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2751B1 - 도어 기구물의 접착이 용이한 복층유리 도어 - Google Patents

도어 기구물의 접착이 용이한 복층유리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2751B1
KR101652751B1 KR1020150117760A KR20150117760A KR101652751B1 KR 101652751 B1 KR101652751 B1 KR 101652751B1 KR 1020150117760 A KR1020150117760 A KR 1020150117760A KR 20150117760 A KR20150117760 A KR 20150117760A KR 101652751 B1 KR101652751 B1 KR 101652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member
door
adhesive
spacer block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옥
Original Assignee
김윤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옥 filed Critical 김윤옥
Priority to KR1020150117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27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12Evacuated glazi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4Discrete spacing elements, e.g. for evacuated glazi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7Connecto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복층유리 도어가 개시된다. 개시된 복층유리 도어는 적어도 두 장 이상의 판유리들과, 판유리들 사이의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되며, 판유리들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그 공간에 충진된 가스를 실링하는 마감재와, 판유리들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 블록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 기구물의 접착이 용이한 복층유리 도어 {MULTI LAYERED GLASS DOOR HAVING AREA TO ADHERE DOOR PARTI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층유리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두 장 이상의 판유리 사이에 가스가 충진되며, 손잡이와 같은 도어 기구물이 판유리에 접착 식으로 장착될 수 있는 복층유리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 기술의 발달에 따라 건축물에서 유리 재질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증대되고 있으며, 소형 창문에서부터 대형의 출입구 도어에 이르기까지 그 관심과 역할이 점차 커지고 있다.
특히, 강화유리는 판유리를 열처리하여 충격이나 급격한 온도 변화에 견딜 수 있도록 단단하게 만든 유리로서, 미관뿐만 아니라 강도와 단열성 면에서도 기존의 금속이나 목재와 같은 다른 재질에 비해 결코 뒤지지 않아 그 선호도가 크게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강화유리 도어는 외관이 깨끗하고 미려하며, 유리가 갖는 투명성에 따라 밀폐된 공간의 답답함을 없앨 수 있고, 실내·외에서 반대편을 관찰할 수 있는 등의 여러 장점을 제공할 수 있어, 보통은 출입하는 사람이 많거나 내·외부 간의 단절감을 해소시킬 필요성이 있는 상점, 빌딩, 공공 건물 등의 출입구에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강화유리 도어는 유리판이 힌지 방식으로 회동되어 여닫이 식으로 개폐되며, 유리판이 하나인 단식과 좌우 두 개로 한 쌍을 이루는 복식의 두 종류가 있다.
강화유리 도어는 유리판이 출입구의 도어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며 그 힌지를 중심으로 유리판이 회전하며 출입구를 개폐하고, 강화유리 도어의 양면에는 도어 기구물로서 서로 대칭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손잡이가 장착되어 있다.
최근에 들어서는 최소 두 장의 강화 유리판과 간격재를 이용하여 이들 강화 유리판 사이에 공기층을 갖도록 하는 복층유리 도어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복층유리 도어는 단일 유리 도어와 비교할 때 외부로 빠져나가는 열 에너지의 양을 현저하게 줄여 단열 및 소음차단 특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요즘에는 복층유리 도어의 단열효과와 차음효과를 높이기 위해 강화 유리판 사이의 공간으로 아르곤, 헬륨, 크립톤 또는 SF6 등의 가스를 주입하여 공기보다는 탁월한 방음, 방풍, 방열효과를 나타내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복층유리 도어의 양면(실내 및 실외 면)에는 단일 유리 도어와 마찬가지로 도어 기구물인 손잡이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손잡이는 연결장치를 통해 복층유리 도어의 양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복층유리의 유리판 사이에 충진되는 주입 가스가 도어 양면의 설치 구멍을 통해 누기되고, 손잡이를 유리판에 견고하게 설치하지 못하고, 손잡이의 설치 작업이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으로 인해 손잡이를 복층유리 도어에 장착하는 것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84747호에서와 같은 복층유리 도어를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두 장의 유리판 내외 측에 각각 설치되며 암수 식으로 체결되는 등의 여러 부품들을 장착하여 도어 기구물인 손잡이를 설치하기 위한 홀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도어 기구물 설치용 홀을 형성하기 위한 부품들의 설치 작업 및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고, 다수 개의 부품들을 필요로 함에 따라 제작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어 기구물을 설치하기 위한 부품들을 절감할 수 있으며, 판유리에 홀을 형성하지 않고서도 판유리에 도어 기구물을 접착 식으로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 복층유리 도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도어는, ⅰ)적어도 두 장 이상의 판유리들과, ⅱ)상기 판유리들 사이의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판유리들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그 공간에 충진된 가스를 실링하는 마감재와, ⅲ)상기 