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6308A - 모터 장치 - Google Patents

모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6308A
KR20090086308A KR1020090001072A KR20090001072A KR20090086308A KR 20090086308 A KR20090086308 A KR 20090086308A KR 1020090001072 A KR1020090001072 A KR 1020090001072A KR 20090001072 A KR20090001072 A KR 20090001072A KR 20090086308 A KR20090086308 A KR 20090086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ide
motor
stator
rotating shaft
shaf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1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소노하라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6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63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7/00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 H02K37/02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variable reluctance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7/00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 H02K37/24Structural association with auxiliary mechanical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과제
걸어맞춤 부재의 원점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가 불필요하고, 또한 원점 위치 검출시, 걸어맞춤 부재가 모터 프레임에 달라붙어, 걸어맞춤 부재의 동작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한 모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회전축 지지부 (54) 와 스테이터 지지부 (56) 의 양방, 또는 회전축 (22) 에 걸어 맞춰진 걸어맞춤 부재 (60) 에 있어서의 회전축 지지부 (54) 와 스테이터 지지부 (56) 에 대향하는 2 개의 대향면 (출력측 대향면 (601) 및 반출력측 대향면 (602)) 의 양방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는, 걸어맞춤 부재 (60) 가 회전축 (22) 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할 때의 원점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 (출력측 위치 결정부 (541) 및 반출력측 위치 결정부 (561)) 가 형성된 모터 장치 (1) 로 하였다.
모터

Description

모터 장치{MOTOR APPARATUS}
본 발명은 모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드 스크루가 형성된 회전축을 회전시킴으로써, 리드 스크루에 걸어 맞춰진 걸어맞춤 부재를 회전축의 축선 방향으로 진퇴 이동시킬 수 있는 모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리드 스크루가 형성된 회전축을 구비하고, 이 회전축에 걸어 맞춰진 걸어맞춤 부재 (캐리지라고 칭할 때도 있다) 를 회전축의 축선 방향으로 진퇴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모터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 3 참조). 이런 종류의 모터 장치는, 예를 들어, 광 헤드 장치 등에 탑재되어 광학 렌즈 등의 구동원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271793호
특허 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39057호
특허 문헌 3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25574호
그런데, 이와 같은 모터 장치에서는, 광학 렌즈와 같은 구동 대상물 (걸어맞춤 부재) 의 이동을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구동 대상물의 원점 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 때문에, 원점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가 필요해지고, 이 센서가 모터 장치의 비용 절감을 저해하는 하나의 요인으로 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모터 본체나 회전축이 지지되는 모터 프레임과 걸어맞춤 부재가 맞닿은 위치를 원점으로 하여 구동 대상물의 이동이 제어되도록 구성하면, 센서는 불필요해져, 모터 장치의 비용을 삭감할 수 있을 것으로도 생각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센서리스의 모터 장치에서는, 걸어맞춤 부재가 모터 프레임에 밀려 붙여진다. 즉, 걸어맞춤 부재가 모터 프레임에 대하여 비교적 큰 접촉면으로 맞닿기 때문에, 걸어맞춤 부재가 움직이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걸어맞춤 부재의 원점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가 불필요하고, 또한 원점 위치 검출시, 걸어맞춤 부재가 모터 프레임에 대하여 면 접촉함으로써, 걸어맞춤 부재의 동작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한 모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련된 모터 장치는, 스테이터부 및 그 스테이터부로부터 돌출된 리드 스크루부가 형성된 회전축을 구비한 모터 본체 와, 상기 회전축의 출력측 선단이 지지되는 회전축 지지부와 그 회전축 지지부에 대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테이터부에 고정되는 스테이터 지지부를 구비한 모터 프레임과, 상기 리드 스크루부에 걸어 맞춰지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축의 축선 방향으로 진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걸어맞춤 부재를 구비한 모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부재는, 상기 회전축 지지부와 상기 스테이터 지지부에 대향하는 2 개의 대향면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 지지부와 상기 스테이터 지지부의 양방, 또는 상기 걸어맞춤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2 개의 대향면의 양방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는, 상기 걸어맞춤 부재가 상기 축선 방향으로 이동할 때의 원점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모터 장치에 의하면, 모터 프레임이 구비하는 스테이터 지지부와 회전축 지지부의 양방, 또는 스테이터 지지부와 회전축 지지부에 대향하는 걸어맞춤 부재의 2 개의 대향면에, 걸어맞춤 부재의 원점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가 형성되어 있고, 걸어맞춤 부재를 전진단 (端) 이나 후퇴단까지 이동시킨 경우에는, 이 위치 결정부를 통하여 스테이터 지지부 및 회전축 지지부와 걸어맞춤 부재가 맞닿게 되므로, 걸어맞춤 부재의 원점 위치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종래형의 모터 장치나, 모터 장치가 장착되는 기기 등에 탑재되어 있는 원점 위치 검출을 위한 센서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모터 장치의 제조 비용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축선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위치 결정부의 선단에는 상기 대향면보다 작은 맞닿음면이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걸어맞춤 부재의 원점 위치를 결정할 때에, 스테이터 지지부 및 회전축 지지부와 걸어맞춤 부재가 맞닿는 면적이 작아진다. 따라서, 모터의 회전 동력에 의해 걸어맞춤 부재가 스테이터 지지부 또는 회전축 지지부에 밀려 붙여져도, 걸어맞춤 부재가 스테이터 지지부나 회전축 지지부에 대하여 면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위치 결정부의 돌출 길이는, 상기 회전축 지지부 및 상기 스테이터 지지부가 상기 대향면의 전체면과 맞닿지 않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이 위치 결정부의 돌출 길이를 구성하면, 스테이터 지지부 및 회전축 지지부에 대한 걸어맞춤 부재의 면 접촉을 방지할 수 있어, 걸어맞춤 부재를 원활하게 진퇴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 지지부에는, 상기 회전축의 축단 (軸端) 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 지지부 또는 상기 회전축 지지부와 대향하는 상기 대향면에 형성된 상기 위치 결정부의 돌출 길이는, 상기 회전축 지지부로부터 돌출된 상기 베어링의 돌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베어링이 회전축 지지부로부터 출력측으로 돌출됨으로써 모터 장치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베어링을 반 (反) 출력측으로 돌출되도록 고정시킨 경우에도, 걸어맞춤 부재가 베어링에 밀려 붙여지는 것에 의한 걸어맞춤 부재와 베어링의 면 접촉에 의한 걸어맞춤 부재의 진퇴 이동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 걸어맞춤 부재를 원활하게 진퇴 이동시 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 프레임 또는 상기 걸어맞춤 부재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은 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이, 걸어맞춤 부재의 원점 위치를 결정할 때에 맞닿는 모터 프레임과 걸어맞춤 부재 중 어느 일방이 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면, 양방이 동종의 재질로 형성된 경우와 비교하여, 모터 프레임과 걸어맞춤 부재의 접촉에 의한 저항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모터 프레임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회전축 지지부와 상기 스테이터 지지부의 선단을 상기 축선 방향으로 절곡하여, 또는 소성 변형시켜 형성된 것이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모터 프레임을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할 때에 동시에 위치 결정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위치 결정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한 가공 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 지지부에 형성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회전축 지지부의 선단을 상기 축선 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것으로, 상기 위치 결정부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슬릿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이 슬릿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위치 결정부를 형성하는 스테이터 지지부 또는 회전축 지지부의 절곡 영역이 작아지기 때문에, 프레스 등에 의한 절곡 가공이 용이해진다. 또한, 위치 결정부의 가공 정밀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터 지지부에 형성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스테이터 지지부의 선단측을 출력 방향을 향하여 소성 변형시켜 형성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터 본체는, 스테핑 모터이면 된다.
