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3171A - 아크릴계 점착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바닥재타일 - Google Patents

아크릴계 점착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바닥재타일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3171A
KR20090093171A KR1020080018541A KR20080018541A KR20090093171A KR 20090093171 A KR20090093171 A KR 20090093171A KR 1020080018541 A KR1020080018541 A KR 1020080018541A KR 20080018541 A KR20080018541 A KR 20080018541A KR 20090093171 A KR20090093171 A KR 20090093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crylic
monomer
sensitive adhesive
monomer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8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구
정창규
김민주
Original Assignee
김구
정창규
김민주
정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구, 정창규, 김민주, 정맹희 filed Critical 김구
Priority to KR1020080018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3171A/ko
Publication of KR20090093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317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4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2423/045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in the release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5Presence of polyester in the release co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0 내지 70 중량%의 이온교환수; 25 내지 65 중량%의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1 내지 30 중량%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0.1 내지 20 중량%의 아크릴 아마이드계 모노머; 1 내지 30 중량%의 소수성 모노머; 및 0.1 내지 20 중량%의 가교형 모노머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모노머 혼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 1 모노머 혼합액을 교반기, 온도계, 냉각기, 적하깔대기, 질소 도입관이 장착된 반응기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제 1 모노머 혼합액의 중합을 저해하는 산소을 제거하기 위해 질소 치환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질소 치환이 수행된 상기 제 1 모노머 혼합액을 중합개시제 포타슘퍼설페이트와 함께 반응용기에 적하하고 중합하는 단계; 제 2 모노머 혼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중합하는 단계가 완료된 상기 제 1 모노머 혼합액의 중합물에 곧바로 상기 제 2 모노머 혼합액을 중합개시제 포타슘퍼설페이트와 함께 적하하는 단계; 상기 적하가 된 상기 제 2 모노머 혼합액을 미반응 모노머을 제거하기 위해 숙성시켜 반응을 종결한 후 냉각하는 단계; 및 소포제을 넣고, 중화제로 중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온교환수와 소수성 모노머, 가교형모노머들을 사용하여 2단계 중합법을 도입하고, 발암성 물질인 외부가소제, 특히 톨루엔과 같은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면서 내수성, 내열성, 점착력, 응집력이 우수한 아크릴계 점착제 및 이를 구비하는 바닥재 타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크릴계 점착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바닥재 타일{Acrylic Adhesive, the method for fabricating thereof and Floor Ti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아크릴계 점착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바닥재 타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온교환수와 소수성 모노머, 가교형모노머들을 사용하여 2단계 중합법을 도입하고, 발암성 물질인 외부가소제, 특히 톨루엔과 같은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면서 내수성, 내열성, 점착력, 응집력이 우수한 아크릴계 점착제에 관한 것이다.
종래 PVC 타일 시공용 접착제는 한국공개특허 제2003-0064659호에서와 같은 PVC 바닥재 타일 접착제를 콘크리트 바닥에 바른 후 PVC타일 등을 접착하여 왔으나, 이는 접착제가 건조된 후에 타일을 붙이는 시공을 하므로 공사기간이 길어지고 시공비가 많이 들게 되고, 접착후 72시간이 경과된 후에야 보행이 가능하므로, 즉시 사용할 수 없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05-0032163호에서와 같은 접착제의 초기접착력을 좋게 하기 위해 검로진 등을 톨루엔이라는 유기용제에 용해시킨 점착부여제을 사용하는데, 이들 유기용제 성분들은 실내 작업시에는 실내 공기를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게 되어, 새집증후군 등과 같은 환경문제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겨울철에는 건물 콘크리트 바닥들이 얼어 있는 관계로 이와 같은 PVC바닥재 타일 접착제로 타일을 접착할 경우 봄철에 얼었던 콘크리트 바닥이 녹으면서 바닥에서 습기가 올라와 겨울철 접착된 타일들이 들뜨면서 수많은 하자 시공들을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169878호에서와 같은 점착타일에서는 아교나 본드와 같은 접착제을 사용하여 점착타일을 제조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러한 아교나 본드는 한국등록특허 제430495호에서와 같은 PVC바닥재 타일 접착제, 즉 본드로서의 기능밖에 할 수 없고, 아교나 본드로는 후기 점착력이 발휘되지 않아 점착타일로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중국에서 수입되어 시중에 유통되는 점착식 PVC타일은 핫멜트(HOT-MELT) 점착제을 사용하는데, 핫멜트 점착제는 온도가 올라가거나 열(熱)을 받게되면 엿가락 늘어나듯이 늘어나게 될 뿐만 아니라, 점착제 성분들의 냄새로 인하여 새집증후군과 같은 증상을 유발하게 되어, 온돌이 들어오는 거실이나 안방, 유치원과 같은 공공시설의 바닥재로서는 사용에 한계성이고, 베란다와 같이 비온돌 장소의 PVC바닥재 위에 제한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시멘트바닥과 같은 곳에서는 점착력이 부족해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이온교환수와 소수성 모노머, 가교형 모노머들을 사용하여 친환경적이면서 내수성, 내열성, 점착력, 응집력이 