판유리들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 블록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층유리 도어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블록유닛은 상기 판유리들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블록과, 상기 스페이서 블록의 양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판유리에 접착되는 제1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층유리 도어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블록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층유리 도어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블록은 원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층유리 도어는, 상기 판유리에 도어 손잡이를 포함하는 도어 기구물을 장착하기 위해 상기 스페이서 블록유닛에 대응하여 상기 판유리들의 최 외측 면에 구성되는 마운팅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층유리 도어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유닛은 상기 도어 기구물과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판유리들의 최 외측 면을 지지하며, 상기 스페이서 블록유닛을 커버링 하는 장착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의 일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판유리들의 최 외측 면에 접착되는 제2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층유리 도어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원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층유리 도어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의 다른 일 측면 중앙부에는 상기 도어 기구물을 결합하기 위한 체결 돌기부가 일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층유리 도어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유닛은 상기 장착부재의 일 측면과 상기 판유리들의 최 외측 면 사이에 충진되는 제3 접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층유리 도어에 있어서, 상기 체결 돌기부에는 상기 장착부재의 일 측면과 상기 판유리의 최 외측 면 사이로 상기 제3 접착제를 충진하기 위한 충진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층유리 도어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의 일 측면에는 상기 충진홀과 연결되며, 상기 제3 접착제가 충진되게 설정된 영역의 충진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층유리 도어에 있어서, 상기 충진홈은 상기 장착부재의 일 측면 중앙부에 원형의 요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층유리 도어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의 충진홈을 제외한 가장자리 면에는 상기 제2 접착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층유리 도어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의 충진홈을 제외한 가장자리 면에는 상기 충진홈의 가장자리 단과 장착부재의 가장자리 단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배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층유리 도어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의 일 측면에는 상기 충진홀과 장착부재의 가장자리 단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배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층유리 도어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홈은 상기 가장자리 면 및 충진홈의 요홈 면에 형성되며, 상기 충진홀과 장착부재의 가장자리 단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층유리 도어에 있어서, 상기 체결 돌기부는 상기 도어 기구물에 끼워지며,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도어 기구물과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층유리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 기구물은 상기 체결 돌기부가 끼워지는 결합홈과,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도록 상기 결합홈과 연결되는 체결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층유리 도어에 있어서, 상기 체결 돌기부의 외 측면에는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단을 지지하는 지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층유리 도어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는 상기 스페이서 블록의 양 측면 및 판유리를 접착하는 부틸 접착 테이프 혹은 양면 접착 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층유리 도어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제는 상기 장착부재의 일 측면 및 판유리를 접착하는 부틸 접착 테이프 혹은 양면 접착 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층유리 도어에 있어서, 상기 제3 접착제는 실리콘, 우레탄 및 아크릴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액상 접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들은 판유리에 홀을 형성하지 않고서도 도어 기구물을 판유리에 접착 식으로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도어 기구물을 설치하기 위한 부품들을 절감할 수 있고, 도어 기구물의 설치 작업 및 복층유리 도어의 전체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어 기구물이 접착될 수 있는 가장 바깥 유리의 접착부분과 그에 대응하는 다른 가장 바깥 유리 부분 사이의 공간이 스페이서 블록유닛으로 채워져 있어, 복층유리도어의 가장 바깥 유리의 접착부분에 도어 기구물인 손잡이를 접착하여 설치할 경우 손잡이에 충격을 가하여도 유리가 휘어지지 않아 도어 기구물에 가해지는 충격에 강한 