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5408A -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교량받침 - Google Patents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교량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5408A
KR20090085408A KR1020080011277A KR20080011277A KR20090085408A KR 20090085408 A KR20090085408 A KR 20090085408A KR 1020080011277 A KR1020080011277 A KR 1020080011277A KR 20080011277 A KR20080011277 A KR 20080011277A KR 20090085408 A KR20090085408 A KR 20090085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memory
plate
memory alloy
pillar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0861B1 (ko
Inventor
조재열
오주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to KR1020080011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0861B1/ko
Publication of KR20090085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2Mechanical 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받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판과 하판을 형상기억합금 재료로 이루어진 기둥으로 연결하여 구조물의 거동에 대한 에너지 흡수 내지 소산(疏散) 기능과 거동 후의 복원력을 강화하는 한편 면진(免震) 기능을 새롭게 부여하거나 크게 향상시킨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교량받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교량받침은, 상부구조물에 정착되는 상부판(10)과, 하부구조물에 정착되는 하부판(20)과, 상기 상부판(10)과 하부판(20) 사이에 개재되는 받침구와, 상기 받침구 주위의 복수의 지점에 입설되어 상기 상부판(10)과 하부판(20)을 연결하는 형상기억합금 재료로 이루어진 기둥(100)을 포함하며, 상기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100)이 구조물 거동 후의 복원력을 제공하고 수평 지진력의 크기를 감소시키며 진동 에너지를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교량, 받침, 면진, 탄성, 지진, 형상기억합금, 기둥

Description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교량받침{Bridge Bearing Using The Shape-Memory-Alloy}
본 발명은 교량받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판과 하판을 형상기억합금 재료로 이루어진 기둥으로 연결하여 구조물의 거동에 대한 에너지 흡수 내지 소산(疏散) 기능과 거동 후의 복원력을 강화하는 한편 면진(免震) 기능을 새롭게 부여하거나 크게 향상시킨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교량받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받침은 교량의 상부구조물(예; 상판)과 하부구조물(예; 교각) 사이의 지점부에 개재되어 교량의 거동에 따라 구조물을 유지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능을 담당한다.
예컨대, 상부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은 하부구조를 통해서 기초지반에 확실히 전달되어야 한다. 따라서 교량받침은 상부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이를 안전하고 원활하게 하부구조물에 전달하는 기능을 가져야 한다(하중전달 기능).
또한, 상부구조물은 하중의 재하, 온도변화, 콘크리트의 크리프, 건조수축, 프리스트레스의 힘 등의 각종 요인에 의하여 신축된다. 교량받침은 이와 같이 상, 하부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수평거동을 수용하는 기능을 가져야 한다(신축기능). 이러한 관점에서, 상부구조물의 거동에 대해 신축기능을 가진 받침을 가동받침(또는 가동단)이라고 하고, 신축기능을 가지지 않는 받침을 고정받침이라고 부른다.
또한, 상부구조물은 하중의 재하에 의해 처짐이 생기고 그에 따라 지점부는 회전변위를 일으킨다. 이에 따라 교량받침은 처짐에 의해 생기는 회전변위를 무리 없이 수용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회전기능).
이러한 기능들 이외에도, 교량받침은 지진에 대비하는 기능 즉, 내진(耐震)과 면진(免震)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종래의 교량받침에 대한 다양한 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50895호 공보, 등록특허 제10-0784609호 공보, 등록특허 제10-0767344호 공보, 등록특허 제10-0731514호 공보, 등록실용신안 제20-0381212호 공보, 등록특허 제10-0624840호 공보, 등록특허 제10-0730802호 공보, 등록실용신안 제20-0403138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교량받침에서 주로 이용하는 받침구로서는 탄성받침과 납 면진 받침을 들 수 있다. 우선, 탄성받침(또는 '탄성고무받침'이라고도 한다)은, 구조물의 거동 즉, 구조물의 이동 및 회전을 고무의 탄성변형에 의해 흡수시키는 것으로서, 고무층 사이에 금속 보강재를 삽입한 적층구조의 탄성받침을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개재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는 지점부의 특성에 따라 크게 교축방향 및 횡방향(교축직각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으나 회전을 구속하지는 않는 고정단(또는 '고정받침'이라고 한다)(양방 향 고정단(Type-OF); Fixed Side Restraints Bearing), 교축방향으로의 이동은 허용되나 횡방향으로는 고정된 종방향 가동단(교축방향 가동단(Type-TF); Transversely Fixed Side Restraints Bearing), 횡방향으로의 이동은 허용되나 교축방향으로는 고정된 횡방향 가동단(교축직각방향 가동단(Type-LF); Longitudinally Fixed Side Restraints Bearing) 및 교축방향 및 횡방향 모두로 이동이 허용되는 양방향 가동단((Type-FR); Free Sliding in All Direction Bearing)으로 구분된다. 고정된 방향으로는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쐐기(스토퍼)를 설치하여 풍하중 및 제동하중 등에 의한 사용상태에서의 과도한 변위를 억제할 수 있도록 하며, 지진하중에 대해서는 쐐기가 파괴되어 탈락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탄성받침은,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고무와 고무 사이에 적층된 보강판에 의해 수직하중을 고무의 좌굴 현상 없이 지지하고, 수평하중은 고무의 유연성에 의해 상부구조물의 고유주기를 길게 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3가지 기능(하중전달 기능, 신축기능, 회전기능)을 어느 정도 발휘하고 수평 지진력의 크기를 어느 정도 감소시킬 수 있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수평하중에 대해 변위가 크게 발생하고 변형(진동 등) 후에 원위치로 되돌아오는 복원력이 만족할 만한 수준이 이르지는 못하고 있다. 또한, 고무의 특성상 반복하중에 대해 피로저항이 커서 내구성이 만족할 만한 수준에 이르지는 못하고 있다.
