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2058A - 철근 피복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철근 피복 조절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2058A
KR20090092058A KR1020080017335A KR20080017335A KR20090092058A KR 20090092058 A KR20090092058 A KR 20090092058A KR 1020080017335 A KR1020080017335 A KR 1020080017335A KR 20080017335 A KR20080017335 A KR 20080017335A KR 20090092058 A KR20090092058 A KR 20090092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reinforcing bar
fixing member
formwork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7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5855B1 (ko
Inventor
김근섭
전상윤
Original Assignee
(주)화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인테크 filed Critical (주)화인테크
Priority to KR1020080017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855B1/ko
Publication of KR20090092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2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8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철근 피복 조절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철근 피복 조절장치는, 거푸집에 설치되는 고정부재; 및 거푸집 내측에 설치되는 철근망의 철근 피복두께를 조절하기 위하여 적어도 일부분이 고정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진 및 후퇴 가능하게 결합되고 철근망에 다른 일부분이 접하여 철근망의 피복두께를 조절하는 피복조절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거푸집 내측에 설치된 철근망의 직립을 용이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피복조절기구를 활용하여 간편하게 철근의 피복두께를 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철근 피복 조절장치{Device for controlling reinforced bar minimum cover thickness}
본 발명은 철근 피복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푸집 내측에 설치되는 철근망과 결합되는 이동조절부 및 상기 이동조절부를 세밀히 조절할 수 있는 샤프트를 포함함으로써, 철근망의 직립을 유지시키고 또한 철근망의 위치 변화에 따른 수정이 요구될 때 이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는 철근 피복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건축 등의 건축에 있어서, 그 순서는 가설공사, 토공사, 지정 및 기초공사, 철근콘크리트공사, 철골공사, 조적공사, 미장공사, 방수공사, 목공사, 지붕 및 홈통공사, 창호 및 유리공사, 타일 및 돌공사, 도장공사, 수장공사, 조경공사 및 기타공사 순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전술한 기초공사가 완료된 후에는 슬라브철근 및 전기수도배관공사가 이뤄지게 되며, 그 후 벽 철근 배근 및 거푸집 설치 공사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철근 피복 조절장치는 거푸집 설치 공사를 완료한 후 레미콘 타설 전 발생 가능한 종래기술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이다.
철근콘크리트는 그 구조재로서의 우수성으로 인하여 최근 축조되는 모든 건축물에 사용된다고 보아도 과장은 아닐 것인바, 다만 중성화 속도에 따른 콘크리트 수명상의 문제점이 존재하는 단점도 함께 포함하고 있어 반드시 엄격한 검침을 통하여 철근의 피복두께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중성화란 콘크리트중의 수산화칼슘(Ca(OH)2)이 공기중의 탄산가스(CO2)와 결합하여 서서히 탄산칼슘(CaCO3)으로 되어 콘크리트가 알칼리성을 상실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중성화되어 알칼리성을 잃은 영역 내에 있는 철근은 물과 산소로 인하여 녹이 슬게 된다.
이때 체적이 팽창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표면에는 팽창압에 의한 균열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현상이 더욱 진행되면 이 주변의 콘크리트가 박리되게 되고, 더 나아가 축조된 구조물 전체가 파괴되는 심각한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중성화 속도는 콘크리트의 시공정밀도, 물·시멘트의 비, 마감재 여부 등과도 관계되지만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의 수명은 철근의 피복두께의 제곱에 비례한다고 보아도 무방하므로 철근의 피복두께 확보는 전체 구조물의 안전성을 담보하는 매우 중차대한 요소로 볼 수 있다.
철근의 피복두께란 철근 콘크리트 구조체에서 철근의 부식이나 화재 열 등으로부터 철근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철근을 콘크리트로 감싼 두께를 말하며, 철근 조립 및 콘크리트 타설시 철근의 피복두께 확보 및 콘크리트의 철저한 품질관리를 통해 철근콘크리트의 구조성능저하가 없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 볼 수 있다.
