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1529A - 열교환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와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와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1529A
KR20090091529A KR1020080016848A KR20080016848A KR20090091529A KR 20090091529 A KR20090091529 A KR 20090091529A KR 1020080016848 A KR1020080016848 A KR 1020080016848A KR 20080016848 A KR20080016848 A KR 20080016848A KR 20090091529 A KR20090091529 A KR 20090091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expansion
return band
tube
refrigeran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6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덕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6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1529A/ko
Publication of KR20090091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15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28F9/013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for tubes or tube-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4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 F28F9/16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permanent joints, e.g. by rolling
    • F28F9/18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permanent joints, e.g. by rolling by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28F21/08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of metal
    • F28F21/081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 F28F21/084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from aluminium or aluminium all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6Fastening; Joining by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는, 냉매가 통과하는 복수개의 냉매 튜브와, 상기 복수개의 냉매 튜브와 결합되는 복수개의 전열 핀과, 상기 복수개의 냉매 튜브를 연통시키고 상기 복수개의 냉매 튜브에 용접제로 접합되는 리턴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냉매 튜브에는 상기 리턴 밴드가 삽입되는 리턴 밴드 삽입용 확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용접제가 넘쳐 흐르는 것을 막는 용접제 넘침 방지용 확관부가 형성되며, 상기 용접제 넘침 방지용 확관부는 상기 리턴 밴드 삽입용 확관부에서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리턴 밴드 삽입용 확관부 보다 크게 형성되어, 냉매 튜브와 연결 배관과의 사이에 용융된 용접제가 흘러 넘치는 폴 다운(Fall down)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열교환기, 냉매 튜브, 리턴 밴드, 공기조화기, 용접제 넘침 방지용 확관부

Description

열교환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와 그 제조 방법{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include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열교환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와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매 튜브에 냉매 튜브를 연통시키는 리턴 밴드를 용접제로 접합할 시에 용접제가 넘쳐 흐르는 것을 막는 용접제 넘침 방지용 확관부가 형성된 열교환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와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로 이루어진 냉동 사이클 장치를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장치로서, 냉매가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를 순환하도록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가 냉매 배관으로 연결된다.
