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6606B1 - 각도조절이 가능한 사선형 제직장치 - Google Patents

각도조절이 가능한 사선형 제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6606B1
KR100976606B1 KR1020080068969A KR20080068969A KR100976606B1 KR 100976606 B1 KR100976606 B1 KR 100976606B1 KR 1020080068969 A KR1020080068969 A KR 1020080068969A KR 20080068969 A KR20080068969 A KR 20080068969A KR 100976606 B1 KR100976606 B1 KR 100976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roller
roller beam
shaft
weav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8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473A (ko
Inventor
이승연
Original Assignee
이승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연 filed Critical 이승연
Priority to KR1020080068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6606B1/ko
Publication of KR20100008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04Control of the tension in warp or cloth
    • D03D49/20Take-up motions; Cloth bea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1/00Loo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r weaving chenille yarn; Details peculiar to these loo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04Control of the tension in warp or cloth
    • D03D49/06Warp let-off mechanisms
    • D03D49/10Driving the warp beam to let the warp off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04Control of the tension in warp or cloth
    • D03D49/12Controlling warp tension by means other than let-off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04Control of the tension in warp or cloth
    • D03D49/18Devices for indicating warp tensio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04Detection and repair of broken warp yar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5/00Shuttles
    • D03J5/24Tens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와 위사를 사선형으로 직조하여 직물 자체에 신축성을 부여하기 위한 사선형 제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송출빔으로부터 송출된 경사를 종광틀에 의하여 상,하로 벌린 다음, 각각의 경사 사이로 위사를 삽입시켜 직구까지 바디침을 행함에 따라 직물을 제조하는 제직장치에 있어, 바디침에 의하여 제직된 직물을 감아들이기 위한 롤러빔을 제직장치와 일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설치함은 물론, 직물용 롤러빔과 제직장치와의 경사각도 또한 용이하게 조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종광틀과 바디 자체를 경사지게 설치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경사와 위사가 사선형으로 직조되어 신축성이 부여된 직물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고, 직물용 롤러빔을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거의 모든 제직장치를 사선형 제직장치로 용이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기존에 이미 설비되어 있던 제직장치 또한 복잡한 구조적 변경없이 사선형 제직장치로의 손쉬운 전환이 가능토록 하며, 이로 인하여 사선형 제직장치의 설비에 따른 시간과 비용의 절감 및 사선형 제직장치의 사용에 따른 편의성과 호환성(互換性)의 극대화를 통하여 사선형 직물의 제조단가 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한 각도조절이 가능한 사선형 제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직물 제조용 제직장치(1)의 본체프레임(2) 전방측에는 바디침 운동에 의하여 직조된 직물(21)을 감아들이는 직물용 롤러빔(20)이 본체프레임(2)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직물용 롤러빔(20)의 양측단 에는 직물용 롤러빔(20)의 회전을 지지하는 롤러빔지지대(26)가 설치되며, 상기 직물용 롤러빔(20)의 일측 외부에는 상부케이스(33)와 하부케이스(34)가 플랜지부(35)와 고정볼트(35b)에 의하여 조립된 전동케이스(30)가 설치되고, 상기 전동케이스(30)의 플랜지부(35)에는 고정볼트(35b)가 체결되는 원호(圓弧)상의 각도조정공(35a)이 형성되며, 상기 전동케이스(30)의 상부케이스(33)에는 크랭크 구동기구(10)로부터 발생한 동력을 전달받는 전동축(31)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전동케이스(30)의 하부케이스(34)에는 직물용 롤러빔(20)을 회전시키는 구동축(32)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전동케이스(30)의 내부 중앙에는 기어축(41)이 수직 방향으로 삽입 설치되고, 상기 기어축(41)에는 상,하부베벨기어(42)(43)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부베벨기어(42)는 상부케이스(33)를 관통하여 삽입된 전동축(31)의 전동베벨기어(44)와 맞물리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베벨기어(43)는 하부케이스(34)를 관통하여 삽입된 구동축(32)의 구동베벨기어(45)와 맞물리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직장치, 경사, 위사, 워터인젝션, 에어인젝션, 종광틀, 바디침

Description

각도조절이 가능한 사선형 제직장치{Loom for manufacturing slope textile able to adjust slope angle}
본 발명은 바디침에 의하여 제직된 직물을 감아들이기 위한 롤러빔을 제직장치와 일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설치함은 물론, 직물용 롤러빔과 제직장치와의 경사각도 또한 용이하게 조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종광틀과 바디 자체를 경사지게 설치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경사와 위사가 사선형으로 직조되어 신축성이 부여된 직물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고, 직물용 롤러빔을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거의 모든 제직장치를 사선형 제직장치로 용이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기존에 이미 설비되어 있던 제직장치 또한 복잡한 구조적 변경없이 사선형 제직장치로의 손쉬운 전환이 가능토록 하며, 이로 인하여 사선형 제직장치의 설비에 따른 시간과 비용의 절감 및 사선형 제직장치의 사용에 따른 편의성과 호환성(互換性)의 극대화를 통하여 사선형 직물의 제조단가 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한 각도조절이 가능한 사선형 제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제직장치는 매우 다양한 종류의 것이 알려져 있으나, 종광틀을 따라 연결된 경사통과용 종광눈에 한 올씩의 경사를 각각 통과시킨 상태에서, 크랭크 구동기구에 의하여 2개 또는 4개의 종광틀이 교차식으로 상,하 왕복운동(종광의 개구운동)을 행하도록 하고, 이 과정에서 경사의 사이에 발생하는 개구된 빈 공간으로 위사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위사를 투입시킨 다음, 크랭크 구동기구에 의한 바디침 운동을 행함에 따라 위사를 직구까지 밀어내어 직물을 직조토록 하는 원리를 채택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평직형 제직장치(1)는 도 1 및 도 2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체프레임(2)의 후방측에는 경사(4)(經絲: 날실)가 감겨진 경사송출빔(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경사송출빔(3)의 상부측에는 경사(4)의 공급경로를 수평 위치로 조정하는 동시에 경사(4)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백레스트(5)(Back rest) 및 보조롤러빔(5a)이 본체프레임(2)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프레임(2)의 상측 중앙부에는 한 쌍의 철사로 이루어지는 종광눈(6a)이 길이 방향을 따라 촘촘하게 연결된 종광틀(6)이 설치되는 바, 상기 종광틀(6)은 각각의 종광눈(6a)을 통하여 경사(4)가 관통된 상태에서 교차식으로 상,하 왕복 운동하게 되며, 이러한 종광틀(6)의 상,하 왕복운동을 위하여 본체프레임(2)의 양측단에는 롤러구동케이스(7)가 설치되는 동시에, 롤러구동케이스(7)의 상단에 위치하는 종광롤러(8)가 스트랩(8a)(Strap)에 의하여 각각의 종광틀(6)과 연결 설치된다.