우수한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열성 및 내한성이 우수하여, 고온 및 저온에서의 점착력을 동시에 만족하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문시공 기술자가 아닌 일반인도 용이하게 직접 시공할 수 있는 바닥재 타일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30 내지 70 중량%의 이온교환수; 25 내지 65 중량%의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1 내지 30 중량%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0.1 내지 20 중량%의 아크릴 아마이드계 모노머; 1 내지 30 중량%의 소수성 모노머; 및 0.1 내지 20 중량%의 가교형 모노머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무기재 점착테이프를 제공하고, 상기 아크릴계 무기재 점착테이프는 이형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형지 상에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가 합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무기재 점착테이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모노머 혼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 1 모노머 혼합액을 교반기, 온도계, 냉각기, 적하깔대기, 질소 도입관이 장착된 반응기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제 1 모노머 혼합액의 중합을 저해하는 산소을 제거하기 위해 질소 치환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질소 치환이 수행된 상기 제 1 모노머 혼합액을 중합개시제 포타슘퍼설페이트와 함께 반응용기에 적하하고 중합하는 단계; 제 2 모노머 혼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중합하는 단계가 완료된 상기 제 1 모노머 혼합액의 중합물에 곧바로 상기 제 2 모노머 혼합액을 중합개시제 포타슘퍼설페이트와 함께 적하하는 단계; 상기 적하가 된 상기 제 2 모노머 혼합액을 미반응 모노머을 제거하기 위해 숙성시켜 반응을 종결한 후 냉각하는 단계; 및 소포제을 넣고, 중화제로 중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 모노머 혼합액은 5 내지 45 중량%의 이온교환수, 1.2 내지 10 중량%의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1 내지 5 중량%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4 내지 10 중량%의 소수성 모노머 및 0.05 내지 0.1 중량%의 가교형 모노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2 모노머 혼합액은 5 내지 25 중량%의 이온교환수, 33 내지 50 중량%의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1 내지 10 중량%의 아크릴 아마이드계 모노머 및 0.1 내지 0.3 중량%의 가교형 모노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온교환수는 양이온 교환수지와 음이온 교환수지를 통과한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는 에칠아크릴레이트(EAM), 노르말-프로필아크릴레이트(n-PAM),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i-PAM), 노르말-부칠아크릴레이트(n-BAM), 세컨다리-부칠아크릴레이트(s-BAM), 이소-부칠아크릴레이트(i-BAM), 터시아리-부칠아크릴레이트(t-BAM), 노르말-헥실아크릴레이트(n-HAM), 2-에칠헥실아크릴레이트(2-EHAM) 및 이들에 상응하는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메타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는 메칠메타크릴레이트(MMA), 에칠메타크릴레이트(EMA), 노르말-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n-PMA),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i-PMA), 노르말-부칠메타크릴레이트(n-BMA), 이소-부칠메타크릴레이트(i-BMA), 터시아리-부칠메타크릴레이트(t-BMA), 세컨다리-부칠메타크릴레이트(s-BMA),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c-HMA),이소보르닐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에 상응하는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크릴 아마이드계 모노머는 아크릴아마이드(AAm), 노르말-(이소-부톡시메칠)아크릴아마이드, 노르말-메칠롤아크릴아마이드(n-MAM), N-(노르말-부톡시메칠)아크릴아마이드) 및 이들에 상응하는 아크릴아마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소수성 모노머는 스티렌(SM), 아크릴로니트릴(AN) 및 이들에 상응하는 아크릴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카르복실레이트계, 하이드록시레이트계, 에폭시계, 다가알콜에스테르계 및 이들에 상응하는 가교형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조하는 단계; 바닥재 타일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아크릴계 점착제를 코터를 사용하여 상기 바닥재 타일의 일면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닥재 타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아크릴계 점착제를 이형지 상에 코팅하여 아크릴계 무기재 점착테이프를 제조하는 단계; 바닥재 타일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아크릴계 점착테이프를 상기 바닥재 타일의 일면에 합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닥재 타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점착제 및 이를 구비하는 바닥재는 이온교환수와 소수성 모노머, 가교형모노머들을 사용하여 2단계 중합법을 도입하고, 발암성 물질인 외부가소제, 특히 톨루엔과 같은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면서 내수성, 내열성, 점착력, 응집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내열성 및 내한성이 우수하여, 고온 및 저온에서의 점착력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닥재 타일을 시공시, 이형지만을 제거하고 시공하면 되기 때문에, 건물 내부 및 외부 바닥 어느 곳에서나 전문 시공 기술자가 아닌 일반인도 누구나 용이하게 직접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크릴계 점착테이프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크릴계 점착테이프를 구비하는 바닥재 타일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점착테이프 110 : 이형지
120 : 점착제층 200 : 바닥재 타일
240 : 타일부 230 : 타일상부면
