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8657A - 양방향 배출구조가 마련된 원형직기 - Google Patents

양방향 배출구조가 마련된 원형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8657A
KR20090088657A KR1020080014070A KR20080014070A KR20090088657A KR 20090088657 A KR20090088657 A KR 20090088657A KR 1020080014070 A KR1020080014070 A KR 1020080014070A KR 20080014070 A KR20080014070 A KR 20080014070A KR 20090088657 A KR20090088657 A KR 20090088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r
discharge
downward
upward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4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5576B1 (ko
Inventor
김상운
김동석
김희삼
Original Assignee
김상운
김희삼
김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운, 김희삼, 김동석 filed Critical 김상운
Priority to KR1020080014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5576B1/ko
Publication of KR20090088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8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7/00Circular loo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1/00Loo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r weaving chenille yarn; Details peculiar to these loo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7Drive or guide mechanisms for weft inserting
    • D03D47/277Guide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형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캠로드에 설치된 종광을 관통하여 상하 교번하여 승강되는 위사에, 리드의 내벽을 따라 이송되는 복수의 셔틀이 경사를 연속 공급하여서 원형의 직물을 직조하는 것으로, 특히 하향 배출구조와 상향 배출구조를 각각 마련하는 한편, 캠휠의 구동부와 하향 배출구조 및 상향 배출구조에 따른 구동부를 각각 서보모터를 통해 독립적으로 구성함으로써, 기계적 연동구조의 삭제에 따른 구조의 간소화를 이룩하고, 또 고속 구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원형직기에 관한 것이다.
원형직기, 컨펜세이터, 셔틀, 장력, 상향 배출구조, 하향 배출구조

Description

양방향 배출구조가 마련된 원형직기{Circular loom}
본 발명은 원형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캠로드에 설치된 종광을 관통하여 상하 교번하여 승강되는 위사에, 리드의 내벽을 따라 이송되는 복수의 셔틀이 경사를 연속 공급하여서 원형의 직물을 직조하는 것으로, 특히 하향 배출구조와 상향 배출구조를 각각 마련하는 한편, 캠휠의 구동부와 하향 배출구조 및 상향 배출구조에 따른 구동부를 각각 서보모터를 통해 독립적으로 구성함으로써, 기계적 연동구조의 삭제에 따른 구조의 간소화를 이룩하고, 또 고속 구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원형직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포대나 소방호스 등의 원형직물을 직조하는 원형직기는, 일반적으로 캠로드에 설치된 종광을 관통하여 상하 교번하여 승강되는 위사에, 리드의 내벽을 따라 고속으로 이송되는 셔틀이 경사를 연속하여 공급하여서 원형의 직물을 직조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당분야에서는 상기 리드의 내벽에 복수의 셔틀을 설치하여 이격된 위사 사이로 여러 개의 경사가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의 향상을 기하고 있다.
한편, 상기 셔틀과 종광을 통해 공급되는 위사와 경사는 일정한 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공급되어야 하며, 위사 또는 경사가 균일한 장력이 유지되지 않을 경우 직조된 원형직물에는 국부적으로 돌출부가 불가피하게 형성된다.
예컨데, 상기 돌출부가 원형직물인 소방호스에 형성되면 고압으로 배출되는 유체가 소방호스에 형성된 돌출부에 간섭되어서 소방호스가 일방향으로 비틀리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당 분야에서는 종광을 통해 공급되는 위사에 컨펜세이터를 설치하고, 셔틀에는 보빈에 권취된 경사를 물리적으로 제동하는 제동구조를 마련하여, 위사와 경사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컨펜세이터는 자체적인 탄성력을 갖지 못하고 스프링의 탄발력에서만 위사의 장력이 조절되고, 또 상기 셔틀에 마련된 제동구조는 보빈에 권취된 위사량에 따라 가변되는바 위사의 일정한 장력 유지가 사실상 어렵다.
