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7422A - 촬영 렌즈, 촬영 렌즈를 구비한 광학 기기 및 촬영 렌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촬영 렌즈, 촬영 렌즈를 구비한 광학 기기 및 촬영 렌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7422A
KR20090087422A KR1020090011144A KR20090011144A KR20090087422A KR 20090087422 A KR20090087422 A KR 20090087422A KR 1020090011144 A KR1020090011144 A KR 1020090011144A KR 20090011144 A KR20090011144 A KR 20090011144A KR 20090087422 A KR20090087422 A KR 20090087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omponent
refractive power
lens group
lens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노리 다케
사야코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30561A external-priority patent/JP515152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100935A external-priority patent/JP515163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100936A external-priority patent/JP5136776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Publication of KR20090087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74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more than six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46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more than five groups
    • G02B15/1461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more than five groups the first group being positiv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0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wo components only
    • G02B9/06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wo components only two +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Abstract

촬영 렌즈를,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1 렌즈 성분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2 렌즈 성분과, 가장 이미지측에 가까이,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렌즈 및 부렌즈를 부착시킨 접합 렌즈를 갖는 구성으로 한다. 제 1 렌즈 성분의 d 선에 대한 굴절률을 n1, 아베수를 ν1 로 하고, 제 2 렌즈 성분의 d 선에 대한 굴절률을 n2, 아베수를 ν2 로 했을 때, 다음 식
(n1+n2)/2 > 1.49
(ν1+ν2)/2 > 60
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성한다.
Figure P1020090011144
촬영 렌즈, 광학 기기, 합초, 접합 렌즈, 굴절률, 아베수

Description

촬영 렌즈, 촬영 렌즈를 구비한 광학 기기 및 촬영 렌즈의 제조 방법{IMAGE TAKING LENS, OPTICAL APPARATUS HAVING IMAGE TAKING LEN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MAGE TAKING LENS}
본 발명은 촬영 렌즈, 이 촬영 렌즈를 구비한 광학 기기 및 결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진용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 등에서, F 넘버가 비교적 밝고, 높은 광학 성능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렌즈 타입으로서, 이른바 가우스형 렌즈가 있으며, 현재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302311호 참조).
그러나, 종래의 렌즈에서는 색수차, 특히 2 차 스펙트럼의 보정에 있어서 불충분하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F 넘버가 1.2 정도이고, 화면 전체의 제수차, 특히 색수차를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어, 화면 전체에 걸쳐 높은 광학 성능을 가진 촬영 렌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요약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정 양태들, 이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이 여기에서 설명된다. 이러한 모든 이점들이 본 발명의 임의의 특정 실시형태들과 함께 성취될 수도 있음을 설명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교시되거나 제안되어질 수도 있는 다른 이점들을 필수적으로 성취하지 않은채, 교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이점 또는 일군의 이점들을 달성하거나 최적화하는 방식으로 구현되거나 실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촬영 렌즈는 가장 물체측에 가까이,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 (正) 의 굴절력을 갖는 제 1 렌즈 성분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2 렌즈 성분을 가지고, 가장 이미지측에 가까이,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正)렌즈 및 부(負)렌즈를 부착시킨 접합 렌즈를 가지고, 제 1 렌즈 성분의 d 선에 대한 굴절률을 n1, 아베수를 ν1 로 하고, 상기 제 2 렌즈 성분의 d 선에 대한 굴절률을 n2, 아베수를 ν2 로 했을 때, 다음 식
(n1+n2)/2 > 1.49
(ν1+ν2)/2 > 60
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촬영 렌즈에 있어서, 제 1 렌즈 성분 및 상기 제 2 렌즈 성분은 각각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하게 한 메니스커스 형상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촬영 렌즈에 있어서, 상기 제 2 렌즈 성분과 상기 접합 렌즈 사이에,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전측 (前側) 부렌즈 성분과, 개구 조리개와, 부의 굴절력을 갖는 후측 (後側) 부렌즈 성분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후측 정(正)렌즈 성분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촬영 렌즈에 있어서, 상기 제 2 렌즈 성분과 상기 전측 부(負)렌즈 성분 사이에,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하게 한 메니스커스 형상의 제 3 렌즈 성분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촬영 렌즈에 있어서, 상기 전측 부렌즈 성분은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하게 한 메니스커스 형상의 제 4 렌즈 성분이고, 상기 후측 부렌즈 성분은 양 오목 형상의 제 5 렌즈 성분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촬영 렌즈에 있어서, 상기 후측 정렌즈 성분으로서의 제 6 렌즈 성분과 상기 접합 렌즈 사이에,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7 렌즈 성분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촬영 렌즈에 있어서, 상기 후측 부렌즈 성분과 상기 후측 정렌즈 성분은 부착된 접합 렌즈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촬영 렌즈에 있어서, 가장 이미지측에 가까이 배치된 상기 접합 렌즈의 상기 정렌즈의 d 선에 대한 굴절률을 n8, 아베수를 ν8 로 하고, 가장 이미지측에 가까이 배치된 상기 접합 렌즈의 상기 부렌즈의 d 선에 대한 굴절률을 n9, 아베수를 ν9 로 했을 때, 다음 식
n8 > n9
ν8 > ν9
의 조건을 만족해도 된다.
이와 같은 촬영 렌즈에 있어서, 상기 전측 부렌즈 성분의 이미지측의 면의 곡률 반경을 r8 로 하고, 상기 촬영 렌즈 전체 계(係)의 초점 거리를 f 로 했을 때, 다음 식
0.3 < r8/f < 0.5
의 조건을 만족해도 된다.
이와 같은 촬영 렌즈에 있어서, 가장 이미지측에 가까이 배치된 상기 접합 렌즈와 그 밖의 렌즈는 포커싱시에 상이한 속도로 광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촬영 렌즈에 있어서, 가장 이미지측에 가까이 배치된 상기 접합 렌즈의 초점 거리를 f89 로 하고, 상기 촬영 렌즈 전체 계의 초점 거리를 f 로 했을 때, 다음 식
1 < f89/f < 2
의 조건을 만족해도 된다.
이와 같은 촬영 렌즈에 있어서, 가장 이미지측에 가까이 배치된 상기 접합 렌즈의 상기 정렌즈 성분은 양(兩) 볼록 형상이어도 된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광학 기기는 상기 서술한 촬영 렌즈 중 어느 것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촬영 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전측 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후측 렌즈군을 가지고, 상기 전측 렌즈군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1 렌즈 성분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2 렌즈 성분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3 렌즈 성분과,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 4 렌즈 성분과, 개구 조리개와,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 5 렌즈 성분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6 렌즈 성분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7 렌즈 성분을 가지고, 상기 후측 렌즈군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렌즈와 부렌즈를 부착시킨 접합 렌즈를 가지고, 무한원 (無限遠) 으로부터 근거리 물체에 합초 (合蕉) 할 때에, 상기 전측 렌즈군과 상기 후측 렌즈군의 간격이 증대되도록, 상기 전측 렌즈군 및 상기 후측 렌즈군이 상이한 이동량으로 광축을 따라 물체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전측 렌즈군의 초점 거리를 fF 로 하고, 상기 후측 렌즈군의 초점 거리를 fR 로 했을 때, 다음 식
0.79 < fF/fR < 1.58
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촬영 렌즈에 있어서, 상기 전측 렌즈군 및 상기 후측 렌즈군은 중간 촬영 거리로부터 근거리 물체에 합초할 때에, 상이한 이동량비로 광축을 따라 이동해도 된다.
이와 같은 촬영 렌즈에 있어서, 상기 후측 렌즈군 중의 상기 부렌즈의 초점 거리를 f9 로 하고, 당해 촬영 렌즈의 전체 계의 초점 거리를 f 로 했을 때, 다음 식
0.78 < (-f9)/f < 1.59
의 조건을 만족해도 된다.
이와 같은 촬영 렌즈에 있어서, 상기 제 5 렌즈 성분은 양(兩) 오목 형상이고, 상기 제 6 렌즈 성분은 양 볼록 형상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촬영 렌즈에 있어서, 상기 제 7 렌즈 성분은 양 볼록 형상의 정렌즈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촬영 렌즈에 있어서, 상기 제 7 렌즈 성분은 이미지측으로 볼록면을 향하게 한 정(正)메니스커스 렌즈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촬영 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전측 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후측 렌즈군을 가지고, 상기 전측 렌즈군은 가장 물체측으로부터 가까운 순서대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1 렌즈 성분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2 렌즈 성분을 가지고, 상기 후측 렌즈군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렌즈와 부렌즈가 부착된 접합 렌즈를 가지고, 상기 제 1 렌즈 성분의 d 선에 대한 아베수를 ν1 로 하고, 상기 제 2 렌즈 성분의 d 선에 대한 아베수를 ν2 로 하고, 무한원으로부터 촬영 배율 -0.01 배로 합초할 때의 상기 전측 렌즈군의 이동량을 γF1 로 하고, 무한원으로부터 촬영 배율 -0.01 배로 합초할 때의 상 기 후측 렌즈군의 이동량을 γR1 로 했을 때, 다음 식
(ν1+ν2)/2 > 60
0.35 < γR1/γF1 < 0.80
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촬영 렌즈에 있어서, 상기 전측 렌즈군 및 상기 후측 렌즈군은, 중간 촬영 거리로부터 근거리 물체에 합초할 때에, 상이한 이동량비로 광축을 따라 이동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촬영 렌즈에 있어서, 무한원으로부터 촬영 배율 -0.07 배로 합초할 때에, 상기 전측 렌즈군의 이동량을 γF2 로 하고, 상기 후측 렌즈군의 이동량을 γR2 로 했을 때, 다음 식
0.35 < γR2/γF2 < 0.50
의 조건을 만족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촬영 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전측 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후측 렌즈군을 가지고, 상기 전측 렌즈군은 개구 조리개로부터 물체측에,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1 렌즈 성분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2 렌즈 성분을 가지고, 상기 후측 렌즈군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렌즈와 부렌즈가 부착된 접합 렌즈를 가지고, 상기 제 1 렌즈 성분의 d 선에 대한 아베수를 ν1 로 하고, 상기 제 2 렌즈 성분의 d 선에 대한 아베수를 ν2 로 하고, 무한원으로부터 촬영 배율 -0.01 배로 합초할 때의 상기 전측 렌즈군의 이동량을 γF1 로 하고, 무한원으로부터 촬영 배율 -0.01 배로 합초할 때의 상기 후측 렌즈 군의 이동량을 γR1 로 했을 때, 다음 식
(ν1+ν2)/2 > 60
0.35 < γR1/γF1 < 0.80
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촬영 렌즈에 있어서, 상기 전측 렌즈군 및 상기 후측 렌즈군은, 중간 촬영 거리로부터 근거리 물체에 합초할 때에, 상이한 이동량비로 광축을 따라 이동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촬영 렌즈에 있어서, 무한원으로부터 촬영 배율 -0.07 배로 합초할 때에, 상기 전측 렌즈군의 이동량을 γF2 로 하고, 상기 후측 렌즈군의 이동량을 γR2 로 했을 때, 다음 식
0.35 < γR2/γF2 < 0.50
의 조건을 만족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촬영 렌즈의 제조 방법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1 렌즈 성분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2 렌즈 성분을 가지고, 또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전측 렌즈군과,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렌즈와 부렌즈가 부착된 접합 렌즈를 가지고, 또한 정의 굴절력을 갖는 후측 렌즈군을 배치하는 단계와, 무한원으로부터 촬영 배율 -0.01 배로 합초하도록 상기 전측 렌즈군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렌즈 성분의 d 선에 대한 아베수를 ν1 로 하고, 상기 제 2 렌즈 성분의 d 선에 대한 아베수를 ν2 로 하고, 무한원으로부터 촬영 배율 -0.01 배로 합초할 때의 상기 전측 렌즈군의 이동량을 γF1 로 하고, 무 한원으로부터 촬영 배율 -0.01 배로 합초할 때의 상기 후측 렌즈군의 이동량을 γR1 로 했을 때, 다음 식
(ν1+ν2)/2 > 60
0.35 < γR1/γF1 < 0.80
의 조건을 만족한다.
이와 같은 촬영 렌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렌즈 성분과 상기 접합 렌즈 사이에,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전측 부렌즈 성분과, 개구 조리개와, 부의 굴절력을 갖는 후측 부렌즈 성분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후측 정렌즈 성분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촬영 렌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가장 이미지측에 가까이 배치된 상기 접합 렌즈와 그 밖의 렌즈는 포커싱시에 상이한 속도로 광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촬영 렌즈의 제조 방법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전측 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후측 렌즈군을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전측 렌즈군과 상기 후측 렌즈군의 간격이 증대되도록, 상기 전측 렌즈군 및 상기 후측 렌즈군을 상이한 이동량으로 광축을 따라 물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무한원으로부터 근거리 물체에 합초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전측 렌즈군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1 렌즈 성분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2 렌즈 성분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3 렌즈 성분과,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 4 렌즈 성분과, 개구 조리개와,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 5 렌즈 성분과, 정의 굴 절력을 갖는 제 6 렌즈 성분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7 렌즈 성분을 가지고, 상기 후측 렌즈군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렌즈와 부렌즈를 부착시킨 접합 렌즈를 가지고, 상기 전측 렌즈군의 초점 거리를 fF 로 하고, 상기 후측 렌즈군의 초점 거리를 fR 로 했을 때, 다음 식
0.79 < fF/fR < 1.58
의 조건을 만족한다.