또한, 철근의 피복두께는 내구성 확보, 내화성 확보, 부착성 확보, 방청성 확보 및 콘크리트 유동성 확보차원에서도 중요한 문제인바, 우리나라에서는 엄격한 '건축구조설계기준'을 마련하여, 흙에 접하지 않는 옥내 지붕, 바닥판, 비내력벽의 경우 3 Cm, 옥외의 경우 4 Cm, 옥내 기둥, 보, 내력벽의 경우 4 Cm, 옥외의 경우 5 Cm, 흙에 접하는 기둥, 보, 바닥판, 내력벽의 경우 5 Cm, 그리고 기초, 옹벽의 경우 7 Cm의 피복두께 기준을 명시하고 있으며(다만, 철근의 직경에 따라 이러한 수치는 다를 수 있다.), 피복두께의 변경시에는 담당자의 승인을 받아야만 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콘크리트 타설 후라도 피복두께의 준수 여부에 관한 검침이 이뤄지게 되며, 피복두께를 확보하지 못한 경우에는 타설되어 경화된 콘크리트를 부수고 다시 피복두께를 확보한 후 콘크리트를 재 타설해야 하는 최악의 상황까지 발생할 수도 있게 된다.
그러나, 피복두께를 지나치게 두껍게 하는 경우 재료가 낭비되어 시공비가 증가하는 문제점도 생기게 되는바, 결국 피복두께는 전술한 건축구조설계기준에 따라 엄격히 준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일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건축현장에서는 철근콘크리트 건축물 또는 구조물의 외부 옹벽 등을 축조하는 경우, 축조할 외부 옹벽의 두께에 따라 거푸집 내에 수직 철근과 수평 철근을 각각 교차 되게 조립하여 철근망을 만든 후 철근과 철근, 철근과 거푸집 및 철근과 외부 단열재 사이에 일정한 철근 간격 유지구(Spacer, 이하 '스페이서')를 끼워넣음으로써 철근의 위치확보와 콘크리트 타설 중에 작용하는 여러 시공 하중 및 진동에 대하여 철근 간 또는 철근과 거푸집 간 등의 간격을 유지하는 방안을 따른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스페이서(6, 7)의 태양을 알 수 있으며, 각각 원형 스페이서(6) 및 선형 스페이서(7)를 도시하였다.
도 9를 참조하면, 수직철근과 수평철근을 상호 조립하여 제작된 철근망(4) 외측에 거푸집(3)을 설치한 모습을 알 수 있는데, 이처럼 거푸집(3)의 설치까지 완료된 후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는바, 거푸집(3)의 설치 전 또는 콘크리트 타설 전 철근망(4)의 직립을 유지하고,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철근의 이동 및 변형을 막기 위해 스페이서(6, 7)를 수직철근 및/또는 수평철근에 끼워넣는 작업을 거치게 된다.
즉, 철근과 철근 간의 간격유지를 위해 선형 스페이서(7)를 인접철근 간에 끼워넣거나 또는 거푸집(3)과 철근망(4) 간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최외각의 철근에 원형 스페이서(6)를 끼워넣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은 철근망(4)의 높이가 대개 3미터 이상임을 고려할 때 매우 번거로울 수 있고, 또한 강제 삽입된 스페이서(6, 7)는 철근과의 연결 정도가 약하기 때문에 쉽게 이탈될 수 있으며, 피복두께의 허용오차 이내에서 현장 시공 오차가 누적되어 불가피하게 철근망(4)의 수정이 요구될 때 아무런 구실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스페이서(6, 7)는, 폴리스틸렌계 발포체(Polystyrene foam)를 소재로 하여 만들어지는 특성상 콘크리트의 타설시 형상이 변형되거나 적절한 위치에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스페이서(6, 7)를 철근망(4)에 그대로 삽입한 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은 철근콘크리트 구조체 사이에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과 마찬가지의 결과를 초래하는바, 결국 철근과 콘크리트 간의 적절한 결합강도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건축에 있어서 거푸집 내측에 설치된 철근망의 직립을 유지시키고, 필요에 따라 간단하고 편리하게 철근의 피복두께를 조절할 수 있는 철근 피복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거푸집에 설치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거푸집 내측에 설치되는 철근망의 철근 피복두께를 조절하기 위하여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진 및 후퇴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철근망에 다른 일부분이 접하여 상기 철근망의 피복두께를 조절하는 피복조절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피복 조절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피복조절기구는,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너트; 상기 너트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샤프트;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 일측이 삽입되는 이격부재; 삽입된 상기 샤프트 일측과 결합되는 샤프트고정구; 및 일측이 상기 이격부재 일면과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철근망과 접하여 상기 샤프트의 구동에 따라 상기 철근망의 피복두께를 조절하는 이동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철근 피복 조절장치는,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지지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구는, 내측 공간에 상기 너트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동조절부는, 상기 철근망과 접하는 탄성 재질의 제1 판재 및 상기 이격부재와 결합되는 금속성 재질의 제2 판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조절부는, 상기 이동조절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조절부는, 상기 거푸집 상측으로 연장되어 콘크리트 타설 높이를 상승시키는 보조거푸집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는, 상기 이격부재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샤프트 일측 직경이 감소되어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철근 피복 조절장치는, 거푸집과 상기 고정부재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홈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걸림홈과 대응되는 걸림돌기를 갖는 클램프일 수 있다.