따라서, 종래 원형직기에도 위사와 경사의 장력 조절구조는 채택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어려운 관계로 이를 통해 제작된 제품에는 불가피하게 돌출부가 형성되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하향 배출구조와 상향 배출구조를 각각 마련하는 한편, 캠휠의 구동부와 하향 배출구조 및 상향 배출구조에 따른 구동부를 각각 서보모터를 통해 독립적으로 구성함으로써, 기계적 연동구조의 삭제에 따른 구조의 간소화를 이룩하고, 또 고속 구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원형직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배출구조가 마련된 원형직기는,
캠로드에 설치된 종광을 통해 상하 교번하여 승강되는 위사 사이로, 리드의 내벽을 따라 이송되는 복수의 셔틀이 경사를 공급하여 원형직물을 직조하도록 구성된 원형직기에 있어서,
상기 리드의 중앙에 상하 관통된 구조의 하향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리드의 상부에는 상향 배출구가 마련된 배출 브라켓을 설치하여, 원형직물이 상향 배출구 또는 하향 배출구를 통해 택일하여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한편, 상기 상향 배출구와 하향 배출구의 일측에는 상향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직조된 원형직물을 이송하여 권취하는 상향 배출롤러부와, 하향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직조된 원형직물을 이송하여 권취하는 하향 배출롤러부를 마련하여, 직조된 원형직물의 상향 배출과 하향 배출이 취사 선택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캠휠과 셔틀은 제 1 서보모터의 구동력을 인가받아 회전되도록 구성하고, 상향 배출롤러부는 제 2 서보모터를 통해, 하향 배출롤러부는 제 3 서보모터를 통해 회전력을 각각 인가받아 독립적으로 구동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종광의 일편에는, 일단에는 힌지 결속부가 형성되어 이 힌지 결속부를 통해 프레임에 힌지 결속되고, 중앙에는 견착부가 형성되어 경사를 견착한 상태로 관통시키며, 타단은 스프링 견착부가 형성된 컨펜세이터 몸체와; 일단은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은, 컨펜세이터 몸체의 스프링 견착부에 결속되어 상기 컨펜세이터 몸체를 탄력적으로 당기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컨펜세이터가 설치되며,
상기 컨펜세이터 몸체는, 자체적인 탄성 굴곡이 가능한 강선 와이어로 이루어져, 상기 경사는 컨펜세이터 몸체의 자체적인 탄성 굴곡작용과, 스프링의 탄발작용에 의해 균일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위사의 공급수단인 셔틀은, 복수의 이송롤러가 마련된 셔틀몸체에, 위사가 권취된 보빈의 양단이 축 설치되는 한쌍의 축부재가 대향하여 마련된 형태로, 상기 보빈의 양단과 축부재에는 자석과 자석, 또는 자석과 자석에 달라붙는 자성체가 설치되어서, 상기 보빈은 자석과 자석 또는 자석과 자성체 사이에 형성되는 자성력에 의해 자성 제동상태를 형성하여서, 위사의 장력을 균일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하향 배출구조와 상향 배출구조를 각각 마 련하는 한편, 캠휠의 구동부와 하향 배출구조 및 상향 배출구조에 따른 구동부를 각각 서보모터를 통해 독립적으로 구성한 원형직기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원형직기를 구성하게 되면, 별도의 변속기나 회전축 등의 기계적 연동구조의 삭제가 가능하여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되고, 특히 본 발명에서 구동부로 채택하고 있는 서보모터는 고속 구동이 가능하며 또 상호간의 정밀한 속도 제어가 가능하여 고속 구동에 따른 생산성의 향상을 이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원형직기를 구현함에 있어, 개량된 컨펜세이터와 셔틀을 마련하여 경사와 위사가 균일 또는 일정한 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공급 및 직조 되도록 하고 있어서, 보다 향상된 제품성을 이룰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양방향 배출구조가 마련된 원형직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원형직기의 정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원형직기의 평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원형직기에 있어, 컨펜세이터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원형직기에 있어, 셔틀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원형직기(1)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조체를 형성하는 프레임(10)과; 외벽에 경사의 진입경로인 진입구(21)가 복수의 형성되며 중앙에는 상하 관통된 구조의 하향 배출구(22)가 형성된 리드(20)와; 상기 리드(20)의 하부에 설치되어 구동부를 통해 회전력을 인가받아 일방향으로 회전되며, 외경면에 한쌍의 캠레일(31a, 