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5770A - 건축외장용 단열판넬 - Google Patents

건축외장용 단열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5770A
KR20090085770A KR1020080011575A KR20080011575A KR20090085770A KR 20090085770 A KR20090085770 A KR 20090085770A KR 1020080011575 A KR1020080011575 A KR 1020080011575A KR 20080011575 A KR20080011575 A KR 20080011575A KR 20090085770 A KR20090085770 A KR 20090085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ront plate
building exterior
plate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택
Original Assignee
박윤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택 filed Critical 박윤택
Priority to KR1020080011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5770A/ko
Publication of KR20090085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7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외장용 단열판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전면부가 개구된 밀폐형 입체구조의 패널몸체와 상기 패널몸체의 측면판에 결합되는 비금속재질의 전면판, 그리고 상기 전면판과 상기 패널몸체의 내부에 발포 충진되는 난연성 우레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외장용 단열판넬을 비금속재질 또는 강화성 투명재질로 형성하여 외부로 보이는 부분이 녹이나 오물로 인해 훼손되지 않도록 해 유지 관리가 용이하며, 투명재질의 내측면에 다양한 착색을 통하여 건물 외벽의 다양한 미적 변화를 구현함과 동시에 별도의 색채보수로 인한 비용이 들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강화성 투명유리를 외부 패널 몸체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보강재의 결합구조를 제안하여 안정성 있는 건축외장용 단열판넬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단열판넬, 강화유리

Description

건축외장용 단열판넬{Insulating Panel for Architecture}
본 발명은 건축외장용 단열판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전면부가 개구된 밀폐형 입체구조의 패널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패널몸체의 측면판에 결합되는 투명재질의 전면판을 형성하며, 상기 전면판과 상기 패널몸체의 내부에 발포충진되는 난연성 우레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축외장용 단열판넬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기 전면판을 강화유리 등의 투명재질의 판넬로 구성하여 유지보수 및 건축공정의 용이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건축공사의 마감재로 사용하는 판넬은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특히 많이 사용되는 샌드위치패널과 같은 구조의 판넬은 글래스울이나 스티로폼 또는 우레탄폼과 같은 충전재의 양면에 한 쌍의 금속판을 부착하여 구성된 것으로, 그 양단부에는 결합홈부와 결합돌부가 형성되어, 결합홈부와 결합돌부를 끼워서 다수개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건축물의 벽체를 마감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기본적으로 종래의 샌드위치패널과 같은 구조의 마감재로 사용되는 판넬은 앞판과 뒷판(110,120)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재의 판과 이를 연결하는 한쌍의 측면판, 그리고 내부에 충진되는 보온재 또는 단열재(130) 등으로 이루 어진 판넬은 건축용에서 건물 벽면에 부착되어 건물의 외관을 형성하거나, 최종 마감재로 사용되는 등 그 활용도가 매우 광범위하다.
그러나, 이처럼 활용도가 광범위한 건축용 판널의 경우 상술한 한 쌍으로 형성되는 금속판은 건물에 부착되는 경우에 외부로 노출되는 금속판 부분에 녹이 슬거나, 미관향상을 위해서 페인트를 칠하는 경우에는 잦은 변색과 오염으로 인해 새로 이를 덧칠을 하거나 교체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이로 인한 비용의 손실도 상당한 문제가 있다. 나아가 금속판이 장기간 사용되는 경우 부식으로 인해 상당한 훼손을 가져와 이를 교체 보수가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외장용 단열판넬을 비금속재질 또는 강화성 투명재질로 형성하여 외부로 보이는 부분이 녹이나 오물로 인해 훼손되지 않도록 해 유지 관리가 용이하며, 투명재질의 내측면에 다양한 착색을 통하여 건물 외벽의 다양한 미적 변화를 구현함과 동시에 별도의 색채보수로 인한 비용이 들지 않도록 하는 건축외장용 단열판넬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금속재질 또는 강화성 투명유리를 외부 패널 몸체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보강재의 결합구조를 제안하여 안정성 있는 건축외장용 단열판넬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면부가 개구된 밀폐형 입체구조의 패널몸체; 상기 패널몸체의 측면판에 결합되는 비금속재질의 전면판;상기 전면판과 상기 패널몸체의 내부에 발포충진되는 난연성 우레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외장용 단열판넬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비금속재질의 전면판을 강화유리 등을 사용하여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기능성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강화유리의 내부표면에 채색이 가능하도록 하여 장기간 사용하여도 