상기 피복조절기구는,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지지구; 상기 지지구 내측에 관통하여 마련되는 샤프트; 및 일측이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철근망에 접하여 상기 샤프트의 구동에 따라 상기 철근망의 피복두께를 조절하는 이동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거푸집 내측에 설치된 철근망의 직립을 용이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철근망의 위치조정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샤프트를 회전시켜 이동조절부를 당기거나 밀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편하게 철근의 피복두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피복 조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조절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격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샤프트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지지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샤프트 일측이 이격부재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이동조절부와 철근망이 결속선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고정부재와 거푸집이 결합부재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페이서가 철근과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a는 종래기술에 따른 원형 스페이서의 정면도이고, 도 10b는 종래기술에 따른 선형 스페이서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철근 피복 조절장치 100 : 고정부재
110 : 걸림홈 300 : 결합부재
310 : 걸림돌기 500 : 피복조절기구
510 : 이동조절부 511 : 결합홀
513 : 제1 판재 515 : 제2 판재
530 : 이격부재 531 : 삽입홀
550 : 샤프트 551 : 삽입부
553 : 핸들 555 : 나사산
570 : 너트 575 : 나사산
580 : 지지구 590 : 샤프트고정구
600 : 결속선 3 : 거푸집
4 : 철근망 6 : 원형 스페이서
7 : 선형스페이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피복 조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조절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격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샤프트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지지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샤프트 일측이 이격부재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피복 조절장치(1)는 크게 고정부재(100) 및 피복조절기구(500)를 포함한다.
고정부재(100)는 판재형상의 부재로서 금속 등의 재질로 제작되며, 거푸집(3) 상면과 견고히 결합되어 철근 피복 조절장치(1)의 사용시 그 유동을 방지하는 지지대의 역할을 담당한다.
거푸집(3) 및 고정부재(100) 간의 결합은 어떠한 방법을 따라도 무방하나, 본 발명의 철근 피복 조절장치(1)는 재사용에 따른 비용절감의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창안되었으므로, 사용 후 거푸집(3)과 고정부재(10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결합방법을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푸집(3) 및 고정부재(100) 간의 결합방법에 대하여서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피복조절기구(500)는 이동조절부(510), 이격부재(530), 샤프트(550), 너트(570), 지지구(580) 및 샤프트고정구(59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조절부(510)는 탄성 재질로 제작되는 제1 판재(515), 금속성 재질로 제작되는 제2 판재(513) 및 결합홀(511)을 포함한다.
이동조절부(510)는 판재형상의 부재로 거푸집(3) 내측에 조립된 철근망(4)의 철근(5)과 직접 결합되는 부분이며, 철근망(4)의 직립을 유지시키거나 샤프트(550)의 회전에 따라 철근망(4)의 세밀한 위치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물론, 이동조절부(5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판재(515) 및 제2 판재(513)의 구분없이 하나의 재질로만 제작될 수 있으나, 금속과 금속이 직접 맞닿는 것은 마찰열 발생 및 소음 발생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제1 판재(515) 및 제2 판재(513)의 두 개 층으로 나누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동조절부(510)가 두 개 층으로 나누어 구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결합홀(511)은 철근망(4)과 이동조절부(510)를 결합하는 결속선(600, 도 7 참조)이 관통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제1 판재(515) 및 제2 판재(513)의 일 측면에서 타 측면을 완전히 관통하여 형성된다.