31b)이 형성된 캠휠(30)과; 상기 캠휠(30)에 형성된 캠레일(31a, 31b)에 단부가 설치되어 캠휠(30)의 회전에 의해 상하 교번되게 승강되는 복수의 캠로드(40)와; 상기 캠로드(40)에 고정되어, 상기 리드(20)의 진입구(21)로 진입되는 경사를 상호 교번되게 승강시키는 종광(50); 및 상기 리드(20)의 내벽을 따라 선회하면서 보빈(73)에 권취된 경사를 교번되게 승강된 위사 사이로 공급하는 셔틀(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보면 상기 리드(20)의 내벽에는 4개의 셔틀(70)이 방사구조로 배설되어 있으며, 이들 셔틀(70)은 캠휠(30)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회전 브라켓(33)의 단부에 고정되어서, 캠휠(30)과 함께 리드(20)의 내벽을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원형직기(1)는, 캠로드(40)에 설치된 종광(50)을 통해 상하 교번하여 승강되는 경사 사이로, 리드(20)의 내벽을 따라 이송되는 복수의 셔틀(70)이 위사를 공급하여 원형직물을 직조하게 되며, 이는 공지의 것과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향 배출구(22)가 형성된 리드(20)의 중앙 상부에 상향 배출구(23a)가 마련된 배출 브라켓(23)을 부가하여 설치하여서, 원형직물이 상향 배출구(23a) 또는 하향 배출구(22)를 통해 택일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향 배출구(23a)와 하향 배출구(22)의 일측 에 상향 배출구(23a)를 통해 배출되는 원형직물을 권취하는 상향 배출롤러부(80)와, 하향 배출구(22)를 통해 배출되는 원형직물을 권취하는 하향 배출롤러부(90)를 각각 마련하여, 직조된 원형직물의 상향 배출과 하향 배출이 취사 선택이 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향 배출구(22)와 하향 배출롤러부(90)를 포함하는 하향 배출구조와, 상향 배출구(23a)와 상향 배출롤러부(80)를 포함하는 상향 배출구조를 하나의 원형직기(1)에 각각 구비하면, 통상 하향 배출을 요하는 소방호스 등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원형직물과, 상향 배출을 요하는 포대 등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원형직물들을, 단일 원형직기에서 모두 재직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캠휠(30)과 셔틀(7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향 배출롤러부(80) 또는 하향 배출롤러부(90) 사이에 별도의 변속기 등 기계적 연동구조를 마련하지 아니하고 이들 각각에 독립된 구동부를 마련하여, 기계적 연동구조의 삭제에 따른 구조의 간소화를 이룩하고 또 고속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상술하자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캠휠(30)과 셔틀(70)은 제 1 서보모터(32)의 구동력을 인가받아 회전되도록 구성하고, 상향 배출롤러부(80)는 제 2 서보모터(81)를 통해, 하향 배출롤러부(90)는 제 3 서보모터(91)를 통해 회전력을 각각 인가받아 독립된 구동부를 통해 회전력을 인가받아 구동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독립된 구동원인 서보모터(32, 81, 91)들은 제어부(미도시)를 통해서 전자적으로 상호 간의 정밀한 속도 제어가 가능하고 고속 회전이 가능한 관 계로, 본 실시예와 같이 구동부로 서보모터(32, 81, 91)를 채택하게 되면 생산량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종광(50)의 일편에 개량된 컨펜세이터(60)를 설치하여, 종광(50)을 통해 공급되는 경사의 장력이 보다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컨펜세이터(6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단에는 힌지 결속부(61a)가 형성되어 이 힌지 결속부(61a)를 통해 프레임(10)에 힌지 결속되고, 중앙에는 견착부(61b)가 형성되어 경사를 견착한 상태로 관통시키며, 타단은 스프링 견착부(61c)가 형성된 컨펜세이터 몸체(61)와; 일단은 프레임(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컨펜세이터 몸체(61)에 형성된 스프링 견착부(61c)에 결속되어 상기 컨펜세이터 몸체(61)를 탄력적으로 당기는 스프링(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컨펜세이터 몸체(61)를 강선 와이어로 구성하여, 자체적인 탄성 굴곡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도면을 보면 상기 컨펜세이터 몸체(61)의 힌지 결속부(61a)와 스프링 견착부(61c)는 강선 와이어의 양단을 절곡하여 형성되며, 상기 견착부(61b)는 강선 와이어의 중앙부에 플라스틱 사출 성형하여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컨펜세이터 몸체(61)를 강선 와이어로 구성하면 상기 경사를 견착한 컨펜세이터 몸체(61)의 자체적인 탄성 굴곡과, 스프링(62)의 탄발에 의해 종광(50)을 관통하는 경사의 장력이 보다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경사의 