상기 응축기와 증발기는 냉매가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되어 냉매가 유로를 통과하면서 응축 또는 증발되어 주변과 열교환되는 열교환기로 작용하고, 이러한 열교환기는 핀앤튜브형 열교환기와 플랫튜브형 열교환기 등이 사용된다.
상기 핀앤튜브형 열교환기는 냉매가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된 복수개의 냉매 튜브와, 냉매 튜브와 결합되어 전열 능력을 높이는 전열 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냉매 튜브는 전열 핀에 결합된 후, 리턴 밴드에 의해 연통되고, 냉매 튜브와 리턴 밴드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삽입된 후 용접제에 의해 접합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응축기와 증발기의 냉매 튜브에 냉매 튜브를 연통시키는 리턴 밴드를 용접제로 접합할 경우, 냉매 튜브와 리턴 밴드와의 사이에 용융된 용접제가 흘러 넘치는 폴 다운(Fall down)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신뢰성이 향상되는 열교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매 튜브에 리턴 밴드를 효율적으로 접합시킨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신뢰성이 높은 열교환기를 갖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매 튜브와 리턴 밴드를 효율적으로 접합하여 신뢰성이 높은 열교환기를 제조할 수 있는 열교환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는 냉매가 통과하는 복수개의 냉매 튜브와, 상기 복수개의 냉매 튜브와 결합되는 복수개의 전열 핀과, 상기 복수개의 냉매 튜브를 연통시키고 상기 복수개의 냉매 튜브에 용접제로 접합되는 리턴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냉매 튜브에는 상기 리턴 밴드가 삽입되는 리턴 밴드 삽입용 확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용접제가 넘쳐 흐르는 것을 막는 용접제 넘침 방지용 확관부가 형성되며, 상기 용접제 넘침 방지용 확관부는 상기 리턴 밴드 삽입용 확관부에서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리턴 밴드 삽입용 확관부 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용접제 넘침 방지용 확관부는 상기 리턴 밴드 삽입용 확관부의 단부로부터 멀어질수록 크게 확관되는 제1 확관부와, 상기 제1 확관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리턴 밴드과의 사이에 중공 원통형 공간을 형성하는 제2 확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확관부는 상기 제1 확관부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확관부의 단부로부터 멀어질수록 크게 확관된 플레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냉매 튜브는 알루미늄 재질이고, 상기 리턴 밴드는 알루미늄 재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냉매가 통과하는 복수개의 냉매 튜브와, 상기 냉매 튜브와 결합되는 전열 핀과, 상기 복수개의 냉매 튜브를 연통시키고 상기 복수개의 냉매 튜브에 용접제로 접합되는 리턴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냉매 튜브에는 상기 리턴 밴드가 삽입되는 리턴 밴드 삽입용 확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용접제가 넘쳐 흐르는 것을 막는 용접제 넘침 방지용 확관부가 형성되며, 상기 용접제 넘침 방지용 확관부는 상기 리턴 밴드 삽입용 확관부에서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리턴 밴드 삽입용 확관부 보다 크게 형성된 열교환기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기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제조 방법은 냉매 튜브를 전열 핀에 끼우는 끼움 단계와, 상기 끼움 단계에서 끼움된 냉매 튜브를 확관시키는 냉매 튜브 1차 확관 단계와, 상기 1차 확관된 냉매 튜브를 확관시켜서 리턴 밴드 삽입용 확관부를 형성하는 냉매 튜브 2차 확관 단계와, 상기 2차 확관된 냉매 튜브를 확관시켜서 용접제 넘침 방지용 확관부를 형성하는 냉매 튜브 3차 확관 단계와, 리턴 밴드를 상기 리턴 밴드 삽입용 확관부에 삽입한 후 용접 접합하는 용접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는 냉매 튜브에 냉매 튜브를 연통시키는 리턴 밴드를 용접제로 접합할 시에 용접제가 넘쳐 흐르는 것을 막는 용접제 넘침 방지용 확관부가 형성되어,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냉매 