또한, 풍하중이나 제동하중 등과 같은 빠른 속도의 변위에 대한 초기 저항성이 충분치 못하고 에너지 흡수(소산) 기능이 부족하여 지진하중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댐퍼 장치를 설치하여 지진하중을 분산 수용하여야 함으로써 구조가 복 잡해지고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납면진(鉛免震) 받침(LBR; Lead Rubber Bearing)은, 상술한 탄성받침의 중심부에 납심(lead core)을 삽입한 형태로서, 탄성받침에 지진 에너지 흡수 기능 즉, 면진기능을 더한 교량받침이다. 납면진받침은, 일반적으로 단주기 성분이 강하고 장주기 성분이 약한 지진파의 주기특성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고유 주기를 임의로 길게 가져가서 수평 지진력의 크기 자체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진동에너지를 납의 비선형 거동으로 흡수하여 상부구조물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납은 작용하는 하중의 크기에 따라 크게 세 가지의 거동특성을 보인다. 즉, 첫째로, 온도, 크리프, 건조수축과 같이 느린 속도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해서는 쉽게 항복하여 상부구조물의 장기 변형에 의한 수평력을 교각에 작게 전달한다(보통 수직하중의 5% 미만). 둘째로, 풍하중 및 제동하중과 같이 빠른 속도로 작용하며 납심의 항복강도를 넘지 않는 하중에 대해서는 납의 초기 강성으로 저항하여 변위를 억제하게 된다(일반적으로 10mm미만). 셋째로, 지진하중에 대해서는 납이 완전히 항복하여 상부구조물의 장주기화 및 에너지 소산 기능에 의해 지진력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납면진받침의 경우에도 대변형 시의 복원력은 적층고무의 탄성에만 의존하고 있어, 탄성받침이 가지는 복원력의 문제를 충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납은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인체해 매우 유해한 중금속인 바, 이러한 유해물질을 취급하고 설치해 두는데서 오는 폐단을 감수하여야만 한다.
또한, 지진 등에 의해 교량에 상하방향의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상부구조물이 위로 들어 올려지는 부반력(Up-Lifting Force)이 발생하는데, 종래의 교량받침 들은 이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고, 고려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매우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부반력 방지장치가 파손된 경우 교체나 보수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교량받침이 갖춰야 하는 기본적인 기능들을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구조물의 거동에 대한 에너지 흡수 기능과 거동 후의 복원력을 강화하는 한편 면진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교량받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교체가 용이하고 부반력을 방지할 수 있는 교량받침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교량받침은, 상부구조물에 정착되는 상부판과, 하부구조물에 정착되는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개재되는 받침구와, 상기 받침구 주위의 복수의 지점, 또는 받침구 내부의 하나 이상의 지점에 입설되어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을 연결하는 형상기억합금 재료로 이루어진 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이 구조물 거동 후의 복원력을 제공하고 수평 지진력의 크기를 감소시키며 진동 에너지를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받침구로는, 탄성받침, 디스크 받침을 채용할 수 있으며, 또는 탄성 받침의 내부 중앙 또는 내부 중앙을 포함하는 복수의 지점 또는 내부 중앙을 제외한 복수의 지점에 공지의 납심 대신에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을 설치한 납면진받침의 개량 형태일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교량받침에 있어서, 교축방향 또는 교축직각방향 중 상부 구조물의 수평이동을 저지하고자 하는 고정방향으로 스토퍼 장치를 설치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토퍼 장치는, 하부판의 측면에 스토퍼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결합홈에는 스토퍼가 볼트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상부판의 측면에는 상기 스토퍼의 폭보다 가동방향으로 더 넓은 폭의 홈으로 형성되어 해당 홈의 폭 범위 이내에서 상기 상부판의 가동방향 이동은 허용함과 더불어 해당 폭 이상으로 과도하게 이동되는 것은 제한하는 스토퍼 안내홈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교량받침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은, 그 하단이 하부판에 고정되고, 그 상단은 상부판에 형성된 수용홈에 상하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이 자유로운 상태로 삽입되며, 상기 상부판의 수용홈은, 상기 상부판과 기둥의 상하방향 상대 운동을 허용하는 범위의 변형 여유 공간이 더 형성된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교량받침에 있어서, 구조물의 부반력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기둥의 상단에는 직경이 확장된 형태로 상기 상부판의 수용홈에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머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판의 하면에는 상기 수용홈에 삽입된 머리부의 하단을 막아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상기 머리부가 완전히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구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교량받침에 있어서, 상부판의 수용홈의 내측 단부면 또는 상기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의 상단 단부면에는 완충용 쿠션 판이 부착된 구성 을 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교량받침에 따르면, 기존의 교량 받침에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기둥을 부가 내지 대체하여 설치하는 것에 의해, 그 형상기억합급이 지닌 형상기억 효과, 흡진성, 그리고 의탄성 또는 초탄성 효과에 의해 구조물의 복원 기능이 강화되고 진동 흡수 기능이 강화되며, 그로 인해 면진 기능을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형상기억합금 재료로 이루어진 기둥의 조립과 교체가 용이하고, 상부판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유동은 가능하면서 이탈은 불가능하여 상부판(상부구조물)의 부반력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종래의 일반적인 교량받침으로서 사용되는 탄성받침의 다양한 형태를 소개한다.