장력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컨펜세이 터(60)를 제공함과 더불어, 위사의 공급수단인 셔틀(70)에도 개량된 장력 조절구조를 마련하여서, 이를 통해 공급되는 위사의 장력이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위사의 공급수단인 셔틀(70)은, 통상의 것과 같이 복수의 이송롤러(71a)가 마련된 셔틀몸체(71)에, 위사가 권취된 보빈(73)의 양단을 축 설치하는 축부재(72a, 72b)가 상호 대향되게 마련된 형태이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셔틀(70)에 자성 제동구조를 마련하여, 보빈 자체가 일정한 자성 제동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위사가 항시 균일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상술하자면,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빈(73)의 양단과 대향하는 축부재(72a, 72b)에 자석(M)을 배설하고, 상기 축부재(72a, 72b)와 대향하는 보빈(73)에는 자석에 달라붙은 철 등의 자성체(M')를 마련하여, 상기 자석(M)과 자성체(M')에 의해 보빈(73)이 항시 균일한 자성 제동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위사가 권취된 보빈(73) 자체가 항시 균일한 자성 제동상태를 형성하면, 이 보빈(73)에 권취된 위사는 일정한 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상하 교번된 경사 사이에 권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원형직기(1)는 개량된 컨펜세이터(60)와 개량된 셔틀(70)을 통해 경사와 위사의 장력이 항시 균일하게 유지되므로, 종래 경사와 위사의 장력이 불균일하여 재직된 원형직물에 국부적으로 돌출부가 형성되어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원형직기의 정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원형직기의 평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원형직기에 있어, 컨펜세이터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원형직기에 있어, 셔틀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원형직기 10. 프레임
20. 리드 21. 진입구
22. 하향 배출구 23. 배출 브라켓
23a. 상향 배출구
30. 캠휠 31a, 31b. 캠레일
32. 제 1 서보모터 33. 회전 브라켓
40. 캠로드 50. 종광
60. 컨펜세이터 61. 컨펜세이터 몸체
61a. 힌지 결속부 61b. 견착부
61c. 스프링 견착부 62. 스프링
70. 셔틀 71. 셔틀몸체
71a. 이송롤러 72a, 72b. 축부재
73. 보빈
80. 상향 배출롤러부 81. 제 2 서보모터
90. 하향 배출롤러부 91. 제 3 서보모터

Claims (3)

  1. 캠로드에 설치된 종광을 통해 상하 교번하여 승강되는 위사 사이로, 리드의 내벽을 따라 이송되는 복수의 셔틀이 경사를 공급하여 원형직물을 직조하도록 구성된 원형직기에 있어서,
    상기 리드의 중앙에 상하 관통된 구조의 하향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리드의 상부에는 상향 배출구가 마련된 배출 브라켓을 설치하여, 원형직물이 상향 배출구 또는 하향 배출구를 통해 택일하여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한편, 상기 상향 배출구와 하향 배출구의 일측에는 상향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직조된 원형직물을 이송하여 권취하는 상향 배출롤러부와, 하향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직조된 원형직물을 이송하여 권취하는 하향 배출롤러부를 마련하여, 직조된 원형직물의 상향 배출과 하향 배출이 취사 선택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배출구조가 마련된 원형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캠휠과 셔틀은 제 1 서보모터의 구동력을 인가받아 회전되도록 구성하고, 상향 배출롤러부는 제 2 서보모터를 통해, 하향 배출롤러부는 제 3 서보모터를 통해 회전력을 각각 인가받아 독립적으로 구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배출구조가 마련된 원형직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광의 일편에는, 일단에는 힌지 결속부가 형성되어 이 힌지 결속부를 통해 프레임에 힌지 결속되고, 중앙에는 견착부가 형성되어 경사를 견착한 상태로 관통시키며, 타단은 스프링 견착부가 형성된 컨펜세이터 몸체와; 일단은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은, 컨펜세이터 몸체의 스프링 견착부에 결속되어 상기 컨펜세이터 몸체를 탄력적으로 당기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컨펜세이터가 설치되며,
    상기 컨펜세이터 몸체는, 자체적인 탄성 굴곡이 가능한 강선 와이어로 이루어져, 상기 경사는 컨펜세이터 몸체의 자체적인 탄성 굴곡작용과, 스프링의 탄발작용에 의해 균일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배출구조가 마련된 원형직기.
