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6513A - 블라인드들 및 그 구성요소들 - Google Patents

블라인드들 및 그 구성요소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6513A
KR20090086513A KR1020097004612A KR20097004612A KR20090086513A KR 20090086513 A KR20090086513 A KR 20090086513A KR 1020097004612 A KR1020097004612 A KR 1020097004612A KR 20097004612 A KR20097004612 A KR 20097004612A KR 20090086513 A KR20090086513 A KR 20090086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nd
mounting
glazing pane
cor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4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닐 윌슨
Original Assignee
터닐스 (유케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터닐스 (유케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터닐스 (유케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86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65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6Devices or accessories for making or mounting lamellar blinds or par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3Structure or support of upper box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7Guides for raisable lamellar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레이즈드 어퍼처에서 블라인드(100)를 장착시키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상기 블라인드는 헤드 조립체(124) 및 슬래이브 바아(108)를 포함하며, 그들 사이에서 1 이상의 블라인드 패널이 연장되며, 상기 그레이즈드 어퍼처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에서 유지되는 글레이징 창유리(20a), 및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와 비드(bead)가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에 대하여 지지되는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유연하거나 또는 탄성의 비드(22)를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글레이즈드 어퍼처나 또는 그 최상부 부근에 상기 헤드 조립체를 장착하기 위한 상기 헤드 조립체 용 장착 수단(38, 40), 제 1 및 제 2 장착 브래킷(78, 80; 178, 180) - 각각, 사용시 상기 비드(22)와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20a)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평면 핑거(82)를 갖는 제 1 부분, 및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의 평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교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착 형성체(86)를 형성하는 제 2 부분(84)을 포함함 - 을 포함한다. 지지 코드(106)는 일 부착 형성체에 연결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슬래이브 바아의 일 단부를 통해 일 부착 형성체로부터 상기 헤드 조립체 내로 연장되며 아래로 상기 슬래이브 바아의 다른 단부를 통해 상기 다른 부착 형성체로 연장되도록 되어 있다. 실제로, 본 발명은 블라인드 용 바텀 앵커(178, 180)를 제공하며, 상기 앵커는 이러한 제 1 및 제 2 장착 브레킷과 블라인드를 위한 지지 코드를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라인드들 및 그 구성요소들{BLINDS AND COMPONENTS THEREOF}
본 발명은 롤러 블라인드들, 버티컬 블라인드들, 로만 블라인드들과 같은 블라인드들(또는 셰이드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로 글레이즈 윈도우들(glazed windows)에서 사용하기 위한 베네치안 블라인드와 플리티드 블라인드, 및 이러한 블라인드들을 그들이 사용될 장소에 장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헤드 레일 및 바텀 레일 - 이 두 레일들 사이에는 코드들이 상기 레일들 사이에서 블라인드를 지지하기 위해 인장을 받음(tensioned) - 을 포함하는 블라인드들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블라인드들 또는 장치의 제작에 사용되는 구성요소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블라인드들 및 장치는 주로 투명, 반투명, 유색 또는 무색 글레이징 창유리(glazing pane) 또는 패널로 글레이징되는 어퍼처들에 적용가능하지만, 투명, 반투명, 유색 또는 무색 플라스틱 시트들과 같은 여타 적합한 글레이징 재료들이 이용될 수도 있다.
다른 언급이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글레이징", "글레이징 창유리", "글레이징 패널", "글레이즈드" 및 "글레이징"이라는 용어들은 글레이징 및/또는 여타 적합한 글레이징 재료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포괄하기 위한 것이다. "글레이즈드 윈도우"라는 용어는 주로 하우스들 및 오피스들과 같은 빌딩의 외부 윈도우들을 지칭하며, 또한 온실들(conservatories)도 포함한다. 또한, 다른 언급이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글레이즈드 윈도우"는 글레이즈드 도어와 같은 다른 글레이즈드 어퍼쳐들, (오피스들에서와 같은) 글레이즈드 내부 파티션들 등을 포괄한다.
대부분의 블라인드들은 셰이딩(shading) 재료의 패널 또는 패널들의 그룹을 포함하며, 그 구조는 사용자가 윈도우를 가리거나 노출시킬 수 있게끔 변환될 수 있다. 따라서, 롤러 블라인드는 셰이딩 구조에서는 윈도우와 대략 평행하게 놓이고 노출 조건에서는 통상적으로 윈도우의 최상부 부근에 배치되는 리지드 롤러(rigid roller) 등의 주위에 감기는 패브릭의 웹(web of fabric)을 포함한다. 버티컬 블라인드들은 통상적으로 윈도우의 최상부 부근에 장착되는 헤드 레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걸리는 복수의 패널들 또는 슬랫들을 포함한다. 주로 헤드 레일에는 기구들이 제공되는데, 상기 기구들에 의하여 패널들은 그들의 길이방향 축선들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헤드 레일을 따라 상기 윈도우에 대해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윈도우의 셰이딩의 정도가 조정된다.
슬랫티드(slatted) 블라인드라고도 알려져 있는 베니치안 블라인드들 또한 잘 알려져 있으며, 통상적으로 헤드 레일 형태의 상부 지지구조체를 포함하며, 그로부터 2 이상의 이격된 래더들에 매달려 있다. 래더들은 사용시 윈도우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되는 1 쌍의 길이방향 코드 또는 나사부를 포함하며, 복수의 측방향 나사부들은 일정한 간격으로 길이방향 코드들과 상호연결된다. 측방향 나사부들은 블라인드의 셰이딩 부를 형성하는 각각의 라스들(laths) 또는 슬랫들을 지 지한다. 상기 슬랫들은 어떠한 부착도 없이 측방향 나사부들 상에 놓이거나, 또는 슬랫들 중 일부 또는 모두가 각각의 측방향 나사부들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윈도우가 전체적으로 셰이딩되거나, 부분적으로 셰이딩되거나 또는 셰이딩되지 않는 구조들을 채택할 수 있도록 블라인드를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는 기구들이 제공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기구들은 블라인드의 슬랫들에 형성되는 홀들을 통과하거나 또는 예를 들어 슬랫들 아래로 지나갈 수 있는 1 이상의 리프트 코드를 포함한다. 또한, 슬랫들을 수직방향을 향해 나아가는 정렬이 되도록 공칭적 수평 정렬에 경사를 주거나(tilted) 기울어지게(inclined) 하여 블라인드에 의해 제공되는 셰이딩의 정도를 변화시키는 기구가 제공된다. 틸팅(tilting)은 통상적으로 래더들의 길이방향 코드들의 구조체들을 조정함으로써 실행된다.
플리티드(fleated) 블라인드 또한 잘 알려져 있으며 이는 마스터 레일(master rail) 형태의 지지구조체를 포함한다. 흔히 마스터 레일은 사용시 글레이즈드 어퍼처의 상부에 배치되나,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마스터 레일은, 몇몇 경우에 글레이즈드 어퍼처의 측면이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 윈도우를 셰이딩하는데 사용되는 패브릭의 웹은 마스터 레일에 의하여 지지된다. 패브릭은 다수의 콘서티나-형(concertina-like) 폴드들("플리트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의해 웹은 윈도우가 노출되는 콤팩트한 구조로부터 윈도우가 셰이딩되는 펼쳐진 구조까지 조정될 수 있다. 지지 코드들은 접혀진 웹을 통과하거나 그 아래로 지나가며, 통상적으로 웹의 구조 간 조정이 있을 때 상승 및 하강되는 이동 가능한 바아에 부착된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블라인드의 각각의 타입은 블라인드의 셰이딩부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되는 마스터 레일 또는 헤드 레일과 같은 실질적으로 강성 요소, 부대 또는 조립체를 포함한다. 롤러 블라인드의 경우에, 롤러의 양 단부에 있는 장착 브래킷들과 함께 블라인드가 작동가능하게 감기는 롤러 또는 튜브가 이러한 실질적으로 강성 조립체를 형성한다. 베네치안, 버티칼 및 플리티드 블라인드들의 경우에는, 헤드 레일 또는 마스터 레일이 이러한 실질적으로 강성의 요소를 형성한다. 상기 요소, 부재 또는 조립체는 이후 "헤드 조립체"라 언급되지만, 이 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상기 레일이 윈도우의 하부측에 자리할 가능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하며, 블라인드 패널(들)은 셰이딩 위치로 블라인드를 전개하기 위하여 상승된다. 하지만, 통상적으로, 상기 요소, 부재 또는 조립체는 윈도우의 상부측에 있으며, 블라인드 패널들은 적어도 어느 정도까지는 중력의 도움으로 전개되는 것이 보통이다. 통상적으로 블라인드는 헤드 조립체를 스크루 등을 이용하여 윈도우 프레임이나 벽을 둘러싼 부분, 링 등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윈도우 또는 다른 사용 장소에 장착된다. 이는 통상적으로 고정 부착을 제공하지만, 그것은 흔히 시간 소모적이고 불편하다. 또한, 예를 들어 블라인드가 제거될 때 홀들 또는 마크들이 플레임에 남게된다는 점에서 불리할 수 있다. 이는, 특히 블라인드가 홀들이 쉽게 채워지거나 그렇지 않으면 수리될 수 없는 플라스틱(통상적으로uPVC) 프레임에 장착되는 경우에 그러하다.
이러한 결점과 여타 결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베네치안, 플리티드, 롤러, 로만 또는 다른 타입의 블라인드를 스크루 고정들을 이용하지 않고 윈도우 프레임에 직접적으로 장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왔다. 제안된 한가지 해법은 윈도우 프레임의 고무 비드와 윈도우 글레이징 사이에서 강제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금속 브레킷들을 채용하는 것이다. 그 다음, 블라인드를 지지하는 사전-조립된 직사각형 프레임이 푸시-핏 구성(push-fit arrangement)에 의하여 브래킷들 상에 장착된다. 이러한 구성은 여러가지 측면에서 불리하다. 이러한 구성은 글레이징의 표면과 프레임의 내측 면 사이의 윈도우 프레임의 깊이가 상이한 윈도우들 간에 변하기 때문에, 그리고 금속 브래킷들이 단지 제한된 영역의 크기들에서만 이용가능하기 때문에, 블라인드 프레임과 윈도우 프레임 사이에 크며 미학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갭이 남게된다. 또한, 블라인드의 기본적인 무게로 인한 힘들 및 또한 (주로 블라인드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때 발생되는) 블라인드의 작동 힘들이 프레임을 통해 금속 브래킷들로 전달된 다음 글레이징으로 전달된다. 이는, 잠재적으로 금속 브래킷들의 에지들을 통해 매우 국부적으로 글레이징에 응력들을 전달한다. 또한, 프레임의 크기가 커서 윈도우의 유효 글레이즈드 영역을 축소시킨다. 예를 들어, 공칭 1 m × 1 m를 갖는 윈도우에 대해, 프레임은 가시적인 글레이즈드 영역을 0.95 m × 0.95 m로 축소시킨다.
계류중인 영국 특허 출원번호 0615518.8은 블라인드의 부착 수단, 주로 영구적인 고정들(예컨대 스크루 고정들)을 채용하지 않고 상술된 단점들을 회피하는 uPVC 윈도우 프레임을 제공한다(그러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님).