이와 같은 촬영 렌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측 렌즈군 및 상기 후측 렌즈군은 중간 촬영 거리로부터 근거리 물체에 합초할 때에, 상이한 이동량비로 광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촬영 렌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후측 렌즈군 중 상기 부렌즈의 초점 거리를 f9 로 하고, 당해 촬영 렌즈의 전체 계의 초점 거리를 f 로 했을 때, 다음 식
0.78 < (-f9)/f < 1.59
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촬영 렌즈의 제조 방법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1 렌즈 성분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2 렌즈 성분을 가지고, 또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전측 렌즈군과,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렌즈와 부렌즈가 부착된 접합 렌즈를 가지고, 또한 정의 굴절력을 갖는 후측 렌즈군을 배치하는 단계와, 무한원으로부터 촬영 배율 -0.01 배로 합초하도록 상기 전측 렌즈군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렌즈 성분의 d 선에 대한 아베수를 ν1 로 하고, 상기 제 2 렌즈 성분의 d 선에 대한 아베수를 ν2 로 하고, 무한원으로부터 촬영 배율 -0.01 배로 합초할 때의 상기 전측 렌즈군의 이동량을 γF1 로 하고, 무한원으로부터 촬영 배율 -0.01 배로 합초할 때의 상기 후측 렌즈군의 이동량을 γR1 로 했을 때, 다음 식
(ν1+ν2)/2 > 60
0.35 < γR1/γF1 < 0.80
의 조건을 만족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촬영 렌즈의 제조 방법은 개구 조리개로부터 물체측에,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1 렌즈 성분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2 렌즈 성분을 가지고, 또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전측 렌즈군과,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렌즈와 부렌즈가 부착된 접합 렌즈를 가지고, 또한 정의 굴절력을 갖는 후측 렌즈군을 배치하는 단계와, 무한원으로부터 촬영 배율 -0.01 배로 합초하도록 상기 전측 렌즈군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렌즈 성분의 d 선에 대한 아베수를 ν1 로 하고, 상기 제 2 렌즈 성분의 d 선에 대한 아베수를 ν2 로 하고, 무한원으로부터 촬영 배율 -0.01 배로 합초할 때의 상기 전측 렌즈군의 이동량을 γF1 로 하고, 무한원으로부터 촬영 배율 -0.01 배로 합초할 때의 상기 후측 렌즈군의 이동량을 γR1 로 했을 때, 다음 식
(ν1+ν2)/2 > 60
0.35 < γR1/γF1 < 0.80
의 조건을 만족한다.
이와 같은 촬영 렌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무한원으로부터 촬영 배율 -0.07 배로 합초할 때에, 상기 전측 렌즈군의 이동량을 γF2 로 하고, 상기 후측 렌즈군의 이동량을 γR2 로 했을 때, 다음 식
0.35 < γR2/γF2 < 0.50
의 조건을 만족해도 된다.
이와 같은 촬영 렌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무한원으로부터 촬영 배율 -0.07 배로 합초할 때에, 상기 전측 렌즈군의 이동량을 γF2 로 하고, 상기 후측 렌즈군의 이동량을 γR2 로 했을 때, 다음 식
0.35 < γR2/γF2 < 0.50
의 조건을 만족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촬영 렌즈, 이 촬영 렌즈를 구비한 광학 기기 및 촬영 렌즈의 제조 방법을 이상과 같이 구성하면, F 넘버가 1.2 정도이고, 화면 전체의 제수차, 특히 색수차를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어, 화면 전체에 걸쳐 높은 광학 성능을 가진 촬영 렌즈를 얻을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촬영 렌즈 (ZL) 는 광축을 따라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1 렌즈 성분 (G1) 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2 렌즈 성분 (G2) 과, 가장 이미지측에 가까이,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렌즈 (G8) 및 부렌즈 (G9) 를 부착시킨 접합 렌즈 (G89) 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본 촬영 렌즈 (ZL) 는 유효 직경이 25 ∼ 30㎜ 정도인 대구경 렌즈로 할 수 있다. 또, 가장 이미지측에 가까운 렌즈에, 정렌즈 (G8) 및 부렌즈 (G9) 를 부착시킨 접합 렌즈 (G89) 를 배치함으로써, 이미지측의 렌즈에서도 색소거 효과가 있어, 전체적으로 색수차를 보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합 렌즈로 함으로써, 광선의 전반사를 방지하여, 당해 렌즈에 있어서 광선을 양호하게 통과시킬 수 있다.
본 촬영 렌즈 (ZL) 의 구체적 실시형태로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제 1 렌즈 성분 (G1), 제 2 렌즈 성분 (G2) 및 접합 렌즈 (G89) 에 더하여, 제 2 렌즈 성분 (G2) 의 이미지측과 접합 렌즈 (G89) 의 물체측 사이에,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하게 한 메니스커스 형상의 제 3 렌즈 성분 (G3) 과,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전측 부렌즈 성분 (G4) 과, 개구 조리개 (S) 와, 부의 굴절력을 갖는 후측 부렌즈 성분 (G5) 및 정의 굴절력을 갖는 후측 정렌즈 성분 (G6) 을 부착시킨 접합 렌즈 (G56) 와,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7 렌즈 성분 (G7) 이 형성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7 군 9 장의 렌즈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촬영 렌즈 (ZL) 는 이른바 가우스 타입의 렌즈를 변형한 것이다. 가우스 타입에서는 조리개의 전후에서 렌즈가 대략 대칭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그 대칭성에 의해 왜곡 수차 등의 보정이 간단하다. 또, 본 촬영 렌즈 (ZL) 는 일 본 공개특허공보 평1-302311호와 마찬가지로, 개구 조리개 (S) 로부터 물체측의 부메니스커스 렌즈 (도 1 에서는 전측 부렌즈 성분 (G4)) 의 물체측에 렌즈 성분을 3 장 배치함으로써 (도 1 에서는 제 1 ∼ 제 3 렌즈 성분 (G1 ∼ G3)), 각각의 곡률 반경이 커져, 구면 수차의 발생을 작게 하고 있다.
또, 본 촬영 렌즈 (ZL) 에 있어서, 제 1 렌즈 성분 (G1) 및 제 2 렌즈 성분 (G2) 은 각각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하게 한 메니스커스 형상이 바람직하다. 제 4 렌즈 성분인 전측 부렌즈 성분 (G4) 은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하게 한 메니스커스 형상이 바람직하다. 또, 제 5 렌즈 성분인 후측 부렌즈 성분 (G5) 은 양 오목 형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장 이미지측에 가까이 배치된 접합 렌즈 (G89) 의 정렌즈 (G8) 는 양 볼록 형상이 바람직하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렌즈 성분 (G2) 과 전측 부렌즈 성분 (G4) 사이에,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 3 렌즈 성분 (G3) 을 배치하는 경우, 이 제 3 렌즈 성분 (G3) 은 1 ∼ 2 장의 구성이 바람직하다. 또, 후측 부렌즈 성분 (G5) 과 접합 렌즈 (G89) 사이에, 제 7 렌즈 성분 (G7) 을 배치하는 경우, 이 제 7 렌즈 성분 (G7) 은 1 ∼ 2 장 구성이 바람직하고, 정의 굴절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이와 같은 촬영 렌즈 (ZL) 를 구성하기 위한 조건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이 촬영 렌즈 (ZL) 는 제 1 렌즈 성분 (G1) 의 d 선에 대한 굴절률을 n1, 아베수를 ν1 로 하고, 제 2 렌즈 성분 (G2) 의 d 선에 대한 굴절률을 n2, 아베수를 ν2 로 했을 때, 이하에 나타내는 조건 식 (1) 및 조건 식 (2) 를 만족하도록 구성된다.
(n1+n2)/2 > 1.49 (1)
(ν1+ν2)/2 > 60 (2)
조건 식 (1) 및 조건 식 (2) 는 물체측의 2 개의 메니스커스 형상의 렌즈 성분 (G1, G2) 의 굴절력과 분산을 규정하는 조건이다. 조건 식 (1) 및 조건 식 (2) 를 동시에 만족함으로써, 일반 재료보다 굴절률에 대해 분산이 작아, 색수차를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다. 특히, 하측의 코마 수차를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다. 또, 물체측의 렌즈 성분이 색수차의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변형 가우스 타입의 본 촬영 렌즈 (ZL) 에 있어서, 조건 식 (1) 및 조건 식 (2) 를 만족하는 것은 색수차의 보정에 특별히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 본 촬영 렌즈 (ZL) 에 있어서, 가장 이미지측에 가까이 배치된 접합 렌즈 (G89) 의 정렌즈 (G8) 의 d 선에 대한 굴절률을 n8, 아베수를 ν8 로 하고, 가장 이미지측에 가까이 배치된 접합 렌즈 (G89) 의 부렌즈 (G9) 의 d 선에 대한 굴절률을 n9, 아베수를 ν9 로 했을 때, 이하에 나타내는 조건 식 (3) 및 조건 식 (4) 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8 > n9 (3)
ν8 > ν9 (4)
조건 식 (3) 및 조건 식 (4) 는 가장 이미지측에 가까이 배치된 접합 렌즈 (G89) 의 정렌즈 (G8) 와 부렌즈 (G9) 의 굴절력과 분산을 규정하는 조건이다. 조건 식 (3) 을 만족함으로써, 페츠발 합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조건 식 (4) 를 만족함으로써, 색수차를 보정할 수 있다. 여기서, 코마 수차, 구면 수차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 정렌즈 (G8) 에 고굴절률의 재료를 사용하면, 분산이 커지고, 부렌즈 (G9) 는 색수차 보정을 위해서 높은 굴절률이 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페츠발 합이 커진다. 이를 위해, 가장 이미지측에 가까이 배치된 접합 렌즈 (G89) 를, 조건 식 (3) 및 조건 식 (4) 를 동시에 만족하는 접합 렌즈로 함으로써, 고굴절률의 재료를 사용해도 색 소거와 페츠발 합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효과를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는 조건 식 (4) 에 있어서, 정렌즈 (G8) 의 아베수 (ν8) 가, 부렌즈 (G9) 의 아베수 (ν9) 보다 20 이상 큰 것, 즉 다음 식 (a1)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ν8-ν9 > 20 (a1)
본 촬영 렌즈 (ZL) 는 또한, 전측 부렌즈 성분 (G4) 의 이미지측의 면 (도 1 에서는 물체측으로부터 세어 8 번째 렌즈면) 의 곡률 반경을 r8 로 하고, 촬영 렌즈 (ZL) 전체 계의 초점 거리를 f 로 했을 때, 이하에 나타내는 조건 식 (5) 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3 < r8/f < 0.5 (5)
조건 식 (5) 은 초점 거리 f 에 대한 전측 부렌즈 성분 (G4) 의 이미지측의 면의 곡률 반경의 비를 규정하는 조건이다. 조건 식 (5) 의 하한치를 하회하면 코마 수차의 보정이 곤란해진다. 또, 후군 전체의 파워가 강해져, 전체적으로 구면 수차를 양호하게 보정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반대로, 조건 식 (5) 의 상한치를 상회하면 페츠발 합이 커져, 이미지면 만곡을 보정하는 것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이 촬영 렌즈 (ZL) 는 단독 또는 복수의 렌즈 성분, 또는 렌즈 성분의 일부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무한원 (無限遠) 물체로부터 근거리 물체에 대한 합초를 실시하는 합초 렌즈군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합초 렌즈군은 오토포커스에도 적용할 수 있고, 오토포커스용의 (초음파 모터 등의) 모터 구동에도 적합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촬영 렌즈 (ZL) 의 가장 이미지측에 가까이 배치된 접합 렌즈 (G89) 와 그 밖의 렌즈는 포커싱시에 상이한 속도로 광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근거리 물체에 대한 합초를 실시할 때의 구면 수차와 이미지면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구 조리개 (S) 는 포커싱시에, 전측 부렌즈 성분 (G4) 또는 후측 부렌즈 성분 (G5) 과 함께 광축을 따라 이동한다.
가장 이미지측에 가까이 배치된 접합 렌즈 (G89) 는 또한, 이 접합 렌즈 (G89) 의 초점 거리를 f89 로 하고, 촬영 렌즈 전체 계의 초점 거리를 f 로 했을 때, 이하에 나타내는 조건 식 (6)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 f89/f < 2 (6)
조건 식 (6) 은 가장 이미지측에 가까이 배치된 접합 렌즈 (G89) 의 초점 거리와 촬영 렌즈 (ZL) 전체 계의 초점 거리의 비를 규정하는 조건이다. 조건 식 (6) 의 상한치를 상회하면 촬영 렌즈 전체가 대형화된다. 또, 유한 거리에서 포커싱했을 때, 이미지면의 변동이 커져, 무한으로부터 근거리까지의 수차 보정이 곤란해진다. 또, 이동 거리가 크고, 기능 열화가 심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 다. 반대로, 조건 식 (6) 의 하한치를 하회하면 수차의 보정, 특히 구면 수차의 보정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실시예에 관련된 촬영 렌즈 (ZL) 는 35㎜ 필름 사이즈 환산에서의 초점 거리가 60 ∼ 150㎜ 정도, 바람직하게는 80 ∼ 90㎜ 정도이다. 또, 본 실시예에 관련된 촬영 렌즈 (ZL) 는 가장 이미지측에 가까이 배치된 정렌즈 (G9) 의 이미지측의 면으로부터 이미지면까지의 거리 (백포커스) 가 가장 작은 상태로, 10 ∼ 30㎜ 정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하에 기재된 내용은 광학 성능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채용 가능하다.
먼저, 렌즈면은 비구면으로 해도 상관없다. 이 때, 연삭 가공에 의한 비구면, 형 (型) 을 이용하여 유리를 비구면 형상으로 형성한 유리 몰드 비구면, 유리의 표면에 수지를 비구면 형상으로 형성한 복합형 비구면 중 어느 비구면이어도 상관없다. 전측 부렌즈 성분 (G4) (도 1 에서는 부메니스커스 렌즈 (L4)) 의 이미지측의 면, 후측 부렌즈 성분 (G5) (도 1 에서는 양 오목 렌즈 (L5)) 의 물체측의 면, 후측 정렌즈 성분 (G6) (도 1 에서는 양 볼록 렌즈 (L6)) 의 이미지측의 면 중 적어도 1 개와, 정렌즈 (G8) (도 1 에서는 양 볼록 렌즈 (L8)) 의 물체측의 면 중 어느 것이 비구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렌즈면은 회절면으로 해도 되고, 렌즈를 굴절률 분포형 렌즈 (GRIN 렌즈) 혹은 플라스틱 렌즈로 해도 된다.
또, 개구 조리개 (S) 는 전측 부렌즈 성분 (G4) (도 1 에서는 부메니스커스 렌즈 (L4)) 과 후측 부렌즈 성분 (G5) (도 1 에서는 양 오목 렌즈 (L5)) 사이에 배 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개구 조리개로서의 부재를 형성하지 않고, 렌즈의 프레임으로 그 역할을 대용해도 된다.
