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2594B1 - 블라인드 내장형 복합창호 - Google Patents

블라인드 내장형 복합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2594B1
KR101182594B1 KR1020100073349A KR20100073349A KR101182594B1 KR 101182594 B1 KR101182594 B1 KR 101182594B1 KR 1020100073349 A KR1020100073349 A KR 1020100073349A KR 20100073349 A KR20100073349 A KR 20100073349A KR 101182594 B1 KR101182594 B1 KR 101182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window
blind
composite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3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1510A (ko
Inventor
이제철
최장현
김용
윤승희
박성규
김성계
오보환
김지현
성기철
Original Assignee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주)대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주)대우건설 filed Critical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3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2594B1/ko
Publication of KR20120011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06B3/78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with panels of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Blind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판의 테두리가 결합되는 금속재질의 외부 창문프레임 및 내부 창문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이중창호 프레임; 상기 이중창호 프레임의 내측에 개폐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외부 창문 및 내부 창문; 상기 외부 창문프레임 및 내부 창문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어, 벽체를 구성하는 스틸보강재; 상기 스틸보강재의 외부에 덧대어지는 플랫바형 석고보드; 상기 이중창호 프레임의 외부둘레에 구비되는 단열패널; 및 상기 내부 창문프레임 및 외부창문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블라인드가 설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블라인드 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내장형 복합창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로 친환경 소재인 ABS계 소재를 단열패널에 적용하여 기존 복합 창호의 단열성과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PVC 소재에 비해 화재시 유독가스와 인체유해성이 없는 복합창호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라인드 내장형 복합창호{Blind Containing Complex Windows}
본 발명은 고층 상업용 건축물뿐만 아니라 공동주택에 적용 가능한 블라인드 내장형 친환경 복합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복합창호의 소재로 화재 시 유독가스가 미방출되고 또한 인체에 유해하며 단열성이 우수한 ABS계 소재와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한 금속 소재의 친환경 복합창호로서, 플랫바형 석고보드를 통한 다양한 유리 시공과 유리 시공시 실내 탈, 부착으로 시공작업의 편리성과 시공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고, 유리 공간에 블라인드 내장으로 인하여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친환경 복합창호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복합창호는 외측패널을 알루미늄으로 하여 눈이나 비 등 수분에 강하도록 하고, 내측패널은 합성수지나 목재 등과 같은 복합재질로 구성하여 기존 알 루미늄재 창호에 비해 단열성과 방음성 등을 높이고 또 미려한 외관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는 등록실용실안 제0163582호와 제0326568호가 있다.

그러나, 등록실용신안 제06163582호는 단순히 외측패널이 갖는 조립돌부가 합성수지재에 내측패널의 조립홈부에 끼워져 결합되게 한 것으로서, 내, 외측패널을 나란히 하여 전체적으로 동시에 결합해 줄 수가 있는 장점은 지니게 되나 접착제 없이는 결합력을 얻기 어려워 접착공정의 추가에 의한 늘어난 공정수와 작업상의 어려움으로 현저한 생산성 저하를 가져오게 되고 또 접착과정에서 접착제의 유출로 외관을 저해하게 되는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등록 실용신안 제0326568호는 외측패널에 가지 돌기를 갖는 돌출부 을 형성하고 내측패널에는 이와 대응하는 홈 부를 형성하여 내측패널의 홈 부일 측으로부터 외측패널의 돌출부를 길이방향으로 삽입하여 조립하도록 함으로서 조립작업을 위하여 최소한 내, 외측패널의 길이를 합한 길이 이상의 긴 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공간 