윈도우 비드와 윈도우 글레이징 사이에서 미끄러지는 부분을 갖는 브래킷들 을 사용하는 윈도우들에 대한 블라인드들의 부착은 알려진 일반적 관점에서 내부 블라인드들을 자동자의 윈도우들에 부착하기 위한 것이라는데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면, 글레이즈드 어퍼처에서 헤드 조립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를 장착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되고, 상기 글레이즈드 어퍼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서 유지되는 글레이징 창유리 또는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와 탄성 비드가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에 대하여 지지되는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유연하거나 또는 탄성의 비드를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은:
제 1 및 제 2 장착 구성요소 - 각각,
사용시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에 대하여 놓이도록 구성된 베이스면을 갖는 베이스 부,
사용시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의 평면에 대하여 대략 직교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포스트 부, 및
사용시 상기 비드와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평면 핑거를 갖는 장착 브래킷 부를 포함함 -, 및
블라인드 비드 조립체를 각각의 포스트 형성체들에 부착하도록 작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제 1 및 제 2 연결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GB0615518.8에 개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글레이즈드 어퍼처에서 장착되는 블라인드 조립체가 제공되고, 상기 글레이즈드 어퍼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서 유지되는 글레이징 창유리 또는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와 탄성 비드 가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에 대하여 지지되는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유연하거나 또는 탄성의 비드를 포함하며, 상기 블라인드 조립체는:
상기 블라인드의 셰이드 부가 매달리는 블라인드 헤드 조립체,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에 대하여 놓이는 베이스면을 갖는 베이스 부,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의 평면에 대하여 대략 직교방향으로 연장되는 포스트 부, 및
상기 비드와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 사이에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평면 핑거를 갖는 장착 브래킷 부를 포함함 -, 및
블라인드 비드 조립체를 각각의 포스트 형성체들에 부착시키기 위한 제 1 및 제 2 연결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GB0615518.8에 개시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글레이즈드 어퍼처에서 헤드 조립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를 장착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글레이즈드 어퍼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서 유지되는 글레이징 창유리 또는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와 탄성 비드가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에 대하여 지지되는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유연하거나 또는 탄성의 비드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사용시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에 대하여 대략 직교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포스트 부 및 베이스면을 갖는 베이스 부를 각각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장착 형성체들을 제공하는 단계,
부착 수단을 포함하는 제 1 부분 및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핑거를 구비한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장착 브래킷들을 제공하는 단계,
각각의 장착 형성체들을 상기 장착 브래킷들에 부착시키고, 상기 베이스 부들의 베이스면을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에 대하여 배치시키며 상기 핑거들을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와 상기 비드 사이에서 슬라이딩시키는 제 1 및 제 2 연결 구성요소들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구성요소들을 상기 헤드 조립체의 각각의 측 부분들에 부착시키고 상기 장착 형성체들의 포스트 부분들 상에 상기 각각의 연결 구성요소들을 장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블라인드에서, (플리티드 블라인드에서는 항시 그리고 슬랫티드 블라인드들에서는 때때로 - 특히 슬랫티드 블라인드들이, 예를 들어 루프 윈도우들에서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블라인드는 블라인드 패널의 양 쪽에서 연장되고 헤드 레일과 바텀 레일 또는 다른 고정 지지체 사이에서 스트레칭되는 인장 지지 코드들에 의하여 지지된다. 일반적으로 블라인드 패널(들)의 바닥에는 슬래이브 바아(slave bar)가 제공되며, 그것은 대체로 안에 남아 있는 어떠한 위치에서든 상기 슬래이브 바아를 유지시키는 마찰 구조체를 통해 코드들 상에서 슬라이딩한다. 블라인드 패널(들)은 슬레이브 바아와 헤드 레일 또는 마스터 레일 사이에서 지지된다. 마찰 구조체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 슬래이브 바아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조정 코드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대신 상기 블라인드는 슬래이브 바아 및 블라인드 패널(들)을 블라인드의 하부의 셰이딩되는 위치로 잡아당기는데 중력을 채용하며, 상기 조정 코드들은 상기 블라인드를 상승시키고 중간 위치 또는 상승된 위치나 셰이딩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블라인드를 유지시키는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블라인드의 각각의 측에서 헤드 레일과 바텀 레일 또는 하부 레일 사이에서 연장되는 단 하나의 지지 코드가 존재하고, 상기 코드는 헤드 레일을 통해 일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로 이동하며, 블라인드의 각 측에서 같은 인장을 갖도록 코드에 인장을 부여하기 위해 스프링이 제공된다. 하지만, 블라인드들이 보다 넓다면, 단부 코드들 사이에는 보다 큰 지지 코드들이 제공될 수도 있다. 실제에 있어, 일반적으로 코드들은 쌍으로 이루어지며 외부 코드들은 서로 쌍을 이루기보다 중간의 코드들과 쌍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지지 코드(들)을 위한 하부 지지부들은 바닥에서 일반적으로 스크루 고정을 요하는 윈도우 프레임에 대한 개별적인 고정을 필요로 하며, 이는 특히 uPVC 윈도우들을 이용할 때 불리하다. 하부 고정의 정확한 배치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설치 시 지지 코드들의 인장이 설정될 수 있도록 별도의 인장 조정 기구들이 제공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절차가 블라인드의 설치 동안 수행되어야 한다.
지지 코드들은 하부 바아가 도 8의 중간 크로스를 형성하고, 최상부 크로스가 헤드 레일 내측에 있으며 바닥이 존재하지 않거나 블라인드의 고정된 하부 레일 내에 있는 도 8의 구성으로 하부 슬래이브 바아를 통해 가로지를 수 있다. 크로스 오버(cross over)는 하부 바아가, 블라인드가 완전 폐쇄되거나, 완전 개방되거나 또는 여하한의 중간 위치에 있는 어떠한 수직방향의 위치에도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하부 바아에는 마찰 구조체가 제공되어 바아를 통한 코드들의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써 하부 바아가 자체 무게에 의해 낙하하지 않도록 한다. 실제로 이러한 이 유로, 블라인드 양 측의 인장의 균일성과 함께 대개 코드들의 인장이 중요하다. 이는 다수의 코드들이 채용되는 경우에도 동등하게 적용된다. 대체로 코드에 인장을 가하기 위해 스프링이 제공되더라도, 실제에 있어 코드는 자체적으로 충분한 탄성을 가질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다른 인장 구조체들이 제공될 수도 있다. 스프링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스프링이 반드시 헤드 레일에 배치될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어 슬래이브 바아에 자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 지지부를 위한 별도의 고정 스크루들의 이용이 회피될 수 있는 블라인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지지 코드 인장이 공장에서 사전설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글레이즈드 어퍼처에서 블라인드를 장착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되고, 상기 블라인드는 헤드 조립체 및 슬래이브 바아 - 이들 사이에서 1 이상의 블라인드 패널들이 연장됨 - 를 포함하고, 상기 글레이즈드 어퍼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서 유지되는 글레이징 창유리 또는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와 비드가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에 대하여 지지되는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유연하거나 또는 탄성의 비드를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글레이즈드 어퍼처나 또는 그 최상부 부근에 상기 헤드 조립체를 장착하기 위한 상기 헤드 조립체 용 장착 수단,
제 1 및 제 2 장착 브래킷 - 각각, 사용시 상기 비드와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평면 핑거를 갖는 제 1 부분, 및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의 평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교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착 형성체를 형성하는 제 2 부분을 포함함 -, 및
일 부착 형성체에 연결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슬래이브 바아의 일 단부를 통해 일 부착 형성체로부터 상기 헤드 조립체 내로 연장되며 아래로 상기 슬래이브 바아의 다른 단부를 통해 상기 다른 부착 형성체로 연장되는 지지 코드를 포함한다.
인장 기구는 코드에 인장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장 기구는 상기 헤드 조립체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 브래킷 제 2 부분들 각각은 제 1 핑거에 대해 직교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사용시 프레임에 인접한 측들에서 비드와 글레이징 창유리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는 공면의 제 2 핑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라인드 조립체는 부착 형성체 상에 장착되는 지지 클립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코드는 상기 지지 클립에 연결된다. 상기 지지 클립은 창유리에 직교 방향에서 상기 부착 형성체 상의 슬라이딩 핏(sliding fit)이며 상기 부착 형성체 상의 지지 클립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 수단은 부착 형성체와 지지 클립 중 하나 상의 탭 및 상기 부착 형성체와 상기 지지 클립 중 다른 하나의 대응되는 멈춤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탭은 지지 클립이 부착 형성체와 완전히 맞물리는 경우 상기 멈춤쇠 내로 스냅핑된다. 하지만, 어떠한 적합한 고정 수단도 허용가능하며, 예를 들어 스크루 고정까지도 가능한데, 이 경우에는 스크루가 부착 형성체를 통해 전달된 후에 지지 클립내로만 나사결합되기 때문이다. 상기 완전한 맞물림은 창유리에 대한 지지 클립의 플랜지의 시팅(seating) 및 상기 장착 브래킷의 마스킹(masking)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드는 상기 코드의 인장이 상기 비드에 의하여 저지되는 상기 브래킷 상의 모멘트를 유발하도록 상기 창유리로부터 소정 거리에 이격된 곳에서 상기 지지 클립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의 길이방향으로 넓은 측 부재들은 대략 헤드 조립체로부터 대략 장착 브래킷까지 연장되도록 글레이즈드 윈도우의 측들에 장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 부재들의 하부의 단부들은 각각의 장착 브래킷, 예컨대 슬롯을 포함하는 장착 브래킷이나 측 부재 중 하나에 의하여 맞물리며, 상기 장착 브래킷이나 측 부재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슬롯 내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측 부재 및 장착 브래킷의 하부들 각각은 작동가능하게 연동하는 맞물림 형성체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스템이 글레이즈드 어퍼처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코드의 인장은 원격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코드의 길이는 상기 측 부재들 - 그들 스스로 상기 헤드 조립체로부터 상기 부착 형성체의 이격을 결정 - 의 길이에 의하여 결정된다.
상기 글레이즈드 어퍼처에 대응하여 크기가 조정될 수 있는 조정가능한 지그(adjustable jig)가 제공되며, 이에 의하여 블라인드가 피팅되고 상기 글레이즈드 어퍼처에 블라인드를 설치하기 이전에 상기 코드의 인장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드는 상대적으로 연장될 수 없고 상기 인장 기구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의 인장은 코드의 길이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장 기구는 조정가능하며 상기 코드의 인장을 설정하기 위해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정 기구는 익스텐더(extend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코드의 인장을 변경하기 위해 코드의 경로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익스텐더는 헤드 조립체에 있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그것과 스프링은 슬래이브 바아에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코드들이 제공되는 경우에, 중간 지지 코드는 블라인드의 각 측에 배치되는 단부 지지 코드들 사이에서 연장되며, 상기 중간 코드는 상기 슬래이브 바아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단부 코드들 중 하나가 연결되는 부착 형성체에 연결된다.