결합홀(511)에 삽입되는 결속선 등은 철근망(4)의 자중 등에 의해 그 크기가 결정되며, 이에 따라 결합홀(511)의 직경도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거푸집(3) 내측에 설치되는 철근망(4)의 자중이 큰 경우라면 이를 조정하기 위한 결속선의 직경도 증가하며, 이에 따라 결합홀(511)의 직경도 상대적으로 증가한다.
도 7을 참조하면, 거푸집(3) 내측에 설치된 철근망(4)과 이동조절부(510)가 결속선(600)에 의하여 결합된 모습을 알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동조절부(510)는 거푸집(3) 내측에 설치된 철근망(4)과 결속선(600)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결속선(600)이 생략된 상태에서 철근망(4)에 직접 맞닿은 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거푸집(3)의 네 측 상면에 모두 본 발명의 철근 피복 조절장치(1)를 설치하는 경우라면, 일측에 설치된 철근 피복 조절장치(1)에 의해 철근망(4)을 미는 효과가 제공되게 되고, 그와 대향된 타측에 설치된 철근 피복 조절장치(1)에 의해 철근망(4)을 당기는 효과(타측 철근 피복 조절장치(1)의 측면에서는 미는 효과)가 제공되게 된다.
따라서, 철근망(4)과 이동조절부(510)를 결속선(600)을 통해 결속시키지 않더라도 철근 피복두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결속선(600)을 사용하여 철근망(4)과 이동조절부(510)를 결합시킨 경우를 가정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하며,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결속선(600)을 사용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 피복 조절장치(1)는, 이동조절부(510)의 위치 및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일종의 보조거푸집으로 기능할 수 있다.
즉, 제작된 철근망(4)의 직립도에 문제가 없는 경우라면 이동조절부(510)의 제1 판재(515)가 거푸집(3) 내측면과 평행한 상태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거푸집(3)의 길이와 동일하도록 설치하여 제1 판재(515)가 거푸집(3)의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본 실시예에 있어서 길이란 수평방향의 거리를 의미하며, 높이란 수직방향의 거리를 의미한다.)
이 경우, 결속선(600)은, 이동조절부(510)와 철근망(4) 간의 거리를 고려하여 선택되어야 하고, 추후 철근망(4)의 세밀한 위치조정이 필요한 경우를 대비하여 길이의 신축이 일어나지 않는 강성 재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전술한 바와 같이 철근망(4)과 이동조절부(510)가 직접 접하도록 결속선(600)을 생략한 경우라면, 철근 피복 조절장치(1)는 보다 간편히 보조거푸집으로 기능할 수 있게 된다.
즉, 거푸집(3)의 네 측 상면에 각각 본 발명의 철근 피복 조절장치(1)를 설치한 경우라면, 먼저 철근 피복 조절장치(1)를 사용하여 철근망(4)의 위치를 조절하고, 다음으로 이동조절부(510)의 제1 판재(515)가 거푸집(3) 내측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조정함으로써 간단히 보조거푸집으로 기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만, 이동조절부(510)를 보조거푸집으로 활용하는 경우, 이동조절부(510)의 위치를 변경하여 거푸집(3)과 제1 판재(515)가 평면을 유지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은 완성된 콘크리트면의 불균일성을 야기하는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철근망(4)의 직립도에 문제가 없는 경우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이격부재(530)는 접시를 엎어놓은 형상을 지니며, 내부에 샤프트(550) 일측이 삽입되어 회전하기 위한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고, 그 상측에는 샤프트(550) 일측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홀(531)이 형성된다.
이격부재(530)는 소위 '종발이'라 불리는 도구로, 상측에 형성된 삽입홀(531)을 따라 샤프트(550) 일측이 삽입되며, 그 내측에 형성된 여유공간을 통해 샤프트(550)의 회전운동이 가능해진다.
도 4를 참조하면, 샤프트(550)는 원 기둥형 축 부재로서, 상측에 샤프트(550)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핸들(553)이 마련되고, 샤프트(550) 외주면 일부를 따라 일정 피치를 갖는 나사산(555)이 형성되며, 하측 직경이 감소하여 형성되는 삽입부(551)를 포함한다.
핸들(553)은 상기 샤프트(55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임의로 생략할 수 있으며, 나사산(555)은 샤프트(550) 외주면 일정 부분에서 너트(570)의 나사산(575, 도 5 참조)에 대응하는 피치를 가지고 형성된다.