활용률이 떨어지고 또 길이방향을 따라 조립하도록 하는 데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작업상의 어려움으로 이 역시 현저한 생산성 저하를 가져오게 되며 내, 외측 패널 사이에 갖는 유 격으로 인하 여 움직임이 주어지게 되므로 상품성이 떨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따르게 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친환경 소재인 ABS계 소재를 단열패널에 적용하여 기존 복합 창호의 단열성과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PVC 소재에 비해 화재 시 유독가스와 인체유해성이 없는 복합창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유리를 쉽게 실내에서 시공 가능하도록 하여 시공성을 향상하는 동시에 시공비를 줄이는 복합창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알루미늄 소재와 합성수지 단열프레임의 결착구조를 기밀성있게 조립하여 동시에 폴리아미드 단열바 및 유리 사이에 블라인드를 삽입하여 열교현상 발생이 적은 단열성능이 우수한 복합창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금속재질의 외부 창문프레임 및 내부 창문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이중창호 프레임; 상기 이중창호 프레임의 내측에 개폐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외부 창문 및 내부 창문; 상기 외부 창문프레임 및 내부 창문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어, 벽체를 구성하는 스틸보강재; 상기 스틸보강재의 외부에 덧대어지는 플랫바형 석고보드; 상기 이중창호 프레임의 외부둘레에 구비되는 단열패널; 및 상기 내부 창문프레임 및 외부창문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블라인드가 설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블라인드 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단열패널의 재질은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ACRYLONITRILEB BUTADIENE STYRENE) 또는 크릴레이트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ASA: CRYLATE STYRENE ACRYLONITRILE) 중 어느 하나의 수지로 형성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단열패널의 재질은 합성수지의 발포체로 AZO계 화합물, Nirtoso 화합물, Sulfonyl 화합물 및 Tetrazol 화합물을 사용하여 압출 발포한 ABS계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부 창문프레임의 둘레에 구비되는 알루미늄 커버판; 및 상기 외부 창문프레임과 유리판 사이에 삽입되는 폴리아미드 단열바를 더 포함함으로써 실내외의 열의 출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내부 창문 및 외부 창문 각각은 틸팅, 터닝, 미닫이 창호 중 어느 하나의 개폐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로 발생하는 종래의 기술과 구별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로 친환경 소재인 ABS계 소재를 단열패널에 적용하여 기존 복합 창호의 단열성과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PVC 소재에 비해 화 재 시 유독가스와 인체유해성이 없는 복합창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로 다양한 종류의 유리를 쉽게 실내에서 시공 가능하도록 하여 시공성을 향상하는 동시에 시공비를 줄이는 복합창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로 알루미늄 소재와 합성수지 단열프레임의 결착구조를 기밀성있게 조립하여 동시에 폴리아미드 단열바 및 유리 사이에 블라인드를 삽입하여 열교현상 발생이 적은 단열성능이 우수한 복합창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정면도,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배면도,
도 2는 도 1의 C-C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Ⅰ부분의 확대도,
도 4는 도 2의 Ⅱ부분의 확대도,
도 5는 도 2의 Ⅲ부분의 확대도,
도 6은 도 2의 Ⅳ부분의 확대도, 및
도 7은 도 2의 Ⅴ부분의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공지된 사항을 제외한 본 발명의 구성상의 특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인 블라인드 내장형 복합창호(100)는 첨부된 도 2 같이, 금속재질의 외부 창문프레임 및 내부 창문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이중창호 프레임(100); 상기 이중창호 프레임(100)의 내측에 개폐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외부 창문(201) 및 내부 창문(200); 상기 외부 창문프레임 및 내부 창문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어, 벽체를 구성하는 스틸보강재(300); 상기 스틸보강재(300)의 외부에 덧대어지는 플랫바형 석고보드(400); 상기 이중창호 프레임(100)의 외부둘레에 구비되는 단열패널(500); 및 상기 내부 창문프레임 및 외부창문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블라인드가 설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블라인드 취부(60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중창호 프레임(100)은 첨부된 도 2와 같이, 본 발명인 블라인드 내장형 복합창호(10)의 몸체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내측에는 내부 창문프레임과 외측에는 외부 창문프레임이 구비되고, 이들 내부 창문프레임과 외부 창문프레임의 사이에는 일종의 연결벽의 역할을 하는 스틸보강재(300)로 구비된다. 