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7040A - 플립 탑 장치용 탄성 레버 - Google Patents

플립 탑 장치용 탄성 레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7040A
KR20090087040A KR1020097011637A KR20097011637A KR20090087040A KR 20090087040 A KR20090087040 A KR 20090087040A KR 1020097011637 A KR1020097011637 A KR 1020097011637A KR 20097011637 A KR20097011637 A KR 20097011637A KR 20090087040 A KR20090087040 A KR 20090087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communication device
portable wireless
digital communication
wireless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1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쥬아 케이 펄티라티
파시 켐피넨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87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70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플립 탑 전자 장치의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 사이에는 탄성 레버가 배치되어 있다. 탄성 레버의 축은 하부 본체 상의 키패드 위로 상부 본체가 이동하는 동안에 상부 본체의 전방 에지가 하부 본체 근처에 머무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부 본체의 일 단부는 하부 본체, 예컨대 키보드 위로 점프 또는 활주한다. 이러한 탄성적 특징에 의해 상기 장치의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에서의 고정 효과가 나타난다.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탄성 부재가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본체에는 레일이 배치된다. 상부 본체에는 탄성 종동부가 부착된다. 탄성 종동부는 또한 레일에 부착된다. 이에 의해, 이들 요소가 상부 본체의 전방 에지를 하부 본체에 대하여 상승시킨다. 제 1 본체부는 디스플레이 섀시를 구비하는 상부 본체, 예컨대 덮개일 수 있다. 제 2 본체부는 키보드 또는 키패드를 구비하는 하부 본체로서, 예컨대 제 2 본체부는 섀시를 구비하는 엔진 블록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 본체부가 제 2 본체부 상에서 점프 또는 활주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장치를 편안하게 파지할 수 있다. 손가락이 디스플레이에 대한 시야를 가리지 않는다. 이들 본체는 서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Description

플립 탑 장치용 탄성 레버{RESILIENT LEVER FOR A FLIP TOP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디지털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립-탑형 전화(a flip-top phone)와 같은 플립-탑 기반 장치는 상부 본체부(a top body portion), 하부 본체부(a bottom body portion) 및 조인트 부재를 포함한다. 상부 본체부의 예로는 디스플레이 및 섀시(chassis)를 구비하는 덮개(lid)가 있고, 하부 본체부는 엔진 섀시(an engine chassis)일 수 있으며, 조인트 부재는 힌지부 또는 힌지일 수 있다. 양 본체는 예컨대 힌지부와 같은 조인트 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이 조인트 부재가 양 블록 사이의 이동을 허용한다.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 사이의 2개의 축으로 인해, 상부 본체의 전방 에지가 상승할 수 있고, 플립-탑 장치는 책처럼 개방된다. 그러나, 이러한 움직임은 플립-탑 장치에 대한 나쁜 느낌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립-탑 장치는 책의 경우와 같이 뜻하지 않게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또한,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 사이의 신호 배선[예컨대 플렉스(flex) 및/또는 동축 케이블]이 손상에 노출되며, 이것은 큰 문제이다. 예를 들어, 최종 수요자가 우연히 또는 고의로 신호 배선에 닿거나 또는 만지거나 할 수 있다.