또한, 상기 종광틀(6)의 전방에는 바디(9)(Reed)가 설치되는 바, 상기 바디(9)는 종광틀(6)의 상,하 왕복운동에 의하여 벌어진 경사(4)의 사이로 미도시된 위사공급장치(워터인젝션 또는 에어인젝션 방식 등)에 의하여 삽입된 위사(緯絲: 씨실)를 펠플레이트(14)(Fell plate)의 직후방에 해당하는 직구(13)까지 밀어내는 바디침 운동을 행하여 직물(21)을 제조하는 부품으로서, 상기 바디(9)의 직상부에는 바디커버(9a)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바디(9)의 하부에는 바디침 운동을 수행하는 슬레이(12)(Slay)가 록킹샤프트(11)상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펠플레이트(14)는 바디(9)에 의한 바디침 운동을 지지하여 직물(21)이 견고하고 조밀하게 직조되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며, 상기 펠플레이트(14)의 전방에는 직물(21)의 안내기능을 수행함과 더불어, 변사{邊絲: 단부절단사 또는 캣치코드사(Catch cord yarn)}를 이용한 미도시된 변조직장치(邊組織裝置)와 관련된 부품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톱스테이(15)(Top stay)가 설치된다.
주) 변사(邊絲): 직물의 양측단 가장자리 부분을 강하게 하여 제직공정을 거치는 동안 직물의 폭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경사와는 별도로 공급되는 섬유로서, 위사의 양측 단부에서 바디침 운동에 의하여 경사와 같은 형태로 직조되지만 최종적으로는 커팅기에 의하여 직물로부터 분리된 다음, 스핀들(Spindle)기구 등에 의하여 제직장치의 외부로 배출되며, 변사공급용 스풀과 변사 및 커팅기와 스핀들기구 등이 포함되어 변조직장치를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2)의 전방 하측에는 바디침 운동에 의하여 직조된 직물(21)을 감아들이는 직물용 롤러빔(2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직물(21)을 보다 더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감아들일 수 있도록, 톱스테이(15)의 직전방으로부터 직물용 롤러빔(20)의 사이에 걸쳐 롤러템플(16)(Roller temple)(또는 템플바) 과, 상,하부 프레스롤러빔(17)(19)과, 프릭션롤러빔(18)(Friction roller beam)이 본체프레임(2)상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직장치(1)에 있어, 경사송출빔(3)과 직물용 롤러빔(20)의 회전운동을 포함하여, 종광롤러(8)에 의한 종광틀(6)의 상,하 왕복운동 및 슬레이(12)에 의한 바디침 운동은 미도시된 구동모터로부터 발생하는 동력을 각 부위로 전달하도록 본체프레임(2)상에 장착된 크랭크 구동기구(10)에 의하여 달성되는 바, 예를 들어, 경사송출빔(3)과 직물용 롤러빔(20)의 회전운동은 해당 롤러축이 크랭크 구동기구(10)와 벨트 또는 체인 등과 같은 동력전달수단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한 것을 들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종광틀(6)의 상,하 왕복운동은 종광틀(6)의 개수에 맞추어 설치된 개구캠(또는 태핏)이 크랭크 구동기구(10)로부터 발생한 동력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하는 동시에, 개구캠(또는 태핏)과 접촉하는 발대(Treadle lever)가 힌지식으로 각운동하여 종광롤러(8)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한 것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상기 바디침 운동은 크랭크 구동기구(10)로부터 발생한 동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바디캠이 록킹샤프트(11)와 링크식으로 연결된 롤러를 전,후 방향으로 밀어내도록 한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이 외에도 경사(4)의 사이로 위사를 삽입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위사공급장치와 상기 변조직장치를 포함하여, 제직장치(1)의 안정적인 작동을 위한 보조기구(경사보호 및 정지기구, 위사정지기구, 가동 및 제동기구) 등과 같은 제직분야의 공지수단이 크랭크 구동기구(10)와 연계되어 또는 단독으로도 본체프레임(2)의 주 변이나 본체프레임(2)상에 설치된다.
상기 위사공급장치는 위사의 송출을 위한 매개체를 기준으로 하여 에어젯트 방식과 워터젯트 방식으로 대별되며, 전자가 적용된 제직장치(1)를 통상 에어젯트직기라 하고, 후자가 적용된 제직장치(1)를 통상 워터젯트직기라 하며, 워터젯트직기의 경우 톱스테이(15)나 템플롤러(16)의 전,후방측에 직물(21)에 포함된 수분을 탈수시키기 위한 탈수홈이나 탈수파이프 또는 이와 유사한 탈수기구가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바, 위에서 설명되어진 각종 기구들이 유기적으로 조합되어 하나의 완성된 제직장치(1)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주) 위사공급장치 : 제직장치의 구분은 위사의 운반에 사용되는 운반체(運搬體)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며, 이 운반체가 북(shuttle), 그리퍼(Gripper) 또는 래피어(Rapier)인 직기를 각각 북직기(Shuttle loom), 그리퍼직기(Gripper loom) 또는 래피어직기(Rapier loom)라고 하며, 공기 또는 물의 분사(Jet)를 이용하여 위사를 개구내에 위입시키는 직기를 각각 에어제트(Air jet) 또는 워터제트(Water jet)직기라고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평직형 제직장치(1)는 경사(4)와 위사가 직각 방향으로 직조된 직물(21)만이 제조가 가능함에 따라, 경사(4)나 위사 자체에 신축성이 부여된 합성섬유가 아닌 경우에는 제직장치(1)에 의하여 직조된 직물(21) 자체에 신축성을 부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인체에 유익한 천연섬유를 사용하여 직물(21)을 제조하더라도 제조된 직물(21)의 적용범위와 상품가치가 다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서, 종래의 제직장치(1)를 사용하여 경사(4)와 위사가 서로 직각 방향이 되도록 촘촘하게 엮어서 직물(21)을 직조하게 되면, 경사(4)와 위사 자체가 신축성을 가지지 않는 한 직조된 직물(21)을 손으로 잡고 어느 방향으로 당기더라도 직물(21)이 전혀 늘어나지 않게 된다는 것이며, 이는 신축성이 없는 천연섬유를 사용하여 직조된 직물(21)을 의류 등에 적용시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되어진 것과는 달리 직물(21)의 직조 과정에서 경사(4)와 위사가 일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직조되도록 하여, 직물(21)의 눈(경사와 위사가 형성하는 직물 구멍)이 길이가 긴 마름모 형상을 가지도록 하면, 경사(4)와 위사 자체가 신축성을 가지지 않더라도 직조된 직물(21)을 마름모의 길이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당길 경우, 마름모가 정사각형에 근접하는 폭만큼 직물(21)이 신축성 있게 늘어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원리에 입각하여 사선형 직물을 직조할 수 있도록 한 종래의 제직장치는, 경사송출빔(3)과 롤러템플(16) 및 직물권취용 롤러빔(17)(18)(19)(20)을 그대로 둔 상태에서, 본체프레임(2)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종광틀(6)과 바디(9)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함에 따라, 경사(4)를 기준으로 한 위사의 공급방향, 즉, 경사(4)와 직조되는 위사의 방향이 종광틀(6)과 