다만, 철근 피복 조절장치(1)는 설치된 철근망(4) 위치의 세밀한 조정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인바, 나사산(555)의 형성범위를 지나치게 넓게 잡지 않아도 무방하다.
삽입부(551)는 샤프트(550) 일측 직경을 감소시켜 일종의 단턱이 형성되도록 한 것으로 이격부재(530)의 삽입홀(531)에 삽입되는 구성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삽입부(551) 일부는 샤프트고정구(590)와 결합되며, 샤프트고정구(590) 및 삽입부(551)의 존재로 인해, 샤프트(550)는 이격부재(530)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움직일 수 없으며 제자리에서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다만, 샤프트(550) 일측에 형성되는 삽입부(551)는 임의로 생략가능하며, 이 경우 샤프트(550)는 이격부재(530) 외측으로 이탈될 수는 없으나 이격부재(530) 내측으로는 소정의 범위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된다.
삽입부(551)의 생략에 따른 효과는 후술하는 철근 피복 조절장치(1)의 활용에 따른 철근 피복 조절방법에서 상술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지구(580)는 'U'자형 판재형상 부재로서 양단이 고정부재(100) 상면에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견고히 고정되며, 내측에 너트(570)가 포함되기 위한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너트(570)의 나사산(575)은 샤프트(550)의 나사산(555)에 대응된다.
지지구(580)는 너트(57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샤프트(550)의 회전시 그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부분으로, 지지구(580) 내측 공간으로 삽입되는 너트(570)의 전체 길이는 샤프트(550)의 나사산(555)이 생성된 길이에 따라 결정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550)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555)의 형성범위는 그다지 넓지 않아도 무방하므로, 이에 따라 지지구(580) 내측에 삽입되고 일체로 결합되는 너트(570)의 전체 길이도 상대적으로 단축될 수 있다.
물론 지지구(580) 없이 너트(570)를 직접 고정부재(100)에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하에서는 용접의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지지구(580) 내측의 공간에 너트(570)가 삽입되어 일체로 결합된 상태를 가정한 후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샤프트고정구(590)는 이격부재(530) 내측 공간에 삽입되는 삽입부(551) 일부와 결합되는 구성으로 너트 또는 와셔 등의 체결요소를 의미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삽입부(551)를 생략하는 경우에는, 샤프트고정구(590)는 이격부재(530) 내측으로 삽입된 샤프트(550) 일측과 직접 결합되게 되나, 이하에서는 삽입부(551)가 포함된 경우를 가정하여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격부재(530)의 삽입홀(531)을 따라 삽입부(551)를 삽입한 후에는, 이격부재(530) 내측 상단 부근에 너트 또는 와셔 등의 샤프트고정구(590)를 끼워 넣고 이를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고정한다. 도면 상의 검은 부분은 용접부위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거푸집(3) 내측에 설치된 철근망(4)의 위치조정이 요구되어 샤프트(550)를 회전시키는 경우라도, 샤프트(550)의 회전운동에 무관하게 삽입부(551)는 이격부재(530) 외측으로 이탈될 수 없게 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단턱이 형성된 삽입부(551)의 존재 및 삽입부(551) 일부와 일체로 결합되는 샤프트고정구(590)의 존재로 인해 샤프트(550)는 제자리에서 회전운동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샤프트(550)는 너트(570)를 타고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그 결과, 이격부재(530)와 일체로 결합된 이동조절부(510)의 직선운동이 가능해지며, 최종적으로는 결속선 등을 통해 이동조절부(510)와 결속된 철근망(4)의 위치조정이 가능해진다.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3)과 고정부재(10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300)가 더 포함된 철근 피복 조절장치(1)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거푸집(3) 및 고정부재(100)의 결합방법은 제한 없으므로 어떠한 방법을 따라도 무방하나,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부재(300), 예컨대 클램프 등의 체결요소를 사용하여 결합의 편의를 도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고정부재(100)는 걸림홈(110, 도 1참조)을 더 포함하며, 이러한 걸림홈(110)은 고정부재(100) 상면 일부를 길이방향에 따라 일정부분 절개하여 형성된다.