이로써, 상기 서술한 수법에 의해 걸어맞춤 부재의 원점 위치를 결정만 하면, 스테핑 모터의 스텝 수를 제어함으로써, 걸어맞춤 부재의 이동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모터 장치에 의하면, 모터 프레임이 구비하는 스테이터 지지부와 회전축 지지부의 양방, 또는 스테이터 지지부와 회전축 지지부에 대향하는 걸어맞춤 부재의 2 개의 대향면에, 걸어맞춤 부재의 원점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가 형성되어 있고, 걸어맞춤 부재를 전진단이나 후퇴단까지 이동시킨 경우에는, 이 위치 결정부를 통하여 스테이터 지지부 및 회전축 지지부와 걸어맞춤 부재가 맞닿게 되므로, 걸어맞춤 부재의 원점 위치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모터 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모터 장치 (1) 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1(a) 는 모터 장치 (1) 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출력측의 측면도, 도 1(b) 는 모터 장치 (1)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측면도 (일부 단면도) 이다. 또한, 도 2 는 도 1(b) 에 있어서의 모터 본체 (10) 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모터 장치 (1) 는, 회전축 (22) 및 스테이터부 (30) 를 구비한 모터 본체 (10) 와, 회전축 (22) 의 출력측 선단이 지지되는 회전축 지지부 (54), 및 이 회전축 지지부 (54) 에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스테이터부 (30) 에 고정되는 스테이터 지지부 (56) 를 구비한 모터 프레임 (50) 과, 회전축 (22) 에 걸어 맞춰진 걸어맞춤 부재 (60) 를 구비한다.
모터 본체 (10) 는, 이른바 스테핑 모터이며, 회전축 (22) 및 스테이터부 (30) 를 구비한다. 회전축 (22) 은 스테이터부 (30) 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그 반출력측에 N 극과 S 극이 둘레 방향에서 교대로 착자된 영구 자석 (24) 이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고정됨으로써 로터 (20) 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회전축 (22) 은 그 출력측의 스테이터부 (30) 로부터 돌출된 부분의 외부 둘레면에 리드 스크루 (22a) 가 형성되어 있다 (단, 출력측 축단 (221) 을 제외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회전축 (22) 은, 모터 프레임 (50) 에 지지된 출력측 베어링 (28a) (본 발명에 있어서의 베어링에 상당한다) 에 출력측 축단 (221) 이 지지되고, 외 (外) 스테이터 코어 (352) 에 고정된 반출력측 베어링 (28b) 에 반출력측 축단 (222) 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스테이터부 (30) 는, 영구 자석 (24) 에 대하여 외부 둘레측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회전축 (22) 의 축선 방향으로 겹쳐 배치된 제 1 스테이터 세트 (301) 및 제 2 스테이터 세트 (302)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 1 스테이터 세트 (301) 및 제 2 스테이터 세트 (302)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 (內) 스테이터 코어 (341, 342) 와, 외스테이터 코어 (351, 352) 와, 이들 스테이터 코어 사이에 끼워진 구동 코일 (361, 362) 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구동 코일 (361, 362) 은 이른바 보빈리스 타입의 코일이며, 코일 보빈은 사용되지 않는다.
