시킬 수 있도록, 단열성이 요구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 팬은 상기 응축수의 집수를 위해서 내수성이 요구된다.
종래에는 상기 드레인 팬의 단열성과 내수성 및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EPS 소재로 형성된 부품과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된 부품을 결합시켜 상기 드레인 팬을 구성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드레인 팬에 의하면, 상기 드레인 팬이 플라스틱 소재의 부품과 EPS 소재의 부품의 결합 구조로 제공됨으로써, 각각의 부품을 별도로 제조하고 결합시켜야 하므로 작업성이 나빠지고, 제조비용과 제조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플라스틱 소재의 부품에 의해서 상기 드레인 팬의 무게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소재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드레인 팬이 구비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열성과 높은 강도를 가지는 드레인 팬이 구비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드레인 팬이 캐비닛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천장에 설치되며, 하방으로 개구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는 팬 어셈블리;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상기 팬 어셈블리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캐비닛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열교환기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며, EPP 소재로 성형되는 드레인 팬;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브라켓; 상기 드레인 팬 및 상기 브라켓과 결합되어, 상기 드레인 팬을 상기 브라켓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드레인 팬의 하면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에서 상기 드레인 팬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브라켓과 결합되는 제2 바디; 상기 제1 바디에서 돌출되며, 상기 드레인 팬의 하면에 삽입되는 다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드레인 팬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2 바디 보다 가로방향 폭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 팬의 하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다수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다수의 돌출부 수용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 팬의 하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 바디가 수용되도록, 상기 제1 바디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된 고정부재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돌출부 수용구는 상기 고정부재 안내홈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바디에는, 스크류의 일단이 관통하는 체결부재 구속구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돌출부는, 상기 드레인 팬의 하면과 마주보는 상기 제1 바디의 상면에서 돌출되되, 상기 체결부재 구속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 고정 돌출부; 상기 드레인 팬의 하면과 마주보는 상기 제1 바디의 상면에서 돌출되되, 상기 제1 고정 돌출부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2 고정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고정 돌출부는, 상기 드레인 팬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고정 돌출부의 표면에는 핫멜트 층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 수용구의 내측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고정 돌출부는 상기 체결부재 구속구에 스크류의 일단이 삽입될 때 외측으로 벌어져 상기 돌출부 수용구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재 구속구를 둘러싸는 다수의 돌출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 구속구를 둘러싸는 상기 다수의 돌출 돌기의 내측면에는, 스크류의 둘레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 구속구 및 상기 제1 고정 돌출부는 서로 이격된 다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제1 고정 돌출부는, 상기 제1 바디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고정 돌출부는, 상기 제1 바디의 상면 중심에 배치되어 상기 다수의 제1 고정 돌출부에 의해서 감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바디와 상기 브라켓은 스크류에 의해서 결합되며, 상기 제2 바디에는 스크류의 일단이 관통하는 제2 바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제2 바디 관통구를 관통한 스크류의 일단이 고정되는 결합부 관통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캐비닛의 외측 둘레면에 구비되며,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드레인 팬의 하면과 대응하는 높이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바디와 겹쳐지는 고정부재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 관통구는 상기 고정부재 결합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드레인 팬이 EPP 소재로 일체로 형성됨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팬을 캐비닛에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드레인 팬이 상기 캐비닛에 직접적으로 고정될 경우, 상기 캐비닛과 결합되는 부분에 집중되는 스트레스에 의해서 파손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EPP 원료의 발포배율을 낮추어 드레인 팬의 강도를 높이는 것은 비효율적인 재료비의 상승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고정부재가 별도로 제공되어, 상기 드레인 팬 및 캐비닛에 구비되는 브라켓과 결합되어 상기 드레인 팬을 상기 캐비닛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 팬이 상기 캐비닛에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드레인 팬 보다 높은 강도의 소재로 형성하여, 상기 드레인 팬이 EPP 소재로 형성됨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팬을 상기 캐비닛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되며, EPP 원료의 발표배율을 비효율적으로 낮추지 않아도 되므로 재료비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둘째, 고정부재에 상기 드레인 팬의 하면에 삽입되는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가 다수로 형성되므로 상기 드레인 팬에 가해지는 스트레를 분산시켜 상기 드레인 팬의 파손을 방지하고 상기 드레인 팬의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견고한 고정이 가능토록 할 수 있다.
셋째, 상기 드레인 팬에 결합되는 고정부재의 제1 바디는, 브라켓에 결합되는 고정부재의 제2 바디 보다 가로 방향으로 폭이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EPP 소재로 형성되는 드레인 팬의 보다 넓은 면적을 지지하여 스트레스를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 팬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상기 드레인 팬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넷째, 상기 드레인 팬의 하면에는 상기 제1 바디를 수용하도록 함몰된 고정부재 안내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바디가 드레인 팬의 하면에서 돌출되어 실내기의 조립에 간섭을 일으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다수의 돌출부는, 제1 바디의 상면에서 돌출되는 제1 고정 돌출부와 제2 고정 돌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 팬의 하면에는 상기 제1 고정 돌출부와 제2 고정 돌출부가 삽입되는 돌출부 수용구가 형성된다.