바디(9)의 경사각도와 일치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사선형 제직장치는 종광틀(6)과 바디(9) 자체를 본체프레임(2)을 따라 경사지게 고정 설치함으로서, 경사와 위사가 형성하는 경사 각을 기준으로 할 경우 하나의 제직장치를 사용하여 한 가지 종류의 사선형 직물(21)만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선형 제직장치에 의한 직물(21)의 제조범위가 매우 국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사선형 제직장치는 종광틀(6)과 바디(9) 자체를 본체프레임(2)을 따라 경사지게 고정 설치하여야 함으로서, 이전에 사용되고 있었던 평직형 제직장치(1)를 사선형 제직장치로 변경시켜 사용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사선형 직물(21)의 제조에 필요한 제직장치를 추가로 구입하여 설비하여야 함에 따라, 직물제조업자로 하여금 상당한 금전적인 부담을 안겨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광틀(6)과 바디(9)가 경사지게 설치될 경우에는, 경사송출빔(3)에 감겨진 많은 올의 경사(4)를 통경도구를 사용하여 종광눈(6a)과 바디(9)(필요에 따라 종광 이전에 드롭퍼를 사용할 수도 있음) 사이로 통과시키는 통경작업을 수행하기가 매우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사선형 제직장치의 사용에 따른 편의성과 사선형 직물의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어 사선형 직물의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이 가능한 사선형 제직장치는 바디침에 의하여 제직된 직물을 감아들이기 위한 롤러빔을 제직장치와 일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설치함은 물론, 직물용 롤러빔과 제직장치와의 경사각도 또한 용이하게 조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종광틀과 바디 자체를 경사지게 설치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경사와 위사가 사선형으로 직조되어 신축성이 부여된 직물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고, 직물용 롤러빔을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거의 모든 제직장치를 사선형 제직장치로 용이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기존에 이미 설비되어 있던 제직장치 또한 복잡한 구조적 변경없이 사선형 제직장치로의 손쉬운 전환이 가능토록 하며, 이로 인하여 사선형 제직장치의 설비에 따른 시간과 비용의 절감 및 사선형 제직장치의 사용에 따른 편의성과 호환성(互換性)의 극대화를 통하여 사선형 직물의 제조단가 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제직장치와 경사지게 설치된 직물용 롤러빔을 따라 직물이 감겨지는 각도가 방향전환용 템플수단에 의하여 보다 더 정확하게 안내되도록 하는 한편, 직물을 사선 방향으로 감아들이기 위한 템플롤러 및 각 롤러빔의 배치구조 또한 보다 더 최적화시킴으로서, 제직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직물이 직물용 롤러빔을 따라 요구하는 경사각도로 정확하게 감겨질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사선형 직물의 제조에 따른 품질 향상 측면에 보다 더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직물용 롤러빔의 롤러축상에 드래그수단을 설치하여 사선형 직물을 감아들이는 힘이 안전한 수준에서 자동적으로 제어되도록 함에 따라, 제직장치의 가동시 발생할 수 있는 사선형 직물의 손상이나 제직장치의 가동에 따른 과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본체프레임의 후방측에는 경사송출빔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측 중앙부에는 경사가 관통되어 상,하로 왕복 운동하는 종광틀이 설치되고, 상기 종광틀의 전방측에는 경사 사이로 삽입된 위사를 직구까지 밀어내는 바디침 운동에 의하여 직물을 직조하는 바디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프레임에는 경사송출빔의 회전과 종광틀의 상,하 왕복운동과 바디침 운동을 수행하는 크랭크 구동기구가 설치된 제직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방측에는 바디침 운동에 의하여 직조된 직물을 감아들이는 직물용 롤러빔이 본체프레임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직물용 롤러빔의 양측단에는 직물용 롤러빔의 회전을 지지하는 롤러빔지지대가 설치되며, 상기 직물용 롤러빔의 일측 외부에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플랜지부와 고정볼트에 의하여 조립된 전동케이스가 설치되고, 상기 전동케이스의 플랜지부에는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원호상의 각도조정공이 형성되며, 상기 전동케이스의 상부케이스에는 크랭크 구동기구로부터 발생한 동력을 전달받는 전동축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전동케이스의 하부케이스에는 직물용 롤러빔을 회전시키는 구동축이 삽 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동케이스의 내부 중앙에는 기어축이 수직 방향으로 삽입 설치되고, 상기 기어축에는 상,하부베벨기어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부베벨기어는 상부케이스를 관통하여 삽입된 전동축의 전동베벨기어와 맞물리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베벨기어는 하부케이스를 관통하여 삽입된 구동축의 구동베벨기어와 맞물리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동케이스의 맞은 편에 위치하는 롤러빔지지대의 하단에는 가이드프레임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하부에는 각도조정볼트에 의하여 가이드프레임과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원호상의 가이드레일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방측 또는 롤러빔지지대의 후방측에는 바디로부터 직조되어져 나오는 직물을 직물용 롤러빔측으로 유도하는 방향전환템플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 직물용 롤러빔의 상측 후방에는 직물 안내용 가이드프레임과 롤러템플이 롤러빔지지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롤러템플의 전방측으로부터 직물용 롤러빔측을 향하여 방향전환롤러빔과 프레스롤러빔과 텐션롤러빔이 롤러빔지지대의 사이에서 "<"자 형태로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방향전환롤러빔의 직하방에는 가이드프레임과 롤러템플을 거쳐 이송된 직물을 1차로 감아서 방향전환롤러빔측으로 공급시키는 프릭션롤러빔이 롤러빔지지대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전동케이스와 연결된 구동축에는 구동기어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전동케이스와 인접한 롤러빔지지대의 외측에는 기어박스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의 구동기어는 기어박스의 입력축인 기어축의 종동기어과 체인벨트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기어박스의 출력축은 프릭션롤러빔의 롤러축이 되며, 상기 전동케이스의 맞은 편에 위치하는 롤러빔지지대의 외측에는 프릭션롤러빔의 롤러축에 고정된 구동스프라켓과, 직물용 롤러빔의 롤러축을 따라 드래그 수단과 함께 삽입된 