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847B1 - 창짝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 Google Patents

창짝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847B1
KR102434847B1 KR1020200046917A KR20200046917A KR102434847B1 KR 102434847 B1 KR102434847 B1 KR 102434847B1 KR 1020200046917 A KR1020200046917 A KR 1020200046917A KR 20200046917 A KR20200046917 A KR 20200046917A KR 102434847 B1 KR102434847 B1 KR 102434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plate
base
window
front surfac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8804A (ko
Inventor
장대호
전혁
김순곤
이승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200046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847B1/ko
Publication of KR20210128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0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E06B3/301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consisting of prefabricated profiled members or glass
    • E06B3/302Covering wooden frames with metal or plastic profiled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 E06B3/9681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by press fit or adhe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창호에 여닫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창짝은, 직사각형의 전면을 구비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장식판; 및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장식판의 상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장식판을 서로에 대해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창짝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SASH AND WINDOW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창짝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에 관한 것이다.
창호는 창짝과 창짝을 둘러싸고 고정시키는 창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창호에는 장식을 위해 나무결 무늬가 새겨질 수 있고, 금속재 표면 질감의 라미네이션 필름이 부착될 수도 있고, 페인트가 직접 도포될 수도 있다. 이러한 조치를 통해 마감이 이루어져 인테리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방법들을 이용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향상시킬 경우, 창호의 고급화에 한계가 있으며, 사용 과정에서 필름이 찢어지거나 도장에 흠이 생겨 일부분의 색이 바래거나 부식이 일어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심미성과 작업성이 향상된 창짝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에 여닫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창짝은, 직사각형의 전면을 구비하고, 상기 전면을 포함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후측에 배치되는 후면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장식판; 및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장식판의 상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장식판을 서로에 대해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감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부의 높이는 상기 전면부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전면부의 후측에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마감부는, 상기 장식판의 전면의 일부로부터 상기 전면부의 후측까지 연장되어, 상기 장식판과 상기 전면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는, 창틀; 및 상기 창틀에 여닫을 수 있도록 결합되는 창짝을 포함하되, 상기 창짝은, 직사각형의 전면을 구비하고, 상기 전면을 포함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후측에 배치되는 후면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장식판; 및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장식판의 상하단 및 양측단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장식판을 서로에 대해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부의 높이는 상기 전면부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전면부의 후측에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장식판의 전면의 일부로부터 상기 전면부의 후측까지 연장되어, 상기 장식판과 상기 전면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창짝 및 창호의 심미성을 향상시키면서, 조립만으로도 창짝 구조의 고정이 이루어져 작업성이 향상될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짝과 이를 포함하는 창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짝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창짝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짝의 전면을 바라보도록 도시된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짝의 전면을 바라보도록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B-B'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짝의 마감부와 양면접착층을 하측으로부터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양면접착층을 결합시킨 마감부를 하측으로부터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짝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짝(1)과 이를 포함하는 창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는, 창짝(1)과 창틀(3)을 포함하고, 고정창(2)을 포함할 수 있다.
창틀(3)은 창짝(1)이 고정될 수 있는 틀로, 전후로 개방된 개구를 둘러싸도록 상하 및 좌우로 연장된 부분들을 포함하여 개구를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개구에 창짝(1)과 고정창(2)이 삽입되고 고정될 수 있다.