우선, 도 1에는 종래의 탄성받침의 양방향 가동단의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탄성받침형 교량받침은, 받침구로서 탄성받침(2)을 사용한 것으로서, 이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무층(2a) 사이에 금속 보강재(2b)를 삽입한 적층구조로 이루어져서 상부판(10)과 하부판(20) 사이에 설치된다. 상부판(10)은 상판과 같은 교량의 상부구조물에 설치되고, 하부판(20)은 교각과 같은 교량의 하부구조물에 설치되 며, 탄성받침(2)은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에서 하중전달기능, 신축기능, 회전기능을 수행한다.
양방향 가동단(또는 전반향 가동단)은, 교축방향 및 교축직각방향으로 신축(이동)을 모두 허용하는 것으로서, 상부판(10)과 하부판(20) 사이에 탄성받침(2)만이 있고 이른바 '스토퍼'와 같이 상부구조물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는 없다.
도 2에는 종래의 탄성받침의 종방향 가동단의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종방향 가동단은 교량의 길이방향 즉, 교축방향으로의 이동은 허용되고 교축직각방향으로 이동은 제한된 형태이다. 교축직각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저지)하기 위해, 상부판(10)과 하부판(20)의 교축직각방향 양쪽에 스토퍼 장치(3)가 설치된다. 이 스토퍼 장치(3)는 상부판(10)과 하부판(20)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가 지진하중과 같이 큰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탈락 내지 파괴되면서 지진력을 흡수한다.
도 3에는 종래의 탄성받침의 횡방향 가동단의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횡방향 가동단은 교량의 횡방향 즉 교축직각방향으로의 이동은 허용되고 교축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된 형태이다. 교축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부판(10)과 하부판(20)의 교축방향 양쪽에 스토퍼 장치(3)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교량받침 중,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각 지점부의 요구특성에 알맞게 선택하여 적용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을 보여주는 것으로 서, 도 4에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정면도가, 도 6에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량받침은, 상부구조물에 정착되는 상부판(10)과, 하부구조물에 정착되는 하부판(20)과, 상기 상부판(10)과 하부판(20) 사이에 개재되는 받침구(50)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구(50) 주위의 복수의 지점(도면에서는 4곳)에는 형상기억합금 재료로 이루어진 기둥(10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둥(100)의 상, 하 단부는 각각 상기 상부판(10)과 하부판(20)에 연결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형상기억합금 재료로 이루어진 기둥(100)을 통해 구조물 거동 후의 복원력을 제공하고 수평 지진력의 크기를 감소시키며 진동 에너지를 흡수하는 역할을 하도록 한 것이다.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은(100),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은 오스테나이트(Austenite)나 마텐자이트(Martensite) 상태의 니켈(Ni)-티타늄(Ti)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첨부 도면 도 22에는 오스테나이트 상태의 니켈-티타늄 합금의 기둥(지름 25.4mm)의 인장 거동을 곡선이 도시되어 있고, 도 23에는 마텐자이트 상태의 니켈-티타늄 함금의 이력 곡선이 도시되어 있다.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기억합금은 응력을 가하면 변형이 발생하지만 응력을 제거하면 잔류변형이 거의 없이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는 성질이나 높은 탄성(초탄성 또는 의탄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기억합금의 특성은, 교량받침과 같은 구조물에서는 대변형 후의 복원력 제공, 흡진성(吸振性) 제공, 높은 탄성 제공 등으로 발현되므로, 구조물의 거동을 안정화하고 면진(免震) 기능을 부여 내지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교량받침에 적용된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100)은, 교량받침의 받침구(50)의 역할을 분담하거나, 받침구(50)가 가지지 못한 기능을 추가하거나, 받침구(50)의 기능을 보완 내지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형상기억합금 재료로 이루어진 기둥(100)은, 상부구조물(교량 상판)의 수평이동 후에 복원력을 제공하고, 부반력에 의해 상부구조물이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구조물의 고유 주기를 임의로 길게 가져가서 수평 지진력의 크기 자체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지진에 의한 진동에너지를 형상기억합금의 비선형 거동(도 22 및 도 23 참조)으로 흡수하여 교량 상판의 진동을 억제하여 우수한 면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교량받침의 특성에 따라 어떤 교량받침에는 오스테나이트 상태의 니켈-티타늄 합금의 기둥을 어떤 교량 받침에는 마텐자이트 상태의 니켈-티타늄 합금 기둥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고, 하나의 교량받침에서도 오스테나이트 상태의 니켈-티타늄 합금의 기둥과 마텐자이트 상태의 니켈-티타늄 합금 기둥을 다양한 조합으로 선택하여 최적의 댐핑 기능과 복원력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 소산(흡수) 기능이 더 요구되는 교량받침에는 오스테나이트 상태의 니켈-티타늄 합금 기둥을 사용하고, 복원력 및 변위제어를 요하는 교량받침에는 마텐자이트 상태의 니켈-티타늄 합금 기둥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받침구(50)는 공지의 탄성받침, 디스크 받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의 개략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은, 형상기억합금 재료로 이루어진 기둥(100)의 배치를 달리한 경우이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100)은 받침구(50)의 내부 중앙에 배치된 형태이다. 받침구(50)의 중앙에 배치된 기둥(100)은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조물 거동 후의 복원력을 제공하고 수평 지진력의 크기를 감소시키며 진동 에너지를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상기 받침구(50)는 당연히 수평방향으로 신축 이동이 가능한 형태의 받침구(50)이어야 기둥(100)의 변형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의 개략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은, 상술한 제2실시예와는 달리, 형상기억합금 재료로 이루어진 기둥(100)을 받침구(50)의 내부 중앙에 하나 배치하고, 그리고 중앙의 기둥(100) 주변에 복수(도면에서는 4곳)의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100a)을 배치한 형태이다.