변색이 되지 않는 채색의 반영구성을 확보하며, 상기 전면판을 결합함에 있어서도 보강부재를 사용하여 안정성있는 고정력을 가질 수 있도록 보강재의 결합구조 를 포함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외장용 단열판넬을 비금속재질이나 강화성 투명재질의 강화유리로 형성하여 외부로 보이는 부분이 녹이나 오물로 인해 훼손되지 않도록 해 유지 관리가 용이하며, 투명재질의 전면판의 경우에는 내측면에 다양한 착색을 통하여 건물외벽의 다양한 미적 변화를 구현함과 동시에 별도의 색채보수로 인한 비용이 들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강화성 투명유리를 외부 패널 몸체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보강재의 결합구조를 제안하여 안정성 있는 건축외장용 단열판넬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전면부가 개구된 밀폐형 입체구조의 패널몸체;상기 패널몸체의 측면판에 결합되는 비금속재질 또는 투명재질의 전면판;상기 전면판과 상기 패널몸체의 내부에 발포충진되는 난연성 우레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부를 구비한 건축외장용 단열판넬을 제공하여, 투명한 전면부를 통하여 다양한 색채의 변형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고, 건물외벽에 부착시 시인성을 개선하고 오염원의 제거와 반영구적인 유지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면판은 강화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부를 구비한 건축외장용 단열판넬을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강화유리에 내측면에 착색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외장용 단열판넬을 제공하여, 외부의 습기나 환경에도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여 전면판의 항구적인 색채를 보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물의 외관 채색으로 사용되는 비용을 절감하고,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면판과 상기 측면판을 결합하는 결합부위를 바깥쪽에서 보완결합하는 보강결합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외장용 단열판넬을 제공하여 전면판으로 형성되는 강화유리 등의 투명소재를 강인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한 안정적인 품질의 건축외장용 단열판넬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강결합부가 결합되는 측면판 또는 전면판의 부위는 두께방향으로 단차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외장용 단열판넬을 제공하여 결합구조의 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면판과 상기 측면판의 결합은 접착물질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외장용 단열판넬을 제공하여 견고한 결합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면판과 상기 측면판의 결합부분은 상기 패널몸체 방향에서 실런트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외장용 단열판넬을 제공하여 외부의 습기나 공기가 내부로 침투하지 않도록 하는 이중구조의 막음재를 형성하여 건축외장용 단열판넬의 품질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패널몸체의 배면판의 최외부면은 상측으로 전면판 보 다 넓게 형성되는 가장자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장자리 부의 상부 또는 하부면에는 적어도 1 이상의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부위를 구비한 건축외장용 단열판넬을 제공하여 시공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용 단열판넬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에 사용되는 건축외장용 단열판넬에 관한 것으로, 기본적인 구성은 전면부가 개구된 밀폐형 입체구조의 패널몸체(10,20,30), 상기 패널몸체의 측면판에 결합되는 비금속재질 또는 투명재질의 전면판(40), 상기 전면판과 상기 패널몸체의 내부에 발포충진되는 난연성 우레탄으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패널몸체는 건물의 벽면 쪽으로 부착되는 배면판(30)과 여기에 결합되는 사각테두리를 형성하는 측면판(10,20)으로 형성된다. 여기에 상기 측면판에 결합되는 전면판(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판과 측면판, 배면판으로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난연성 우레탄이 발포충진되며, 이 난연성 우레탄을 상기 전면판을 강하게 흡접착하게 되어 안정적인 접착력을 구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측면판과 배면판을 기본적으로 분리하여 결합하는 구조로 형성하는 것을 예시로 하였으마, 패널몸체를 구성하는 상기 세 판은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배면판은 기본적으로 전면판보다 더 넓은 크기로 형성되어 본 판넬의 상부와 하부에 2개의 테두리부를 형성하게 되며, 이 테두리부에는 적어도 1이상, 바람직하게는 상하 테두리부에 각 2개씩 삽입홈(50)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또는 상부는 삽입홈과 하부는 홀(hole), 아니면 상부는 홀(hole)과 하부는 삽입홈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는 건물 외벽에 고정시 고정부재(나사 등)에 끼워 삽입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특히 상기 삽입홈(50)은 하부테두리부에 2개가 형성되는 경우, 상부테두리부에는 홈이 아닌 홀 형식으로 2개의 홀(hole)이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홀은 고정부재를 통해 견고하게 벽고정부분에 고정하고, 삽입홈은 다른 고정부재에 끼우는 형식으로 결합시키기 위함이다.