220 : 인쇄층 220 : 타일하부면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의 두께, 길이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크릴계 점착테이프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점착테이프(100)는 이형지(110)와 아크릴계 점착제층(120)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상기 이형지(110)는 평량 및 두께에 관계없이 종이 표면의 평활도을 잡아주기 위해 먼저 폴리에칠렌수지을 라미네이팅한 후 실리콘으로 이형 처리한 이형지(또는 박리지)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실리콘처리만 된 PET 이형필름(또는 박리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이형지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120)은 30 내지 70 중량%의 이온교환수, 25 내지 65 중량%의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1 내지 30 중량%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0.1 내지 20 중량%의 아크릴 아마이드계 모노머, 1 내지 30 중량%의 소수성 모노머 및 0.1 내지 20 중량%의 가교형 모노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함량은 본 발명의 아크릴계 점착제의 최종 물성과 용도에 적합한 범위을 고려한 실제 합성에서 얻은 결과로써, 상기 이온교환수가 30 중량% 미만인 경우는 최종 고형분이 70중량%을 초과하게 되므로 높은 고형분으로 인한 중합물의 발열반응에 따른 온도제어가 곤란하여 합성에 어려움이 많고, 다량의 슬럿지(찌꺼기) 발생으로 인한 최종 점착제의 점착력, 응집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7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최종 점착제의 고형분 함량이 떨어져 점착력 및 응집력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시 이온교환수를 증발시키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게 되고, 점도 저하로 인해 이형지에의 도포작업시 필름형성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산에스테르계 모노머가 25 중량% 미만인 경우는 형성되는 필름을 딱딱하게 만들어 점착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65중량%을 초과하게 되면 내열성, 응집성 및 내수성 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메타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가 1 중량% 미만인 경우는 응집성과 내수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30 중량%을 초과하는 경우 필름을 딱딱하게 만들어 점착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아마이드계 모노머가 0.1중량% 미만인 경우는 기존 PVC바닥제에서 나오는 가소제 성분들에 의해 PVC타일과 점착제와의 점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20 중량%을 초과하는 경우 필름을 딱딱하게 만들어 점착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소수성 모노머가 1 중량% 미만인 경우는 가교구조상에 소수성기(hydrophilic group)가 부족하므로 친수성기(hydrophobic group)들에 의해 내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30 중량%을 초과하는 경우 필름을 딱딱하게 만들어 점착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교형 모노머가 0.1 중량% 미만인 경우는 점착제의 가교밀도가 낮아져 내열성, 응집성, 내수성 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20 중량%을 초과하는 경우 가교밀도를 너무 커져서 점착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이온교환수는 양이온 교환수지와 음이온 교환수지을 모두 통과한 물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로는 에칠아크릴레이트(EAM), 노르말-프로필아크릴레이트(n-PAM),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i-PAM), 노르말-부칠아크릴레이트(n-BAM), 세컨다리-부칠아크릴레이트(s-BAM), 이소-부칠아크릴레이트(i-BAM), 터시아리-부칠아크릴레이트(t-BAM), 노르말-헥실아크릴레이트(n-HAM), 2-에칠헥실아크릴레이트(2-EHAM) 및 이들에 상응하는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메타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로는 메칠메타크릴레이트(MMA), 에칠메타크릴레이트(EMA), 노르말-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n-PMA),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i-PMA), 노르말-부칠메타크릴레이트(n-BMA), 이소-부칠메타크릴레이트(i-BMA), 터시아리-부칠메타크릴레이트(t-BMA), 세컨다리-부칠메타크릴레이트(s-BMA),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c-HMA),이소보르닐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에 상응하는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아마이드계 모노머로는 아크릴아마이드(AAm), 노르말-(이소-부톡시메칠)아크릴아마이드, 노르말-메칠롤아크릴아마이드(n-MAM), N-(노르말-부톡시메칠)아크릴아마이드) 및 이들에 상응하는 아크릴아마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소수성 모노머는 스티렌(SM), 내용제성을 부여해주는 아크릴로니트릴(AN) 및 이들에 상응하는 아크릴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교형 모노머로는 카르복실레이트계, 하이드록시레이트계, 에폭시계, 다가알콜에스테르계 및 이들에 상응하는 가교형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르복실레이트계 가교형 모노머로는 아크릴산(A.Ac), 크로톤산(C.Ac), 이타콘산(I.Ac), 말레익산(무수물), 메타크릭산(MAAc) 및 이들에 상응하는 카르복실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고, 하이드록시레이트계 가교형 모노머로는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HEA), 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HPA), 하이드록시에칠메타크릴레이트(HEMA),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HPMA) 및 이들에 상응하는 하이드록시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폭시계 가교형 모노머로는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GAA),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GMA) 및 이들에 상응하는 글리시딜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다가알콜에스테르계 가교형 모노머로는 에칠렌글리콜디메타클레이트, 디에칠렌글리콜디메타클레이트, 트리에칠렌글리콜디메타클레이트, 폴리에칠렌글리콜#400디메타클레이트, 폴리에칠렌글리콜#600디메타클레이트, 1,3부칠렌글리콜디메타클레이트, 