본 실시예 및 전술한 제1, 2 실시예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상기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100)(100a)의 개수, 설치 위치, 크기, 단면 모양은, 이를 적용할 교량받침이 요구하는 특성에 따라 적절히 다양하게 선택 가능하다.
(실시예 4)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교량 받침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9에는 종래의 스토퍼를 구비한 탄성받침과 본 발명의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을 구비하는 탄성받침을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의 변형 및 파단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9에서, 중심선을 기준으로 도면상 좌측 부분은 종래의 교량받침을, 도면상 우측 부분은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을 나타낸다. 좌측의 종래의 교량 받침은 스토퍼(60)를 구비하는데, 실제로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반대편에도 대칭 형태의 스토퍼(60)가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우측의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은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100)을 구비하는데, 실제로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반대편에 대칭 형태의 기둥(100)이 있을 것이다.
도시된 교량받침은, 공지의 탄성받침(200)을 받침구로서 사용하고 있다. 탄성받침(200)은, 앞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고무층(201) 사이에 금속 보강재(202)를 삽입한 적층구조로 이루어져서, 탄성받침(200)에 부여된 역할(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을 한다.
종래의 스토퍼(60)는 상부구조물 즉, 상부판(10)이 도면상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기 위해 설치된다. 이러한 스토퍼(60)는, 작은 하중에 대해서는 상부구조물(60)의 수평방향(좌우방향) 이동을 막게 되며, 지진과 같은 과도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파괴되어 탈락되면서 지진 하중을 감쇄하게 된다. 이러한 스토 퍼(60) 형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의 수평 이동시 변형하여 탄성받침(200)과 부딪혀 손상시킬 염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둥(100)은 이와 같은 염려가 없다.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100)은, 상기 탄성받침(200)의 주위의 복수의 지점에 탄성받침(200)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그의 상, 하단이 각각 상기 상부판(10)과 하부판(20)에 연결된다. 이러한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100)은, 상기한 스토퍼(60)에 대신하여 스토퍼(60)의 역할을 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탄성받침(200)의 신축기능을 분담하거나, 탄성받침(200)만으로는 부족한 면진 기능을 추가 내지 보강하기 위한 수단으로 설치될 수 있다.
양방향 가동단인 경우,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100)은 탄성받침(200)의 4 모서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각각 1개씩 설치할 수 있다(도 6의 배치 형태 참조). 이 경우 기둥(1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받침(200)과 함께 변형되면서 탄성받침(200)을 분담하거나 보조하여 수평방향 거동(변위)을 억제하게 되고, 특히 거동 후에는 원래의 상태로 쉽게 복원되도록 한다. 이 경우 기둥(100)의 단면 형태는 도 9에 도시된 원형 단면(100a)의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축방향 또는 교축직각방향 중 어느 한쪽으로의 이동은 제한하고 다른 한쪽으로의 이동은 허용하는 종방향 가동단 또는 횡방향 가동단인 경우, 기둥(100)은 종래의 스토퍼의 역할을 대신 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와 같이 도면상 좌우방향의 이동은 허용하고 지면(紙面)으로 들어가는 방향과 지면으로부터 나오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기둥(100)의 단면 형태는 도 9의 타 원형 단면(100b) 또는 직사각형 단면(또는 판형 단면)(100c)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이동이 허용된 방향으로는 좁은 폭을 가지도록 하여 상부구조물의 이동을 허용하면서 복원기능을 제공하고, 이동이 제한된 방향으로는 넓은 폭을 가지도록 하여 강성을 더 크게 부여함으로써 작은 진동은 흡수하고 작은 하중은 억제하며 지진하중과 같이 큰 하중이 작용할 때에는 항복하여 변형 내지 파괴되도록 할 수 있다. 지진하중에 의해서도 파괴되지 않고 변형되기만 한다면 지진 후 복원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실시예 5)
도 11 내지 도 14에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교량 받침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1에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가 하나의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13에는 가동방향에 대한 변형 전,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 14에는 고정방향에 대한 변형 전,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은,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100)과 스토퍼 장치(300)가 동시에 설치된 형태의 교량받침이다. 받침구로서는 탄성받침(200)을 일례로 도시하였다.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100)은, 교축방향 또는 교축직각방향 중 상부구조물의 수평이동을 허용하고자 하는 가동방향으로 설치되고, 상부구조물의 수평이동을 저지하고자 하는 나머지 한쪽의 고정방향으로는 스토퍼 장치(300)를 설치한 형태이다.
