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3671A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3671A
KR20090093671A KR1020080019335A KR20080019335A KR20090093671A KR 20090093671 A KR20090093671 A KR 20090093671A KR 1020080019335 A KR1020080019335 A KR 1020080019335A KR 20080019335 A KR20080019335 A KR 20080019335A KR 20090093671 A KR20090093671 A KR 20090093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ayer
layer
film
portable terminal
refractive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2592B1 (ko
Inventor
권성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9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2592B1/ko
Priority to TW098102877A priority patent/TWI541568B/zh
Priority to EP09002438.1A priority patent/EP2096525B1/en
Priority to US12/395,172 priority patent/US8269732B2/en
Publication of KR20090093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3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5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패널을 갖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에 이르는 동안 터치패널의 여러 층 사이의 경계면에서의 반사에 의한 투과율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극층과 전극층 사이의 에어갭을 충전층으로 채움으로써 전극층과 갭 사이의 굴절률 차이를 완화시키고, 눈부신 야외의 햇빛 아래 또는 밝은 조명 아래에서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개선시킨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터치패널을 갖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이들은 종합적으로 탑재되어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를 구현하기도 한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휴대 단말기에는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항목 또는 선택 가능한 기능을 곧바로 입력 또는 동작시킬 수 있도록 터치패널을 갖추기도 한다. 휴대 단말기는 어두운 장소보다는 눈부신 야외의 햇빛 아래 또는 밝은 조명 아래에서 작은 디스플레이를 보는 일이 많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에 이르는 동안 터치패널의 여러 층을 거치게 되는데, 각층은 굴절률의 차이가 있으므로 경계면의 반사에 의한 디스플레이의 시인성 저하가 문제된다.
본 발명은 터치패널을 통과하는 동안 빛이 경계면에서의 반사되는 정도를 최소화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의 상부에 배치되어 터치를 감지하는 투광성의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형태에 적용된다. 이 경우, 터치패널은 그 상면에 제1전극층이 형성된 제1필름과, 그 하면에 제2전극층이 형성되며 제1전극층과 제2전극층이 일정 갭을 두고 이격될 수 있게 제1필름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필름 및, 갭에 채워지고 제1 및 제2전극층과 갭 사이의 굴절률 차이를 완화시키는 충전층을 포함한다. 충전층은 제1필름과 제2필름 사이에 공기로만 채워짐으로써 발생하는 급격한 굴절률의 차이를 줄여줌으로써 터치패널에 의한 디스플레이의 시인성 저하를 최소화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1전극층과 제2전극층은 동일한 굴절률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충전층은 액상(液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전극층 및 제2전극층과 충전층 사이의 굴절률 차이는 각각 0.5 이하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전극층 및 제2전극층은 굴절률이 2인 ITO(Indume Tin Oxide)이고, 충전층은 굴절률이 1.6인 액정(liquid crystal)일 수 있다.
제1전극층과 제2전극층은 터치시 면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돌출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전극층 및 제2전극층의 돌출된 단면형상은 터치패널에 대하여 터치시 응답속도가 지연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1전극층 및 제2전극층은 봉우리 형태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전극층 및 제2전극층은 복수의 증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갭의 가장자리에는 충전층이 새지 않도록 밀폐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밀폐부는 프린팅(seal printing)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밀폐부의 외측에는 제1필름과 제2필름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접착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터치패널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AR(Anti-Reflection)코팅층이 더 형성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제1전극층과 제2전극층 사이에 충전층이 채워지므로 전극층과 에어갭 사이의 급격한 굴절률의 변화를 줄여주므로, 터치패널의 투과율을 높일 수 있고, 주변이 밝은 곳에서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터치패널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터치패널을 이루는 각 층의 굴절률을 예시한 도표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1전극층과 제2전극층의 개략적인 형상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예에 따른 제1전극층과 제2전극층의 개략적인 형상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터치패널 및 디스플레이의 적층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1)는 바 형태의 단말기바디(10)를 구비하고 있으며, 단말기바디(1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들(11,12,13)을 구비하고 있다. 단말기바디의 형태는 도 1에 개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케이스들(11,12,1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프론트 케이스(11)에는 터치패널(30), 음향 출력부(15), 제1영상입력부(16) 및 제1조작부(17)가 배치될 수 있다.