상부 블록의 축에 비틀림 스프링(torsion spring)을 사용하여 "책과 같은 개 방"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가 있어 왔다. 예를 들면, 힌지 내에 비틀림 스프링을 구비하는 플립 탑 전화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지의 방법은 신호 배선이 여전히 손상에 노출된다. 또한, "책과 같은 개방"의 문제를 위한 비틀림 스프링에도 불구하고, 플립 탑 장치의 기계 구조는 여전히 물리적인 충격에 취약하며, 특히 비틀림에 약하다. 나아가, 상부 블록이 하부 블록에 세게 닫힐 때의 소음은 거슬릴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책과 같은 개방 매커니즘을 완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휴대용 무선 디지털 통신 장치는, 제 1 본체부와, 제 2 본체부와, 상기 제 1 본체부와 상기 제 2 본체부 사이의 움직임을 허용하는 조인트 부재와, 상기 장치의 실질적인 폐쇄 위치에서 상기 제 1 본체부의 일 단부가 상기 제 2 본체부로 가압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장치의 실질적인 개방 위치에서도 상기 단부가 상기 제 2 본체부로 가압되도록 배치되기 위해 상기 조인트 부재와 함께 고정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 1 본체부 및 제 2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본체부는 제 1 작동 모드에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제 2 작동 모드에서는 둔각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본체부는 상대적 이동(relative movement)을 위해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제 1 본체부와 상기 제 2 본체부 사이의 상대적 이동에 상대적 이동이 반전되는 제 1 전이 영역 및 상대적 이동이 반전되지 않는 제 2 전이 영역이 포함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 사이에는 탄성 레버가 배치되어 있다. 이 레버는 조인트 부재로 분기한다. 탄성 레버의 축은 하부 본체 상의 키패드 위로 상부 본체가 이동하는 동안에 상부 본체의 전방 에지(edge)가 하부 본체 근처에 머무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부 본체의 일 단부는 하부 본체, 예컨대 키패드 위로 점프 또는 활주한다. 이러한 탄성적 특징에 의해 상기 장치의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에서의 고정 효과가 나타난다.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탄성 부재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부 본체에는 레일이 배치된다. 상부 본체에는 탄성 종동부(a resilient follower)가 부착된다. 탄성 종동부는 또한 레일에 부착된다. 이들 요소가 상부 본체의 전방 에지를 하부 본체에 대하여 상승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본체부는 디스플레이 섀시를 구비하는 상부 본체이다. 제 1 본체부는 덮개일 수 있다. 제 2 본체부는 키보드 또는 키패드를 구비하는 하부 본체이다. 제 2 본체부는 섀시를 구비하는 엔진 블록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 본체부가 제 2 본체부 상에서 활주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장치를 편안하게 파지할 수 있다. 손가락이 디스플레이에 대한 시야를 가리지 않는다. 나아가,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이 타이핑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어느 한 손으로 타이핑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 위치에 있는 휴대용 무선 디지털 통신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경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블록이 하부 블록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기 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경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블록이 제 2 본체부에 접근하고 있는 상기 장치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 위치에 있는 상기 장치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 위치에 있는 상기 장치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장치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 위치에 있는 상기 장치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 위치에 있는 상기 장치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장치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장치의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장치의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장치의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 위치에 있는 상기 장치의 단면도.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탄성 레버의 길이(또는 선택적으로 탄성 레버들의 길이)는 상부 본체부의 이동 초기에 탄성 레버가 상부 본체부의 전방 에지를 하부 본체부의 활주면 쪽으로 가압하도록 정해져 있다. 짧은 활주 이동 후에 상부 본체부의 전방 에지는 하부 본체부의 키패드 표면 위로 상승하기 시작한다. 키패드를 횡단할 때, 상부 본체부의 전방 에지는 하부 본체부의 활주면 쪽으로 다시 가압하기 시작하며, 탄성 레버가 당겨진다. 짧은 이동 후, 탄성 레버의 탄성 하중이 해제되기 시작하고, 휴대용 무선 통신 장치가 개방 위치에 고정된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쇄 위치에 있는 휴대용 무선 통신 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플립 탑 휴대 전화와 같은 휴대용 무선 통신 장치(100)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장치(100)는 또한 랩탑 컴퓨터, 손바닥 크기의 전기 장치(an electric palm apparatus), 팜 컴퓨터, 휴대용 전기 노트북 장치 등일 수 있다. 장치(100)는 제 1 본체부(101)(선택적으로 제 1 본체라고도 함)를 포함한다. 제 1 본체의 일례가 상부 본체이다. 상부 본체는 플립 탑 장치의 덮개[또는 조개형 장치(shellfish device)의 덮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본체(101)는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또한, 제 1 본체(101)는 장치(100)의 섀시의 일부일 수 있다.