시스템은 본 발명의 상술된 실시형태들의 특정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글레이즈드 어퍼처에 상기 헤드 조립체를 장착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장착 구성요소 - 각각의 구성요소는 사용시 상기 비드와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 핑거를 포함함 -, 및
상기 블라인드 헤드 조립체를 상기 각각의 장착 구성요소에 부착하기 위해 작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제 1 및 제 2 연결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 구성요소들은 사용시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에 대하여 놓이도록 구성된 베이스면을 갖는 베이스 부, 사용시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의 평면에 대하여 대략 직교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포스트 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베이스 부 및 상기 포스트 부는 상기 장착 브래킷 부에 의하여 유지되며 상기 연결 구성요소들은 상기 블라인드 헤드 조립체를 상기 장착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포스트 부들에 작동가능하게 부착시킨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글레이즈드 어퍼처에서 장착되는 블라인드 조립체가 제공되고, 상기 글레이즈드 어퍼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서 유지되는 글레이징 창유리 또는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와 비드가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에 대하여 지지되는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유연하거나 또는 탄성의 비드를 포함하며, 상기 블라인드 조립체는:
상기 블라인드의 셰이드 부가 매달리고 상기 글레이즈드 어퍼처에서 상기 헤드 조립체를 장착시키기 위한 장착 수단을 포함하는 블라인드 헤드 조립체,
제 1 및 제 2 장착 브래킷 - 각각 사용시 상기 비드와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평면 핑거를 갖는 제 1 부분, 및 추가 구성요소를 장착시키도록 구성된 제 2 부분 -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의 평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교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착 형성체를 형성함 - 을 포함함 -, 및
일 부착 형성체에 연결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슬래이브 바아의 일 단부를 통해 일 부착 형성체로부터 상기 헤드 조립체 내로 연장되며 아래로 상기 슬래이브 바아의 다른 단부를 통해 상기 다른 부착 형성체로 연장되는 지지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 브래킷 제 2 부분들 각각은 제 1 핑거에 대해 직교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사용시 프레임에 인접한 측들에서 비드와 글레이징 창유리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는 공면의 제 2 핑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라인드 조립체는 부착 형성체 상에 장착되는 지지 클립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코드는 상기 지지 클립에 연결된다. 상기 지지 클립은 상기 창유리에 대해 직교 방향에서 상기 부착 형성체 상의 슬라이딩 핏이며 상기 부착 형성체 상의 지지 클립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 수단은 부착 형성체와 지지 클립 중 하나 상의 탭 및 상기 부착 형성체와 상기 지지 클립 중 다른 하나의 대응되는 멈춤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탭은 지지 클립이 부착 형성체와 완전히 맞물리는 경우 상기 멈춤쇠 내로 스냅핑된다. 상기 완전한 맞물림은 창유리에 대한 지지 클립의 플랜지의 시팅 및 상기 장착 브래킷의 마스킹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드는 상기 코드의 인장이 상기 비드에 의하여 저지되는 상기 브래킷 상의 모멘트를 유발하도록 상기 창유리로부터 소정 거리에 이격된 곳에서 상기 지지 클립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의 길이방향으로 넓은 측 부재들은 대략 헤드 조립체로부터 대략 장착 브래킷까지 연장되도록 글레이즈드 윈도우의 측들에 장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 부재들의 하부의 단부들은 각각의 장착 브래킷, 예컨대 슬롯을 포함하는 장착 브래킷이나 측 부재 중 하나에 의하여 맞물리며, 상기 장착 브래킷이나 측 부재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슬롯 내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측 부재 및 장착 브래킷의 하부들 각각은 작동가능하게 연동하는 맞물림 형성체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립체는,
제 1 및 제 2 장착 구성요소 - 각각, 비드와 글레이징 창유리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 핑거를 갖는 장착 브래킷 부를 포함함 -, 및
블라인드 헤드 조립체를 각각의 장착 구성요소들에 부착시키는 제 1 및 제 2 연결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및 제 2 장착 구성요소 각각은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에 대하여 놓이는 베이스면을 갖는 베이스 부, 및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의 평면에 대하여 대략 직교방향으로 연장되는 포스트 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베이스 부 및 상기 포스트 부는 상기 장착 브래킷 부에 의하여 유지되며 상기 연결 구성요소들은 상기 블라인드 헤드 조립체를 상기 장착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포스트 부들에 작동가능하게 부착시킨다.
상기 장착 브래킷 부들은 글레이즈드 어퍼처의 프레임의 각각의 상부 코너들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구성에서, 상기 장착 브래킷 부들 각각은 직교방향으로 연장되고 프레임에 인접한 측들에서 비드와 글레이징 창유리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공면 핑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각각의 장착 구성요소들은 일원적(unitary)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장착 구성요소들은 비-일원적(non-unitary)이며, 각각,
제 1 및 제 2 장착 형성체 -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에 대하여 놓이는 베이스면을 갖는 베이스 부, 및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의 평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교방향으로 연장되는 포스트 부를 포함함 -, 및
제 1 및 제 2 헤드 장착 브래킷 - 각각 장착 브래킷 부를 구성하며, 각각 헤드 장착 브래킷 및 장착 형성체의 포스트 부를 부착시키는 부착 수단을 포함하는 제 1 부분 및 상기 비드와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 핑거를 구비한 제 2 부분을 포함함 - 을 포함한다.
상기 부착 수단은 장착 브래킷의 제 1 부분에 형성되는 어퍼처 - 상기 어퍼처를 통해 각각의 포스트 부가 통과함 -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포스트 부, 제 1 부분의 어퍼처들 및 장착 형성체의 베이스 부들은 상기 베이스 부가 상기 어퍼처를 통과할 수 없도록 크기설정되고 및/또는 구성된다.
각각의 포스트 형성체들에 블라인드 헤드 조립체를 부착하기 위하여, 각각의 연결 구성요소들은 포스트 부들을 따라 작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레임에 대한 블라인드 헤드 조립체의 위치가 조정가능하다.
바람직한 구성들에서, 연결 구성요소들 각각은 포스트 부가 슬라이딩가능하게 맞물리는 소켓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장착 형성체들의 각각의 포스트 부는 소켓들 - 상기 각각의 연결 구성요소들의 돌출 형성체들이 상기 소켓 내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수용됨 - 을 형성할 수 있다.
블라인드 조립체는 연결 구성요소가 포스트 부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하기 위하여 각각의 연결 구성요소 및 포스트 부와 연동하는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수단은 연결 구성요소의 제거를 저지하는 래칭 구성체(latching arrangement), 또는 고정 스크루, 볼트 또는 핀과 같은 영구 또는 반영구 고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블라인드 조립체는 적어도 장착 브래킷 부나 장착 브래킷과 연결 구성요소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사전설정된 깊이의 제 1 및 제 2 간격 요소(first and second spacing elements)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테이닝(retaining) 수단은 측 부재와 비드와 글레이징 창유리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는 핑거 부를 맞무는 맞물림 부를 각각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클립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 부재들의 하부의 단부들은 각각의 제 1 및 제 2 장착 브래킷, 예컨대 슬롯을 포함하는 장착 브래킷이나 측 부재 중 하나에 의하여 맞물리며, 상기 장착 브래킷이나 측 부재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슬롯 내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측 부재 및 제 1 및 제 2 장착 브래킷의 하부들 각각은 작동가능하게 연동하는 맞물림 형성체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 또는 적어도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하면, 일단 글레이즈드 어퍼처의 크기가 알려지면, 지그와 관련하여 공장에서 블라인드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설치자는 간단하게 블라인드를 제 위치에 클립핑하고 지지 코드들 상의 필요한 인장이 사전설정된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코드들의 인장은 각각의 코너에서 블라인드의 부착 기구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한편, 이들은 방향에 있어 부착 기구들이 서로를 향하여 잡아당기도록 하여 글레이징의 최상부 및 바닥부 비드들과 맞물림에서 이탈시키려는 경향이 있으며, 실제로 이러한 방향은 창유리의 평면으로부터 소정 거리에 있어서 각각의 포스트 및 부착 형성체에서, 코드들의 인장은 창유리에 대해 베이스에서 모멘트를 가하며, 그에 대한 반작용은 평면 핑거들을 비드에 대해 바깥쪽으로 가압함으로써 풀아웃(pullout)을 저지하는 비드의 그립이 증대된다. 따라서 인장 구성체의 효과는 플리트들 또는 슬랫들을 위한 팽팽한 코드 형태의 강성 가이드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스크루 고정들을 이용할 필요 없이 글레이즈드 창유리에 대한 블라인드의 모든 부착 기구에 사전인장을 부여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글레이즈드 어퍼처에 블라인드를 장착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블라인드는 헤드 조립체, 상기 헤드 조립체에 부착되는 블라인드 패널 및 상기 블라인드 패널의 측들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코드들을 포함하며, 상기 글레이즈드 어퍼처는 프레임, 프레임 내에서 유지되는 글레이징 창유리 및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와 비드가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에 대해 지지되는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유연하거나 또는 탄성의 비드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헤드 조립체를 상기 글레이즈드 어퍼처에 장착시키는 단계;
상기 지지 코드들을 위한 바닥 앵커 - 상기 앵커는 제 1 및 제 2 장착 브래킷 - 상기 브래킷 각각은 사용시 상기 비드와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측방향으로 연장된 제 1 평면 핑거를 갖는 제 1 부분, 및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의 평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교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착 형성체를 형성하는 제 2 부분을 포함함 -, 및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로부터 소정 거리에서 상기 블라인드에 대한 상기 지지 코드의 연결을 위한 상기 부착 형성체 상의 연결 수단을 포함함 - 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의 바닥 코너들에서 상기 비드와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 사이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장착 브래킷의 핑거들을 슬라이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코드를 상기 부착 형성체들에 부착시켜 인장 하에 상기 앵커와 상기 헤드 조립체 사이에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글레이즈드 어퍼처에 장착될 블라인드를 위한 바닥 앵커를 제공하고, 상기 블라인드는 1 이상의 블라인드 패널들이 연장되는 헤드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글레이즈드 어퍼처는 프레임, 프레임 내에서 유지되는 글레이징 창유리 및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와 비드가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에 대해 지지되는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유연하거나 또는 탄성의 비드를 포함하며,
상기 앵커는 제 1 및 제 2 장착 브래킷 - 상기 브래킷 각각은 사용시 상기 비드와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측방향으로 연장된 제 1 평면 핑거를 갖는 제 1 부분, 및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의 평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교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착 형성체를 형성하는 제 2 부분을 포함함 - 및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로부터 소정 거리에서 상기 블라인드에 대한 상기 지지 코드의 연결을 위한 상기 부착 형성체 상의 연결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부착 형성체를 포함하는 추가 구성요소를 장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착 형성체는 상기 제 2 부분 상에 스냅 피팅(snap fit)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본 발명이 어떻게 효과적으로 수행되는지를 보여주기 위하여, 예시의 방법으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할 것이다.