이 때, 제2 고정 돌출부는 드레인 팬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 수용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넓은 접촉면적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 팬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상기 고정부재와 드레인 팬의 보다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섯째, 상기 제1 고정 돌출부는 제1 바디에 스크류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체결부재 구속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1 고정 돌출부는 상기 체결부재 구속구를 둘러싸는 다수의 돌출 돌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재 구속구에 스크류가 삽입될 때 상기 제1 고정 돌출부는 외측으로 벌어져 상기 돌출부 수용구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고정부재와 드레인 팬의 보다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실내기의 판넬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실내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컨트롤 박스와 에어 가이드가 결합된 드레인 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드레인 팬의 하부 구조를 도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드레인 팬의 상부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컨트롤 박스와 드레인 팬의 결합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링크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링크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9에서 12'-12''를 기준으로 절개된 실내기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드레인 팬과 캐비닛의 결합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14'-14''를 기준으로 절개된 실내기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정부재의 상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정부재의 하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실내기의 판넬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실내기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전체적으로 실내 공간의 천장 내부에 삽입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실내기(1)의 하면의 외관을 형성하며 천장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판넬(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하단은 상기 실내기(1)가 천장에 장착된 상태에서 실내 공간의 바닥을 향하는 상기 캐비닛(10)의 일단으로 볼 수 있다. 도 1에서는 상기 실내기(1)의 하면이 상방을 바라보도록 상기 실내기(1)가 뒤집어진 상태로 볼 수 있다. 상기 실내기(1)가 천장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판넬(20)은 상기 캐비닛(10)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흡입되는 공기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30)와, 실내공기의 강제 흡입 및 토출을 위한 팬 어셈블리(40), 상기 열교환기(3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드레인 팬(100), 상기 팬 어셈블리(40)를 향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60) 및 집수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응축수 펌프(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판넬(20)은 하방에서 바라볼 때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넬(20)은 상기 캐비닛(10)의 둘레 보다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둘레부가 상기 천장의 하면과 접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판넬(20)에는 상기 캐비닛(10)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출구가 되는 토출구(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22)는 상기 판넬(20)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판넬(20)의 하면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22)는 상기 판넬(20)의 가장자리를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22)에는 베인(23)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인(23)은 회전에 의해서 상기 토출구(22)에서 토출되는 바람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 어셈블리(40)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토출구(22)를 개폐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판넬(20)에는 실내 공기가 상기 캐비닛(10)의 내부로 흡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흡입 그릴(2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 그릴(21)은 상기 판넬(20)의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 그릴(21)은 상기 다수의 토출구(22)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 그릴(21)은 상기 판넬(20)의 중앙의 개구를 차폐할 수 있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 그릴(21)의 적어도 일부는 그릴 또는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실내공기의 흡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10)의 상기 판넬(20)이 구비되는 일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캐비닛(10)은 하면이 개구된 수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된 하면은 상기 판넬(20)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11)와,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내측에 구비되는 이너 케이스(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웃 케이스(11)는 상기 천장에 고정되어 상기 실내기(1)를 지지할 수 있도록,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케이스(11)는 하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을 형성하는 상판(12)과, 둘레면을 형성하는 둘레판(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둘레판(13)은 상기 상판(12)의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 있으며, 다수의 분할된 판상의 부재들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내측면에는 상기 이너 케이스(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15)는 이피에스(EPS:Expended polystyrene)와 같은 단열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 내부를 단열시키고 소음 진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15)는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판넬(20)을 향하는 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너케이스(15)는 하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15)의 내측 공간에는 상기 팬 어셈블리(40)가 구비되고, 상기 팬 어셈블리(40)의 둘레로 상기 열교환기(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팬 어셈블리(40)는 상기 이너 케이스(15)의 내측 공간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팬 어셈블리(40)는 모터(42)와, 상기 모터(42)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42)의 구동시 회전되어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송풍팬(41)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송풍팬(41)은 회전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측방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원심팬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30)는 상기 이너 케이스(15)의 내측면을 따라서 배치되되 상기 이너 케이스(15)의 벽면 및 상기 팬 어셈블리(40)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15)의 하단에는, 상기 드레인 팬(1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팬(100)은, 둘레가 상기 이너 케이스(15)의 둘레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15)의 하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드레인 팬 바디(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팬 바디(110)는, 상기 흡입 그릴(21)을 통해서 외부의 공기가 상기 팬 어셈블리(40)로 흡입될 수 있도록, 중심이 개구된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 팬 바디(110)는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내부에 수용되어 둘레면이 상기 아웃 케이스(11)에 의해서 감싸질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드레인 팬 바디(110)의 높이와 상기 이너 케이스(15)의 높이의 합은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내부 공간의 높이에 대응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드레인 팬 바디(110)에서 상기 팬 어셈블리(40)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흡입 개구(1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흡입그릴(21)과 상기 팬 어셈블리(40) 및 상기 흡입 개구(120)는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 팬 바디(110)에는, 상기 판넬(20)의 토출구(22)와 연통되는 토출 개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 개구(111)는 상기 판넬(20)의 토출구(2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토출 개구(111)는 상기 드레인 팬 바디(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 개구(111)는 상기 토출구(22)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드레인 팬 바디(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 팬 바디(110)에는, 상기 열교환기(30)가 하단이 접하는 지지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50)는, 상기 흡입 개구(120)와 토출 개구(111)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150)는 상기 흡입 개구(120)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토출 개구(111)는 상기 지지부(150)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는, 상기 지지부(150)를 기준으로 상기 드레인 팬(100)의 내측 영역에 상기 흡입 개구(120)가 형성되고, 외측 영역에 상기 토출 개구(111)가 형성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지지부(150)에는, 상기 열교환기(30)의 하단이 수용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3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는 상기 지지부(150)의 홈에 집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상기 드레인 팬(100)에 집수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응축수 펌프(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펌프(70)의 입구측과 연결된 배관은 상기 드레인 팬(100)의 일측에 응축수가 모이도록 형성된 배출부(160, 도8)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수 펌프(70)의 출구측과 연결된 응축수 파이프(71)는 상기 캐비닛(10)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실내기(1) 내부의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외부의 공기는 상기 흡입 개구(120)를 통해서 상기 팬 어셈블리(40)가 구비된 상기 캐비닛(10)의 내부 공간으로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 어셈블리(40)의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토출되어 상기 열교환기(30)를 통과하면서 냉매와 열교환되고, 상기 열교환기(30) 외측의 상기 캐비닛(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 개구(111)와 상기 토출구(22)를 통해서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팬(100)은 상기 열교환기(30)의 하중을 지지하며, 이를 위해서 상기 아웃 케이스(1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팬(100)은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아웃 케이스(1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스크류(400) 일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둘레에는, 상기 드레인 팬(100)과의 결합을 위한 브라켓(9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90)은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된 다수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 팬(100)에서 상기 브라켓(90)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브라켓(90)과 결합되는 고정부재(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200)를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성형될 수 있으며, 비교적 높은 강도를 가지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고정부재(200)는 PP(polypropylene) 소재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200)는, 상기 드레인 팬(10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드레인 팬(100)에 결합되는 별도의 부재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200)는, 상기 드레인 팬(100)의 둘레 외측으로 돌출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브라켓(90)과 겹쳐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케이스(11)와 드레인 팬(100)은 상기 브라켓(90)과 상기 고정부재(200)를 관통하는 스크류(400)에 의해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오리피스(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오리피스(60)는 상기 드레인 팬(10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드레인 팬(100)의 중앙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리피스(60)는 상기 흡입 개구(120)를 형성하며, 상기 흡입 개구(120)를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팬 어셈블리(40)의 중앙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오리피스(60)에는 개구된 오리피스공(6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오리피스공(62)의 둘레를 따라 가이드부(6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 개구(120)는 상기 오리피스공(62) 및 상기 가이드부(63)의 개구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63)는 상기 팬 어셈블리(40)를 향하여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이드부(63)는 상기 송풍팬(41)의 상단에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41)은 상기 가이드부(63)의 개구 중심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 개구(120)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가이드부(63)에 의해서 안내되고, 상기 팬 어셈블리(40)의 축방향으로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 어셈블리(40)의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측방으로 토출되어 상기 열교환기(30)를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30)를 통과하면서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3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30)와 상기 이너 케이스(15)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을 지나, 상기 토출 개구(111) 및 상기 토출구(22)를 통해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상기 실내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박스(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오리피스(60)와 컨트롤 박스(50)는 상기 드레인 팬(100)에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드레인 팬(100)의 구조 및, 상기 컨트롤 박스(50)와 오리피스(60)의 장착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컨트롤 박스와 오리피스가 결합된 드레인 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드레인 팬의 하부 구조를 도인 도면이다.