장치(100)는 또한 제 2 본체부(102)(선택적으로 제 2 본체라고도 함)를 포함한다. 제 2 본체의 일례가 하부 본체이다. 하부 본체는 플립 탑 장치의 엔진 본체(engine body)(또는 조개형 장치의 엔진 본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본체(102)는 장치(100)의 키보드 또는 키패드를 포함한다. 또한, 제 2 본체는 장치(100)의 섀시의 일부일 수 있다. 장치(100)는 또한 탄성 요소(103)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탄성 요소(103)는 스프링, 헬리컬 스프링, 고무제 레버 등이다. 탄성 요소(103)는 예컨대 축핀(axle pin)에 의해 제 1 및 제 2 본체(101, 102)에 부착될 수 있다. 장치(100)는 또한 조인트 부재(104)를 포함한다. 조인트 부재(104)의 일례는 조인트, 힌지 또는 힌지 시스템이다. 힌지는 레버와, 이 레버를 제 1 및 제 2 본체(101, 102)에 연결시키는 축을 구비할 수 있다. 도면부호 105는 레버(103) 및 조인트 부재가 모두 고정된, 예컨대 강성(solid)인 경우, 제 1 본체(101)의 단부, 예컨대 에지가 이동할 수 있는 이론적인 경로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본체(101)는 탄성 레버(103)에 의해 인가되는 힘에 의해 제 2 본체(102)에 고정되거나 또는 제 2 본체(102)로 가압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장치(100) 내에서의 탄성 부재(103) 및 조인트 부재(104)의 형상은 제 1 본체(101)의 에지가 제 2 본체(102)로 가압되도록 하는 형상이다. 이러한 압력이 장치(100)에 대한 제 1 및 제 2 본체(101, 102)의 고정 촉감(a locking feeling)을 설정한다.
이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 1 본체의 개방 이동 초기에 제 1 본체(101)의 전방 에지는 제 2 본체(102)를 관통하려고 한다. 이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보조 레버(103')가 강성인 도 2에서, 에지는 경로(105)를 따른다.
탄성 레버(103)를 구비한 도 3에서, 상기와 같은 현상은 제 2 본체의 에지에 대한 제 1 본체의 전방 에지의 압력으로 변환된다. 제 2 본체의 에지는 활주가 가능한 활주 요소일 수 있고, 제 2 본체(102)에 대하여 가압될 수 있다.
도 3에서, 스프링 타입의 레버와 같은 탄성 레버(103)가 선(103)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 도 2에 대하여 레버(103)의 길이는 공칭 길이로부터 연장된 길이까지 변화한다(예컨대 24.24㎜ 내지 24.67㎜).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제 1 본체(101)는 개방 위치로 이동 또는 활주하기 시작한다. 활주 이동 후, 제 2 본체(102)에 대한 제 1 본체의 전방 에지의 압력은 해제되기 시작한다. 제 1 본체(101)의 전방 에지는 경로(105)를 따르기 시작하며, 제 2 본체(102) 위로 도약한다. 레버(103)의 길이는 도 5에서 공칭 길이로 복귀한다. 레버(103) 및 조인트 부재(104)는 제 1 본체(101)의 전방 에지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의 실질적인 중심부에 있는 제 2 본체의 표면을 긁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컨대 키패드가 보호된다.
개방 이동의 말기에는 제 1 본체(101)의 전방 에지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블록(102)에 다시 접근하기 시작한다.
도 7에서, 제 1 본체의 개방 이동 말기에 전방 에지는 제 2 본체(102)를 관통하려고 한다. 보조 레버(103')가 강성이며, 에지가 경로를 따를 때에 제 2 본체의 표면의 각 부분에 방해물이 없는 경우, 에지는 제 2 본체(102)로 진입한다.
탄성 레버(103)인 경우, 이러한 현상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본 체(102)에 대한 전방 에지의 압력으로 변환된다. 예를 들어, 제 2 본체의 단부에 배치된 제 2 본체의 활주 요소에 대한 압력으로 변환된다.