효과가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도어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도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도어에 적용되는 스페이서 블록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도어에 적용되는 제1 접착제의 다양한 형상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도어에 적용되는 장착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도어에 적용되는 장착부재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도어에 적용되는 장착부재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기술적인 사상 또는 특징 등을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참고용이므로, 실제 제품 사양과 다를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도어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도어(100)는 상점, 빌딩, 공공 건물 등의 출입구에 설치되며, 실내외를 개폐하는 출입용 도어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복층유리 도어(100)는 출입구의 도어 프레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힌지 결합되며, 그 힌지를 중심으로 실내외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층유리 도어(100)는 최소 두 장의 유리판으로 이루어지며, 외부로 빠져나가는 열 에너지의 양을 현저하게 줄임으로써 단열 및 소음차단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층유리 도어(100)로서 두 장의 유리판으로 구성되며, 도어 기구물인 손잡이를 통해 실내외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출입구용 도어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되며, 두 장 이상의 복층으로 된 유리 구조체를 기구물을 통해 양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종류 및 용도의 유리 구조체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도어(100)는 도어 기구물을 설치하기 위한 부품들을 절감할 수 있으며, 유리판에 홀을 형성하지 않고서도 도어 기구물을 유리판에 접착 식으로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도어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도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층유리 도어(100)는 기본적으로, 판유리들(11, 12), 마감재(30), 스페이서 블록유닛(50) 그리고 마운팅유닛(70)을 포함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판유리들(11, 12)은 적어도 두 장 이상의 강화유리판, 예를 들면 열처리를 통해 충격이나 급격한 온도 변화에 견딜 수 있는 한 쌍의 강화 유리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판유리들이 두 장으로 구비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며, 편의 상 실내 측에 위치하는 판유리를 제1 판유리(11)라 하고, 실외 측에 위치하는 판유리를 제2 판유리(12) 라고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마감재(30)는 제1 및 제2 판유리(11, 12) 사이에 개재되는 간극재로서, 이들 판유리(11, 12) 사이의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되며, 제1 및 제2 판유리(11, 12) 사이에 소정의 복층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마감재(30)는 복층유리 도어의 두께를 가볍게 하고 구조적인 안전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마감재(30)를 통해 가장자리 부분이 마감된 제1 및 제2 판유리(11, 12) 사이의 복층 공간에는 도어의 단열효과와 차음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공기 보다 비중이 큰 아르곤, 헬륨, 크립톤 또는 SF6 등과 같은 가스가 충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한 마감재(30)는 제1 및 제2 판유리(11, 12) 사이의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되며, 이들 판유리(11, 12) 사이에 충진된 가스를 실링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판유리(11, 12)들에는 도어 손잡이를 포함하는 도어 기구물(1)을 설치하기 위한 홀을 구비하지 않고, 뒤에서 더욱 설명될 마운팅유닛(70)을 통하여 도어 기구물(1)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페이서 블록유닛(50)은 제1 및 제2 판유리(11, 12)의 도어 기구물 장착 부위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및 제2 판유리(11, 12) 사이에 구성된다. 이러한 스페이서 블록유닛(50)은 스페이서 블록(51) 및 제1 접착제(5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스페이서 블록(51)은 제1 및 제2 판유리(11, 12)의 도어 기구물 장착 부위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스페이서 블록(51)은 도어 기구물(1)의 형상 및 종류에 따라 제1 및 제2 판유리(11, 12) 사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페이서 블록(51)은 도면에서와 같이 중앙에 구멍을 가진 링 형상의 스페이서로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블록(51)은 링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변형 예로서 도 4에서와 같이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원반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스페이서 블록(51)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지며, 양 측면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1 접착제(55)는 스페이서 블록(51)을 제1 및 제2 판유리(11, 12)의 도어 기구물 장착 부위 사이에서 이들 판유리(11, 12)에 접착 식으로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접착제(55)는 스페이서 블록(51)의 양 측면에 형성되고, 제1 및 제2 판유리(11, 12)의 내측 면에 접착되는데, 도어 기구물(1)이 장착될 부위에 접착된다.
