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0346B1 - 테이프사의 제직 준비 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사의 제직 준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0346B1
KR101620346B1 KR1020100048969A KR20100048969A KR101620346B1 KR 101620346 B1 KR101620346 B1 KR 101620346B1 KR 1020100048969 A KR1020100048969 A KR 1020100048969A KR 20100048969 A KR20100048969 A KR 20100048969A KR 101620346 B1 KR101620346 B1 KR 101620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yarn
tape
fabric
weaving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9547A (ko
Inventor
김주안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8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346B1/ko
Publication of KR20110129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04Control of the tension in warp or cloth
    • D03D49/06Warp let-off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6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fabric
    • D03J1/08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fabric for slitting fab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단으로부터 테이프사를 제조하고 제조된 테이프사의 꼬임 현상을 방지하면서 제직기로 테이프사를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테이프사의 제직 준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원단 공급부; 원단 공급기로부터 공급된 원단을 1~10㎜의 폭을 가진 테이프사로 제조하기 위한 다수의 커팅날들을 포함하는 커팅부; 커팅부에서 제조된 테이프사를 이송시키기 위한 테이프사 이송부;및 테이프사 이송 롤러로부터 이송된 테이프사의 다수 가닥을 일 가닥씩 분리 후 이를 제직기로 안내하기 위한 테이프사 안내부;를 포함하는 테이프사의 제직 준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사의 제직 준비 장치를 이용하여 테이프사의 제직 준비를 수행하는 경우 종래의 정경 공정이 생략되기 때문에 테이프사의 꼬임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우수한 품질의 직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정경 공정의 생략으로 제직 준비 공정이 단순화되기 때문에 직물의 생산 속도가 증가하고 직물의 생산 설비가 절감되며, 최종적으로 직물의 생산 효율이 향상된다.

Description

테이프사의 제직 준비 장치{Apparatus for praparation of tape yarn weaving}
본 발명은 테이프사의 제직 준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단으로부터 테이프사를 제조하고 제조된 테이프사의 꼬임 현상을 방지하면서 제직기로 테이프사를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테이프사의 제직 준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테이프사(tape yarn)는 일반 원사에 비해 약 1~10㎜의 일정 폭을 갖는 사각 모양의 원사로서, 의류, 가방, 모자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직물 또는 편물의 원재료로 사용된다.
종래의 테이프사, 특히 경사로 사용되는 테이프사의 제직 준비 공정을 살펴보면, 테이프사 제조 공정(커팅 단계)→ 권사 공정→ 정경(warping) 공정→ 통경(drawing-in) 공정 또는 연경(warp tying)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원단을 커팅기에 공급하여 테이프사를 제조한다. 컷팅기는 제조할 테이프사의 폭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커팅날을 구비하는데, 커팅기를 통과하는 원단은 커팅날의 간격과 동일한 폭을 가진 테이프사로 전환된다. 커팅기에서 생산된 테이프사는 이후 보빈(Bobbin) 또는 콘의 형태로 감아주는 권사(winding) 공정을 거친다. 권사 공정은 원사 내에 존재하는 결점을 제거하여 원사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패키지 형태, 크기, 실의 량, 경도 등을 사용에 알맞게 하는 작업이다. 권사된 테이프사는 정경 단계를 거치는데, 정경은 제직 준비 공정의 하나로 소정 올수의 경사를 길이 및 장력을 균일하게 일정한 너비가 되도록 배열하여 정경 드럼(warping drum) 또는 정경 빔(warping beam)에 감는 작업이다. 정경 공정의 주요 목적은 설계된 직물의 길이에 따라 각 경사의 길이를 균일하게 정하는 것과, 설계에 따라 경사의 밀도 또는 나비를 정하는 것, 그리고 필요에 따라 다른 종류의 경사 또는 다른 색의 경사를 배치하여 세로 줄무늬를 내는 것 등이다. 일반적으로 정경은 공급되는 테이프사의 양이 충분한 경우 정경 빔에 테이프사를 균일한 장력으로 감아주는 것으로 이루어지는데, 공급되는 테이프사의 양이 부족한 경우 여러 개의 정경 드럼에 테이프사를 감고, 다시 정경 드럼의 테이프사를 정경 빔에 균일한 장력으로 감아주게 되며, 이때 정경 드럼에 테이프사를 감아주는 단계를 부분 정경(sectional warping)이라 부른다. 정겸 빔에 감긴 테이프사는 이후 통경(drawing-in) 공정 또는 연경(warp tying) 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통경은 정경 빔의 테이프사를 종광(Heald), 바디(Reed)등에 끼워주는 공정을 말하며 이때 테이프사의 사절을 감지하는 드롭퍼(Dropper)끼우기 작업도 같이한다. 동종의 동일직물을 계속 제직할 때는 제직을 완료한 직물의 테이프사 끝과 새로 준비한 정경 빔의 테이프사 끝을 순서대로 이어줌으로써 종광, 바디, 드롭퍼 끼우기 등의 작업을 생략할 수 있는데 이 공정을 연경 공정이라 한다. 이후 정경 빔을 제직기에 장착하고 직물을 제조한다. 통경 공정 또는 연경 공정은 정겸 빔을 제직기에 장착한 이후에 이루어지기도 한다.