도 1은 윈도우에 장착되는 블라인드 헤드 레일 및 바닥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시스템의 분해도,
도 3은 도 1 및 2의 헤드레일 장착의 일 부분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례에 따른, 조합된 장착 브래킷, 장착 형성체 및 연결 구성요소의 단면도,
도 5는 지지 클립과 함께, 도 4의 장착 브래킷, 장착 형성체 및 연결 구성요 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다른 측면에서 본, 도 5의 장착 브래킷, 장착 형성체, 지지 클립 및 연결 구성요소의 분해사시도,
도 7a 내지 7e는 도 1 내지 6에 나타낸 시스템의 최상부 및 바닥부 브래킷, 및 측 부재들의 장착 시퀀스를 나타낸 도,
도 8a 및 8b는 도 7의 시권스에서 계속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 브래킷들의 사용을 나타낸 도,
도 9a 내지 9f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코드들에 인장을 가할 때의 작업들의 시퀀스를 나타낸 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시퀀스의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해 베네치안 블라인드의 장착과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나, 이는 베네치안 블라인드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타입의 블라인드의 장착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윈도우 프레임(10)에 블라인드가 장착된다. 프레임(10)은 통상적으로, 함께 연결되어 프레임(10)을 형성하는 상부 수평 프레임 부재(12), 하부 수평 프레임 부재(14) 및 수직 측 프레임 부재들(16, 18)을 포함하여, 상부 코너들(42, 44) 및 하부 코너들(43, 45)을 형성한다. 프레임은 유리나 광 투과 플라스틱 시트와 같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일 수 있는 글레이징의 창유리(20a)에 의하여 폐쇄되는 어퍼처(20)를 형성한다. 통상적인 프레임 부재(12, 14, 16, 18)는, 예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글레이징 창유리(20a)의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프론트 면(12a, 14a, 16a, 18a)과, 통상적으로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20a) 및 프론트 면(12a, 14a, 16a, 18a)에 대해 대략 수직하게 배치되는 리턴 면(14b, 16b)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성들, 특히 리턴 면(14b, 16b)에 대하여 프레임 설계자의 미적 고려에 따라 다른 구성들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프레임 부재들(12, 14, 16, 18)은 보다 복잡한 일련의 면들(평면이거나 만곡될 수 있음)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글레이징 창유리(20a)는 유연하거나 또는 탄성의 재료, 예컨대 고무 복합체 또는 고무-같은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진 비드(22)를 사용하여 프레임(10) 내에서 유지된다. 비드(22)는 프레임(10)과 글레이징 창유리(20a) 사이에 배치된다. 프레임 부재들(12, 14, 16, 18)은 통상적으로 플라스틱(일반적으로 uPVC)으로 만들어지지만, 클레이징 창유리(20a)가 비드에 의해 유지될 수 있고 프레임 부재들 내에 후술되는 장착 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존재하기만 한다면 다른 재료들, 예컨대 금속이나 나무도 가능하다.
베네치안 또는 플리티드 블라인드들은 통상적으로 헤드 레일 또는 마스터 레일(24)을 포함한다. 다른 타입의 블라인드들도 통상적으로 헤드 레일, 마스터 레일 또는 여타 실질적으로 강성 요소의 부재 또는 조립체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블라인드의 셰이딩 부가 지지된다, 예를 들어 상기 셰이딩 부가 그로부터 매달린다. 블라인드 자체는 간명히 하기 위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다. 헤드 레일 또는 마스터 레일(24)은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장식 프론트 면(24a)을 갖는다. 코드들, 코드 가이드들 및 틸트 기구와 같은 블라인드의 작동 구성요소들은 블라인 드 헤드 레일 또는 마스터 레일(24) 내에 수용된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본 발명에 종속적이다. 또한, 베네치안 및 플리티드 블라인드들은 통상적으로 제 2의 바텀 또는 슬래이브 레일(26)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26)은 특정 디자인에 따라, 예를 들어 하부 수평 프레임 부재(14)에 대하여 헤드 레일 또는 마스터 레일(24)에 대향되는 윈도우 어퍼처 내에 고정 배치되거나, 또는 블라인드의 셰이딩 부와 함께 이동(예를 들어, 상승 및 하강)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시스템은 블라인드가 프레임에 홀이나 손상을 필요로 하는 고정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윈도우 프레임에 부착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을 관통하는 스크루 고정들이 회피된다.
이하, 특히 도 2를 참조하면, 시스템은 예시된 실시예에서 비-일원적이며 각각 장착 브래킷 부들(28, 30) 및 장착 형성체들(38, 40)로 이루어진 제 1 및 제 2 장착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장착 브레킹 부들(28, 30)은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그러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장착 브래킷 부들은 브래킷을 형성하기 위한 몰딩에도 적합한 적절히 강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사용시, 장착 브래킷 부들(28, 30)은 (예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 상부의 좌측 및 우측 코너들(42, 44), 즉 각각 프레임 부재들(12 및 16) 및 프레임 부재들(12, 18)이 만나는 곳에 배치된다. 장착 브래킷 부들(28, 30) 각각은 부착 수단(아래 참조)을 형성하는 제 1 부분(32) 및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으로 돌출된 핑거 및 바람직하게는 2 개의 측방향으로 돌출된 핑거(36)를 포함하는 제 2 부분(34)을 포함한다. 장착 브래킷 부(28, 30)가 단 하나의 핑거를 포함하는 경우, 핑거는, 예를 들어 대체로 "L" 형상의 웹일 수 있으며, 상기 "L"의 각각의 아암은 그것의 길이를 따라 제 1 부분(32)에 연결된다. 장착 브래킷 부(28, 30)가 2 개의 핑거(36)를 포함하는 경우, 핑거들(36)은 제 1 부분(32)으로부터 연장되는 평면 웹의 형태로 되어 있다. 주어진 장착 브래킷(28, 30)의 핑거들(36)은 실질적으로 공면이며 글레이징 창유리(20a)의 표면에 대하여(또는 적어도 밀접하게) 그들의 사용 위치에 놓인다. 장착 브래킷 부의 핑거(들)은 브래킷을 제 위치에서 유지시키기 위하여 글레이징 창유리(20a)와 비드(22)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나타낸 예시에서, 블래킷 부(28)의 핑거들(36)은 직각으로(즉, 수직하거나 직교방향으로) 지향되어, 브래킷 부(28)가 코너(42)에 배치되는 경우 핑거들 중 하나는 비드(22)와 글레이징 창유리(20a) 사이에서 상부 프레임 부재(12) 내로 슬라이딩되고 핑거(36)의 다른 하나는 비드(22)와 글레이징 창유리(20a) 사이에서 측 부재(16) 내로 슬라이딩된다. 이와 유사하게, 브래킷(30)의 핑거들은 직각으로 지향되어, 브래킷(30)이 코너(44)에 배치되는 경우 핑거들 중 하나는 비드(22)와 글레이징 창유리(20a) 사이에서 상부 프레임 부재(12) 내로 슬라이딩되고 핑거들 중 다른 하나는 비드(22)와 글레이징 창유리(20a) 사이에서 측 부재(18) 내로 슬라이딩된다. 브래킷 부들(28, 30)은 서로 거울 이미지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상기 제 1 및 제 2 장착 형성체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형성체들은 프레임(10)의 각각의 코너(42, 44)에 배치되고 사용시 블라인드를 지지하기 위한 각각의 장착 브래킷 부들(28, 30)과 연동한다. 각각의 장착 형성체(38, 40)는 베이스 부(46) 및 포스트 부(48)를 포함한다. 베이스 부(46)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후방 면(또는 공면의 표면 부들)을 갖는다. 포스트 부(48)는 제 1 부분으로부터 매달리며 글레이징 창유리(20a)의 평면에 대하여 대략 직교방향으로(즉, 수직하게) 연장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장착 브래킷 부들(28, 30) 각각은 부착 수단을 형성하는 제 1 부분(32)을 갖는다. 부착 수단은 각각의 장착 형성체와 연동하여, 장착 형성체(38, 40)가 장착 브래킷 부(28, 30)에 대하여 글레이징 창유리(20a)의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 또한 글레이징 창유리(20a)의 평면과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억제된다. 장착 브래킷 부(28, 30) 및 장착 형성체(38, 40)는 서로 부착되거나 서로에 관해 유지된다. 예시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장착 브래킷 부(28, 30)의 제 1 부분(32)은 어퍼처(50)를 형성하는 웹(32a)을 포함한다. 웹(32a)은 실질적으로 평면인 것이 바람직하며, 웹(32a)의 평면은 브래킷 부(28, 30)가 그것의 사용 위치에 있을 대 핑거(들)(36)의 평면에 대해 대략 평행하다. 포스트 부(48)는 사용시 어퍼처(50)내에 있어서, 베이스 부(46)가 웹(32a)과 글레이징 창유리(20a) 사이에 놓인다. 각각의 장착 브래킷(28, 30)은 제 1 부분(32)이 제 2 부분(34)에 연결되는 디펜딩 벽들(52)을 갖는다. 브래킷 부(28, 30)를 구성하는 재료는 핑거들(36)과 웹(32a) 간의 작은 정도의 변형을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웹(32a)은 핑거들(36)로부터 장착 형성체(38, 40)의 베이스 부(46)의 깊이 "d"과 통상 같은 간격만큼 이격되며 상기 깊이보다 약간 작은 간격만큼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 참조). 다시 말해, 웹(32a) 및 벽들(52)은 베이스 부(46)를 수용하기 위한 크기로 되어 있어서, 포스트 부(48)가 어퍼처(50) 내에 배치되는 경우, 베이스 부(46)는 글레이징 창유리(20a)에 대하여 편평하게 놓인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베이스 부(46)의 표면(46a)은 글레이징 창유리(20a)가 (금속) 브래킷 부(28, 30) 보다는 오히려 베이스 부(46)(플라스틱이나 다른 폴리머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함)와 접촉하도록 하는 핑거(36)의 아랫-면(under-surface;36')이 낫다(즉, 깊이 "d"는 벽들(52)의 깊이보다 깊다). 이 구성은 블라인드의 기본적인 무게로 인한 힘들과 (주로 블라인드가 상승 및 하강할 때 발생되는) 블라인드의 작동력들이 주로 금속 브래킷들로 그리고 그 다음 글레이징으로 전달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오히려, 이러한 힘들은 베이스 부(46)를 통해 전달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금속 브래킷들을 통한 이러한 힘들의 전달이 잠재적으로 매우 국부적으로 금속 브래킷들의 에지들을 통해 글레이징으로 응력들을 전달한다.
대안적인 구성에서, 장착 브래킷 부(28, 30) 및 장착 형성체(38, 40)는 일원적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일원적 장착 구성요소는 사용시 글레이징 창유리(20a)와 접촉하는 베이스 면을 갖는 베이스 부,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핑거(도 36과 유사)를 포함하는 장착 브래킷 부 및 포스트 부(48)와 유사한 포스트 부를 포함한다.
포스트 부(48)는 어퍼처(50)를 형성하는 웹(32a)의 에지 부분들을 맞물어서 장착 브래킷(30, 32)을 포스트 부(48) 상에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1 이상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래칭 형성체들(54)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몇몇 바람직한 형태들에서, 포스트 부(48)는 좁은 채널(60)에 의하여 분리되는 제 1 및 제 2 평행 아암(56, 58)을 포함한다. 대안적인 구성들에서, 포스트 부(48)는 일원적이며 포스트 부(48)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나타낸 장치 또는 시스템은 헤드 조립체(예시된 실시예들에서는 헤드 레일(24))를 포스트 부들(48) 및 이로 인해 장착 브래킷 부들(28, 30)을 통해 프레임(10)에 부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제 1 및 제 2 연결 구성요소들(62, 64)을 더 포함한다. 연결 구성요소들(62, 64)은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볼 수 없는 헤드 레일(24)의 후방 측에서, 헤드 레일(24)의 좌측 및 우측 단부나 그 부근에 배치된다. 연결 구성요소들(62, 64)은 헤드 레일(24)과 통합 형성되거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헤드 레일(24)에 고정가능한 별도의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헤드 레일(24) 및 연결 구성요소들(62, 64)은 연결 구성요소들(62, 64)이 헤드 레일(24)과 "스냅-핏(snap-fit)"될 수 있도록 하는 연동 맞물림 형성체들을 갖거나, 또는 이러한 형성체들은 연결 구성요소들이 측 에지들로부터 헤드 레일(24)과 슬라이딩하여 맞물리도록 할 수 있다.