상기 컨트롤 박스(50)와 오리피스(60)는,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드레인 팬(1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스크류(400)일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박스(50)와 오리피스(60)를 포함하여, 상기 드레인 팬(100)에 체결부재에 의해서 결합되는 구성들을 '결합물'로 정의 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팬(100)의 하면 중앙부는 상기 컨트롤 박스(50)와 오리피스(60)가 수용되도록 함몰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레인 팬(100)의 중앙 영역에는 함몰된 단차부(126)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단차부(126)는 상기 지지부(150)에 의해서 둘러싸지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팬(100)의 상기 단차부(126)에는, 상기 흡입 개구(120)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절개된 흡입 개구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 개구부(125)는 상기 단차부(126)의 가장자리 일부를 제외한 중심 영역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박스(50)는, 상기 실내기(1)에 구비되는 상기 모터(42), 응축수 펌프(70), 각조 밸브 및 센서 등과 같은 전장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장 부품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컨트롤 박스(50)의 내부에는 일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고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박스(50)와 상기 오리피스(60)는, 상기 단차부(126)에 수용되며 상기 단차부(126)의 가장자리에 적어도 일부가 안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컨트롤 박스(50)는, 상기 단차부(126)에 적어도 일부분이 안착될 수 있으며, 일부분이 상기 흡입 개구부(125)의 일부를 차폐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컨트롤 박스(50)의 일부분은 상기 캐비닛(10)의 내부 공간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열교환기(30)에서 생성되는 냉기에 의해서 냉각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컨트롤 박스(50)는, 상기 가이드부(63)와 상기 토출 개구(111)의 사이 영역에 위치되어, 공기의 흐름이 방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박스(5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는 컨트롤 박스 바디(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박스 바디(51)는 대략 육면체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박스 바디(51)에는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드레인 팬(100)에 고정되기 위한 체결부(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52)는 상기 컨트롤 박스 바디(51)의 둘레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된 위치에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52)에는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체결부 관통구(5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팬(100)에는 상기 체결부(52)와 대응하는 위치에 컨트롤 박스 고정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박스 고정부(130)는 상기 다수의 체결부(5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 관통구(53)를 관통한 체결부재는 상기 컨트롤 박스 고정부(13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 박스(50)는 상기 체결부(51)를 관통하여 상기 컨트롤 박스 고정부(130)에 결합되는 체결부재에 의해서 서로 이격된 다수의 부분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박스 고정부(130)는 상기 드레인 팬(100)의 하면에서 상기 단차부(126)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체결부(52)는 상기 컨트롤 박스 바디(51)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컨트롤 박스 고정부(130)와 겹쳐지도록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오리피스(60)는, 상기 컨트롤 박스(50)가 구비되는 영역을 제외한 상기 드레인 팬(100)의 상기 단차부(126)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오리피스(60)는 상기 컨트롤 박스(50) 외측의 상기 단차부(126)를 커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오리피스(60)는, 상기 단차부(126)를 커버하는 오리피스 바디(6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리피스 바디(61)에서 상기 팬 어셈블리(40)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상기 오리피스공(6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리피스공(62)의 둘레를 따라 상기 가이드부(63)가 상기 팬 어셈블리(40)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입 개구부(125)는, 상기 가이드부(63)의 둘레보다 더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리피스(60)의 탈거시 상기 캐비닛(10) 내부의 공간이 보다 크게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리피스(60)의 탈거시 상기 흡입 개구부(125)를 통해서 상기 캐비닛(10) 내부의 정비 및 조립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오리피스 바디(61)에는,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오리피스 관통구(6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리피스 관통구(65)는 상기 가이드부(63)의 둘레를 따라 다수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 팬(100)의 단차부(126)에는, 상기 오리피스 관통구(65)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리피스 고정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리피스 고정부(140)는 상기 다수의 오리피스 관통구(65)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리피스 관통구(65)를 관통한 체결부재는 상기 오리피스 고정부(14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리피스(60)는 상기 오리피스 관통구(65)를 관통하여 상기 오리피스 고정부(140)에 결합되는 체결부재에 의해서 서로 이격된 다수의 부분이 고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드레인 팬의 상부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상기 드레인 팬(100)의 상면에는, 상기 열교환기(30)의 하단이 수용되도록 함몰된 상기 지지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50)는, 상기 드레인 팬(100)의 상면에서 상기 드레인 팬(100)의 중앙부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지지부(150)는 상기 단차부(126)가 형성되는 상기 드레인 팬(100)의 중앙부와, 상기 토출 개구(111)가 형성되는 상기 드레인 팬(100)의 가장자리 사이 영역에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레인 팬(100)은 지지부(150)를 기준으로, 상기 단차부(126)와 가장자리 영역이 구분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지지부(150)의 바닥면(151)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다수의 리브(1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리브(152)는 상기 열교환기(30)의 하면이 안착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기(3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열교환기(30)는 상기 다수의 리브(152)에 의해서 지지되어 상기 지지부(150)의 바닥면(151)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리브(152)는 상기 바닥면(1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리브(152)는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 전후 및 좌우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다수의 리브(152)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내외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볼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리브(152)는 상기 열교환기(30)의 하중을 분산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이격된 사이 공간을 통해서, 상기 지지부(150)에 집수된 응축수가 갇히지 않고 상기 지지부(150)의 내측에서 유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드레인 팬(100)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지지부(150)에 집수된 응축수가 모여서 배출되는 배출부(1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160)는 상기 드레인 팬(100)의 상면 가장자리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토출 개구(111)의 사이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160)는 상기 지지부(150)와 대응하는 깊이 또는 더 깊은 깊이로 함몰 형성될 수 이쓰며, 상기 지지부(15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150)에 집수된 응축수는 상기 배출부(160)로 유입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지지부(150)는 상기 배출부(160)를 향하여 바닥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160)로 응축수가 보다 원활하게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출부(160)에는, AS 작업시 상기 드레인 팬(100)에 집수된 물을 빼내기 위한 배출구(16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161)는 상기 드레인 팬(10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161)는 상기 드레인 팬(100)의 하면을 통해 삽입되는 고무 캡에 의해서 누수되지 않도록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펌프(70)의 입구측과 연결된 배관은, 상기 배출구(161)를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배출구(161)에 모이는 응축수를 흡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출부(160)에는, 서로 이격된 다수의 돌기(16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돌기(165)는 지지부(150)와 배출부(160)의 경계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다수의 돌기(165)는 상기 배출구(161)를 감싸도록 상기 배출구(161)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돌기(165)는 서로 이격된 사이 공간을 통해서 상기 응축수가 통과되도록 하며, 응축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출구(161)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상기 응축수 펌프(70)의 입구측이 막히거나 상기 배출구(161)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레인 팬(100)은, 단열성과 내수성을 확보하고, 단일 구성으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EPP(Expanded Polypropylene)소재로 성형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레인 팬(100)은 EPP 소재로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드레인 팬(100)은, 상기 열교환기(30)에서 생성되는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고, 상기 토출 개구(111)를 통해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흡입 개구(120)를 통해서 흡입된 공기를 단열시키기 위해서 단열성이 요구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물이 견고하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물 및 상기 열교환기(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 일정이상의 강도가 요구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수에 스며들거나 누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내수성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드레인 팬(100)은, 특정 배율 이하로 발포된 EPP 원료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성형성 및 재료비의 절감을 위해서 특정 배율 이상으로 발포된 EPP 원료로 성형성될 수 있다.