내스테이터 코어 (341, 342) 와 외스테이터 코어 (351, 352) 각각에는, 그 내부 둘레 가장자리에 등간격으로 축선 방향으로 기립 형성된 극치 (極齒) (31) 가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구동 코일 (361, 362) 의 내부 둘레측에는, 내스테이터 코어 (341) 와 외스테이터 코어 (351), 내스테이터 코어 (342) 와 외스테이터 코어 (352) 각각에 형성된 복수의 극치 (31) 가 교대로 얽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스테이터 세트 (301) 의 내스테이터 코어 (341) 와 외스테이터 코어 (351) 에 있어서의 각 극치 (31) 의 외부 둘레에는, 원고리상의 구동 코일 (361) 이 위치하게 된다. 동일하게, 제 2 스테이터 세트 (302) 의 내스테이터 코어 (342) 와 외스테이터 코어 (352) 에 있어서의 각 극치 (31) 의 외부 둘레에는, 원고리상의 구동 코일 (362) 이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구동 코일 (361, 362) 의 표면 전체에는, 얇은 절연막 (도시 생략) 이 피복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코일 보빈을 생략한 구조이어도 단락되지 않는다. 또한, 구동 코일 (361, 362) 은 극치 (31) 둘레에 배치되어 있는데, 극치 (31) 의 외부 둘레면과 구동 코일 (361, 362) 의 내부 둘레면이 직접 접촉하는 것에 의한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양자를 이간시키거나 또는 양자 사이에 절연 부재를 개재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스테이터 코어 (351, 352) 의 외부 둘레 가장자리는, 절곡되어 구동 코일 (361, 362) 의 외부 둘레를 덮도록 기립 형성되어 있어, 각각이 모터 케이스로서 기능하고 있다. 이하, 이 외스테이터 코어 (351, 352) 중 구동 코일 (361, 362) 의 외부 둘레를 덮는 부분을 각각 제 1 모터 케이스 (321), 제 2 모터 케이스 (322) 로 한다. 이들 제 1 모터 케이스 (321) 및 제 2 모터 케이스 (322) 는, 드로잉 가공에 의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모터 케이스 (321) 및 제 2 모터 케이스 (322) 의 양측 벽면에는, 소정의 크기로 절결된 제 1 개구부 (331) 가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의 모터 장치 (1) 는 이른바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개구부 (331) 로부터는, 도 1 및 도 2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구동 코일 (361, 362) 이 노출되어 있다. 또한, 제 1 모터 케이스 (321) 및 제 2 모터 케이스 (322) 에는, 제 1 개구부 (331) 와 상이한 위치 (도 1(a) 및 도 2 의 하측 벽면) 에 소정의 크기로 절결된 제 2 개구부 (332)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개구부 (332) 로부터는, 단자대 (40) 가 돌출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다.
단자대 (40) 는, 내스테이터 코어 (341, 342) 의 외부 둘레 가장자리에 고정되어 있고, 급전을 위한 단자 핀 (42a ∼ 42d) 이 형성되어 있다. 이 단자대 (40) 는, 내스테이터 코어 (341, 342) 의 외부 둘레 가장자리에 인서트 성형이나 압입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단자 핀 (42a ∼ 42d) 에는 구동 코일 (361, 362) 의 권선 단말이 얽어 매어져 있다.
또한, 외스테이터 코어 (352) 에는, 회전축 (22) 의 반출력측 축단 (222) 을 지지하는 반출력측 베어링 (28b) (레이디얼 베어링) 이 압입 등의 수단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외스테이터 코어 (352) 에는, 레이저 용접 등에 의해 탄성 지지 부재 (44) 가 고정되어 있다. 이 탄성 지지 부재 (44) 는 탄성 지지부 (44a) (판 스프링) 를 구비하고 있고, 이 탄성 지지부 (44a) 에 의해 회전축 (22) 이 출력측에 탄성 지지되어 있다. 또한, 탄성 지지 부재 (44) 는 반출력측 베어링 (28b) 의 탈락 방지 부재로서도 기능한다.
모터 프레임 (50) 은, 금속판의 양단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コ 자형으로 형성된 부재로, 바닥판부 (52), 회전축 지지부 (54) 및 스테이터 지지부 (56) 로 구성된다.
바닥판부 (52) 는, 모터 프레임 (50) 의 기초가 되는 부분으로, 회전축 (22) 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도록 위치한다. 그 길이 방향의 길이는, 회전축 (22) 에 형성된 리드 스크루 (22a) 의 길이, 즉 걸어맞춤 부재 (60) 의 스트로크량과 대략 동일하다. 또한, 폭 방향의 길이는, 후술하는 걸어맞춤 부재 (60) 의 폭 방향의 길이보다 크고, 모터 케이스 (제 1 모터 케이스 (321), 제 2 모터 케이스 (322)) 의 폭 방향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 지지부 (54) 는, 바닥판부 (52) 의 출력측단 가장자리로부터 수직으로 기립 형성된 부분이다. 이 회전축 지지부 (54) 의 대략 중앙에는, 베어링 장착공 (54a) 이 형성되어 있고, 이 베어링 장착공 (54a) 에 회전축 (22) 의 출력측 축단 (221) 을 지지하는 출력측 베어링 (28a) 이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 로는, 출력측 베어링 (28a) 은 피벗 베어링이고, 본체부 (281), 플랜지부 (282) 로 구성되어 있다. 이 본체부 (281) 의 중앙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탄성 지지 부재 (44) 에 의해 출력측에 탄성 지지된 회전축 (22) 의 출력측 축단 (221) 을 지지하는 강구 (鋼球) (281a) 가 끼워 넣어져 있다. 도 1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출력측 베어링 (28a) 은, 모터 장치 (1) 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지 않도록, 플랜지부 (282) 가 회전축 지지부 (54) 로부터 반출력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다.
스테이터 지지부 (56) 는, 바닥판부 (52) 의 반출력측단 가장자리로부터 수직으로 기립 형성된 부분으로, 상기 회전축 지지부 (54) 와 대향하여 위치한다. 그 대략 중앙에는, 회전축 (22) 보다 한층 큰 관통공 (56a) 이 형성되어 있다. 모터 프레임 (50) 은, 관통공 (56a) 에 회전축 (22) 을 삽입 통과시키고, 스테이터 지지부 (56) 가 제 1 모터 케이스 (321) (외스테이터 코어 (351)) 에 레이저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장착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 지지부 (54) 및 스테이터 지지부 (56) 의 높이는, 모터 케이스 (제 1 모터 케이스 (321), 제 2 모터 케이스 (322)) 의 높이와 대략 동일하다. 또한 폭 치수는 바닥판부 (52) 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모터 장치 (1) 는, 후술하는 걸어맞춤 부재 (60) 의 원점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2 개의 위치 결정부를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회전축 지지부 (54) 에는, 반출력측을 향하여 돌출된 출력측 위치 결정부 (541) 가 형성되어 있고, 스테이터 지지부 (56) 에는, 출력측을 향하여 돌출된 반 출력측 위치 결정부 (561) 가 형성되어 있다. 이 2 개의 위치 결정부의 구성이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걸어맞춤 부재 (60) 는 수지에 의해 형성된 부재로, 캐리지라고도 칭해진다. 걸어맞춤 부재 (60) 의 외관 사시도를 도 3 에 나타낸다.