특히 상기 전면판(40)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강화유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나악 강화플라스틱 등의 소재를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면판의 내측 표면에는 다양한 색깔의 착색을 할 수 있으며, 이후 판넬을 밀봉형성하는 경우에는 외부의 환경의 변화로 인해 이러한 착색이 이루어진 착색층의 오염, 변색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전면판은 투명재질인바, 이러한 착색부가 그대로 외부로 보여지게 됨으로써, 시각적인 효과를 구현함과 동시에 향후 변색으로 인한 재채색 등의 문제를 해결하여 비용의 절감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용단열판넬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판넬의 사용례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벽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측단면도를 도시한 도 3을 참조하면, 벽면쪽으로 향해 있는 배면판과 배면판의 상부로 돌출된 테두리부(30), 그리고 한쌍의 측면판(20)과 상기 측면판의 상부와 결합하는 전면판(40), 상기 측면판과 전면판을 결합하는 보강재(60)가 도시 되어 있다.
상기 측면판은 다양한 소재의 금속판을 활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연코팅 철판 또는 알루미늄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판은 투명재질의 강화성 소재를 활용한 패널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강화유리, 강화플라스틱을 활용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면 강화유리는 5mm를 사용하였다. 측면판과 전면판으로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난연 우레탄을 발포충진하거나 다른 단열재를 충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우레탄의 충진은 단열 및 보온의 효과 이외에도 강화유리를 강하게 흡착하는 효과도 아울러 갖게 되는바, 본 발명에 따른 투명소재의 전면판을 보완적으로 접착하는 효과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강화유리 등의 투명소재를 활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인 건축외장용 단열판넬 등의 금속전면판의 부식이나 녹, 오염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결하는 목적으로는 강화유리 이외에도 타일이나, 대리석 등의 비금속소재의 전면판을 부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측면판과 전면판의 결합 접합부는 접착물질로 접착을 하며, 내측에서는 실란트 코킹(caulking)(70)을 통하여 한번 더 외부와의 차단을 통해 습기나 외부공기의 유통을 차단할 수 있다. 나아가 보강재(60)을 통하여 전면판(40)에 단차진 부분과 측면판의 외부를 강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보강재의 결합구조는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에 도시된 부분에서 벽에 고정되는 테두리부(30)을 살펴보면, 아래부분의 테두리부에는 나사등의 고정부재를 통해 테두리부에 형성된 홀(hole)을 통하여 고정하고, 상부면에는 별도의 고정부재를 벽에 형성하고 삽입홈에 끼우는 형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부 테두리부가 고정된 고정부재에 다시 다른 판넬의 삽입홈이 끼워지고, 그 다른 판넬의 반대편 테두리부는 홀부분을 고정시키는 구조로 교차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이에 대해서는 도 5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판과 전면판의 결합구조를 예시로 든 도면이다.
(a)와 (b)는 측면판(20)과 전면판(40)을 일반적으로 결합하는 구조이며, (c)와 (d)는 측면판 또는 전면판에 단차를 형성하여 결합을 시키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특히 측면판 또는 전면판에 단차를 형성하고, 보강재(60)를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특히 (f)의 경우에는 단차를 두께 방향으로 각각 형성하여 외부면 과 보강재를 결합한 후에도 매끄러운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인 외장용 단열판넬을 건물 외벽에 설치하는 구조를 모식도로 나타낸 것이다.