튜브에 냉매 튜브를 연통시키는 리턴 밴드를 용접제로 접합할 시에 용접제가 넘쳐 흐르는 것을 막는 용접제 넘침 방지용 확관부가 형성된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제조 방법은, 냉매 튜브와 리턴 밴드를 효율적으로 접합하여 신뢰성이 높은 열교환기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가 압축기(2)와 응축기(4)와 팽창기구(6)와 증발기(8) 순서로 순환하도록 압축기(2)와 응축기(4)와 팽창기구(6)와 증발기(8)가 냉매 배관(3)(5)(7)(9)으로 연결되고, 압축기(2)와 응축기(4)와 팽창기구(6)와 증발기(8)와 냉매배관(3)(5)(7)(9) 중 적어도 하나의 전체 혹은 일부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알루미늄은 구리보다 저가이나 전열 성능이 떨어지므로,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여러 구성들 중에서 열 전달 성능이 중요하거나 기능 및 구조적인 이유 등으로 알루미늄 재질이 적합하지 않은 부분은 주로 구리 재질이나 강 재질 등으로 성형되고, 열 전달 성능이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거나 형상 등의 변형을 통해 열 전달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부분은 알루미늄 재질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는 압축기(2)와 응축기(4)와 팽창기구(6)와 증발 기(8)와 냉매배관(3)(5)(7)(9) 각각의 통상적인 구조나 형상 등을 고려할 때, 응축기(4)의 냉매 유로와, 증발기(8)의 냉매 유로와, 냉매배관(3)(5)(7)(9)이 알루미늄 재질의 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응축기(4)와 증발기(8) 중에서 증발기(8)의 열전달 성능이 냉동 사이클의 열효율에 미치는 영향이 응축기(4)의 열전달 성능의 경우 보다 크고, 증발기(8)의 냉매 유로를 알루미늄 재질의 관으로 할 경우 열효율이 과도하게 낮아질 수 있으므로, 증발기(8)의 냉매 유로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효율 저하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응축기(4)의 냉매 유로의 전체 혹은 일부를 알루미늄 재질의 관으로 하고, 증발기(8)의 냉매 유로는 알루미늄 보다 열전달 성능이 우수한 구리 재질의 관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압축기(2)와 응축기(4)가 실외기(O)에 설치되고, 증발기(8)가 실내기(I)에 설치되고 팽창기구(6)가 실외기(O)와 실내기(I) 중 일측에 설치된 분리형 공기조화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팽창기구(6)와 증발기(8) 사이의 냉매배관(7)은 실외기(O)의 내부에 위치되는 실외기 냉매배관(7A)과, 실내기(I)의 내부에 위치되는 실내기 냉매배관(7B)과, 실외기 냉매배관(7A)과 실내기 냉매배관(7B)을 연결하는 설치배관(7C)으로 이루어지며, 증발기(8)와 압축기(2) 사이의 냉매배관(9)은 실외기(O)의 내부에 위치되는 실외기 냉매배관(9A)과, 실내기(I)의 내부에 위치되는 실내기 냉매배관(9B)과, 실외기 냉매배관(9A)과 실내기 냉매배관(9B)을 연결하는 설치배관(9C)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응축기(4)가 알루미늄 재질의 냉매 튜브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외기(O)는 케이스(1)의 내부에 응축기(4)가 설치되고, 케이스(1) 내부에 응축기(4)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기(10)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실외기(O)는 송풍기(10)의 구동시 실외 공기가 케이스(1) 내부로 흡입되어 알루미늄 재질의 냉매튜브를 갖는 응축기(4)와 열교환되고, 이후 케이스(1)의 외부로 토출된다.
한편, 알루미늄 재질의 냉매튜브를 갖는 응축기(4)를 통과하는 냉매는 알루미늄 재질의 냉매튜브에 의해 실외 공기와 열교환되면서 응축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열교환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냉매 튜브와 리턴 밴드의 결합 부분이 확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응축기(4)인 열교환기는 핀앤튜브형 열교환기로서, 냉매배관(3,5)과 함께 냉매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냉매 튜브(52)와, 복수개의 냉매 튜브(52)에 결합되는 전열 핀(60; fin)과, 복수개의 냉매 튜브(52)를 연통시키고 냉매 튜브(52)에 용접제(20)로 접합되는 리턴 밴드(58)를 포함한다.
열교환기는 복수개의 냉매 튜브(52) 모두가 리턴 밴드(58)를 통해 직렬 연결되어 하나의 냉매 유로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리턴 밴드(58)를 통해 직렬로 연결된 냉매 튜브(52)의 복수 군이 병렬로 연결되어 복수개의 냉매 유로를 형성하 는 것도 가능하다.