그리고 내부 창문프레임 및 외부 창문프레임의 재질은 창문프레임의 내구성을 고려할 때 금속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외부 창문(201) 및 내부 창문(200)은 전술한 외부 창문프레임 및 내부 창문프레임의 내측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다양한 방법에 의해 개폐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조건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내부 창문(200) 및 외부 창문(201) 각각은 틸팅, 터닝, 미닫이 창호 중 어느 하나의 개폐방식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틸팅방식, 터닝방식 및 미닫이 창호방식은 이미 공지된 것인바 자세한 사항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스틸보강재(300)는 전술한 외부 창문프레임과 내부 창문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되며, 일종의 벽체의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스틸보강재(300)의 외부에는 실시조건에 따라서는 석고보드를 이용하여 덧대어 외부마감을 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이때 덧대어지는 석고보드는 플랫바형이 될 것이다. 첨부된 도 2 및 도 3에서는 플랫바형 석고보드(400)를 이용하여 실시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전술한 이중창호 프레임(100)의 외부둘레에는 실내외의 열 출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열패널(500)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첨부된 도 5과 같이 이중창호 프레임(100)의 외부둘레에 단열패널(500)이 덧대어지도록 구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하는 단열패널(500)의 재질은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ACRYLONITRILEB BUTADIENE STYRENE) 또는 크릴레이트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ASA: CRYLATE STYRENE ACRYLONITRILE) 중 어느 하나의 수지로 형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시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단열패널의 재질은 합성수지의 발포체로 AZO계 화합물, Nirtoso 화합물, Sulfonyl 화합물 및 Tetrazol 화합물을 사용하여 압출 발포한 ABS계 소재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전술한 단열패널의 재질인 ABS수지, ASA수지 및 ABS계 소재는 이미 공지된 것인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 창문프레임 및 외부창문프레임 사이의 공간에는 첨부된 블라인드가 설치될 수 있도록 블라인드 취부(600)를 포함하여 구성을 하는 것에 의하여, 실내외의 빛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별도로 실내에 블라인드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게 되고 실내공간의 활용도가 커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실시함에는 첨부된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외부 창문프레임의 둘레에는 알루미늄 커버판을 더 결합하고 상기 외부 창문프레임과 유리판 사이에 삽입되는 폴리아미드 단열바를 더 포함하여 실시함으로써 실내외의 열의 출입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실시함에는 첨부된 도 3 내지 도 7과 같이, 플랫바형 석고보드(400), 유리판(210)의 결합시에 다양한 종류의 개스킷(Gasket, 211, 310, 710 등)을 적용하여 창문과 창틀의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방음성능 및 기밀성능을 높이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유리판(210)과 플랫바형 석고보드(400) 사이에 개스킷(211)을 삽입하여 실시하였다. 그리고,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알루미늄 구조재(710)와 단열패널(500)의 각각의 사이에 다양한 형상의 개스킷(711)을 삽입하여 실시하였다. 그리고 도 5의 실시예에서는, 단열패널과 내부 창문프레임 사이에 개스킷을 삽입하여 방음성 및 기밀성을 높이도록 실시하였다. 그리고, 도 6의 실시예에서는, 유리판을 삽입함에 있어 개스킷을 이용하여 유리판 취부에 삽입함으로써 방음성 및 기밀성을 높였다. 마지막으로, 도 7의 실시예에서는, 플랫바형 석고보드(400) 간의 결합부분에도 개스킷(311)을 삽입하여 실시하였다.
10; 블라인드 내장형 복합창호.