상기 스토퍼 장치(300)는,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하부판(20)의 측면에 스토퍼 결합홈(21)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결합홈(21)에는 스토퍼(310)가 볼트(311)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상부판(10)의 측면에는 상기 스토퍼(310)를 수용하는 스토퍼 안내홈(11)이 형성된 형태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 안내홈(11)은 상기 스토퍼(310)의 폭보다 가동방향으로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홈이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310)가 움직일 수 있는 만큼 상기 상부판(10)의 가동방향 이동을 허용하며, 스토퍼 안내홈(11)의 폭 이상으로 과도하게 이동되는 것은 제한한다. 이때,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100)은, 앞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은 기능에 의해, 상부구조물(10)의 가동방향 이동 후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한편, 고유한 흡진성에 의해 진동 에너지를 흡수하는 등, 구조물의 거동을 안정화하여 면진 기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310)는 상기 상부판(10)이 고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저지하지만, 상부판(10)이 고정방향으로 과대한 하중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파괴되어(주로 볼트 체결 부분이 탈락 된다) 에너지를 소산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더불어, 상기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100)은, 상기 스토퍼(310)와 상기 상부판(10)의 안내홈(11) 사이의 고정방향 간극(틈새) 범위 이내에서의 상부구조물(10)의 거동을 안정화하고, 큰 지진이 발생한 때에는 수평 지진력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지진에 의한 진동에너지를 흡수하여 우수한 면진 기능을 수행한다. 지진에 의해 스토퍼(310)가 파괴되었을 때, 상기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100)도 함께 파괴되도록 설계할 수 있는 한편, 스토퍼(310) 파 괴 후에도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100)이 어느 정도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스토퍼(310)와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100)이 함께 파괴되도록 설계된 경우에는, 기둥(100)이 파괴되면서 구조물의 고유주기를 장주기화 함과 더불어 에너지를 소산시킴으로써 지진력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스토퍼(310)의 파괴 후에도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100)이 견딜 수 있게 한 경우에는,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100)은 지진 후에 구조물을 원래 상태로 복원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 장치(300)는, 상부판(10)이나 하부판(20)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던 종래의 형태와 다르게, 하부판(20)에 볼트(311)에 의해 체결된 형태이므로, 스토퍼(310) 교체시 용접 열에 의해 고무재질의 탄성받침(200)이 손상될 염려가 없으며, 조립 공정이 간편하여 교체도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6)
도 15에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교량받침은, 탄성받침(200)의 중앙에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100)을 설치하고, 이 기둥(100)의 상, 하 단부를 상부판(10)과 하부판(20)에 연결한 형태의 실시예이다.
이러한 본 실시예는, 종래의 납면진 받침(LBR)과 유사한 구조를 이룬다. 납면진 받침은, 앞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받침의 중앙에 납심을 삽입한 형태로서, 상기 납심을 통해 면진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이러한 납면진 받침에서 중앙의 납심 대신에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100)을 설치하여, 이의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100)은, 풍하중 및 제동하중과 같이 빠 른 속도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해서는 그의 강성으로 저항하여 변위를 억제하게 되고, 지진하중에 대해서는 완전히 항복하여 상부구조물의 장주기화 및 에너지 소산 기능에 의해 지진력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특히, 상기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100)은, 탄성받침(200)이나 납면진 받침에서 충분치 못한 변형 후의 복원력을 더 제공하게 되고, 종래의 납면진 받침을 대체하는 경우에는 납 오염에 의한 위험을 줄일 수고 있게 된다.
(실시예 7)
도 16에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교량받침은, 상술한 제6 실시예에서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100)의 형태를 달리한 것이고, 나머지의 구성은 제6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100)은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상부구조물의 수평방향 작은 변형(진동)은 더욱 원활히 흡수할 수 있는 형태이다.
따라서, 제6실시예의 형태나 제7실시예의 형태 중 교량의 요구 특성이나 지점부의 요구 특성에 알맞은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한편, 받침구의 내부 중앙에 하나의 기둥(100)을 배치하는 형태 이외에, 앞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중앙의 기둥(100) 주위의 받침구의 내부 복수의 지점에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들을 더 설치하는 형태를 채용할 수도 있고, 중앙을 제외한 받침구 내부의 복수 지점에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들을 설치하는 형태를 채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8)
도 17에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교량 받침을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공지의 디스크 받침형 교량 받침을 변형한 형태이다.
