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047Y1 - 고밀도 관형 직물 제직용 원형직기 - Google Patents

고밀도 관형 직물 제직용 원형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047Y1
KR200465047Y1 KR2020110005759U KR20110005759U KR200465047Y1 KR 200465047 Y1 KR200465047 Y1 KR 200465047Y1 KR 2020110005759 U KR2020110005759 U KR 2020110005759U KR 20110005759 U KR20110005759 U KR 20110005759U KR 200465047 Y1 KR200465047 Y1 KR 2004650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le
bobbin
weft
opening
wea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7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061U (ko
Inventor
서정협
Original Assignee
(주)유성특수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성특수산업 filed Critical (주)유성특수산업
Priority to KR20201100057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047Y1/ko
Publication of KR201300000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0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0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0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7/00Circular loo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D03D3/02Tubular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5/00Shuttles
    • D03J5/02Construction of shuttle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밀도 관형 직물을 제직하기 위하여 한번에 다수개의 위사가 순차적으로 공급되면서 셔틀의 이동에 따라 위사가 서로 긴밀하게 밀집되어 제직되도록 한 고밀도 관형 직물 제직용 원형직기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보빈으로부터 공급되는 위사들이 경사의 개구 사이로 동시에 일정한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고밀도 관형 직물 제직용 원형직기{CIRCULAR WEAVING LOOM}
본 고안은 원형직기에 있어서 고밀도 관형 직물을 제직하기 위하여 한번에 다수개의 위사가 순차적으로 공급되면서 셔틀의 이동에 따라 위사가 서로 긴밀하게 밀집되어 제직되도록 한 고밀도 관형 직물 제직용 원형직기에 관한 것이다.
원형직기는 관상 직물을 짜기 위한 것으로 그 구성을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살펴본다.
종래의 원형직기는 안내부재(10) 내에 설치된 다수개의 셔틀을 회전모터의 회전력으로 회전시켜 위사를 공급하고, 상기 안내부재(10)의 측면에는 경사의 개구를 형성하는 종광장치(20)를 설치하여, 경사의 개구사이로 셔틀이 회전하면서 위사를 공급하여 관상 직물이 짜여지며, 이와 같이 짜여진 관상직 물은 원형직기의 상부에 설치된 로울러 등의 회전장치(30)에 의하여 상부로 이동되고 필요에 따라 절단되어 자루 등으로 만들어진다.
상기에서 종광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싸인파 모양의 홈(22a)(23a)이 형성되어 원형직기의 중심축(24)에 상/하 대칭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캠(22)(23)과, 상기 캠홈(22a)(23a)을 따라 승/하강하면서 경사(25a)(26a)의 개구(27)를 형성하는 종광 조립체(25)(26)로 구성되며, 이와 같이 형성된 캠(22)(23)이 1회전을 하면 종광 조립체(25)(26)는 도 2b의 A,B,C,D 구간에서 각각 개구를 형성한 후 다시 A구간으로 돌아옴으로써, 직물을 제직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캠에 의하면 캠의 1회전시에 개구가 다수번(상기한 도 2a의 캠에 의하면 4번) 발생되므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수개 즉, 4개의 셔틀(12)이 필요하게 되므로, 캠을 1회전시키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개의 위사(60)가 동시에 공급되어 4개의 위사 폭(40) 만큼 제직된다.
이러한 원형직기를 이용하여 종래 고밀도 관형 직물을 제직하기 위한 방법으로 고밀도로 합사된 위사를 셔틀에 설치되는 보빈에 권취하여 경사 사이를 통과시키는 방법이 있었으나, 이 방법은 위사의 두께 즉 직경이 커지기 때문에 보빈의 외주에 권취되는 위사의 길이가 그만큼 짧아지게 되어 보빈을 자주 교체해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보빈의 교체횟수를 줄이기 위하여 보빈의 크기를 크게할 경우, 보빈에 권취된 위사의 길이는 길어지지만 위사가 권취된 상태의 보빈외주가 커지게 되므로 경사의 개구가 더 커져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원형직기의 크기가 커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고밀도 원사를 사용하는 관형 직물의 예로서 지오 튜브(geotube)가 있으며, 이는 하천, 해안에서 호안의 보호나 매립/간척사업에 주로 이용되는 것으로, 기존의 암석이나 콘크리트를 사용한 강성 구조물의 방조제를 대신하여 지오텍스타일로 튜브(이하 지오튜브라 함)를 제작하여 내부에 고압펌프를 사용하여 흙이나 모래와 같은 준설재료들을 투입함으로써 흙이나 모래의 유실을 막아줌과 동시에 그 형태를 유지하여 미관상으로도 우수할 뿐 아니라 경제성 또한 매우 우수한 재료이다.
