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3644A - 차량의 공기농도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공기농도 제어 장치 및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3644A
KR20090093644A KR1020080019283A KR20080019283A KR20090093644A KR 20090093644 A KR20090093644 A KR 20090093644A KR 1020080019283 A KR1020080019283 A KR 1020080019283A KR 20080019283 A KR20080019283 A KR 20080019283A KR 20090093644 A KR20090093644 A KR 20090093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entration
vehicle
vehicle interior
uni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림에코플라즈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림에코플라즈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림에코플라즈마
Priority to KR1020080019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3644A/ko
Publication of KR20090093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364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35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methods for adding the sub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ir qu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display or indicating devices, e.g. voice si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14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 B60H3/0028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on or near an air 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실내의 오염도와 운전자의 졸음운전을 판단하여, 오염된 공기는 오존으로 정화하고 졸음운전시 차량 실내에 산소를 공급하도록 하는 차량의 공기농도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실내에 존재하는 유해가스 분자의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부; 차량의 공조유닛에 설치되어 오존(O3)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부; 및 상기 센서부로 측정된 기체분자의 농도를 근거로 차량 실내의 오염도를 파악하여, 상기 오존발생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공기농도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air concentration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공기농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실내의 오염도와 운전자의 졸음운전을 판단하여, 오염된 공기는 오존으로 정화하고 졸음운전시 차량 실내에 산소를 공급하도록 하는 차량의 공기농도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조작자의 온도설정에 의해 히터모드(heater mode)와 에어컨 모드(air conditioner mode) 등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조유닛이 설치된다.
상기 공조유닛은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구와, 냉각장치인 증발기(evaporator)와, 가열장치인 히터코어와, 다수의 개폐도어 및 송풍팬 등을 구비한다. 상기 흡기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주 프레임이 되는 에어덕트(Air duct) 내에 일련으로 배치되는 상기 증발기 또는 히터코어를 지나 차량 실내로 송풍된다. 이때, 상기 개폐도어는 공기가 상기 히터코어를 통과하거나 통과하지 못하도록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
즉, 차량이 히터모드인 경우, 상기 증발기의 작동은 정지되고, 상기 개폐도어는 공기가 상기 히터코어를 지나도록 개방되어 차량 실내로 더운 공기를 송풍하게 된다. 한편, 차량이 에어컨모드인 경우, 상기 증발기가 작동되어 이를 통과하는 공기는 저온 상태로 차량 실내에 송풍된다. 이때, 증발기를 통과한 냉각된 공기는 상기 개폐도어가 차단되어 히터코어를 통과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기 증발기는 압축된 냉매가 표면에 접촉한 공기의 열을 빼앗아 증발하면서 기화열에 의해 냉각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증발기에는 항상 물방울이 흡착되어 습한 상태가 되며 공기내 이물질이 물방울에 부착되어 곰팡이와 세균이 서식하게 된다. 이러한 곰팡이와 세균은 차량 실내의 공기를 오염시키고 악취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차량 실내에는 인체호흡에 의한 CO2, 흡연 분진, 니코틴, 각종 발암물질, 합성자재와 페인트 및 접착제와 같은 각종 화학물질 등의 오염물질이 존재하게 된다. 또한, 차량 실내에는 차량 외부에서 유입된 CO를 포함한 배기가스, 미세먼지, 탄화수소, 벤젠 및 톨루엔 등의 독성 가스 및 발암 물질 등도 존재하게 된다. 상기 물질들은 인체에 일시적 또는 만성적인 질병을 유발하여, 두통과 피로감, 안구자극, 기관지 천식발작, 호흡곤란, 현기증, 기억력 감퇴, 우울증, 피부발진, 축농증, 유행성 바이러스 등을 일으킨다.