고정창(2)은 창틀(3)에 결합되는 다른 창으로, 투명 유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창(2)은 창틀(3)에 고정되어, 창짝(1)과 같이 창틀(3)에 대해 상대적인 움직임을 가지지 못할 수 있다. 고정창(2)은 도면에서 창틀(3) 내에 배치되되 창짝(1)의 우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위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창짝(1)은 창틀(3)에 여닫을 수 있도록 결합된다. 창짝(1)은 창틀(3)의 내측면에 결합되되,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창틀(3)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후, 좌우 및 상하 방향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지칭된 것으로, 서로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향은 창호가 배열된 방향에 대해 상대적으로 결정되는 것이며, 상하방향이라 하여 반드시 연직방향을 의미하지는 않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짝(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창짝(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짝(1)의 전면을 바라보도록 도시된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짝(1)의 전면을 바라보도록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B-B'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짝(1)은, 베이스부(10), 장식판(20) 및 마감부(31, 32)를 포함하고, 손잡이(50)와 몰딩부(41, 42)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50)는 베이스부(10)와 장식판(20)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되어 형성된 손잡이 결합공(17, 27)에 전측으로부터 후방으로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부(10)
베이스부(10)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전면(115)을 구비하는 구성요소로, 전반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10)는 불투명한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10)는 전면(115)을 포함하는 전면부(11)와, 전면부(11)의 후측에 배치되는 후면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부(11)와 후면부(1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개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후면부(12)는 베이스부(10)의 후면(126)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전면부(11)와 후면부(12)가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면부(11)는 상하단(111, 112), 양측단(113, 114)인 좌우측단 및 전후면(115, 116)을 가질 수 있고, 후면부(12) 역시 상하단(121, 122), 양측단(123, 124)인 좌우측단 및 전후면(126)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할 마감부(31, 32)에 대해서 설명할 때에는 전면부(11)와 후면부(12)의 상단(111, 121)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몰딩부(41, 42)에 대해서 설명할 때에는 전면부(11)의 좌측단(113)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베이스부(10)의 전면(115)의 면적보다 베이스부(10)의 후면(126)의 면적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부(12)가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가지는 높이가 전면부(11)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고, 후면부(12)가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가지는 폭이 전면부(11)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전면부(11)와 후면부(12)의 이러한 관계에 의해 전면부(11)의 후측에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전면부(11)의 후면(116)은, 전면부(11)와 전부 접촉하고 있어 밖으로 드러나지 않는 후면부(12)의 전면과 달리 후방을 바라보고 외부에 노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장식판(20)
장식판(20)은 심미감을 주기 위해 배치되는 구성요소로, 베이스부(10)의 전면(115)에 배치된다. 장식판(20)은 색상을 가지거나 무늬를 가져, 심미감을 불러일으키는 장식이 될 수 있다. 장식판(20) 역시 판형으로 형성되되, 베이스부(10)의 전면(115)과 동일한 형상 및 면적을 가지는 전후면(25)을 가질 수 있다.
장식판(20)은 심미감을 불러일으키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유리판, 금속판, 목재판, 석재판, 플라스틱판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이종의 소재 중 적어도 하나가 적층되어 장식판을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리판은 컬러 유리, 불투명 유리 또는 투명 유리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부재는 베이스부(10) 및 장식판(20)의 상하단(21, 22, 111, 112, 121, 122) 및 양측단(23, 24, 113, 114, 123, 124)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 베이스부(10)와 장식판(20)을 서로에 대해 고정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고정부재를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실리콘 등의 접착제의 작용 없이도 창짝(1)을 형성하는 베이스부(10)와 창짝(1)에 심미감을 주기 위한 장식판(20)이 견고하고 간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재는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베이스부(10)와 장식판(20)의 상하단(21, 22, 111, 112, 121, 122) 및 양측단(23, 24, 113, 114, 123, 124)에서 전부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4개의 고정부재를 가지나, 그 개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고정부재는 마감부(31, 32)를 포함하고, 몰딩부(41, 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2개의 마감부(31, 32)와 2개의 몰딩부(41, 42)가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개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장식판(20)은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구성되고, 전방 또는 후방을 바라보도록 배치되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란 정적인 이미지 뿐만 아니라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이미지는, 실내 공기질과 관련된 수치 및 실내 온도와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베이스부(10)의 전후면의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 있으나, 그보다 작은 면적을 가질 수도 있다. 장식판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여, 이러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해 장식판의 전면 또는 후면을 구성할 수도 있다.