EPP 소재로 성형하는 방법은, 종래기술에 다양하게 개시되므로 성형 방법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EPP 소재의 원료는 작은 알갱이 형태로 제공된다. 그리고, EPP 원료 전용의 발포 장치를 통해서 발포되어 부풀려지게 된다. 이 때, 발포 장치에 의해서 부풀려지는 EPP 원료의 부피 배율을 '발포 배율'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발포 배율이 적을수록 상기 EPP 원료의 강도는 높아지고, 결국 성형되는 제품의 강도도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발포 배율이 높을수록 상기 EPP 원료의 강도는 낮아지고, 결국 성형되는 제품의 강도는 낮아지게 된다. 이 때, 상기 발포 배율이 높을수록 특정 부피의 제품을 성형함에 있어 EPP 원료의 사용량이 감소하게 되므로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발포를 통해서 부풀려진 EPP 원료는, 상기 드레인 팬(100)의 성형을 위한 금형 내부로 투입되는 원료주입 단계를 거치게 된다. 그리고, 금형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여 금형 내부의 EPP 원료를 융착시켜 원료를 상기 드레인 팬(100)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 단계를 거치게 된다. 그리고, 금형을 냉각시킨 후 성형이 완료된 상기 드레인 팬(100)을 금형에서 취출하는 취출 단계를 된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성형이 완료된 제품을 건조시키는 건조 단계를 거쳐 상기 드레인 팬(100)의 성형이 완료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기 드레인 팬(100)은, 상기 열교환기(30)와 결합물의 안정적인 지지 및 상기 결합물의 견고한 장착을 위해서, 18배 이하의 발포 배율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면서도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15배 이상의 발포 배율로 성형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레인 팬(100)은 15배 이상에서 18배 이하의 발포 배율을 가지는 EPP 원료로 성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드레인 팬(100)은 충분한 강도의 확보를 위해서, 대략 680kpa 이상의 인장강도가 요구될 수 있다. 그리고, 압축강도는 25% Strain, 50% Strain, 75% Strain 수준에서 각각, 320kap, 430kap, 860kap 이상이 요구될 수 있다.
공지된 EPP 물성표 자료에 의하면, 발포 배율이 18배인 EPP 소재는 680kpa 수준의 인장강도를 가지며, 25% Strain, 50% Strain, 75% Strain 수준에서 각각, 320kap, 430kap, 860kap 수준의 압축강도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 팬(100)은 18배 이하의 발포 배율로 적용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 팬(100)은 성형성과 재료비의 절감을 위해서 최소 15배 이상의 발포 배율로 적용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15배~18배의 발표 배율을 가지는 EPP 원료로 성형되는 드레인 팬(100)은, 요구되는 강도와 단열성 및 내수성을 가질 수 있으며 재료비는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드레인 팬(100)은 성형 단계에서, 글래이징(Galzing) 표면처리 공법에 의해서 표면의 강도가 보다 높게 성형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글래이징 공법은 성형물의 표면을 용융시켜 좀더 강성이 강한 표면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표면처리 공법이다. 상기 글래이징 공법은 EPS 소재 또는 EPP 소재등의 경량화 소재의 강도 보강을 위해서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는 공지기술로써 간략히 예로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예로들어, 상기 드레인 팬(100)에 글래이징 공법이 적용되는 경우, 상기 드레인 팬(100)의 성형을 위한 금형 내부에는, 상기 드레인 팬(100)의 표면을 따라 스팀이 이동하는 표면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표면 유로를 통해서 스팀을 집중적으로 공급하여, 드레인 팬(100)의 표면을 급속으로 용융시킬 수 있다.
그리고, 드레인 팬(100)의 표면을 급속으로 냉각시켜 드레인 팬(100)의 용융된 표면이 고체화되면서 매끄럽고 강한 강도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표면이 글래이징 처리되는 경우, 표면이 미세한 입자로 오밀조밀하게 형성되어 내수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이 때, 표면 유로의 형성 범위에 따라, 상기 드레인 팬(100)의 표면 중 일부만 글래이징 처리될 수 있으며, 또는 전체적으로 글레이징 처리될 수도 있다.