특히, 운전자는 여름철이나 겨울철에는 통상적으로 창문을 닫고 운전을 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차량 내에는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발생된 오염물질과 외부에서 유입된 오염물질들이 순환 또는 정화되지 못하고 차량 실내에 머물게 된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대부분의 운전자들이 차량 실내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의 징후인 각종 악취들을 천연 또는 합성 방향제를 이용하여 감춘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방향제들은 임시로 차량 실내의 향기를 퍼뜨려 쾌적한 분위기를 제공하고 있으나, 차량 실내에 오염된 물질을 운전자가 감지하지 못하게 하여 운전자가 오염된 물질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게 한다. 따라서, 방향제는 쾌적한 운전환경을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는 없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차량 실내의 유해가스 또는 산소 농도를 센싱하여 실내 오염도 및 운전자의 졸음운전을 판단하며, 이를 근거로 오존발생부 또는 산소발생부를 가동시키고 운전자에게 경보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쾌적한 운전환경 및 안전한 운전환경을 제공하는 차량의 공기농도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 실내에 존재하는 유해가스 분자의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부; 차량의 공조유닛에 설치되어 오존(O3)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부; 및 상기 센서부로 측정된 기체분자의 농도를 근거로 차량 실내의 오염도를 파악하여, 상기 오존발생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기농도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공기농도 제어 장치는 차량 실내의 유해가스 또는 산소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부로 획득된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 실내의 오염도 및 운전자의 졸음운전을 판단함으로써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고 졸음운전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실내의 오염도 및 운전자의 졸음운전 판단 후에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하거나 경보함으로써 쾌적하고 안전한 운행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조유닛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화 방법의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센서부 20 : 오존발생부
30 : 산소발생부 40 : 제어부
50 : 공조유닛 70 : 조작부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조유닛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공기농도 제어 장치는 센서부(10)와, 오존발생부(20) 및 제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차량의 공기농도 제어 장치는 차량내에 별도로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차량의 공조유닛(50)과 연계되어 작동되게 된다. 상기 공조유닛(50)은 히터모드, 에어컨모드, 송풍모드 등의 기능을 갖는 장치로서, 차량 실내에 더운 공기 또는 차가운 공기를 공급하여 실내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한다.
센서부(10)는 차량 실내의 유해가스 분자의 농도를 감지한다. 차량 실내에는 다양한 종류의 유해가스들이 존재한다. 예를들어, 상기 유해가스들은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2), 미세먼지, 질산화물(NOx), 황산화물(SOx) 등을 꼽을 수 있다. 상기 센서부(10)는 차량 실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각 기체들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오존발생부(20)는 차량 실내에 오존(O3)을 발생시키는 작용을 한다. 오존은 산소원자 3개가 불안정한 상태로 결합된 분라조서, 특히 수분에서 환원이 빠르게 진행되며 이러한 환원과정에서 살균, 탈취 및 유해가스분해 등의 정화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오존발생부(20)는 차량 전원(12V)을 공급받아 작동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오존발생부(20)는 플라스마 방전을 통한 전기적 에너지의 충돌을 유도하고 공기를 통과시켜, 상기 공기에 포함된 산소 분자(O2)가 산소 원자(O + O)로 일부 분리되고, 이와 같이 분리된 산소원자(O)가 분리되지 않은 산소 분자(O2)와 재결합하여 오존(O3)을 발생시킨다. 상기 오존발생부(20)는 차량 내에 별도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40)는 상기 오존발생부(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40)의 오존발생부(20) 제어는 상기 센서부(10)에 의해 측정된 유해가스 분자의 농도 데이터를 근거로 한다. 즉, 상기 제어부(40)는 센서부(10)로 측정된 기체분자의 농도를 바탕으로 차량 실내의 오염 정도를 판단한 후 상기 오존발생부(2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40)는 프로그램된 알고리즘을 판단 기준으로 하여 차량 실내의 오염도를 결정한다. 상기 알고리즘은 세계보건기구(WHO) 또는 각종 환경단체에서 권고하고 있는 실내의 권장 대기농도를 바탕으로 하여 프로그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센서부(10)는 차량 실내의 일산화탄소(CO) 농도를 측정하는 CO센서(11) 및 차량 실내의 이산화탄소(CO2) 농도를 측정하는 CO2센서(12)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CO센서(11)로 측정된 CO 농도가 7ppm 이상 또는 상기 CO2센서(12)로 측정된 CO2 농도가 2500ppm 이상일 때, 차량의 실내 오염으로 판단할 수 있다.