또한, 각 렌즈면에는 넓은 파장역에서 높은 투과율을 갖는 반사 방지막을 형성함으로써, 플레어나 고스트를 경감시키고, 고콘트라스트가 높은 광학 성능을 달성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 에, 상기 서술한 촬영 렌즈 (ZL) 를 구비하는 광학 기기로서 전자 스틸 카메라 (1) (이후, 간단히 카메라 (1) 로 표기한다) 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 카메라 (1) 는 도시가 생략된 전원 버튼을 누르면 촬영 렌즈 (ZL) 의 도시가 생략된 셔터가 개방되고, 촬영 렌즈 (ZL) 로 도시가 생략된 피사체로부터의 광이 집광되어, 이미지면 (I) 에 배치된 촬상 소자 (C) (예를 들어, 필름, CCD, CMOS 등) 에 결상된다. 촬상 소자 (C) 에 결상된 피사체 이미지는 카메라 (1) 의 배후에 배치된 액정 모니터 (2) 에 표시된다. 촬영자는 액정 모니터 (2) 를 보면서 피사체 이미지의 구도를 결정한 후, 릴리즈 버튼 (3) 을 눌러 피사체 이미지를 촬상 소자 (C) 로 촬영하고, 도시가 생략된 메모리에 기록 보존한다.
이 카메라 (1) 에는 피사체가 어두운 경우에 보조 광을 발광하는 보조 광 발광부 (4), 변배 광학계 (ZL) 를 광각단 (廣角端) 상태 (W) 로부터 망원단 (望遠端) 상태 (T) 로 주밍할 때의 와이드 (W) - 텔레 (T) 버튼 (5) 및 카메라 (1) 의 다양한 조건 설정 등에 사용하는 펑션 버튼 (6) 등이 배치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촬영 렌즈 (SL) 는 광축을 따라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전측 렌즈군 (GF) 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후측 렌즈군 (GR) 을 가지고, 전측 렌즈군 (GF) 은 가장 물체측으로부터 가까운 순서대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1 렌즈 성분 (G1) 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2 렌즈 성분 (G2) 을 가지고, 후측 렌즈군 (GR) 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렌즈 (G8) 및 부렌즈 (G9) 를 부착시킨 접합 렌즈 (G89) 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본 촬영 렌즈 (SL) 는 유효 직경이 25 ∼ 30㎜ 정도인 대구경 렌즈로 할 수 있다. 또, 가장 이미지측에 가까운 렌즈에, 정렌즈 (G8) 및 부렌즈 (G9) 를 부착시킨 접합 렌즈 (G89) 를 배치함으로써, 이미지측에 배치된 렌즈에서도 색소거 효과가 있어, 전체적으로 색수차를 보정할 수 있다. 특히, 합초시의 색수차의 변동을 줄일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접합 렌즈로 함으로써, 광선의 전반사를 방지하여, 당해 렌즈에 있어서 광선을 양호하게 통과시킬 수 있다.
본 촬영 렌즈 (SL) 의 구체적 실시형태로는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제 1 렌즈 성분 (G1), 제 2 렌즈 성분 (G2) 및 접합 렌즈 (G89) 에 더하여, 제 2 렌즈 성분 (G2) 의 이미지측과 접합 렌즈 (G89) 의 물체측 사이에,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하게 한 메니스커스 형상의 제 3 렌즈 성분 (G3) 과,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 4 렌즈 성분인 전측 부렌즈 성분 (G4) 과, 개구 조리개 (S) 와,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 5 렌즈 성분인 후측 부렌즈 성분 (G5) 및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6 렌즈 성분인 후측 정렌즈 성분 (G6) 을 부착시킨 접합 렌즈 (G56) 와,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7 렌즈 성분 (G7) 이 형성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7 군 9 장의 렌즈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촬영 렌즈 (SL) 는 이른바 가우스 타입의 렌즈를 변형한 것이다. 가우스 타입에서는 조리개의 전후에서 렌즈가 대략 대칭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그 대칭성에 의해 왜곡 수차 등의 보정이 간단하다. 또, 본 촬영 렌즈 (SL) 는 개구 조리개 (S) 로부터 물체측의 부메니스커스 렌즈 (도 11 에서는 제 4 렌즈 성분인 전측 부렌즈 성분 (G4)) 의 물체측에 렌즈 성분을 3 장 배치함으로써 (도 11 에서는 제 1 ∼ 제 3 렌즈 성분 (G1 ∼ G3)), 각각의 곡률 반경이 커져, 구면 수차의 발생을 작게 하고 있다.
또, 본 촬영 렌즈 (SL) 에 있어서, 제 1 렌즈 성분 (G1) 및 제 2 렌즈 성분 (G2) 은 각각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하게 한 메니스커스 형상이 바람직하다. 제 3 렌즈 성분 (G3) 은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하게 한 메니스커스 형상이 바람직하다. 전측 부렌즈 성분인 제 4 렌즈 성분 (G4) 은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하게 한 메니스커스 형상이 바람직하다. 제 5 렌즈 성분 (G5) 과 제 6 렌즈 성분 (G6) 은 부착된 접합 렌즈가 바람직하다. 또, 후측 부렌즈 성분인 제 5 렌즈 성분 (G5) 은 양 오목 형상이 바람직하다. 제 6 렌즈 성분 (G6) 은 양 볼록 형상이 바람직하다. 제 7 렌즈 성분 (G7) 은 양 볼록 형상의 정렌즈, 또는 이미지측으로 볼록면을 향하게 한 정메니스커스 렌즈가 바람직하다. 또한, 가장 이미지측에 가까이 배치된 접합 렌즈 (G89) 의 정렌즈 (G8) 는 양 볼록 형상이 바람직하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렌즈 성분 (G2) 과 제 4 렌즈 성분 (G4) 사이에,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 3 렌즈 성분 (G3) 을 배치하는 경우, 이 제 3 렌즈 성분 (G3) 은 1 ∼ 2 장의 구성이 바람직하다. 또, 제 5 렌즈 성분 (G5) 과 접합 렌즈 (G89) 사이에, 제 7 렌즈 성분 (G7) 을 배치하는 경우, 이 제 7 렌즈 성분 (G7) 은 1 ∼ 2 장의 구성이 바람직하고, 정의 굴절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이와 같은 촬영 렌즈 (SL) 를 구성하기 위한 조건에 대해 2 개의 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1 번째의 예에 관련된 조건에 대해 설명한다. 이 촬영 렌즈 (SL) 는 무한원으로부터 근거리 물체에 합초할 때에, 전측 렌즈군 (GF) 과 후측 렌즈군 (GR) 의 간격이 증대되도록, 전측 렌즈군 (GF) 및 후측 렌즈군 (GR) 이 상이한 이동량으로 광축을 따라 물체측으로 이동하고, 전측 렌즈군 (GF) 의 초점 거리를 fF 로 하고, 후측 렌즈군 (GR) 의 초점 거리를 fR 로 했을 때, 이하에 나타내는 조건 식 (7)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79 < fF/fR < 1.58 (7)
조건 식 (7) 은 전측 렌즈군 (GF) 과 후측 렌즈군 (GR) 의 적절한 초점 거리의 비를 규정하기 위한 조건 식이다. 조건 식 (7) 의 상한치를 상회하면 후측 렌즈군 (GR) 단체에서 발생하는 구면 수차와 코마 수차가 커진다. 결과적으로, 합초시의 제수차의 변동이 커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7) 의 상한치를 1.52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7) 의 상한 치를 1.46 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7) 의 상한치를 1.40 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반대로, 조건 식 (7) 의 하한치를 하회하면 전측 렌즈군 (GF) 전체의 굴절력이 강해져, 렌즈계 전체적으로 구면 수차를 양호하게 보정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7) 의 하한치를 0.85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7) 의 하한치를 0.90 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7) 의 하한치를 0.95 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촬영 렌즈 (SL) 는 전측 렌즈군 (GF) 과 후측 렌즈군 (GR) 은 중간 촬영 거리로부터 근거리 물체에 합초할 때에, 상이한 이동량비로 광축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무한원으로부터 근거리까지의 촬영 거리 전역에 있어서, 구면 수차와 이미지면 만곡을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다. 또한, 개구 조리개 (S) 는 합초시에, 제 4 렌즈 성분 (G4) 또는 제 5 렌즈 성분 (G5) 과 함께 광축을 따라 이동한다.
또, 본 촬영 렌즈 (SL) 에 있어서, 후측 렌즈군 (GR) 중 부렌즈 (G9) 의 초점 거리를 f9 로 하고, 당해 촬영 렌즈 (SL) 의 전체 계의 초점 거리를 f 로 했을 때, 이하에 나타내는 조건 식 (8)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78 < (-f9)/f < 1.59 (8)
조건 식 (8) 은 후측 렌즈군 (GR) 중 부렌즈 (G9) 의 초점 거리 f9 와, 촬영 렌즈 (SL) 전체 계의 초점 거리 f 의 비를 규정하기 위한 조건 식이다. 조건 식 (8) 의 상한치를 상회하면 후측 렌즈군 (GR) 단체에서 발생하는 배율 색수차가 커진다. 결과적으로, 합초시의 배율 색수차의 변동이 커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8) 의 상한치를 1.53 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8) 의 상한치를 1.47 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8) 의 상한치를 1.41 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반대로, 조건 식 (8) 의 하한치를 하회하면 후측 렌즈군 (GR) 단체에서 발생하는 배율 색수차가 악화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8) 의 하한치를 0.85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8) 의 하한치를 0.90 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8) 의 하한치를 0.94 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본 촬영 렌즈 (SL) 에 있어서, 제 4 렌즈 성분 (G4) 의 이미지측의 면 (도 11 에서는 물체측으로부터 세어 8 번째 렌즈면) 의 곡률 반경을 r8 로 하고, 당해 촬영 렌즈 (SL) 전체 계의 초점 거리를 f 로 했을 때, 이하에 나타내는 조건 식 (9)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30 < r8/f < 0.50 (9)
조건 식 (9) 은 초점 거리 f 에 대한 제 4 렌즈 성분 (G4) 의 이미지측의 면 의 곡률 반경 r8 의 비를 규정하기 위한 조건 식이다. 조건 식 (9) 의 상한치를 상회하면 페츠발 합이 커져, 이미지면 만곡을 보정하는 것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9) 의 상한치를 0.45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9) 의 상한치를 0.40 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9) 의 상한치를 0.35 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반대로, 조건 식 (9) 의 하한치를 하회하면 코마 수차의 보정이 곤란해진다. 또, 후측 렌즈군 (GR) 전체의 굴절력이 강해져, 렌즈계 전체적으로 구면 수차를 양호하게 보정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9) 의 하한치를 0.31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9) 의 하한치를 0.32 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본 촬영 렌즈 (SL) 에 있어서, 후측 렌즈군 (GR) 에 포함되는 접합 렌즈 (G89) 의 가장 이미지측에 가까이 배치된 부렌즈 (G9) 의 d 선에 대한 굴절률을 n9, 아베수를 ν9 로 하고, 당해 부렌즈 (G9) 의 물체측에 부착된 정렌즈 (G8) 의 d 선에 대한 굴절률을 n8, 아베수를 ν8 로 했을 때, 이하에 나타내는 조건 식 (10) 및 조건 식 (11)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8 > n9 (10)
ν8 > ν9 (11)
조건 식 (10) 및 조건 식 (11) 은 가장 이미지측에 가까이 배치된 접합 렌즈 (G89) 의 정렌즈 (G8) 와 부렌즈 (G9) 의 굴절력과 아베수를 규정하기 위한 조건 식이다. 조건 식 (10) 을 만족함으로써, 페츠발 합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조건 식 (11) 을 만족함으로써, 색수차의 양호한 보정이 가능하다. 여기서, 코마 수차, 구면 수차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 정렌즈 (G8) 에 고굴절률의 재료를 사용하면, 아베수가 작아지고, 부렌즈 (G9) 는 색수차 보정을 위해서 높은 굴절률이 된다. 이 때문에, 페츠발 합이 커질 우려가 있다. 그러나, 후측 렌즈군 (GR) 의 접합 렌즈 (G89) 를, 조건 식 (10) 및 조건 식 (11) 을 동시에 만족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고굴절률의 재료를 사용해도 색수차 보정과 페츠발 합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의 효과를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는 조건 식 (11) 에 있어서, 정렌즈 (G8) 의 아베수 (ν8) 가 부렌즈 (G9) 의 아베수 (ν9) 보다 20 이상 큰 것, 즉, 다음 식 (a2)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ν8-ν9 > 20 (a2)
본 촬영 렌즈 (SL) 는 후측 렌즈군 (GR) 의 초점 거리를 fR 로 하고, 당해 촬영 렌즈 (SL) 전체 계의 초점 거리를 f 로 했을 때, 이하에 나타내는 조건 식 (12)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0 < fR/f < 2.00 (12)
조건 식 (12) 은 후측 렌즈군 (GR) 의 초점 거리 fR 과, 촬영 렌즈 (SL) 전체 계의 초점 거리의 비를 규정하기 위한 조건 식이다. 조건 식 (12) 의 상한 치를 상회하면 촬영 렌즈 (SL) 전체가 대형화된다. 또, 유한 거리에서 합초했을 때, 이미지면의 변동이 커져, 무한원으로부터 근거리까지의 수차 보정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12) 의 상한치를 1.90 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12) 의 상한치를 1.80 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12) 의 상한치를 1.60 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반대로, 조건 식 (12) 의 하한치를 하회하면 구면 수차의 보정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12) 의 하한치를 1.10 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12) 의 하한치를 1.20 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2 번째 예에 관련된 조건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이 촬영 렌즈 (SL) 는 무한원으로부터 근거리 물체에 합초할 때에, 전측 렌즈군 (GF) 과 후측 렌즈군 (GR) 의 간격이 증대되도록, 전측 렌즈군 (GF) 및 후측 렌즈군 (GR) 이 상이한 이동량으로 광축을 따라 물체측으로 이동하고, 제 1 렌즈 성분 (G1) 의 d 선에 대한 아베수를 ν1 로 하고, 제 2 렌즈 성분 (G2) 의 d 선에 대한 아베수를 ν2 로 하고, 무한원으로부터 촬영 배율 -0.01 배로 합초할 때의 전측 렌즈군 (GF) 의 이동량을 γF1 로 하고, 무한원으로부터 촬영 배율 -0.01 배로 합초할 때의 후측 렌즈군 (GR) 의 이동량을 γR1 로 했을 때, 이하에 나타내는 조건 식 (13) 및 조건 식 (14)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렌즈 성분 (G1) 또는 제 2 렌즈 성분 (G2) 이 접합 렌즈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아베수는 당해 접합 렌즈를 구성하는 렌즈의 아베수의 평균치가 된다.