상기 제1 접착제(55)는 스페이서 블록(51)의 양 측면과 제1 및 제2 판유리(11, 12)의 내측 면에 접착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도면에서와 같이 스페이서 블록(51)의 양 측면에 접착되며, 제1 및 제2 판유리(11, 12)의 내측 면에 접착되는 부틸 접착 테이프 혹은 양면 접착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접착제(55)는 도 5의 (a)에서와 같이 스페이서 블록(51)이 링 형상인 경우, 그 스페이서 블록(51)의 양 측면 즉, 중앙부의 구멍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1 접착제(55)는 도 5의 (b)에서와 같이 스페이서 블록(51)이 구멍을 형성하고 있지 않은 원반 형상인 경우, 그 스페이서 블록(51)의 양 측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고, 도 5의 (c)에서와 같이 스페이서 블록(51)의 양 측면 중앙 부분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도 5의 (d)에서와 같이 스페이서 블록(51)의 양 측면 중앙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마운팅유닛(70)은 스페이서 블록유닛(50)의 스페이서 블록(51)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판유리(11, 12)의 최 외측 면에 도어 기구물(1)을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마운팅유닛(70)은 도어 기구물(1)의 장착 부위로서 스페이서 블록(51)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판유리(11, 12) 최 외측 면의 설정된 영역에 구성된다. 이러한 마운팅유닛(70)은 장착부재(71)와 제2 접착제(73)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부재(71)는 도어 기구물(1)이 장착되는 것으로, 뒤에서 더욱 설명될 제2 접착제(73)를 통해 제1 및 제2 판유리(11, 12)의 최 외측 면에 접착 식으로 부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장착부재(71)는 스페이서 블록(51)에 대응하는 원반 형상으로서 도어 기구물(1)과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며,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장착부재(71)는 제1 및 제2 판유리(11, 12)의 최 외측 면을 지지하며, 스페이서 블록유닛(50)을 커버링 한다.
즉, 상기 장착부재(71)는 스페이서 블록유닛(50)의 스페이서 블록(51)을 제1 및 제2 판유리(11, 12)에 접착하는 제1 접착제(55)가 유색을 띠므로, 제1 및 제2 판유리(11, 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제1 접착제(55)를 커버링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제2 접착제(73)는 장착부재(71)를 제1 및 제2 판유리(11, 12)의 최 외측 면에 접착하기 위한 것으로, 장착부재(71)의 일 측면에 형성되며, 제1 및 제2 판유리(11, 12)의 최 외측 면에 접착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접착제(73)는 장착부재(71)의 일 측면과 제1 및 제2 판유리(11, 12)의 최 외측 면을 접착하는 부틸 접착 테이프 혹은 양면 접착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접착제(73)는 도면에서와 같이, 장착부재(71)의 일 측면에서 중앙부를 제외한 가장자리 면에 접착되는 바, 그 중앙부가 뚫려 있는 디스크 형상으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 장착부재(71)의 다른 일 측면 중앙부에는 도어 기구물(1)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75)이 원형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면(75)의 중앙부에는 도어 기구물(1)을 결합하기 위한 체결 돌기부(77)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 돌기부(77)는 도어 기구물(1)에 끼워지며, 볼트를 포함하는 체결부재(5)를 통해 도어 기구물(1)과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도어 기구물(1)에는 체결 돌기부(77)가 끼워지는 결합홈(7)과, 그 결합홈(7)과 연결되는 체결홀(9)을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체결홀(9)은 결합홈(7)에 수직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체결홀(9)에는 체결부재(5)가 나사 결합된다. 상기 체결부재(5)는 체결홀(9)에 나사 결합되며, 결합홈(7)에 끼워진 체결 돌기부(77)를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 돌기부(77)가 도어 기구물(1)의 결합홈(7)에 끼워진 상태로 체결부재(5)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그 체결 돌기부(77)의 외 표면에는 체결부재(5)의 체결단을 지지하는 지지홈(79)이 형성되어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기 마운팅유닛(70)은 장착부재(71)의 일 측면과 제1,2 판유리(11, 12)의 최 외측 면 사이에 충진되는 제3 접착제(81)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3 접착제(81)는 제1 및 제2 판유리(11, 12)에 대한 장착부재(71)의 접착력을 더욱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3 접착제(81)는 장착부재(71)의 일 측면과 제1 및 제2 판유리(11, 12)의 최 외측 면 사이에 충진되며, 장착부재(71)의 일 측면과 제1 및 제2 판유리(11, 12)의 최 외측 면에 접착력을 부여하게 된다. 상기 제3 접착제(81)는 실리콘, 우레탄 및 아크릴을 포함하는 액상 접착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장착부재(71)의 일 측면과 제1 및 제2 판유리(11, 12)의 최 외측 면 사이에 제3 접착제(81)를 충진하기 위해, 장착부재(71)의 체결 돌기부(77)에는 충진홀(8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장착부재(71)의 일 측면에는 제3 접착제(81)가 충진되게 설정된 영역의 충진홈(8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충진홈(85)은 장착부재(71)의 일측 면 중앙부에 원형의 요홈으로서 형성된다.