걸어맞춤 부재 (60) 는, 본체부 (62) 와, 본체부 (62) 보다 좁은 접속부 (64) 를 구비한다. 본체부 (62) 의 대략 중앙에는, 회전축 (22) 의 리드 스크루 (22a) 에 걸어 맞춤 가능하게 형성된 (암나사가 형성된) 걸어맞춤공 (62a) 이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 (64) 는, 모터 장치 (1) 의 동력에 의해 구동시키는 구동 대상물 (예를 들어, 광 헤드 장치이면, 콜리메이트 렌즈 등의 광학 렌즈) 과 접속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속부 (64) 가 구동 대상물을 유지하는 홀더에 접착되어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접속부 (64) 와 구동 대상물 (을 유지하는 홀더) 을 나사에 의해 접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걸어맞춤 부재 (60) 는, 상기 걸어맞춤공 (62a) 에 리드 스크루 (22a) 가 걸어 맞춰짐으로써 회전축 (22) 에 지지된다. 그리고, 걸어맞춤 부재 (60) 자체는 구동 대상물과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축 (22) 과 함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걸어맞춤 부재 (60) 는, 회전축 (22) 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축 (22) 의 축선 방향으로 진퇴 이동하게 되므로, 걸어맞춤 부재 (60) 에 접속되어 있는 구동 대상물도 회전축 (22) 과 평행하게 소정의 경로를 진퇴 이동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모터 장치 (1) 는, 토크가 작아, 걸 어맞춤 부재 (60) 가 위치 결정부 (출력측 위치 결정부 (541) 및 반출력측 위치 결정부 (561)) 에 접촉하면 회전축 (22) 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걸어맞춤 부재 (60) 의 회전축 지지부 (54) 와 대향한 면을 출력측 대향면 (601) 이라고 칭하고, 스테이터 지지부 (56) 와 대향한 면을 반출력측 대향면 (602) 이라고 칭한다 (출력측 대향면 (601) 및 반출력측 대향면 (602) 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대향면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모터 장치 (1) 는, 걸어맞춤 부재 (60) 의 원점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서술한 출력측 위치 결정부 (541) 및 반출력측 위치 결정부 (561) 를 구비한다. 이 출력측 위치 결정부 (541) 및 반출력측 위치 결정부 (561) 의 구성 그리고 작용에 대해, 도 4 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여기서, 도 4(a) 의 좌측에 나타내는 도면은, 걸어맞춤 부재 (60) 가 최대로 출력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의 우측에 나타내는 도면은, 도 4(a) 의 좌측에 나타내는 도면에 있어서의 A-A 선의 위치에서 출력측 위치 결정부 (541) 를 도중에 절단한 A-A 단면도이다. 또한, 도 4(b) 의 좌측에 나타내는 도면은, 걸어맞춤 부재 (60) 가 최대로 반출력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 의 우측에 나타내는 도면은, 도 4(b) 의 좌측에 나타내는 도면에 있어서의 B-B 선의 위치에서 반출력측 위치 결정부 (561) 를 도중에 절단한 B-B 단면도이다.
출력측 위치 결정부 (541) 는, 회전축 지지부 (54) 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회전축 지지부 (54) 의 선단이 축선 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반출력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출력 측 위치 결정부 (541) 의 선단에는, 출력측 맞닿음면 (541a) 이 형성되어 있다. 출력측 맞닿음면 (541a) 은, 걸어맞춤 부재 (60) 가 최대로 출력측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걸어맞춤 부재 (60) 에 있어서의 본체부 (62) 의 출력측 대향면 (601) 과 맞닿는 면이다. 이 출력측 맞닿음면 (541a) 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출력측 위치 결정부 (541) 가 축선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출력측 대향면 (601) 과 평행하게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축 지지부 (54) 에 있어서의 출력측 위치 결정부 (541) 의 반출력 방향에 대한 돌출 길이 (L1) 는, 출력측 베어링 (28a) 의 플랜지부 (282) 의 돌출 길이 (L2) 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어, 걸어맞춤 부재 (60) 가 최대로 출력측으로 이동한 때에도, 걸어맞춤 부재 (60) 의 출력측 대향면 (601) 과 출력측 베어링 (28a) 이 맞닿지는 않는다.
또한, 도 1(a)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출력측 위치 결정부 (541) 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슬릿부 (542) 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슬릿부 (542) 를 프레스 가공 전에 형성해 둠으로써, 출력측 위치 결정부 (541) 를 형성하기 위한 절곡 영역이 작아지기 때문에, 출력측 위치 결정부 (541) 의 절곡 가공이 용이해지므로, 예를 들어 출력측 위치 결정부 (541) 를 지나치게 절곡하거나, 절곡이 불충분해지거나 하지 않는다. 또한, 출력측 위치 결정부의 돌출 길이 (L1) 의 치수 정밀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반출력측 위치 결정부 (561) 는, 스테이터 지지부 (56) 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테이터 지지부 (56) 의 선단측을 이른바 프레스 하프 블랭킹 가공에 의해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출력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출력측 위치 결정부 (561) 의 선단에는, 반출력측 맞닿음면 (561a) 이 형성되어 있다. 반출력측 맞닿음면 (561a) 은, 걸어맞춤 부재 (60) 가 최대로 반출력측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걸어맞춤 부재 (60) 에 있어서의 본체부 (62) 의 반출력측 대향면 (602) 과 맞닿는 면이다. 이로써, 걸어맞춤 부재 (60) 가 최대로 반출력측으로 이동하였을 때에도, 걸어맞춤 부재 (60) 의 반출력측 대향면 (602) 의 대략 전체면과 스테이터 지지부 (56) 가 맞닿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모터 장치 (1) 에서는, 걸어맞춤 부재 (60) 가 최대로 출력측 또는 최대로 반출력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걸어맞춤 부재 (60) 는 위치 결정부 (출력측 위치 결정부 (541), 반출력측 위치 결정부 (561)) 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걸어맞춤 부재 (60) 와 위치 결정부의 맞닿음 위치를 원점 위치로 하여, 모터 본체 (10) 의 회전량을 제어함으로써, 걸어맞춤 부재 (60) 의 이동량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걸어맞춤 부재 (60) 의 원점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등을 모터 장치 (1) 나, 모터 장치 (1) 가 장착되는 기기 등에 탑재할 필요가 없어, 모터 장치 (1) 나 모터 장치 (1) 가 장착되는 기기 등의 비용 절감으로 이어진다.