CO는 산화탄소라고도 하며, 탄소 또는 그 화합물이 산소의 공급이 충분하지 못한 곳에서 연소하거나 CO2가 높은 온도에서 탄소에 의해 환원될 때 생기는 기체이다. 즉, 연소시 산소가 부족하거나 연소온도가 낮으면 완전연소가 일어나지 못하여 불완전 연소생성물인 CO가 생성된다. CO는 차량의 배기가스 중에 많이 포함되며 담배를 피울 때 담배연기 속에 함유되어 배출되기도 한다. 차량내 CO의 농도가 클 경우 인체에 치명적인 해를 입힐 수 있으므로, 운전자에게 경고를 하여 차량 실내를 환기시키거나 별도의 환풍기를 가동시키도록 한다.
한편, CO2는 탄소나 그 화합물이 완전 연소하거나, 인체가 호흡할 때 발생하는 기체이다. 차량 실내와 같은 밀페된 공간에서 운전자가 장시간 호흡할 경우, O2의 농도는 점차 줄어들고 CO2의 농도는 점차 증가한다. CO2의 농도가 증가하게 되면 운전자는 O2의 섭취가 곤란해지고 졸음을 유발할 가능성이 크므로, 상기 제어부(40)는 운전자에게 경보하여 차량 실내를 환기시키거나 차량 운행을 잠시 멈추고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공기농도 제어 장치는 차량 실내에 산소(O2)를 발생시키는 산소발생부(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10)는 차량 실내의 O2 농도를 감지하는 O2센서(13)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40)가 상기 O2센서(13)로 측정된 O2 농도를 근거로 운전자의 졸음운전을 판단하여 상기 산소발생부(3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한다.
상기 산소발생부(30)는 차량 실내로 산소를 공급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산소발생부(30)는 상기 공조유닛(50)의 공기 토출구(52) 측에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 실내에 산소가 부족하게 되면 운전자에게 어지럼증이나 졸음운전 등을 유발시킬 수 있다. 상기 산소발생부(30)는 자체적으로 신선한 산소를 발생하여 차량 실내로 공급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상쾌한 조건에서 운전을 할 수 있는 분위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산소발생부(30)는 제오라이트(zeolite)를 이용하여 산소를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제오라이트는 장석류 광물의 일종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탈취제, 물의 흡착제, 가스 흡착제 등으로 이용되며, 특히, 제오라이트는 산소와 질소 등의 가스체의 분리 기능이 탁월하다. 따라서, 대기중의 공기를 이용해 산소를 발생하는 산소발생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 공조유닛(50)은 흡기구(51)와; 증발기(83)와; 히터코어(84); 및 개폐도어(85);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오존발생부(20)는 상기 흡기구(51) 측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조유닛(50)은 이미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이므로 도 2를 참조하여 그 구성을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공조유닛(50)은 주 프레임이 되는 에어덕트(Air duct:80)의 일 측에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구(51)가 마련된다. 상기 흡기구(51) 측에는 공기의 유입을 원활하게 하는 송풍팬(Blow fan:82)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기구(51)의 후방으로 증발기(evaporator:83)와 히터코어(heater core:84)가 일련으로 배치된다. 한편, 상기 공조유닛(50)은 상기 흡기구(5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히터코어(84)를 선택적으로 통과하도록 하는 개폐도어(85)가 구비된다.