종동스프라켓과, 상기 각각의 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체인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종광틀과 바디 자체를 본체프레임상에 경사지게 설치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 직물용 롤러빔을 본체프레임과 경사지게 설치하여 직물을 사선형으로 감아들이도록 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신축성이 부여된 사선형 직물을 용이하게 제조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사선형 제직장치보다 저렴한 가격의 사선형 제직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이고, 제직장치의 본체가 어떠한 직기구조를 가지는 지에 거의 구애를 받지 않고 사선형 직물의 제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직물용 롤러빔이 제직장치의 본체와 이루는 각도조정 또한 가능하므로 하나의 제직장치를 사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사선형 직물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심지어는 기존에 설비되어 사용되었던 평직형 제직장치를 아무런 변경없이 그대로 둔 상태에서, 기존 제직장치의 전방측에 직물용 롤러빔이 설치된 롤러빔 지지대만을 추가적으로 배치하여 기존의 제직장치와 경사지게 설치하는 동시에, 기존 제직장치의 크랭크 구동기구로부터 발생하는 동력을 전동케이스에 의하여 직물용 롤러빔측으로 인가시키만 하면, 기존에 설비되었던 평직형 제직장치를 사선형 제직 장치로 용이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종광틀과 바디가 경사지게 설치되지 않고 직물용 롤러빔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경사송출빔에 감겨진 경사를 통경도구를 사용하여 종광눈과 바디 사이로 통과시키는 통경작업을 평직형 제직장치와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선형 제직장치의 사용에 따른 편의성 또한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사선형 제직장치의 구조를 합리적으로 개선시킴에 따라, 사선형 제직장치의 설비에 따른 시간과 비용의 절감을 이루어낼 수 있음은 물론이고, 사선형 제직장치의 사용에 따른 편의성과 평직형 제직장치와의 호환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선형 직물의 제조단가 절감에 크게 기여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직물용 롤러빔을 따라 직물이 감겨지는 각도가 방향전환용 템플수단에 의하여 보다 더 정확하게 안내되도록 하는 한편, 직물을 사선 방향으로 감아들이기 위한 템플롤러 및 각 롤러빔의 배치구조 또한 보다 더 최적화시킴으로서, 제직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직물이 직물용 롤러빔을 따라 요구하는 경사각도로 정확하게 감겨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선형 직물의 제조에 따른 품질 향상 측면에 보다 더 크게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직물용 롤러빔의 롤러축상에 드래그수단을 설치한 경우에는, 사선형 직물을 감아들이는 힘(인장력)이 안전한 수준에서 자동적으로 제어되도록 할 수 있음에 따라, 제직장치의 가동시 발생할 수 있는 사선형 직물의 손상이나 제직장치의 가동에 따른 과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것 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사선형 제직장치(1)는 도 3 및 도 4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체프레임(2)의 후방측에는 경사송출빔(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프레임(2)의 상측 중앙부에는 경사(4)가 관통되어 상,하로 왕복 운동하는 종광틀(6)이 설치되고, 상기 종광틀(6)의 전방측에는 경사(4) 사이로 삽입된 위사(59)를 직구(13)까지 밀어내는 바디침 운동에 의하여 직물(21)을 직조하는 바디(9)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프레임(2)에는 경사송출빔(3)의 회전과 종광틀(6)의 상,하 왕복운동과 바디침 운동을 수행하는 크랭크 구동기구(10)가 설치된 평직형 제직장치(1)의 기본적인 구성을 그 모태로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경사(4)와 위사를 사용하여 직물(21)을 제조하는 기본적인 구성요소로서, 경사송출빔(3)과 종광틀(6) 및 바디(9)를 포함하는 제직장치(1)라면 도면에 도시된 형태 이외의 다른 어떠한 종류의 제직장치라도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요부는 바디침 운동에 의하여 직조된 직물(21)을 감아들이기 위한 롤러빔을 제직장치(1)의 본체와 경사지게 설치한 것으로서, 제직장치(1)의 종류 자체에는 거의 구애를 받지 않는 것임을 서두에서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도면의 복잡함을 피하고 본 발명의 요부를 보다 명확하게 한정할 수 있도록, 종래의 기술내용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은 위사공급장치(40)와 변조직장치 및 제직장치(1)의 안정적인 작동을 위한 보조기구(경사보호 및 정지기구, 위사정지기구, 가동 및 제동기구) 등과 같이 제직분야에서 공지된 수단은 그 도시를 생략하였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가장 핵심적인 요부를 이루는 구성요소로서는, 제직장치(1)의 본체프레임(2) 전방측에 설치되어 바디침 운동에 의하여 직조된 직물(21)을 감아들이는 직물용 롤러빔(20)이 본체프레임(2)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직물용 롤러빔(20)의 양측단에는 직물용 롤러빔(20)의 회전을 지지하는 롤러빔지지대(26)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직물용 롤러빔(20)의 일측(도면상 좌측) 외부에는 원통 형상의 상부케이스(33)와 하부케이스(34)로 이루어지는 전동케이스(30)가 설치되는 바, 상기 전동케이스(30)는 상,하부케이스(33)(34)에 형성된 플랜지부(35)가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고정볼트(35b)에 의하여 일체로 조립 설치되고, 상기 플랜지부(35)에는 고정볼트(35b)가 체결되는 원호(圓弧)상의 각도조정공(35a)이 형성된다.
상기 전동케이스(30)의 상부케이스(33)에는 덮개판(33a)이 조립 설치되는 한편, 크랭크 구동기구(10)로부터 발생한 동력을 측장드럼(22)으로부터 전달받는 전동축(31)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전동케이스(30)의 하부케이스(34)에는 직물용 롤러빔(20)을 회전시키는 구동축(32)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전동축(31)에는 측장드럼(22)과 체인벨트(22a)로서 연결되는 전동기어(36)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측장드럼(22)은 급사치즈 등의 공급패키지로부터 위사를 일정한 속도로 풀어내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동케이스(30)와 인접한 위치에서 크랭크 구동기구(10)로부터 발생한 동력이 발현되는 요소이므로 이를 전동축(31)과 연결시킨 것이고, 상기 체인벨트(22a)는 스프라켓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체인보다 폭이 넓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체인형 벨트로서 기어와 맞물리는 구멍 또는 홈이 형성된 전동소재가 된다.