(ν1+ν2)/2 > 60 (13)
0.35 < γR1/γF1 < 0.80 (14)
조건 식 (13) 은 전측 렌즈군 (GF) 중의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1 렌즈 성분 (G1) 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2 렌즈 성분 (G2) 의 광학 재료 특성의 조합을 규정하기 위한 조건 식이다. 조건 식 (13) 의 하한치를 하회하면 가장 물체측에 가까운 렌즈 성분이 색수차의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변형 가우스 타입의 본 촬영 렌즈 (SL) 에 있어서, 배율 색수차의 보정이 부족해져 양호한 성능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13) 의 하한치를 61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13) 의 하한치를 63 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13) 의 하한치를 65 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조건 식 (14) 은 전측 렌즈군 (GF) 및 후측 렌즈군 (GR) 의 중간 촬영 거리시의 합초에 있어서의 이동 비율의 적절한 범위를 규정하기 위한 조건 식이다. 조건 식 (14) 의 상한치를 상회하면 코마 수차 및 이미지면 만곡이 보정 과잉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14) 의 상한치를 0.77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14) 의 상한치를 0.74 로 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 나아가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14) 의 상한치를 0.71 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반대로, 조건 식 (14) 의 하한치를 하회하면 코마 수차 및 이미지면 만곡의 보정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14) 의 하한치를 0.39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14) 의 하한치를 0.43 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14) 의 하한치를 0.47 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본 촬영 렌즈 (SL) 에 있어서, 제 1 렌즈 성분 (G1) 의 d 선에 대한 굴절률을 n1 로 하고, 제 2 렌즈 성분 (G2) 의 d 선에 대한 굴절률을 n2 로 했을 때, 이하에 나타내는 조건 식 (15)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렌즈 성분 (G1) 또는 제 2 렌즈 성분 (G2) 이 접합 렌즈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굴절률은 당해 접합 렌즈를 구성하는 렌즈 굴절률의 평균치가 된다.
(n1+n2)/2 > 1.49 (15)
조건 식 (15) 은 물체측의 2 개의 메니스커스 형상의 렌즈 성분 (G1, G2) 의 굴절률을 규정하기 위한 조건 식이다. 조건 식 (15) 을 만족함으로써, 코마 수차 및 배율 색수차를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15) 의 하한치를 1.52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15) 의 하한치를 1.55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15) 의 하한치를 1.59 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촬영 렌즈 (SL) 는 전측 렌즈군 (GF) 및 후측 렌즈군 (GR) 은 중간 촬영 거리로부터 근거리 물체에 합초할 때에, 상이한 이동량비로 광축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무한원으로부터 근거리까지의 촬영 거리 전역에 있어서, 구면 수차와 이미지면 만곡을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다. 또한, 개구 조리개 (S) 는 합초시에, 전측 부렌즈 성분 (G4) 또는 후측 부렌즈 성분 (G5) 과 함께 광축을 따라 이동한다.
또, 본 촬영 렌즈 (SL) 에 있어서, 무한원으로부터 촬영 배율 -0.07 배로 합초할 때에, 전측 렌즈군 (GF) 의 이동량을 γF2 로 하고, 후측 렌즈군 (GR) 의 이동량을 γR2 로 했을 때, 이하에 나타내는 조건 식 (16)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35 < γR2/γF2 < 0.50 (16)
조건 식 (16) 은 전측 렌즈군 (GF) 및 후측 렌즈군 (GR) 의 근거리 촬영시의 합초에 있어서의 이동 비율의 적절한 범위를 규정하기 위한 조건 식이다. 조건 식 (16) 의 상한치를 상회하면 코마 수차 및 이미지면 만곡이 보정 과잉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16) 의 상한치를 0.48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16) 의 상한치를 0.46 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반대로, 조건 식 (16) 의 하한치를 하회하면 코마 수차 및 이미지면 만곡의 보정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16) 의 하한치를 0.36 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16) 의 하한치를 0.37 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본 촬영 렌즈 (SL) 에 있어서, 접합 렌즈 (G89) 의 가장 이미지측에 가까이 배치된 부렌즈 (G9) 의 d 선에 대한 굴절률을 n9, 아베수를 ν9 로 하고, 당해 부렌즈 (G9) 의 물체측에 부착된 정렌즈 (G8) 의 d 선에 대한 굴절률을 n8, 아베수를 ν8 로 했을 때, 이하에 나타내는 조건 식 (17) 및 조건 식 (18)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8 > n9 (17)
ν8 > ν9 (18)
조건 식 (17) 및 조건 식 (18) 은 가장 이미지측에 가까이 배치된 접합 렌즈 (G89) 의 정렌즈 (G8) 및 부렌즈 (G9) 의 굴절력과 아베수를 규정하기 위한 조건 식이다. 조건 식 (17) 을 만족함으로써, 페츠발 합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조건 식 (18) 을 만족함으로써, 색수차의 양호한 보정이 가능하다. 여기서, 코마 수차, 구면 수차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 정렌즈 (G8) 에 고굴절률의 재료를 사용하면, 아베수가 작아지고, 부렌즈 (G9) 는 색수차 보정을 위해서 높은 굴절률이 된다. 이 때문에, 페츠발 합이 커질 우려가 있다. 그러나, 후측 렌즈군 (GR) 의 접합 렌즈 (G89) 를, 조건 식 (17) 및 조건 식 (18) 을 동시에 만족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고굴절률의 재료를 사용해도 색수차 보정과 페츠발 합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효과를 보다 확실하 게 하기 위해서는 조건 식 (18) 에 있어서, 정렌즈 (G8) 의 아베수 (ν8) 가, 부렌즈 (G9) 의 아베수 (ν9) 보다 20 이상 큰 것, 즉 다음 식 (a3)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ν8-ν9 > 20 (a3)
본 촬영 렌즈 (SL) 는 또한, 전측 부렌즈 성분 (G4) 의 이미지측의 면 (도 1 에서는 물체측으로부터 세어 8 번째의 렌즈면) 의 곡률 반경을 r8 로 하고, 촬영 렌즈 (SL) 전체 계의 초점 거리를 f 로 했을 때, 이하에 나타내는 조건 식 (19)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30 < r8/f < 0.50 (19)
조건 식 (19) 은 초점 거리 f 에 대한 전측 부렌즈 성분 (G4) 의 이미지측의 면의 곡률 반경의 비를 규정하기 위한 조건 식이다. 조건 식 (19) 의 상한치를 상회하면 페츠발 합이 커져, 이미지면 만곡을 보정하는 것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19) 의 상한치를 0.45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19) 의 상한치를 0.40 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19) 상한치를 0.35 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반대로, 조건 식 (19) 의 하한치를 하회하면 코마 수차의 보정이 곤란해진다. 또, 후측 렌즈군 (GR) 의 파워가 강해져, 전체적으로 구면 수차를 양호하게 보정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19) 의 하한치를 0.31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19) 의 하한치를 0.32 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촬영 렌즈 (SL) 는 후측 렌즈군 (GR) 의 초점 거리를 fR 로 하고, 촬영 렌즈 (SL) 전체 계의 초점 거리를 f 로 했을 때, 이하에 나타내는 조건 식 (20)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0 < fR/f < 2.00 (20)
조건 식 (20) 은 후측 렌즈군 (GR) 의 초점 거리와, 촬영 렌즈 (SL) 전체 계의 초점 거리의 비를 규정하기 위한 조건 식이다. 조건 식 (20) 의 상한치를 상회하면 촬영 렌즈 (SL) 전체가 대형화된다. 또, 유한 거리에서 합초했을 때, 이미지면의 변동이 커져, 무한원으로부터 근거리까지의 수차 보정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합초를 위한 이동량이 커져, 경통 구조가 대형화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20) 의 상한치를 1.90 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20) 의 상한치를 1.80 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20) 의 상한치를 1.60 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반대로, 조건 식 (20) 의 하한치를 하회하면 구면 수차의 보정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20) 의 하한치를 1.10 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조건 식 (20) 의 하한치를 1.20 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이 촬영 렌즈 (SL) 는 손 떨림 등에서 기인하는 이미지 흔들림에 의한 촬영 실패를 방지하기 위해, 렌즈계의 떨림을 검출하는 떨림 검출계와 구동 수단을 렌즈계에 조합, 렌즈계를 구성하는 렌즈군 중 1 개의 렌즈군의 전체 또는 일부를 시프트 렌즈군으로서 편심 (偏心) 시킴으로써, 떨림 검출계에 의해 검출된 렌즈계의 떨림에서 기인하는 이미지 흔들림 (이미지면 위치의 변동) 을 보정하도록, 구동 수단에 의해 시프트 렌즈군을 구동시켜, 이미지를 시프트시킴으로써, 이미지 흔들림을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의 촬영 렌즈 (SL) 는 이른바 방진 광학계로서 기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렌즈계가 2 개의 가동군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렌즈군 사이에 다른 렌즈군을 부가하거나 또는 렌즈계의 이미지측 또는 물체측에 인접시켜 다른 렌즈군을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촬영 렌즈 (SL) 는 35㎜ 필름 사이즈 환산에서의 초점 거리가 60 ∼ 150㎜ 정도, 바람직하게는 80 ∼ 90㎜ 정도이다. 또,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촬영 렌즈 (SL) 는 가장 이미지측에 가까이 배치된 정렌즈 (G9) 의 이미지측면으로부터 이미지면까지의 거리 (백포커스) 가 가장 작은 상태로, 10 ∼ 30㎜ 정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하에 기재된 내용은 광학 성능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채용 가능하다.
먼저, 렌즈면은 비구면으로 해도 상관없다. 이 때, 연삭 가공에 의한 비구면, 형을 이용하여 유리를 비구면 형상으로 형성한 유리 몰드 비구면, 유리의 표 면에 수지를 비구면 형상에 형성한 복합형 비구면 중 어느 비구면이어도 상관없다. 전측 부렌즈 성분인 제 4 렌즈 성분 (G4) (도 11 에서는 부메니스커스 렌즈 (L4)) 의 이미지측의 면, 후측 부렌즈 성분인 제 5 렌즈 성분 (G5) (도 11 에서는 양 오목 렌즈 (L5)) 의 물체측의 면, 후측 정렌즈 성분인 제 6 렌즈 성분 (G6) (도 11 에서는 양 볼록 렌즈 (L6)) 의 이미지측의 면 중 적어도 1 개와 정렌즈 (G8) (도 11 에서는 양 볼록 렌즈 (L8)) 의 물체측의 면 중 어느 것이 비구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렌즈면은 회절면이어도 되고, 렌즈를 굴절률 분포형 렌즈 (GRIN 렌즈) 혹은 플라스틱 렌즈로 해도 된다.
또, 개구 조리개 (S) 는 전측 부렌즈 성분인 제 4 렌즈 성분 (G4) (도 11 에서는 부메니스커스 렌즈 (L4)) 과 후측 부렌즈 성분인 제 5 렌즈 성분 (G5) (도 11 에서는 양 오목 렌즈 (L5))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개구 조리개로서의 부재를 형성하지 않고, 렌즈 프레임으로 그 역할을 대용해도 된다.
또한, 각 렌즈면에는 넓은 파장역에서 높은 투과율을 갖는 반사 방지막을 형성함으로써, 플레어나 고스트를 경감시켜, 콘트라스트가 높은 광학 성능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9 에, 상기 서술한 촬영 렌즈 (SL) 를 구비하는 광학 기기로서 전자 스틸 카메라 (101) 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 전자 스틸 카메라 (101) 는 도시가 생략된 전원 버튼을 누르면 촬영 렌즈 (SL) 의 도시가 생략된 셔터가 개방되어, 촬영 렌즈 (SL) 로 도시가 생략된 피사체로부터의 광이 집광되고, 이미지면 (I) 에 배치된 촬상 소자 (C) (예를 들어, 필름, CCD, CMOS 등) 에 결상된다. 촬상 소 자 (C) 에 결상된 피사체 이미지는 전자 스틸 카메라 (101) 의 배후에 배치된 액정 모니터 (2) 에 표시된다. 촬영자는 액정 모니터 (2) 를 보면서 피사체 이미지의 구도를 결정한 후, 릴리즈 버튼 (3) 을 눌러 피사체 이미지를 촬상 소자 (C) 로 촬영하여, 도시가 생략된 메모리에 기록 보존한다. 또, 본 촬영 렌즈 (SL) 는 카메라 보디에 착탈 가능한 교환 렌즈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촬영 렌즈의 제조 방법의 개략을 도 20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원통형의 경통 내에 각 렌즈를 끼워 넣는다. 각 렌즈를 경통 내에 끼워 넣을 때, 광축에 따른 순서로 1 개씩 각 렌즈를 경통 내에 끼워 넣어도 되고, 일부 또는 모든 렌즈를 유지 부재로 일체 유지하고 나서 경통 부재와 조립해도 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촬영 렌즈에 있어서, 각 렌즈의 배치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1 렌즈 성분 (L1) 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2 렌즈 성분 (L2) 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3 렌즈 성분 (L3) 과,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 4 렌즈 성분 (L4) 과,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 5 렌즈 성분 (L5) 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6 렌즈 성분 (L6) 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7 렌즈 성분 (L7) 과, 정렌즈 (L8) 와 부렌즈 (L9) 를 부착시킨 접합 렌즈가 나열되어 있다. 각 렌즈를 경통 내에 끼워 넣은 후, 경통 내에 각 렌즈가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물체의 이미지가 형성되는지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촬영 렌즈를 조립한 후에는 촬영 렌즈의 각종 동작을 확인한다. 각종 동작의 일례로는 무한원으로부터 근거리 물체에 대한 초점 조절을 실시하는 렌즈군이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합초 동작, 적어도 일부의 렌즈가 광 축과 직교 방향인 성분을 가지도록 이동하는 떨림 보정 동작 등을 들 수 있다. 각종 동작의 확인 순서는 임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을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서 실시형태의 구성 요건을 첨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 1 ∼ 제 4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 도 3, 도 5 및 도 7 은 제 1 ∼ 제 4 실시예 각각에 관련된 촬영 렌즈 (ZL) (ZL1 ∼ ZL4) 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이들의 촬영 렌즈 (ZL1 ∼ ZL4) 의 포커싱에 있어서, 무한원으로부터 근거리 물체에 대한 합초시에 이 렌즈군을, 광축을 따라 이동시킬 방향을 화살표로 나타낸다. 이 도 1, 도 3, 도 5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련된 촬영 렌즈 (ZL1 ∼ ZL4) 는 모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광축을 따라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1 렌즈 성분 (G1) 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2 렌즈 성분 (G2) 과,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하게 한 메니스커스 형상의 제 3 렌즈 성분 (G3) 과,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전측 부렌즈 성분 (제 4 렌즈 성분) (G4) 과, 개구 조리개 (S) 와, 부의 굴절력을 갖는 후측 부렌즈 성분 (제 5 렌즈 성분) (G5) 및 정의 굴절력을 갖는 후측 정렌즈 성분 (제 6 렌즈 성분) (G6) 을 부착시킨 접합 렌즈 (G56) 와,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7 렌즈 성분 (G7) 과, 정렌즈 (G8) 및 부렌즈 (G9) 를 부착시킨 접합 렌즈 (G89) 와, 필터군 (FL) 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필터군 (FL) 은 로우 패스 필터나 적외 커트 필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미 지면 (I) 은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 소자 (C) (예를 들어, 필름, CCD, CMOS 등) 에 결상된다.