종래의 테이프사, 특히 경사로 사용되는 테이프사의 제직 준비 공정에서는 정경 공정에서 테이프사를 감을 시 꼬임이 발생하고, 특히 정경 드럼에 1차로 감고, 이를 정경 빔에 2차로 감는 부분 정경 공정에서 꼬임 현상이 더욱 심해진다. 일반적인 원사는 단면이 원형이고 그 두께가 상대적으로 작아 원사의 꼬임이 발생하여도 최종적으로 생산되는 직물에서 꼬임 발생 여부가 육안으로 드러나지 않고 제품의 품질에도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테이프사는 일정 폭을 가는 사각 모양이어서 꼬임 발생 시 꼬임의 회복이 어려우며, 최종적으로 생산되는 직물의 품질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일 목적은 원단으로부터 테이프사를 제조하고 제조된 테이프사의 꼬임 현상을 방지하면서 제직기로 테이프사를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테이프사의 제직 준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단 공급부; 원단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원단을 1~10㎜의 폭을 가진 테이프사로 제조하기 위한 다수의 커팅날들을 포함하는 커팅부; 커팅부에서 제조된 테이프사를 이송시키기 위한 테이프사 이송부;및 테이프사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테이프사의 다수 가닥을 일 가닥씩 분리 후 이를 제직기로 안내하기 위한 테이프사 안내부;를 포함하는 테이프사의 제직 준비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원단 공급부는 바람직하게는 텐션 조절기가 장착된 텐션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팅부는 바람직하게는 상부 롤러 및 상기 상부 롤러와 맞물려 회전하는 하부 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커팅부의 상부 롤러는 표면에 1~10㎜의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커팅날들이 형성된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팅부의 상부 롤러는 바람직하게는 별도의 구동장치와 연결되어 상부롤러의 회전수를 별도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팅부의 하부 롤러는 바람직하게는 표면에 커팅날들을 수용하는 다수의 홈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커팅날들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테이프사 이송부는 바람직하게는 상부 롤러 및 상기 상부 롤러와 맞물려 회전하는 하부 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이프사 안내부는 바람직하게는 하부 지지대, 상부 지지대 및 상기 하부 지지대와 상부 지지대 사이에 형성되고 1~10㎜의 폭을 가진 다수의 슬릿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된 테이프사는 상기 슬릿들에 의해 일 가닥씩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이프사 안내부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지지대의 전방 및 하부 지지대보다 2~20㎜ 높은 곳에 상기 슬릿들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된 꼬임방지바를 더 구비한다. 꼬임방지바는 슬릿들을 통과한 테이프사가 상, 하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사의 제직 준비 장치를 이용하여 테이프사의 제직 준비를 수행하는 경우 종래의 정경 공정이 생략되기 때문에 테이프사의 꼬임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우수한 품질의 직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정경 공정의 생략으로 제직 준비 공정이 단순화되기 때문에 직물의 생산 속도가 증가하고 직물의 생산 설비가 절감되며, 최종적으로 직물의 생산 효율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사의 제직 준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사의 제직 준비 장치에 채택된 커팅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사의 제직 준비 장치에 채택된 테이프사 안내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사의 제직 준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사의 제직 준비 장치는 원단 공급부(10); 원단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원단을 1~10㎜의 폭을 가진 테이프사로 제조하기 위한 다수의 커팅날들을 포함하는 커팅부(20); 커팅부에서 제조된 테이프사를 이송시키기 위한 테이프사 이송부(30);및 테이프사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테이프사의 다수 가닥을 일 가닥씩 분리 후 이를 제직기로 안내하기 위한 테이프사 안내부(40);을 포함한다.