100; 이중창호 프레임
120; 내부 창문프레임
140; 외부 창문프레임
200; 내부창문
201; 외부창문
210; 유리판
211; 개스킷
220; 유리판취부
300; 스틸보강재
400; 플랫바형 석고보드
500; 단열패널
600; 블라인드 취부
700; 알루미늄 커버플레이트
710; 알루미늄 구조제
711; 개스킷
800; 폴리아미드 단열바

Claims (5)

  1. 금속재질의 외부 창문프레임 및 내부 창문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이중창호 프레임;
    상기 이중창호 프레임의 내측에 개폐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외부 창문 및 내부 창문;
    상기 외부 창문프레임 및 내부 창문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어, 벽체를 구성하는 스틸보강재;
    상기 스틸보강재의 외부에 덧대어지는 플랫바형 석고보드;
    상기 이중창호 프레임의 외부둘레에 구비되는 단열패널; 및
    상기 내부 창문프레임 및 외부창문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블라인드가 설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블라인드 취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열패널의 재질은 합성수지의 발포체로 AZO계 화합물, Nirtoso 화합물, Sulfonyl 화합물 및 Tetrazol 화합물을 사용하여 압출 발포한 ABS계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내장형 복합창호.
  2. 제 1항에서,
    상기 단열패널의 재질은,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ACRYLONITRILEB BUTADIENE STYRENE) 또는 크릴레이트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ASA: CRYLATE STYRENE ACRYLONITRILE) 중 어느 하나의 수지로 형성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내장형 복합창호.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창문프레임의 둘레에 구비되는 알루미늄 커버판; 및
    상기 외부 창문프레임과 유리판 사이에 삽입되는 폴리아미드 단열바;
    를 더 포함함으로써 실내외의 열의 출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내장형 복합창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창문 및 외부 창문 각각은 틸팅, 터닝, 미닫이 창호 중 어느 하나의 개폐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내장형 복합창호.
KR1020100073349A 2010-07-29 2010-07-29 블라인드 내장형 복합창호 KR101182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349A KR101182594B1 (ko) 2010-07-29 2010-07-29 블라인드 내장형 복합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349A KR101182594B1 (ko) 2010-07-29 2010-07-29 블라인드 내장형 복합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510A KR20120011510A (ko) 2012-02-08
KR101182594B1 true KR101182594B1 (ko) 2012-09-12

Family

ID=45835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3349A KR101182594B1 (ko) 2010-07-29 2010-07-29 블라인드 내장형 복합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25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255B1 (ko) * 2012-03-29 2014-07-08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의 덧붙임 보조 창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115B1 (ko) * 2005-01-24 2010-01-28 테흐노포름 카프라노 운트 브룬호퍼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단열창 유닛에 적합한 새시 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115B1 (ko) * 2005-01-24 2010-01-28 테흐노포름 카프라노 운트 브룬호퍼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단열창 유닛에 적합한 새시 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510A (ko) 201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2298B1 (ko) 알루미늄과 피브이씨를 적용한 복합 미서기 이중창 시스템 창호
US5758458A (en) Wood and vinyl hybrid residential door frame
KR101789292B1 (ko) 창호의 복합 단열 창틀
US9022091B2 (en) Impact window assembly for overhead door
KR20070083017A (ko) 복합 이중창호
KR100795711B1 (ko) 배수 및 단열패널 결합이 용이한 복합창호 시스템
KR101486064B1 (ko) 창호의 단열 벤트 어셈블리
KR101182594B1 (ko) 블라인드 내장형 복합창호
CN205477258U (zh) 一种玻璃隐框隔音门
KR200355662Y1 (ko) 복합창호
KR100758378B1 (ko) 고층용 창호
KR102018426B1 (ko) 재단 및 조립이 용이한 입면 분할 창호
JPS6128870Y2 (ko)
EP2105567A1 (en) Window assembly with cover panel assembly to cover window opening
CA2643557C (en) Window cladding
US20200173224A1 (en) Cover assembly for windows
CN218623879U (zh) 一种金属面板开启扇
CN209742702U (zh) 采用新型中庭结构的防火窗
JP4063803B2 (ja) 建具
KR20220008546A (ko) 단열성 및 강도보강형 창호프레임의 구조
KR100867182B1 (ko) 복합 개폐식 창호
JP3111429U (ja) サッシの構造
CN105804617A (zh) 一种防尘隔音的微通风窗
JP2002061459A (ja) 木製サッシ
KR200281151Y1 (ko) 방화문 밀폐용 패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