1,4부칠렌글리콜디메타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클레이트, 트리메칠롤에탄트리메타클레이트, 트리메치롤프롤판트리메타클레이트, 테트라메치롤메탄데트라메타클레이트, 디브롬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클레이트 및 이들에 상응하는 다가알콜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점착제층은 기타 첨가제로 계면활성제, 완충액, 개시제, 중화제, 소포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에멀젼 점착제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음이온성 및 비이온성을 갖는 2종류을 혼합하여 1 중량% 내지 10 중량%의 범위로 첨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완충액은 에멀젼중합과정에서 pH를 조절하여 에멀젼입자의 크기와 에멀젼입자의 안정도 및 점성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phosphates계, carbonates계, acetates계를 0.01 중량% 내지 0.5 중량%의 범위로 첨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계면활성제 중 음이온계면 활성제로는 sodium Dioctyl sulfosuccinate, Sodium dioctyl benzenesulfonate, Ammonium polyoxy ethylene nonylphenyl ether sulfate, Sodium lauryl sulfate 및 Sodium polyoxy ethylene lauryl ether sulfat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고, 비이온계면 활성제로는 Polyoxyethylene nonyl phenyl ether, Polyoxyethylene octyl phenyl ether, Polyoxyethylene lauryl ether, Polyoxyethylene cetyl ether, Polyoxyethylene alkyl ether, Polyoxyethylene oleyl ether 및 Polyoxyethylene alkyl amine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액 중 phosphates계로는 2인산소다, 3인산소다, carbonates계로는 중조, 소다회, acetates계로는 삭산소다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시제는 중합반응을 안정하게 하고, 이를 유지하여 중합연쇄를 출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과황산염계로 potassium persulfate를, 또는 과산화물계로 hydro peroxide를 0.02 중량% 내지 1.5 중량%의 범위로 첨가할 수 있고, 상기 중화제은 생성된 에멀젼점착제의 저장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트리에탄올아민, 모노에타놀아민 또는 암모니아수를 0.2 중량% 내지 5 중량%의 범위로 첨가할 수 있으며, 상기 소포제는 생성된 에멀젼점착제의 기계적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실리콘계 또는 비실리콘계 소포제을 0.01 중량% 내지 0.5중량%의 범위로 첨가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교반기, 온도계, 냉각기, 적하깔대기, 질소 도입관이 장착된 반응기에 먼저 1단계의 조성물(제 1 모노머 혼합액)을 준비한 후 반응기내에서 중합을 저해하는 산소을 제거하기 위해 20 내지 30분 동안 60 내지 90℃에서 질소 치환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1 단계의 조성물(제 1 모노머 혼합액)을 중합개시제 포타슘퍼설페이트와 함께 60 내지 90℃에서 3시간 내지 4시간 동안 반응용기에 적하하고 중합한다.
다음으로, 상기 중합하는 단계가 완료된 상기 1 단계의 조성물(제 1 모노머 혼합액)의 중합물에 곧바로 2단계의 조성물(제 2 모노머 혼합액)을 중합개시제 포타슘퍼설페이트와 함께 60 내지 90℃에서 3시간 내지 4시간 동안 적하하고, 적하가 끝난 후 미반응 모노머을 제거하기 위해 60 내지 90℃에서 2시간 내지 3시간 동안 숙성시켜 반응을 종결한 후, 40℃이하로 냉각한다.
다음으로, 소포제을 넣고, 중화제로 중화시켜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조한다.
이때, 상기 1단계 조성물과 상기 2단계 조성물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1단계 조성물은 5 내지 45 중량%의 이온교환수, 1.2 내지 10 중량%의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1 내지 5 중량%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4 내지 10 중량%의 소수성 모노머, 및 0.05 내지 0.1 중량%의 가교형 모노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다음으로, 2단계 조성물은 5 내지 25 중량%의 이온교환수, 33 내지 50 중량%의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1 내지 10 중량%의 아크릴 아마이드계 모노머, 및 0.1 내지 0.3 중량%의 가교형 모노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1단계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0.55 내지 4.3 중량%, 완충액으로 0.02 내지 0.3 중량%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2단계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1.05 내지 4.3 중량%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1단계 조성물에서 개시제인 포타슘퍼설페이트는 0.05 내지 0.1 중량%로 첨가될 수 있고, 상술한 2단계 조성물에서 개시제인 포타슘퍼설페이트는 0.1 내지 0.9 중량%로 첨가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소포제는 0.03 내지 0.2 중량%로 첨가되고, 상기 중화제는 0.5 내지 3.0 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조한 후, 75그램 평량 종이 이형지의 한쪽면에 콤마-코터 롤을 이용하여 연속적인 작업으로, 건조 후의 두께가 30 내지 800μm로 되도록 도포한 후, 80 내지 150℃에서 건조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크릴계 점착테이프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점착테이프는 무기재 점착테이프일 수 있으며, 상기 무기재라 함은 점착테이프에 기재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시중에 판매되는 점착테이프는 강도보강 등을 위하여 점착제층과 점착제층 사이에 별도의 기재(업계에서는 캐리어라고도 함)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기재를 생략가능하므로 무기재라는 표현을 사용하였을 뿐, 본 발명에서는 점착제층 사이에 기재의 유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크릴계 무기재 점착테이프를 구비하는 바닥재 타일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 타일은 타일부(240)와 아크릴계 점착테이프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아크릴계 점착테이프부는 이형지(110)와 아크릴계 점착제층(1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아크릴계 