상기 드레인 팬(100)의 표면이 글래이징 처리되는 경우, 상기 드레인 팬(100)의 강도는 높아질 수 있다. 즉, 동일한 발포 배율이 적용된 상태에서 글래이징 처리가 되지 않은 드레인 팬(100) 보다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 팬(100)의 표면이 글래이징 처리되는 경우에는, 성형성 및 재료비의 절감을 위해서, 상기 드레인 팬(100)은 비교적 높은 발포 배율을 가지는 EPP 소재로 성형되더라도 충분한 요구 강도를 만족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드레인 팬(100)의 표면 전체가 글래이징 처리되는 경우, 상기 드레인 팬(100)은 최대 30배의 발포 배율을 가지는 EPP 원료로 성형되어도, 충분한 요구 강도를 만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 팬(100)의 표면이 글래이징 처리되는 경우, 상기 드레인 팬(100)은 15배 이상에서 30배 이하의 발포 배율을 가지는 EPP 원료로 성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레인 팬(100)의 표면 일부만 글레이징 처리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예로들어, 응축수가 집수되는 지지부(150)는 내수성이 향상되도록 글레이징 처리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지지부(150)에 집수된 물이 모이는 배출부(160)가 글레이징 처리될 수도 있으며, 상기 배출부(160)에서 배출구(161)의 내측에만 글레이징 처리가 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드레인 팬(100)의 성형을 위한 금형에는, EPP 원료의 주입을 위한 다수의 원료 주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료 주입구는 상기 드레인 팬(100)의 형상에 대응하여 고르게 배치되어, 상기 금형의 내부로 원료가 고르게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원료 주입구는 상기 드레인 팬(100)의 하면을 성형하는 상기 금형의 하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료 주입구에 의해서, 상기 드레인 팬(100)의 하면에는 음각으로 함몰된 함몰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13)는 상기 원료 주입구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함몰부(113)는 상기 원료 주입구를 통해서 주입되는 EPP 원료의 양과 공기 압력의 조절에 의해서 의도적으로 음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료주입 단계에서는, 상기 원료 주입구를 통해서 주입되는 EPP 원료가 상기 원료 주입구에 잔존하지 않고 금형 내부로 완전히 수용되는 양으로 주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료 주입구에는 원료의 역류가 방지되도록 일정이상의 내부 압력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원료 주입양과 공기 압력에 의해서 상기 함몰부(113)가 돌출되지 않고 함몰된 음각의 형태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13)는 1mm~3mm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13)가 음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실내기(1)의 조립에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상기 드레인 팬(100)의 성형시 상기 원료 주입구에 대응하는 상기 드레인 팬(100)의 표면에는 버(Burr)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버(Burr)가 상기 드레인 팬(100)의 표면에서 도출되어, 상기 실내기(1)의 조립시 조립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원료 주입구에 대응하는 상기 드레인 팬(100)의 표면에 상기 함몰부(113)가 형성됨으로써, 버(Burr)가 존재하더라도 상기 함몰부(113)에 수용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내기(1)의 조립시 상기 판넬(20)이 상기 드레인 팬(100)의 하면에 밀착되지 않고 들뜨거나 하는 조립성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113)가 상기 드레인 팬(100)의 하면에만 형성되므로, 상기 응축수의 흐름을 방해하거나 이물질이 고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세히, 응측수가 모이는 상기 지지부(150)가 상기 드레인 팬(100)의 상면에 형성됨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113)가 상기 드레인 팬(10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함몰부(113)에 의해서 응축수의 흐름이 방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113)가 상방으로 개구되므로 상기 함몰부(113)에 이물질이 고여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함몰부(113)가 상기 드레인 팬(100)의 하면에만 형성되므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함몰부(113)는 상기 토출 개구(111)를 가로지르는 브릿지(112)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 개구(111)는 강시 드레인 팬(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길게 형성되므로, 외측 둘레면이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토출 개구(111)의 외측 둘레면의 강도가 얇은 두께에 의해서 약하게 형성되어, 파손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얇은 두께에 의해서 변형에 취약할 수 있으며, 상기 EPP 원료의 주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가 발지될 수 있도록, 상기 토출 개구(111)의 길이 방향 중심에는, 상기 토출 개구(111)의 서로 마주 보는 내측면과 외측면을 연결하는 브릿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릿지(112)에 의해서 상기 토출 개구(111) 주변의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 팬(100)의 성형을 위한 금형에서 상기 브릿지(112)의 하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원료 주입구가 형성되어 EPP 원료가 주입됨으로써, 상기 토출 개구(111)의 주변의 영역에 EPP 원료가 고르게 주입될 수 있다.
상기 브릿지(112)의 상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토출 개구(111)를 통해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로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브릿지(112)가 형성되더라도, 상기 토출 개구(111)를 통하여 공기가 원활하게 토출될 수 있으며, 브릿지(112)의 하면에 부딪히는 공기에 의해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레인 팬(100)이 EPP 소재로 일체로 성형됨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팬(100)에 형성되는 각각의 구성의 폭은 성형을 위해 최소 6mm 이상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팬(100)을 EPP 소재로 성형하기 위해서, 상기 드레인 팬(100)의 금형에는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스팀캡이 구비되며, 상기 드레인 팬(100)에 형성되는 각각의 구성은 상기 스팀캡이 안착될 수 있는 최소 6mm 이상의 안착면이 요구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다수의 리브(152)는, 상기 스팀캡의 안착이 형성될 수 있도록, 최소 6mm 이상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160)에 형성된 상기 돌기(165)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름이 6mm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컨트롤 박스와 드레인 팬의 결합 구조를 보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링크의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링크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9에서 12'-12''를 기준으로 절개된 실내기의 단면도이다.