〔제 1 실시예〕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련된 촬영 렌즈 (ZL1) 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 실시예는 제 1 실시형태의 실시예이다. 이 도 1 의 촬영 렌즈 (ZL1) 에 있어서, 제 1 렌즈 성분 (G1) 은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한 정메니스커스 렌즈 (L1) 로 구성되고, 제 2 렌즈 성분 (G2) 은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한 정메니스커스 렌즈 (L2) 로 구성되고, 제 3 렌즈 성분 (G3) 은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한 정메니스커스 렌즈 (L3) 로 구성되고, 전측 부렌즈 성분 (제 4 렌즈 성분) (G4) 은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한 부메니스커스 렌즈 (L4) 로 구성되고, 접합 렌즈 (G56) 는 양 오목 렌즈 (L5) 로 이루어지는 후측 부렌즈 성분 (G5) (제 5 렌즈 성분) 과 양 볼록 렌즈 (L6) 로 이루어지는 후측 정렌즈 성분 (G6) (제 6 렌즈 성분) 을 부착하여 구성되고, 제 7 렌즈 성분 (G7) 은 양 볼록 정렌즈 (L7) 로 구성되고, 접합 렌즈 (G89) 는 양 볼록 렌즈 (L8) 로 이루어지는 제 8 렌즈 (G8) 와 양 오목 렌즈 (L9) 로 이루어지는 제 9 렌즈 (G9) 를 부착하여 구성된다.
원거리로부터 근거리에 대한 포커싱은, 촬영 렌즈 (ZL) 전체를 렌즈 성분 (G1 ∼ G7) 및 접합 렌즈 (G89) 의 2 군으로 분할하고, 각각을 따로 따로 물체측으로 진행시킴으로써 실시된다. 이 때, 개구 조리개 (S) 는 포커싱시에, 전측 부렌즈 성분 (G4), 후측 부렌즈 성분 (G5) 과 함께 광축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포커싱시의 이동 속도는 전측의 렌즈군 (G1 ∼ G7) 이 후측의 렌즈군 (접합 렌즈 (G89)) 보다 빠르게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의 표 1 에, 제 1 실시예의 제원 (諸元) 의 값을 나타낸다. 이 표 1 에 있어서, f 는 초점 거리, FNO 는 F 넘버, 2ω 는 화각 (畵角) 을 각각 나타낸다. 또한, 면 번호는 광선이 진행하는 방향을 따른 물체측에서의 렌즈면의 순서를, 면 간격은 각 광학면으로부터 다음 광학면까지의 광축 상의 간격을, 굴절률 및 아베수는 각각 d 선 (λ = 587.6㎚) 에 대한 값을 나타낸다. 또, 렌즈 전체 길이는 무한원 합초시의 렌즈면의 제 1 면으로부터 이미지면까지의 광축 상의 거리를 나타낸다. 여기서, 이하의 모든 제원값에 있어서 게재되어 있는 초점 거리 f, 곡률 반경, 면 간격, 그 외 길이의 단위는 일반적으로 「㎜」가 사용되지만, 광학계는 비례 확대 또는 비례 축소하더라도 동등한 광학 성능이 얻어지기 때문에,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곡률 반경 0.0000 은 평면을 나타내고, 공기의 굴절률 1.00000 은 생략되어 있다. 또, 이들 부호의 설명 및 제원표의 설명은 이후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Figure 112009008529052-PAT00001
이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제 7 렌즈 성분 (G7) 과 제 8 렌즈 (G8) (접합 렌즈 (G89)) 의 축상 공기 간격 d1, 및 제 9 렌즈 성분 (G9) 과 필터군 (FL) 의 축상 공기 간격 d2 은 포커싱시에 변화한다. 다음의 표 2 에 무한원 및 촬영 배율1/13.6 에 있어서의 가변 간격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08529052-PAT00002
다음의 표 3 에, 이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조건 식 대응값을 나타낸다. 또한 이 표 3 에 있어서, n1 은 제 1 렌즈 성분 (G1) 의 d 선에 대한 굴절률을, ν1 은 이 제 1 렌즈 성분 (G1) 의 아베수를, n2 는 제 2 렌즈 성분 (G2) 의 d 선에 대한 굴절률을, ν2 는 이 제 2 렌즈 성분 (G2) 의 아베수를, n8 는 정렌즈 (G8) 의 d 선에 대한 굴절률을, ν8 은 이 정렌즈 (G8) 의 아베수를, n9 는 부렌즈 (G9) 의 d 선에 대한 굴절률을, ν9 는 이 부렌즈 (G9) 의 아베수를, r8 은 전측 부렌즈 성분 (G4) 의 이미지측의 제 8 면의 곡률 반경을, f 는 촬영 렌즈 (ZL) 전체 계의 초점 거리를 각각 나타낸다. 이상의 부호의 설명은 이후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Figure 112009008529052-PAT00003
제 1 실시예의 제수차도를 도 2 에 나타낸다. 도 2A 는 무한원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제수차도이고, 도 2b 는 유한 거리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제수차도이다. 각 수차도에 있어서, NA 는 개구수를, Y 는 이미지 높이를, d 는 d 선 (λ = 587.6㎚) 을, g 는 g 선 (λ = 435.6㎚) 을, C 는 C 선 (λ = 656.3㎚) 을, F 는 F 선 (λ = 486.1㎚) 을 각각 나타낸다. 또, 비점 수차를 나타내는 수차도에 있어서 실선은 사지털 (Sagittal) 이미지면을 나타내고, 파선은 메리디오널 (meridional) 이미지면을 나타낸다. 또한, 구면 수차를 나타내는 수차도에 있어서, 실선은 구면 수차를 나타내고, 파선은 사인 컨디션 (정현 조건) 을 나타낸다. 또한, 이 수차도의 설명은 이후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각 수차도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서는 각 합초 상태에 있어서 제수차가 양호하게 보정되어 우수한 결상 성능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련된 촬영 렌즈 (ZL2) 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형태의 실시예이다. 이 도 3 의 촬영 렌즈 (ZL2) 에 있어서, 제 1 렌즈 성분 (G1) 은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한 정메니스커스 렌즈 (L1) 로 구성되고, 제 2 렌즈 성분 (G2) 은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한 정메니스커스 렌즈 (L2) 로 구성되고, 제 3 렌즈 성분 (G3) 은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한 부메니스커스 렌즈 (L3) 로 구성되고, 전측 렌즈 성분 (G4) (제 4 렌즈 성분) 은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한 부메니스커스 렌즈 (L4) 로 구성되고, 접합 렌즈 (G56) 는 양 오목 렌즈 (L5) 로 이루어지는 후측 부렌즈 성분 (G5) (제 5 렌즈 성분) 과 양 볼록 렌즈 (L6) 로 이루어지는 후측 정렌즈 성분 (G6) (제 6 렌즈 성분) 을 부착하여 구성되고, 제 7 렌즈 성분 (G7) 은 이미지측으로 볼록면을 향하게 한 정메니스커스 렌즈 (L7) 로 구성되고, 접합 렌즈 (G89) 는 양 볼록 렌즈 (L8) 로 이루어지는 제 8 렌즈 (G8) 와 이미지측으로 볼록면을 향하게 한 부메니스커스 렌즈 (L9) 로 이루어지는 제 9 렌즈 (G9) 를 부착하여 구성된다.
원거리로부터 근거리에 대한 포커싱은, 촬영 렌즈 (ZL) 전체를 렌즈 성분 (G1 ∼ G4), 렌즈 성분 (G5 ∼ G7) 및 접합 렌즈 (G89) 의 3 군으로 분할하고, 각각을 따로 따로 물체측으로 진행시킴으로써 실시된다. 여기서, 개구 조리개 (S) 는 포커싱시에, 전측 부렌즈 성분 (G4) 과 함께 광축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포커싱시의 이동 속도는 렌즈 성분 (G1 ∼ G4), 렌즈 성분 (G5 ∼ G7) 및 접합 렌즈 (G89) 의 순서로 빠르게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의 표 4 에, 제 2 실시예의 제원의 값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08529052-PAT00004
이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전측 부렌즈 성분 (G4) 과 후측 부렌즈 성분 (G5) 의 축상 공기 간격 d1, 제 7 렌즈 성분 (G7) 과 제 8 렌즈 성분 (G8) 의 축상 공기 간격 d2, 및 제 9 렌즈 성분 (G9) 과 필터군 (FL) 의 축상 공기 간격 d3 은 포커싱시에 변화한다. 다음의 표 5 에 무한원, 및 촬영 배율 1/13.6 에 있어서의 가변 간격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08529052-PAT00005
다음의 표 6 에, 이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조건 식 대응값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08529052-PAT00006
이 제 2 실시예의 제수차도를 도 4 에 나타낸다. 도 4a 는 무한원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제수차도이고, 도 4b 는 유한 거리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제수차도이다. 이 수차도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서는 각 합초 상태에 있어서, 제수차가 양호하게 보정되어 우수한 결상 성능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5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련된 촬영 렌즈 (ZL3) 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3 실시예는 제 1 실시형태의 실시예이다. 이 도 5 의 촬영 렌즈 (ZL3) 에 있어서, 제 1 렌즈 성분 (G1) 은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한 정메니스커스 렌즈 (L1) 로 구성되고, 제 2 렌즈 성분 (G2) 은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한 정메니스커스 렌즈 (L2) 로 구성되고, 제 3 렌즈 성분 (G3) 은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한 정메니스커스 렌즈 (L3) 로 구성되고, 전측 부렌즈 성분 (G4) (제 4 렌즈 성분) 은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한 부메니스커스 렌즈 (L4) 로 구성되고, 접합 렌즈 (G56) 는 양 오목 렌즈 (L5) 로 이루어지는 후측 부렌즈 성분 (G5) (제 5 렌즈 성분) 과 양 볼록 렌즈 (L6) 로 이루어지는 후측 정렌즈 성분 (G6) (제 6 렌즈 성분) 을 부착하여 구성되고, 제 7 렌즈 성분 (G7) 은 양 볼록 정렌즈 (L7) 로 구성되고, 접합 렌즈 (G89) 는 양 볼록 렌즈 (L8) 로 이루어지는 제 8 렌즈 (G8) 와 양 오목 렌즈 (L9) 로 이루어지는 제 9 렌즈 (G9) 를 부착하여 구성된다.
원거리로부터 근거리에 대한 포커싱은, 촬영 렌즈 (ZL) 전체를 렌즈 성분 (G1 ∼ G4), 렌즈 성분 (G5 ∼ G7) 및 렌즈 성분 (G89) 의 3 군으로 분할하고, 각각을 따로 따로 물체측으로 진행시킴으로써 실시된다. 여기서, 개구 조리개 (S) 는 포커싱시에, 전측 부렌즈 성분 (G4) 과 함께 광축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포커싱시의 이동 속도는 렌즈 성분 (G1 ∼ G4), 렌즈 성분 (G5 ∼ G7) 및 접합 렌즈 (G89) 의 순서로 빠르게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의 표 7 에, 제 3 실시예의 제원의 값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08529052-PAT00007
이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전측 부렌즈 성분 (G4) 과 후측 부렌즈 성분 (G5) 의 축상 공기 간격 d1, 제 7 렌즈 성분 (G7) 과 제 8 렌즈 성분 (G8) 의 축상 공기 간격 d2 및 제 9 렌즈 성분 (G9) 과 필터군 (FL) 의 축상 공기 간격 d3 은 포커싱시에 변화한다. 다음의 표 8 에 무한원 및 촬영 배율 1/13.6 에 있어서의 가변 간격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08529052-PAT00008
다음의 표 9 에, 이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조건 식 대응값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08529052-PAT00009
이 제 3 실시예의 제수차도를 도 6 에 나타낸다. 도 6a 는 무한원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제수차도이고, 도 6b 는 유한 거리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제수차도이다. 이 수차도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에서는 각 합초 상태에 있어서, 제수차가 양호하게 보정되어 우수한 결상 성능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4 실시예〕
도 7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관련된 촬영 렌즈 (ZL4) 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4 실시예는 제 1 실시형태의 실시예이다. 이 도 7 의 촬영 렌즈 (ZL4) 에 있어서, 제 1 렌즈 성분 (G1) 은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한 정메니스커스 렌즈 (L1) 로 구성되고, 제 2 렌즈 성분 (G2) 은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한 정메니스커스 렌즈 (L2) 로 구성되고, 제 3 렌즈 성분 (G3) 은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한 정메니스커스 렌즈 (L3) 로 구성되고, 전측 부렌즈 성분 (G4) (제 4 렌즈 성분) 은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한 부메니스커스 렌즈 (L4) 로 구성되고, 접합 렌즈 (G56) 는 양 오목 렌즈 (L5) 로 이루어지는 후측 부렌즈 성분 (G5) (제 5 렌즈 성분) 과 양 볼록 렌즈 (L6) 로 이루어지는 후측 정렌즈 성분 (G6) (제 6 렌즈 성분) 을 부착하여 구성되고, 제 7 렌즈 성분 (G7) 은 양 볼록 정렌즈 (L7) 로 구성되고, 접합 렌즈 (G89) 는 양 볼록 렌즈 (L8) 로 이루어지는 제 8 렌즈 (G8) 와 양 오목 렌즈 (L9) 로 이루어지는 제 9 렌즈 (G9) 를 부착하여 구성된다.