각각의 연결 구성요소들(62, 64)은 연결 구성요소들(62, 64)을 각각의 포스트 형성체(48)에 부착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나타낸 일 예시에서, 이러한 수단은 소켓(66)을 포함하며, 그 내부 형상 및 크기는 포스트 부(48)의 외부 형성 및 크기와 순응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소켓(66)은 작동가능하게 포스트 부(48)와 슬라이딩 맞물림된다. 소켓은 연결 구성요소(62, 64)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 포스트 부(48)의 채널(60)과 정렬되는 슬롯 또는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구성요소들(62, 64)의 채널 및 포스트 부(48)의 채널(60)은 각각의 포스트 부(48) 상의 연결 구성요소(62, 64)를 사용 위치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포스트 부(48)가 소켓(66) 내에 수용되는 경우, 그 둘은 스크루 등의 고정 수단을 각각의 채널 내에 삽입함으로써 함게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나사부가 채널들의 측들과 맞물리고 이에 의해 포스트 부(48)와 소켓(66)이 함께 고정되도록 채널들의 폭은 스크루 나사부의 폭보다 약간 작은 크기로 되어 있다. 변형례에서, 소켓(66)의 채널은 스크루의 헤드를 수용하는 크기로 되어 있는 외부의 보다 넓은 부분 및 스크루의 나사부와 순응하는 크기로 되어 있는 내부의 보다 좁은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스트 부(48)와 소켓(66)을 함께 고정하는데 다른 체결 수단이 채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포스트 부(48)의 적어도 일부의 길이를 따라 슬라이딩이 자유롭고 소켓(66)의 채널을 통해 대응되는 볼트를 수용하는 캡티브 너트(captive nut)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장착 형성체(38, 40)의 포스트 부(48)가 연결 구성요소(62, 64)의 소켓(66) 내로 삽입되는 포스트 및 소켓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포스트 부(48)에는 소켓으로서 작용하는 내부 중공 보이드(void)를 형성하는 1 이상의 벽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내부 형상 및 크기는 연결 구성요소(62, 64) 상에 형성되는 돌출 부재(플러그)의 외부 형상 및 크기와 순응하는 크기로 되어 있어 플러그가 소켓 내에서 슬라이딩가능하게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포스트 부(48) 및 소켓(66) 구성의 큰 장점은 연결 구성요소들(62, 64) 및 그에 따라 헤드 레일(24)까지도 포스트의 길이에 대해 거의 무한하게 조정가능하다 는 점이다. 따라서, 헤드 레일(24)은 윈도우 프레임(10)의 상이한 깊이, 즉 프론트 면(12a, 14a, 16a, 18a)으로부터 글레이징 창유리(20a)의 표면까지의 거리를 수용하기 위해 포스트 부들(48)에서 필요한 어떤 깊이로도 설정될 수 있다. 이는 헤드 레일(24)과 프레임(10) 사이에 의도하지 않은 어떤 갭도 남지 않도록 한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특히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 형성체들(38, 40)은 (글레이징 창유리(20a)의 평면에 수직한 라인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대략 10°보다 크기 않게, 바람직하게는 대략 5°보다 크지 않게,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2° 내지 3°보다 크지 않게 약간 상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된다. 이 특징은 블라인드가 장착될 경우 상기 블라인드가 윈도우로부터 전방으로 멀어져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도 4의 실시예에서, 베이스 부에는 웹(32) 대하여 지지하고 베이스 부(46) 및 웹(32)이 정확히 평행한 정렬이 되지는 않도록 하는 형성체 또는 립(lip; 46b)이 제공된다.
또한, 도 4, 5 및 6의 실시예는 장착 형성체(38, 40)로부터 연결 구성요소(62, 64)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안전 랫칭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포스트 부(48)는 바람직하게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며 경사진 표면들(96a, 96b)을 갖는 상승된 형성체(96)에서 끝나는 아암(94)을 포함한다. 소켓(66)은 통상적으로 그것의 마우스(100) 부근에 제공되는 립(98)을 포함한다. 아암(94), 형성체(96) 및 립(98)은 포스트 부(48)를 소켓(66) 내로 삽입하거나 소켓(66)으로부터 포스트 부(48)를 제거할 때 립(98)이 아암(94)의 통과에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아암(94)은 립(98)에 의해 편향될 수도 있다. 대안적 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아암(94), 립(98) 및 소켓의 내부 크기는 연결 구성요소(62, 64)의 제거를 위해 경사면들(96a, 96b) 및 립(98)이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화살표 R로 제안된 바와 같이 연결 구성요소를 포스트 부(48)에 대하여 회전시킬 필요가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소켓(66)은 아암(94)의 편향에 대한 저항을 극복하지 않고 포스트 부(48)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제거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본질적으로, 윈도우 프레임(10)에 대한 블라인드 헤드 레일(24)의 부착에 추가적인 안전책을 제공하기 위하여, 시스템에는 사용시 프레임 측 부재들(16, 18)과 직면하는 관계로 놓이도록 구성되는 측 부재들(68)이 더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 부재들(68)은 각각의 상부 코너들(42, 44)에 근접한 어퍼처(20)의 상부 부분으로부터 각각의 하부 코너들(43, 45)에 근접한 어퍼처의 하부 부분까지 연장된다. 측 부재들(68)의 상부 부분(68a)은 각각의 장착 브래킷(28, 30) 또는 장착 형성체(38, 40)와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 부재들(68) 및 각각의 장착 브래킷 부분들(28, 30)은 그들이 결합되거나, 부착되거나 또는 맞물리도록 하는 연동 형성체들을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장착 브래킷 부(28, 30)는 측 부재(68) 면(68b)의 상부 단부를 수용하는 슬롯(70)을 포함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측 부재(68)는 프레임(10)의 상이한 크기들 및 프로파일들(예를 들어, 깊이)에 적합한 여러 상이한 형상 및 구조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3 가지 상이한 측 부재들(68)이 도 1 및 2에 여러 가능한 형상들 및 구조들의 예시의 방법으로 나타나 있다.
측 부재들을 프레임(10)에 부착하기 위한 수단들도 제공된다. 나타낸 바람 직한 실시예에서, 측 부재(68)와 편평한 핑거 부(76)를 맞물도록 구성되는 헤드 부(74) 및 글레이징 창유리(20a)와 비드(22)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는 편평한 핑거 부(76)를 포함하여 측 부재를 사용 위치에서 유지시키는 부착 클립들(72)이 제공된다.
상기 구성들은 본 발명과 간접적으로 관련된, 계류중인 출원번호 GB0615518.8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출원은 제 3 및 제 4 장착 브래킷(78, 80)에 관해 기술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또한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장착 브래킷의 예시를 구성한다. 하지만, 상술된 시스템의 설명을 온전히 하기 위하여, 그들은 제 3 및 제 4 장착 브래킷으로 지칭된다.
제 3 및 제 4 장착 브래킷들(78, 80)은 프레임(10)의 각각의 하부 코너(28, 30)에 자리하도록 구성되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장착 브래킷 부들(28, 30)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 3 및 제 4 브래킷들(78, 80) 각각은 사용시 코너들(43, 45)의 영역의 비드(22)와 글레이징 창유리(20a)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는 평면 핑거 부(82)를 포함한다. 또한, 장착 브래킷들(78, 80)은 글레이징 창유리(20a)의 평면으로부터 먼 쪽으로 연장되는 업스탠딩 부착 또는 장착 형성체(84)를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부착 형성체(84)는 글레이징 창유리(20a)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연장되는 웹 또는 핑거를 포함한다. 사용시, 각각의 부착 형성체(84)는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는 캡 또는 지지 클립(86)을 지지한다. 바람직한 구성들에서, 두 간격 형성체들(86) 간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풋 레일(26)의 길이에 대응된다. 따라서, 풋 레일(26)이 이동가능한 경 우, 간격 형성체들(86)은 최하부 위치에 있을 때 풋 레일(26)을 제 위치에서 유지시키는 것을 돕는다. 측 부재들(68)은 그들의 하단부에 부착 형성체(84)가 수용되는 슬롯 또는 컷-아웃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 3 및 제 4 장착 브래킷(78, 80) 각각은 측 부재(68)의 하부 부분이 수용되는 슬롯 또는 컷 아웃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나타낸 시스템의 중요한 장점은 포스트 부(48) 상에서의 소켓(66)의 길이방향 움직임에 의해 헤드 레일의 장착을 조정하여 프레임(10)의 상이한 구성들을 수용할 수 있는 편의성에 있다. 헤드 레일(24)의 고정 및 정확한 위치설정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헤드 레일(24)(보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연결 구성요소(62, 64))과 프레임(10) 사이에 자리하도록 구성되는 1 이상의 간격 요소(88)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베이스 부(46)의 깊이(d)와 소켓(66)의 조합된 길이(λ)가 프레임(10)의 깊이(즉, 프론트 면(12a, 14a, 16a, 18a)으로부터 글레이징의 표면까지의 거리)보다 큰 경우, 또는 포스트 부(48)의 길이가 프레임(10)의 깊이보다 큰 경우를 고려한 것이다. 상이한 길이의 프레임을 수용하기 위하여, 각각 상이한 깊이(w)를 갖는 간격 요소들(88)의 선택이 제공될 수 있다. 적절한 깊이(w)의 간격 요소를 선택함으로써, 헤드 레일(24)의 내부 또는 후방 면(또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결 구성요소(62, 64)의 후방 면)과 프레임(10)의 프론트 면 사이에 갭이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갭이 존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헤드 레일(24)은 적절한 깊이의 간격 요소들(88)의 사용에 의하여 어떠한 큰 갭 없이 글레이징 창유리(20a)와 만나도록 연장되는 하부 면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간격 요소(88)는 소켓(66)의 외부 형상과 순응하도록 성형 및 크기설정되는 후퇴부(recess) 및 컷-아웃을 형성하는 에지 벽 부들(88a, 88b)을 포함한다.
특히, 베네치안 블라인드들의 경우에, 헤드 레일(24)이 작동 코드들을 채용하는 블라인드를 위한 리프트 및/또는 틸트 기구를 수용할 때, 연결 구성요소들(62, 64)은 원하고 사전설정된 경로를 따라 헤드 레일 내로 코드들을 지향시키기 위한 코드 가이딩 형성체들(9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 레일(24)의 단부들을 폐쇄하고 보다 미적인 만족을 주는 마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단부 캡들(92)이 제공될 수 있다.