마감부(31, 32)
마감부(31, 32)는 베이스부(10) 및 장식판(20)의 상하단(21, 22, 111, 112, 121, 122)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 베이스부(10)와 장식판(20)을 서로에 대해 고정한다. 마감부(31, 32)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좌우방향을 따라 가지는 폭이 베이스부(10)의 전면부(11)와 장식판(20)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마감부(31, 32)는 적어도 하나 배치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베이스부(10)의 상하측에 2개의 마감부(31, 32)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측에 위치한 상측 마감부(31)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이러한 설명은 상하방향을 반대로 하여 하측 마감부(32)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측 마감부(31)는, 장식판(20)의 전면(25)의 일부로부터 전면부(11)의 후면(126)을 포함하는 후측까지 연장되어, 장식판(20)과 전면부(11)가 삽입되는 삽입홈(31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삽입홈(311)을 정의하기 위해, 상측 마감부(3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마감부 조각(312), 제1 마감부 조각(312)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 마감부 조각(313) 및 제2 마감부 조각(313)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3 마감부 조각(3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감부 조각(312) 내지 제3 마감부 조각(314)이 A-A' 단면과 B-B' 단면에서 형성하는 'U'자 형의 내측면에 의해 삽입홈(311)이 정의될 수 있다.
상측 마감부(31)의 삽입홈(311)에 장식판(20)과 전면부(11)가 상방으로 삽입된 상황에서, 제1 마감부 조각(312)은 장식판(20)의 전면에 접촉하고, 제2 마감부 조각(313)은 장식판(20)과 전면부(11)의 상단에 안착되고, 제3 마감부 조각(314)은 전면부(11)의 후면에 접촉할 수 있다. 제1 마감부 조각(312)과 제3 마감부 조각(314)이 내측으로 장식판(20)과 전면부(11)를 가압하여, 장식판(20)과 전면부(11)가 접촉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짝(1)의 마감부(31, 32)와 양면접착층(316)을 하측으로부터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양면접착층(316)을 결합시킨 마감부(31, 32)를 하측으로부터 바라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더 참조하여 양면접착층(316)에 대해 설명한다. 양면접착층(316)은 마감부(31, 32), 베이스부(10) 및 장식판(20)에 접촉하여 각각을 서로에 대해 고정시키는, 접착력을 가지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양면접착층(316)은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스트립 형태의 양면테이프 일 수 있으나, 그 종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양면접착층(316)은 삽입홈(311)에 삽입되어, 제2 마감부 조각(313)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이 가능하도록, 양면접착층(316)에 이형지(미도시)가 부착되었다가, 접착을 위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양면접착층(316)이 상측 마감부(31)에 접촉하면서, 베이스부(10)의 전면부(11)의 상단과 장식판(20)의 상단(111, 21)에 접촉하여 접착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제4 마감부 조각(315)은 제3 마감부 조각(314)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4 마감부 조각(315)은 베이스부(10)의 후면부(12)의 상단(121)을 상측에서 덮을 수 있다. 제4 마감부 조각(315)은 전후방향을 따라 후면부(12)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마감부(31, 32)에는 체결구(60)가 통과하며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는 마감 체결공(317)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구(60)는 마감 체결공(317)을 통과함과 동시에 베이스부(10)의 상단에서 마감 체결공(317)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베이스 체결공에 삽입되어, 마감부(31, 32)를 베이스부(10)에 체결할 수 있다.
커버 고정돌기(318)가 마감부(31, 32)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 고정돌기(318)가 제4 마감부 조각(315)으로부터 베이스부(10)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버 고정돌기(318)가 후술할 장식커버(70)의 고정홀(71)에 삽입되어 장식커버(70)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몰딩부(41, 42)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짝(1)의 종단면도이다.
몰딩부(41, 42)는 베이스부(10)와 장식판(20)을 서로에 대해 고정하는 다른 구성요소이다. 몰딩부(41, 42)는 적어도 하나 배치되고, 베이스부(10) 및 장식판(20)의 양측단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 베이스부(10)와 장식판(20)을 서로에 대해 더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베이스부(10)의 전면부(11)의 양측단과 장식판(20)의 양측단에 2개의 몰딩부(41, 42)가 하나씩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베이스부(10)와 장식판(20)의 좌측에 위치한 좌측 몰딩부(41)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이러한 설명은 좌우방향을 반대로 하여 우측 몰딩부(42)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몰딩부(41, 42)는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몰딩부(41, 42)는 베이스부(10)의 전면부(11)와 장식판(2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좌측 몰딩부(41)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몰딩 몸체(411)를 포함할 수 있다. 몰딩 몸체(411)가 전후방향을 따라 가지는 두께는, 장식판(20)의 두께와 전면부(11)의 두께의 합과 동일할 수 있다. 몰딩 몸체(411)가 전면부(11)의 좌측단(113)과 장식판(20)의 좌측단(23)을 전후방향을 따라 전체에 걸쳐 덮을 수 있다.