걸림홈(110)은 결합부재(300)를 클램프로 특정하여 사용하는 경우, 거푸집(3)과 고정부재(100) 간의 견고한 결합을 도모하고자 마련된 것으로, 클램프 일측은 거푸집(3)과 결합되고 타측은 걸림돌기(310, 도 8참조)를 포함하여 고정부재(100)의 걸림홈(110)과 걸림됨으로써 고정부재(100)의 유동이 방지되게 되는 것이다. 클램프 일측이 거푸집(3)과 결합되는 방법은 제한이 없다.
물론 걸림홈(110)의 형상은, 고정부재(100) 상면 일부를 수직으로 절개함으로써 'ㄱ'자 형상을 따르도록 것도 가능하나, 거푸집(3)과 고정부재(100)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도 1을 참조하면, 내측으로 형성되는 일정한 경사를 갖는 걸림홈(110)을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기타 사항은 전술한 최초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사항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철근 피복 조절장치(1)를 활용한 철근 피복 조절방법을 상술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기둥 또는 벽체 등에 적용될 철근망(4)의 제작이 완료된 후에는 철근망(4) 외측으로 콘크리트 타설의 형틀이 되는 거푸집(3) 설치작업을 거치게 된다. 다만, 도 8에서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철근망(4) 일측에만 거푸집(3)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철근콘크리트공사 대부분의 경우 현장에서 철근을 직접 조립함에 따라 철근의 수직도가 유지되기 어려운 경우가 많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스페이서를 끼워넣는 경우라 하여도, 콘크리트 타설에 따라 스페이서가 변형되어 결국 철근의 피복두께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고, 또한 철근 피복 허용오차 범위 내에서 시공하는 경우라 하여도 현장 오차의 누적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철근의 위치를 수정해야 할 필요성이 생길 수 있다.
철근망(4)에 사용되는 수직철근의 경우 그 하단은 버림콘크리트 등과 견고히 결합되어 있으나 상측으로 올라갈수록 중력의 영향에 의해 조금이나마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며, 이는 수직철근의 길이가 3 m 이상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당연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철근의 치우침은 철근 피복두께를 확보하지 못하게 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콘크리트 타설 전 철근망(4)의 직립을 유지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로 볼 수 있고, 또한 철근망(4)의 치우침으로 인해 적절한 철근 피복두께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위치를 반드시 조절해야만 한다.
그러나, 설치된 거푸집(3) 내부에서 철근망(4) 위치를 수정하는 작업은 작업공간의 협소성을 고려할 때 지극히 어렵고 번거로운 작업이 될 수 있으며, 또한 종래기술에 따라 스페이서를 활용하여 철근망(4)의 위치를 일정간격 유지시키는 것은 완성된 구조물 전체의 안전성을 해할 수 있는 일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아직까지 전무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철근 피복 조절장치(1) 및 이를 활용한 철근 피복 조절방법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을 제시한다.
철근 피복두께의 조정을 위해 거푸집(3) 내측에 설치된 철근망(4)의 위치를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피복조절기구(500)와 결합된 고정부재(100)를 거푸집(3) 상면에 위치시키고, 고정부재(100)와 거푸집(3)을 견고히 결합시킨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프 등의 결합부재(300)를 통해 거푸집(3)과 고정부재(100)를 결합하나, 기타 철사(예컨대, '반생') 등을 사용하여 단단히 얽어매는 일반적 방법도 무방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결합방법에 의하여 한정되거나 제한되지는 않는다.
클램프를 결합부재(300)로 사용하는 경우, 고정부재(100)에는 클램프 일단의 걸림돌기(310)와 결합가능한 걸림홈(110)을 마련될 수 있는바 결합의 편의가 제공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이처럼 고정부재(100)의 고정을 통한 철근 피복 조절장치(1)와 거푸집(3) 간의 고정이 완료되면, 다음으로 이동조절부(510)의 결합홀(511)을 따라 결속선(600)을 통과시킨 후 거푸집(3) 내측의 철근망(4)과 결속한다.
결합부재(3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동조절부(510)와 철근망(4)을 결속하는 방법에도 제한이 없으며, 결속선(60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라면 결합홀(511)은 생략될 수 있다.
철근망(4)과 이동조절부(510)와의 결합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준비는 완료되게 된다.
실시준비가 완료되면, 철근 피복 조절장치(1)는 일반적으로 철근망(4)이 자중에 의하여 더 이상 한쪽으로 치우치지 못하게 하는 유지도구로 작용하게 되며, 다른 한편으로 철근망(4) 위치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 이를 조정하는 조절도구로 작용한다.