이러한 지오튜브는 통상 인장강도는 80 ~200 KN, 충진 후 유효높이는 1~3 m, 충진량은 1.5 ~ 12 m3/m, 직경은 수m, 길이는 수십m-백여m에 달하므로, 이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T)사를 사용한 평면형 지오텍스타일을 두겹으로 배치하여 가장자리를 재봉함으로서 튜브형태로 제조하거나 직물을 원형으로 제직하여 튜브형태로 제조하여, 준설토의 주입을 위한 주입구와 배수구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직경이 크고 큰 인장 강도가 요구되는 지오튜브와 같은 고밀도 원통형 직물을 얻기 위하여 기존의 보빈 및 원형직기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고밀도의 제직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등간격으로 배치된 다수 쌍의 종광이 원통형 캠기구에 의하여 승/하강하면서 경사의 개구를 형성하고, 보빈이 설치된 셔틀이 상기한 종광 쌍의 수에 대응되는 수로 배치되어 회전부재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개구사이로 위사를 공급하여 관형 직물을 제직하는 원형 직기에 있어서, 상기 셔틀에는 다수개의 보빈이 원주방향으로 직렬로 배치되도록 보빈 지지수단이 형성되고 각 보빈으로부터 인출된 위사가 경사의 개구 사이로 순차적으로 투입되도록 보빈수에 대응되는 갯수의 위사 안내구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종광은 상기 셔틀과 대응되게 설치되고, 캠기구는 하나의 셔틀이 통과하면 개구가 교차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하나의 경사 개구 사이에 다수의 위사가 동시에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고밀도 직물을 제직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상기한 원형직기에 있어서, 1개의 보빈이 설치된 셔틀의 전/후방 종단에 체결수단을 설치하고, 상기한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각 개구구간마다 동일한 갯수의 셔틀을 체결수단으로 연결하여 배치한 원형직기를 제공하는 데 다른 특징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하면 경사 사이로 투입되는 위사는 제직되는 직물의 밀도보다 직경이 작은 원사를 다수가닥 사용하여 각 가닥의 원사를 각각 다른 보빈에 권취하면 되므로 각각의 보빈에 권취될 수 있는 위사의 길이가 길어져서 보빈의 교체시기가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보빈의 치수를 그대로 사용하므로 개구폭이 커지지 않아도 되어 종래의 원형직기에서 셔틀만 교체하면 되므로 종래의 원형직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지 않는 효과가 있으며, 원형직기의 개구크기가 커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의 셔틀에 보빈이 순차적으로 직렬로 설치되고 각 보빈으로부터 공급되는 위사가 경사의 개구 사이로 순차적으로 삽입되며 이러한 삽입과정에서 셔틀의 진행으로 인하여 셔틀의 진행방향으로 인장력이 발생하므로 경사의 개구사이로 투입되는 각 가닥의 위사는 적정한 장력으로 투입되므로 별도의 바디르 사용하지 않고도 바디를 사용한 것과 같이 긴밀한 위사의 공급이 가느하게 되어 장치가 간단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원형직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는 종래의 종광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b는 도2a의 종광장치에서 종광의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종래 원형직기에서 안내부재와 셔틀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종래 원형직기에 의하여 짜여진 직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관상 직물의 제직 과정을 개념적으로 간략하게 도시한 평면 개념도
도 6은 전면 개념도.