또한, 도 4(a) 의 A-A 단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출력측 위치 결정부 (541) 의 출력측 맞닿음면 (541a) 은, 그 크기가 걸어맞춤 부재 (60) 에 있어서의 본체부 (62) 의 출력측 대향면 (601) 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4(b) 의 B-B 단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반출력측 위치 결정부 (561) 의 반출력측 맞닿음면 (561a) 도, 그 크기가 걸어맞춤 부재 (60) 에 있어서의 본체부 (62) 의 반출력측 대향면 (602) 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모터 장치 (1) 에서는, 걸어맞춤 부재 (60) 가 최대로 출력측 또는 최대로 반출력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걸어맞춤 부재 (60) 의 대향면의 대략 전체면이 회전축 지지부 (54) 나 스테이터 지지부 (56) 에 맞닿은 상태가 되지 않기 때문에, 회전축 지지부 (54) 나 스테이터 지지부 (56) 에 대한 걸어맞춤 부재 (60) 의 면 접촉에 의한 진퇴 이동의 문제가 방지되어, 걸어맞춤 부재 (60) (구동 대상물) 를 원활하게 진퇴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 지지부 (54) 에 있어서의 출력측 위치 결정부 (541) 의 반출력 방향에 대한 돌출 길이 (L1) 는, 출력측 베어링 (28a) 의 플랜지부 (282) 의 돌출 길이 (L2) 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걸어맞춤 부재 (60) 가 최대로 출력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걸어맞춤 부재 (60) 의 출력측 대향면 (601) 과, 모터 장치 (1) 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지 않도록 반출력측으로부터 돌출시킨 출력측 베어링 (28a) 이 맞닿지도 않는다. 따라서, 모터 장치 (1) 의 전체 길이의 길이를 억제함과 함께, 걸어맞춤 부재 (60) 와 출력측 베어링 (28a) 의 면 접촉에 의한 걸어맞춤 부재 (60) 의 진퇴 이동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터 지지부 (56) 에 있어서의 반출력측 위치 결정부 (561) 의 출력 방향에 대한 돌출 길이는, 걸어맞춤 부재 (60) 의 반출력측 대향면 (602) 의 대략 전체면과 스테이터 지지부 (56) 가 맞닿지 않는 길이이면 된다. 요컨대, 필요 이상으로 돌출 길이를 크게 할 필요가 없기 (걸어맞춤 부재 (60) 의 스트로크량 을 동일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이 돌출 길이를 크게 하면, 그만큼 모터 장치 (1) 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공성을 고려하여, 프레스 하프 블랭킹 가공에 의해 스테이터 지지부 (56) 를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만일 출력측 베어링 (28a) 의 플랜지부 (282) 가 회전축 지지부 (54) 로부터 반출력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고정되는 구성이 아닌 경우에는, 출력측 위치 결정부 (541) 의 반출력 방향에 대한 돌출 길이 (L1) 도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출력측 위치 결정부 (541) 를 반출력측 위치 결정부 (561) 와 동일하게 프레스 하프 블랭킹 가공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a) 의 A-A 단면도 및 도 4(b) 의 B-B 단면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출력측 위치 결정부 (541) 및 반출력측 위치 결정부 (561) 는, 회전축 (22) 의 축선보다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걸어맞춤 부재 (60) 는, 구동 대상물에 걸어 맞춰지는 접속부 (64) 와, 회전축 (22) 에 걸어 맞춰지는 걸어맞춤공 (62a) 의 대략 중앙 위치에 있어서 출력측 위치 결정부 (541) 및 반출력측 위치 결정부 (561) 와 맞닿게 되기 때문에, 출력측 위치 결정부 (541) 및 반출력측 위치 결정부 (561) 를 회전축 (22) 의 축선보다 하측에 형성한 경우 등과 비교하여, 걸어맞춤 부재 (60) 가 각각의 위치 결정부에 맞닿았을 때에 있어서의 경사를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모터 장치 (2) 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는 모터 장치 (2) 의 외관도이며, 도 5(a) 는 모터 장치 (2) 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출력측의 측면도, 도 5(b) 는 모터 장치 (2)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측면도 (일부 단면도) 이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모터 장치 (1) 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하며, 상이한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모터 장치 (2) 는, 모터 본체 (10), 모터 프레임 (70), 걸어맞춤 부재 (80) 를 구비한다. 이 중, 모터 본체 (10) 의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모터 장치 (1) 와 완전히 동일하다.
모터 프레임 (70) 은, 바닥판부 (72), 회전축 지지부 (74) 및 스테이터 지지부 (76) 로 구성된다. 대략적인 형상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모터 장치 (1) 와 동일한데, 회전축 지지부 (74) 및 스테이터 지지부 (76) 에 위치 결정부 (출력측 위치 결정부 (541) 및 반출력측 위치 결정부 (561)) 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에서 모터 장치 (1) 와 상이하다.