열교환기는 복수개의 냉매 튜브(52)와 리턴 밴드(58)와 전열 핀(60)의 전부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개의 냉매 튜브(52)만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특히 열교환기의 냉매 유로의 일부가 알루미늄 재질의 냉매 튜브(52)로 이루어지고 열교환기의 냉매 유로의 나머지가 구리 재질의 냉매 튜브(52)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열교환기의 냉매 유로 즉, 냉매 튜브(52)와 리턴 밴드(58)와 전열 핀(60) 모두 알루미늄 재질로 성형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이하, 냉매 튜브(52)와 리턴 밴드(58)의 접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열교환기는 알루미늄 재질의 냉매 튜브(52)와 알루미늄 재질의 리턴 밴드(58) 중 어느 하나의 단부를 확관한 후 다른 하나를 확관된 부분에 삽입하고, 이후 용접 접합한다. 이하, 냉매 튜브(52)의 단부를 확관한 후 리턴 밴드(58)를 냉매 튜브(52)의 확관된 부분에 삽입하고, 이후 용접 접합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순수금속인 구리(Cu)나 알루미늄(Al)은 자연환경에서 공기중의 산소(O₂)와 반응하여 표면에 산화구리(CuO₂)나 산화알루미늄(AlO₂)인 산화막이 형성된다. 이러한, 산화막은 구리(Cu)나 알루미늄(Al)의 녹는점을 상승시키고 이로 인해 구리(Cu)나 알루미늄(Al)의 용접성을 저하시킨다. 이러한, 구리(Cu)나 알루미늄(Al)을 용접하기 위해서는 표면의 산화막을 제거해야 하는데, 그 한가지 방법으로 구리(Cu)나 알루미늄(Al)보다 산화력이 더 큰 규소(Si) 성분을 포함하는 용접제를 사용하여 용접시에 구리(Cu)나 알루미늄(Al)의 표면을 환원시켜서 산화막을 제 거하고 용접하게 된다.
상술한 규소(Si) 성분은 구리(Cu)나 알루미늄(Al)의 산화막과 반응하여 슬러지(SiO₂)로 배출되는데, 알루미늄(Al)은 구리(Cu)에 비해 산화력이 크기 때문에 구리(Cu)에 비해 산화막이 잘 형성되어 용접성이 좋지 못하므로 용접성 향상을 위해 구리(Cu)를 용접할 경우보다 규소(Si) 성분이 다량 함유된 용접제를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용접제에 규소(Si) 성분이 다량 함유될수록 배출되는 슬러지(SiO₂)의 양은 증가하게 된다.
즉, 냉매 튜브(52) 및 리턴 밴드(58)가 모두 구리 재질일 경우에 사용되는 규소(Si) 함량이 적은 용접제는 배출되는 슬러지(SiO₂)의 양이 적기 때문에, 냉매 튜브(52)와 리턴 밴드(58) 사이의 용융된 용접제(20)가 넘쳐 흐르는 폴 다운(Fall down)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냉매 튜브(52) 및 리턴 밴드(58)가 모두 알루미늄 재질일 경우에는 냉매 튜브(52) 및 리턴 밴드(58)가 모두 구리 재질일 경우에 사용되는 용접제에 비해 규소(Si) 함량이 많은 용접제를 사용하므로 배출되는 슬러지(SiO₂)의 양이 많고, 이로 인해 폴 다운 현상이 발생한다.
본 발명인 열교환기의 냉매 튜브(52)에는 리턴 밴드(58)가 삽입되는 리턴 밴드 삽입용 확관부(53)가 형성되고, 상기한 폴 다운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접제(20)가 넘쳐 흐르는 것을 막는 용접제 넘침 방지용 확관부(54)가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냉매 튜브(52)의 초기 크기는 전열 핀(60)에 용이하게 끼움되기 위해 전열 핀(60)에 끼움되기 위한 홀보다 작게 성형하여 냉매 튜브(52)를 전열 핀(60)에 끼우고, 냉매 튜브(52)에 확관기구(미도시)를 삽입해서 냉매 튜브(52)를 1차 확관 시켜 냉매 튜브(52)를 전열 핀(60)에 밀착시켜서 냉매 튜브(52)를 전열 핀(60)과 일체화한다.
리턴 밴드 삽입용 확관부(53)는 1차 확관된 냉매 튜브(52)에 1차 확관시 사용했던 확관기구보다 크기가 더 큰 확관기구(미도시)를 삽입해서 냉매 튜브(52)를 2차 확관하여 형성된다. 리턴 밴드 삽입용 확관부(53)는 1차 확관된 냉매 튜브(52)의 단부로부터 멀어질수록 크게 확관되는 제1 확관부(53a)와, 제1 확관부(53a)로부터 연장되고 리턴 밴드(58)와의 사이에 중공 원통형 공간을 형성하는 제2 확관부(53b)로 이루어진다.