도 7 및 도 8은 셔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본 고안에 따른 원형직기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위사(110)가 권취된 다수개의 보빈(120)이 셔틀(130)에 의하여 원주를 따라 순차적으로 등간격으로 직렬배치되고, 상기한 셔틀(130)은 회전판과 작동롤러를 포함한 회전부재(140)에 의하여 회전하게 되고, 이와 같이 회전하는 셔틀(130)은 원통형 캠기구(150)에 의하여 종광(160)이 승/하강하면서 생성된 경사(170)의 개구(180) 사이를 해당 셔틀에 설치된 모든 보빈(120)이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되면서 고밀도 관형 직물을 제직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서 셔틀(130)의 구성을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셔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한 구성에서 셔틀(130)은, 다수개(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4개를 사용함)의 보빈(120)이 설치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프레임(131)과, 상기 프레임(131)에 설치된 구동롤러(미도시), 상기한 프레임(131)에 다수개의 보빈(120)을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설치하는 지지수단(132a)(132b), 상기 프레임(131) 혹은 지지수단(132a)(132b)과 연결되게 형성되어 각각의 보빈(120)으로부터 공급되는 위사(110)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경사(170)의 개구 사이로 공급되도록 하는 위사 안내구(1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서 프레임(131)은 종래의 셔틀 프레임을 길이만 연장하면 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수단(132a)(132b)은 보빈(120)이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위사(110)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그 예로 보빈(120) 축에 수직방향으로 보빈(120)의 길이에 맞게 프레임(131)에 설치되어 보빈(120) 사이를 이격시킴과 동시에 보빈의 설치위치를 설정하는 설정프레임(132a)과, 상기한 설정프레임(132a)에 보빈(120)의 축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보빈(120)의 중공부(미도시)가 끼워지는 고정핀(132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위사 안내구(136)는 상기한 설정프레임(132a)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종단에 위사(110)가 관통되는 안내공(136a)이 천공된 것으로, 각각의 안내공(136a)들은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한 종광(160)은 이미 공지된 원형직기에서 사용되는 구조와 동일하며, 원통현 캠기구(150)는 상기한 셔틀(130)의 길이가 길어짐으로 인하여 셔틀(130)이 해당 구간을 통과할 때 종광(160)이 교차되지 않도록 캠홈(152)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원형직기에 의하면 모터에 의하여 원통형 캠기구(150) 및 셔틀(130)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140)을 구동시키면, 상기한 캠기구(150)의 캠홈(152)을 따라 종광(160)이 개구(180)를 형성하고, 상기한 개구(180)가 형성된 구간을 다수개의 보빈(120)이 설치된 셔틀(130)이 통과한 후, 종광(160)이 캠기구(150)에 의하여 승/하강하면서 경사(170)가 교차되어 새로운 개구가 형성되고 그 사이를 다른 셔틀이 다시 통과한 후 또 다시 개구가 교차되므로 관형 직물이 제직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한 셔틀(130)이 개구(180) 사이를 통과할 때마다 다수 가닥의 위사(110)가 순차적으로 개구(180) 사이로 공급되고, 이 과정에서 셔틀(130)의 회전으로 인한 원심력으로 셔틀(130)의 진행방향으로 위사(110)가 당겨지면서 다음에 공급되는 위사(110)가 이전에 공급된 위사(110)를 내측으로 밀어주므로 다수가닥의 위사(110)들이 긴밀하게 경사(170) 사이의 개구(180)에 공급되어 고밀도 관형 직물의 제직이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구성에서는 셔틀(130a)을 하나의 프레임(131)에 대수개의 보빈(120)을 설치한 것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셔틀(130)의 대응되는 단부에 셔틀(130)이 각각 회전부재(140)상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각각의 셔틀(130)을 체결하는 체결수단(190)을 각각 한 쌍씩 설치하여 다수개의 보빈(120)을 갖는 셔틀(13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에서 체결수단(190)은 연결되는 셔틀(130)이 각각 체결수단(190)을 중심으로 다소 유동되도록 체결하여 셔틀(130)이 원주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연결되는 셔틀(130)을 체결공(192)과 체결링(194)으로 체결할 수도 있고, 힌지나 링크로 서로 연결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체결수단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당업자라면 누구나 용이하게 설계가능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110 : 위사 120 : 보빈
130, 130a : 셔틀 136 : 위사 안내구

Claims (2)

  1. 등간격으로 배치된 다수 쌍의 종광(160)이 원통형 캠기구(150)에 의하여 승/하강하면서 경사(170)의 개구(180)를 형성하고, 보빈(120)이 설치된 셔틀(130)이 상기한 종광(160) 쌍의 수에 대응되는 수로 배치되어 회전부재(140)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개구(180) 사이로 위사(110)를 공급하여 관형 직물을 제직하는 원형 직기에 있어서,
    상기 셔틀(130)에는 다수개의 보빈(120)이 원주방향으로 직렬로 배치되도록 보빈 지지수단(132a)(132b)이 형성되고, 각 보빈(120)으로부터 인출된 위사(110)가 경사(170)의 개구(180) 사이로 순차적으로 투입되도록 보빈(120) 수에 대응되는 갯수의 위사 안내구(136)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캠기구(150)는 하나의 셔틀(130)이 통과하면 개구(180)가 교차되도록 캠홈(1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하나의 경사(170) 개구(180) 사이에 다수의 위사(110)가 동시에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고밀도 직물을 제직할 수 있도록 하는 고밀도 관형 직물 제직용 원형직기.