상기 오존발생부(20)는 상기 공조유닛(50)의 흡기구(51) 측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공조유닛(50)에 구비되는 증발기(83)의 표면에 존재하는 기화열에 의한 수분, 각종 세균 및 악취 등이 오존발생부(20)에서 발생하는 오존에 의해 살균 및 탈취되어 정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40)는 중앙처리장치(43), 판단부(44), 오존제어부(41), 산소제어부(42)를 구비한다. 센서부(10)의 CO 센서(11), CO2 센서(12), O2 센서(13)들은 각각 중앙처리장치(43)와 인터페이스되어, 상기 센서부(10)에서 측정된 CO, CO2, O2의 농도 데이터들은 상기 중앙처리장치(43)로 전송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43)는 판단부(44)와 연결된다. 상기 판단부(44)는 차량 실내의 오염도 또는 운전자의 졸음운전을 판단하는 알고리즘이 프로그램되어 있다. 한편, 상기 중앙처리장치(43)는 오존제어부(41) 및 산소제어부(42)와 각각 인터페이스된다. 오존제어부(41)는 상기 오존발생부(20)와 연계되어 오존 발생량을 조절하며, 산소제어부(42)는 상기 산소발생부(30)와 연계되어 산소 발생량을 조절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차량 실내의 오염도 또는 운전자의 졸음운전 판단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60)는 차량 실내의 오염도 또는 운전자의 졸음운전 판단 결과를 경고음 또는 경고등으로 디스플레이하거나, 운전자에게 문자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제어부(40)는 외부의 표시부(60)와 연결되어, 상기 실시 예에서 설명한 판단부(44)의 알고리즘에 근거한 판단결과를 상기 표시부(60)로 표시한다.
예를들어, 상기 판단부(44)가 차량 실내의 오염정도를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라고 판단할 경우, 상기 판단부(44)와 연계된 표시부(60)가 작동하여 운전자는 차량 실내의 오염도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판단부(44)가 운전자의 졸음운전을 감지할 경우, 상기 표시부(60)는 운전자로 하여금 졸음운전의 방지를 위해 신호를 외부로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60)는 청각적인 경고음일 수 있고 시각적인 경고등으로 구성딜 수 있다. 또는 상기 표시부(60)는 운전자의 휴대폰에 문자를 전송하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표시부(60)는 상기 센서부(10)에서 측정된 유해가스 또는 산소 농도의 수치값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차량 실내의 오염 여부 또는 졸음운전 여부를 빠른 시간내에 감지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공기농도 제어 장치는 상기 오존발생부(20) 또는 산소발생부(30)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하는 조작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70)는 상기 제어부(40)와 별도로 외부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상기 오존발생부(20) 또는 산소발생부(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조작부(70)는 차량의 대쉬보드에 스위치 형태로 구비되어, 운전자가 필요시 상기 오존발생부(20) 또는 산소발생부(30)를 작동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조작부(70)의 조작은 차량의 엔진 정지 상태에서도 가능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작부(70)는 설정된 시간동안만 작동되고 자동으로 작동이 정지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즉, 운전자가 차량의 엔진 정지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70)를 조작하여 오존발생부(20) 또는 산소발생부(30)를 구동시킨 이후에, 일정시간(약 4분 내지 5분)을 구동 후 자동으로 구동이 멈추도록 타이머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공기농도 제어 방법은 센싱단계와, 판단단계와, 오존공급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센싱단계는 차량 실내의 유해가스 분자의 농도를 감지한다.
판단단계는 상기 센싱단계에서 측정된 기체 농도를 설정된 허용범위와 비교하여 차량 실내의 오염 여부를 결정한다.