그러나, 크랭크 구동기구(10)로부터 발생한 동력을 전동축(31)으로 전달시키는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체인벨트(22a) 이외에도 일반적인 벨트와 풀리 또는 체인과 스프라켓 또는 전동기어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는 이후에 설명되어지는 모든 동력전달수단에서도 동일한 개념으로 적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측장드럼(22) 대신에 크랭크 구동기구(10)로부터 발생한 동력이 발현되는 다른 요소, 예를 들어 경사송출빔(3)이나 기존의 평직형 제직장치(1)에 적용되었던 직물용 롤러빔(20)의 롤러축, 종광틀(6) 또는 바디(9)의 작동을 위한 캠축 등이 전동축(31)과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전동케이스(30)는 상,하부케이스(33)(34)가 분할 가능하게 조립식으로 설치됨에 따라, 전동축(31)과 연결된 상부케이스(33)는 그대로 둔 상태에서 플랜지부(35)로부터 고정볼트(35b)를 풀어낸 다음, 구동축(32)과 연결된 하부케이스(34)를 각도조정공(35a)을 따라 임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구동축(32)과 연결되는 직물용 롤러빔(20)이 본체프레임(2)과 이루는 각도(바람직하게는 30도에서 90도 범위내)를 상부케이스(33)를 중심점으로 하여 임의대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동케이스(30)의 내부에 설치되는 동력전달기구는 전동축(31)으로 전달된 크랭크 구동기구(10)의 동력을 직물용 롤러빔(20)의 회전을 위한 구동축(32)으로 전달시키면서도, 하부케이스(34)의 회전에 따른 직물용 롤러빔(20)의 각도 조정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구조가 되어야 하며,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동력전달기구가 전동케이스(30)의 내부에 설치되더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 채택한 상기 동력전달기구의 최적 실시예는 도 5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동케이스(30)의 내부 중앙에 기어축(41)이 수직 방향으로 삽입 설치되고, 상기 기어축(41)에는 상,하부베벨기어(42)(43)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부베벨기어(42)는 상부케이스(33)를 관통하여 삽입된 전동축(31)의 전동베벨기어(44)와 맞물리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베벨기어(43)는 하부케이스(34)를 관통하여 삽입된 구동축(32)의 구동베벨기어(45)와 맞물리게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전동케이스(30)의 내부공간에는 동력전달기구의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윤활유를 저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플랜지부(35)의 조립면과 전동축(31) 및 구동축(32)의 관통부위에는 윤활유의 누설을 방지하는 팩킹이나 오링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어축(41)과 전동축(31) 및 구동축(32)의 회전이 베어링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동케이스(30)를 중심으로 한 직물용 롤러빔(20)의 각도조정작업을 보다 더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전동케이스(30)의 맞은 편에 위치 하는 롤러빔지지대(26)의 하단에는 가이드프레임(28)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28)의 하부에는 각도조정볼트(28a)에 의하여 가이드프레임(28)과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원호(圓弧)상의 가이드레일(29)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레일(29)의 중앙부를 따라서는 각도조정볼트(28a)가 삽입 및 고정되는 가이드홈(29a)이 형성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핵심적인 요부는 직물용 롤러빔(20)을 제직장치(1)의 본체프레임(2)과 경사지게 설치하여 제직장치(1)로부터 직조되어져 나오는 직물(21)을 사선형으로 감아들이도록 함에 따라 사선형 직물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므로,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전동케이스(30)를 사용하지 않고 직물용 롤러빔(20)을 별도의 구동모터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제직장치(1)에 있어 경사송출빔(3)과 종광틀(6) 및 바디(9)는 본체용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상기 크랭크 구동기구(10)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하고, 직물용 롤러빔(20)은 크랭크 구동기구(10)와는 별개의 구동원이 되는 다른 구동모터를 사용하여 작동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전동케이스(30)를 본 발명에 적용시키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2개의 구동모터를 적용시키는 것은 제직장치(1)의 설비나 사용 측면에서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크랭크 구동기구(10)의 회전수에 맞추어 직물용 롤러빔(2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제직장치(1)의 합리적인 제어를 이루어 낼 수 있으므로, 상기 전동케이스(30)에 의한 동력전달구조를 적용시킨 것을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선형 제직장치(1)에 있어 또 다른 요부를 이루는 구성요소로서는, 상기 직물용 롤러빔(20)에 사선형 직물(21)이 보다 더 정확하고 견고하며 안정적으로 감겨지게 하는 템플(Temple) 수단 및 롤러빔 배치구조가 되는 바, 상기 템플수단으로서는 바디(9)로부터 직조되어져 나오는 직물(21)을 직물용 롤러빔(20)측으로 경사지게 유도하는 방향전환템플(39)이 대표적인 실시예가 된다.
상기 방향전환템플(39)은 본체프레임(2)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톱스테이(15)의 상부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 롤러빔지지대(26)의 후방측에도 설치할 수 있으며, 그 종류 또한 롤러식 템플이나 링(Ring) 형상의 템플 또는 막대식 템플 등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템플바(39b)의 상부에 커버판(39a)을 설치하여 직물(21)이 템플바(39b)와 커버판(39a)의 사이를 따라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방향전환템플(39)은 도면상 톱스테이(15)의 우측 상부면에 2개가 설치되는 바, 하나의 방향전환템플(39)은 바디(9)와 평행하게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방향전환템플(39)은 직물용 롤러빔(20)이 본체프레임(2)과 이루는 경사각도에 맞추어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며, 도면상 톱스테이(15)의 좌측 상부면에도 바디(9)와 평행하게 되는 다른 하나의 방향전환템플(39)이 보조템플로서 추가 설치된다.