윈도우와 같은 글레이즈드 어퍼처에서 블라인드를 장착시키는 바람직한 방법에서, 초기에 제 1 및 제 2 장착 형성체들(38, 40)의 포스트 부들(48)은 장착 브래킷 부들(28, 30)의 각각의 어퍼처(50) 내로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랫칭 형성체들(54)이 존재하는 경우, 포스트 부들(48)은 랫칭 형성체들(54)이 어퍼처(50)를 형성하는 웹(32a)의 에지들과 맞물리도록 하기에 충분한 정도까지 삽입된다. 핑거들(36)이 비드(22)와 글레이징 창유리(20a) 사이에서 각각의 프레임 부재들(12, 16 및 12, 18) 내로 연장되도록 프레임(10)의 각각의 상부 코너들(42, 44)에 제 1 및 제 2 장착 브래킷 부들이 배치된다. 그 다음, 측 부재들(68)이 클립(72)을 이용하여 제 위치에 고정되고 그 상부 부분들을 이용하여 각각의 장착 브래킷 부들(28, 30)의 슬롯(70) 내에서 맞물린다. 동시에, 제 3 및 제 4 장착 브래킷(78, 80)이 (예를 들어, 제공되는 슬롯 또는 컷-아웃을 통해) 측 부재들과 맞물리며, 그 핑거 부들이 글레이징 창유리(20a)와 비드(22) 사이의 프레임의 각각의 코너(43, 45) 내로 삽입된다. 지지 클립들(86)은 제 3 및 제 4 장착 브래킷들(78, 80)의 장착 형성체들(84) 상에 장착된다. 필요하다면, 적절한 크기의 간격 요소들(88)이 장착 형성체(38, 40)의 포스트 부들(48) 주위에 장착된다. 연결 구성요소들(62, 64)은 헤드 레일(24)에 장착되고 소켓들(66)은 포스트 부들(48) 상에 장착되며, 필요하다면 제공되는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제 위치에 고정된다. 헤드 레일(24)은 셰이드 부, 틸트 기구 등을 포함하는 블라인드의 모든 구성요소들을 지지한다. 따라서, (연결 구성요소들(62, 64)을 통해) 포스트 부들(48) 상에 헤드 레일을 장착하면 블라인드의 설치가 완료된다. 실질적으로 강성인 헤드 조립체(나타낸 실시예에서는 헤드 레일(24))는 장착 브래킷 부들(28, 30)이 (상부 프레임 부재(12)와 평행하게) 측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측 부재들(68)은 프레임 측 부재들(16, 18)과 평행한 장착 브래킷 부들(28, 30)의 움직임을 방지한다. 따라서, 이러한 완전체들(integers)의 효과적인 조합은 장착 브래킷 부들(28, 30)을 그들의 원하는 위치에서 유지시키고, 헤드 레일로부터의 작동력들이 잠재적으로 장착 브래킷들(28, 30)의 상대적으로 첨예한 에지들을 통해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힘들의 전달을 돕는 구조를 제공한다. 그 대신, 힘들은 주로 장착 형성체들(38, 40)의 베이스 부들(46)을 통해 전달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설명은 주로 GB0615518.8의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설명의 이유는 본 발명이 그러한 시스템에 채용될 수 있기 때문이나, 이것이 본 발명의 제한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에서, 블라인드(100)(도 10 참조)는 지지 코드(106)가 나사결합되는 홀들(104)이 제공되어 블라인드 패널(102)이 지지되는 플리티드 패널(102)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 단부에서, 패널(102)은 슬래이브 바아(108)에 연결되고, 슬래이브 바아가 윈도우 프레임의 중간 위치에 있는 경우, 바텀 플리트들(102)이 플리트들의 스택(102a) 내로 신축된다(concertinaed). 코드(106)는 플리트들을 작게 그리고 동일한 평면 내에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블라인드가 수직형이 아니고 블라인드의 위치를 유지시키는데 중력이 채용될 수 없는 경우, 다른 타입의 블라인드들을 갖는 유사한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 이는, 특히 루프 윈도우들에서 발생된다. 물론, 이러한 방식으로 기능하기 위해 코드(106)는 구속되어야하며, 이는 코드를 헤드 레일(124) 내에 연결시키고 그것의 하부 단부를 블라인드(100)의 케이스에 고정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전통적으로, 이는 스크루 고정을 이용하여 달성되어 왔지만,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장착 브래킷들(178, 180)을 채용함으로써 상기 고정방법을 회피하며, 이는 물론 도 2를 기준으로 설명된 제 3 및 제 4 장착 브래킷(78, 80)과 동일할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도, (106a, 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블라인드의 양 측면 상의) 코드(106)는 인장 수단(110)에 의해 인장을 받는다. 이러한 수단은 편리하다면 어떠한 형태도 취할 수 있으나, 여기서는 단부들에 각각의 코드(106a, b)가 연결되는 스프링으로서 예시되어 있다. 스프링(110)은 통상적으로 헤드 레일(124)에 배치된다. 코드(106)는 블레이브 바아(108)의 일 측에서 다른 측으로 크로스된다는데 유의해야 한다. 이것의 유일한 목적은 바아(108)가 자체 무게 하에 최하부 의 위치까지 쉽게 낙하하지 않지만, 그것이 사용자에 의하여 슬래이브 바아(108) 내에서 극복해야하는 다양한 코너들(112)에서의 코드의 마찰 내에 배치되는 위치를 채택할 수 있도록 서펜타인 경로(serpentine path)를 도입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몇몇 마찰 수단이 존재한다면 크로스 오버가 꼭 필요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중요하게는, 마찰 수단이 실효성이 갖고, 슬래이브 바아(108)의 리프팅이 사용자에 의해 해제될 경우의 슬래이브 바아의 위치 변화를 가져오는데 실패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코드(106)가 느슨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는 스프링 수단(110)에 의하여 보장되며, 물론 코드(106) 길이의 적절한 선택에 의해서 보장된다.
또한, 중간 지지 코드들의 경우에 단부 지지 코드들(106a, b)인 것들 사이에 배치되는 추가 쌍의 중간 지지 코드들(106')의 가능성이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별도의 인장 스프링(110')이 제공되며 코드(106) 같이, 중간 코드(106')는 슬래이브 바아(108)에서의 도 8의 구성을 묘사하고 있으나, 상기 코드들과 정렬되는 슬래이브 바아가 존재하는 대신 동일한 부착 형성체들(178, 180) 상에 묶일 수 있도록 코드들(106a, b)을 벗어나 있을 수 있다. 추가 코드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반드시 나타낸 바와 같이 쌍일 필요는 없다. 또한, 스프링(110, 110')이 반드시 헤드 레일(124) 내에 있을 필요 없이, 슬래이브 바아(108)나 (스프링(110)에 대해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 레일(124) 외측의) 그 밖의 장소에 있어도 괜찮다.
도 7a 내지 7e을 참조하면, 도 1 내지 5를 기준으로 상술된 블라인드 장착 시스템은 상이한 단계의 조립이 예시되어 있다. 도 7a에서, 브래킷 부(28)는 비드(22) 뒤에 삽입되어 포스트 형성체(48)를 잡는다. 측 부재(68)는 슬롯(70) 내에 서 맞물리도록 브래킷 부(28)까지 제공되어 있다(도 7b 참조). 맞물리고 나서(도 7c), 측 부재(68)의 하부 단부(68c)는 제 1 장착 브래킷(178)의 장착 형성체(84) 위에서 맞물린다. 브래킷들(28, 84)의 분리를 결정하기 때문에 측 부재(68)의 길이는 윈도우 프레임의 깊이(D)에 의하여 결정된다. 측 부재(68)의 하부 단부(68c)는 장착 형성체(84) 위에서의 맞물림을 위한 슬롯(70a)을 갖는다.
도 8a, b를 참조하면, 지지 클립(또는 캡)(86)은, 예를 들어 펀칭된 탭(84a) 및 캡(86) 내측의 대응되는 캐치(catch)(도시 안됨)에 의하여 제 위치에서 유지되는 장착 형성체(84) 위에 클립핑된다. 캡(86)에는 코드(106)가 꼬여서 묶여 있는 아이(eye; 86a)가 제공되며, 제 2 장착 형성체(84) 위에 제 2 캡(86)을 클립핑하는 작용은 코드(106)에 인장을 부여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형성체(84) 상에 캡(86)을 클립핑하는 것은 측 부재(68)를 제 위치에 록킹하는 기능을 갖는다. 코드(106)의 인장은 장착 형성체(84)를 리프팅하려는 경향이 있고 비드(22)로부터 브래킷(178)을 맞물림해제시키는 경향이 있다. 먼저, 인장은 창유리(20a)로부터 소정 거리에 있고, 결과적으로 창유리(20a)의 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추출보다는 핑거 부(82)(도 7 또는 8에는 도시 안됨)의 트위스트를 유도하며, 어떠한 경우에는 측 부재(68)가 여하한의 이러한 힘들에 직접적으로 대치한다. 그 대신, 코드의 인장은 블라인드(100) 구성요소들의 전체 구조를 단단하게 한다(tighten).
코드(106)의 길이는 그것의 적절한 인장을 결정한다. 이 인장은 설치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올바른 인장을 부여함에 있어 적절한 인장의 실익을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는 설치자의 손에 맡겨두지 않는 것이 보다 나은 기술이다. 블라인드가 피팅될 윈도우 프레임의 크기가 알려지면 상기 프레임과 같은 크기로 설정되는 지그가 구성될 수 있다.
도 9a 내지 9f를 참조하면, 적절한 인장을 달성하기 위해 코드 길이를 조정하는 프로세스가 예시되어 있다. 블라인드(100)는 지그에서 완전히 조립된다(실제에 있어, 도 8를 형성하는 포토그래프들에서는 윈도우 프레임(10)이 채용됨). 제 1 장착 브래킷(178) 또는 그것의 지지 클립(86)에 대해, 아이(86a)를 통해 꼬아서 그 먼 측 상에 묶음으로써 코드(106a)가 고정된다. 프레임(10)의 다른 측 상에서, 코드(106b)의 다른 단부가 제 2 장착 브래킷(180) 상의 캡(86)의 아이(86a)를 통해 꼬아져서 적절한 인장에 도달할 때까지 당겨진다. 이는 (한편으로는 코일이 바운드되지 않거나, 또는 다른 한편으로는 탄성 한계를 넘어 연장되지 않고 양 방향으로 충분히 연장되도록) 이상적인 비율로 확장되는 워칭 스프링(110)에 의하여 달성된다. 그 다음, 상기 코드는 제 2 장착 브래킷 상의 캡(86)이 장착 형성체(84)로부터 해제되기 전에 펜슬(120) 등으로 아이(86a) 뒤에 마킹된다. (실제로, 공장에서는, 이러한 형성체는 연결해제가 단순화하기 위해 탭(84a)을 갖지 않을 수도 있다.) 그 다음, 노트(106c)가 코드(106b) 내에 묶이고, 따라서 인장이 설정된다. 그 다음, 캡(86)이 설치 장소(도 9e 참조)에서 제 2 장착 브래킷(180)에 연결되는 경우 스프링이 적절한 인장(도 9f 참조)을 갖도록, 블라인드는 목적위치까지 옮겨진다.
상기 설명은 도 1 내지 6을 기준으로 설명된 블라인드와 관련하여 고유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실제로, 동일한 블라인드의 경우에도, 몇몇 사람들은 헤드 레일에 대한 장착의 안정성에 만족하지 못하고 스크루 고정의 채용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는, 인장을 받은 지지 코드들이 제공되고 윈도우 프레임의 최상부 보다 잘 보이는 장소들에 스크루 고정들이 회피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 본 발명의 실익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종래 블라인드들에서, 캡들(86) 및 장착 브래킷들(178, 180)에 의하여 제공되는 앵커들은 윈도우 프레임에 코드들의 바닥 단부들을 스크루 고정할 필요성을 제거하거나, 코드들에 대한 고정 바닥 레일을 제공하는 응용례를 가질 수 있다. 그 대신, 본 발명에 따른 앵커들이 채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설명부 및 청구범위를 통해서, "포함하다" 및 "수용하다"라는 단어들, 및 그 단어들의 변형된 단어들은 "~를 포함하지만 ~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다른 일부, 첨가사항들, 구성요소들, 완전체들 또는 단계들을 배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설명부 및 청구범위를 통해서, 단수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복수를 포괄한다. 특히, 불명확한 아티클이 사용되는 경우, 본 명세서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복수 및 단수를 고려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 실시예 및 예와 연계하여 기술된 특징들, 정수들, 특성들, 복합물, 화학적 부분들 또는 그룹들은 함께 양립가능한 한 본 명세서 기술된 여하한의 다른 실시형태, 실시예 또는 예들에도 적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독자는 본 출원과 연계하여 본 명세서와 동시에 출원되거나 이전에 출원되 고, 본 명세서와 함께 공공의 조사를 위해 공개된 모든 서류와 문서에 관심을 가져야하며, 이러한 서류와 문서들 모두의 내용들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 포함되어 있다.