점착테이프부는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타일부(240)를 상술하면, 상기 타일부(240)는 타일상부면(230), 인쇄층(220) 및 타일하부면(22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타일상부면은 투명비닐층으로, 타일을 외관을 좋게 하기 위하여 최종적으로 코팅되는 층에 해당하며, 상기 인쇄층은 타일에 포함되는 일정한 무늬을 인쇄하는 층에 해당하며, 상기 타일하부면은 타일의 기본 골격이 되는 부분에 해당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타일부의 구성 및 재질 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타일부의 구체적인 예로는 PVC 바닥재 타일 또는 PP 바닥재 타일이 있으며, 상기 바닥재 타일은 데코타일, 우드타일, 센스타일, 디럭스타일, 카펫타일 등 일반적으로 상용화되어 시판되고 있는 어느 것을 적용하여도 좋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PVC바닥재 타일과 PP바닥재 타일(제조사:(주)케이엘피)을 적용하였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은 아크릴계 무기재 점착테이프를 제조한 후, 상기 타일부의 타일하부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아크릴계 무기재 점착테이프를 합포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조한 후, 코팅 기계인 코터(coater), 예를 들면, 그라비어-롤 코터, 리버스-롤 코터, 카스-롤 코터, 콤마-코터, 딥-롤 코터, 나이프 코터 등을 사용하여,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점착제을 상기 타일부의 타일하부면에 직접 도포 후 건조시켜 이것과 이형지를 합포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본드 또는 접착제을 풀 도포날의 골이 삼각형인 손 헤라을 사용 피착면에 도포하기 때문에 본드 표면이 요철형상을 갖게 되어, 그 위에 두께가 얇은(예:2.0mm이하) 타일을 붙일 경우 경화된 본드의 요철 현상이 타일 위에도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코터를 사용하므로서 도포되는 점착제 표면이 평활하므로 타일의 두께 뿐만아니라 길이 및 폭치수, 형상에 관계없이 바닥재 타일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와 같은 바닥재 타일의 경우, 상기 바닥재 타일을 시공시, 이형지만을 제거하고 시공하면 되기 때문에, 건물 내부 및 외부 바닥 어느 곳에서나 전문 시공 기술자가 아닌 일반인도 누구나 용이하게 직접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험예를 기재하며, 다만, 이는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험예 일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이온교환수는 양이온 교환수지와 음이온 교환수지을 모두 통과한 물을 사용하였고, 아크릴산에스테르계 모노머로는 유리전이온도(Tg)가 -5℃이하로서 점착제 필름에 점착력(tack)과 유연성(flexiability)을 부여하고, 또한, 저온에서의 점착력을 향상시켜 주는 2-에칠헥실아크릴레이트와 노르말-부칠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였다. 또한, 응집력을 부여하기 위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로 유리전이온도(Tg)가 +10℃이상인 메칠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하고, 바닥재의 가소재에 의한 접착력 저하 및 점착제 박리을 방지하기 위해 아크릴아마이드계 모노머로 내용제성이 우수한 아크릴아마이드를 사용하였으며, 내수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소수성 모노머인 스티렌 모노머를 사용하였다. 또한, 선형구조가 아닌 망상구조를 갖게 하여 내수성, 내열성, 점착력, 응집력등을 향상시키 위해 가교형 모노머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칠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을 사용하였다. 또한, 기타 첨가제로 계면활성제, 완충액, 개시제, 중화제, 소포제 등을 사용하였으며, 계면활성제로는 에멀젼 점착제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음이온성인 도데실벤젠설페이트 및 비이온성인 폴리옥시에칠렌 노닐페닐에칠렌을 갖는 2종류을 혼합하여 첨가하였으며, 완충액은 carbonates계를 사용하였다. 개시제는 수성계 개시제 중 산화환원성 개시제인 potassium persulfate를 사용하였고, 중화제은 암모니아수을 사용하였으며, 소포제로 실리콘계 소포제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인 제조방법으로는 교반기, 온도계, 냉각기, 적하깔대기, 질소 도입관이 장착된 반응기에 먼저 1단계의 조성물인 모노머 혼합액을 준비한 후 반응기내에서 중합을 저해하는 산소을 제거하기 위해 30분 동안 80℃에서 질소 치환을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모노머 혼합액을 중합개시제 포타슘퍼설페이트와 함께 80℃에서 3시간동안 반응용기에 적하하고 중합시켰다.
이후, 2단계의 조성물인 모노머 혼합액을 중합개시제 포타슘퍼설페이트와 함께 80℃에서 3시간동안 적하 하고, 적하가 끝난 후 미반응 모노머을 제거하기 위해 80℃에서 2시간 동안 숙성시켜 반응을 종결한 후, 40℃이하로 냉각한 다음, 소포제을 넣고, 중화제로 중화시켜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1단계 조성물과 상기 2단계 조성물의 구체적인 조성을 표1에 도시된 바와 같다.
구분 실헝예1 실험예2 실험예3 실험예4
1단계 2단계 1단계 2단계 1단계 2단계 1단계 2단계
이온교환수 5~40 5~19 5~45 5~25 5~45 5~25 5~45 5~25
도데실벤젠설페이트 0.05~0.15 0.05~0.13 0.05~0.15 0.05~0.13 0.05~0.15 0.05~0.13 0.05~0.15 0.05~0.13
완충액 0.02~0.3 0.02~0.3 0.02~0.3 0.02~0.3
폴리옥시에칠렌 노닐페닐에칠렌 0.5~4.0 1.0~4.0 0.5~4.0 1.0~4.0 0.5~4.0 1.0~4.0 0.5~4.0 1.0~4.0
스티렌 4~10 1~5 4~10 1~5
메칠메타크릴레이트 1~5 4~10 1~5 4~10
아크릴아마이드 1~10 1~10 1~10 1~10
2-에칠헥실아크릴레이트 1~5 25~35 1~5 25~35 1~5 25~35 1~5 25~35
노르말-부칠아크릴레이트 0.2~5 8~15 0.2~5 8~15 0.2~5 8~15 0.2~5 8~15
아크릴산 0.05~0.1 0.05~0.1 0.05~0.1 0.05~0.1 0.05~0.1 0.05~0.1 0.05~0.1 0.05~0.1
2-하이드록시에칠메타크릴레이트 0.05~0.2 0.05~0.2
그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0.05~0.1 0.05~0.1
포타시움퍼설페이트 0.05~0.1 0.1~0.9 0.05~0.1 0.1~0.9 0.05~0.1 0.1~0.9 0.05~0.1 0.1~0.9
소포제 0.03~0.2 0.03~0.2 0.03~0.2 0.03~0.2
중화제 0.5~3.0 0.5~3.0 0.5~3.0 0.5~3.0
상기 제조된 아크릴계 점착제를 이형지에 코팅하여 아크릴계 무기재 점착테이프를 제조한 후, 이를 PVC 바닥재 타일 또는 PP 바닥재 타일에 합포하여 바닥재 타일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바닥재 타일의 사용 적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였다.