좌측 몰딩부(41)는 몰딩 몸체(411)로부터 베이스부(10)를 향해 돌출되어 전면부(11)의 좌측단(113)이 함몰되어 형성된 요홈(1131)에 끼움결합되는 몰딩 돌기(412)를 포함할 수 있다. 몰딩 돌기(412)는 그 말단이 전후방향 또는 상하방향을 따라 가지는 두께 또는 높이가, 말단이 아닌 부분이 가지는 두께 또는 높이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요홈(1131)에 스냅핏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좌측 몰딩부(41)는 몰딩 몸체(411)의 후단으로부터 베이스부(10)를 향해 돌출된 후측 걸림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후측 걸림부(413)는 전면부(11)의 후면(116)의 가장자리에 함몰되어 형성된 후측 홈(1132)에 걸릴 수 있다.
좌측 몰딩부(41)는 몰딩 몸체(411)의 전단으로부터 장식판(20)을 향해 돌출된 전측 걸림부(414)를 포함할 수 있다. 전측 걸림부(414)는 장식판(20)의 전면(25)의 가장자리에 걸릴 수 있다.
좌측 몰딩부(41)의 몰딩 돌기(412)가 요홈(1131)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전측 걸림부(414)와 후측 걸림부(413)가 장식판(20)과 전면부(11)를 각각 전측 및 후측에서 내측으로 가압하는 방식으로 잡아서, 장식판(20)과 전면부(11)가 서로 잘 고정되어 있을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짝(1)은 장식커버(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식커버(70)는 다양한 색상으로 도장된 알루미늄 커버일 수 있다. 장식커버(70)는 베이스부(10)의 후면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외측홈(128)에 삽입 및 끼움되어 베이스부(10)에 고정될 수 있고, 상하방향을 따라 개방된 구멍인 고정홀(71)을 가져 이에 삽입되는 커버 고정돌기(318)에 의해 마감부(31, 32)에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부(10)는 후방을 향해 개방되고 함몰되어 형성되는 1차 고정구(127)와 2차 고정구(117)를 가질 수 있다. 1차 고정구(127)는 후면부(12)에 형성될 수 있고, 2차 고정구(117)는 전면부(11)에 형성될 수 있다. 1차 고정구(127)에는 1차 가스켓(81)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고, 2차 고정구(117)에는 2차 가스켓(82)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각 가스켓(81, 82)이 탄성을 가지고, 창짝(1)이 창틀(3) 내에서 닫힐 때 창틀(3)의 내측면에 접촉하면서, 창호의 단열성, 기밀성 및 방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창짝
2 : 고정창
3 : 창틀
10 : 베이스부
11 : 전면부
12 : 후면부
17, 27 : 손잡이 결합공
20 : 장식판
21 : 장식판의 상단
22 : 장식판의 하단
23 : 장식판의 좌측단
24 : 장식판의 우측단
25 : 장식판의 전면
31 : 상측 마감부
32 : 하측 마감부
41 : 좌측 몰딩부
42 : 우측 몰딩부
50 : 손잡이
60 : 체결구
70 : 장식커버
71 : 고정홀
81 : 1차 가스켓
82 : 2차 가스켓
111 : 전면부의 상단
112 : 전면부의 하단
113 : 전면부의 좌측단
114 : 전면부의 우측단
115 : 베이스부의 전면
116 : 전면부의 후면
117 : 2차 고정구
121 : 후면부의 상단
122 : 후면부의 하단
123 : 후면부의 좌측단
124 : 후면부의 우측단
126 : 베이스부의 후면
127 : 1차 고정구
128 : 외측홈
311 : 삽입홈
312 : 제1 마감부 조각
313 : 제2 마감부 조각
314 : 제3 마감부 조각
315 : 제4 마감부 조각
316 : 양면접착층
317 : 마감 체결공
318 : 커버 고정돌기
411 : 몰딩 몸체
412 : 몰딩 돌기
413 : 후측 걸림부
414 : 전측 걸림부
1131 : 요홈
1132 : 후측 홈

Claims (12)

  1. 창호에 여닫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창짝에 있어서,
    직사각형의 전면을 구비하고, 상기 전면을 포함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후측에 배치되는 후면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장식판; 및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장식판의 상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장식판을 서로에 대해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감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부의 높이는 상기 전면부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전면부의 후측에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마감부는, 상기 장식판의 전면의 일부로부터 상기 전면부의 후측까지 연장되어, 상기 장식판과 상기 전면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창짝.