상기 제3 접착제(81)는, 장착부재(71)의 일 측면이 제2 접착제(73)를 통해 제1 및 제2 판유리(11, 12)의 최 외측 면에 접착된 상태에서, 체결 돌기부(77)의 충진홀(83)을 통해 충진홈(85)으로 충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 접착제(81)는 장착부재(71)의 일 측면과 제1 및 제2 판유리(11, 12)의 최 외측 면 사이에 형성된 충진홈(85)의 내부 공간으로 체결 돌기부(77)의 충진홀(83)을 통하여 충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착부재(71)의 충진홈(85)을 제외한 가장자리 면 즉, 장착부재(71) 일 측면의 중앙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제2 접착제(73)가 접착된다.
더 나아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장착부재(71)에서 일 측면의 충진홈(85)을 제외한 가장자리 면에는 그 충진홈(85)의 가장자리 단과 장착부재(71)의 가장자리 단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배출홈(8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 배출홈(87)은 장착부재(71)의 일 측면과 제1 및 제2 판유리(11, 12)의 최 외측 면 사이에 형성된 충진홈(85)의 내부 공간으로 체결 돌기부(77)의 충진홀(83)을 통하여 제3 접착제(81)를 충진할 때, 그 충진홈(85)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공기 배출홈(87)은 장착부재(71)의 가장자리 면에 복수 개로 형성되는 바, 충진홀(83)을 중심을 중심으로 크로스 되게 배치된다. 상기 공기 배출홈(87)은 가장자리 면에서 충진홈(85)에서 장착부재(71)의 가장자리 단까지 연장되게 형성된다.
대안으로서, 상기 공기 배출홈(87)은 도 8에서와 같이, 장착부재(71)의 일 측면에서 충진홀(83)과 장착부재(71)의 가장자리 단에 연결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 배출홈(87)은 충진홀(83)을 중심을 중심으로 크로스 되게 배치되며 그 충진홀(83)과 장착부재(71)의 가장자리 단을 연결하는데, 상기한 가장자리 면과 충진홈(85)의 요홈 면에 형성되며, 충진홀(83)과 장착부재(71)의 가장자리 단을 연결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도어(100)의 조립 과정 및 조립 구조를 앞서 개시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판유리(11, 12)에 도어 기구물(1)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 부위를 설정하고, 그 장착 부위를 지지하는 스페이서 블록유닛(50)의 스페이서 블록(51)을 제1 및 제2 판유리(11, 12) 사이에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스페이서 블록(51)은 제1 접착제(55)를 통해 제1 및 제2 판유리(11, 12)의 내측 면에 부착된다. 즉, 상기 스페이서 블록(51)는 이의 양 측면이 제1 접착제(55)를 통해 제1 및 제2 판유리(11, 12)의 내측 면에 접착되며, 제1 및 제2 판유리(11, 12)의 도어 기구물(1)이 장착될 부위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페이서 블록(51)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판유리(11, 12) 최 외측 면에 마운팅유닛(70)의 장착부재(71)를 부착하는데, 제2 잡착제(73)를 통해 장착부재(71)의 일 측면을 제1 및 제2 판유리(11, 12)의 최 외측 면에 접착한다.