원거리로부터 근거리에 대한 포커싱은, 촬영 렌즈 (ZL) 전체를 렌즈 성분 (G1 ∼ G4), 렌즈 성분 (G5 ∼ G7) 및 렌즈 성분 (G89) 의 3 군으로 분할하고, 각각을 따로 따로 물체측으로 진행시킴으로써 실시된다. 여기서, 개구 조리개 (S) 는 포커싱시에, 전측 부렌즈 성분 (G4) 과 함께 광축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포커싱시의 이동 속도는 렌즈 성분 (G1 ∼ G4), 렌즈 성분 (G5 ∼ G7) 및 접합 렌즈 (G89) 의 순서로 빠르게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의 표 10 에, 제 4 실시예의 제원의 값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08529052-PAT00010
이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전측 부렌즈 성분 (G4) 과 후측 부렌즈 성분 (G5) 의 축상 공기 간격 d1, 제 7 렌즈 성분 (G7) 와 제 8 렌즈 성분 (G8) 의 축상 공기 간격 d2 및 제 9 렌즈 성분 (G9) 과 필터군 (FL) 의 축상 공기 간격 d3 은 포커싱시에 변화한다. 다음의 표 11 에 무한원, 및 촬영 배율 1/13.6 에 있어서의 가변 간격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08529052-PAT00011
다음의 표 12 에, 이 제 4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조건 식 대응값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08529052-PAT00012
이 제 4 실시예의 제수차도를 도 8 에 나타낸다. 도 8a 는 무한원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제수차도이고, 도 8b 는 유한 거리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제수차도이다. 이 수차도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제 4 실시예에서는 각 합초 상태에 있어서, 제수차가 양호하게 보정되어 우수한 결상 성능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제 5 ∼ 제 8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1, 도 13, 도 15 및 도 17 은 각 실시예에 관련된 촬영 렌즈 (SL) (SL1 ∼ SL4) 의 구성 및 굴절력 배분, 그리고 무한원 합초 상태로부터 근거리 합초 상태에 대한 합초 상태의 변화에 있어서의 각 렌즈군의 이동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들의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련된 촬영 렌즈 (SL1 ∼ SL4) 는 모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광축을 따라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전측 렌즈군 (GF) (제 1 ∼ 7 렌즈 성분 (G1 ∼ G7)) 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후측 렌즈군 (GR) (접합 렌즈 (G89)) 을 가지고, 이들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1 렌즈 성분 (G1) 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2 렌즈 성분 (G2) 과,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하게 한 메니스커스 형상의 제 3 렌즈 성분 (G3) 과,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 4 렌즈 성분 (전측 부렌즈 성분) (G4) 과, 개구 조리개 (S) 와,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 5 렌즈 성분 (후측 부렌즈 성분) (G5) 및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6 렌즈 성분 (후측 정렌즈 성분) (G6) 을 부착시킨 접합 렌즈 (G56) 와,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7 렌즈 성분 (G7) 과, 정렌즈 (G8) 및 부렌즈 (G9) 를 부착시킨 접합 렌즈 (G89) 와, 필터군 (FL) 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필터군 (FL) 은 로우 패스 필터나 적외 커트 필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무한원 합초 상태로부터 근거리 합초 상태에 대한 합초 상태의 변화 (즉, 포커싱) 시에, 전측 렌즈군 (GF) 및 후측 렌즈군 (GR) 은 이미지면에 대해 이동하여, 전측 렌즈군 (GF) 과 후측 렌즈군 (GR) 의 간격이 변화한다. 이미지면 (I) 은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 소자 (C) (예를 들어, 필름, CCD, CMOS 등) 에 결상된다.
〔제 5 실시예〕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관련된 촬영 렌즈 (SL1) 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5 실시예는 제 2 실시형태의 실시예이다. 이 도 11 의 촬영 렌즈 (SL1) 에 있어서, 제 1 렌즈 성분 (G1) 은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한 정메니스커스 렌즈 (L1) 로 구성되고, 제 2 렌즈 성분 (G2) 은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한 정메니스커스 렌즈 (L2) 로 구성되고, 제 3 렌즈 성분 (G3) 은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한 정메니스커스 렌즈 (L3) 로 구성되고, 제 4 렌즈 성분 (전측 부렌즈 성분) (G4) 은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한 부메니스커스 렌즈 (L4) 로 구성되고, 접합 렌즈 (G56) 는 양 오목 렌즈 (L5) 로 이루어지는 제 5 렌즈 성분 (후측 부렌즈 성분) (G5) 과 양 볼록 렌즈 (L6) 로 이루어지는 제 6 렌즈 성분 (후측 정렌즈 성분) (G6) 을 부착하여 구성되고, 제 7 렌즈 성분 (G7) 은 양 볼록 정렌즈 (L7) 로 구성되고, 접합 렌즈 (G89) 는 양 볼록 렌즈 (L8) 로 이루어지는 제 8 렌즈 (G8) 와 양 오목 렌즈 (L9) 로 이루어지는 제 9 렌즈 (G9) 를 부착하여 구성된다. 이상의 촬영 렌즈 (SL1) 의 구성은 이후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 무한원으로부터 근거리 물체에 대한 합초는, 전측 렌즈군 (GF) 및 후측 렌즈군 (GR) 을 따로 따로 물체측으로 진행시킴으로써 실시된다. 또한, 개구 조리개 (S) 는 전측 렌즈군 (GF) 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전측 부렌즈 성분 (G4) 과 후측 부렌즈 성분 (G5) 사이) 에 배치되어, 무한원으로부터 근거리 물체에 대한 합초시에 전측 렌즈군 (GF) 과 일체로 이동한다. 이들은 이후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이하의 표 13 에, 제 5 실시예의 제원의 값을 나타낸다. 이 표 13 에 있어서, f 는 초점 거리, FNO 는 F 넘버, 2ω 는 화각, Bf 는 백포커스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면 번호는 광선이 진행할 방향을 따른 물체측으로부터의 렌즈면 순서를, 면 간격은 각 광학면으로부터 다음 광학면까지의 광축 상의 간격을, 굴절률 및 아베수는 각각 d 선 (λ = 587.6㎚) 에 대한 값을 나타낸다. 또, 렌즈 전체 길이는 무한원 합초시의 렌즈면 제 1 면으로부터 이미지면 (I) 까지의 광축 상의 거리를 나타낸다. 여기서, 이하의 모든 제원값에 있어서 게재되어 있는 초점 거리, 곡률 반경, 면 간격, 그 외 길이의 단위는 일반적으로 「㎜」가 사용되지만, 광학계는 비례 확대 또는 비례 축소하더라도 동등한 광학 성능이 얻어지기 때문에,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곡률 반경 0.0000 은 평면을 나타내고, 공기의 굴절률 1.00000 은 생략되어 있다. 또, 이들 부호의 설명 및 제원 표의 설명은 이후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Figure 112009008529052-PAT00013
이 제 5 실시예에 있어서, 전측 렌즈군 (GF) 과 후측 렌즈군 (GR) 의 축상 공기 간격 d14 및 후측 렌즈군 (GR) 과 필터군 (FL) 의 축상 공기 간격 d17 은 합초시에 변화한다. 다음의 표 14 에 무한원 합초 상태, 중간 촬영 거리 합초 상태 및 근거리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각 군 간격을 나타낸다. 또한, 중간 촬영 거리는 촬영 배율 -0.01 배의 촬영 거리, 근거리는 촬영 배율 -0.07 배의 촬영 거리이다. 이들의 값은 이후의 실시예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Figure 112009008529052-PAT00014
다음의 표 15 에, 이 제 5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조건 식 대응값을 나타낸다. 또한 이 표 15 에 있어서, f 는 촬영 렌즈 (SL) 전체 계의 초점 거리를, fF 는 전측 렌즈군 (GF) 의 초점 거리를, fR 은 후측 렌즈군 (GR) 의 초점 거리를, f9 는 후측 렌즈군 (GR) 중 부렌즈 (G9) 의 초점 거리를, r8 은 제 4 렌즈 성분 (G4) 의 이미지측의 제 8 면의 곡률 반경을, n8 은 정렌즈 (G8) 의 d 선에 대한 굴절률을, n9 는 부렌즈 (G9) 의 d 선에 대한 굴절률을, ν8 은 정렌즈 (G8) 의 아베수를, ν9 는 부렌즈 (G9) 의 아베수를 각각 나타낸다. 이상의 부호의 설명은 이후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Figure 112009008529052-PAT00015
다음의 표 16 에, 이 제 5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조건 식 대응값을 나타낸다. 또한 이 표 16 에 있어서, ν1 은 제 1 렌즈 성분 (G1) 의 아베수를, ν2 는 제 2 렌즈 성분 (G2) 의 아베수를, γF1 은 무한원으로부터 촬영 배율 -0.01 배로 합초할 때의 전측 렌즈군 (GF) 의 이동량을, γR1 은 무한원으로부터 촬영 배율 -0.01 배로 합초할 때의 후측 렌즈군 (GR) 의 이동량을, n1 은 제 1 렌즈 성분 (G1) 의 d 선에 대한 굴절률을, n2 는 제 2 렌즈 성분 (G2) 의 d 선에 대한 굴절률을, γF2 는 무한원으로부터 촬영 배율 -0.07 배로 합초할 때의 전측 렌즈군 (GF) 의 이동량을, γR2 는 무한원으로부터 촬영 배율 -0.07 배로 합초할 때의 후측 렌즈군 (GR) 의 이동량을, n8 은 정렌즈 (G8) 의 d 선에 대한 굴절률을, n9 는 부렌즈 (G9) 의 d 선에 대한 굴절률을, ν8 은 정렌즈 (G8) 의 아베수를, ν9 는 부렌즈 (G9) 의 아베수를, r8 은 전측 부렌즈 성분 (G4) 의 이미지측의 면 (제 8 면) 의 곡률 반경을, f 는 촬영 렌즈 (SL) 전체 계의 초점 거리를, fR 은 후측 렌즈군 (GR) 의 초점 거리를 각각 나타낸다. 이상의 부호의 설명은 이후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Figure 112009008529052-PAT00016
제 5 실시예의 제수차도를 도 12 에 나타낸다. 도 12a 는 무한원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제수차도이고, 도 12b 는 촬영 배율 -0.01 배로 합초했을 때의 중간 촬영 거리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제수차도이고, 도 12c 는 촬영 배율 -0.07 배로 합초했을 때의 근거리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제수차도이다. 각 수차도에 있어서, FNO 는 F 넘버를, NA 는 개구수를, A 는 반화각 (半畵角) 을, H0 는 물체 높이를, d 는 d 선 (λ = 587.6㎚) 을, g 는 g 선 (λ = 435.6㎚) 을, C 는 C 선 (λ = 656.3㎚) 을, F 는 F 선 (λ = 486.1㎚) 을 각각 나타낸다. 또, 비점 수차를 나타내는 수차도에 있어서 실선은 사지털 이미지면을 나타내고, 파선은 메리디오널 이미지면을 나타낸다. 또한, 이 수차도의 설명은 이후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각 수차도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제 5 실시예에서는 각 합초 상태에 있어서 제수차가 양호하게 보정되어 우수한 결상 성능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6 실시예〕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관련된 촬영 렌즈 (SL2) 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6 실시예는 제 2 실시형태의 실시예이다. 이 도 13 의 촬영 렌즈 (SL2) 의 구성은 제 5 실시예에 관련된 촬영 렌즈 (SL1) 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하의 표 17 에, 이 제 6 실시예의 제원의 값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08529052-PAT00017
이 제 6 실시예에 있어서, 전측 렌즈군 (GF) 과 후측 렌즈군 (GR) 의 축상 공기 간격 d14 및 후측 렌즈군 (GR) 과 필터군 (FL) 의 축상 공기 간격 d17 은 합초시에 변화한다. 다음의 표 18 에 무한원 합초 상태, 중간 촬영 거리 합초 상태 및 근거리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각 군 간격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08529052-PAT00018
다음의 표 19 에, 이 제 6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조건 식 대응값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08529052-PAT00019
다음의 표 20 에, 이 제 6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조건 식 대응값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08529052-PAT00020
이 제 6 실시예의 제수차도를 도 14 에 나타낸다. 도 14a 는 무한원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제수차도이고, 도 14b 는 촬영 배율 -0.01 배로 합초했을 때의 중간 촬영 거리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제수차도이고, 도 14c 는 촬영 배율 -0.07 배로 합초했을 때의 근거리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제수차도이다. 이 수차도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제 6 실시예에서는 각 합초 상태에 있어서, 제수차가 양호하게 보정되어 우수한 결상 성능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7 실시예〕
도 15 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관련된 촬영 렌즈 (SL3) 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7 실시예는 제 2 실시형태의 실시예이다. 이 도 15 의 촬영 렌즈 (SL3) 의 구성은 제 5 실시예에 관련된 촬영 렌즈 (SL1) 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하의 표 21 에, 이 제 7 실시예의 제원의 값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08529052-PAT00021
이 제 7 실시예에 있어서, 전측 렌즈군 (GF) 과 후측 렌즈군 (GR) 의 축상 공기 간격 d14 및 후측 렌즈군 (GR) 과 필터군 (FL) 의 축상 공기 간격 d17 은 합초시에 변화한다. 다음의 표 22 에 무한원 합초 상태, 중간 촬영 거리 합초 상태 및 근거리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각 군 간격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08529052-PAT00022
다음의 표 23 에, 이 제 7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조건 식 대응값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08529052-PAT00023
다음의 표 24 에, 이 제 7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조건 식 대응값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08529052-PAT00024
이 제 7 실시예의 제수차도를 도 16 에 나타낸다. 도 16a 는 무한원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제수차도이고, 도 16b 는 촬영 배율 -0.01 배로 합초했을 때의 중간 촬영 거리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제수차도이고, 도 16c 는 촬영 배율 -0.07 배로 합초했을 때의 근거리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제수차도이다. 이 수차도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제 7 실시예에서는 각 합초 상태에 있어서, 제수차가 양호하게 보정되어 우수한 결상 성능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8 실시예〕
도 17 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관련된 촬영 렌즈 (SL4) 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8 실시예는 제 2 실시형태의 실시예이다. 이 도 17 의 촬영 렌즈 (SL4) 의 구성은 제 7 렌즈 성분 (G7) 을, 이미지측으로 볼록면을 향하게 한 정메니스커스 렌즈 (L7) 로 구성한 점 이외에는 제 5 실시예에 관련된 촬영 렌즈 (SL1) 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하의 표 25 에, 이 제 8 실시예의 제원의 값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08529052-PAT00025
이 제 8 실시예에 있어서, 전측 렌즈군 (GF) 과 후측 렌즈군 (GR) 의 축상 공기 간격 d14 및 후측 렌즈군 (GR) 과 필터군 (FL) 의 축상 공기 간격 d17 은 합초시에 변화한다. 다음의 표 26 에 무한원 합초 상태, 중간 촬영 거리 합초 상태 및 근거리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각 군 간격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08529052-PAT00026
다음의 표 27 에, 이 제 8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조건 식 대응값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08529052-PAT00027
다음의 표 28 에, 이 제 8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조건 식 대응값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08529052-PAT00028
이 제 8 실시예의 제수차도를 도 18 에 나타낸다. 도 18a 는 무한원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제수차도이고, 도 18b 는 촬영 배율 -0.01 배로 합초했을 때의 중간 촬영 거리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제수차도이고, 도 18c 는 촬영 배율 -0.07 배로 합초했을 때의 근거리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제수차도이다. 이 수차도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제 8 실시예에서는 각 합초 상태에 있어서, 제수차가 양호하게 보정되어 우수한 결상 성능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고, 그 구성 요소들의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서 개시된 구성 요소들이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임의의 조합으로 조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몇몇 구성 요소들이 실시예에서 개시된 모든 구성 요소들로부터 생략될 수도 있다. 추가로,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구성 요소들이 적절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 은 제 1 실시예에 의한 촬영 렌즈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a 는 제 1 실시예의 제수차도이고, 무한원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제수차도.