걸어맞춤 부재 (80) 는 본체부 (82) 및 접속부 (84) 를 구비하고, 이들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모터 장치 (1) 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걸어맞춤 부재 (80) 의 대향면에 위치 결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모터 장치 (1) 와 상이하다. 즉, 걸어맞춤 부재 (80) 에 있어서의 본체부 (82) 의 출력측 대향면 (801) 으로부터는, 출력 방향으로 돌출되어 회전축 지지부 (74) 에 맞닿을 수 있는 출력측 위치 결정부 (851) 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걸어맞춤 부재 (80) 에 있어서의 본체부 (82) 의 반출력측 대향면 (802) 으로부터는, 반출력 방향으로 돌출되어 스테이터 지지부 (76) 에 맞닿을 수 있는 반출 력측 위치 결정부 (852)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출력측 위치 결정부 (851) 의 선단에는 출력측 맞닿음면 (851a) 이, 반출력측 위치 결정부 (852) 의 선단에는 반출력측 맞닿음면 (852a)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 출력측 위치 결정부 (851) 및 반출력측 위치 결정부 (852) 의 구성 그리고 작용에 대해, 도 6 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여기서, 도 6(a) 의 좌측에 나타내는 도면은, 걸어맞춤 부재 (60) 가 최대로 출력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의 우측에 나타내는 도면은, 도 6(a) 의 좌측에 나타내는 도면에 있어서의 C-C 선의 위치에서 출력측 위치 결정부 (851) 를 도중에 절단한 C-C 단면도이다. 또한, 도 6(b) 의 좌측에 나타내는 도면은, 걸어맞춤 부재 (60) 가 최대로 반출력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 의 우측에 나타내는 도면은, 도 6(b) 의 좌측에 나타내는 도면에 있어서의 D-D 선의 위치에서 반출력측 위치 결정부 (852) 를 도중에 절단한 D-D 단면도이다.
도 6(a)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 부재 (80) 가 최대로 출력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걸어맞춤 부재 (80) 의 출력측 위치 결정부 (851) 와 회전축 지지부 (74) 가 맞닿는다. 또한, 도 6(b)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 부재 (80) 가 최대로 반출력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걸어맞춤 부재 (80) 의 반출력측 위치 결정부 (852) 와 스테이터 지지부 (76) 가 맞닿는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모터 장치 (2) 에 의하면, 걸어맞춤 부재 (60) 에 형성된 위치 결정부 (출력측 위치 결정부 (851) 와 반출력측 위치 결정부 (852)) 와 모터 프레임 (70) (회전축 지지부 (74) 및 스테이터 지지부 (76)) 의 맞닿음 위치를 원점 위치로 하여, 모터 본체 (10) 의 회전량을 제어함으로써, 걸어맞춤 부재 (80) 의 이동량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걸어맞춤 부재 (80) 의 원점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등을 모터 장치 (1) 나, 모터 장치 (1) 가 장착되는 기기 등에 탑재할 필요가 없어, 모터 장치 (1) 나 모터 장치 (1) 가 장착되는 기기 등의 비용 절감으로 이어진다.
또한, 도 6(a) 의 C-C 단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출력측 위치 결정부 (851) 의 출력측 맞닿음면 (851a) 의 크기는, 회전축 지지부 (74) 의 맞닿음면 (74a) 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6(b) 의 D-D 단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반출력측 위치 결정부 (852) 의 반출력측 맞닿음면 (852a) 의 크기는, 스테이터 지지부 (76) 의 맞닿음면 (76a) 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걸어맞춤 부재 (60) 가 최대로 출력측 또는 최대로 반출력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걸어맞춤 부재 (80) 의 대향면의 대략 전체면이 모터 프레임 (70) 에 맞닿은 상태가 되지 않으므로, 회전축 지지부 (74) 나 스테이터 지지부 (76) 에 대하여 걸어맞춤 부재 (80) 가 면 접촉하는 것에 의한 걸어맞춤 부재 (80) 의 진퇴 이동 문제가 방지되어, 걸어맞춤 부재 (80) (구동 대상물) 를 진퇴 방향으로 원활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6(a) 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출력측 위치 결정부 (851) 의 출력 방향에 대한 돌출 길이 (L3) 는, 회전축 지지부 (54) 에 있어서의 출력측 베어링 (28a) 의 플랜지부 (282) 의 돌출 길이 (L2) 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이유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모터 장치 (1) 에 있어서의 출력측 위치 결정부 (541) 의 돌출 길이 (L1) 가 L2 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이유와 동일하다. 즉, 걸어맞춤 부재 (80) 가 최대로 출력측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걸어맞춤 부재 (80) 와 출력측 베어링 (28a) 이 면 접촉하는 것에 의한 걸어맞춤 부재 (80) 의 진퇴 이동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실시형태의 주된 효과)
이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모터 장치 (1) 에 의하면, 모터 프레임 (50) 이 구비하는 회전축 지지부 (54) 와 스테이터 지지부 (56) 의 양방에, 걸어맞춤 부재 (60) 의 원점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 (출력측 위치 결정부 (541) 및 반출력측 위치 결정부 (561)) 가 형성되어 있고, 걸어맞춤 부재 (60) 를 전진단이나 후퇴단까지 이동시킨 경우에는, 이 위치 결정부 (541, 561) 를 통하여 회전축 지지부 (54) 및 스테이터 지지부 (56) 와 걸어맞춤 부재 (60) 가 맞닿게 되므로, 걸어맞춤 부재 (60) 의 원점 위치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모터 장치 (2) 에 있어서는, 출력측 위치 결정부 (541) 및 반출력측 위치 결정부 (561) 대신에, 걸어맞춤 부재 (80) 의 대향면 (출력측 대향면 (801) 및 반출력측 대향면 (802)) 에 위치 결정부 (출력측 위치 결정부 (851) 및 반출력측 위치 결정부 (852))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위치 결정부를 통하여 회전축 지지부 (74) 및 스테이터 지지부 (76) 와 걸어맞춤 부재 (80) 가 맞닿게 되므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걸어맞춤 부재 (80) 의 원점 위치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결정부의 돌출된 선단에는, 걸어맞춤 부재 (60 (80)) 의 출 력측 대향면 (601 (801)) 및 반출력측 대향면 (602 (802)) 보다 작은 출력측 맞닿음면 (541a (851a)) 및 반출력측 맞닿음면 (561a (852a)) 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걸어맞춤 부재 (60) 의 원점 위치를 결정할 때에, 회전축 지지부 (54 (74)) 및 스테이터 지지부 (56 (76)) 와 걸어맞춤 부재 (60 (80)) 가 맞닿는 면적이 작아진다. 