  2. 등간격으로 배치된 다수 쌍의 종광(160)이 원통형 캠기구(150)에 의하여 승/하강하면서 경사(170)의 개구(180)를 형성하고, 보빈(120)이 설치된 셔틀(130)이 상기한 종광(160) 쌍의 수에 대응되는 수로 배치되어 회전부재(140)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개구(180) 사이로 위사(110)를 공급하여 관형 직물을 제직하는 원형 직기에 있어서,
    1개의 보빈(120)이 설치된 셔틀(130)의 전/후방 종단에 체결수단(190)을 설치하고, 상기한 체결수단(190)을 이용하여 각 개구(180) 구간마다 동일한 갯수의 셔틀(130)을 체결수단(190)으로 연결하여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관형 직물 제직용 원형직기.
KR2020110005759U 2011-06-23 2011-06-23 고밀도 관형 직물 제직용 원형직기 KR2004650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759U KR200465047Y1 (ko) 2011-06-23 2011-06-23 고밀도 관형 직물 제직용 원형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759U KR200465047Y1 (ko) 2011-06-23 2011-06-23 고밀도 관형 직물 제직용 원형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061U KR20130000061U (ko) 2013-01-03
KR200465047Y1 true KR200465047Y1 (ko) 2013-02-07

Family

ID=51357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759U KR200465047Y1 (ko) 2011-06-23 2011-06-23 고밀도 관형 직물 제직용 원형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04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842B1 (ko) * 2015-07-14 2017-04-07 (주)유성특수산업 원형직기
AT518070B1 (de) * 2016-04-22 2017-07-15 Hehenberger Reinhold Rundwebmaschine
CN111304801B (zh) * 2020-03-19 2021-05-04 东华大学 一种适用于经纱高密度环形机织物的圆织机开口装置
CN113699651B (zh) * 2020-05-22 2022-10-04 科露新材料南通有限公司 织物成型设备及成型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8088U (ko) 1979-08-10 1981-03-16
EP0054242A1 (de) 1980-12-17 1982-06-23 Erich Bercx Schützen für einen Drahtwebstuhl
JPS5947686U (ja) 1982-09-20 1984-03-29 山本 壮三 製織用シヤツトル
KR840004195A (ko) * 1983-03-12 1984-10-10 소이찌 토리 관상물(管狀物) 제조용 원형직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8088U (ko) 1979-08-10 1981-03-16
EP0054242A1 (de) 1980-12-17 1982-06-23 Erich Bercx Schützen für einen Drahtwebstuhl
JPS5947686U (ja) 1982-09-20 1984-03-29 山本 壮三 製織用シヤツトル
KR840004195A (ko) * 1983-03-12 1984-10-10 소이찌 토리 관상물(管狀物) 제조용 원형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061U (ko) 201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1050577A3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по сной ленты с однослойной средней частью и пустотельными кра ми на игольном лентоткацком станке
KR200465047Y1 (ko) 고밀도 관형 직물 제직용 원형직기
KR101757678B1 (ko) 코아 네트 직조장치
KR100985574B1 (ko) 안정된 장력 조절구조가 마련된 원형직기
EP0630433A1 (en) A multi-axial yarn structure
US20050011576A1 (en) Tetraxial fabric and machine for its manufacture
KR940010633B1 (ko) 원형 직기
KR100985576B1 (ko) 양방향 배출구조가 마련된 원형직기
CN112323224B (zh) 筒子架直供经无轴齿形开口圆盘织造装置及绞纱组织网格布
KR101723842B1 (ko) 원형직기
KR20010037753A (ko) 원형직기
WO2012016309A1 (pt) Aperfeiçoamento em tear circular sem platina e processo aperfeiçoado de tecer tecido de malha em tear circular sem platina
KR910002113B1 (ko) 원형 직기
KR101264104B1 (ko) 원형직기의 자석구동식 셔틀장치
KR900006279B1 (ko) 관상물 제조용 원형직기
KR200292890Y1 (ko) 세폭직기의 경사안내용 가이드봉
KR102556957B1 (ko) 분진망 제조용 원사의 꼬임방지 방법
KR101131212B1 (ko) 직기의 경사 가이드 플레이트
KR800000878Y1 (ko) 원형 직기
KR101261332B1 (ko) 원형직기의 전동구동식 셔틀장치
CN210002009U (zh) 一种织机经向送经结构
CN212451826U (zh) 一种可用于三维正交织物织造的纺织装置
JP2001200449A (ja) 円形織機
WO2020178592A1 (en) A hybrid woven/knitted fabric, a method of making same and an apparatus for use in said method
SU1341290A1 (ru) В зально-ткацкий стано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