원단 공급부(10)는 테이프사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인 원단을 후술하는 커팅부로 공급한다. 원단은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천연섬유로 제조된 원단, 인조섬유로 제조된 원단, 또는 피혁 원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원단 공급부에서 공급하는 원단의 크기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그 폭이 최종적으로 생산하고자 하는 직물의 폭과 동일하거나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사의 제직 준비 장치를 이용하여 직물을 제직하는 경우 정경 공정이 생략되기 때문에 직물의 크기는 원단 공급부에서 공급하는 원단의 크기에 의해 제한된다. 원단 공급부는 일반적으로 중심축을 가진 롤러로 구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텐션 조절기(도면에 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된 텐션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원단 공급부 및 후술하는 커팅부와 테이프사 이송부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구동장치에 연결되어 구동된다. 이때 원단이 커팅부에서 커팅될 때 공급부에서 커팅부로 공급되는 원단은 원단 고유의 신장 특성 때문에 소정의 장력을 유지하지 못하고 아래로 처질 수 있고, 원단 공급이 원활하지 못할 염려가 있다. 텐션 조절기는 원단 공급부에서 커팅부로 공급되는 원단에 일정한 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공지의 방법으로 원단 공급부를 구성하는 롤러에 장착된다.
커팅부(20)는 원단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원단을 일정 폭, 예를 들어 약 1~10㎜의 폭을 가진 테이프사로 전환시킨다. 이를 위해 커팅부는 약 1~10㎜의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커팅날들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사의 제직 준비 장치에 채택된 커팅부의 사시도이다. 커팅부는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롤러(21) 및 상기 상부 롤러와 맞물려 회전하는 하부 롤러(26)로 구성된다. 상기 커팅부의 상부 롤러 표면에는 약 1~10㎜의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커팅날들(22)이 형성되어 있어서, 원단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원단을 약 1~10㎜의 폭을 가진 테이프사로 전환시킬 수 있다. 원단 공급부, 커팅부 및 후술하는 테이프사 이송부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구동장치에 연결되어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하는데, 이때 커팅부를 통과한 원단의 일부가 커팅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커팅부의 상부 롤러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별도의 구동장치(도 1 및 도 2에 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원단이 커팅부를 통과하는 속도는 원단 공급부, 커팅부의 하부 롤러 및 후술하는 테이프사 이송부에 연결된 구동장치에 의해 조절되고, 커팅부의 상부 롤러는 별도의 구동장치에 의해 조절되기 때문에 원단의 일부가 커팅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시 상부 롤러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켜 원단의 일부가 커팅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팅부의 하부 롤러 표면에는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커팅날들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홈들(27)이 형성되어 있어서, 커팅날들의 마모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부 롤러의 다수의 홈들은 상부 롤러의 커팅날들과 대응되는 하부 롤러의 표면에 약 1~10㎜의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원단을 자른 커팅날들이 하부 롤더 표면과 강하게 마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테이프사 이송부(30)는 커팅부에서 제조된 테이프사를 후술하는 테이프사 안내부로 안정적으로 이송시켜 테이프사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제직기에서의 제직을 원활하게 한다. 테이프사 이송부는 일반적으로 롤러로 구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커팅부와 연동되어 테이프사를 안정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상부 롤러(31) 및 상기 상부 롤러와 맞물려 회전하는 하부 롤러(36)로 구성된다.