용접제 넘침 방지용 확관부(54)는 리턴 밴드 삽입용 확관부(53)에서 연장됨과 아울러 용융된 용접제(20)가 충분히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리턴 밴드 삽입용 확관부(53)보다 크게 형성된다.
용접제 넘침 방지용 확관부(54)는 냉매 튜브(52)를 2차 확관하여 형성된 리턴 밴드 삽입용 확관부(53)에 2차 확관시 사용했던 확관기구보다 크기가 더 큰 확관기구(미도시)를 삽입해서 냉매 튜브(52)의 리턴 밴드 삽입용 확관부(53)를 3차 확관하여 형성된다.
용접제 넘침 방지용 확관부(54)는 냉매 튜브(52)를 2차 확관하여 형성된 리턴 밴드 삽입용 확관부(53)의 단부, 즉 제2 확관부(53b)로부터 멀어질수록 크게 확관되는 제1 확관부(54a)와, 제1 확관부(54a)로부터 연장되고 리턴 밴드(58)와의 사이에 중공 원통형 공간을 형성하는 제2 확관부(54b)로 이루어진다.
용접제 넘침 방지용 확관부(54)는 제1 확관부(54a)가 리턴 밴드 삽입용 확 관부(53)의 단부, 즉 제 2확관부(53b)로부터 멀어질수록 크게 확관됨으로써, 용융된 용접제(20)가 리턴 밴드(58)와 리턴 밴드 삽입용 확관부(53) 사이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용접제 넘침 방지용 확관부(54)는 제2 확관부(54b)가 제1 확관부(54a)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리턴 밴드(58)와의 사이에 중공 원통형 공간을 형성하여 용융된 용접제(20)가 충분히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용접제 넘침 방지용 확관부(54)는 제2 확관부(54b)가 냉매 튜브(52)와 리턴 밴드(58)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형성하여 냉매 튜브(52)와 리턴 밴드(58)가 견실하게 접합되도록 제1 확관부(54a) 보다 길게 형성된다.
냉매 튜브(52)의 끝단에는 리턴 밴드(58)의 초기 삽입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냉매 튜브(52)와 리턴 밴드(58)가 견실하게 접합되기 위해 용접제 넘침 방지용 확관부(54)의 제2 확관부(54b)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제2 확관부(54b)의 단부로부터 멀어질수록 크게 확관된 플레어(55)가 형성된다.
한편, 전열 핀(60)은 알루미늄 재질의 냉매 튜브(52)와 전열 핀(60) 주변의 공기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알루미늄 재질의 냉매 튜브(52)가 관통되게 고정되는 칼라(collar)가 다수개 형성된다.
핀(60)의 양옆에는 엔드 플레이트(62)(64)가 배치된다.
엔드 플레이트(62)(64)에는 핀(60)의 칼라와 대응되는 관 관통공이 다수개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제조 방법 일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로서, 열교환기의 제작 및 연결의 순서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제조 방법은 냉매 튜브(52)를 전열 핀(60)에 끼우는 끼움 단계(S1)와, 상기 끼움 단계(S1)에서 끼움된 냉매 튜브(52)를 확관시키는 냉매 튜브 1차 확관 단계(S2)와, 상기 1차 확관된 냉매 튜브(52)를 확관시켜서 리턴 밴드 삽입용 확관부(53)를 형성하는 냉매 튜브 2차 확관 단계(S3)와, 상기 2차 확관된 냉매 튜브(52)를 확관시켜서 용접제 넘침 방지용 확관부(54)를 형성하는 냉매 튜브 3차 확관 단계(S4)와, 리턴 밴드(58)를 상기 리턴 밴드 삽입용 확관부(53)에 삽입한 후 용접 접합하는 용접 단계(S5)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냉매 튜브(52)의 초기 크기는 전열 핀(60)에 용이하게 끼움되기 위해 전열 핀(60)에 끼움되기 위한 홀보다 작게 성형한다. 냉매 튜브 1차 확관 단계(S2)는 냉매 튜브(52)에 확관기구(미도시)를 삽입한 후 냉매 튜브(52)를 확관 시켜 냉매 튜브(52)를 전열 핀(60)에 밀착시켜서 냉매 튜브(52)를 전열 핀(60)과 일체화하는 단계이다.