터치패널(30)은 입력을 위한 터치를 감지한다. 터치패널(30) 상의 어느 한 곳에 대하여 터치가 있으면 그 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내용이 입력된다. 터치패널(30)을 통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터치패널(30)은 내부의 디스플레이(40)가 보일 수 있도록 투광성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40)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한 구조가 포함되어 있다.
디스플레이(40)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이페이퍼(e-paper) 등을 포함한다.
음향 출력부(15)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조작부(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7)는 터치패널(30)과 구별되어 전용 입력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조작부(17)는 푸시 방식의 키 또는 버튼 형태로 형성되거나, 터치감지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영상입력부(16)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바디(10)의 측면에는 제2조작부(18), 음향입력부(14)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조작부(18)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조작부(17)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조작부(18)는 조절가능한 상태량(볼륨, 밝기, 메뉴의 탐색 등)의 조절, 제1영상입력부(16)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음향입력부(14)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바디(10)의 일측에는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9)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안테나(19)는 동작대역에 맞는 충분한 길이를 확보하기 위하여 단말기바디(10)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단말기바디(10)의 내부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13)의 후면에는 제2영상입력부(23)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영상입력부(23)는 제1영상입력부(16)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영상입력부(16)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영상입력부(16)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영상입력부(23)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영상입력부(23)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4)와 거울부(25)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24)는 제2영상입력부(23)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25)는 사용자가 제2영상입력부(23)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바디(10)의 측면에는 외부 인터페이스(22)가 배치될 수 있다. 외부 인터페이스(2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외부 인터페이스(22)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휴대 단말기(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인터페이스(22)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3)에는 음향출력수단이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추가된 음향출력수단은 프론트 케이스(11)에 설치된 음향 출력부(15)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3)의 사이에는 부품들을 지지하는 중간 지지부재(또는 미들 케이스)(12)가 구비되어 있으며, 중간 지지부재(12)의 위쪽 장착면에는 디스플레이(40)를 지지하기 위한 안착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 지지부재(12)와 리어 케이스(13)의 사이에는 그라운드가 형성되는 회로기판(26)이 구비될 수 있다.
터치패널(30)과 디스플레이(40)는 상호 이격된 형태로 배치되거나, 접착에 의하여 일체화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 터치패널(30)의 상부에는 터치패널(30)이 터치동작 또는 충격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틈을 효과적으로 가릴 수 있도록 가림부재(6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터치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4에 의하면, 터치패널(30)은 밑에서부터 베이스(41), 제1필름(31), 충전층(35), 제2필름(33) 및 보호층(43) 등을 포함하고 있다.
베이스(41)는 제1필름(31) 및 제2필름(33)을 지지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호층(43)에 가해진 압력 또는 충격을 지지할 수 있는 투광성 수지재 또는 유리 등과 같은 세라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필름(31) 또는 제2필름(33)은 제1전극층(32) 또는 제2전극층(34)가 증착 등에 의하여 지지되는 투광성의 부재로서, 예를 들어 굴절률이 약 1.6인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굴절률이 약 1.5인 PMMA(PolyMethylMethAcrylat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필름(또는 시트)(31)의 상면에는 투광성의 제1전극층(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필름(33)의 하면에는 투광성의 제2전극층(34)이 형성된다. 제1필름(31)과 제2필름(33)은 일정 갭(g)을 두고 이격되어 있으며, 갭(g)을 유지시키기 위해 스페이서(spacer; 38)가 군데군데 배치된다.