따라서, 모터의 회전 동력에 의해 걸어맞춤 부재 (60 (80)) 가 회전축 지지부 (54 (74)) 나 스테이터 지지부 (56 (76)) 에 밀려 붙여져도, 걸어맞춤 부재 (60 (80)) 가 회전축 지지부 (54 (74)) 나 스테이터 지지부 (56 (76)) 에 대하여 면 접촉하는 것에 의한 걸어맞춤 부재 (60 (80)) 의 진퇴 이동 문제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걸어맞춤 부재 (60 (80)) 를 원활하게 진퇴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위치 결정부의 돌출 길이는, 회전축 지지부 (54 (74)) 및 스테이터 지지부 (56 (76)) 가, 걸어맞춤 부재 (60 (80)) 의 대향면의 대략 전체면과 맞닿지 않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축 지지부 (54 (74)) 및 스테이터 지지부 (56 (76)) 에 대한 걸어맞춤 부재 (60 (80)) 의 면 접촉에 의한 진퇴 이동 문제의 방지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축 지지부 (54 (74)) 에는, 회전축 (22) 의 출력측 축단 (221) 을 지지하는 출력측 베어링 (28a) 이 고정되어 있는데, 상기 위치 결정부의 돌출 길이는, 회전축 지지부 (54 (74)) 로부터 돌출된 출력측 베어링 (28a) 의 돌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걸어맞춤 부재 (60 (80)) 와 출력측 베어링 (28a) 의 면 접촉에 의한 걸어맞춤 부재 (60 (80)) 의 진퇴 이동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모터 프레임 (50 (70)) 이 금속, 걸어맞춤 부재 (60 (80)) 가 수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양방이 동종의 재질로 형성된 경우와 비교하여, 모터 프레임 (50 (70)) 과 걸어맞춤 부재 (60 (80)) 의 접촉에 의한 저항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출력측 위치 결정부 (541) 는 회전축 지지부 (54) 의 선단을 회전축 (22) 의 축선 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고, 반출력측 위치 결정부 (561) 는 스테이터 지지부 (56) 를 프레스 하프 블랭킹 가공에 의해 소성 변형시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모터 프레임 (50) 을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함과 동시에 위치 결정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위치 결정부를 형성함에 의한 가공 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출력측 위치 결정부 (541) 는 회전축 지지부 (54) 의 선단을 회전축 (22) 의 축선 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것인데, 그 출력측 위치 결정부 (541) 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슬릿부 (542) 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슬릿부 (542) 가 형성되어 있으면, 출력측 위치 결정부 (541) 를 형성하는 회전축 지지부 (54) 의 절곡 영역이 작아지기 때문에, 프레스 등에 의한 절곡 가공이 용이해진다. 또한, 출력측 위치 결정부 (541) 의 가공 정밀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조금도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서 다양한 개변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모터 본체 (10) 는 스테핑 모터인 것을 설명하였지만, 그 밖의 모터, 예를 들어 DC 모터 등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모터 프레임 (50 (70)) 은 금속, 걸어맞춤 부재 (60 (80)) 는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터 프레임 (50 (70)) 이 수지로 형성되고, 걸어맞춤 부재 (60 (80)) 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양 부재가 모두 수지 또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걸어맞춤 부재 (60) 의 원점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로서 출력측, 반출력측 각각에 한 지점씩 (출력측 위치 결정부 (541 (851)) 및 반출력측 위치 결정부 (561 (852))) 형성되어 있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출력측, 반출력측 각각에 2 지점 이상의 위치 결정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서는 2 개의 위치 결정부를 모터 프레임 (50) (회전축 지지부 (54) 및 스테이터 지지부 (56)) 에, 제 2 실시형태에서는 걸어맞춤 부재 (80) (출력측 대향면 (801) 및 반출력측 대향면 (802)) 에 형성한 것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일방의 위치 결정부를 모터 프레임 (50) (회전축 지지부 (54) 또는 스테이터 지지부 (56)) 에 형성하고, 타방의 위치 결정부를 걸어맞춤 부재 (80) (출력측 대향면 (801) 또는 반출력측 대향면 (802)) 에 형성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걸어맞춤 부재 (60) 는, 출력측 맞닿음면 (541a) 이나 반출력측 맞닿음면 (561a) 등의 맞닿음면과 맞닿음으로써 그 원점 위치가 결정되고, 한편,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걸어맞춤 부재 (80) 는, 출력측 맞닿음면 (851a) 이나 반출력측 맞닿음면 (852a) 이 회전축 지지부 (74) 나 스테이터 지지부 (76) 에 맞닿음으로써 그 원점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와 같이 면 접촉에 의해 위치 결정되는 것이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위치 결정부의 선단을 구면으로 형성하고, 점 접촉에 의해 그 원점 위치가 결정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출력측 위치 결정부 (541) 는 출력측 베어링 (28a) 의 플랜지부 (282) 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회전축 (22) 의 회전에 의해 진퇴 움직임하는 걸어맞춤 부재 (60) 는, 걸어맞춤 부재 (60) 에 형성된 걸어맞춤공 (62a) 에 의해 회전축 (22) 에 걸어 맞춰져 있는 (나사에 의해 걸어 맞춰져 있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회전축 (22) 과는 다른 가이드축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축 (22) 의 회전 동력을 받은 걸어맞춤 부재가 가이드축으로 가이드되어 진퇴 이동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모터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a) 는 모터 장치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출력측의 측면도, 도 1(b) 는 모터 장치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측면도 (일부 단면도) 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낸 모터 장치가 구비하는 모터 본체의 확대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낸 모터 장치가 구비하는 걸어맞춤 부재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낸 모터 장치가 구비하는 걸어맞춤 부재가 최대로 출력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도 4(a)), 및 최대로 반출력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도 4(b)) 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모터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5(a) 는 모터 장치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출력측의 측면도, 도 5(b) 는 모터 장치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측면도 (일부 단면도) 이다.