(여하한의 후속 청구범위, 요약서 및 도면을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징들 모두, 및/또는 개시된 여하한의 방법 또는 프로세스의 단계들 모두는 상기 특징들 및/또는 단계들 중 적어도 일부가 상호 배타적인 경우의 조합을 제외하고 어떠한 형태도로 조합될 수 있다.
(여하한의 후속 청구범위, 요약서 및 도면들을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각각의 특징은 다른 언급이 없는 한 동일하거나, 등가이거나 유사한 목적을 위한 대안의 특징들로 대체될 수도 있다. 따라서, 특별히 다른 언급이 없는 한, 개시된 각각의 특징은 일반적인 일련의 등가 또는 유사한 특징들의 유일한 예시이다.
본 발명은 상술된 실시예들의 세부사항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여하한의 후속 청구범위, 요약서 및 도면들을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특징들의 여하한의 신규한 것 또는 여하한의 신규한 조합까지 확장되거나, 또는 개시된 여하한의 방법이나 프로세스의 단계들 중 여하한의 신규한 것 또는 여하한의 신규한 조합으로 확장된다.

Claims (57)

  1. 글레이즈드 어퍼처(glazed aperture)에 블라인드를 장착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는 헤드 조립체 및 슬래이브 바아 - 이들 사이에서 1 이상의 블라인드 패널들이 연장됨 - 를 포함하고, 상기 글레이즈드 어퍼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서 유지되는 글레이징 창유리(glazing pane) 및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와 비드(bead)가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에 대하여 지지되는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유연하거나 또는 탄성의 비드를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글레이즈드 어퍼처나 또는 그 최상부 부근에 상기 헤드 조립체를 장착하기 위한 상기 헤드 조립체 용 장착 수단,
    제 1 및 제 2 장착 브래킷 - 각각, 사용시 상기 비드와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평면(planar) 핑거를 갖는 제 1 부분, 및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의 평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교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착 형성체(attachment formation)를 형성하는 제 2 부분을 포함함 -, 및
    일 부착 형성체에 연결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슬래이브 바아의 일 단부를 통해 일 부착 형성체로부터 상기 헤드 조립체 내로 연장되며 아래로 상기 슬래이브 바아의 다른 단부를 통해 상기 다른 부착 형성체로 연장되는 지지 코드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장착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인장 기구는 상기 코드에 인장을 부여하는(tension) 블라인드 장착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기구는 상기 헤드 조립체 내에 있는 블라인드 장착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브래킷 제 1 및 제 2 부분은 각각 제 1 핑거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사용시 상기 프레임에 인접한 측들에서 상기 비드와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는 제 2 공면 핑거(co-planar finger)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장착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조립체는 상기 부착 형성체 상에 장착되는 지지 클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코드는 상기 지지 클립에 연결되는 블라인드 장착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클립은 상기 창유리에 직교하는 방향의 상기 부착 형성체 상의 슬라이딩 핏(sliding fit)이며 상기 지지 클립을 상기 부착 형성체 상에 고정하기 위 한 수단을 포함하는 블라인드 장착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부착 형성체와 상기 지지 클립 중 하나 상의 탭 및 상기 부착 형성체와 상기 지지 클립 중 다른 하나의 대응되는 멈춤쇠(detent)를 포함하며, 상기 탭은 상기 지지 클립이 상기 부착 형성체와 완전히 맞물리는 경우 상기 멈춤쇠 내로 스냅핑(snap)되는 블라인드 장착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완전한 맞물림은 상기 창유리에 대한 상기 지지 클립의 플랜지의 시팅(seating) 및 상기 제 1 또는 제 2 장착 브래킷의 마스킹(masking)을 포함하는 블라인드 장착 시스템.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상기 코드의 인장이 상기 비드에 의하여 저지되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장착 브래킷 상에 모멘트를 유발하도록 상기 창유리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곳에서 상기 지지 클립에 연결되는 블라인드 장착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의 길이방향으로 넓은 측 부재들은 대략 상기 헤드 조립체로부 터 대략 상기 제 1 및 제 2 장착 브래킷까지 연장되도록 상기 글레이즈드 윈도우의 측들에 장착될 수 있게 구성되는 블라인드 장착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측 부재들의 하부 단부들은 각각의 제 1 및 제 2 장착 브래킷들과 맞물리는 블라인드 장착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장착 브래킷 또는 상기 측 부재 중 하나는 상기 제 1 및 제 2 장착 브래킷 또는 상기 측 부재 중 다른 하나가 수용되는 슬롯을 포함하는 블라인드 장착 시스템.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이 상기 글레이즈드 어퍼처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코드의 인장은 상기 블라인드의 설치에 앞서 원격으로 설정되며,
    상기 코드의 길이는 상기 측 부재들 - 그들 스스로 상기 헤드 조립체로부터 상기 부착 형성체의 이격을 결정 - 의 길이에 의하여 결정되는 블라인드 장착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글레이즈드 어퍼처에 대응하여 크기가 조정될 수 있는 조정가능한 지그(adjustable jig)가 제공되며, 이에 의하여 상기 블라인드가 상기 지그 내에 피팅되고 상기 글레이즈드 어퍼처에 상기 블라인드를 설치하기 이전에 상기 코드의 인장이 설정되는 블라인드 장착 시스템.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상대적으로 연장될 수 없고 상기 인장 기구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의 인장은 상기 코드의 길이에 의하여 결정되는 블라인드 장착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기구는 조정가능하며 상기 코드의 인장을 설정하기 위해 채용되는 블라인드 장착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기구는 익스텐더(extender)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상기 코드의 인장을 변경하기 위해 상기 코드의 경로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블라인드 장착 시스템.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글레이즈드 어퍼처에 상기 헤드 조립체를 장착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장착 구성요소 - 상기 구성요소 각각은 사용시 상기 비드와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평면 핑거를 갖는 장착 브래킷 부를 포함함 -, 및
    상기 블라인드 비드 조립체를 각각의 장착 구성요소들에 부착하도록 작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제 1 및 제 2 연결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하는 블라인드 장착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사용시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에 대하여 놓이도록 구성된 베이스 면을 갖는 베이스 부 및 사용시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의 평면에 대하여 대략 직교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포스트 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 및 상기 포스트 부는 상기 장착 브래킷 부에 의하여 유지되고, 상기 연결 구성요소들은 상기 블라인드 헤드 조립체를 상기 장착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포스트 부들에 작동가능하게 부착시키는 블라인드 장착 시스템.
  20. 글레이즈드 어퍼처에서 장착되는 블라인드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글레이즈드 어퍼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서 유지되는 글레이징 창유리 또는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와 비드가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에 대하여 지지되는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유연하거나 또는 탄성의 비드를 포함하며, 상기 블라인드 조립체는:
    상기 블라인드의 셰이드 부가 매달리며 상기 글레이즈드 어퍼처에 상기 헤드 조립체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수단을 포함하는 블라인드 헤드 조립체,
    제 1 및 제 2 장착 브래킷 - 상기 브래킷 각각은 사용시 상기 비드와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 핑거를 갖는 제 1 부분, 및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의 평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교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착 형성체를 형성하는 제 2 부분을 포함함 -, 및
    일 부착 형성체에 연결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슬래이브 바아의 일 단부를 통해 일 부착 형성체로부터 상기 헤드 조립체 내로 연장되며 아래로 상기 슬래이브 바아의 다른 단부를 통해 상기 다른 부착 형성체로 연장되는 지지 코드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조립체.
  21. 제 20 항에 있어서,
    인장 기구는 코드에 인장을 부여하는 블라인드 조립체.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기구는 상기 헤드 조립체 내에 있는 블라인드 조립체.
  23. 제 20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브래킷 제 2 부분들 각각은 제 1 핑거에 대해 직교방향으로 연장 되도록 배치되고 사용시 상기 프레임에 인접한 측들에서 상기 비드와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는 공면의 제 2 핑거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조립체.
  24. 제 20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형성체 상에 장착되는 지지 클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코드는 상기 지지 클립에 연결되는 블라인드 조립체.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클립은 상기 창유리에 직교하는 방향의 상기 부착 형성체 상의 슬라이딩 핏이며 상기 지지 클립을 상기 부착 형성체 상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블라인드 조립체.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부착 형성체 상의 탭 및 상기 지지 클립 상의 멈춤쇠를 포함하며, 상기 탭은 상기 지지 클립이 상기 부착 형성체와 완전히 맞물리는 경우 상기 멈춤쇠 내로 스냅핑되는 블라인드 조립체.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완전한 맞물림은 상기 창유리에 대한 상기 지지 클립의 플랜지의 시팅 및 상기 장착 브래킷의 마스킹을 포함하는 블라인드 조립체.
  28. 제 24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상기 코드의 인장이 상기 비드에 의하여 저지되는 상기 브래킷 상에 모멘트를 유발하도록 상기 창유리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곳에서 상기 지지 클립에 연결되는 블라인드 조립체.
  29. 제 20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의 길이방향으로 넓은 측 부재들은 대략 상기 헤드 조립체로부터 대략 상기 장착 브래킷까지 연장되도록 상기 글레이즈드 윈도우의 측들에 장착될 수 있게 구성되는 블라인드 조립체.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측 부재들의 하부 단부들은 각각의 장착 브래킷들과 맞물리는 블라인드 조립체.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장착 브래킷 또는 상기 측 부재 중 하나는 상기 제 1 및 제 2 장착 브래킷 또는 상기 측 부재 중 다른 하나가 수용되는 슬롯을 포함하는 블라인드 조립체.
  32. 제 20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제 1 및 제 2 장착 구성요소 - 상기 구성요소 각각은 상기 비드와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 핑거를 갖는 장착 브래킷 부를 포함함 -, 및
    상기 블라인드 헤드 조립체를 각각의 장착 구성요소들에 부착시키는 제 1 및 제 2 연결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블라인드 조립체.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브래킷 부분들은 상기 글레이즈드 어퍼처의 프레임의 각각의 상부 코너에 배치되는 블라인드 조립체.
  34. 제 32 항 또는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브레킷 부들 각각은 직교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프레임에 인접한 측들에서 상기 비드와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 사이에서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공면 2 핑거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조립체.
  35. 제 32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장착 구성요소들 각각은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에 대하여 놓이는 베이스 면을 갖는 베이스 부, 및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의 평면에 대하여 대략 직교방향으로 연장되는 포스트 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 및 상기 포스트 부는 상기 장착 브래킷 부에 의하여 유지되고, 상기 연결 구성요소들은 상기 블라인드 헤드 조립체를 상기 장착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포스트 부들에 작동가능하게 부착시키는 블라인드 조립체.
  36. 제 35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장착 구성요소들은 비-일원적(non-unitary)이며, 각각,
    제 1 및 제 2 장착 형성체 - 상기 형성체 각각은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에 대하여 놓이는 베이스면을 갖는 상기 베이스 부, 및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의 평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교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포스트 부를 포함함 -, 및
    제 1 및 제 2 헤드 장착 브래킷 - 상기 브래킷 각각은 장착 브래킷 부를 구성하며, 각각 상기 장착 브래킷 및 상기 장착 형성체의 포스트 부를 부착시키는 부착 수단을 포함하는 제 1 부분 및 상기 비드와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 핑거를 구비한 제 2 부분을 포함함 - 을 포함하는 블라인드 조립체.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수단은 상기 장착 브래킷의 제 1 부분에 형성되는 어퍼처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처를 통해 각각의 포스트 부가 통과하는 블라인드 조립체.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포스트 부, 상기 제 1 부분의 어퍼처들 및 상기 장착 형성체의 베이스 부들은 상기 베이스 부가 상기 어퍼처를 통과할 수 없도록 크기설정되거나 구성되는 블라인드 조립체.