이제 도 9를 참조하면, 개방 활주 이동 후, 엔진 본체에 대한 전방 에지의 압력은 해제된다. 탄성 레버의 길이는 공칭 길이로 복귀한다. 장치는 개방 위치에 고정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제 1 본체(101)는 탄성 레버(103)에 의해 인가되는 힘에 의해 제 2 본체(102)에 고정되거나 또는 제 2 본체(102)로 가압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장치(100)에 있어서의 탄성 레버(103) 및 조인트 부재(104)의 형상은 탄성 레버(103)를 공칭 길이로 해제함으로써 제 1 본체(101)가 제 2 본체(102)에 대하여 개방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형상이다. 따라서, 조인트 부재(104) 및 레버(103)는 제 1 블록(101)을 개방 위치에 유지시키는 힘이 존재하도록 구성된다. 이 힘이 또한 개방 위치에 있는 장치(100)에 대한 제 1 및 제 2 본체(102, 103)의 고정 효과를 설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레버(103)는 탄성 레버 및 강성 레버를 포함하는 레버 시스템일 수도 있다. 따라서, 레버는 2개의 부품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강성 레버는 탄성 레버의 과도한 신장을 방지하기 위해 제동 레버(safety lever)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강성 레버[즉, 고정 레버(securing lever)]는 본 발명에 있어서 필수적인 특징은 아니다. 이하의 도면에서, 탄성 레버와 가능한 고정 레버는 길이가 변화하는 단순한 흰 선으로 대체되어 있다.
고정 레버는 탄성 레버와 함께 측면에 조립될 수 있다. 고정 레버 상의 타원형 핀홀(pinhole)은 탄성 레버가 활주 동작에 필요한 것만을 신장시키게 한다.
도 10 내지 도 12는 탄성 부재가 탄성 종동부(103")일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용 무선 통신 장치(100)는 레일(108)을 포함한다. 이 레일은 하부 본체(102)의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일(108)은 피봇점을 중심으로 한 제 1 본체(예컨대 덮개 등)의 자유로운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동 동안, 제 1 본체(101)는 제 2 본체(102) 위로 활주하고, 지지 탭 및 활주면은 제 1 본체의 전방 에지를 상승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활주면은 제 2 본체(102)의 쿼티-키패드(qwerty-keypad)의 양 측면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장치(100)는 종동부(103")를 포함한다. 종동부는 탄성적이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강성일 수 있다. 종동부(103")는 길이 연장부(lengthening)(107)에 의해 상부 본체(101)에 부착된다. 종동부(103")는 그에 의해 상부 본체(101) 및 하부 본체(102) 모두에 부착된다. 휴대용 무선 통신 장치는 또한 조인트 부재(104')를 포함한다. 요소(103")의 의미는 덮개의 개방을 보조하고 덮개의 폐쇄를 보장하는 것이다.
종동부(103") 및 조인트 부재(104')는 상부 본체의 이동 초기에 상부 본체의 전방 에지가 하부 본체의 활주면 쪽으로 가압되도록 고정된다. 짧은 활주 이동 후, 상부 본체의 전방 에지는 하부 본체의 표면에서 활주한다. 키패드를 횡단할 때, 상부 본체의 전방 에지는 하부 본체의 활주면에 대하여 다시 가압되기 시작한다. 짧은 이동 후, 가압 하중이 해제되기 시작하고, 휴대용 무선 통신 장치(100)는 개방 위치에 고정된다.
레일(108) 및 탄성 요소(103") 시스템은 개방 및/또는 폐쇄 이동 동안에 제 1 본체(101)와 제 2 본체(102) 사이의 간격 변화(z-방향)를 보상한다. 이는 종동부(103")의 고정점이 최적이 아니기 때문에 사용될 수 있다. 최적이기 위해서는 고정점이 덮개의 전방 에지의 선단에 있어야만 한다. 이것은 레일 시스템을 쿼티 키패드의 중앙에 배치하지 않고서는 가능하지 않으며, 따라서 키패드를 별도의 2개의 부분으로 분리한다. 이에 의해, z-방향의 간격 변화를 보상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방식이 존재하는데, 이는 가요성, 스프링 하중식 등의 종동부 및 직선형 레일 시스템과, 고정 종동부 및 곡선형 레일 시스템이다.