상기 방향전환템플(39)의 위치와 길이는 사용자가 임의대로 조정할 수 있으나, 가이드레일(29)을 따라 이동하는 직물용 롤러빔(20)의 반경을 고려하여 바디(9)로부터 미도시된 변조직장치를 거쳐 공급되는 직물(21)의 양단부측을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는 위치와 길이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롤러빔지지대(26)의 사이에 설치되는 롤러빔의 배치구조는 직물용 롤러빔(20)을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전제 조건하에서 종래의 기술내용에서 설명되어진 롤러빔의 배치 구조 뿐만 아니라, 기존의 제직장치에 적용되었던 다양한 종류의 롤러빔 배치구조를 적용시킬 수 있지만, 본 발명의 경우 바디(9)로부터 직조된 직물(21)을 사선형으로 감아들이기 위한 것이므로 롤러빔의 배치구조를 보다 더 최적화시킬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롤러빔의 최적 배치구조는 도 3과 도 4 및 도 6과 도 7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직물용 롤러빔(20)의 상측 후방에는 직물(21) 안내용 가이드프레임(26c)과 롤러템플(16)이 롤러빔지지대(26)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롤러템플(16)의 전방측으로부터 직물용 롤러빔(20)측을 향하여 방향전환롤러빔(23)과 프레스롤러빔(24)과 텐션롤러빔(25)이 롤러빔지지대(26)의 사이에서 개략 "<"자 형태로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롤러빔(23)의 직하방에는 가이드프레임(26c)과 롤러템플(16)을 거쳐 이송된 직물(21)을 1차로 감아서 방향전환롤러빔(23)측으로 공급시키는 프릭션롤러빔(18)이 롤러빔지지대(26)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상기 프릭션롤러빔(18)과 텐션롤러빔(25)은 롤러빔지지대(26)상에 직접 설치하고, 상기 롤러템플(16)과 방향전환롤러빔(23)과 프레스롤러빔(24)은 롤러빔설치대(26a)와 보조설치대(26b)에 의하여 별도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프릭션롤러빔(18)과 텐션롤러빔(25)은 직물용 롤러빔(20)과 함께 직물(21)을 감아들이기 위한 메인롤러빔이므로 롤러빔지지대(26)상에 직접 설치 하고, 상기 방향전환롤러빔(23)과 프레스롤러빔(24)은 경우에 따라 교체나 위치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롤러빔지지대(26)와 손쉽게 분해 조립될 수 있는 롤러빔설치대(26a)상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상기 롤러빔설치대(26a)는 가이드프레임(26c)을 포함하는 롤러빔지지대(26)의 상단프레임에 롤러템플(16)과 함께 조립 설치되는 동시에, 직물(21)의 유도방향에 맞추어 하방으로 굴곡 형성되고, 상기 보조설치대(26b)에는 방향전환롤러빔(23)과 프레스롤러빔(24)이 연결 설치되는 한편, 보조설치대(26b)의 상단부는 미도시된 연결핀에 의하여 롤러빔설치대(26a)와 연결 설치되며, 상기 텐션롤러빔(25)은 롤러빔지지대(26) 사이에 가로지게 고정된 보강프레임(25a)의 선단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의한 상기 롤러빔 배치에 의하면,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디(9)로부터 직조되어져 나오는 직물(21)이 가이드프레임(26c)과 롤러템플(16)을 거쳐 프릭션롤러빔(18)측으로 1차 감겨진 다음, 프릭션롤러빔(18)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방향전환롤러빔(23)으로부터 프레스롤러빔(24)과 텐션롤러빔(25)을 거쳐 직물용 롤러빔(20)측으로 감겨 들어가게 되며, 이러한 지그재그식 권취 과정에 의하여 직물용 롤러빔(20)을 따라 직물(21)이 보다 더 정확하고 견고하며 안정적으로 감겨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롤러빔의 배치와 더불어, 도 3과 도 4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전동케이스(30)와 연결된 구동축(32)에는 구동기어(37)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전동케이스(30)와 인접한 롤러빔지지대(26)의 외측에는 기어박스(27)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축(32)의 구동기어(37)는 기어박스(27)의 입력 축인 기어축(38a)의 종동기어(38)과 체인벨트(37a)로 연결 설치된다.
상기 기어박스(27)는 구동축(32)의 회전력과 회전속도를 적절한 수준으로 조정하여 직물용 롤러빔(20)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면상 기어박스(27)의 내부에는 종동기어(38)와 함께 기어축(38a)에 고정 설치되는 롤러구동기어(47)와, 프릭션롤러빔(18)의 롤러축(18a)상에 고정 설치되는 롤러구동기어(47)가 치합되는 기어조합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기어박스(27)의 전방에 구비된 수동핸들(27a)의 핸들축에 고정된 수동베벨기어(48)가 상기 기어축(38a)의 단부에 고정 설치된 수동베벨기어(48)와 치합되는 기어조합이 기어박스(27)의 내부에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직물용 롤러빔(20)을 수동으로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기어박스(27)의 맞은 편에 위치하는 롤러빔지지대(26)의 외측에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릭션롤러빔(18)의 롤러축(18a)에 고정된 구동스프라켓(49)과, 직물용 롤러빔(20)의 롤러축(20a)에 삽입된 종동스프라켓(50)과, 상기 각각의 스프라켓(49)(50)을 연결하는 체인(51)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체인(51) 구동을 보조하기 위한 텐션스프라켓(52)이 지지대(52a)에 의하여 롤러빔지지대(26)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동력전달구조에 의하면, 기어박스(27)의 입력축은 종동기어(38)의 기어축(38a)이 되고, 기어박스(27)의 출력축은 프릭션롤러빔(18)의 롤러축(18a)이 되는 바, 이와 같이 구동축(32)으로부터 전달된 동력으로 직물용 롤러빔(20)을 직접 회전시키지 않고 프레스롤러빔(18)을 거쳐 직물용 롤러빔(20)을 회전시키도록 하는 이유는, 직물용 롤러빔(20)의 롤러축(20a)상에 드래그(Drag) 수단을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위와 같은 드래그 수단이 설치되지 않을 경우, 기어축(38a)에 고정된 롤러구동기어(47)를 기준으로 하여, 이와 맞물리는 다른 하나의 롤러구동기어(47)가 직물용 롤러빔(20)의 롤러축(20a)상에 고정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고, 기어박스(27)를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구동축(32)이 다른 형태의 동력전달수단에 의하여 직물용 롤러빔(20)의 롤러축(20a)과 직접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드래그 수단은 도 8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직물용 롤러빔(20)의 롤러축(20a) 단부에 형성된 막대볼트(55)와, 상기 막대볼트(55)를 따라 체결 설치되는 드래그노브(53)와, 상기 종동스프라켓(50)과 드래그노브(53)의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코일스프링(56)과, 상기 종동스프라켓(50)과 롤러축(20a) 사이에 삽입되는 드래그와셔(57)나 마찰패드(58)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드래그노브(53)를 회전시켜 종동스프라켓(50)을 롤러축(20a)과 밀착시키는 가압력의 정도에 따라 종동스프라켓(50)의 드래그력(마찰력)을 조정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직물용 롤러빔(20)을 따라 직물(21)이 감겨지는 과정에서 직물(21)에 과도한 인장력이 작용할 경우, 종동스프라켓(50)이 직물용 롤러빔(20)과 함께 회전하지 못하고 제자리에서 헛돌게 되어 직물용 롤러빔(20)이 회전하지 않게 됨으로서, 직물(21)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안전한 수준으로 유지시켜 직물(21)의 손상이나 제직장치(1)의 과부하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면상 드래그노브(53)의 우측에서 막대볼트(55)를 따라 체결 설치된 것은 드래그노브(53)의 체결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고정너트(54)가 되며, 프릭션롤러빔(18)과 직물용 롤러빔(20)의 롤러축(18a)(20a)이 기어박스(27)의 벽체 및 롤러빔 지지대(26)를 관통하는 부위에는 베어링이 개재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선형 제직장치(1)를 이용하여 사선형 직물(21)을 제조하는 원리를 나타낸 것으로서, 경사송출빔(3)에 감겨진 경사(4)를 통경도구를 사용하여 종광눈(6a)과 바디(9) 사이로 통과시킨 다음, 이를 직물용 롤러빔(20)을 따라 감아들이도록 하게 되면, 제직장치(1)의 본체프레임(2)으로부터 직물용 롤러빔(20)측을 향하는 경사(4)의 진행방향이 설정되어진 경사각도(θ)만큼 틀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직장치(1)를 세팅하여 놓은 상태에서 제직장치(1)를 가동시키게 