KR1020080014070A 2008-02-15 2008-02-15 양방향 배출구조가 마련된 원형직기 KR100985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070A KR100985576B1 (ko) 2008-02-15 2008-02-15 양방향 배출구조가 마련된 원형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070A KR100985576B1 (ko) 2008-02-15 2008-02-15 양방향 배출구조가 마련된 원형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8657A true KR20090088657A (ko) 2009-08-20
KR100985576B1 KR100985576B1 (ko) 2010-10-05

Family

ID=41207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4070A KR100985576B1 (ko) 2008-02-15 2008-02-15 양방향 배출구조가 마련된 원형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55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18199A (zh) * 2011-09-21 2012-04-18 江苏技术师范学院 圆织机及其提经控制方法
CN113445179A (zh) * 2021-05-21 2021-09-28 洛阳市大资塑业有限公司 一种圆织机的送经辊与主轴电机的同步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02796A (zh) * 2009-09-02 2011-04-06 顾新 一种软带双梭圆织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7901A (en) * 1988-10-28 1989-10-31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rocess for synthesizing N,N'-dithiobis(sulfonamides)
US5246040A (en) 1992-04-09 1993-09-21 Angus Fire Armou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weaving an indicia into a woven circular fabric
KR950008692B1 (ko) * 1993-08-25 1995-08-04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자기적성질이 우수한 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KR200175825Y1 (ko) 1999-10-19 2000-03-15 김견목 원형직기
KR200185194Y1 (ko) * 2000-01-19 2000-06-15 강석원 폐비닐 재활용 처리기의 스크류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18199A (zh) * 2011-09-21 2012-04-18 江苏技术师范学院 圆织机及其提经控制方法
CN113445179A (zh) * 2021-05-21 2021-09-28 洛阳市大资塑业有限公司 一种圆织机的送经辊与主轴电机的同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5576B1 (ko) 201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5574B1 (ko) 안정된 장력 조절구조가 마련된 원형직기
KR102096950B1 (ko) 토목섬유 원사 공급장치
Gandhi The fundamentals of weaving technology
KR100985576B1 (ko) 양방향 배출구조가 마련된 원형직기
CN104328578A (zh) 棉锦交织物的生产方法
KR200464051Y1 (ko) 경사빔의 송출 속도 조절을 위한 브레이크 수단을 구비한 지오그리드 제조장치
US5787938A (en) Fabric draw-off device in a circular loom
US2764367A (en) Tension and let-off device and method
CN113891964B (zh) 织机和带有配套的纱线张紧装置的储纱装置的布置结构
KR200465047Y1 (ko) 고밀도 관형 직물 제직용 원형직기
CN102251338A (zh) 纬纱筒旋转松捻机构
JP3425432B2 (ja) テリー織機
KR100976606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사선형 제직장치
CN112323224B (zh) 筒子架直供经无轴齿形开口圆盘织造装置及绞纱组织网格布
CN205035557U (zh) 一种天鹅绒布生产装置
CN105803646A (zh) 一种具有纬纱张力控制器的织机梭子
KR101264104B1 (ko) 원형직기의 자석구동식 셔틀장치
CN1876919B (zh) 织造双层织物的织机的引纬装置和装有这种装置的织机
CN202415850U (zh) 一种剑杆织机
US630874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a leno thread for a weaving machine
CN101622387B (zh) 用于使纱线定位在经纱条带宽内部的装置和整经方法
KR100959360B1 (ko) 동선직입 테이프 제조장치
KR200231103Y1 (ko) 합성수지제 원사의 공급장치
KR101261332B1 (ko) 원형직기의 전동구동식 셔틀장치
CN218491922U (zh) 一种纺织用双喷储纬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