1.점도
시료컵에 점착제을 받은 후 22℃로 점착제 온도을 유지 하고, viscometer VT-04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고형분
무게를 칭량한 시료컵에 점착제 1그램을 받은 후 무게를 다시 칭량한다. 다음에 120℃로 셋팅된 건조오븐에 넣고 1시간 동안 건조 시킨후 25±2℃로 유지된 데시케이터로 옮겨 30분 동안 방치한 후 다음 계산식1에 의해 고형분을 산출하고 3개 시료의 평균값를 기록하였다.
NV(%) = [(W2-W0)/(W1-W0)] x 100 -------- [계산식 1]
(여기서 NV는 고형분 또는 불휘발분, W0는 빈 시료컵 무게, W1은 건조전 시료와 시료컵을 합한 무게, W2는 건조후 시료와 시료컵을 합한 무게이다.)
3.초기점착력(Tack)
볼텍측정기(Ball Tack Tes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시료크기는 25mm x 150mm, 시료수는 3개, 피착제는 SUS304, 측정각도 30°, Steel ball 도주거리 50mm, 점착면 측정길이 100mm로 하였다.
Steel ball의 지름 1/32인치의 크기로부터 32/32인치까지의 것을 사용하며, 1/32인치를 No.1으로 하고 32/32인치를 No.32로 하여 Ball를 위에서 굴린후 부착되는 가장 큰 Ball의 크기를 점착력으로 표시한다. Ball의 규격은 아래와 같다.
No. 규격(inch) 볼직경(mm) No. 규격(inch) 볼직경(mm)
1 1/32 0.8 17 17/32 13.4938
2 2/32 1.5875 18 18/32 14.2875
3 3/32 2.3812 19 19/32 15.0812
4 4/32 3.1750 20 20/32 15.8750
5 5/32 3.9688 21 21/32 16.6688
6 6/32 4.7625 22 22/32 17.4625
7 7/32 5.5562 23 23/32 18.2562
8 8/32 6.35 24 24/32 19.050
9 9/32 7.1438 25 25/32 19.8438
10 10/32 7.9375 26 26/32 20.6375
11 11/32 8.7312 27 27/32 21.4312
12 12/32 9.525 28 28/32 22.2250
13 13/32 10.3188 29 28/32 23.0188
14 14/32 11.1125 30 30/32 23.8125
15 15/32 11.9062 31 31/32 24.6062
16 16/32 12.70 32 32/32 25.400
4.점착력(adhesion)
만능재료시험기(UTM ; Universal Test Machin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시료크기는 25mm x 150mm, 시료수는 3개, 피착제는 SUS304, 측정속도는 300mm/min, 시험편을 2,000±50g Roller로 1회 왕복하여 피착제에 부착후 30분이 경과된 뒤에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5.내열성
내열 수평 보지력(holding power)를 만능재료시험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시료크기는 25mm x 55mm, 시료수는 3개, 피착제는 SUS304, 절당한 시료를 피착제에 2,000±50g Roller로 1회 왕복하여 부착 1시간후 건조오븐기에서 100℃에서 168시간 동안 방치한 후 시료의 하단에 1kg하중을 준 후 3,600초 유지후 미끄러진 거리를 측정하였다.
6.내한성
저온 수평 보지력(holding power)를 만능재료시험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시료크기는 25mm x 55mm, 시료수는 3개, 피착제는 SUS304, 절당한 시료를 피착제에 2,000±50g Roller로 1회 왕복하여 부착 1시간후 건조오븐기에서 -10℃에서 168시간 동안 방치한 후 시료의 하단에 1kg하중을 준 후 3,600초 유지후 미끄러진 거리를 측정하였다.
7.내수성
시료크기는 25mm x 55mm, 시료수는 3개, 피착제는 SUS304로 하여, 30℃ 항온수조에 72시간 동안 침지 후 점착층의 부풀음, 피착제에서의 벗겨짐을 육안검사 하였다.
상기 측정결과를 하기 표2에 나타내었다.