따라서, 레일(108) 및 종동부(103")는 다양한 상이한 방식으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부 본체(102)에 곡선형 레일을 배치하고, 상부 본체(101)에 강성 종동부를 배치하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하부 본체(102)에 직선형 레일을 배치하고, 상부 본체(101)에 탄성 종동부(103")를 배치하는 것이 있다. 후자의 방식은 하부 본체의 적층에 있어서 공간을 절약한다.
이제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 위치에 있는 휴대용 무선 통신 장치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장치(100")는 제 1 본체(101)를 포함한다. 장치(100")는 또한 제 2 본체(102)를 포함한다. 장치(100")는 탄성 레버(103"')도 포함한다. 종동부와 같은 탄성 레버는 탄성 종동부이거나 또는 강성 종동부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종동부(103"')는 스프링, 헬리컬 스프링, 고무제 레버 등이다. 탄성 레버(103"')는 예컨대 축핀에 의해 제 1 및 제 2 본체(101, 102)에 부착될 수 있다. 장치(100")는 또한 조인트 부재(104')를 포함한다. 조인트 부재(104')의 일례에는 힌지 또는 힌지 시스템이 있다. 힌지는 레버 와, 이 레버를 제 1 및 제 2 본체(101, 102)에 연결시키는 축을 구비할 수 있다. 조인트 부재(104')는 제 1 본체(101)의 폐쇄를 보조한다.
레버(103"') 및 레버(104')가 모두 고정될 경우에 제 1 본체(101)의 단부, 예컨대 에지가 따를 수도 있는 이론적인 경로는 또한 본 예에 이론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본체(101)는 탄성 종동부(103"'), 즉 탄성 레버에 의해 인가되는 힘에 의해 제 2 본체(102)에 고정되거나 또는 제 2 본체(2)로 가압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장치(100")에 있어서의 탄성 종동부(103"') 및 조인트 부재(104')의 형상은 제 1 본체(101)의 에지가 제 2 본체(102)로 가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 압력이 장치(100")에 대한 제 1 및 제 2 본체(101, 102)의 고정 촉감을 설정한다.
탄성 부재(103"')의 토크는 예컨대 약 8.9N㎜일 수 있다. 이는 제 1 본체(101)와 제 2 본체(102) 사이에 7.7N의 수직항력을 야기할 것이다. 이들 수치는 단지 많은 상이한 대안예 중 일례로서 기술되는 것임을 유의해야 한다.
이제 도 14를 참조하면, 제 1 본체의 개방 이동 초기에 제 1 본체(101)의 전방 에지는 제 2 본체(102)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배열된다. 이는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탄성 레버(103"')에 의해 제 1 본체(101)의 전방 에지는 제 2 본체의 표면에 대하여 가압되도록 배열된다. 이 표면은 제 1 본체의 에지가 활주하여 제 2 본체(102)에 대해 가압되게 하는 활주 요소일 수 있다. 또한, 레일(108)이 이러한 이동을 안내한다.
이제 도 15를 참조하면, 제 1 본체(101)는 개방 위치 쪽으로 이동 또는 활주하기 시작한다. 활주 이동 후, 엔지 본체에 대한 제 1 본체의 전방 에지의 압력은 해제되기 시작한다. 제 1 본체(101)의 전방 에지는 레일(108) 및 탄성 종동부(103"')에 의해 안내되는 표면을 따르기 시작한다. 레버(103"'), 조인트 부재(104') 및 레일(108)은 전방 에지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의 실질적인 중심부에 있는 제 2 본체(102)의 표면을 긁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컨대 키보드가 보호된다.
도 16에서, 조인트 부재(104')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위치에 있다. 스프링력과 같은 탄성력은 예컨대 17N까지 상승하지만, 동시에 그 아암(arm)이 0.5㎜ 미만으로 된다. 이는 레버(107')에 8.5N㎜의 토크 및 1.5N의 수직항력을 허여한다. 조인트 부재(104')는 제 1 본체의 개방 또는 폐쇄를 보조한다.