상기 컨트롤 박스 장착부(130)와 상기 오리피스 장착부(140)에는, 체결부재와 결합되는 링크(3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컨트롤 박스(50)의 고정을 위한 체결부재가 스크류(400)인것을 예로들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스크류(40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체결부재로써, 측방에서 보았을 때 대략 'T'자 형상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스크류는 외부로 노출되는 스크류헤드와, 상기 스크류헤드에서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스크류바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링크(30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스크류(400)에 의한 상기 결합물의 결합시, EPP 소재로 형성되는 상기 드레인 팬(100)의 손상을 방지되고, 상기 결합물이 상기 드레인 팬(10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컨트롤 박스 장착부(130)에 링크(300)가 구비되는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오리피스 장착부(140)는 상기 컨트롤 박스 장착부(13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링크(300)는 상기 오리피스 장착부(14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리피스 장착부(140)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컨트롤 박스 장착부(130)에는, 상기 링크(300)가 삽입되는 링크 삽입구(1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크 삽입구(135)는, 상기 링크(300)가 완선히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링크(300)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링크 삽입구(135)는, 후술할 상기 링크(300)의 링크 연장부(320)가 수용되는 연장부 수용구(137)와, 상기 링크(300)의 헤드부(310)가 수용되는 헤드부 수용구(1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 수용구(137)는 상기 헤드부 수용구(136)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 수용구(137)의 내주면에는, 함몰된 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링크(300)는, 스크류 또는 볼트와 같이 측방에서 보았을 때 대략'T'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링크(300)는 헤드부(310)와, 상기 헤드부(310)에서 연장되는 연장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300)에는 상기 스크류의 스크류바디가 삽입되는 체결부재 삽입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 삽입구(330)는 상기 헤드부(310)를 관통하여 상기 연장부(320)의 내부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 삽입구(330)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크류바디에 형성된 나사산과 연동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스크류바디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기 체결부재 삽입구(330)에 형성된 나사산 중, 하나는 암 나사산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수 나사산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3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310)는 상기 헤드부 수용구(136)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 수용구(136)의 깊이와 동일하거나, 상기 헤드부 수용구(136)의 깊이 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310)의 외경은 상기 헤드부 수용구(136)의 내경 보다는 작고, 상기 연장부 수용구(137) 보다는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헤드부(310)는 상기 연장부 수용구(137)외측의 상기 헤드부 수용구(136) 바닥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320)는 상기 헤드부(310)의 하면 중심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320)는 상기 연장부 수용구(137)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연장부 수용구(137)의 내경 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320)의 외주면에는, 돌출된 수 나사산(32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헤드부(31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연장부(320)는 상기 연장부 수용구(137)에 형성된 암 나사산과 연동하여 상기 연장부 수용구(137)에 삽입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연장부 수용구(137)에 수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320)에 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연장부(320)의 하단은 하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 수용구(137)에 삽입시 경사면에 의해서 삽입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320)의 외주면에는, 외주면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3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322)는 상기 연장부(3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개부(322)를 통해서 상기 체결부재 삽입구(330)가 개구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절개부(322)는 상기 연장부(320)의 상단 및 하단과 이격되되, 상단과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연장부(320)의 하단에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322)에 의해서 상기 연장부(320) 및 상기 체결부재 삽입구(330)의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320) 및 상기 체결부재 삽입구(330)가 변형 가능하므로, 치수에 다소 편차가 있더라도 상기 연장부(320)가 상기 연장부 수용구(137)에 용이하게 삽입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 삽입구(330)에 상기 스크류가 용이하게 삽입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연장부(320)에 의해서 상기 링크 삽입구(135)와 상기 링크(300)와 스크류의 사이의 치수 공차에 유연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상기 링크(300)의 파손 또는 상기 드레인 팬(10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체결부재 삽입구(330)는, 상기 스크류가 삽입될 때 상기 절개부(322)에 의해서 확장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류가 삽입되는 부분 보다 다소 좁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크류가 삽입될 때 상기 체결부재 삽입구(330)는 확장되고, 상기 연장부(320)의 외주면 및 나사산은 상기 연장부 수용구(137)의 내주면에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와 상기 링크(300) 및 상기 드레인 팬(100)의 보다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컨트롤 박스(50)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연장부(320)의 하면은 차폐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부재 삽입구(330)는 하단이 상기 연장부(320)의 하면과 이격된 위치까지 연장되어, 상방으로만 개구되고 하방으로는 차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재 삽입구(333)를 통해서 상기 링크 삽입구(135)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수분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헤드부(310)의 상면 중심에는, 상기 체결부재 삽입구(330)의 입구가 개구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310)의 상면에서, 상기 체결부재 삽입구(330)의 둘레에는, 상기 체결부재 삽입구(330)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가 상기 체결부재 삽입구(330)에 삽입될 때, 경사면에 의해서 안내되어 삽입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310)의 상면에는, 상기 링크(300)의 탈착을 위해 상기 링크(300)를 회전시키는 기구가 결합될 수 있는 기구 삽입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구 삽입부(311)는, 상기 체결부재 삽입구(33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링크(300)를 회전시키기 위한 기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기구는, '-'형 드라이버 또는 '+'형 드라이버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구 삽입구(311)는 상기 체결부재 삽입구(330)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기구 삽입구(311)는 상기 체결부재 삽입구(33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기구 삽입부(311)는 상기 기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구로는 드라이버 외에 상기 링크(300)를 회전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기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링크(300)의 회전을 위한 전용 기구가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링크(300)는 플라스틱 소재로 성형될 수 있으며,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크(300)가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절개부(322)에 의한 상기 연장부(320)의 탄력적인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링크(300)는, PP(polypropylene) 소재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박스(50)를 상기 드레인 팬(100)에 고정하기 위해서, 먼저 상기 링크 삽입구(135)에 상기 링크(300)를 삽입시킬 수 있다. 상기 링크(300)는 상기 링크 삽입구(135)에 회전에 의해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3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기 링크 삽입구(135)에 형성된 나사산의 결합에 의해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링크(300)가 상기 링크 삽입구(135)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컨트롤 박스(50)의 체결부(52)가 상기 링크(300)의 상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컨트롤 박스(50)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체결부(52)에 형성된 상기 체결부 관통구(53)는 상기 체결부재 삽입구(330)와 동일 연장선상에 정렬되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52)에 형성된 홀과 상기 체결부재 삽입구(330)가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400)를 상기 체결부(52)에 형성된 홀을 관통시켜 상기 체결부재 삽입구(330)에 삽입시킬 수 있다.