측정항목 단위 기준 시료No. 결과
실험예1 실험예2 실험예3 실험예3
고형분 % 57±1 1 56.9 56.9 56.9 56.8
2 56.9 56.8 56.8 56.7
3 56.9 56.8 56.9 56.8
점도 cps/25℃ 2000±100 1 2190 2030 2120 1970
초기점착력 Ball No. 12이상 1 16 13 13 12
2 16 13 13 12
3 16 13 13 12
점착력 kgf/25mm 2.0이상 1 2.9 2.6 2.8 2.6
2 2.9 2.7 2.8 2.6
3 2.8 2.7 2.7 2.6
내열성 mm 3mm이하 1 0.3 0.7 0.6 0.9
2 0.4 0.7 0.6 0.9
3 0.4 0.8 0.6 0.9
내한성 mm 1mm이하 1 0 0 0 0
2 0 0 0 0
3 0 0 0 0
내수성 - 부풀음 및 벗겨짐이 없을것 1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2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3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상기 표2를 바탕으로 판단시,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점착제를 구비하는 바닥재 타일은 상기 측정항목의 기준을 모두 만족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기존 PVC 타일 본드에서 저온접착력의 향상을 위해 사용하는 발암성물질인 프탈레이트계와 같은 외부 가소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 아크릴 모노머을 사용한 내부 가소화로 저온접착성을 향상시키므로,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배제시킬 수 있다.
또한, 고온과 저온에서의 점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존에 PVC 타일 본드에서 사용하고 있는 검-로진을 톨루엔과 같은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한 유기용제에 용해시키는 방법이 아닌 아크릴모노머를 사용한 내부 가교화로 점착력과 내수성을 향상시키므로,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배제시킬 수 있다.
또한, 내열성 및 내한성이 우수하여, 고온 및 저온에서의 점착력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으며, 이는 한국의 온돌문화에도 매우 적합한 점착제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1)

  1. 30 내지 70 중량%의 이온교환수;
    25 내지 65 중량%의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1 내지 30 중량%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0.1 내지 20 중량%의 아크릴 아마이드계 모노머;
    1 내지 30 중량%의 소수성 모노머; 및
    0.1 내지 20 중량%의 가교형 모노머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교환수는 양이온 교환수지와 음이온 교환수지를 통과한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는 에칠아크릴레이트(EAM), 노르말-프로필아크릴레이트(n-PAM),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i-PAM), 노르말-부칠아크릴레이트(n-BAM), 세컨다리-부칠아크릴레이트(s-BAM), 이소-부칠아크릴레이트(i-BAM), 터시아리-부칠아크릴레이트(t-BAM), 노르말-헥실아크릴레이트(n-HAM), 2-에칠헥실아크릴레이트(2-EHAM) 및 이들에 상응하는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는 메칠메타크릴레이트(MMA), 에칠메타크릴레이트(EMA), 노르말-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n-PMA),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i-PMA), 노르말-부칠메타크릴레이트(n-BMA), 이소-부칠메타크릴레이트(i-BMA), 터시아리-부칠메타크릴레이트(t-BMA), 세컨다리-부칠메타크릴레이트(s-BMA),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c-HMA),이소보르닐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에 상응하는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아마이드계 모노머는 아크릴아마이드(AAm), 노르말-(이소-부톡시메칠)아크릴아마이드, 노르말-메칠롤아크릴아마이드(n-MAM), N-(노르말-부톡시메칠)아크릴아마이드) 및 이들에 상응하는 아크릴아마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모노머는 스티렌(SM), 아크릴로니트릴(AN) 및 이들에 상응하는 아크릴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카르복실레이트계, 하이드록시레이트계, 에폭시계, 다가알콜에스테르계 및 이들에 상응하는 가교형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무기재 점착테이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무기재 점착테이프는 이형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형지 상에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가 합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무기재 점착테이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는 폴리에칠렌수지을 라미네이팅한 후 실리콘으로 이형 처리한 이형지 또는 실리콘처리만 된 PET 이형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무기재 점착테이프.
  11. 제 1 모노머 혼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 1 모노머 혼합액을 교반기, 온도계, 냉각기, 적하깔대기, 질소 도입관이 장착된 반응기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제 1 모노머 혼합액의 중합을 저해하는 산소을 제거하기 위해 질소 치환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질소 치환이 수행된 상기 제 1 모노머 혼합액을 중합개시제 포타슘퍼설페이트와 함께 반응용기에 적하하고 중합하는 단계;
    제 2 모노머 혼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중합하는 단계가 완료된 상기 제 1 모노머 혼합액의 중합물에 곧바로 상기 제 2 모노머 혼합액을 중합개시제 포타슘퍼설페이트와 함께 적하하는 단계;
    상기 적하가 된 상기 제 2 모노머 혼합액을 미반응 모노머을 제거하기 위해 숙성시켜 반응을 종결한 후 냉각하는 단계; 및
    소포제을 넣고, 중화제로 중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의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노머 혼합액은 5 내지 45 중량%의 이온교환수, 1.2 내지 10 중량%의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1 내지 5 중량%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4 내지 10 중량%의 소수성 모노머 및 0.05 내지 0.1 중량%의 가교형 모노머, 0.55 내지 4.3 중량%의 계면활성제 및 0.02 내지 0.3 중량%의 완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의 제조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노머 혼합액은 5 내지 25 중량%의 이온교환수, 33 내지 50 중량%의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1 내지 10 중량%의 아크릴 아마이드계 모노머 및 0.1 내지 0.3 중량%의 가교형 모노머, 1.05 내지 4.3 중량%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상기 소포제는 0.03 내지 0.2 중량%로 첨가되고, 상기 중화제는 0.5 내지 3.0 중량%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의 제조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노머 혼합액의 중합개시제 포타슘퍼설페이트 0.05 내지 0.1 중량%로 첨가되고, 상기 제 2 모노머 혼합액의 중합개시제 포타슘퍼설페이트 0.1 내지 0.9 중량%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의 제조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노머 혼합액의 중합을 저해하는 산소을 제거하기 위해 질소 치환을 수행하는 것은 20 내지 40분 동안 60 내지 90℃의 온도에서 수행되고, 상기 제 1 모노머 혼합액을 중합개시제 포타슘퍼설페이트와 함께 반응용기에 적하하고 중합하는 것은 60 내지 90℃에서 3시간 내지 4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의 제조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하는 단계가 완료된 상기 제 1 모노머 혼합액의 중합물에 상기 제 2 모노머 혼합액을 중합개시제 포타슘퍼설페이트와 함께 적하하는 것은 60 내지 90℃에서 3시간 내지 4시간 동안 수행되고, 제 2 모노머 혼합액을 미반응 모노머을 제거하기 위해 숙성시키는 것은 60 내지 90℃에서 2시간 내지 3시간 동안 수행되며, 상기 냉각하는 것은 40℃이하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의 제조방법.