개방 이동 말기에, 제 1 본체(101)의 전방 에지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제 2 본체(102)로 접근하기 시작한다. 탄성 레버(103"'), 레버(107')의 구조 및 조인트 부재(104')를 사용하여, 전방 에지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본체(102)에 대해 가압되도록 배열된다. 예를 들면, 제 2 본체의 단부에 배치된 제 2 본체의 활주 요소에 대하여 가압되며, 또한 레일(108)에 대하여 가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제 도 18을 참조하면, 개방 활주 이동 후에 엔진 본체에 대한 전방 에지의 압력은 해제된다. 덮개(101)는 이제 완전히 개방된 상태이다. 탄성력은 15N을 떨어지지만, 요소(107'), 부재(103"') 및 조인트 부재(104')의 구성의 기하학적 구조 및 각도로 인해 제 1 본체(101)와 제 2 본체(102) 사이의 가압하는 힘은 약 8N으로 상승한다. 조인트 부재(104')가 힌지부를 스토퍼 특징부(stopper features) 쪽으로 당긴다. 따라서, 장치는 개방 위치에 고정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제 1 본체(101)는 탄성 레버(103"') 및 기하학적 구조에 의해 인가되는 힘에 의해 제 2 본체(102)에 고정되거나 또는 제 2 본체(102)로 가압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장치(100)에 있어서의 탄성 레버(103"'), 부재(107') 및 조인트 부재(104')의 형상은 제 1 본체(101)가 제 2 본체(102)에 대하여 개방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형상이다. 또한, 개방 위치에 있는 장치(100)에 대하여 제 1 및 제 2 본체(101, 102)의 고정 촉감이 존재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각도는 90° 또는 45°이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다.
비록 상기의 설명은 많은 세부사항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많은 세부사항들이 단일한 또는 복수의 실시예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예 및 변화예가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22)

  1. 휴대용 무선 디지털 통신 장치에 있어서,
    제 1 본체부와,
    제 2 본체부와,
    상기 제 1 본체부와 상기 제 2 본체부 사이의 이동을 허용하는 조인트 부재와,
    상기 장치의 실질적인 폐쇄 위치에서 상기 제 1 본체부의 일 단부가 상기 제 2 본체부로 가압되도록 배열되며, 상기 장치의 실질적인 개방 위치에서도 상기 단부가 상기 제 2 본체부로 가압되도록 배열되기 위해, 상기 조인트 부재와 함께 고정되어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 디지털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인 폐쇄 위치에서 상기 제 1 본체부의 타단부가 상기 제 2 본체부로 가압되도록 배열되며, 상기 실질적인 개방 위치에서 상기 타단부가 상기 제 2 본체부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열되는
    휴대용 무선 디지털 통신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본체부는 상기 제 2 본체부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이동하도록 배열되는
    휴대용 무선 디지털 통신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본체부와 상기 제 2 본체부 사이의 각도는 45°미만이 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무선 디지털 통신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본체부와 상기 제 2 본체부 사이의 압력은 상기 개방 위치와 상기 폐쇄 위치 사이에서 상기 개방 위치의 경우 또는 상기 폐쇄 위치의 경우보다 작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무선 디지털 통신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위치와 상기 폐쇄 위치 사이에서 상기 단부는 상기 제 2 본체부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열되는
    휴대용 무선 디지털 통신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부재는 힌지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 디지털 통신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탄성 레버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 디지털 통신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탄성 종동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 디지털 통신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 디지털 통신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본체부는 상기 장치용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본체부는 상기 장치용 키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본체부는 상기 장치의 섀시를 구성하는
    휴대용 무선 디지털 통신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를 안내하도록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 디지털 통신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추가로 상기 탄성 부재를 상기 제 2 본체부 내에 부착하도록 배열되는
    휴대용 무선 디지털 통신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는 상기 개방 위치와 상기 폐쇄 위치 사이의 이동 동안에 상기 제 2 본체부의 표면을 따라 활주하도록 배열되는
    휴대용 무선 디지털 통신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제 2 본체부를 결합시키는 다른 조인트 부재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 디지털 통신 장치.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본체부는 상기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조인트 부재는 상기 제 2 본체부의 레일에 부착되어 있는
    휴대용 무선 디지털 통신 장치.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른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 디지털 통신 장치.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다른 탄성 부재의 사이에 키보드 또는 디스플레이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탄성 부재 및 상기 다른 탄성 부재가 대체로 상기 장치의 에지 근처에 배치되는
    휴대용 무선 디지털 통신 장치.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는 상기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 디지털 통신 장치.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는 탄성적인
    휴대용 무선 디지털 통신 장치.