제1전극층(32)과 제2전극층(34)은 터치된 위치를 감지할 수 있게 패턴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전극층(32)이 복수의 세로 라인 형태로 형성된다면, 제2전극층(34)은 복수의 가로 라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들 전극층(32,34)은 ITO(Indume Tin Oxide)와 같은 물질이 제1필름(31) 및 제2필름(33)에 각각 증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38)는 볼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보호층(43)에 가해진 압력에 의하여 갭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게 구현될 수 있다.
제1필름(31)과 베이스(41) 사이 및 제2필름(33)과 보호층(43) 사이는 접착제(42,44)에 의하여 채워진다. 그리고, 베이스(41)와 디스플레이(40)도 접착제 또는 접착테잎 등에 의하여 접착될 수 있다.
충전층(35)은 제1전극층(32)과 제2전극층(34) 사이의 갭에 채워지며, 제1 및 제2전극층(32,34)과 갭 사이의 굴절률 차이를 완화시킨다. 이러한 충전층(35)은 제1전극층(32)과 제2전극층(34) 사이에 공기로만 채워짐으로써 발생하는 급격한 굴절률의 차이를 줄여줌으로써 터치패널(30)에 의한 디스플레이(40)의 시인성 저하를 최소화한다.
충전층(35)의 가장자리에는 충전층(35)이 새지 않도록 밀폐부(37)가 구비될 수 있다. 밀폐부(37)는 프린팅(printing)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밀폐부(37)는 씰프린팅(seal printing)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밀폐부(37)의 외측에는 접착제 또는 접착테잎(36)에 의하여 마무리된다. 이러한 접착제 또는 접착테잎(36)은 충전층(35)이 새지 않으면서 간격을 견고하게 유지시킨다.
제1전극층(32)과 제2전극층(34)은 동일한 굴절률을 가질 수 있으며, 갭(g)에 충전되는 충전층(35)은 액상(液狀)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공기보다는 큰 굴절률이 제공되므로, 빛이 제1전극층(32)과 충전층(35) 사이의 경계면에서 반사되는 정도를 낮춘다. 이러한 배치는 제2전극층(34)과 충전층(35) 사이의 경계면에서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금속 재질이 포함됨으로써 일반적으로 굴절률이 1.8 이상이 되는 제1전극층(32) 및 제2전극층(34)과 굴절률이 1인 에어 갭 사이의 차이는 0.8 정도가 되므로, 이러한 굴절률의 차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경계면에서의 빛의 반사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에어갭에 충전층(35)이 채워진다. 충전층(35)으로 물이 사용되는 경우, 물의 굴절률이 1.33이므로 에어갭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비해 굴절률이 차이가 그만큼 작아질 수 있고, 경계면에서의 빛의 반사는 줄어든다. 또한, 액상으로 이루어진 충전층(35)은 또한 에어갭보다 제1전극층(32)과 제2전극층(34) 사이의 간격을 복원시키는 능력이 우수하므로 사용자 또는 물체에 의하여 터치패널(30)이 눌려짐으로써 발생하는 뉴터닝(newtoning) 현상(전극층과 인접 전극층이 눌러붙어 얼룩이 있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개선시킨다.
보다 경계면 반사를 줄일 수 있도록 제1전극층(32) 및 제2전극층(34)과 충전층(35) 사이는 굴절률 차이를 0.5 이하로 함으로써 터치패널(30)의 투과율을 높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전극층(32) 및 제2전극층(34)은 굴절률이 2인 ITO(Indume Tin Oxide)이고, 충전층은 굴절률이 1.6인 액정(liquid crystal)일 수 있다. 액정은 비저항값이 크므로 ITO로 이루어진 제1전극층(32)와 제2전극층(34) 사이의 누설 전류가 작기 때문에 터치패널(30)의 정상적인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터치패널을 이루는 각 층의 굴절률을 예시한 도표이다.