도 6 은 도 5 에 나타낸 모터 장치가 구비하는 걸어맞춤 부재가 최대로 출력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도 6(a)), 및 최대로 반출력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도 6(b)) 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터 장치
2 : 모터 장치
10 : 모터 본체
22 : 회전축
28a : 출력측 베어링
30 : 스테이터부
50 : 모터 프레임
54 : 회전축 지지부
541 : 출력측 위치 결정부
541a : 출력측 맞닿음면
542 : 슬릿부
56 : 스테이터 지지부
561 : 반출력측 위치 결정부
561a : 반출력측 맞닿음면
60 : 걸어맞춤 부재
601 : 출력측 대향면
602 : 반출력측 대향면
70 : 모터 프레임
74 : 회전축 지지부
80 : 걸어맞춤 부재
801 : 출력측 대향면
802 : 반출력측 대향면
851 : 출력측 위치 결정부
851a : 출력측 맞닿음면
852 : 반출력측 위치 결정부
852a : 반출력측 맞닿음면

Claims (9)

  1. 스테이터부 및 그 스테이터부로부터 돌출된 리드 스크루부가 형성된 회전축을 구비한 모터 본체와,
    상기 회전축의 출력측 선단이 지지되는 회전축 지지부와 그 회전축 지지부에 대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테이터부에 고정되는 스테이터 지지부를 구비한 모터 프레임과,
    상기 리드 스크루부에 걸어 맞춰지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축의 축선 방향으로 진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걸어맞춤 부재를 구비한 모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부재는, 상기 회전축 지지부와 상기 스테이터 지지부에 대향하는 2 개의 대향면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 지지부와 상기 스테이터 지지부의 양방, 또는 상기 걸어맞춤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2 개의 대향면의 양방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는, 상기 걸어맞춤 부재가 상기 축선 방향으로 이동할 때의 원점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축선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위치 결정부의 선단에는 상기 대향면보다 작은 맞닿음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 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의 돌출 길이는, 상기 회전축 지지부 및 상기 스테이터 지지부가 상기 대향면의 전체면과 맞닿지 않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지지부에는, 상기 회전축의 축단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 지지부 또는 상기 회전축 지지부와 대향하는 상기 대향면에 형성된 상기 위치 결정부의 돌출 길이는, 상기 회전축 지지부로부터 돌출된 상기 베어링의 돌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프레임 및 상기 걸어맞춤 부재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은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프레임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회전축 지지부와 상기 스테이터 지지부의 선단을 상기 축선 방향으로 절곡하여, 또는 소성 변형시켜 형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지지부에 형성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회전축 지지부의 선단을 상기 축선 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것이고,
    상기 위치 결정부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슬릿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 지지부에 형성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스테이터 지지부의 선단측을 출력 방향을 향하여 소성 변형시켜 형성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본체는, 스테핑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장치.
KR1020090001072A 2008-02-08 2009-01-07 모터 장치 KR200900863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28345 2008-02-08
JP2008028345A JP2009189190A (ja) 2008-02-08 2008-02-08 モータ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6308A true KR20090086308A (ko) 2009-08-12

Family

ID=40954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1072A KR20090086308A (ko) 2008-02-08 2009-01-07 모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90206685A1 (ko)
JP (1) JP2009189190A (ko)
KR (1) KR20090086308A (ko)
CN (1) CN10150508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80592B2 (ja) * 2009-10-23 2014-04-23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カード送出装置およびカード送出装置の制御方法
US9144936B2 (en) * 2010-04-22 2015-09-29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Idle air control valve with plastic housing and retention features
JP2012055031A (ja) * 2010-08-31 2012-03-15 Nidec Sankyo Corp モータ
JP2013211979A (ja) * 2012-03-30 2013-10-10 Nidec Sankyo Corp モータ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099B2 (ja) * 1990-10-02 1995-03-29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を有する光学機器
US6700261B2 (en) * 2000-05-26 2004-03-02 Sankyo Seiki Mfg. Co., Ltd. Motor with improved stator casing
JP3777290B2 (ja) * 2000-06-14 2006-05-24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モータ
TW573129B (en) * 2001-11-16 2004-01-21 Ind Tech Res Inst Adjustable lens set device
JP4738909B2 (ja) * 2005-06-21 2011-08-03 キヤノン株式会社 駆動装置
KR20080034298A (ko) * 2006-10-16 2008-04-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테핑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189190A (ja) 2009-08-20
CN101505086A (zh) 2009-08-12
US20090206685A1 (en) 2009-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61123B2 (ja) クロ−ポ−ル型ステッピングモ−タのステ−タ構造
US20090001839A1 (en) Rotating Electrical Machine
US7205697B2 (en) Claw-pole permanent magnet stepping motor
US7352089B2 (en) Driving apparatus
US7215053B2 (en) Motor
KR101285412B1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구동 장치
US7285885B2 (en) Small motor
US6812611B2 (en) Permanent magnet type electric rotating machine
JP2009124868A (ja) モータ装置
KR20090086308A (ko) 모터 장치
JP2009124867A (ja) モータ
JP2016129473A (ja) モータ
JP2007104849A (ja) 小型ステッピングモータ、それを有する駆動機構、及び、位置決め機構
KR20060119752A (ko) 모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H09219946A (ja) 小型モータ用のロータ
CN103378683A (zh) 马达
JPH09191631A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
US20170288494A1 (en) Spindle motor
CN110268612B (zh) 直线运动执行元件
JP4504734B2 (ja) 巻線機のセンター押さえ装置および方法
JP3379885B2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10291097B2 (en) Brushless motor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150357875A1 (en) Actuator
JP2009201270A (ja) アウターロータタイプモータ
JP2006042527A (ja) モー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