상기 스크류(400)는 회전에 의해서 상기 스크류바디가 상기 체결부재 삽입구(330)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류바디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기 체결부재 삽입구(330)에 형성된 나사산의 결합에 의해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400)의 삽입에 의해서 상기 스크류헤드가 상기 체결부(52)에 접촉하여 상기 체결부(52)를 상기 링크(300)와의 사이에 구속시키면, 상기 컨트롤 박스(50)의 고정이 완료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바디가 상기 체결부재 삽입구(330)에 삽입될 때, 상기 절개부(322)에 의해서 상기 연장부(320)는 변형되어, 상기 연장부 수용구(137)의 내주면을 향하여 가압되어 보다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링크(300)와 상기 드레인 팬(100)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어, 상기 컨트롤 박스(50)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드레인 팬과 캐비닛의 결합 구조를 보인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에서 14'-14''를 기준으로 절개된 실내기의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정부재의 상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정부재의 하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상기 드레인 팬(100)은 상기 캐비닛(1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 팬(100)은 하중을 상기 캐비닛(10)에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드레인 팬(100)은 상기 아웃 케이스(11)에 구비되는 상기 브라켓(9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레인 팬(100)이 상기 브라켓(90)에 직접적으로 고정될 경우, 상기 브라켓(90)과 결합되는 부분에 과도한 스트레스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 팬(100)이 EPP 소재로 형성되므로, 상기 브라켓(90)과 결합되는 부분에 발생되는 스트레스를 버티기에는 무리가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브라켓(90)과 결합되는 부분이 파손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EPP 원료의 발포배율을 크게 낮추는 것은 많은 재료비의 증가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드레인 팬(100)과 상기 브라켓(90)을 연결하는 고정부재(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200)는 상기 브라켓(90) 및 상기 드레인 팬(100)과 결합되며, 상기 드레인 팬(100)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상기 드레인 팬(100)의 보다 넓은 영역으로 분산시켜 EPP 소재로 형성되는 상기 드레인 팬(100)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200)는 상기 드레인 팬(100)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는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90)은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외측 둘레면에 구비되되 상기 고정부재(200)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200)는 상기 브라켓(90)과 상기 드레인 팬(100)에 체결부재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체결부재가 스크류(400)인 것을 예로들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스크류(40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체결부재로써, 측방에서 보았을 때 대략 'T'자 형상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스크류(400)는 외부로 노출되는 스크류헤드와, 상기 헤드에서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스크류바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고정부재(2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상의 고정부재 바디(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 바디(210)는, 상기 드레인 팬(100)의 하면에 위치하는 제1 바디(211)와, 상기 제1 바디(211)에서 상기 상기 드레인 팬(100)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브라켓(90)의 하면에 위치하는 제2 바디(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90)은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제2 바디(212)와 결합되는 고정부재 결합부(9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 결합부(91)는 상기 브라켓(90)의 상단이 외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레인 팬(100)의 하면에는 상기 제1 바디(211)가 수용되도록, 함몰된 고정부재 안내홈(17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 안내홈(170)은 상기 제1 바디(21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211)는 상기 고정부재 안내홈(170)에 의해서 상기 드레인 팬(100)에 결합되는 위치가 안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 바디(210)는 평평한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 결합부(91)의 하면은 상기 고정부재 안내홈(170)의 함몰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 바디(210)는 상기 고정부재 결합부(91)의 하면과 상기 고정부재 안내홈(170)의 함몰면에 함께 밀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둘레면 하단에서 상기 고정부재 안내홈(170)과 상기 고정부재 결합부(91)의 사이에 위치된 영역은 절개되어, 상기 고정부재(200)와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바디(211)는 상기 제2 바디(212)보다 더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드레인 팬(100)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상기 드레인 팬(100)의 보다 넓은 면적으로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211)는 상기 드레인 팬(100)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212)에는, 상기 스크류바디가 관통하는 제2 바디 관통구(2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 결합부(91)에는, 상기 제2 바디 관통구(240)를 관통한 상기 스크류바디가 삽입되는 결합부 관통구(9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 결합부(91)와 제2 바디 관통구(240)는, 서로 이격된 다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둘레면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바디(211)에는, 상기 드레인 팬(100)의 하면에 삽입되는 다수의 제1 고정 돌출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상기 제1 고정 돌출부(220)는, 상기 제1 바디(211)의 하면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바디(211)에는, 상기 드레인 팬(100)의 하면에 삽입되는 제2 고정 돌출부(23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 돌출부(230)는 하나 또는 다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상기 제2 고정 돌출부(230)가 하나만 형성되는 것을 예로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제1 고정 돌출부(220)는, 상기 드레인 팬(100)의 하면과 접하는 상기 제1 바디(211)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돌출부(220)에는, 상기 스크류바디가 상기 제1 바디(211)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체결부재 구속구(2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 구속구(225)는 상기 제1 바디(211)의 하면에서 부터 상기 제1 고정 돌출부(220)의 중심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돌출부(220)의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돌출부(220)는, 상기 체결부재 구속구(225)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돌출 돌기(2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돌출 돌기(221)는, 상기 체결부재 구속구(225)에 상기 스크류바디가 삽입될 때,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1 고정 돌출부(220)는, 상기 제1 바디(211)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통 형상으로 연장되고, 둘레면이 일정간격으로 상하로 절개되어, 상기 다수의 돌출 돌기(221)를 형성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돌출 돌기(221)는 상기 드레인 팬(100)의 하면에 용이하게 삽입 가능하도록, 상단이 상방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바디(211)의 하면에서 상기 체결부재 구속구(225)의 주위 영역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바디가 상기 체결부재 구속구(22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헤드는 상기 제1 바디(211)에 수용되어, 상기 제1 바디(211)의 하면 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헤드에 의해서 상기 실내기(1)의 조립에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2 바디(212)는 상기 캐비닛(10)의 외측에 위치하므로 상기 스크류헤드에 의해서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강도의 보강을 위해서, 상기 제2 바디(212)의 하면에서 제2 바디 관통구(240)의 주위 영역은 함몰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제2 바디 관통구(240)의 주위 영역은 상기 체결부재 구속구(225)의 주위 영역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고정 돌출부(230)는, 인접한 상기 드레인 팬(100)의 둘레면 연장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고정 돌출부(230)는 인접한 상기 드레인 팬(100)의 측면과 나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제2 고정 돌출부(230)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고정 돌출부(230)의 돌출된 단부는 상기 드레인 팬(100)에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 고정 돌출부(230)는 상기 드레인 팬(100)의 둘레면과 나란하게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절곡된 횡단면을 가지거나 라운드진 횡단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2 고정 돌출부(230)는 다수의 상기 제1 고정 돌출부(220)의 이격된 사이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다수의 상기 제1 고정 돌출부(220)는 상기 제2 고정 돌출부(230)를 둘러 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제1 고정 돌출부(220)는 3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 돌출부(230)가 좌우측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2 고정 돌출부(230)의 상기 캐비닛(10)의 내측을 향하는 면을 전면으로 볼때, 3개의 상기 제1 고정 돌출부(220) 중 한쌍은 상기 제2 고정 돌출부(230)의 좌우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하나의 상기 제1 고정 돌출부(220)는 상기 제2 고정 돌출부(230)의 전면 중심에서 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다수의 상기 제1 고정 돌출부(220)는 상기 제1 바디(211)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이격 배치되어, 서로 최대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 팬(100)에 가해지는 스트레를 최대한 넓은 영역으로 분산시켜, 상기 드레인 팬(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 안내홈(170)에는, 상기 제1 고정 돌출부(220)가 삽입되는 제1 돌출부 수용구(171)와, 상기 제2 고정 돌출부(230)가 삽입되는 제2 돌출부 수용구(17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 수용구(171)는, 상기 제1 고정 돌출부(220)에 대응하는 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고정 돌출부(22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돌출부 수용구(172)는, 상기 제2 고정 돌출부(230)에 대응하는 수 및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200)를 상기 드레인 팬(100)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먼저 상기 제1 고정 돌출부(220)와 제2 고정 돌출부(230)가 상기 제1 돌출부 수용구(171)와 제2 돌출부 수용구(172)에 삽입 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돌출부(220)와 제2 고정 돌출부(230)가 완전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바디(211)의 상면은 상기 고정부재 안내홈(170)의 함몰면에 접촉될 수 있다. 