만약, 제1전극층(32)과 제2전극층(34)이 에어인 경우 공기의 굴절률은 1이므로 터치패널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층간 굴절률 차이는 최대 1이 됨에 반해, 도 5와 같이 충전층(35)을 채웠을 경우, 층간 굴절률 차이는 최대 0.4가 된다. 그만큼 터치패널(30)의 투과율이 높아지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1전극층과 제2전극층의 개략적인 형상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전극층(32)과 제2전극층(34)은 ITO(Indume Tin Oxide)와 같이 도전성이 있는 메탈이 증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특정 부위가 터치에 의하여 제1필름(31)에 압력이 가해지면 그 위치에서 제1필름(31)이 변형되면서 그 부위의 제1전극층(32)이 제2전극층(34)에 접촉하게 되고 이 전기적 신호를 저항치로 인식하여 해당 내용을 입력하게 된다.
제1전극층(32)과 제2전극층(34)은 터치시 면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돌출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에 의하면, 제1전극층(32) 및 제2전극층(34)은 봉우리 형태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특정 부위에 터치되어 압력이 발생시 충전층(35) 자체에 의한 저항을 적게 받으면서 용이하게 제1전극층(32)과 제2전극층(34)이 접촉(또는 단락)되도록 제1전극층(32)과 제2전극층(34)의 형상이 조정된 것이다. 따라서, 터치패널에 대하여 터치시 응답속도가 지연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예에 따른 제1전극층과 제2전극층의 개략적인 형상을 보인 단면도이다. 제1전극층(132) 및 제2전극층(134)은 ITO와 같은 전도성 메탈을 복수의 증착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보다 뾰족한 형상을 얻을 수 있다. 도 7에 의하면, 제1전극층(132)은 1차로 형성한 1차증착층(132a)에 추가적으로 2차증착층(132b)을 형성함으로써 얻어진 예를 보이고 있다. 제2전극층(134)도 1차증착층(134a)에 추가적으로 2차증착층(134b)를 증착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전극층(132)과 제2전극층(134)은 필름(131,133)표면으로부터 더욱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시 제1전극층(132) 또는 제2전극층(134) 주위의 충전층(135)이 용이하게 옆으로 이동되므로 충전층(135) 자체에 의한 저항도 줄어들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터치패널 및 디스플레이의 적층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터치패널(230)의 상면에는 AR(Anti-Reflection)코팅층(246)이 추가적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패널(230)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줄일 수 있다. 특히, 보호층(또는 윈도우)(243)의 경우,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양이 상당(대략 20%)하고, 그 결과 디스플레이(240)의 상을 식별하는데 지장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AR코팅층(246)을 통하여 이를 개선시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터치패널(230)의 하면에도 AR 코팅층(247)을 추가적으로 형성시킴으로써 터치패널(230)을 투과한 빛이 경계면에서 반사되는 정도를 낮춘다.
또한, 디스플레이(240)의 상면에도 AR코팅층(248)을 추가적으로 형성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240)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반사율을 낮출 수 있다.
이러한 AR 코팅층(247,248,249)는 입사되는 빛의 반사를 소멸 간섭을 통하여 최소화시킨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본 발명의 일예는 무선통신 모듈(81), 조작부(17,18,40), 영상 입력부(16,23), 음향입력부(14), 디스플레이(40), 음향 출력부(15), 외부 인터페이스(22), 방송 수신부(85), 메모리(84), 전원공급부(20), 제어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부(8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무선통신 모듈(8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8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83)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82)를 포함한다.
조작부(17,18,40)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데이터를 제어부(80)에 제공한다.
영상 입력부(16,23)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40)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40)로 출력된다.