냉매 튜브 2차 확관 단계(S3)는 냉매 튜브 1차 확관 단계(S2)에서 사용된 확관기구보다 크기가 큰 확관기구(미도시)를 이용하여 1차 확관된 냉매 튜브(52)의 단부를 확관하여 리턴 밴드(58)가 삽입될 수 있는 리턴 밴드 삽입용 확관부(53)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냉매 튜브 3차 확관 단계(S4)는 냉매 튜브 2차 확관 단계(S3)에서 사용된 확관기구보다 크기가 큰 확관기구(미도시)를 이용하여 2차 확관된 냉매 튜브(52)의 단부를 확관하여 냉매 튜브(52)와 리턴 밴드(58) 사이에 용융된 용접제가 충분히 수용될 수 있는 용접제 넘침 방지용 확관부(54)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열교환기 특히 열교환기의 냉매 유로 중 일부가 알루미늄 재질의 냉매 튜브이고, 나머지가 구리 재질의 냉매 튜브로 이루어지며, 구리 재질의 냉매 튜브의 단부에 용접제 넘침 방지용 확관부(54)가 형성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고, 냉매 튜브를 연통시키는 리턴 밴드 중 일부가 알루미늄 재질의 리턴 밴드이고, 나머지가 구리 재질의 리턴 밴드로 이루어지며, 구리 재질의 리턴 밴드의 단부에 용접제 넘침 방지용 확관부(54)가 형성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주 내에서 그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열교환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냉매 튜브와 리턴 밴드의 연결 부분이 확대 도시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제조 방법 일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 압축기 3: 냉매 배관
4: 응축기 5: 냉매 배관
6: 팽창기구 8: 증발기
52: 냉매 튜브 53: 리턴 밴드 삽입용 확관부
54: 용접제 넘침 방지용 확관부 54a: 제1 확관부
54b: 제2 확관부 55: 플레어
58: 리턴 밴드 60: 전열 핀

Claims (7)

  1. 냉매가 통과하는 복수개의 냉매 튜브와;
    상기 복수개의 냉매 튜브와 결합되는 복수개의 전열 핀과;
    상기 복수개의 냉매 튜브를 연통시키고 상기 복수개의 냉매 튜브에 용접제로 접합되는 리턴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냉매 튜브에는 상기 리턴 밴드가 삽입되는 리턴 밴드 삽입용 확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용접제가 넘쳐 흐르는 것을 막는 용접제 넘침 방지용 확관부가 형성되며,
    상기 용접제 넘침 방지용 확관부는 상기 리턴 밴드 삽입용 확관부에서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리턴 밴드 삽입용 확관부 보다 크게 형성된 열교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접제 넘침 방지용 확관부는 상기 리턴 밴드 삽입용 확관부의 단부로부터 멀어질수록 크게 확관되는 제1 확관부와,
    상기 제1 확관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리턴 밴드과의 사이에 중공 원통형 공간을 형성하는 제2 확관부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확관부는 상기 제1 확관부 보다 길게 형성된 열교환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확관부의 단부로부터 멀어질수록 크게 확관된 플레어를 더 포함하는 열교환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냉매 튜브는 알루미늄 재질이고, 상기 리턴 밴드는 알루미늄 재질인 열교환기.