여기서, 상기 장착부재(71)는 제1 및 제2 판유리(11, 12)의 최 외측 면을 지지하며, 유색을 띠고 있는 제1 접착제(55)를 커버링 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장착부재(71)의 일 측면이 제2 접착제(73)를 통해 제1 및 제2 판유리(11, 12)의 최 외측 면에 접착된 상태에서는 장착부재(71)의 일 측면과 제1 및 제2 판유리(11, 12)의 최 외측 면 사이에 충진홈(85)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 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장착부재(71)의 다른 일 측면에 구비된 체결 돌기부(77)의 충진홀(83)을 통하여 상기한 충진홈(85)의 내부 공간으로 제3 접착제(81)를 충진한다. 이 과정에 상기 충진홈(85)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는 장착부재(71) 일 측면의 공기 배출홈(8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장착부재(71)의 일 측면이 제2 접착제(73)를 통해 제1 및 제2 판유리(11, 12)의 최 외측 면에 접착된 상태에서, 충진홈(85)의 내부 공간으로 제3 접착제(81)를 충진함에 따라, 제3 접착제(81)를 통해 제1 및 제2 판유리(11, 12)에 대한 장착부재(71)의 접착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장착부재(71)의 체결 돌기부(77)에 도어 손잡이를 포함하는 도어 기구물(1)을 장착하는데, 도어 기구물(1)의 결합홈(7)에 체결 돌기부(77)를 끼운 다음, 도어 기구물(1)의 체결홀(9)에 체결부재(5)를 체결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체결 돌기부(77)가 도어 기구물(1)의 결합홈(7)에 끼워진 상태로, 체결홀(9)에 체결되는 체결부재(5)의 체결단이 그 체결 돌기부(77)의 지지홈(79)에 결합되면서 도어 기구물(1)을 제1 및 제2 판유리(11, 12)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도어 기구물(1)은 체결부재(5)를 통해 장착부재(71)의 체결 돌기부(77)에 체결되며 그 장착부재(71)의 지지면(75)으로 밀착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도어(100)에 의하면, 제1 및 제2 판유리(11, 12) 사이에 스페이서 블록(51)을 설치한 상태에서 마운팅유닛(70)을 통해 도어 기구물(1)을 제1 및 제2 판유리(11, 12)에 접착 식으로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판유리(11, 12)에 홀을 형성하지 않고서도 도어 기구물(1)을 제1 및 제2 판유리(11, 12)에 접착 식으로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도어 기구물(1)을 설치하기 위한 부품들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어 기구물(1)의 설치 작업 및 전체적인 복층유리 도어(100)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도어 기구물 5: 체결부재
7: 결합홈 9: 체결홀
11, 12: 제1 및 제2 판유리 30: 마감재
50: 스페이서 블록유닛 51: 스페이서 블록
55: 제1 접착제 70: 마운팅유닛
71: 장착부재 73: 제2 접착제
75: 지지면 77: 체결 돌기부
79: 지지홈 81: 제3 접착제
83: 충진홀 85: 충진홈
87: 공기 배출홈

Claims (20)

  1. 적어도 두 장 이상의 판유리들;
    상기 판유리들 사이의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판유리들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그 공간에 충진된 가스를 실링하는 마감재; 및
    상기 판유리들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 블록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 블록유닛은,
    상기 판유리들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블록과,
    상기 스페이서 블록의 양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판유리에 접착되는 제1 접착제를 포함하는 복층유리 도어이고,
    상기 복층유리 도어가,
    상기 판유리에 도어 손잡이를 포함하는 도어 기구물을 장착하기 위해 상기 스페이서 블록유닛에 대응하여 상기 판유리들의 최 외측 면에 구성되는 마운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유닛은,
    상기 도어 기구물과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판유리들의 최 외측 면을 지지하며, 상기 스페이서 블록유닛을 커버링 하는 장착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의 일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판유리들의 최 외측 면에 접착되는 제2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재의 다른 일 측면 중앙부에는 상기 도어 기구물을 결합하기 위한 체결 돌기부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재의 일 측면과 상기 판유리들의 최 외측 면 사이에 충진되는 제3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인,
    복층유리 도어.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블록이 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도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블록이 원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도어.
  5. 삭제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가 원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도어.
  8. 삭제
  9. 삭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돌기부에는,
    상기 장착부재의 일 측면과 상기 판유리의 최 외측 면 사이로 상기 제3 접착제를 충진하기 위한 충진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도어.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의 일 측면에는,
    상기 충진홀과 연결되며, 상기 제3 접착제가 충진되게 설정된 영역의 충진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도어.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홈은 상기 장착부재의 일 측면 중앙부에 원형의 요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재의 충진홈을 제외한 가장자리 면에는 상기 제2 접착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도어.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의 충진홈을 제외한 가장자리 면에는,
    상기 충진홈의 가장자리 단과 장착부재의 가장자리 단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배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도어.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의 일 측면에는 상기 충진홀과 장착부재의 가장자리 단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배출홈이 형성되되,
    상기 공기 배출홈은 상기 가장자리 면 및 충진홈의 요홈 면에 형성되며, 상기 충진홀과 장착부재의 가장자리 단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도어.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돌기부는,
    상기 도어 기구물에 끼워지며,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도어 기구물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도어.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기구물은,
    상기 체결 돌기부가 끼워지는 결합홈과,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도록 상기 결합홈과 연결되는 체결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도어.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돌기부의 외 측면에는,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단을 지지하는 지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도어.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는,
    상기 스페이서 블록의 양 측면 및 판유리를 접착하는 부틸 접착 테이프 혹은 양면 접착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도어.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제는,
    상기 장착부재의 일 측면 및 판유리를 접착하는 부틸 접착 테이프 혹은 양면 접착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도어.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접착제는 실리콘, 우레탄 및 아크릴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액상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도어.