도 2b 는 제 1 실시예의 제수차도이고, 유한 거리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제수차도.
도 3 은 제 2 실시예에 의한 촬영 렌즈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a 는 제 2 실시예의 제수차도이고, 무한원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제수차도.
도 4b 는 제 2 실시예의 제수차도이고, 유한 거리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제수차도.
도 5 는 제 3 실시예에 의한 촬영 렌즈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a 는 제 3 실시예의 제수차도이고, 무한원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제수차도.
도 6b 는 제 3 실시예의 제수차도이고, 유한 거리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제수차도.
도 7 은 제 4 실시예에 의한 촬영 렌즈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a 은 제 4 실시예의 제수차도이고, 무한원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제수차도.
도 8b 는 제 4 실시예의 제수차도이고, 유한 거리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제 수차도.
도 9a 는 본 발명에 관련된 촬영 렌즈를 탑재하는 전자 스틸 카메라의 정면도.
도 9b 는 본 발명에 관련된 촬영 렌즈를 탑재하는 전자 스틸 카메라의 배면도.
도 10 은 도 9A 의 A-A´선 을 따른 단면도.
도 11 은 제 5 실시예에 의한 촬영 렌즈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a 는 제 5 실시예의 수차도이고, 무한원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제수차도.
도 12b 는 제 5 실시예의 수차도이고, 중간 촬영 거리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제수차도.
도 12c 는 제 5 실시예의 수차도이고, 근거리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제수차도.
도 13 은 제 6 실시예에 의한 촬영 렌즈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a 는 제 6 실시예의 수차도이고, 무한원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제수차도.
도 14b 는 제 6 실시예의 수차도이고, 중간 촬영 거리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제수차도.
도 14c 는 제 6 실시예의 수차도이고, 근거리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제수차도.
도 15 는 제 7 실시예에 의한 촬영 렌즈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6a 는 제 7 실시예의 수차도이고, 무한원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제수차도.
도 16b 는 제 7 실시예의 수차도이고, 중간 촬영 거리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제수차도.
도 16c 는 제 7 실시예의 수차도이고, 근거리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제수차도.
도 17 은 제 8 실시예에 의한 촬영 렌즈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8a 는 제 8 실시예의 수차도이고, 무한원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제수차도.
도 18b 는 제 8 실시예의 수차도이고, 중간 촬영 거리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제수차도.
도 18c 는 제 8 실시예의 수차도이고, 근거리 합초 상태에 있어서의 제수차도.
도 19 는 본 발명에 관련된 촬영 렌즈를 탑재하는 전자 스틸 카메라의 단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촬영 렌즈 제조 방법의 플로우 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G1 제 1 렌즈 성분 G2 제 2 렌즈 성분
G3 제 3 렌즈 G4 전측 부렌즈 성분
G5 후측 부렌즈 성분 G6 후측 정렌즈 성분
G7 제 7 렌즈 성분 G8 정렌즈
G9 부렌즈 G89 접합 렌즈

Claims (35)

  1. 가장 물체측에 가까이,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 (正) 의 굴절력을 갖는 제 1 렌즈 성분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2 렌즈 성분을 가지고,
    가장 이미지측에 가까이,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正)렌즈 및 부(負)렌즈를 부착시킨 접합 렌즈를 가지고,
    상기 제 1 렌즈 성분의 d 선에 대한 굴절률을 n1, 아베수를 ν1 로 하고, 상기 제 2 렌즈 성분의 d 선에 대한 굴절률을 n2, 아베수를 ν2 로 했을 때, 다음 식
    (n1+n2)/2 > 1.49
    (ν1+ν2)/2 > 60
    의 조건을 만족하는, 촬영 렌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 성분 및 상기 제 2 렌즈 성분은 각각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하게 한 메니스커스 형상인, 촬영 렌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렌즈 성분과 상기 접합 렌즈 사이에,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부 (負) 의 굴절력을 갖는 전측 부렌즈 성분과, 개구 조리개와, 부의 굴절력을 갖는 후측 부렌즈 성분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후측 정렌즈 성분을 갖는, 촬영 렌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렌즈 성분과 상기 전측 부렌즈 성분 사이에,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하게 한 메니스커스 형상의 제 3 렌즈 성분을 갖는, 촬영 렌즈.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 부렌즈 성분은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하게 한 메니스커스 형상의 제 4 렌즈 성분이고, 상기 후측 부렌즈 성분은 양 (兩) 오목 형상의 제 5 렌즈 성분인, 촬영 렌즈.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측 정렌즈 성분으로서의 제 6 렌즈 성분과 상기 접합 렌즈 사이에,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7 렌즈 성분을 갖는, 촬영 렌즈.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측 부렌즈 성분과 상기 후측 정렌즈 성분은, 부착된 접합 렌즈인, 촬영 렌즈.
  8. 제 1 항에 있어서,
    가장 이미지측에 가까이 배치된 상기 접합 렌즈의 상기 정렌즈의 d 선에 대한 굴절률을 n8, 아베수를 ν8 로 하고, 가장 이미지측에 가까이 배치된 상기 접합 렌즈의 상기 부렌즈의 d 선에 대한 굴절률을 n9, 아베수를 ν9 로 했을 때, 다음 식
    n8 > n9
    ν8 > ν9
    의 조건을 만족하는, 촬영 렌즈.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 부렌즈 성분의 이미지측의 면의 곡률 반경을 r8 로 하고, 상기 촬영 렌즈 전체 계 (係) 의 초점 거리를 f 로 했을 때, 다음 식
    0.3 < r8/f < 0.5
    의 조건을 만족하는, 촬영 렌즈.
  10. 제 1 항에 있어서,
    가장 이미지측에 가까이 배치된 상기 접합 렌즈와 그 밖의 렌즈는 포커싱 (focus) 시에 상이한 속도로 광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촬영 렌즈.
  11. 제 1 항에 있어서,
    가장 이미지측에 가까이 배치된 상기 접합 렌즈의 초점 거리를 f89 로 하고, 상기 촬영 렌즈 전체 계 (係) 의 초점 거리를 f 로 했을 때, 다음 식
    1 < f89/f < 2
    의 조건을 만족하는, 촬영 렌즈.
  12. 제 1 항에 있어서,
    가장 이미지측에 가까이 배치된 상기 접합 렌즈의 상기 정렌즈 성분은 양 (兩) 볼록 형상인, 촬영 렌즈.
  13. 제 1 항에 기재된 촬영 렌즈를 구비한, 광학 기기.
  14.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 (正) 의 굴절력을 갖는 전측 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후측 렌즈군을 가지고,
    상기 전측 렌즈군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1 렌즈 성분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2 렌즈 성분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3 렌즈 성분과,
    부 (負) 의 굴절력을 갖는 제 4 렌즈 성분과,
    개구 조리개와,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 5 렌즈 성분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6 렌즈 성분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7 렌즈 성분을 가지고,
    상기 후측 렌즈군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正)렌즈와 부(負)렌즈를 부착시킨 접합 렌즈를 가지고,
    무한원 (無限遠) 으로부터 근거리 물체에 합초 (合焦) 할 때에, 상기 전측 렌즈군과 상기 후측 렌즈군의 간격이 증대되도록, 상기 전측 렌즈군 및 상기 후측 렌즈군이 상이한 이동량으로 광축을 따라 물체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전측 렌즈군의 초점 거리를 fF 로 하고, 상기 후측 렌즈군의 초점 거리를 fR 로 했을 때, 다음 식
    0.79 < fF/fR < 1.58
    의 조건을 만족하는, 촬영 렌즈.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 렌즈군 및 상기 후측 렌즈군은, 중간 촬영 거리로부터 근거리 물체에 합초할 때에, 상이한 이동량비로 광축을 따라 이동하는, 촬영 렌즈.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후측 렌즈군 중 상기 부렌즈의 초점 거리를 f9 로 하고, 당해 촬영 렌즈의 전체 계 (係) 의 초점 거리를 f 로 했을 때, 다음 식
    0.78 < (-f9)/f < 1.59
    의 조건을 만족하는, 촬영 렌즈.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렌즈 성분은 양 (兩) 오목 형상이고,
    상기 제 6 렌즈 성분은 양 (兩) 볼록 형상인, 촬영 렌즈.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7 렌즈 성분은 양 (兩) 볼록 형상의 정렌즈인, 촬영 렌즈.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7 렌즈 성분은 이미지측으로 볼록면을 향하게 한 정(正)메니스커스 렌즈인, 촬영 렌즈.
  20.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 (正) 의 굴절력을 갖는 전측 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후측 렌즈군을 가지고,
    상기 전측 렌즈군은, 가장 물체측으로부터 가까운 순서대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1 렌즈 성분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2 렌즈 성분을 가지고,
    상기 후측 렌즈군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正)렌즈와 부(負)렌즈가 부착된 접합 렌즈를 가지고,
    상기 제 1 렌즈 성분의 d 선에 대한 아베수를 ν1 로 하고, 상기 제 2 렌즈 성분의 d 선에 대한 아베수를 ν2 로 하고, 무한원으로부터 촬영 배율 -0.01 배로 합초할 때의 상기 전측 렌즈군의 이동량을 γF1 로 하고, 무한원으로부터 촬영 배율 -0.01 배로 합초 (合焦) 할 때의 상기 후측 렌즈군의 이동량을 γR1 로 했을 때, 다음 식
    (ν1+ν2)/2 > 60
    0.35 < γR1/γF1 < 0.80
    의 조건을 만족하는, 촬영 렌즈.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 렌즈군 및 상기 후측 렌즈군은, 중간 촬영 거리로부터 근거리 물체에 합초할 때에, 상이한 이동량비로 광축을 따라 이동하는, 촬영 렌즈.
  22. 제 20 항에 있어서,
    무한원으로부터 촬영 배율 -0.07 배로 합초할 때에, 상기 전측 렌즈군의 이동량을 γF2 로 하고, 상기 후측 렌즈군의 이동량을 γR2 로 했을 때, 다음 식
    0.35 < γR2/γF2 < 0.50
    의 조건을 만족하는, 촬영 렌즈.
  23.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 (正) 의 굴절력을 갖는 전측 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후측 렌즈군을 가지고,
    상기 전측 렌즈군은, 개구 조리개로부터 물체측에,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1 렌즈 성분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2 렌즈 성분을 가지고,
    상기 후측 렌즈군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正)렌즈와 부(負)렌즈가 부착된 접합 렌즈를 가지고,
    상기 제 1 렌즈 성분의 d 선에 대한 아베수를 ν1 로 하고, 상기 제 2 렌즈 성분의 d 선에 대한 아베수를 ν2 로 하고, 무한원 (無限遠) 으로부터 촬영 배율 -0.01 배로 합초 (合焦) 할 때의 상기 전측 렌즈군의 이동량을 γF1 로 하고, 무한원으로부터 촬영 배율 -0.01 배로 합초할 때의 상기 후측 렌즈군의 이동량을 γR1 로 했을 때, 다음 식
    (ν1+ν2)/2 > 60
    0.35 < γR1/γF1 < 0.80
    의 조건을 만족하는, 촬영 렌즈.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 렌즈군 및 상기 후측 렌즈군은, 중간 촬영 거리로부터 근거리 물체에 합초할 때에, 상이한 이동량비로 광축을 따라 이동하는, 촬영 렌즈.
  25. 제 23 항에 있어서,
    무한원으로부터 촬영 배율 -0.07 배로 합초할 때에, 상기 전측 렌즈군의 이동량을 γF2 로 하고, 상기 후측 렌즈군의 이동량을 γR2 로 했을 때, 다음 식
    0.35 < γR2/γF2 < 0.50
    의 조건을 만족하는, 촬영 렌즈.