즉,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받침형 교량받침은, 받침구로서 디스크 받침(400)은 사용한 것인데, 디스크 받침(400)은 하부판(20)의 상면에 설치되는 고무(410)와, 상기 고무(410) 위에 안착 되는 중간판(420)과, 상기 중간판(420)과 상부판(10) 사이에 개재되는 미끄럼판(430)을 포함한다. 미끄럼판(430)은 통상적으로 불소수지판(주로, dimpled virgin PTFE 판)이나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는, 이와 같은 디스크 받침(400)의 주위에, 디스크 받침(400)과 이격된 상태로, 형상기억합금 재료로 이루어진 복수의 기둥(100)을 입설한 형태이다.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100)의 상, 하단은 각각 상기 상부판(10)과 하부판(20)에 연결되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구조물 거동 후의 복원력을 제공하고, 수평 지진력의 크기를 감소시키며 진동 에너지를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실시예 9)
도 18에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형상기억합금 재료로 이루어진 기둥의 체결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와 더불어 이하에 설명되는 기둥의 체결 형태는 전술한 제1 내지 제8실시예에서 설명된 어떠한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100)을 체결 방법(구조)으로서 적용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형상기억합금 재료로 이루어진 기둥(100) 은, 그 하단은 고정되고, 그 상단은 상, 하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구성한 형태이다. 즉, 기둥(100)의 하단은 하부판(20)에 고정되고, 그 상단은 상부판(10)에 형성된 수용홈(12)에 상하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어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상부판(10)의 수용홈(12)은, 상기 상부판(10)과 기둥(100)의 상하방향 상대 운동을 허용하는 범위의 변형 여유 공간(13)을 더 가지도록 깊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12)의 변형 여유 공간(13)은 받침의 처짐을 고려한 것으로서, 상부판(10)의 자중이나 차량 하중에 의한 상부판(10)의 처짐을 허용하고, 그와 더불어 기둥(100)의 상단과 상부판(10)이 부딪히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100) 하단은 상기 하부판(20)에 매립되어 일체화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하부판(20)과의 부착력을 높이기 위한 요철을 형성하는 나사부(101)가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판(10)의 수용홈(12)의 내측 단부면 또는 상기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100)의 상단 단부면에는 완충용 쿠션판(700)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완충용 쿠션판(700)은, 혹시 처짐이나, 상하방향 진동이 설계 값보다 크게 발생하는 만일의 경우를 대비하여, 기둥(100)의 상단이 수용홈(12)의 내측 단부면에 부딪힐 때의 충격을 완화 내지 흡수하여, 충격력이 구조물 전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실시예 10)
도 19에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의 체결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제9실시예에서, 기둥(100)의 상단이 수용홈(1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 형태를 가져 상부구조물의 부반력에 대응한 형태이다. 나머지의 구성은 제9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둥의 체결 형태에 있어서,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100)의 상단은 직경이 확장된 형태의 머리부(110)가 형성된다. 이 머리부(110)는 상기 상부판(10)의 수용홈(12)에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판(10)의 하면에는 이탈 방지구(500)가 설치된다. 상기 이탈 방지구(500)는, 상기 기둥(100)의 머리부(110)를 막는 막음판(510)이 정착구(520)에 의해 상부판(10)에 정착된 간단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탈 방지구(500)는, 상기 수용홈(12)에 삽입된 머리부(110)의 하단을 막아 상기 머리부(110)가 상기 수용홈(12)을 벗어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부반력에 의해 상부구조물이 위로 들어 올려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기둥(500) 교체시에 상부 판의 인상(jack-up)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100)과 알맞게 조합된 간단한 구조의 부반력 방지 장치를 이용하여 구조적으로 안정된 교량받침 및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11)
도 20에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의 체결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제10실시예에서, 기둥(100)의 하단을 분리가능한 구조로 고정함으로써 기둥(100)의 설치와 교체가 쉽도록 한 것이다. 나머지의 구성은 제10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기둥(100)의 하단은 직경이 확장되는 형태의 머리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 머리부(120)는 상기 하부판(20)의 수용홈(22)에 분리가능한 상태로 삽입되며, 상기 하부판(20)의 상면에 고정구(600)를 설치하여, 이 고정구(600)가 상기 하측 머리부(120)의 상단을 막아 머리부(1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고정한다.
이 고정구(600)는, 전술한 실시예의 이탈 방지구(50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고정구(600)는, 상기 기둥(100)의 하측 머리부(120)를 막는 막음판(610)이 정착구(620)에 의해 하부판(20)에 정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형상기억합금 기둥(100)의 상부는 수용홈(220)과 이탈 방지구(500)에 의해 기둥(100)과 상부판(10)의 상, 하 방향 이동을 자유롭게 유지하면서, 부반력에 의해 상부판(10)의 이탈을 방지하며, 기둥(100)의 하부는 고정구(600)에 의해 하부판(20)에 고정하는 형태가 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기둥(100)을 설치나 교체를, 상측의 이탈 방지구(500)와 하측의 고정구(600)를 조립 또는 해체하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 12)
도 21에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의 체결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100)을 탄성받침(200)의 내부에 설치할 경우에 알맞은 또 하나의 기둥(100)의 체결 방법을 제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형상기억합금 재료로 이루어진 기둥(100)은, 하단이 상기 하부판(20)에 고정되고, 상단에는 구면의 머리부(130)가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부판(10)에는 구면 홈(14)이 형성되어, 여기에 상기 기둥(100)의 상단에 형성된 구면의 머리부(130)가 상하 및 회전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한 상태로 삽입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는, 상부구조물의 회전 하중의 대부분은 탄성받침(200)에 작용하도록 하고, 상부구조물의 수평 하중의 대부분은 탄성받침(200)과 함께 기둥(100)에 작용하도록 할 때에 적합한 연결형태이다.