  17. 제 11 항 내지 제 16 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조하는 단계;
    바닥재 타일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아크릴계 점착제를 코터를 사용하여 상기 바닥재 타일의 일면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닥재 타일의 제조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를 상기 바닥재 타일의 일면에 도포 및 건조한 후, 상기 건조된 아크릴계 점착제 상에 이형지를 합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타일의 제조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 타일은 PVC바닥재 타일 또는 PP바닥재 타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타일의 제조방법.
  20. 제 11 항 내지 제 16 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아크릴계 점착제를 이형지 상에 코팅하여 아크릴계 무기재 점착테이프를 제조하는 단계;
    바닥재 타일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아크릴계 점착테이프를 상기 바닥재 타일의 일면에 합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닥재 타일의 제조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 타일은 PVC바닥재 타일 또는 PP바닥재 타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타일의 제조방법.
KR1020080018541A 2008-02-28 2008-02-28 아크릴계 점착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바닥재타일 KR200900931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541A KR20090093171A (ko) 2008-02-28 2008-02-28 아크릴계 점착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바닥재타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541A KR20090093171A (ko) 2008-02-28 2008-02-28 아크릴계 점착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바닥재타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171A true KR20090093171A (ko) 2009-09-02

Family

ID=41301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8541A KR20090093171A (ko) 2008-02-28 2008-02-28 아크릴계 점착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바닥재타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317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799B1 (ko) * 2010-11-12 2013-02-13 고세윤 톨루엔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테이프의 제조 방법
KR20180075307A (ko) * 2016-12-26 2018-07-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CN113463431A (zh) * 2021-06-20 2021-10-01 广东轻工职业技术学院 一种防水防油剂及其应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799B1 (ko) * 2010-11-12 2013-02-13 고세윤 톨루엔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테이프의 제조 방법
KR20180075307A (ko) * 2016-12-26 2018-07-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CN113463431A (zh) * 2021-06-20 2021-10-01 广东轻工职业技术学院 一种防水防油剂及其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0889B2 (en) Post-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KR101603641B1 (ko) 아크릴-실리콘계 하이브리드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7218596A (ja) 接着シートセットおよび物品の製造方法
TW201522553A (zh) 光硬化型黏著劑組成物、黏著片及積層體
WO2016024729A1 (ko) 저온 점착력 및 유지력이 우수한 아크릴계 에멀젼 점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868639A (zh) 一种丙烯酸酯压敏胶、压敏胶带及丙烯酸酯压敏胶的制备方法
KR20090093171A (ko) 아크릴계 점착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바닥재타일
KR20160036835A (ko) 수분산형 가교제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에멀젼 점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010332A (zh) 一种装饰基材及其制备方法
KR20120076817A (ko) 대전방지성 보호필름용 점착제
KR100560053B1 (ko) 초산비닐계 접착제 조성물
KR100554952B1 (ko) 아크릴 에멀젼형 감압접착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과이를 이용한 감압접착 테이프, 그리고 그 적용 물품
CN114656905A (zh) 一种水性压敏胶及其制备方法
JPH02178379A (ja) アクリル系感圧接着剤
KR102642819B1 (ko) 수성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점착시트
JP6028288B2 (ja) 再剥離型水性感圧接着剤
TWI792952B (zh) 黏著帶、電子機器零件或車載機器零件之固定方法、及電子機器或車載機器之製造方法
KR20140117739A (ko) 코팅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에멀젼 점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JP5733672B2 (ja) 水系エマルジョン型感圧接着剤
JP4229628B2 (ja) 多孔質基材/ポリオレフィン化粧シート用水性接着剤
JPH11172208A (ja) ケイ素酸化物含有材用の感圧接着シ―ト類
JP2017002156A (ja) 再剥離型水性感圧接着剤
KR20230073620A (ko) 아크릴 수지 조성물, 아크릴 필름 및 점착 시트
JPH08100466A (ja) シート防水接着工法
CN111849382A (zh) 一种能应用于高温环境的压敏胶制品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