영상 입력부(16,23)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84)에 저장되거나 무선통신 모듈(81)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음향 입력부(14)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통신 모듈(8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8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음향 입력부(14)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40)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40)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
음향 출력부(15)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무선통신 모듈(8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8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5)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
외부 인터페이스(22)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외부 인터페이스(22)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메모리(84)는 제어부(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84)에는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스템 정보 또는 프로그램이 저장이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8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방송 수신부(85)는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5), 디스플레이(40)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8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부()는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부(8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84)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20)는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휴대 단말기는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2)

  1.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부에 배치되어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패널은,
    그 상면에 제1전극층이 형성된 제1필름;
    그 하면에 제2전극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전극층과 제2전극층이 이격될 수 있게 상기 제1필름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필름; 및
    상기 갭에 채워지고, 상기 제1 및 제2전극층과 상기 갭 사이의 굴절률 차이를 완화하는 충전층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층과 제2전극층은 동일한 굴절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층은 액상(液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층 및 제2전극층과 상기 충전층 사이의 굴절률 차이는 각각 0.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층 및 제2전극층은 굴절률이 2인 ITO(Indume Tin Oxide)이고,
    상기 충전층은 굴절률이 1.6인 액정(liquid cryst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층과 제2전극층은 터치시 면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돌출된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층 및 제2전극층은 봉우리 형태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층 및 제2전극층은 복수의 증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갭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충전층이 새지 않도록 밀폐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의 외측에는 상기 제1필름과 제2필름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접착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는 프린팅(seal printing)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AR(Anti-Reflection)코팅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80019335A 2008-02-29 2008-02-29 휴대 단말기 KR101432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335A KR101432592B1 (ko) 2008-02-29 2008-02-29 휴대 단말기
TW098102877A TWI541568B (zh) 2008-02-29 2009-01-23 可攜式終端機
EP09002438.1A EP2096525B1 (en) 2008-02-29 2009-02-20 Portable terminal
US12/395,172 US8269732B2 (en) 2008-02-29 2009-02-27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335A KR101432592B1 (ko) 2008-02-29 2008-02-29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671A true KR20090093671A (ko) 2009-09-02
KR101432592B1 KR101432592B1 (ko) 2014-08-21

Family

ID=41302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335A KR101432592B1 (ko) 2008-02-29 2008-02-29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25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98767B2 (en) 2010-08-19 2014-04-15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creen panel
US9430101B2 (en) 2010-10-29 2016-08-30 Samsung Display Co., Ltd. Flat panel display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pane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7902A (ja) * 2001-01-17 2002-10-04 Seiko Epson Corp タッチパネル及び電子機器
JP2006018800A (ja) * 2004-06-01 2006-01-19 Nitto Denko Corp 高耐久タッチパネル
KR20070119228A (ko) * 2006-06-14 2007-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98767B2 (en) 2010-08-19 2014-04-15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creen panel
US9430101B2 (en) 2010-10-29 2016-08-30 Samsung Display Co., Ltd. Flat panel display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2592B1 (ko) 2014-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75063B2 (ja) Lcdディスプレイ、電子デバイス、lcd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US8269732B2 (en) Portable terminal
US9977539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159999B1 (en) Mobile terminal
KR101533850B1 (ko) 전자 종이를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에 적용된 제어방법
CN107621738B (zh) 一种移动终端的控制方法及移动终端
US9426264B2 (en) Window, fabricating method thereof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CN107943211A (zh) 终端设备及其控制方法
EP2728437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7783887B (zh) 一种移动终端的控制方法及移动终端
KR2015001916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JP2012070356A (ja) センサ付き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140109722A (ko) 이동 단말기
CN107645610B (zh) 一种移动终端的控制方法及移动终端
KR20100046595A (ko) 휴대 단말기
CN107818038B (zh) 一种信息提示方法及移动终端
KR101480454B1 (ko) 휴대 단말기
KR101737927B1 (ko)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21721A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디스플레이 모듈
KR2011003567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에 적용된 케이싱의 제조방법
KR20090093671A (ko) 휴대 단말기
KR101631949B1 (ko) 휴대 단말기
KR20100069436A (ko) 이동 단말기
KR10201822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00104635A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