이상에서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이는 바람직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탄성받침의 양방향 가동단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탄성받침의 종방향 가동단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탄성받침의 횡방향 가동단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형상기억합금 재료로 이루어진 기둥의 배치를 달리한 경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형상기억합금 재료로 이루어진 기둥의 배치를 달리한 경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교량 받침과 종래의 탄성받침을 비교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의 변형 및 파단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교량 받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를 하나의 도면에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교량 받침의 가동방향에 대한 변형 전,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교량 받침의 고정방향에 대한 변형 전,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교량 받침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교량 받침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교량 받침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의 체결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의 체결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의 체결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의 체결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형상기억합금 봉의 인장 거동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3은 형상기억합금 봉의 이력 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상부판 11: 스토퍼 안내홈
12: 수용홈 13: 변형 여유 공간
14: 구면 홈 21: 결합 홈
22: 수용홈 50: 받침구
60: 스토퍼 100: 형상기억합금 재료 기둥
110, 120: 머리부 130: 구면 머리부
200: 탄성 받침 201: 고무층
202: 금속 보강재 300: 스토퍼 장치
310: 스토퍼 311: 볼트
400: 디스크 받침 410: 고무
420: 중간판 430: 미끄럼판
500: 이탈 방지구 510: 막음판
520: 정착구 600: 고정구
610: 막음판 620: 정착구
700: 쿠션 판

Claims (10)

  1. 상부구조물에 정착되는 상부판(10)과,
    하부구조물에 정착되는 하부판(20)과,
    상기 상부판(10)과 하부판(20) 사이에 개재되는 받침구와,
    상기 상부판(10)과 하부판(20)을 연결하도록 상기 상부판(10)과 하부판(20) 사이에 설치된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기둥(100)을 포함하며,
    상기 형상기억합금 기둥(100)이 구조물 거동 후의 복원력을 제공하고 수평 지진력의 크기를 감소시키며 진동 에너지를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상기 받침구 주위의 복수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상기 받침구 내부의 위치에 복수개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구는, 고무층 사이에 금속 보강재를 삽입한 적층구조의 탄성받침(20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형상기억합금 기둥(100)은, 교축방향 또는 교축직각방향 중 상부구조물의 수평이동을 허용하고자 하는 가동방향으로, 그 상, 하단이 각각 상기 상부판(10)과 하부판(20)에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며,
    교축방향 또는 교축직각방향 중 상부구조물의 수평이동을 저지하고자 하는 고정방향으로, 상기 상부판(10)의 수평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스토퍼 장치(30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장치(300)는,
    상기 하부판(20)의 측면에 스토퍼 결합홈(21)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결합홈(21)에는 스토퍼(310)가 볼트(311)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상부판(10)의 측면에는 상기 상부판(10)의 가동방향 이동은 허용하되 그 가동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 안내홈(11)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 기둥(100)은, 그 하단이 상기 하부판(20)에 고정되고, 그 상단은 상기 상부판(10)에 형성된 수용홈(12)에 상하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며,
    상기 상부판(10)의 수용홈(12)은, 상기 상부판(10)과 기둥(100)의 상하방향 상대 운동을 허용하는 범위의 변형 여유 공간(13)을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급 기둥(100)의 상단에는 직경이 확장된 형태로 상기 상부판(10)의 수용홈(12)에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머리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판(10)의 하면에는 상기 수용홈(12)에 삽입된 머리부(110)의 하단을 막아 상기 수용홈(12)으로부터 상기 머리부(110)가 완전히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구(5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 기둥(100)은 그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직경이 확장되는 형태의 상, 하측 머리부(110)(120)가 형성되어, 상기 상측 머리부(110)는 상기 상부판(10)의 수용홈(12)에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하측 머리부(120)는 상기 하부판(20)의 수용홈(22)에 분리가능한 상태로 삽입되며,
    상기 상부판(10)의 하면에는 상기 상측 머리부(110)의 하단을 막아 수용홈(12)으로부터 머리부(110)가 완전히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구(500)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판(20)의 상면에는 상기 하측 머리부(120)의 상단을 막아 머리부(120)를 상하방향으로 고정하는 고정구(6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10)의 수용홈(12)의 내측 단부면 또는 상기 형상기억합금 재료의 기둥(100)의 상단 단부면에는 완충용 쿠션 판(700)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 기둥(100)은, 하단이 상기 하부판(20)에 고정되고, 상단에는 구면의 머리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판(10)에는 구면 홈(14)이 형성되어, 상기 구면 홈(14)에 상기 기둥(100)의 구면의 머리부(130)가 상하 및 회전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KR1020080011277A 2008-02-04 2008-02-04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교량받침 KR100950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277A KR100950861B1 (ko) 2008-02-04 2008-02-04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교량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277A KR100950861B1 (ko) 2008-02-04 2008-02-04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교량받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408A true KR20090085408A (ko) 2009-08-07