  2. 삭제
  3. 삭제
  4. 창호에 여닫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창짝에 있어서,
    직사각형의 전면을 구비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장식판;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장식판의 상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장식판을 서로에 대해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감부; 및
    상기 마감부,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장식판에 접촉하여 고정시키는 양면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창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장식판의 양측단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장식판을 서로에 대해 더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몰딩부를 더 포함하는, 창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부는, 상기 베이스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된 요홈에 끼움결합되는 몰딩 돌기를 포함하는, 창짝.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판은,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과 동일한 형상 및 면적을 가지는 전후면을 구비하는 판형으로 형성되는, 창짝.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불투명한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창짝.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판은, 유리판, 금속판, 목재판, 석재판 및 플라스틱판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창짝.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후면부에 결합되는 장식커버를 더 포함하는, 창짝.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판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창짝.
  12. 창틀; 및
    상기 창틀에 여닫을 수 있도록 결합되는 창짝을 포함하되,
    상기 창짝은,
    직사각형의 전면을 구비하고, 상기 전면을 포함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후측에 배치되는 후면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장식판; 및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장식판의 상하단 및 양측단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장식판을 서로에 대해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부의 높이는 상기 전면부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전면부의 후측에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장식판의 전면의 일부로부터 상기 전면부의 후측까지 연장되어, 상기 장식판과 상기 전면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창호.
KR1020200046917A 2020-04-17 2020-04-17 창짝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KR102434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917A KR102434847B1 (ko) 2020-04-17 2020-04-17 창짝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917A KR102434847B1 (ko) 2020-04-17 2020-04-17 창짝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804A KR20210128804A (ko) 2021-10-27
KR102434847B1 true KR102434847B1 (ko) 2022-08-22

Family

ID=78287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917A KR102434847B1 (ko) 2020-04-17 2020-04-17 창짝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84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697B1 (ko) * 2017-01-06 2018-05-08 추영애 건물 외벽용 조립식 패널의 마감재 설치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7357B1 (ko) * 1996-02-06 1999-04-01 신종우 도어 및 그 제조방법
KR101178732B1 (ko) * 2010-08-05 2012-08-31 (주)리베첸 주방가구용 도어
KR20180134032A (ko) * 2017-06-08 2018-12-18 김원호 조명장식이 설치된 창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697B1 (ko) * 2017-01-06 2018-05-08 추영애 건물 외벽용 조립식 패널의 마감재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804A (ko) 202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0832A (en) Weatherstrip for vehicle closure
JP6051070B2 (ja) 車両の窓部材固定構造
KR102434847B1 (ko) 창짝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US20170267086A1 (en) Automobile back-door structure
CN215793103U (zh) 一种可替换的车门外板及其车门
JP2572454B2 (ja)
JP2005041473A (ja) 車両のスライド窓
KR200193633Y1 (ko) 방화문
JP6185950B2 (ja) 透光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建材
JP6352582B2 (ja) ドアサッシュ
JP4076908B2 (ja) トイレブースの扉装置
JP2020094338A (ja) 化粧キャップ及び建具
KR20090085770A (ko) 건축외장용 단열판넬
JP2002201869A (ja) 扉及び扉の製造方法
KR102249341B1 (ko) 3연동 도어용 문짝 및 문틀의 결합구조
KR102196056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장식 프레임
JP2006161349A (ja)
JP4719098B2 (ja) 引手及びそれを用いた引戸
JP3129105U (ja) 額縁等化粧材
JP5308740B2 (ja) 枠材の取付構造
JP4557774B2 (ja) グラスランの型成形部
EP0602755A1 (en) Double walled window
JP2000027537A (ja) 造作材の表面被覆構造、及び造作材の表面被覆方法
EP1146194A2 (en) Profiled door, window or the like
JP4974178B2 (ja) 浴室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