되면, 바디(9)를 거쳐 직조된 직물(21)이 직물용 롤러빔(20)측으로 진행되는 과정에서, 직물(21)을 형성하는 위사(59)는 거의 수평 방향을 유지하는 반면, 직물(21)을 형성하는 경사(4)는 설정되어진 경사각도(θ)만큼 틀어지게 되어, 직물용 롤러빔(20)에 최종적으로 감겨지는 직물은 사선형 직물(21)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바디침 운동에 의하여 직조된 직물(21)을 직물용 롤러빔(20)에 의하여 사선형으로 감아들이는 과정에서 위사(59)의 방향도 어느 정도는 틀어질 수 있으나, 템플수단(16)(39) 및 각각의 롤러빔(18)(23)(24)(25)에 의하여 경사(4)의 진행방향에 거의 변동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도면상 위사(59)의 좌측단과 우측단의 진행반경에 따른 편차로 인하여 위사(59)가 경사(4)와 동일한 각도로 틀어져 직물용 롤러빔(20)에 평직형 직물이 감기는 상황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광틀(6)과 바디(9) 자체를 본체프레임(2)상에 경사지게 설치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 직물용 롤러빔(20)을 본체프레임(2)과 경사지게 설치하여 직물(21)을 사선형으로 감아들이도록 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신축성이 부여된 사선형 직물(21)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사선형 제직장치보다 저렴한 가격의 사선형 제직장치(1)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제직장치(1)의 본체가 어떠한 직기구조를 가지는 지에 거의 구애를 받지 않고 사선형 직물(21)의 제조가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직물용 롤러빔(20)이 제직장치(1)의 본체와 이루는 각도(θ)의 조정 또한 가능하므로 다양한 종류의 사선형 직물(21)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심지어는 기존에 설비되어 사용되었던 평직형 제직장치(1)를 아무런 변경없이 그대로 둔 상태에서, 기존 제직장치(1)의 전방측에 직물용 롤러빔(20)이 설치된 롤러빔 지지대(26)만을 추가적으로 배치하여 기존의 제직장치(1)와 경사지게 설치하는 동시에, 기존 제직장치(1)의 크랭크 구동기구(10)로부터 발생하는 동력을 전동케이스(30)에 의하여 직물용 롤러빔(20)측으로 인가시키만 하면, 기존에 설비되었던 평직형 제직장치(1)를 사선형 제직장치(1)로 용이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종광틀(6)과 바디(9)가 경사지게 설치되지 않고 직물용 롤러빔(20)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경사송출빔(3)에 감겨진 경사(4)를 통경도구를 사용하여 종광눈(6a)과 바디(9) 사이로 통과시키는 통경작업을 평직형 제직장치(1)와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선형 제직장치(1)의 사용에 따른 편의성 또한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선형 제직장치(1)의 구조를 합리적으로 개선시킴에 따라, 사선형 제직장치(1)의 설비에 따른 시간과 비용의 절감을 이루어낼 수 있음은 물론이고, 사선형 제직장치(1)의 사용에 따른 편의성과 평직형 제직장치(1)와의 호환성(互換性)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선형 직물(21)의 제조단가 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제직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제직장치의 제직원리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선형 제직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직장치의 전동케이스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직장치의 롤러빔 구동기구를 나타내는 일부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직장치의 롤러빔을 따라 직물이 감겨지는 경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직장치의 직물용 롤러빔에 설치되는 드래그수단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직장치에 의한 사선형 직물의 제직원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직장치 2 : 본체프레임 3 : 경사송출빔
4 : 경사 5 : 백레스트 5a : 보조롤러빔
6 : 종광틀 6a : 종광눈 7 : 롤러구동케이스
8 : 종광롤러 8a : 스트랩 9 : 바디
9a : 바디커버 10 : 크랭크 구동기구 11 : 록킹샤프트
12 : 슬레이 13 : 직구 14 : 펠플레이트
15 : 톱스테이 16 : 롤러템플 17 : 상부프레스롤러빔
18 : 프릭션롤러빔 18a,20a : 롤러축 19 : 하부프레스롤러빔
20 : 직물용 롤러빔 21 : 직물 22 : 측장드럼
22a,37a : 체인벨트 23 : 방향전환롤러빔 24 : 프레스롤러빔
25 : 텐션롤러빔 25a : 보강프레임 26 : 롤러빔지지대
26a : 롤러빔설치대 26b : 보조설치대 26c : 가이드프레임
27 : 기어박스 27a : 수동핸들 28 : 가이드프레임
28a : 각도조정볼트 29 : 가이드레일 29a : 가이드홈
30 : 전동케이스 31 : 전동축 32 : 구동축
33 : 상부케이스 33a : 덮개판 34 : 하부케이스
35 : 플랜지부 35a : 각도조정공 35b : 고정볼트
36 : 전동기어 37 : 구동기어 38 : 종동기어
38a,41 : 기어축 39 : 방향전환템플 39a : 커버판
39b : 템플바 40 : 위사공급장치 42 : 상부베벨기어
43 : 하부베벨기어 44 : 전동베벨기어 45 : 구동베벨기어
46 : 베어링 47 : 롤러구동기어 48 : 수동베벨기어
49 : 구동스프라켓 50 : 종동스프라켓 51 : 체인
52 : 텐션스프라켓 52a : 지지대 53 : 드래그노브
54 : 고정너트 55 : 막대볼트 56 : 코일스프링
57 : 드래그와셔 58 : 마찰패드 59 : 위사
θ : 경사각도

Claims (6)

  1. 본체프레임(2)의 후방측에는 경사송출빔(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프레임(2)의 상측 중앙부에는 경사(4)가 관통되어 상,하로 왕복 운동하는 종광틀(6)이 설치되고, 상기 종광틀(6)의 전방측에는 경사(4) 사이로 삽입된 위사(59)를 직구(13)까지 밀어내는 바디침 운동에 의하여 직물(21)을 직조하는 바디(9)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프레임(2)에는 경사송출빔(3)의 회전과 종광틀(6)의 상,하 왕복운동과 바디침 운동을 수행하는 크랭크 구동기구(10)가 설치된 제직장치(1)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2)의 전방측에는 바디침 운동에 의하여 직조된 직물(21)을 감아들이는 직물용 롤러빔(20)이 본체프레임(2)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직물용 롤러빔(20)의 양측단에는 직물용 롤러빔(20)의 회전을 지지하는 롤러빔지지대(26)가 설치되며,
    상기 직물용 롤러빔(20)의 일측 외부에는 상부케이스(33)와 하부케이스(34)가 플랜지부(35)와 고정볼트(35b)에 의하여 조립된 전동케이스(30)가 설치되고, 상기 전동케이스(30)의 플랜지부(35)에는 고정볼트(35b)가 체결되는 원호(圓弧)상의 각도조정공(35a)이 형성되며,