테이프사 안내부(40)는 테이프사의 꼬임을 방지하면서 테이프사를 제직기(50)로 안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사의 제직 준비 장치에 채택된 테이프사 안내부의 사시도이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사 안내부는 바람직하게는 하부 지지대(41), 상부 지지대(42) 및 상기 하부 지지대와 상부 지지대 사이에 형성되고 약 1~10㎜의 폭을 가진 다수의 슬릿들(43)을 구비한다. 테이프사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다수 가닥의 테이프사는 슬릿들에 의해 일 가닥씩 분리되고 이후 제직기로 공급된다. 상기 슬릿들은 하부 지지대와 상부 지지대 사이에 종방향으로 부착되고 약 1~10㎜의 간격을 가지는 다수의 분리판들(44)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하부 지지대(41) 및 상부 지지대(42) 사이의 거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테이프사 안내부가 후술하는 꼬임방지바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약 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슬릿들을 통과하는 테이프사가 상, 하 방향으로 크게 요동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테이프사 안내부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슬릿들을 통과한 테이프사가 상, 하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꼬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꼬임방지바(45)를 더 구비한다. 꼬임방지바는 상기 하부 지지대의 전방에 상기 슬릿들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꼬임방지바는 하부 지지대와 상부 지지대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하부 지지대보다 2~20㎜ 높은 곳, 보다 바람직하게는 5~10㎜ 높은 곳에 위치한다. 테이프사는 꼬임방지바와 하부 지지대 사이의 간극으로 이루어진 슬릿들의 일부분을 통과하게 되는데 꼬임방지바와 하부 지지대 사이의 간극이 2㎜ 미만이면 테이프사를 제직기로 안내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할 염려가 있고, 꼬임방지바와 하부 지지대 사이의 간극이 20㎜를 초과하면 슬릿들을 통과한 테이프사가 상, 하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꼬이는 것을 방지하는데 어려울 수 있다.
테이프사 안내부를 통과한 테이프사는 일 가닥씩 분리된 후 제직기로 공급되고, 특정 형상과 크기를 가진 직물로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사의 제직 준비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테이프사의 제조와 제직이 동시에 수행되어 정경 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정경 공정에서 발생하는 테이프사의 꼬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공정의 단축으로 직물의 생산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 : 원단 공급부 20 : 커팅부
21 : 커팅부의 상부 롤러 22 : 커팅날
26 : 커팅부의 하부 롤러 27 : 홈
30 : 이송부 40 : 테이프사 안내부
41 : 하부 지지대 42 : 상부 지지대
43 : 슬릿 44 : 분리판
45 : 꼬임방지바

Claims (8)

  1. 원단 공급부;
    상기 원단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원단을 1~10㎜의 폭을 가진 테이프사로 제조하기 위한 다수의 커팅날들을 포함하는 커팅부;
    상기 커팅부에서 제조된 테이프사를 이송시키기 위한 테이프사 이송부;및
    상기 테이프사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테이프사의 다수 가닥을 일 가닥씩 분리 후 이를 제직기로 안내하기 위한 테이프사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사 안내부는 상부 지지대, 하부 지지대, 상기 상부 지지대와 하부 지지대 사이에 형성된 다수의 슬릿, 및 상기 상부 지지대와 하부 지지대 사이의 전방의 위치에 설치된 꼬임방지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사의 제직 준비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 공급부는 텐션 조절기가 장착된 텐션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사의 제직 준비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는 상부 롤러 및 상기 상부 롤러와 맞물려 회전하는 하부 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커팅부의 상부 롤러 표면에는 1~10㎜의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커팅날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사의 제직 준비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의 상부 롤러는 별도의 구동장치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사의 제직 준비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의 하부 롤러 표면에는 다수의 커팅날들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홈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사의 제직 준비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사 이송부는 상부 롤러 및 상기 상부 롤러와 맞물려 회전하는 하부 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사의 제직 준비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슬릿 각각은 1~10㎜의 폭을 가지고,
    상기 이송된 테이프사는 상기 슬릿들에 의해 일 가닥씩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사의 제직 준비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꼬임방지바는 상기 하부 지지대보다 2~20㎜ 높은 곳에 상기 슬릿들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사의 제직 준비 장치.