  39. 제 35 항 내지 제 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포스트 형성체들에 상기 블라인드 헤드 조립체를 부착하기 위하여, 상기 각각의 연결 구성요소들은 상기 포스트 부들을 따라 작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가능한 블라인드 조립체.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구성요소들 각각은 상기 포스트 부가 슬라이딩가능하게 맞물리는 소켓을 포함하는 블라인드 조립체.
  41. 제 35 항 내지 제 4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구성요소가 상기 포스트 부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각각의 연결 구성요소 및 상기 포스트 부와 연동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블라인드 조립체.
  42.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브래킷 부와 상기 연결 구성요소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사전설정된 깊이의 적어도 제 1 및 제 2 간격 요소(first and second spacing elements)를 더 포함하는 블라인드 조립체.
  43. 제 36 항 내지 제 4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브래킷과 상기 연결 구성요소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사전설정된 깊이의 적어도 제 1 및 제 2 간격 요소를 더 포함하는 블라인드 조립체.
  44. 제 29 항 내지 제 4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길이방향으로 넓은 측 부재들은 제 1 및 제 2 리테이닝(retaining) 수단에 의하여 제 위치에서 유지되는 블라인드 조립체.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 수단은 측 부재와 비드와 글레이징 창유리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는 핑거 부를 맞무는 맞물림 부를 각각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클립을 포함하는 블라인드 조립체
  46. 글레이즈드 어퍼처에 블라인드를 장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는 헤드 조립체, 상기 헤드 조립체에 부착되는 블라인드 패널 및 상기 블라인드 패널의 측들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코드들을 포함하며, 상기 글레이즈드 어퍼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에서 유지되는 글레이징 창유리 및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와 비드가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에 대해 지지되는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유연하거나 또는 탄성의 비드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헤드 조립체를 상기 글레이즈드 어퍼처에 장착시키는 단계;
    상기 지지 코드들을 위한 바닥 앵커 - 상기 앵커는 제 1 및 제 2 장착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 각각은 사용시 상기 비드와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측방향으로 연장된 제 1 평면 핑거를 갖는 제 1 부분, 및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의 평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교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착 형성체를 형성하는 제 2 부분을 포함함 -, 및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로부터 소정 거리에서 상기 블라인드에 대한 상기 지지 코드의 연결을 위한 상기 부착 형성체 상의 연결 수단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의 바닥 코너들에서 상기 비드와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 사이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장착 브래킷의 핑거들을 슬라이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코드를 상기 부착 형성체들에 부착시켜 인장 하에 상기 앵커와 상기 헤드 조립체 사이에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장착 방법.
  47. 제 46 항에 있어서,
    지지 클립들이 상기 코드의 단부들에 부착되고, 상기 코드를 상기 부착 형성체에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지지 클립들을 상기 형성체들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 하는 블라인드 장착 방법.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클립을 상기 형성체들에 연결하는 것은 상기 창유리의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 클립들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장착 방법.
  49. 제 46 내지 제 4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는 제 20 항 내지 제 4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블라인드 조립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장착 방법.
  50. 글레이즈드 어퍼처에 장착될 블라인드를 위한 바닥 앵커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는 1 이상의 블라인드 패널들이 연장되는 헤드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글레이즈드 어퍼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에서 유지되는 글레이징 창유리 및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와 비드가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에 대해 지지되는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유연하거나 또는 탄성의 비드를 포함하며,
    상기 앵커는 제 1 및 제 2 장착 브래킷 - 상기 브래킷 각각은 사용시 상기 비드와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측방향으로 연장된 제 1 평면 핑거를 갖는 제 1 부분, 및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의 평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교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착 형성체를 형성하는 제 2 부분을 포함함 - 및
    상기 글레이징 창유리로부터 소정 거리에서 상기 블라인드에 대한 상기 지지 코드의 연결을 위한 상기 부착 형성체 상의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바닥 앵커.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부착 형성체를 포함하는 지지 클립을 장착하도록 구성되는 바닥 앵커.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클립은 상기 제 2 부분 상의 스냅 핏인 바닥 앵커.
  53. 제 50 항 내지 제 5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코드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아이(eye)를 포함하는 바닥 앵커.
  54. 실질적으로 첨부 도면 중 하나를 참조하여 상술된 시스템.
  55. 실질적으로 첨부 도면 중 하나를 참조하여 상술된 블라인드 조립체.
  56. 실질적으로 첨부 도면 중 하나를 참조하여 상술된 글레이즈드 어퍼처에 블라 인드를 연결하는 방법.
  57. 실질적으로 첨부 도면 중 하나를 참조하여 상술된 블라인드 시스템의 바닥 앵커.
KR1020097004612A 2006-08-04 2007-08-02 블라인드들 및 그 구성요소들 KR200900865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615518.8 2006-08-04
GB0615518A GB2440536B (en) 2006-08-04 2006-08-04 Blinds and Components Thereof
GB0701931.8 2007-02-01
GB0701931A GB2440537B (en) 2006-08-04 2007-02-01 Blinds and components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6513A true KR20090086513A (ko) 2009-08-13

Family

ID=37027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4612A KR20090086513A (ko) 2006-08-04 2007-08-02 블라인드들 및 그 구성요소들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90256036A1 (ko)
EP (1) EP2054579B1 (ko)
JP (1) JP2010510408A (ko)
KR (1) KR20090086513A (ko)
CN (1) CN101523009A (ko)
AU (1) AU2007280240A1 (ko)
BR (1) BRPI0715133A2 (ko)
GB (2) GB2440536B (ko)
MX (1) MX2009001276A (ko)
TW (2) TW200817576A (ko)
WO (1) WO20080154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34824B (en) * 2006-02-01 2011-05-04 Turnils Blinds and components thereof
GB2448878B (en) 2007-04-30 2012-10-24 Turnils Uk Ltd Tool for mounting a blind
GB0819728D0 (en) * 2008-10-28 2008-12-03 Turnils Uk Ltd Privacy blinds and components thereof
GB0901533D0 (en) * 2009-01-30 2009-03-11 Turnils Uk Ltd Adjustable fascia for blinds
CN103321560B (zh) * 2013-06-06 2015-06-24 杭州万事达装饰用品有限公司 一种卷帘固定座与窗框的连接装置
AU360980S (en) * 2015-02-20 2015-04-08 Acmeda Pty Ltd Cord guide for a roman blind system
NL2015678B1 (en) * 2015-10-29 2017-05-29 Coulisse Bv Roller blind system comprising a releasably mountable spring operated roller blind.
USD816373S1 (en) * 2016-02-17 2018-05-01 Hunter Douglas Inc. Rail for a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DE202016001237U1 (de) * 2016-02-26 2017-05-30 Aerolux Gmbh Halterung zur Anbringung von Sonnen- und Blickschutzeinrichtungen am Rahmen, insbesondere von Fenstern und Türen
EP3409875A1 (en) * 2017-06-01 2018-12-05 Hunter Douglas Industries B.V. Tilt adjuster control mechanism for a venetian blind
USD955140S1 (en) * 2019-08-22 2022-06-21 Bandalux Industrial, S.A. Box roller shade assembly
USD955141S1 (en) * 2019-08-22 2022-06-21 Bandalux Industrial, S.A. Box roller shad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3135A (en) * 1991-01-18 1992-09-01 Levolor Corporation Low profile headrail venetian blind
JPH0797886A (ja) * 1993-08-05 1995-04-11 Hayashiguchi Kogyo Kk スクリーン装置
US5934351A (en) * 1998-04-24 1999-08-10 Pella Corporation Sliding tilt mechanism for horizontal slatted blinds
DK176092B1 (da) * 1998-07-21 2006-05-22 Vkr Holding As Afskærmningsarrangement til et vindue samt universal monterings- og parallelföringsarrangement for en vinduesafskærmningsindretning
US6622770B1 (en) * 2002-03-20 2003-09-23 Ita, Inc. Tape drum for venetian type blinds
CA2485724C (en) * 2003-10-24 2012-02-07 Hunter Douglas Industries B.V. Cord tensioner
DE202004000927U1 (de) * 2004-01-21 2004-07-01 Hoffmann, Thomas Kaffee/Teefilter-Prägevorrichtung
DE202004009270U1 (de) * 2004-06-11 2004-08-12 Aerolux Gmbh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Sonnenschutzeinrichtungen
GB2423328B (en) * 2005-04-09 2007-02-28 Louver Lite Ltd Window blind system
GB2434824B (en) * 2006-02-01 2011-05-04 Turnils Blinds and components thereof
DE202007000447U1 (de) * 2007-01-05 2007-04-19 Iversen, Hans Halter, insbesondere für eine Einrichtung zum Sonnen-, Licht-, und Blickschutz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817576A (en) 2008-04-16
GB2440537A (en) 2008-02-06
MX2009001276A (es) 2009-04-07
AU2007280240A1 (en) 2008-02-07
EP2054579B1 (en) 2016-12-07
GB2440537B (en) 2011-08-17
GB2440536B (en) 2011-10-12
CN101523009A (zh) 2009-09-02
TW200815665A (en) 2008-04-01
GB0701931D0 (en) 2007-03-14
GB0615518D0 (en) 2006-09-13
JP2010510408A (ja) 2010-04-02
EP2054579A1 (en) 2009-05-06
WO2008015440A1 (en) 2008-02-07
BRPI0715133A2 (pt) 2013-06-04
US20090256036A1 (en) 2009-10-15
GB2440536A (en) 200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6513A (ko) 블라인드들 및 그 구성요소들
KR100447725B1 (ko) 블라인드
US4557310A (en) Movable sun shade system
US7624547B1 (en) Accessory kit for a fixed curb-mounted skylight
US4739816A (en) Venetian blind system for greenhouses
CA2243150C (en) Window blind or shade
AU2013206333B2 (en) Apparatus for mounting a screen guide rail
UA56217C2 (uk) Опорний засіб для екрануючого пристрою, ліхтар верхнього світла та екрануючий пристрій з вказаними опорними засобами
UA67808C2 (uk) Опорний засіб для екрануючого пристрою
EP3529448B1 (en) A support arrangement
US4793396A (en) Adjustable fabric retainer for a window blind
EP1812677B1 (en) A screening arrangement for a window
US20070246170A1 (en) Combination window or door covering
WO2008015442A1 (en) Blinds and components thereof
EP1988251A2 (en) Blind fittings and tools, components and method therefor
EP2231986A1 (en) Screening device as add-on for a screening arrangement
GB2464824A (en) Blind with tension loop system
KR20210025370A (ko) 블라인드 내장 이중창호
EP4343104A2 (en) Window blind slat attachment
DK1552101T3 (en) IMPROVEMENTS AND RELATED TO GLASS CLIPS FOR SUPPLY ELEMENTS ON GLASS COVERING UNITS
RU189550U1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кронштейна для оконных штор
EP2213829A2 (en) Adjustable fascia for blinds
CA2618842C (en) Cordless flexible window covering
KR200314064Y1 (ko) 블라인드에 사용되는 내부풀코드홀더
JPH046195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