오존공급단계는 상기 판단단계에서 판단된 결과를 바탕으로 차량 실내에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발생기의 작동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센싱단계는 차량 실내의 CO 농도 및 CO2 농도를 감지하고,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센싱단계에서 측정된 유해가스 중 CO 농도가 7ppm 이상이거나 CO2 농도가 2500ppm 이상일 때 차량의 실내 오염으로 판단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센싱단계는 차량 실내의 O2 농도를 추가로 감지하도록 하며, 상기 O2 농도를 설정된 허용범위와 비교 후 운전자의 졸음운전 여부를 판단하여 차량 실내에 O2를 공급하는 O2공급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판단단계 이후에는 차량 실내의 오염도 및 운전자의 졸음운전 여부의 판단 결과를 경고음 또는 경고등으로 디스플레이하거나, 운전자에게 문자전송하는 경보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센싱단계에서 차량 실내의 CO, CO2 등의 유해가스 또는 O2의 농도를 측정한다. 차량 실내가 오염되었다고 판단될 경우 제어부(40)는 상기 오존발생부(20)를 가동시켜 오존을 차량 실내에 공급한다. 만약, 차량 실내가 과도한 오존상태에 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40)는 상기 오존발생부(20)의 작동을 자동으로 정지시켜 차량 실내의 오존량을 조절한다.
또한, 차량 실내의 밀폐된 공간에서 CO2 농도에 비해 O2의 농도가 낮다면 운전자는 졸음운전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산소발생부(30)를 가동시켜 산소를 차량 실내에 공급한다. 인체는 호흡시 CO2를 배출하고 O2를 섭취하게 되는데, 밀폐된 공간에서 O2가 부족하게 되면 하품을 유발하며 쉽게 피로해질 뿐 아니라, 졸음에 빠질 확률이 크다. 이와 같이, 제어부(40)에 의해 운전자가 졸음운전을 한다고 판단되면, 제어부(40)는 상기 산소발생부(30)를 가동시켜 차량 실내에 산소를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공기농도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센서부(10)로 측정된 차량 실내의 CO, CO2, O2 농도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데이터를 프로그램된 제어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차량 실내의 오염도 및 운전자의 졸음운전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 결과를 바탕으로 오존발생부(20) 또는 산소발생부(30)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 및 경보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 실내에 구비된 방향제 등에 의해 운전자가 오염물질 및 악취 등을 감지하지 못하더라도 늘 쾌적하고 안전한 운전 환경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차량 실내에 존재하는 유해가스 분자의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부;
    차량의 공조유닛에 설치되어 오존(O3)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부; 및
    상기 센서부로 측정된 기체분자의 농도를 근거로 차량 실내의 오염도를 파악하여, 상기 오존발생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기농도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차량 실내의 일산화탄소(CO) 농도를 측정하는 CO센서; 및
    차량 실내의 이산화탄소(CO2) 농도를 측정하는 CO2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기농도 제어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CO센서로 측정된 CO 농도가 7ppm 이상 또는 상기 CO2센서로 측정된 CO2 농도가 2500ppm 이상일 때, 차량의 실내 오염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기농도 제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 실내에 산소(O2)를 발생시키는 산소발생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센서부는:
    차량 실내의 O2 농도를 감지하는 O2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O2센서로 측정된 O2 농도를 근거로 운전자의 졸음운전을 판단하여 상기 산소발생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기농도 제어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실내의 오염도 또는 운전자의 졸음운전 판단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기농도 제어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존발생부 또는 산소발생부를 수동으로 구동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기농도 제어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조유닛은:
    흡기구와; 증발기와; 히터코어; 및 개폐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오존발생부는 상기 흡기구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기농도 제어 장치.
  8. 차량 실내의 유해가스 분자의 농도를 감지하는 센싱단계;
    상기 센싱단계에서 측정된 기체 농도를 설정된 허용범위와 비교하여 차량 실내의 오염 여부를 결정하는 판단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를 바탕으로 차량 실내에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발생기를 제어하는 오존공급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기농도 제어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센싱단계는:
    차량 실내의 CO 농도 및 CO2 농도를 감지하고,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센싱단계에서 측정된 유해가스 중 CO 농도가 7ppm 이상이거나 CO2 농도가 2500ppm 이상일 때, 차량의 실내 오염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기농도 제어 방법.