  6.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냉매가 통과하는 복수개의 냉매 튜브와; 상기 냉매 튜브와 결합되는 전열 핀과; 상기 복수개의 냉매 튜브를 연통시키고 상기 복수개의 냉매 튜브에 용접제로 접합되는 리턴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냉매 튜브에는 상기 리턴 밴드가 삽입되는 리턴 밴드 삽입용 확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용접제가 넘쳐 흐르는 것을 막는 용접제 넘침 방지용 확관부가 형성되며, 상기 용접제 넘침 방지용 확관부는 상기 리턴 밴드 삽입용 확관부에서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리턴 밴드 삽입용 확관부 보다 크게 형성된 열교환기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기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7. 냉매 튜브를 전열 핀에 끼우는 끼움 단계와;
    상기 끼움 단계에서 끼움된 냉매 튜브를 확관시키는 냉매 튜브 1차 확관 단계와;
    상기 1차 확관된 냉매 튜브를 확관시켜서 리턴 밴드 삽입용 확관부를 형성하는 냉매 튜브 2차 확관 단계와;
    상기 2차 확관된 냉매 튜브를 확관시켜서 용접제 넘침 방지용 확관부를 형성하는 냉매 튜브 3차 확관 단계와;
    리턴 밴드를 상기 리턴 밴드 삽입용 확관부에 삽입한 후 용접 접합하는 용접 단계를 포함하는 열교환기의 제조 방법.
KR1020080016848A 2008-02-25 2008-02-25 열교환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와 그 제조 방법 KR200900915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848A KR20090091529A (ko) 2008-02-25 2008-02-25 열교환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와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848A KR20090091529A (ko) 2008-02-25 2008-02-25 열교환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와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529A true KR20090091529A (ko) 2009-08-28

Family

ID=41208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6848A KR20090091529A (ko) 2008-02-25 2008-02-25 열교환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와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152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1333A1 (ko) * 2015-12-22 2017-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조방법
EP3722686A4 (en) * 2017-12-05 2021-08-25 Daikin Industries, Ltd. AIR CONDITIONING
WO2021167305A1 (ko) * 2020-02-19 2021-08-2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 조립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1333A1 (ko) * 2015-12-22 2017-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조방법
US10941989B2 (en) 2015-12-22 2021-03-09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3722686A4 (en) * 2017-12-05 2021-08-25 Daikin Industries, Ltd. AIR CONDITIONING
WO2021167305A1 (ko) * 2020-02-19 2021-08-2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2602B2 (en) Heat exchanger having a plurality of plate-like fins and a plurality of flat-shaped heat transfer pipes orthogonal to the plate-like fins
JPWO2015004719A1 (ja) 積層型ヘッダー、熱交換器、空気調和装置、及び、積層型ヘッダーの板状体と管とを接合する方法
JP2008111622A (ja) 熱交換器、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06322636A (ja) 熱交換器
JP2006003071A (ja) 熱交換器
US6886349B1 (en) Brazed aluminum heat exchanger
US11002489B2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20090091529A (ko) 열교환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와 그 제조 방법
JP2005262248A (ja) 銅管とアルミニウム管の接合体、該接合体の製造方法及び冷凍回路
EP3845851A1 (en) Heat exchanger, heat exchanger unit,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JP6318371B2 (ja) 室外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冷凍サイクル装置
US20190017755A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432601Y1 (ko) 열교환기용 헤더파이프
WO2012098913A1 (ja) 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機
JP7037076B2 (ja) 熱交換器、ヒートポンプ装置およ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4081883B2 (ja) 熱交換器
JP2018151040A (ja) 管継手、熱交換器及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KR100740699B1 (ko) 열교환기용 헤더파이프
JP5664272B2 (ja) 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機
JP5802006B2 (ja) 熱交換器およびその接続方法
JP5525763B2 (ja) 伝熱管、熱交換器及び該熱交換器を備える空気調和機
KR200406575Y1 (ko) 응축기용 헤더 파이프 연결구
KR200391531Y1 (ko) 냉동싸이클용 흡입관과 캐피러리 튜브의 결합장치
JP3651091B2 (ja) 積層型熱交換器
JP2006284163A (ja) 一体型熱交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