철근망(4)의 치우침으로 인해 위치를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샤프트(550) 상측에 구비된 핸들(553)을 회전시킴으로써 간단하게 철근망(4)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즉, 핸들(553)의 회전에 따라 핸들(553)과 일체로 형성된 샤프트(550)의 회전이 이뤄지게 되고, 샤프트고정구(590) 및 삽입부(551) 형상에 의해 제자리에서 회전운동을 하게 되는 샤프트(550)의 특성상, 결국 샤프트(550)는 너트(570)를 따라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그 결과, 이동조절부(510)와 결합된 철근망(4)은 철근 피복 조절장치(1) 쪽으로 끌려오거나 밀쳐지게 된다.
또한, 이동조절부(510)는 탄성재질의 제1 판재(515) 및 금속성재질의 제2 판재(513)로 나뉘어 구성되어 있으므로, 마찰열 발생이나 소음 발생의 문제없이 안정적이고 세밀하게 철근망(4)의 위치조정을 할 수 있다.
만약, 샤프트(550) 일측에 삽입부(551)를 포함시키지 않은 경우라도, 샤프트(550)는 샤프트고정구(590)에 의해 이격부재(530) 외측으로 이탈될 수 없으며, 이격부재(530) 내측으로는 이동조절부(510) 일면, 즉 제2 판재(513)까지만 움직일 수 있으므로, 결국 마찬가지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물론, 가장 단순하게는 샤프트(550) 및 이동조절부(510)를 직접 결합시킨 후, 샤프트(550)를 당기거나 밀침으로써 철근망(4)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고정부재(100) 및 결합부재(300)는 생략될 수 있으나, 과도한 힘을 요하게 되는 문제점 및 철근망(4)의 세밀한 위치조정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샤프트(550) 외주면에 나사산(555)을 두고 이격부재(530) 및 너트(570)를 포함시켜 샤프트(550)의 회전운동을 통해 철근망(4)의 위치조정을 이루도록 하였을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샤프트(550)의 회전에 의해서만 달성가능한 것이 아님을 분명히 밝혀둔다.
마지막으로, 철근 피복 조절장치(1)의 사용 완료 후에는 결합부재(300)를 해체하고, 거푸집(3)에서 고정부재(100)를 분리시킴으로서 철근 피복 조절장치(1)를재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즉, 타설된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재사용이 불가능한 종래기술의 스페이서와는 달리 본 발명의 철근 피복 조절장치(1)는 사용횟수의 제한 없이 반복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자원낭비를 줄이고 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까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거푸집에 설치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거푸집 내측에 설치되는 철근망의 철근 피복두께를 조절하기 위하여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진 및 후퇴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철근망에 다른 일부분이 접하여 상기 철근망의 피복두께를 조절하는 피복조절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피복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조절기구는,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너트;
    상기 너트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샤프트;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 일측이 삽입되는 이격부재;
    삽입된 상기 샤프트 일측과 결합되는 샤프트고정구; 및
    일측이 상기 이격부재 일면과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철근망과 접하여 상기 샤프트의 구동에 따라 상기 철근망의 피복두께를 조절하는 이동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피복 조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지지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구는,
    내측 공간에 상기 너트가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피복 조절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조절부는,
    상기 철근망과 접하는 탄성 재질의 제1 판재 및 상기 이격부재와 결합되는 금속성 재질의 제2 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피복 조절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조절부는,
    상기 이동조절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피복 조절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조절부는,
    상기 거푸집 상측으로 연장되어 콘크리트 타설 높이를 상승시키는 보조거푸집역할을 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피복 조절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이격부재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샤프트 일측 직경이 감소되어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피복 조절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과 상기 고정부재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피복 조절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홈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걸림홈과 대응되는 걸림돌기를 갖는 클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피복 조절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조절기구는,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지지구;
    상기 지지구 내측에 관통하여 마련되는 샤프트; 및
    일측이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철근망에 접하여 상기 샤프트의 구동에 따라 상기 철근망의 피복두께를 조절하는 이동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피복 조절장치.