KR1020150117760A 2015-08-21 2015-08-21 도어 기구물의 접착이 용이한 복층유리 도어 KR101652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760A KR101652751B1 (ko) 2015-08-21 2015-08-21 도어 기구물의 접착이 용이한 복층유리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760A KR101652751B1 (ko) 2015-08-21 2015-08-21 도어 기구물의 접착이 용이한 복층유리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2751B1 true KR101652751B1 (ko) 2016-08-31

Family

ID=56877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760A KR101652751B1 (ko) 2015-08-21 2015-08-21 도어 기구물의 접착이 용이한 복층유리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27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5919A (ko) * 2020-12-30 2022-07-07 (주)에이징인플레이스 접착제 고정공법의 최적화를 위한 핸드레일 및 이의 설치방법
KR102619586B1 (ko) * 2023-08-03 2023-12-28 김윤옥 복층유리 장착용 시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층유리도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7449U (ko) * 1979-12-25 1981-08-01
JPH03177720A (ja) * 1989-12-06 1991-08-01 Toshiba Corp 空気調和装置
JP3177720B2 (ja) * 1992-08-26 2001-06-18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玩具用感温変色性撥水性人工頭髪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62374A (ko) * 2008-12-02 2010-06-10 천종일 강화유리 도어 손잡이
KR20110002848U (ko) * 2009-09-15 2011-03-23 김영신 미닫이문용 접착식 손잡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7449U (ko) * 1979-12-25 1981-08-01
JPH03177720A (ja) * 1989-12-06 1991-08-01 Toshiba Corp 空気調和装置
JP3177720B2 (ja) * 1992-08-26 2001-06-18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玩具用感温変色性撥水性人工頭髪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62374A (ko) * 2008-12-02 2010-06-10 천종일 강화유리 도어 손잡이
KR20110002848U (ko) * 2009-09-15 2011-03-23 김영신 미닫이문용 접착식 손잡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5919A (ko) * 2020-12-30 2022-07-07 (주)에이징인플레이스 접착제 고정공법의 최적화를 위한 핸드레일 및 이의 설치방법
KR102593182B1 (ko) * 2020-12-30 2023-10-24 (주)에이징인플레이스 접착제 고정공법의 최적화를 위한 핸드레일 및 이의 설치방법
KR102619586B1 (ko) * 2023-08-03 2023-12-28 김윤옥 복층유리 장착용 시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층유리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55587C2 (ru) Холо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JP4546575B2 (ja) 窓ガラス取付け要素
JPH10331305A (ja) 高い遮断力をもつガラスを嵌めた要素
JP4187527B2 (ja) シールされた窓ガラスユニット
US20070204534A1 (en) Doorframe
KR101652751B1 (ko) 도어 기구물의 접착이 용이한 복층유리 도어
EP3002402A1 (en) Openable frameless door or window casement arrangement with insulated glazing
JP2011526662A (ja) 摺動壁
US20150211290A1 (en) Door assembly with flush-mounted glazing
US6520288B1 (en) Acoustic door assembly
US9777530B1 (en) Seamless multi-panel door
KR101484747B1 (ko) 복층유리 도어
EP2570561A1 (en) Interior sound dampening glass wall
TW201730420A (zh) 絕熱玻璃單元及其製造方法
JP2002114542A (ja) 複層ガラスの製造方法
KR101650157B1 (ko) 홀이 구비된 복층유리 도어
KR101656783B1 (ko) 복층유리 어셈블리
JPH09228748A (ja) 複層ガラス障子、回転窓及びスライド窓
KR101712171B1 (ko) 방풍 세이프 캐스터를 구비한 복층유리 도어용 프로파일 및 그를 구비한 복층유리 도어
WO2015072888A1 (ru) Огнестойкая цельностеклянная стеновая конструкция
EP3060739B1 (en) Openable frameless door or window casement arrangement with insulated glazing
KR20090085770A (ko) 건축외장용 단열판넬
CN113994066A (zh) 用于隔热装配玻璃的间隔件
KR20160085067A (ko) 복층유리 도어용 스페이서 블록 유닛
TW201932700A (zh) 具有保護型材的可開式玻璃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