KR1020100048969A 2010-05-26 2010-05-26 테이프사의 제직 준비 장치 KR101620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969A KR101620346B1 (ko) 2010-05-26 2010-05-26 테이프사의 제직 준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969A KR101620346B1 (ko) 2010-05-26 2010-05-26 테이프사의 제직 준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547A KR20110129547A (ko) 2011-12-02
KR101620346B1 true KR101620346B1 (ko) 2016-05-13

Family

ID=45498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969A KR101620346B1 (ko) 2010-05-26 2010-05-26 테이프사의 제직 준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03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9635A (ko) * 2020-03-25 2021-10-06 고영신 매트용 직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943B1 (ko) * 2012-04-27 2014-01-10 주식회사 라지 판형 복합섬유용 절단기가 구비된 제직장치
KR101282515B1 (ko) * 2013-03-22 2013-07-04 노원석 비닐지를 다수개로 절단분할된 다수의 비닐사를 직조하는 직기 및 그 직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9635A (ko) * 2020-03-25 2021-10-06 고영신 매트용 직조장치
KR102332316B1 (ko) 2020-03-25 2021-11-26 고영신 매트용 직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547A (ko) 201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752315B (zh) 带状纤维束织物的织造装置
CN100480450C (zh) 用于铺设长丝纤维条的方法和装置
WO2006092115A1 (de) Schussfadenzuführvorrichtung für webmaschinen, insbes. greiferwebmaschinen'
CN104213297A (zh) 一种整经装置
KR101620346B1 (ko) 테이프사의 제직 준비 장치
KR101757678B1 (ko) 코아 네트 직조장치
CN107059237A (zh) 一种单针床经编机的对称送经方法及装置
US20190360130A1 (en) Core yarn comprising core thread with variant drawing, and fabric that is obtained from this core yarn
CN112458619B (zh) 一种经编机张力补偿装置及张力控制系统
JPH10501035A (ja) 環状織機の織物引取装置
CN210481647U (zh) 一种适用于防污阻燃沙发面料的整经机中的分纱装置
KR101800516B1 (ko) 정경기용 플랫원사 크릴장치
CN101173415B (zh) 通过编织-拆线来处理线的方法以及线处理作业线
CN216473779U (zh) 针织可变花色圆扁钩编机
CN107447321B (zh) 锦纶母纱整经方法及锦纶母纱整经装置
KR100957169B1 (ko) 원형 베일러 에코네트와 그 제조용 필름사 텐션 조절장치
CN1584162A (zh) 具有结头排列装置的整经机
CN112342683B (zh) 一种经编纬编复合织造设备
KR100967513B1 (ko) 어망사 제조용 다중 연사장치와 다중 연사장치를 이용하여 제조한 어망사
KR102104236B1 (ko) 이종 원사 공급이 가능한 직조 장치
TW461926B (en) Strand guide device for braiding machine, particularly rotational braiding machine
KR100880019B1 (ko) 원단제조장치
US7814627B2 (en) Process for treating threads by knitting-unraveling
CN203569289U (zh) 提花链条整经机
US10669648B1 (en) Twist vari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