KR1020080017335A 2008-02-26 2008-02-26 철근 피복 조절장치 KR100975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335A KR100975855B1 (ko) 2008-02-26 2008-02-26 철근 피복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335A KR100975855B1 (ko) 2008-02-26 2008-02-26 철근 피복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058A true KR20090092058A (ko) 2009-08-31
KR100975855B1 KR100975855B1 (ko) 2010-08-16

Family

ID=41209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7335A KR100975855B1 (ko) 2008-02-26 2008-02-26 철근 피복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585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12312A (zh) * 2018-03-22 2018-10-02 北京城建亚泰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墙体钢筋与模板安装的定位装置、定位结构及其工法
CN109518967A (zh) * 2018-12-12 2019-03-26 上海建工二建集团有限公司 现浇混凝土楼板厚度控制装置、系统及方法
CN110258959A (zh) * 2019-07-02 2019-09-20 中冶天工集团天津有限公司 一种钢筋网片用调整装置及其使用方法
CN114278016A (zh) * 2021-12-28 2022-04-05 恒富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操作简单的保护层厚度控制工具的使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115B1 (ko) * 2014-03-18 2015-05-06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철근 피복두께 조절이 가능한 거푸집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7046B2 (ja) * 2002-02-05 2004-10-13 株式会社ケー・エフ・シー 鉄筋支持具及びこれを用いた覆工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
JP4390272B2 (ja) * 2004-11-19 2009-12-24 有限会社 スズショウ 鉄筋用被り厚さ調節具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12312A (zh) * 2018-03-22 2018-10-02 北京城建亚泰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墙体钢筋与模板安装的定位装置、定位结构及其工法
CN108612312B (zh) * 2018-03-22 2024-05-14 北京城建亚泰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墙体钢筋与模板安装的定位装置、定位结构及其工法
CN109518967A (zh) * 2018-12-12 2019-03-26 上海建工二建集团有限公司 现浇混凝土楼板厚度控制装置、系统及方法
CN110258959A (zh) * 2019-07-02 2019-09-20 中冶天工集团天津有限公司 一种钢筋网片用调整装置及其使用方法
CN114278016A (zh) * 2021-12-28 2022-04-05 恒富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操作简单的保护层厚度控制工具的使用方法
CN114278016B (zh) * 2021-12-28 2023-10-31 恒富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操作简单的保护层厚度控制工具的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5855B1 (ko) 201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2381Y1 (ko)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JP4586136B2 (ja) 繊維補強圧縮セメント板とコンクリート補強構造用の穴を有する金属間柱を含む発泡プラスチック一体固定式枠型パネルシステム
KR101556545B1 (ko) 더블 월 피씨를 이용하는 구조물 시공방법
KR100975855B1 (ko) 철근 피복 조절장치
KR20120062407A (ko) 보강단열패널과 상기 보강단열패널을 활용한 경량 구조물 구축시스템 및 그 구축공법
KR101277751B1 (ko) 프리캐스트 블록과 그 블록을 이용한 중저층 보-기둥 건물의 리모델링 보강공법
KR101295029B1 (ko) 섬유로드를 이용한 역시공 건축 공법
US20070011979A1 (en) Stacking masonry block system with locking starter device
JP4454607B2 (ja) 立ち上がり基礎
EA013175B1 (ru) Наружная стена многоэтажного каркасного здания системы аркос и способ ее возведения
JP4440136B2 (ja) 手摺支柱の取付工法
JP3785134B2 (ja) 外断熱工法
KR100998734B1 (ko)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수평유지부재 및 그 설치 구조
JP5865567B2 (ja) 連結用スラブ及びその構築方法
JP2006342645A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施工方法と施工技術及び金具
JP2020029759A (ja) 軽量自立壁、及び軽量自立壁の施工方法
JP4711864B2 (ja)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パネルの取付構造
JP2010116694A (ja) 建物の鉄筋コンクリート造外壁構造
KR101901856B1 (ko) 섬유판넬을 이용한 건축 부재
EP1382761A1 (en) Building system
JP2007255085A5 (ko)
RU2818957C1 (ru) Изоляционно-отделоч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стены
KR200402508Y1 (ko) 콘크리트 균열 방지구
KR101951814B1 (ko) 섬유판넬을 이용한 콘크리트 기둥 또는 슬래브 구조물의 내진 보강공법
IL288213A (en) Kits, systems and methods for covering walls and buildings produced in this w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