    상기 전동케이스(30)의 상부케이스(33)에는 크랭크 구동기구(10)로부터 발생한 동력을 전달받는 전동축(31)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전동케이스(30)의 하부케이스(34)에는 직물용 롤러빔(20)을 회전시키는 구동축(32)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전동케이스(30)의 내부 중앙에는 기어축(41)이 수직 방향으로 삽입 설치되고, 상기 기어축(41)에는 상,하부베벨기어(42)(43)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부베벨기어(42)는 상부케이스(33)를 관통하여 삽입된 전동축(31)의 전동베벨기어(44)와 맞물리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베벨기어(43)는 하부케이스(34)를 관통하여 삽입된 구동축(32)의 구동베벨기어(45)와 맞물리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사선형 제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케이스(30)의 맞은 편에 위치하는 롤러빔지지대(26)의 하단에는 가이드프레임(28)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28)의 하부에는 각도조정볼트(28a)에 의하여 가이드프레임(28)과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원호(圓弧)상의 가이드레일(29)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사선형 제직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2)의 전방측 또는 롤러빔지지대(26)의 후방측에는 바디(9)로부터 직조되어져 나오는 직물(21)을 직물용 롤러빔(20)측으로 유도하는 방향전환템플(39)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사선형 제직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용 롤러빔(20)의 상측 후방에는 직물(21) 안내용 가이드프레임(26c)과 롤러템플(16)이 롤러빔지지대(26)의 사이에 설 치되고, 상기 롤러템플(16)의 전방측으로부터 직물용 롤러빔(20)측을 향하여 방향전환롤러빔(23)과 프레스롤러빔(24)과 텐션롤러빔(25)이 롤러빔지지대(26)의 사이에서 "<"자 형태로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방향전환롤러빔(23)의 직하방에는 가이드프레임(26c)과 롤러템플(16)을 거쳐 이송된 직물(21)을 1차로 감아서 방향전환롤러빔(23)측으로 공급시키는 프릭션롤러빔(18)이 롤러빔지지대(26)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사선형 제직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케이스(30)와 연결된 구동축(32)에는 구동기어(37)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전동케이스(30)와 인접한 롤러빔지지대(26)의 외측에는 기어박스(27)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32)의 구동기어(37)는 기어박스(27)의 입력축인 기어축(38a)의 종동기어(38)과 체인벨트(37a)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기어박스(27)의 출력축은 프릭션롤러빔(18)의 롤러축(18a)이 되며,
    상기 전동케이스(30)의 맞은 편에 위치하는 롤러빔지지대(26)의 외측에는 프릭션롤러빔(18)의 롤러축(18a)에 고정된 구동스프라켓(49)과, 직물용 롤러빔(20)의 롤러축(20a)으로 삽입된 종동스프라켓(50)과, 상기 각각의 스프라켓(49)(50)을 연결하는 체인(51)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사선형 제직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용 롤러빔(20)의 롤러축(20a)에는 종동스프라켓(50)의 드래그(Drag) 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드래그 수단은 직물용 롤러빔(20)의 롤러축(20a) 단부에 형성된 막대볼트(55)와, 상기 막대볼트(55)를 따라 체결 설치되는 드래그노브(53)와, 상기 종동스프라켓(50)과 드래그노브(53)의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코일스프링(56)과, 상기 종동스프라켓(50)과 롤러축(20a) 사이에 삽입되는 드래그와셔(57)나 마찰패드(5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사선형 제직장치.
KR1020080068969A 2008-07-16 2008-07-16 각도조절이 가능한 사선형 제직장치 KR100976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969A KR100976606B1 (ko) 2008-07-16 2008-07-16 각도조절이 가능한 사선형 제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969A KR100976606B1 (ko) 2008-07-16 2008-07-16 각도조절이 가능한 사선형 제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473A KR20100008473A (ko) 2010-01-26
KR100976606B1 true KR100976606B1 (ko) 2010-08-17

Family

ID=41817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8969A KR100976606B1 (ko) 2008-07-16 2008-07-16 각도조절이 가능한 사선형 제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66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86690A (zh) * 2016-03-21 2016-05-18 盐城工业职业技术学院 广角布织机卷取机构
CN108560119A (zh) * 2018-06-20 2018-09-21 江苏阳光毛纺服装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服装生产用布料收卷放置装置
CN109763244B (zh) * 2019-02-25 2024-04-16 兴鹿(海安)新材料有限公司 一种高效率喷气织机设备
CN110592783B (zh) * 2019-09-24 2024-05-07 青岛天一红旗特种织机科技有限公司 一种织机机架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6034A (ko) * 2003-12-26 2005-06-30 손유석 바이어스 직물 직조 장치 및 방법
JP2006089890A (ja) 2004-09-27 2006-04-06 Tsudakoma Corp 斜め織り織機
JP2006111997A (ja) 2004-10-13 2006-04-27 Tsudakoma Corp 斜め織り織機用の経糸送出装置
KR20080002706U (ko) * 2007-01-15 2008-07-18 손유석 바이어스 직물 직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6034A (ko) * 2003-12-26 2005-06-30 손유석 바이어스 직물 직조 장치 및 방법
JP2006089890A (ja) 2004-09-27 2006-04-06 Tsudakoma Corp 斜め織り織機
JP2006111997A (ja) 2004-10-13 2006-04-27 Tsudakoma Corp 斜め織り織機用の経糸送出装置
KR20080002706U (ko) * 2007-01-15 2008-07-18 손유석 바이어스 직물 직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473A (ko) 2010-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6606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사선형 제직장치
KR101857782B1 (ko) 코이어사를 포함하는 대구경 저밀도 원사 직조장치
CS229913B2 (en) Device for winding waste binding yarns in shuttleless looms
CZ200452A3 (cs) Název neuveden
KR100985574B1 (ko) 안정된 장력 조절구조가 마련된 원형직기
CN205035557U (zh) 一种天鹅绒布生产装置
CN208762649U (zh) 主动送经装置
CN2411264Y (zh) 黄麻织布机经线张力动态调节装置
US7231943B2 (en) Device for a weaving machine
CN110714260A (zh) 一种双剑杆多经轴的绒毯织机
US5560400A (en) Removing waste selvage from woven fabric
CN112342683B (zh) 一种经编纬编复合织造设备
CN212223236U (zh) 一种调节织带机经纱的张力装置
KR100985576B1 (ko) 양방향 배출구조가 마련된 원형직기
KR101620346B1 (ko) 테이프사의 제직 준비 장치
CN211848311U (zh) 一种用于纬纱束编织的剑杆织机
US11047074B2 (en) Weaving machine and corresponding weaving method
CN110760979A (zh) 一种用于纬纱束编织的剑杆织机及其操作方法
CN218842493U (zh) 一种机织布生产用剑杆织机
US1691195A (en) Loom and method of weaving double-pile fabrics
KR102600848B1 (ko) 신축위사가 적용된 세폭직물의 제직장치 및 방법
CS245786B2 (en) Circle loom
US1965474A (en)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fabrics and device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CN105951280A (zh) 一种织造筛网的片梭织机
KR101822719B1 (ko) 무단변속기로 장력 조절하는 송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