  10.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센싱단계는:
    차량 실내의 O2 농도를 추가로 감지하고,
    상기 O2 농도를 설정된 허용범위와 비교 후 운전자의 졸음운전 여부를 판단하여 차량 실내에 O2를 공급하는 O2공급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기농도 제어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 이후에,
    차량 실내의 오염도 및 운전자의 졸음운전 여부의 판단 결과를 경고음 또는 경고등으로 디스플레이하거나, 운전자에게 문자전송하는 경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기농도 제어 방법.
KR1020080019283A 2008-02-29 2008-02-29 차량의 공기농도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900936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283A KR20090093644A (ko) 2008-02-29 2008-02-29 차량의 공기농도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283A KR20090093644A (ko) 2008-02-29 2008-02-29 차량의 공기농도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644A true KR20090093644A (ko) 2009-09-02

Family

ID=41302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283A KR20090093644A (ko) 2008-02-29 2008-02-29 차량의 공기농도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364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5141A (ko) * 2015-10-16 2017-04-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운전자의 피로도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425695A (zh) * 2017-08-22 2019-03-05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臭氧检测装置和使用该装置的消毒柜及臭氧检测控制方法
KR102056126B1 (ko) * 2018-08-17 2020-01-2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지하철 차량용 공기 공급장치
KR20200016055A (ko) * 2018-08-06 2020-02-14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형 졸음운전 방지 장치
CN112406455A (zh) * 2019-08-23 2021-02-26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辆的空调控制设备和控制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5141A (ko) * 2015-10-16 2017-04-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운전자의 피로도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425695A (zh) * 2017-08-22 2019-03-05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臭氧检测装置和使用该装置的消毒柜及臭氧检测控制方法
CN109425695B (zh) * 2017-08-22 2023-11-17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臭氧检测装置和使用该装置的消毒柜及臭氧检测控制方法
KR20200016055A (ko) * 2018-08-06 2020-02-14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형 졸음운전 방지 장치
KR102056126B1 (ko) * 2018-08-17 2020-01-2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지하철 차량용 공기 공급장치
CN112406455A (zh) * 2019-08-23 2021-02-26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辆的空调控制设备和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9918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улучшения качества воздуха в салоне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20200180387A1 (en) Air-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JP4960497B2 (ja) 車両空調システムにおける蒸発器の殺菌装置及びこの制御方法
JP2549032Y2 (ja) 自動車用脱臭器付き冷房装置
KR20090093644A (ko) 차량의 공기농도 제어 장치 및 방법
JP5218308B2 (ja) 脱臭機能再生装置
KR102176420B1 (ko) 차량 내부 스마트 살균램프 시스템
JP2007215985A (ja) 脱臭機能再生装置および脱臭機能再生装置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KR101801119B1 (ko) 비열 플라즈마를 이용한 차량용 실내 공기 청정 장치
JP2020065945A (ja) 二酸化炭素除去装置
KR20110009386A (ko) 차량 공조시스템의 증발기용 살균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115021B1 (ko) 자동차 실내 환경의 복합 가스 제어를 위한 복합 가스측정 장치
JP2000005628A (ja) 空気清浄器および空質調和装置
KR100478706B1 (ko) 차량 공조장치용 살균탈취장치
JP2008037372A (ja) 車両用静電霧化装置
KR102120641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 방법
JPH0419217A (ja) 適応型空調装置
CN204717915U (zh) 一种车用空气净化器
KR100289096B1 (ko) 차량용 에어필터의 살균장치
JP2016060429A (ja) 車両用救援装置
CN218805112U (zh) 一种具有监测功能的车载空气净化装置
JP2008037373A (ja) 車両用静電霧化装置
KR20150127877A (ko) 광촉매 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공조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4770698B2 (ja) 車両用静電霧化装置
KR20210023037A (ko) 차량 공조시스템의 증발기용 살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