  26.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 (正) 의 굴절력을 갖는 제 1 렌즈 성분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2 렌즈 성분을 가지고, 또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전측 렌즈군과,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正)렌즈와 부(負)렌즈가 부착된 접합 렌즈를 가지고, 또한 정의 굴절력을 갖는 후측 렌즈군을 배치하는 단계와,
    무한원 (無限遠) 으로부터 촬영 배율 -0.01 배로 합초 (合焦) 하도록 상기 전측 렌즈군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렌즈 성분의 d 선에 대한 아베수를 ν1 로 하고, 상기 제 2 렌즈 성분의 d 선에 대한 아베수를 ν2 로 하고, 무한원으로부터 촬영 배율 -0.01 배로 합초할 때의 상기 전측 렌즈군의 이동량을 γF1 로 하고, 무한원으로부터 촬영 배율 -0.01 배로 합초할 때의 상기 후측 렌즈군의 이동량을 γR1 로 했을 때, 다음 식
    (ν1+ν2)/2 > 60
    0.35 < γR1/γF1 < 0.80
    의 조건을 만족하는, 촬영 렌즈의 제조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렌즈 성분과 상기 접합 렌즈 사이에,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부 (負) 의 굴절력을 갖는 전측 부렌즈 성분과, 개구 조리개와, 부의 굴절력을 갖는 후측 부렌즈 성분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후측 정렌즈 성분을 갖는, 촬영 렌즈의 제조 방법.
  28. 제 26 항에 있어서,
    가장 이미지측에 가까이 배치된 상기 접합 렌즈와 그 밖의 렌즈는 포커싱 (focus) 시에 상이한 속도로 광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촬영 렌즈의 제조 방법.
  29.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 (正) 의 굴절력을 갖는 전측 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후측 렌즈군을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전측 렌즈군과 상기 후측 렌즈군의 간격이 증대되도록, 상기 전측 렌즈군 및 상기 후측 렌즈군을 상이한 이동량으로 광축을 따라 물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무한원 (無限遠) 으로부터 근거리 물체에 합초 (合焦) 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전측 렌즈군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1 렌즈 성분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2 렌즈 성분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3 렌즈 성분과,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 4 렌즈 성분과,
    개구 조리개와,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 5 렌즈 성분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6 렌즈 성분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7 렌즈 성분을 가지고,
    상기 후측 렌즈군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正)렌즈와 부(負)렌즈를 부착시킨 접합 렌즈를 가지고,
    상기 전측 렌즈군의 초점 거리를 fF 로 하고, 상기 후측 렌즈군의 초점 거리를 fR 로 했을 때, 다음 식
    0.79 < fF/fR < 1.58
    의 조건을 만족하는, 촬영 렌즈의 제조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 렌즈군 및 상기 후측 렌즈군은, 중간 촬영 거리로부터 근거리 물체에 합초할 때에, 상이한 이동량비로 광축을 따라 이동하는, 촬영 렌즈의 제조 방법.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후측 렌즈군 중 상기 부렌즈의 초점 거리를 f9 로 하고, 당해 촬영 렌즈의 전체 계 (係) 의 초점 거리를 f 로 했을 때, 다음 식
    0.78 < (-f9)/f < 1.59
    의 조건을 만족하는, 촬영 렌즈의 제조 방법.
  32.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 (正) 의 굴절력을 갖는 제 1 렌즈 성분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2 렌즈 성분을 가지고, 또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전측 렌즈군과,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正)렌즈와 부(負)렌즈가 부착된 접합 렌즈를 가지고, 또한 정의 굴절력을 갖는 후측 렌즈군을 배치하는 단계와,
    무한원 (無限遠) 으로부터 촬영 배율 -0.01 배로 합초 (合焦) 하도록 상기 전측 렌즈군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렌즈 성분의 d 선에 대한 아베수를 ν1 로 하고, 상기 제 2 렌즈 성분의 d 선에 대한 아베수를 ν2 로 하고, 무한원으로부터 촬영 배율 -0.01 배로 합초할 때의 상기 전측 렌즈군의 이동량을 γF1 로 하고, 무한원으로부터 촬영 배율 -0.01 배로 합초할 때의 상기 후측 렌즈군의 이동량을 γR1 로 했을 때, 다음 식
    (ν1+ν2)/2 > 60
    0.35 < γR1/γF1 < 0.80
    의 조건을 만족하는, 촬영 렌즈의 제조 방법.
  33. 개구 조리개로부터 물체측에, 정 (正) 의 굴절력을 갖는 제 1 렌즈 성분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2 렌즈 성분을 가지고, 또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전측 렌즈군과,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正)렌즈와 부(負)렌즈가 부착된 접합 렌즈를 가지고, 또한 정의 굴절력을 갖는 후측 렌즈군을 배치하는 단계와,
    무한원 (無限遠) 으로부터 촬영 배율 -0.01 배로 합초 (合焦) 하도록 상기 전측 렌즈군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렌즈 성분의 d 선에 대한 아베수를 ν1 로 하고, 상기 제 2 렌즈 성분의 d 선에 대한 아베수를 ν2 로 하고, 무한원으로부터 촬영 배율 -0.01 배로 합초할 때의 상기 전측 렌즈군의 이동량을 γF1 로 하고, 무한원으로부터 촬영 배율 -0.01 배로 합초할 때의 상기 후측 렌즈군의 이동량을 γR1 로 했을 때, 다음 식
    (ν1+ν2)/2 > 60
    0.35 < γR1/γF1 < 0.80
    의 조건을 만족하는, 촬영 렌즈의 제조 방법.
  34. 제 32 항에 있어서,
    무한원으로부터 촬영 배율 -0.07 배로 합초할 때에, 상기 전측 렌즈군의 이동량을 γF2 로 하고, 상기 후측 렌즈군의 이동량을 γR2 로 했을 때, 다음 식
    0.35 < γR2/γF2 < 0.50
    의 조건을 만족하는, 촬영 렌즈의 제조 방법.
  35. 제 33 항에 있어서,
    무한원으로부터 촬영 배율 -0.07 배로 합초할 때에, 상기 전측 렌즈군의 이동량을 γF2 로 하고, 상기 후측 렌즈군의 이동량을 γR2 로 했을 때, 다음 식
    0.35 < γR2/γF2 < 0.50
    의 조건을 만족하는, 촬영 렌즈의 제조 방법.
KR1020090011144A 2008-02-12 2009-02-11 촬영 렌즈, 촬영 렌즈를 구비한 광학 기기 및 촬영 렌즈의 제조 방법 KR200900874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30561 2008-02-12
JP2008030561A JP5151524B2 (ja) 2008-02-12 2008-02-12 撮影レンズ、この撮影レンズを備えた光学機器、及び、結像方法
JPJP-P-2008-100935 2008-04-09
JP2008100935A JP5151635B2 (ja) 2008-04-09 2008-04-09 撮影レンズ、この撮影レンズを備えた光学機器、及び、結像方法
JP2008100936A JP5136776B2 (ja) 2008-04-09 2008-04-09 撮影レンズ、この撮影レンズを備えた光学機器、及び、結像方法
JPJP-P-2008-100936 2008-04-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422A true KR20090087422A (ko) 2009-08-17

Family

ID=41206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144A KR20090087422A (ko) 2008-02-12 2009-02-11 촬영 렌즈, 촬영 렌즈를 구비한 광학 기기 및 촬영 렌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8427763B2 (ko)
KR (1) KR20090087422A (ko)
CN (1) CN1024954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88790B2 (ja) 2009-08-31 2014-09-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ンズ系、交換レンズ装置、及びカメラシステム
TWI443404B (zh) * 2011-05-27 2014-07-01 Asia Optical Co Inc Fixed focus projection lens
WO2013073155A1 (ja) * 2011-11-14 2013-05-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中望遠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CN104583832B (zh) 2012-08-29 2016-12-14 富士胶片株式会社 摄像镜头以及摄像装置
JP2014048359A (ja) 2012-08-30 2014-03-17 Olympus Imaging Corp 結像光学系及びそれを備えた撮像装置
CN104076486B (zh) * 2014-01-25 2017-02-08 徐中一 数码相机全幅镜头
TWI705266B (zh) 2016-06-08 2020-09-21 揚明光學股份有限公司 光學系統及其光學鏡頭
CN106526805B (zh) * 2016-12-16 2022-09-16 福建福光天瞳光学有限公司 一种f16mm高清低畸变半组移动工业镜头
JP6689768B2 (ja) * 2017-02-28 2020-04-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JP7086640B2 (ja) * 2018-02-28 2022-06-20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系およ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CN109001896A (zh) * 2018-09-29 2018-12-14 苏州莱能士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无光环境下的光学成像系统
CN109239894B (zh) * 2018-11-28 2024-04-23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光学成像系统
JP6858466B2 (ja) 2018-12-29 2021-04-14 カンタツ株式会社 撮像レンズ
TWI756512B (zh) * 2019-02-01 2022-03-01 揚明光學股份有限公司 定焦鏡頭及其製造方法
TWI684807B (zh) * 2019-06-14 2020-02-1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光學透鏡系統、取像裝置及電子裝置
TWI691751B (zh) * 2019-06-14 2020-04-2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光學攝影鏡頭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KR102479779B1 (ko) * 2020-06-05 2022-12-21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CN111812822B (zh) * 2020-09-15 2020-11-27 瑞泰光学(常州)有限公司 摄像光学镜头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7246A (ja) 1974-09-26 1976-03-29 Konishiroku Photo Ind Hitaishofuuriehenkanyokogakukei
JPS58209707A (ja) * 1982-05-31 1983-12-06 Asahi Optical Co Ltd 超コンパクト望遠レンズ
JPH01302311A (ja) 1988-05-31 1989-12-06 Canon Inc ガウス型レンズ
JPH05142469A (ja) 1991-11-06 1993-06-11 Olympus Optical Co Ltd 大口径中望遠レンズ
JP3254239B2 (ja) 1992-02-17 2002-02-04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大口径中望遠レンズ
JP3302072B2 (ja) 1993-02-09 2002-07-15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高性能撮影レンズ
JP4365922B2 (ja) 1999-02-09 2009-11-1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影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影装置
US6246833B1 (en) * 1998-02-19 2001-06-12 Canon Kabushiki Kaisha Photographic lens and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4527823B2 (ja) 1999-10-08 2010-08-1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望遠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
JP4550970B2 (ja) 2000-05-24 2010-09-22 株式会社栃木ニコン フローティングを利用した撮影レンズ
JP4744711B2 (ja) * 2001-04-02 2011-08-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取込レンズ
JP3900282B2 (ja) * 2002-03-14 2007-04-04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ズームレンズ
JP3817245B2 (ja) * 2003-12-26 2006-09-06 株式会社タムロン マクロレンズ
DE102004008997B4 (de) 2004-02-22 2005-12-22 Leica Camera Ag Fotografisches Objektiv vom modifizierten Doppelgaußtyp
JP2006030496A (ja) * 2004-07-14 2006-02-02 Nidec Copal Corp テレセントリックレンズ
JP4689212B2 (ja) * 2004-08-30 2011-05-25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テレセントリックレンズ
CN100410715C (zh) * 2005-03-31 2008-08-13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变焦镜头
JP4867356B2 (ja) 2006-01-18 2012-02-01 株式会社ニコン テレセントリック対物レンズ
CN100465688C (zh) * 2006-04-05 2009-03-04 扬明光学股份有限公司 变焦镜头
EP1870756A1 (de) * 2006-06-22 2007-12-26 BCI Finanz AG Projektionsobjektiv fester Brennweite für die digitale Projek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30046B2 (en) 2014-01-14
CN102495461A (zh) 2012-06-13
US8427763B2 (en) 2013-04-23
US8773779B2 (en) 2014-07-08
US20130201564A1 (en) 2013-08-08
CN102495461B (zh) 2014-07-16
US20090273851A1 (en) 2009-11-05
US20140092490A1 (en) 201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7422A (ko) 촬영 렌즈, 촬영 렌즈를 구비한 광학 기기 및 촬영 렌즈의 제조 방법
JP5151524B2 (ja) 撮影レンズ、この撮影レンズを備えた光学機器、及び、結像方法
US9291804B2 (en) Zoom lens and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the same
US8027100B2 (en) Imaging lens, optical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image using this imaging lens
JP5505758B2 (ja) 撮影レンズ、この撮影レンズを備えた光学機器
JP5309553B2 (ja) ズームレンズ、及び、このズームレンズを備えた光学機器
JP5582303B2 (ja) 変倍光学系、及び、この変倍光学系を有する光学機器
JP2010085875A (ja) ズームレンズ、光学機器及び製造方法
JP2012185263A (ja) 撮影レンズ、この撮影レンズを有する光学機器、及び、撮影レンズの製造方法
JP5151635B2 (ja) 撮影レンズ、この撮影レンズを備えた光学機器、及び、結像方法
JP5510784B2 (ja) ズームレンズ、光学機器
US9645366B2 (en) Zoom lens, optical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zoom lens
JP2010044226A (ja) ズームレンズ系、このズームレンズ系を備えた光学機器、及び、ズームレンズ系を用いた変倍方法
JP5754633B2 (ja) 光学系、及び、この光学系を有する光学機器
JP5170659B2 (ja) 撮影レンズ、この撮影レンズを備えた光学機器及び結像方法
JP5136776B2 (ja) 撮影レンズ、この撮影レンズを備えた光学機器、及び、結像方法
JP2015191064A (ja) 変倍光学系、撮像装置及び変倍光学系の製造方法
US20140334012A1 (en) Zoom lens, optical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zoom lens
JP2016156941A (ja) レンズ系、光学機器及びレンズ系の製造方法
JP5505770B2 (ja) ズームレンズ、光学機器
JP5170660B2 (ja) 撮影レンズ、この撮影レンズを備えた光学機器及び結像方法
JP2015191060A (ja) 変倍光学系、撮像装置及び変倍光学系の製造方法
JP5170658B2 (ja) 撮影レンズ、この撮影レンズを備えた光学機器及び結像方法
JP5754634B2 (ja) 光学系、及び、この光学系を有する光学機器
JP6031942B2 (ja) 変倍光学系、光学装置、変倍光学系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