그 후, 스크류를 상기 체결부재 구속구(225)에 삽입 시킴으로써, 상기 고정부재(200)와 상기 드레인 팬(100)이 결합 완료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부재 구속구(225)의 둘레를 감싸는 상기 다수의 돌출 돌기(221)의 내측면에는 상기 스크류바디에 형성된 나사산과 연동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400)가 회전에 의해서 삽입될 수 있으며, 나사산에 의한 보다 견고한 고정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 구속구(225)에 스크류(400)가 삽입되면, 상기 다수의 돌출 돌기(221)는 외측으로 벌어져 상기 제1 돌출부 수용구(171)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체결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고정 돌출부(230)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넓은 표면적을 가지므로, 상기 제2 돌출부 수용구(172)의 내측면과 넓게 면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200)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보다 상기 드레인 팬(100)과의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드레인 팬(100)의 넓은 영역으로 스트레스가 분산되도록 하여 상기 드레인 팬(100)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고정 돌출부(230)의 표면에는 핫멜트 층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 돌출부(230)가 상기 제2 돌출부 수용구(17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핫멜트 층이 녹도록 가열처리될 수 있다. 상기 핫멜트 층이 녹이 녹은 후 다시 경화되면서 상기 제2 고정 돌출부(230)와 상기 드레인 팬(100)의 보다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져, 체결강도가 보다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팬(100)이 상기 캐비닛(10)에 정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드레인 팬(100)에 고정된 상기 고정부재(200)는 상기 브라켓(90)과 정위치에 정렬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부 관통구(92)와 상기 제2 바디 관통구(240)가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400)를 상기 결합부 관통구(92)와 제2 바디 관통구(240)를 관통시켜, 상기 고정부재(200)를 상기 브라켓(9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 팬(100)이 상기 고정부재(200)를 통해서 상기 브라켓(9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Claims (16)

  1. 천장에 설치되며, 하방으로 개구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는 팬 어셈블리;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상기 팬 어셈블리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캐비닛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열교환기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며, EPP 소재로 성형되는 드레인 팬;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브라켓;
    상기 드레인 팬 및 상기 브라켓과 결합되어, 상기 드레인 팬을 상기 브라켓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드레인 팬의 하면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에서 상기 드레인 팬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브라켓과 결합되는 제2 바디;
    상기 제1 바디에서 돌출되며, 상기 드레인 팬의 하면에 삽입되는 다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드레인 팬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2 바디 보다 가로방향 폭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팬의 하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다수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다수의 돌출부 수용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팬의 하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 바디가 수용되도록, 상기 제1 바디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된 고정부재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돌출부 수용구는 상기 고정부재 안내홈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에는, 스크류의 일단이 관통하는 체결부재 구속구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돌출부는,
    상기 드레인 팬의 하면과 마주보는 상기 제1 바디의 상면에서 돌출되되, 상기 체결부재 구속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 고정 돌출부;
    상기 드레인 팬의 하면과 마주보는 상기 제1 바디의 상면에서 돌출되되, 상기 제1 고정 돌출부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2 고정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 돌출부는, 상기 드레인 팬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 돌출부의 표면에는 핫멜트 층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 수용구의 내측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돌출부는 상기 체결부재 구속구에 스크류의 일단이 삽입될 때 외측으로 벌어져 상기 돌출부 수용구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재 구속구를 둘러싸는 다수의 돌출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 구속구를 둘러싸는 상기 다수의 돌출 돌기의 내측면에는, 스크류의 둘레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 구속구 및 상기 제1 고정 돌출부는 서로 이격된 다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고정 돌출부는, 상기 제1 바디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 돌출부는, 상기 제1 바디의 상면 중심에 배치되어 상기 다수의 제1 고정 돌출부에 의해서 감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와 상기 브라켓은 스크류에 의해서 결합되며,
    상기 제2 바디에는 스크류의 일단이 관통하는 제2 바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제2 바디 관통구를 관통한 스크류의 일단이 고정되는 결합부 관통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캐비닛의 외측 둘레면에 구비되며,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드레인 팬의 하면과 대응하는 높이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바디와 겹쳐지는 고정부재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 관통구는 상기 고정부재 결합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180034785A 2018-03-26 2018-03-26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533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785A KR102533090B1 (ko) 2018-03-26 2018-03-26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CN201810917671.2A CN110360651B (zh) 2018-03-26 2018-08-13 空气调节器的室内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785A KR102533090B1 (ko) 2018-03-26 2018-03-26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605A true KR20190112605A (ko) 2019-10-07
KR102533090B1 KR102533090B1 (ko) 2023-05-17

Family

ID=68422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4785A KR102533090B1 (ko) 2018-03-26 2018-03-26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09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23Y2 (ja) * 1989-07-17 1995-01-18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スクリューグロメット
JPH0712812Y2 (ja) * 1990-05-31 1995-03-2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底フレームへのスクロール取付構造
JP2001235176A (ja) * 2000-02-21 2001-08-31 Sanyo Electric Co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KR101280448B1 (ko) * 2013-03-08 2013-07-01 신우공조 주식회사 조립성이 용이한 팬코일 유니트
WO2015125673A1 (ja) * 2014-02-18 2015-08-27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23Y2 (ja) * 1989-07-17 1995-01-18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スクリューグロメット
JPH0712812Y2 (ja) * 1990-05-31 1995-03-2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底フレームへのスクロール取付構造
JP2001235176A (ja) * 2000-02-21 2001-08-31 Sanyo Electric Co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KR101280448B1 (ko) * 2013-03-08 2013-07-01 신우공조 주식회사 조립성이 용이한 팬코일 유니트
WO2015125673A1 (ja) * 2014-02-18 2015-08-27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3090B1 (ko) 2023-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572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EP2977689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ing device
US9217600B2 (en) No-frost refrigeration device
KR20170020146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02116552A (zh) 冰箱
CN110360651B (zh) 空气调节器的室内机
JP5884069B2 (ja) ビルトイン型空気調和装置
KR20190112605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520956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551118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US20110061416A1 (en) Subassembly for a refrigerating and/or freezing apparatus, assembly and refrigerating and/or freezing apparatus
CN214492458U (zh) 驻车空调
KR100947549B1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KR102170316B1 (ko) 공기조화기
KR101234828B1 (ko) 공기조화기
KR20090094655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KR20140085899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70019583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05279259U (zh) 空调室内机
KR100352477B1 (ko) 공기조화기
KR10169088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00023391A (ko) 차량용 공조장치
CN215723724U (zh) 空调室外机及空调器
KR101093519B1 (ko) 열교환기능을 갖는 환기유닛용 함체와 그 제조방법
CN219036867U (zh) 壁挂式空调室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