  21. 휴대용 무선 디지털 통신 장치에 있어서,
    제 1 본체 수단과,
    제 2 본체 수단과,
    상기 제 1 본체 수단과 상기 제 2 본체 수단 사이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이동 허용 수단과,
    상기 장치의 실질적인 폐쇄 위치에서 상기 제 1 본체 수단의 일 단부가 상기 제 2 본체 수단에 대해 가압되도록 배열되며, 상기 장치의 실질적인 개방 위치에서도 상기 단부가 상기 제 2 본체 수단에 대해 가압되도록 배열되기 위해, 상기 이동 허용 수단과 함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탄성 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 디지털 통신 장치.
  22.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 1 작동 모드에서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배열되고, 제 2 작동 모드에서는 둔각으로 배열되는 제 1 및 제 2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본체부는 상대적 이동(relative movement)을 위해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제 1 본체부와 상기 제 2 본체부 사이의 상대적 이동 에는 상대적 이동이 대향되는 제 1 전이 영역과, 상대적 이동이 대향되지 않는 제 2 전이 영역이 포함되도록 하는
    전자 장치.
KR1020097011637A 2006-11-07 2006-11-07 플립 탑 장치용 탄성 레버 KR200900870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FI2006/000355 WO2008056019A1 (en) 2006-11-07 2006-11-07 Resilient lever for a flip top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040A true KR20090087040A (ko) 2009-08-14

Family

ID=39364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1637A KR20090087040A (ko) 2006-11-07 2006-11-07 플립 탑 장치용 탄성 레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385993B2 (ko)
EP (1) EP2084887B1 (ko)
JP (1) JP2010508745A (ko)
KR (1) KR20090087040A (ko)
CN (1) CN101536474A (ko)
IL (1) IL197308A0 (ko)
MX (1) MX2009002488A (ko)
RU (1) RU2009119281A (ko)
WO (1) WO20080560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52874B2 (en) * 2008-11-14 2015-06-09 Nokia Technologies Oy Handheld device with a user interface
US8483784B2 (en) 2009-12-18 2013-07-09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having a rotatable member
US8843183B2 (en) 2010-01-15 2014-09-23 Blackberry Limit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overlapping first and second body members
EP2355463B1 (en) * 2010-01-15 2012-09-05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overlapping first and second body members
US8725223B2 (en) 2010-02-08 2014-05-13 Nokia Corporation Apparatus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374658B2 (en) 2010-04-26 2013-02-1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lat and tilt slide mechanism
US8718725B2 (en) 2010-05-07 2014-05-0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ouble slider device with tilting display
US8290549B2 (en) 2010-06-16 2012-10-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rotatable member
CN102375480B (zh) * 2010-08-16 2016-05-1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笔记本电脑
JP5551024B2 (ja) * 2010-08-31 2014-07-16 三菱製鋼株式会社 電子機器用スライド装置
US8769772B2 (en) 2011-08-10 2014-07-08 Blackberry Limited Mobile electronic device having member rotatable between first and second positions
TWI464562B (zh) * 2011-11-18 2014-12-11 Wistron Corp 可攜式電腦
TWI442872B (zh) * 2011-12-26 2014-06-21 Wistron Corp 具有多角度限位功能之滑蓋裝置
US8549708B1 (en) * 2012-07-05 2013-10-08 Khvatec Co., Ltd. Long stroke tilting hinge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JP5910409B2 (ja) 2012-08-10 2016-04-27 富士通株式会社 情報機器及び情報機器のリンク機構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3089A (en) 1992-09-24 1994-11-08 Motorola,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position hinged mechanism
JPH0944097A (ja) 1995-07-27 1997-02-14 Casio Comput Co Ltd 表示部付き電子機器
US6542721B2 (en) * 1999-10-11 2003-04-01 Peter V. Boesen Cellular telephone,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pager unit