기본적으로 본 외장용 단열판넬의 테두리에 형성된 삽입홈을 건물의 외벽에 고정하는 나사 등의 고정부재에 삽입시키는 구조로 형성시키는 것으로 교차식으로 고정하는 것이 특징이다. 종래의 패널은 어느 한 패널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에 전체 한 블럭 또는 라인 전체를 뜯어내고 수리를 하는 구조로 형성되어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도 5의 구조로 결합하고, 이러한 구조로 결합을 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패널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 그 패널만을 인출하여 수리를 하거나, 최소한 2개 정도의 패널만을 벽에서 분리하는 것으로 문제 패널을 외부로 분리시킬 수 있어, 유지보수에 용이한 장점이 있다. 즉 최초 단열판넬의 아래쪽 테두리부에 형성된 홀(hole)을 벽면에 고정하고, 위쪽 테두리부에 형성된 삽입홈을 고정부재에 끼우는 형식으로 고정하고, 다음 단열판넬의 경우 위쪽 테두리부의 삽입홈을 상술한 최초 단열판넬의 삽입홈이 끼워진 고정부재에 재차 고정하는 형식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순차로 고정해 가며 건물의 외장을 최종마감처리 할 수 있어 간이한 시공방식으로 마무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 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건축외장용 단열판넬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용 단열판넬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적용예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판과 전면기판을 결합하는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외장용 단열판넬의 시공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Claims (9)

  1. 전면부가 개구된 밀폐형 입체구조의 패널몸체;
    상기 패널몸체의 측면판에 결합되는 비금속 재질의 전면판;
    상기 전면판과 상기 패널몸체의 내부에 발포충진되는 난연성 우레탄;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외장용 단열판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은 강화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외장용 단열판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강화유리에 내측면에 착색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외장용 단열판넬.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과 상기 측면판을 결합하는 결합부위를 바깥쪽에서 보완결합하는 보강결합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외장용 단열판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강결합부가 결합되는 측면판 또는 전면판의 부위는 두께방향으로 단차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외장용 단열판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과 상기 측면판의 결합은 접착물질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외장용 단열판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과 상기 측면판의 결합부분은 상기 패널몸체 방향에서 실런트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외장용 단열판넬.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패널몸체의 배면판의 최외부면은 상측으로 전면판 보다 넓게 형성되는 가장자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장자리 부의 상부 또는 하부면에는 적어도 1 이상 의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외장용 단열판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은 타일 또는 대리석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외장용 단열판넬.
KR1020080011575A 2008-02-05 2008-02-05 건축외장용 단열판넬 KR200900857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575A KR20090085770A (ko) 2008-02-05 2008-02-05 건축외장용 단열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575A KR20090085770A (ko) 2008-02-05 2008-02-05 건축외장용 단열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770A true KR20090085770A (ko) 2009-08-10

Family

ID=41205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575A KR20090085770A (ko) 2008-02-05 2008-02-05 건축외장용 단열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577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669B1 (ko) * 2010-12-14 2013-12-05 주식회사 공도 건축물의 벽면에 내/외장재로 설치되는 판넬 구조체
KR101589908B1 (ko) * 2015-05-19 2016-01-29 주식회사 스마일테크 건축용 충진재를 이용한 광폭형 외장단열 패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986791B1 (ko) 2018-07-30 2019-06-07 주식회사 글로벌하우징 건축외장용 단열판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669B1 (ko) * 2010-12-14 2013-12-05 주식회사 공도 건축물의 벽면에 내/외장재로 설치되는 판넬 구조체
KR101589908B1 (ko) * 2015-05-19 2016-01-29 주식회사 스마일테크 건축용 충진재를 이용한 광폭형 외장단열 패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986791B1 (ko) 2018-07-30 2019-06-07 주식회사 글로벌하우징 건축외장용 단열판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347544U (zh) 一种组合建筑结构
RU2478174C2 (ru) Дверь бытового прибора и бытовой прибор с такой дверью
JP2010031644A (ja) 窓ガラス取付け要素
EP3669041B1 (en) Doors comprising glazed uni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221565B2 (en) Highly insulated floor-to-ceiling window
KR101161726B1 (ko) 장식판을 가진 단열패널
KR101281884B1 (ko) 장식판 단열패널을 이용한 커튼월시스템
KR20090085770A (ko) 건축외장용 단열판넬
KR200355662Y1 (ko) 복합창호
CN212898174U (zh) 一种配套门扇用多挡位装饰板覆盖面板组合安装结构
KR101652751B1 (ko) 도어 기구물의 접착이 용이한 복층유리 도어
KR101793317B1 (ko) 커튼월 백 패널 구조물
KR100958051B1 (ko) 건축물의 내,외장재용 유리패널
KR20170004414A (ko) 단열성이 향상된 복합형 마감판넬
TWM584814U (zh) 建築用牆體
CN214740926U (zh) 一种防火门套、垭口
CN211257440U (zh) 免装修铝蜂窝墙板
CN211499334U (zh) 一种新型无横框玻璃面板幕墙
CN212478994U (zh) 一种防火门
KR102610417B1 (ko) 커튼 월용 석재 판넬의 투 사이드 타입(2-side type) 결합구조
KR102434847B1 (ko) 창짝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KR101182594B1 (ko) 블라인드 내장형 복합창호
KR20120049438A (ko) 양면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간판프레임 시스템
JP2018184797A (ja) 戸装置
KR100757342B1 (ko) 창호프레임용 마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