KR100950861B1 KR100950861B1 (ko) 2010-03-31

Family

ID=41205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277A KR100950861B1 (ko) 2008-02-04 2008-02-04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교량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0861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31622A (zh) * 2015-05-15 2015-08-12 东南大学 具有自复位功能的分散式形状记忆合金芯减隔震橡胶支座
KR20160086665A (ko) * 2015-01-12 2016-07-20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원형복원형 전단패널
CN106835960A (zh) * 2017-02-09 2017-06-13 成都启立辰智科技有限公司 桥梁减震支座
KR101876286B1 (ko) * 2017-03-31 2018-07-09 태정산업개발(주) 다발성 탄성복원형 면진장치
CN108343158A (zh) * 2018-04-21 2018-07-31 中国地震局工程力学研究所 一种多级耗能抗冲击隔震支座
CN108442241A (zh) * 2018-04-28 2018-08-24 中国建筑股份有限公司 一种板式金属橡胶支座及其施工方法
KR20190015853A (ko) * 2017-08-07 2019-02-1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복원이 가능한 가새 댐퍼장치
CN110409296A (zh) * 2019-08-22 2019-11-05 广州大学 一种u形sma肋减震支座
KR102059195B1 (ko) * 2019-06-04 2019-12-24 (주)젠트로그룹 물탱크용 조립식 기초 패드장치
CN111827098A (zh) * 2020-06-24 2020-10-27 中国地质大学(武汉) 一种触发式有限负刚度高强弹簧减震支座
CN113802597A (zh) * 2021-08-29 2021-12-17 北京工业大学 一种具有减隔震功能的自复位装配式墩柱体系
CN115653338A (zh) * 2022-10-14 2023-01-31 重庆科技学院 一种cfrp板材-sma丝复合材料的组合锚具
CN115821733A (zh) * 2022-11-17 2023-03-21 四川九州城轨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减隔震桥梁支座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075B1 (ko) 2014-04-11 2014-07-15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자동복원 전방향 마찰형 포트 받침
CN110965464B (zh) * 2019-12-24 2021-06-25 中铁十八局集团第四工程有限公司 一种防拨片及其使用方法
CN111335147B (zh) * 2020-03-13 2020-11-17 西安石油大学 一种自复位的高阻尼橡胶与sma钢棒联合的防落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8851A (ja) * 1996-09-10 1998-04-07 Yokohama Rubber Co Ltd:The 免振用支承装置
KR100731210B1 (ko) * 2005-01-19 2007-06-22 안숙희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교량용 면진교좌장치
KR20070096140A (ko) * 2006-02-14 2007-10-02 안숙희 형상기억합금 부재를 이용한 교량의 지진변위제어장치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6665A (ko) * 2015-01-12 2016-07-20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원형복원형 전단패널
CN104831622A (zh) * 2015-05-15 2015-08-12 东南大学 具有自复位功能的分散式形状记忆合金芯减隔震橡胶支座
CN106835960A (zh) * 2017-02-09 2017-06-13 成都启立辰智科技有限公司 桥梁减震支座
KR101876286B1 (ko) * 2017-03-31 2018-07-09 태정산업개발(주) 다발성 탄성복원형 면진장치
KR20190015853A (ko) * 2017-08-07 2019-02-1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복원이 가능한 가새 댐퍼장치
CN108343158A (zh) * 2018-04-21 2018-07-31 中国地震局工程力学研究所 一种多级耗能抗冲击隔震支座
CN108442241A (zh) * 2018-04-28 2018-08-24 中国建筑股份有限公司 一种板式金属橡胶支座及其施工方法
KR102059195B1 (ko) * 2019-06-04 2019-12-24 (주)젠트로그룹 물탱크용 조립식 기초 패드장치
CN110409296A (zh) * 2019-08-22 2019-11-05 广州大学 一种u形sma肋减震支座
CN111827098A (zh) * 2020-06-24 2020-10-27 中国地质大学(武汉) 一种触发式有限负刚度高强弹簧减震支座
CN113802597A (zh) * 2021-08-29 2021-12-17 北京工业大学 一种具有减隔震功能的自复位装配式墩柱体系
CN115653338A (zh) * 2022-10-14 2023-01-31 重庆科技学院 一种cfrp板材-sma丝复合材料的组合锚具
CN115653338B (zh) * 2022-10-14 2024-05-17 重庆科技学院 一种cfrp板材-sma丝复合材料的组合锚具
CN115821733A (zh) * 2022-11-17 2023-03-21 四川九州城轨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减隔震桥梁支座
CN115821733B (zh) * 2022-11-17 2023-10-20 四川九州城轨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减隔震桥梁支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0861B1 (ko) 201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0861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교량받침
US7647734B2 (en) Seismic structural device
JP4160599B2 (ja) 犠牲手段を用いた橋梁耐震保護装置
CN105926794A (zh) 采用等应力线优化的装配式软钢阻尼器
US7254921B2 (en) Rocking hinge bearing system for isolating structures from dynamic/seismic loads
KR102152742B1 (ko) 마찰형 납 지진격리받침
KR100944363B1 (ko) 좌굴방지부를 구비한 철골가새
KR101344813B1 (ko) 기둥-보 접합구조물 및 접합방법
CN106400677B (zh) 一种震损可原位快速修复的箱型钢桥墩
JP7017879B2 (ja) 機能分離型衝撃吸収装置及び機能分離型衝撃吸収装置を備えた橋梁
KR100945647B1 (ko) 수평강성이 작은 면진장치
Köken et al. Waste rubber damper using on steel beam to column connection
CN215759770U (zh) 装配式自复位钢筋混凝土剪力墙
JP2005330688A (ja) 橋梁の耐震補強方法及び構造
KR101317464B1 (ko) 교량용 슬라이딩 탄성받침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받침방법
CN113605559A (zh) 装配式自复位钢筋混凝土剪力墙
CN112095826A (zh) 一种结构用高性能耗能支撑及组装方法
KR101887313B1 (ko) 희생수단을 이용한 교량 내진 보호장치
KR101192503B1 (ko) 레일간 등간격 조절 및 제진 기능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JP5214371B2 (ja) 構造物
JP6862057B2 (ja) 建物の柱頭変位抑制構造
JP4798625B2 (ja) 移動制限装置
JP6457886B2 (ja) 杭頭ピン接合構造
KR102667568B1 (ko) 캔틸레버형 스티프너로 보강된 좌굴방지가새
JP3845838B2 (ja) 粘弾性ダンパー、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制震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1