FI19992564A (fi) * 1999-11-30 2001-05-31 Nokia Mobile Phones Ltd Saranarakenne ja saranoitu elektroniikkalaite
FI116345B (fi) 2000-12-19 2005-10-31 Nokia Corp Kannettavat elektroniset laitteet
CN2631142Y (zh) 2003-05-23 2004-08-04 金文� 一种推拉式连接盖板的手机
JP4357900B2 (ja) * 2003-08-18 2009-11-04 加藤電機株式会社 小型情報端末用スライドヒンジ
JP2005228069A (ja) * 2004-02-13 2005-08-25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携帯型電子機器
KR100630098B1 (ko) * 2004-02-20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JP4169204B2 (ja) * 2004-09-16 2008-10-22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KR100617673B1 (ko) 2004-12-06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및 이를채용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
JP4440092B2 (ja) 2004-12-27 2010-03-24 三菱電機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4761344B2 (ja) * 2004-12-28 2011-08-31 並木精密宝石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装置
JP4190509B2 (ja) * 2005-03-02 2008-12-03 シャープ株式会社 折畳み式携帯電話
US7492891B2 (en) * 2005-03-03 2009-02-17 Nokia Corporation Mobile electronic device having relocatable display element
EP1867143B1 (en) * 2005-04-06 2011-11-02 Nokia Corporation Extensible mobile electronic device
US7522945B2 (en) 2005-06-28 2009-04-21 Nokia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710068B1 (ko) * 2005-11-11 2007-04-23 주식회사 팬택 슬라이드 힌지장치 및 슬라이드 힌지장치를 사용한개인휴대단말기
US7636591B2 (en) * 2006-04-28 2009-12-2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Two-way sliding mobile terminal
US7690576B2 (en) 2006-07-19 2010-04-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moveable display/cover member
US20100285852A1 (en) * 2009-05-08 2010-11-1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lideable hinge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36474A (zh) 2009-09-16
EP2084887A1 (en) 2009-08-05
EP2084887A4 (en) 2009-12-30
US20100210328A1 (en) 2010-08-19
MX2009002488A (es) 2009-04-27
JP2010508745A (ja) 2010-03-18
RU2009119281A (ru) 2010-12-20
WO2008056019A1 (en) 2008-05-15
US8385993B2 (en) 2013-02-26
IL197308A0 (en) 2009-12-24
EP2084887B1 (en)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7040A (ko) 플립 탑 장치용 탄성 레버
EP2223511B1 (en) Slide mechanism
EP1530345A1 (en) Sliding-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1820455A (zh) 无线通信终端及其导向单元
CN101179605B (zh) 滑盖机构及应用该滑盖机构的便携式电子装置
KR100848114B1 (ko) 좁은 궤적을 갖는 박형 탄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
CN101155487A (zh) 滑盖机构及应用该滑盖机构的便携式电子装置
EP2808753A2 (en) Electronic device
EP3124300B1 (en) Sunroof device
KR101733808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모듈
EP2285074B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rising mechanism
KR200416094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장치
EP1783986A2 (en) Sliding module of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KR20040104358A (ko) 원활한 슬라이딩 구조를 갖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슬라이드 장치
KR200365393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구조
KR10115519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포트 커버
EP2020804A1 (en) Slider mechanism with zigzag springs for opening and closing a portable terminal
EP2801731A1 (en) Spring unit and slide mechanism
CN1809087A (zh) 折叠型便携式设备
US7952867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long stroke hinge
CN111789363B (zh) 电子装置
KR10067233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1006230B1 (ko)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
JP4783766B2 (ja) スライド式携帯端末
CN101729617A (zh) 弹性件及具该弹性件的滑盖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